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10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년 월 2017 8 박사학위논문

외모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회문화 및 개인목표 행동적 접근 :

조선대학교 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김 해 선

(3)

외모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회문화 및 개인목표 행동적 접근 :

The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n Quality of Life

: Socio-Cultural and Goal-Oriented Behavioral Approach

년 월 일

2017 8 25

조선대학교 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김 해 선

(4)

외모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회문화 및 개인목표 행동적 접근 :

지도교수 한 선 주

이 논문을 디자인학 박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7 年 4 月

조선대학교 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김 해 선

(5)

김해선의 박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위 원 동신대학교 교수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2017 年 6 月

조선대학교 대학원

정 형 식 ( ) 인

강 은 주 ( ) 인

한 선 주 ( ) 인

손 영 미 ( ) 인

임 채 형 ( ) 인

(6)

목 차

ABSTRACT

제 1 장 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1

제 2 절 연구의 구성···4

제 2 장 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제 1 절 사회환경과 외모관리···5

제 2 절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및 목표지향적태도···8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태도 1. ···9

외모에 대한 목표지향적태도 2. ···13

제 3 절 외모관리행동 및 외모만족도···14

외모관리행동 유형 1. ···14

외모 만족도 2. ···18

제 4 절 외모에 대한 공적자기의식···21

제 5 절 향후 외모관리지속의도 및 삶의 질···23

향후 외모관리지속의도 1. ···23

삶의 질 2. ···26

제 3 장 연구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7)

제 1 절 연구모형의 설계···28 제 2 절 연구가설 설정···29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태도와 목표지향적태도

1. ···29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태도와 외모관리행동

2. ···29 외모에 대한 목표지향적태도와 외모관리행동

3. ···30 외모관리 행동 및 만족도와 향후 행동의도

4. ···31 외모 만족도 및 향후 행동의도와 삶의 질

5. ···31 외모에 대한 공적자기의식 고 저 의 조절적 역할

6. ( / ) ···32 제 3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34

변수의 조작적 정의

1. ···34 변수의 측정

2. ···35 제 4 절 자료의 수집 및 분석방법···39

자료의 수집

1. ···39 분석방법

2. ···39

제 4 장 실증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제 1 절 기초자료 분석···40 표본의 특성

1. ···40 제 2 절 변수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45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1. ···45 전체 변수에 대한 확인적 분석

2. ···50 판별타당도 검증

3. ···54 제 3 절 연구가설의 검증 ···59

구조모형의 검증

1. ···59 연구의 가설검증

2. ···60

(8)

가.(H1) 내면화 및 사회문화적인식이 목표지향적태도에 미치는

영향 ···60

나.(H2) 내면화 및 사회적인식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61

다.(H3) 목표지향적태도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61

라.(H4) 외모관리행동 및 외모 만족도가 향후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62

마.(H5) 외모 만족도 및 향후 행동의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62 바.(H6)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태도와 외모관리행동과의 관계에서 공적자기의식 고 저 의 조절적 역할( / ) ···63

외모에 대한 목표지향적태도와 외모관리행동과의 관계에서 (H7) 공적자기의식 고 저 의 조절적 역할구조모형의 검증( / ) ···63

제 5 장 결 론 및 제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67

제 2 절 연구의 한계점 및 장례 연구과제···70

참고 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설문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

(9)

표 차례

< >

표 사회문화적태도 관련 선행연구 정리

< 1> ···11 표 외모관리 유형

< 2> ···15 표 외모만족도 관련 선행연구 정리

< 3> ···21 표 외모관리행동 관련 선행연구 정리

< 4> ···25 표 삶의 질의 정의

< 5> ···27 표 전체 변수의 조작적정의

< 6> ···34 표 설문 집단의 인구 통계적 특성

< 7> ···40 표 표본의 외모관리행동 특성

< 8> ···43 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태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 9> ···40 표 외모에 대한 목표지향적태도 및 관리행동 및 만족도 향후 행동의도

< 10> , ,

삶의 질 공적자기의식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8 표 구성개념에 대한 신뢰도 검증 및 제거항목

< 11> ···49 표 확인적 요인분석

< 12> ···51 표 확인적 요인분석에 대한 적합도

< 13> ···52 표

< 14> 공적자기의식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53 표 공적자기의식에 대한 적합도

< 15> ···53 표 구성개념의 상관관계 행렬

< 16> (Φ matrix)···55 표 비강압모델과 제약모델간 비교를 통한 판별타당성 분석결과

< 17> ···56 표 전체 경로모형 검증

< 18> ···59 표 공적자기의식 고 저집단 분류의 조작적 점검

< 19> / ···64 표 공적자기의식의 조절적 역할 검증

< 20> ···64 표 연구가설 검증결과의 종합

< 21> ···66

(10)

그림 차례

< >

그림 취업 준비에 들어가는 비용

< 1> ···8 그림 면접을 위한 외모관리행동

< 2> ···7 그림 연구모형

< 3> ···28 그림 판별타당도 검증을 위한 강압모형과 비강압모형의 검증

< 4> ···56 그림 연구모형 분석결과

< 5> ···63

(11)

ABSTRACT

The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n Quality of Life

: Socio-Cultural and Goal-Oriented Behavioral Approach.

Kim, hae-sun

Advisor : Prof. Han, sun-ju, Ph.D.

Department of Design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Physical appearance has becom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riteria of evaluating people. Influenced by diverse mass-media, those who set their physical appearance goal according to the socio-cultural norms of the time not only work on their appearance in their daily lives but also show excessiv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o reach the goal, including plastic surgery to change their body, lipo suction, and extreme diets that can cause eating disorders. Beauty management behavior as a total concept, not as a specified one e.g., face, hair, skin, nails, cosmetics, etc, can improve a person's image and give a pleasant impression to others, leading to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which in turn are expected to improve quality of life.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is three-fold: 1)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goal-oriented attitude toward appearanc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2)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n future behavior intentions and quality of life;

(12)

and 3) to examine a moderating effect of public self-consciousness (high/low groups) on the effect of socio-cultural attitude and goal-oriented attitude toward appearanc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Men and women in their 20s, 30s, 40s and 50s residing in Gwangju and Daijeon areas participated in the current stud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hrough email, fax, or visit for approximately 4 weeks. A total of 375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using SPSS 10.1. First, to establish reliability and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reliability was assessed using Cronbach's alpha.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LISREL 8.30. Third, LISREL 8.30, a chi-squared test was carried out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alization of goal-oriented attitude toward appearance negatively affected obligatory goal-oriented attitude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voluntary goal-oriented attitude. Social cognition of appearance also negatively affected obligatory goal-oriented attitude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voluntary goal-oriented attitude.

Second, internalization significantly affecte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so did social cognition.

Third, of goal-oriented attitude variables, obligatory goal-oriented attitud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whereas voluntary goal-oriented attitude did.

Fourth,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showed positive effects 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also on future behavior intentions, namely, intentions of continuous appearance management and expansion of in-depth management. Appearanc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on

(13)

intention of continuous appearance management, but not on intention of expansion of in-depth management.

Fifth, appearance satisfaction revealed a significant effect on quality of life, and also on intentions of continuous appearance management in the future and expansion of in-depth management. The findings indicate that positive cognition of appearance management leads to appropriate appearance management, resulting in appearance satisfaction, through which satisfaction with life also increases.

Sixth, moderating effects of public self-consciousness were found in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ognition of appearanc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bligatory goal-oriented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voluntary goal-oriented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However, a moderating effect of public self-consciousness was not found in a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ation of appearanc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e current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considering various situational factors and yielding in-depth results about internalization.

Future studies need to incorporate diverse variables regarding the intention of in-depth management expansion into investigating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In addition, more empirical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diverse age groups of participants for the findings of the study to be generalized.

(14)

제 장 서 론 1

제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현대사회에서 개인의 외모는 사회적 경쟁력뿐만 아니라 취업, 결혼, 대인관계에 서 개인의 능력 이상으로 평가를 받게 되므로 외모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사회 전반적으로 ‘외모도 경쟁력 이고’ “외모가 예쁜 사람은 자기관리를 잘하는 사 람 으로 인식되고 있어 외모가 사람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

사람의 외모는 그 사회가 원하는 인상이나 키가 크거나 마른몸매를 이상적인 미의 기준으로 정하고 타인과 자신을 비교, 평가하게 된다. 실제로 한사람의 외모는 짧은 시간으로도 다양한 정보를 전달한다. 얼굴표정이나 자세, 헤어스타일, 체형, 옷차림 등의 상태만 봐도 그 사람의 마음이나 성격을 짐작할 수 있고 생활습관이나 자기관리, 여부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김주미( , 2016). 이 같은 외모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분 위기는 의복 액세서리, ,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체형관리 등의 일상적인꾸미기 뿐만아, , 니라 일1 1 , PT(Personal Training),식 시력교정수술, 지방흡입수술 미용성형수술 등, 의 좀 더 심층화된 행동양식으로 진화되고 있다. Rudd and Lennon(2000)에 따르면 TV 를 비롯한 다양한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날씬한 몸매나 이상적인 아름다운 외모에 대한 고정관념이 시각 형태로 전달되어 이 같은 외모관리 행동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그러나 그 동안 외모관련 행동연구를 밝히는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외모에 대한 사 회문화적 태도와 외모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설현진( , 2010; 이정순·한경희, 2008;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 Chen, Fox, Hasse and Ku, 2010; Mayers and Crowther, 2009),

적 태도와 외모관리행동 관계를 보는 연구 안나영( , 2007; 양유나, 2016; 이민지 정성· 지 안미선· , 2015; 황윤정, 2007)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와 외모만족 외모관리행동과 공적자기의식과의 관계를 보는 연구는 매우 단편적인 측, 면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승희 이시원( · , 2009; 이시원, 200). 그래서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사회적으로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자신에 대한 타인의 판단으로서 평가를 의식하는 공적자기의식의 역할을 검증하여 개인의 외모관리행동을 밝히고자 한 다.

(15)

는 사회적 현상으로서 개개인의 외모에 대한 이상적인 Heinberg and Thomson(1995)

사회적 표준을 인식하고 이를 내면화하여 자신의 신체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사용하게 되는 현상을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태도(Sociocultu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라고 제시하였다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외모는 개인의 중요한. 자원으로써 자신의 신체가 사회문화적 기준에 가까우면 긍정적 신체이미지를 갖게 되 고, 반면에 사회적 기준과 차이가 있을 때는 사회적인 이상적 기준과 자신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신체이미지를 변화시키려는 행동 및 노력을 하게 된다고 하였다 최근에는 페이스북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 (Thompson and Stice, 2001). , ,

어의 발달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이상적인 미의 기준을 쉽게 접하게 된다.

또한 블로그나 뷰티 패션잡지· , TV, 영화 등 다양한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먼저 그 시 대가 원하는 사회문화적 기준이 되는 트렌드한 미를 인식한다. 그런 다음 그 기준과 자신을 비교해보는 것을 내면화라고 하는데 이 과정을 거친다. 이 같이 일반적인 사람 도 보이지 않게 강요받은 것처럼 다른 사람들로부터 자신의 외모에 대해 좋은 평가를 받기위해 외모관리 행동을 하게 되는 사회적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은 사회문화적 태도는 목표지향성과 관계가 높아 타인의 시선을 의식 Dweck(1986)

하는 의무적 목표지향적태도와 타인을 의식하기보다는 자기지향성이 강한 자발적 목표 지향적태도로 구분하였다. 의무적 목표지향적태도는 다른 사람에 의해 자신이 부정적 으로 평가되는 것을 회피하려는 성향인 반면, 자발적 목표지향적태도는 자신을 비교 평가하는 것보다는 자신의 우수성을 과시하려는 성향으로 보고하였다(Skaalvik, 즉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는 의무적 목표지향적태도는 자신의 외모만족 1997).

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자신의 개성이나 타인 시선을 의식하지 않은 자발적 목표 지향은 외모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하였다. Ames(1992) 또한 의무적 목표지향성태도는 타인을 의식한 성과목표지향으로 개인의 목표가 충족되지 못했을 때 높은 스트레스를 받는 등 다른 사람들과 자신을 비교하여 강요된 목표의식을 말하며 외모만족과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한편, 개인 자신이 느끼는 외모에 대한 만족이나 신체는 자기 자신을 의식하는 가 치관과도 관련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신의 외모를 사회가 원하는 이상적 인 미의 기준에 따라 자신의 신체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감시하며 비교 평가하고 있, 다는 사회적 압력을 느끼는 사람들은 자신이 경험했던 부정적인 신체이미지를 해소하 기 위해 체중조절이나 운동과 같은 외모관리행동을 자발적으로 하게 된다(Fredrikson 이러한 노력의 결과 자신의 외모가 향 and Roberts, 1998; Mckinely and Hyde, 1996).

(16)

상되어 만족을 하게 되고 다른 사람의 평가에 대한 자신의 가치는 전반으로 상승된다 는 동기가 부여가 된다. 즉 외모에 대한 만족은 자기 스스로를 발전시켜 외모를 더 나 이지게 하는 끊임없는 노력을 지속하여 더 나은 외모를 위해 기존의 관리행동보다 한 층 더 깊이 있고 중독성 있는 외모관리행동으로 어이진다고 할 수 있다.

개인의 외모관리 행동을 이끄는 기저에는 하나의 사회심리적 현상으로써 이 같은 공적자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은 자신의 외모, 행동 말, 과 같이 다른 사람에 의해 관찰되어지는 자아에 주의를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홍금희( ,

즉 공적자기의식 이 높은 사람은 자기가 속한집단

2010). (public self-consciousness)

으로부터 고립되지 않도록 주위에 맞추어 행동하는 특징을 보여주지만 다른 한편으로 는 다른 사람보다 더욱 두드러져 보이고 싶은 욕구도 지니고 있을 것으로 예측되기 때 문이다. Thomton and Maurice(1997)에 따르면 공적자기의식(public 이 높은 사람은 현재의 자기 외모에 만족하기보다는 다른 사람들 self-consciousness)

이 요구하는 이상적인 외모를 추구하는 경향이 높다고 하였다. 다른 사람이 자신을 어 떻게 판단하느냐를 대해 매우 높게 의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Fenigstein et 외모에 대한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현 시대가 원하는 이상적인 외모의 기 al., 1975).

준을 인식하면 타인과의 비교를 유발시킴으로써 다른 사람이 어떤 평가를 하고 판단하 는가가 중시하게 되고 이를 통해 외모만족도와 외모관리행동이 달라질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의 외모관리행동을 사회문화와 개인의 목표적 태도 측면에서 인지 태도 행동 간의 관련성을 밝히고-> -> , 이들 간의 관계에서 공적자기의식의 조절적 역할을 밝히고자 한다. 후속하여 외모만족도가 향후 행위의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한 인과관계 모형을 통해 외모관행동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밝혀내고자 한 다. 이를 통해 개인의 외모관리행동을 이끄는 사회문화적 및 개인 행동적 접근측면에 서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밝혀내어 개인행동 및 관련 산업에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 고자 한다.

(17)

제 절 연구의 구성 2

본 연구는 외모관리행동에 있어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외모에 대한 목 표지향적 태도 및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후속하여 외모관리행동 및 외모만족 도가 향후 행동의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 고자 한다.

전반적 연구에 대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구성을 제시한다1 , .

제 장에서는 먼저 사회문화적태도2 , 목표지향적태도, 외모관리행동, 외모만족도, 향후 외모관리행동, 공적자기의식, 삶의 질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그 다음으로 본 연구의 사회문화적태도, 목표지향적태도와 외모관리행동 간의 다양한 관련 선행변 수들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공적자기의식의 조절변수로서 외모 관리행동 유형에 따른 관계특성의 차이가 존재할 것인가에 대한 이론적인 측면을 고찰 한다.

제 장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변수 간의 검증하고 가설을 설정 하였고 변수의3 조작적 정의와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을 다루고 있다.

제 장에서는 설정한 가설 검증을 위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표본의 특성 변수들간4 . , 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확인적 분석, 판별타당도 검증을 실기하여 연구가설을 검 증하였다.

제 장은 연구결론과 제언부분이다 연구결과에 대한 종합적 논의로서 연구결과의5 . 요약 및 사사점과 연구의 한계 및 향후의 연구과제를 제안하였다.

(18)

제 장 이론적 배경 2

제 절 사회환경과 외모관리 1

의 본능이론을 개발하였는데 본능은 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서 세 Freud(1993)

가지로 구분된다. Freud의 정신분석학 이론에서 볼 때 본능이론과 개성이론 욕구이론, 을 들 수 있는데 사람들이 개인의 겉모습인 외모 대한 이미지를 보완하려는 외모관리 노 력은 개성이론에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사회적인 변화와 과학기술의 변화로 인해.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인간관계에 있어서도 상대방의 인격이나 내면의 성실함 등으로 판단하기보다는 즉각적인 인상이나 이미지 타인과 차별화가 중시하게 되어 개성 이론이 더 설득력 있게 나타나고 있다.

개인을 지각하는 겉모습은 외모에 대한 인상으로서 대인 접촉 시에 중요한 이미지 전달 요소이다 외모가 매력적인 사람은 그렇지 못하는 사람보다 능력이 많아 보이거나. 좋은 특성 성격이 좋아 보이는 후광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적으로 외모가 매력적인, . 사람들은 사회성과 리더십이 있는 사람으로 인식되는 경향을 보였다 외모는 키가 크거. 나 날씬한 체형 남성경우 근육질 몸매는 성격안정성 사회생활의 대인관계성면에서 모, , 두 높게 평가된다 이는 사회문화적으로 날씬한 체형을 선호하는 것과 관계가 있다고 본. 다 류지원( , 2000). 패션을 이끄는 힘은 전반적인 사회적현상 임을 받아들인다면 유행도 몇 사람의 뜻대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하용득( , 1999). 현대의 정보화는 일 상생활에서 이상적인 신체를 가진 광고 모델이나 연예인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이며 한번 하고 쉽게 접할 수 있게 한다. 현대사회의 대중문화와 세계가 공유하는 정보 홍수에서 공유하는 외모에 대한 이상적인 외모인식의 영향은 개인이 외모에 대해 관여도가 높게 하고 어느 정도의 불만족 인식을 상시로 갖게하는 경향이 있다 하루 중에 자신의 겉모. 습을 거울에 비춰보는 시간보다 매스컴 인터넷, , SNS를 통해 이국적인 모델이나 TV나 영 화에 나오는 연예인을 시각적으로 접할 시간이 더 많은 것이 요즘 현대인의 일상이다.

우리사회에서는 과도한 성형수술이나 지방흡입수술 약품 사용이나 다이어트 등으로 인, 한 부정적인 피해사례는 매스컴을 통해 보도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압 력은 외모지상주의에 기인한다고 보는 시각으로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극단적인. 개인의 신체변화는 정신이나 육체 물론 생명까지도 빼앗길 수 있다. Kefgen and

(19)

는 여성이 자신을 매력적으로 느끼지 않는다면 자신이 가지고 있 Touchie-Specht(1976)

는 능력, 흥미, 신념과 관계없이 불안감을 느끼고 자신의 신체적인에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식이요법, 운동 및 의상, 메이크업에 많은 관심을 갖는다고 했다. Bloch and 는 외모관리를 화장품 헤어염색 및 패션 등의 외모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Richins(1992) ,

제품의 사용은 개인의 자존심을 높이는 수단으로도 볼 수 있다고 했다.

특히 취업과정에서 나타나는 외모관리의 중요성은 우리사회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 다. 「취업포털 사람인 이 구직자」 334명을 대상으로 한 '구직자 취업 준비 비용' 조 사 결과, 구직자들은 1년간 취업을 준비하는 동안 평균 528만원을 쓰고 이 중 외모 관 리만 278만원으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다음이 어학 관련(86만원), 자격증 취득(84만 원 순으로 나타나 취업 준비를 위해 돈을 쓸 때 가장 신경을 많이 쓰는 건 외모인 것) 으로 나타났다(chosun.com, 2016). 조사 대상자들의 구직 과정을 1년으로 잡을 때 자 격증 취득은 평균 6.8개월이 걸렸으며 어학은, 8.3개월 동안 대비했고 자기소개서 작, 성은 개월 면접은5 , 6.1개월 준비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외모 관리는 11.5개월 동안 꾸준히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자가 외모관리에 신경 쓰는 이유로는 '자기관리가 철저한 사람으로 각인되고 싶어서 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이력서에 사진이나 연령 표시 등을 요구 하지 않는 기업들이 늘어나고는 있지만 개인의 능력 중심으로 인력을 뽑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인식이 높다. 외모 관리를 하는 구체적인 이유로는 앞서 언급한 자기' 관리가 철저한 구직자로 각인되고 싶어서 가' 33.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취업이 유리해질 것 같다 는 답변은' 28.3%이었고, '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겠다는 믿음을 줄 것 같다 는 답변은' 24.3%로 그 뒤를 이었다.

그림 취업 준비에 들어가는 비용

< 1>

자료 : chosun.com, 사람인, “취준생, 어학보다 외모에 3배 더 투자… 1년간 528만원 쓴다”, 2016.6.24.

(20)

현대인들은 이미지 개선을 위한 외모관리가 일상화된 시대에 살고 있으며 건강한 신 체와 날씬한 몸매 등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목표달성을 위해 보다 효과적이며 체계적으 로 개인의 외모를 관리하는 일은 일종의 프로젝트 수행이 되기도 한다 외모관리는 건강. 과 이미지 개선을 위해 시간과 경제적인 측면 노력을 투자해서 끊임없이 재구성해야할, 대상으로 생각하고 개인의 자아를 표현하고 개인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대표적 인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림 면접을 위한 외모관리

< 2>

자료 : chosun.com, “구직자 73.6% '면접 위해 외모 관리', 가장 많이 하는 외모 관리는?”, 2016.10.26

(21)

제 절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및 목표지향적태도 2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태도 1.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는 다양한 대중매체를 통한 외모의 겉모습인 신체를 사회의 이상적인 기준을 인식하고 그러한 기준과 자신을 비교하는 것을 내면화하는 정 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써 Heinberget al.(1995)에 의해 제안되었다. 외모에 대한 사 회문화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척도(SocioculturalAttitude toward 는 신체적 외모에 대한 사회적 중요성을 지각하고 Appearance Questionnaire: SATAQ)

이상적인 사회적 기준을 인지하는 인식(awareness) 차원과 외모에 대한 이상적인 사회 적 기준을 자신의 평가기준으로 수용하고 사용하는 내면화(internalization)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Heinbergand Thompson and Stomer, 1996). 즉 각 사회는 그 시대에 맞, 는 사회문화적 영향을 받아 이상적인 미의 기준을 가지고 있다.

은 이상적인 미의 기준은 시대를 반영하며 미 란 문

Rudd and Lennon,(2001) (美)

화적 사회적 구성요소라 하고 이것을 받아들이는 이상적인 외모는 사회적 문화적 시· 대적 변화에 따라 그 기준이 변화한다고 했다. 그 시대에 가장 트렌드한 정형화된 미 를 자신과 비교하여 날씬할수록 더 좋은 외모일수록 사회에서 경제력이나 직업, , 대인 관계 등 성공적으로 보이는 후광효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외모관리를 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태도 현상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TV, 신문, 잡지 등의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여성의 마른 신체를 이상 화하거나 남성의 근육질 몸매를 강요하는 사회적인 압력 등으로 행사된다(Cash and

예를 들면

henry, 1995; Stice et al, 1996; Cusumano and thompson, 1997). Schutz 의 연구에서는 사회 문화적 가치의 내면화가 신체만족도에 부정적인 영 et. al.(2002) ·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적인 외모와 현실적으로 실제 자신의 모습과의 차 이에서오는 외모에 대한 불만족이 증가하게 때문이다 그러한 이유로 사람들은 자신의. 신체에 대한 부정적 평가와 불만족으로 인해 폭식이나 과도한 절식과 같은 섭식장애, 과도한 미용성형을 추구 하며 비정상적으로 마른 몸매를 이상적인 외모의 기준으로 인 식하고 이를 내면화하여 자신의 신체와 비교한 결과로 불만족으로 이어진다는 인과적 관계의 타당성을 설명 하고 있다 김완석( ·유연재 권지현· , 2009).

(22)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외모에 대한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외모관련 사 회문화적태도 개념정의 및 SATAQ 척도 개념 이상선 오경자( · , 2003; Cusume and 을 도입 Thompson, 1997; Heinber, 1995; Thompso and Stormer,1995; Thompson, 2004)

하여 이들 관계를 규명하였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외모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신체이미지 의복관련 행동들 간의 관계를 규명 송경자, , ( , 2009; 이미숙, 2008)하 였다. 또한 여성과 남학생을 대상으로 한 외모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외모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김윤( ·이종남, 2009; 홍금희, 2007 )을 연구한바 있고, 중년여성을 대상 으로 한 연구에서는 외모관심도 삶의 질 외모관리행동 간의 관계를 규명한 김선경, , ( · 홍성희, 2013; 전현진 정명선· , 2008; 최수경 정수진· , 2014) 선행연구들이 있다. 이 렇듯 많은 연구에서 미디어의 영향에 따른 사회적심리적 영향 변인들과 외모에 대한 인식과 내면화요소에 대하여 여러 대상인 여성 남성 및 연령에 국한되지 않고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이민지, 정성이, 안미선(2015)은 외모에 대한 인식을 많이 할수록 화장, 피 부관리, 체중관리를 많이 하였고 타인으로부터 콤플렉스 점수가 높았으며 얼굴만족, 피부만족도의 점수는 낮았다. 또한 내면화가 높을수록 외모관심, 헤어관리 및 체중관 리의 점수가 높게 나왔으며, 외모에 대한 인식과 내면화가 높을수록 체중조절이 공통 적인 외모관리행동으로 분석되었다. 고애란과 이수경(2004)은 자신의 가치로 수용하고 사회가 수용하는 미적표준에 도달하기 위해 외모에 대한 관심과 외모관리행동에 능동 적인 성향을 갖게 된다고 하였다 즉. , 이상적인 미의 기준에 도달하기 위해 피부관리, 메이크업, 다이어트, 패션, 악세서리 착용 등 외모관리를 촉진시킨다는 것이다. 홍금 희(2006)도 여성을 대상으로 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외모관리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외 모에 대한 인식과 내면화가 높은 집단이 내면화와 인식이 낮은 집단보다 식이요법 다( 이어트), 기능성 화장품사용, 최신 의복구입, 성형수술 등 적극적인 외모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는 일반적인 여성들은 사회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모 기준을 받아들 Reed(1998)

일수록 신체만족도가 낮아 위험한 체중관리행동을 실시한다고 했다. 다양한 대중매체 를 통한 사회적으로 이상적인 신체표준이 자신과의 비교를 통해 신체불일치는 자신의 얼굴만족이나 신체만족도에 부정을 미치며 과도한 미용성형을 하거나 마른 몸을 선호 하여 지나친 다이어트, 섭식장애 이뇨제를 복용하는 일이 일어난다고 하였다, . 그러나 정미실(2012)은 성형태도 신체편향성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의복행동 간의, , 관계 조사에서 의복의 연예인 모방행동에 가장 중요하게 미친 변수는 성형에 대한 욕

(23)

구이고 그 다음이 사회문화적 태도라 하였다. 김완석과 유연재과 권지현(2009)은 여고 생과 여대생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여성의 연령이 증가하고 사회생활이 많아지면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압력으로 인해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를 내면화 한다고 하였다. 이승희와 이시원(2009)은 성별 사회문화적 영향에 따른 분석 결과에서는 남성 보다 여성이 높게 나타났다 김수현. (2013)은 여성들의 매스미디어를 통한 외모의 사회 문화적 태도형성에는 모바일, 내면화, 광고, 사회적 인식의 요소로 분류하였다. 본인 의 외모와 사회문화적 태도와의 관련성은 외모 불만족인 경우에 모바일에 대한 수용태 도가 높았고, 미용성형 경험자는 비경험자에 비하여 모바일, 내면화, 광고에 대한 수 용태도가 높게 나왔다. 또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본인의 외모만족, 미용성형 수술경험 여부 미용 성형 시술 경험 여부와의 관련성은 모바일에 대한 수용태도가 높을수록 광, 고에 대한 수용태도도 함께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문화적 태도에 의한 외모인식과 자신의 몸을 타인과 비 교하는 내면화는 개인이 지각하는 신체 또는 얼굴의 외모에 대한 만족도로 이어져 자 신을 인식하는 가치관이나 신념과도 관련성을 높여 주므로 외모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정순 한경희( · , 2008).

이에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태도가 인식하고 외모에 대해 내부화의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영향이 얼굴만족과 신체만족의 관계를 파악하고 향후 외모관리를 꾸준히 지 속적으로 할 것인지 또는 더욱 심층화된 행동으로 이어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24)

표 사회문화적태도 관련 선행연구 정리

< 1>

연구자 내용

임보형(2010) 사회문화적태도 객체화된 신체의식, 외모관리행동

이미지 정성이 안미선, , (

2015) 사회문화적태도 외모관리 외모관리행동 외모콤플렉스, , , 얼굴만족 신체만족,

고애란 이수경, (2001) 외모지향추구행동

홍금희(2006) 사회문화적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비만도, , 신체이미지

Reed(1998) 미디어영향 신체이미지 성적태도, ,

정미실(2010) 사회문화적태도 성형태도 신체편향성 의복행위, , ,

김완석,

유연재 권지현, (2009) 사회문화적태도 외모지향 신체가치, , 외모지향 외모관리행동,

이승희 이시원, (2009) 사회문화적태도 공적자기의식 신체이미지, ,

김수현(2013) 사회문화적태도 미용성형의도,

이정순 한경희,

(2008) 사회문화적태도 신체이미지 및 만족도,

(25)

외모에 대한 목표지향적태도 2.

목표지향이란 목표에 대한 동기부여로 특정행동의 의도에 따라 개인이 추구하는 목적이 발현되는 성취동기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Ames, 1992; Dweck and Elliot, 한 개인의 전반적 동기부여수준이 아닌 한 개인의 특정 과제를 수행하는 이유 1983).

및 의도에 대해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초점을 맞춘 이론으로 한은숙( , 2011) 개인의 능 력을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나 목적에 따라 개인의 태도가 달라지는 행동을 하게 된다 는 것이다. 목표가 무엇이냐에 따라 각기 다른 정서, 인지행동적 반응을 보인다고 했 으며 따라(Dweck and Leggett, 1998; 강상민, 2002에서 재인용), Ames and 는 목표지향성을 외모에 대한 자발적 목표지향태도와 외모에 대한 의무적 Archer(1988)

목표지향태도로 구분하였다.

첫째, 외모에 대한 자발적 목표지향성은 내적 동기로서 문제해결과 같은 활동자체 에 가치를 부여하며, 자신의 능력 개발과 새로운 것을 배우는 기회로 생각한다. 그러 므로 자기지향성 성향으로 타인을 의식하지 않고 타인의 비교, 평가를 두려워하지 않 으며 자신의 개성을 더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외적인 사회문화적으로 이상적인 신체 미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을 것이다

둘째, 외모에 대한 의무적 목표지향성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타인의 긍정적 평가 에 목적을 두는 것으로, 자신의 능력을 입증하는데 중점을 둔다. 개인이 이상적인 외 모를 정해 놓고 자신의 능력의 우수성을 과시하고 자신이 타인에 의해서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것을 회피하려는 성향을 의미한다(Skaalvil, 1997). Graham and Golan 은 개인이 타인에 의해 어떻게 평가되는 가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자신의 능력 (1991)

을 과시하고 자신의 부족한 능력을 감추려는 목표가 있다. 즉, 자신의 개인적 능력에 충족하지 못할 때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높은 스트레스를 받으며 타인의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문화적으로 이상적인 외모의 기준에 가깝도록 사회적 압력을 느껴 신체 에 대한 불만족으로 연결된다. 그 결과 과도한 다이어트나, 강도가 높은 성형수술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외모에 대한 의무적 목표지향은 대중매체를 통한 사회문 화적 태도인 외모에 대한 인식을 그대로 받아들이지만 외모에 대한 시대에 맞는 트렌 드한 미의 기준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자발적 목표지향태도는 다른 사람들의 시선 을 의식하지 않고 자신의 개성적인 외모에 만족할 것이다.

(26)

천혜숙(2016)의 헤어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헤어미용 종사자의 성취목 표지향은 조직 차원에서 유의한 영향으로 타인을 의식하고 타인의 승인을 지속으로 받 아야 하므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므로 조직 차원의 섬세한 이해와 지원이 필요한 것 으로 나타났다. 김형은(2015)은 미용 산업종사자의 업무수행과 목표지향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에서는 조직원에 대한 업무 목표 설정과 그에 따른 평가 방식은 업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지만 심리적 부담과 압박을 동반될 수 있다고 했고, 실무능 력의 향상은 꾸준히 노력하는 성향이 높을수록 업무성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는 의무적 목표지향성은 다른 사람들과 비교를 통해 자신에게 강요된 목표 Ames(1992)

의식을 말하며 외모만족과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사람들은 스스로가 설정한 기대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받는 심리적 고통은 인내할 수 있지만, 스스로가 아닌 타인을 의식하는 목표지향은 목표를 달성하려는 높은 부담 을 가지게 되고, 그 사람들에게 인정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두려움에 사로잡히면서 더 욱 열등감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의무적 목표지향태도는 다른 사람과 비 교하여 자신에게 강요된 목표로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Ames, 사회문화적 태도에 근거를 두고 외모에 대한 목표지향적 태도는 타인의 평가를 1992).

의식하는 공적자기의식에 따라 외모관리행동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27)

제 절 외모관리행동 및 외모만족도 3

외모관리행동 유형 1.

현대에 이르러 생활수준의 향상,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다양한 매체의 발달과 노 출의 증가 등으로 인해 외모에 대한 양적 질적인 많은 정보들은 외모에 대한 관심을· 높이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외모에 대한 관심을 여성, 남성뿐만 아니라 모든 연령대 로 확대되고 있다.

미에 대한 의식과 외모관리행동은 그 시대 사회문화적 영향을 반영하므로 오늘날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평균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건강하고 아름다움에 대한 기대수 준이 높아졌고 얼굴과, 피부가 아름다움을 구성시키는 주요요소가 되고 있다. 외모에 대한 미의식은 급속한 정보유통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미의 개념은 고정되 지 않고 그 시대의 사회, 문화, 관습 등의 요인에 따라 변화하므로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과 형태 또한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달라진다 김민제( , 2011).

또한 사람들은 외모가 좋아보는 사람을 보면 외모가 그렇지 못한 사람 보다 경제 적 능력 , 좋은 직업 성격 대인관계도 좋아 보이는 후광효과를 보이고 있다, , . 사람을 평가하는 기준에 있어서 과거에는 그 사람의 성품과 인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나, 현대 사회에서는 외모를 우선 중요시 여기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Lennon, S. J. and 그러므로 개인은자신의 외모에 대한 단점이나 콤플렉스를 극복할 Rudd, N. A, 1994).

수 있다는 사고방식으로 이상적인 외모를 가꾸기 위해 시간 노력 투자를 아끼지 않· · 고 있다 정지영 외( , 2006). 헤어스타일링, 뷰티행동 메이크업( , 피부관리, 네일),섭식 행동 다이어트행동 미용성형행동, , , 운동행동 등의 외모향상의 수단이 동원되고 있다. 그러므로 개인은 외모향상을 통해 타인에 비추어진 자신의 이미지를 만들어가고, 그 이미지를 내면화시키려고 외모관리행동을 하게 된다 오별( , 2012).

외모관리행동 유형에서의 뷰티행동 운동행동, , 섭식 다이어트행동· , 성형행동으로 분류하여 다음과 같은 표< 2>를 작성하였다.

(28)

표 외모관리행동 유형

< 2>

외모관리

행동 유형 행 동

뷰티행동

운동행동

섭식·

다이어트행동

성형행동

자료 : http://blog.enter6.co.kr/1562,https://www.google.co.kr/search?,https://www.google.co.kr/search?q, h t t p : / / m . b l o g . d a u m . n e t / o p r g n i i o 8 / 1 9,h t t p : / / i a c e a . c o m . a r / g n u / b b s / a - n e w s - c o n t e n t . h t m l ? b o a r d, h t t p : / / s p o r t v i t a m i n . t i s t o r y . c o m / 7 9 h t t p : / / n b s p o r t s . t i s t o r y . c o m / 4 0 5,h t t p : / / a r c h n c u r l . c o m / ? p = 1 3 5 9 7,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http://thercokr.tistory.com/entry,http://tjsal1163.tistory.com/224, http://medibelldj.tistory.com/entryhttps://www.google.co.kr/search?q,http://m.pressian.com/m/m_article.html?no, http://m.blog.daum.net/koreanhealth/164,http://www.sy-ps.com/bbs/content.php?co_id=clinic61

뷰티행동을 살펴보면 아름다움을 향한 끝없는 욕망은 더 예뻐지고 싶어 하는 인간 의 본능으로 외모중시, 웰빙트렌드, 고령화, 뷰티에 관한 소비증가 등으로 인해 사회 전반적으로 뷰티행동은 특정한 사람들의 행동이 아니라 일반적인 현상으로서 사회가 원하는 외모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메이크업, 네일, 헤어, 패션, 악세서리 등 신체 장 식을 통해 외모 업그레이드를 추구하는 뷰티행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뷰티의 사전적 의미는 ‘얼굴이나 머리를 아름답게 매만지는 것 으로 정의할 수 있다 방기정’ ( , 화장 조발 복식 등으로 용모를 아름답게 꾸미는 것을 포함하여 메이크업은 2012). , ,

물론이고, 미용성형 즉 전신미용까지를 포함하고 있다 (김유성, 2011). 뷰티관리행동

(29)

을 통해 타인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주어 대인관계에 원활한 커뮤니케이션과 자신의 이 미지를 만들어 시대 상황 맞는 트렌드를 반영하여 삶의 질 개선으로 생활에 대한 만족 도가 향상될 것이다.

더욱 아름다워지기를 원하는 인간의 미에 대한 욕망의 증가로 뷰티 산업은 고부 가가치 산업으로 부각되었고 눈부신 발전과 함께 헤어, 메이크업, 피부 관리, 네일아 트, 화장품 아로마테라피 등 범위가 세분화되고 전문화되어 토털패션 산업의 주요 영 역으로 성장하고 있다. 최근 들어 젊고 아름다운 추구는 뷰티관리는 과학기술의 발달 로 인해 기능성 화장품인 주름개선을 위한 안티에이징(anti-aging, 항노화 과 비수술) 적(NonSurgical)요법인 보톨리늄 톡신 보톡스( ), 필러 레이져 리프팅요법 등은 생얼, , , 꿀피부와 같은 신조어까지 유행시키고 있다. 이런 이유로 메이크업도 네츄럴(nstural) 한 피부표현을 선호 하는 추세로 색조화장품보다 기초화장품에 더 신경 쓰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메이크업 행동은 가장 쉽게 외모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직접적인 표현 수단이기 도 하다. 이를 통해 사회생활, 심리적 만족감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직무만족도 및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데도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이미정( ·이성내, 2012).

또한, 자신의 결점을 커버 하고 자기 자신의 개성을 더욱 돋보이게 하여 한층더 자신 의 매력을 높이는 행위로 정의된다 박선희( , 2011).

과 에 따르면 일반적인 메이크업에 보다 전문적으로 메이크 Graham Jouhar(1981)

업을 한 얼굴이 더 매력이고 더 여성적이며, 더 섹시하게 보인다고 했다. 즉, 화장행 동은 장점을 더욱 돋보이게 하고 단점을 보완하는 것을 벗어나 시간이나 장소, 목적에 따라 얼굴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토탈 이미지를 변화시키고 내적인 정신과 외적인 감각 을 자신의 이미지로 만들어 내어 사회생활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네일(Nail)행동은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강한 자기표현과 스트레스 해 소 목적의 뷰티행동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노출이 가장 많은 손 관리는 사회적 활동 을 할 때나 다른 사람들과의 친근감을 표현할 때나 상대방과 대화할 때 등 자신의 이 미지를 더 나아 보이게 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한국보건진흥원 보고서에 따르면, , 2008년도 우리나라 네일산업의 년 간 매 출규모가 4,830억 원으로 이는 전체 미용시장의, 7.0%를 차지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 으며, 문화예술의 양적·질적 확대와 일반여성의 미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점차 확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하였다 한국보건진흥원( , 2009). 네일은 산업의 성장과 보 급력의 확산에 따라 특별한 사람이 하는 것이 아닌 일반대중화로 인해 경제적으로 고

(30)

부가가치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실태임을 알 수 있다 강소영. (2012)의 20-40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대상들의 기본욕구를 파악하고 매슬로우(Maslow) 욕구 따르면 네일관리행동 4개의 요인인 ‘자기변화’, ‘자기표현’, ‘집단추종’,‘타인 의식 중 ‘자기변화’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의 의미는 네일관리행동을 함으로써 자기 이미지를 변화시켜 다양한 이미지 연출의 도구로 자기 변화를 주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네일관리는 자기표현 통해 자신의 개성이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전달하 는 것을 의미하며, 자신을 타인과 차별화 하고 자아를 표출하려는 욕구에서 비롯되었 다 홍희숙 류성민( · , 2009). 이러한 관점에서 마음이 편안해지는 심리적 안정감과 내가 치가 올라가고 기분이 좋아지는 자신감의 향상으로 자존감이 높아지고 스트레스를 해 소함으로써 삶의 만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헤어행동은 모든 사람에게 자기 관리이미지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매체의 발달로 인해 외모의 변화 요인으로 자신을 표현하여 아름다움을 부각 시키는 수단이며 자기만의 관리행동을 끊임없이 계속적으로 하고 있다. 그에 따라 헤 어관리행동은 꾸준히 발전하고 사람의 인상을 매력적으로 변화시켜 다양한 연출을 하 게 된다. 헤어관리에 있어서 헤어관리행동은 염색, 펌, 드라이, 코팅, 영양, 두피 또 는 모발 마사지 등의 여러 가지 행동임을 알 수 있고 이는 모발의 건강관리와 미적 추 구의 목적을 위해 유지 관리하는 행동을 말한다 윤소영( , 2007; 이주영, 2012). 헤어스 타일 연출에 사용되어지는 모든 행위를 헤어행동이라 정의 하였다 김미리( , 2012).

은 머리모양은 메이크업과 의복이 통합하여 개인의 인상 Workman & Johnson(1991)

형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인식됨에 따라 헤어관리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고 하였다 이러한 뷰티행동을 통해 자아존중감 대인지향의 목적을 가진 의미있는 행. , 동에 대한 관심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김태미( , 2011). 이는 얼굴이나 머리를 다음 고, 차림새를 아름답게 꾸미는 것으로 외모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에 관련된 것 이다.

따라서 뷰티와 과학기술을 융합한 미용서비스는 인간의 아름다워지고 싶어 하는 끊임없는 욕구로 인해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이며 또한 메디컬산업과 윈윈(WIN-WIN)하 여 화려함보다는 건강한 젊음을 추구하는 시대적 상황을 받아들여 계속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31)

외모 만족도 2.

외모만족도란 신체 각 부위에 또는 전체의 포괄적인 만족도로서 신체 각 부분의 생긴 모양새나 역할에 대한 겉모습의 만족감 정도를 말한다. 즉, 자신의 신체에 대한 개인의 감정을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고애란 외( , 1996; Cash, 1990; Secord and Jourard, 1953).

외모는 타인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모습으로 타인에 대해 가장 쉽게 얻을 수 있는 정보이며 일상생활에서 만나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외모를 통해 첫인상을 평가한 다. 그러므로 자신의 외모가 사람들로부터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과 평가라고 할 수 있다 김경아( , 2003; 김은경, 2005)

여기서 외모란 얼굴, 몸매, 헤어스타일, 액세서리, 옷차림 등 머리부터 발끝까지 총체적인 모습을 말한다. 그에 따른 아름다움의 기준은 그 시대의 시회, 예술, 경제, 문화 등의 요인에 따라 변화한다. 외모에 대한 만족도나 신체를 보는 방법을 통해 각 개인은 이러한 사회적 기준을 인식하고 내면화하여 자신의 신체를 평가하게 된다. 이 러한 외모에 대한 생각은 개인게 되고 있으며 사회문화적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영향을 받은 외모의 기준과 자신의 몸을 비교하여 자신의 신체 가 덜 매력적이라고 판단한다면 부정적인 자기 평가를 하게 되어 신체 불만족이 증가 하게 된다고 하였다(Lorenzen and Grieve and Thomal, 2004). 비교 기준과 지각된 자 기와의 차이가 커질수록 불만족한 감정은 더 크게 유발되지만(Oliver, 1980) 이러한 외모만족도에 대한 인식은 변화가 가능하다. 자신의 신체를 이상적인 신체상에 자신을 비교하여 자신의 외모를 저평가하여 불만족을 높이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보고 외모에 대한 태도나 인식이 변하면 자신의 행동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것은 만족스럽지 못한 자신의 외모를 보완하려는 노력을 통해 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고 나아가 타인과의 대인관계에 있어서도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백혜영 이선목( · , 2003).

는 상대방의 감정 상태를 즉시 알아 볼 수 있는 얼굴은 Hassion and Trope(2000)

매우 중요한 이미지 구성요소가 되며 이런 얼굴 이미지는 원만한 대인 관계를 결정하, 는 중요한 단서라고 주장하였다. 얼굴은 개인의 감정이나 특성을 나타내며 해당 개인 의 매력측정의 중요한 요소이다 황윤정과 유태순. (2008)은 사람들이 서로 얼굴을 마주 보고 의사전달을 한다는 점을 주시하므로 얼굴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32)

많은 관심을 갖게 되어 아름답게 관리하고자 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얼굴만족도에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Graham and Jouha(1981)는 여성은 메이 크업을 했을 때 외모가 더 매력적으로 지각한다고 하였고, 최수경(2007)은 뷰티행동을 많이 할수록 외향적이고 메이크업을 함으로써 사회적으로 적극적이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백정숙과 류현혜(2004)의 연구에서는 메이크업별 라이프스타 일에 따른 세분집단의 얼굴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합리적 메이크업 추구집단과 메이크업 지향집단이 메이크업 무관심집단보다 얼굴만족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실제 피부색, 피부결, 눈 코의 경우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이민지와 정성지와 안미선 의 연구에서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얼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2015)

한 결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요인 중 내면화는 얼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 치고 외모에 대한 인식은 얼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내. 면화에 의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높을수록 얼굴만족도가 높고, 외모에 대 한 인식은 사회문화적 태도가 높을수록 얼굴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신체만족도(body cathexis)는 ‘신체 여러 부분의 생김새와 신체 기능에 대 한 만족감의 정도 를 의미하며’ , 신체이미지(body image)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심경옥( , 2006). 신미영(1997)연구에서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이상적 신체에 대한 고정관념과 관련하여 내면화가 높을수록 신체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보다 적극 적인 다이어트 행동을 하는 것으로 보고 됐다. Mclean(1978)은 신체만족도를 측정한 결과 대부분의 여성들이 이상적인 신체의 표준형에 도달하지 못했을 때 신체 각 부위 에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또한 성인 남성들을 대상으로 한 김 윤과 이종남(2009)의 연구에서도 가족, 친구와 매체 등 사회문화적 압력을 많이 느낄 수록 자신의 신체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40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이수경과 조현성(2014)이 연구에서는 신체적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 도는 신체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사회의 이상적인 기준은 현실적으로 성취 가 어려우므로 대개가 자신의 모습에 불만족이 유발되기 쉽다. Morrison et al(2004) 의 연구에서는 개인의 이상과 실제 이상적인 아름다운 신체와의 차이로 인해 신체에 대한 불만족이 커져, 거식증이나 폭식을 하는 섭식장애나 미용성형 및 체중감소를 위 한 과한 운동을 하거나 약물을 복용하는 다이어트 등의 외모관리행동이 많아지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렇듯 자신의 외모만족도인 얼굴만족과 신체만족은 사회문화적 태도에. , 영향을 받으며 외모관리행동과 인과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외모에 대한 인 식과 내부화가 높을수록 외모만족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런 사

(33)

회적문화적 태도는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외모에 대한 자신의 신 체 만족은 주관적 안정감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외모 만족은 신체에 대한 인식과 개 인의 삶에 중요한 기능을 짐작할 수 있다 박은아( , 2003; cash, 1990). 따라서 얼굴만 족과 신체만족감을 통해 향후 1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외모관리행동과 깊은 관계가 있 고 더욱 심층화된 외모관리행동을 통해 긍정적인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외모만족도 관련 선행연구 정리

< 3>

연구 내용

Graham A. and Jouha J.(1981)

최수경(2007) 메이크업 행동

백정숙 류현혜, (2004) 라이프스타일 메이크업 표현 사용정도, ,

이민지 정성이 안미선, ,

(2015) 사회문화적태도 외모관리, ,

외모관리행동 외모콤플렉스 얼굴만족 신체만족, , ,

신미영(1997) 다이어트 섭식장애,

김해정(2004) 자기애적 성격 신체만족,

김윤 이종남, (2009) 사회적 압력 외모관리행동,

이수경 조현성, (2014) 사회문화적태도 신체만족도 외모관리행동, ,

Morrison et al(2004) 섭식장애 성형 다이어트 외모관리행동, , ,

(34)

제 절 외모에 대한 공적자기의식 4

공적자기의식(public self-consciousness)이란 사회화를 통해 개인은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자신만의 특성에 대해 타인이 평가를 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으로 외부에 보여주는 나, 남들이 생각하는 나에 대해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말한다(Fenigstein 공적자기의식이 높은 개인은 타인이 자신에게 끊임없이 and Scheier and Buss, 1975).

주의를 기울인다고 생각 하면서 타인에 대해 매우 의식적으로 생각과 행동을 하고, 거부당하고 싶지 않다 혹은 칭찬받고 싶다 와 같은 승인 욕구가 크게 작용해서

‘ ’ ‘ ’

타인이 자신을 어떻게 볼 지를 강하게 의식한다 최자영( · 이수원과·장은영, 2013).

개인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하는 사회적 대상으로 타인과 비교하고 평가를 중요시 한 다 특히 자신의 겉모습에 대한 타인 의견에 중점을 두고 평가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은 자기의식이론을 토대로 자신에게 관심을 집중하는 개인 Fenigstein et al(1975)

의 개념에 따라 두 개의 자기의식으로서 공적자기의식(public self-consciousness)과 사적자기의식(private self- consciousness)으로 구분하였다. 사적자기의식이란 자신 의 개인적인 사고나 신념 가치 감정 등과 같은 자기 측면들 즉 내면의 자아에 주의, , , 를 기울이는 경향을 의미한 반면 공적자기의식란 자기 자신을 타인에게 인식되는 사회 적 대상으로 초점을 맞추려는 성향을 의미하며, 자신의 인상이미지나 자기표현, 언어 나 행동방식 등 타인에 의해 평가되어지는 자아에 주의가 집중된다(Schlenker and 따라서 공적자기의식이 높은 사람은 자신을 더 좋은 모습으로 보이게 Weigold, 1990).

하는 것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촉진시키므로 외모에 대한 자신의 평가에 대해 민 감한 반응을 보여 얼굴이나 신체 관리에 관심이 높게 나타는 경향이 있다. Buss(1980) 는 일반적으로 공적자기의식을 높이는 환경 속에 있는 개인은 스스로를 타인의 평가의 주체로 인식하기 때문에 불편감이나 평가위협(evaluative apprehension)을 경험한다고 하였다. Fenigstein et al(1975)은 내적으로 자신을 과도하게 억압하도록 만들어 부정 적인 정서를 일으킨다고 하였다 그 결과 개인은 향상 타인의 평가를 의식하면서 자신. 의 겉모습에 신경을 많이 쓴다고 보고하고도 있다(Millekk et al., 1982)

는 공적자기의식이 높은 사람들이 사회비교효과에 더 Thomton and Maurice(1997)

민감하게 반응하여 신체불안이 높았으며 신체불만족도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 하였다.

(35)

또한 공적자기의식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를 내면화하여 자신의 신체를 더 많 이 감시하는 신체 감시성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 전정혜와 유태준(2011)은 공적자기의식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에 직접적인 영 향을 미치고 이미지 관리 행동은 직접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개인은 공적자, · . 기의식이 높을수록 타인의 시선을 많이 의식하게 되어 사회가 요구하는 이상적인 신체 적 기준에 도달하고자 자신의 신체를 감시하고 평가함으로써 이미지 관리 행동을 하게 된다고 하였다. 홍금희(2010)는 공적자기의식과 인지된 사회문화적 압력이 높을수록 이상적인 외모에 대한 내면화와 이상적 외모인식이 높았으며 그 결과 신체수치심이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명희와 Burns(1993)에 따르면 한국과 미국의 여대생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공적자기의식이 많을수록 여대생들은 다른 사람을 의식하는 경향이 높았, 으며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과 관련 있다고 보고하였다, . Scheier(1980)는 공적자 기의식이 낮은 사람들은 타인의 인상에 대해 덜 민감하며, 타인을 의식하여 자기 자신 의 표현에 주의를 덜 기울이게 된다고 하였다. 이시원(2004)은 공적 자기의식수준이 높은 사람들이 외모지향, 몸무게 집착이 높게 나타났으며 외모에 관심이 높으므로 사 회문화적 영향과 외모관리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은정. (2007)의 연구에서도 공적자기의식이 높을수록 사회문화적 가치의 내면화와 신체에 대한 감시가 높았으며 그 결과 신체에 대한 변형이 이어져 성형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적자기의식이 높은 사람은 키 외모 몸무게와 같은 겉모습에 대해 공적자, , 기의식이 낮은 사람들보다 자신의 인상을 어떻게 보여주면 좋겠는지에 대해 지속적으 로 자기 감시를 한다. 또한 공적자기의식이 높은 집단은 외모가 사회적 관계를 유지해 나가는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하여 일상적인 외모관리 뿐만 아니라 강도가 높은 외모관 리행동을 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공적자기의식이 높은 사람을 사회적으로 인식된 정형화된 미의 기준에 따 른 평가에 민감하기 때문에 현재의 모습에 만족하지 못하고 이상적 외모를 추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자신의 외모관리는 사회문화적 태도와 외모에 대한 목표지향적 태도가 공적자기의식수준에 따라 외모관리행동에 다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36)

제 절 향후 외모관리지속의도 및 삶의 질 5

향후 외모관리지속의도 1.

외모관리행동은 각 개인이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자신의 특성을 표현해나가는 과 정으로, 타인에게 자신 개성을 알리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외모란 우리가 타인을 보고 느끼는 결정적인 단서로서 신체적 특성으로 얼굴모습, 체격, 의복, 화장, 안경과 같은 악세서리, 건강상태 체취 등을 포함한다 외모는 관리되어지고 만들어진다는 개, . 념이 형성되면서 개인이 자신의 신체를 평가하고 사회문화적으로 이상적인 신체에 가 까워지려는 노력을 외모관리행동이라 한다. 개인의 적절한 외모관리행동은 자신의 좋 은 이미지를 만들어 자신의 경쟁력이나 사회생활에서 대인관계, 자신의 경제적 능력 등 자신을 보여 지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에 의하면 다양한 대중매체의 발달과 노출이 증가됨에 Stormer and Thompson(1996)

따라 각 개인들은 매일 자신의 신체 모습을 관찰하고, 외모와 신체에 대한 느낌을 더 욱 의식하게 되며, 개인의 신체평가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현대사회는 과도한 다이어트나 성형수술, 지방흡입수술, 약품 사용 등으로 인한 피해사례는 매스컴을 통 해 보도되는 경우가 빈발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현상은 외모지상주의를 초래한다 는 시각이 대두되기도 한다. 과도한 신체적 변화추구는 건강은 물론 생명까지도 위협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외모관리행동 관련 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신체만족, 신체이미 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규명하였고 김선희( , 2003; 황윤정 유태· , 2010; 이은 실, 2011), 대학생을 대상으로 미디어 관여와 외모관리 행동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전지현 이미숙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외모관심도 삶의 질

( · , 2014). , ,

외모관리, 외모관리 해동 간의 관계를 연구조사 하였다 이경숙( , 2007; 전현진· 정명 선, 2008; 최수경 추미선· , 2014).

노지영과 고애란과 정미실(2005)의 연구에서는 적극적인 남성 외모관리행동은 다 른 집단과 비교해 TV에 나오는 연예인의 옷차림에 관심있게 살피고, 트렌드를 고려한 자신에게 어울리는 의복을 선택하며, 운동과 피부관리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 다. Bloch and Richins(1992)는 외모 이미지 향상을 위해 화장품 헤어염색 및 의상등,

참조

관련 문서

둘째, 감정표현 규칙의 두 가지 차원, 즉 긍정감정 표현규칙과 부정감정 억제규칙이 감정조절에 미치는 효과는 부정감정 억제규칙만 감정조절에 유의한

따라서 매개변수인 국가이미지가 포함된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신뢰성, 전문성, 호의성 모두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무적 성과는 공동브랜드 지속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지역 기업의 공동

셋째,책무성은 서비스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만족도 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보육시설이 보육서비스

Fi gur e15의 주효과도 결과 SPI SA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He atf l ow값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SPI SA에 대한 주효과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HBA는

기능적 속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도 스포츠 의류의 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둘째,마케팅전략은 수련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분석에서는 가격요인은 월회비,심사 비,유니품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으나,양외활동비에서는 유의한

또한, 기업의 수익성이나 안정성 개선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혁신성의 경우, 종업원 1인당 R&amp;D 증가에는 지원 후 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