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어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국어사"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국어사

제9-10주

자료를 통한 고대국어 이해하기

2009년 2학기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2)

우리말의 인명(人名), 지명(地名), 관명(官名) 등을 한자 의 표음적 기능(音讀字 사용)과 표의적 기능(訓讀字 사용)을 이용해 적은 표기. 대표적인 지명 표기로는 『三國史記』 지 리지 권34(신라 지명), 35(고구려 지명), 36(백제 지명), 37(고구려, 백제 지명)의 자료가 있다.

 蓋蘇文 或云蓋金(고구려), 居柒夫 或云 荒宗(신라), 赫居世 王 盖鄕言也 或作弗矩內王 言光明理世也(신라), 買忽 一云 水城(고 구려), 泗水縣本史勿縣(신라), 密城郡本推火郡(신라), 大阿 湌 或云 韓阿湌(신라)

《城》의 삼국어

[고구려어]*xul(‘忽’; 買忽:水城, 買旦忽:水谷城) [백제어]*ki(‘己’, ‘只’; 悅城:悅己, 儒城:奴斯只) [신라어]*cas(城叱)

고유 명사 표기(1)

(3)

 『三國史記』 地理 志 권34

※新羅 景德王 16년(757) 九州 地名의 改名(漢譯化)

■ 永同郡本吉同郡

■ 密城郡本推火郡

■ 管城郡本古尸山郡

■ 火王郡本比自火郡

一云比斯伐

고유 명사 표기(2)

(4)

 『三國遺事』 권3

猒髑 或作異次 或云伊處 方音之別也 譯云厭 也 髑頓道覩獨等 皆隨書者之便 乃助辭也 今 譯上不譯下 故云猒髑 又猒覩等也

고유 명사 표기(3)

(5)

‘이차돈’은 ‘이(李/異)’ 씨인가?

옛 사람들의 이름 적기[1]

이차돈 영정

출처: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blogId=72801&logId=3640469

이차돈 순교비

출처: http://blog.eduhope.net/song/?pid=186

(6)

‘이차돈’의 실제 표기

異次/伊處頓 (이차/이처돈)

猒髑 (염촉), 猒覩 (염도)

猒髑 或作異次 或云伊處 方音之別也 譯 云厭也 髑頓道覩獨等 皆隨書者之便 乃助 辭也 今譯上不譯下 故云猒髑 又猒覩等也

-『삼국유사』 권3 ‘猒髑滅身’ -

옛 사람들의 이름 적기[2]

(7)

音 → 音讀字(음독자) 천

漢字 〈

天 訓 → 訓讀字(훈독자) 하늘

異次/伊處 (이차/이처) → 音讀字(음독자)

猒 (염) → 訓讀字(훈독자)

髑/頓/道/覩/獨 → 조사(도와주는 말)

옛 사람들의 이름 적기[3]

(8)

음독자 ‘異次/伊處’ (이차/이처)

*잋

← 이(異/伊) + ㅊ(次/處)

훈독자 ‘猒’ (염)

*잋

※ 불인 고지 이츠며 게을어 (吹花困懶旁舟楫) <두시언해_초간 18:3>

∴ ‘ 이차돈’이라는 이름은 ‘번뇌에 찬 세상을 싫어 하는 사람’, 그래서 불교를 통해 해탈을 꿈꾸는 사 람 정도의 뜻을 지녔다고 봄직하다.

옛 사람들의 이름 적기[4]

(9)

한자의 음 과 뜻 을 이용해 적은 옛 사람들의 이름

居柒夫(거칠부) = 荒宗 (황종) *거츨

赫居世 (혁거세) = 弗矩內(불구내) * 뉘 조선 시대 노비 이름

옛 사람들의 이름 적기[5]

金突

光自里 栗音金

☞ 쇠돌

☞ 빗자리

☞ 밤쇠

(10)

넓은 의미: 차자 표기 전반

『大明律直解』_ 薛聰이 지은 方言文字를 吏道라고 한다

『帝王韻紀』_ 薛聰이 吏書를 지었다

『訓民正音』鄭麟趾 後序 _ 薛聰이 吏讀를 처음 만들었다

좁은 의미: 행정문서에 주로 쓰이는 실용적인 산문으로 한 문이 극도로 우리 식으로 고쳐진 것. 고유 명사 표기, 향찰, 구결 등을 제외한 차자 표기

 초기의 이두는 한문의 어순을 국어의 어순으로 바꾸어 표 기하는 정도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여기에 국어의 조사와 어미까지도 한자를 이용해 표기하는 양식으로 발전. 삼국시 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오랜 동안 사용된 문자체계

이두(1)

(11)

 壬申誓記石(552년 또는 612년)

壬申年六月十六日 二人幷誓記 天前誓 今自 三年以後 忠道執持 過失无誓 若此事失

天大罪得誓 若國不安大亂世 可容

行誓之 又別先辛未年七月卄二日大誓 詩尙書禮傳倫得誓三年

이두(2)

(12)

 大明律直解

중국 명나라의 형률서인 ≪대명률≫을 이두로 번역한 책. 30권 4책.

목판본. 원간 연대는 발문의 연대인 1395년(태조 4)으로 추정되나 원간본은 전하지 않는다. ≪대명률직해≫는 ≪대명률≫을 원문 그대 로 직해한 것이 아니고 조선의 실정에 맞도록 하였다. 때문에 우리 고 유의 용어와 표현이 적지 않다. 예컨대, 관제·관서명·직명·친족 호칭 을 조선의 명칭과 호칭으로 바꾸었다.

他人矣 四支乙 截割爲旀

(타인의 四肢를 截割하며)

이두(3)

(13)

 大明律直解

【奴婢毆家長】(권20:9-10)

▣ 凡奴婢毆家長者斬

凡奴婢亦 家長乙 犯打爲在乙良 並只斬齊

▣ 殺者皆凌遲處死

致殺爲在乙良 並只車裂處死齊

▣ 過失殺者絞

失錯殺害爲在乙良 絞死齊

이두(4)

(14)

 大明律直解

【奴婢毆家長】(권20:9-10)

▣ 傷者杖一百流三千里

有傷爲在乙良 杖一百遠流齊

▣ 若毆家長之期親及外祖父母者絞

家長矣 期親果 外祖父母乙 犯打爲在乙良 絞死齊

▣ 傷者皆斬

有傷爲在乙良 並只斬齊

※期親(=朞親): 조선 시대에, 만 1년의 복상(服喪)을 하는 친족. 중자녀(衆子 女), 맏며느리, 장손(長孫), 장증손(長曾孫), 장현손(長玄孫), 형제자매, 백부, 백모, 숙부, 숙모, 조카, 조카딸 등을 이른다.

이두(5)

(15)

 大明律直解

【奴婢毆家長】(권20:9-10)

▣ 過失殺者減歐罪二等

失錯致死爲在乙良 毆罪例良中 減二等齊

▣ 傷者又減一等

有傷者乙良 又減一等齊

▣ 故殺者皆凌遲處死

故殺爲在乙良 並只車裂處死齊

이두(6)

(16)

 大明律直解

【奴婢毆家長】(권20:9-10)

▣ 毆家長之緦麻親杖六十徒一年

家長矣 緦麻親屬乙 犯打爲在乙良 杖六十徒一年齊

▣ 小功杖七十徒一年半

小功親是去等 杖七十徒一年半

▣ 大功親杖八十徒二年

大功親是去等 杖八十徒二年齊

이두(7)

(17)

 大明律直解

【奴婢毆家長】(권20:9-10)

▣ 折傷以上緦麻加毆良人罪一等

折傷以上乙良 緦麻親是去等 犯打良人罪良中 加一等

▣ 小功加二等 大功加三等 加者加入於死 死者皆斬 小功親是去等 加二等 大功親是去等 加三等爲乎矣 加等罪亦 入於死爲去等 並只斬

이두(8)

(18)

참최(斬衰)

아버지나 할아버지의 상(喪)에 입는 것으로, 거친 베로 짓되 아랫단을 꿰매지 않고 접는다.

 재/자최(齊衰)

부모상에는 삼 년, 조부모 상에는 일 년, 증조부모 상에는 다섯 달, 고조부모 상에는 석 달을 입고, 처상(妻喪)에는 일 년을 입었다.

대공(大功)

대공친(종형제, 출가 전의 종자매, 중자부, 중손, 중손녀, 질부, 남편의 조부모, 남편의 백숙부모, 남편의 질부와 같은 겨레붙이)의 상사에 9개월 동안 입는 복 제(服制)로, 굵은베로 지었다.

소공(小功)

소공친(종조부모, 재종형제, 종질, 종손 등을 통틀어 이름)의 상사(喪事)에 다 섯 달 동안 입는 복제로 상복은 약간 가는 베로 빨아 다듬어 짓는다.

 시마(緦麻)

가는 베로 만들며 종증조, 삼종형제, 중현손(衆玄孫), 외손, 내외종 따위의 팔 촌 친족의 상사(喪事)에 석 달 동안 입는다.

五服

(19)

11C 이두 자료: 석가탑 墨書紙片

http://www.kgmaeil.net/news/articleView.html?idxno=147735

(20)

고유명사 표기 방법에 이두 표기 방법을 결합시켜 국어의 의미부와 형태부 모두를 전면적으로 표기한 차자표기의 완성 단계

 향가 25수의 표기에 사용. 대개 명사나 동사의 어간과 같 은 실사(實辭)는 한자의 훈을 이용하고, 조사나 어미와 같은 허사(虛辭)는 한자의 음을 이용하는 방식

 이른바 말음첨기(末音添記)라 하여 훈독되는 글자 뒤에 음 독자를 덧붙여 줌으로써 그것이 나타내는 단어에 대한 어형 적인 정보를 제공

cf. 道尸, 心音, 夜音, 憂音, 雲音, 川里, 城叱, 折叱可, 逐于, 見昆, 置古

향찰(1)

(21)

生死路隱 生死 길은

此矣有阿米次肹伊遣 예 있으매 머뭇거리고,

吾隱去內如辭叱都 나는 간다는 말도

毛如云遣去內尼叱古 못 다 이르고 어찌 갑니까.

於內秋察早隱風未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此矣彼矣浮良落尸葉如 이에 저에 떨어질 잎처럼,

一等隱枝良出古 한 가지에 나고

去奴隱處毛冬乎丁 가는 곳 모르온저.

阿也 彌陁刹良逢乎吾 아아, 彌陀刹에서 만날 나

道修良待是古如 道 닦아 기다리겠노라.

- 김완진(1980) 해독 -

향찰(2)

 祭亡妹歌

참조

관련 문서

Asian Pacific Cancer Congress(APCC)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ASCO)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ASH) European Hamatology Association(EHA) European

Asian Pacific Cancer Congress(APCC),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ASCO),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ASH), European Hamatology Association(EHA),

○ 식품 관련 경제 주체들에 영향을 주는 외부 요인은 사회경제적 요인 및 전 지구적 환경 요인으로 구성, 이 중 외부요인들은 식품시스템 내 경제주체의 활동과 식량안보,

염분차발전 해수와 담수의 염분 차이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 바다와 강이 만나는 곳에서 발전소 건설 미생물 전기분해전지 해수와 담수의

지그는 영국에서 발생된 춤곡으로 프랑스 양식과 이태리 양식으로 구별된다.. 마디 41부터 전반부의 종지까지 G Major로 전개된다. 종지를 향한 선율은

물은 흐르고 움직입니다.. 시간이

표 고용안정센터의 서비스 제공 내용에 대한 견해 표 진로개발 관련 기관의 유용성에 대한 의견 표 우리 나라의 직업 및 고용시장 전망에 대한 견해 표 변화하는

표 음식료품산업 고용수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