•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Key Words: Omeprazole, Peptic ulcer bleeding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Key Words: Omeprazole, Peptic ulcer bleeding"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1999;34:733 - 740

4)

접수: 1999년 6월 25일, 승인: 1999년 8월 16일

연락처: 이한주, 138-040, 서울시 송파구 풍납동 388번지 1, 서울중앙병원 소화기내과 Tel: (02) 2224-3185, Fax: (02) 485-5782

재출혈의 위험이 높은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에서 오메프라졸 경구 투여와 내시경적 에탄올 주입치료의 효과 비교

- 전향적 무작위 대조 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이한주*・정성애*・정혜경・손혜영・이선영・김도영・문일환

Co m p a ri s o n o f O r a l Om e p r a z o l e Ad m i n i s t r a t i o n w i t h E n d o s c o p i c E t h a n o l In je c t i o n Th e r a p y fo r t h e P re v e n t i o n o f R e c u r r e n t

Ble e din g fro m P e pt ic Ulc e rs w ith Non -Ble e d in g Visible Ve ss e ls o r F r e s h Ad h e r e n t Cl o t s : A P r o s p e c t i v e R a n d o m i z e d Tr i a l

H a n Ch u Le e , M.D.*, S u n g Ae J u n g , M.D.*, Hy e Ky u n g J u n g , M.D., H y e Yo u n g S o n , M.D., S u n Yo u n g Yi, M.D., D o e Yo u n g Ki m , M.D.

a n d Il Hw a n Mo on ,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Seoul, Korea*

Background/Aims: Omeprazole is a potent inhibitor of gastric acid secretion.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oral omeprazole therapy reduced the rate of rebleeding in patients with non-bleeding visible vessels or adherent clo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whether oral omeprazole administration can be an alternative to endoscopic injection therapy for peptic ulcers with stigmata of rebleeding. Methods:

Seventy-six patients with peptic ulcer bleeding who had endoscopic findings of non-bleeding visible vessels or fresh adherent clo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ral omeprazole (40 mg every 12 hours) therapy or endoscopic ethanol injection therapy. Both groups were homogeneous in all clinical and endoscopic parameters. Results: The rebleeding rates were 25% in the group of omeprazole therapy and 20% in the group of endoscopic injection therapy. The rebleeding rates with clinical significance were 13.9% and 12.5%,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bleeding rate, requirement of surgery, blood transfusion units, and mortality rate. Conclusions: Oral omeprazole administration is comparable to endoscopic ethanol injection therapy for the prevention of rebleeding in patients with non-bleeding visible vessels or adherent clots. (Kor J Gastroenterol 1999;34:733 - 740)

Key Words: Omeprazole, Peptic ulcer bleeding

(2)

734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4 권 제 6 호 1999

서 론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에서 재출혈의 위험은 내 시경 소견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내시경 소견에서 분출하는 출혈이 있는 경우는 재출 혈률이 90%에 달하며, 비출혈 노출혈관이 관찰되는 경우는 40-50%, 신선 응혈괴의 부착이 관찰되는 경 우는 30% 정도에서 재출혈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1,2 따라서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에서 내시경검사에서 활동성의 출혈이 있는 경우는 물론이고 비출혈 노출 혈관이나 신선 응혈괴의 부착이 관찰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내시경적 치료를 추천하고 있다.1

내시경적 주입치료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숙련된 내시경 전문의 사가 필요하며 검사 시간을 연장시키고 드물지만 천 공, 재출혈의 유발 등1의 합병증이 발생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덜 침습적이고 부작용이 적은 내과적 치료가 계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는데,3-6 가장 많이 연구된 것은 산분비억제제이다. 산과 펩신은 혈소판 응집, 혈액 응고 체계의 활성화, 섬유소원의 중합 등을 억제하며,7,8 이미 형성된 응혈괴도 펩신에 의해 소화되는데, 이 때 펩신의 활성도 또한 위내 pH와 밀접히 관련이 있다.9,10 따라서 위내 pH를 상 승시켜 지혈 과정을 원활히 하고 혈종을 안정화하려 고 산분비억제제를 사용하였으나, H2 수용체 길항제 는 출혈을 멈추게 하거나 재출혈을 예방하는 데 효 과가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다.3,4,6,11

보다 강력한 산분비억제제인 오메프라졸을 투여 한 연구 보고들에서는, 내시경 소견에서 활동성 출 혈의 소견을 보이는 경우에는 효과가 없었고,2 비출 혈 노출혈관이 관찰된 경우에는 오메프라졸 정맥 내 투여와 내시경적 주입치료의 재출혈 예방 효과가 비 슷하였다.12 최근에는 내시경 소견에서 비출혈 노출 혈관이나 신선 응혈괴의 부착이 관찰되는 경우에 경 구 오메프라졸 투여가 아무 치료도 하지 않은 대조 군에 비해 재출혈률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고 보고 되었으며, 특히 이때 보고된 재출혈률은 11% 정도 로 내시경적 주입치료의 성적과 필적할 만하였다.2 하지만 아직 이러한 환자들에서 경구 오메프라졸 투

여와 내시경적 주입치료의 재출혈 예방 효과를 비 교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 등은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에서 내 시경 검사에서 비출혈 노출혈관이나 신선 응혈괴의 부착이 관찰되는 경우 경구 오메프라졸 투여와 내시 경적 주입치료의 재출혈 예방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 여 전향적, 무작위 대조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대 상

1997년 5월부터 1998년 9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토혈, 흑 색변 등 상부위장관 출혈이 의심되는 환자를 대상으 로 내원 24시간 내에 응급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시 행하여 내시경검사 소견에서 출혈은 멈추었으나 노 출혈관이나 신선 응혈괴의 부착이 관찰된 양성 위궤 양, 십이지장궤양, 문합부궤양 출혈 환자를 대상으 로 하였다. 비출혈 노출혈관은 융기된 적색 또는 청 적색의 반구형의 융기된 병변으로, 응혈괴의 부착은 200 mL의 물로 세척한 경우에도 남아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1

2. 방 법

대상 환자들을 미리 준비된 밀봉된 봉투를 개봉 함으로써 경구 오메프라졸군과 내시경적 에탄올 주 입치료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경구 오메프라졸 군으로 할당된 환자에게는 내시경검사 직후부터 매 12시간마다 오메프라졸 40 mg을 경구 투여하였다.

내시경적 에탄올 주입치료군에서는 첫 번째 내시경 검사시 에탄올 주입치료를 시행하였고 내시경검사 직후부터 매 12시간마다 파모티딘 20 mg을 정맥 내 투여하였다. 추적 내시경검사는 재출혈의 임상적 증 거가 없을 때는 첫 번째 내시경검사 후 48시간마다 시행하였고 노출혈관이 관찰되지 않는 시점까지 시 행하였다. 재출혈은 임상적으로 토혈이 발생되거나 지속적인 혈변이 있는 경우, 활력징후가 안정화된 후 다시 쇽이 발생한 경우나 혈색소치가 2 g/dL 이 상 감소한 경우(임상적 출혈)에는 즉시 내시경을 시 행하여 확인하였고, 임상적으로 재출혈의 증거가 없

(3)

이한주 외 6인. 소화성 궤양 출혈에서 오메프라졸 투여와 내시경적 주입치료의 비교 735

더라도 추적 내시경검사에서 출혈을 하고 있거나, 위내에서 신선 혈액이 관찰된 경우(내시경적 출혈) 는 재출혈로 정의하였다. 양군 모두에서 재출혈을 한 환자는 에탄올 주입치료를 시행하였고, 총 2회의 에탄올 주입치료에도 임상적 재출혈이 있고 24시간 동안 4단위 이상의 수혈이 필요한 경우에는 수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약물 복용력, 동반 질환을 조사하 였고, 추적 내시경검사시 CLOTM검사와 조직검사로 Helicobacter pylori 감염 유무를 확인하였다.

3. 대상 환자의 특성

연구 기간 동안 총 457명의 상부위장관 출혈이 의 심된 환자에서 응급 내시경검사를 시행하였고, 이중 232명의 환자의 내시경 소견에서 양성 소화성 궤양 출혈이 의심되었다. 232명의 환자 중 42명의 환자에 서 활동성의 출혈이 관찰되었고, 비출혈 노출혈관이 관찰된 환자가 61명, 신선 응혈괴의 부착이 관찰된 환자가 17명으로 총 78명의 환자가 경구 오메프라졸 군과 내시경적 에탄올 주입치료군으로 무작위 배정 되었다. 무작위 배정 결과 경구 오메프라졸군은 38 명, 내시경적 에탄올 주입치료군은 40명으로 초기 배정되었다. 경구 오메프라졸군에서 2명의 환자가 무작위 배정 후 배제되었는데, 한 명의 환자는 조직 검사에서 위선암이었고, 다른 한 명의 환자는 급성 심근경색증이 동반된 환자로 환자 및 보호자가 치료 를 거부하고 자의 퇴원하였다. 따라서 연구를 종료할 수 있었던 환자는 경구 오메프라졸군은 36명, 내시경 적 에탄올 주입치료군은 40명으로 총 76명이었다.

경구 오메프라졸군에서 궤양의 위치는 위궤양이 22예(61.1%), 십이지장궤양이 14예(38.9%)였고, 내 시경검사에서 출혈 표징은 비출혈 노출혈관이 관찰 된 예가 28예(77.8%), 신선 응혈괴의 부착이 관찰된 예가 8예(22.2%)였으며, 평균 궤양의 장경은 2.0 2.0 cm이었다. 내시경적 에탄올 주입치료군에서 궤 양의 위치는 위궤양이 26예(65%), 십이지장궤양이 13예(32.5%), 문합부궤양이 1예(2.5%)였고 비출혈 노출혈관이 관찰된 예는 31예(77.5%), 신선 응혈괴 의 부착이 관찰된 예는 9예(22.5%)였으며, 궤양의 크기는 1.6 1.0 cm로, 두 군 간에 궤양의 위치, 크

기, 내시경검사에서 출혈 표징에 있어 차이는 관찰 되지 않았다. 기타 환자들의 연령, 성별, 수축기 혈 압, 맥박수, 쇽인 환자의 비율(11.1% vs. 20.0%), 혈 색소치, 수혈량, 동반 질환의 빈도, Helicobacter pylori 감염 빈도,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약물의 복 용력 등에 있어서도 두 군 간에 차이는 관찰되지 않 았다(Table 1).

4. 통계 분석

수치형 변수간의 비교는 Student' s t-test를 이용하 였고, 범주형 변수간의 비교는 χ2 test를 사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로 정의하 였다.

결 과

1. 치료 성적

재출혈은 경구 오메프라졸군에서는 9예(25%), 내 시경적 에탄올 주입치료군에서는 8예(20%)에서 발 생하였다. 이 중 임상적 출혈은 각각 13.9% (5/36), 12.5% (5/40)였으며, 수술을 한 경우는 각각 1예씩으 로 두 군 간에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고 총 수혈량에 있어서도 두 군 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내시 경적 에탄올 주입치료군에서 2명의 환자가 사망하 였는데, 사망 원인은 선행 질환이었던 패혈성 쇽, 급 성 호흡부전증이었다(Table 2). 사망 환자 2예 및 수 술을 시행받은 환자 2예를 제외한 환자들에서 추적 내시경검사에서 노출혈관 또는 응혈괴가 소실된 시 기는 경구 오메프라졸군에서는 중앙값 72시간, 범위 48-216시간이었고 내시경적 에탄올 주입치료군에서 는 중앙값 72시간, 범위 48-336시간으로 두 군 간에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재출혈이 있었던 환자에서 는 내시경적 에탄올 주입치료를 시행하였는데, 따라 서 재출혈 환자를 포함하여 내시경적 에탄올 주입치 료를 시행받은 환자는 총 49예로 이 중 2명이 수술 을 시행받았고, 2명이 사망하여 최종적으로 내시경 치료로 완전 지혈된 환자는 49예 중 45예로 91.8%

이었고 패혈성 쇽, 급성 호흡부전증 등 다른 원인으 로 사망한 2예를 제외하면 95.7%로 기존의 보고와 차이가 없었다.

(4)

736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4, No. 6, 1999

2. 재출혈의 예견인자

재출혈의 예견인자로는 60세 이상인 경우 유의하 게 재출혈이 많았고(37.5% vs. 11.4%, p=0.011), 두 치료군을 나누어 관찰한 경우에도 이러한 경향은 계 속 관찰되었다. 기타 궤양의 위치, 크기, 내시경검사

에서 출혈 표징의 종류, 초기 혈색소치, 초기 수혈량 (p=0.683), 쇽의 동반 유무 등에 따른 재출혈 발생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Table 3).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tients

Charactersitics OMP group (n=36) EIT group (n=40) Age (yrs)

Sex (M:F)

Mean systolic blood pressure (mmHg) Pulse rate (beats/min)

Hemoglobin (g/dL)

Initial transfusion amount (pints) Helicobacter pylori (no. of positive) NSAID use (no. of patients)

Associated medical illness (no. of patients) Cardiac

Pulmonary Sepsis Ulcer site

Duodenum Stomach Stoma Ulcer size (cm) Stigmata of hemorrhage Non-bleeding visible vessel Adherent clot

55±18 4.1:1 109±20

93±15 7.8±2.2 2.3±1.8 23 (63.9%) 14 (38.9%)

3 0 0

14 22 0 2.0±2.0

28 8

52±17 9:1 106±21

98±17 8.6±2.2 2.6±1.7 25 (62.5%)

16 (40%)

2 1 1

13 26 1 1.6±1.0

31 9 OMP, omeprazole; EIT, endoscopic injection therapy; NSAI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Table 2. Clinical Outcomes in the Study Patients

Outcome OMP group (n=36) EIT group (n=40) Rebleeding

Clinically significant rebleeding Blood units transfused†

Surgery Deaths

9 (25.0%) 5 (13.9%) 3 (0-8) 1 0

8 (20.0%) 5 (12.5%) 3 (0-10) 1 2*

OMP, omeprazole; EIT, endoscopic injection therapy.

* Causes of death were septic shock with multiple organ failure and acute respiratory failure.

†Data are given as median (range).

(5)

Lee, et al. Omeprazole Administration Versus Endoscopic Injection Therapy in Peptic Ulcer Bleeding 737

고 찰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에서 내시경적 주입치료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이며, 특히 내시경적 에탄올 주입치료는 간편하고 특별한 장비가 필요 없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내시경적 치료는 검사 시간 을 연장시키며, 숙련된 내시경 전문의사가 필요하고, 드물지만 천공, 출혈의 유발, 벽 내 혈종의 발생 및 이로 인한 급성 췌장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1,13

이론적으로 산분비억제제는 위산에 의한 지혈과 정 억제를 막고,7,8 펩시노겐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펩 신에 의한 응혈괴의 소화를 억제할 가능성이 있으 나,9,10 H2 수용체 길항제는 출혈을 멈추게 하거나 재 출혈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거의 없다고 알려졌 다.3,4,6,11 그러나 이러한 연구 결과들이 모든 산분비 억제제가 소화성 궤양 출혈에서 재출혈을 방지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데, 이는 H2 수용체 길 항제가 효과가 없었던 이유가 산 분비 억제 효과가 높지 않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십이지 장궤양 출혈 환자에서 정맥 내 오메프라졸 투여가 정맥 내 라니티딘 투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위 내 pH를 높게 유지한다는 보고14가 있으며, 12시간마다 오메프라졸 40 mg을 경구 투여하였을 때 위내 pH 는 5.9에서 7.2로 유지되어 위약군의 0.7에서 3.5보 다 유의하게 높았다는 보고2도 있다.

최근 노출혈관이 관찰되는 경우 오메프라졸 정맥 내 투여의 재출혈 예방 효과가 내시경적 주입치료와 비슷하다고 보고되었으며,12 고용량의 오메프라졸 경구 투여(12시간마다 40 mg 경구 투여)도 대조군 에 비해 유의하게 재출혈을 예방한다고 보고되었 다.2 또한 비출혈 노출혈관이 관찰되는 경우 오메프 라졸 40 mg 일일 1회 경구 투여가 내시경적 주입치 료와 비슷한 정도의 재출혈 예방 효과를 나타낸다고 Table 3. Risk Factors for Rebleeding

Variable No. with rebleeding No. studied Percent (%) p value Age

≥60 yr 60 yr

Systolic blood pressure

≥90 mmHg 90 mmHg Hemoglobin

≥8 g/dL 8 g/dL Ulcer site

Stomach Duodenum Ulcer size

≥2 cm 2 cm NSAID use

Yes No

Stigmata of hemorrhage NBVV

Adherent clot

12 5

14 3

8 9

13 3

8 9

8 9

11 6

32 44

64 12

40 36

48 27

30 46

30 46

59 17

37.5 11.4

21.9 25.0

20.0 25.0

27.1 11.1

26.7 19.6

26.7 19.6

18.6 35.3

0.011

1.0

0.78

0.145

0.576

0.576

0.188

NSAI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BVV, non-bleeding visible vessel.

(6)

738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4 권 제 6 호 1999

보고하였다.15

내시경 소견에서 비출혈 노출혈관이 관찰된 경우 내시경적 치료 후의 재출혈률은 8-33%로 보고되어 보고자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12,16-19 연구 에 따라 재출혈률이 상이한 이유로는 내시경검사 소 견에서 출혈 표징의 해석에 있어 의사에 따른 차이 가 크고,20,21 재출혈의 정의, 추적 내시경검사를 시행 한 시기, 연구에 포함되었던 환자들의 상태, 내시경 적 치료의 종류 및 숙달도의 차이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내시경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수술을 시행해 야 할 정도의 대량 출혈의 발생 빈도는 0-10% 정도 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 이번 연구에서 내시 경적 에탄올 주입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의 재출혈 률은 20%로 다소 높은 편이었다. 하지만 기존의 대 부분의 연구에서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출혈 징후가 있는 경우에만 내시경검사를 시행하여 재출혈을 확 인하였는데,2,11,12,15,17-19 이번 연구에서 이러한 임상 적 재출혈률은 12.5%로 기존의 보고와 큰 차이는 없 었다. 임상적 출혈 징후 없이 내시경 소견에서 출혈 의 징후가 관찰된 경우 분출성 출혈은 1예도 관찰되 지 않았으며 모두 약간의 삼출성 출혈이거나 출혈 소견은 없었으나 신선 혈액만 관찰된 경우였다. 또 한 재출혈을 한 환자를 포함하면 총 49예의 환자를 내시경적 에탄올 주입치료를 하였는데, 다른 기저 질환으로 사망한 2예를 제외하면 총 47예 중 2예에 서 수술이 필요한 지속적인 출혈이 발생하여 최종적 인 내시경적 에탄올 주입치료의 성공률은 95.7%로 기존의 보고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 두 군간의 재출혈률에 차이가 없었던 이유 가 내시경적 에탄올 주입치료의 효과가 낮았기 때문 은 아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경구 오메프라졸군이라 하더라 도 추적 내시경검사에서 분출성 출혈이나 삼출성 출 혈이 관찰된 경우는 내시경적 주입치료로 전환하였 는데, 이는 기존의 보고에서 내시경검사시 분출성 또는 삼출성 출혈의 소견을 보이는 경우에는 오메프 라졸 투여의 지혈 효과나 재출혈 예방 효과가 위약 군에 비해서 높지 않다고2 보고되었기 때문에 윤리 적인 문제를 고려하였기 때문이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기존의 연구에서와는

달리 임상적 출혈 징후가 없더라도 첫 번 내시경검 사 후 48시간에 추적 내시경검사를 하였다. 추적 내 시경검사에서 재출혈의 증거가 없었던 59예에서는 재출혈이 발생하지 않았고, 임상적으로는 재출혈의 징후가 없으면서 내시경 소견에서만 재출혈의 증거 가 있었던 8명의 환자에서도 내시경적 에탄올 주입 치료 후에는 재출혈이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임 상적으로 출혈의 징후가 없더라도 48시간에 추적 내시경검사를 하여 내시경 소견에서 재출혈의 증거 가 있는 경우에는 내시경적 치료를 적극적으로 하 는 것이 후기 재출혈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에서 내시경검 사시 비출혈 노출혈관이나 신선 응혈괴의 부착이 관 찰된 경우에 오메프라졸 경구 투여는 내시경적 에탄 올 주입치료와 비슷한 정도의 재출혈 예방 효과를 보여, 특히 숙련된 내시경 전문의사가 없는 경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요 약

목적: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에서 내시경검사에 서 비출혈 노출혈관이나 신선 응혈괴의 부착이 관찰 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내시경적 치료가 권장된 다. 하지만 내시경적 치료는 숙련된 내시경 전문의 사가 필요하며 드물지만 천공, 재출혈의 유발 등의 합병증을 수반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러 한 환자들에서 경구 오메프라졸의 투여가 재출혈의 빈도를 감소시켰다는 보고가 있어 오메프라졸 경구 투여와 내시경적 에탄올 주입치료의 효과를 비교하 기 위하여 전향적 무작위 대조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5월부터 1998년 9월까지 상 부위장관 출혈로 이화여자대학교 부속 목동병원을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내원 24시간 내에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비출혈 노출혈관이나 신선 응혈괴 의 부착이 관찰되었던 76명의 양성 소화성 궤양 환 자를 무작위 배정하여 경구 오메프라졸군은 오메프 라졸 40 mg를 하루 2차례 경구 투여하였고, 다른 군 은 내시경적 에탄올 주입치료를 시행하여 재출혈 유 무를 관찰하였다. 재출혈은 지속적인 혈변 또는 토

(7)

이한주 외 6인. 소화성 궤양 출혈에서 오메프라졸 투여와 내시경적 주입치료의 비교 739

혈이 있는 경우, 쇽이 다시 발생한 경우, 혈색소치가 24시간에 2 g/dL 이상 감소한 경우는 즉시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판정하였고(임상적 출혈), 임상적 으로 안정된 경우에는 48시간에 추적 내시경검사를 시행하였고 임상적 출혈 징후가 없더라도 추적 내 시경검사에서 출혈이 관찰되는 경우는 재출혈로 정 의하였다(내시경적 출혈). 양군간에는 연령, 출혈의 정도, 궤양의 위치, 크기, 내시경적 출혈 표징의 종 류, 동반 질환의 유무, 약물 복용력 등에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과: 재출혈은 경구 오메프라졸 군에서 9예(25%), 내시경적 주입치료군에서 8예 (20%)에서 발생되었고, 이중 임상적 출혈은 각각 5 예(13.9%), 5예(12.5%)에서 발생되어 두 군간에 차 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재출혈 환자는 내시경적 에 탄올 주입치료를 시행하였고 수술 예는 각 군에 1명 씩 있었으며 사망은 내시경적 주입치료군에서 2예 있었으며 사망 원인은 출혈과 무관한 급성 호흡부 전증과 패혈성 쇽이었다. 재출혈 환자를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내시경 치료로 지혈이 되었던 환자는 49예 중 45예(91.8%)이며 다른 원인으로 사망한 2예 를 제외하면 95.7%로 기존의 보고와 차이가 없었다.

결론: 내시경검사에서 비출혈 노출혈관이나 신선 응 혈괴의 부착이 관찰되는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에 서 오메프라졸 경구 투여는 내시경적 에탄올 주입 치료와 비슷한 정도의 재출혈 예방 효과를 나타내 었다.

색인단어: 오메프라졸, 소화성 궤양 출혈

참 고 문 헌

1. Proceedings of the consensus conference on thera peutic endoscopy in bleeding ulcers. Gastrointest Endosc 1990;36(suppl 5):S1-S65

2. Khuroo MS, Yattoo GN, Javid G, et al. A com parison of omeprazole and placebo for bleeding peptic ulcer. N Engl J Med 1997;336:1054-1058.

3. Barer D, Ogilvie A, Henry D, et al. Cimetidine and tranexamic acid in the treatment of acute upper gastrointestinal-tract bleeding. N Engl J Med 1983

308:1571-1575.

4. Zuckerman G, Welch R, Douglas A, et al. Control- led trial of medical therapy for active upper gastro- intestinal bleeding and prevention of rebleeding.

Am J Med 1984;76:361-366.

5. Christiansen J, Ottenjann R, Von Arx F. Placebo controlled trial with the somatostatin analogue SMS 201-995 in peptic ulcer bleeding. Gastroenterology 1989;97:568-574.

6. Walt RP, Cottrell J, Mann SG, Freemantle NP Langman MJ. Continuous intravenous famotidine for haemorrhage from peptic ulcer. Lancet 1992;340:

1058-1062.

7. Green FW Jr, Kaplan MM, Curtis LE, Levine PH Effect of acid and pepsin on blood coagulation and platelet aggregation. A possible contributor prolon ged gastroduodenal mucosal hemorrhage. Gastroen terology 1978;74:38-43.

8. Han P, Ardlie NG. The influence of pH, tempera ture, and calcium on platelet aggregation: main tenance of environmental pH and platelet function for in vitro studies in plasma stored at 37 degrees C Br J Haematol 1974;26:373-389.

9. Barkham P, Tocantins LM. Action of human gastric juice on human blood clots. J Appl Physiol 1953 6:1-7.

10. Patchett SE, Enright H, Afdhal N, O' Connell W O' Donoghue DP. Clot lysis by gastric juice: an in vitro study. Gut 1989;30:1704-1707.

11. Collins R, Langman M. Treatment with histamine H2 antagonists in acute upper gastrointestinal he morrhage: implications of randomized trials. N Eng J Med 1985;313:660-666.

12. Grosso C, Rossi A, Gambitta P, et al. Non-bleeding visible vessel treatment: perendoscopic injection therapy versus omeprazole infusion. Scand J Gastro enterol 1995;30:872-875.

13. Rohrer B, Schreiner J, Lehnert P, Waldner H, Held wein W. Gastrointestinal intramural hematoma, a complication of endoscopic injection methods for bleeding peptic ulcers: a case series. Endoscopy 1994;26:617-621.

(8)

740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4, No. 6, 1999

14. Lanas A, Artal A, Blás JM, Arroyo MT, Lopez Zaborras J, Sáinz R. Effect of parenteral omeprazole and ranitidine on gastric pH and the outcome of bleeding peptic ulcer. J Clin Gastroenterol 1995; 21:103-106.

15. Bour B, Pariente EA, Hamelin B, Garcia E. Orally administered omeprazole versus injection therapy in the prevention of rebleeding from peptic ulcer with visible vessel. a multicenter randomized study Gastroenterol Clin Biol 1993;17:329-333.

16. Lazo MD, Andrade R, Medina MC, Garcia- Fernandez G, Sanchez-Cantos AM, Franquelo E.

Effect of injection sclerosis with alcohol on the rebleeding rate of gastroduodenal peptic ulcers with nonbleeding visible vessels: a prospective, controlled trial. Am J Gastroenterol 1992;87:843-846.

17. Koyama T, Fujimoto K, Iwakiri R, et al. Prevention of recurrent bleeding from gastric ulcer with a nonbleeding visible vessel by endoscopic injection

of absolute ethanol: a prospective controlled trial Gastrointest Endosc 1995;42:128-131.

18. Choudari CP, Rajgopal C, Elton RA, Palmer KR Failures of endoscopic therapy for bleeding peptic ulcer: an analysis of risk factors. Am J Gastroentero 1994;89:1968-1972.

19. Oxner RB, Simmonds NJ, Gertner DJ, Nightingale JM, Burnham WR. Controlled trial of endoscopic injection treatment for bleeding from peptic ulcers with visible vessels. Lancet 1992;339:966-968.

20. Laine L, Freeman M, Cohen H. Lack of uniformity in evaluation of endoscopic prognostic features of bleeding ulcers. Gastrointest Endosc 1994;40:411- 417.

21. Mondardini A, Barletti C, Rocca G, et al. Non variceal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and Forrest' s classification: diagnostic agreement between endos copists from the same area. Endoscopy 1998;30:

508-512.

참조

관련 문서

운동부하검사 결과시 관찰되는 중요한 변인..

Key Words : 커뮤니케이션 목표, 계층적 효과모형, DAGMAR적 접근방법... 광고가 매출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한 기간이

Key words: Tolerance, Innovation, the aged welfare policy, silver industry, improvement of quality of elderly life,

특히, 본고는 특정 영역에 있는 특정 행위자의 전략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우주 와 관련된 현안보다는 우주력에 대한 이해와 미래 우주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KEY WORDS : Computed tomography, Dual energy, Renal stone, Uric acid stone, Non-uric acid stone,

Key Words: Innovation Behaviors, Strategic Approach, Educational Support, Process Control, Customer Management,

Key words: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Kauffman Campus, critical success factors of Entrepreneurship programs, interdisciplinary entrepreneurship

Key words : Aquaculture, Edwardsiella sp., Edwardsiellosis, Fish diseases, Flounder, Streptococcus sp., Streptococcosis, Vibrio sp., Vibriosis... The num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