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목 차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목 차"

Copied!
16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3)

목 차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비유적 표현의 이해: 직유를 중심으로 ··· 1 정지아ㆍ임종아

▪발달지체영유아 부모의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조사

– 장애전담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 15 김순의ㆍ이병인

▪장애동생과 함께 살아가는 (나의) 이야기 ··· 39 이소희ㆍ박혜숙

▪발달지체 영‧유아 담당 치료사의 치료지원에 대한 요구

- 장애전담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 67 서보숙ㆍ이병인

▪자기결정력 증진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적용 논문의 유목별 경향분석

- 2000년∼2011년 국내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 95 이수영ㆍ신현기

▪「누리과정」 지도서와 2009개정 초등학교 1학년 교과서의 장애관련 연계성 분석 ··· 133 강성영ㆍ신현기

(4)
(5)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26집

━━━━━━━━━━━━━━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2012, Vol.26, 1~13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비유적 표현의 이해:

직유를 중심으로

정 지 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언어치료전공) 임 종 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과)

< 요 약 >

본 연구는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비유적 표현의 이해 능력을 언어연령이 유사한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생활연령 10~14세이면서 평균 언어연령이 7~7세 5개월의 경도 지적장애 학생 12명과 언어연령을 일대일로 일치시킨 일반아동 12명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아동 및 학생들은 비유적 표현인 ‘A같은 B’의 구가 의미하는 바를 세 개의 보기문항 중에서 선택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직유이해과제는 외형적 직유와 내 포적 직유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각 12문항 총 24문항이 포함되었다. 각 문항 당 정답은 1 점, 오답은 0점으로 채점하여 얻은 점수를 기초로 집단(2)×직유유형(2)의 반복측정분산분석 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집단과 직유유형의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경도 지적장애 학생이 보인 직유 표현에 대한 오류유형은 일반아 동과 마찬가지로 엉뚱한 의미보다는 사전적 의미로 해석하는 오류가 많이 나타났다. 이러 한 결과는 경도 지적장애 학생들이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어린 아동들에 비해서도 비유적 표현의 이해에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경도 지적장애 학생들의 언어교 육에 비유적 표현의 이해에 대한 평가와 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경도 지적장애, 비유 언어, 직유

Ⅰ. 서 론

수준 높은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있는 그대로의 언어표현 이외에 함축적이고 비유적 인 표현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비유적 표현(figurative expression)에는 직 유(simile), 은유(metaphor), 관용어(idiom), 속담(proverb) 등이 포함되며, 비유하는 대상 과 비유되는 대상 간의 유사성에 기초한다. 이 중 직유는 가장 쉽고 빈번하게 사용되는 비유 언어이다. 이는 한 사물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와 유사한 사물 또는 다른 개체를

(6)

2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26집

끌어다 비교하는 비교법으로 ‘-처럼, -같이, -인양, -듯’ 등의 비교표시어를 사용하여 표 현한다(이영주, 2005). 이러한 직유를 포함한 비유적 표현을 이해하는 능력은 문맥에 따 라 그 의미 속에 내포된 숨은 의도를 파악하여 타인의 마음을 읽거나 상황을 이해하는 데 관여하여 화용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임종아, 2010).

직유를 포함한 비유적 표현에 대한 연구는 일반아동 및 청소년(김명민, 2001; 변윤 희․최경숙, 2000; 이종열․배기조, 2006; Nippold, 1985; Nippold & Fey, 1983)과, 단순 언어장애아동, 학습장애, ADHD 및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폭넓게 진행되었다 (임종아, 2010; 차윤숙, 2006; 홍윤희, 2001; Highnam, Wegmann & Woods, 1999; Lee

& Kamhi, 1990; Norbury, 2005; Seidenberg & Bernstein, 1986).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아동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유적 표현을 이해하는 능력이 발달하며, 정상 범위의 지적능력을 보이는 단순언어장애, 학습장애 및 ADHD아동들도 비유적 표현의 이해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렇다면 정상범위의 지능지수에 미치지 못 하는 경도 지적장애 학생들이 유사한 언어능력을 보이는 어린 일반아동에 비해서 비유 적 표현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다.

비유적 언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A는 B이다(같다)’는 표현에서 A와 B간의 유사 성을 추론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경도 지적장애아동은 추론능력, 논리력 등의 상위 인지능력이 일반아동보다 더 많이 손상되 었다고 하였다(최차숙, 2009). 또한 지적장애아동은 언어의 많은 영역에서 어려움을 보 이지만 특히 관용어 또는 숙어와 같은 비유 언어의 사용 및 이해에 어려움을 보인다고 하였다(김영태, 2002). 그렇다면 선행연구들이 어떠한 과제를 사용하여 어떤 연구 결과 들이 나타났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경도 지적장애 아동에 대한 비유적 표현의 연구는 다운증후군 아동을 대상으로 한 관용어이해(Ezell & Goldstein, 1991), 직유이해(신후남 등, 2006) 등 소수에 불과하다.

Ezell & Goldstein(1991)은 다운증후군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 일반아동 및 언어연령 일 치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관용어이해능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세 집단이 사전적 의미 의 이해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관용어이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운증후군 아동들이 관용어를 이해할 때 상황이나 문맥적 단서에 더 크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신후남 등(2006)은 수용어휘연령이 5~8세 사이의 지적장애아동이 수용어휘연령이 일치하는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직유이해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아동은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직유이해능 력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수용어휘능력과 직유이해 능력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7)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비유적 표현의 이해: 직유를 중심으로 3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지적장애 아동들은 언어연령이 유사한 어린아동들에 비해서 도 비유적 표현의 이해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비유적 표 현도 그 유형에 따라 아동들의 이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지적 장애 학생들도 비유적 표현의 유형에 따라 수행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비유의 유형은 일반적으로 두 대상의 외형이나 속성 등의 외적 유사성에 기초한 것 과 심리적인 상태나 성격 등의 내적 유사성에 기초한 것으로 분리될 수 있다. 선행연구 들도 이러한 기준을 기본으로 하였다(변윤희․최경숙, 2000; 임종아, 2010; 홍윤희, 2001). 비유 유형에 따른 연구 결과, 일반아동들 뿐 아니라 단순언어장애아동, ADHD아 동들도 내적 비유에 비해 외적 비유 표현에 대한 이해가 더 수월하였다. 그렇다면 경도 지적장애 아동들도 이러한 경향을 보이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그 결과를 이 아동들의 비 유적 표현의 평가와 중재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유형 분류에 기초하여 외형적 비유와 내포적 비유로 유형을 구분하여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비유적 표현의 이해능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또한 오류분석을 통해 경도 지적장애학 생들이 비유적 표현을 이해하는 어려움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일반아동과 오류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연령 7세~7세 5개월의 초등 4학년~중3 경도지적장애 학생들의 비유적 표현의 이해 능력을 언어연령이 유사한 나이 어린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조사하 였다. 이러한 조사를 통해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비유적 표현의 유사성 추론능력과 화 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기초 능력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Ⅱ. 연구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만 10~14세(초4~중3)이면서 언어연령 5세 5개월~8세 5개월(평 균 7세~7세 5개월)의 경도지적장애 학생 12명(남9, 여3)과 이들과 언어연령 및 성별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2명(남9, 여3), 총 24명이었다. 경도 지적장애 대상 학생은 서울과 경기지역 복지관, 사설 언어치료센터,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 선정되었다. 일반아동은 연구자 주변의 아동들 중 지원자와 지역아동센터에서 추천된 아동들이 연구에 참여하였 다. 연구대상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8)

4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26집

1. 경도지적장애 학생

경도 지적장애 학생은 (1) K-WISC Ⅲ(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Ⅲ, 곽금주 외, 2001, 이하 K-WISC Ⅲ) 혹은 K-WPPSI(Korean–Wesch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박혜원 외 1996, 이하 K-WPPSI)의 동작성 검사 및 K-ABC(Korean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로 측정한 지능이 50~70의 경도 지적장애 아동으로 (2) 수용․표현어휘력검사(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김영태 외, 2009) 결과 수용어휘력이 또래의 –1 표준편차 미 만이면서 (3) 자폐나 시각, 청각 등의 정서, 감각 및 신체장애가 없고 (4) 학교 담임교사 및 특수교사로부터 읽기가 가능하다고 추천받은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일반 아동

일반 아동은 (1) K-WISC Ⅲ 혹은 K-WPPSI의 동작성 검사로 측정한 점수가 85이 상이면서 (2) 수용․표현어휘력검사(REVT, 김영태 외, 2009)의 수용어휘력검사 결과 또 래의 –1 표준편차 이상에 속하면서 언어연령 5세 5개월~8세 5개월로 경도지적장애 학 생과 일대일로 일치되는 아동이면서 (3) 시각, 청각, 행동 및 정서 등의 동반장애가 없 는 아동들로 (4) 교사 및 학부모에 의해 읽기문제가 없다고 보고받은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위 기준에 따라 최종 선정된 두 집단의 아동 및 학생의 생활연령의 평균은 경도 지 적장애학생이 12세 8개월, 일반아동은 6세 4개월 이었다. 지능범위는 경도 지적장애 집 단은 52~70(평균 61)이었으며, 일반아동 집단은 99~122(평균 110)이었다. 수용어휘력의 언어연령은 평균 7세~7세 5개월로 경도지적장애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이 동일하였다.

두 집단의 아동 및 학생들 간에 연령, 지능 및 수용어휘력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 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경도 지적장애 학생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에 연령(t(22)=20.657, p<.001)과 지능지수(t(22)=21.888, p<.001)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 으나, 수용어휘력 점수(t(22)=17.156, p=.274)에서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 에서 계획한 대상 선정이 적절하였음을 의미한다. 위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연구대상 아동들의 기초정보인 연령, 지능 및 수용어휘력 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아래 <표 1>과 같다.

(9)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비유적 표현의 이해: 직유를 중심으로 5

<표 1> 연구대상 아동의 기초 정보

집단 생활연령(월령) 동작성 지능지수 수용어휘점수

평균 (SD) 평균 (SD) 평균 (SD)

지적장애 아동(n=12) 152.4 (17.05) 60.92 (6.73) 69.91 (6.30) 일반 아동(n=12) 76.9 (13.14) 109.83 (7.23) 74.16 (11.39)

2. 검사 도구

본 연구의 직유이해 검사는 선행연구들의 검사 문항과 국어교육용 어휘(김광해, 2003) 및 초등학교 저학년 어휘목록(백선혜, 2004)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직접 제작하였 다. 본 검사의 직유문장은 직유의 비교표시어 ‘-같은’이 포함된 ‘A 같은 B’의 형태로 구 성된 3~5어절의 구(phrase)로 구성되었다. 직유의 종류는 선행연구들을 참조하여 외형 적 직유와 내포적 직유로 구분하였다. 외형적 직유는 외적인 모양이나 특성에 근거한 것으로, 내포적 직유는 내적인 정서 상태나 성격을 비유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모든 직유이해 검사 문항은 외형적 직유 12문항 내포적 직유 12문항 총 24문항으로 구성하였 다. 직유이해 검사 각 문항 당 하나의 정답과 두 개의 오답을 포함하여 총 3개의 선택 보기를 제시하였다. 오답 중 한 문항은 직유문장의 보조관념 즉, 비유를 하기 위하여 선 정한 보조관념이 선택보기 문장에 포함된 사전적(literal)해석으로, 다른 하나는 보조관념 과 전혀 관련이 없는 엉뚱한 해석(irrelevant)으로 구성되었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제작된 검사문항의 내용과 유형 분류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 하여 1급 언어치료사 1명과 2급 언어치료사 2인에게 각각의 직유 유형이 타당한지 5점 (1~5) 척도로 점수를 주도록 하였다. 타당도 검사 결과, 3점 미만의 항목은 제외하여 최종 문항의 항목의 타당도는 평균 4.04점 이었다. 이와 함께 아동에게 더 익숙한 어휘 를 선정하라는 수정제안을 받아들여 ‘선녀 같은 민희’가 ‘천사 같은 민희’로 ‘선풍기 같은 부채’가 ‘에어컨 같은 부채’로 어휘가 수정되었다. 또한 초기 문항 중 ‘물감 같은 하늘’,

‘초승달 같은 눈썹’, ‘상자 같은 아파트’는 그 의미가 명확하지 않다는 의견이 있어 문항 에서 제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수정된 최종 직유이해 과제를 초등학교 1~2학년 아동 2명에게 예비실험을 실시한 결과 아동이 과제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었다. 최 종 검사도구의 직유문장과 각 선택보기 문항의 예는 <표 2>와 같다.

(10)

6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26집

<표 2> 직유이해 검사 문항과 선택 보기 문항의 예

직유이해 검사 문항의 예 선택 보기 문항의 예

외형적 직유 하마 같은 민희의 입

1) 민희는 입이 크다 (정답)

2) 민희는 하마 옆에 있다 (사전적 오답) 3) 민희는 아파트에 산다 (엉뚱한 오답)

내포적 직유 얼음 같은 혜수

1) 혜수는 마음이 차갑다 (정답)

2) 혜수는 얼음을 먹고 있다 (사전적 오답) 3) 혜수는 잠을 자고 있다 (엉뚱한 오답)

3. 검사 실시 절차

모든 검사는 아동의 집 또는 소음에 방해 받지 않는 조용한 치료실에서 아동 한명 씩 개별적으로 실시되었다. 검사는 연구자와 아동이 책상을 가운데 두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검사하였다. 본 검사에 들어가기 전 연습문항 2개를 미리 실시하여 아동이 과 제에 익숙해지도록 한 후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지시문을 주었다. “자 지금부터 선생님과 같이 문제를 읽을 거예요. 예를 들면, ‘공 같은 떡’, ‘백과사전 같은 민규’와 같은 문장이야. 이 문장을 읽고 무슨 뜻인지 보기를 잘 보고, 맞는 것으로 생각되는 답에 동그라미를 해 주면 되요. 자 이제 연습문제를 풀어볼 거예요.” 만약 연습문제에서 아동이 오답을 선택 했을 경우에는 다시 한 번 풀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아동의 답이 맞았는지 틀렸는지 알 려주었다. 또한 정답 혹은 오답에 관계없이 직유문장의 뜻을 알려주어 과제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검사자가 모 든 문항을 아동과 함께 읽으며 아동이 검사를 제대로 수행하는지 확인하였다. 빠진 문 항이 있을 때에는 다시 읽도록 하였고, 아동이 답을 스스로 수정하였을 때는 최종적으 로 수정한 답을 인정하였다.

4. 자료 수집 및 처리

직유이해 검사 각 문항에서 아동이 선택한 문항번호가 정반응일 경우 1점, 오반응 일 경우 0점으로 채점하여 외형적 직유 12점, 내포적 직유 12점, 총 24점 만점이 되도록 하였다. 이 점수를 기초로 하여 집단(2) × 직유유형(2)의 이요인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직유유형은 반복측정되었다. 또한 오류분석을 위해 아동들이 선택한 보기문항의

(11)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비유적 표현의 이해: 직유를 중심으로 7

빈도를 측정하여 평균을 비교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결 과

1. 경도 지적장애 학생과 일반아동의 직유이해 능력

경도 지적장애 집단과 언어연령일치 일반아동 집단의 유형에 따른 직유이해 점수에 대한 기술통계의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각 집단별 직유이해에 대한 결과

집단 외형적 직유 내포적 직유 총점

경도지적장애학생 (n=12) 5.83 (2.36) 3.58 (3.02) 9.42 (4.98) 일반아동 (n=12) 9.16 (1.80) 7.58 (2.74) 16.75 (3.95)

위 결과에 따르면,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직유이해 과제 수행 점수가 언어연령일치 일반아동에 비해 저조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인지, 유형에 따른 주효과와 집단과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집단(2)×직유유형(2)의 2요인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 4>와 같다.

<표 4> 집단(2)×직유유형(2)의 2요인 반복측정분산분석 결과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 

집단 간

집단 161.444 1 161.333 15.946 .001

오차 222.583 22 10.117

집단 내

직유유형 44.083 1 44.083 16.555 .001

직유유형×집단 1.333 1 1.333 .501 .487

오차(유형) 58.583 22 2.663

(12)

8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26집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도 지적장애 학생과 일반아동의 직유이해 과제 수행 점수에 있어 집단(  =15.946, <.001), 직유유형(  =16.555, <.001)의 주효과가 발견되었다. 하지만, 직유유형과 집단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 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집단별 직유이해 오류 특성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직유이해에서 나타난 오류유형 특성을 언어연령일치 일반아동 과 비교하기 위하여, 집단별로 사전적(literal) 해석 오류와 엉뚱한(irrelevant) 해석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를 측정하여 평균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그림 1>과 같다.

<그림 1> 집단별 오류빈도

위 결과를 살펴보면 경도 지적장애 학생들은 일반아동과 마찬가지로 엉뚱한 해석 (irrelevant)의 오답 보다는 사전적 해석(literal)의 오답을 많이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경도 지적장애 학습과 수용어휘력으로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 동의 직유이해능력을 외형적 직유와 내포적 직유로 분류하여 집단과 유형 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집단과 비유유형 간에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는지, 그리고 직유이해 오류

(13)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비유적 표현의 이해: 직유를 중심으로 9

양상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경도지적장애아동은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나이어린 일반아동보다 직유 이해 수행에 어려움을 보였다. 이는 신후남 등(2006)의 연구에서 경도 지적장애아동이 수용어휘 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과 비교하였을 때 전체적인 직유이해 능력이 유의미 하게 낮게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지적장애 학생들이 기본적 으로 언어적 지능이 떨어진다는 보고(정희선․신현기, 2006)와 함께 구체적으로는 비유 적 표현의 두 대상인 주제어(topic)와 매개어(vehicle) 사이의 유사한 관계를 추론하는 능력의 부족인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직유와 같은 비유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는 언어 능력 뿐만 아니라 언어에 대한 지식과 언어를 하나의 대상으로 분석하는 상위언어능력 이 요구된다. 또한 비유하는 대상과 비유되는 대상 사이의 사전적 의미자질 뿐만 아니 라 함축된 의미까지도 추론해야 하며, 화자의 의도까지 파악하는 화행자질도 배워가야 한다(하길종, 1998). 그렇다면 경도 지적장애 학생들의 저조한 직유이해 능력은 이러한 상위언어능력의 부족 및 함축적 의미 파악의 어려움 등과도 관련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지적장애 학생들은 기본적인 단어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두 단 어가 갖고 있는 의미 혹은 시각적인 유사성을 바탕으로 하여 다른 개념으로의 인지적 전이가 어렵다는 보고가 있다(신후남, 2006). 예를 들어, ‘거북이 같은 오빠’, ‘우리 오빠 는 거북이다’와 같은 직유와 은유이해 및 표현에 있어서 ‘거북이’와 ‘오빠’의 주제어와 매 개어,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관계를 추론하기 어려워한다는 것이다. 또한 비유법을 이해 하기 위해서는 비유문장이 포함하고 있는 개념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하며 (Reynolds & Ortony, 1980), 주제어와 매개어 사이에 동일하게 유사한 특성을 이해하고 구별해야 한다(Cometa & Eson, 1978). 그러므로 경도 지적장애를 포함한 지적장애아동 들에게는 비유 주체와 대상의 시각적인 유사성과 사물의 고유한 특성의 유사성 찾기,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사용하는 비유표현 찾기와 같은 활동을 통해 폭넓은 비유 표현 의 기회 및 중재활동을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직유유형에 따른 수행력을 살펴보면 경도 지적장애 학생과 일반아동 두 집단 모두 외형적 직유이해 수행력이 내포적 직유이해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여러 선행연구에 서 외형적 직유의 경우 비유주체와 대상의 연결이 쉽게 이루어지므로 의미전달이 빠르 고 추론이 쉽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것은 시각적인 유사성과 연관이 있는 직유유형을 감정, 상태, 성격적인 특성의 유사성과 연관이 있는 직유유형보다 쉽게 이해한다는 것을 뜻하며, 외형적 비유가 내포적 비유보다 상대적으로 더 빨리 발달한다고 할 수 있다. 따

(14)

10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26집

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경도 지적장애 학생들도 일반아동과 마찬가지로 외형적 직 유 유형의 표현을 이해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수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 아동들의 비유적 표현의 중재에 외형적 비유 유형을 먼저 고려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 사한다.

각 집단 별 오답의 경향을 살펴보면 경도 지적장애 학생과 일반아동 모두 엉뚱한 해석의 오답보다는 사전적 해석의 오답을 더 많이 선택하였다. 이는 경도 지적장애 학 생들도 비유적 표현을 의미적으로 이상한 표현으로 여기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이들의 비유적 표현의 중재에 사전적인 의미를 바탕으로 두 대상 간의 유사성 및 화자가 의도하는 바를 추론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경도 지적장애 학생들이 언어연령이 유사한 나이어린 아동들에 비해 ‘A 같은 B’ 형태의 비유적 표현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지만, 일반아동과 마찬가 지로 외형적 비유를 이해하는 것이 더 수월하며 비유적 의미를 엉뚱한 의미보다는 사전 적 의미로 해석하는 오류를 더 많이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비유적 표현의 평가와 중재에 기초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2001).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Ⅲ).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김광해 (2003).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 서울: 박이정.

김명민 (2001). 은유이해력의 발달경향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교육 대학원, 경기.

김영태 (2002). 아동 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서울: 학지사.

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장혜성․이주연 (2009). 수용 표현어휘력 검사. 서울: 서울장애 인복지관.

박혜원, 곽금주, 박광배 (1996).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도서출판 특수교육.

백선혜 (2004).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교육용 어휘 선정 연구–의미 영역을 중심으로- .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충북.

변윤희, 최경숙 (2000). 문맥적 단서와 은유의 종류에 따른 아동의 은유 이해의 발달. 인

(15)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비유적 표현의 이해: 직유를 중심으로 11

간발달연구, 7(1), 49-64.

신후남, 박희정, 권도하 (2006). 정신지체아동의 직유이해에 관한 연구. 말소리, 60. 85-96.

이영주 (2005). 직유의 효과에 관한 새로운 이해. 수사학(3), 256-290.

이종렬, 배기조 (2006). 은유 이해 능력의 습득과 발달 양상. 담화와 인지, 13(3), 147-166.

임종아 (2010).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 아동(ADHD)의 비유의미 인식. 언어청각장애 연구, 15(3). 307-320.

정지아 (2012). 경도지적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직유이해능력 비교. 미간행 석사학위논 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경기.

정희선, 신현기 (2006). 다중지능이론의 관점에서 본 정신지체아동의 지적 특성. 특수교 육저널: 이론과 실천. 7(3), 231-248.

차윤숙 (2006). 단서제시조건에 따른 학령기 언어발달지체아동의 은유이해능력 비교. 미 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기.

최차숙 (2009). 경도 정신지체아동의 상위언어능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서울.

하길종 (1998). 비교와 비유의 의미–비교와 직유를 중심으로. 한국어학, 7. 321-343.

홍윤희 (2001). 단순 언어 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은유이해능력 비교: 지각적 은유와 심 리적 은유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Cometa, M. S. & Eson, M. E. (1978). Logical operation and metaphor interpretation.

A Piagetian model. Child Development, 49, 649-659.

Ezell, H., & Goldstein, H. (1991). Comparison of idiom comprehension of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4, 812-819.

Highnam, G., Wegmann, J., & Woods, J. (1999). Visual and verbal metaphors among children with typical language and language disorder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2, 25-35.

Lee, R. F., & Kamhi, A. G. (1990). Metaphoric competence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3(8), 476-482.

Nippold, M. A. (1985). Comprehension of figurative language in youth. Topics in Language Disorders, 5, 1-20.

Nippold, M. A., & Fey, S. H. (1983). Metaphoric understanding in preadolescents having a history of language acquisition difficulties. Language, Speech, and

(16)

12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26집

Hearing Services in Schools, 14, 171-180.

Norbury, C. F.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of mind and metaphor: evidence from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and autistic spectrum disorder.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3, 383-399.

Reynolds, R, E. & Ortony, A. (1980). Some issues in the measurement of children’s comprehension of metaphoric language. Child development. 61, 1110-1119.

Seidenberg, P. L. & Bernstein, D. K. (1984). The Comprehension of Similes and metaphors by learning–disabled and non learning–disabled children.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17, 207-228.

(17)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비유적 표현의 이해: 직유를 중심으로 13

Abstract

Comprehension of Simile in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Jeong, Ji-A ․ Lim, Jong A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wit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related to simile comprehension skill. Simile could be classified with two types including extensive simile and intensive simile. The experimental task consisted of 24 simile phrase: 12 extensive and 12 intensive phrase. Twelve students in 10 to 14 years old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language matched twelve students in 4 to 7 years ol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imile comprehension task, the participants listened to a list of simile phrase, for each phrase, were given three choices of sentences which included a figurative meaning, a literally relevant meaning, and an irrelevant meaning.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hoose a sentence the most appropriate figurative meaning. A repeated ANOVA of group(2) x type(2) revealed significant main effects of group and type, but had no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ype. The total number of correct responses was significantly fewer in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relative to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regarding word and world knowledge, analogical inference and metalinguistic skills.

Key words:students with mind intellectual disability, simile, figurative language

(18)
(19)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26집

━━━━━━━━━━━━━━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2012, Vol.26, 15~37

발달지체영유아 부모의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조사

– 장애전담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김 순 의 (세움어린이집)

이 병 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과)

< 요 약 >

이 연구는 장애전담어린이집에 다니는 발달지체영유아 부모의 형제지원 프로그램의 참 여 경험과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실질적이고 성공적인 형제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장애전담어린이집 부모 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해 본 경험보 다 참여하지 못한 경험이 4배 이상 많았다. 둘째, 비장애 형제에게 참여시키고 싶어 하는 프로그램의 유형은 치료교육 프로그램, 발달지체영유아가 함께하는 캠프, 가족나들이, 집단 상담 프로그램과 비장애 형제 정기모임이며, 프로그램에 참여를 하고 도움 받고 싶은 것은 발달지체영유아 형제를 도울 수 있는 방법배우기, 발달지체영유아에 대한 고민 해결, 사이 좋게 지내기, 발달지체영유아 형제가 있는 다른 또래와의 만남의 순서였다. 셋째, 프로그램 내용으로는 ‘발달지체영유아 성장과 발달에 대해’, ‘발달지체영유아에 대한 이해 및 상호작 용기술’, ‘발달지체영유아 형제에 대한 상담 및 자문’, ‘형제에 대한 모임이나 웹 정보’, ‘형제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요구를 알아본 결과 높은 요구 수준을 보였다. 넷째, 배 경요인 중 교육기관에 따라 비장애 형제에 대한 상담 및 자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장애 형제에 대한 모임이나 웹정보,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형제지원의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의 내용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발달지체영유 아 형제에게 형제지원 프로그램 제공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발달지체영유아, 형제지원 프로그램, 장애전담어린이집

(20)

16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26집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는 세상에 태어나면서부터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보호를 받으며 가족의 구 성원으로 부모와 자녀, 형제와 자매, 가까운 친척에서 나아가 사회 구성원의 관계로 살 아간다. 아동은 부모의 양육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고(이미숙 외, 2011), 형제끼리도 유 아기와 아동기를 거쳐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서로에게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게 되 며 사회를 유지, 발전시키는 구성원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노선옥 외, 2011).

그러나 가정에 장애를 지닌 자녀나 형제가 있을 경우, 가족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서 상당한 어려움을 갖는다(안일홍, 1999).

발달지체영유아 가족에게는 다양한 변화가 요구되고, 가족 구성원의 전반적인 삶에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된다. 부모들은 단순한 발달지체영유아 자녀의 출현 으로 받는 스트레스보다 자녀의 양육과 관련된 일로 인해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있다(박미숙, 2007). 형제들 또한 자신의 나이, 출생순위, 성별 등의 요인에 따라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한다(전혜인, 2008; 이미숙 외, 2011). 그 이유는 가족의 생활이 발달지체 영유아를 중심으로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비장애 형제보다 발달지체영유아에게 집중함 으로써 부모의 관심조차 받지 못해, 소외감과 분노를 느끼거나, 비장애 형제들은 부모의 높은 기대와 요구로 인한 스트레스를 경험하여, 결과적으로 정서적인 문제를 일으킬 가 능성도 존재하기 때문이다(최민숙, 2002; 함석흥 외, 2006; 이미숙 외, 2011).

따라서 발달지체 아동의 가족이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이옥등 외, 2010), 가족 구성원의 각각의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가족 전체의 삶의 질이 향상되도 록 도와줄 수 있는 가족지원이 필요하다. 가족지원은 2007년에 제정된 장애인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8조 1항에도 ‘특수교육대상자와 그 가족에 대하여 가족 상담 및 가족지 원을 제공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었다. 특수교육대상자에 제시하고 있는 가족지원 조항 은 가족의 관심과 요구까지 고려한 것으로 특수교육 대상자에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 는 가족 구성원에 대한 역할을 고려한 가족-중심 접근을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다(송영준 외, 2007).

발달지체영유아 가족지원이 국내에서 증가되고 있는 추세지만(신현옥 외, 2008), 부 모 중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이나 발달지체영유아를 위한 프로그램에 편중되고 있다. 형제지원에 대한 부분은 상대적으로 적은 부분을 차지할 뿐 아니라, 프로그램의

(21)

발달지체영유아 부모의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조사 – 장애전담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17

형태도 캠프나 가족행사 등 단기적인 특별활동 프로그램에 치중되어 있는 편이다. 부모 들은 형제들의 정서적, 심리적 지원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적절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신현옥 외, 2008).

신현옥 외(2008) 연구는 설문지와 면담을 통해, 장애아동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가족의 요구 및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연구에서는 형제지원 프로그램의 인식의 개선이 필요하며, 생애주기별로 가족들의 필요와 요구가 변화되므로 연령에 따라 지원프로그램 실행에 있어서 강조점이 다르므로 생애주기에 근거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다 양한 사회적 지원의 유형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 하였다. 강성리, 이병 인(2011), 양숙미(2003)의 연구는 형제지원 프로그램의 문헌고찰로, 형제지원 프로그램은 가족구성원이 참여를 하며, 부모뿐 아니라 학교, 지역사회의 다양한 협력과 함께 비장애 형들의 개별적인 요구와 특성, 상황에 따라 ‘수혜자’ 중심으로 일회적인 서비스가 아닌 지속적이고 생애주기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을 하였다. 따라서 선행연구에 따른 비장애 형제의 배경요인(성별, 출생순위, 교육기관)에 따른 요구 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 윤명희(2008), 이옥등 외(2010), 신현옥 외(2008, 2009)의 연구는 가족지원 연구에 서는 장애유아 형제지원 프로그램 실시현황 및 가족의 요구 조사를 통해 부모가 형제프 로그램의 인식개선 운동이 필요하며, 장애아동 형제 지원프로그램이 개발 되어야 한다 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유아교육기관이나, 복지관, 치료서비스기관, 기타 지 역 센터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장애아동 보육시설인 장애전담어린이집의 발달지 체영유아 부모만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는 윤명희(2008), 이옥등(2010)의 가족지원 요 구조사이다. 이 연구도 ‘형제지원 프로그램’의 부분적인 항목만으로 요구조사 되어, 형제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보육통계를 보면 장애아 보육 전담시설은 2002년 69개소에 2,625명이 재원 하였으 나 2011년에는 166개소, 6,632명으로 약 3배가 증가하였다(보육통계, 2002, 2011; 김현숙, 2012 재인용). 이는 발달지체영유아 아동들이 교육기관이 아닌 보육기관에 취원을 더 많 이 하고 있어, 이에 대한 발달지체영유아 부모의 가족지원의 요구를 알아보는 것도 매 우 필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경기지역과 충주지역의 장애전담어린이집 부모를 대상으로 형제지원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의 내용의 요구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형제지원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과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실질적이 고 성공적인 형제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22)

18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26집

변인 내 용 빈도(N) 백분율(%)

관계

부 9 9.9

모 81 89.0

기타(고모) 1 1.1

연령

20세 이하 1 1.1

21세 ~ 30세 5 5.5

31세 ~ 40세 60 65.9

41세 ~ 50세 24 26.4

50세 이상 1 1.1

2. 연구 문제

이 연구는 발달지체영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비장애 형제의 형제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요구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3.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부모의 요구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4. 비장애 형제의 일반적인 변인(성별, 출생순위, 교육기관)에 따른 형제 지원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부모의 요구는 어떠한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대상은 경기지역의 장애전담어린이집 7곳과 충북 청주의 장애전담어린이집 1곳에 다니는 발달지체영유아의 보호자 중 비장애 형제가 있는 보호자를 대상으로, 이 연구에 참여한 발달지체영유아 부모는 총 91명으로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인 배경은 <표 1>과 같고, 발달지체영유아의 비장애 형제에 대한 일반적인 배경은 <표 2>와 같다.

<표 1> 발달지체영유아 부모의 일반적인 배경 (N=91)

(23)

발달지체영유아 부모의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조사 – 장애전담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19

변인 내 용 빈도(N) 백분율(%)

최종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3 3.3

고등학교 졸업 47 51.6

대학 졸업 37 40.7

대학원 졸업 4 4.4

직업

공무원 2 2.2

전문직 2 2.2

회사원 10 11.0

사업 2 2.2

주부 67 73.6

기타(일용직, 서비스업 등) 8 8.8

자녀수 (장애 영유아 포함)

2명 63 69.2

3명 23 25.3

4명 2 2.2

5명 3 3.3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구대상자인 발달지체영유아와 보호자의 관계는 아버 지가 9(9.9%)명, 어머니가 81(89.0%)명, 고모가 1(1.1%)명으로 나타났고, 보호자의 연령 은 31세부터 40세까지가 60(65.9%)명, 41세부터 50세까지가 24(26.4%)명, 51세 이상이 1(1.1%)명으로 나타났다. 보호자의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47(51.6%)명, 대학교 졸 업이 37(40.7%)명으로 나타났다. 발달지체영유아 보호자의 직업은 과반 수 이상이 주부 인 것으로 나타나며, 자녀수는 2명이 63(69.2%)명으로 가장 많았고 나타났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달지체영유아의 비장애 형제에 대한 배경 변인에서 비장애 형제의 성별은 남자 68(55.3%)명, 여자 55(44.7%)명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10세 미만이 54(43.9%)명, 10세 이상부터 15세 미만이 26 (21.1%)명, 5세 이상부터 10세 미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 순위에 따라 손 위 형제만 있는 경우는 59(64.8%)명, 손아래 형제만 있는 경우는 21(23.1%)명, 손위 손 아래 형제가 다 있는 경우는 11(12.1%)명으로 손위 형제만 있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 로 나타났다. 비장애 형제들의 교육기관으로는 형제가 둘 이상인 경우에 재학 중인 교 육기관이 두 곳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발달지체영유아의 형제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 인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는 형제와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경우가 각각 30 (33.0%)명으로 가장 많았다. 형제들의 배경요인은 <표 2>와 같다.

(24)

20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26집

<표 2> 발달지체영유아의 비장애 형제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변인 내 용 빈도(N) 백분율(%)

비장애 자녀 성별 남 68 55.3

여 55 44.7

연령

0세부터 5세 미만 36 29.3

5세 이상부터 10세 미만 54 43.9

10세 이상부터 15세 미만 26 21.1

15세 이상 7 5.7

합 123 100

서열관계

손위 형제만 있는 경우 59 64.8

손아래 형제만 있는 경우 21 23.1

손위손아래 형제가 다 있는 경우 11 12.1

교육기관

미취학 11 12.1

어린이집, 유치원 30 33.0

초등학교 30 33.0

중학교 2 2.2

고등학교 1 1.1

대학교 1 1.1

미취학 + 초등학교 2 2.2

미취학 + 초등학교 + 중학교 1 1.1

어린이집, 유치원 + 초등학교 8 8.8

초등학교 + 중학교 4 4.4

중학교 + 고등학교 1 1.1

합 91 100

2. 측정 도구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가족지원 프로그램 중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 를 조사하여 기본 문항과 초안을 구성하였다. 우리나라의 선행연구인 신현옥 외(2008)의

‘장애유아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실시현황 및 가족의 요구’와 유혜경(2002) 단국대학교

(25)

발달지체영유아 부모의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조사 – 장애전담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21

석사학위 논문 ‘장애아동의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주제 인 “발달지체영유아 부모의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조사”에 적절하도록 수정․보완하여 기초 항목을 작성하였다. 또한 신현옥 외(2008)의 ‘장애유아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실시현황 및 가족의 요구’와 천윤선(2008)의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인 ‘발 달지체영유아 부모의 가족지원프로그램에 관한 인식 및 요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설 문지를 수정․보완하여 항목을 작성하였다. 이를 지도교수님과 박사과정 1인, 보육시설 시설장 3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 받았으며, 부적절한 질문이나 용어, 중복된 문항 등 은 삭제를 하였다. 문항 간 내적 신뢰도 계수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전체 문항에 대해 산출 된 Cronbach ∂계수는 .909로 높게 나타났다.

설문지 구성은 <표 3>과 같다.

<표 3> 설문지 구성 내용

영역 내 용 문항 수

배경 변인

부모 자녀와의 관계, 연령, 교육정도, 직업, 자녀 수 5

형제 성별, 연령, 출생순위, 교육기관, 프로그램 참여 유무, 참여

경로, 참여 프로그램의 종류, 참여 못한 이유 7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희망하는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에 갖는 기대 2

형제지원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

발달지체영유아 성장과 발달

발달지체영유아에 대한 이해 및 상호작용 기술 상담 및 자문

모임이나 웹정보 지역사회 서비스

5 5 6 6 4

3. 연구절차

1) 예비조사

본 조사에 앞서서 내적타당도 검증을 끝낸 예비설문지를 가지고 연구 도구의 문제 점과 소요시간, 문항 간 신뢰도 등을 파악하기 위해 장애전담어린이집에 다니는 발달지 체영유아와 비장애 자녀를 둔 부모님 12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 조 사를 통해 수정해야 할 문항 내용을 보완하였고, 문항 간 내적 신뢰도를 산출하였으며,

(26)

22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26집

전체 문항에 대해 산출 된 Cronbach ∂계수는 .909로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본 설문지 의 문항을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2) 본 조사

예비조사 과정을 거쳐 확정된 설문지는 2012년 04월 23일부터 5월 11일까지 20일간 배부 된 130부의 설문지 중에서 총 110부(84.6%)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 자, 중복응답 문항이 아닌데 중복으로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91부(70%)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4. 자료 분석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부모와 형제의 일반적인 배경 요인과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빈도분석을 통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 으며, 형제의 배경요인에 따라(성별, 출생순위, 교육기관) 형제지원 프로그램 내용에 대 한 부모의 요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다변량분석(MANOVA)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

1)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 참여 유무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 참여 유무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다.

<표 4>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 참여 유무 (N=91)

내 용 빈도 백분율(%)

참여한 적이 있다. 16 17.6

참여한 적이 없다. 75 82.4

전체 91 100

(27)

발달지체영유아 부모의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조사 – 장애전담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23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의 참여 유무에서는 참여한 적이 있는 경우는 16(17.6%) 명으로 나타났고, 참여한 적이 없는 경우는 75(82.4%)명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비장 애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해 본 적이 없는 비장애 형제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2)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로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로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5>와 같다.

<표 5>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로 (N=16)

내 용 빈도 백분율(%)

장애자녀가 이용하는 보육기관의 권유 6 37.5

장애자녀가 다니는 치료기관의 권유 6 37.5

종교기관의 권유 1 6.3

다른 장애아 부모의 소개 1 6.3

스스로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2 12.5

전체 16 100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경로를 알아본 결과 장애자녀가 이용하는 보육기관의 권유와 장애자녀가 다니는 치료기관의 권유가 각각 6(37.5%)명으로 가장 높 게 나타났다.

3) 비장애 형제프로그램의 종류

비장애 자녀가 참여했던 프로그램의 종류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6>과 같다.

<표 6> 비장애 형제프로그램의 종류 (N=16)

내 용 빈도 백분율(%)

비장애 형제 또래 캠프 3 18.8

치료교육 프로그램(놀이, 음악, 미술치료 등) 7 43.8

비장애 형제 집단 상담 프로그램 1 6.3

가족 나들이 4 25.0

비장애 형제 정기모임(자조모임) 1 6.3

전체 16 100.0

(28)

24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26집

내 용 빈도 백분율(%)

발달지체영유아 형제가 함께하는 캠프 26 23.2

비장애 형제 또래 캠프 15 13.4

비장애 자녀가 참여했던 비장애 형제프로그램의 중류 중에는 치료교육 프로그램(놀 이, 음악, 미술치료 등)이 7(43.8%)명으로 가장 많이 참여했던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4) 비장애 형제프로그램에 참여 못한 이유

비장애 형제프로그램에 참여 못한 이유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7>과 같다.

<표 7> 비장애 형제프로그램에 참여 못한 이유 (N=82)

내 용 빈도 백분율(%)

그런 프로그램이 있는 줄 몰라서 36 43.9

자녀의 나이가 너무 어려서 17 20.7

자녀가 시간이 없어서 4 4.9

교통이 불편해서 4 4.9

자녀의 시간대를 맞추기 어려워서 14 17.1

프로그램 내용이 부실해서 2 2.4

기타 5 6.1

전체 82 100.0

※ 중복응답문항

비장애 형제프로그램에 참여하지 못한 경우는 ‘그런 프로그램이 있는 줄 몰라서’가 36(43.9%)명으로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고, 기타로는 ‘1박 2일 참여가 힘들어서’, ‘적절 한 프로그램이 없어서’의 의견 등이 있었다.

2.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양육자)의 요구

1) 비장애 형제에게 참여시키고 싶은 프로그램

비장애 형제에게 참여시키고 싶은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는 다음 <표 8>과 같다.

<표 8> 비장애 형제에게 참여시키고 싶은 프로그램 (N=112)

(29)

발달지체영유아 부모의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조사 – 장애전담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25

내 용 빈도 백분율(%)

치료교육 프로그램(놀이, 음악, 미술 치료 등) 36 32.1

비장애 형제의 집단상담 프로그램 16 14.3

가족 나들이 13 11.6

비장애 형제 정기모임(자조모임) 3 2.7

기타 3 2.7

전체 112 100.0

※ 중복응답문항

비장애 형제에게 참여시키고 싶은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치료교육 프로그램(놀이, 음악, 미술 치료 등)이 36(32.1%)명으로 보호자들이 가장 많이 요구하는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2)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얻고 싶은 것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얻고 싶은 것에 대한 보호자의 요구는 다음 <표 9>와 같다.

<표 9>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얻고 싶은 것 (N=109)

내 용 빈도 백분율(%)

발달지체영유아 형제와 사이좋게 지내기 25 22.9

발달지체영유아 형제가 있는 다른 또래 만남 24 22.0

발달지체영유아 형제에 대해 고민을 해결 26 23.9

발달지체영유아 형제를 도울 수 있는 방법 배우기 31 28.4

기타 3 2.8

전체 109 100.0

※ 중복응답문항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얻고 싶은 것으로는 발달지체영유아 형제를 도울 수 있는 방법 배우기가 31(28.4%)명으로 가장 많았다.

(30)

26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26집

3.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부모(양육자)의 요구

1) 발달지체영유아 성장과 발달에 관한 내용

발달지체영유아 성장과 발달에 관한 내용에 대한 요구는 다음 <표 10>과 같다.

<표 10> 발달지체영유아 성장과 발달에 관한 내용 (N=91)

내 용 평균(M) 표준편차(SD)

비장애 자녀에게 발달지체영유아에 대해 알려주고 싶다. 4.30 .753

비장애 자녀가 발달지체영유아에 대해 느끼는 감정을 알고 싶다. 4.33 .731 비장애 자녀에게 발달지체영유아가 전문가들에게 어떠한 도움을

받는지 알려주고 싶다. 4.22 .727

비장애 자녀에게 발달지체영유아의 교육기관에 대해 알려주고 싶다. 4.01 .837 비장애 자녀에게 발달지체영유아의 미래에 함께 살 것에 대해

알려주고 싶다. 4.04 .942

발달지체영유아 성장과 발달에 관한 내용에 대한 요구는 ‘비장애 자녀가 발달지체 영유아에 대해 느끼는 감정을 알고 싶다.’는 평균 4.3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발달지 체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대한 부모들의 요구는 전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발달지체영유아에 대한 이해 및 상호작용 기술

발달지체영유아에 대한 이해 및 상호작용 기술에 대한 요구는 다음 <표 11>과 같다.

<표 11> 발달지체영유아에 대한 이해 및 상호작용 기술 (N=91)

내 용 평균(M) 표준편차(SD)

발달지체영유아를 비장애 자녀가 친구나 주변사람에게 설명하는

방법을 습득했으면 한다. 4.23 .776

가정에서 비장애 자녀가 발달지체영유아와 함께 놀고 이야기 하

는 방법에 대해 도움을 받았으면 한다. 4.23 .844

비장애 자녀가 발달지체영유아와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도움을

받았으면 한다. 4.09 .852

비장애 자녀가 발달지체영유아 문제행동에 대해 지원하는 방법

을 도움을 받았으면 한다. 4.14 .768

비장애 자녀가 발달지체영유아 교사의 역할을 훈련함으로 더 많

은 교육의 기회에 참여 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았으면 한다. 4.01 .960

(31)

발달지체영유아 부모의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조사 – 장애전담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27

발달지체영유아에 대한 이해 및 상호작용 기술에 대해서는 ‘발달지체영유아를 비장 애 자녀가 친구나 주변사람에게 설명하는 방법을 습득했으면 한다.’와 ‘가정에서 비장애 자녀가 발달지체영유아와 함께 놀고 이야기 하는 방법에 대해 도움을 받았으면 한다.’가 각각 평균 4.23으로 높게 나타났다.

3) 비장애 형제에 대한 상담 및 자문

비장애 형제에 대한 상담 및 자문에 대한 요구는 다음 <표 12>와 같다.

<표 12> 비장애 형제에 대한 상담 및 자문 (N=91)

내 용 평균(M) 표준편차(SD)

비장애 자녀가 상담을 전문가에게 제공 받았으면 한다. 4.10 .887

필요할 때 마다 상담이 이루어졌으면 한다. 4.11 .888

편안하고 수용적인 분위기에서 상담을 받았으면 한다. 4.22 .804 비장애 자녀가 가족과 이야기(놀이) 시간을 어떻게 가져야

할지 상담(자문) 받았으면 한다. 4.05 .959

비장애 자녀에게도 심리적, 정서적인 어려움이 있는지 상담

(자문)받았으면 한다. 4.30 .756

비장애 자녀가 심리적, 정서적인 어려움에 대한 상담을 받고,

추후 서비스도 제공 받았으면 한다. 4.29 .793

비장애 형제를 위한 상담 및 자문에 대한 보호자들의 요구에 대한 결과는 ‘비장애 자녀에게도 심리적, 정서적인 어려움이 있는지 상담(자문)받았으면 한다.’는 평균 4.30으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비장애 자녀가 심리적, 정서적인 어려움에 대한 상담을 받고, 추후 서비스도 제공 받았으면 한다.’는 평균 4.29, ‘편안하고 수용적인 분위기에서 상담 을 받았으면 한다.’는 평균 4.22, ‘필요할 때 마다 상담이 이루어졌으면 한다.’는 평균 4.11, ‘비장애 자녀가 상담을 전문가에게 제공 받았으면 한다.’가 평균 4.10, ‘비장애 자녀 가 가족과 이야기(놀이) 시간을 어떻게 가져야 할지 상담(자문) 받았으면 한다.’는 평균 4.05로 나타났다.

4) 비장애 형제에 대한 모임이나 웹정보 이용

비장애 형제에 대한 모임이나 웹정보 이용에 대한 요구는 다음 <표 13>과 같다.

(32)

28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26집

<표 13> 비장애 형제에 대한 모임이나 웹정보 이용 (N=91)

내 용 평균(M) 표준편차(SD)

비장애 자녀 형제프로그램을 대상과 연령에 따라 정기적으로 실

시했으면 한다. 4.13 .748

비장애 자녀가 친밀하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모임에 참여를 했으

면 한다. 4.19 .759

모임의 내용은 비장애자녀의 요구를 반영해야 했으면 한다. 4.10 .790 부모나 비장애 자녀의 또래 간 의견교환의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4.18 .754 비장애 자녀를 위한 교육이나 서비스기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야 했으면 한다. 4.19 .744

인터넷 모임을 통해 비장애 자녀에게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여

심리적인 스트레스나 가족의 문제를 해결 했으면 한다. 4.03 .752

‘비장애 자녀가 친밀하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모임에 참여를 했으면 한다.’가 각각 평균 4.19로 모임이나 웹정보에 대한 요구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서비스에 대한 부모들의 요구는 전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5) 비장애 형제 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비장애 형제 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다음 <표 14>와 같다.

<표 14> 비장애 형제 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N=91)

내 용 평균(M) 표준편차(SD)

지역사회에서 비장애 자녀를 도와줄 수 있는 곳이 어디인지 알

려 주었으면 한다. 4.31 .784

비장애 자녀가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부모에게 제공했으면 한다. 4.42 .684

형제지원 프로그램을 참여를 위해 발달지체영유아를 일시적으

로 위탁해 줄 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으면 한다. 4.22 .929 형제지원 프로그램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참가비나, 교통비 등

경제적인 지원이 가능한 정보를 제공했으면 한다. 4.43 .685

(33)

발달지체영유아 부모의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조사 – 장애전담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29

비장애 형제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요구를 알아본 결과,

‘형제프로그램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참가비나, 교통비 등 경제적인 지원이 가능한 정보 를 제공했으면 한다.’가 평균 4.4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장애 자녀가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부모에게 제공했으면 한다.’는 평균 4.42, ‘지역사 회에서 비장애 자녀를 도와줄 수 있는 곳이 어디인지 알려 주었으면 한다.’는 평균 4.31,

‘형제지원 프로그램을 참여를 위해 발달지체영유아를 일시적으로 위탁해 줄 시설에 대 한 정보를 제공했으면 한다.’는 평균 4.22로 나타났다.

4. 비장애 형제의 배경 변인에 따른 형제 지원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 차이

1) 비장애 형제의 성별에 따른 비장애 형제 지원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 차이 비장애 형제의 성별에 따른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 차이는 다 음 <표 15>와 같다.

<표 15> 비장애 형제의 성별에 따른 비장애 형제 지원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 차이 (N=91)

내 용 F

발달지체영유아 성장과 발달에 관한 내용 .892

발달지체영유아에 대한 이해 및 상호작용 기술 1.566

비장애 형제에 대한 상담 및 자문 1.544

비장애 형제에 대한 모임이나 웹정보 이용 1.768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3.065

*p<.05, **p<.01, ***p<.001

비장애 형제의 성별에 따른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모든 내용에 대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출생 순위에 따른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요구 차이 출생 순위에 따른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의 차이는 다음 <표 16>과 같다.

(34)

30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26집

<표 16> 출생 순위에 따른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 차이 (N=91)

내 용 F

발달지체영유아 성장과 발달에 관한 내용 .972

발달지체영유아에 대한 이해 및 상호작용 기술 1.557

비장애 형제에 대한 상담 및 자문 1.667

비장애 형제에 대한 모임이나 웹정보 이용 2.431

비장애 형제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1.573

*p<.05, **p<.01, ***p<.001

출생 순위에 따른 비장애 형제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출생 순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비장애 형제의 교육기관에 따른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 차이

비장애 형제의 교육기관에 따른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 차이 는 다음 <표 17>과 같다.

<표 17> 교육기관에 따른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 차이 (N=91)

내 용 F

발달지체영유아 성장과 발달에 관한 내용 1.431

발달지체영유아에 대한 이해 및 상호작용 기술 1.649

비장애 형제에 대한 상담 및 자문 3.338***

비장애 형제에 대한 모임이나 웹정보 이용 2.415**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2.025*

*p<.05, **p<.01, ***p<.001

비장애 형제의 교육기관에 따른 비장애 형제지원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의 차 이를 알아본 결과 발달지체영유아 성장과 발달에 관한 내용의 F값은 1.431, 발달지체영 유아에 대한 이해 및 상호작용 기술에 대한 F값은 1.649으로 비장애 형제의 교육기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장애 형제에 대한 상담 및 자문의 F 값은 3.338***로 .001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장애 형

참조

관련 문서

원칙적으로 건설산업기본법이 규정하는 건설공사를 대상 으로 하고, 직영 또는 도급에 의하여 건설공사를 시행하는 사업과 건설사업의 형태를 갖춘 사업으로서

이 경우 신청을 받은 도지사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그 도시·군계획시설 결정의 해제를 위한 도시·군관리계획을 결정... 제2호에 따라 대지

[r]

한부모 가족에게 든든한 버팀목이 되겠습니다.. 피부색이 달라도

[r]

회신내용 국가기관이 체결한 공사계약에 있어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64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74조의 규정에 의하여 계약을

또한, 당사는 과거사건은 발생하였으나 불확실한 미래사건의 발 생여부에 의해서 존재여부가 확인되는 잠재적인 의무가 있는 경우 또는 과거사건이나 거래 의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