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피질시각경로의 기능과 관련된 이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피질시각경로의 기능과 관련된 이상"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Copyright 2013 The Korean Society of Neuro-Ophthalmology http://neuro-ophthalmology.co.kr 23

피질시각경로의 기능과 관련된 이상

문소영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Cortical Visual Pathways: Its Functions and Related Deficits

So Young Moon, MD

Department of Neurolog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uwon, Korea

While the anterior visual and geniculocalcarine pathways deliver the elemental visual data from the eyes to striate cortex, the higher cortical visual (or association) areas perform the more complex interpretation of this visual information. Deficits caused by dam- age to these areas are characterized by abnormalities in visual processing or attention often despite otherwise relatively normal visual acuity and fields.

Keywords: Ventral stream; Dorsal stream; What pathway; Where pathway

서  론

시각장애(visual impairment)는 구심성시각경로(afferent visual pathways)의 병변에 의해 발생한다. 구심성시각경로는 시각정보를 감 지하여 전달하고 처리하는 데 관여하는 일련의 구조물들을 포함하 는데, 눈(eyes), 시각신경(optic nerves), 시각교차(optic chiasm), 시각로 (optic tracts), 외측무릎핵(lateral geniculate nuclei), 시각로부챗살(optic radiations) 및 줄무늬피질(striate cortex)이 이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눈, 시각신경, 그리고 시각교차와 관련된 병변으로는 시력소실(acuity or clarity loss), 색각이상(color anomaly) 및 시야결손(visual field defect) 이 발생하며, 한쪽교차후(retrochiasmal) 병변으로는 시력소실은 없이 시야결손이 생긴다.

환자가 호소하는 모호한 시각증상이 구심성시각경로의 병변에 의 한 일차시각장애(primary visual impairment)로 설명이 안 될 때는 줄 무늬피질 이후의 병변에 의한 고위피질시각장애(higher cortical visual

dysfunction)도 고려해야 한다. 눈에서 시각로부챗살에 이르는 경로 에 발생한 병변에 의한 이상은 이전 강의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 되므로, 이 강의에서는 줄무늬피질의 병변에 의한 시야결손과 고위피 질시각영역(higher cortical visual areas)의 병변에 의한 고위피질시각 장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 시각관련 대뇌피질의 기능적 해부 1) 줄무늬피질

Brodmann 영역 17(또는 V1, primary or striate cortex)은 구심성시각 경로의 종착역이다. 후두엽의 새발톱피질에 위치한다. 대부분의 줄무 늬피질은 황반부 시각을 담당한다(Fig. 1). 황반부를 담당하는 부위는 뒤쪽에 위치하고 주변시야를 담당하는 부위는 앞쪽에 위치한다. 새 발톱피질의 위둑과 아래둑은 각각 아래쪽과 위쪽시야를 담당한다.

후두엽의 대부분은 후대뇌동맥이 담당하지만 후두극(posterior pole) 의 일부는 중대뇌동맥이 같이 담당한다.

Correspondence to:  So Young Moon, MD

Department of Neurolog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206 Worldcup-ro, Yeongtong-gu, Suwon 443–721, Korea  TEL: +82-31-219-5175; FAX: +82-31-219-5178; E-mail: symoon.bv@gmail.com

Received:  Mar. 27, 2013 / Accepted:  May 2, 2013

REVIEW

ISSN: 2234-0971 대한안신경의학회지: 제3권 제1호

Clin Neuroophthalmol 3(1):23-26, June 2013

(2)

Moon SY • Cortical Visual Pathways: Its Functions and Related Deficits

Clin Neuroophthalmol 3(1):23-26, June 2013 24 http://neuro-ophthalmology.co.kr

2) 고위피질시각영역

고위피질시각영역은 해부학적으로나 기능적으로 두 가지 경로로 나뉜다(Fig. 2). 줄무늬피질에서 후두측두부로 달리는 배쪽경로(ven- tral stream)는 물체의 인지(object cognition)를 담당하여 “what path- way”라고 불리며 작은세포로(parvocellular pathway)와 연결된다. 그 중에서 방추형이랑(fusiform gyrus)과 혀이랑(lingual gyrus)은 Ma- caque 원숭이 뇌의 V4에 해당하며 반대쪽 시야의 색깔인지를 담당한 다. 양쪽의 내측후두측두부는 물체와 얼굴인지에 관여한다. 반면에 등쪽경로(dorsal stream)는 공간지남력(spatial orientation)에 관여하 여 “where pathway”로 불리며, 큰세포로(magnocellular pathway)의 연 장이다. 두정엽은 유도주의집중(directed attention)에 관여한다. 바깥 쪽후두측두부는 V5에 해당하는데 운동지각(motion perception)에 중 요한 역할을 한다.

2. 시각관련 대뇌피질의 병변 시 이상 1) 줄무늬피질 병변 시 이상

대표적인 이상은 시야장애이다. 시야장애는 구심성시각경로의 어 느 곳에서건 발생할 수 있지만, 그 양상은 국소화 가치(localization val- ue)가 높다. 줄무늬피질 병변 시 나타나는 시야장애도 특징적인 양상 이 있다. 줄무늬피질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맞은편같은쪽반맹이 예상 된다. 그러나 임상적으로는 망막중심오목에 해당하는 시야는 자주 보존된다. 이 현상을 황반보존(macular or foveal sparing)이라 한다. 이 것의 기전에 대해서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망막중심오목을 관장하는 부위가 넓기 때문에 손상부위가 크더라도 완전히 손상되지 않고 남 는 부분이 있어서라는 설과 후두극을 중대뇌동맥과 후대뇌동맥이 같이 분포하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후두엽 줄무늬피질에서 후두극 은 중심시야을 담당하고 앞쪽은 주변시야에 해당하므로 줄무늬피질 의 맨 앞쪽만 손상되면 병변의 반대쪽 눈에 관자쪽시야결손이 주변

시야에만 나타날 수 있다.

2) 고위피질시각장애

고위피질시각장애를 가진 대부분의 환자들은 정상시력을 가진 상 태에서 “뿌옇게 보인다” 든지, 또는 “보는데 문제가 있다” 등의 모호한 증상을 호소한다. 색각이상(dyschromatopsia)이나 얼굴인식불능증 (prosopagnosia)을 가진 환자들이 직접 자신의 문제를 정확하게 호소 할 수도 있으나 흔하지는 않다. 의심하고 세심하게 관찰하고 검사할 때 고위피질시각장애를 진단할 수 있다. 고위피질시각장애는 크게 두 가지 영역의 이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측두후두엽의 손상에 의한

“what pathway”의 장애로는 대뇌성 색맹(cerebral achromatopsia), 시각 물체인식불능증(Visual agnosias), 쓰기실어증이 동반되지 않은 읽기 실어증(Alexia without agraphia) 및 얼굴인식불능증이 발생한다. 두 정후두엽의 손상에 의한 “where pathway”의 장애로는 운동맹증(Aki- netopsia), 시각적 무시(Visual neglect) 및 Balint 증후군이 대표적이다.

(1) 대뇌성 색맹

방추형이랑과 혀이랑은 배쪽안쪽후두측두피질에 위치하며 반대 Fig. 1. Retinotopic organization of 

the striate of cortex. Approximately  55 to 60% of the surface area of stri- ate cortex, located posteriorly, is re- sponsible for the central 10° of vision. 

The anterior striate cortex subserves  the temporal 30° of the visual field of  the contralateral eye.

Temporal 60°

10-60°

Central 10° (Macular)

Fig. 2. Diagram of dorsal and ventral higher cortical visual streams. Lateral view  of the brain. In an oversimplification, after reaching area 17, visual information  passes through areas 18 and 19, then dorsally for spatial analysis and ventrally  for object analysis. Schematic diagrams of dorsal stream (magnocellular path- way) for spatial relations and “where analysis” and ventral stream (parvocellu- lar pathway) for color and “what analysis”, from retina to higher cortical visual  areas. LGN, lateral geniculate nucleus.

Parietal lobe

‘M‘ retinal ganglion cells

‘P‘ retinal ganglion cells

Magnocellular layers of LGN (1&2)

Parvocellular layers of LGN (3-6)

Inferior temporal

lobe

V5

V1

V1

19 18

17

V4

(3)

피질시각경로의 기능과 관련된 이상문소영

Clin Neuroophthalmol 3(1):23-26, June 2013 http://neuro-ophthalmology.co.kr 25

쪽 절반시야의 색각을 담당한다. 절반시야색맹은 오른쪽 또는 왼쪽 절반시야 모두에서 가능하다. 양쪽에 병변이 생기면 중추성 색맹이 생긴다. 사분역이나 절반시야에서 생기는 경우에는 환자의 눈의 움직 임을 제어하지 못하면 임상검사에서 발견하지 못하는 놓치는 경우가 많다. Ishihara 검사와 American Optical Hardy-Rand Rittler 검사와 같 은 색채판검사(color plate testing)에서 절반시야색맹이 관찰될 수도 있으나 환자가 눈을 움직여서 숫자나 물체를 보거나 색맹이 주로 주변 시야에서만 존재하고 색채판 내의 시야에서 색각이 정상인 경우에는 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사분역이나 절반시야만을 침범하는 색맹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대면시야검사가 가장 유용하다. 환자에게 눈을 움직이지 않고 정면을 쳐다보게 한 상태에서 색깔이 입혀진 천, 막대 기, 또는 실을 각 사분역에서 제시하여 색깔이 다르게 보이는 지역이 있는지 답하게 한다. 구분하지 못하는 색채축에 따라 적색맹, 녹색맹, 및 청색맹으로 분류되는 망막성 색맹과는 달리 대뇌성 색맹은 특별 한 색채축을 따르지 않고 전반적인 색채에 대한 구분이 불가능하다.

해부학적으로 망막에서는 각 색채축별로 구분지어 존재하던 색각계 가 시피질에서는 병합되거나 근접하여 위치하게 되므로 대뇌성 색맹 에서 특정 색채축을 따라 색맹이 발생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생 각된다. 대뇌성 절반시야색맹은 단독 증상으로 나타나기 보다는 병변 반대쪽 상사분맹과 하사분역 색맹이 병합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더 흔하다. 이는 방추형이랑과 혀이랑이 아래시각로부챗살, 아래줄무 늬피질, 아래외줄무늬피질(inferior extrastriate cortex)과 해부학적으 로 연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절반시야색맹에서 병변이 좌측일 때 는 쓰기실어증이 동반되지 않은 읽기실어증이, 우측일 때는 얼굴인식 불능증이 동반될 수 있다.

(2) 시각물체인식불능증

시각물체인식불능증이란 정상시각, 기억력, 언어, 및 지능을 가지 고도 시각적으로 제시된 물체를 알아보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환자 에게 물체를 만지게 하면 물체를 알아볼 수 있으며 물체에 대해 말로 설명해주면 물체의 이름을 댈 수 있다. 연합형(associative)과 지각형 (apperceptive)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연합시각인식불능증의 환자들은 제시된 그림을 베껴 그릴 수도 있고, 회상해서 다시 그려낼 수도 있으 나 그 물체를 알아보지 못한다. 연합형은 줄무늬피질과 측두엽의 고 위시각피질 사이를 연결하는 경로인 아래세로다발(inferior longitudi- nal fasciculus)을 손상시키는 양쪽안쪽아래쪽후두측두부의 병변에 의해 발생한다. 일종의 시각언어분리증후군(visual-verbal disconnec- tion syndrome)이다. 지각형에서는 기본적인 시력과 시야는 비교적 정 상적이지만 형태와 모양의 인지에 장애를 보인다. 지각형과 관련된 정 확한 해부학적 구조물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3) 쓰기실어증이 동반되지 않은 읽기실어증

실어증(aphasia)을 가진 환자들은 읽기와 동시에 쓰기에도 문제를 보인다. 그러나, 왼쪽후두엽과 동측의 뇌량팽대(splenium of corpus callosum)나 근처의 뇌실주위의 백질이 손상되면 쓰기실어증이 동반 되지 않은 읽기실어증이 발생할 수 있다. 순수읽기실어증(pure alexia) 또는 단어인식불능(word blindness)이라고도 한다. 이는 분리증후군 (disconnection syndrome) 중의 하나로 오른쪽같은쪽반맹과 함께 생 기며, 언어중추들은 손상되지 않았지만 오른쪽후두엽의 시각정보가 왼쪽 뇌의 언어중추로 연결될 수 없어서 쓰기실어증이 발생한다. 환 자들은 자신이 쓴 것도 읽을 수가 없다. 최근에는 왼쪽측두후두엽의 작은 부위의 손상으로 letter-by-letter reading의 형태를 보이는 순수읽 기실어증에 대한 보고들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분리증후군보다는 지 각형으로 이해되며, 이들 증례들의 병변은 최근 기능적 뇌영상에서 글자들에 반응을 보이는 visual word form area (VWFA)와 위치가 일 치한다.

(4) 얼굴인식불능증

환자들은 주로 자신의 친구들이나 가족들을 알아볼 수 없다고 호 소한다. 거울에 나타난 자신의 모습도 알아보지 못한다. 대개 얼굴이 라는 것은 알고 성별, 인종, 연령대는 알아볼 수 있다. 자세나 몸동작도 인지할 수 있다. 친구나 가족들을 목소리를 통해 알아볼 수 있다. 대부 분의 환자들은 이미 알고 지내던 사람들의 얼굴을 알아보지 못할 뿐 만 아니라, 새로 만난 사람들의 얼굴도 익힐 수가 없다. 지각형과 연합 형으로 나눌 수 있다. 지각형은 얼굴짝짓기검사(face-matching task)로 Benton-Van Allen 검사를 사용하여 진단할 수 있다. 한 연구에 의하면 지각형은 방추형이랑과 그 주변의 병변에 의해 얼굴의 상세한 부위들 을 인지하지 못하여 발생하고, 연합형은 해마주위이랑(parahippo- campal gyrus)과 그 주변의 병변에 의해 얼굴이 기억저장고와 연결되 지 못해 생긴다. 양쪽후두측두부가 인간의 얼굴인식에 관여한다. 대 부분 양측 병변에 의해 발생하나 오른쪽후두측두부의 병변만으로 도 얼굴인식불능증이 발생한 예들도 보고되었다. 얼굴인지에만 관여 하는 부위가 방추형이랑에 따로 있는 것인지 아니면 범주내(within a category) 물체인식 중의 하나에 얼굴인지가 포함되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

(5) 운동맹증(akinetopsia)

바깥쪽후두측두엽, 그 중에서도 V5 (MT)에 해당하는 위측두고랑 (superior temporal sulcus)의 뒤둑(posterior bank)에 병변이 발생하면 운동지각장애가 발생한다. 줄무늬피질병변으로 인해 시야소실이 있 는 상태에서 운동지각이 가능한 것을 Riddoch 현상이라고 하며, 무의

(4)

Moon SY • Cortical Visual Pathways: Its Functions and Related Deficits

Clin Neuroophthalmol 3(1):23-26, June 2013 26 http://neuro-ophthalmology.co.kr

식적시각(unconscious vision)이 있는 것을 blindsight라고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구심성시각경로와는 따로 존재하는 망막덮개 시상베개경로(retinotectopulvinar connection)와 V5의 연결이 보존되 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생각된다.

(6) 시각적 무시

무릎줄무늬경로(geniculostriate system)가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같은쪽반쪽공간에 시각적으로 제시된 자극을 무시하는 것을 이른 다. 흔히 오른쪽대뇌반구의 병변에 의한 왼쪽공간무시증후군이 흔하 다. 정도가 약한 경우에는 한쪽씩 자극을 제시하면 자극을 인지할 수 있으나 양쪽시야에서 동시에 자극을 제시하면 병변의 반대쪽시야에 제시된 자극을 인지하지 못한다(extinction). 선 또는 글자지우기(line or letter cancellation) 검사에서 왼쪽무시증후군을 가진 환자는 오른 쪽공간에 제시된 선과 글자만을 지운다. 선이등분검사(line bisection) 에서 선의 가운데를 표시해 보라고 하면 환자는 오른쪽으로 치우쳐 서 표시를 한다. 시계를 그려보라고 하면 오른쪽의 숫자들만 표기한 다. 오른쪽 두정엽 뿐만 아니라, 시상, 줄무늬체(striatum), 근처의 백질, 그리고 뇌량의 병변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7) Balint syndrome

양쪽두정후두엽병변에 의해 발생하며, 동시실인증(simultanagno- sia), 홱보기못함증(ocular apraxia) 및 시각조화운동불능(optic ataxia) 이 포함된다. 동시실인증은 주어진 그림에서 개별요소들을 인지하는 데는 문제가 없으나 그것이 이루는 전체가 뜻하는 것을 인지하지 못 하는 것을 이른다. 예를 들어, 나무를 알아볼 수 있으나 그것이 이루는 풍경을 인지하지는 못한다. 양측의 시각적 주의집중장애에 의한 것으 로 여겨진다. 색채판검사에서도 색각은 정상이나 숫자를 말할 수 없 다. 홱보기못함증을 가진 환자들은 불수의적이고 반사적인 급속안 구운동(saccades)은 정상적으로 할 수 있으나 수의적 안구운동을 할

수 없다. 후두엽과 전두엽의 안구운동중추(frontal eye field) 사이의 분 리나 목표물을 정확하게 국소화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으로 생각된 다. 시각조화운동불능은 물체를 볼 수는 있으나 소뇌기능이상이나 근력이상이 없이 그 물체를 잡을 수가 없다. 후두엽과 물체에 이르는 동작을 계획하는 운동중추사이의 분리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 다른 가설로는 체외공간의 내적표상장애(defect in the internal repre- sentation of external space)나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시각적 정보와 상 지의 고유감각이 통합되지 못함을 들 수 있다.

REFERENCES

1. Moon SY, Kim JS, Shin DI, Park SH, Kim SY, Han MK, et al. Cerebral hemiachromatopsia. J Korean Neurol Assoc 2004;22:160-163.

2. Jeong Y, Na DL. Bedside evaluation of neurobehavioral disorders. J Kore- an Neurol Assoc 2002;20:325-338.

3. Choi SH, Na DL, Jeong PW, Lee KH. A case of Balint syndrome. J Korean Neurol Assoc 1997;15:900-906.

4. Choi SH, Na DL, Ha CK, Suh YL. A case of Alzheimer’s disease menifest- ing as posterior cortical atrophy. J Korean Neurol Assoc 1999;17:886-890.

5. Barton JJ, Benatar M. Field of vision: a manual and atlas of perimetry. 1st ed. Totowa (NJ): Humana Press, 2003.

6. Barton JJ, Rizzo M. Vision and the brain, Part I. Neurol Clin 2003;21:363- 568.

7. Barton JJ, Rizzo M. Vision and the brain, Part II. Neurol Clin 2003;21:575- 740.

8. DeMyer WE. Technique of the neurological examination. 5th ed. Colum- bus (OH): McGraw-Hill Professional, 2003.

9. Nolte J. The human brain: an introduction to its functional anatomy. 5th ed. St. Louis (MO): Mosby, 2002.

10. Liu GT, Volpe NJ, Galetta SL. Neuro-Ophthalmology: diagnosis and man- agement. 1st ed. Philadelphia (PA): W. B. Saunders Company, 2001.

11. Patten J. Neurological differential diagnosis. 2nd ed. Berlin: Springer Ver- lag, 1996.

12. Victor M, Ropper AH. Adams & Victor’s principles of neurology. 7th ed.

Columbus (OH): McGraw-Hill Professional, 2000.

13. Wong AM, Sharpe JA. Representation of the visual field in the human occipital cortex: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perimetric correla- tion. Arch Ophthalmol 1999;117:208-217.

참조

관련 문서

– Some 10 visual effects companies, including Digital Domain, Manex Visual Effects, help create the complex, non-photorealistic, and often surrealistic effects for What

The “Asset Allocation” portfolio assumes the following weights: 25% in the S&P 500, 10% in the Russell 2000, 15% in the MSCI EAFE, 5% in the MSCI EME, 25% in the

After analyzing the influence of design award indicators(technology, concept, visual expression, communication and benefits) on future design technologies,

Understanding the visual language demands the ‘Visual clue’ which helps the information audiences comprehend the structure of the visual language and gras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three-dimensional geometry to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by

Comparison of pain scale between the conventional and 2-step needle insertion technique according to the injection area ··· 11... The combination of pain scale and

In gi ngi va,LCs are found i n oralepi thel i um ofnormalgi ngi va and i n smal l er amountsi nthesul cul arepi thel i um,buttheyareprobabl yabsentfrom thejuncti onal epi thel

Along wi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visual design elements of outdoor signboards and consumer surveys conducted to enhance the brand image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