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학교육의 성격 변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대학교육의 성격 변화"

Copied!
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6 17

코로나와 4차 산업혁명을 넘어: 대학교육 혁신의 과제

Science & Technology Policy l 과학기술정책 포커스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정책과제

유한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대학교육의 성격 변화

트로우(M.Trow)는 대학 진학률에 따라 대학의 성격이 변 화한다고 본다. 대학 진학률이 15% 미만일 경우에는 ‘엘 리트 교육’, 15%에서 50%까지는 ‘대중 교육’, 50% 이상 일 때는 ‘보편 교육’으로 구분한다(Trow, 1974).

엘리트 교육에서 대학은 합리적 이성을 갖춘 전인적 인 간의 형성을 목적으로 운영된다. 학생은 공통적인 기준 을 갖춘 동질적인 엘리트 집단으로 구성되고, 대학의 운 영은 교수에 의하여 소규모 엘리트 집단의 비공식적 소 통을 통해 이루어진다. 대중 교육에서 대학은 지식 및 기 능의 전달을 목적으로 다양한 전문가의 양성을 목적으 로 운영되고, 대학의 운영은 관료화된 행정전문가에 의 해 이루어진다. 대학 운영에서 교수의 영향력이 약화되

고, 관료조직과 조직 구성원의 민주적 의사결정에 의존 한다. 보편 교육에서 대학은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학생 들을 대상으로 공통 역량과 직업 역량을 중심으로 다양 한 형태로 운영된다. 특히 과거에 비해 직업 경로를 중 심으로 미래 직업에 필요한 역량을 키우는 교육이 점차 중심을 차지하게 되는 직업 교육화 현상이 나타난다. 학 생의 구성과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으로 대학의 공통 된 특성을 찾기는 어렵고, 대학의 형태도 전통적인 캠퍼 스 중심의 대학에서 원격 대학이나 주말 대학 등 여러 형 태로 나타난다.

대학 교육의 성격 변화는 지식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엘리트 대학이 지배적이던 시대에는 지식의 폭과

[표 1] 고등교육 변화 유형에 따른 대학의 기능 변화

출처: 김안나, 이병식(2004: 418)

고등교육의 단계 엘리트형 대중형 보편형

고등교육의 기회 소수자의 특권 상대적 다수의 권리 만인의 의무

고등교육의 목적관 인간형성, 사회화 지식, 기능의 전달 새로운 넒은 경험의 제공

고등교육의 주요기능 엘리트, 지배계급의 정신과 성격의 형성

전문화, 분화된 엘리트 양성 + 사회지도층의 육성

산업사회에 적응할 국민의 양성

교육과정 고도로 구조화 구조화, 탄력화 비구조화

교육방법과 수단 개인지도, 세미나 강의, 파트타임형 통신, TV, 컴퓨터

진학, 취학 유형 중등교육 수료 후 바로 진학, 낮은 탈락률

중등교육 수료 후 바로 진학, 탈락률 증가

성인・근로청소년・직업경험자의 재입학 급증

고등교육기관의 특색 수준의 동질성 수준의 다양성,

종합 교육기관의 증대

극도의 다양성, 공통의 일정수준 상실 사회와 대학과의 경계 명확한 구분

(닫혀있는 대학)

상대적으로 희박 (열린 대학)

경계・구분의 소멸 (대학과 사회와의 일체화) 권력의 소재 및

의사 결정의 주체 소규모 엘리트 집단 엘리트 집단 + 이익집단

+ 정치집단 일반대중

학생 선발의 원리 중등교육 성적, 선발주의, 능력주의 능력주의 + 개인의

교육기회의 균등화 원리 만인을 위한 교육보장 대학 관리자의 특색 비전문 대학인의 겸임 전임화 된 대학인

+ 거대한 관료 스텝 관리전문직

(2)

18 19

깊이가 현재에 비해서 현저히 낮고, ‘합리성’이라는 하 나의 틀로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었다. 이 시대에는 ‘보편적 합리성’을 갖춘 인재의 양성이 가능하 였다. 산업혁명으로 사회가 좀 더 복잡해지고 전문적인 지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더 이상 합리적 이성을 갖춘 것으로는 문제의 해결이 불가능해 졌고, 특히 과학 기술 분야의 전문적 지식을 갖춘 전문가의 필요성이 증 가하였다. 많은 수의 전문가 집단의 수요로 인해 대학은 전통적인 엘리트 교육에서 전문 지식인을 양성하는 대 중교육 체제로 변화한다. 보편적 대학 교육의 등장은 지 식과 기술의 폭발적 증가와 이를 활용하는 대규모 인력 의 필요와 맞다아 있다. 특히 제조업에서 지식 서비스업 으로 산업의 중심이 전환되는 산업구조 변화에 대한 요 구와 사회적 지위 상승을 위한 고등교육 보편화의 사회 적 요구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현재의 고등교육 보편화 현상에 대하여, 한숭희와 이은 정(2016)은 ‘수요의 보편화’, ‘공급의 복합화’, ‘체계적 융합화’로 세 가지 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수요의 보편화는 대학 진학자 수의 증가와 평생교육의 확대로 인한 대학 교육 수요의 증가를 의미한다. 공급의 복잡화 는 기존 대학의 정규 교육과정에 더하여, 비학위 과정의 운영, 학문 중심 교육과 직업 중심 교육의 혼재, 융합형 교육의 도입 등 교육 공급 방법과 수단의 다양화를 의미 한다. 체제의 융합화는 전통적 학위 제도와 직업 교육의 자격 제도가 융합하고, 이를 상호 인정하는 체제가 구축 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대학의 변화 과정은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난 다. 1980년 대학 정원 확대와 대학 졸업정원제 실시 이 전까지의 시기가 엘리트 교육의 단계에 해당하고, 1980 년 이후 1996년 대학설립준칙주의가 실시되기 이전까 지의 시기가 대중 교육의 단계에 해당하며, 1996년 대

학설립준칙주의 시행이후 현재까지가 보편 교육 단계에 해당한다. 우리나라에서도 대학이 보편 교육 단계로 변 화하면서 대학 교육이 학생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 로 나타났다. 일부 상위권 대학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대 학은 학과구조를 직업중심으로 바꾸고, 취업을 교육의 중요한 목적으로 제시하였다. 대학 졸업자의 증가와 대 학 졸업자의 취업난으로 인해 정부에서도 대학 평가에 서 취업률 지표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게 되면서, 대 학의 직업 중심 학과 개혁과 직업 중심 교육은 더욱 강 화되었다.

결국 대학 진학률의 증가와 이로 인한 대학 교육의 성격 변화는 대학 교육이 더이상 엘리트나 전문가의 양성이 라는 공유된 가치에서 벗어나 학문적 지식에서 직업적 기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고, 이 를 ‘대학 교육의 직업교육화’로 볼 수 있다.

4차 산업혁명과 대학교육의 변화 양상

4차 산업 혁명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은 일자리의 변화 에 따른 ‘교육 내용의 변화’와 4차 산업 혁명의 기술적 성과를 교육에 활용하는 ‘교육 방법의 변화’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먼저 4차 산업혁명에 의해 야기되는 기술과 지식의 혁 신은 일자리의 변화와 일자리 내의 직무의 변화로 나타 난다. 일자리의 변화는 자동화 기술과 인공지능의 발달 로 단순한 직업을 중심으로 기계에 의해 대체되고, 인 공지능 분야와 같이 기술 발전에 의해 융복합적으로 나 타나는 새로운 분야의 일자리가 새로 생겨날 것으로 예 측한다. 세계경제포럼(2016)은 제4차 산업혁명의 기 술 혁신으로 인해 2020년까지 210만개의 새로운 일 자리가 생겨나고, 710만개의 일자리가 소멸할 것으로 예측했다. 일자리 자체의 감소와 증가뿐만 아니라 일자

Science & Technology Policy l 과학기술정책 포커스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정책과제

리 내에서의 직무의 성격도 단순한 지식과 기능에 의 존하는 직무에서 창의적이고 복합적인 문제 해결을 요 구하는 직무로 변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코노미스 트지는 2020년에 가장 중요해 질 직무 능력을 맥락 파 악(Sensemaking), 사회적 지능(Social Intelligence), 참신하고 적응할 수 있는 사고(Novel and Adaptive Thinking), 다문화역량(Cross-cultural Competency), 뉴미디어 리터러시(New Media Literacy), 초학 문적 능력(Transdisciplinary), 디자인 마인드셋 (Design Mindset), 인지적 부하 관리(Cognitive Load Management), 가상 협력(Virtual Collaboration) 등 10가지를 제시하였다(최연구, 2017).

또한 4차 산업혁명에 의한 기술 진보는 대학의 교육 내 용과 교육 방법의 변화를 이끌었다. 지식과 기술의 급 격한 변화는 제한된 지식 교육에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우리나라 거의 대부분의 대학이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에서 역

량중심 교육모형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구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성과로 나타나는 융합 적 기술의 발전이 대학의 교육 방법을 효율화하는 방 향으로 활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대학이 학습관리시스 템(Learning Management System)을 교육의 보조적 인 도구로 활용하고 있고, 학생역량관리시스템을 구축 하여 체계적인 역량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중부권의 H 대학은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자동출결을 확인할 수 있 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더 이상 출석체크를 교수가 직접 수행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였다.

지식정보사회에서부터 전통적인 강의토론식 수업의 대안으로 제시되었던,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1)

, 블랜디드러닝(Blended Learning)

2)

, 프로젝트수업 (Project Based Learning)

3)

등의 혁신적인 교수학습 방법은 4차 산업혁명의 기술적 진보와 융합하면서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최근의 대학 교육의 변화는 역량중심 교육을 통하여, 지

[그림 1] M대학의 인재상 및 핵심역량

(3)

20 21

참고문헌

- 김안나, 이병식(2004). 한국 고등교육의 보편화에 따른 대학 재구조화의 현 황과 정책 방향. 한국교육, 31(2), 415-440.

- 한숭희 이은정(2016). 고등교육 보편화와 체제적 복잡화:고등교육과 평 생학습의 화학적 결합, 「평생학습사회」 제12권 제1호(2016. 2. 29), pp.

1-31. 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 최연구(2017). 4차 산업혁명시대의 미래교육 예측과 전망. Future Horizon, 33, 32-35.

- Trow, M.(1974). “Problems in the transition from elite to mass higher education,”in Polices for higher education, Paris: OECD.

- World Economic Forum(2015). New Vision for Education: Unlock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 Geneva, Switzerland

식 자체가 아니라 지식을 다루고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인재의 양성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를 위 하여 전통적인 강의실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의 교수학습 방법의 시도로 요약할 수 있다.

COVID-19와 대학교육 혁신의 과제

대학이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교육내용과 방법에서 점진적인 변화를 겪고 있는 과정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의 창궐은 대학 교육의 급격한 변화와 혁신을 요구하게 된다. 대면 수업에서 비대면 수업으로의 전환이 강제되 었고, 비대면 수업에 대한 준비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 대학은 교육의 질적 하락에 대한 학생들의 반 발(수업료 반환 운동)에 직면하게 된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행으로 인해 이제 대학의 수업 지 원 시스템은 비대면 수업을 전면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적 전환은 아직 도 4차 산업 혁명이 요구하고 있는 혁신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를 수용하기에는 제한적이다. 현재 온라인 수업의 대부분은 단지 강의식 수업을 화상으로 대체하 는 수준에 머물러 있고, 온라인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 용하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구현되고 있지는 않다.

대학 교육의 보편화와 역량중심의 대학 교육 모형의 등 장, 기술 진보를 반영하는 혁신적인 교수 학습 방법의 적 용 등 최근의 대학 교육 변화에 대한 요구는 코로나 바이 러스의 창궐을 통해 그 변화 속도가 더욱 가속화될 것이 다.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법적, 제도적 변화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첫째, 대학 교육의 보편화를 반영하고 지원할 수 있는 법 적, 제도적 개혁이 필요하다. 고등교육법에서는 고등교 육기관을 대학, 산업대학, 교육대학, 전문대학, 원격대 학, 기술대학, 각종학교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거의 모 든 대학이 직업교육을 중심으로 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현실에서 현재의 대학 유형 구분은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다. 대학의 성격변화를 반영하는 새로운 대학에 대한

Science & Technology Policy l 과학기술정책 포커스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정책과제

법과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의 교육 내용과 방법의 변화를 지원할 수 있 는 인프라의 구축이다. 역량중심 교육의 시행, 플립러닝 이나 프로젝트 수업과 같은 교수학습 방법의 혁신이 효 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인 프라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점차 확산하고 있 는 무크(Massive Open Online Course)는 2019년을 기준으로 100개 이상의 대학이 참여하여, 700 여개의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대학 교육 전반에 서 전면적으로 활용하여 혁신적 수업을 수행하기에는 그 양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또한 이를 플립러닝에서 보조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적재산권의 문제도 해 결되어야 한다.

셋째, 4차 산업혁명의 융복합적 기술을 대학교육에 활 용할 수 있는 지원 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혁신적인 교수학습방법은 대부 분 외국에서 개발된 것이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성

공적인 대처가 ‘K-방역’이라고 할 수 있는 것처럼 한국 형 온라인 대학 교육의 성공을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 방 법의 개발과 보급에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창궐이 비대면 수업의 전면적 시행 으로 대학 교육의 질적 저하를 가져왔지만, 이를 통해 모 든 대학에 온라인 수업 시스템이 구축됨으로써 향후 4차 산업혁명에서 요구하고 있는 교육내용의 변화와 교수학 습 방법의 혁신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 였다. 이번 사태를 기회로 활용하여 대학 교육의 개혁방 안을 수립한다면 한국 대학이 세계적인 대학으로 발전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1) 강의는 수업 전에 동영상이나 교재 등을 통해 미래 수행하고, 수업 시간에 는 문제 중심의 토론을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

2)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수업의 목적을 달성하고 자하는 수업 형태로 토론, 현장실습, 실험실습 등의 교수학습 방법을 복 합적으로 활용

3) 학습자와 교수자가 협력하여 설정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설정하고

이를 프로젝트 형태로 실행함으로써 문제해결 능력을 강조하는 복합적

수업 형태

참조

관련 문서

코로나 이후 온라인을 통한 기업 미팅 수요가 매우 높으나, 온라인 바이어

○ 그러나 정부는 그동안 기존 설비와 신규 설비를 구분하지 않고 가능한 모 든 기저설비에 대한 초과이윤을 흡수하는 정책을 고수함으로써 발전 사업

다만, 질적 평 가위원의 과반수가 지원자의 최종 학위 대학이 분야별 세계 최상위 대학에 포함된다고 인정하는 경 우에는 예외로 할 수 있다... 질적

4차 산업혁명 시대에 Smart Society 실현을 위해 첨단 기술력을 바탕 으로, 브랜드파워를 갖춘 세계 유일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끊임없이 도전하고 전문가 의 길을

[r]

이곳에는 베이 징 대학, 칭화 대학, 중국과학아카데미 등 중국을 대표하는 대학들과 다양한 연구 기관들이 위치해 인재 양성은 물론, 이를 통해 개발된 신기술들이 상업화 되고

비대면, 온라인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할 뿐만 아니라 에듀테크의 발달과 함께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동기를 촉진하여 다양한

 기능주의자들은 사회가 규범, 가치, 도덕에 의해 비공식적으로 유지된다고 보는 경향이 있는 반면, 갈등이론가들은 사회 내 모 든 질서는 정상에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