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華城城役儀軌』에 보이는 德樑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華城城役儀軌』에 보이는 德樑에 관한 연구"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 한건축 학회 학술 발표대 회 논문집 제27권 제1호(통권 제51집) 2007.10.26-27

- 609 -

『華城城役儀軌』에 보이는 德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okrang of Hwaseongseongyeoguigwe

○정 문 식* 한 동 수**

Jung, Moon-Sig Han, Dong-Soo

………

Abstract

The term of Deokrang(德樑) is only searched on Hwaseongseongyeog-uigwe(華城城役儀軌) among the all kinds of Yenggeon-Uigwe(營建儀軌). According to Hwaseongseongyeog-uigwe, Deokrang is the timber which used in 9 buildings, South-Gongsimdon(南空心墩), Southeast-Gakru(東南角樓) and Northeast-Poru(東北舖樓) etc. These building have the common features. The common features are the small size of buildings and the use of Chunyeo. This study is progressed on the analysis of the function and the form of Deokrang in the above-mentioned building, also, on the investigation of the Deokrang, how the term was changed and what is the application of Deokrang.

………

키워드 :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덕량(德樑) Keywords : Hwaseongseongyeoguigwe, Deokrang

………

1. 서 론

1.1.연구의 배경 및 목적1)

전통목조건축물의 뼈대를 이루는 부재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기둥, 보, 도리 그리고 서까래이다. 이러한 주 요부재들은 그 중요성을 대변하듯 기능과 형태에 따라 다양한 명칭이 기록상에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 히 보의 경우 지금은 크게 (대들)보, 충량, 퇴량, 맞보, 중 보, 종보와 같이 위치상 6가지정도로 구분하여 부르고 있 으나, 조선시대에 작성된 의궤서에는 적게는 7가지의 명 칭부터 많게는 12가지 정도로 세분하여 사용했다.1)

이처럼 보를 지칭하는 명칭이 시기별로 다양하고, 세분 화되어 있어서 동시대 혹은 하나의 기록안에서도 각각의 명칭을 혼동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나타난다.2) 더욱이 현 재 사용하는 명칭이 과거 기록 속의 명칭과 상이하여, 옛 기록 속에 나타나는 부재가 현재는 어떤 것을 지칭하고 무엇을 의미하는지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다. 특히 「德 樑」이라는 보 부재 명칭은 현재 사용하지 않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지금까지 알려진 여러 종류의 의궤서중에서도

『華城城役儀軌』에서만 유일하게 나타나고 있어 정확히 무엇을 지칭하는 것인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고는 󰡔화성성역의궤󰡕상에 나타나는 德樑의 기능과 형태를 분석하여, 德樑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1.2. 연구의 방법 및 대상

『華城城役儀軌』에서 덕량이라는 명칭은 券5, 6「實 入」부에서 나타나는데, 총 37동의 건축물중 9동3)에서만 * 한양대 대학원 석사과정 수료

** 한양대 건축학과 부교수, 공학박사

1) 김동욱, 김경표, 이왕기, 박명덕, 「조선시대 건축용어 연구」, 대한 건축학회논문집 6권3호, 1990년

2) 이연노, 주남철, 조선시대 영건의궤에 기재된 충량과 퇴량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7권12호, 2001년

쓰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덕량이라는 명칭이 나 타나는 9동의 건축물을 대상으로 각 건물에 사용된 부재 의 정보(명칭과 수량, 규격)와 「圖說」의 내용을 분석하 여 덕량이라는 부재가 어디에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살펴 보며, 2차적으로 덕량이 사용된 건축물과 동일한 형태이 지만 덕량이라는 부재의 명칭이 나타나지 않는 5개의 건 축물4)을 분석하여, 용어의 혼기여부를 검토하도록 한다.

2 『華城城役儀軌』상의 보의 분류

『華城城役儀軌』「實入」에는 平樑, 大樑, 宗樑, 衝樑, 退樑, 德樑, 曲樑 등 7개의 명칭이 보인다. 이들에 대해 기존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정의를 내려보면 다음과 같 다.

2.1. 樑, 大樑, 宗樑

平樑은 기둥과 기둥사이에 걸쳐지는 일반적인 작은 보 이고, 大樑은 단면이 크고 길이가 길어 비교적 대규모의 건축물에 사용되는 것으로 평량 중에서도 대형의 것을 부르는 명칭이다. 宗樑은 보의 위치상 분류에서 최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3가지 명칭은 현재와 큰 의미차이 없이 사용되는 명칭이다.

2.2. 衝樑, 退樑

衝樑은 蒼龍門, 西北空心墩 등과 같이 우진각지붕이나 팔작지붕을 취하고 있는 건축물에서 한 쪽은 大樑(혹은 平樑)에 걸리고 다른 한 쪽은 측면의 기둥상부에 大樑(혹 은 平樑)과 직각으로 걸려 측면지붕의 하중을 받는 부재 로 전반적으로 현재의 개념과 동일하게 사용되었다. 그러 나 西將臺에서는 지금의 퇴량 개념으로 충량을 표기하고 있으며, 몇 개의 砲樓건물에서는 같은 기록에서 나오는

3) 西南暗門 舖舍, 西將臺, 南空心墩, 東南角樓, 西南角樓, 東北舖樓, 西舖樓, 東二舖樓, 北水門

4) 北東砲樓, 北西砲樓, 南砲樓, 東砲樓, 北舖樓

(2)

- 610 - 德樑이라는 명칭을 가진 부재의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충량이라는 명칭이 퇴량이나 덕량과 혼동되고 있거 나, 아니면 퇴량과 덕량을 포함하는 상위개념의 명칭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退樑은 퇴칸을 형성할 때 외진기둥과 내진기둥사이에 걸쳐지는 보로 현재의 개념과 거의 동일하게 사용되었으 나 東將臺에서처럼 결구양상이 현재의 결구법과는 다르 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2.3. 德樑

德樑이라는 명칭은 현재 사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다음 과 같은 세 가지 견해가 제시된 바 있다.

첫째, 장기인은 “고미다락 밑에 건 보, 고미보. 더그메 보, 떡보의 차자. 한 쪽은 보 또는 도리에 걸치고 다른 한 쪽은 동자기둥 또는 대공에 건 보. 떡보, 고미받이보 따위.

한편은 도리 위에 걸치고 다른 한 편은 종보 또는 동자주 에 물리는 휨한 보.”5)라고 정의하였다.

둘째, 이연노는 “보가 기둥 상부에 얹히지 못하는 경우 에 사용되는 보로 한쪽 혹은 양쪽을 도리 상부에 결구하는 보를 칭한다.”6) 라고 하였다.

셋째, <화성성역의궤 건축용어집>에는 “덕량은 기둥 상 부에 제대로 된 보를 얹지 못하는 상황에서 주심도리 위 에 얹어 결구한 보의 일종이다.”7) 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상에서의 정의를 종합해보면 “덕량은 기둥이 지지되 지 않는 상황에서 도리위에 결구되는 보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덕량은 단칸 건물일 경우에는 건물을 가로질러 양끝의 도리위에 걸쳐 사용되고, 다칸의 건물일 경우는 한 쪽이 보에 걸리고 다른 한 쪽은 도리 위에 걸 쳐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2.4. 曲樑

曲樑은 곧지 않고 굽은 형상을 취하는 보로 長安門과 八達門의 守門廳, 東北空心墩에서 각각 1개씩 사용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한 쪽은 종도리 위치인 臺工상부에 걸쳐 지고 다른 한 쪽은 도리에 걸쳐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3. 德樑이 사용된 건물의 실례 3.1 西南暗門 舖舍

西南暗門 舖舍는 경계병이 머무르는 곳으로 민도리형식에 우진각지붕이다. 實入에 기록된 주요 부재의 수량과 명칭은 표1과 같으며 보의 명칭은 德樑만 보인다.

平柱 4개로 사방 1칸을 이루며 德樑은 추녀를 받기위 해 그 양쪽 끝이 舖舍 양측면의 道里 상부에서 결구된다.

추녀 뒷뿌리를 안정적으로 받기위해 蠅頭를 사용했으며 道里와 春舌 뒷뿌리까지의 높이 차이를 감안하여 직재가 아닌 곡재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부재명 圖說

平柱(4) 長7.5 道里(4) (2)長9.5

(2)長7

德樑(1) 長9

春舌(4) 長12

蠅頭(2)  

馬足椽(82)  

* ( )안은 수량 표시.

표 1. 西南暗門(舍)의 주요 부재 實入과 圖說

5) 장기인, 한국건축사전, 보성각, 1998년(재판). 95쪽, 383쪽 6) 이연노, 영건의궤로 고찰한 목구조 부재 용어의 해석과 그 의미,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2006년. 307쪽

7) 경기문화재단, 화성성역의궤 건축용어집, 경기문화재단, 2007년. 124쪽

3.2 西將臺

군사들을 지휘하는 곳으로 정방형의 하층 9칸 중 가운 데 1칸에 세운 4개의 高柱가 상층을 형성하는 겹처마 사 모지붕이다. 實入에 기록된 주요 부재의 수량과 명칭은 표2와 같다.

하층에 사용된 衝樑은 高柱와 平柱사이에 결구되는 것 으로 현재의 퇴량으로 볼 수 있다. 사방 1칸의 상층에서 德樑의 양쪽이 道里의 중앙부에 결구되고 半道里 4개는 井 자으로 왕찌 맞춤한 다음 德樑 상부에서 春舌와 4면의 서 까래를 받는 중도리로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부재명 부재명 圖說

高柱(4) 長20, 徑1.6 扇子椽(88) 下層平柱(12) 長7, 徑1.6 浮椽(149)

衝樑(8) 長7.5, 高1.4 昌防(4) 長13, 高1.1 昌防(8) 長13, 高1.1 道里(4) 長13, 徑1.1 夾間昌防(8) 長6.5, 高1.1 半道里(4)  

道里(8) 長13, 徑1.1 長舌(4) 夾間道里(8) 長7.5, 徑1.1 德樑(1)

長舌(8) 春舌(4) 長12

夾間長舌(8) 蛇羅(4)

春舌(4) 長15 長椽(35) 長11

蛇羅(4) 扇子椽(88)

長椽(53) 長11 浮椽(130)  

* ( )안은 수량 표시.

표 2. 西將臺의 주요 부재 實入과 圖說

3.3 南空心墩

南空心墩은 일종의 망루로 내부에 사람이 들어가서 주 변을 살피고 또 적의 공격에 맞설 수 있게 한 건물로 단 칸 민도리형식에 우진각지붕으로 實入에 기록된 주요 부 재의 수량과 명칭은 표3과 같다.

德樑의 양끝은 西南暗門 舖舍와 동일하게 道里 상부에 걸쳐지고 길이가 짧은 4개의 道里가 井자로 결구되어 德 樑이 지붕하중을 안정적으로 받게 하였다.

부재명 圖 說

上層方柱(4) 長8.5 德樑(1) 長10 道里(8) (4)長10

(4)長3 春舌(4) 長12 馬足椽(64)

* ( )안은 수량 표시.

표 3. 南空心墩의 주요 부재 實入과 圖說

3.4 東南角樓

東南角樓는 적의 통태를 살피기 위한 건물이다. 方柱 7 개가 ㄷ자로 배치되는, 성 안쪽의 전면이 1칸이고 나머지 3면이 2칸인 민도리형식에 우진각지붕 건물로 實入에 기 록된 주요 부재의 수량과 명칭은 표4와 같다.

부재명 부재명 圖說

方柱(7) 長12.5 德樑(1) 長7 平樑(1) 長14 宗樑(2) 長4.5

衝樑(1) 長7 春舌(4) 長14

道里(12)

(1)長14 (9)長8 (2)長6

臺工(6) 長椽(38) 短椽(26) 馬足椽(56)

* ( )안은 수량 표시.

표 4. 東南角樓의 주요 부재 實入과 圖說

양 측면의 가운데 方柱와 方柱사이에 平樑이 결구되고

(3)

- 611 - 衝樑은 배면의 가운데 方柱와 平樑의 중앙에 걸쳐지고

德樑은 기둥이 없는 전면의 긴 道里의 상부에서 平樑에 걸쳐 결구되는 것으로 보인다.

3.5 西南角樓(華陽樓)

용도(勇道)에 위치하는 팔작지붕의 건물로 實入에 기록 된 주요 부재의 수량과 명칭은 표5와 같다. 9개의 方柱가 ㄷ자로 배치되어 圖說에서 합각이 보이는 쪽이 전면이다.

전면은 배면과 다르게 중앙에 기둥을 쓰지 않고 팔작지 붕의 합각을 형성했다.

양 측면의 方柱와 方柱사이에 걸쳐진 각각의 平樑 중 앙 부분에서 衝樑은 배면의 기둥에 걸쳐지고 德樑은 衝 樑과 대칭되는 전면의 긴 道里상부에 결구된다. 德樑은 臺工과 외기도리로 전달되는 합각부분의 하중을 받는 충 량과 동일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기둥유무의 확연한 차이 를 가지고 있다.

부재명 부재명 圖說

方柱(9) 長8.5 昌防(1)   平樑(2) 長15 童子柱(4)   衝樑(1) 長8.5 臺工(4)   德樑(1) 長8.5 春舌(4) 長15 宗樑(2) 長8 長椽(45)   道里(14) (1)長15

(13)長8.5

短椽(24)   扇子椽(84)  

半道里(4)   朴工(4)  

長舌(14)   木只椽(30)   半長舌(4)   散子板(4)

* ( )안은 수량 표시.

표 5. 西南角樓(華陽樓)의 주요 부재 實入과 圖說

3.6 東北舖樓(角巾臺)

舖樓는 치(雉)위에 있는 군사를 보호하기 위한 건물이 다. 東北舖樓는 민도리형식에 팔작지붕으로 實入에 기록 된 주요 부재의 수량과 명칭은 표6과 같다.

實入에는 方柱가 7개로 기록되어 있고 圖說에서는 기 둥으로 볼 수 있는 것이 9개가 표현되어 있는데, 이것은 小礎石이 7개 사용된 기록으로 보아 內圖에서 전돌층계 양 옆에 세워진 것은 기둥이 아니라 판문을 내기위한 벽 선으로 보인다. 平樑 1개가 양측면의 가운데 기둥 사이에 걸쳐지고 衝樑은 배면의 가운데 方柱에서 平樑로 걸쳐지 며 德樑은 전면의 긴 道里 상부에서 平樑으로 걸쳐진다.

부재명 圖說

方柱(7) 長12

平樑(1) 長12

德樑(1) 長8

衝樑(1) 長8

道里(12) (1)長12, (4)長8 (3)長7, (4)長6

臺工(6)  

春舌(4) 長15

長椽(42)  

短椽(16)  

馬足椽(56)  

虛家椽(12)  

朴工(4)  

散子板(4)  

* ( )안은 수량 표시.

표 6. 東北樓(角巾臺)의 주요 부재 實入과 圖說

3.7 西舖樓

「圖說」에서는 東北舖樓와 제도가 같다고 하였는데, 圓柱를 사용한 점과 합각을 구성하는 부재가 없다는 점 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부재는 7개의 기둥이 ㄷ자로 배치되는 東北舖樓와 동일하게 구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實入에 기록된 주요 부재의 수량과 명칭은 표7과 같다.

부재명 부재명

圓柱(7) 長11.5 臺工(6)  

平樑(1) 長14.5 春舌(4) 長15

德樑(1) 長7.5 長椽(42)  

衝樑(1) 長7.5 短椽(20)  

道里(12) (1)長14.5 (7)長8, (4)長7

馬足椽(56)  

虛家椽(16)  

* ( )안은 수량 표시.

표 7. 西樓의 주요 부재 實入

3.8 東二舖樓

「圖說」에 그림이 생략되어있어 지붕형식은 實入의 기록 중 합각부의 구성부재인 朴工 등이 없고 4개의 春 舌만 보여 우진각지붕으로 추정할 수 있다. 實入에 기록 된 주요 부재의 수량과 명칭은 표8과 같다.

6개의 圓柱가 日자로 배치되는 전면 1칸, 측면 2칸의 건물이다. 2개의 德樑은 각각 전후면의 道里위에 한쪽이 결구되고 다른 한쪽이 平樑에 걸쳐지는 것으로 보았다.

부재명 부재명

圓柱(6) 長11.5 長舌(1)  

平樑(1) 長14 臺工(6)  

德樑(2) 長8 春舌(4) 長14

道里(11) (2)長14 (7)長8, (2)長5.5 

長椽(22)  

馬足椽(56)  

* ( )안은 수량 표시.

표 8. 東二樓의 주요 부재 實入

3.9 北水門(華虹門)

전면 3칸, 측면 2칸의 익공 팔작지붕이며 實入에 기록 된 주요 부재의 수량과 명칭은 표9와 같다.

圖說과 같이 平柱가 외부에 배치되고 高柱는 내부 중 앙에서 전면 혹은 배면 쪽으로 이주(移住)하여 배치된다.

高柱에 大樑과 退樑이 마주하여 전후면의 平柱에 걸쳐지 고 德樑은 측면지붕을 받기위해 한 쪽은 大樑에, 다른 한 쪽은 측면의 가운데 平柱에 결구되는 衝樑과 혼기된 것 으로 보인다.

부재명 부재명 圖說

高柱(2) 長10.5 夾間長舌(12) 平柱(10) 長7.5 臺工(6)

大樑(2) 長12 童子柱(2)

德樑(2) 長12 蛇羅(4)

退樑(2) 長7 長椽(69)

宗樑(2) 長4 短椽(56)

昌防(7) 長13 扇子椽(88) 夾間昌防(6) 長12 浮椽(165)

道里(9) 長13 朴工(4)

夾間道里(12) 長12 散子板(4)

長舌(9)   木只椽(26

春舌(4) 長15

* ( )안은 수량 표시.

표 9. 北水門(華虹門)의 주요 부재 實入과 圖說

4. 德樑의 혼기 사례 4.1 北東砲樓, 北西砲樓

砲樓는 화포로 적을 대응할 수 있게 한 건축물이다. 두 砲樓는 實入의 모든 내용에서 세 가지 부재만 원재목이

(4)

- 612 - 다를 뿐 수량, 길이가 모두 같으므로 동일한 모습의 건물

이라고 할 수 있겠다. 實入에 기록된 주요 부재의 수량과 명칭은 표10과 같다.

지붕의 한 쪽은 맞배지붕, 다른 한 쪽은 우진각지붕을 하고 있다. 방어적인 이유로 배면에 우진각지붕을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배면에서 平樑과 道里의 수량이 중복되었 다고 생각된다. 이는 소규모의 민도리집이라는 점, 양쪽 지붕이 서로 다른 것과 보와 도리의 위치관계 등에서 원 인을 찾을 수 있다.

8개의 圓柱가 目자로 배열되고 각 측면 圓柱와 圓柱사 이에 결구되는 平樑에서 직각으로 배면의 道里상부에 결 구되는 德樑이 衝樑으로 혼기된 것으로 보인다.

부재명 부재명

上層圓柱(8) 長9.5 春舌(2) 長15

平樑(4) 長13 長椽(46)  

衝樑(1) 長7.5 短椽(40)  

宗樑(3) 長5 馬足椽(32)  

道里(13) 長7.5 朴工(2)  

半道里(4)   木只椽(27)  

童子柱(6)   散子板(2)  

臺工(4)  

* ( )안은 수량 표시.

표10. 北東砲樓 및 北西砲樓의 주요 부재 實入

4.2 南砲樓, 東砲樓

두 砲樓는 사용된 부재와 수량은 같고, 길이에만 작은 차이가 있어 동일한 모습의 건축물이라고 생각된다. 實入 에 기록된 주요 부재의 수량과 명칭은 표11과 같다.

8개의 圓柱가 目자로 배열되고 平樑은 측면의 圓柱와 圓柱사이에 결구된다. 1칸의 전면과 배면의 道里 상부에 서 平樑과 결구되는 德樑이 衝樑으로 혼기된 것으로 보 인다.

부재명 尺(南砲樓) 尺(東砲樓) 圖說

上層圓柱(8) 長9.5 長10

平樑(2) 長13 長15

衝樑(2) 長7 長8

宗樑(2) 長4.5 長5

道里(13) (2)長13 (11)長7

(2)長15 (11)長8

半道里(4)    

童子柱(4)    

臺工(4) 長15 長15

春舌(4)    

長椽(52)    

短椽(40)    

馬足椽(56)  

* ( )안은 수량 표시.

표11. 南砲樓 및 東砲樓의 주요 부재 實入과 圖說

4.3 北舖樓

전면이 3칸, 나머지 면은 2칸이며 평면의 중심에 기둥 하나가 더 배치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實入에 기록 된 주요 부재의 수량과 명칭은 표12와 같다.

4개의 平樑은 각각 한쪽이 가운데 기둥에 결구되고 다 른 한 쪽은 각 면에 걸쳐 전체적으로 十자 모양을 이룬 다. 그러나 전면으로 걸리게 되는 平樑은 기둥에 제대로 결구되지 못하고 道里에 결구되는 것으로 판단되어 德樑 의 혼기로 보인다.

부재명 圖說

圓柱(10) 長11.5

平樑(4) 長8

道里(12) (5)長10, (7)長8

半道里(2)  

臺工(6)  

蠅頭(2)  

春舌(4) 長15

長椽(50)  

短椽(20)  

馬足椽(56)  

虛家椽(12)  

朴工(4)  

* ( )안은 수량 표시.

표12. 北樓의 주요 부재 實入과 圖說

5. 결 론

앞에서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德樑」의 명칭은 고미받이의 잘못된 표현인 떡 보의 차자로 표기되었다. 德樑은 고미받이와 유사하게 사 용되지만 지붕가구를 받는 등 기능과 형태가 구분되고 오히려 지금의 충량 기능에 가깝게 쓰여 졌다. 그러나 기 둥의 유무에 따른 결구위치의 차이가 있어 衝樑과도 구 분이 된다. 18세기 후반 이후로 보의 용어가 축소․정리 되는 경향8)으로 德樑의 명칭은 기능과 형태가 유사한 衝 樑으로 혼기되다가 통합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둘째, 德樑의 결구는 건축물의 규모가 단칸인 경우는 양 쪽 모두가 도리 위에서 이뤄지며, 다칸인 경우 한 쪽 은 보에, 다른 한 쪽은 보에서 직각으로 처마도리 위에서 이뤄진다.

셋째, 보가 기둥에 제대로 걸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德樑이 도리에 결구는 상황을 유도하는, 즉 감주(減柱)하 는 한 방법으로 德樑이 사용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외부 의 기둥을 감주하는 보기드믄 경우에 속한다. 이런 감주 가 나타나는 건물은 東南角樓, 西南角樓, 東北舖樓, 西舖 樓이며 모두 전면을 2칸에서 1칸으로, 기둥 1개를 감주하 고 있다. 비록 규모가 작은 건물에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감주의 의지가 확연히 드러나는 부분이다.

참고문헌

1. 화성성역의궤 국역증보판, 경기문화재단, 2005년 2. 화성성역의궤 건축용어집, 경기문화재단, 2007년 3. 경기도, 수원성복원정화지, 1980년

4. 장기인, 한국건축사전, 보성각, 1998년

5. 김동욱, 김경표, 이왕기, 박명덕. 조선시대 건축용어 연구, 대 한건축학회논문집6권3호 통권29호. 1990년

6. 이연노, 팔작지붕의 가구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 획계 17권3호(통권149호), 2001년

7. 이연노, 주남철. 조선시대 영건의궤에 기재된 충량과 퇴량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7권12호, 2001년 8. 이연노, 영건의궤로 고찰한 목구조 부재 용어의 해석과 그

의미,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2006년 9. 이연노, 한국전통목조건축의 보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02년

8) 김동욱, 김경표, 이왕기, 박명덕, 앞의 논문, 11쪽

참조

관련 문서

특히 , 식품업계와 같이 NCD 대응을 위 하여 발전적 협력이 요청되는 업계도 있으나 주류업계와 같이 협력에 상당한 제한이 따르는 업계도 있으며 담배업계와 같이 WHO 나 GCM

9-10 show the amount of hydrogen and power according to the flight time when the perfor- mance of the WE systems is changed and the weight and wing area are fixed. 9

President Rodrigo Duterte is pushing through with his trip to South Korea this month to attend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Republic of

The Philippines expects to sign at least 3 agreements with South Korea when President Rodrigo Duterte meets with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on Monday afternoon, according

In terms of the conceptual quest for regional commonality and identity, the most visible difference between these volumes and Keck’s paper is whereas the former delve into

The histrorical recordings of Korean Theater in general has been improved due to growing educations of staffs and actors through theatre associated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dex values and qualitative․quantitative evaluation elements and the distinction ability of the journals' registration condition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