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性 類 型 化 된 옷 이 兒 童 의 놀 이 親 舊 選 擇 에 미 치 는 影 響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性 類 型 化 된 옷 이 兒 童 의 놀 이 親 舊 選 擇 에 미 치 는 影 響"

Copied!
6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性 類 型 化 된 옷 이 兒 童 의 놀 이 親 舊 選 擇 에 미 치 는 影 響

碩 士 學 位 論 文

國 民 大 學 校 敎 育 大 學 院

幼 兒 敎 育 專 攻

1 9 9 9

(2)
(3)

性 類 型 化 된 옷 이 兒 童 의 놀 이 親 舊 選 擇 에 미 치 는 影 響

指 導 敎 授 張 彦 孝

이 論 文 을 碩 士 學 位 請 求 論 文 으 로 提 出 함 2 0 0 0 年 4 月

國 民 大 學 校 敎 育 大 學 院

幼 兒 敎 育 專 攻

1 9 9 9

(4)

桂 永 煥 의

碩 士 學 位 請 求 論 文 을 認 准 함

2 0 0 0 年 6 月

審 査 委 員 長

審 査 委 員

審 査 委 員

國 民 大 學 校 敎 育 大 學 院

(5)

국 문 요 약 ⅳ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1. 성고정관념과 성역할 4

2. 성유형화된 놀이활동 12

3. 놀이친구의 선호성 15

4. 성유형화된 옷 16

Ⅲ. 연구방법 19

1. 연구대상 19

2. 연구도구 20

3. 연구절차 23

4. 자료처리 27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8

1. 아동의 놀이친구 선호도 28

2. 아동의 놀이친구와 놀이활동과의 상관관계 37

Ⅴ. 논의 및 결론 39

(6)

1. 논의 39

2. 결론 및 제언 40

참고문헌 43

영문초록 51

부록 54

(7)

표 목 차

〈표 1〉 연구대상 아동의 성별 및 연령 빈도수와 비율 19

〈표 2〉 남자아동의 놀이친구 선호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29

〈표 3〉 남자아동의 놀이친구 선호도에 대한 변량분석 30

〈표 4〉 남자아동의 친구의 성별에 따른 평균과 표준편차 31

〈표 5〉 여자아동의 놀이친구 선호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33

〈표 6〉 여자아동의 놀이친구 선호도에 대한 변량분석 34

〈표 7〉 여자아동의 친구의 성별에 따른 평균과 표준편차 35

〈표 8〉 여자아동의 옷 유형에 따른 평균과 표준편차 36

〈표 9〉 아동의 놀이친구와 놀이 활동과의 상관관계 37

그 림 목 차

〈그림 1〉 성 유형화된 옷을 입은 아동의 사진 21

〈그림 2〉 놀이활동 그림카드 22

〈그림 3〉 남자아동의 연령과 친구의 성별과의 상호작용 비교 32

〈그림 4〉 여자아동의 친구의 성별과 옷 유형과의 상호작용 비교 36

(8)

국 문 요 약

본 연구는 성유형화된 옷이 아동들의 놀이친구와 놀이활동 선택에 영향 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은 구체적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성유형화된 옷이 놀이 친구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성유형화된 옷이 놀이활동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가?

실험은 대전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 40명과 초등학 교에 재학중인 아동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Alber s (1998)의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를 바탕으로 성유형화된 옷을 입은 아동의 사진 6장과 성유형화된 놀이활동 카드 6장을 제작하였다.

본 실험은 연구자와 보조 연구자가 2인 1조로 유아 개개인을 대상으로 성유형화된 옷을 입은 아동의 사진을 이용하여 성유형화된 옷이 놀이친구 선호도 및 놀이활동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구의 성이 놀이친구를 선택하는데 미치는 영향은 P < .001수준에 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고, 남자아동들은 놀이친구로 남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아동들은 여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요인별 상호작용에서 남자아동의 연령과 친구의 성은 P < .01로

(9)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7세 남자아동이 4세 남자아동보다 동성의 친구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유형화된 옷이 놀이친구를 선택하는데 미치는 영향은 여자아동 에서만 P < .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로 나타났다. 따라서 옷 유형에 따라 여자아동이 선호하는 놀이친구는 남성적인 옷을 입은 아동보 다 여성적인 옷을 입은 아동과 중성적인 옷을 입은 아동을 더 선호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유형화된 옷이 놀이선택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χ

2한 결과 P<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아

동의 경우 성유형화된 옷이 놀이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 되었고 여자아동의 경우에는 중성적인, 여성적인 옷을 입은 아동이 놀이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적인 옷을 입은 여자아동은 놀이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아동이 놀이친구를 선택할 때 성이 중요한 요인이 되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태도나 행동 특성을 통제하므로 성유형화 가 강화되어 동성 놀이친구 선호경향이 더욱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아동들은 놀이친구들의 성유형화된 옷과 일치하는 성유형화된 놀이활동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Ⅰ . 서 론

1 . 연 구 의 필 요 성 및 목 적

인간은 선천적으로 신체적인 구조와 생리적 기능에 의해 남자와 여자 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개인은 한 남자로서 한 여자로서 그들 자신의 성 역할에 따라 적절하게 행동한다. 이러한 성역할은 개인의 외적 행동, 정서 적 반응, 인지적 기능, 내적 태도, 심리적인 적응 및 사회적 적응과정에 가 장 중요한 기준이 된다. 때문에 사회화과정에서 가장 기본적인 문제로 주 목되고 연구되었다(안선영, 1989).

각 문화권내에서 성별에 따라 남성적 특성이나 여성적 특성으로 규정 짓는 행동과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어릴 때부터 남녀 어린이들은 각기 그 들을 대하는 태도, 그들이 갖고 그들이 입고 있는 특성이 남자는 남자답게 여자는 여자답게 성장하는 과정 속에서 계속 그들의 성별에 따른 행동 양 식을 기대 받게 된다. 즉 어린이들은 사회화 과정을 통해 각 문화가 정의 해 놓은 성별 고정 관념에 따라 적절한 성역할을 습득하도록 기대되고 자 기 성에 적절한 자아 개념과 행동특성을 습득해 나가게 된다(유미숙, 1983). 따라서 어린이들은 어린 시절부터 그의 내적 태도 및 행동 특성을 통제하며, 많은 행동들을 자신이 속해 있는 문화적 특징에 부합하도록 성 유형화 하게 되는 것이다(김경미, 1981).

(11)

아동의 놀이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놀이 활동의 형태나 놀이의 종류가 자기의 성적 특징에 맞는 놀이를 선택하게 된다(Hurlock .1972). 아동의 놀 이 내용과 놀이 유형에서의 성유형화는 흔히 접하게 되는 양상이며 관련 선행연구에서도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Connor 와 S erbin (1979) 등의 관찰 연구에서 남아는 블록놀이, 자동차류, 목공놀이 등을 선호하며, 여아 는 인형 놀이, 그림 그리기, 부엌놀이 등을 선호한다고 보고 하였다.

또한 아동은 자신이 원하는 아동과 친구로 사귀게 되는데 처음 그 아 동이 선택하는 것이 친구관계를 형성하는 첫 단계이며, 대부분 아동은 같 은 연령, 같은 성, 같은 인종을 친구 선택의 기준으로 여기고 있다 (Harpt up, 1970). 친구 선택에 대한 선행 연구들에서도 대부분의 아동은 외관상 자신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 아동을 친구로 선택하려는 경향이 잠재 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Schickedanz, 1982).

2세반에서 3세의 아동은 동성의 놀이친구를 선호하기 시작하며 동성의 놀이친구와 더 친밀하게 지낸다(Hurmphrey & Smith, 1984; Maccoby & Jacklin .1987). 또한 2세 유아는 성을 구별하여 놀지 않으나, 4세 유아는 동성끼리만 놀려고 하며(Hagman ,1983), Goodenough와 Lynn (1983)은 아동 의 놀이에 대한 관찰에서 학령전기 아동의 사회적 관계는 점차 동성 지향 적으로 나아간다고 밝히고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아동들은 동성친구를 선호하며 성에 따라 선 호하는 놀이도 다름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놀이 친구 및 놀이활동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가

(12)

몇 편 있었으나 Kaiser (1989)등은 이 연구에서 인형을 사용했기 때문에 효과가 입증되지 못했다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인형 외에 다른 사물, 사진 등을 가지고 놀이친구 및 놀이활동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권장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유형화된 옷을 입은 아동의 사진을 이용하여 성유형화된 옷과 놀이친구 선택 및 놀이활동 선호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자 한다.

2 . 연 구 문 제

1) 성유형화된 옷이 놀이친구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성유형화된 옷이 놀이활동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가?

(13)

Ⅱ . 이 론 적 배 경

1 . 성 고 정 관 념 과 성 역 할

1) 성 고 정 관 념 과 성 역 할 의 개 념

성고정관념이란 일반적으로 남・여의 역할을 구분짓는 심리학적 특성 에 대한 고정관념이다. 이것은 성별에 따른 역할의 차이에 대해서 심리적 합리화를 제공하며, 전통적인 남・여의 성역할을 지지한다(Flerx , Fidler와 Roger s , 1976).

성역할이란 한 문화안에서 남・여를 구분시키는 특성에 대한 사람들 사 이의 합의된 관점에 따라 ‘남성다운’또는 ‘여성다운’존재로서의 행동 과 태도를 말한다. Block (1973)은 성역할이란 한 문화안에서 남성, 혹은 여성이라는 특성의 한 무리로 성역할을 정의하였다. Ward (1969)는 이에 부 연하여 문화안에서 남성성 또는 여성성으로서 일반적인 태도나 행동을 반 영한 것이라고 하였다. 김경희(역, 1973)는 성역할을 한 집단내에서 주어진 지위를 차지한 개인에 대해 기대되는 일련의 조직된 행동과 태도라고 정의 하였다. 역할이란 어떤 지위를 차지한 특정인에게 요구되는 기대이며, 그 기대에 따라 수행하는 구체적인 행동을 뜻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성역할이 란 개인이 남성이냐 여성이냐 하는 범주에 따라 주어지는 지위를 중심으로 해서 이에 따르는 행동양식, 권리와 의무, 기대 등을 포함하고 있다.

(14)

이를 종합하면 성역할은 일차적으로 신체 생리적인 차이에 의해 규정되 지만 이러한 생물학적 차이보다는 오히려 사회・문화적 요구와 기대, 그리 고 자신의 경험을 통한 인식유형에 의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모든 사 회마다 규범이 있으며, 이에서 이탈한 것은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되기 때 문에 성역할에 있어서 사회 문화적 요인은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성역할 고정관념은 성유형화의 과정을 통하여 개인이 속한 문화의 맥락 속에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Flerx , Fidler& Roger s, 1976). 그리고 성유형화란 개인이 속해 있는 문화권 내에서 자신의 성에 적합하다고 여겨 지는 속성, 행동, 정서적 반응, 태도, 믿음 등을 습득하는 과정이다 (Mu ssen , Conger& Kagan , 1979).

그러나 이러한 사회문화적 영향에 의한 전통적인 성역할은 현대에 이르 러 크게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산업사회의 구조적 변화, 그리고 과학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남・여의 성역할이 변화하게 된 것이다. 새롭게 변화 된 성역할 개념으로는 전통적인 남성성, 여성성 이외의 양성성을 들 수 있 다. 양성성이란 한 개인이 남성적 특질과 여성적 특질을 동시에 가지고 있 는 것으로서, 상황에 따라 다른 행동특성을 보이거나, 또는 어떤 상황에 적 용하는 것을 말한다. 현대의 많은 연구들은 대부분 이러한 양성성 개념을 지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에서 Bem (1975)은 성역할에 대한 전통적 구분은 오히려 많은 부적응을 나타내며, 유동적일수록 남성적, 여성적 활동 에 자유로이 참여할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정신건강과 자아의 성숙을 돕고, 도덕성이 발달되며, 높은 자아발달 단계에 이르게 된다고 보고 하였다.

(15)

2 ) 성 역 할 발 달 과 정

유아의 성역할 개념의 형성과 성역할 고정관념을 알아보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행해졌다. T hompson (1975)은 24~36개월의 유아를 대상으로 연 구를 하였다. 24개월된 아동도, 남자, 여자의 그림에 대한 정확한 명칭을 붙일 수 있다는 것과 3세에는 어떤 대상과 활동이 성에 일치됨을 안다는 것을 밝혔다. 유아들에게는 성과 적절한 사물에 따라 대상을 분류할 수 있 게 남자, 여자로 구분된 상자에 도구, 옷 등의 물건을 구분해 넣도록 하였 다. 3세가 된 유아들은 성 명칭을 받아들이며 이는 어린이의 성역할 행동 에 영향을 준다고 보았다.

Kuhn , Nash 그리고 Brucken (1978)은 2, 3세 아동에게 성 고정관념적 인 문장을 들려주었다. 그리고 문장의 인물이 여자인지 남자인지를 종이 인형을 통해 반응하게 한 결과 성 고정관념은 2세부터 나타나며 성 항상성 발달 유형과 밀접한 상관관계에 있음을 밝혔다. 한편, F agot (1977)은 아동 들이 성 유형화된 장난감이나 활동을 선호하는 연구를 하였다. 그런데 가 정에서의 직접 관찰이나 실험실 관찰을 통해서는 만 1세 반이나 2세에서부 터 나타나는 것으로 밝혔다(김태련& 조혜자, 1986).

F lerx , F idler 그리고 Roger s (1976)는 122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성역할 고정관념를 알아보기 위해 인형선택 방법을 사용하여, 유아의 성격특성, 활 동, 역할에 관한 고정관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3세된 유아들도 성역할 고정관념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며, 몇몇 측면은 4・5세에 습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William s, Bennett 그리고 Best (1975)는 유아원, 초등학교 2학년,

(16)

4학년을 대상으로 성 고정관념적인 이야기를 만들고 이야기의 주인공이 여 자인지 남자인지를 그림에서 선택하도록 하는 성 고정관념 측정 방법을 사 용하였다. 그 결과, 성역할 고정관념은 남・여가 모두 유사하게 발달되고, 유치원 아동도 성인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해 지식을 많이 가지고 있었 다. 이 지식은 초등학교 2학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되었다. 그 이후 4학년 까지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으며, 남성에 대한 고정관념이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보다 더 일찍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역할 고정관념의 형성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는 것 을 볼 수 있는데, Flerx , Fidler 그리고 Roger s (1976)는 남아가 여아보다 더 고정관념을 갖게 된다고 했다. 이것은 대부분의 문화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성에 따른 남성적 역할이 사회적으로 더 가치있는 것으로 인정되었기 때문 이다. 동시에 성에 부적절한 행동을 했을 때 남아가 더 엄격하게 처벌을 받았다고 설명하였다. William s, Bennett 그리고 Best (1975)도 남아와 여아 모두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보다 남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더 어린 나이에 습득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 우리나라의 연구에서도 김경미(1981)는 3~5세 아동의 성역할 식별 및 선호 발달 연구를 통해 성역할 식별은 여아 가 더 빠른 시기에 나타난다고 하였다 그러나 성역할 선호에 있어서는 남 아가 더 이른 시기에 발달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Edelbr ock과 Sugaw ar a (1978)는 성역할 지식과 더불어 자신의 활동에 대한 선호도를 측정함으로써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을 알아보았다. 이 연 구는 총 119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아동의 성과 나이, 실험자의 성별에 따

(17)

른 성역할 학습지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남아는 성인 활동을 선택할 때 보다 아동 활동을 선택할 때 더욱 더 높은 여성 선호도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해 볼 때 성역할 개념은 2세부터 발달하기 시작하 며, 이때부터 성역할 고정관념도 부분적으로 나타나는데 초등학교 저학년 까지 계속 증가한다. 또한 남성에 대한 고정관념이 더 일찍 나타나는 것으 로 보였다.

3 ) 성 역 할 발 달 이 론

성역할 행동의 발달을 설명해 주는 이론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Freud (1938)의 정신분석이론, Mischel (1966, 1970)의 사회 학습이론, Kohlberg (1966)의 인지발달 이론, Martin과 Halverson (1981)의 성도식 이론이다.

⑴ 정 신 분 석 이 론

정신분석이론에서는 Freud에 의해 소개된 동일시의 개념이 사용되고 있는데, 직접적인 훈련이나 정보없이 또는 무의식적으로 발달되는 학습과 정으로 보는 것이다. 또한 성역할 동일시란 자신의 성에 적절한 것으로 간주되는 역할의 내면화 및 그 역할특성에 대한 무의식적인 반응을 나타내 는 것이다.

아동은 어머니에게서 주로 표현적 행동유형을, 아버지로부터는 도구적 행동유형을 학습한다(Parson & Bales,1955). 따라서 아동의 성역할 발달에

(18)

는 동성 부모와의 동일시가 필수 조건이며, 자기수용과 자신감은 동성인 부모와의 실질적인 동일시에서 유래된 발달과정의 개인적 특성이라 규정하 고 있다(Mu s sen , 1969).

⑵ 사 회 학 습 이 론

Bandura (1969)의 사회학습이론에 따르면 성역할은 유아가 그가 속한 환 경속에서 다양한 학습 경험을 통해 획득되어진 결과라고 본다. 사회학습 이론의 중요한 학습 원리로는 강화, 벌, 모델링, 동일시를 들고 있다. 학습 방법은 직접적인 훈련이나 주변의 동성 모델과 이성 모델에 대한 관찰학습 과 모방을 통하여 성역할 고정관념이 이루어진다고 보고 있다.

Bry an 과 Luria (1978)는 유아가 자신의 성이 무엇이며 그 성에 대한 사 람들의 기대와 남・여에게 가치 있는 행동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 보았 다. 따라서 유아들이 자신의 성에 적합한 방식으로 행동 할 때는 강화를 받지만 부적절한 행동을 할 때에는 벌을 받게 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유 아는 그들 나름대로의 상을 받거나 벌을 받지 않기 위해 부모와 그들 주변 사람들의 행동을 모방하면서 성역할 행동을 학습하게 된다.

Mischel (1970)은 유아가 다양한 성인 모델로부터 성역할을 획득하지만, 부모가 가장 중요한 모델이며 특히 자신과 유사한 동성 부모의 행동을 모 델로 하여 성역할을 습득하게 된다고 하였다. 즉 남아는 아버지를 모방함 으로써 남성다워지며, 여아는 어머니의 행동과 태도를 모방하여 여성다워 지는 것이다. 동성 부모를 모방하는 것은 여아와 남아가 어떻게 성 고정화

(19)

된 행동을 획득하여 여성성, 남성성 정체감을 발달시키는가를 아주 잘 설 명해 주고 있다.

이와같이 사회학습 이론에서는 성역할 행동이 관찰학습이나 동일시 또 는 사회화 과정에서 습득 되어지는 것으로 설명하며 사회의 성역할 규범의 변화에 따라 유아의 성역할 행동도 변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

⑶ 인 지 발 달 이 론

Kohlber g (1966)의 인지발달 이론에서는 유아가 먼저 자신을 남아와 여 아로 분류한 다음 자기가 속한 성에 적절하게 행동함으로써 성역할 행동이 발달 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성역할 행동은 특정한 훈련이나 학습 경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유아의 자발적인 인지발달에 의한 것으 로 사회적 환경에 대한 인지적 조건에 의해 형성된다고 하였다.

Kohlber g (1966)에 의하면 유아의 동일시는 동성 모델에 대한 선호를 보 이기 이전에 자아에 대한 인지적인 판단이라고 하였으며, 성역할은 계속적 이며 순서화된 단계를 거쳐 발달한다고 하였다. 유아는 2・3세에 남성과 여성의 신체적인 차이를 깨닫게 되면서 성정체감이 발달된다. 5・6세 까지 는 성이 변화되지 않는 특성이라는 것을 생각하지 못하지만 6・7세에 유아 는 성이 불변하는 속성임을 깨닫는 성안정성과 성항상성이 발달된다. 이 단계에 이르면 유아는 자아 중심성에서 벗어나 옷이나 행동과 같은 표면적 특성이 성의 중요한 변인이 아님을 깨닫게 된다고 하였다.

Kohlber g (1966)는 성정체감이 성역할 개념획득에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20)

유아가 자신을 ‘남자’또는 ‘여자’로 분류하는 것은 성역할 형성에 근 본적인 요소로 보았다. 따라서 유아가 자신의 성에 적절한 행동을 하는 것 은 보상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러한 행동이 남자 또는 여자로서의 자기정체 감을 유지 시켜 주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또한 Shaffer (1988)는 유아 자신 과 성역할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질 때 자신과 관련된 대상과 활동이나 자 신의 성역할과 일치하는 것에 가치를 부여하게 된다고 보았다.

인지발달 이론에서 유아들의 성역할 발달은 동일시의 산물이 아니라 인 지발달과 성숙으로 인해 자연 발생적으로 이루어지며 유아가 자신을 남아 혹은 여아로 자극하는 것은 지적 성취의 결과라고 보았다.

⑷ 성 도 식 이 론

Martin 과 Halver son (1981)은 성역할 고정관념이란 성도식을 근거로 형 성된다고 하였고 Liben 과 Signorella (1983)에 의하면 성도식은 개인적으로 성과 관련된 지식, 신념, 태도, 선호 등으로 조직된 인지적 구조로서, 유아 들이 남성과 여성에 대한 고정화된 관점에서 획득되어지는 것이라고 하였 다. 성도식이란 주위 환경에서 개개인이 자신의 도식과 일치하는 정보를 찾아내서 그것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를 알려줌으로서 경험 세계를 조직 하는 기능을 말한다.

성도식은 유아가 태어나서 6~8세가 될 때까지 점진적으로 발달하며 유 아의 주의와 기억, 그리고 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3세 유아는 자신의 성을 파악한 후 사물이나 사람을 “나와 같은 성”과 “나와 다른 성”등

(21)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누는 규칙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처음 규칙을 적용 할 때 정보의 일부는 부모의 말이나 특정한 강화에 의해 얻기도 하고 일부 는 관찰을 통해서 얻었다. 유아가 5, 6세가 되어 성항상성을 이해하게 될 때는 성별에 적절한 행동에 대한 정보가 훨씬 더 명확해져서 나와 같은 성 별의 사람은 무엇을 하는지에 대하여 한층 더 정교한 규칙, 혹은 도식을 발달시키게 되었다. 이 나이에 유아는 이 규칙을 다른 일반적인 규칙과 같 이 절대적인 것으로 생각하나 후에 이러한 규칙이 사회적 관습이라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성별, 규칙에 대한 유아의 지식은 계속 발달하나 점점 융 통성 있게 규칙을 적용해 나가게 되며 그 규칙은 유아로 하여금 자신의 경 험의 세계를 이해하도록 도와주었다(이재연, 1986).

성도식 이론은 주변의 사회 환경을 구조적인 관점에서 조직화하는 것으 로 유아들의 성역할 지식, 융통성, 성도식화 등이 성역할의 중요한 인지적 요인임을 강조 하였다. 성역할 행동은 성항상성 습득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개인이 그가 속한 사회・문화속에서 주위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경험을 통 하여 얻는 성과 관련된 정보들을 인지 구조 속에서 조직화하는 정보과정 조직망을 통해 자신의 성에 대한 도식을 형성해 간다고 보았다.

2 . 성 유 형 화 된 놀 이 활 동

아동의 놀이는 각 발달단계에 따라 놀이의 종류, 놀이 도구, 놀이를 통

(22)

한 사회적 참여도 및 남・여에 따라 차이가 있다(Hurlock, 1981). 남아와 여아의 놀이에서도 남성적 또는 여성적 역할은 발달적이고 유형적인 차이 를 나타냈다. 놀이유형에서 대체로 여아는 좀더 소극적이고 정적인 놀이를 좋아하는 반면에 남아는 적극적이고 활동적인 놀이를 좋아하는 특징을 보 였다. 또한 남녀간의 인지적 행동적 측면에 대한 연구 결과 여아는 언어가 우수한 반면에 남아는 시각적 공간능력, 수학 능력이 우수하며 공격적인 행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Maccoby & Jacklin , 1974). 이러한 시각 적 공간능력의 성차는 아동의 놀이 행동에서의 성 차이를 나타냈다. 여아 보다는 남아가 모형구성, 나무토막 쌓기 등의 공간적 기술발달 활동에 많 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Sherman , 1967).

Conner와 Serbin (1977)은 아동의 놀이행동에 대해 전통적인 남성적, 여 성적 행동으로 평정한 척도에 기초하여 관찰한 결과 남아는 남성 성유형의 놀이를 많이 하였고, 여아는 여성 성유형의 놀이를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 다. 성역할과 관련된 놀이감을 구분하는 능력과 성유형화된 놀이감 선호와 의 관계 연구에서도 4~6세 남・여 아동 모두 성별에 따른 놀이감 구분 능 력과 성유형화된 놀이감 선호행동은 상관을 보였다(Blackmore, & Olejnik , 1979). 놀이감에 대한 선행 연구들에서도 3~8세 유아들은 그들 자신의 성 에 의해 명백하게 선호된 놀이감을 선호하여 놀이하는 것을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들은 새로운 놀이감을 선물 받았을 때 다른 성의 놀이감보다 중성 놀이감이나 자신의 성에 적합한 놀이감을 선물 받았을 때 더 빈번하

(23)

게 탐색했다. 3~11세 어린이들은 성에 부적합한 여러 종류의 과제보다 성 에 적합한 여러 종류의 과제에 더 시간을 보내고 더 성취감을 가졌다 (Blackm ore, LaRue & Olejnik , 1979). 이를 인지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유 아는 남자나 여자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서 어떤 것이 주로 남자에게 적합한 활동이고, 어떤 것이 여자에게 적합한 활동인지를 규정하게 되었다. 그러므 로 자신의 성에 적합한 행동의 지적 개념을 얻게 되고 이로써 유아는 자신 의 성에 적합한 것으로 규정된 행동을 그들 자신의 선호로 선택하게 되었 다(Perry , White & Perry , 1984).

이에 따라 성차에 따른 놀이의 선호도를 살펴보면 남아의 경우 교통기 관 놀이감과 조작 놀이감을 많이 사용하였고, 여아는 인형과 같은 부드러 운 촉감의 놀이감과 미술 작업 자료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F agot , 1977).

Mcloy d(1980)도 남아는 나무도막 쌓기나 자동차종류의 놀이감을 사용하는 빈도가 높았으며, 여아는 인형과 장난감 도구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았다.

또한 Connor와 Serbin (1977) 등은 관찰연구를 통하여 남아는 블록놀이, 교 통놀이, 군인놀이 등을 선호하였으며, 여아는 인형놀이, 그림 그리기, 부엌 놀이 등을 주로 한다고 하였다.

우리나라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단현국(1978) 은 남아들의 경우 총 싸움에 두드러진 선호성을 보이며 자동차 타기, 공놀 이 같은 활동적인 놀이를 좋아하고 모래 놀이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반 면에 여아들은 소꿉놀이를 제일 좋아하며 총 싸움은 좋아하지 않는다고 하 였다. 현재연(1989)도 유치원 아동이 자유선택놀이시간에 참여한 놀이행동

(24)

을 관찰한 결과 남아들의 경우 로봇, 자동차, 큰 나무도막쌓기 등에 참여하 였다. 반면에 여아들의 경우 부엌놀이, 엄마 역할놀이, 인형놀이에 주로 참 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남아의 경우 적극적이고 활동적인 놀이 유형을 선호하고 여아는 좀 더 소극적이고 정적인 놀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자기와 같은 성의 활동을 선호하는 반면에 자신과 다 른 성의 활동은 피하는 경향을 보았다.

3 . 놀 이 친 구 의 선 호 성

친구 선택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아동들은 같은 성을 기준으로 친구 관계를 맺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Asher , Oden , & Gattm an , 1977). 또한 2세에서는 성을 구별하여 놀지는 않았으 나, 4세 연령에서는 동성끼리 놀려고 하였다. 그리고 3~5세 유아들은 자기 와 모습이 유사하며 자기의 흥미와 유사한 친구 및 물체에 몰두하여 이성 간 보다는 동성 친구에게 더욱 흥미를 나타내었다(Kohlberg , 1966).

이를 바탕으로 하여 놀이친구의 성에 따른 사회적 행동에 대한 영향을 연구한 결과 동성 또래집단의 성 구성을 이성이 되도록 변화시키면 3세 유 아는 사회적 행동이 촉진 되지만 5세 유아는 오히려 감소 되었다(Langlois , Gottfried & S eay , 1973). Goodenough (1983)도 유아의 놀이 관찰에서 학

(25)

령 전기 유아의 사회적 관계는 점차 동성으로 되어, 또래 집단이 여아 집 단과 남아 집단으로 분리된다고 하였다. 이는 유아가 자기자신의 성과 같 은 구성원하고 놀이를 하면서 성역할을 발달 시키는 5세 유아들의 행동에 서 볼 수 있는 성유형화와 관련이 있다(Goodenough & Lynn , 1983).

Slaby와 F r ey (1975)는 인지적 측면에서 성 항상성에 따른 동성과 이성 의 놀이친구 선호와 성유형 행동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런데 성 항상 성의 단계가 높은 유아일수록 성에 적합한 활동을 하면서 동성 친구와의 상호작용를 더 많이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나라의 연구 결과를 보면 아동의 친구 관계는 놀이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박희숙(1994)은 신체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친구 관계의 개념은 6세 아동이 높은 비율로 반응하고 있으며, 친구 관계에서의 일상 활동은 6세보다 7세 아동이 더 중 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들을 종합해 보면 아동들이 친구를 선택할 때 자신과 신체적 특성이 비슷한 동성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공유된 놀이 활동이 친구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 성 유 형 화 된 옷

1) 아 동 의 색 에 대 한 선 호 도

색에 대한 선호는 인간의 심리가 기반이 된다. 따라서 색 선호는 출생

(26)

시부터 개인차가 생기며 유년기의 기억, 교육, 교양적 훈련에 의해서 형성 된다고 볼 수 있다(최영옥,1972). 인간은 색을 구별하면서 색을 좋아하게 되며 색의 세계 속에서 살아간다. 색채가 인간의 시각력을 통하여 심리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당히 크다. 특히 아동에 있어서 색채는 아동의 정서발 달이나 심리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Haugh & Cow an (1980)연구에 의하면 파란색은 전형적인 남자색이고 전형적인 여자색은 분홍색으로 여겨 졌다. 그런데 한국아동의 의복 선호색을 살펴보면 남아는 파랑, 노랑, 흰색, 여아는 분홍, 노랑, 파랑 순이며 남녀 구별없이 같은 연령층에선 비슷 하였 다(김영옥,1975). Chamber s (1951)는 적합한 색의 의복은 개인으로 하여금 사회생활에 알맞는 외모를 가꾸어주며 심리적 자극을 주는 색은 신경증까 지 증발시킨다고 지적하였다.

2 ) 아 동 의 의 복 문 양 및 스 타 일 에 대 한 선 호 도

문양이란 어떤 것을 장식하고 있는 점, 선, 면 그리고 그 종합에 의한 형상과 그 형상과 색에 의해서 구성 배열된 도안을 말한다(장문호, 1975).

일반적으로 의복 문양은 꽃, 과일과 같은 자연적인 문양, 자연적인 문양 의 외양만을 재생한 전통적인 문양, 점 무늬, 체크 무늬, 줄 무늬, 바둑판 무늬와 같은 추상적인 문양의 3가지로 크게 분류되고 있다(Craig &Ru sh ).

아동의 의복 문양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120명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의복문양의 종류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남・여아 모두 꽃 문양을 선호한 반면 남아를 위한 어머니들의 선호 문양으로서 줄문양을 선

(27)

호 하였고 여아의 어머니들은 꽃문양을 선택하였다(Springer , 1970).

또한 김영옥(1975)에 의하면 남아는 무문양, 작은 문양, 큰 문양순으로 여아는 작은 문양, 무 문양, 큰 모양 순으로 선호한다고 하였다. 반면에 강 은숙(1972)은 여아는 귀여운 모양, 무 문양, 줄 문양 순으로 남아는 줄 문 양, 무 문양, 귀여운 문양으로 선호한다고 언급하였다. Hunt (1959)의 옷감 문양 선호도의 연구결과 아동은 무 문양의 옷감을 선호하였다. 문양이 있 는 경우에는 기하학적 문양의 옷감을 선호하고 연령이 높을수록 체크문양 의 선호도가 높다고 하였다. 한편, 아동의 의복 스타일은 어떤 의복을 다른 의복과 구별짓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커트는 여성복에 있어 서 하나의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다(T rox ell, 1976).

여자아이의 옷은 주름달린, 소매가 부푼 레이스 달린 옷을 선호 하였고, 남자아이의 옷은 티셔츠와 바지를 선호 하였다(shakin & Sternglaz, 1985).

(28)

Ⅲ . 연 구 방 법

1 . 연 구 대 상

본 연구의 대상아동은 대전시에 소재한 있는 M유치원과 D유치원에 재원중인 4세 40명(남20명, 여20명) 그리고 D초등학교에 재학중인 7세 40 명(남20명, 여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아동들은 보고, 듣고, 말 하는데 이상이 없는 아동들을 무선 표집하였다.

선정된 아동은 2월1일을 기준으로 4세 유아의 평균 연령이 4년 10개월 (4세 3개월~5년 2개월)이며, 7세 유아는 평균 연령이 7세 7개월(7세 3개 월~8세 2개월)이었다.

연령별 연구대상 아동수는 다음의 < 표 1>과 같다.

< 표 1 > 연 령 별 연 구 대 상 아 동 수 및 평 균 연 령

연령 성별 유아수 평균연령

4세 남 20 4세 10개월

여 20

7세 남 20 7세 7개월

여 20

계 80

(29)

2 . 연 구 도 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Alber s (1998)의 연구에서 사용된 것을 참고 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본 연구자는 성별과 연령에 따른 놀이 친구 선호도와 놀이 활동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성유형화된 옷을 입은 사진 6장(8㎝×8㎝)과 성유형화된 놀이 활동 카드 6장 (8㎝×8㎝)을 제작하였다.

1 ) 성 유 형 화 된 옷 을 입 은 사 진

성유형화된 옷을 입은 사진은 남자 어린이가 남성적인, 중성적인 그리 고 여성적인 옷을 입은 세 종류의 사진과 여자 어린이가 남성적인, 중성적 인, 여성적인 옷을 입은 세 종류의 사진으로 구성하였다.

남성적인 옷을 입은 남자아이의 사진은 그림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남청색의 반바지와 빨간색 줄무늬가 있는 티셔츠와 야구모를 쓴 아동의 사 진이다. 중성적인 옷을 입은 남자아이의 사진은 그림 B에서 보는 바와 같 이 흰 반바지와 노란 티셔츠를 입은 아동의 사진이다. 여성적인 옷을 입은 남자아이의 사진은 그림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홍색 꽃 반바지와 분홍색 셔 츠를 입은 아동의 사진이다.

남성적인 옷을 입은 여자아이의 사진은 그림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란색 반바지에 줄무늬 셔츠를 입은 아동의 사진이다. 중성적인 옷을 입 은 여자아이의 사진은 그림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녹색 반바지에 흰티셔

(30)

A B C

D E F

츠를 입은 아동의 사진이다. 또한 여성적인 옷을 입은 여자아이의 사진은 그림 F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자답게 보이기 위해서 파스텔톤 분홍색에 주름이 있는 옷을 입은 아동의 사진이다. 아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유형 화된 옷을 입은 아동사진의 얼굴은 호감을 통제하기 위해서 매우 비슷하게 보이는 8세의 이란성 쌍둥이 남매로 정하고 머리 모양은 남아는 짧은머리, 여아는 어깨길이의 머리로 통일하였다.

〈 그 림 1〉 성 유 형 화 된 옷 을 입 은 아 동 의 사 진

(31)

A C E

B D F

2 ) 놀 이 활 동 그 림 카 드

놀이활동 그림카드는 성유형화된 놀이활동으로 남성적인 놀이, 중성적 인 놀이, 여성적인 놀이로 구분하였고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 도구는 Alber s (1998)의 연구에서 사용한 그림카드를 기초로 해서 제작하였다.

흑백윤곽 그림은 테두리가 있는 흑백선으로 그렸고 놀이하는 아이의 얼 굴은 성별이 나타나지 않게 원으로 표시 되었다. 남성적인 놀이는 목공놀 이, 자동차 놀이로 정하였으며 중성적인 놀이는 독서, 퍼즐놀이로 정하였 다. 또한 여성적인 놀이는 부엌놀이, 인형놀이로 정하였다(Kaiser 1989).

〈 그 림 2〉 놀 이 활 동 그 림 카 드

(32)

3 . 연 구 절 차

1) 예 비 검 사

본 연구자는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18~50세인 남・여 15명씩 30명의 어른들에게 성유형화된 옷을 입은 사진 6장과 성유형화된 놀이활동(흑백윤 곽 그림)그림카드를 보여준 후 어른들에게 몇 가지 강요된 선택과제를 주 었다. 첫째로 여러 가지 유형의 옷을 입은 아동의 사진을 보여준 후 아동 의 사진이 여자인지 남자인지 판별하게 하고 그 아이가 입은 옷이 남성적, 중성적, 여성적인지 판정하게 하였다. 둘째로 놀이활동카드를 보여주고 놀 이유형이 남성적, 중성적, 여성적 놀이인지 판별하게 하였다. 그 결과 성인 들은 본 연구에서 의도한 결과와 같이 모두가 정확하게 판정해 내었다.

이상의 예비검사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부록1〉과 같다.

2) 본 실 험

본 실험은 연구자와 본 실험의 내용을 숙지하고 있는 유아교육 전공자 인 보조 연구자가 2인 1조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아동들에게 제시되 는 성유형화된 옷을 입은 아동의 사진과 놀이활동 그림카드를 제시하고 아 동들의 놀이친구 선호도와 놀이활동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보조 연구자는 놀이친구 선호도와 놀이활동 선호도 조사에 대한 아동들의 반응을 기록하 였다.

실험실은 밝고 조용한 교실에 설치하여 편안한 분위기를 마련 하였다.

(33)

실험은 연구자와 유아가 책상에 마주 앉아서 개별적으로 실시 하였고 소요 시간은 1인당 20분 정도였으며 실험이 끝난 아동은 다른 아동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바깥놀이에 참여 하도록 하였다.

각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구체적인 실험절차는 다음과 같다.

⑴ 분 위 기 형 성 과 과 제 설 명

본 연구자는 실험도구가 준비되어 있는 실험실 의자에 앉아 있을 때 보 조 연구자가 아동 1명을 데리고 들어왔다. 연구자는 맞은편 의자에 아동을 앉도록 하였다. 본 연구자와 아동이 서로 마주 앉아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보조 연구자는 아동의 뒤에 앉았다. 연구자는 아동의 이름을 물어본 후 아동의 옷차림이나 생김새를 “예쁘다”“귀엽다” 등의 칭찬으로 아동 에게 친밀한 분위기를 만들어 주었다. 그런 다음 본 연구자가 “ 00야 지 금부터 선생님과 함께 사진과 그림카드를 보자. 사진과 카드를 보면서 선 생님의 이야기를 듣고 따라 할 수 있겠니? ”하며 다음과 같이 성유형화된 옷을 입은 아동의 사진과 놀이활동 그림카드를 배열하는 방법을 설명 하였 다.

⑵ 놀 이 친 구 를 알 아 보 기 위 한 실 험 절 차

연구자는 아동에게 여러 가지 유형의 옷을 입은 아동의 사진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 선 생 님 이 지 금 부 터 6 장 의 사 진 을 보 여 줄 거 야 . 자 봐 (여 러 가 지 유

(34)

형 의 옷 을 입 은 아 동 의 사 진 6장 을 가 리 키 며 ) 이 사 진 속 에 는 남 자 친 구 와 여 자 친 구 가 서 로 다 른 옷 을 입 고 있 어 . 0 0야 0 0는 이 친 구 들 중 에 서 어 떤 친 구 랑 가 장 놀 고 싶 니 ? 두 번 째 로 놀 고 싶 은 친 구 는 ? 번 째 로 놀 고 싶 은 친 구 는 ? 네 번 째 로 놀 고 싶 은 친 구 는 ? 다 섯 번 째 로 놀 고 싶 은 친 구 는 ? 여 섯 번 째 로 놀 고 싶 은 친 구 는 ?”

연구자는 아동에게 사진을 골라서 놀고 싶은 친구의 순으로 바구니에 넣 어 보게 했다.

“ 00야 , 그 럼 가 장 놀 고 싶 은 친 구 의 사 진 은 빨 강 바 구 니 에 넣 어 보 겠 니 ? 그 다 음 으 로 놀 고 싶 은 친 구 는 주 황 바 구 니 에 넣 어 보 겠 니 ? 다 음 으 로 놀 고 싶 은 친 구 는 노 랑 바 구 니 에 넣 어 보 겠 니 ? 그 다 음 으 로 놀 고 싶 은 친 구 는 초 록 바 구 니 에 넣 어 보 겠 니 ? 그 다 음 으 로 놀 고 싶 은 친 구 는 파 랑 바 구 니 에 넣 어 보 겠 니 ? 그 다 음 으 로 놀 고 싶 은 친 구 는 남 색 바 구 니 에 넣 어 보 겠 니 ? 그 다 음 으 로 놀 고 싶 은 친 구 는 보 라 바 구 니 에 넣 어 보 겠 니 ?”

아동들은 사진을 골라서 좋아하는 순서대로 바구니에 넣었다.

이때 연구자는 보조 연구자에게 아동이 어떤 바구니에 어떤 유형의 사진 을 넣는지 기록하게 하였다.

(3 ) 성 유형 화 된 옷과 놀 이 활동 과 의 관계 를 알 아보 기 위 한 실 험 절 차

(35)

연구자는 아동에게 여섯가지 성유형화돤 놀이활동의 그림카드 6장을 보 여 주었다.

“ 00야 , 선 생 님 이 지 금 부 터 6장 의 그 림 을 보 여 주 실 거 야 . 이 그 림 이 무 슨 놀 이 를 하 는 그 림 인 지 잘 보 고 선 생 님 한 테 말 해 줄 수 있 겠 니 ? 자 봐 (놀 이 활 동 의 흑 백 윤 곽 그 림 카 드 6장 을 가 리 키 며 ), 00야 , 이 놀 이 는 무 슨 놀 이 를 하 는 그 림 이 니 ? 이 놀 이 는 무 슨 놀 이 를 하 는 그 림 이 니 ? 이 놀 이 는 ...”

이와같은 방법으로 6가지 종류의 놀이활동에 대한 그림을 설명한 후 아 동이 모든 활동을 인식할 때까지 반복하였다.

“ 00야 이 번 에 는 선 생 님 이 1장 의 놀 이 친 구 를 보 여 줄 게 . 잘 봐 (6명 의 놀 이 친 구 중 1장 을 가 리 키 며 ) 00야 , 이 놀 이 친 구 는 어 떤 놀 이 를 가 장 좋 아 할 것 같 니 ? 이 친 구 가 가 장 좋 아 하 는 놀 이 는 ? 그 다 음 으 로 좋 아 하 는 놀 이 는 ? 그 다 음 으 로 ... 이 친 구 가 가 장 하 기 싫 은 놀 이 는 ?”

연구자는 아동에게 그림카드를 골라서 바구니에 넣어 보게 했다.

“ 00야 이 번 에 는 이 놀 이 친 구 가 어 떤 놀 이 를 가 장 좋 아 할 것 같 니 ? 가 장 좋 아 하 는 놀 이 는 빨 강 바 구 니 에 넣 어 보 겠 니 ? 그 다 음 으 로 좋 아 하 는 놀 이 는 주 황 바 구 니 에 넣 어 보 겠 니 ? 그 다 음 으 로 좋 아 하 는 놀 이 는 노 랑 바 구 니 에 넣 어 보 겠 니 ? 그 다 음 으 로 좋 아 하 는 놀 이 는 파 랑 바 구 니 에 넣 어 보 겠 니 ? 그 다 음 으 로 좋 아 하 는 놀 이 는 남 색 바 구 니 에 넣 어 보

(36)

겠 니 ? 그 다 음 으 로 좋 아 하 는 놀 이 는 보 라 바 구 니 에 넣 어 보 겠 니 ?”

이와같은 방법으로 6명의 놀이 친구들이 좋아하는 놀이활동을 가장 좋아 하는 놀이부터 가장 싫어하는 놀이의 순으로 바구니에 넣어 보게 했다.

“ 00야 , 선 생 님 과 함 께 이 놀 이 를 해 줘 서 정 말 고 맙 다 . 이 제 조 용 히 나 가 서 바 깥 놀 이 를 하 도 록 하 자 .”

끝까지 마친 아동에게 잘했다고 칭찬한 후 바깥으로 나가게 했다.

4 . 자 료 처 리

아동의 답변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성별과 연령, 그리고 옷유형에 따른 놀이친구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6장의 사진중 가장 좋아하는 친구를 1순위(1점)로부터 가장 싫어하 는 친구를 6순위(6점)로 놓고 각각의 순위에 따른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 하였고, 삼원변량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둘째, 6명의 놀이 친구들이 성 유형화된 놀이활동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 해서 남성적인 놀이활동 카드 2장, 중성적인 놀이활동 카드 2장, 여성적인 놀이활동 카드 2장, 모두 6장을 제시하였다. 각각의 놀이친구가 가장 좋아 하는 놀이활동을 1순위(1점)로부터 가장 싫어하는 놀이활동을 6순위(6점) 로 놓고 선호 빈도수와

χ

2검증(SPSSWIN )을 하였다.

(37)

Ⅳ . 연 구 결 과 및 해 석

본 연구의 목적은 성유형화된 옷을 입은 아동의 사진을 이용하여 성유형 화된 옷과 놀이친구의 선호도 및 놀이활동 선택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 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를 통계적으 로 분석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 아 동 의 놀 이 친 구 선 호 도

1 ) 남 자 아 동 의 놀 이 친 구 선 호 도

아동의 놀이친구 선호도는 성별과 연령, 그리고 옷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 가 있는지를 알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그 결 과는 다음의〈표 2〉와 같다.

(38)

〈 표 2〉 남 자 아 동 의 놀 이 친 구 선 호 도 의 평 균 과 표 준 편 차

N =80

구 분 옷의 형태 평균 표준편차

4 세 남자아동 남성적 2.55 1.82

중성적 2.80 1.34

여성적 3.50 1.57

합 계 2.95 1.58

여자아동 남성적 4.40 0.93

중성적 4.20 1.57

여성적 3.55 1.21

합 계 4.05 1.25

7 세 남자아동 남성적 1.70 1.60

중성적 2.35 0.98

여성적 2.90 1.90

합 계 2.31 1.49

여자아동 남성적 4.35 1.02

중성적 4.90 1.05

여성적 4.80 1.54

합 계 4.68 1.20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남자아동의 연령에 따라 놀이친구 선호도 는 4세의 경우 남자아동의 선호도 점수는 M =2.95 (SD=1.58), 여자아동의 선호도 점수는 M =4.05 (SD=1.25)로 나타나 동성친구를 더 선호하는 것으 로 파악되었다. 특히, 4세 남자아동의 남성적인 옷은 M =2.55 (SD=1.82), 중성적인 옷은 M =2.80 (SD=1.34), 그리고 여성적인 옷은 M =3.50 (SD=1.57) 로 나타나 동성친구 중에서도 남성적인 옷을 입은 아동을 놀이친구로 더 선호 하였다. 7세의 경우 남자아동의 선호도 점수는 M =2.31 (SD=1.49), 여

(39)

자아동의 선호도 점수는 M =4.68 (SD=1.20)로 나타나 동성친구를 더 선호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남자아동의 남성적인 옷은 M =1.70 (SD=1.60), 중성적인 옷은 M =2.35 (SD=0.98), 그리고 여성적인 옷은 M =2.90 (SD=1.90)으로 나타나 동성친구 중에서도 남성적인 옷을 입은 아동을 놀이 친구로 더 선호하였다.

남자 아동들의 놀이친구 선호도에 대해서 성별과 연령, 그리고 옷유형의 세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삼원변량분석한 결과 다음의〈표 3〉과 같다.

〈 표 3〉 남 자 아 동 의 놀 이 친 구 선 호 도 에 대 한 변 량 분 석

요 인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

주효과 연령 0.00 1 0.00 0.00

친구의 성 180.26 1 180.26 89.31

옷유형 8.12 2 4.06 2.01

상호작용 연령×친구의 성 24.06 1 24.067 11.92

연령×옷유형 6.47 2 3.23 1.60

친구의 성×옷유형 18.00 2 9.00 4.46

오 차 460.20 228 2.018 전 체 700.00 239 2.929

** p< .01, *** p< .001

(40)

위의〈표 3〉과 같이 남자아동의 놀이친구에 대한 선호는 주변인에서 친 구의 성은 p< .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남자 아동들은 남자아동을 놀이친구로 선호하는 경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요인별 상호작용에서는 연령과 친구의 성에서 p< .01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과 옷유형, 친구의 성과 옷유형에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남자아동의 친구의 성에 따른 선호도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는 다음의

〈표 4〉와 같다.

〈 표 4〉 남 자 아 동 의 친 구 의 성 별 에 따 른 평 균 과 표 준 편 차

구 분 평 균 표준편차

남자아동 2.63 1.53

여자아동 4.36 1.22

위의〈표 4〉에서 보는바와 같이 남자아동은 M =2.63 (SD=1.53), 여자아 동들은 M =4.36 (SD=1.22)으로 남자아동의 친구의 성에 따른 친구 선호도 는 여자아동보다 남자아동을 놀이친구로 선호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남자아동의 친구의 성과 성유형화된 옷과의 상호작용을 그림으로 나타낸

결과는 〈그림 3〉과 같다.

(41)

4세 7세

〈 그 림 3〉 남 자 아 동 의 연 령 과 친 구 의 성 별 과 의 상 호 작 용 비 교

위의〈그림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4세 남자아동의 선호도는 M =2.95, 여자아동 선호도는 M =4.05, 7세 남자아동의 선호도는 M =2.31, 여자아동 선 호도는 M =4.68로 나타나 7세 남자아동이 4세 남자아동보다 동성을 더 선 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 ) 여 자 아 동 의 놀 이 친 구 선 호 도

아동의 놀이친구 선호도는 성별과 연령, 그리고 옷유형에 따라 어떤 차 이가 있는지를 알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의〈표 5〉와 같다.

(42)

〈 표 5〉 여 자 아 동 의 놀 이 친 구 선 호 도 의 평 균 과 표 준 편 차

N =80

연령 친구의 성별 옷의 형태 평균 표준편차

4 세 남자아동 남성적 5.20 1.43

중성적 3.75 0.65

여성적 3.65 1.65

합 계 4.20 1.24

여자아동 남성적 3.40 0.88

중성적 2.75 1.42

여성적 2.25 1.81

합 계 2.80 1.37

7 세 남자아동 남성적 5.70 1.69

중성적 4.40 1.60

여성적 3.40 1.48

합 계 4.50 1.59

여자아동 남성적 2.40 1.27

중성적 2.40 1.06

여성적 2.70 0.73

합 계 2.50 1.02

위의〈표 5〉에서 보는바와 같이 여자 아동의 연령에 따라 놀이친구 선호 도를 살펴보면 4세의 경우 남자아동의 선호도 점수는 M =4.20 (SD=1.24), 여 자아동의 선호도 점수는 M =2.80 (SD=1.37)로 나타나 동성친구를 더 선호하 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4세 여자아동의 남성적인 옷은 M =3.40 (SD=0.88),

(43)

중성적인 옷은 M =2.75 (SD=1.42), 그리고 여성적인 옷은 M =2.25 (SD=1.81) 로 나타나 동성친구 중에서도 여성적인 옷을 입은 아동을 놀이친구로 더 선 호하였다.

7세의 경우 남자아동의 선호도 점수는 M =4.50 (SD =1.59), 여자아동의 선 호도 점수는 M =2.50 (SD=1.02)으로 나타나 동성친구를 더 선호하는 것으 로 파악되었다. 특히, 여자아동의 남성적인 옷은 M =2.40 (SD=1.27), 중성적 인 옷은 M =2.40 (SD=1.06), 여성적인 옷은 M =2.70 (SD=0.73)로 나타나 동 성친구 중에서도 남성적인 옷과 중성적인 옷을 입은 아동을 놀이친구로 더 선호하였다. 이와같이 여자 아동들의 놀이친구 선호도에 대해서 성별과 연 령, 그리고 옷유형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삼원변량분석한 결과 다음의〈표 6〉과 같다.

〈 표 6〉 여 자 아 동 의 놀 이 친 구 선 호 도 에 대 한 변 량 분 석

요 인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

주효과 연령 0.00 1 0.00 0.00

친구의 성 173.40 1 173.40 93.37

옷유형 58.90 2 29.45 15.85

상호작용 연령×친구의 성 5.40 1 5.40 2.90

연령×옷유형 1.90 2 0.950 0.51

친구의 성×옷유형 23.70 2 11.85 6.38

오 차 423.40 228 1.857

전 체 700.00 239 2.929

** p< .01, *** p< .001

(44)

위의 〈표 6〉에서 보는바와 같이 친구의 성과 옷유형에서 p< .001로 통계 적으로 매우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고, 연령에서만 p > .05로 무의미한 차이 를 보였다.

요인별 상호작용에서는 아동(성)과 옷유형에서만 p< .01로 의미있는 차이 를 보였고, 연령과 아동, 연령과 옷유형에서는 의미없는 차이를 나타냈다.

주변인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인 친구의 성별에 따른 평균과 표준편차 를 살펴보면 〈표 7〉과 같다.

〈 표 7〉 여 자 아 동 의 친 구 의 성 별 에 따 른 평 균 과 표 준 편 차

구 분 평 균 표준편차

남자아동 4.35 1.41

여자아동 2.65 1.19

위의〈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친구의 성에서 남자아동의 경우는 M

=4.35 (SD =1.41), 여자아동의 경우는 M =2.65 (SD =1.19)로 여자아동의 친구 선호도는 남자아동보다 여자아동을 놀이친구로 선호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주변인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인 옷유형에 따른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 펴보면 〈표 8〉과 같다.

(45)

〈 표 8〉 여 자 아 동 의 옷 유 형 에 따 른 평 균 과 표 준 편 차

구 분 평 균 표준편차

남성적 옷 4.17 1.31

중성적 옷 3.32 1.18

여성적 옷 3.00 1.41

위의〈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옷유형에서는 남성적인 옷이 M =4.17 (SD=1.31), 중성적인 옷이 M =3.32 (SD=1.18), 그리고 여성적인 옷은 M =3.00 (SD=1.41)로 나타나 여자아동이 선호하는 옷유형은 남성적인 옷보 다는 여성적인, 중성적인 옷을 입은 아동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 상호작용에서는 친구의 성과 옷유형에서만 P〈.01로 의미있는 차 이를 보였고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그림 4〉와 같다.

남성적 옷 중성적 옷 여성적 옷

〈 그 림 4〉 여 자 아 동 의 친 구 의 성 별 과 옷 유 형 과 의 상 호 작 용 비 교

남 자 아 동 여 자 아 동

(46)

위의〈그림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자아동의 친구의 성과 옷유형의 상 호작용을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남자아동은 남성적인 옷이 M =5.45, 중성적인 옷이 M =4.07, 그리고 여성적인 옷이 M =3.52로 나타났고, 여자아동 은 남성적인 옷이 M =2.90, 중성적인 옷이 M =2.54, 여성적인 옷이 M =2.47 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자아동은 남성적인 옷을 입은 아동보다 여성적인 옷을 입은 아동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아동에서는 남성적인 옷을 입은 아동보다 여성적인 옷을 입은 아동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 아 동 의 놀 이 친 구 와 놀 이 활 동 과 의 상 관 관 계

성유형화된 놀이활동이 놀이친구의 성유형화된 옷과 관계가 있는지 분석 한 결과 다음의 〈표 9〉와 같다.

< 표 9 > 아 동 의 놀 이 친 구 와 놀 이 활 동 과 의 상 관 관 계

N =80

구분 옷의 유형

가장 선호하는

놀이활동

χ

2

가장 싫어하는

놀이활동

χ

2

자동차목공, 퍼즐, 독서 부엌,

인형 목공,

자동차 퍼즐, 독서 부엌,

인형

남자 남성적 옷 40 22 18 10.30* 11 14 55 45.32*

중성적 옷 48 20 12 26.80* 13 24 43 17.27*

여성적 옷 25 41 14 15.92* 19 24 37 6.47*

여자 남성적 옷 26 32 22 1.90 18 27 35 5.42 중성적 옷 12 23 45 21.17* 41 31 8 21.47*

여성적 옷 10 21 49 30.32* 24 19 17 6.47*

* p< .05

(47)

위의〈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유형화된 옷이 놀이활동과 관계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남성적인 옷을 입은 남자아동들은 남성 적인 놀이(목공과 자동차 놀이)를 가장 좋아하며, 여성적인 놀이(부엌이나 인형놀이)를 싫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성적인 옷을 입은 남자아동들은 남성적인 놀이(목공과 자동차 놀이)를 좋아하며, 여성적인 놀이(부엌이나 인형놀이)를 제일 싫어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그런데 여성적인 옷을 입은 남자아동들은 중성적인 놀이(퍼즐과 독 서)를 좋아하며, 여성적인 놀이(부엌이나 인형놀이)를 싫어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중성적인 옷을 입은 여자아동들은 여성적인 놀이(부엌이나 인형놀이)를 가장 좋아하였고, 남성적인 놀이(목공과 자동차 놀이)를 싫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적인 옷을 입은 여자아동들은 여성적인 놀이 (부엌이나 인형놀이)를 가장 좋아하였고, 남성적인 놀이(목공과 자동차 놀 이)를 싫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들은 성유형화된 옷과 일치 하는 놀이활동을 좋아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48)

Ⅴ . 논 의 및 결 론

1 . 논 의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자신의 성을 통해 어떻게 놀이친구와 놀이활동을 선택하며 상호작용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혀 진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남자아동들은 남자다운 옷을 입은 동성의 놀이친구를 가장 선호하 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아동들은 여자다운 옷을 입은 동성의 놀이친구를 가장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여아가 남아 보다 동성놀이친구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아동이 놀이친 구를 선택할 때 성이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연구(Hartup, 1983; Lockheed

& Klien , 1985)의 결과와 동일하였으며 유치원의 아동들이 동성놀이친구와 노는 시간이 이성 놀이친구와 노는 시간보다 많았다고 한(Maccoby &

Jacklin , 1987)의 연구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하였다.

둘째, 7세 남자아동이 4세 남자아동보다 성유형화된 옷을 더 선호하였으 며, 연령이 많을수록 동성 놀이친구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령기가 되면서 태도나 행동특성을 통제하여 성유형화가 강화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으며 연령이 많아질수록 동성 놀이친구를 선호한다는 Maccoby와 Jacklin (1987)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아동의 놀이친구 선호도에 있어서 성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학령

(49)

기에서 동성 선호경향은 더욱 커진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남성적인 옷을 입은 남자아동과 중성적인 옷을 입은 남자아동은 남성적인 놀이유형을 선호하였으며, 중성적인 옷을 입은 여자아동은 여성 적인 놀이유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들은 놀이친구들 의 성유형화된 옷과 일치하는 성유형 놀이활동을 좋아하는 것으로 파악되 었다.

이 결과는 성분류가 상당히 아이들의 귀속판단에 영향을 미치고 성도식 이론(성배경이론)과 일치하는 구분적 사고의 증거를 보여준 전례의 연구들 을 재확인시켜 주는 것이며 대다수의 참가자들은 성유형화된 옷을 입은 남 자아동과 여자아동들이 전통적인 남자의 놀이와 여자의 놀이에 각각 관심 을 갖는다는 Kaiser (1989)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그리고 여자아동이 남자아동보다 성유형화된 옷과 성유형 놀이활동이 일 치되는 경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Sherman (1967), Conner와 S erbin (1977), 단현국(1978), 현재연(1989)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2 . 결 론 및 제 언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친구의 성이 놀이친구를 선택하는데 미치는 영향은 P < .001수준에 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고, 남자아동들은 놀이친구로 남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아동들은 여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

(50)

다. 또한 요인별 상호작용에서 남자아동의 연령과 친구의 성은 P< .01로 의 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7세 남자아동이 4세 남자아동보다 동성의 친구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유형화된 옷이 놀이친구를 선택하는데 미치는 영향은 여자아동 에서만 P < .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로 나타났다. 따라서 옷 유형에 따라 여자아동이 선호하는 놀이친구는 남성적인 옷을 입은 아동보 다 여성적인 옷을 입은 아동과 중성적인 옷을 입은 아동을 더 선호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유형화된 옷이 놀이선택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χ

2한 결과 P<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아

동의 경우 성유형화된 옷이 놀이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 되었고 여자아동의 경우에는 중성적인, 여성적인 옷을 입은 아동이 놀이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적인 옷을 입은 여자아동은 놀이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과제를 중심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아동의 놀이 친구와 놀이활동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해 살펴보았으며, 교육현장에서 아동의 놀이친구와 놀이활동이 바람직한 선택이 될 수 있도록 교사의 역할이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실험 상황에서 면접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실

(51)

제 생활 내에서 아동들이 나타내는 놀이친구와 놀이활동에 대한 관찰을 통 한 연구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아동의 놀이친구와 놀이활동 선택이 발달에 따라 어떻 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밝히는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통해 아동에게 놀이를 지도하는데 있어서 구체적인 지침과 프로 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52)

참 고 문 헌

강은숙(1980).학 령 기 아 동 의 의 복 행 위 와 사 회 계 층 간 의 상 관 연 구 . 고려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미(1981). 취 학 전 아 동 의 성 역 할 선 호 발 달 에 관 한 연 구 .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희(1978). 역 . 발 달 과 정 에 따 른 성 교 육 . 서 울 대 학 교 연 합 회 , 제11권, 제209호

김수열(1998). 성 유 형 화 정 보 가 유 아 의 장 난 감 선 호 에 미 치 는 영 향 . 국민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옥(1975). 소 득 계 층 별 학 령 기 아 동 복 의 인 식 ,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김태련・조혜자(1986). 한 국 아 동 의 성 고 정 관 념 발 달 에 관 한 연 구 . 여성학 논집, 3, pp .7- 29.

김현미(1998) 성 고 정 관 념 과 관 련 된 사 물 이 나 활 동 유 형 이 아 동 의 기 억 에 미 치 는 영 향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단현국(1978). 취 학 전 아 동 의 성 역 할 선 호 성 에 따 른 놀 이 선 호 성 . 중앙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박희숙(1994). 6・ 7세 아 동 의 친 구 관 계 개 념 발 달 에 관 한 일 연 구 .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53)

안선영(1989). 유 아 의 성 역 할 개 념 발 달 에 관 한 기 초 연 구 . 이화여자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미숙(1983). 아 동 의 직 업 에 대 한 성 별 고 정 관 념 인 식 . 경희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윤혜원(1990). 유 아 의 성 역 할 고 정 관 념 에 관 한 연 구 , 이화여자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광순(1995). 놀 이 형 태 와 친 구 의 성 이 아 동 의 놀 이 친 구 선 택 에 미 치 는 영 향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미숙(1985). 아 동 복 의 선 호 디 자 인 특 성 및 성 격 과 의 상 관 연 구 ,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재연(1986). 성 역 할 사 회 화 이 론 의 최 신 경 향 .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 여성문제 연구소 논문집. 아세아 여성연구, 제24집.

장문호(1975). 복 식 미 학 .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장영순(1993). 부 모 의 성 역 할 특 성 과 유 아 의 성 역 할 선 호 성 과 의 관 계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선숙(1992). 아 동 의 성 고 정 관 념 에 대 한 연 구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최영옥(1972). 유 아 복 에 대 한 실 태 조 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윤정(1994). 아 동 의 놀 이 친 구 선 호 도 에 대 한 성 - 명 명 과 놀 이 유 형 의 상 대 적 인 경 향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현재연(1989). 학 령 전 아 동 놀 이 에 서 의 성 유 형 화 와 공 간 능 력 에 관 한 연 구 .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A sher , S . R ., Oden , S . L ., & Gattm an , J . M .(1977). Child ren 's F riendship s in S chool S etting s Current T op ics in E arly Childhood E d ucation (pp .33- 61). In L .

Bandur a, A .(1969). S ocial learning theory of indentificat ory proces ses . In D. Goslin (Ed.). H and B ook of S ocializ ation T heory and R es earch Chicag o: Rand McNally and Co.

Bem , S . L .(1975). S ex r ole adopt ability ; one con sequence of psychological andr ogyny . J ournal of P ers onality and p sy chology , 31, (4) 634- 643.

Blackm ore, J . E ., LaRue, A . A ., & Olejnik, A . B .(1979). S ex - appr opr at e t oy perfer ence and the ability t o conceptualize t oy s as

sex role r elat ed. D ev elop m ental P sy chology , 28, 512- 526.

Block, J . H .(1973). Concept ion s of Sex Role: S om e cross cultur e and longitudinal per spect iv es . A m e rican P sy cholog is t, 28,

512- 526.

Bryan , J . W ., & Luria, Z.(1978). S ex - r ole learning : A t est of t he selectiv e att ent ion hypothesis . Child D ev e lop m ent, 49, 13~

23

Connor , J . M . & Serbin , L. A (1977). Behaviorally based m asculine and

참조

관련 문서

이 논문은 SNG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물론 여기 서 나온 요인들은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포함하고 있다.SNG 중독에 대한

첫째 , 외모에 대한 내면화가 목표지향적태도인 의무적 목표지향적태도에 부적 (-)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자발적 목표지향적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유아기 때부터 이런 표현의 욕구는 선을 긋거나,그림을 그리는 등의 자유스러운 놀이 형태로 나타난다.미술의 기본적인 것들은 이렇듯 놀이의 형태로 나타난다.아동들의

More specifically, high debt-to-equity ratio firms rely heavily on non-cash gains when the firms increase reported earnings, while low debt-to-equity ratio

시험불안이 전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1차 곡선은 부적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2차 곡선은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이미지인식(AI) 놀이를 통한 우리 몸 알기 교사용.. 활동3에서 인공지능(오토드로우)이

요약하자면, 본 연구는 IPO 연도의 연구개발비 과대투자가 IPO 기업의 조기상장 폐지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 결정요인이 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 조기상장폐지

구체적으로 정직성 신뢰, 전문성 신뢰, 그리고 호의성 신뢰 모두 고객 만족도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