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퇴행성 슬관절염에서 히야루론산의 효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퇴행성 슬관절염에서 히야루론산의 효과"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퇴행성 슬관절염에서 히야루론산의 효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이동철・백승희・손욱진・신규식・한재형

= 국문 초록=

목적: 퇴행성 슬관절염에서 골관절염의 정도, 비만도, 대퇴 경골 정렬에 따른 히야루론산의 임상효과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 7 3명을 대상으로 5 3명에게는 히야루론산(히루안, MW: 1MDa)을, 2 0명에게는 위약(생리 식염수)을 매주 1회씩 연속 5주간 슬관절강내로 주입한 후 2 7주간 추시평가를 시행하 였다. 슬관절 방사선 촬영을 하여 골관절염의 정도 및 대퇴 경골 정렬을 파악하였으며 임상평가로 동통에는 visual analogue scale (VAS), 기능평가는 algofunctional index (AI), 활동도의 정도는 T e g n e r activity score (TAS)을 이용하였다.

결과: 히야루론산 투여군에서 골관절염 정도(Kellgren 분류)에 따른 효과를 TAS, AI, VAS로 비교해볼 때 골관절염의 정도가 등급Ⅱ,Ⅲ에서 임상효과가 좋았으며 Ⅳ에서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대퇴 경골 정렬에 따른 임상효과를 비교해볼 때 중립과 외반정렬이 내반정렬보다 효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5) 비만도에 따른 효과는 유의성이 없었다. 주관적인 증세의 호전은 3주째 제일 많았다는 환자가 2 5 명, 약 4 7 . 2 %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위약 투여군도 효과는 있었으나 히야루론산군과 비교해 볼때 낮은 것 으로 나타났다( p < 0 . 0 5 ) .

결론: 히야루론산은 슬관절의 퇴행성 골관절염에서 동통을 경감시키고 관절기능을 향상시키며 특히 방사선 학적 골관절염의 정도가 Kellgren 분류 Ⅱ, Ⅲ등급, 대퇴 경골각이 중립 및 외반변형에서 효능이 좋은 것으 로 나타났다.

색인 단어: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히야루론산

Volume 14, Number 2, December 2 0 0 2

서 론

골관절염은 고령의 연령층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 환으로 전세계적인 고령화추세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6 0세 이상에서는 약 2 5 %의 환자가 동통과 관절 운동장애를 동반하고 있다5 ). 골관절염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초자연골과 활액막, 골조 직에서 상호 파괴와 재생이 발생되는 이차적 염증반 응의 결과로 동통, 부종, 관절 운동 제한등이 발생되

는 질환이다1 3 ).

관절내 히야루론산은 정상 관절연골을 구성하는 성 분으로 관절의 활액 1 ml에 약 2 mg 정도 함유되어 있으며 활액의 점성을 유지하고 염증작용을 일으키는 T N F -α(tumor necrosis factor-alpha)의 활성을 억제하며 기질파괴 효소인 단백분해 효소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히야루론산은 p o s i t i v e feedback 효과로 히야루론산 생성을 촉진시킨다고

하며7 , 2 2 ), 슬관절, 견관절, 악관절등에 사용이 증가되

고 있는 추세이다1 9 ).

Corresponding Author: Dong-Chul Lee,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317-1 Daemyung-dong, Nam-gu, Taegu 705-717, Korea

Tel: 053-620-3640, Fax: 053-628-4020, E-mail: dcleeⓐm e d . y u . a c . k r .

(2)

일반적으로 히야루론산의 사용은 임상적으로 효과 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골관절염의 정도나 대 퇴 경골 정렬의 상태 및 비만도에 따른 효과 등에 대 해서는 연구가 잘 되어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히 야루론산(sodium hyaluronate, 히루안)이 슬관절 의 골관절염에서 병의 진행정도에 따른 임상적 효능 및 지속기간, 관절염 환자의 비만도 정도와 대퇴 경 골 정렬에 따른 효과, 합병증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 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퇴행성 골관절염으로 진단받아 외래치료를 받고 있 는 환자 7 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퇴행성 관절염의 진단은 미국 류마티스 학회가 정한 기준1 )인 5 0세 이 상의 환자에서 특이한 외상이 없이 슬관절의 동통 및 부종, 운동장애가 있으면서 3 0분 이내의 수면 후 강 직이 있고 방사선 사진촬영상 골극 형성, 연골하골 경화 및 낭종, 관절 간격의 협소, 대퇴골과의 편평화 등이 보이는 경우로 하였다. 모든 환자들에게 히야루 론산과 위약 투여 가능성에 대한 설명 및 환자의 동 의를 받은 후 그 중 5 3명에게서는 히야루론산을, 20 명에게서는 위약(normal saline)을, 각각 주입하였 다. 평균 나이는 히야루론산 투여군 6 3±6 . 8세, 위 약 투여군 6 3±7 . 2세이고 히야루론산 투여군에서는 남자가 1 3명, 여자가 4 0명( 6 6 % )이며 위약 투여군에 서는 남자가 3명, 여자가 1 7명이였다. 비만도( b o d y mass index)는 환자의 몸무게( k g )를 키( M )의 제 곱으로 나눈 값(kg/height in meter2)으로 구하였 다. 히야루론산 투여군에서 평균은 2 6 . 5 ( 2 0 . 2 ~ 3 1 ) 이였고 정상군(BMI:18.5 ~24.9)은 1 5명, 과체중 군(BMI: 25~30)은 3 6명, 비만군(BMI: 30 이상) 은 2명으로 과체중군이상이 7 2 %를 차지하였다 (Table 1). 약제 주입은 슬관절부를 베타딘 용액으 로 철저히 소독하고 소독포와 소독장갑을 반드시 이

용해 시행하였고 슬관절을 완전히 신전시킨 상태에서 21G 주사침을 이용해 슬개골 상외측 도달법으로 히 야루론산(히루안, MW: 1MDa) 25mg과 위약군은 normal saline을 각각 2.5 cc씩 매 주마다 1회씩 연속 5주 슬관절내로 주입후 평가하였으며 종창이 있는 경우 관철액을 천자 제거후 시행하였다. 이후 9 주, 15주, 21주, 27주에 추시평가를 시행하였다. 추 시기간중 환자의 추시 실패가 6례가 발생하였는데 그 이유는 관절염의 진행이 심한 환자에서 동통의 호 전이 없었거나 골극이 심한 경우 관절강을 찾기 어려 워 수 차례에 걸친 주사의 삽입으로 주사부의 심한 동통과 부종을 경험한 경우였다. 임상평가로 약제를 주입할 때와 추시중 외래를 방문할 때 동통, 기능, 활동도 평가를 시행하였다. 동통에 대해서는 10 cm visual analogue scale(VAS)을 사용하였으며 통 증이 없는 경우 0 cm, 극심한 경우 10 cm로 하였 다. 활동능력은 Tegner activity score(TAS)1 0 ), 관절 기능에 대해서는 algofunctional index(AI)2 1 ) 을 이용하였으며 주관적 평가는 마지막 추시때와 증 상을 비교하여 우수, 양호, 동일, 저하, 불량의 5등 급으로 평가한 주관적 전반적 평가 척도( g l o b a l a s s e s s m e n t )를 이용하였다. 환자들은 아세트산계 소염진통제를 최소 3주 이상 복용하고 있었으나 증 상의 효과가 없었던 경우의 환자들에게서 사용하였고 이전과 같은 동일약을 연구기간동안 변동없이 사용하 였다. 또한 최근 1년 이상 스테로이드 주사제 경험이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3주 이내 새로운 소 염진통제나 물리치료를 시작한 환자는 제외시켰다.

질병의 진행정도를 구분하기 위해 체중 부하상태에서 슬관절 4 5°굴곡후전면, 신전후전면 및 측면 방사선 사진촬영을 하여 Kellgren 등급(Table 2)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대퇴 경골 정렬 상태도 측정하였다.

Kellgren 방사선 등급상 히야루론산 투여군에서 Ⅱ 등급은 2 2명, Ⅲ등급은 2 2명, Ⅳ등급은 9명이었으며 위약 투여군에서는 Ⅱ등급은 7명, Ⅲ등급은 1 0명,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total number (n=73) Kellgren grade

Characteristics

HA* / PB** I II IV

HA / PB HA / PB HA / PB

Number of patients 53 / 20 22 / 7 22 / 10 9 / 3

Age (year) 63.0 / 63.1 63.0 / 61.8 62.9 / 64.4 63.3 / 62.3

BMI(kg/m2) 26.5 / 25.7 26.1 / 25.1 26.6 / 25.7 26.6 / 27.1

Disease duration (month) 59.8 / 49.5 29.4 / 28.1 85.9 / 58.1 66.0 / 70.7

HA* : Hyaluronic acid. PB** : Placebo, BMI: body mass index

(3)

Ⅳ등급은 3명으로 Kellgren 분류상 각 등급간의 나 이 차이는 없었다(Table 1). 평가를 위한 통계처리 방법으로 A N O V A -다중비교방법(multiple com- p a r i s o n )과 paired T test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 였으며 모든 통계학적 유의성은 p < 0 . 0 5로 하였다.

결 과 1. 증상의 변화

1) 객관적 평가

히야루론산 투여군에서 주입 전에 VAS 수치( c m ) 는 6 . 3에서 점차 감소하여 5주 추시경과시 4.3, 27 주에 4 . 4로 유지되어 통증의 경감을 알 수 있었다 (p<0.05). 기능평가 척도인 A I는 약제 주입전에는 9 . 0에서 5주에 7 . 3으로 호전되었으며 2 7주에도 7 . 1 로 유지되었다(p<0.05). 진통제와 소염제의 약제사 용은 총 2 2명( 4 1 % )에서 사용양을 줄일 수 있었다.

활동능력 척도인 T A S는 주입전 2 . 7에서 5주에 3 . 7 로 활동도가 증가했으며 2 7주에도 그 활동도가 3 . 9 로 지속되어 활동도의 향상을 알 수 있었다( p < 0 . 0 5 ) . 위약 투여군에서도 VAS, AI는 유의성있게 감소하였 으며 약제 사용양을 4명( 2 0 % )에서 줄일 수 있었다.

T A S는 유의성있게 증가를 보여 히야루론산 투여군 과 위약 투여군에서 모두 약제 투여후 3주 추시부터 투여 전에 비해 동통, 활동도, 기능평가에서 유의성 있게 호전되어 관절내 주사 및 위약 투여가 어느정도 의 효과는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Fig. 1). 그러나

두 군간의 효능 비교시 2 1주 추시상 히야루론산 투여 군이 위약 투여군보다 VAS, AI는 유의성있게 더 감 소되고 T A S는 유의성있게 더 증가되어 히야루론산 투여군이 위약 투여군보다 동통, 활동도, 기능평가에 서 모두 유의성 있게 더 호전(Table 3)되었으나 위 약 투여군의 모집단이 작아 비교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어 향후 더 많은 위약군의 추가 및 결과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 주관적 평가

히야루론산 투여군에서 총 5 3명중 4 9명( 9 2 . 4 % )에 서 슬관절 동통, 운동장애, 종창등의 증상이 호전되 었다고 응답하였고 특히 동통의 감소가 제일 많았다 고 하였다. 관절내 투여기간 중 증상의 호전이 제일 좋아진 경우가 3주째 2 5명( 4 7 . 2 % )으로 제일 많았으 며, 4주째가 1 6명(30.2%), 2주째가 8명( 1 5 . 1 % )이 였으며 최종추시 2 7주까지 증상호전에 대한 평가에 서는 추시 2 1주에서 효과가 없어진다는 환자 5명, 추시 2 7주에 8명 발생한 것을 제외한 4 0명( 7 5 . 5 % ) 에서 효과가 어느정도 지속된다고 대답하였다. 증상 의 호전이 없었다고 응답한 환자는 4명( 7 . 5 % )이였 며 4명 모두 Kellgren Ⅳ등급이였고 3례가 내반 정 렬상태였다.

위약 투여군에서 총 2 0명중 1 5명( 7 5 % )에서 증상 의 호전이 있었고 특히 동통의 감소가 제일 많았다.

증상의 호전이 없다고 한 5명( 2 5 % )중 1명은 K e l l e- gren II등급, 2명은 I I I등급, 2명은 Ⅳ등급이었다.

Table 3. Change of mean value of VAS, AIand TAS§according to injected matrials.

VAS AI TAS

1st 21st 1st 21st 1st 21st

HA 6.3±1.4 4.2±1.5* 9.0±3.7 7.0±3.2* 2.7±1.1 3.9±1.2*

Placebo 6.16±1.3 5.76±1.4 9.86±3.9 9.39±3.5 2.44±1.1 2.82±1.1

* :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HA & placebo group ( p<0.05 )

VAS: visual analogue scale, AI: algofunctional index, TAS§: Tegner activity score Table 2. Kellgren classification of osteoarthritis.

Stage I ; Slight rarefaction of the trabecular structure in the head of the tibia. Signs of an axis anomaly. Joint space still appears normal. Pointing of the intercondylar tubercles. Possible slight demineralizaion of the patella.

Stage II ; Joint space asymmetrically narrowed. Axis anomaly (varus, valgus).

Osteophytes on the patella, the head of the tibia and intercondylar trabecules.

Stage III ; Degeneration of the cancellous bone in the head of the tibia with formation of small cysts. Increasing alteration of the joint space width and osteophytes.

Stage IV; Joint space virtually absent, malposture, deformation of the femoral condyles with osteophytes of bizarre shapes, chon- dral debris cysts, instability of the joint.

(4)

2. 비만도에 따른 효과

환자들의 비만도(body mass index)는 환자의 몸 무게( k g )를 키( M )의 제곱으로 나눈값( k g / h e i g h t in meter2 )으로 구하였다. 히야루론산 투여군에서 평균은 2 6 . 5 ( 2 0 . 2 ~ 3 1 )이였고 정상군 ( B M I : 1 8 . 5 ~ 2 4 . 9 )은 1 5명, 과체중군(BMI: 25~30)은 3 6명, 비만군(BMI: 30 이상)은 2명으로 과체중군이 상이 7 2 %를 차지하였다. VAS 수치는 약제 주입후 정상군, 과체중군, 비만군에서 모두 감소되어 모든 군에서 동통 경감을 알수 있었다. AI도 정상군 및 과체중군, 비만군에서 효과를 보았으며 활성도도 모 든 군에서 호전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정상군과 과체 중군간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고 위약 투여군에 서도 정상군 5명( 2 5 % )과 과체중군 1 5명( 7 5 % )간의 VAS, AI, TAS 평가상 각 군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변화는 없었으나 양군간에 더 많은 증례를 보완 하여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 골관절염의 방사선학적 진행정도에 따른 약제효과

방사선학적인 관절염 진행정도에 따른 평가는 히야

루론산 투여군에서 Kellgren 분류상 Ⅱ등급에서 동 통의 정도가 약제주입전 5 . 9에서 2 1주 추시상 3 . 5로 감소하였다가 2 7주에서 3 . 7이였으며 Ⅲ등급에서는 6 . 7에서 2 1주에 4 . 5로 감소, 27주에서 4 . 6이였고

Ⅳ등급에서는 6 . 0에서 2 1주에 5.4, 27주에 5 . 5로 감소의 폭이 적어 Kellgren 분류상 Ⅱ,Ⅲ등급에서

Ⅳ등급보다 더 동통이 경감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 I는 Kellgren 분류상 Ⅱ,Ⅲ등급에서 Ⅳ등급에 비 해 더 관절기능이 좋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활동도 평가인 TAS 수치도 추시상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Kellgren 등급군간 비교를 할 경우 추시 2 1주 비교 시 Ⅱ,Ⅲ등급 군에서 Ⅳ등급 군보다 VAS, AI, TAS 평가가 더 좋아지는 통계적 유의성( p < 0 . 0 5 )을 보였다.

위약 투여군에서는 Kellegren 등급간 비교시 통계 적 유의성있게 더 향상되는 군은 없었다(Fig. 2).

4. 대퇴 경골 정렬에 대한 약제효과

체중부하시 대퇴경골 정렬의 차이에 따른 분석을 해 보면 중립 정렬군은 1 8 0±2°로 정하였다. 히야루 론산 투여군에서 외반 정렬군이 1 0명(평균:

1 7 4 . 5°), 중립 정렬군이 3 4명(평균: 179.2°), 내반 FIGURE 1. Change of mean value of VAS, AIand TAS§

according to the follow up for injected patients (HA (n=53), PB (n=20)).

VAS: visual analogue scale,

AI: algofunctional index, TAS§: Tegner activity score

* :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in comparison with initial injection at same group)

(5)

정렬군이 9명(평균: 186.3°)이였다. VAS는 외반 정렬군, 중립 정렬군, 내반 정렬군 모두에서 감소하 여 동통의 경감을 알수 있었다. AI도 모든 정렬군에 서 감소하여 관절기능의 향상을 보였고 T A S는 모든 정렬군에서 증가하여 활동도의 증가를 알수 있었다.

통증과 기능평가는 5주부터 중립과 외반 정렬군이 내반 정렬군에 비해 호전되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 었다. 활동도는 호전되었으나 2 1주에 통계적 유의성 ( p < 0 . 0 5 )이 나타났다. 위약 투여군에서 외반 정렬군 이 5명(평균 1 7 5 . 1°), 중립 정렬군이 1 1명(평균 1 7 9 . 4°), 내반 정렬군이 4명(평균 1 8 6 . 1°)이었고 각 군간의 VAS, AI, TAS 평가상 통계적 유의성이 있 는 변화는 없었다(Fig. 3).

5 .합병증

히야루론산 투여군에서 주사 약제 투입때와 추시관 찰 중에 슬관절 삼출이 있었던 경우는 4명으로 이 중 3명는 슬관절 종창이 계속되었으며 이때는 슬관절 천자후 약제를 주입하였다. 합병증으로는 주사 삽입 부에 국소적 통증을 호소한 경우가 8명(15%), 주사 부 종창이 4명( 7 . 5 % )이었으며 화농성 감염은 발생 되지 않았고 그 외의 전신적인 합병증도 발견되지 않 았다. 국소적 통증을 호소한 경우 중 5명이 K e l l-

gren 분류상 Ⅲ이고 3명이 Ⅳ로써 관절내 주사시 심 한 골극으로 인해 관절강을 찾기 어려운 경우에 발생 하였다. 위약 투여군에서는 슬관절 삼출이 있었던 경 우는 없었으며 주사 삽입부에 국소적 통증을 호소한 경우가 4명(20%), 주사부 종창이 1명( 5 % )이었으며 국소적 통증 및 종창은 관절내 주사시 관절강을 찾기 어려운 경우에 발생하였다.

고 찰

히야루론산은 관절내에서 막을 만들어 마찰을 줄여 관절내 윤활작용 및 관절표면 보호작용, 충격흡수, 전달작용등의 역할을 하며 골관절염이나 류마티스 관 절염 환자에서 양이 감소한다고 하였다4 ). 골관절염 환자에서 히야루론산 관절내 주입은 점성보충역활 (visco -supplement) 외에도 기질분해효소( m a t r i x m e t a l l o p r o t e i n a s e )의 합성을 저해시켜 연골기질의 파괴를 막고 생성을 촉진시키며 염증반응의 주인자인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α)의 활성을 저하시켜 항염증 작용을 나타내며 활액막에 있는 통 증수용체를 격리시켜 통증 완화작용을 나타낸다고 하 였다1 5 , 1 7 , 1 8 )

.

골관절염 환자에서 히야루론산의 관절내 투여가 최 근 일반화 되었으며 현재 임상에서 쓰이고 있는 히야 FIGURE 2. Change of mean value of VAS, AI, TAS accord-

ing to Kellgren classification for injected patients (HA (n=53), PB (n=20)).

: (n=HA/PB)

* :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stage II & IV at same group ( p<0.05 )

# :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stage III & IV at same group ( p<0.05 )

(6)

루론산은 닭벼슬과 제대에서 추출하거나 박테리아를 이용하여 상품화 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고분자량은 6×1 06 Da, 저분자량은 0 . 5 - 1 . 2×1 06 D a으로 나누 며 정상관절액의 히야루론산 분자량은 4 . 5×1 06 D a 라고 한다4 . 1 4 ). 고분자량 히야루론산을 사용할 때 저 분자량에 비해 관절에서 오래 지속되며 상대적으로 효과가 좋다고 하며 주사횟수도 3번 정도 줄여 맞는 다고 한다1 6 ). 본 실험에 사용된 약제는 S t r e p t o c o c- cus zooepidermicus의 발효 추출물로 만든 저분자 량(1 MDa) 히야루론산이며 환자에게 5회 주사 투 여하였다.

동물실험에서 관절연골 절제 후나 전방 십자인대 제거후 관절내 히야루론산의 주입은 제1형 콜라겐의 증가, 연골의 수분 및 두께의 증가 등의 연골과 활액 막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2 0 ) 임상연구에서 도 히야루론산 투여 후에 동통의 억제효과와 효력의 기간이 6개월까지 지속되거나 1년까지도 효과가 있 다고 하였고6 ) Lohmander 등1 1 )은 단지 6 0세 이상의 심한 퇴행성 관절염환자에서 효과를 보았다고 하였 다. 본 연구에서도 환자의 증상완화 효과중에서 동통 의 효과가 가장 좋았다고 하였으며 9 2 . 4 %에서 전반 적인 증상의 호전을 보였고 마지막 추시기간인 2 7주 까지 7 5 . 5 %의 환자에서 약효지속의 효과가 나타났 으며 골관절염의 정도가 Kellgren 분류상 경도나 중 등도인 Ⅱ, Ⅲ 등급에서 동통, 기능도 및 활동도에서

의 효과가 있었고 심한 진행상태인 Ⅳ 등급에서는 효 과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위약 투여군에서는 Kellegren 등급간 비교시 통계적 유의 성있게 더 향상되는 군은 없었는데 모집단의 수가 충 분치 않은 것과도 유관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위약 군 증례를 보완 후 비교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 다.

관절내 투여된 히야루론산의 대사기간에 대해서는 Antonas 등3 )은 방사선표지 히야루론산을 관절내에 주입시 활액에는 2시간 후에 나타나 6시간 후에는 관절연골에 흡수가 되며 4일 후에 림프관을 통해 관 절강을 떠난다고 하였다. Jones 등9 )은 관절내 스테 로이드 투여군과 히야루론산 투여군의 효과를 서로 비교하였을 때 스테로이드를 슬관절에 투여한 경우 1주까지 히야루론산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5주까지는 히야루론산 투여군과 비슷한 효과를 보였 으나 약 5주~ 6개월까지는 히야루론산 투여군이 우 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고 발표하였다. Altman 등2 ) 은 관절내 히야루론산 투여군과 위약 투여군의 효과 를 비교하였을 때 5주부터 2 6주까지는 위약 투여군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고 발표하였다. 본 연 구에서도 히야루론산 투여후 약 5개월까지 동통과 기능에 있어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활동도에 있어 서도 호전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2 1주 이후 효과가 떨어지기 시작하였다. 위약 투여군도 동통과 기능에

FIGURE 3. Change of mean value of VAS, AI, TAS in relation to Femorotibial axis for injected patients (HA (n=53), PB (n=20)).

: (n=HA/PB)

* :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valgus & varus group ( p<0.05 )

# :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neutral & varus group ( p<0.05 )

(7)

있어 효과를 보았지만 모집단이 작으며 히야루론산 투여군이 위약 투여군보다 통증이나 활동능력에서 더 우수한 향상을 보였으나 향후 위약군에서 더 많은 증 례를 보완해서 이중 맹검법으로 정밀하게 분석해 보 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퇴경골 정 렬에 따른 효과을 비교해볼 때 중립 정렬군과 외반 정렬군이 내반 정렬군보다 유의성있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골관절염으로 인한 관절연골 손상이 내측 구획에서 주로 발생하였고 관절염의 이환이 오 래되거나 정도가 심해질 때 내반 변형되는 경우가 많 은 것과 관계가 될 것으로 생각되며 중립 정렬군과 외반 정렬군에서 Kellegren 분류상 경도나 중등도인 II, III 등급이 IV 등급보다 상대적으로 많았기 때문 이라 사료된다.

Wu 등2 3 )의 보고에 의하면 A R T Z을 이용한 연구

에서 5번의 주사후 1주 추시기간에 제일 많이 호전 되었다는 결과가 나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본인이 느 끼는 주관적인 증세의 호전은 3주째 제일 많은 경우 가 총 5 3명중 2 5명으로써 약 4 7 . 2 %를 차지했고 4주 (30.2%), 2주(15.1%) 순서였다.

부작용으로는 국소동통, 부종, 국소발적, 화농성 감염, 과민증이 있을수 있다고 하였는데 H e n d e r s o n 등8 )은 히야루론산으로 치료한 군에서 많게는 4 7 %의 환자에서 국소적 부작용이 있다고 보고하였으나 그 외 대부분의 저자들은 단지 1 ~ 3 %의 국소적 부작용 을 보고하고 있으며 국소적 동통을 호소하더라도 원 래있던 슬관절 동통은 호전하였다고 한다. 주사 주입 부에 따른 동통에 대해서는 Lussier 등1 2 )은 슬관절 의 내측으로 히야루론산액을 주입했을 경우가 제일 높았다고 하였으며 이 동통은 주사 주입부와 연관이 있다고 하였다. 저자들은 슬개골 상외측 주입을 이용 하였으며 히야루론산 투여군에서 8명인 1 5 %에서 국 소적 동통을 호소할뿐 전신적인 부작용은 없었으며 관절내 주사시 관절강을 찾기 힘들었던 경우로 국소 적 동통은 관절강 삽입 난이도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고 무균적인 방법으로 투여할 때화농성 감염 의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요 약

히야루론산 투여효과는 추시 3주경부터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나타났으며 경도 및 중등도 관절염군 (Kellegren II, III 등급)에서 그리고 중립 정렬군과 외반 정렬군이 내반 정렬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 p < 0 . 0 5 )있게 호전되었고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에 적절한 치료효과를 보지 못하거나 약제 부작용이 있

는 경우, 수술의 적응증이 되지 못하는 노인에서 한 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치료방법 중 하나라 고 생각된다.

REFERENCE

01) Altman R, Asch E, Bloch D, et al: Development of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and reporting of osteoarthritis. Classification of osteoarthritis of the knee. Diagnostic and Therapeutic Criteria Commit- tee of the American Rheumatism Association.

Arthritis Rheum, 29(8): 1039-1049, 1986

02) Altman RD and Moskowitz R: Intraarticular sodi- um hyaluronate(Hyalgan)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Hyalgan Study Group. J Rheumatol, 25(11): 2203-2212, 1998

03) Antonas KN, Fraser JR and Muirden KD: Distri- bution of biologically labelled radioactive hyaluron- ic acid injected into joints. Ann Rheum Dis, 32: 103- 111, 1973.

04) Dahl LB, Dahl IM, Engstrom Laurent A and Granath K: Concentration and molecular weight of sodium hyaluronate in synovial fluid from patient with rheumatoid arthritis and other arthropathies.

Ann Rheum Dis, 44: 817-822, 1985.

05) Dippe P: Osteoarthritis. Acta Orthop Acand, ( s u p p l 281) 69: 2-5, 1998

06) Douglass M, Nguyen M, Listrat V and Amore B:

High molecular weight sodium hyaluronate hyalectin osteoarthritis of the knee: a 1 year placebo- controlled trial. Osteoarthritis Cartilage, 1: 97-103, 1993.

07) Fukuda K and Dan H: Hyaluronic acid increase proteoglycan synthesis in bovine articular cartilage in the presence of IL-1. J Phamacology Exp Ther, 277: 1672-1675. 1992.

08) Henderson EB, Smith EC, Pegley F and Blake D R: Intraarticular injections of 750KD hyaluronan in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a randomized sin- gle centre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of 91 patients demonstrating lack of efficacy. Ann Rheum Dis, 53: 529 - 534, 1994.

09) Jones AC, Pattrick M, Doherty S and Doherty M:

Intraarticular hyaluronic acid compared to intraartic- ular triamcinolone hexacetonide in inflammatory

(8)

knee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Cartilage, 3: 269 - 273, 1995.

10) Lequesne MG, Mery C, Samson M and Gerard P: Index of severity for osteoarthritis of the hip and knee. Scan J Rheumatology,(suppl 65): 85- 89, 1987.

11) Lohmander LS, Dalen N, Englund G, et al : Intraarticular hyaluronan injections in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of the knee: a randomised,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Ann Rheu Dis, 55: 424-431. 1998.

12) Luissier A, Cividino AA and McFarline CA: Vis- cosupplementation with hylan for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findines from clinical practice in Canada. J Rheumatol, 23: 1579 - 1585, 1997.

13) Mankin HJ and Brandt KD : Pathogenesis of osteoarthritis. Textbook of Rheumatology. 4th ed, Philadelphia, WE Saunders Co: Vol 2. 1355-1384, 1993.

14) Marshall KW : Viscosupplementation for osteoarthritis: Current Status, Unsolved Issues, and Future Direction. J Rheum, 25:11 2056-2058, 1998.

15) McCarty MF: Enhanced synovial production of hyaluronic acid may explain rapid clinical response to high-dose glucosamine in osteoarthritis. M e d Hypotheses, 50: 507-510, 1998.

16) Namiki O, Toyoshima H and Morisakie N: Thera- peutic effect of intraarticular injection of high mole- cular weight hyaluronic acid on osteoarthritis of the knee, Int J Clin Pharmacol Ther toxicol, 20: 501-

507, 1982.

17) Pozo MA, Balazs EA and Belmonte C: Reduction of sensory responses to passive movements of inflamed knee joints by hylan, a hyaluronan deriva- tive. Exp Brain Res, 116: 3-9, 1997.

18) Rydell N and Balazs EA: Effect of intraarticular injection of the hyaluronic acid on the clinical symp- toms of osteoarthritis and on granulation tissue for- mation. Clin Orthop, 80: 25-32, 1971.

19) Song EG, Jung JY and Park JG: Effect of sodium hyaluronate(ARTZ) on osteoarthritis, Newest Med J.

35(3). 91 - 96, 1992.

20) Shimmizu C, Yoshioka M and Coutts RD: Long term effects of hyaluronan on experimental osteoarthritis in the rabbit knee. Osteoarthritis carti - lage, 6: 1-9, 1998.

21) Tegner Y and Lysholm J: Rating systems in the evaluation of knee ligament injury. Clin Orthop, 198: 43-49, 1985.

22) Willams JM, Plaza V, Hui F, Wen C, Kuetter KE and Homandberg GA: Hyaluronic acid suppresses fibronectin fragment mediated cartilage chondroly- sis. Ⅱ In vivo. Osteoarthritis Cartilage, 5: 235 - 240. 1997.

23) Wu JJ, Shih LY, Hsu HC and Chen TH: The dou- ble-blind test of sodium hyaluronate(ARTZ) on oateoarthritis knee. Zhonghua Yi Xue Za Zhi(Taipei), 59(2):99-106, 1997.

(9)

─ Abstract ─

Effect of the Hyaluronic Acid on Osteoarthritis of the Knee

Dong Chul Lee, M.D., Seung Hee Beak, M.D.,

Wook Jin Sohn, M.D., Kyu Sik Shin, M.D., and Jae Hyeung Han,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Taegu, Korea

Purpose: The Purpose was to evaulate the efficacy of sodium hyaluronate (HA) according to the degree of osteoarthritis, body mass index and tibiofemoral alignment.

Materials and Methods: 53 of 73 patients who had osteoarthritis of the knee were underwent intraar- ticular injection weekly for 5 weeks with hyaluronic acid (HA, hyruan®, MW:1MDa) and 20 of 73 patients with placebo (normal saline). The patients were followed for 27 weeks. Results were evaluated with visual analogue scale for pain, Lequesne algofunctional index for functional severity and Tegner activity score for activity. The degree of severity of osteoarthrtis of knee was stratified by Kellgren classi- fication.

R e s u l t s: In the group treated with HA, the patients classified as Kellgren classification II and III showed much better improvement in efficacy for pain, function and activity compared with group IV. In the femorotibial alignment, neutral and valgus alignment group showed better results than varus group.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knee pain and function between normal and overweight group.

Best symptomatic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subjective symptom revealed at 3 week in 25 patients (47.2%). Placebo treated patients had slight pain and improved functional perfomance but less effect in compared with HA treated patients.

Conclusion: Intraarticular administration of HA relieve the symptom of osteoarthritis and improve the function of knee joint. Especially, the patients classified with Kellgren classification II, III and valgus, neutral tibiofemoral alignmen groups showed much better improvement than grade IV and varus group.

Key Words: Knee, Osteoarthritis, Sodium hyaluronate

수치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Table 3. Change of mean value of VAS † , AI ‡ and TAS § according to injected matrials.
FIGURE 3. Change of mean value of VAS, AI, TAS in relation to Femorotibial axis for injected patients (HA (n=53), PB (n=20)).

참조

관련 문서

Schou S, Holmstrup P, Jørgensen T, Skovgaard LT, Stoltze K, Hjørting-Hansen E, Gundersen HJG: Implant surface preparation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Near field mixing charact erist ics of dischar ged w at er field u sing CORMIX m odel has been studied for effect iv e outfall design and indicat ed the result that variou s

-The square module stands free in the garden of the house as a canopy -consisted of a thin shell supported at each of its corners by equally thin reinforced concrete piers.

W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V/T(Vibration Time), V/T movement, expansion height, curing time, placing temperature, Rising and C/S ratio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adhesion control standards of pain relieving patch (PRP) drugs and to survey it′s adverse effects on the skin of patients

Methods: Eighty ASA physical status I and II pediatric patients (1~7 yea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I (Lactated Ringer`s solution, n=20), Group II

Dombret H, Sutton L, Duarte M, Daniel MT, Leblond V, Castaigne S, Degos L: Combined therapy with all-trans retinoic acid and high-dose chemotherapy in

Results: In this research, in the group with fibromyalgia patients group,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patients group and without systemic autoimmu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