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Copied!
6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사학위 논문

모 델 전 공 학 생 의 무 용 수 업 참 여 ・ 비 참 여 에 따 른 자 아 개 념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전공

한 설 희

2 0 0 1

(2)

모 델 전 공 학 생 의 무 용 수 업 참 여 ・ 비 참 여 에 따 른 자 아 개 념

지 도 교 수 김 현 덕

이 논문을 석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200 1년 6월 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전공

한 설 희

2 0 0 1

(3)

한설희의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인준함 200 1년 6월 일

심 사 위 원 장

심 사 위 원

심 사 위 원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4)

목 차

Ⅰ .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가설 4

4. 연구의 제한점 4

5. 용어의 정의 5

Ⅱ . 이 론 적 배 경

6

1. 무용의 기능 및 가치 6

2. 자아 신체감(Physical Self-Efficacy) 11

3. 자아 효능감(Self-Efficacy) 16

4. 자아 존중감(Self-Esteem) 25

Ⅲ . 연 구 방 법

28

1. 연구대상 28

2. 조사도구 28

3. 조사방법 31

4. 자료처리방법 32

Ⅳ . 결 과 및 고 찰

33

참 고 문 헌

47

56

(5)

표 목 차

표 1. 연구대상 28

표 2. 자아 신체감 하위영역 및 문항 구성 29

표 3. 자아 존중감 문항 구성 30

표 4. 질문지의 구성지표 및 구성내용 31

표 5. 남자 시기별 참여군, 비참여군과의 차이검증 33

표 6. 여자 시기별 참여군, 비참여군과의 차이검증 37

표 7. 참여군의 시기별 남녀차이검증 40

그림목차

그림 1. 경쟁상황에서 신체적 자기 효능감에 대한 가상의 피드백과

근지구력과의 관계(Weinberg et al., 1979) 15 그림 2. 효능감 기대와 결과 기대의 조작적 개념의 인지적 軌跡 18 그림 3. 효능감 정보, 효능감 기대와 수행의 주요 자원들 사이의 관계 20 그림 4. 남자 참여, 비참여 시기별 경향성 분석 그래프 34 그림 5. 남자 참여, 비참여 시기별 경향성 분석 그래프 38

그림 6. 참여 집단의 남, 여 시기별 그래프 4 1

(6)

Ⅰ . 서 론

1 . 연구의 필요성

패션 모델의 실기 교육과정의 정기적, 지속적으로 행하는 신체활동은 신체의 기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데 체력 및 정신적 만족감을 주는 생리적 효과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 패션모델을 희망하는 학생들의 이상실현을 가져오는 심리 적 효과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정신적, 심리적 차원을 모두 포함하는 총체적 구 조로서 인식하면서 모델 활동 현장뿐만 아니라 이론을 탐구하는 학문 분야 모 두에서 패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의거하여 패션모델의 무용수업에 관한여 수업후 모델로서 활동시 자아개념에 대하여 연구한다면 Bu t t ( 1976 )는 신체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폐, 지방, 영양 등의 생리 적인 요인, 스트레스, 불안, 자아 개념, 개인의 복지, 정서 등의 심리적인 요 인, 상호작용인 사회적인 요인 및 정신적인 요인 등으로 분류하였다. 이중 심 리적인 변인을 고찰한 초기 연구들을 보면 지각, 신체 이미지, 무드, 사회 적 응력, 인지, 정서, 행동 등이 심도 있게 고찰되었다(La ym an , 1974 ) . 규칙적 인 신체 운동은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으로 개인의 복지 향상 을 야기시킨다는 연구들이 있다.

무용은 운동의 예술이라고 일컬어지고 있지만 이는 신체 그 자체의 운동 즉, 신체의 근육운동을 가리키는 것보다는 신체가 하는 공간운동의 의미를 더욱 강 조한다. 따라서 무용은 인간의 운동이나 움직임에 의한 공간형성의 예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무용이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예술이라는 것은 일반상식으 로 되어 있다. 그러나 무용이 표현하는 범위는 단지 우리들의 감정 뿐만 아니

(7)

라 감각이나 사상에까지 광범위하다. 이는 무용이 인간의 감정이나 사상을 신 체 움직임을 수단으로 공간형성을 통해서 표현하는 예술임을 의미한다. 또한 무용은 예술성을 강조하는 활동으로 모델활동과는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많은 심리적인 변인 중 특히 자아 존중감(s elf- est eem )은 신체 운동과 관련 된 중요한 생활조절변인(life a dj u st m en t v ar iable)이다. 신체 운동의 심리 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들은 자아 존중감을 여러 변인중의 하나에 포함시키고 있다. 자아 존중감은 평가적인 요소로 간주하고 자아 개념은 기술의 과정으로 보지만 두 개의 용어는 바꾸어서 사용되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평가가 자기 기술(self- descr ipt ion )의 결과로 나타나고 정신 건강에 더 직접적으로 관련되 어 있기 때문이다(Su n st r ok e , 1984 ) .

Su n st r ok e ( 19 84 )은 지속적인 신체 운동의 결과로 자아 존중감이 명확한 향상을 보인다고 제시하고 있다. 즉, 지속적인 신체 운동의 결과로 자아 존중 감이 명확한 향상을 보인다고 제시하고 있다. 즉, 지속적인 신체 운동의 결과 로 개인의 신체 이미지를 높일 수 있다는 의미로, F ox , Cor bin과 Lou dly ( 19 8 5)는 Su n st r ok e의 주장이 무형화 되어야 한다고 제안하며 신체 능력에 대한 개인의 지각된 중요도인 자기 신체 평가의 모델을 연구하였다. 따 라서 자아 존중 수준과 자아 신체 평가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포함 한 신체 운동의 참가에 대한 심리적 모형이 발달되었다(Su n st r ok e , 1978 ) .

국내의 선행 연구를 보면 홍성옥(1994 )은 고등학교 여학생을 대상으로 성역 할(미분류, 남성성, 여성성, 양성성)에 따라 분류하고 몇 주간의 수영프로그램 을 적용하여 신체적 자아 효능감이 다르게 나타나고 성역활에도 변화가 생긴다 고 제시하였다.

백혜원(1993 )은 무용의 참가가 비참가보다 자기 신체평가, 자아 존중이 더 높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민병찬( 1996 )은 여가 스포츠활동 참여자의 자아존중 감을 분석하였으나 자아 존중감의 차이는 없고 나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고

(8)

제시하였다. 김효식(199 6 )은 스포츠에 참여하는 사람의 인구사회학젹 특성에 따라 자아 존중감, 우월, 불안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는데 참여강도별, 결혼상태 별, 교육수준별, 수입별, 직업별에 따라 자아 존중감의 차이는 나타났으나 참 여빈도별, 시간별, 기간별, 연령별, 종교별에는 유의한차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제시하고 있다. 김인재(19 97 )는 대학생의 스포츠 참여 형태에 따라 자아신체 감,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에는 차이가 있으며, 율동적 무용에 참여하는 학생 이 기술스포츠에 참여 하는 학생들보다 자아존중감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지속적인 스포츠 활동 참여는 자아 존중감, 자아 신체감, 자아 효능감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문 모델을 꿈꾸고 있는 모델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예술성을 추구하는 무용수업이 모델전공 학생들의 자아신체감, 자아존중감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아 2 1세기에 새로운 유망직종의 하나로 부 각되는 모델학과의 수업 방향을 제시하는 데 본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2 .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모델 전공 학생의 무용수업 참여가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미 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용수업에 있어 한 학기 동 안 무용 수업에 참여한 학생과 무용수업에 참여하지 안은 학생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자아개념인 인지된 신체능력, 신체적 자기 표현 자신감, 자아 신체감, 자아 효능감,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 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 과 같다.

(9)

첫째, 지속적인 무용수업 참여는 자아 신체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지속적인 무용수업 참여는 자아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지속적인 무용수업 참여는 자아 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3 . 연구의 가설

이러한 연구문제를 구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가설은 다 음과 같다.

가설 1 . 지속적인 무용수업은 자아 신체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1- 1. 16주간 무용수업은 인지된 신체능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1- 2 . 16주간 무용수업은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1- 3 . 16주간 무용수업은 자아 신체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 16주간 무용수업은 자아 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 16주간 무용수업은 자아 존중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4 .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를 실행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제한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무용수업이외의 신체활동에 대한 변수는 고려하지 않았 다.

(10)

5 . 용어의 정의

1) 무용참여 형태

무용참여는 한 학기를 기준으로 하여 16주간 수업을 받는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한다

2) 자아 신체감(Phys ica l Self- efficacy)

신체적 수행과 관련된 과제에 대해 개인이 지각한 자신의 능력 수준을 의미 하는데 그 하위 개념으로 인지된 신체능력과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을 의미하 는 용어로 사용한다.

3) 자아 효능감(Self- efficacy)

개인이 일정한 과제를 수행하는 성취 상황에서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하는데 요구되는 일련의 조치를 조직하고 실행해 낼 수 있다는 자기 자신의 능력에 대 한 확신이나 신념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4) 자아 존중감(Self- esteem)

개인이 자기 자신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개인적 가치감이나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 혹은 인식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11)

Ⅱ. 이론적 배경

1 . 무용의 기능 및 가치

일반적으로 무용의 기능은 원시 부족사회에서의 경우 흔히 일어났던 억제할 수 없는 욕구, 욕망 등이 승화되어 나타난 심리표현의 결과로 인식되어 왔다.

따라서 본능적인 성적 만족을 추구하는 인간은 자신들의 정력과 이를 전시하려 는 목적에서 춤을 사용하였으며, 또한 성인에 도달하는 복합적인 예식의 한 수 단으로서 나아가 혼인상 필요시 되는 하나의 절차로 춤을 추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모든 종류의 춤 혹은 무용이 공통적으로 일관된 목표와 의미를 지녔다 고 볼 수 없음을 시사한다. 즉, 무용의 기능은 사회환경이나 사회계급, 남녀노 소 차이, 종교의식, 그리고 무용을 하는 개인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한편, 무용은 운동의 예술이라고 일컬어지고 있지만 이는 신체 그 자체의 운 동 즉, 신체의 근육운동을 가리키는 것보다는 신체가 하는 공간운동의 의미를 더욱 강조한다. 따라서 무용은 인간의 운동이나 움직임에 의한 공간형성의 예 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무용이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예술이라는 것은 일 반상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무용이 표현하는 범위는 단지 우리들의 감정 뿐 만 아니라 감각이나 사상에까지 광범위하다. 이는 무용이 인간의 감정이나 사 상을 신체 움직임을 수단으로 공간형성을 통해서 표현하는 예술임을 의미한다.

요약하면 무용이란 인간의 신체운동 혹은 움직임의 공간형식에 의하여 우리 들의 사상이나 감정 및 감각을 표현하고, 아울러 미적 가치관을 나타내는 예술 이라 해도 무관할 것이다(송수남, 19 88 ) . 이와 같은 기능을 갖은 무용은 오늘

(12)

날 다양한 개인적, 사회적, 교육적 가치와 신비한 치료적 가치를 보유하고 있 는 것으로 무용교육자나 연구자들에 의하여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가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무용의 교육적 가치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무용가들은 무용활동을 통하여 즐거움이나 기쁨과 같은 내적 만족을 얻는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무용은 인간에게 욕구의 충족이 나 내적 만족만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즉, 무용은 개인의 성장과 발전에 직 접적으로 관계하는 보다 중요한 많은 개인적 가치를 포함하고 있다.

무용은 완전한 신체적 메카니즘과 부수적으로 지적, 정서적, 그리고 신체적 기능을 수반하고 이는 자기- 인식(self- a war en ess )과 자기-개발 (self- dev elopm en t ) 및 자기수행(self- fu lfillm en t )을 달성하려는 하나의 관 념적 의미를 제공한다. 또한 개인들은 무용수행을 통하여 자기 내부의 활력을 느끼고 탐구하며 개발한다. 즉, 무용은 신체적 스테미너와 운동제어 (m ot or - con t r ol )를 필요로 하며 스스로 자기훈련을 개발토록 도적시키고 힘과 에너지의 상호 조정력을 조절하도록 한다(육완순, 1992 ) .

한편, 신체의 움직임을 익히고 움직임의 형태를 기억하여 신체의 표현을 통 해 움직임을 재생성할 때 인간의 감각과 지각은 예민해지며 민감해진다. 그리 고 즉흥적인 신체의 움직임은 상상력과 창의력의 개발을 유도하며, 개인적 표 현과 진실의 전달을 위한 하나의 매개체 역할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개인적 가치들의 더욱 본질적이고 중요한 가치는 아마도 무용이 움직이려고 하는 개인적 욕구의 배출구가 되며 이는 카타르시스를 통하 여 개인에게 만족감 혹은 유쾌한 정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비록 이러한 관점에

(13)

대한 명백한 변인간의 관계나 효과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고 할지라도 무용은 분명히 개인의 건강, 복지, 행복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무용은 끊임없는 훈련을 통하여 신체적 리듬과 균형 및 경쾌함을 발 달시켜준다. 이와 같은 움직임은 음악의 흐름, 박자 강약에 어울리는 움직임 표현을 통하여 힘의 이동에 대한 숙련 및 변화, 신체의 고저 및 방향, 위치의 조정능력을 배양토록 해준다. 이러한 사고와 신체의 조화로운 움직임을 발달시 키는 동안 무용수는 지속적인 자기-평가와 비판적 과정을 학습하게 된다. 이 모든 경험은 인간에게 조화와 적절함의 판별력을 증진시켜준다.

한편 무용은 교육의 측면에서 신체교육이라는 광범위한 의미에서 학습의 바 탕을 이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체교육 지침이 개인이나 팀 스포츠 또는 체육 활동을 중심으로 펼쳐 나간 것에 비하여 무용은 신체기관 체격, 신경근육의 단 련, 대인관계의 원만한 융화, 감정의 평온과 억제 및 올바른 판단력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들이 무용예술이 찾고자 하는 미적 세계와는 무 관하다 할지라도 무용에서 역설하는 동작술은 건강, 오락 및 신체교육의 핵심 을 이루며 직접적인 방법론이 되고 있다. 무용의 동작교육은 주어진 동작으로 말미암아 자발적인 형태와 리듬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신체적, 정신적, 미학적인 측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 무용이 신체조건을 향상시켰 으며 무용수의 복지에 기여되었을 때 이것은 좀 더 바람직한 결과일 것이다(육 완순, 1992 )

무용의 교육적 가치를 Bloom의 교육목표 분류의 원칙에 따라 지적, 정의적, 심리적, 운동의 영역으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무용의 신체적인 효과이다. 무용은 신체운동의 기본이 되는 걷기, 달리기, 뜀뛰기, 흔들기, 굽히 기, 떨기, 밀기, 당기기, 오르내리기 등과 같은 운동과 움직임을 수단으로 이루 어지는 활동이므로 균형, 지구력, 민첩성, 협웅성, 정확성과 같은 체력요소의 육성을 기대할 수 있다. (송수남, 1982 ) . 특히 자아의식이 발달되는 성장기에

(14)

무용의 경험은 신체운동을 아름답게 행할 수 있는 태도를 길러 주며, 고도의 협응력을 소유한 체력을 길러주는 중요한 효과가 있다.

두 번째는 무용을 통해 지적, 정신적인 효과를 둘 수 있다. 교육의 목적인 인간완성이란 이상적인 인간 즉, 정신적인 측면에서 고려할 때 지적, 정서적 발란스가 조화된 발달을 이루는 진, 선, 미의 문화적 가치를 이지하고 이해하 며 추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한 인간을 가르킨다(정범모외, 1972 ) . 이러한 맥락에서 무용은 다각적인 감각경험을 기초로 한 창작활동임에 따라 풍부한 지 식이 기초가 될 때 창작활동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자신의 감성이 개발된 다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는 무용의 사회적인 효과를 들 수 있다. 무용은 신체를 통한 표현으 로 이루어지는 예술로서 이는 타인에게 전달하는 의사소통(com mu n icat ion ) 으로 나타나고 사상의 교환과 더불어 전체에 파급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므 로 무용은 필연적으로 집단의 일원으로서 창조적인 실현을 경험할 수 있게 된 다(육완순, 198 5) .

현대교육의 주된 목적은 미래에 여가를 이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준비적 성 격을 강조한다. 따라서 무용 역시 이러한 준비차원에서 예외될 수 없다. 이러 한 준비를 통하여 학생들은 바람직한 사고방식을 터득하여 현대무용이나 발레 또는 한국무용등 어떠한 무용을 전공하든지 적극적인 참여의식을 가진 생활인 으로서 건강한 신체와 창조가치를 병용할 수 있을 것이다.

2) 무용의 치료적 가치

신체와 정신은 분리될 수 없다는 관점에서 최근 무용은 인간 정서의 표출되 지 않는 문제점을 파악해 내고 신체와 정서의 결점을 치료할 수 있다는 무용의

(15)

치료적 가치가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은 무용의 또 다른 기능으로써 심리학적 방법을 통한 과학적 접근이 시도되고 있으며, 무용요범(dan ce t h er a ph y)이라는 재활과학적 차원에서 응용적 노력이 활성화되고 있다(류분 순, 19 92 ) .

S ch ilder는 모든 표현적인 동작을 포함한 근육의 움직임과 정서상태 사이의 상호반응은 너무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에 따라 정서상태는 근육상태(수 축-이와)를 연결하고, 모든 근육의 수축-이완적 연속은 특별한 마음상태를 유 도한다. 특정 운동이나 움직임이 연속될 때 이는 인간의 내적 심리상태를 변화 시키기도 하며 심지어 근육운동에 연합된 환상까지도 불러일으킨다고 제시하고 있다(신경숙, 198 7 ) . 즉, 신체의 움직임이 인간의 심리상태를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한편, Lowen ( 198 1)은 모든 정서적 병의 요인이 감정을 표현하는 신체 움 직임의 마비에 의하여 성격지어진다고 설명하고 이러한 원인은 정서적, 무의식 적 차원인 신체상(b ody- im a ge)의 결함에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유사한 관점 에서 J am es와 Lan ge (1978 )는 신체적 변화에 의해 감정 또는 의식 경험이 이루어진다는 사상부하적 이론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인간의 감정이나 생각이 외부로 표출될 경우 우리는 이러한 현상을 행 동(b eh avior )이라고 정의한다. 무용요법 분야에서 신체와 신체 움직임은 자의 식을 가능케하고 자신의 일체감 혹은 통일성을 이루게 하는 작업의 기본적 도 구며, 움직임 언어를 인식함으로써 개개인의 억압된 정서를 파악하게 되고 개 인에 대한 새로운 탐구가 가능해지도록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용은 개인으 로 하여금 보다 만족스러운 행동구조를 이루게 하는 근원적인 곳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즉,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왜곡된 신체상을 바로잡고 치료한다는 것이다(이지원, 19 90 ) . Lev en t h al ( 1972 )에 의하면 신체상이란 우리가 자신의 마음 속에 형성하는 자신의 이미지 즉, 신체가 우리에게 나타내

(16)

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는 신체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감각의 정신적인 투사인 데, 이는 자아발전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즉, 신체상의 변화를 통하 여 자아구조에 변화를 줄 수 있고 이러한 변화는 인간 움직임의 조절 즉, 무용 요법에 의하여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신체상은 자신에 대한 정직한 거울로서 존재한다. 구체 적으로 신체가 실제 어떻게 보이는지, 신체의 정신적인 상이 어떤지, 세상이 자신을 어떻게 보는지의 세 가지가 부합되어 성립한다. 이와 같은 무용요법의 원리는 무용이 인간의 내면세계를 움직임을 통해 표출시켜 신체상을 정립하도 록 유도함으로써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유지 혹은 증진시키는 재활교육의 차 원에서 심리치료적 가치를 갖는다.

즉, 무용요법 분야에서 무용은 자신의 공개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건강한 신 체를 유도해주며, 움직임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는 과정임에 따라 신체상을 보 다 잘 이해토록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하여 아동의 행동을 예견하고 방지하여 올바른 목적을 향해 움직임을 계획하고, 교육시킴으로써 아동의 심리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무용은 자기-인식, 자기-위로, 타인에 대한 보다 명확한 지각, 만족 스런 관계를 발달, 자신을 위한 선택 등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치료적 가치 를 갖는다. 따라서 무용은 갈등, 긴장, 왜곡등의 정서적 또는 정신적으로 지장 을 받고 있거나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에게까지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 . 자아 신체감 ( P hys ic a l S e lf- Eff ic a c y)

자아 신체감(P h ysica l self- effica cy )은 자아 효능감과는 별개로 정의되는

(17)

다른 용어로 신체적 과제와 관련된 개인의 지각된 능력 수준을 의미한다.

Ryck m a n , Robbin s , Th om t on & Ca n t r ell ( 198 2 )은 신체와 관련된 지각 된 자신감으로서 자아 신체감을 정의하고 자아 신체감을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 감(ph ysical self- pr es en t at ion con fiden ce)과 인지된 신체능력(p er ceived p h ysica l a bilit y )으로 구분했다.

Ryck m a n , Robbin s , Th om t on & Ca n t r ell ( 1982 )은 인지된 신체능력 을 신체적 기술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으로 정의하고, 이들 기술 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의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자신감의 수준을 자기표현 자 신감이라고 정의했다. 인지된 신체능력과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은 개인에게 신체능력(속력, 근력, 반응시간)에 대한 효능감 기대를 가져다준다.

자아 신체감의 일반화된 개념은 마라톤(Gayt on , Ma t t h ews &

Bu r ch st ea d , 19 86 ) , 체조(McAu ley & Gill , 19 83 ) 영역 등에서 연구되었 으며, 실험실 연구(Ryck m an et al . , 1982 )도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를 통 해 자아 신체감의 일반화된 개념은 다른 과제 특성 자기 효능감 척도보다 기술 수행을 정확히 예측하지 못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Ban du r a (19 77 )는 스포츠 심리학 분야에서도 행동 변화에 관한 자 기 효능감 이론에 괄목할 만한 연구(Ba rlin g & Ab el , 19 83 ; McAu ley &

Gill , 19 83 ; Wein b er g , Gou ld , Yu k elson & J a ck son , 198 1)가 이루어지 는 토대를 제공했다. 이들 연구는 Ban du r a (19 77 )의 주장에 따라 과제 특성 에 따른 자기 효능감 척도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McAu ley &

Gill ( 1983 )은 모든 운동 상황에 적합한 과제 특성적 자기 효능감 척도를 개발 한다는 것은 수많은 운동경기에 비추어 비현실적인 것이라고 주장해 왔다. 따 라서 그들은 스포츠와 신체활동을 위한 자기 효능감을 보편적으로 측정하는 방 법을 개발하는 것이 좋다고 제안했다.

Ryck m a n , Robbin s , Th om t on & Ca n t r ell ( 1982 )은 자아 신체감 척도

(18)

(P h ysica l Self- E ffica cy S ca le)라는 일반적 자기 효능감 측정법을 개발했다.

자아 신체감 척도는 수많은 과제 특성 척도의 발달을 줄이고, 신체적 자기 자 신감을 측정하기 위한 신뢰성 있는 도구로 사용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자아 신체감 척도의 두 가지 하위척도는 인지된 신체능력 척도(P er ceived P h ysica l Abilit y S ca le )와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척도(P h ysical S elf- P r es en t a t ion Con fiden ce Sca le )이다. 인지된 신체능력 척도는 자신의 신체적 능력을 인지하고 있음을 측정하는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척도는 그러한 기술을 보여줄 때의 개인적 자신감을 반영한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Ryck m a n , Robbin s , Th om t on & Ca n t r ell ( 1982 )은 자아 신체감 척도 가 실제 과제 수행을 예측할 수 있는지 없는지 결정하기 위해 96명의 대학생 들에게 화살 던지기 과제를 시켰다. 그 결과 자아 신체감 척도의 하위척도 중 의 하나인 인지된 신체능력은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보다 수행을 예측하는데 더욱 강력한 요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자신의 신체능력을 높게 지각한 피 험자들은 화살 던지기 과제에 대해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 했으며, 자신의 신체적 능력을 낮게 지각한 피험자들보다 더 나은 결과를 나타 냈다.

McAu ley & Gill ( 198 3 )은 경쟁적 스포츠 상황에서 자아 신체감 점수와 네 가지 과제 특성 측정 점수(도약, 밸런스, 바 운동, 마루운동)사이에 유의한 상 관이 있음을 밝혔다. 자아 신체감 척도 점수는 평행봉과 마루 운동의 수행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었고,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점수는 수행 측정의 어떤 것과 도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밝혀 내지 못했다.

Ga yt on , Ma t t h ews & Bu r ch st ea d ( 1986 )은 다른 스포츠 상황인 마라톤 에서 신체적 자기 효능감에 대한 타당도를 연구했다. 피험자인 33명의 마라톤 선수들에게 예측 도착 시간과 함께 자아 신체감 척도에 답하게 했다. 타당도는

(19)

자아 신체감 점수와 예측된 도착 시간과 상관 관계에 따라 결정되었다. 자아 신체감 점수는 도착 시간을 예측하는 것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예측 타당도 자아 신체감 점수와 실제 도착 시간의 상관 관계에 의해 결정되었다. 이들 점 수는 실제 도착 시간과 관련하여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밝혔다. 이 같은 결과 는 경쟁적 스포츠 상황에서 신체적 자기 효능감 척도(Ryck m a n et al . ,

1982 )의 타당도에 신뢰성을 부여했다.

Ga yt on의 연구 역시 전체 자아 신체감과 인지된 신체능력과는 마라톤 달리 기 수행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지만,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과는 상관이 없 었다. 따라서 두 개의 하위척도 즉, 인지된 신체능력과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 감에 다른 의미를 부여하여 확립시킨 Ryck m an , Robbin s , Th om t on &

Ca n t r ell ( 1982 )의 연구를 지지했다. 따라서 자아 신체감은 Ryck m a n , R obb in s , Th om t on & Ca n t r ell ( 1982 ) , McAu ley & Gill ( 1983 ) , 그리고 Ga yt on , Ma t t h ews & Bu r ch st ea d ( 1986 )의 연구로 수행을 예측할 수 있 음을 알게 되었다. 자아 신체감과 운동 수행간의 관계에 대한 또 다른 연구는 Wein b er g , Gou ld & J a ck son ( 1979 )의 연구를 들 수 있는데, 이것은 자신 의 실제 수행 능력과는 상관없이 가상의 피드백에 의한 자기 효능감의 변화 정 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그 결과 자기 효능감이 높다고 피드백을 받은 피험자들은 자기 효능감이 낮다고 피드백을 받은 피험자들보다 경쟁 상황에서 수행력이 높았으며, 그리고 첫 번째 경쟁 상황에서의 실패는 그 다음에 이어진 새로운 경쟁 과제에서도 신체적 자기 효능감에 대한 가상의 피드백을 높게 받 은 피험자들에게는 자극제가 되어 수행의 향상을 가져다주었지만, 가상의 피드 백을 낮게 받은 피험자들에게는 수행이 더 나빠지는 결과를 가져다주었다.<그 림 2 > 아울러 신체적 자기 효능감에 대한 가상의 피드백을 높게 받은 여자와 신체적 자기 효능감에 대한 가상의 피드백을 낮게 받은 남자간에는 근지구력에 서 성차가 없었다고도 하였다. 이처럼 가상의 피드백 운동 능력에 대한 자신들

(20)

의 느낌과 생각, 행동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설명하면서 운동 수행에서 자기 효능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림 1. 경쟁상황에서 신체적 자기 효능감에 대한 가상의 피드백과 근지구력과의 관계(Weinbe rg et al., 1979)

이외에도 Ru t h (199 3 )의 연구에 의하면, E scar t i (19 93 )은 신체적 자기 효 능감이 높은 피험자가 신체적 자기 효능감이 낮은 피험자들보다 자신들의 코치 를 더욱 높이 평가한다고 했으며, Lau r a (199 3 )도 스포츠 경험이 없는 피험자 들 보다 스포츠 경험이 있는 피험자들이 훨씬 신체적 자기 효능감이 높았다고 했다. 그리고 신체적 자기 효능감 높은 피험자는 운동 과제와 관련하여 불안 정도가 낮은 반면, 자아 개념은 높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스포츠 경험이 자긍 심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노인들에 대한 연구(Gill , Kelly , Willia m s & Ma r t in , 19 94 )에서도 신체활동과 계단 오르기에서 발달된 자기

(21)

효능감은 움직임을 증가시키고, 선택의 폭을 넓히며, 자신의 건강 및 행복에 대한 지각에 많은 변화를 가져온다고 하였다.

또한, 홍선옥( 1996 )은 신체적 효능감이 수영 프로그램을 통하여 성역활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3 . 자아 효능감 (S e lf- Eff ic a c y)

Ba n du r a ( 198 6 )에 의하면 자아 효능감은 개인이 일정한 과제를 수행하는 어떤 상황에서 특정한 결과를 산출해 내는데 요구되는 일련의 조치를 조직하고 실행해 낼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자기 확신이다. 자기 효능감의 의미는 이와 유사한 뜻을 내포하고 있는 자신감(self- con fiden ce)이나 결과 기대(ou t com e exp ect a n cy )의 의미와 비교함으로서 보다 명확해 진다. 우선 자아 효능감은 주어진 시간과 장소에 한정된 능력감을 나타내는 상황에 특수한 것인 데 비하 여 자신감은 매사에 능력 있고 성공할 것이라는 믿음을 나타내는 일반적이고 안정된 개인의 성격 특성을 나타낸다. 그럼으로, 자신감이 높은 개인은 언제 어느 곳에서나 일관되게 높은 자신감을 가지는 것이 기대되나, 특정한 상황에 서 자기 효능감이 높은 사람에게 다른 상황에서도 역시 높은 자아 효능감을 가 질 것을 기대할 수는 없다.

자아 효능감 이론은 Ban du r a ( 1977 , 198 6 )가 인간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 하기 위해 제안 한 것으로 이 이론은 분명치 않고 예측할 수 없는 데다 나아가 긴장감이 높은 미래 상황에 대처하는데 요구되는 행동 과정을 개인이 어떻게 잘 조직하고 실행할 수 있는가에 관한 판단력과 관련되어 있다고 했다. 또한 자기 효능감 이론은 인간 행동의 변화 과정에 여러 가지 치료 방법을 통해 나

(22)

타난 결과를 종합적으로 설명하여 줄 수 있는 심리학적 이론 체계로서 B a n du r a는 행위자 자신이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는 행동 수행 가능성에 대한 기대 즉, 자아 효능감이 행동 변화를 가져오게 한다고 주장했다.

자기수행 가능감이라 할 수 있는 자기 효능감 개념은 지금까지 각 방면으로 부터 주목을 받아 일반 심리학 뿐 아니라 최근 스포츠 심리학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Biddle , 19 93 )

Ba n du r a의 자기 효능감 이론은 인지적 신념(cogn it iv e b eliefs )과 행동 변 화(b eh avior a l ch an ges )간의 설명(Von gia t u r ap a t , 19 93 )으로서 사회적 인 지이론(s ocial cogn it ive t h eor y)에 바탕을 두고 있다. (Mart in , 1994 ) 사회 적 인지이론에서는 인간이 소유하고 있는 지식이나 기술의 실제 행동으로의 전 이는 자기 규준적 사고에 의해 중재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자기 규준적 사고 는 자신이 설정한 기준과 자신의 수행과의 비교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사고를 의미한다. 이 이론에 의하면 인간은 인지자(k n ower ) 또는 행위자(a ct or )로서 능력에 대한 인지적 표상(cogn it ive r epr esen t at ion )을 통하여 과거의 행동 을 평가하고 미래의 행동목표를 수립하여 스스로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자신의 행동을 예측하게 되는바, 이와 같은 인지작용은 수행과 자기 규준과의 비교를 통하여 가능하다는 것이다. Ban du r a (1986 )에 의하면 이와 같은 사고 과정 에서 자기 효능감은 하나의 비교기준으로서 내재된 기술을 실제 수행으로 전이 시키는 중개변인으로서, 인간의 행동에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는 것이다.

자기 효능감은 특정의 과제에서 특정의 결과를 산출해 내는 데 요구되는 일 련의 조치를 취하고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 다. (Ban du r a , 1986 , 1994 ) 자기 효능감은 개인이 어떤 기술을 지니고 있느 냐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지니고 있는 기술을 어느 정도 행동으로 옮길 수 잇느냐 하는 문제를 의미한다. (Sch u n k , 1984 )

(23)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자신감(s elf- con fiden ce)은 수행을 성공적으로 이끌 어 낼 수 있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확실성의 정도 또는 믿음(Vealey , 1986 ) 으로서 인지된 능력의 구체화된 수준이 아닌, 확신의 강도를 의미하는 반면에 자기 효능감은 확신의 강도와 함께 인지된 능력의 구체적인 수준(F elt z , 1988 )을 의미한다. 자신감 이론에서 핵심적인 기본 전제는 사람들은 자기능력 에 관한 기대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기대는 특정한 행동에 대하여 상당히 특수 하다는 점이다. (Goldfried & Robin s , 198 2 ; Wein b erg , 19 8 5) 그러므로 효능감 기대(effica cy exp ect at ion )는 자아 존중감(self- est eem )과 같은 총 체적인 개념과는 다르다. (Mis ch el , 198 1) Ban du r a는 적절한 능력과 적합한 유인(in cen t iv es )이 부여된다면 이러한 기대는 과제의 시도여부, 실패 후의 노력의 지속 강도 및 최종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효능감 기대는 행동의 부수요인이 아니라 결정요인이므로, 행동의 변화는 효능감 기대의 변화로부터 초래되고 행동 변화 프로그램은 효능감 기대가 변화되는 정도에 따라서 그 성 공 여부가 결정된다고 주장하였다(최영옥, 1988 ) .

개인(Per son ) 행동(Behavior ) 결과(Outcom )

효능감기대 결과기대

(Efficacy expect ation ) (Out com e expect ation )

그림 2. 효능감 기대와 결과 기대의 조작적 개념의 인지적 軌跡

(24)

Ba n du r a의 자기 효능감에 대한 조작적 개념은 효능감 기대(effica cy exp ect a t ion )와 결과 기대(ou t com e exp ect a t ion )의 차이로 설명함으로써 명확해질 것이다. 효능감 기대는 일반적인 성격이라기 보다는 어떤 행동에서 특정의 결과를 산출해 낼 수 있다.

Lon g & H a n ey ( 1986 )는 개인의 믿음의 강도로서 시도하고자 하는 활동의 선택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확장시키고자 하는 노력의 정도와 과제완수를 위한 활동의 지속력을 말하며(Ban du r a , 1977 , 1982 ; Sch u n k , 19 84 ) 인내, 사고유형, 정서적 반응, 궁극적인 행동에 영향을 준다. (Ban du r a , 1986 ) 이 에 비해 결과기대는 하나의 주어진 행동이 특정의 결과를 낼 수 있으리라는 개 인의 추측 또는 판단을 의미한다. (Ban du r a , 1977 , 1986 ) 자신의 능력에 대 한 믿음 즉, 자기 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비해 사고, 감정, 행동이 다르게 나타난다. (Ban du r a , 1994 )

자기 효능감이 지나치게 높아도 실패할 가능성이 있으며 성공을 위한 효과적 인 행동의 선택을 방해받을 수 있다. 그러나 어느 정도 자기 효능감이 높으면 인간의 한계점을 높일 정도로 성공적인 수행의 확률이 높아진다(Ban du r a ,

1986 ) .

자기 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비해 과제수행을 위한 현명한 행동 을 선택하고 보다 큰 노력을 해서 오랫동안 과제를 지속할 수 있다. 이들은 어 려운 과제에 대해 회피하지 않고 극복해야 할 도전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과 제수행에 흥미와 관심을 갖고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여 달성키 위해 전력 투 구한다(Ban du r a , 19 94 ) .

실패를 자신의 노력부족 또는 기술 부족으로 돌리고 이러한 문제는 자신이 해결할 수 있는 것이라 여긴다. 즉, 문제해결을 보다 더 분석적으로 접근한 다. (Ban du r a & Wood , 198 9 ; Wood & Ban du r a , 1989 ) 또한 어려움에 견디는 인내심이 강하며(Lit t , 1988 ) 자기 효능감이 낮은 사람에 비해 성공적

(25)

인 수행장면의 상상을 많이 한다(F elt z & Lan der s , 19 83 , 19 9 5) .

이와 같이 개인은 자기 능력과 자기 효능감에 관련된 다양한 효능정보를 처 리, 비교, 통합한 결과를 바탕으로 행동을 선택하고 노력의 양과 지속성 정도 를 결정하게 된다(Ban du r a , 1997 , 1984 , 1990 ; McAu ley , 198 5) .

1) 자기 효능감 정보원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인은 수행성취,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생리 적, 정서적 각성이다(Ban du r a , 1977 , 1986 ) . 이러한 정보 등은 인지적 평 가 과정을 통하여 자기 효능감 판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성취 경험 ( p e rf o rm a n c e a c c o m p lis h m e n t s )

효능 기대감 ( Eff ic a c y e x p e c ta tio n s )

행동 사고 형태, 감정적 반응

( Be ha vio r t ho ug ht p a tte rns , Em o tio n a l re a c t io n s )

대리 경험 (vic a rio u s e x p e rie n c e s )

언어적 설득 (ve rb a l p e rs u a s io n )

정서적 각성 (e m o t io n a l a ro u s a l)

그림 3. 효능감 정보, 효능감 기대와 수행의 주요 자원들 사이의 관계

(26)

( 1) 수행 성취

실제적인 수행 성취 경험은 네 가지 주요 효능 정보원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중요한 자원이다. 사람들은 최적의 수행을 성취한 후에는 성공의 감정과 자기 가치(self- wort h )를 느끼게 된다. (Gou ld & Weis s , 198 1) 따라서 성공적인 수행 경험은 자기 효능감을 강화시키는 반면, 실패의 경험은 효능감 수준을 낮 게 한다. 이와 같이 수행 경험(성공 또는 실패)은 현재의 자기 효능감에 영향 을 주며 미래의 수행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F elt z & Mu gn o, 198 3 ) 특히 스포츠 행동에 있어서의 실제적 성취 경험(m a st ery exp erien ce)은 자기 효 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기 효능감의 일반적 중개과정(comm on m edit a t in g m ech a n ism )을 통하여 유사한 다른 스포츠 행동의 수행에도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Ban du r a , Adam s , H ar dy & H owells , 1980 ; Br ody , H a t field & Sp a ldin g , 1988 )

또한 어려운 기술을 습득시키는 데 있어서도 성공과 실패의 경험은 자기 효 능감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유능한 지도자는 선수들의 자기 효능감 을 강화시키기 위해 때로는 의도적으로 특별하게 계획된 연습과정이나 경쟁상 황을 만든다. (Ban du r a , 19 90 ) 반복된 성공 경험으로 강화된 자기 효능감은 어쩌다 일어날 수 있는 실패에 의해 부적 영향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실패 의 원인을 자신의 노력부족, 비효율적인 전략 등에 대해 분석적 능력을 키우는 것과 같은 긍정적인 측면으로 작용한다. (Ban du r a , 1994 ) 이와 같이 실패의 원인을 분석적으로 생각하면 보다 효율적인 전략과 많은 노력이 미래의 수행을 성공적으로 이룰 수 있으리라는 확신을 갖게 되어 오히려 효능감이 유지 또는 향상될 수도 있다. (An der s on & J en n in gs , 1980 )

(2 ) 대리 경험

(27)

자기 효능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의 하나인 대리 경험은 다른 사람 의 수행으로부터 얻는 정보를 말하며 관찰자의 감정이 부분적으로 자기 효능감 에 영향을 미친다(Ban du r a , 1977 , 1986 ) .

Ba n du r a ( 198 6 )에 의하면 모델은 기본적으로 주의(at t en t ion ) , 파지 (r et en t ion ) , 생성(p r odu ct ion ) , 동기(m ot iva t ion ) 등 네 가지 정보화 과정 을 통하여 관찰자의 기술 습득과 수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즉, 전 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과제에 대해 다른 사람이 성공적으로 수행을 하는 장 면을 보는 것 역시 관찰자의 효능감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다. (Sch u n k , 1989 ) 그러나 대리경험은 실제 자신이 성취하는 것보다는 약하 지만 자기와 유사한 특성을 지닌 모델의 성공은 수행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F elt z & Ries sin ger , 1990 )

대리 경험은 관찰자의 과제수행에 대한 불안수준을 줄이고, 모델의 성공적인 장면을 재 연출하려고 노력한다. (Sch u n k , 1989 ) 모델의 성, 연령, 교육 수 준, 기능 수준, 사회 경제적 수준 등이 관찰자와 유사한 경우에는 자기 효능감 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며(George , F elt z & Ch a se , 1992 ; Gou ld &

Weis s , 198 1 ; McCu lla gh , 1987 ) 성공 가능성 역시 높다. (Sch u n k , 1989 )

S ch u n k & H a n son ( 198 5 )은 어린이의 산수 과제에서 교사모델 (t ea ch er m odel )보다 동등한 또래모델 (p eer m odel )의 성공적 수행이 어린이의 효능 감을 더 높인 것으로 보고하였다(Lirgg & F elt z , 19 9 1) . 또한 여성 관찰자 의 근지구력에 대한 자기 효능감은 모델이 여자인 경우에는 상승되나 남자 모 델인 경우에는 자기 효능감이 낮아진다. (Gou ld & Weiss , 198 1)

모델의 기능 수준(m odel abilit y)은 모델의 성(m odel gen d er )보다 관찰자 의 효능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일반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모델 유사 성(m odel similar it y )효과 연구에서 비운동 선수의 근지구력 시범을 지켜본

(28)

집단이 선수 모델 집단보다 효능감이 더 높았으며, 비운동 선수 모델의 성차이 에 따른 관찰자의 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Geor ge , F elt z & Ch a se , 1992 ) 관찰자에게는 모델 능력이 모델 성보다 중요한 유사성 단서(sim ila r it y cu es )라고 할 수 있다. 즉 모델 교수 기술(m odel t ea ch sk ills )은 자기 효능 감 정보의 확실한 자원이며 모델의 유사성은 동기와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준 다.

(3 ) 언어적 설득

언어적 설득은 수행자로 하여금 수행하여야 할 과제를 성취할 수 있는 능력 이 있다는 믿음을 심어 주는 방법으로서, 일반학습 또는 스포츠 현장 등의 모 든 상황에서 이용되는 방법이다. 언어적 설득 방법은 수행 성취 경험이나 대리 경험보다는 자기 효능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미약하지만 회피 또는 중단하려 는 과제를 수행자로 하여금 시도 또는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설득의 효과 가 있다. (F it zsimm on s , Lan d er s , Th om a s & Van Der Mar s , 199 1)

언어적 설득의 효과는 설득하는 사람의 사회적 지위, 전문적 지식, 설득자의 피설득자에 대한 영향력, 신뢰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Cru n d all &

F od dy , 198 1) 설득으로 인한 수행자의 성공 경험은 설득자의 평가 능력에 대한 신뢰감을 높이지만 현실성 없는 설득은 성공 대신에 실패 경험과 설득자 의 평가적 신뢰가 떨어지며 수행자의 자기 효능감을 훼손시키게 된 다. (Ban du r a , 19 90 )

(4 ) 정서적 각성

개인의 정서적 각성 역시 자기 효능감 판단에 영향을 미친다. Ban du r a ( 1977 )는 정서적 각성이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며 자기 효능감은 인지적

(29)

평가(cogn it iv e appr aisa l)과정을 통해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하였 다. 인간은 과제를 수행할 때 정서적 감정에 의하여 변화된 자기 효능감에 따 라 행동하게 된다. (Ban du r a , 1990 ) 즉 자신의 능력에 대해 의심하거나 과제 수행 자체에 대해 불안 반응을 보일 때는 과제 자체를 포기하거나 회피하게 되 지만 자기 효능감이 높을 때에는 보다 높은 목표를 설정하여 도전적인 과제를 선택하고 노력의 양과 지속성을 배가시키게 된다. (F elt z & Ries sin ger ,

1990 )

2) 자기 효능감의 측정

자기 효능감의 측정은 수준(lev el) , 강도(st r en gt h ) , 일반성(gen er alit y)의 세 차원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방법(m icr oan alyt ical appr oa ch )에 의해 측정되어야 한다. (Ban du r a , 1977 , 1986 )

첫째, 자기 효능감의 수준은 일반적으로 과제의 난이도에 의해 구분된 과제 의 차원(h ier ar ch y of t a sk )과 관련이 있다. 즉 과제 수행에 대한 개인의 효 능감은 과제의 단계적 기술 난이도에 따라 기대치가 다르게 된다.

둘째, 자기 효능감의 강도는 개인이 각 수준의 과제 또는 기술을 성공적으로 실행해 낼 수 있다는 확신 또는 믿음의 정도를 의미한다.

셋째, 일반성은 특정한 상황 또는 과제에서 자기 효능감이 다른 상황이나 과 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도로서 다양한 범위로의 응용력을 의미한다. 즉, 100M 달리기에서 높은 자기 효능감을 지닌 사람이 중거리달리기에서도 높은 효능감을 지닐 수 있는가 하는 일반성에 관한 내용이다.

자기 효능감의 측정은 전체적으로 과제를 구성하는 하나 하나의 행위가 아 닌, 생성 능력의 추출이라는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Ban du r a , 1986 ) 즉

(30)

지속적인 신체활동의 참여에 대한 자기 효능감을 측정할 경우, 단순히 어느 정 도 규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자신(확신)이 있느냐고 묻는 것으로는 충분치 못하다. 오히려 규칙적으로 참여하는 데 방해가 되는 요인을 찾아내어 방해 요 인별로 극복해 낼 수 있는 능력에 대한 효능감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이다.

4 . 자아 존중감 (S e lf- Es t e e m )

자아 존중감은 개인이 자신을 존중하며 자신이 가치 있다고 여기는 동시에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며 성장을 예상하는 것을 말한다. (Ros enb er g , 196 5) 심리학 사전에서도 자아 존중감을 긍정적으로도, 부정적으로도 표현될 수 있 으며, 이것은 자기 자신을 중요하고 능력 있고 가치 있다고 믿는 정도 라고 개 념짓고 있다. 즉 자신의 능력, 중요성, 성공여부등 자신의 태도에서 보여지는 가치성의 개인적 평가 또는 판단이다. (Coop er smit h , 1967 ) 그러므로 한 개 인의 자기 자신에 대한 평가적인 태도로서의 자아 존중감은 일상적인 담화나 성격 이론에 있어서 한 개인의 사회적 행동의 역할을 결정하는 중심 특성이 된 다.

R osen b er g ( 19 79 )는 사회적 정체성, 개인적 기질, 신체적 특성을 자아 존 중감의 세 가지 중요한 요소로 보았다. 사회적 정체성에서는 사회적 지위(예:

연령, 성, 가족에서의 위치, 직업) , 회원집단(예: 마라톤 선수, 우표 수집가, 민주당원) , 꼬리표(예 : 중독자, 도둑) , 과거의 지위(예 : 대학 학위, 전쟁 베테 랑) , 중요한 특성에 바탕을 둔 사회적 형태(예 : 플레이보이, 학자, 운동선수) 등이 포함된다. 또한 개인적 기질은 사람들의 특성, 능력, 좋아하는 반응 경향

(31)

에 한 자아 인식과 관련되고, 신체적 특성은 자기의 신장, 체중, 체형, 매력, 근력 등에 대하여 갖고 있는 평가적 묘사에 관련된다.

Sh av elson , H ab n er & St a n t on ( 1976 )은 자아 개념의 모형을 만들어 설명하였는데, 통합적인 자아 존중감은 구조화된 사회, 학문, 신체적인 면과 같이 다차원화 되어 있다는 것이다. 각각의 차원은 상황-부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체적인 자아 존중감에 대한 특징은 각 개인에 의한 그들의 지각하는 중요도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백혜원, 1993 )

대체로 자아 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그들 자신에 있어서의 부정적인 측면의 인식을 피하기 위한 방어기제로서 억압 과정을 사용한다. 이들은 자기 자신이 가치 있고 보람있는 삶을 영위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자신감을 가지고 행동하므 로 긍정적 행위를 수행하도록 동기가 유발되고 스트레스를 덜 받는 다. (Sh r au ger , 197 6 )

반면, 정원식(196 8 )에 의하면, 자아 존중감이 낮은 사람은 자신에 대해 열 등감이나 불확실감을 갖게 되어 실패를 두려워하고, 도피적인 성향을 지니며, 자신의 행위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높은 목표를 설정하여 변명할 구실을 찾거나 심리적 위안을 느끼게 하고, 또는 지나치게 낮은 목표를 쉽게 달성하여 만족을 느끼려는 경향을 지닌다. 또한 자기 자신의 가치에 대해 회의를 느껴 자기 자 신을 무가치한 인물로 생각하며, 때때로 불안을 느끼고 침울해 하며, 행동도 불안정하고 소극적이 된다.

발달적 측면에서 볼 때 자아 개념은 출생시에는 갖지 않는다는 이론이 지배 적이며, 점차 사회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습득되고 타인과의 접촉에 의한 경험과 지각에 의해서 자아상(s elf- im age)을 유지하게 된다. (F it t s , 197 1) 이렇듯 자아 존중감은 단일 차원의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지만 그 하위 차원으로 구분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하위 차원을 통하여 자아 존중감의 구성 을 살펴볼 수 있다. 자아 존중감의 하위 차원을 두개로 구분해 보면 경쟁, 능

(32)

력의 의미에 기초를 둔 자아 존중감과 선, 도덕적 가치의 의미에 기초를 둔 자 아 존중감을 들 수 있다. Bris set t (19 72 )에 의하면 자아 존중감은 자기 평가 의 과정과 자기에게 가치를 부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고 보았으며, Ma r olla & F r en k s ( 1976 )도 자아 존중감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감정과 사 회 환경속에서 의미 있는 타자의 반영된 승인(r eflect ed appr aisa ls of sign ifica n t ot h er s )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를 통하여 자 아 존중감은 크게 개인의 능력 및 사회적 수용 두 가지 요인에 의해 형성되어 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형성되는 자아 존중감은 사회적 상황에 따라 변화 가 능한 것이지만 동시에 어느 정도 안정성을 지닌 것으로 개인에게 중요한 영향 력을 행사하게 된다. Br an den ( 197 1)은 자아 존중감은 인간의 사고과정, 감 정, 욕구, 가치, 그리고 목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이는 인간의 행동에 있 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하였다. 따라서 자아 존중감은 한 개인의 사회적 행동의 역할을 결정하는 중심 특성으로서, 개인의 행동양식, 성취 동기, 목표 의 계획 및 달성, 자아 실현, 사회적 적응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므로 전반적으로 개인의 거의 모든 면에 대해 중요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3)

Ⅲ. 연구 방법

1 . 연구대상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2000년 학년도 2학기에 16주간 무용수업에 참여하는 K대학 모델 전공학생 남자4 0명, 여자4 0명과 참여하지 않은 H대학 모델 전공 학생 남자4 0명, 여자4 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는 시작전 1회와 4주

(한달)에 1회씩 총5회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

대상 무용수업 참여자 무용수업 비참여자 계

인원 남자 50 여자 50 남자 40 여자 40 180

2 . 조사도구

본 연구에서는 모델전공학생의 무용수업이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 기 위하여 사용된 도구는 세 가지 종류의 질문지로 자아 신체감 검사지, 자아 효능감 검사지, 자아 존중감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34)

1) 자아 신체감(Phys ica l Self- efficacy) 검사

자아 신체감을 측정하는 설문지는 Ryck m an , Robb in s , Th omt on등 ( 1982 )이 제작한 (P h ysica l S elf- E ffica cy Sca le : P SE )를 홍선옥( 19 96 )이 번안하여 표준화시킨 척도를 사용하였다. 전체2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6단계 Lik er t 척도로 응답하게 되어 있다. 전체 검사는 두 개의 하위 검사 즉, 인지된 신체능력 검사와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검사로 구분되며, 인지된 신체능력 검사는 자기 자신의 신체능력에 대한 개인의 인지를 측정하는 반면,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검사는 신체기술에 대한 자신감을 측정한다. 각 하위검사의 해당 문항수와 문항번호는 다음<표 2 >와 같다.

표 2. 자아 신체감 하위영역 및 문항 구성

변 인 문항수 문항 구성

자아 신체감 22

( 1),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11) 12 , 13 ,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 1), (22 )

하위영역

인지된 신체능력 10 ( 1), 2 , (4 ), 6 , 8 , 12 , 13 , (19 ), (2 1), (22 )

신 체 적

자기표현자신감 12 (3 ), 5 , 7 , (9 ), 10 , ( 11), ( 14 ), 15 , 16 ( 17 ), 18 , (20 )

( ) : 역으로 채점되는 문항

Ryck m a n 등이 산출한 신뢰도 계수는 인지된 신체능력 검사 .8 5 ,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검사 .69 , 자아 신체감 검사는 .80이였다.

홍선옥(1996 )에 의해 검사지 번안에 따른 신뢰도(Cr on b a ch s )는 인지된 신체능력 검사 .8 1,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검사 .6 2 , 자아 신체감 검사는

(35)

.7 8로 나타났다. 검사- 재검사 신뢰도는 인지된 신체능력 검사 .93 , 신체적 자 기표현 자신감 검사 .87 , 자아 신체감 검사는 .9 1로 나타나 비교적 신뢰로운 도구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2) 자아 효능감(Self- efficacy) 검사

자아 효능감을 측정하는 설문지는 Ban du r a ( 1977 )가 제시한 자아 효능감 측정도구의 구성 요소에 의거하여 최용주( 1996 )가 달리기 운동에 맞도록 고안 한 것으로 1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 대상에 맞도록 수정하였다.

각 문항은 5단계 Lik ert 척도로 이루어졌으며, 신뢰도(Cr on b a ch s )는 .9 1 로 비교적 신뢰로운 도구로 나타났다.

3) 자아 존중감(Self- esteem)

자아 존중감을 측정하는 설문지는 Rosen b erg (19 6 5)의 자아 존중감 척도 (Self- est eem S ca le : R SS )를 백혜원( 199 3 )이 번안하여 표준화 시킨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설문지는 자신의 가치 자질, 실패감, 능력, 자부심, 만족감, 존 경등을 측정하는 1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4단계 Lik er t 척도로 이루어졌다.

표 3. 자아 존중감 문항 구성

변 인 문항수 문항 구성

자아 존중감 10 1, 2 , (3 ), 4 , (5 ), 6 , 7 , (8 ), (9 ), ( 10 )

( ) : 역으로 채점되는 문항

(36)

백혜원(1993 )에 의해 검사지 번안에 따른 신뢰도(Cr on b a ch s )는 .83으 로 비교적 신뢰로운 도구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4) 질문지의 구성지표

본 연구에서 심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질문지의 구성지표와 구 성내용은 다음<표 4 >와 같다.

표 4. 질문지의 구성지표 및 구성내용

구성표 구성 내용 문항수

성별 1

배경변인 종교 1

수입 1

독립변인 스포츠 참여 형태 1

자아 신체감

인지된 신체능력 10

매개변인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12

자아 효능감 16

종속변인 자아 존중감 10

계 7 52

3 . 조사방법

본 연구의 설문 조사는 스포츠 참여 형태가 자아 신체감, 자아 효능감, 자아

(37)

존중감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와 사전에 설문지에 관하여 교육을 받은 보조 연구원 5명이 각 대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연구의 취지와 응답시 유의사 항을 설명하고, 자기평가기입법(Self- a dmin ist r at ion m et h od )으로 작성케 하여 완성된 질문지는 본 연구자와 보조 연구자가 직접 회수하였다

4 . 자료처리방법

회수된 설문지중 이중기입, 무기입 등의 불성실한 자료와 신뢰성이 떨어진다 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에서 제외하였고, 분석이 가능한 자료를 Win d ows용 SP SS 7 .52버전을 이용하여 분석의 목적에 따라 전산 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통계방법은 평균 및 표준편차(Mean & SD) , 신뢰도 (Reliab ilit y )분석, t - t est , 반복측정 An ov a 등을 사용할 것이다. 변량분석 방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차의 유의수준( )은 .0 5로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구체적인 자료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질문지의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중다항목 척도를 평가하여 신뢰도 검사를 하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자아개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제시하였고 t - t est 및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16주간 무용수업참여에 따른 자아개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 복측정 An ov a분석을 하였다.

(38)

Ⅳ. 결과 및 고찰

시기별 무용수업에 참여한 집단과 비참여집단간의 신체감, 효능감, 존중감의 차이검증과 시기별 경향에 대한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래프 상단에서 하단으로 존중감, 효능감, 신체감의 순임)

1 . 남자의 시기별 참여군과 비참여군의 차이검증

표 5. 남자 시기별 참여군, 비참여군과의 차이검증

참여군 비참여군

t p

Me a n S D Me a n S D

4 주

신체감 34 .58 3 .82 44 .43 3 .26 . 174 .063

효능감 49 .75 7 .05 4 5 .65 1.74 2 .665 .0 12 존중감 72 .33 4 .49 80 .78 1.24 - 8 .509 .000

8 주

신체감 32 .92 1.38 30 .69 .822 - 7 .579 .000 효능감 55 .23 5 .64 4 7 .62 2 .57 9 .964 .000 존중감 67 .84 5 .74 90 .73 2 .39 - 16 .836 .000

12 주

신체감 83 .50 4 .8 1 4 5 . 13 1.09 2 .283 .029 효능감 59 .7 1 4 .66 48 .04 1.26 1.676 . 103 존중감 77 .50 4 .8 1 70 . 13 1.09 1.5 19 . 144

16 주

신체감 48 .80 3 .79 33 .82 1.49 - 3 .326 .002 효능감 62 . 10 13 .88 5 1.60 4 .97 - 2 .849 .008 존중감 84 .90 9 .5 1 70 ,73 2 .04 - 1.999 .054

(39)

그림 4. 남자 참여, 비참여 시기별 경향성 분석 그래프

4주후의 신체감에 있어서는 참여군의 평균은 34 .58 , 비참여군 평균은 4 4 .4 3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으며, 효능감의 참여 군에 평균은 4 9 .7 5 , 비참여군의 평균은 4 5 .6 5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고 존중감의 참여군의 평균은 72 .3 3 , 비참여군의 평균은 80 .78로 통계적 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4주에서 8주사이에는 참여군이 비참여군보다 존중감, 효능감은 높은 변화로 나타나 참여군의 신체적 정신적으로 모델활동을 하는데 자신감이 변화되고 있 는 것으로 해석되며 이것은 Weinb erg , Gou ld & J a ck son (1979 )의 연구에 서 자기효능감이 높다고 평가하는 피험자들이 자기 효능감이 낮다고 평가하는 피험자들보다 과제를 수행하는데 수행력이 높았으며 후자의 경우 수행이 더 나

(40)

빠지는 결과를 가져다 주었다고 한다.신체감에서는 비참여군보다 조금낮아 진 것으로 나타나 이는 참여군이 비참여군 보다는 무용수업을 통하여 자신의 신체 기능 수준을 재평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주후의 신체감에 있어서는 참여군의 평균은 32 .92 , 비참여군 평균은 3 0 .69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효능감의 참여 군에 평균은 55 .23 , 비참여군의 평균은 4 7 .62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고 존중감의 참여군의 평균은 67 .84 , 비참여군의 평균은 90 .73로 통계적 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8주에서 12주사이의 경향성에서는 참여군, 비참여군 모두 비교적 상승하였 으나 존중감에서 비참여군의 그래프가 하강한 것으로 보아 무용수업을 제외한 모델과 실기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신체와 정신적인 수준을 재평가 하게 된 것 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참여군은 3가지척도가 비참여군보다 높은 상승으로 나 타난 것으로 보아 무용수업 참여기간이 길어질수록 자신에 대한 개인적인 수준 평가가 높아지고 기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무용은 신체운동의 기본이되는 걷기, 달리기, 뜀뛰기, 흔들기, 굽히 기, 떨기, 밀기, 당기기, 오르내리기 등과 같은 운동과 움직임을 수단으로 이루 어지는 활동이므로 균형, 지구력, 민첩성, 협웅성,정확성과 같은 체력요소의 육 성을 기대할수있다(송수남, 1982 ) .

12주후의 신체감에 있어서는 참여군의 평균은 83 .50 , 비참여군 평균은 4 5 . 13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효능감의 참여 군에 평균은 59 .7 1, 비참여군의 평균은 4 8 .04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고 존중감의 참여군의 평균은 77 .50 , 비참여군의 평균은 70 . 13로 통계적 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12주에서 16주사이의 경향성은 참여군과 비참여군모두 그래프가 하강하는것 으로 나타났으나 참여군의 그래프 성향이 비참여군 보다 평균이 높은 것으로

(41)

나타났으며 신체감에서는 비참여군보다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무용수업 을 통하여 신체능력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었다.

따라서 무용은 신체적 스테미너와 운동제어(m ot or- con t r ol)를 필요로 하며 스스로 자기훈련을 개발토록 도적시키고 힘과 에너지의 상호 조정력을 조절하 도록 한다(육완순, 1992 ) .

16주후의 신체감에 있어서는 참여군의 평균은 4 8 .80 , 비참여군 평균은 3 3 .82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효능감의 참여 군에 평균은 62 . 10 , 비참여군의 평균은 5 1.60으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 가 있었고 존중감의 참여군의 평균은 84 .90 , 비참여군의 평균은 70 .73로 통 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두집단 모두 16주에는 측정전보다 평균점이 상승되었고 두 집단 모두 시기 별 그래프에서는 비슷한 추세로 향상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참여군이 비참여군 보다 3가지 척도에서모두 발전과 높은 변화를 보였으므로 Ryck m a n , R obb in s , Th om ot on ( 1982 ) , R osen b er g ( 196 5)의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 이 신체 활동이 신체상의 변화를 유도한다는 Cr oce와 Lav ay (198 5)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남,여 참여군의 자아- 존중감이 상승변화 한 것으로 보아 자 기 신체능력에 대한 평가와 자기-존중감은 상호관련이 있는 심리적 차원이다

(심미숙, 1993 )의 이론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모델과 학생들은 무용을 전공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패션모델로 활동 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자신의 신체감과 효능감의 주관적인 변화량이 높 아지면 무용수업에대한 흥미도가 낮아지고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무용수업 실시의 목적에는 개인의 정신적인 건강과, 신체적인 건강 또 오 락의 요소을 가미하여 흥미를 유도하여야 지속적인 신체활동을 유지시킬수있다 (육완순, 19 79 )의 이론을 지지하는 것이며 한편으로는 과제수행에 흥미와 관심 을 갖고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여 달성하기 위하여 전력으로 투구할것이다

(42)

(Ba n du r a , 1994 )의 이론을 지지하고 있다.

2 . 여자 시기별 참여군과 비참여군과의 차이검증

표 6. 여자 시기별 참여군, 비참여군과의 차이검증

참여군 비참여군

t p

Me a n S D Me a n S D

4 주

신체감 32 .60 2 .02 34 .76 1.95 - 3 .5 11 .00 1 효능감 49 .28 5 .37 4 5 . 17 1.70 3 .049 .004 존중감 66 . 10 3 .54 80 .58 1.58 - 15 .868 .000

8 주

신체감 27 .85 1.4 0 42 .70 0 .98 - 7 .302 .000 효능감 66 .00 8 .92 48 .58 1.22 - 7 .825 .000

존중감 75 .22 8 .50 87 .58 1.46 7 .964 .000

12 주

신체감 44 .66 1.76 33 .00 0 .70 3 .686 .00 1

효능감 53 . 12 3 .04 58 . 11 1.26 1.285 .206

존중감 78 .62 2 .96 65 .4 1 1.37 4 . 158 .000

16 주

신체감 54 .26 3 .50 38 .22 2 .33 - 1.078 .287 효능감 64 .70 12 . 16 54 .35 5 .30 3 .963 .000 존중감 87 .03 10 .79 62 .94 2 .43 - 2 .978 .005

(43)

그림 5. 남자 참여, 비참여 시기별 경향성 분석 그래프

4주후의 신체감에 있어서는 참여군의 평균은 32 .60 , 비참여군 평균은 34 .76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있었으며, 효능감의 참여 군에 평균은 4 9 .28 , 비참여군의 평균은 4 5 . 17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고 존중감의 참여군의 평균은 66 . 10 , 비참여군의 평균은 80 .58로 통계적 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다.

8주후의 신체감에 있어서는 참여군의 평균은 27 .8 5 , 비참여군 평균은 4 2 .70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있었으며, 효능감의 참여 군에 평균은 66 .00 , 비참여군의 평균은 4 8 .58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고 존중감의 참여군의 평균은 7 5 .22 비참여군의 평균은 8 7 .58로 통계적 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참여군과, 비참여군 모두 8주부터는 신체감이 저하되기 시작하였고 무용수업

(44)

에 참여 또는 비참여군이 효능감, 존중감에서 상승변화 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참여군이 비참여군보다 신체인지도가 높아지고 따라서 정신적인 평가수준이 높 아진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므로 자기 신체능력에 대한 평가와 자기-존중감 은 상호관련이 있는 심리적 차원이다(심미숙, 1993 )의 이론에 부분적으로 지지 되었음을 알수있었다.

12주후의 신체감에 있어서는 참여군의 평균은 44 .66 , 비참여군 평균은 3 3 .00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있었으며, 효능감의 참여 군에 평균은 53 . 12 , 비참여군의 평균은 58 . 11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존중감의 참여군의 평균은 78 .6 2 , 비참여군의 평균은 6 5 .4 1로 통계적 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참여군이 비참여군보다 신체변화에 대한 평가수준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 며 비참여군은 오히려 낮은폭으로 상승되었는데 참여군은 무용수업을 통하여 자신의 신체능력이 기대수준보다 부족하다는 것을 서서히 인식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특정 운동이나 움직임이 연속될 때 이는 인간의 내적 심리상 태를 여러 가지 측면으로 변화시킬수 있다(신경숙, 198 7 )와 신체상 (b ody- im a ge )의 결함이 신체적 변화와 감정또는 의식 경험에 변화를 일으킬 수있다(J am es와 Lan ge 1978 )라는 이론과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16주후의 신체감에 있어서는 참여군의 평균은 54 .26 , 비참여군 평균은 3 8 .22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으며, 효능감의 참여 군에 평균은 64 .70 , 비참여군의 평균은 54 .3 5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고 존중감의 참여군의 평균은 83 .0 3 , 비참여군의 평균은 62 .94로 통계적 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참여군은 신체감, 효능감, 존중감에서 모두 비참여군보다 상승변화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무용수업을 통하여 신체능력이 증가되었으며 동시에 모델활동을

수치

그림 2. 효능감 기대와 결과 기대의 조작적 개념의 인지적 軌跡
그림 3. 효능감 정보, 효능감 기대와 수행의 주요 자원들 사이의 관계
그림 4. 남자 참여, 비참여 시기별 경향성 분석 그래프 4주후의 신체감에 있어서는 참여군의 평균은 34 .58 , 비참여군 평균은 4 4 .4 3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으며, 효능감의 참여 군에 평균은 4 9 .7 5 , 비참여군의 평균은 4 5 .6 5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고 존중감의 참여군의 평균은 72 .3 3 , 비참여군의 평균은 80 .78로 통계적 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그림 5. 남자 참여, 비참여 시기별 경향성 분석 그래프 4주후의 신체감에 있어서는 참여군의 평균은 32 .60 , 비참여군 평균은 34 .76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있었으며, 효능감의 참여 군에 평균은 4 9 .28 , 비참여군의 평균은 4 5
+2

참조

관련 문서

따라서 이 연구는 유아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무용수업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도와 학부모가 느끼는 자녀들의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유아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중국 모바일 사용자들이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 의 만족도 및 만족도를 매개로 모바일 결제 서비스 사용자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본 연구는 병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병원 이미지가 고객 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는데 있어,병원 이미지를 형성하는 병원 서비스 품질이 어떠한 경로

본 연구는 소리-기호 연결 강화 전략이 학습부진 학생의 한글 읽기 유창성과 과제회 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1학년 읽기부진 학생 3명을 연구 참여자로

본 연구에서는 만다린 에센셜오일을 이용한 아로마요법이 뇌파와 두뇌활용능력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측정 방법으로, 사람의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

본 연구는 미생물에 의한 자류철석과 티탄철석의 물성 변화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서 최적의 성장조건에서 배양한 미생물이 자류철석의 물성 변화에 미

본 연구는 보건행정학을 전공하는 학생의 일반적 특성, 전공 관련 요인과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인을 고려하여 의무기록사 선택에 영향 을

요약하자면, 본 연구는 IPO 연도의 연구개발비 과대투자가 IPO 기업의 조기상장 폐지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 결정요인이 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 조기상장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