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행 개념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이행 개념분석"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주요개념 : 이행

이행 개념분석

곽 미 경* ․ 홍 해 숙**

서 론

연구의 필요성

개념(concept)이란 현상이나 현상의 그룹 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나 부호 (Meleis, 1991)로서, 지식생성 및 전달수단이 되고 학문적 의사소통을 자극하며(Walker &

Avant, 1995), 과학적 이론구축의 기본 단위 로 연구와 이론개발의 기초를 형성하는 기 능을 한다.

하나의 개념이 이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 해서는 개념분석이라는 접근방법이 활용되 는 바, 이는 이미 개발된 개념을 구체적으 로 분석하고 개념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정신적 활동을 의미한다(이영애, 1994).

최근 질병유형이 점차 만성 질병으로 변 화하고, 치료방법은 더욱 복잡해짐에 따라 건강관리의 많은 부분이 환자나 가족구성원 에 의해 실행되도록 요구된다. 그리하여 건 강관리 양상의 변화와 더불어 이행은 만성 질환 관리에서 보다 중요한 간호의 요소 중 의 하나로 주목 받고 있다. 그들의 치료이 행에 대한 책임이 증가하고 있다(구미옥, 1996).

환자에 대한 새로운 기술적, 치료적 방법

에 대한 평가는 치료적 결과를 얻는 과정에 서 이러한 방법의 효율성을 결정할 때 이행 을 고려해야 한다. 실무자는 또한 치료계획 을 세우거나 치료방법에 대한 대상자 반응 을 평가할 때 대상자가 따르는 정도에 관심 을 가져야 한다.

전통과 과학적 지식이 지지하는 신념과 많 은 연구와 문헌에서 건강 간호 행동이 건강 간호 제공자의 권유와 일치할 때 대상자의 안녕이 증가한다고 한다(김매자 등, 2001).

이러한 이행의 효과로 대부분 만성질환의 건강문제를 예방, 치료하며, 나아가 회복하 는 모든 과정에서 환자와 간호제공자의 상 호작용을 통해 건강목표가 성취될 수 있다.

따라서 이행은 대상자와 제공자 모두에게 중요한 고려사항이 되고 있는데 이는 대상 자가 자신의 일상적 건강관리를 실천하려는 의지에 따라 질병치료의 성패가 달려 있기 때문이다.

보건의료인의 건강관리 권고사항과 환자 의 행동사이의 불일치는 효율적 건강관리의 문제점으로 계속 논의 되어왔으며, 이 둘을 일치 시켜나갈 수 있는 중재방안이 계속 연 구되어왔다(강현숙, 2000).

따라서, 간호사들은 적절한 간호를 계획 하기 위해 이행에 대한 정확한 정의와 그

*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박사과정

**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2)

수준을 인지할 필요가 있으며, 그들은 종종 이러한 상황에 근거한 중재들이 이행을 증 진시키고 대상자를 격려하기 위해 서로 의 사소통하고 대상자를 의뢰하고 그것들이 어 떻게 나타나는지를 설명할 때 이행의 개념 정의는 중요하게 된다(Lutfey & Wishner, 1999).

그러나 이행에 관한 많은 연구결과들은 환자들의 이행에 영향하는 요인과 중재방안 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결과 를 제시하고 있으며, 용어의 정의조차 통일 되어 있지 않아 이에 대한 명확한 비교와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적이고도 명확한 개 념정의를 통하여 이행의 속성을 파악하고, 환자의 이행을 강화할 수 있는 간호 중재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자 한다.

연구목적

이행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 논문이나 저서를 고찰하여 Waker 와Avant(1995)의 개 념분석 접근법에 따른 구체적인 목표는 다 음과 같다.

1. 개념의 사용을 확인한다.

2. 개념의 주요 속성을 규명한다.

3. 개념의 모델사례를 구축한다.

4. 개념의 추가사례(반대, 경계, 관련사례)를 구축한다.

5. 개념의 선행요인과 결과를 규명한다.

6. 이행개념의 경험적 준거를 정의한다.

본 론

개념 사용의 확인

1. 사전적 정의

이행의 사전적 정의는 ‘압력, 요구, 강압 에 따르는 행동, 일치를 말하며 타인의 요 구에 굴욕적으로 따르는 경향’(웹스터 사전, 1991)이나 ‘명령, 신청, 요구 등에 따르거나 굴복함, 고분고분함, 순종’(랜덤하우스 영한 대사전, 1991)등으로 설명되고 있다.

한편, 우리말로 사용되고 있는 이행(履行) 은 ‘실제로 행함, 말과 같이 함’(국어대사전, 1998)으로 정의되고 있어 영어의 실제적 의 미보다는 완화된 용어로 사용하는 편이다.

우리말의 다른 표현으로 ‘순응’을 사용하기 도 하는데 대부분 이행으로 많이 쓰고 있는 경향이 있다(김매자 등, 2001).

이행이란 대상자가 신체적, 정신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공식적인 요구사항 을 따르고 수행하는 것이다. (Lutfey &

Wishner, 1999).

2. 간호학적 정의

이행(compliance)은 환자에게 주어지는 의 료인의 치료적 권고사항에 대해 일치되는 모든 태도와 행동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 하며, 반면에 이행하지 않음(Noncompliance) 이란 이러한 권고사항들에 일관되지 않는 행동을 의미하고 있다. 즉, 환자가 만성질환 으로 진단 받은 후 의료인의 치료지시에 따 르는 행위의 범주로서 정기적 병원방문, 약 물, 식이와 운동요법 등 처방을 실천하는 일과 개인의 행동을 억제 또는 변경하는 행 동들이다(Dracup, 1982). 이밖에 치료요법을 고수하는 것, 치료적 처방에 일치하는 행동 을 선택하는 정도 등의 유사한 정의가 제시 되었으며, 건강관리 권고에 일치되는 모든 행동을 나타내는 포괄적 용어로도 사용 되 었다.

(3)

3. 이행과 관련된 연구 및 이행개념의 변화 Tashkin(1995)은 환자역할 행위 이행은 임 상적인 처방과 일치하는 행동을 개인이 행 하고 있는 정도라고 했다. 김명화와 한성숙 (2002)은 이행을 자신의 건강에 대해 책임 감을 갖고 건강과 안녕을 위한 여러 바람직 한 활동들이 대상자에 의해 자발적으로 행 해지는 정도를 의미한다고 정의했다.

Pathman(1996)은 치료지시 이행이란 한 개인이 건강관리자가 권고한 지시에 대하여 일치하는 행동을 취하는 것이라고 했고, Dracup(1982)에 의하면 이행은 순응을 뜻하 는 심리학 용어로 이는 환자가 만성병으로 진단 받은 후 건강전문가의 치료지시에 따 르는 행위로서 정기적인 병원방문, 약물요 법,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의 처방을 실천하 는 일과, 개인의 행동을 억제 또는 변경하 는 행동들의 2가지 범주로 나누어진다.

책임감은 이행에 요구되는 대상자의 주요 요소의 하나이다. 전체 건강과 질병의 연속 선상에서 이행과 관련지어 설명한 Marston(1970)은 이행을 환자가 건강증진, 질병예방 혹은 질병치료와 회복을 위하여 권고사항에 따르기 위해 책임을 져야하는 자기관리 행동이라고 하였다.

최근에는 이행 용어와 동일한 의미로 ‘지 속(adherence)'을 쓰고 있는 연구가 있어서 용어의 혼용이 때로 개념이해에 혼돈을 주 므로 이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이들 용어를 비교한 Barofsky(1978)는 치 료적 권고사항에 대한 환자 반응을 3가지 연속선상의 자가 간호에 대한 설명으로 제 시하였다. 그는 이행(compliance) - 지속 (adherence) - 치료적 연합(therapeutic alliance)의 단계로 보고 각각을 강압, 일치,

그리고 제공자와 환자의 상호작용이라는 특 성과 연결하여 설명하였다. 여기에서 나타 난 용어의 의미차이를 비교해 보면 이행은 비교적 강압에 의해 무조건 순종하는 것이 라면 지속은 자신을 일치시켜 가는 것으로, 연합은 상호협상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어 지속의 개념에서 대상자의 활동이 보다 발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Meichenbaum과 Turk(1987)도 이행이 란 환자의 수동적인 순종의 경향을 의미하 므로 보다 적극적이고 협조적 관계를 나타 내는 지속의 개념으로 대치되어야 함을 주 장하였다.

Turk와 Rudy(1991)는 이행을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서로 받아들일 수 있는 행위과정 에서 환자가 간호 제공자와 협력하여 적극 적, 자발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정의하였 다.

또한 Lutfey와 Wishner(1999)도 역시 이행 은 환자가 의사의 지시에 복종하는 경향이 거나 의학적으로 규명된 목적에만 일치함을 의미하는 반면에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환 자가 자신의 의학적 치료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극적인 역할 수행을 나타내는 용 어로 지속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용어 개념의 변화가 반영되어 강 현숙(2000)은 이행을 간호 제공자의 지도, 금지, 처방에 순종하고 따르는 정도를 의미 한다고 보고 환자의 역할을 소극적인 측면 으로 보았다. 반면에 지속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서로 받아들일 수 있는 행위과정 에서 환자와 간호 제공자가 협력하는 적극 적 자발적인 활동으로 보고 운동지속에 관 한 구조모형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우리말 로 지속이라는 단어는 밀착, 집착, 고수, 지 지 등으로 제시되었고, 일부 연구에서는 지

(4)

속, 이행 등의 용어로 혼용하고 있다. 그러 므로 이 2가지 개념으로 구별할 수 있는 적 절한 용어 표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두 용어의 개념이 상호 교환적 으로 혹은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 의 연구들에서 점차 지속의 사용을 적극적 이고 참여적인 환자의 행위 표현에 더 적절 한 것으로 제시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이 는 이행의 개념이 단순한 건강행위의 실천 에서 보다 대상자의 책임과 자율성이 강조 되는 방향으로 개념변화가 되고 있음을 반 영해 준다.

4. 이행과 관련 있는 요인

환자의 치료지시 이행에 관한 연구는 국 내외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오래 전부터 이 루어져 왔다. 환자의 치료지시 이행과 관련 있는 요인으로서, 첫째, 일반적 특성(Becker, 1975; Saultz, 2003), 둘째, 사회 심리적 변수 로서 질병에 대한 태도 및 신념(강성실, 1997; Wyper, 1990), 자기 효능 감(송미령, 1999; 장미영과 서문자, 1997), 건강통제위 성격특성(구미옥과 은영, 1998), 치료자와의 상호작용(Dracup, 1982)등이 보고되고 있다.

인구학적 요인으로 Jones등(1998)은 18세에 서 29세 사이의 집단이 의뢰약속을 지키는 행위에서 가장 낮은 이행 율을 나타내고 있 다고 하였으며, 노인의 경우에는 이행하지 않음의 위험요소로 파악된 것이 복잡한 섭 생, 약물 복용의 비용과 불편 감, 실천에 대 한 감독 부족 그리고 약품 용기의 부적절한 라벨 부착 등 이었다. 약물 복용 시 체력과 조절능력, 시력, 약물복용과 약 용량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도 이행이 감소된다고 하였다.

개인의 심리적 요인들이 이행 행동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나 연구결과들은 일관성 있게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적 지지 는 이행행위를 결정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일관성 있게 설명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Stewart(1995)은 집단에 의한 천식 자기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한 결과 이행에 제한적 효 과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한편 동기화 가 낮은 경우도 불이행을 초래하는 요인으 로 제시되었다(Fleury, 1992).

이행과 통제위 간의 연구결과는 대조적으 로 나타났다. Oblrle (1991)은 외적 성향자가 치료 이행이 더 높았고 정보 추구에서는 덜 적극적이었으나 내적 성향자는 지식추구와 치료섭생을 적극적으로 조절하였다. 일부 연구자들은 치료 프로그램에 내적 외적 성 향자의 학습유형을 반영할 것을 제시하였 다. 외적 성향자를 위한 접근법은 권위-종속 적 대인관계와 자아에 대한 긍정적지지, 구 조화된 교육계획을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 고 하였다. 내적 성향자에 대한 접근법은 다양한 대안을 개별화 시키고 결정과정에 참여 그리고 치료결과에 대한 개인의 책임 과 의무에 대한 강조를 포함하는 것이 실천 을 더 잘하게 하였다.

문헌들은 복잡한 섭생방법이 이행 율을 저하시킨다는 결과를 실증했다. 이런 효과 는 신장질환, 천식, 노인 환자들에게서 나타 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Conn 등, 1992;

Tashkin, 1995). 경제적 요인으로 빈곤이나 의료자원을 활용할 수 없는 상태와 같은 대 상자의 경제적 특성은 권고된 건강관리 행 위에 대한 불이행을 예측할 수 있는 요소이 다. 경제적 비용부담만으로도 만성질병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의료 서비스, 물품공급, 그리고 약물치료를 받는데 장애가 될 수 있 다. 이행의 장애요인에는 질병관리를 위한

(5)

비효율적인 의료전달 체계와도 관련성이 있 었다.

사회 문화적 요인이 이행행위와 관련된다는 것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다. 따라서 이행 의 장애요인을 파악하려면 대상자의 사회 문화적 믿음과 태도를 이해하고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의료 제공자는 그들의 건강관리 에 대한 신념체계, 가치, 태도가 문화적으로 결정되어졌음을 깨달을 필요가 있다.

이행을 하지 않는 것과 관련된 요인 중에 서 대상자와 제공자 간의 상호작용은 무엇 보다 중요하다. Tashkin(1995)은 다음과 같 이 부정적으로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 작용의 요소를 제시하였는데 이를 감소시키 는 방향이 바람직한 이행증진을 위한 상호 작용이 될 것이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문제 로는 (1)부적절한 감독, (2)환자의 불만족, (3)환자들에게 질병에 대한 어떤 설명도 하 지 않음, (4)의료인과 환자의 불일치, (5)형 식적 성향 혹은 환자의 거부이다. 이들 변 수들은 대부분 의료인과 환자 사이의 부족 한 의사소통, 의료인의 추후관리 부족으로 인한 것 등이었다.

5. 이행과정

Golin (1996)은 이행과정의 구체적 단계를 제시하였다.

① 유도 적 분위기: 환자관련 요인은 의사 결정 양식, 자기주장 정도와 이전 의료인과 의 상호작용 경험이며, 의료인의 특성도 의 사결정양식과 이전 환자와의 상호작용 경험 이 영향을 미친다.

② 정보교환: 의료인의 정보제공과 환자 관 점의 의사소통이 영향을 미친다.

③ 정보통합: 이 단계에서는 환자는 결과의 유용성, 의료인은 가능한 결과에 의해 영향

받는다.

④ 이해 수준 평가: 환자의 이해되지 않는 부분에 대한 설명의 요청과 의료인의 이에 대한 설명이 관련된다.

⑤ 자신의 기호나 참고사항 표현: 의료인의 권고사항과 환자의 선호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⑥ 협상하기: 의료인과 환자의 의견을 절충 하고 협상하는 양식과 기술이 관련된다.

⑦ 최종결정: 의사결정에 대한 양측의 기여 도가 영향을 준다.

⑧ 최종달성수행: 최종 결정에 대한 의료인 의 중재내용과 환자의 자가 간호 수행에 의 해 이행이 이루어진다.

Pathman(1996)은 대상자가 제공된 지침을 수용할 때 일어나는 인지적 과정에 따라 이 행과정은 인식, 동의, 채택, 지속의 단계로 진행된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행 위결정은 제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지 적 판단과 결정과정을 거친다는 것이다.

6. 이행의 구성요소

이행과 전체적 건강-질병 연속체와의 관련 성은 1970년에 Marston이 기술하였다. 그녀 는 건강을 향상시키고 질병을 예방하거나 진단 받은 질병에 대한 치료와 재활 권유를 따르기 위해 개인이 수행하는 자가 간호 행 위로 이행을 정의했다. 이행이 자가 간호로 정의될 때 이행의 대리자는 대상자이다.

그러나 자가 간호 행위(행위는 대상자가 가족 구성원의 참여 없이 치료적 섭생 수행 을 향상 할 수 없어서 자주 공유되므로)보 다 이행으로 고려하는 것이 보다 도움이 될 것이다.

건강간호섭생의 조절에 대한 더 많은 책 임이 요구되는 10대나, 가족구성원에 의해

(6)

더 많은 관리가 요구되는 노인들처럼, 대상 자의 의존과 독립의 상태에 변화가 있을 때 책임의 한계가 항상 명백한 것은 아니기 때 문이다.

Strauss 등(1984)의 언급에 따르면, 가족 구성원들은 대상자가 치료적 섭생을 따르도 록 영향 미치는데 돕거나 통제하는 역할을 자주 떠맡는다고 한다. 부부가 어떻게 만성 질병을 관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나타내는 바는 부부사이의 조정과 협력이 치료적 섭 생을 수행하는데 필요하다고 했다(Corbin &

Strauss 1984). 이런 공유된 책임을 고려해 볼 때 이행을 증가시키는 전략은 치료적 섭 생을 수행하는데 관련된 모든 개인에게 향 해져야한다는 결론이 합리적인 것 같다.

이행의 행동은 건강간호권유에 반응하여 취하는 행위의 빈도, 발생, 변화를 조사함으 로서 분석된다.

개념의 주요 속성

이상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이행의 속성을 다음과 같이 간단히 열거할 수 있다.

1. 대상자가 제공된 지침을 수용할 때, 인 식, 동의, 채택, 지속의 단계로 진행되는 행 동이다.

2. 제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지적 판 단과 결정과정을 거치는 행위이다.

3. 대상자의 적극적, 자발적 참여와 책임이 요구된다.

4. 건강관리 권고에 일치되는 행동이다.

5. 건강행위를 수행하려는 동기화가 된 행 동이다.

개념의 모델사례

모델사례는 규명한 개념의 속성을 모두 포

함하여, 개념의 필수적인 양상이 무엇인지 를 보여주고, 실제 생활에서 나타날 수 있 는 사건이나 상황의 예이다(Walker &Avant, 1995).

70세의 W씨는 사업가이고, 최근에 새로 NIDDM으로 진단받았다. 그는 교육을 많이 받았고, 기민했고,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는 당뇨 교육 반에 참석해서 ‘그 의 치료계획을 따르기 위해, 왜, 그리고 어 떻게’를 배우는 것을 할 수 있었다. 그는 가 정용 혈당 모니터링을 하기로 결정했고, 식 이에 관해 고분고분 따르는 것에 관심을 보 여주었으며, 당도가 강한 음식을 생략하는 등 음식섭취습관을 변화시키는데 열정을 보 였다.

그의 일상 스케쥴, 삶의 상황들, 그리고 현재의 염려들에 관한 특수한 질문들이 요 청되었을 때, 그는 비록 회사일로 바빴지만, 그의 에너지, 관심, 그리고 시간이 적절하게 그의 건강과 치료계획에 할애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그가 회원으로 있는 체육관에 가 서 매일 밤 1시간씩 운동을 했다. 아침식사 를 거르지 않기 위해 늦잠 자는 습관을 고 쳤고, 점심식사를 거르지 않기 위해서 고객 의 필요와 관련된 그의 스케쥴을 잘 조절했 다. 그는 때때로 의사에게 필요한 투약계획 을 유지하고, 그의 모든 활동들을 조직화 하는 것에 관해 그가 전략을 짤 수 있도록 도움을 요청하였다. 그는 매주 의사와의 접 촉으로 강화를 받도록 결정되어 있었다.

6개월 후 그의 당뇨는 많이 호전되었고 그는 자신감을 얻었다.

개념의 추가사례 1. 반대사례

개념의 속성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 사례

(7)

로서 그 개념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사 례이다. 우리는 어떤 상황을 설명할 때 반 대상황을 설명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반 대설명이 더욱 이해를 쉽게 하기 때문이다.

Z부인은 그녀 아버지인 A씨의 간호제공 자였고, 약사로부터 항생제 한 바이알을 받 았다. 그 바이알의 라벨이 부정확했다; “하 루에 한번”(q.d)이라고 처방된 대신에, ‘하루 에 네 번’(q.i.d)으로 적혀있었다. Z부인은 6 개월간 이전 용량이 하루에 한번으로 처방 되었다는 것을 기억했다. 그녀는 하루에 네 번이 너무 많다고 결정했고 하루에 두 번 복용시켰다. 며칠 후 그녀는 투약을 하루에 한번으로 감소시켰고, 결국 그녀의 아버지 가 착란에 빠졌을 때 주는 것을 멈추었다.

왜냐하면 그녀의 아버지는 처방된 혈관 확 장제로 착란이 초래되었으므로, 그녀 또한 그것을 주는 것을 중지하였다.

그녀는 자신이 의사를 마지막으로 보았을 때 용량에 관해 말했던 것을 기억할 수 없 었고, 쓰여 진 지시를 받은 것을 회상할 수 없었다. 그녀는 아버지의 이전 의사에게 자 신의 아버지 간호에 관한 질문에 답하는 것 이 편안했다. 그 의사는 자신의 갑작스런 질환 때문에 업무를 중단했었다. 새 의사는 충분히 능력이 있는 것 같았으나, Z부인은 그를 부를 만큼 그를 잘 알지 못했다. 그녀 는 그 처방을 명확히 하려고 의사를 부르고 착란 발생을 보고하고 의사로 하여금 처방 된 투약의 소홀에 관해 알게 하기 위해, 가 정 건강 간호사의 제공을 받았다.

Z부인의 사례연구는 이행이나 이행하지 않음을 유도하는 결정과 행동에서 상호작용 하고 결론을 내는 많은 인자들을 설명한다.

이 사례는 또한 불이행의 근원을 적절하게

규명하는 것과 명백한 불이행과 관련된 상 황의 분석에 대한 지침을 사용하는 것에 대 한 중요성을 설명한다.

2. 경계사례

속성이 한두 개 빠진 것으로, 개념의 중 요한 속성 모두를 포함하지 않고, 개념의 속성을 일부 포함하는 개념사용의 실례이 다. 이 예를 통해 왜 모델사례가 될 수 없 는가를 보여주고, 실제 개념의 명확하고 중 요한 속성을 확인하는데 도움을 준다.

52세 J부인은 새로 진단된 비 인슐린 의 존성 당뇨 때문에 처방된 1400cal식이에 대 한 영양사의 설명을 들었고 이해하는 듯 했 다. 교육수준과 학습능력은 평균이상으로 평가되었다. 간호사는 J부인의 대화가 그녀 의 딸의 결혼식에 관심이 있다는 것에 주목 했다. 결혼식은 2주후에 예정되어 있었고 2 년 동안 계획된 것이었다. J부인에 따르면, 이 결혼식은 ‘내 생애의 최대 행사’가 될 것이며 훌륭한 어머니, 미래의 장모, 새로이 확대된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지위가 확인될 결혼식이었다. “내가 그 축하행사에 참가하지 못한다는 것은 생각할 수 없으며 그 행사에서 먹고 마시는 것이 여러 시간동 안 지속될 것이다”.

24시간에 이상적인 1400cal와 J부인의 축 제에 대한 이상 사이에서 약간의 타협을 갖 고 협상하는데 있어서, 이 하루의 음식섭취 를 계획하기 위해 영양사가 J부인과 함께 일하는 것을 제안했으나, J부인은 그녀의 일상적인 매일의 생활양식으로 식이를 통합 하도록 배우는데, 어려움을 느꼈다.

J부인의 사례연구는 건강행위를 수행하려는 동기화의 중요성을 잘 설명해 준다.

(8)

3. 관련사례

밀접히 관계된 비슷한 개념이긴 하나 그 개념과는 다른 것을 표현한다.

A씨는 52세로 사이비 종교를 믿고 있는 여성이다. 최근에 그녀는 간암으로 진단받 았고 6개월 이상 살기 힘들다는 얘기를 의 사로부터 들었다. 지금은 병원에서 퇴원해 서 사이비 종교 집단 시설에 와 있다. 그녀 는 살기 위해서는 교주의 말에 무조건 따라 야 한다고 생각했고 교주가 시키는 대로 했 다. 교주는 몸속에 든 마귀를 쫓아야 한다 고 소독도 안 된 바늘로 그녀의 배를 찌르 기도 하고 더러운 손으로 입안을 휘젓기도 했고 발로 배에 압박을 가하기도 했다. A씨 는 고통스럽고 아팠지만 낫기 위해서는 교 주의 말에 따라야만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 에 참고 견뎠다.

어느 날, A씨는 배에 큰 타박상을 입고 의식을 잃고 쓰러져 응급실에 실려 왔다.

비장 파열의 진단이 내려졌다.

개념의 선행요인과 결과

선행조건은 개념 발생 전에 일어나는 상 태나 사건을 의미하며, 결과는 그 개념의 결과로 발생한 일이나 사건을 말한다. 이 두 단계는 개념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 회적 맥락에서 고려할 만한 관점을 제시할 수도 있으며, 개념의 중요한 속성을 한층 더 정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선행요인은 다음과 같다.

1. 의사나 치료계획을 처방하는 그 외의 누 군가에 대한 처음의 또는 계속되는 신뢰가 있다.

2. 의사의 합법성에서 의사를 대신하는 경 쟁자는 없다.

3. 처방계획이 증상이나 질병 그 자체, 또는

둘 다를 통제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증거가 있다.

4. 괴롭히고 놀라게 하는 부작용은 나타나 지 않는다.

5. 대상자든 대상자주변 사람들이든, 중요한 매일의 활동에 비교적 방해가 없다.

6. 처방계획의 인지된 좋은 효과는 대상자 의 정체감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에 의해 압 도되지 않는다.

윤리적 실무에 관한 선행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진단은 정확해야 한다.

2. 치료는 해로움보다 더 많은 이득을 제공 해야 한다.

3. 치료 처방계획을 수용하는 대상자는 이 행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한 전략의 동반 자가 되어야 한다.

이행의 결과는 건강수준이 증진되고 대부 분 만성질환의 건강문제를 예방, 치료하며 나아가 회복하는 모든 과정에서 환자와 간 호제공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건강목표가 성 취될 수 있다.

개념의 경험적 준거

개념 분석의 마지막 단계인 경험적 준거 는 개념의 속성이 실제현상에서 존재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개념이 추상적일 때 그 개념을 실제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고 측정할 수 있는 지시물 또는 참조 물이 있어야 한다. 실제 경험세계에서 이 경험의 존재를 측정하고자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가의 문제로 실제 현상의 분류 및 유목을 뜻한다.

이행 행위를 직접 확인하고 감시할 수 있 는 다양한 측정방법과 감시행위를 적용할 수 있다. 자기조절 과정에서 자신의 행동을

(9)

가시화하여 자신의 행위실천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이행의 측정은 대상자에게 요구 되는 식이, 투약, 운동, 체중조절, 금연이나 금주, 특정 부위관리 등 질병의 특성에 따 라 필요한 구체적인 처방행위나 환자역할 행위내용의 실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요 구된다. 자가 보고서와 제공자 보고서는 대 상자로부터 이행에 대한 정보를 쉽고 실제 적으로 찾을 수 있게 해준다.

혈청 내 약물농도, 혈압이나 심박 수, 근 육강도, 소변분석, 콜레스테롤과 혈색소 수 치 등이 이행을 평가할 수 있는 생리적 측 정에 포함된다.

감시행위는 매일 실천하는 건강해위가 기 준에 적절하게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방 법이다. 이러한 감시방법에는 약물복용 감 시나 기계적 장치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알약세기, 약물보충확인, 남아있는 약 용량 확인 등은 투약이행을 측정하는 투약감시방 법으로 사용된다.

결론

이행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행의 개념과 실체를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이행의 개 념을 분석하는 것은 간호학적으로 의미가 크다고 본다. 사전적 정의와 문헌고찰을 통 하여 개념적 속성을 다음과 같이 규명하였 다.

1. 대상자가 제공된 지침을 수용할 때, 인 식, 동의, 채택, 지속의 단계로 진행되는 행 동이다

2. 제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지적 판 단과 결정과정을 거치는 행위이다.

3. 대상자의 적극적, 자발적 참여와 책임이 요구된다.

4. 건강관리 권고에 일치되는 행동이다.

5. 건강행위를 수행하려는 동기화가 된 행 동이다.

본 연구는 개념 분석과정을 통해 이행개념 의 정의와 속성을 규명하였으며, 이행개념 을 측정할 수 있는 경험적 준거를 제시하였 으므로, 이행개념과 관련된 새로운 이론개 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 니라, 다양한 간호현장, 특히 만성질환자의 질병에 대한 이행을 고려하여 이들에게 적 합한 간호중재를 개발하는 기초 자료로 활 용될 수 있겠다.

참고문헌

강성실(1997). 입원환자가 지각하는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 정도 및 변화. 가톨릭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강현숙(2000). 관절염 환자의 수중운동 지속 에 관한 구조모형.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명화, 한성숙(2002). 사기의 개념분석. 간 호행정학회지, 8(3), 393-403.

구미옥(1996). 만성질환자의 자가 간호행위 증진과 지속에 대한 자기조절 교육프로 그램의 효과, 간호학회지, 26(2), 413-427.

구미옥, 은영(1998). 한국 성인의 건강 통제 위 반응유형별 건강증진행위. 대한간호 학회지, 28(3), 739-750.

김매자 외(2001). 만성질환과 간호, 서울: 정 문각

랜덤하우스(1991). 영한대사전. 서울: 시사영 어사.

송미령(1999). 혈액투석 환자의 자가 간호를 위한 자기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박

(10)

사학위논문.

이영애(1994). 강인성의 개념분석. 간호학회 지, 24(4), 616-622.

이희승 편저(1998). 국어대사전(3판), 서울:

민중서림.

장미영, 서문자(1997). 혈액투석 환자의 건 강관련 강인성, 자기효능감과 이행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 논 문집, 11(1), 85-105.

Meleis, A. I. (1991). Theoretical Nursing : Development and Progress. 2nd. edn.

Lippincott, Philadelphia.

Walker, L. O. & Avant, K. C.(1995).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3rd ed.).

New York, Connecticut/San Mateo, California: Appleton&Lange.

Lutfey, K. E., & Wishner, W. J. (1999).

Beyond compliance is adherence:

improving the prospect of diabetes care.

Diabetes Care, 22(40, 635-639.

Webster's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1991).

Chicago: G.&C. Merriam co.

Dracup, K. A. (1982). Compliance-an interaction

approach. Nursing Research, 31(2), 31-35.

Tashkin, D. P. (1995). Multiple does regimens: Impact on compliance. chest, 107, 176s-182s.

Pathman, D. E. (1996). The awareness- to-Adherence Model of the steps to clinical guidline compliance. Medical Care, 34(9), 873-889.

Barofsky, I. (1978). Compliance, adherence, and the therapeutic alliance: steps in the development of self-care. Social Science Medicine, 12, 369-376.

Becker, M. H. (1975).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ersonal health behavior.

Health Educ Mono, 2, 324-473.

Saultz, j. w. (2003). Defining and measuring interpersonal continuity of care. Ann Fam Med, 1: 134-143.

Stewart, A. L., (1995). Dose smoking cessation improv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17(4), 331-338.

Wyper, M. A. (1990). Breast self-examination

and the Health Belief Model:

Variations on a Them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3(6), 421-428.

Meichenbaum, D.,& Turk, D. C. (1987).

Ficilitating treatment adherence: A practitioner Guidebook. New York :Pleum.

Turk, D. C. & Rudy, T. E. (1991). Neglected topics in the treatment of chronic pain patient relapse, noncompliance, and adherence enhancement. pain, 44, 5-28.

Jones, P. K., & Katz, J. (1998). Health Belief Model interveation to increase compliance with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Medical Care, 147, 1557-1560.

Golin, C. E. (1996). The role of patient participation in the doctor visit;

Implication for adherence to diabetes care. Diabetes Care, 19(10). 1153-1164.

Marston, M. V. (1970). Compliance with medical regimens-a review of the literature. Nursing Research, 19(4), 312.

Fleury, J. (1992). The application of motivational theory to cardiovascular risk reduction. Image: The Journal of

(11)

Nursing Scholarship, 24(3), 229-239.

Oberle, K. (1991). A decade of research in locus of control: what have we learned.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6(7), 800-806.

Conn, V., & Taylor, S. G. (1992). Medication management by recently hospitalized older adults. Journal of Community Health Nursing, 9(1), 1-11.

Strauss, A. L., & Corbin, J. (1984). Chronic Iiiness and the Quality of Life(2nd ed.). St. Louis: C.V. Mosby.

(12)

-Abstract-

Key words: compliance

Concept Analysis of Compliance

Gwak, Migyung* ․ Hong, Haesook**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concept 'compliance'. More concretely, It is to find the concept that can be applied appropriately to the area of theraputic regimens. Method: Walker&Avant's concept analysis framework was employed to review the clinical guidelines, dictionary, nursing text books, and nursing research articles which were related to compliance. Result: The attributes of the concept of compliance based on the concept can be defined concisely as follow:

1. Action go ahead as stage of perception, agreement, choice, adherence, when client admitted to provided prescription.

2. Behavior go through perceivable judgment and make decisions by provider-client interactions.

3. It was demanded activ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responsibility of client.

4. Concordance behavior with health care recommendation.

5. Motivational behavior for carry out health care behavior.

Conclusion : This concept analysis of compliance contributed to promote performance of compliance in theraputic regimens and nursing fields by removing conceptual ambiguity and confirming the true meaning of compliance.

* Doctoral course College of Nurs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Kungpook National University

참조

관련 문서

To sum up conclusion of this study, family, school, society should try to understand and accept sex correctly recognized by Adolescents, and it is

To this end, among the art field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 the weight, content, and reference plates of each area occupied by

This study is descriptive and correlational research identifying patients compliance with sick-role behavior and attempting to present basic data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affordance in multi-media environment and to seek development plan of more efficient interface

To promote green jobs through the expansion of green industry, chapter 2(II) examines the concept, objective, promotion field, and scope of green industry; the creation

The main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rst element in the information extraction concept of detection, diagnosis and con- sequence analysis (D 2 C)

In conclusion, this paper wrights how guarantees right of student-centered education and parents in legal system. Also, this subject use to how explain to

3.. anne Glover, and James I. Numerical Analysis of Grassland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under Different Land Management Regimens by Using 16S Ribosomal DNA Sequence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