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축산물 수출입동향 2022년 4분기 (제10권 제4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Share "농축산물 수출입동향 2022년 4분기 (제10권 제4호)"

Copied!
4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농축산물 수출입 동향

요약

I 농식품 수출입 개황 II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2022 4 분기

제10권 제4호(통권 제40호)

(2)

국가1) (FTA 발효일)

2022년 교역 규모(백만 달러)2)

주요 교역 농축산물

전체 농식품

수입 수출 수입 수출

칠레 (2004.4.1.)

6,813 (20)

1,511 (30)

826 (12)

18 (28)

수입: 돼지고기, 포도, 포도주, 체리, 크렌베리 수출: 커피조제품, 기타음료, 라면, 기타 과실 싱가포르

(2006.3.2.)

10,348 (14)

20,216 (9)

218 (19)

166 (12)

수입: 초콜릿, 기타 코코아조제품, 코코아분말, 마가린 수출: 딸기, 라면, 자당, 맥주, 커피조제품, 김치 EFTA

(2006.9.1.)

5,241 (24)

1,996 (27)

211 (20)

7 (43)

수입: 커피, 초콜릿, 커피조제품, 물, 치즈 수출: 라면, 기타 베이커리제품, 기타 음료 ASEAN

(2007.6.1.)

82,539 (2)

124,922 (2)

7,043 (2)

1,874 (1)

수입: 팜유, 바나나, 기타 과실, 닭고기 수출: 라면, 궐련, 물, 닭고기, 딸기 인도

(2010.1.1.)

8,899 (16)

18,875 (10)

929 (11)

70 (17)

수입: 참깨, 당밀, 잎담배, 커피, 대두, 옥수수 수출: 채소종자, 라면, 커피조제품, 기타 음료 EU

(2011.7.1.)

68,186 (4)

68,110 (4)

6,257 (3)

447 (6)

수입: 돼지고기, 포도주, 치즈, 밀, 맥주, 초콜릿 수출: 라면, 기타 음료, 물, 새송이버섯, 김치 페루

(2011.8.1.)

2,846 (28)

778 (38)

236 (18)

8 (39)

수입: 포도, 망고, 아보카도, 커피, 브라질넛, 바나나 수출: 라면, 채소 종자, 리큐르, 효소, 기타 음료 미국

(2012.3.15.)

81,772 (3)

109,810 (3)

10,740 (1)

1,204 (4)

수입: 쇠고기, 옥수수, 돼지고기, 밀, 대두 수출: 궐련, 라면, 기타 음료, 기타 베이커리제품, 배 튀르키예

(2013.5.1.)

1,389 (36)

7,723 (14)

130 (25)

36 (22)

수입: 기타 과실, 캔디, 잎담배, 헤이즐넛, 초콜릿 수출: 잎담배, 커피조제품, 채소종자, 쌀 호주

(2014.12.12.)

44,908 (6)

18,764 (11)

3,924 (5)

194 (10)

수입: 쇠고기, 사탕수수당, 밀, 면양고기, 보리 수출: 라면, 커피조제품, 기타 베이커리제품, 곡류조제품 캐나다

(2015.1.1.)

8,537 (18)

7,840 (13)

1,480 (9)

148 (13)

수입: 돼지고기, 밀, 쇠고기, 보리, 대두, 커피, 귀리 수출: 라면, 커피조제품, 아이스크림, 기타 베이커리제품 뉴질랜드

(2015.12.20.)

1,856 (31)

3,490 (21)

1,307 (10)

44 (18)

수입: 키위, 치즈. 쇠고기, 녹용, 버터

수출: 라면, 곡류조제품, 커피조제품, 김치, 새송이버섯 중국

(2015.12.20.)

154,573 (1)

155,778 (1)

5,684 (4)

1,289 (3)

수입: 기타 채소, 쌀, 김치, 고추, 당면 수출: 라면, 자당, 조제분유, 기타 음료, 홍삼 베트남

(2015.12.20.)

26,726 (9)

60,972 (5)

1,909 (8)

661 (5)

수입: 기타 과실, 캐슈너트, 쌀, 커피, 타피오카, 후추, 고추 수출: 닭고기, 기타 음료, 궐련, 과당, 조제분유, 라면 콜롬비아

(2016.7.15.)

815 (40)

940 (35)

255 (17)

8 (38)

수입: 커피, 바나나, 커피조제품, 카네이션, 기타 절화 수출: 우황, 기타 음료, 기타 과실, 고추장, 선인장, 라면

중미 5개국 1,032

(37)

1,813 (28)

200 (22)

38 (20)

수입: 사탕수수당, 커피, 바나나, 알로애액즙 수출: 궐련, 기타 음료, 라면, 단일과실조제품

영국 5,776 6,341 391 70 수입: 위스키, 커피, 돼지고기, 초콜릿, 치즈

(3)

수입 동향

2022

년 농식품 수입액은 전년 대비

15.5%

증가한

484

1

천만 달러

, FTA

체결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12.9%

증가한

402

3

천만 달러임

.

수입액이 크게 증가한 국가는 우크라이나

(5

8

천만 달러

)

와 아르헨티나

(23

2

천만 달러

)

로 옥수수 수입량 증가와 수입단가 상승으로 수입액이 전년 대비 각각

191.3%, 49.4%

증가함

. COVID-19,

유가 및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대부분 품목의 수입단가가 상승함

.

수출

동향

2022

년 농식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2.4%

증가한

87

7

천만 달러

, FTA

체결국으로의 수출액은

2.2%

증가한

70

2

천만 달러임

.

수출액이 크게 증가한 국가는 몽골

(1

1

천만 달러

)

과 아랍에미리트 연합

(2

3

천만 달러

)

으로 전년 대비 각각

28.5%, 15.0%

증가함

.

두 국가로 수출액이 증가한 주요 품목은 라면

,

맥주

,

궐련 등임

.

축산물

2022

년 쇠고기 수입량

(47

5

천 톤

)

은 전년 대비

1.2%

증가함

.

이는

2

분기까지 수입단가 상승과 국내 생산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던 수입량이

7

월 이후

0%

의 할당관세 적용에 따라 증가했기 때문임

.

돼지고기 수입량

(54

3

천 톤

)

은 전년 대비

25.7%

증가함

.

이는 국내산 돼지 고기 가격 상승과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인한 외식소비 증가로

EU

산 냉동돼지고기 수입량이 증가한 영향임

.

닭고기 수입량

(18

2

천 톤

)

은 수입단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

국내 생산량 감소 및 가격 상승

,

할당관세 적용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22.0%

증가함

.

곡물

2022

년 밀 수입량

(270

4

천 톤

)

은 전년 대비

3.7%

증가함

.

이는

2023

년 수입단가 상승 가능성에 대비한 사전 물량 확보로

4

분기 수입량이 증가한 영향임

.

옥수수 수입량

(235

5

천 톤

)

은 우크라이나

-

러시아 전쟁 발발에도 불구하고 국내 원료 조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전년 대비

1.1%

증가함

.

대두 수입량

(32

9

천 톤

)

은 재고 확보를 위해 증량된

TRQ

이행으로 전년 대비

14.1%

증가함

.

보리 수입량

(20

2

천 톤

)

은 맥주 수요 증가로 인한 원료 수입 증가와 겉보리의 할당관세 물량 증가의 영향으로

9.8%

증가함

.

과일

2022

년 오렌지 수입량

(7

8

천 톤

)

은 미국산 오렌지 생산량 감소에 따른 수입단가 상승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28.9%

감소함

.

포도 수입량

(4

만 톤

)

19.2%

감소함

.

이는 페루산 포도 수입량 및 국내산 샤인머스캣 생산량 증가로 칠레와 미국산 수입량이 감소한 영향임

.

키위 수입량

(4

4

천 톤

)

은 뉴질 랜드 현지 업체의 對한국 수출 확대 추진 등의 영향으로

8.2%

증가함

.

체리 수입량

(1

2

천 톤

)

은 미국 현지 냉해에 따른 생산량 감소로 수입단가가 크게 상승하여 전년 대비

34.1%

감소함

.

채소

2022

년 양파 수입량

(9

1

천 톤

)

3

분기 이후 국내 가격 상승에 따른 할당관세 물량 도입으로 전년

대비

66.3%

증가함

.

당근 수입량

(10

5

천 톤

)

은 국내산 당근 가격 상승으로 인한 중국산 수입량 증가로

4.9%

증가함

.

감자 수입량

(5

3

천 톤

)

은 전년 대비

33.1%

증가함

.

이는 전년도 말 선박 운송 일정이 지연된 미국산 물량이 연초에 수입된 영향과 국내 감자 가격 상승으로

2022

4

분기에 할당 관세 물량이 도입된 영향임

.

주요 품목 수입 현황

(4)

수입 개황

2022 년 농식품 수입액은 전년 대비 15.5% 증가한 484 억 1 천만 달러 , FTA 체결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12.9%

증가한 402 억 3 천만 달러임 . 2022 년 10~12 월 수입액은 브라질 및 우크라이나산 옥수수 ( 식용 ) 와 중국산 양파 수입액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한 113 억 3 천만 달러임 . COVID-19, 유가 및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대부분 품목의 수입단가가 상승함 .

<

월별 수입액 동향

>

전체 수입액

(’21)419억 달러 → (’22)484억 1천만 달러(15.5%↑) (’21.10~12)111억 2천만 달러 → (’22.10~12)113억 3천만 달러(1.9%↑)

FTA 체결국 수입액

(’21)356억 3천만 달러 → (’22)402억 3천만 달러(12.9%↑) (’21.10~12)90억 8천만 달러 → (’22.10~12)90억 1천만 달러(0.8%↓)

2022 년 5 대 농식품 수입 대상국인 미국 (4.1% ↑ ), ASEAN(22.7% ↑ ), EU(8.7% ↑ ), 중국 (9.4% ↑ ), 호주 (24.9% ↑ ) 로 부터의 수입액이 전년 대비 모두 증가하였음 . 그 밖에 수입액 증가가 큰 국가는 우크라이나 , 아르헨티나 등임 .

<

주요 국가별 수입액

>

수입액 증감 특이 국가

▸우크라이나: 5억 8천만 달러(191.3%↑) - 옥수수(식용 및 사료용) 수입액이 큰 폭 증가

▸아르헨티나: 23억 2천만 달러(49.4%↑) - 옥수수(사료용), 대두유 수입액이 큰 폭 증가

▸호주: 39억 2천만 달러(24.9%↑) - 쇠고기, 밀 수입액이 큰 폭 증가

2022 년 부류별 수입액은 축산물 (19.8% ↑ ), 곡물 (27.2% ↑ ), 과일 · 채소 (1.2% ↑ ), 임산물 (3.0% ↑ ), 가공식품 (15.5% ↑ ) 모두 전년 대비 증가하였음 .

<

부류별 수입액

>

(5)

수출 개황

2022 년 농식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2.4% 증가한 87 억 7 천만 달러 , FTA 체결국으로의 수출액은 2.2% 증가한 70 억 2 천만 달러임 . 2022 년 10~12 월 수출액은 ASEAN 과 인도로의 혼합조제식료품 , 중국으로의 기타 과실 수출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 감소한 21 억 5 천만 달러임 .

<

월별 수출액 동향

>

전체 수출액

(’21)85억 6천만 달러 → (’22)87억 7천만 달러(2.4%↑) (’21.10~12)23억 4천만 달러 → (’22.10~12)21억 5천만 달러(8.0%↓)

FTA 체결국 수출액

(’21)68억 7천만 달러 → (’22)70억 2천만 달러(2.2%↑) (’21.10~12)18억 8천만 달러 → (’22.10~12)17억 1천만 달러(9.0%↓)

2022 년 5 대 농식품 수출 대상국 중 ASEAN(5.9% ↑ ), 일본 (7.5% ↑ ), EU(15.0% ↑ ) 로의 수출액은 전년 대비 증가 하였고 , 중국 (3.8% ↓ ) 과 미국 (4.7% ↓ ) 은 감소하였음 . 그 밖에 수출액 증감이 큰 국가는 몽골 , 아랍에미리트연합 , 인도 등임 .

<

주요 국가별 수출액

>

수출액 증감 특이 국가

▸몽골: 1억 1천만 달러(28.5%↑) - 라면, 맥주, 궐련 수출액이 큰 폭 증가

▸아랍에미리트연합: 2억 3천만 달러(15.0%↑) - 라면, 궐련 수출액이 큰 폭 증가

▸인도: 6,958만 달러(34.2%↓) - 혼합조제식료품 수출액이 큰 폭 감소

2022 년 부류별 수출액은 축산물 (9.3% ↑ ), 곡물 (9.8% ↑ ), 가공식품 (3.5% ↑ ) 이 전년 대비 증가하였고 , 과일 · 채소 (8.3% ↓ ) 는 감소하였음 . 임산물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 (0.7% ↓ ) 임 .

<

부류별 수출액

>

주요 품목별 수출액 및 변화율

▸축산물 닭고기: 9,874만 달러(50.2%↑)

(6)

축산물 livestock products

▪ 2022 년 쇠고기 수입량 (47 만 5 천 톤 ) 은 2 분기까지 감소하던 수입량이 7~9 월 0% 의 할당관세 적용에 따라 증가 하여 전년 대비 1.2% 증가함 .

<

쇠고기 수입 동향

> 수입량

(전체)(’21)46만 9천 톤 → (’22)47만 5천 톤(1.2%↑) (미국산)(’21)25만 톤 → (’22)25만 7천 톤(2.8%↑) (호주산)(’21)17만 9천 톤 → (’22)16만 7천 톤(6.6%↓)

수입단가($/kg)

(전체)(’21)7.59 → (’22)8.93(17.7%↑) (미국산)(’21)8.37 → (’22)9.89(18.1%↑) (호주산)(’21)7.03 → (’22)8.05(14.5%↑)

▪ 2022 년 돼지고기 수입량 (54 만 3 천 톤 ) 은 국내산 돼지고기 가격 상승과 EU 산 냉동돼지고기 수입량이 증가하여 전년 대비 25.7% 증가함 .

<

돼지고기 수입 동향

> 수입량

(전체)(’21)43만 2천 톤 → (’22)54만 3천 톤(25.7%↑) (EU산)(’21)20만 2천 톤 → (’22)28만 5천 톤(41.2%↑) (미국산)(’21)13만 9천 톤 → (’22)14만 톤(0.3%↑)

수입단가($/kg)

(전체)(’21)3.98 → (’22)3.75(5.8%↓) (EU산)(’21)4.57 → (’22)3.80(16.9%↓) (미국산)(’21)3.23 → (’22)3.60(11.6%↑)

▪ 2022 년 닭고기 수입량 (18 만 2 천 톤 ) 은 국내 생산량 감소 및 가격 상승 , 할당관세 적용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22.0% 증가함 .

<

닭고기 수입 동향

>

(7)

쇠고기

▪ ( 수급 동향 ) 2022 년 국내산 쇠고기 생산량은 전년 대비 증가하였으며 , 2023 년 전 세계 생산량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망됨 .

∙2022

년 국내 한우 도축 마릿수

(87

2

천 마리

)

는 전년 대비

9.6%

증가

(

농림축산검역본부

)

∙2022

년 한우 경락가격

(19,018

/kg)

은 전년 대비

10.2%

하락

(

축산물품질평가원

)

∙2023

년 전 세계 쇠고기 생산량

(5,921

만 톤

)

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 전망

(0.3%

감소

),

미국

(1,205

만 톤

)

6.5%

감소

,

호주

(221

만 톤

)

16.6%

증가 전망

(USDA FAS, ’23.1.)

▪ ( 수입 동향 ) 2022 년 쇠고기 수입량은 47 만 5 천 톤으로 전년 대비 1.2% 증가함 . 이는 2 분기까지 수입단가 상승과 국내 생산량 증가에 따른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던 수입량이 7~9 월 0% 의 할당관세 적용에 따라 증가했기 때문임 .

∙미국산 수입량(25

7

천 톤

)

2

분기까지 국내 생산량 증가와 수입단가 상승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하였으나

, 7

월 이후 할당관세 적용에 따른 수입량 증가로 전년 대비

2.8%

증가

,

할당관세 적용에도 불구하고

,

호주산 수입량

(16

7

천 톤

)

은 국내 생산량 증가와 수입단가 상승

,

품질 하락 등으로 전년 대비

6.6%

감소

∙냉동쇠고기(23

1

천 톤

)

와 냉동갈비

(12

3

천 톤

)

수입량은 전년 대비 각각

8.2%

4.4%

증가

,

냉장쇠고기 수입량

(9

3

천 톤

)

은 전년 대비

11.9%

감소

<

국가별 쇠고기 수입량

> <

부위별 쇠고기 수입량

>

▪ ( 수입가격 동향 ) 2022 년 쇠고기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17.7% 상승한 kg 당 8.93 달러임 .

∙미국산(9.89

달러

),

호주산

(8.05

달러

)

과 뉴질랜드산

(6.27

달러

)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각각

18.1%, 14.5%

27.3%

상승

∙냉동쇠고기(7.34

달러

),

냉동갈비

(9.26

달러

)

와 냉장쇠고기

(13.21

달러

)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각각

18.2%, 40.0%

8.9%

상승

<

국가별 쇠고기 수입단가

> <

부위별 쇠고기 수입단가

>

(8)

돼지고기

▪ ( 수급 동향 ) 2022 년 국내산 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 대비 증가하였으며 , 2023 년 전 세계 생산량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망됨 .

∙2022

년 국내 돼지 도축 마릿수

(1,855

6

천 마리

)

는 전년 대비

0.9%

증가

(

농림축산검역본부

)

∙2022

년 돼지 경락가격

(5,927

/kg)

은 전년 대비

13.5%

상승

(

축산물품질평가원

)

* 돼지 경락가격은 도축 마릿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외식소비 증가와 사료비 인상 등의 영향으로 상승함.

∙2023

년 전 세계 돼지고기 생산량

(1

1,409

만 톤

)

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 전망

(0.3%

증가

),

중국

(5,500

만 톤

)

은 전년과 같은 수준

, EU(2,258

만 톤

)

는 전년 대비

0.4%

감소

,

미국

(1,247

만 톤

)

은 전년 대비

1.8%

증가 전망

(USDA FAS, ’23.1.)

▪ ( 수입 동향 ) 2022 년 돼지고기 수입량은 54 만 3 천 톤으로 전년 대비 25.7% 증가함 . 이는 국내산 돼지고기 가격 상승과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인한 외식수요 증가로 EU 산 냉동돼지고기 수입량이 증가한 영향임 .

∙EU

산 수입량

(28

5

천 톤

)

ASF

가 발생

(’20.9.)

한 독일산 수입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 EU

의 타국가

(

스페인

,

네덜란드 등

)

산 냉동돼지고기 수입량이 증가하여 전년 대비

41.2%

증가

,

미국산 수입량

(14

만 톤

)

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

(0.3%

증가

)

냉동돼지고기

(38

6

천 톤

)

와 냉동삼겹살

(12

9

천 톤

)

수입량은 전년 대비 각각

35.7%

5.5%

증가

<

국가별 돼지고기 수입량

> <

부위별 돼지고기 수입량

>

▪ ( 수입가격 동향 ) 2022 년 돼지고기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5.8% 하락한 kg 당 3.75 달러임 .

∙EU

산 평균 수입단가

(3.80

달러

)

는 전년 대비

16.9%

하락

,

미국산

(3.60

달러

),

캐나다산

(3.30

달러

)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각각

11.6%

3.7%

상승

∙냉동돼지고기(3.00

달러

)

와 냉장삼겹살

(7.04

달러

)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각각

0.8%

7.9%

상승

,

냉동삼겹살

평균 수입단가

(5.39

달러

)

는 전년 대비

8.2%

하락

(9)

닭고기

▪ ( 수급 동향 ) 2022 년 국내산 닭고기 생산량은 전년 대비 감소하였으며 , 2023 년 전 세계 생산량은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22

년 국내 육계 도계 마릿수

(7

8,912

만 마리

)

는 전년 대비

4.2%

감소

(

농림축산검역본부

)

∙2022

년 닭고기

(

육계

)

가격

(1,842

/kg)

은 전년 대비

30.4%

상승

(

축산물품질평가원

)

∙2023

년 전 세계 닭고기 생산량

(1

294

만 톤

)

은 전년 대비

1.8%

증가

,

미국

(2,128

만 톤

)

은 전년 대비

1.3%

증가

,

브라질

(1,475

만 톤

)

은 전년 대비

3.5%

증가 전망

(USDA FAS, ’23.1.)

▪ ( 수입 동향 ) 2022 년 닭고기 수입량은 18 만 2 천 톤으로 전년 대비 22.0% 증가함 . 이는 수입단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 국내 생산량 감소 및 가격 상승 , 할당관세 적용 등의 영향임 .

∙브라질산(15

9

천 톤

)

ASEAN

(1

5

천 톤

)

수입량은 수입단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국내 생산량 감소에 따른 가격 상승

,

할당관세 적용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각각

21.6%

5.5%

증가

∙2022

11~12

월 닭고기 수입량

(1

8

천 톤

)

은 할당관세 적용에 따른 재고량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24.3%

감소

∙냉동닭다리(16

7

천 톤

)

와 냉동닭날개

(8,022

)

수입량은 전년 대비 각각

21.5%

19.7%

증가

,

냉동닭가슴

(720

)

은 전년 대비

14.5%

감소

<

국가별 닭고기 수입량

> <

부위별 닭고기 수입량

>

▪ ( 수입가격 동향 ) 2022 년 닭고기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37.0% 상승한 kg 당 2.48 달러임 .

∙브라질산(2.46

달러

), ASEAN

(3.15

달러

)

과 미국산

(1.54

달러

)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각각

42.3%, 17.3%

30.0%

상승

∙냉동닭다리(2.50

달러

)

와 냉동닭가슴

(2.67

달러

)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각각

42.0%

42.2%

상승

,

냉동닭날개

(2.75

달러

)

10.2%

하락

<

국가별 닭고기 수입단가

> <

부위별 닭고기 수입단가

>

(10)

곡물(식용) cereal

▪ 2022 년 밀 수입량 (270 만 4 천 톤 ) 은 2023 년 수입단가 상승에 대비한 물량 확보로 전년 대비 3.7% 증가함 .

<

밀 수입 동향

> 수입량

(전체)(’21)260만 6천 톤 → (’22)270만 4천 톤(3.7%↑) (호주산)(’21)112만 1천 톤 → (’22)126만 9천 톤(13.2%↑) (미국산)(’21)124만 9천 톤 → (’22)116만 4천 톤(6.8%↓)

수입단가($/kg)

(전체)(’21)0.32 → (’22)0.45(38.9%↑) (호주산)(’21)0.31 → (’22)0.41(33.4%↑) (미국산)(’21)0.33 → (’22)0.48(46.0%↑)

▪ 2022 년 옥수수 수입량 (235 만 5 천 톤 ) 은 우크라니아 - 러시아 전쟁 발발에도 불구하고 국내 원료 조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전년 대비 1.1% 증가함 .

<

옥수수 수입 동향

> 수입량

(전체)(’21)233만 톤 → (’22)235만 5천 톤(1.1%↑) (EU산)(’21)45만 3천 톤 → (’22)41만 8천 톤(7.8%↓) (세르비아산)(’21)48만 4천 톤 → (’22)27만 2천 톤(43.9%↓) (우크라이나산)(’21)6만 1천 톤 → (’22)81만 8천 톤

수입단가($/kg)

(전체)(’21)0.30 → (’22)0.39(28.8%↑) (EU산)(’21)0.33 → (’22)0.41(24.8%↑) (세르비아산)(’21)0.28 → (’22)0.38(35.3%↑) (우크라이나산)(’21)0.34 → (’22)0.38(13.1%↑)

(11)

곡물(식용) cereal

▪ 2022 년 대두 수입량 (32 만 9 천 톤 ) 은 재고 확보를 위해 증량된 TRQ 이행으로 전년 대비 14.1% 증가함 .

<

대두 수입 동향

> 수입량

(전체)(’21)28만 8천 톤 → (’22)32만 9천 톤(14.1%↑) (미국산)(’21)21만 2천 톤 → (’22)19만 톤(10.4%↓) (중국산)(’21)4만 톤 → (’22)8만 2천 톤(103.8%↑)

수입단가($/kg)

(전체)(’21)0.79 → (’22)0.92(17.6%↑) (미국산)(’21)0.69 → (’22)0.77(12.0%↑) (중국산)(’21)1.27 → (’22)1.23(3.2%↓)

▪ 2022 년 보리 수입량 (20 만 2 천 톤 ) 은 맥주 수요 증가로 인한 원료 수입 증가와 겉보리의 할당관세 물량 증가로 전년 대비 9.8% 증가함 .

<

보리 수입 동향

> 수입량

(전체)(’21)18만 4천 톤 → (’22)20만 2천 톤(9.8%↑) (호주산)(’21)11만 6천 톤 → (’22)15만 4천 톤(32.3%↑) (EU산)(’21)3만 톤 → (’22)2만 2천 톤(24.5%↓)

수입단가($/kg)

(전체)(’21)0.45 → (’22)0.52(14.9%↑) (호주산)(’21)0.37 → (’22)0.46(23.3%↑) (EU산)(’21)0.66 → (’22)0.72(9.7%↑)

(12)

▪ ( 수급 동향 ) 2022/23 년도 전 세계 밀 생산량은 전년과 비슷하지만 , 기말재고량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2022/23

년도 미국

(4

5

백만 톤

)

과 호주

(3

7

백만 톤

)

의 밀 생산량은 전년과 비슷하고

,

캐나다

(3

4

백만 톤

)

는 전년 대비

51.7%

증가할 것으로 전망

(USDA FAS, ’23.1.)

∙2022/23

년도 미국

(1

5

백만 톤

)

과 캐나다

(355

)

의 밀 기말재고량은 전년 대비 각각

18.8%

3.4%

감소

,

호주

(325

만 톤

)

21.4%

증가할 것으로 전망

(USDA FAS, ’23.1.)

▪ ( 수입 동향 ) 2022 년 밀 수입량은 270 만 4 천 톤으로 전년 대비 3.7% 증가함 . 이는 2023 년 수입단가 상승에 대비한 물량 확보로 4 분기 수입량이 증가한 영향임 .

∙호주산 수입량(126

9

천 톤

)

은 단가가 높은 미국산을 대체하며 전년 대비

13.2%

증가

,

미국산

(116

4

천 톤

)

은 생산량 감소 및 품질 악화로 수입단가가 상승하여

6.8%

감소

∙제분용 밀(257

9

천 톤

),

기타 메슬린

(10

8

천 톤

)

과 밀가루

(1

5

천 톤

)

는 전년 대비 각각

3.0%, 23.5%

9.9%

증가

<

국가별 밀 수입량

> <

유형별 밀 수입량

>

▪ ( 수입가격 동향 ) 2022 년 밀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38.9% 상승한 kg 당 0.45 달러임 .

호주산

(0.41

달러

)

과 미국산

(0.48

달러

)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각각

33.4%

46.0%

상승

∙제분용 밀(0.44

달러

)

과 밀가루

(0.93

달러

)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5.0%

10.8%

상승

<

국가별 밀 수입단가

> <

유형별 밀 수입단가

>

(13)

옥수수

▪ ( 수급 동향 ) 2022/23 년도 전 세계 옥수수 생산량과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2022/23

년도 미국

(3

5

만 톤

)

EU(5

4

백만 톤

)

의 생산량은 전년 대비 각각

8.9%

23.6%

감소

,

브라질

(1

3

천만 톤

)

7.8%

증가할 것으로 전망

(USDA FAS, ’23.1.)

∙2022/23

년도 미국

(3

2

백만 톤

)

EU(734

만 톤

)

의 기말재고량은 전년 대비 각각

9.8%

26.2%

감소

,

우크라이나

(529

만 톤

)

5.9%

증가할 것으로 전망

(USDA FAS, ’23.1.)

▪ ( 수입 동향 ) 2022 년 옥수수 수입량은 235 만 5 천 톤으로 전년 대비 1.1% 증가함 . 우크라이나 - 러시아 전쟁 발발에도 불구하고 , 국내 원료 조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진 영향임 .

∙우크라이나산 수입량(81

8

천 톤

)

2021/22

년산 작황이 양호하여 크게 증가

∙EU

(41

8

천 톤

)

과 세르비아산

(27

2

천 톤

)

수입량은 수입단가 상승 폭이 상대적으로 커 전년 대비 각각

7.8%

43.9%

감소

∙전분·

전분당용 옥수수

(231

만 톤

)

와 가공용 옥수수

(2

만 톤

)

수입량은 전년 대비 각각

1.0%

2.1%

증가

,

팝콘용 옥수수

(1

4

천 톤

)

18.7%

감소

<

국가별 옥수수 수입량

> <

유형별 옥수수 수입량

>

▪ ( 수입가격 동향 ) 2022 년 옥수수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28.8% 상승한 kg 당 0.39 달러임 .

∙우크라이나산(0.38

달러

), EU

(0.41

달러

),

세르비아산

(0.38

달러

)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각각

13.1%, 24.8%, 35.3%

상승

전분

·

전분당용 옥수수

(0.39

달러

),

가공용 옥수수

(0.45

달러

)

와 팝콘용 옥수수

(0.93

달러

)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각각

29.1%, 10.1%, 30.3%

상승

<

국가별 옥수수 수입단가

> <

유형별 옥수수 수입단가

>

(14)

대두

▪ ( 수급 동향 ) 2022/23 년도 전 세계 대두 생산량은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22/23

년도 중국

(7

5

백만 톤

)

과 미국

(4

8

백만 톤

)

생산량은 전년 대비 각각

8.6%

2.0%

증가 전망

(USDA FAS, ’23.1.)

▪ ( 수입 동향 ) 2022 년 대두 수입량은 32 만 9 천 톤이며 , 재고 확보를 위해 증량된 TRQ 이행으로 전년 대비 14.1%

증가함 .

∙미국산 수입량(19

만 톤

)

2021/22

년 생산량 감소로

TRQ

계약 비중이 줄어들어 전년 대비

10.4%

감소

,

중국산

(8

2

천 톤

)

은 미국산 수입량을 대체하여

103.8%

증가

∙식용 대두(28

6

천 톤

),

콩나물용 대두

(3

2

천 톤

)

수입량은 전년 대비 각각

15.2%

13.4%

증가

,

분과 조분

(1

만 톤

)

8.0%

감소

∙2022

12

월 수입량

(4

8

천 톤

)

은 곡물 가격 및 환율 급등으로 이행을 미루었던

TRQ

이행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7.0%

증가

<

국가별 대두 수입량

> <

유형별 대두 수입량

>

▪ ( 수입가격 동향 ) 2022 년 대두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17.6% 상승한 kg 당 0.92 달러임 .

미국산 평균 수입단가

(0.77

달러

)

는 전년 대비

12.0%

상승

,

중국산

(1.23

달러

)

3.2%

하락

∙식용 대두(0.85

달러

),

분과 조분

(1.17

달러

),

콩나물용 대두

(1.51

달러

)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각각

18.5%, 14.4%

16.9%

상승

<

국가별 대두 수입단가

> <

유형별 대두 수입단가

>

(15)

보리

▪ ( 수급 동향 ) 2022/23 년도 전 세계 보리 생산량은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22/23

년도

EU(5

1

백만 톤

)

와 호주

(1

3

백만 톤

)

의 보리 생산량은 전년 대비 각각

1.1%

3.6%

감소

,

캐나다

(990

만 톤

)

43.5%

증가할 것으로 전망

(USDA FAS, ’23.1.)

▪ ( 수입 동향 ) 2022 년 보리 수입량은 20 만 2 천 톤으로 전년 대비 9.8% 증가함 . 이는 맥주 수요 증가로 인한 원료 수입 증가와 겉보리의 할당관세 물량 증가의 영향임 .

∙호주산 수입량(15

4

천 톤

)

은 맥주 수요 증가로 인한 원료와 겉보리의 수입 증가로 전년 대비

32.3%

증가

, EU

(2

2

천 톤

)

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입단가의 영향으로

24.5%

감소

∙생맥아(12

만 톤

)

와 맥주맥

(4

만 톤

)

은 맥주 수요 증가로 전년 대비 각각

4.7%

7.3%

증가

,

겉보리

(3

8

천 톤

)

는 할당관세 물량 증가로

41.9%

증가

∙2022

12

월 수입량

(2

6

천 톤

)

은 겉보리 할당관세 물량의 도입으로 전년 동월 대비

62.1%

증가

<

국가별 보리 수입량

> <

유형별 보리 수입량

>

▪ ( 수입가격 동향 ) 2022 년 보리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14.9% 상승한 kg 당 0.52 달러임 .

호주산

(0.46

달러

)

EU

(0.72

달러

)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각각

23.3%

9.7%

상승

∙생맥아(0.61

달러

),

겉보리

(0.34

달러

)

와 맥주맥

(0.36

달러

)

의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각각

11.0%, 31.4%, 61.1%

상승

<

국가별 보리 수입단가

> <

유형별보리 수입단가

>

(16)

과일(신선) fruits

▪ 2022 년 오렌지 수입량 (7 만 8 천 톤 ) 은 미국산 오렌지 수입단가 상승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28.9% 감소함 .

<

오렌지 수입 동향

>

수입량

(전체)(’21)10만 9천 톤 → (’22)7만 8천 톤(28.9%↓) (미국산)(’21)10만 톤 → (’22)6만 7천 톤(32.6%↓) (호주산)(’21)7,286톤 → (’22)6,866톤(5.8%↓)

수입단가($/kg)

(전체)(’21)1.82 → (’22)2.11(16.1%↑) (미국산)(’21)1.84 → (’22)2.20(19.7%↑) (호주산)(’21)1.65 → (’22)1.66(0.9%↑)

▪ 2022 년 포도 수입량 (4 만 톤 ) 은 페루산 수입량 및 국내산 샤인머스캣 생산량 증가에 따른 칠레산과 미국산 수입량 감소로 전년 대비 19.2% 감소함 .

<

포도 수입 동향

>

수입량

(전체)(’21)4만 9천 톤 → (’22)4만 톤(19.2%↓) (칠레산)(’21)2만 4천 톤 → (’22)1만 8천 톤(24.6%↓) (페루산)(’21)8,746톤 → (’22)1만 2천톤(36.0%↑) (미국산)(’21)1만 2천톤 → (’22)6,056톤(50.5%↓) (호주산)(’21)4,467톤 → (’22)3,936톤(11.9%↓)

수입단가($/kg)

(전체)(’21)3.49 → (’22)3.70(6.0%↑) (칠레산)(’21)3.09 → (’22)3.24(4.9%↑) (페루산)(’21)3.61 → (’22)3.98(10.4%↑)

(17)

과일(신선) fruits

▪ 2022 년 키위 수입량 (4 만 4 천 톤 ) 은 뉴질랜드 현지 업체의 對한국 수출 확대 추진 영향으로 전년 대비 8.2%

증가함 .

<

키위 수입 동향

>

수입량

(전체)(’21)4만 1천 톤 → (’22)4만 4천 톤(8.2%↑) (뉴질랜드산)(’21)4만 톤 → (’22)4만 3천 톤(7.4%↑)

수입단가($/kg)

(전체)(’21)3.55 → (’22)3.58(1.0%↑) (뉴질랜드산)(’21)3.56 → (’22)3.61(1.3%↑)

▪ 2022 년 체리 수입량 (1 만 2 천 톤 ) 미국 현지 냉해에 따른 작황 부진으로 수입단가가 상승하여 전년 대비 34.1%

감소함 .

<

체리 수입 동향

> 수입량

(전체)(’21)1만 7천 톤 → (’22)1만 2천 톤(34.1%↓) (칠레산)(’21)5,541톤 → (’22)6,599톤(19.1%↑) (미국산)(’21)1만 2천 톤 → (’22)4,608톤(60.6%↓)

수입단가($/kg)

(전체)(’21)9.63 → (’22)10.18(5.7%↑) (칠레산)(’21)9.49 → (’22)8.49(10.5%↓) (미국산)(’21)9.77 → (’22)12.71(30.1%↑)

(18)

오렌지

▪ ( 수급 동향 ) 2022 년 국내산 감귤과 만감류 재배면적은 전년과 비슷한 것으로 추정됨 . 2022/23 년도 미국 오렌지 생산량은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2022

년 국내산 감귤 재배면적은 전년과 비슷한

2

2

ha(0.5%

증가

),

생산량은 전년 대비

2.0%

감소한

64

만 톤 내외인 것으로 추정

(KREI

농업전망

, ’23.1.)

2022

년 국내산 만감류 재배면적은 전년과 비슷한

4,062ha(0.5%

감소

)

인 것으로 추정

(KREI

농업관측월보

, ’22.12.)

∙2022/23

년도 미국 오렌지 생산량은 전년 대비

22.1%

감소한

245

만 톤으로 전망

(USDA FAS, ’23.1.)

▪ ( 수입 동향 ) 2022 년 오렌지 수입량은 7 만 8 천 톤으로 전년 대비 28.9% 감소함 . 이는 미국산 오렌지 생산량 감소에 따른 수입단가 상승의 영향임 .

∙미국산 수입량(6

7

천 톤

)

은 현지 생산량 감소

,

환율 및 생산비 상승에 따른 수입단가 상승으로 전년 대비

32.6%

감소

∙호주산 수입량(6,866

)

은 현지 작황 부진과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5.8%

감소

*국가별 수확시기 : 미국 네이블(11월~익년 5월), 미국 발렌시아(4~7월), 호주 네이블(6~10월), 남아공 발렌시아(7~10월)

<

국가별 오렌지 수입량

>

▪ ( 수입가격 동향 ) 2022 년 오렌지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16.1% 상승한 kg 당 2.11 달러임 .

미국산 평균 수입단가

(2.20

달러

)

는 전년 대비

19.7%

상승

,

호주산 평균 수입단가

(1.66

달러

)

는 전년과 비슷

(0.9%

상승

)

한 수준

<

국가별 오렌지 수입단가

>

(19)

포도

▪ ( 수급 동향 ) 2022 년 국내 포도 생산량은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추정됨 . 2022/23 년 칠레산 포도는 전년과 비슷 , 페루산 포도 생산량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22

년 국내 포도 생산량은 작황 호조와 샤인머스캣 성목면적 증가에 따라 전년 대비

17.4%

증가한

19

6

천 톤으로 추정

(KREI

농업전망

, ’23.1.)

∙2022/23

년도 칠레산과 미국산 포도 생산량은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

,

페루산 포도 생산량은 신품종 식재 증가에 따라

7.4%

증가할 것으로 전망

(USDA FAS, ’22.12.)

▪ ( 수입 동향 ) 2022 년 포도 수입량은 4 만 톤으로 전년 대비 19.2% 감소함 . 이는 페루산 포도 수입량 및 국내산 샤인머스캣 생산량 증가로 칠레산과 미국산 수입량이 감소한 영향임 .

페루산 수입량

(1

2

천 톤

)

은 고품질 포도

(

레드글로브

,

오톰크리스피 등

)

에 대한 국내 수요 증가로 칠레산 수입량을 대체하며 전년 대비

36.0%

증가

칠레산

(1

8

천 톤

)

과 미국산

(6,056

)

수입량은 수입단가 상승

,

페루산 포도 수입량 및 국내 샤인머스캣 생산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각각

24.6%, 50.5%

감소

* 2022년 국내 샤인머스캣 생산량은 전년 대비 50.6% 증가한 것으로 추정(KREI 농업관측월보, ’22.10.)

∙호주산 수입량(3,936

)

은 수입단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품질 저하와 국내 수요감소 등으로 전년 대비

11.9%

감소

* 국가별 수확시기 : 칠레(12월~익년 5월), 페루(10~12월), 미국(7~11월), 호주(1~5월)

<

국가별 포도 수입량

>

▪ ( 수입가격 동향 ) 2022 년 포도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6.0% 상승한 kg 당 3.70 달러임 .

∙페루산 평균 수입단가(3.98

달러

)

는 고품질 포도 비중 증가로 전년 대비

10.4%

상승

,

칠레산

(3.24

달러

)

과 미국산 평균 미국산

(3.93

달러

)

평균 수입단가는 각각

4.9%, 4.7%

상승

,

호주산 평균 수입단가

(4.55

달러

)

2.0%

하락

<

국가별 포도 수입단가

>

(20)

키위

▪ ( 수급 동향 ) 2022 년 국내산 키위 출하량은 전년 대비 증가 , 뉴질랜드 키위 생산량은 감소한 것으로 추정됨 .

∙2022

년 국내산 키위의 가락시장 출하량

(1,207

)

은 전년 대비

6.6%

증가

(

서울농수산식품공사

)

∙2022

년 뉴질랜드산 키위 생산량은 작황 부진과 노동력 부족 등으로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추정

(Zespri, ’22.6.)

▪ ( 수입 동향 ) 2022 년 키위 수입량은 4 만 4 천 톤이며 , 뉴질랜드 현지 업체의 對한국 수출 확대 추진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8.2% 증가함 .

∙키위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뉴질랜드산 수입량(4

3

천 톤

)

은 전년 대비

7.4%

증가

∙4

분기 키위 수입량

(5,416

)

은 뉴질랜드산의

3

분기 수입 지연분 입항과 현지 업체의 목표치 달성을 위한 수출량 확대 추진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1%

증가

* 국가별 수확시기 : 뉴질랜드·칠레(4~10월), EU(10~11월)

<

국가별 키위 수입량

>

▪ ( 수입가격 동향 ) 2022 년 키위 평균 수입단가는 kg 당 3.58 달러로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 (1.0% 상승 )

∙뉴질랜드산 평균 수입단가(3.61

달러

)

는 전년 대비

1.3%

상승

<

국가별 키위 수입단가

>

(21)

체리

▪ ( 수급 동향 ) 2022/23 년도 미국 체리 생산량은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며 , 칠레산 생산량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21/22

년도 칠레산 체리 생산량은

39

2

천 톤으로 전년 대비

1.6%

증가

(USDA FAS, ’23.1.)

∙2022/23

년도 칠레산 체리 생산량은

46

7

천 톤으로 전년 대비

19.1%

증가할 것으로 전망

(USDA FAS, ’23.1.)

∙2022/23

년도 미국 체리 생산량은

34

7

천 톤으로 전년 대비

16.5%

감소한 것으로 추정

(USDA FAS, ’23.1.)

▪ ( 수입 동향 ) 2022 년 체리 수입량은 1 만 2 천 톤으로 전년 대비 34.1% 감소함 . 이는 칠레산 수입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 미국산 체리 작황 부진으로 인해 수입량이 감소한 것에 영향을 받음 .

∙칠레산 수입량(6,599

)

은 현지 생산량 증가로 수입단가가 하락하여 전년 대비

19.1%

증가

∙미국산 수입량(4,608

)

은 냉해에 따른 현지 생산량 감소로 수입단가가 상승하여 전년 대비

60.6%

감소

∙4

분기 수입량

(805

)

은 국내 체리 수요감소와 칠레산 체리의 선박 일정 지연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3%

감소

* 국가별 수확시기 : 미국 캘리포니아 주(4~6월), 워싱턴 주(6~8월), 칠레(11월 말~익년 2월 중순)

<

국가별 체리 수입량

>

▪ ( 수입가격 동향 ) 2022 년 체리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5.7% 상승한 kg 당 10.18 달러임 .

∙칠레산 평균 수입단가(8.49

달러

)

는 생산량 증가 및 중국의 칠레산 체리 수요감소 등으로 전년 대비

10.5%

하락

∙미국산 평균 수입단가(12.71

달러

)

는 현지 생산량 감소로 전년 대비

30.1%

상승

<

국가별 체리 수입단가

>

(22)

채소 vegetables

▪ 2022 년 양파 수입량 (9 만 1 천 톤 ) 은 3~4 분기 국내 가격 상승에 따른 할당관세 물량 도입으로 전년 대비 66.3%

증가함 .

<

양파 수입 동향

> 수입량

(전체)(’21)5만 5천 톤 → (’22)9만 1천 톤(66.3%↑) (중국산)(’21)4만 4천 톤 → (’22)8만 9천 톤(100.9%↑) (일본산)(’21)5,979톤 → (’22)1,848톤(69.1%↓)

수입단가($/kg)

(전체)(’21)0.53 → (’22)0.53(0.4%↑) (중국산)(’21)0.51 → (’22)0.51(0.6%↓) (일본산)(’21)0.41 → (’22)0.76(84.1%↑)

▪ 2022 년 당근 수입량은 (10 만 5 천 톤 ) 2 분기 이후 국내산 당근 가격 상승으로 인한 중국산 수입량 증가로 전년 대비 4.9% 증가함 .

<

당근 수입 동향

> 수입량

(전체)(’21)10만 톤 → (’22)10만 5천 톤(4.9%↑) (중국산)(’21)9만 2천 톤 → (’22)9만 7천 톤(4.9%↑) (ASEAN산)(’21)7,409톤 → (’22)7,995톤(7.9%↑)

수입단가($/kg)

(전체)(’21)0.52 → (’22)0.51(0.9%↓) (중국산)(’21)0.51 → (’22)0.50(0.5%↓) (ASEAN산)(’21)0.58 → (’22)0.59(1.9%↑)

▪ 2022 년 감자 수입량 (5 만 3 천 톤 ) 은 국내산 감자 가격 상승으로 4 분기에 할당관세 물량이 도입되어 전년 대비

33.1% 증가함 .

(23)

양파

▪ ( 수급 동향 ) 2022 년 국내산 양파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전년 대비 감소하였고 , 2022 년 3~4 분기 도매가격은 국내산 생산량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상승함 .

∙2022

년 국내 양파 재배면적

(17,661ha)

과 생산량

(119

6

천 톤

)

은 전년 대비 각각

4.3%

24.2%

감소

(

통계청

)

∙2022

1~2

분기 국내산 양파 도매가격

(562

/kg)

2021

년산 생산량 증가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9%

하락하였으나

, 3~4

분기 도매가격은

kg

1,162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3%

상승

(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

▪ ( 수입 동향 ) 2022 년 양파 수입량은 9 만 1 천 톤이며 전년 대비 66.3% 증가함 . 1~2 분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71.6% 감소하였지만 , 3~4 분기 국내 가격 상승에 따른 할당관세 물량 도입으로 수입량이 증가함 .

∙중국산 수입량(8

9

천 톤

)

은 전년 대비

100.9%

증가함

. 2

분기까지의 수입량은

2021

년산 국내 양파 생산량 증가로 인한 국내산 양파 가격 하락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4%

감소함

.

반면

, 3~4

분기에는

2022

년 국내 양파 생산량 감소로 인한 국내산 가격 상승으로 할당관세 물량이 도입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510.9%

증가함

.

신선냉장양파

(7

6

천 톤

)

와 냉동양파

(1

4

천 톤

)

수입량은 전년 대비 각각

96.1%

2.8%

증가

,

건조양파

(1,728

)

35.4%

감소

<

국가별 양파 수입량

> <

유형별 양파 수입량

>

▪ ( 수입가격 동향 ) 2022 년 양파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과 비슷한 kg 당 0.53 달러임 (0.4% 상승 ).

∙중국산 평균 수입단가(0.51

달러

)

는 전년과 비슷

(0.6%

하락

)

한 수준

,

일본산

(0.76

달러

)

84.1%

상승

∙신선냉장양파(0.46

달러

),

냉동양파

(0.70

달러

)

와 건조양파

(2.04

달러

)

의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각각

3.8%, 10.0%

81.0%

상승

<

국가별 양파 수입단가

> <

유형별 양파 수입단가

>

(24)

당근

▪ ( 수급 동향 ) 2022 년 국내산 당근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고 , 국내산 당근 도매가격은 전년 대비 상승함 .

∙2022

년 당근 재배면적

(2,345ha)

과 생산량

(7

1

천 톤

)

은 전년 대비 각각

15.9%

28.3%

감소한 것으로 추정

(KREI

농업전망

, ’23.1)

∙2022

년 국내산 당근 가락시장 출하량

(2

6

천 톤

)

은 전년 대비

15.6%

감소

,

도매가격은

kg

1,456

원으로 전년 대비

41.9%

상승

(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

▪ ( 수입 동향 ) 2022 년 당근 수입량은 10 만 5 천 톤으로 전년 대비 4.9% 증가함 . 이는 국내산 당근 가격 상승으로 인해 중국산 수입량이 증가한 영향임 .

∙중국산 수입량(9

7

천 톤

)

1

분기에는 국내산 당근 가격 하락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5%

감소하였지만

, 2

분기 이후 국내산 당근 가격 상승과 중국산 당근의 생산량 증가로 인해 연간 수입량은 전년 대비

4.9%

증가함

.

∙ASEAN

산 수입량

(7,995

)

1

분기에 상대적으로 수입단가 상승폭이 컸던 중국산을 대체하면서

7.9%

증가

∙신선냉장당근(9

6

천 톤

)

과 냉동당근

(6,785

)

은 전년 대비 각각

4.9%

6.3%

증가

,

건조당근

(1,768

)

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

<

국가별 당근 수입량

> <

유형별 당근 수입량

>

▪ ( 수입가격 동향 ) 2022 년 당근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과 비슷한 kg 당 0.51 달러임 (0.9% 하락 ).

∙중국산 평균 수입단가(0.50

달러

)

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

(0.5%

하락

), ASEAN

(0.59

달러

)

1.9%

상승

신선냉장당근

(0.46

달러

)

과 건조당근

(2.79

달러

)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각각

1.2%

2.9%

하락하고

,

냉동당근

(0.73

달러

)

8.0%

상승

(25)

감자

▪ ( 수급 동향 ) 2022 년 국내산 감자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고 , 국내산 감자 도매가격은 전년 대비 상승함 .

∙2022

년 감자 재배면적

(2

ha)

과 생산량

(49

6

천 톤

)

은 전년 대비 각각

7.1%

12.0%

감소한 것으로 추정

(KREI

농업전망

, ’23.1)

∙2022

년 국내산 감자 가락시장 출하량

(5

5

천 톤

)

은 전년 대비

29.3%

감소

,

도매가격은

kg

1,722

원으로 전년 대비

44.2%

상승

(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

▪ ( 수입 동향 ) 2022 년 감자 수입량은 5 만 3 천 톤으로 전년 대비 33.1% 증가함 . 이는 전년도 말 선박 운송 일정이 지연된 미국산 물량이 연초에 수입된 영향과 국내산 감자 가격 상승으로 4 분기에 할당관세 물량이 도입된 영향임 .

∙미국산 수입량(2

7

천 톤

)

2021

년 말

(11~12

)

선박 운송 일정 지연된 물량의 도입

(2022

1

)

4

분기 국내산 감자 가격 상승으로 인한 할당관세 물량의 도입으로

69.7%

증가

∙호주산 수입량(1

8

천 톤

)

5~6

월 할당관세 물량의 도입으로 전년 대비

10.2%

증가

∙종자용 이외 기타 감자 수입량(4

만 톤

)

은 전년 대비

42.7%

증가

<

국가별 감자 수입량

> <

유형별 감자 수입량

>

▪ ( 수입가격 동향 ) 2022 년 감자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대비 5.4% 상승한 kg 당 0.98 달러임 .

미국산 평균 수입단가

(1.09

달러

)

는 전년 대비

7.7%

하락

,

호주산

(0.69

달러

)

19.5%

상승

∙종자용 이외 기타 감자 평균 수입단가(0.78

달러

)

는 전년 대비

21.8%

상승

,

기타감자

(1.60

달러

)

1.1%

하락

* 종자용 이외 기타 감자는 종자용을 제외한 신선·냉장 감자, 기타감자는 냉동, 건조, 분·조분 등을 의미함.

<

국가별 감자 수입단가

> <

유형별 감자 수입단가

>

(26)

FTA 체결국

농축산물 수출입 동향

2022 4 분기

제10권 제4호(통권 제40호)

(27)

별첨

1. 국가별 수출입 동향 2. 모니터링 품목별 수출입 동향

부록

1. 주요 품목의 FTA 체결국가별 협정관세율 2. 최근 FTA 추진 동향

(28)

단위 : 백만 달러, 천 톤

구분

평년 10~12월 (’17~’21)

전년 10~12월 (’21.10~12)

금년 10~12월 (’22.10~12)

변화율(%)

평년 대비 전년 대비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총합계 8,555.0 13,719.2 11,118.0 13,836.6 11,334.6 13,832.3 32.5 0.8 1.9 -0.0 FTA 체결국 7,286.4 9,575.6 9,081.3 9,641.8 9,008.2 9,472.7 23.6 -1.1 -0.8 -1.8 RCEP 3,397.7 6,001.3 4,210.0 5,890.1 4,344.3 6,409.8 27.9 6.8 3.2 8.8 ASEAN 1,227.2 2,718.1 1,442.7 2,666.1 1,498.2 2,873.0 22.1 5.7 3.8 7.8 중국 1,229.2 1,678.8 1,496.6 1,512.7 1,437.0 1,577.7 16.9 -6.0 -4.0 4.3 호주 592.7 923.4 855.5 1,083.3 999.6 1,320.9 68.7 43.0 16.8 21.9 뉴질랜드 207.1 529.3 261.5 435.6 265.3 486.7 28.1 -8.1 1.4 11.7

일본 141.6 151.6 153.6 192.2 144.2 151.5 1.8 -0.1 -6.1 -21.2

미국 2,063.8 2,032.8 2,250.5 1,609.1 2,121.4 1,558.1 2.8 -23.4 -5.7 -3.2 EU27 1,122.7 728.7 1,664.9 1,294.8 1,455.8 574.5 29.7 -21.2 -12.6 -55.6

캐나다 234.7 328.6 304.0 396.7 381.4 389.5 62.5 18.5 25.5 -1.8

칠레 162.2 192.0 189.9 166.7 187.8 157.0 15.8 -18.2 -1.1 -5.9

인도 119.1 270.2 138.4 207.1 174.1 281.0 46.2 4.0 25.8 35.7

영국 71.6 11.8 93.6 12.2 106.8 15.9 49.2 35.3 14.1 30.8

콜롬비아 35.8 11.3 64.6 18.4 61.8 11.1 72.7 -1.4 -4.3 -39.5

EFTA 39.0 7.1 54.4 7.5 61.5 5.4 57.8 -23.8 13.1 -27.4

페루 37.7 12.2 58.2 17.5 47.5 13.3 25.8 9.4 -18.4 -24.0

중미 8.4 4.2 17.8 7.6 32.9 44.8 293.7 977.3 84.8 486.5

터키 21.9 9.4 30.0 11.1 29.5 11.1 35.2 18.3 -1.7 0.1

이스라엘 5.0 3.1 5.0 3.1 3.3 1.1 -34.7 -63.3 -34.7 -63.0

FTA 미체결국 1,312.3 3,998.2 2,036.6 4,194.8 2,326.4 4,359.6 77.3 9.0 14.2 3.9 브라질 599.0 1,475.2 628.1 1,019.9 915.8 1,443.6 52.9 -2.1 45.8 41.5 아르헨티나 211.3 1,040.9 789.6 2,159.0 729.1 1,740.0 245.1 67.2 -7.7 -19.4

우크라이나 70.5 315.0 134.0 400.8 165.2 417.3 134.2 32.5 23.3 4.1

러시아 126.4 248.4 137.9 202.5 112.2 297.2 -11.2 19.7 -18.6 46.7

(29)

▪ 2022 년 국가별 농축산물 수입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천 톤

구분 평년(’17~’21) 전년(’21) 금년(’22) 변화율(%)

평년 대비 전년 대비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총합계 34,629.1 54,160.7 41,902.5 55,072.4 48,407.9 55,979.1 39.8 3.4 15.5 1.6 FTA 체결국 30,031.9 41,599.6 35,633.8 41,596.3 40,227.1 41,017.0 33.9 -1.4 12.9 -1.4 RCEP 13,664.7 23,704.8 15,741.4 23,182.5 18,548.6 25,354.4 35.7 7.0 17.8 9.4 ASEAN 5,010.6 11,147.7 5,738.4 10,998.8 7,042.6 12,297.9 40.6 10.3 22.7 11.8 중국 4,527.6 6,331.1 5,194.3 5,769.7 5,683.6 5,962.7 25.5 -5.8 9.4 3.3 호주 2,611.4 3,566.1 3,142.1 3,942.9 3,923.7 4,484.9 50.3 25.8 24.9 13.7 뉴질랜드 953.1 2,052.7 1,120.2 1,801.0 1,306.7 1,951.0 37.1 -5.0 16.7 8.3

일본 562.0 607.2 546.4 670.2 592.1 658.0 5.4 8.4 8.4 -1.8

미국 9,062.0 11,214.0 10,315.7 10,888.5 10,740.2 8,214.4 18.5 -26.7 4.1 -24.6 EU27 4,408.9 2,740.0 5,755.9 3,466.6 6,256.7 2,962.2 41.9 8.1 8.7 -14.6 캐나다 1,015.6 1,480.2 1,243.3 1,553.0 1,480.4 1,477.5 45.8 -0.2 19.1 -4.9 인도 472.9 1,079.3 597.4 1,223.5 929.1 1,793.9 96.5 66.2 55.5 46.6

칠레 755.6 861.7 728.9 659.4 825.7 696.2 9.3 -19.2 13.3 5.6

영국 266.5 45.3 313.1 45.7 391.4 53.9 46.9 19.0 25.0 18.0

콜롬비아 134.6 42.3 189.6 63.0 254.9 53.2 89.3 25.7 34.4 -15.6

페루 153.2 46.9 195.5 65.4 235.9 68.1 54.0 45.4 20.7 4.2

EFTA 130.0 29.2 212.9 31.2 211.0 20.5 62.3 -29.7 -0.9 -34.3

중미 110.8 172.1 201.6 363.0 200.3 262.7 80.8 52.7 -0.7 -27.6

터키 89.7 37.9 118.2 44.3 130.1 49.8 45.1 31.6 10.1 12.3

이스라엘 20.4 10.6 20.1 10.2 22.9 9.9 12.1 -6.1 13.7 -2.3

FTA 미체결국 4,602.8 12,443.0 6,268.6 13,476.1 8,180.8 14,962.1 77.7 20.2 30.5 11.0 브라질 2,060.8 4,768.4 2,511.3 4,937.9 3,208.9 4,938.4 55.7 3.6 27.8 0.0 아르헨티나 571.3 2,531.2 1,553.3 4,688.7 2,320.1 5,741.1 306.1 126.8 49.4 22.4 우크라이나 269.9 1,211.0 200.0 539.9 582.6 1,547.2 115.9 27.8 191.3 186.5 러시아 497.2 1,285.1 616.9 1,325.6 527.8 1,105.9 6.2 -13.9 -14.4 -16.6

대만 172.2 61.9 183.0 68.9 204.2 69.3 18.6 12.0 11.6 0.6

(30)

단위 : 백만 달러, 천 톤

구분

평년 10~12월 (’17~’21)

전년 10~12월 (’21.10~12)

금년 10~12월 (’22.10~12)

변화율(%)

평년 대비 전년 대비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총합계 1,907 1,011 2,341 1,028 2,154 985 13.0 -2.5 -8.0 -4.1

FTA 체결국 1,535 833 1,882 852 1,712 819 11.6 -1.6 -9.0 -3.8

RCEP 1,092.1 658.3 1,308.8 653.5 1,217.5 656.3 11.5 -0.3 -7.0 0.4

ASEAN 373 245 482 292 456 297 22.1 21.2 -5.5 1.6

일본 353 189 379 179 352 180 -0.3 -5.2 -7.1 0.1

중국 314 207 392 163 351 160 11.7 -22.3 -10.4 -1.5

호주 42 14 44 15 48 16 13.9 13.1 9.1 4.8

뉴질랜드 9.4 3.7 11.8 4.2 10.8 4 15.5 3.8 -8.2 -7.1

미국 272 88 337 102 285 81 4.8 -8.0 -15.7 -20.3

EU27 95 50 116 54 110 51 15.2 1.4 -5.4 -5.6

캐나다 30 11.5 37 12 32 10 4.7 -12.1 -14.6 -17.7

영국 15 5.8 16 5.9 17 6 13.1 -1.3 3.5 -3.2

인도 16.3 9.2 31.6 12.1 13 5 -19.2 -50.2 -58.3 -62.1

이스라엘 7.1 1.5 6.9 1.6 10.4 1 46.5 -37.1 49.9 -41.2

터키 5.5 2.8 9.1 3.0 9.1 3 67.4 2.1 0.3 -4.3

중미 5.2 3.7 4 3.5 7.5 3 45.1 -20.3 72.7 -15.4

칠레 3.8 2.2 6.4 2.2 4.2 2 11.5 -19.1 -34.0 -17.7

콜롬비아 1.3 0.7 2.0 0.8 3.3 1 153.4 3.1 63.6 -8.3

페루 1.0 0.4 2.4 0.6 2.4 1 136.4 52.2 0.7 20.4

EFTA 3.1 0.6 3.2 0.6 1.9 1 -40.0 1.9 -40.4 -3.8

FTA 미체결국 403.1 177.9 459.7 176.1 441.7 165.9 9.6 -6.7 -3.9 -5.8

대만 85.0 38.1 123.6 43.5 114.5 39.1 34.7 2.5 -7.4 -10.1

홍콩 96.1 55.1 111.7 56.2 92.6 49.9 -3.6 -9.3 -17.1 -11.2

러시아 40.7 22.8 47.8 22.7 56.4 22.3 38.7 -2.4 17.9 -1.7

아랍에미리트연합 55.6 7.0 51.2 6.8 54.8 7.1 -1.5 0.3 6.9 3.4

몽골 14.4 4.3 19.5 4.4 17.5 4.8 21.7 10.4 -10.4 7.4

(31)

▪ 2022 년 국가별 농축산물 수출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천 톤

구분 평년(’17~’21) 전년(’21) 금년(’22) 변화율(%)

평년 대비 전년 대비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총합계 7,181.1 4,020.5 8,559.8 4,070.1 8,769.0 4,008.0 22.1 -0.3 2.4 -1.5 FTA 체결국 5,685.1 3,258.4 6,872.6 3,317.3 7,024.6 3,305.4 23.6 1.4 2.2 -0.4 RCEP 4,072.7 2,546.3 4,746.7 2,578.6 4,930.2 2,589.3 21.1 1.7 3.9 0.4 ASEAN 1,396.9 961.3 1,770.1 1,217.4 1,873.8 1,230.1 34.1 28.0 5.9 1.0 일본 1,360.8 745.5 1,422.1 680.2 1,528.7 733.5 12.3 -1.6 7.5 7.8 중국 1,118.3 774.7 1,339.5 608.0 1,289.2 545.7 15.3 -29.6 -3.8 -10.2

호주 161.0 51.6 168.5 56.4 194.2 64.2 20.6 24.4 15.2 13.8

뉴질랜드 35.7 13.2 46.3 16.6 44.2 15.8 23.8 19.4 -4.6 -4.6

미국 960.8 341.0 1,263.4 385.6 1,203.8 381.4 25.3 11.8 -4.7 -1.1

EU27 357.6 184.9 388.4 182.3 446.7 198.5 24.9 7.4 15.0 8.9

캐나다 100.8 37.7 127.7 42.3 148.2 46.4 47.0 23.1 16.0 9.9

영국 58.9 23.3 67.5 23.8 69.9 23.7 18.7 1.6 3.4 -0.3

인도 57.1 32.8 106.2 44.4 69.8 21.4 22.2 -34.6 -34.2 -51.8

이스라엘 25.8 6.1 33.2 6.7 40.5 4.5 56.6 -26.6 21.8 -33.8

중미 18.3 14.8 23.5 15.8 37.8 14.5 106.1 -2.4 60.9 -8.4

터키 24.3 13.7 50.8 22.1 36.1 12.7 48.8 -7.6 -29.0 -42.6

칠레 14.5 8.4 26.1 8.9 18.4 7.0 27.1 -16.8 -29.5 -21.7

콜롬비아 5.3 2.6 6.4 2.2 8.2 2.2 56.2 -15.1 27.4 0.2

페루 3.8 1.6 7.8 2.2 8.0 1.9 110.0 19.7 2.6 -12.4

EFTA 15.5 2.2 24.7 2.3 7.0 1.9 -55.1 -15.8 -71.8 -19.5

FTA 미체결국 1,584.9 788.8 1,687.2 752.8 1,744.4 702.6 10.1 -10.9 3.4 -6.7

대만 315.8 151.6 402.6 139.1 416.1 130.5 31.8 -13.9 3.4 -6.2

홍콩 365.7 211.5 399.3 220.3 376.8 201.6 3.0 -4.7 -5.6 -8.5

아랍에미리트연합 218.4 30.1 199.9 25.1 229.9 30.5 5.3 1.5 15.0 21.6

러시아 167.6 91.9 188.9 92.5 193.2 80.4 15.3 -12.6 2.3 -13.1

몽골 54.0 19.6 82.5 31.2 106.0 44.0 96.4 124.8 28.5 41.1

멕시코 25.9 10.6 31.6 9.3 37.2 9.8 43.5 -8.0 17.5 4.8

(32)

단위 : 백만 달러, 천 톤

구분

평년 10~12월 (’17~’21)

전년 10~12월 (’21.10~12)

금년 10~12월 (’22.10~12)

변화율(%)

평년 대비 전년 대비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축 산 물

쇠고기 634.8 95.9 918.5 104.1 719.3 86.5 13.3 -9.8 -21.7 -16.9 돼지고기 380.1 118.0 463.6 116.4 466.9 127.8 22.8 8.3 0.7 9.7

우유 94.0 27.8 115.5 34.6 161.3 36.3 71.6 30.6 39.7 4.9

닭고기 70.1 35.9 70.9 36.0 98.8 36.8 40.9 2.4 39.4 2.0

꿀 5.6 0.5 6.3 0.5 6.2 0.4 11.4 -20.2 -0.5 -25.9

조란 1.2 0.7 10.9 3.9 1.2 0.6 4.0 -5.3 -88.8 -83.9

오리고기 0.0 0.0 0.0 0.0 0.2 0.1 324.6 124.9 786.8 472.1

곡물

밀 165.5 592.8 264.8 715.5 366.7 779.1 121.6 31.4 38.5 8.9 옥수수 120.0 516.4 171.8 514.2 232.8 603.0 94.1 16.8 35.5 17.3

대두 46.5 64.8 45.7 45.4 96.5 90.9 107.4 40.2 111.0 100.3

보리 23.1 50.1 18.8 39.8 30.5 54.7 31.9 9.0 62.0 37.5

팥 18.7 15.1 24.4 14.9 15.5 10.3 -17.1 -31.4 -36.5 -30.3

녹두 4.2 3.2 12.3 5.8 9.5 4.6 124.3 44.4 -22.6 -20.9

조 3.7 5.0 4.1 4.0 2.2 2.2 -39.0 -56.2 -45.9 -45.2

수수 1.0 1.5 0.9 0.9 0.9 1.0 -1.0 -30.1 0.7 18.4

율무 0.0 0.0 0.0 0.1 0.0 0.0 -24.7 -11.3 -72.7 -70.2

과일 과채

키위 9.4 3.5 13.0 4.1 18.5 5.4 97.6 55.1 41.9 32.1

포도 44.2 13.8 39.0 11.3 16.8 4.8 -62.1 -65.4 -57.0 -57.5

체리 11.2 0.9 13.4 0.9 10.5 0.8 -6.0 -10.9 -21.4 -14.3

만감류 6.0 4.0 4.9 3.6 4.4 3.6 -26.4 -10.9 -10.3 0.3

오렌지(감귤) 6.0 4.0 4.9 3.6 4.4 3.6 -26.7 -11.2 -10.7 -0.1

딸기 2.8 1.5 4.7 2.1 4.0 2.1 42.3 39.5 -13.5 -2.7

멜론 0.4 0.3 0.5 0.3 0.5 0.3 30.7 -1.3 9.6 -7.3

채소 및 서류

양파 5.1 11.5 4.4 6.9 27.0 54.4 430.2 373.7 520.5 692.0

감자 9.6 12.3 9.9 8.7 15.9 16.6 65.4 34.4 61.6 89.2

당근 12.4 28.9 14.0 28.2 12.3 28.9 -0.4 0.1 -12.0 2.7

오이 1.1 3.0 1.2 3.0 1.0 2.4 -14.0 -18.2 -17.8 -18.2

상추 0.2 0.2 0.5 0.3 0.0 0.0 -99.9 -99.9 -99.9 -99.9

고구마 0.1 0.1 0.1 0.1 0.0 0.0 -60.6 -66.2 -65.6 -67.8

호두 21.5 3.2 21.0 2.9 14.1 2.8 -34.5 -12.3 -32.9 -2.0

(33)

▪ 2022 년 모니터링 품목별 수입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천 톤

구분 평년(’17~’21) 전년(’21) 금년(’22) 변화율(%)

평년 대비 전년 대비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축 산 물

쇠고기 2,837.1 434.1 3,560.0 469.0 4,238.5 474.5 49.4 9.3 19.1 1.2 돼지고기 1,652.9 499.2 1,762.1 446.8 2,090.0 563.4 26.4 12.8 18.6 26.1 우유 433.7 126.2 475.0 144.2 594.0 153.1 37.0 21.3 25.1 6.2 닭고기 259.1 137.7 269.1 148.9 449.7 181.6 73.6 31.9 67.1 22.0

꿀 14.1 1.1 18.9 1.4 21.1 1.5 49.3 41.0 11.1 3.7

조란 5.7 3.1 98.6 30.5 4.0 2.0 -30.9 -37.1 -96.0 -93.5

오리고기 0.1 0.1 0.2 0.1 0.3 0.1 72.5 14.9 56.6 38.9

곡물

밀 717.9 2,551.6 845.2 2,606.3 1,217.5 2,703.7 69.6 6.0 44.1 3.7 옥수수 520.1 2,358.2 707.8 2,329.9 921.3 2,354.5 77.1 -0.2 30.2 1.1 대두 181.4 284.2 226.3 287.9 303.9 328.7 67.5 15.7 34.3 14.1

보리 102.4 224.6 83.0 184.0 104.7 202.1 2.3 -10.0 26.2 9.8

팥 46.5 40.8 65.0 40.9 69.5 39.6 49.5 -3.0 7.0 -3.2

녹두 10.7 7.7 32.7 16.3 25.3 12.3 137.9 59.7 -22.4 -24.2

조 9.3 12.9 11.4 13.2 10.2 10.9 10.3 -15.5 -10.3 -17.4

수수 2.7 4.6 3.2 4.9 2.5 2.8 -8.1 -38.7 -22.0 -42.1

율무 0.0 0.1 0.1 0.3 0.1 0.2 58.8 148.9 -29.5 -42.6

과일 과채

만감류 209.3 127.3 200.5 110.1 165.9 78.4 -20.8 -38.5 -17.3 -28.8 오렌지(감귤) 208.6 127.1 198.8 109.4 164.0 77.8 -21.4 -38.8 -17.5 -28.9

키위 99.9 34.0 145.5 41.0 158.9 44.4 59.0 30.4 9.3 8.2

포도 185.4 59.8 182.6 53.5 157.9 43.6 -14.9 -27.1 -13.5 -18.5 체리 154.8 17.0 168.0 17.4 117.1 11.5 -24.4 -32.3 -30.3 -34.1

딸기 16.5 8.7 18.0 9.0 24.2 12.2 46.8 40.7 34.7 35.5

멜론 2.5 1.9 2.9 1.9 3.1 1.7 25.1 -8.7 7.8 -11.2

채소 및 서류

당근 49.2 107.7 51.9 99.9 54.0 104.8 9.7 -2.7 4.0 4.9

감자 32.0 42.3 37.2 39.9 52.2 53.2 63.23 25.7 40.4 33.1

양파 24.3 55.8 28.9 55.0 48.3 91.5 99.2 63.9 67.0 66.3

오이 4.0 10.9 3.8 10.0 4.2 10.3 5.2 -5.6 10.3 2.8

상추 4.0 5.0 5.3 6.7 3.0 3.4 -25.6 -32.9 -44.4 -49.6

고구마 0.2 0.2 0.1 0.1 0.0 0.0 -84.0 -86.4 -64.8 -67.6

호두 96.7 13.3 99.3 17.0 92.2 15.1 -4.6 13.5 -7.1 -11.3

밤 27.8 8.8 34.0 10.3 33.8 9.9 21.7 12.0 -0.6 -4.2

(34)

단위 : 천 달러, 톤

구분

평년 10~12월 (’17~’21)

전년 10~12월 (’21.10~12)

금년 10~12월 (’22.10~12)

변화율(%)

평년 대비 전년 대비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축 산 물

닭고기 10,999.8 10,728.1 15,103.2 12,316.8 19,957.5 14,716.3 81.4 37.2 32.1 19.5 우유 4,228.3 2,255.9 3,395.0 1,613.9 1,662.2 873.4 -60.7 -61.3 -51.0 -45.9 쇠고기 961.0 36.8 941.7 15.4 902.5 17.2 -6.1 -53.2 -4.2 11.7 돼지고기 562.5 139.9 1,208.9 341.2 375.8 55.6 -33.2 -60.2 -68.9 -83.7 조란 90.9 45.8 120.3 52.0 213.4 112.2 134.8 144.9 77.4 115.9

꿀 38.9 3.7 33.3 2.2 80.0 4.9 105.9 34.4 140.6 122.6

오리고기 225.0 190.3 5.7 0.7 4.6 0.4 -98.0 -99.8 -19.0 -45.9

곡물

밀 5,993.2 11,042.1 7,834.7 13,250.0 6,166.4 6,521.8 2.9 -40.9 -21.3 -50.8 팥 428.8 228.0 583.8 285.4 437.7 207.2 2.1 -9.1 -25.0 -27.4 보리 401.8 142.2 394.8 105.1 335.9 122.4 -16.4 -14.0 -14.9 16.4 옥수수 40.4 58.0 37.3 13.8 98.5 43.7 143.7 -24.7 164.2 216.9

대두 19.3 5.5 27.0 4.7 27.9 5.0 44.6 -9.0 3.3 6.9

수수 4.7 0.7 7.3 0.8 8.7 1.1 83.8 49.6 19.6 43.2

녹두 1.9 0.3 3.3 0.3 5.1 1.4 165.5 324.6 54.1 410.7

조 11.7 1.5 22.9 1.8 1.5 0.3 -87.0 -77.3 -93.4 -80.7

율무 5.1 1.4 1.4 0.1 - - - -

과일 과채

포도 12,838.8 833.4 21,434.1 1,159.4 17,212.5 1,183.1 34.1 42.0 -19.7 2.0 딸기 13,204.1 991.8 15,389.1 913.8 17,070.9 1,095.8 29.3 10.5 10.9 19.9 만감류 3,589.9 3,392.6 5,796.5 6,160.9 3,293.9 3,086.4 -8.2 -9.0 -43.2 -49.9 오렌지(감귤) 3,328.2 3,248.7 5,334.2 5,995.9 2,920.4 3,016.7 -12.3 -7.1 -45.3 -49.7 키위 546.0 120.2 312.4 64.7 318.6 88.4 -41.6 -26.5 2.0 36.6 멜론 231.5 76.7 98.2 29.2 80.9 25.3 -65.1 -67.0 -17.7 -13.6

체리 0.1 0.0 - - 0.0 0.0 -33.3 0.0 - -

채소 및 서류

고구마 394.0 92.9 429.1 82.8 468.9 120.4 19.0 29.5 9.3 45.4

상추 201.4 117.6 119.5 55.4 412.7 247.4 104.9 110.5 245.3 346.3 감자 203.4 92.9 101.9 40.7 280.7 125.7 38.0 35.3 175.4 209.2 양파 697.8 1,199.5 1,804.3 2,805.0 53.5 22.9 -92.3 -98.1 -97.0 -99.2 당근 65.8 57.9 137.9 80.7 36.8 48.1 -44.2 -17.0 -73.3 -40.4

오이 37.4 14.9 25.9 4.6 17.6 3.2 -52.8 -78.4 -31.9 -29.9

밤 9,022.9 3,423.9 7,698.8 2,793.2 7,269.1 2,559.7 -19.4 -25.2 -5.6 -8.4

참조

관련 문서

C의 품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맥석광물의 강도가 높 아 잘 깨지지 않아 조립질에 비교적 다량 분포하기 때문이며,반대로 석탄은 매우 강도가 낮아 쉽게

이는 피크 출력이 같더라도 펄스 조사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펄스당 에너지가 증가하고 레이저빔과 시편의 상호작용시간이 길어지면서 용접부 폭이 증가한

❍ 국내 농산물 가격 국제가격보다 높은 현상 가공기업으로 하여금 수입농산물로 국내 원 료를 대체하게 만들었으며, 가격왜곡에 따른 수입량이 증대됨. 식량 등 주요

◦영연방 국가뿐만 아니라 전체 FTA 체결국에 대한 농축산물 수급 및 가격 등의 시장정보 수집 강화, 국내 농업부문 경쟁력 강화 및 차별화 지원 사업, 농축산물 수출

[r]

이는 최근 일본내 와인 소비 자들 사이에서 국내산 와인이 인기를 얻어 일본 국내산 포도를 원료로 제조한 일본 와인을 취급하는 음식점과 소매점이 늘어 나고

이는 결과적으로 안정적 직업 취득을 통한 경제 ·사회적

○ 종교시설에서 운영하며 학생,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보충형 수업의 형태 또는 통학형으로 운영하는 미인가 교육시설의 경우, 종교시설 방역수칙을 적용함. -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