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부록부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부록부록"

Copied!
8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외교부 조직도 366 2. 외교관계 수립 현황 368 3. 재외공관 현황 370 4. 국제기구 가입현황 372 5. 경제통상 관계 현황 376 6. 2013년 조약 발효 현황 380 7. 비자면제협정 체결 현황 384 8. 재외동포 현황 387

9. 운전면허상호인정 현황 388 10. 여권발급 및 해외여행자 현황 390 11. 2013년 국제관계 일지 392

부록

(2)
(3)

부록

외교부 조직도

 외교부 조직도

2013년 12월 기준

부대변인 정책기획관 감사관 의전기획관 동북아시아국 남아시아태평양국 북미국 중남미국 유럽국 아프리카중동국

장 관

국립외교원

북핵외교기획단 평화외교기획단 경력교수

( 2 )

기획부 교수부

조정기획관 인사기획관 외교정보관리관 국제기구국 개발협력국 국제법률국 문화외교국 재외동포영사국 다자경제외교국 양자경제외교국 국제경제국 기후변화대사 재외동포영사대사

한반도평화 교섭본부

다자외교조정관 경제외교조정관

기획조정실 의전장

평가담당대사

대변인

1 2 3 1 2 1 2 G20 EU

국제안보대사 외교안보연구소

차관보

제2차관

제1차관

(4)

 외교부 조직도

2013년 12월 기준

부대변인 정책기획관 감사관 의전기획관 동북아시아국 남아시아태평양국 북미국 중남미국 유럽국 아프리카중동국

장 관

국립외교원

북핵외교기획단 평화외교기획단 경력교수

( 2 )

기획부 교수부

조정기획관 인사기획관 외교정보관리관 국제기구국 개발협력국 국제법률국 문화외교국 재외동포영사국 다자경제외교국 양자경제외교국 국제경제국 기후변화대사 재외동포영사대사

한반도평화 교섭본부

다자외교조정관 경제외교조정관

기획조정실 의전장

평가담당대사

대변인

1 2 3 1 2 1 2 G20 EU

국제안보대사 외교안보연구소

차관보

제2차관

제1차관

(5)

부록

외교관계 수립 현황

 외교관계 수립 현황

1) 남·북한 수교 현황

(2013년 12월 기준)

2) 남·북한 단독 수교국 현황

구 분 한 국 북 한 동 시 수 교

아 주 37 26 26

미 주 34 24 23

구 주 53 49 48

중 동 18 16 15

아프리카 48 47 47

계 190 162 159

지 역 한 국 북 한

아 주 마셜제도, 미크로네시아, 부탄, 사모아, 솔로몬제도,

일본, 쿡제도, 키리바시, 통가, 투발루, 팔라우 (11)

미 주 미국, 볼리비아, 아르헨티나, 아이티,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우루과이, 코스타리카, 파나마, 파라과이 (11) 쿠바 (1) 구 주 교황청, 모나코, 안도라, 에스토니아, 프랑스 (5) 마케도니아 (1)

중 동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이스라엘 (3) 시리아 (1)

아프리카 남수단 (1)

계 31 3

※ 한국은 191개 유엔회원국(남·북한 제외) 중 188개국 및 유엔비회원국인 교황청, 쿡제도와 수교 - 미수교국: 4개국 (마케도니아, 시리아, 코소보1), 쿠바)

(6)

3) 남·북한 동시 수교국 현황

지 역 국 명

아 주 (26)

나우루, 네팔, 뉴질랜드, 동티모르, 라오스,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바누아투, 방글라데시, 베트남, 브루나이, 스리랑카, 싱가포르, 아프가니스탄, 인도, 인도네시아, 중국, 캄보디아, 태국,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피지, 필리핀, 호주

미 주 (23)

가이아나, 과테말라, 그레나다, 니카라과, 도미니카(공), 도미니카(연), 멕시코, 바베이도스, 바하마, 베네수엘라, 벨리즈, 브라질,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그레나딘, 세인트키츠네비스, 수리남, 앤티가바부다, 자메이카, 칠레, 캐나다, 콜롬비아, 트리니다드토바고, 페루

구 주 (48)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몬테네그로, 몰도바, 몰타, 벨기에, 벨라루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사이프러스,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알바니아, 영국, 오스트리아,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조지아, 체코, 카자흐스탄, 크로아티아, 키르기스, 타지키스탄, 터키, 투르크메니스탄, 포르투갈, 폴란드, 핀란드, 헝가리

중 동 (15)

레바논, 리비아, 모로코, 모리타니, 바레인, 아랍에미리트, 알제리, 예멘, 오만, 요르단, 이란, 이집트, 카타르, 쿠웨이트, 튀니지

아프리카 (47)

가나, 가봉,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나미비아,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니제르, 라이베리아, 레소토, 르완다,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말리, 모리셔스, 모잠비크, 베냉, 보츠와나, 부룬디, 부르키나파소, 상투메프린시페, 세네갈, 세이셸, 소말리아, 수단, 스와질란드, 시에라리온, 앙골라,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우간다, 잠비아, 적도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지부티, 짐바브웨, 차드, 카메룬, 카보베르데, 케냐,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콩고, 콩고민주공화국, 탄자니아, 토고

계 159개국

(7)

부록

재외공관 현황

 재외공관 현황

1) 남·북한 재외공관 현황

(2013년 12월 기준, ( )는 북한)

2) 지역별 남·북한 상주공관 현황

지 역 상주 대사관 (총) 영사관 대표부 계

아 주 24

(14)

21 (2)

1 (0)

46 (16)

미 주 21

(4)

13 (0)

1 (1)

35 (5)

구 주 34

(13)

7 (1)

3 (3)

44 (17)

중 동 17

(6)

2 (0)

0 (0)

19 (6)

아프리카 17

(9)

0 (0)

0 (0)

17 (9)

계 113

(46)

43 (3)

5 (4)

161 (53)

※ 한국의 경우: 대만대표부, 분관 (오클랜드, 카라치, 본, 라스팔마스, 라고스, 알마티, 킹스턴, 두샨베, 멜번, 리가, 말라보), 출장소 (하갓냐, 앵커리지, 댈러스, 유주노사할린스크, 다롄)는 통계에서 제외

지 역 구 분 한 국 북 한

아 주

대 사 관

네팔, 뉴질랜드, 동티모르, 라오스, 말레이시아, 몽골, 미얀마, 방글라데시, 베트남, 브루나이, 스리랑카, 싱가포르, 아프가니스탄,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캄보디아, 태국,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피지, 필리핀, 호주

(24)

네팔, 라오스, 말레이시아, 몽골, 미얀마, 방글라데시,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 인도네시아, 중국, 캄보디아, 태국, 파키스탄

(14)

총영사관 중국(8)1), 일본(9)2), 시드니, 호치민,

뭄바이, 첸나이 (21) 선양, 홍콩 (2)

대표부 아세안 (1)

(8)

지 역 구 분 한 국 북 한

미 주

대 사 관

과테말라, 니카라과, 도미니카(공), 멕시코, 미국,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우루과이, 칠레, 캐나다,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트리니다드토바고,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21) 멕시코, 브라질, 쿠바, 페루 (4)

총영사관 미국(9)3), 캐나다(3)4), 상파울루 (13)

대 표 부 유엔 (1) 유엔 (1)

구 주

대 사 관

교황청,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러시아, 루마니아, 벨기에, 벨라루스, 불가리아,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슬로바키아,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영국,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이탈리아, 체코, 카자흐스탄, 크로아티아, 키르기스, 터키, 투르크메니스탄,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34)

독일, 러시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우즈베키스탄, 영국, 체코, 폴란드

(13)

총영사관

밀라노, 블라디보스토크, 상트페테르부르크, 이르쿠츠크, 이스탄불, 프랑크푸르트, 함부르크

(7) 나홋카(러시아) (1)

대 표 부 제네바, OECD(파리), 유네스코 (3) 제네바, 프랑스(일반대표부),

유네스코 (3)

중 동

대 사 관

리비아, 레바논, 모로코,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알제리, 예멘, 이라크, 이집트, 이란, 이스라엘, 오만, 요르단, 카타르, 쿠웨이트, 튀니지

(17) 리비아, 시리아, 알제리, 이란, 이집트, 쿠웨이트 (6)

총영사관 두바이, 젯다 (2)

아프리카 대 사 관

가나, 가봉,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르완다, 모잠비크, 세네갈, 수단, 앙골라, 에티오피아, 우간다, 짐바브웨, 코트디부아르, 콩고민주공화국, 카메룬, 케냐, 탄자니아

(17)

기니,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세네갈, 앙골라, 에티오피아, 우간다, 적도기니, 콩고민주공화국

(9)

계 161 53

(9)

부록

국제기구 가입현황

 국제기구 가입현황

1) 유엔 및 유엔 산하·전문·독립기구

2014.2월 기준

일련번호 기 구 명 한국가입 북한가입 소재지

1 국제연합(UN) 1991 1991 뉴욕

2 세계보건기구(WHO) 1949 1973 제네바

3 유엔식량농업기구(FAO) 1949 1977 로마

4 만국 우편연합(UPU) 1949 1974 베른

5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1950 1974 파리

6 국제전기통신연합(ITU) 1952 1975 제네바

7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1952 1977 몬트리올

8 국제통화기금(IMF) 1955 - 워싱턴

9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1955 - 워싱턴

10 국제개발협회(IDA) 1961 - 워싱턴

11 국제금융공사(IFC) 1964 - 워싱턴

12 국제투자보증기구(MIGA) 1988 - 워싱턴

13 국제투자분쟁해결본부(ICSID) 1967 - 워싱턴

14 세계기상기구(WMO) 1956 1975 제네바

15 국제해사기구(IMO) 1962 1986 런던

16 유엔공업개발기구(UNIDO) 1967 1980 비엔나

17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1979 1974 제네바

18 국제농업개발기구(IFAD) 1978 1986 로마

19 국제노동기구(ILO) 1991 - 제네바

20 세계관광기구(UNWTO) 1957 1987 마드리드

21 세계무역기구(WTO) 1995 - 제네바

22 국제원자력기구(IAEA) 1957 1974 가입

1994 탈퇴 비엔나

23 제네바군축회의(CD) 1996 1996 제네바

24 유엔아태경제사회위원회(ESCAP) 1954 1992 방콕

25 유엔중남미카리브경제위원회(ECLAC) 2007 - 칠레

26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1965 1973 제네바

※ 유엔산하기구(Funds and Programs) 경우, 유엔 회원국 모두가 회원국으로 간주되므로 미표기

(10)

2) 정부 간 기구

일련번호 기 구 명 한국가입 북한가입 소재지

1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996 - 파리

2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1989 - 싱가포르

3 아시아개발은행(ADB) 1966 - 필리핀

4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1990 - 영국

5 아프리카개발기금(AfDF) 1980 - 코트디부아르

6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1982 - 코트디부아르

7 동남아중앙은행기구(SEACEN) 1990 - 쿠알라룸푸르

8 동남아·뉴질랜드·호주중앙은행기구(SEANZA) 1966 - 호주

9 아시아·태평양개발센타(APDC) 1982 - 쿠알라룸푸르

10 국제백신연구소(IVI) 1997 - 서울

11 유엔기념공원(UNMCK) 1959 - 부산

12 국제무역센터(ITC) 1964 - 제네바

13 국제결제은행(BIS) 1997 - 스위스바젤

14 세계관세기구(WCO) 1968 - 벨기에

15 아시아생산성기구(APO) 1961 - 동경

16 아시아·아프리카법률자문기구(AALCO) 1974 1974 뉴델리

17 아프리카·아시아농촌개발기구(AARDO) 1963 - 뉴델리

18 아시아·태평양지역식물보호위원회(APPPC) 1981 1995 방콕

19 아시아·태평양우편연합(APPU) 1962 - 마닐라

20 아시아·태평양전기통신협의체(APT) 1979 1994 방콕

21 국제의회연맹(IPU) 1964 1973 제네바

22 FAO/WHO 국제식품규격위원회(CAC) 1970 1981 로마

23 콜롬보플랜(Colombo Plan) 1962 - 스리랑카

24 동부지역공공행정기구(EROPA) 1962 - 마닐라

25 국제교육국(IBE) 1962 1975 제네바

26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1963 2004

(준회원) 제네바

(11)

부록

국제기구 가입현황

일련번호 기 구 명 한국가입 북한가입 소재지

27 국제도량형국(IBWM) 1959 1981 프랑스

28 지구환경금융(GEF) 1994 - 워싱턴

29 국제납·아연연구그룹(ILZSG) 1987 - 포르투갈

30 상품공동기금(CFC) 1982 - 제네바

31 섬유수출개도국기구(ITCB) 1984 1999 제네바

32 화학무기금지기구(OPCW) 1997 - 헤이그

33 아시아채소연구개발센타(AVRDC) 1971 - 대만

34 국제면화자문위원회(ICAC) 1954 - 워싱턴

35 대서양참치보존위원회(ICCAT) 1970 - 마드리드

36 국제문화재보존복구연구센타(ICCROM) 1968 1986(1996 탈퇴) 로마

37 국제이동위성기구(IMSO) 1985 2013 영국

38 국제전기통신위성기구(INTELSAT) 1967 2001 워싱턴

39 정부간해양학위원회(IOC) 1961 1978 파리

40 국제수로기구(IHO) 1957 1987 모나코

41 아시아·태평양수산위원회(APFIC) 1950 - 방콕

42 중서대서양수산위원회(WECAFC) 1974 - 바베이도스

43 중동대서양수산위원회(CECAF) 1968 - 가나 아크라

44 중서부태평양수산기구(WCPFC) 2004 - 미크로네시아

(폰페이)

45 인도양참치위원회(IOTC) 1996 - 세이셸

46 중부베링해명태자원보전협약(CBSPC) 1995 - 밴쿠버

47 북서대서양수산기구(NAFO) 1993 - 캐나다

48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위원회(CCAMLR) 1985 - 호주

49 국제법정계량기구(OIML) 1978 1974 파리

50 국제포경위원회(IWC) 1978 - 영국

51 북태평양해양과학기구(PICES) 1995 - 캐나다

52 국제이주기구(IOM) 1988 - 제네바

53 국제포플러위원회(IPC) 1973 - 로마

54 국제사탕기구(ISO) 1993 - 영국

55 국제사법통일국제연구소(UNIDROIT) 1981 - 로마

56 국제수역국(OIE) 1953 2001 파리

(12)

일련번호 기 구 명 한국가입 북한가입 소재지

57 국제곡물이사회(IGC) 1953 - 런던

58 국제열대목재기구(ITTO) 1985 - 일본

59 세계박람회기구(BIE) 1987 2007 파리

60 국제해저기구(ISA) 1995 - 멕시코

61 Wassenaar 체제 1996 - 오스트리아

62 상설중재재판소(PCA) 2000 - 헤이그

63 국제에너지기구(IEA) 2002 - 파리

64 국제식물신품종보호연맹(UPOV) 2002 - 제네바

65 미주개발은행(IDB) 2004 - 워싱턴

66 아시아 교류 및 신뢰구축회의(CICA) 2006 - 알마티

67 법을 통한 민주주의 유럽위원회(베니스위원회) 2006 - 벨기에

68 국제미작연구소(IRRI) 1991 - 필리핀

69 국제철도협력기구(OSJD) - 1956 폴란드

70 아시아에서 선박에 대한 해적활동 퇴치를 위한

지역협력협정 정보공유센터(ReCAAP ISC) 2006 - 싱가포르

71 국제유류오염보상기금(IOPC Funds) 1998 - 영국

72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CTBTO) 1996 - 오스트리아

73 아태식량비료기술센터(FFTC) 1970 - 대만

74 남방참다랑어보존위원회(CCSBT) 2001 - 호주

75 금융안전위원회(FSB) 2009 - 바젤

76 바젤은행감독위원회(BCBS) 2009 - 바젤

77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2011 - U.A.E

78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2012 - 한국

79 북태평양소하성어류위원회(NPAFC) 2003 - 벤쿠버

80 전미열대참치위원회(IATTC) 2005 - 미국 라호야

81 남동대서양수산기구(SEAFO) 2011 - 나미비아

(왈비스베이)

82 남태평양지역수산관리기구(SPRFMO) 2012 - 웰링턴

83 자금세탁방지기구(FATF) 2009 - 파리

84 아시아·태평양 자금세탁방지기구(APG) 1998 - 시드니

(13)

부록

경제통상 관계 현황

 경제통상 관계 현황

1) 경제·통상관련 주요 지표

2) 우리나라 연도별 수출입 동향

(단위 : 백만달러, %)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국내총생산 (명목GDP,억달러) 9,023 10,943 12,027 12,224 13,043 1인당국민총소득 (명목GNI,달러) 18,303 22,170 24,302 24,696 26,205

경제성장률 (실질GDP기준,%) 0.7 6.5 3.7 2.3 3.0

소비자물가상승률(%) 2.8 3.0 4.0 2.2 1.3

실업률(%) 3.6 3.7 3.4 3.2 3.1

외국인투자 (신고기준, 억달러) 115 131 137 163 145

경상수지(억달러) 336 289 187 508 799

외환보유액(억달러) 2,700 2,916 3,064 3,270 3,465 대외채무(억달러) 3,446 3,559 4,000 4,089 4,161

출처 한국은행, 통계청, 산업통상자원부

년도 수출 증가율 수입 증가율 무역수지

2009 363,534 -13.9 323,085 -25.8 40,449

2010 466,384 28.3 425,212 31.6 41,172

2011 555,214 19 524,413 23.3 30,801

2012 547,870 -1.3 519,584 -0.9 28,285

2013 559,632 2.1 515,586 -0.8 44,047

(14)

3) 우리나라 해외직접투자 현황

(단위 : 건, 천달러)

4) 우리나라에 대한 외국인 투자 동향

(단위 : 건, 천달러) 출처 한국수출입은행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전체건수는 1개 사업에 여러나라가 투자한 경우 국별로 각각 건수를 계상함에 따라 지역별 합계와 상이할 수 있음 구분

2010 2011 2012 2013

신고 건수

신고 금액

신고 건수

신고 금액

신고 건수

신고 금액

신고 건수

신고 금액 아시아 5,497 14,021,421 5,384 14,088,953 5,163 14,570,791 5,519 12,105,851

중동 164 618,055 164 372,679 128 873,758 129 1,773,432 북미 1,368 6,034,183 1,232 18,450,961 1,269 7,802,489 1,245 6,429,109 중남미 305 4,500,144 353 3,177,291 378 5,012,600 351 6,722,292 유럽 544 7,847,539 499 4,807,405 452 6,101,866 501 5,613,288 아프리카 51 394,339 46 357,085 83 367,778 62 379,200 대양주 181 1,011,723 205 4,406,655 168 4,751,946 201 2,356,404 전체 8,110 34,427,402 7,883 45,661,030 7,641 39,481,228 8,008 35,379,576

구분

2010 2011 2012 2013

신고 건수

신고 금액

신고 건수

신고 금액

신고 건수

신고 금액

신고 건수

신고 금액 미주지역 540 2,680,911 455 3,748,609 432 4,409,978 426 4,551,659 아주지역 1,847 6,898,247 1,615 4,398,107 1,773 8,848,266 1,515 5,008,394 구주지역 497 3,290,345 477 5,393,035 438 2,957,381 442 4,883,621 중동지역 102 171,433 73 92,373 84 52,216 102 77,872 아프리카지역 134 29,620 105 40,656 134 15,411 125 24,455

기 타 10 906 3 308 8 2,753 5 2,144

전체 3,110 13,071,463 2,710 13,673,089 2,865 16,286,005 2,608 14,548,144

(15)

부록

경제통상 관계 현황

5) 한국의 10대 교역상대국

(2013년 기준, 무역금액 순 / 단위 : 백만달러)

6) 10대 무역수지 흑자국

(통관기준 / 단위 : 백만달러)

순위 국가명 수출 수입 교역규모

1 중국 145,869 83,053 228,922

2 미국 62,052 41,512 103,564

3 일본 34,662 60,029 94,691

4 사우디아라비아 8,828 37,665 46,493

5 싱가포르 22,289 10,369 32,658

6 호주 9,563 20,785 30,348

7 대만 15,699 14,633 30,332

8 홍콩 27,756 1,929 29,685

9 베트남 21,088 7,175 28,263

10 독일 7,908 19,336 27,244

순위 2011 2012 2013

국가명 수지 국가명 수지 국가명 수지

1 중국 47,753 중국 53,538 중국 62,817

2 홍콩 28,653 홍콩 30,548 홍콩 25,827

3 싱가포르 11,872 미국 15,184 미국 20,541

4 미국 11,639 싱가포르 13,212 베트남 13,912

5 베트남 8,381 베트남 10,227 싱가포르 11,920

6 멕시코 7,413 멕시코 6,451 멕시코 7,427

7 라이베리아 7,388 인도 5,001 마샬군도 7,266

8 마샬군도 6,995 필리핀 4,927 인도 5,196

9 브라질 5,478 슬로바키아 4,454 필리핀 5,077

10 인도 4,761 브라질 4,201 터키 4,966

출처 한국무역협회 출처 한국무역협회

(16)

7) 10대 무역수지 적자국

(통관기준 / 단위 : 백만달러)

순위 2011 2012 2013

국가명 수지 국가명 수지 국가명 수지

1 사우디아라비아 -30,008 사우디아라비아 -30,595 사우디아라비아 -28,837

2 일본 -28,640 일본 -25,567 일본 -25,367

3 카타르 -20,280 카타르 -24,775 카타르 -25,022

4 호주 -18,152 쿠웨이트 -16,713 쿠웨이트 -17,592

5 쿠웨이트 -15,528 호주 -13,737 아랍에미리트 -12,385

6 이라크 -7,603 독일 -10,136 독일 -11,428

7 아랍에미리트 -7,492 이라크 -8,361 호주 -11,222

8 독일 -7,462 아랍에미리트 -8,254 이라크 -7,287

9 이란 -5,290 오만 -4,382 오만 -3,776

10 오만 -4,456 노르웨이 -4,033 프랑스 -2,525

출처 한국무역협회

(17)

부록

2013년 조약 발효 현황

 2013년 조약 발효 현황

1) 양자조약

조약명 서명일 발효일

1 한·중 사회보험협정 2012.10.29 2013.1.16

2 한·우루과이 이중과세방지협정 2011.11.29 2013.1.22

3 한·크로아티아 문화·과학·교육·예술·체육 협력협정 2012.6.15 2013.1.8

4 한·우루과이 사증면제협정 2012.9.4 2013.1.10

5 한·우간다 무상원조기본협정 2012.10.31 2013.1.10

6 한·우즈베키스탄 관광협력협정 2012.9.20 2013.1.9

7 한·앙골라 산업고등기술센터사업 EDCF차관약정 2013.1.15 2013.1.15 8 한·앙골라 치안쇄신사업 EDCF차관약정 2013.1.15 2013.1.15

9 한·르완다 투자보장협정 2009.5.29 2013.2.16

10 한·미얀마 무상원조기본협정 2012.10.9 2013.1.24

11 한·레바논 문화협력협정 2012.9.25 2013.2.1

12 한·아제르바이잔 경제협력협정 2012.8.28 2013.2.14

13 한·스페인 사회보장협정 2011.7.14 2013.4.1

14 한·온두라스 봉사단파견 교환각서 2012.3.12/

2012.3.12 2013.2.20 15 한·몽골 수형자이송조약 착오정정 교환각서 2012.12.11/

2013.1.16 2013.1.16

16 한·페루 운전면허 상호인정협정 2012.12.17 2013.4.3

17 한·조지아 외교관·관용사증면제협정 2013.2.17 2013.4.1

18 한·뉴질랜드 군사비밀보호협정 2012.11.29 2013.3.26

19 한·터키 자유무역지대창설 기본협정 2012.8.1 2013.5.1

20 한·터키 상품무역협정 2012.8.1 2013.5.1

21 한·바레인 이중과세방지협약 2012.5.1 2013.4.26

22 한·터키 관광협력협정 2006.10.4 2013.5.3

23 한·엘살바도르 2013 무상원조기본약정 2013.5.7 2013.5.7

(18)

조약명 서명일 발효일 24 한·요르단 암만폐수처리시설 EDCF약정 2013.5.14 2013.5.14 25 한·카자흐스탄 발하쉬 화력발전소 협정 2011.8.25 2013.5.27

26 한·우간다 2013 무상원조기본약정 2013.5.30 2013.5.30

27 한·방글라데시 2012-14 EDCF 기본약정 2013.6.6 2013.6.6

28 한·DR콩고 상수도사업 EDCF약정 2013.6.10 2013.6.10

29 한·싱가포르 이중과세방지협약 개정의정서 2010.5.24 2010.6.28

30 한·솔로몬제도 무상원조기본약정 2013.6.25 2013.6.25

31 한·파키스탄 무상원조기본협정 2012.12.4 2013.6.19

32 한·캄보디아 2013 무상원조기본약정 2013.6.3 2013.6.3

33 한·멕시코 원자력협력협정 2012.6.17 2013.7.14

34 한·에콰도르 산토도밍고시 하수도확장 EDCF이행약정 2013.7.3 2013.7.3

35 한·헝가리 취업관광프로그램협정 2013.4.9 2013.7.8

36 한·캄보디아 2013-2016 EDCF 기본약정 2013.7.10 2013.7.10

37 한·GGGI 본부협정 2013.1.17 2013.7.11

38 한·바하마 조세정보교환협정 2011.8.4 2013.7.15

39 한·아르헨티나 형사사법공조조약 2009.8.31 2013.7.26

40 한·미국 원자력기술이전보증 교환각서 2013.7.19/

2013.7.22 2013.7.25

41 한·중국 외교관사증면제협정 2013.6.27 2013.8.18

42 한·나이지리아 문화교육협력협정 2012.8.9 2013.7.17

43 한·파라과이 무상원조기본약정 2013.7.26 2013.7.26

44 한·에티오피아 무상원조기본약정 2013.7.30 2013.7.30

45 한·쿠웨이트 범죄인인도조약 2007.6.14 2013.8.28

46 한·르완다 개발협력기본협정 2013.2.12 2013.8.7

47 한·가봉 외교관·관용사증면제협정 2013.6.7 2013.8.13

48 한·이스라엘 민간산업연구개발협정 개정의정서 2012.12.20 2013.8.7 49 한·우즈베키스탄 민사 및 상사 사법공조조약 2012.9.20 2013.8.11 50 한·스리랑카 EDCF기본약정 보충의정서 2013.8.26 2013.8.26

(19)

부록

2013년 조약 발효 현황

조약명 서명일 발효일

51 한·녹색기후기금(GCF) 본부협정 2013.6.2/

2013.6.10 2013.8.27

52 한·미얀마 2013 무상원조기본약정 2013.8.29 2013.8.29

53 한·룩셈부르크 이중과세방지협약 개정의정서 2012.5.29 2013.9.4

54 한·아제르바이잔 EDCF 협정 2013.6.18 2013.9.5

55 한·아이티 무상원조 기본협정 2013.9.4 2013.9.4

56 한·아이티 무상원조 기본약정 2013.9.4 2013.9.4

57 한·크로아티아 무역협정 종료 2013.3.12

크측 통보 2013.9.12

58 한·말레이시아 형사사법공조조약 2010.12.10 2013.9.26

59 한·독일 해운협정 2012.5.3 2013.9.13

60 한·시에라리온 EDCF 차관협정 2013.10.8 2013.10.8

61 한·시에라리온 EDCF 차관약정 2013.10.8 2013.10.8

62 한·온두라스 재생에너지사업 EDCF 차관약정 2013.10.14 2013.10.14

63 한·에콰도르 이중과세방지협약 2012.10.8 2013.10.16

64 한·니카라과 2단계 송변전사업 EDCF약정 2013.10.29 2013.10.29 65 한·이집트 배전자동화 2단계 무상원조 교환각서 2013.8.19/

2013.8.19 2013.10.10

66 한·WTO DDA 신탁기금약정 2013.11.1 2013.11.1

67 한·라오스 2014-2017 EDCF 기본약정 2013.11.22 2013.11.22 68 한·라오스 2013 무상원조 기본약정 2013.11.22 2013.11.22

69 한·키르기스 이중과세방지협정 2012.12.11 2013.11.22

70 한·볼리비아 2013 무상원조교환각서 2013.12.5/

2013.12.5 2013.12.5 71 한·인도네시아 2013 무상원조기본약정 2013.11.18 2013.11.18 72 한·우즈베키스탄 2013 무상원조기본약정 2013.12.3 2013.12.3

73 한·파키스탄 무상원조기본약정 2013.9.20 2013.9.20

74 한·페루 2013 무상원조기본약정 2013.12.19 2013.12.19

75 한·퀘벡(캐나다) 교육협력약정 2013.12.5 2013.12.5

(20)

2) 다자조약

조약명 기탁(서명)일 발효일

1 국제적 아동탈취의 민사적 측면에 관한 협약 2012.12.13 2013.3.1

2 아세안+3 비상쌀 비축협정 2013.7.17 2013.8.16

3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국제거래협약 제21조 개정 2003.7.21 2013.11.29

(21)

부록

비자면제협정 체결 현황

 비자면제협정 체결 현황

1) 사증면제협정 체결 현황

(2014.3.4. 현재)

※ 이탈리아 : 협정상의 체류기간은 60일이나 상호주의로 90일간 체류기간 부여 (2003. 6. 15)

※ 쉥겐국 중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스위스, 라트비아, 슬로바키아, 프랑스, 포르투갈, 슬로베니아, 리히텐슈타인, 핀란드, 에스토니아는 26개 쉥겐국 합산, 최초 입국일로부터 180일 중 90일 체류 가능 (쉥겐협약 우선 적용)

총 체결국 적용 대상 국 가 명

102개국 (별도 표시가

없는 경우 90일간 체류 가능)

외교관여권 소지자 (4개국)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60일), 중국(30일), 투르크메니스탄(30일)

외교관여권

· 관용여권

소지자 (33개국)

가봉, 라오스, 러시아, 몰도바(180일 중 90일), 몽골, 미얀마, 방글라데시, 베냉, 베트남, 벨라루스, 벨리즈, 볼리비아, 사이프러스, 아르메니아, 아르헨티나, 아제르바이잔(30일), 알제리, 앙골라(30일),

에콰도르(외교: 업무수행기간, 관용: 3개월), 우루과이, 이란(3개월), 이집트, 인도, 일본, 조지아, 카자흐스탄, 캄보디아(60일), 크로아티아, 키르기스(30일), 타지키스탄, 파라과이, 파키스탄(3개월), 필리핀(무제한)

외교관여권

· 관용여권

· 일반여권

소지자 (65개국)

아주지역

(4개국)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미주지역 (25개국)

과테말라, 그레나다, 니카라과, 도미니카(공), 도미니카(연), 멕시코, 바베이도스, 바하마, 베네수엘라(외교·관용 30일, 일반 90일), 브라질,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그레나딘, 세인트키츠네비스, 수리남, 아이티, 앤티가바부다, 엘살바도르, 우루과이, 자메이카, 칠레,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트리니다드토바고, 파나마, 페루

구주지역 (31개국)

[쉥겐국(26개국 중 슬로베니아 제외)]

그리스, 네덜란드*, 독일, 라트비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몰타, 벨기에, 스위스*, 스페인, 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외교·관용 180일), 이탈리아, 체코, 포르투갈* (60일) 폴란드, 프랑스*, 헝가리

[180일 중 90일]

노르웨이, 덴마크, 아이슬란드, 에스토니아, 스웨덴, 핀란드 [비쉥겐국]

루마니아, 불가리아, 영국, 아일랜드, 터키, 러시아(180일 중 90일, 1회 연속체류 최대 60일) 아중동지역

(5개국) 모로코, 라이베리아, 레소토(60일), 이스라엘, 튀니지(30일),

(22)

2) 기타 사증 관련 현황

3) 한국인의 무사증입국이 가능한 국가

(54개 국가 또는 지역)

적 용 대 상 대 상 국 가

복수사증 (13개국) (협정 및 상호주의에 의거)

독일(주재, 투자 등), 러시아(단기 복수), 몽골, 미국(단기 종합), 브라질(상용, 투자, 취재), 아르헨티나(상용), 우즈베키스탄(상용 등), 우크라이나(상용·주재 등), 인도(상용, 고용, 관광), 일본, 중국, 캐나다(상용), 호주(상용)

취업관광사증 (16개국)

뉴질랜드, 대만, 덴마크, 독일, 미국, 스웨덴, 아일랜드, 오스트리아, 영국, 일본, 체코, 캐나다, 프랑스, 호주, 홍콩, 헝가리

항공기 승무원 양해각서 러시아, 중국

아 주 (11)

동티모르(외교·관용 30일), 대만(90일), 라오스(15일), 마카오(90일), 몽골(30일, 최근 2년 이내 4회, 통산 10회 이상 입국자에 한함), 베트남(15일), 브루나이(30일), 홍콩(90일), 인도네시아(외교·관용 14일), 일본(90일), 필리핀(30일) 미 주

(7)

가이아나(90일), 미국(90일), 아르헨티나(90일), 에콰도르(90일), 온두라스(90일), 캐나다(6개월), 파라과이(30일)

구 주 (16)

사이프러스(90일), 산마리노(9일), 세르비아(90일), 마케도니아(1년 중 누적 90일), 모나코(90일), 몬테네그로(90일), 안도라(90일),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90일), 알바니아(90일), 영국(최대 6개월), 우크라이나(90일), 슬로베니아*(90일, 쉥겐국), 조지아(360일), 코소보(90일), 크로아티아(90일), 키르기스(60일), 몰도바(180일 중 90일)

대 양 주 (12)

괌(45일/VWP 90일), 마샬군도(30일), 미크로네시아(30일), 바누아투(1년 내 120일), 북마리아나연방(45일/VWP 90일), 사모아(60일), 솔로몬군도(1년 내 90일), 키리바시(30일), 통가(30일), 투발루(30일), 팔라우(30일), 피지(4개월), 아프리카·중동

(7)

남아프리카공화국(30일), 모리셔스(16일), 보츠와나(90일), 세이셸(30일), 스와질란드(60일), 아랍에미리트(30일), 오만(30일)

※ ( )에 기재된 기간 동안 체류 가능

※ 영국: 무사증입국시 신분증명서, 재정증명서, 귀국항공권, 숙소정보, 여행계획 등 제시필요(주영국대사관홈페이지 참조)

※ 미국: 인터넷 상으로 전자여행허가(ESTA) 발급 신청 필요(주한미국대사관 홈페이지 참조)

(23)

부록

비자면제협정 체결 현황

4) 우리나라에 무사증입국(30일)이 가능한 국가

(50개 국가 또는 지역) 아 주

(6) 대만(90일), 마카오(90일), 브루나이, 인도네시아(외교·관용), 일본(90일), 홍콩(90일) 미 주

(7) 미국(90일), 캐나다(6개월), 아르헨티나, 온두라스, 파라과이, 가이아나, 에콰도르(90일) 구 주

(11)

모나코, 교황청, 슬로베니아(90일), 크로아티아(90일), 알바니아, 사이프러스, 산마리노, 안도라,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90일), 몬테네그로

대 양 주 (13)

괌, 나우루, 뉴칼레도니아, 미크로네시아, 솔로몬군도, 키리바시, 피지, 마샬군도, 팔라우, 사모아, 호주(90일), 투발루, 통가

아프리카·중동 (13)

남아프리카공화국, 스와질란드, 이집트, 모리셔스, 세이셸,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예멘, 오만, 카타르, 쿠웨이트, 레바논(외교·관용), 바레인

※ ( )에 기재되지 않은 국가는 30일 무사증 입국 허가

※ (외교·관용): 외교·관용여권 소지자에 대해서만 무사증 입국 허용

(24)

 재외동포 현황

1) 재외동포현황 총계

(단위:명, 2013년 12월 기준)

2) 거주 자격별 재외동포 현황

(단위:명, 2013년 12월 기준) 지역별 연도별 2009 2011 2013 백분율(%) 전년비 증감율(%)

총계 6,822,606 7,268,771 7,012,492 100 -2.16

동북아시아

일본 912,655 904,806 892,704 12.73 -1.34 중국 2,336,771 2,704,994 2,573,928 36.70 -4.85 소계 3,249,426 3,609,800 3,466,632 49.44 -3.97 남아시아태평양 461,127 453,420 485,836 6.93 7.15

북미

미국 2,102,283 2,075,590 2,091,432 29.82 0.76 캐나다 223,322 231,492 205,993 2.94 -11.02

소계 2,325,605 2,408,490 2,297,425 32.76 0.42

중남미 107,029 112,980 111,156 1.59 -1.61

유럽 655,843 656,707 615,847 8.78 -6.22

아프리카 9,577 11,072 10,548 0.15 -4.73

중동 13,999 16,302 25,048 0.36 53.65

거주자격별

지역별 재외국민 외국국적

(시민권자) 총계 영주권자 일반체류자 유학생 계

총계 1,122,161 1,191,758 296,757 2,610,676 4,401,816 7,012,492

동북아시아

일본 442,790 82,376 21,764 546,930 345,774 892,704 중국 3,211 297,405 49,913 350,529 2,223,399 2,573,928 소계 446,001 379,781 71,677 897,459 2,569,173 3,466,632 남아시아태평양 75,823 286,149 66,974 428,946 56,890 485,836

북미

미국 465,916 396,825 102,574 965,315 1,126,117 2,091,432 캐나다 57,017 19,545 18,441 95,003 110,990 205,993 소계 522,933 416,370 121,015 1,060,318 1,237,107 2,297,425 중남미 49,180 23,609 1,288 74,077 37,079 111,156 유럽 25,846 54,493 34,175 114,514 501,333 615,847

아프리카 2,348 7,077 1,020 10,445 103 10,548

중동 30 24,279 608 24,917 131 25,048

(25)

부록

운전면허상호인정 현황

 운전면허상호인정 현황

1) 운전면허상호인정 국가 (총 132개국)

2014. 2. 23 기준

지 역 국 가 명

아시아 26개 국가

(지역)

뉴질랜드, 네팔, 대만, 동티모르, 라오스, 말레이시아, 몽골, 미얀마, 바누아투, 베트남, 브루나이, 사모아, 스리랑카, 아프가니스탄, 오스트레일리아, 인도, 일본, 캄보디아, 쿡아일랜드, 키리바시, 태국, 통가, 파푸아뉴기니, 팔라우, 필리핀, 홍콩

아메리카 22개 국가

과테말라, 그레나다, 니카라과, 도미니카공화국, 도미니카연방, 바베이도스, 바하마, 브라질,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그레나딘, 세인트킷츠네비스, 아이티, 앤티가바부다,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우루과이, 칠레, 캐나다, 코스타리카, 파나마, 페루,

미국(메릴랜드주, 버지니아주, 워싱턴주, 매사추세츠주, 텍사스주, 플로리다주, 오리건주, 미시간주, 아이다호주, 앨라배마주, 웨스트버지니아주, 아이오와주, 콜로라도주, 조지아주)

유럽 37개 국가

그리스, 네덜란드,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몰도바, 벨기에,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사이프러스,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위스, 스페인, 슬로바키아,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알바니아, 영국,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조지아(그루지아), 체코, 크로아티아, 터키, 투르크메니스탄,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중동 14개 국가

레바논, 리비아, 모로코,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알제리, 예멘, 오만, 요르단, 이집트, 카타르, 쿠웨이트, 튀니지

아프리카 33개 국가

가나, 가봉, 기니, 기니비사우, 나미비아,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니제르, 레소토,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말리, 모잠비크, 보츠와나, 부르키나파소, 상투메프린시페, 세네갈, 세이셸, 시에라리온, 스와질란드, 앙골라,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우간다, 잠비아, 적도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짐바브웨, 차드, 카메룬, 카보베르데,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 검은색 : 경찰청장 고시에 의한 상호인정 118개 국가

※ 파란색 : 양자 간 협정 또는 약정 체결을 통한 14개 국가

(26)

2) 양자 간 운전면허상호인정 협약체결 국가 현황

연번 국 가 상호인정

체결일자 담당 기관명 성격 교환 면허증 비고

1 벨기에 1990. 01. 08 협정 제1·2종(해당 종별)

2-1 캐나다 온타리오 1998. 11. 17 The Province Of Ontario 약정 제2종보통

2-2 브리티시 콜롬비아 2000. 09. 01 ICBC 〃 〃

2-3 퀘벡 2000. 11. 23 퀘벡교통관리공단 〃 〃

2-4 엘버타 2000. 12. 14 기초시설부 교통안전위원회 〃 〃

2-5 마니토바 2003. 08. 06 교통부 〃 〃

2-6 사스카추완 2004. 12월 〃 〃

2-7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2007. 11. 14 〃 제2종보통

제2종소형 2-8 뉴펀들랜드

라브라도르 2007. 11. 15 〃 〃

2-9 뉴브런스윅 2008. 02. 12 〃 〃

2-10 노바스코시아 2011. 03. 10 지방자치관계부 〃

3 폴란드 1998. 11. 25 협정 제1·2종(해당 종별)

4 아일랜드 1999. 10. 26 환경자치부 약정 제2종보통

5 스페인 2000. 01. 14 협정 제1·2종(해당 종별)

6 이탈리아 2002. 03. 05 〃 제1·2종(해당 종별)

7 칠레 2007. 07. 02 〃 제2종보통

8 슬로바키아 2007. 11. 23 〃 〃

9-1 미국 메릴랜드 2010. 12. 16 교통부 약정 〃

9-2 버지니아 2011. 03. 14 자동차관리청 〃 〃

9-3 워싱턴주 2011. 05. 24 면허청 〃 〃

9-4 매사추세츠주 2011. 08. 08 자동차등록청 〃 〃

9-5 텍사스주 2011. 09. 09 공공안전부 〃 〃

9-6 플로리다주 2011. 10. 22 도로안전청 〃 〃

9-7 오리건주 2011. 12. 02 교통부 〃 〃

9-8 미시간주 2012. 02. 15 총무처 〃 〃

9-9 아이다호주 2012. 04. 06 교통부 〃 〃

9-10 앨라배마주 2012. 08. 02 공공안전청 〃 〃

9-11 웨스트버지니아주 2012. 09. 20 자동차관리청 〃 〃

9-12 아이오와주 2012. 10. 30 교통국 〃 〃

9-13 콜로라도주 2013. 04. 17 세무국 〃 〃

(27)

부록

여권발급 및 해외여행자 현황

 여권발급 및 해외여행자 현황

1) 여권발급 현황

(단위: 건)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외교관 2,254 2,352 2,257 2,193 1,723 1,724

관용 14,262 13,705 16,468 16,660 15,068 13,478

거주 9,359 10,122 8,760 7,069 5,159 3,516

일반 (계) 3,444,188 2,887,560 3,737,348 3,127,620 3,181,296 3,095,810 남 1,741,952 1,463,424 1,817,818 1,544,399 1,571,095 1,532,768 여 1,702,236 1,424,136 1,919,530 1,583,221 1,610,201 1,563,042

여행증명서 1,459 1,221 876 848 703 66

재외공관 190,791 229,370 197,863 174,319 146,040 115,952 계 3,662,313 3,144,330 3,963,572 3,328,709 3,349,989 3,230,546

연번 국 가 상호인정

체결일자 담당 기관명 성격 교환 면허증 비고

9-14 조지아주 2013. 07. 01 운전자서비스국 〃 제1·2종(해당 종별)

10 라트비아 2011. 05. 28 협정 〃

11 불가리아 2011. 09. 27 협정 〃

12 에콰도르 2012. 02. 15 약정 〃

13 페루 2012. 12. 17 교통통신부 협정 〃

14 피지 2013. 05. 23 건설교통부 협정 제1·2종(해당 종별) 미발효

15 아제르바이잔 2013. 10. 23 협정 제1·2종(해당 종별) 발효

(14.2.23)

16 키르기스 2013. 11. 19 협정 제1·2종(해당 종별) 미발효

(28)

2) 해외여행자 현황

연 도 해외여행자 수

1994 3,778,140

1995 4,508,076

1996 5,351,974

1997 5,275,183

1998 3,393,198

1999 4,659,935

2000 5,759,044

2001 6,379,255

2002 7,441,059

2003 7,386,088

2004 9,139,314

2005 10,372,409

2006 11,833,511

2007 13,620,503

2008 12,315,221

2009 9,804,725

2010 12,807,359

2011 13,019,134

2012 14,065,176

2013 15,155,660

출처 법무부 출입국·외국인 정책본부

(29)

부록

2013년 국제관계 일지

 2013년 국제관계 일지

1) 한국관계

한국관계 국제관계

기간 행사 기간 행사

12.29-1.7 외교통상통일위원회, KOICA협력사업 현장 방문 (UAE/남아공/탄자니아/우간다) 12.31-1.11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아프리카 방문

(케냐/남아공/짐바브웨/두바이)

1.4

누카가 후쿠시로(額賀 福志郞) 일·한의련 간사장 등 일본 아베 총리 특사단 방한

1.5-10 가나 대통령 취임식 특사 파견 (아크라) 1.7-8 James Inhofe 상원의원 등 미 공화당

의원단 방한

1.7-9 Post-2015 관련 UNDP 서울정책센터 주최 동북아지역 청소년 세미나 (서울) 1.8-10 한·미·일 의원회의 참석 계기

미 하원의원단 방한

1.8-14 민·정·관 금융사절단 중동 방문 (UAE/쿠웨이트/카타르)

1.9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Hillary Clinton 미 국무장관 통화

1.10 제12차 한·일 차관전략대화 (동경) 1.10 제30차 중동담수화연구소 집행이사회 (암스테르담)

1.11-15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3차 총회 (UAE 아부다비)

1.11-18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 아프리카·중동 국가 순방 (케냐/르완다/에티오피아/UAE) 1.11-21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아프리카 방문

(케냐/짐바브웨/남아공)

1.12-16 이스라엘 녹색분야 고위관료 면담 및 에너지 세미나 (텔아비브)

(30)

한국관계 국제관계

기간 행사 기간 행사

1.13-24 강창희 국회의장 베트남·태국·미얀마 방문

1.14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ASEAN 대사단 접견

1.14-16 제3차 ARF 재난구호훈련 초기기획회의 (방콕)

1.14-18 WTO ITA 확대 논의 및 비공식 ITA 위원회 (제네바)

1.15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주한 중동지역 13개국 대사 접견

1.15-16 미 외교안보 합동 대표단 방한 1.15-18 FTA교섭대표 미국 방문 및 한미 재계

회의 (워싱턴 DC/샌디에고)

1.15-21

Tserenpil DAVAASUREN

(체렌필 다와수렌) 몽골 국회 예산상임 위원장 방한

1.16-17 OECD Aid for Trade 정책대화 (싱가포르)

1.16-25

아프리카 공적개발원조(ODA) 실태점검단 아프리카 방문 (탄자니아/에티오피아/케냐)

1.17 제2차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이사회 (UAE 아부다비)

1.16-26 리비아 국민회의(GNC) 의원 대표단 방한

1.18 소말리아해적퇴치연락그룹(CGPCS) 전략기획회의 (헤이그)

1.19-20 제1차 미얀마 개발협력포럼 (네피도) 1.20-24 한·러시아 안보리 대사급 협의

(모스크바)

1.21 김봉현 다자외교조정관,

유엔 안보리 공개토의 참석 (뉴욕) 1.21 2013 APEC 기업인자문위원회(ABAC) (마닐라)

1.21-25 한·캐나다 FTA 협상 비공식회의 (밴쿠버)

1.21-26 박순자 대통령 특사 이라크 방문

1.21-3.29 제네바군축회의(CD) 제1차 회기 (제네바)

(31)

부록

한국관계 국제관계

기간 행사 기간 행사

1.22-26 Lindsay Tisch 뉴질랜드 국회부의장 방한

1.23-24 2013년 NATO 파트너십 심포지엄 (독일 오버아머가우)

1.23-25

다보스포럼 계기 아이슬란드·스위스·

조지아·프랑스·덴마크 양자면담 (다보스)

1.23-26 다보스포럼 대통령 당선인 특사파견 (스위스 다보스)

1.24-25 수단 다르푸르 지역기구 대표단 방한 1.24-25 아프리카연합(AU) 각료회의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 1.24-25 제62차 유네스코 국제교육국(IBE)

이사회 (제네바)

1.24-27 제1차 APEC 고위관리회의(SOM1) 및 산하회의 (자카르타)

1.25 한·카자흐 세미나 및 우호친선의 밤 행사 (서울)

1.25 공공외교 국회 정책토론회 (서울)

1.26 다보스포럼 계기 비공식 통상장관회의 (다보스)

1.27-28 아프리카연합(AU) 정상회의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

1.28-2.1 Aung San Suu Kyi 미얀마 하원의원 방한 1.29 공공외교 명예사절 임명식 (서울)

1.29-31 WTO 사무총장 후보 정견 발표 (제네바) 1.29-31 WTO 정부조달 관련 아태지역 워크숍

(싱가포르)

1.29-2.1 Joyce Banda 말라위 대통령 비공식 방한 1.29-2.1 제1차 UNDP/UNFPA/UNOPS 집행이사회 (뉴욕)

1.30 대시리아 인도적 지원을 위한 고위급 회의 (쿠웨이트)

1.30-31 한·미·일 안보토의

(DTT: Defense Trilateral Talks) (동경) 1.31 말라위 외교부 부장관, KOICA 이사장

면담 (서울)

2013년 국제관계 일지

(32)

한국관계 국제관계

기간 행사 기간 행사

1.31 한·라이베리아 외교장관 회담 (라이베리아)

1.31-2.1 제7차 한·러 환경협력공동위원회

(모스크바) 1.31-2.1 Post-2015 UN 고위급패널 제3차 회의 (라이베리아)

2.1 제1차 한·스위스 정책협의회 (베른) 2.1-2 Ed Royce 미 하원 외무위원장 일행 방한

2.2 APEC 서비스그룹(GOS) 회의 (자카르타) 2.3-7 Ene Ergma(에네 에르크마) 에스토니아

국회의장 방한

2.4-8 제58차 UNCITRAL 중재실무작업반 회의 (뉴욕)

2.6 제7차 소말리아해적퇴치연락그룹

(CGPCS) 제3작업반회의 (서울) 2.6 제11차 혁신적 개발재원 회의 (헬싱키) 2.6-7 제1차 APEC 고위관리회의(SOM1)

(자카르타) 2.6-10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정책협의 대표단

미국 파견 (워싱턴)

2.6-15 제51차 유엔사회개발위원회 (뉴욕) 2.10-12 Mohammed Abul Hassan

쿠웨이트국왕 특사 방한

2.11-22 제50차 COPUOS 과학기술소위 (비엔나) 2.12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Barack Obama

미 대통령 통화

2.12 UN안보리 공개토의 계기 한·브라질 외교장관 회담 (뉴욕)

2.12 우리나라, 2013년 2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국 수임

2.12-13 IOC 집행위원회 (스위스 로잔) 2.13-14 팔레스타인 개발을 위한 동아시아

협력 촉진 회의 (동경) 2.14 서울신문 주최 ‘포럼’ 계기 고노 요헤이

(河野 洋平) 전중원의장 방한 2.14-15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제1차 공여국협의회 (서울)

(33)

부록

2013년 국제관계 일지

한국관계 국제관계

기간 행사 기간 행사

2.17-21 서울시 대표단(단장: 박원순 서울시장) UAE 방문 (두바이/아부다비)

2.18-20 OECD 특별이사회 (파리)

2.19-21 WTO 제11차 일본 무역정책검토회의 (제네바)

2.19-22 제71차 화학무기금지기구(OPCW) 집행이사회 (헤이그)

2.19-23 카메룬 국가협력전략수립(CPS) 사전정책협의회 (야운데) 2.21-22 제5차 한·ASEAN 센터 연례이사회

(서울)

2.21-22 제3차 한·미 통합국방협의체(KIDD) (워싱턴)

2.22 일본 시마네현 주최 제8회 '독도의 날' 행사

2.22 한·쿡제도 외교관계 수립을 위한 공동성명 서명식

2.23-26

제18대 대통령 취임식 참석차 류옌둥 (劉延東) 중앙정치국위원 겸 국무위원 방한

2.23-26

제18대 대통령 취임식 참석차 모리 요시로(森 喜朗) 일본 전총리, 후쿠다 야스오(福田 康夫) 일본 전총리, 누카가 후쿠시로(額賀 福志郞) 일.한의련 회장 일행 방한

2.23-26

제18대 박근혜 대통령 취임식 계기 Rustam Azimov(루스탐 아지모프) 우즈베키스탄 제1부총리 겸 재무장관 방한

2.23-26

제18대 박근혜 대통령 취임식 계기 Bakytzhan Sagyntaev

(바히트잔 사긴타예프) 카자흐스탄 제1부총리 겸 지역개발부 장관 방한 2.23-26 Yan Eliasson 유엔사무부총장 취임식

특사 방한

(34)

한국관계 국제관계

기간 행사 기간 행사

2.24-25

제18대 대통령 취임식 참석차 아소 타로(麻生 太郞) 일본 부총리 겸 재무대신 방한

2.24-26

제18대 대통령 취임식 참석차 폰착 차강(Puntsag TSAGAAN) 몽골 대통령 비서실장 방한 2.24-26 Tom Donilon 미 국가안보보좌관 방한 2.24-26 David Johnston 캐나다 총독 등 대통령

취임식 축하 사절단 일행 방한 2.24-26 Edwin Feulner 헤리티지재단 회장 방한

2.24-26

제18대 박근혜 대통령 취임식 계기 Genevieve Fioraso(쥬느비에브 피오라소) 프랑스 고등교육연구부장관 방한

2.24-26

제18대 박근혜 대통령 취임식 계기 Hugo Swire(휴고 스와이어) 영국 외교부 국무상 방한

2.24-26

제18대 박근혜 대통령 취임식 계기 Villy Søvndal(빌리 쇤달) 덴마크 외교장관 방한

2.24-26

제18대 박근혜 대통령 취임식 계기 Balkenende(발커넨드) 네덜란드 전총리 방한

2.24-26

제18대 박근혜 대통령 취임식 계기 Hartmut Koschyk(하르트무트 코쉭) 독일 연방재무차관(전독한의원친선협회장) 방한

2.24-26

제18대 박근혜 대통령 취임식 계기 Victor Ishaev(빅토르 이샤예프) 러시아 극동개발부 장관 겸 극동관구 대통령 전권대표 방한

2.24-26

제18대 박근혜 대통령 취임식 계기 Akdja Nurberdyeva(악자 누르베르디예바) 투르크메니스탄 국회의장 방한 2.24-3.1 코리아 소사이어티 대표단 방한 2.25 Michelle Bachelet 전 칠레 대통령,

박근혜 대통령 취임식 참석 및 개별 접견 (서울)

(35)

부록

2013년 국제관계 일지

한국관계 국제관계

기간 행사 기간 행사

2.25 제18대 대통령 취임식 계기 Al-Aiban 사우디 국무장관 방한

2.25 제18대 대통령 취임식 계기 Abdullah UAE 외교장관 방한

2.25

제18대 대통령 취임식 계기 Dashti 쿠웨이트 기획개발 및 국회업무 담당 국무장관 방한

2.25 제18대 대통령 취임식 계기 Al-Sada 카타르 에너지산업부 장관 방한 2.25 제18대 대통령 취임식 계기

Mborantuo 가봉 헌법재판소장 방한 2.25 제18대 대통령 취임식 계기

Ahmed Arata Ali 주일지부티대사 방한

2.25-27 WTO 정부조달위원회 (제네바) 2.25-28 제22차 유엔인권이사회 고위급회기

(제네바)

2.25-3.1

박태호 통상교섭본부장, 차기 WTO 사무총장 진출 지지교섭 출장 (워싱턴 D.C.)

2.25-3.1 WTO ITA 확대 논의 및 주요국 양자협의 (제네바)

2.25-3.22 제22차 유엔인권이사회 (제네바) 2.26 Marisol Espinoza 페루 부통령, 박근혜

대통령 취임식 참석 및 개별 접견 (서울) 2.26 제6차 시리아 제재 작업반 회의 (불가리아)

2.26 제22차 한·러 지역국장협의회 (서울)

2.26-27 제1차 G20 개발그룹(DWG) 회의 (모스크바)

2.27 제5차 한·중국 영사협정 실무협상

(서울) 2.27 제4차 민주주의 공동체 지역협력

W/G회의 (제네바)

2.27-28 제5차 문명간연대 연례포럼 (비엔나)

2.28

기시다 후미오(岸田 文雄)

일본 외무대신, 중의원 외교연설 중 독도 관련 언급

2.28-3.4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스페인, 프랑스 방문

3.3-4 G20 셰르파 회의 (모스크바)

참조

관련 문서

[r]

이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은 에너지 자원의 유한성에 대해 깨닫고 에너지 자립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전기와 관련된 물리개념, 태양 광 발전 시설과 빗물 재활용

Heme에서 H + 가 Fe 2+ -Heme 결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괄적 분석 Heme을 소 혈액으로부터 원심분리-화학적 용혈-단백질 침전의 프로토 콜로 추출한 후, Heme

4방 초음파 센서 부착의 경우 지각 능력을 통해 드론 조종 시의 안전사고들을 예방 할 수 있을 것이며 여러 센서를 이용한 놀이 제작으로 통해 학생들을 포함한

○ 이 연구의 주제는 보관공간을 최소화하도록 짐을 배치하는 체계적 방법을 찾아보려는 학생들의 호기심에서 시작되어 , 참여 학생들은 이 문제를 “이차원 공간에서 주어진

학생들이 문제를 인지한 후에 토론 과정을 통하여 학습 동아리를 구성했다는 점에서 학생들의 공동 작업의 우수성이 기대됨... 홍보

철근에 해당하는 것은 교원 섬유로 짜여진 바구니이며, 그 그물눈을 채우고 있는 시멘트에 해당하는 것이 골질이다.. 골질은 탄산 칼슘·인산 칼슘

4번의 설문조사 끝에 별빛 예술제는 문화, 예술과 과학을 융합하여 과학의 흥미를 높이는 데 성공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추후 다른 천체 관측 행사에 참여하겠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