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2) 자료를 이용한 소아의 근시 진행 경향에 대한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2) 자료를 이용한 소아의 근시 진행 경향에 대한 분석"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9):1430-1434 ISSN 0378-6471 (Print)⋅ISSN 2092-9374 (Online)

http://dx.doi.org/10.3341/jkos.2016.57.9.1430

Original Article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2) 자료를 이용한 소아의 근시 진행 경향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Myopic Progression in Childhood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정승일1⋅한지상1⋅권지원1⋅김도균1⋅김대희1⋅임현택2

Seung Il Jung, MD1, Jisang Han, MD1, Ji Won Kwon, MD, PhD1, Do Gyun Kim, MD, PhD1, Dae Hee Kim, MD1, Hyun Taek Lim, MD, PhD2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명지병원 안과학교실1,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안과학교실2 Department of Ophthalmology, Myongji Hospital, Seo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1, Goyang, Korea Department of Ophthalmolog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2, Seoul, Korea

Purpose: To investigate the degree, distribution, and change in refractive error in the pediatric population 5 to 20 years of age.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7,695 subjects aged 5 to 20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08 to 2012. Non-cycloplegic refractive error was measured using an autorefractor. Mean spherical equivalent calculated from the measured refractive error data in both eyes was used.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mild, moderate, or high refractive abnormality or emmetropia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fractive error. The degree and distribution of refractive error in all subjects and age-matched subjects were analyzed. The change in refractive error was analyzed accord- ing to age.

Results: Mean refractive error of the study subjects was -1.82 diopters. As subject age increased, myopia increased from +0.04 diopters at 5 years of age to -2.88 diopters at 20 years of age. Myopia was observed in 66.2% of subjects and accounted for only 18.5% of the 5-year-old subjects, but increased to 84.3% in the 20-year-old subjects. The rate among all study subjects was -0.19 diopters per year. The greatest myopic progression rate (-0.46 diopters per year) among all age groups was in subjects 7 to 9 years of age. Myopic progression continued until 16 years of age.

Conclusions: The ratio of pediatric myopia subjects between 5 and 20 years of age was high in Korea. The rate of myopic pro- gression was the fastest in subjects 7 to 9 years of age. After 16 years of age, myopic change paused.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9):1430-1434

Keywords: Childhoo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Myopia, Myopic progression, Refractive error

Received: 2016. 6. 9. ■ Revised: 2016. 6. 24.

Accepted: 2016. 8. 22.

Address reprint requests to Dae Hee Kim, M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Myongji Hospital, #55 Hwasu-ro 14beon-gil, Deogyang-gu, Goyang 10475, Korea Tel: +82-31-810-5427, Fax: +82-31-969-0500

E-mail: skdh17@hanmail.net

2016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근시는 매우 흔한 안과 질환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유병 률이 증가하고 있는 질환이다.1 근시는 단순한 굴절이상이 아니라, 실명을 초래할 수 있는 다양한 안과적 질환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안과적 기저 질환이다.2 최근 근시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근시와 관련된 안과적 질환의 유병 률도 증가하는 추세이다.3 따라서 근시 예방을 위한 보건 의료학적 접근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근시는 주로 소아 연령에서 진행한 후, 일정 시기가 지나

(2)

Table 1. Number of subjects according to age

Age (years)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N 491 488 550 574 544 572 571 571 543 563 464 432 450 368 310 204

Figure 1. The change of refractive error according to the age

of subjects (Y-axis inverted). Each line depicted refractive er- ror of a subject at 25 percentile, 50 percentile and 75 percentile.

면 더 이상 진행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최근 근시 에 대한 여러 연구의 결과로 근시를 억제시킬 수 있는 다양 한 치료법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아트로핀 안약, 각막 굴절 교정술 렌즈 등은 근시 억제 효과를 인정받고 있다.5 따라 서 근시에 대해서 단순히 굴절 이상을 교정하는 것에서 벗 어나 더욱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할 시점이 되었다. 지금까 지 알려진 근시 억제 치료는 부작용이 동반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순응도 저하가 치료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보 고되었다.6 따라서 근시가 있는 모든 소아를 치료 대상으로 하기보다 근시 진행이 심할 것으로 예측되는 환자에게 시 행하거나, 근시 진행이 심한 시기에 집중적으로 치료하는 등의 적절한 치료 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근시 치료의 적정 연령이나 적절한 대상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자료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국내에서 소아 연령의 근시 환자에 대한 자료나 연령별 분포에 대한 자료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5세부터 20세 사이의 소아 연령대 대상자들의 굴절 이상의 정도와 분포, 연령대별 굴절 변화의 추이를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에서 2008년부 터 2012년까지 시행한 제4,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헬싱키 선언에 부합하도 록 진행하였으며, 명지병원 기관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승 인번호: MJH-16-052)을 받아 진행되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1998년부터 시작되어 현재도 진행 되고 있는 정부 지정통계로서,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조사에서는 대한안과학회와 공동으로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기간 동안에는 소아에 대한 안과 검사도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수집된 항목 중 조절마 비를 시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굴절검사기(KR-8800, Topcon corporation, Tokyo, Japan)를 이용해 측정한 굴절 이상 정도를 연령별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5세부터 20세까지의 9,351명의 대상자 중에서 굴절값에 대한 자료가 없는 1,656명을 제외한 7,695명을 대상으로 분 석하였다. 각 연령별 대상자 수는 Table 1과 같다. 굴절값 은 각각의 눈에서 얻어진 구면렌즈대응치값(구면렌즈값 + 1/2 × 원주렌즈값)을 이용하였고, 양안의 평균값을 대상으

로 분석하였다. 굴절이상은 그 정도에 따라서, 굴절값의 절 대치가 0.5디옵터 미만인 경우는 정시로 분류하였고, 0.5디 옵터 이상, 3.0디옵터 미만인 경우는 경도, 3.0디옵터 이상, 6.0디옵터 미만인 경우는 중등도, 6.0디옵터 이상인 경우는 고도 굴절이상으로 분류하였다. 근시 진행 속도를 측정하 기 위해서 5세부터 20세까지 전체 굴절값 변화량의 25%, 50%, 75%가 변하는 연령을 추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구 간별 굴절값 변화 속도를 계산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0.0 버전(IBM corporation, Armonk, NY, USA)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전체 대상자와 각 연령별 대 상자에 대한 굴절값에 대한 기술통계와 굴절이상 분류에 따른 빈도를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11.8세였으며, 여자는 3,706 명(48.2%)이었다. 전체 대상자의 굴절값 평균은 -1.82 ± 2.23디옵터(-15.43디옵터부터 +7.50디옵터)였으며, 대상자 의 나이가 증가할수록 굴절값은 점점 더 근시가 심해지는 경향을 보였고, 집단 내의 편차도 심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Fig. 1). 굴절값의 평균은 5세에는 +0.04 ± 0.86디옵터였으 나, 20세에는 -2.88 ± 2.68디옵터를 보여 총 2.92디옵터의 변화를 보였다. 5세부터 20세까지의 총 굴절값 변화량 2.92

(3)

Figure 2. Mean refractive error according to the age of sub-

jects (Y-axis inverted). The total difference of the refractive error between 5 year-old subjects and 20 year-old subjects was 2.92 diopters (D). The 25% of the difference occurred from 5 to 7.5 years, 50% to 9.1 years, and 75% to 11.9 years.

Myopic progression was the fastest between 7.5 and 9.1 years of age.

Figure 3. The ratio of subject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re- fractive error. The ratio of my- opic subjects in the same age group increased, as the age increased.

디옵터의 25%가 변한 시점(-0.69디옵터)은 7.5세였으며, 50%가 변한 시점(-1.42디옵터)은 9.1세, 75%가 변한 시점 (-2.15디옵터)은 11.9세였다(Fig. 2). 전체 대상자의 연평균 굴절값 변화량은 -0.19디옵터였으며, 7-9세 사이에서는 -0.46디옵터를 보여 이 연령대에서 근시 진행 속도가 가장 빨랐다. 16세 대상자의 평균 굴절값은 -2.81 ± 2.41디옵터 를 보여 20세 대상자의 평균 굴절값과 비슷한 정도에 이르 렀으며, 이후 근시가 비슷한 정도로 유지되는 경향성을 보 였다(Fig. 2).

굴절이상 분류에 따른 빈도는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 5,097명(66.2%)이 근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122명 (27.6%)이 정시, 476명(6.2%)이 원시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나이가 증가할수록 원시와 정시인 대상자의 숫자는 줄어들고, 근시인 대상자의 비율이 계속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5세부터 7세까지는 정시인 대상자의 비율이 50%

이상을 유지하였으나, 8세부터 급격히 38.5%로 줄어들었으 며, 13세 이후부터 10%대로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근시 인 대상자의 비율은 8세에 54.2%를 보였고, 13세에 80.3%

를 보인 후 이후로 비슷한 정도를 유지하였다. 고도근시인 대상자의 비율은 8세까지 1% 미만의 비율을 보였으나, 12 세까지 5% 정도로 비율 증가를 보이다가, 13세부터는 9%

이상의 비율을 보였다(Fig. 3).

고 찰

이번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4, 5기 자료를 이용하여 비교적 많은 수의 대상자를 분석하여 5세부터 20세 연령의 대상자에서 연령이 늘어남에 따라 근시 비율 및 정도가 심 해지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국내에서 소아의 굴절 이상에 대한 연구는 이전에도 진행되었으나,7–12 이번 연구에서는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한 자료를 기반으로 넓은 연령 범위 를 대상으로 하여, 굴절 이상의 전반적인 경향성을 분석하 였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와 차별화된다.

이번 연구에서 5세 이상 20세 이하 근시 대상자 비율은 66.2%, 고도 근시 대상자 비율은 5.9%였다. 2008년부터 2011년까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0세 이 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근시 대상자 비율을

(4)

48.1%, 고도 근시 대상자 비율을 4.0%로 보고한 바 있다.13 소아연령의 근시 대상자 비율이 같은 기간의 성인 대상자 비율보다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추후 국내 근시 유병률은 점점 더 증가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근시 인구의 비율 은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인종 및 지역적인 차이 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동아시아 지역은 근시 인구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전 세계 인구를 대상으로 추정한 2010년경의 근시 유병률은 28.3%로 예측 된 바 있으며, 이러한 결과와 비교해보면 국내 소아 인구의 근시 비율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1 같은 동아시아 지역 인 중국 베이징에서 진행된 You et al14의 연구에서 7세부 터 18세 사이의 소아 15,066명을 대상으로 조절마비 없이 자동굴절검사기로 측정한 굴절값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을 때, -0.5디옵터 이하의 근시 대상자는 64.9%, -6디옵터 이 하의 고도 근시 대상자는 4.3%로 보고한 바 있으며, 이는 이번 연구와 비슷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제시된 연령별 굴절값의 변화를 보면, 7.5 세부터 11.9세까지 4-5년에 걸쳐서 전체 굴절 변화의 50%

가 일어났다. 따라서 이 시기가 근시 진행이 매우 빠른 시 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7.5세부터 9.1세까지, 1.6년 정도에 걸쳐서 전체 굴절 변화의 25%가 일어났으며, 이 시 기가 근시의 진행 정도가 연평균 -0.46디옵터로 가장 빨랐 다. 이전 연구에서는 근시 진행이 가장 빠른 연령은 보고마 다 다양하게 보고하고 있다. Yip et al15에 따르면, 6세에서 14세 사이의 소아 1,779명을 대상으로 조절마비 후 자동굴 절검사기로 측정한 굴절값을 토대로 연구를 하였는데, 구 면렌즈대응치의 근시 진행 속도가 가장 빨랐던 연령은 10.31세, 안축장 길이 증가가 가장 빨랐던 연령은 10.64세 로 보고하여 이번 연구보다는 조금 늦은 연령에서 근시 진 행이 빠른 것으로 보고하였다. 반면, Kim and Min9에 따르 면 15세 이하의 근시가 있는 환아 75명을 대상으로 조절마 비 후 타각적 굴절검사를 시행하여 근시 진행 정도를 분석 하였을 때, 4-6세경 환아에서 근시 진행 속도가 가장 빠르 다(연평균 -0.92디옵터)고 보고하였으며, 11세 이상 환아에 서 근시 진행 속도가 가장 느림(연평균 -0.35디옵터)을 보 고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대상자의 인종, 측정 방법의 차이, 근시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는지,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한 연구인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번 연구 결과에서는 16세경의 굴절값이 20세경의 굴절 값과 비슷하였다. 또한 16세 이후로 굴절값의 변화가 적다 는 점을 고려할 때, 16세경 전후로 근시 진행이 멈출 것으 로 추정해 볼 수 있다. 국내 이전 연구에서 Lee et al8은 6세 부터 22세 환자들 56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20세경 근 시 진행이 멈출 것으로 추정하였다. Goss et al4은 근시가

없는 대상자에서 남자는 10.2세, 여자는 12.1세, 근시가 있 는 대상에서 남자는 16.9세, 여자는 14.0세에 근시 진행이 멈춘다고 보고하였다. Goss et al4의 연구 결과와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근시가 있는 환자들에서 진행이 멈 춘 나이와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근시인 대상자의 비율이 많았기 때문에 근시가 멈추는 연령이 늦 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연령별 굴절 이상의 빈도에서도 8세부터 13세까지 근시 환자의 비율이 급격히 늘어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은 앞서 살펴보았던 굴절값이 급격한 변 화를 보이는 연령과도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 고도근시 환 자의 비율은 이 연령대보다는 좀 더 높은 연령대인 12세 이 후 환자들에서 비율이 높아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 며, 이는 근시가 발생하고 나서 고도 근시에 이르기까지 어 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됨을 시사한다. 근시 억제 치료의 중 요한 목표 중 하나가 고도 근시 환자를 줄이는 것이라는 점 을 고려할 때, 12세 미만의 초기 학동기 소아에 대한 치료 가 고도 근시 환자의 비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한계점은 국민건강영양조사가 단면연구이므 로 나이에 따른 시계열적 변화를 정확히 반영한다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특히 이 연구의 결과를 해석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조절마비를 시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굴절검사 기를 이용한 굴절값을 사용하였다는 점이다. 이전 연구에 서 소아를 대상으로 조절마비 전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한 굴절값과 조절마비 후 수동굴절검사의 굴절값을 비교하였 을 때, 구면도수와 구면렌즈대응치가 1디옵터 이내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16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시된 자료는 대상자의 실제 굴절값보다 좀 더 근시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고 려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번 연구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 료를 이용한 국내 소아의 굴절 이상에 대한 첫 연구라는 점 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국민건강영양조사는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각 연령대 별로 대표성을 가질 수 있도록 표본을 추출하여 진행된 조사이므로, 제한적이긴 하지만 이 연구를 통해 국내 소아의 전반적인 굴절 변화에 대한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반으 로 국내 5세에서 20세까지 인구의 굴절변화에 대한 기초자 료를 처음으로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국내 5세에서 20세까지 근시인 대상자의 비율은 66.2%이 며, 20세에 84.3%까지 증가한다. 가장 근시 진행 속도가 빠 른 연령대는 7-9세경이며, 빠른 근시 진행이 12세경까지 지 속되다가 이후 진행 속도가 느려져서 16세경 이후로는 근

(5)

= 국문초록 =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2) 자료를 이용한 소아의 근시 진행 경향에 대한 분석

목적: 국내 5세에서 20세까지 소아의 굴절 이상의 정도와 분포, 연령대별 굴절 변화의 추이를 알아보고자 했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진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5세부터 20세까지의 대상자 7,695명의 자료를 이용하 였다. 조절마비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굴절검사기로 측정한 값을 이용하여 구면렌즈대응치를 구하였고, 얻어진 양안 굴절값의 평균을 이용하였다. 굴절값을 토대로 백분위수와 평균을 구하였고, 굴절 이상의 정도를 정시, 경도, 중등도, 고도로 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전체 대상자와 각 연령별 굴절 이상 정도와 분포를 확인하였고, 연령별 대상자의 굴절값 변화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 굴절값의 평균은 -1.82디옵터였으며, 5세인 대상자의 평균 굴절값 +0.04디옵터부터 20세 대상자의 평균 굴절값 -2.88디옵터까지 연령이 증가할수록 근시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전체 대상자의 66.2%가 근시를 보였으며, 5세 대상자 중 18.5%만이 근시였으나, 20세 대상자의 경우는 84.3%가 근시를 보였다. 5세에서 20세까지 근시 진행 속도는 연평균 -0.19디옵터였으나, 7-9세까 지는 연평균 -0.46디옵터의 변화를 보여 근시 진행 속도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가장 빨랐다. 16세까지는 근시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 를 보였으나, 이후로는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5세에서 20세까지의 국내 소아 대상자의 근시 비율은 높다. 근시 진행이 빠른 연령대는 7-9세경이었으며, 16세경 이후로는 근시 변화가 적었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9):1430-1434>

시 진행이 멈추는 경향을 보인다. 근시 인구는 해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고, 이는 안과적 질환으로의 이환을 높일 수 있 으므로, 국내 소아를 대상으로 근시 억제를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Holden BA, Fricke TR, Wilson DA, et al. Global prevalence of my- opia and high myopia and temporal trends from 2000 through 2050. Ophthalmology 2016;123:1036-42.

2) Harper AR, Summers JA. The dynamic sclera: extracellular matrix remodeling in normal ocular growth and myopia development.

Exp Eye Res 2015;133:100-11.

3) Wong TY, Ferreira A, Hughes R, et al. Epidemiology and disease burden of pathologic myopia and myopic choroidal neovascu- larization: an evidence-based systematic review. Am J Ophthalmol 2014;157:9-25.e12.

4) Goss DA, Cox VD, Herrin-Lawson GA, et al. Refractive error, ax- ial length, and height as a function of age in young myopes. Optom Vis Sci 1990;67:332-8.

5) Smith MJ, Walline JJ. Controlling myopia prog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dolesc Health Med Ther 2015;6:133-40.

6) Chia A, Lu QS, Tan D. Five-year clinical trial on atropine for the treatment of myopia 2: myopia control with atropine 0.01%

eyedrops. Ophthalmology 2016;123:391-9.

7) Kim SH, Kim SM. Survey on causative factors responsible for the school myopia. J Korean Ophthalmol Soc 1977;18:45-9.

8) Lee MJ, Lee YH, Shyn KH. The progression of myopia with age. J Korean Ophthalmol Soc 1987;28:151-5.

9) Kim SY, Min BM. Myopic progression according to the age of on- set in childhoods. J Korean Ophthalmol Soc 1998;39:721-7.

10) Choi KW, Koo BS, Lee HY. Preschool vision screening in Korea:

results in 2003. J Korean Ophthalmol Soc 2006;47:112-20.

11) Choi YH, Choi YY. The difference comparison according to child refractive method and effect of life style on myopia. J Korean Ophthalmol Soc 2005;46:1841-7.

12) Han ER, Kang JE, Jun RM, Choi KR. Changes of refractive errors and optometric values in fourth graders at an urban elementary school in Korea. J Korean Ophthalmol Soc 2007;48:1119-25.

13) Kim EC, Morgan IG, Kakizaki H,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refractive error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 PLoS One 2013;8:e80361.

14) You QS, Wu LJ, Duan JL, et al. Prevalence of myopia in school children in greater Beijing: the Beijing Childhood Eye Study. Acta Ophthalmol 2014;92:e398-406.

15) Yip VC, Pan CW, Lin XY,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spurts and myopia in Singapore children.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2;53:7961-6.

16) Jung JW, Kim YE, Paik HJ. Clinical comparison of autorefractor versus retinoscopic refraction in children according to the age. J Korean Ophthalmol Soc 2005;46:1931-5.

수치

Table 1. Number of subjects according to age
Figure 3. The ratio of subject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re-fractive error. The ratio of  my-opic subjects in the same age group  increased, as the age increased.

참조

관련 문서

17.5 Optical Resonator with Phase Conjugate Reflectors (A.. Nonlinear Optics Lab.. Nonlinear Optics Lab.. Nonlinear Optics Lab. Hanyang Univ... 17.7 Dynamic Distortion

In the education section, you need to write the name of the city, and the phone number of the school where you received your degree or diploma from. 보호자 란에는 부모가

In the education section, you need to write the name of the city, and the phone number of the school where you received your degree or diploma from. 보호자 란에는 부모가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can be categorized as follows: (1) Analysis of access control challenges of mission-critical CPSs; (2) Concepts of emergency degree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work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in NICU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degree of stress in accordanc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no signifiant statistical difference, while the degree of physical

INTRODUCTION Various kinds of optical polymers with a high refractive index (high-n) and a low birefringence (Dn) combined with good optical transparency and high therm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