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청소년의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청소년의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55

청소년의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박완주1,2 ․ 김희숙1,2 ․ 박경란2, 김미향3

1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2경북대학교 간호대학 연구소 연구원

3대구시 월서중학교 보건교사

The Influencing Factors of Suicide Probability in Adolescents

Park, Wan Ju

1

․ Kim, Hee Sook

1

․ Park, Gyeong Ran

2

․ Kim, Mi Hyang

3

1Professor, College of Nurs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Researcher, The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College of Nurs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3School Nurse, Wolseo Middle School, Daegu, Korea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suicide probability in adolescents.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Oct. 20, 2010 to Nov. 5, 2010.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63 subjects of 7 middle schools and 10 high schools in D city.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Suicide Probability Scale for Adolescents (SPS-A), Spirituality Scale, and Suicide Perception Toward Suicide Scale.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by stepwise selection by using SPSS 14.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icide probability according to religion, economic status, academic achievement, number of close friends, and experience with surrounding people's suicide. The influencing factors of suicide probability in adolescents were identified as connectedness (β=-.45, p<.001), inner resources (β=-.15, p=.002), and the meaning or purpose of life (β=-.13, p=.005) which were sub-domain of spirituality. Three factors explained 44% of suicide probability.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pirituality of adolescents is important for reducing their suicide probability.

Key words: Suicide probability, Spirituality, Suicide perception, Adolescent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자살은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자해행위이기 때문에 그 가족 뿐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에 미치는 충격과 파급효과는 매우 크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10년 인구 10만 명당 31.2명 이 자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10대는 24.3%가 자살로 목숨 을 잃는 것으로 나타났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특히 청소년의 경우에도 자살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2009년부터 청소년의 사망원인 중 1위 였던 운수사고를 제치고 자살이 1위로 나타났고(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2010년 조사에서는 15 세에서 24세까지 청소년의 8.8%가 지난 일 년 동안 한번이 라도 자살하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따라서 자살 은 현대의 심각한 사회문제로 청소년에게는 특히 중요한 정 신건강의 문제로 대두되었다.

청소년 자살은 자아의 미성숙으로 인해 충동적으로 일 어나는 경우가 많으며(Jang, 2004), 우울(Houston,

주요어: 자살위험성 예측, 영성, 자살인식도, 청소년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Kim, Hee Sook

College of Nurs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01, Dongin-dong, Jung-gu, Daegu City, Korea. 700-422 Tel: 82-53-420-4927, Fax: 82-53-422-4926, E-mail: hskim 8879@ knu.ac.kr

*본 논문은 경북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

(2)

& Shepperd, 2001; Ha, 2001), 청소년 시기의 흡연, 음주, 폭력 등의 비행 행동들(Cho et al., 2002) 그리고 부모와 자 녀간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Kim, S. G., 2008; Ha, 2001) 및 사회경제적 요인(Agerbo, Nordentoft, & Mortensen, 2002) 등이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010년 조 사에서는 15세에서 19세 청소년이 자살하고 싶었던 가장 큰 이유는 59.5%가 성적과 적성문제였고, 12.5%는 외모, 8.0%

는 직업, 3.9%는 가정경제 어려움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그러나 어렵고 힘든 상황에 처한 청소년이 모두 자살을 시 도하는 것은 아니므로, 자살의 위험요인을 근절시키려는 노력 과 함께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살생각이 감소될 수 있는 보호 요인이 무엇인지를 동시에 파악함으로써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 자살예방을 위한 노력을 통해 자살과 자살행동에 영향 을 미치는 위험요인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으나 자살의 위험 성을 줄이는 보호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Malone, Oquendo, Haas, Ellis, & Mann, 2000; Kye, 2007).

Kim과 Lee (2009)는 청소년 자살생각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에서 보호변인군 중 신체 정신적 건강상태와 영적 안녕감, 가족의 지지 및 학교생활 만족도가 효과 크기가 가장 큰 변인이라고 하였다. Pfeffer, Conte, Plutchik와 Jerrett (1979)은 자아존중감이 자살행동과 관련된 중요한 요인이라고 보고하였고, Jang (2004)은 자아정체감의 혼동을 경험하는 청소년이 스트레스 또는 갈등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인식하게 되고 가장 손쉬운 해결방 법으로 죽음을 선택하기도 한다고 하였다. Chung, Ahn과 Kim (2003)은 가족의 정서적 지지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성에 대한 주요 예측요인이고, Fergusson, Woodward와 Horwood (2000)는 부모, 교사, 친구의 사회적 지지 중 부 모지지가 가장 주요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과 더불어 Kim, S. G. (2008)는 자존 감, 지역사회 결속력, 부모의 지지, 지각된 사회적 지원과 교사의 지지 등의 보호요인은 청소년의 자살률을 낮춘다고 하였고, Lim (2006)은 소외감과 우울감이 높아도 삶의 의미 를 가진 집단에서는 자살생각이 낮았다고 보고하였다. 자살 위험성과 관련된 또 다른 보호요인은 영성으로, 영성의 수준 이 높을수록 우울증의 수준이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고 (Dew et al., 2008), 스트레스와 심리적 위험에 대해서 유 연하게 대처함으로서 불안의 수준을 감소한다고 보고하고 있 으며(Dew et al., 2008), 실존적 안녕감이 청소년의 자살위 험성에 영향을 주는 보호변인으로 작용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Kye, 2007).

이와 같이 영성은 청소년들의 자살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요한 보호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살 에 대한 인식과 영성이 자살위험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학교 및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을 위한 청소년 자살예방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자살에 대한 지식정도와 영성 이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청소년 자살을 예방 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 였으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대상자의 자살위험성, 자살에 대한 인식정도 및 영성 정도를 파악한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위험성 차이를 파악 한다.

∙ 대상자의 자살위험성과 자살인식, 영성 간의 관계를 파 악한다.

∙ 대상자의 자살인식과 영성이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한다.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위험성 정 도와 자살위험성, 자살에 대한 인식 및 영성 간의 관계를 파 악하고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서 술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D시 교육청의 협조 하에 중학교와 인 문계 및 실업계 고등학교 중 지역적 특성과 학교 유형을 고 려하여 할당표집을 통해 7개 중학교와 10개 고등학교를 선 정하였고, 이 중 2학년 학생 5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대상자의 수는 단계별 회귀분석인 경우 예측 요인 당 표본크기수가 1:40(Tabachnick & Fidell, 1989)으 로 본 연구의 예측변수의 수 11개로 계산하였을 때, 최소 표 본크기가 440으로 계산되었고, 설문지 미회수율과 불성실한

(3)

응답으로 인한 탈락률 10%를 감안하여도 566명은 회귀분석 을 지지할 만큼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응답이 불완전하거 나 누락된 3명을 제외한 563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 하였다.

3. 연구 도구

1) 자살인식도(Suicide Perception)

자살인식도는 정신간호학 교수 2명, 정신보건요원 1명 및 심리학 박사과정생 1명이 함께 자살관련 선행연구를 포함한 문헌을 분석하여 문항을 만들었으며, 자살에 대한 인식 17문 항으로 구성되었고 각 문항은‘예’1점에서‘아니오’0점으 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살인식도의 정도가 높음 을 의미한다.

2) 영성(Spirituality)

영성은 온전함과 더 큰 우주와 연결을 촉진시키는 물질 적 세계를 넘어 초월적 힘의 자각으로 보았고(Myers, Sweeney, & Witmer, 2000), 본 연구에서는 Lee, Kim 과 Kim (2003)이 개발한 한국인을 위한 영성척도를 도구 개발자에게 이메일로 연구목적을 밝히고 도구 사용의 허락 을 받고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초월성(transcendence), 삶의 의미와 목적(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자비심(compassion), 내적자원(inner resources), 자각 (awareness), 연결성(connectedness)의 6개 하위요인으 로 구성되어 있고, 총 30문항이다. 각 문항은‘전혀 그렇 지 않다’1점부터‘매우 그렇다’5점까지의 5점 Likert척 도로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영성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당시 도구의 Cronbach's α는 영성 전체가 .93이었고, 하위요인별로는 초월성 .83, 삶의 의미와 목적 .79, 자비심 .75, 내적자원 .77, 자각 .72, 연결성 .74이 었다. 본 연구에서 영성 전체는 .93이었으며, 하위요인별 로는 초월성 .77, 삶의 의미와 목적 .79, 자비심 .73, 내 적자원 .74, 자각 .77, 연결성 .77로 나타났다.

3) 자살위험성 예측(Suicide Probability Scale)

대상자의 자살위험성 예측은 Cull과 Gill (1988)의 Suicide Probability Scale을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적용 할 수 있도록 Go, Kim과 Lee (2000)가 번안․수정한 청소년 자살위험성 예측 척도(Suicide Probability Scale for

Adolescents: SPS-A)를 Kye (2007)가 수정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한국어로 번안한 저자에게 이메일로 도구 사용 에 대한 허락을 받아서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31문항, 4 개 하위요인으로 부정적 자기평가(negative self evaluation), 적대감(hostility), 절망감(hopelessness) 및 자살사고(suicidal ideation)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 다’1점부터‘대부분 그렇다’5점까지의 5점 Likert척도로 되어 있고, 긍정적으로 서술된 문항은 역채점 하였으며, 점 수가 높을수록 자살위험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당시 도 구의 Cronbach's α는 .70이었고, 부정적 자기평가 .75, 적 대감 .65, 절망감 .79, 자살사고 .80이었다. Kye (2007)의 연구에서 전체 .93이었고, 하위요인별로는 .93에서 .97이었 다. 본 연구에서는 자살위험성 예측 전체 .91이었으며, 부정 적 자기평가 .80, 적대감 .72, 절망감 .84, 자살사고 .77이 었다.

4. 자료 수집 방법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10월 20일부터 11월 5일까지였으 며, 연구의 일반화와 영향요인의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 D시 의 각 구별 학교 학생 수에 비례하여 학교 수를 선정하고 선정된 중학교, 인문계 및 실업계 고등학교를 포함한 총 17 개 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학교장의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한 후 연구진행에 대한 허락을 받았다. 선정된 학교 2 학년 중 한 반을 임의 표출하였고, 검사자 간 오차를 줄이기 위해 연구책임자가 연구보조원 6명에게 도구에 관해 2시간 훈련을 시켰다. 설문지는 학교 정규수업 전 20분을 할애 받 아 연구자와 연구보조원이 학생들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 고 응답을 원하지 않는 경우 언제라도 철회할 수 있음을 알 리고 익명으로 실시하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으로만 사용 한다는 것을 충분히 설명하였다.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연 구 참여를 원하는 학생에게 서면동의서를 받았으며, 설문지 는 대상자가 자가 보고식으로 작성한 후 밀봉된 봉투를 사 용하여 연구보조원이 수거하였고, 소요시간은 20분 정도였 으며, 설문 응답에 대한 소정의 사례를 제공하였다.

5.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14.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대 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인식, 영성, 자살위험성을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

(4)

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e's tes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자살인식, 영성과 자살위험성의 정도는 평균과 표 준편차를 구하였고, 자살위험성과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자 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고, 독 립 변수에 대한 회귀분석의 가정은 다중공선성, 잔차, 특이 값 등으로 진단하였다.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위험성

연구대상자의 성별은 남학생이 50.1%, 종교는 무교가 53.6%, 생활수준은 보통이다가 66.3%로 가장 많았다. 가족 형태는 핵가족이 86.5%, 학업성적은 중이 28.6%로 가장 많 았다. 학교생활 만족도는 보통이 43.9%, 절친한 친구 수는 1명 또는 2명이 46.4%로 가장 많았고, 주변자살사고 경험이 있는 경우가 19.0%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위험성은 생활수준 (F=9.00, p<.001), 학업성적(F=10.38, p<.001). 학교생활 만족도(F=25.30, p<.001)가 낮을수록. 절친한 친구 수는 1 명 또는 2명 이하인 경우에 3명 또는 4명 이상인 경우 보다 (F=10.27, p<.001), 주변자살사건 경험이 있을 때(t=-5.13, p<.001)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자살위험성의 하위영역별 로는 부정적 자기평가에서는 생활수준이 보통이하일수록 (F=9.15, p<.001), 학업성적은 낮을수록(F=16.66, p<.001).

학교생활 만족도가 낮을수록(F=22.26, p<.001), 절친한 친 구 수가 적을수록(F=13.82, p<.001), 주변자살사건 경험이 있을 때(t=-2.39, p=.017)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적대감 에서는 종교가 기독교인 경우에 불교인 경우보다(F=3.12, p=.015), 학교생활 만족도가 낮을수록(F=7.15, p<.001), 절 친한 친구가 없을수록(F=4.02, p=.008), 주변자살사건 경 험이 있을 때(t=-3.53, p<.001)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절망감에서는 여학생인 경우(t=-2.21, p=.028), 생활수준이 낮을수록(F=14.34, p<.001), 가족형태가 확대가족인 경우 (F=4.22, p=.015), 학업성적이 낮을수록(F=7.68, p<.001), 학교생활 만족도가 낮을수록(F=21.69, p<.001), 절친한 친 구 수가 1-2명인 경우가 5명 이상인 경우보다(F=4.01, p=.008), 주변자살사건 경험이 있을 때(t=-5.20, p<.001)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자살사고에서는 여학생인 경우 (t=-3.25, p=.001), 생활수준이 약간 힘든 경우가 잘 사는

편인 경우 보다(F=3.27, p=.012), 학업성적이 하인 경우 (F=5.13, p<.001), 학교생활 만족도가 낮을수록(F=16.93, p<.001), 절친한 친구가 적을수록(F=5.56, p=.001), 주변자 살사건 경험이 있을 때(t=-4.97, p<.001) 자살사고가 유의 하게 높게 나타났다(Table 1).

2. 자살 인식도, 영성, 자살위험성 정도

자살인식도 평균은 12.0±(1.99)점이었고, 영성 평균은 100.0 (±16.84)점이었으며, 하위영역에서 자각은 17.8 (±3.19)점, 연결성은 17.4(±3.33)점, 초월성은 14.9 (±3.83)점, 삶의 의미와 목적은 17.1(±3.68)점, 내 적자원은 16.5(±3.45)점, 자비심은 16.4(±3.17)점으로 나타났다. 자살위험성의 평균은 전체가 67.7(±15.93)점 이었고, 하위영역에서 부정적 자기평가는 24.9(±6.03) 점, 적대감은 9.3(±3.11)점, 절망감은 32.3(±6.44)점, 자살사고는 9.2(±3.18)점으로 나타났다(Table 2).

3. 대상자의 자살위험성과 자살인식도 및 영성 간 의 상관관계

청소년의 자살위험성과 자살인식도 및 영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대상자의 자살위험성은 영성의 하위요인인 연결 성(r=-.64, p<.001), 내적자원(r=-.56, p<.001), 삶의 의미 와 목적(r=-.53, p<.001), 초월성(r=-.44, p<.001), 자각 (r=-.40, p<.001), 자비심(r=-.27, p<.001) 순으로 역상관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자살인식도와 영성 간에 는 약한 정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r=.12, p<.01), 하위 요인별로는 자비심(r=.16, p<.001), 초월성(r=.14, p<.001), 자각(r=.13, p<.01), 연결성(r=.10, p<.05) 간에는 유의한 정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4. 자살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상자의 자살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 하여 자살위험성과 관련 있는 변수인 영성과 하위영역들, 초 월성, 삶의 의미와 목적, 자비심, 내적자원, 자각, 연결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자살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영성의 하위요인인 연 결성(β=-.45, p<.001), 내적자원(β=-.15, p=.002), 삶의

(5)
(6)

 Variables Min Max M SD

Suicide perception 5 17 12.0 1.99

Spirituality Awareness 7 25 17.8 3.19

Connectedness 5 25 17.4 3.33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7 25 17.1 3.68

Inner resources 5 25 16.5 3.45

Compassion 5 25 16.4 3.17

Transcendence 5 25 14.9 3.83

Total 40 150 100.0 16.84

Suicide

probability Hopelessness 19 53 32.3 6.44

Negative self-evaluation 10 41 24.9 6.03

Hostility 5 23 9.3 3.11

Suicidal ideation 5 22 9.2 3.18

Total 31 128 67.7 15.93

Table 2. The Level of Variables (N=563)

의미와 목적(β=-.13, p=.005)이었고, 이들 변수의 자살위험 성에 대한 설명력은 44.0%인 것으로 나타났다.

VIF(Variance Inflation Factor)가 2.122-2.427로 기준 인 10보다 작아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었다. t에 대한 유의 수준이 모두 .005보다 작으며 유의수준 .05에서 회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추정된 회귀모형의 적합도에 대한 F통계량은 145.84 (p<.001)로 나타나 회귀방정식은 통계적 으로 유의하였으며 회귀식의 설명력은 44.0%였다(Table 4).

논 의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살에 대한 인식 정도와 영성이 자 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들의 자살위험성 정도는 67.7점으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Kye (2007)의 75.15점 보다는 다소 낮았다.

이는 대상자의 차이에 기인된 것으로 보이며, Choi (2002) 가 1998년부터 2000년까지 경기도 내 학생자살자를 분석한 결과 고등학생이 2/3, 중학생이 1/3을 차지하여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더 많이 자살한다는 것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중 학생의 자살시도율이 고등학생에 비해 높게 보고된 Park (2008)의 연구결과와는 차이가 있었으므로 추후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위험성은 생활수준, 학 업성적, 학교생활 만족도, 절친수, 주변자살사건 경험에 따 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생활수준이 약간 힘들거나 매우 힘든 경우가 잘 사는 편이거나 보통인 경우 보다 자살위험 성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Oh (2006)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경제수준은 하위층이 상과 중위층보다

자살위험성이 높았고, 자살의 고위험 청소년과 그렇지 않은 청소년들이 경제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는 Kim, H. J. (2008)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최근 경제적 어려 움으로 인해 가족의 동반자살 사건이 많아진 것은 경제수준 이 낮을수록 자살위험에 노출될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대상자의 학업성적이 낮은 경우가 높은 경우보다 자살위 험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교성적이 좋지 않은 경우 자살위험성이 높았다고 한 Park (2008)과 Oh (2006) 의 연구결과와 학교성적이 높은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 다 자살사고가 낮았다고 한 Park (2007)의 연구결과와 일치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에게 성적은 자살위험성을 높일 만큼 큰 스트레스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 서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한 자살 예방 전략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학교생활 만족도가 불만족일수록 만족보다 자살위험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교적응이 청소년자살 가능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 나타난 Kim, H. J. (2008) 의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는 청소년들의 자살위험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학교생활 만족을 위한 학교중심의 예방적 개입이 필요하며, 본 연구의 결과를 청소년자살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절친한 친구 수는 전혀 없다와 1명에서 2명인 경우가 3명 이상인 경우 보다 자살위험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Lee (2003)가 여고생 대상 연구에서 마음을 열어 놓을 친구 수가 적을수록 자살위험성이 크다고 한 보고와 일치하는 것으로, 청소년은 자신이 겪고 있는 문제를 부모나 교사보다는 또래 와 의논하려는 경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7)
(8)

주변자살사건 경험이 있을 때 자살위험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Suh (2005)가 전국 16개 시·도에 거주하 는 15세에서 69세 1,5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생명존중 및 자살에 대한 국민태도조사에서 가까운 사람 중 자살생각자나 자살시도자가 있는 경우 본인의 자살생각 가능성도 높다고 보고한 것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주변자살사건이 발생하면 자살위험성과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를 조기선별하고 조기개입 함으로써 자살을 예방할 수 있음을 시사함으로 가족, 학교 및 지역사회가 연계된 개별적이고 전문적인 예방활동이 필요 하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자살위험성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으로는 영성의 하위요인인 연결성, 내적자원과 삶의 의미와 목적으로 규명되어 44%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 중 자살위험성에 가장 영향을 주는 변인은 연결 성으로 규명되었다. 이 결과는 Choi와 Kim (2011)이 대학 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총 영성수준 및 그 하위요인으 로 삶의 의미와 연결성 요인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준다는 보고와 일치하였다. Howden (1992)은 연결성이 우주와 우 주적 존재를 포함하는 자기, 타인 및 모든 삶의 관계를 포함 하는 것으로 인간과 인간 사이에 상호연결성이 있다는 의미 는 사회적 지지가 있음을 말한다고 하였다. Kim, H. J.

(2008)는 가족이나 친구 이외의 타인으로부터 지지받지 못 한다고 느낄수록 자살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 따라서 연결 성은 사회적 지지를 받는다면 자살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 으므로 청소년들을 지지해 줄 수 있는 지역사회 지지망을 구축하고, 자살위험에 처한 청소년들을 도울 수 있는 One-Stop 서비스 시스템을 갖추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른 자살위험성 관련변인으로는 영성의 하위요인인 내적 자원으로 규명되었다. 내적자원은 인간본성 중 하나인 내적 가치체계의 정의적인 특성으로 내적 가치가 충만한 인간성을 성취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Maslow, 1971). 즉, 자신 이 뜻하는 대로 삶을 이끌어 갈 수 있으며 힘든 상황에서도 마음을 고요하게 할 수 있는 내적 힘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러므로 청소년들의 자살예방을 위해 내적자원을 높일 수 있 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 다른 자살위험성으로 규명된 관련변인은 영성의 하위 영역 중 삶의 의미와 목적이었다. 이는 Choi와 Kim (2011) 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총 영성 수준 및 그 하 위요인으로 삶의 의미와 연결성 요인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준다는 보고와 일치하였다. 삶의 의미와 목적은 개인의 가치 와 희망, 삶의 이유를 알게 하는 일이고(Howden, 1992), 인생의 의미와 목적의 추구를 통해 자기실현을 하게 된다

(Maslow, 1971). 따라서 청소년들이 삶의 의미와 목적을 잘 알도록 하는 것은 자기 존재의 동일성과 독특성을 지속하고 고양시키는 자질인 자아정체감을 확립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스트레스 또는 갈등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자아정체감 의 혼동을 경험하는 청소년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 다고 인식하게 되고 해결방법으로 쉽게 죽음을 선택한다는 것이다(Jang, 2004). 따라서 청소년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 해서는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하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개 발하여 적용하여야 한다고 본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청소년들의 자살위험성에 영향을 미 치는 보호요인은 영성의 하위요인인 연결성, 내적자원 그리 고 삶의 의미와 목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요인이 위기 나 스트레스 상황을 극복하도록 도움으로써 개인의 적응방식 이나 적응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자살위험성을 감소시 킬 것이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의 자살예방을 위해 영성의 하 위요인 중 연결성, 내적자원 및 삶의 의미와 목적을 증진시 키는 중재방법을 개발하여 적용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D시 중 ․ 고등학교 2학년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 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고, 모 든 측정변수들이 수업시간에 자기보고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자살의 사회적 낙인 효과와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부인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중 ․ 고등학교 전 학년을 포함하는 추 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의 자살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영성교육 프로그 램 개발에 대한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 다.

결 론

본 연구는 D시의 총 17개 중 ․ 고등학교의 563명 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자살인식, 영성과 자살위험성 간의 상관 관계와 예측요인을 분석하고 영향력을 규명함으로써, 청소년 의 자살예방을 위한 정신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적 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청소년들의 일반적 특성 중 생활수준과 학업성적 및 학교생 활 만족도가 낮은 경우, 절친수가 없거나 1-2명인 경우, 주 변자살사건 경험이 있는 경우에 자살위험성은 유의하게 높았 다. 청소년들의 자살위험성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 은 영성의 하위요인인 연결성, 내적자원 및 삶의 의미와 목 적 순이었으며, 이들 변인은 자살위험성에 대하여 44%의 설 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성의 하위요인들은 청소년들의 자살위험성을 감소시키는 보호요인임을 시사한

(9)

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청소년들의 자살위험성을 감소시키 는 보호요인을 강화하기 위해서 자살예방을 담당하는 지역사 회 정신보건센터와 자살예방센터에서는 청소년들이 영성을 기반으로 하여 연결성과 내적자원 및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을 수 있도록 가정, 학교 및 지역사회가 연계된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REFERENCE

Agerbo, E., Nordentoft, M., & Mortensen, P. B. (2002).

Familial, psychiatric, and socioeconomic risk factors for suicide in young people: Nested case-control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325, 74-77. http://dx.doi.org/10.1136/bmj.325.7355.74 Choi, B. M. (2002). Prevention of adolescent's

suicide. Seoul: Hong Ik Jae.

Choi, S. O., & Kim, S. N. (2011). Suicidal ideation and spirituality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 190-199.

Cho, S. J., Jeon, H. J., Kim, J. K., Suh, T. W., Kim, S. U., Hahm, B. J., et al. (2002). Prevalence of suicide behaviors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and risk factors of suicide attempts in junior and high school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the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1, 1142-1155.

Chung, H. K., Ahn, O. H., & Kim, K. H. (2003).

Predicting factors on youth suicide impuls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0(2), 107-126.

Cull, G. J,. & Gill, S. W. (1988). Suicide probability scale (SPS) manual. Los Angeles: Western Psycho Logical Services.

Dew. R. E., Daniel. S. S., Armstrong. T. D., Goldston, D. B., Triplett, M. F., & Koenig, H. G. (2008).

Religion/Spirituality and adolescents psychiatric symptoms; A review.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39, 381-398.

ttp://dx.doi.org/10.1007/s10578-007-0093-2 Fergusson, D. M., Woodward, L. J., & Horwood, L.

J. (2000). Risk factors and life processes associated with the onset of suicidal behaviour

during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Psychological Medicine, 30(1), 23-39.

http://dx.doi.org/10.1017/S003329179900135X Go, H. J., Kim, D. J., & Lee, H. P. (2000). A

validation study of the suicide probability scale for adolescents (SPS-A).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 680-690.

Ha, S. H.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uicide ideation and psychosocial variables.

Journal of Student Guidance, 21, 135-163.

Houston, K., Hawton, & K., Shepperd, R. (2001) Suicide in young people aged 15-24: a psychological autopsy stud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63, 159-170.

http://dx.doi.org/10.1016/S0165-0327(00)00175-0 Howden, J. W. (1992).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ual assessment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xas Woman’s University, Denton, TX, USA.

Jang, H. S. (2004). Psychology of adolescence(3rd ed). Seoul: Parkyoungsa.

Kim, B. Y., & Lee, C. S. (2009). A meta-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651-661.

Kim, H. J. (2008). Effects factors of adolescents' suicide ris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7, 69-93.

Kim, S. G. (2008). The effect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to adolescent alienation suicide-based on mediation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Mental Health & Social Work, 29, 66-93.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Annual report of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Retrieved January 15, 2012,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 x.board?bmode=read&bSeq=&aSeq=250282&page No=9&rowNum=10&navCount=10&currPg=&sTarg et=title&sTxt=

Kye, E. K. (2007). The relationship of suicide probability and spiritual well-being. Unpublished master's

(10)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Lee, K. Y., Kim, C. H., & Kim, D. W. (2003).

Development of the spirituality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15, 711-728.

Lee, S. (2003). A study of relationship on suicidal risk, self-esteem and TA ego function of high school gir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2, 155-163.

Lim, S. S. (2006).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lienation, depression, purpose in life and suicide ide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Maslow, A. H. (1971).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 New York: Viking press.

Malone, K. M., Oquendo, M. A., Haas, G. L., Ellis, S. P., Li, S., & Mann, J. J. (2000). Protective factors against suicidal acts in major depression: Reasons for living.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7, 1084-1088.

http://dx.doi.org/10.1176/appi.ajp.157.7.1084 Myers, J. E., Sweeney, T. J., & Witmer, J. M. (2011). The

Wheel of Wellness counseling for wellness: A holistic model for treatment planning.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8, 251-266.

http://dx.doi.org/10.1002/j.1556-6676.2000.tb01906.x Oh, S. G. (2006). The relations among adolescent's

suicidal attitudes, suicidal risks, and needs of life-esteem education particip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Park, E. O. (2008). The influencing factors on suicide attempt among adolescents o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465-473.

Park, H. S. (2007). The influence of ego-identity and depression on suicide ideation for Korean.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6, 103-112.

Pfeffer, C. R., Conte, H. R., Plutchik, R., & Jerrett, I.

(1979). Suicidal behavior in latency-age children: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American Academy

Child Psychiatry, 18, 679-692.

Suh, T. W. (2005, February). Attitude Survey on Life- respect and Suicide in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icide Prevention, Seoul, Korea.

Tabachnick, B. G., & Fidell, I. S. (1989). Using Multi- Variate Statistics. New York: Collins.

수치

Table 2. The Level of Variables                                               ( N =563)

참조

관련 문서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For a statistical process of collected materials after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Korean Soldiers suicide prevention program, we practiced Frequency

The concerned study is now believed to make a contribution to protecting the seniors in Korea from committing a suicide and to reduce the suicidal

This study shows that the root cause of suicide is based on social and legal exclusion and proposes that suicide prevention measures should be aimed at social cohesion

A Retrospective Study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Neonatal Occipital

* GMC : General Medical Condition.. Suicide attempts related factors ; cause, methods, impulsivity, drinking.. New oxford Textbooks of psychiatry. Epidemiolog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psychological health factors such as stress percepti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re related to the quality of sleep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mathematical noticing and confirm the factors that cause the dif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