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응급의료센터를 내원한 소아 환자 중 신경계 질환의 경향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응급의료센터를 내원한 소아 환자 중 신경계 질환의 경향 분석"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Vol. 18, No. 1, May, 2010 □ 원 저 □

1)

접수 :2010 331 ,일 승인:201054 책임저자 : 채수안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Tel : 02)6299-1479, Fax : 02)6263-2167 E-mail : kidbrain@korea.com

응급의료센터에서 소아 환자들이 차지하는 비중

응급의료센터를 내원한 소아 환자 중 신경계 질환의 경향 분석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박승완 채수안 이재희 이정주 윤신원 임인석 최응상 유병훈

= Abstract =

Clinical Analysis of the Pediatric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orders See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Seung Wan Park, M.D., Soo Ahn Chae, M.D., Jae Hee Lee, M.D.

Jung Ju Lee, M.D., Shin Won Yoon, M.D., In Seok Lim, M.D.

Eung Sang Choi, M.D. and Byoung Hoon Yoo, M.D.

Department of Pediatrics,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Purpose : Pediatric emergencies with seizure and decreased mental status or loss of consciouseness may cause severe complications without early proper management.

Distribution of neurological disorders may differ according to various demographics, it would be valuable to evaluate recent data in Korea.

Methods : Patients who had neurological problems and below 18 years old were defined as case. 1,058(5.6%) case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of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8 were analyzed.

The patients were also divided into four age groups: age 1 year or younger, pre- school children(2-5 years), middle childhood group(6-10 years), and adolescent group(11-18 years).

Results :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5:1. Most children were between 2 to 5 years old(mean age=3 years). Febrile convulsion is the most common neurological disorders among infant and preschooler, meningitis is the most common among middle childhood, epilepsy and headache is the most common among adolescent. Main initial presentations were seizure followed by fever, headache and vomiting. Febrile con- vulsion was the most common neurological disorders followed by epilepsy and me- ningitis. Final dispositions of patients were admission, discharge, against medical de- vice, and transfer to other hospital. Admission rate of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 orders was higher than those of total patients.

Conclusion : Neurological disorders are increasing in pediatric emergencies and have highest admission rate, mostly because of the parent's anxiety and severity of disease itself. Therefore, not only detect and treat neurological disorder in early stage, but also reassuring parent is important.

Key Words : Emergency department, Child, Nervous system diseases

(2)

은 높으며 국내에서 이루어진 대부분의 연구에서 , 매년 그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1-8)

. 응급 의료센터에 내원한 소아 전체 환자 중 질병에 따른 분류에서 사고와 중독이 가장 많으며

2, 3, 5)

, 소아과 질환으로는 호흡기 질환과 소화기 질환이 많고 그 , 외에 신경계 질환 신생아 질환 등이 흔하다 ,

1, 4-8)

.

신경계 질환 환자들은 소아과 질환에서 호흡기, 소화기 질환 다음으로 많은 수를 차지하며

4-10)

, 한 연구에 따르면 호흡기 질환 다음으로 가장 많은 수 를 차지하기도 한다

2)

. 신경계 질환 환자의 비율은 0.6%

11)

에서 13.4%

2)

로 연구마다 다양하다 한 연 . 구에서는 주증상별 입원율을 조사하였는데 이 중 , 발작의 입원율이 80% 로 소아과 증상 중에 가장 높 은 입원율을 나타내며 설사 , (55.1%) 나 호흡곤란 의 입원율에 비해 상당히 높음을 보고한 바 (29%)

있다

12)

. 이는 발작이나 의식의 소실 등의 신경계 증 상은 부모들을 놀라고 불안하게 하여 응급의료센터 를 내원하는 흔한 이유가 되기 때문이며

13)

, 환자의 처치나 추후 검사를 위해서 입원 조치되는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13-16)

.

발작이나 의식의 변화 또는 소실을 주소로 내원 하는 환자들을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하게 응급 조 , 치를 한다면 심각한 합병증과 후유증 또는 사망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신 . 경계 질환 소아 환자들의 경향을 분석하는 것은 매 우 의미있는 일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응급의료센 . 터에 내원한 전체 소아 환자나

1, 2, 4-8, 11)

급성 발작 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17, 18)

등 단일 신경계 질환에 대한 조사는 이루어진 바 있으나 전체 신경계 질환 , 환자들에 대한 검증은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외 . 국에서는 이미 여러 나라에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소아 신경계 질환 환자의 비율이 높은 사실 등을 근 거로 응급의료센터에서의 빠른 조치와 정확한 진단 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19-22)

. 신경계 질환은 나라마다 그리고 한 나라에서도 지역이나 시기별로 , 다른 분포를 보이므로

22)

, 우리나라의 자료를 분석하 는 일은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저자는 본원 .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소아 신경계 질환 환자들의 경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 상 1.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2005 1 1 2008 12 31 4 년 동안 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여 소아청소년과 진료를 받은 18 세 미만의 환자 총 명 중 신경계 질환으로 최종 진단된 환자 18,922

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1,058 (5.6%) .

방 법 2.

응급 의무 기록지와 입원 병록지를 통해 환자의 성별 및 연령별 분포 계절별 분포 주증상 최종 진 , , , 단명 및 최종 진료처리 형태 등을 조사하고 이를 , 근거로 연령별 질환군 계절별 질환군을 분석하였으 , 며 주증상별 최종 진단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 , 다 연구 대상에 포함된 환자는 연구 기간 중 서로 . 다른 시기에 여러 번 응급센터를 방문했더라도 각각 의 예로 따로 계산하였다.

환자들의 연령별 분류는 소아기의 구분을 참고하 여 1 세 미만을 신생아기와 영아기 , 2 세부터 5 세 미 만을 유아기 , 6 세부터 10 세 미만을 학령기 그리고 , 세부터 세 미만을 청소년기로 구분하였다 전

11 18 .

산자료에 명기된 내원 연월일을 근거로 하여 3 월부 터 5 월까지를 봄 , 6 월부터 8 월까지를 여름 , 9 월부 터 11 월까지를 가을 그리고 12 월부터 익년 2 월까 지를 겨울로 구분하였다 주증상은 환자가 호소하는 . 증상 또는 동반하는 증상을 포함하였으며 한 가지 , 이상의 증상이 있는 경우 각각을 따로 분류하였고, 질병분류는 단일 질환별로 구분하였다.

연도별 분포 1.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소아 응급환자는 2005 년 에 2,905 (15.2%) 명 에서 2008 년에 6,795 (19.5 명 으로 해마다 그 수와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전

%) .

체 소아 응급환자 18,922 명 중 신경계 질환 환자

(3)

는 1,058 명으로 전체의 5.6% 를 차지하였으며 월 , 평균 22 명이었다 연도별로는 . 2005 년에 94 (3.2 명

년에 명 년에 명

%), 2006 190 (4.6%), 2007 287 년에 명 으로 해마다 신 (5.6%), 2008 487 (7.2%)

경계 질환 환자의 비율이 증가하였다(Table 1).

성별 및 연령 분포 2.

대상 환아 1,058 명 중 남아는 643 (61%), 명 여 아는 415 (39%) 명 으로 성비는 1.5:1 이었다 연령 . 별 분포는 2 세 미만이 308 (30%), 2 명 세부터 5 세 미만이 486 (46%), 6 명 세부터 10 세 미만이 192 명 (18%), 11 세부터 18 세 미만이 72 (6%) 명 이었 다 이 중 유아기인 . 2 세부터 5 세 미만이 가장 많았 고 신생아기 영아기인 , - 2 세 미만이 그 다음으로 많 았다 (Table 2). 연령에 따른 흔한 질병은 영유아 , 기에는 열성경련이 학령기에는 뇌수막염이 청소년 , ,

기에는 간질과 두통이 가장 흔하였다(Table 3).

월별 계절별 분포 3. ,

계절별 분포는 2005 년부터 2007 년까지는 계절 별 차이가 크지 않으나 , 2008 년에는 6 월부터 8 월 까지 여름철에 내원한 환자수가 213 (43%) 명 으로 가장 많았다 (Table 4). 계절별 흔한 질병을 조사하 였는데 열성 경련은 , 4 계절 모두 많이 발생하지만 , 봄과 겨울에 60% 에 달하여 특히 많았고 여름에는 , 뇌수막염이 42% 로 다른 계절에 비해 월등히 많았 으며 간질이나 두통 등의 기타 질환은 계절별 차이 , 가 크지 않았다(Fig. 1).

주증상별 분포 4.

주증상별 분포는 발작이 809 (76%) 명 으로 가장 많았고 이 중 열을 동반한 경우가 , 610 (75%), 명

Table 1. Yearly Distribution of Patients with Patients of Neurological Disorders

Year No. of total patients(%)

No. of neurological disorders(%) 2005

2006 2007 2008 Total

2,905(15.2) 4,113(16.1) 5,109(16.2) 6,795(19.5) 18,922(17.0)

94(3.2) 190(4.6) 287(5.6) 487(7.2) 1,058(5.6)

Table 2. Age Distribution of the Subjects by Group

Age No. of patients(%)

<2 yr 2-5 yr 6-10 yr 11-18 yr Total

308( 30.0) 486( 46.0) 192( 18.0) 72( 6.0) 1,058(100.0)

Table 3. Major Neurological Disorders by Age Groups

Neurological Disorders

Age Groups

<2 yr N(%)

2-5 yr N(%)

6-10 yr N(%)

11-18 yr N(%)

Total N Febrile convulsion

Epilepsy Meningitis Encephalitis Headache Other Total

218( 70.7) 71( 23.1) 2( 0.6) 6( 1.9) 0( 0.0) 1( 3.7)* 308(100.0)

299( 61.5) 83( 17.1) 81( 16.7) 8( 1.6) 7( 1.5) 8( 1.6) 486(100.0)

25( 13.1) 55( 28.6) 86( 44.8) 6( 3.1) 18( 9.4) 2( 1.0) 192(100.0)

2( 2.8) 27( 37.5) 21( 29.2) 1( 1.4) 20( 27.8) 1( 1.4)§ 72(100.0)

544 236 190 21 45 22 1,058

*Infantile spasm, Gullian Barré syndrome, Benign convulsion with mild gastroenteritis

Cerebral infarction, Gullian Barré syndrome, Status epilepticus

Status epilepticus, MELAS(Mitochondrial Encephalopathy Lactic Acidosis and Stroke-like epi- sodes)

§Cerebral infarction

(4)

열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는 199 (25%) 명 이었다 . 전체 환자 중 열을 동반한 경우는 764 (72%) 명 이 었고 두통이 , 216 (20%), 명 구토가 184 (17%) 명 에서 동반되었다 그 외에도 의식의 저하나 소실을 . 동반하는 경우가 23 (2%), 명 복통을 동반하는 경우 가 12 (1%) 명 이었다 기타 증상으로는 안면 마비 . , 근긴장도 소실 편마비 등이 있었다 , (Table 5).

최종 진단명별 분포 5.

최종 진단명별 분포는 열성경련이 544 (51%) 명 으로 가장 많았고 간질이 , 226 (21%), 명 뇌수막염 이 190 (18%) 명 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두통을 주 . 소로 내원한 환자 중 증세 호전되어 귀가하여 진단명 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는 두통으로 분류하였으며 위 ,

장관염을 동반한 양성 발작 영아 연축 간질 중첩증 , , 은 따로 분류하였다 기타 진단으로 얼굴신경 마 . 비나 길랑 바레 증후군 뇌경색 등이 있었다 - , (Table 6).

최종 진료 형태별 분포 6.

최종 진료 형태별 분포로는 입원 조치된 환자가 명 이었는데 이 중 일반병실로 입원한 741 (70%) ,

환자가 701 (94.7%), 명 중환자실로 입원한 환자가 명 이었다 증세 호전되어 귀가한 환자가 40 (5.3%) .

명 이었고 병원에서의 어떠한 검사나 295 (27.9%) ,

처치도 받지 않고 자의 퇴원한 환자가 16 (1.5%), 명 타병원으로 전원된 환자가 명 6 (0.6%) 이었다 (Table 신경계 질환 환자의 입원율을 다른 계통 질환의 7).

Table 4. Seasonal Distribution of Patients Season 2005 2006 2007 2008 No. of

patients(%) Spring*

Summer Autumn Winter§ Total

21 28 24 21 94

53 45 56 36 190

76 80 66 65 287

96 213

68 110 487

246( 23.0) 366( 35.0) 214( 20.0) 232( 22.0) 1,058(100.0)

*Spring : March, April, May

Summer : June, July, August

Autumn : September, October, November

§Winter : December, January, February

Table 5. Initial Presentation in the Subjects Initial Presentation No. of patients(%) Seizure

Seizure with fever Seizure without fever Fever

Headache Vomiting

Decreased mental status or LOC

Abdominal pain Other*

809(76.0) 610(75.0) 199(25.0) 764(72.0) 216(20.0) 184(17.0)

23( 2.0) 12( 1.0) 9( 1.0)

*Facial palsy, muscle weakness, hemiparesis etc.

Fig. 1. Seasonal variation in the incidence of neurological disorders.

(5)

입원율과 비교하였고 호흡기 질환 , (25.3%) 이나 소 화기 질환 (20.8%) 의 입원율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진단명별 입원율을 비교하였고 뇌염과 위 . , 장관염을 동반한 양성발작의 입원율이 각각 100%

로 가장 높았고 간질중첩증 , (90%) 이 그 다음으로 높았다 (Table 6). 두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45 명 중 입원한 환자수는 4 (8.9%) 명 으로 가장 낮은 입원율을 보였다.

국내에서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전체 소아 환자 에 대한 조사

1, 2, 4-8, 11)

나 급성 발작을 주소로 내원 한 환자에 대한 조사

17, 18)

등 단일 신경계 증상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 있으나 전체 신경계 질환 , 환자들에 대한 검증은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외 . 국에서는 이미 여러 나라에서 조사가 이루졌으며, 신경계 질환 환자들의 빠른 처치와 정확한 진단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19-22)

. 신경계 질환은 나라 마다 그리고 한 나라에서도 지역마다 다른 분포를 , 보이므로

22)

, 우리나라의 자료를 분석하는 일은 의미 가 있다고 하겠다.

국내에서 이루어진 대부분의 연구에서 소아 환자 들의 3 차 진료기관 응급의료센터의 이용은 매년마 다 그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1-6)

. 이번 연구 결과에서도 조사 기간 동안 본원 응급의료센터 를 방문한 환자 중 전체 소아 환자들의 수와 비율 모두 증가 추세를 보이며 그 중 신경계 질환 환자 , 의 수와 비율 또한 매년 증가 추세를 보였다.

연령별 분포에서 유아기인 2 세부터 5 세 미만이 가장 많았는데 이는 최종진단에서 가장 많은 수를 , 차지한 열성경련의 호발 연령이 6 개월에서 5 세 사 이인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23)

. 다른 연구 결과에서도 세 미만의 환자들이 전체의 5 77% 에 달 하였는데 저자들은 그 이유로 세 미만의 환자들이 , 5 열성경련의 호발 연령인 점과 다양한 감염에 취약한 점 등을 들어 설명하고 있다

22)

.

연령별로 흔한 질병은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영유아기에는 열성경련이 ,

23)

, 학령기 에는 뇌수막염이

24, 25)

, 청소년기에는 간질과 두통이 가장 흔하였다

26-28)

. 연령대별로 흔한 질병이 다르 므로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환자들의 연령에 따른 접근과 진단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계절별 분포에서 2005 년부터 2007 년까지는 계 절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 2008 년도에는 여름철에 내원한 환자가 213 명으로 전체의 43% 에 달하였는데 이는 , 2008 년도 여름에 유행한 장바이 러스 뇌수막염의 영향인 것으로 보이며 이는 다른 , 연구 결과에서 무균성 뇌막염의 유행 시기가 5 월에 서 8 월 사이인 것과 일치한다

24, 25)

.

주증상별 분포는 발작 열 두통 구토 순으로 많 , , , 았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 흔한 질환으로 조사된 열 , 성 경련이나 간질 등의 경련성 질환과 뇌수막염이나

Table 6. Distribution and Admission rate of

Neurological Disorders Neurological

disorders

No. of visits(%)

No. of admitted(%) Febrile convulsion

Epilepsy Meningitis Headache Encephalitis Status epilepticus Benign convulsion

with mild gastroenteritis Infantile spasm Other*

Total

544( 51.0) 226( 21.0) 190( 18.0) 45( 4.0) 21( 2.0) 10( 0.9) 8( 0.8)

4( 0.4) 10( 0.9) 1,058(100.0)

398( 73.2) 161( 71.2) 131( 68.9) 4( 8.9) 21(100.0) 9( 90.0) 8(100.0)

2( 50.0) 7( 70.0) 741

*Facial palsy, Gullian Barré syndrome, cereb- ral infarction etc.

Table 7. Subclass by Final Disposition Final Disposition No. of patients(%) Admission

To general ward To ICU

Discharge

Against medical advises Transfer to other hospital Total

741( 70.0) 701( 94.7) 40( 5.3) 295( 27.9) 16( 1.5) 6( 0.6) 1,058(100.0)

(6)

뇌염 등의 급성 중추 신경계 감염에서 나타나는 증 상들과 일치하는 양상을 보인다.

최종 진단명별 분포는 열성 경련이 전체의 51%

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간질 뇌수막염 두통 , , , 등의 순서로 많았다 우리나라의 다른 연구 결과나 . 외국의 결과에서도 열성 경련이 가장 흔하였는데, 그 비율은 28-75% 정도로 범위가 매우 다양하다

19, 21, 22)

. 열성 경련의 비율은 Seo 등

2)

의 연구 결과 에서 30.9% 로 가장 낮았고 , Lee 등

4)

의 연구 결과 에 따르면 75% 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편이며 각각 , 의 연구마다 서로 다른 결과를 나타낸다 . Ryu 등

11)

,

Kim

1)

, Lee 등

6)

은 열성경련을 신경계 질환이 아 닌 증상 징후 및 불확실한 병태로 분류한 관계로 간 , 질이 가장 많았다고 보고하였으며 , 그 비율은 이다 이를 감안한다면 열성경련이나 간질 20-50% .

등의 경련성 질환이 이들 연구 모두에서 가장 흔한 질환임을 알 수 있다.

년 이전에 이루어진 등

1990 Ahn

7)

, Seo 등

2)

, 등

Chang

5)

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결핵성 뇌막염이 열성 경련 다음으로 흔하였는데 , 1990 년대 이후에 보고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뇌수막염이 경련성 질환 다음으로 흔하며

6, 8)

, 이는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 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 흔한 신경계 질환 환자는 시기별로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이지리아의 신경계 질환을 보고한 연 . 구 결과에 따르면 열성 경련 다음으로 말라리아 뇌 병증이 흔하였는데

22)

, 이처럼 신경계 질환은 지역적 특색을 나타내기도 한다.

최종 진료 형태별 분포는 입원 환자가 전체의 70 에 달했는데 전체 소아 환자의 입원율인

% , 22.8%

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이다 다른 연구 결과에서 . 전체 소아 환자의 입원율은 국내에서 Lee 등

4)

이 7.4

%, Lee

6)

이 30.0%, Seo 등

2)

이 43.2% 로 보고 한 바 있으며 외국에서는 , 8.5%

29)

, 25%

12)

, 42.1

%

9)

등으로 보고되었다 외국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 신경계 질환 환자의 입원율은 Palmieri 등

20)

이 2.7

%, Iioeje

21)

이 54.6% 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 . 결과 사망 환자는 보고되지 않았는데 이는 응급의 , 료센터에서의 자료만을 분석하였고 입원한 이후의 ,

사망은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신경계 질환 환자의 입원율을 다른 계통 질환의 입원율과 비교하였고 호흡기 질환 , (25.3%) 이나 소 화기 질환 (20.8%) 의 입원율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진단명별 입원율을 비교하였고 뇌염과 위장관염 , 을 동반한 양성발작의 입원율이 각각 100% 로 가장 높았고 간질중첩증 , (90%) 이 그 다음으로 높았다 . 열성경련과 간질 등의 경련성 질환의 입원율은 각각 와 로 다른 연구 결과와 큰 차이가 없 73.2% 71.2%

었다

12-14)

. 이는 소아 환자의 발작에 대한 보호자들

의 불안을 반영하는 결과라고 생각된다

13)

. 이에 반 해 두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45 명 중 입원한 환 자수는 명 4 (8.9%) 으로 가장 낮은 입원율을 보였는 데 이는 다른 보고에서와 마찬가지로 두통을 주소 , 로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환자들의 대부분은 약물 적인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거나 진통제로 해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30)

.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아 신경계 질환 환자의 입원율은 외국의 결과보다 높으며 전체 소아 환자 , 의 입원율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의료전 . 달체계나 보험체계의 국가별 차이와 우리나라의 문 화적 인식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이번 연구 기간동안 응급의료센터를 내원하는 신경계 질환 환자들의 수와 비율이 증가하 고 있으며 연령별로 흔한 질환군이 다르며 뇌수막 , 염과 같이 감염의 유행과 관련있는 경우 연도별 계 , 절별 발생빈도가 다르다 흔한 질환은 열성경련이나 . 간질 등의 경련성 질환과 뇌수막염이나 뇌염 등의 급성 중추신경계 감염 질환이며 주증상은 이와 관 , 련된 것들이 많다 신경계 질환의 입원율은 다른 계 . 통 질환의 입원율이나 전체 입원율에 비해 월등히 높다.

이번 연구는 단일 3 차 진료기관을 대상으로 이루

어졌으며 같은 진료기관의 연차적 비교로 이루어진 ,

것도 아니라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응급의료센터 .

에 내원한 신경계 질환 소아 환자들의 경향을 분석

한 국내 첫 연구라는 점이 의미있으며 이를 바탕으 ,

로 향후 신경계 환자들을 진료하는데 큰 도움을 줄

(7)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추후 다른 병원에서의 신 . 경계 질환 환자군과의 비교나 본원의 연차적 비교를 시행한다면 국내 응급의료센터를 내원하는 신경계 , 질환 소아 환자의 지역 및 시기별 특색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목 적 : 소아 응급 환자 특히 발작이나 의식의 변 , 화 또는 소실을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들을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하게 응급 조치를 한다면 심각한 합 , 병증과 후유증 또는 사망을 예방할 수 있다 지금까 . 지 국내에서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신경계 질환 환 자들에 대한 검증은 거의 없는 실정이나 외국에서는 이미 여러 나라에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신경계 질 . 환은 나라마다 지역마다 다른 분포를 보이므로 우 , 리나라의 자료를 분석하는 일은 의미가 있다고 하겠 다.

방 법 : 2005 년 1 월 1 일부터 2008 년 12 월 31 일까지 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여 소아청소년과 진료를 받은 18 세 미만의 환자 총 명 중 신경계 질환으로 최종 진단된 환자 18,922

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례에 대해 1,058 (5.6%) .

응급 의무 기록지와 입원 병록지를 참고하였고 이 , 를 근거로 연령별 질환군 계절별 질환군을 분석하 , 였으며 주증상별 최종 진단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 , 였다.

결 과 : 남녀비는 1.5:1 이었고 연령별 분포상 , 2 세부터 5 세 미만이 가장 많았고 평균 연령은 3 세였 다 연령에 따른 흔한 질병은 영유아기에는 열성경 . , 련이 학령기에는 뇌수막염이 청소년기에는 간질과 , , 두통이 가장 흔하였다 계절별 분포는 . 2005 년부터

년까지는 계절별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2007 , 2008

년에는 여름철에 내원한 환자수가 가장 많았다 여 . 름에는 뇌수막염이 다른 계절에 비해 월등히 많았으 나 다른 질환은 계절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주증상 , . 별 분포는 발작 열 두통 구토의 순으로 많았으며 , , , , 최종 진단명별 분포로는 열성경련 (51%), 간질 (21 뇌수막염 순으로 많았다 최종 진료 형

%), (18%) .

태별 분포로는 입원 (70.0%), 귀가 (27.9%), 자의 퇴원 (1.5%), 전원 (0.6%) 순이었다 신경계 질환의 . 입원율은 전체 환자의 입원율 (22.8%) 이나 다른 계 통 질환의 입원율 보다 높았다.

결 론 : 신경계 질환 환자의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다른 계통 질환에 비해 입원율이 높은 특성 , 을 가지고 있다 이는 보호자들의 불안과 신경계 질 . 환의 중증도와 관련이 있으므로 신경계 증상을 보이 는 환자들을 조기에 진단하고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 뿐만 아니라 보호자들에게 충분한 설명을 하고 , 안심을 시키는 것도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Kim SJ, Lee JS, Cha HD, Park TW, Kwon TC, Kang CM. Statistical Study on Pediatric Emergency Room Patients. J Korean Pediatr Soc 1988;31:93-9.

2) Seo SS, Lee CU, Kim CY, Shin JW. Clinical and Statistical Studies on Pediatric Emer- gency Room Patients. J Korean Pediatr Soc 1979; 22:46-53.

3) Lee KH, Cha SH, Kim YT, Ahn DH, Sohn KC. The Statistical Studies on the Emer- gency Room Patients Under the 15 years of Age. J Korean Pediatr Soc 1984;27:

111-21.

4) Lee JH, Kim JS, Shin DG, Lee HS. Stati- stical Studies on Pediatric Emergency Room Patients. J Korean Pediatr Soc 1981;24:

304-10.

5) Chang MS, Yoon MJ, Lee KO, Kim SH.

Clinical and Statistical Studies on Pediatric Emergency Room Patients. J Korean Pedi- atr Soc 1988;31:86-92.

6) Lee HJ, Park SY, Lee YH, Do BS, Lee SB.

Clinical Analysis of the Pediatric Patients Seen in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Korean J Pediatr 2005;48:1061-7.

7) Ahn YH, Ma TY, Lee JS, Huh S. Statistical Studies on Pediatric Emergency Room Pa- tients. J Korean Pediatr Soc 1977;20:751- 6.

8) Park JH, Wi DH. Clinical Analysis of the Pediatric Death Patients Visiting Emergency

(8)

Center. J Korean Soc Emerg Med 1998;9:

445-51.

9) Singhi S, Jain V, Gupta G. Pediatric emer- gencies at a tertiary care hospital in India.

J Trop Pediatr 2003;49:207-11.

10) Armon K, Stephenson T, Gabriel V, MacFaul R, Eccleston P, Werneke U, et al. Deter- mining the common medical presenting pro- blems to an accident and emergency depart- ment. Arch Dis Child 2001;84:390-2.

11) Ryu JM, Yoon CH, Chio SH, Cho KG. The Statistical Studies on the Emergency Room Patients under the 15 Years of age. J Korean Pediatr Soc 1985;28:372-7.

12) Goh AY, Chan TL, Abdel-Latiff ME. Paedi- atric utilization of a general emergency de- partment in a developing country. Acta Pae- diatr 2003;92:965-9.

13) Smith RA, Martland T, Lowry MF. Children with seizures presenting to accident and emergency. J Accid Emerg Med 1996;13:

54-8.

14) Krumholz A, Grufferman S, Orr ST, Stern BJ. Seizures and seizure care in an emer- gency department. Epilepsia 1989;30:175- 81.

15) McKee PJ, Wilson EA, Dawson JA, Larkin JG, Brodie MJ. Managing seizures in the casualty department. BMJ 1990;300:978-9.

16) Verity CM, Ross EM, Golding J. Epilepsy in the first 10 years of life: findings of the child health and education study. BMJ 1992;

305:857-61.

17) Cho JI, Kim DW, Jang HO, Moon JS, Nam SY, Lee CG. A Clinical Study on the Etio- logies of Acute Seizures in Children Who Visited Emergency Department. Korean J Pediatr 2004;47:1312-8.

18) Lee WD, Yoo JW, Lee JS, Lee JH, Cho KL.

Clinical review of acute seizures among children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in Masan Samsung hospital from 2004 to 2006. Korean J Pediatr 2008;51:420-5.

19) Garcia-Penas JJ, Munoz-Orduna R. [The neuropediatrician and the pediatric neurolo- gical emergencies]. Rev Neurol 2008;47

Suppl 1:S35-43.

20) Palmieri A, Dau D, Gallarotti F, Pavanello M, Di Pietro P. [Neurological disorders in a pediatric emergency room: Epidemiology and clinical aspects]. Minerva Pediatr 2006;

58:289-97.

21) Iloeje SO. Paediatric neurologic emergencies at the University of Nigeria Teaching Hos- pital, Enugu. West Afr J Med 1997;16:80- 4.

22) Ofovwe GE, Ibadin MO, Okunola PO, Ofoeg- bu B. Pattern of emergency neurologic mor- bidities in children. J Natl Med Assoc 2005;

97:488-92.

23) Forsgren L, Sidenvall R, Blomquist HK, Heijbel J. A prospective incidence study of febrile convulsions. Acta Paediatr Scand 1990;79:550-7.

24) Cheong HK, Park SK, Ki M, Lee K. Six year national trend of childhood aseptic meningi- tis incidence in Korea, 1996-2001. Korean J Epidemiol 2008;30:252-62.

25) Park SK, Cheong HK, Ki M, Son YM, Kim H. Assessment of the Availability of Health Insurance Data for Epidemiologic Study of Childhood Aseptic Meningitis. Korean J Prev Med 2003;36:349-58.

26) Rothner AD. Management of headach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Pain Symptom Manage 1993;8:81-6.

27) Mortimer MJ, Kay J, Jaron A. Epidemiology of headache and childhood migraine in an urban general practice using Ad Hoc, Vahl- quist and IHS criteria. Dev Med Child Neurol 1992;34:1095-101.

28) Olness KN, MacDonald JT. Recurrent head- aches in children: diagnosis and treatment.

Pediatr Rev 1987;8:307-11.

29) Bergman AB, Haggerty RJ. The emergency clinic. A study of its role in a teaching hospital. Am J Dis Child 1962;104:36-44.

30) Kan L, Nagelberg J, Maytal J. Headaches in a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etio- logy, imaging, and treatment. Headache 2000;40:25-9.

수치

Table 3. Major Neurological Disorders by Age Groups
Table 5. Initial Presentation in the Subjects Initial Presentation No. of patients(%) Seizure
Table 7. Subclass by Final Disposition Final Disposition No. of patients(%) Admission

참조

관련 문서

As commercial companies using Big Data, one of the most common legal issues will be customers’ privacy and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It is viewed that among the policy tools as to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e most efficient method in controling environmental pollution indirectly on

2) Serum Cortisol, ACTH 3) Serum TSH and Free T4 4) Serum Prolactin and GH 5) Serum 25OHD and PTH.. What is the most common laboratory. abnormality expected in this

‰ doing things fast may require more logic and thus more space. ‰ example:

Purpose: Calcaneal fracture is a rare fracture, which accounts for about 2% of all fractures, but is one of the most common fractures in the ankle bone.. There is

Lumbar discogenic radiculopathy (LDR) is one of the most common spinal disorders which can lead to high medical expenses for the patient, occupational impairment,

– A fixed lump-sum price based on the quantities provided by the owner for the major components of the project. – Most infrastructure projects and

In this study, the usage of most common cement for the ground material was highly reduced, and developed a solidifying agent for organic and inorgan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