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Reviewing Research of Korean Medical Treatment of Wrist Ganglio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Reviewing Research of Korean Medical Treatment of Wrist Ganglion"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완관절 결절종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연구 경향 분석

원제훈⋅김영준⋅안희덕⋅우창훈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Reviewing Research of Korean Medical Treatment of Wrist Ganglion

Je-Hoon Won, K.M.D., Young-Jun Kim, K.M.D., Hee-Duk Ahn, K.M.D., Chang-Hoon Woo, K.M.D.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RECEIVED September 16, 2014 REVISED October 13, 2014 ACCEPTED October 15, 2014

CORRESPONDING TO

Chang-Hoon Woo, Depart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Pohang Oriental Medical, 907-8, Daejam-dong, Nam-gu, Pohang 790-826, Korea

TEL (054) 281-7901 FAX (054) 281-7463

E-mail jungwsungw@hanmail.net

Copyright © 2014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the Korean medi- cal treatment of wrist ganglion and to develop the way of treatment.

Methods We searched the papers with a key word of 'wrist ganglion' in Korean data- base (NDSL, KISS,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and Pubmed.

Results Total 5 studies were found. Major treatment method was the acupuncture in- cluding electroacupuncture, pharmacopuncture and acupotomy. Minor treatments were moxibustion, wet cupping, herbal medicine and percutaneous aspiration.

Conclusions Various treatment methods were used for curing wrist ganglion and they were effective. To map out the systemic treatment of Korean medicine on wrist ganglion, more clinical reports are needed. (J Korean Med Rehab 2014;24(4):111-116)

Key words Wrist ganglion, Korean medical treatment, Acupuncture

서론»»»

결절종은 손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양성 종양으로 관 절의 활막이나 건막 등에 생기며,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외상이나 관절염으로 관절액, 건막의 활액 등이 새어나와 고여서 종괴를 형성하거나 연부 조직의 유 점액 변성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 결절종의 증 상은 물렁한 느낌의 종괴가 만져지는 것 외에는 없는 것 이 보통이지만 종괴가 수지부의 신경이나 혈관을 압박할 경우에는 신경과 혈관의 해당 분포 부위에 통증이나 감각 둔마, 근력 약화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종괴 주변으로 뻐근한 느낌을 느끼거나 손목 및 손가락 운동을 할 때 불 쾌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2). 완관절 결절종은 종종 자연

적으로 소실되기도 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약물치료, 흡입술, 마취하의 국소절제술 등의 치료를 사용하고 있다1). 흡입술, 국소절제술 등 양방적인 치료로 결절종의 완치가 가능하다는 견해가 있지만 부작용이나 높은 재발 가능성3) 등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어 대안적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한편, 한의학적으로 결절종은 痰核이나 痰核壞의 범주 에 속한다4)고 볼 수 있으며, 濕痰이 오래 정체되어 血脈 이 흐르지 못하고 痰에 瘀血이 挾하여 낭종이 형성된다5). 결절종의 한방치료는 중국의 침구치료로서 양자법6), 화침법7), 칠성침법8), 침구법9), 삼릉침가구법10) 등이 효과 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열거된 치료법들은 비교적 오래 되었으며 최신의 한방 치료 방법이나 치험 사례를 체계적

(2)

으로 연구한 것은 미비한 편이다.

이에 저자는 완관절 결절종에 대한 한방치료 방법 및 최신 치료 동향을 연구하고자 국내외 논문을 고찰하던 중 약간의 지견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1. 논문 선정 기준

논문 선정 기준은 2000년 이후 발표된 국내 및 국외 논문 중 완관절 결절종 환자를 대상으로 한방치료를 시행 한 연구들로 하였고, 전문(Full text) 언어는 한국어 및 영 어로 제한하였다.

2. 논문 검색 및 선별

1) 검색 방법

국내 연구는 NDSL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http://www.

ndsl.kr), KISS (한국학술정보. http://kiss.kstudy.com), 한국전통지식포탈(http://www.koreantk.com)을 검색하여 국내에서 발표된 학위논문 및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수 집하였고 검색어로 제목 및 초록에서 ‘완관절 결절종’을 사용하였다. 국외 연구는 NCBI (National Center for Bio- technology Information. http://www.ncbi.nlm.nih.gov) Pubmed를 검색하였고 ‘wrist ganglion’을 검색어로 사용 하였다. 검색은 2014년 8월 17일에 시행하였고 2014년 9 월 3일에 추가 검색을 시행하여 최근 연구를 확인하였다.

2) 선별 방법

검색된 결과에서 중복된 논문을 제외하고 제목 및 초 록을 수기로 검토하고 선정 기준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1. 선정된 논문의 개요

전자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검색된 논문은 NDSL에

서 3편, KISS에서 3편, 한국전통지식포탈에서 2편이었고, Pubmed에서 646편이었다. 중복된 논문을 제외하고 제목 과 초록을 수기로 검토하여 선정 및 제외기준에 따라 최 종적으로 국내 4건, 국외 1건의 논문를 선정하였다.

2. 국내 논문(Table I)

1) 완관절 결절종에 대한 배담⋅양자침구치료의 임상 적 관찰11)

30례의 완관절 결절종 환자를 揚刺鍼灸法

*

적용군 19 례와 排痰揚刺鍼灸法 적용군 11례로 나누어 치료한 후 치료효과를 평가하고 비교한 연구이다.

결절종의 발생 부위에 대한 분석을 보면, 결절종은 손 목의 후방에 총수지신근건의 외측 陽池穴 부위와 손바닥 측 요수근굴근건과 장모지외전근건 사이의 太淵穴 부위 에서 호발하였고 좌우 차이는 없었다.

결절종의 크기가 점상 또는 완전 소실되었을 때의 시 점을 치료 종결로 정하고 치료 종결까지의 치료 횟수를 분석하였는데 揚刺鍼灸法 적용군이 평균 9.6회, 排痰揚刺 鍼灸法 적용군이 평균 4.0회로 排痰揚刺鍼灸法 적용군에 서 치료 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 전후의 결절종 크기 분석을 보면, 초진 시 3×5 mm~26×26 mm 로 다양한 크기 분포를 보였으나 치료 종결 시 수술 후 재발되어 내원한 1례를 제외한 29례에서 점상 또는 완전 소실로 호전되었다.

결절종의 재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6~72개월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 29례에서 재발을 보이지 않았다.

2) 오공약침을 이용한 완관절 결절종 환자 치험 2례12) 2009년 12월부터 2010년 3월까지 내원한 완관절 결절 종 환자 2례에 대한 연구이다.

증례 1은 61세 남자로 좌측 太淵穴 부위의 결절종과 이로 인한 통증을 주소증으로 내원하였다. 초진 시 결절 종의 크기는 직경 2 cm, 높이 1.3 cm였고, 2009년 12월

*결절종의 경계 부위 사방에서 중심을 향해 약 3~7 mm 斜 刺하고 중심에 3~5 mm 直刺하는 揚刺法을 시행하고 발침 후 결절종 크기 정도의 뜸을 만들어 간접구로 1회 2장씩 뜸 을 뜨는 방법

결절종의 중심에 23 G 排痰용 주사침으로 약 3~7 mm 정

도 直刺하여 젤리 같은 액체를 排痰한 후에 揚刺鍼灸法을

시행하는 방법

(3)

24일부터 2010년 1월 28일까지 10회 치료 후 외견상 거 의 보이지 않는 점상으로 줄어들었고 통증도 없어졌다.

증례 2는 27세 남자로 좌측 陽池穴 부위의 결절종을 주소증으로 내원하였다. 초진 시 결절종의 크기는 직경 2 cm, 높이 1.2 cm였고, 2010년 3월 4일부터 2010년 3월 9일까 지 3회 치료 후 환부를 찾을 수 없을 만큼 결절종이 거의 사라졌다.

치료방법을 살펴보면, 결절종 부위에 1.0 cc 30 G Syringe를 이용하여 오공약침

*

을 0.1 cc 씩 총 0.4 cc 시 술하고, 氣血 순환의 목적으로 合谷穴과 太衝穴에 호침으 로 침치료를 시행하고, 결절종 주위를 호침으로 산자 후 침전기자극술을 20분간 시행하였다.

3) 완관절 다엽성 결절종의 초음파 진단을 통한 침도치 료 임상증례 보고13)

증례는 여자 환자 1명으로 초진 내원 5년 전에 완관절 결절종이 발생하여 흡입술을 1회 받았지만 재발하여 내 원하였다. 2010년 4월 7일 초진 시 초음파 상 2개의 결절 종이 다엽성으로 관찰되었으나 1회 치료 후 2010년 4월 8일 내원 시 육안 상으로 결절종이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 고, 초음파 상으로도 소실 된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한달 뒤인 2010년 5월 12일에 다시 내원했을 때 비록 처 음보다 작은 크기였지만 결절종이 재발한 것을 확인하였 다. 재차 동일한 치료을 시행했고 그 후 육안으로는 결절 종이 소실된 것처럼 보였으나 초음파 상으로는 낭종이 남 아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치료방법을 살펴보면, 결절종 부위에 침도요법을 시 행하여 결절종 안의 물질을 배출시키고 동일 부위에 습부 항을 시행하여 배출을 돕게 하였다. 침도요법을 시행하는 동안에 통증을 줄이기 위해 반대측 合谷穴과 曲池穴에 침 전기자극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시술이 끝난 후에는 경혈 를 부착하여 세균이나 이물질이 닿는 것을 방지하였 다.

환자의 자가관리에 대한 언급이 있었는데, 시술 부위를 마사지하게 하였고 뜸을 하루에 3장씩 3번 스스로 시행하

*대한약침학회 연구실 조제

침과 폐합성 수술을 결합하여 고안된 연부조직 치료법으로 환부의 유착과 병리적 산물이 기질적으로 정체되어 있는 상 태를 절개하여 박리하는 적극적인 치료 방법

논문에서 구체적인 내용 언급 없음 Ta bl e I. S um m ar y o f 4 D om es tic S tu di es Publ is hed Publ is hi ng Sa m p le U si ng U ltr as ound Fol low No . 1s t au th or Ti tle Tr eat m ent year Jour nal siz e for D ia gnos is -U p 1 K ee- H yun K im Cl in ic al S tudy on W ri st G angl ion by N ew ly T ra ns for m ed Cent ro -S quar e Acup unct ur e ⋅ M oxi bus tion 2000 The Jour nal of K or ean Acupunct ur e & M oxi bus tion So ci et y 30 Acup unct ur e, M oxi bus tion, Per cut an eous A spi ra tio n X ○ 2 M in -S eop Shi n T w o Cas e R epor t on W ri st G angl ion T rea te d w ith S col o - pendr id Phar m acopunct ur e

2010 Jour na l of Phar m a- copunct ur e 2 Phar m acopunct ur e, El ect roacupunct ur e XX 3 M an- yong Par k Ef fect of U ltr as ound- gui ded Acup ot om y T her ap y on W ri st G angl ion 2010 The Jour nal of K or ean Acupunct ur e & M oxi - bus tion Soci et y 1 Acup ot om y, W et C upp ing, El ect roacupunct ur e, H er - bal m ed ici ne, M oxi bu st io n

○○ 4 K young- M in K im T her ap eut ic App roa ch of W ri st G angl ion U si ng El ect roa cu - punct ur e: Tw o Ca se R ep or ts

2014 A nnal s of Rehabi li- ta tion M edi ci ne 2 El ect roa cup unct ur e ○ X

(4)

Table II. Summary of 1 Overseas Study

No. 1st. author Title Published year

Publishing Journal

Sample

size Treatment Using Ultrasound for Diagnosis

Follow -Up 1 İbrahim Tekeoğlu Electroacupuncture in

the treatment of a ganglion of the wrist - a case report

2006 Acupuncture in Medicine

1 Electroacupuncture X ○

도록 하였다. 또한 침도 시술로 인한 통증을 조절하기 위 해 한약

*

을 3일간 복용하게 하였다.

4) Therapeutic approach of wrist ganglion using electroacupuncture : two case reports14)

증례 1은 16세 여자 환자로 초진 내원 6년 전에 좌측 수배부에 발생한 결절종과 이로 인한 통증을 주소증으로 내원하였다. 국소적 절제술과 흡입술, 스테로이드 복용 등 양방적인 처치를 받았지만 재발하여 결절종 크기가 점 차 커지고 통증도 심한 상태였다. 일주일에 1회, 총 8주 간 치료 후 통증이 VAS (Visual Analogue Scale) 상 6~7 점에서 2점으로 줄어들고 초음파 상 결절종 크기가 1.46×1.01 cm에서 0.53×0.58 cm로 줄어들었다.

증례 2는 52세 여자 환자로 초진 내원 1개월 전에 우 측 수배부에 발생한 결절종과 이로 인한 통증을 주소증으 로 내원하였다. VAS 상 5점에서 일주일에 1회, 총 8주간 치료 후 통증이 VAS 상 5점에서 1점으로 줄어들고 초음 파 상 결절종 크기가 1.45×0.62 cm 에서 0.64×0.25 cm 로 줄어들었다.

치료방법을 살펴보면, 0.35×30 mm 규격의 침을 사용 하여 총지신근의 팽대부와 결절종 주변에 자침하고 침전 기자극술을 20분간 시행하였다. 강도는 환자가 참을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세기로 자극하였다.

3. 국외 논문(Table II)

1) Electroacupuncture in the treatment of a ganglion of the wrist - a case report15)

증례는 53세 여자환자로 초진 내원 5년 전에 우측 수 배부에 발생한 결절종으로 내원하였다. 2주 동안 주 4회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손목 둘

*논문에서 구체적인 내용 언급 없음

레와 결절종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초진 내원 시 손목 둘 레는 190 mm (건측 180 mm), 결절종의 크기는 55×45 mm 였으나 2주 후에는 각각 185 mm와 40×35 mm로 줄어들었고, 4주 후에는 각각 183 mm, 37×28 mm로, 1 년 후에는 각각 181 mm, 15×13 mm로 줄어들었다.

치료방법을 살펴보면, 침 하나는 결절종을 관통하여 자 침하고 다른 하나는 曲池穴에 자침하고 이 두 지점을 연 결하여 침전기자극술을 시행하였다.

고찰»»»

결절종은 섬유성 낭 내에 점액성 물질을 함유한 낭포 성 양성종양으로 건초낭종이라 불리기도 한다2). 결절종은 수부에 발생하는 연부조직 종양 중에서 가장 발생빈도가 높아 그 발생률은 50~7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16). 호발 부위는 손목의 후방에 총수지신근건 외측과 수장측에 요수근굴근건과 장모지외전근건 사이이다2). 간 혹 중수지 관절 주위의 굴곡건 건막에서 발생하여 방아쇠 수지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1).

임상 증상은 거의 없으나 크기와 무관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경도의 불편함과 동통을 수반하고 근력이 약화된 것 같은 느낌을 가질 수도 있다. 때로 종괴가 혈관이나 신경을 압박하는 경우에는 해당 분포 부위에 허혈 증상이 나 신경 증세를 유발한다1).

진단은 대개 임상적 증상만으로 충분한 경우가 많고 초음파 검사를 이용하면 더욱 명확하게 결절종을 진단할 수 있다. 관절 조영술은 결절종이 관절과 연관되어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자기공명 검사는 슬관절 내에 발 생한 결절종 진단에 유용하다17).

결절종은 종종 자연 소실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엔 제거해야 하는데 전신 마취 하에 완전 절제하면 94%, 국 소 마취 하에서는 84%, 손이나 책으로 눌러서 파열시키

(5)

면 65% 정도 완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그러나 약물치료, 흡입술, 마취하의 국소절제술 등의 양방적 치료 후에도 결절종이 흔하게 재발하여1) 완관절 결절종의 대안적 치료의 연구가 필요하며 이에 선행적으 로 완관절 결절종에 대한 한방치료 연구 동향 분석 연구 를 진행하게 되었다.

저자는 2000년 이후 발행된 국내 및 국외 논문을 검색 하여 완관절 결절종 환자에게 한의학적 치료를 적용한 논 문을 조사, 연구하였다. 전자 데이터베이스로 NDSL, KISS, 한국전통지식포탈, NCBI Pubmed를 이용하여 검색하였 고, 그 결과 국내 논문 4편, 국외 논문 1편이 선정되었다.

주된 치료방법을 보면 김11)의 논문에서는 양자침 치료 가, 신 등12)의 논문에서는 약침 치료가, 박 등13)의 논문에 서는 침도 요법이, Kim 등14)과 Tekeoğlu 등15)의 논문에 서는 침전기자극술이 주로 사용되어 모든 논문에서 주 치 료가 침 치료라는 큰 범주 안에 있었다.

침전기자극술은 총 5편의 논문 중에 3편에서 언급되었 는데, 박 등13)의 논문에서는 침도 요법을 시행하는 중에 통증 억제를 위한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Kim 14)의 논문은 한의사에 의해 쓰여진 논문은 아니나 결절 종의 치료를 위해 총지신근의 팽대부를 자극한 것은 한의 학의 경근 이론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어 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이와 관련해서 추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뜸 치료는 총 5편의 논문 중에 2편에서 언급되었는데, 두가지 논문 모두 결절종 부위에 직접 시행하였다. 다만, 박 등13)의 논문에서는 침도 요법 시행 후 환자에게 스스 로 시행하도록 지시하였고 이를 제대로 시행하지 않아 결 절종이 재발한 것으로 밝히고 있어 뜸의 치료 효과가 불 분명하다.

기타 치료로는 주사침 배액술이 1편, 습식부항이 1편, 한약 치료가 1편에서 언급되었다. 주사침 배액술과 습식 부항은 양방적 치료인 흡입술과 유사하여 결절종 내의 액 체를 배출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한약 치료는 박 등13) 논문에서만 언급되는데, 침도요법 후 발생한 통증을 조절 하기 위해 사용했다고 밝혔으나 한약처방의 구성약물을 언급하고 있지 않아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는 어려울 것으 로 사료된다.

초음파를 사용하여 결절종의 크기와 위치를 확인한 것 은 총 5편의 논문 중에 2편에서 언급되었는데, 박 등13)

논문에서 밝힌 것처럼 초음파를 통해 육안으로 확연히 드 러나지 않는 결절종이나 심부의 다엽성으로 존재하는 결 절종에 대한 진단과 치료가 더욱 명료해질 것으로 보이 며, 치료의 효과를 판단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 된다.

결절종의 재발을 확인하기 위한 추적 관찰은 총 5편의 논문 중 3편에서 언급되었다. 완관절 결절종은 재발이 흔 한 질환으로, 치료의 효과를 보다 명확히 검증하기 위해 서는 재발률 확인을 위한 추적 관찰이 반드시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이상으로 국내외 논문을 통해 완관절 결절종에 대한 한방치료 연구 사례를 분석하였다. 다양한 항목으로 논문 을 분석하여 결절종 치료에 대한 약간의 식견은 얻을 수 있었으나 논문 편수의 부족과 적은 수의 증례로 인해 풍 부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는 점과 병행 치료 시 각 치료방 법 간의 치료 효율에 대한 비교가 없어 치료방법을 보다 입체적으로 분석하지 못한 점 등은 아쉬운 점으로 남는 다. 그러나 본 연구가 향후 완관절 결절종에 대한 한방치 료 지침을 제시하기 위한 선행적 연구로서의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더 많은 치험 사례 보고와 심도 깊은 연구들이 진행되길 기대한다.

결론»»»

완관절 결절종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해 국내외 학술지 를 조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5편의 논문 모두에서 주된 치료 방법으로 침 치료가 사용되었으며, 그 종류는 양자침 치료, 약침 치료, 침도요 법, 침전기자극술 등이었다.

2. 총 5편의 논문 중 3편에서 침전기자극술이 사용되 었다.

3. 총 5편의 논문 중 2편에서 뜸 치료가 사용되었다.

4. 기타 치료로 주사침 배액술, 습식부항, 한약치료가 사용되었다.

5. 초음파를 사용하여 결절종의 크기와 위치를 확인한 것은 총 5편의 논문 중 2편에서 언급되었다.

6. 결절종의 재발을 확인하기 위한 추적 관찰은 총 5편 의 논문 중 3편에서 언급되었다.

(6)

참고문헌»»»

1.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서울:최신의학사. 2006:360, 566-7.

2. The research Council of ShinTaeYangSa publishing company. The Great Medical Encyclopedia. Seoul:Shin- TaeYangSa publishing company. 2007:27.

3. Jacobs LG, Govaers KJ. Department of Orthopaedic and Accident Surgery. J Hand Surg. 1990;15(3):342-6.

4. 康命吉. 濟衆新編. 杏林書院. 1975:86.

5. 朱震亨. 丹溪心法 卷九. 五洲出版社. 1981:1.

6. 張隱庵. 馬元臺 合註. 黃帝內經 靈樞. 北京中西醫學硏究總 會. 1919:59.

7. 趙懷儒. 李久海. 火鍼治療腱鞘囊腫160例. 中國鍼灸. 1986;

1:16.

8. 姜有梅. 七星鍼治療腱鞘囊腫. 新中醫. 1984;2:50.

9. 母永祥. 鍼灸治療腱鞘囊腫100例. 廣西中醫藥. 1982;2:26.

10. 高不倚. 三稜鍼刺可灸治療腱鞘囊腫36例. 中國鍼灸. 1983;3:

12.

11. 김기현. 완관절 결절종에 대한 배담·양자침구치료의 임상

적 관찰. 대한침구학회지. 2000;17(4):113-9.

12. 신민섭, 이진복, 송범용. 오공약침을 이용한 완관절 결절종 환자 치험 2례. 대한약침학회지. 2010;13(2):139-43.

13. 박만용, 임나라, 김성하, 김성철. 완관절 다엽성 결절종의 초음파 진단을 통한 침도치료 임상증례 보고. 대한침구학 회지. 2010;27(3):167-72.

14. Kyoung-Min Kim, Eun Young Kang, Sung Hoon Lee, A Young Jung, Doo Hyoun Nam, Ji Hwan Cheon.

Therapeutic approach of wrist ganglion using electro- acupuncture: two case reports. Ann Rehabil Med.

2014;38(3):415-20.

15. İbrahim Tekeoğlu, Ali Doğan. Electroacupuncture in the treatment of a ganglion of the wrist - a case report.

Acupuncture in Medicine. 2006;24(1):29-32.

16. 정필현, 황정수, 채동주, 문상호, 김대진, 엄규황. 요골 원 위부에 발생한 골막하 결절종. 대한정형외과학회지. 1998;

33:641-4.

17. Lee HK, Chung MS and Seong SC. Clinical analysis on surgical treatment of ganglion. J Korean Orthop Assoc.

1994;29:342-7.

수치

Table  II.  Summary  of  1  Overseas  Study

참조

관련 문서

본 연구에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동시에 존재하는 노동시장에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강제로 규제하여 비정규직의 고용보호 수준을 높이는 정책적 변화가 경제

Key words: Regulatory Impact Analysis (RIA), Cost-Benefit Analysis, Benefit Evaluation, Benefit Measurement, Benefit Overestimation.. 또한 이명박

The proposal of the cell theory as the birth of contemporary cell biology Microscopic studies of plant tissues by Schleiden and of animal tissues by Microscopic studies of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Novosibirsk State University, Russia 1 , Department of Cardiology, Surgut State University, Russia 2 , Department Fundamental

Professor of Medicine,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s Director, Infection Control Office.. SUNGKYUNKWAN UNIVERSITY

william James Hall, M.D., Medical Missionary to the Slums of New York; Pioneer Mission of Korean Native Costumes, China Medical Journal, 1916.3; Medical Needs of Korean

It considers the energy use of the different components that are involved in the distribution and viewing of video content: data centres and content delivery networks

After first field tests, we expect electric passenger drones or eVTOL aircraft (short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to start providing commercial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