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제균치료 후 위점막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제균치료 후 위점막"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2004;43:90-95

서 론

1)

Helicobacter pylori (이하 H. pylori)는 편모를 가진 2.0~

3.5 µm 길이의 짧은 그람음성 나선형 간균으로 위점막 표 면의 점액층과 표피세포에 기생하면서 만성 위염, 소화성

접수: 2003년 8월 9일, 승인: 2004년 1월 18일

연락처: 이수택, 561-712, 전북 전주시 덕진구 금암동 634-18 전북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Tel: (063) 250-1553, Fax: (063) 250-1609, E-mail: Soo@moak.chonbuk.ac.kr

* 본 논문은 전북대학교병원 임상의학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궤양, 위선암 또는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2)림프종 등의 발생에 관여하는 병원체로 알려져 있다.1-3H. pylori가 이러한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는 기전이 명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H. pylori 균주의 독성인자, 균에 대한 숙주반응과 감수성, 환경적 요인의 차이 등이 관

Correspondence to: Soo Teik Lee,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634-18 Keum-Am Dong Chonju, Chonbuk 561-712, Korea Tel: +82-63-250-1533, Fax: +82-63-250-1609

E-mail: Soo@moak.chonbuk.ac.kr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제균치료 후 위점막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변화; 면역조직화학연구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병리학교실*

안혁수·김인희·이승옥·강명재*·김대곤·이수택

The Changes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Expression in the Gastric Antral Mucosa after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Immunohistochemical Study

Heok Soo Ahn, M.D., In Hee Kim, M.D., Seung Ok Lee, M.D., Myoung Jae Kang, M.D.*, Dae Ghon Kim, M.D., and Soo Teik Lee, M.D.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and Path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onju, Korea

Background/Aims: 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changes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expression in

the gastric antral epithelium in respect to H. pylori eradication. Methods: Twenty patients with H. pylori-positive chronic gastritis or peptic ulcer were studied. The expression of MMP-9 in the gastric antral biopsy specimen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H. pylori eradication using immunohistochemical study. The positive rates and intensity of MMP-9 staining were evaluated at surface mucous cells and pyloric gland cells. Results: The positive rate of MMP-9 staining in antral mucosal epithelial cells of H. pylori chronic gastritis is 63.8%. The positive rates of MMP-9 staining in the surface mucous cells and pyloric gland cells were 75.5% and 52.0% before H. pylori eradication, respectively. On the contrary, the rates were 85.5% and 82.0% after eradication. The MMP-9 overexpression in the pyloric gland cells were noticeably increased after H. pylori eradication. Strong positive staining of MMP-9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H. pylori eradication in the pyloric gland cell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MP-9 over-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H. pylori infection as a host inflammatory

response. The increased expression after H. pylori eradication indicates that MMP-9 may have a important role

in remodeling or early tissue repairing process of gastric mucosa. (Korean J Gastroenterol 2004;43:90-95)

Key Words: Helicobacter pylori; Matrix metalloproteinase-9; Eradication

(2)

안혁수 외 4인.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제균치료 후 MMP-9 변화

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Vacuolating cytotoxin (vacA)과 cytotoxin-associated antigen A (cagA)를 포함한 H. pylori 균주의 몇 가지 독성인자들이 알려져 있으며,4,5cagA 양성 H. pylori 균주에 감염된 경우 위염증과 위, 십이지장궤양 질환의 경과가 보다 심하고 위선암의 발생 빈도도 높다.6,7 H. pylori에 의해 유발되는 위, 십이지장 질환은 호중구, 림프구, 단핵구, 형질세포 등의 위점막 침윤과 관련이 있다.

염증세포의 침윤은 H. pylori에 의해 활성화된 위상피세포 가 여러 싸이토카인들(특히, IL-1β, IL-8)을 분비하는 숙주 반응 기전에 의해 일어나며, 상피세포의 싸이토카인/화학주 성 반응은 H. pylori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반응의 초기 단 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8 다른 숙주반응 기전으로는 β- defensin라는 항생물질 펩타이드의 분비에 관여한다.9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는 세포외 기질 단백질 을 분해하는 데 관여하는 아연 의존성 효소를 통칭하며, 다 양한 생리적 병리적 상황에서 결합 조직의 재형성에 관여 한다. Gelatinase A (MMP-2)와 gelatinase B (MMP-9)은 gelatins (type I, V), types IV, V, VII, X collagens, elastin, fibronectin을 분해한다. 위점막의 세포외 기질은 collagen, laminin, proteoglycan, elastin, fibronectin, hyaluronic acid와 같은 수많은 거대분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MMP-2는 위점 막 세포외 기질의 생리적 교체에 관여하고 MMP-9은 위궤 양 형성의 초기 단계에 중요할 것으로 추정된다.10 또한 MMP-9은 조기 위암에서 림프관 침범과 전이를 일으키는 데 중요한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11최근의 연구는 H. pylori 에 의해 MMP-9 유전자 발현이 활성화됨이 알려졌다.12러나, H. pylori와 연관된 위 병리에서 MMP-9 발현에 대한 연구는 별로 많지 않으며 특히 H. pylori 박멸 후 MMP-9 발현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H. pylori에 감염된 위점막에서 제균치료 전과 후의 MMP-9 발현의 변화를 비교해 보기 위해 면역조 직화학염색을 통해 MMP-9의 염색 양성률과 염색 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가지고 H. pylori의 유무에 따른 MMP-9의 위점막 내에서 발현 정도와 위치, 활성도의 변화 등을 분석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1. 대상

2000년 3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 소화 기내과에 속쓰림, 상복부 불편감 및 동통, 소화불량, 오심, 구토 등 위장관 증상으로 내원하여 상부위장관내시경을 시 행받은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상부위장관내시경 에서 소화성 궤양과 만성 표층성 위염과 만성 위축성 위염

소견을 보인 환자만을 선별하였고 역류성 식도염이 있거나 장상피화생이 있는 환자는 제외하였다. 환자의 동의 하에 위전정부 조직검사와 조직 요소분해효소검사(CLO test) 및

13C요소호기검사를 실시하였고 이들은 모두 조직검사에서 H. pylori에 의한 활동성 위염 소견과 후자의 두 검사에서 양성 소견을 보였다. 또 이들에게 OAC 처방으로 하루 amoxacillin 2 g, omeprazole 40 mg, clarithromycin 1 g을 투 여하여 H. pylori에 대한 제균치료를 시행하였다. 치료 종료 1개월 뒤 다시 상부위장관내시경검사를 시행하였고 처음처 럼 위전정부 조직검사와 조직 요소분해효소검사 및 13C요 소호기검사를 실시하여 제균 여부를 평가하였고 이 모든 검사에서 음성인 경우 제균된 것으로 판정하였다. 20명 모 두 성공적인 제균을 확인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 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의 임상적 특징은 남자는 9명이 었고 여자는 11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2세(32~65)였다.

내시경 소견은 위궤양이 4명, 십이지장궤양이 2명 그리고 만 성 위염을 보이는 경우가 14명이었다(Table 1).

2. 방법

1) 면역조직화학염색

환자의 위전정부에서 생검된 조직을 10% 중성 완충포르 말린에 고정한 후 파라핀에 포매하였다. 파라핀에 포매된 조직을 절편기로 4 µm로 잘라 H&E염색을 시행하였다. 면 역조직화학염색은 파라핀 절편을 아비딘-바이오틴-페록시 다제 복합체(avidin-biotin-peroxidase complex, ABC)법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간단하게 과정을 기술하면 조직 절 편들은 다른 반응 물질들의 비특이적 결합을 최소화하기 위해 먼저 차단 단백질로 처리한 후 마우스 anti-human MMP-9 (Chemicon International Inc., California, USA)로 4℃에서 하룻밤 배양하였다. 바이오틴이 부착된 2차 항체 로 1시간 배양하고 난 후 아비딘-바이오틴-페록시다제 복합 체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페록시다제 활성도 확인을 위 해 기질로서 3-amino-9-ethyl carbazole을 사용하여 관찰하 Table 1.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tudy Population

Clinical characteristics Patient number Sex (M/F)

Age (median) (years) Endoscopic diagnosis

Gastric ulcer Duodenal ulcer Chronic gastritis Histologic diagnosis

Helicobacter pylori gastritis, active 20 9/11 32-65 (42) 4

2 14 20

91

(3)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43, No. 2, 2004

였다. 또 조직 절편들은 hematoxylin으로 대조염색을 시행 하였다. 대조군으로 조직 절편들을 특이 단클론 항체 대신 비면역 마우스 면역글로불린(IgG)로 배양하고 이후 과정은 동일하게 시행하였다.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한 후 점막 소와부를 표재성 점액세포와 유문선세포로 구분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Fig. 1), 각각에서 H. pylori 제균치 료 전과 후의 MMP-9 염색 양성률과 염색 강도를 평가하였 다. 염색 양성률은 육안적으로 관찰하였을 때 염색된 세포 의 범위를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염색 강도는 강양성과 약 양성의 two scoring system으로 평가하였다.

2) 통계 분석

통계 처리는 염색 분포에 대해서 paired samples t test (two tailed independent t test)를 적용하였고 염색 강도에 대해서 χ2 test를 적용하여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 적으로 의의가 있다고 하였다.

결 과

1. H. pylori 제균치료 전과 후의 MMP-9 염색 양성률 의 변화

H. pylori 제균치료 전 MMP-9의 염색 양성률은 표재성 점액세포에서 75.5%였고 유문선세포에서 52.0%였다. 제균 치료 1개월 후 MMP-9의 염색 양성률은 표재성 점액세포에 서 85.5%, 유문선세포에서 82.0%였다. 각각 두 세포 군에 서 제균치료 전과 비교했을 때 치료 후의 MMP-9 염색 양 성률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표재성 점액세포의 경우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유문선세포에서만 유의하 게 증가하였다(각각 p=0.160, p=0.001). MMP-9의 염색 양 성률을 두 세포군으로 구분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제균치료 전과 후만을 비교해 보았을 경우 제균치료 전의 양성률이 63.8%에서 제균치료 후에는 83.8%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01) (Table 2).

2. H. pylori 제균치료 전과 후의 MMP-9 염색 강도의 변화

H. pylori 제균치료 전과 후 MMP-9의 염색 강도는 표재 성 점액세포에서 7명이 강양성에서 약양성으로 혹은 약 양 성에서 강양성으로 변화하였고(이 중 약양성에서 강양성으 로 변한 건 4명임), 유문선세포에서는 2명만이 약양성에서 강양성으로 변화하였다. 다시 말해 대상 환자 중 표재성 점 액세포에서는 35%, 유문선세포에서는 10%만이 염색 강도

Fig. 1.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MMP-9 in antral mucosa of H. pylori chronic gastritis before and after H. pylori eradication.

(A) It shows focal weakly positive MMP-9 staining of surface mucous and pyloric gland epithelial cells before H. pylori eradication (immunohistochemical stains, ×100). (B) In contrast, there were diffuse (>90%) strong positive MMP-9 staining of surface mucous cells and pyloric gland cells after H. pylori eradication (immunohistochemical stains, ×100).

Table 3. Comparison of Staining Intensity of MMP-9 before and after H. pylori Eradication

Cell types Staining intensity

(n=20) Before After Surface mucous cells weakly positive

strong positive

65%

35%

60%

40%

Pyloric gland cells weakly positive strong positive

100%

0%

10%

90%

Table 2. Positive Rates of MMP-9 Staining in the Antral Mucosa before and after H. pylori Eradication

Cell types Positive rates (n=20)

p value Before After

Surface mucous cells Pyloric gland cells

75.5%

52.0%

85.5%

82.0%

0.160 0.001 Total 63.8% 83.8% 0.001 92

(4)

Ahn HS, et al. The Changes of MMP-9 Expression after H. pylori Eradication

의 변화가 있었고 나머지 환자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전체 적으로 비교해 두 세포군에서의 제균치료 전과 후 염색 강 도의 변화율을 살펴보면 표재성 점액세포에서는 제균치료 전 강양성은 35%, 약양성은 65%였고, 제균치료 후 강양성 은 40%, 약양성은 60%였다. 유문선세포에서는 제균치료 전 강양성이 0%, 약양성이 100%였고, 제균치료 후 강양성 이 90%, 약양성이 10%였다. 즉, 제균치료 후 유문선세포에 서 양성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able 3).

고 찰

H. pylori가 위염이나 소화성 궤양을 유발하는 데 일반적 으로 네 가지 정도의 기전이 관여한다. 첫째는 지방분해효 소나 단백분해효소 같은 다양한 효소들을 분비하여 점액세 포들을 분해시킴으로서 점액층을 파괴시킨다. 둘째는 위벽 에서 요소분해효소가 요소로부터 암모니아를 생성하여 점 액층에 병변을 유발한다. 셋째는 lipopolysaccharide 같은 세 포 표면 항원들을 통해 많은 종류의 염증세포들을 자극하 여 인터루킨같은 싸이토카인을 분비케 한다.13 이들의 일부 는 MMP-9의 생성을 유도할 수도 있다. 넷째는 염증세포를 유도하고 활성화시키는 vacA, cagA 같은 세포독성 물질들 을 분비한다.14

염증에 의한 조직 손상 후 복구 과정은 일련의 세포학, 그리고 생화학 현상들이 뒤따르고 결과적으로 새로운 결합 조직이 형성된다. 즉 이들 과정은 염증, 증식, 조직 재형성 이라는 중복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처의 치유 동안 조 직 재형성과 세포 이동은 세포외 기질의 조절된 분해와 성 장인자들의 분비 혹은 활성화가 요구된다. 조직들에 존재하 는 세포들은 주변 세포외 기질의 거대분자들을 분해시키는 효소를 분비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효소의 대표적 인 예가 MMPs이다. MMPs는 collagenases (MMP-1, MMP-8, MMP-13), gelatinases (MMP-2, MMP-9), stromelysins (MMP-3, MMP-10, MMP-11, MMP-7, MMP-12), membrane- type MMPs (MMP-14∼17, MMP-24) 등 약 16종류의 아형 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특징적으로 전효소 형태로 분비 되고 활성 부위에서 아연 이온을 가지며 세포외 활성화를 한다.15MMPs는 콜라겐과 세포외 기질의 분해뿐 아니라 세 포외 기질의 turnover를 조절함으로써 조직의 형성과 유지 그리고 재형성에 관여한다. MMPs는 체내에서 이러한 작용 기전을 통해 생리학적으로는 태아의 발생, 상처의 치유 등 에 관여하며, 병리학적으로는 암세포의 침윤 및 전이, 폐 질환이나 관절염 등과 같은 염증 과정에서 조직의 파괴에 관여한다. 특히 종양세포의 표면에서 발현되어 생성된 MT-MMP (membrane type-MMP)의 활성화는 종양세포의 침윤과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6,17

소화기관은 다양한 세포들과 많은 세포외 기질들로 구성 된다. 위벽의 세포외 기질들은 collagen, laminin, proteoglycan, 그리고 기타 물질들로 이루어진다. 이 중 collagen은 펩신이 나 설퓨릭산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아연의존성 endopeptidase 인 MMPs와 같은 특이 효소에 의해 분해된다. 정상적인 위 조직에서는 MMPs가 아주 낮은 수준으로 발현되거나 발현 되지 않지만 위장 질환이 발생한 경우 병리적인 재형성 과 정 동안 유전자 발현이 상향 조절되어 염증과 관계된 다형 핵구, 대식구, 섬유아세포 등에서 생성되어 분비된다. 따라 서 MMPs는 위장 질환의 발병 과정에도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이들 MMPs 중 MMP-2와 MMP-9 그리고 MMP-1, MMP-3 등이 위암이나 위궤양의 병인에 관련이 있는지 여부와 H. pylori의 감염이 MMPs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거나 보고되고 있다.18-23 MMP-9은 위궤양 형성의 초기 단계와 치유 과정에서 중요하며,10 위암에서 MMP-9이 과발현되어 있었고, 과발현되면 전이 가능성이 증가한다.11H. pylori 감 염이 위상피세포에서 MMP-9 발현을 유발하고 MMP-9은 H. pylori 양성 위점막에서 발현된다.12 H. pylori는 세포내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nuclear factor κB의 활성화를 유도하 여 MMP-9 유전자의 전사를 일으킨다. 또한, 궤양이 있는 경우 MMP-9의 발현이 H. pylori 양성인 궤양에서 음성인 경우보다 높았다. H. pylori 음성인 궤양의 대부분은 비스테 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유발성 궤양이었으며, 임상적으로 H.

pylori 양성 궤양에 비해 치유기가 더 길고 합병증 발생률 이 더 높은 점을 고려할 때 MMP-9이 조직 재형성과 조직 복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MMP-9이 H. pylori와 연관된 위염 혹은 소화 성 궤양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고, 만약 관련이 있다면 이들이 어떠한 역할을 할 것인지와 치료의 목표물 로 이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

pylori 감염이 확인된 만성 활동성 위염 혹은 소화성 궤양 환자의 위점막에서 제균치료 전후의 MMP-9의 염색 양성 률과 염색 강도를 면역조직화학 연구를 통해 측정하여 그 결과를 근거로 MMP-9과 H. pylori와의 연관성 등을 추정하 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H. pylori 감염시 제균치료 후 에 MMP-9의 염색 양성률과 염색 강도가 증가하였으며 특 히 유문선세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정상적인 위점막 세포는 MMPs를 분비하지 않지만 H. pylori에 감염이 되면 위 점막에 염증세포 침윤이 일어나고 이들에서 분비된 싸 이토카인 등에 의해 많은 MMPs의 mRNA가 발현되어 전 효소 형태로 분비되게 된다. 이 중 MMP-9의 mRNA도 다 형핵백혈구와 대식구에서 발현되어 대부분 latent form의 전효소로 생성되어 과립 내에 존재한다. 즉 MMP-9도 다른 MMPs와 함께 H. pylori 감염에 대한 숙주내 면역반응의 일 93

(5)

대한소화기학회지: 제43권 제2호, 2004

부분으로서 분비되는데 이는 위점막 염증이나 궤양 등의 조기 치유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MMP-9 mRNA의 발현을 조절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가 몇 가지 있다. 첫째는 상처 치유 과정 동안 각각의 조직에서 세포 형태에 따라 성장인자들과 싸이토카인 등이 특이적 방법을 통해 조절한다. 둘째는 간질성 기질과 기질 결합 수용체들의 구성 차이가 발현 양상을 지시한다. 셋째 는 미세 환경 인자 및 tissue inhibition of metalloproteinase (TIMP)와의 상호작용이다. 따라서 H. pylori 감염이나 제균 치료도 위 과정에 각각 영향을 미쳐 MMP-9 mRNA의 발현 을 조절하리라고 생각된다. 즉 제균치료 후 MMP-9의 분비 가 더욱 증가된 것은 아마도 H. pylori에서 분비되는 세포 독성 물질이나 싸이토카인의 일부가 MMP-9의 발현을 하 향 조절하거나 생성된 효소의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다가 제균된 이후에는 H. pylori가 소멸되어 이러한 기능도 함께 소실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 상처 치유 과정의 조기 단 계에서 MMP-9이 gelatinolytic activity를 나타내는데, 제균 치료가 이들 MMP-9의 mRNA 발현을 상향 조절시켰기 때 문으로 추측되지만 이에 관련된 세포내 물질이나 그 과정 은 명확하지 않다. 그 밖에도 제균치료에 사용되는 proton pump inhibitor가 oxygen- derived free radicals의 생성을 자 극하여 위점막의 염증반응을 변화시킴으로써 MMP-9의 발 현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는 걸 생각해 볼 수 있다.24 H.

pylori에 의한 위점막 염증에서 MMP-9 mRNA를 발현시키 는 가장 중요한 세포는 앞에서 언급했듯이 대식구 유사 세 포인데 MMP-9의 생성 증가가 유문선세포에서 이루어진 걸로 보아 대식구가 제균치료 후에 유문선세포 근처로 많 이 이동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위점막에서 염증반응의 회 복 및 상처의 치유와 관련된 일련의 과정이 주로 유문선세 포 근처에서 일어난다고 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침윤된 여 러 염증세포 중 대식구 유사 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들로 보아 H. pylori 감염 자체가 MMP-9을 포 함한 여러 MMPs의 분비를 유도하고 이들 MMPs는 병태생 리학적으로 서로 다른 다양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된다. 이 중 MMP-9의 과발현은 H. pylori 감염과 관련된 숙주의 염 증반응임을 의미하며, 제균치료 후 발현율이 증가하는 것 은 MMP-9이 위점막의 조직 재형성 혹은 복구 과정에서 중 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점막의 염증의 회복 과정에서 유문선세포가 표재성 점액세포보다 중요할 것으 로 여겨진다. 추후 MMP-9의 역할과 H. pylori의 연관성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요 약

목적: 본 연구에서는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위전정부 상피세포에서 H. pylori 제균치료 후 MMP-9 발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H. pylori에 감염된 만성 위염 혹은 소화성 궤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위전 정부 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이용하여 H. pylori 제 균치료 전과 후의 MMP-9의 발현을 비교하였다. MMP-9의 염색 양성률과 염색 강도는 두 종류의 세포군, 즉, 표재성 점액세포와 유문선세포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H.

pylori에 감염된 만성 위염 혹은 소화성 궤양 환자들의 위 전정부 점액 상피세포에서 MMP-9 염색 양성률은 63.8%였 다. 표재성 점액세포와 유문선세포에서 MMP-9의 염색 양 성률은 제균치료 전에 각각 75.5%와 52.0%였고, 제균치료 후에는 85.5%와 82.0%로 유문선세포에서 제균치료 후 유 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유문선세포에서 H. pylori 제균치 료 후 MMP-9의 강양성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이 상의 결과들은 MMP-9 과발현이 H. pylori 감염과 관련된 숙주의 염증반응임을 의미하며, 제균치료 후 발현율의 증 가는 MMP-9이 위점막의 조직 재형성 혹은 복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위점막의 염증의 회복 과정에서 유문선세포가 표재성 점액세포보다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 다.

색인단어: H. pylori 감염, MMP-9, 제균

참 고 문 헌

1. Fujioka T, Honda S. Helicobacter pylori as pathogenesis of peptic ulcer. Med Pract 1996;13:1818-1823.

2. Malfertheiner P, Megraud F, Rauws E, et al. Current european concepts in the management of infection: the Maastricht Concensus Report. Eur J Gastroenterol Hepatol 1997;9:1-2.

3. European Helicobacter pylori Study Group. Current european concepts in the manage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the Maastricht Concensus Report. Gut 1997;41:8-13.

4. Phadnis SH, Ilver D, Janzon L, Normark S, Westblom TU.

Pathological significance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 vacuolating toxin gene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 Immun 1994;62:1557-1565.

5. Covacci A, Censini S, Bugnoli M, et al.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 128-kDa immunodominant antigen of Helicobacter pylori associated with cytotoxicity and duodenal ulcer. Proc Natl Acad Sci USA 1993;90:5791-5795.

6. Crabtree JE, Taylor JD, Wyatt JI, et al. Mucosal IgA recognition of Helicobacter pylori 120 kDa protein, peptic ulceration, and gastric pathology. Lancet 1991;338:332-335.

94

(6)

안혁수 외 4인.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제균치료 후 MMP-9 변화

7. Blaser MJ, Perez-Perez GI, Kleanthous H, et al. Infection with Helicobacter pylori strains possessing cagA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Cancer Res 1995;55:2111-2115.

8. Noach LA, Bosma NB, Jansen J, Hoek FJ, van Deventer SJ, Tytgat GN. Mucosal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1 beta, and interleukin-8 production in patients with Helico- bacter pylori infection. Scand J Gastroenterol 1994;29:425- 429.

9. Wada A, Mori N, Oishi K, et al. Induction of human β- defensin-2 mRNA expression by Helicobacter pylori in human gastric cell line MKN45 cells on cag pathogenicity island.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99;263:770-774.

10. Lempinen M, Inkinen K, Wolff H, Ahonen J. Matrix metalloproteinases 2 and 9 in indomethacin-induced rat gastric ulcer. Eur Surg Res 2000;32:169-176.

11. Kabashima A, Maehara Y, Kakeji Y, Baba H, Koga T, Sugimachi K.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over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intramucosal gastric carcinoma with lymph node metastasis. Clin Cancer Res 2000;6:3581- 3584.

12. Mori M, Sato H, Hayashibara T, et al. Helicobacter pylori induces matrix metalloproteinase-9 through activation of nuclear factor κB. Gastroenterology 2003;124:983-992.

13. Leunk RD, Johnson PT, Morgan DR, et al. Cytotoxic activity in broth-culture filtrates of Campylobacter pylori. J Med Microbiol 1988;26:93-99.

14. Maeda S, Ogura K, Yoshida H, et al. Major virulence factors, VacA and CagA, are commonly positive in Helicobacter pylori isolates in Japan. Gut 1998;42:338-343.

15. Otani Y, Okazaki I, Arai M, et al. Gene expression of interstitial collagenase (matrix metalloproteinase-1) in gastrointestinal tract cancers. J Gastroenterol 1994;29:391-397.

16. Woessner Jr. Matrix metalloproteinases and their inhibitors in connective tissue remodelling. FASEB J 1991;5:2145-2154.

17. Stetler-Stevenson WG, Aznavoorian S, Liotta LA. Tumor cell interactions with the extracellular matrix during invasion and metastasis. Annu Rev Cell Biol 1993;9:541-573.

18. Shen KH, Chi CW, Lo SS, Kao HL, Lui WY, Wu CW.

Serum matrix metalloproteinase-9 level associated with stromal reaction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ticancer Res 2000;20:1307-1310.

19. Koumura H, Sugiyama Y, Kunieda K, Saji S. Significance in gen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 proteinase for metastases of gastric and/or colo-rectal cancer.

Gan To Kagaku Ryoho 1997;24(suppl 2):324S-331S.

20. Endo K, Maehara Y, Baba H, et al. Elevated levels of serum and plasma metalloproteinases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ticancer Res 1997;17:2253-2258.

21. Torii A, Kodera Y, Uesaka K, et al. Plasma concentr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in gastric cancer. Br J Surg 1997;

84:133-136.

22. Yokoyama T, Otani Y, Kurihara N, et al. Matrix metallo- proteinase expression in cultured human gastric wall fibroblasts- interactions with Helicobacter pylori isolated from patients with ulcers. Aliment Pharmacol Ther 2000;14:193-198.

23. Inkinen K, Turakainen H, Wolff H, Ravanti L, Kahari VM, Ahonen J. Expression and activity of matrix metallo- proteinase-2 and -9 in experimental granulation tissue. APMIS 2000;108:318-328.

24. Suzuki M, Suzuki H, Kitahora T, et al. Proton pump inhibitor modifies inflammatory reaction of human gastric mucosa infected by Helicobacter pylori. Aliment Pharmacol Ther 2002;16(suppl 2):229S-234S.

95

수치

Fig. 1.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MMP-9 in antral mucosa of H. pylori chronic gastritis before and after H

참조

관련 문서

다양한 번역 작품과 번역에 관한 책을 읽는 것은 단순히 다른 시대와 언어, 문화의 교류를 넘어 지구촌이 서로 이해하고 하나가

The index is calculated with the latest 5-year auction data of 400 selected Classic,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rtists from major auction houses..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Lim Je criticized the Joseon society with Sayukshin's loyalty to Danjong in 「Wonsaengmongyurok」 while Kim Soo-Min showed definitely that he respected the

However, with the changes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up, the new patriotism emerged in recognition of the

In a recent study ([9]), Jung and Kim have studied the problem of scalar curvature functions on Lorentzian warped product manifolds and obtaind par- tial results about the

Changes in functional physical fitness, after the experiment compared to before the experiment in the group of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is study suggested diversity in the configuration of expression through expression of abstract images, the style of modern painting, which are expr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