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6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17년 8월

교육학석사(일어교육)학위논문

일본어Ⅰ교과서의 삽화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일어교육전공

김 경 숙

(3)

일본어Ⅰ교과서의 삽화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Illustrations in High School Japanese Textbooks

-Focused o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17년 8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일어교육전공

김 경 숙

(4)

일본어Ⅰ교과서의 삽화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정 의 상

논문을 교육학석사(일어교육)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2017년 4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일어교육전공

김 경 숙

(5)

김경숙의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조선대학교 교수 박 청 국 (인)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김 인 현 (인)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정 의 상 (인)

2017 6월

교육대학원

(6)

목 차

표목차 ··· ⅲ 그림목차 ··· ⅳ ABSTRACT ··· ⅴ

제 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제2절 연구의 방법 ··· 3

제3절 선행연구 ··· 4

제 2장 이론적 배경 ··· 6

제1절 교과서의 정의와 기능 ··· 6

제2절 일본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및 교육목표 ··· 7

제3절 삽화의 개념과 기능 ··· 10

제4절 삽화의 필요성 ··· 12

제5절 삽화의 선정기준 ··· 15

(7)

제 3장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 분석 ··· 16

제1절 2009 개정 교육과정 구성 방향 ··· 16

제2절 2009 개정 교육과정 편성·운영 ··· 21

제3절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 및 기본방향 ··· 26

제4절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 29

제5절 교과서 삽화분석 및 교육적 효과 ··· 31

제 4장 결론 및 제언 ··· 50

참고문헌 ··· 52

(8)

표 목 차

<표 1> 고등학교 일본어(Ⅰ)교과서 6종 ………···3

<표 2> 제2외국어 교과서 개발의 기본방향 교육과정 성취기준………···8

<표 3> 일본어 교육과정 성취기준………···9

<표 4> 일본어 교육과정 교육목표 ………···9

<표 5>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 ………···16

<표 6> 추구하는 인간상 ………···17

<표 7> 핵심역량 ………18

<표 8> 교육과정 구성 ………··19

<표 9> 고등학교 교육목표 ………··20

<표 10>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본사항………···21

<표 11> 교수·학습방법………···22

<표 12> 평가 ………···24

<표 13> 교육기회의 제공 ………···28

<표 14>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육목표………·29

<표 15> 연구대상 교과서………···29

<표 16> 삽화분석 기준 ………···30

<표 17> 6종 교과서 전체 삽화 수………···31

(9)

그 림 목 차

<그림 1> 일본어 (Ⅰ) 교과서 6종 표지………···32

<그림 2> A 교과서 단원표지 및 단원내용 분석………···35

<그림 3> B 교과서 단원표지 및 단원내용 분석………···37

<그림 4> C 교과서 단원표지 및 단원내용 분석………···39

<그림 5> D 교과서 단원표지 및 단원내용 분석………···41

<그림 6> E 교과서 단원표지 및 단원내용 분석………···43

<그림 7> F 교과서 단원표지 및 단원내용 분석………···46

(10)

ABSTRACT

An Analysis of Illustrations in High School Japanese Textbooks

-Focused o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Kyung-sook Kim

Advisor : Prof. Eui–sang Jung Ph.D.

Major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In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of 21st century which is rapidly changing, the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 society has brought about the active exchange among countries in economy,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Due to such environmental changes, there are many learners who came to see the importance of foreign language.

However, the interest toward Japanese is quiet low. It is becaus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s rapidly worsening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distorted history text book, territorial rights on Dok-do and comfort woman. At this point, in order to understand each other's culture and to communicate,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one's language. There is a need to exclude distortion or prejudice about Japanese culture and to provide correct cultural education to stude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pread our proud tradition and culture with pride and self-respect, and acquire knowledge about Japan with consistent interest. To achieve this, learning Japanese correctly and understanding the language is very important.

(11)

The study results about illustration in high school Japanese 1 text book in 2009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are as follows.

There are total 4504 illustrations in Japanese I text book, 1903 photographs and 2151 drawings, and average number of illustration is 579, 272 photographs and 307 drawings. When comparing entire number of illustrations by the publications, Cheonjaegyoyook contained the least illustrations (476) which indicated large difference. Japansisa contained more illustrations with average 355 compared to other publications.

Such study results contained included not only the number of illustrations on each pages in various types, but also the illustrations that have no direct relation to the conte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sufficient amount of illustration for students to learn by themselve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e role and importance of illustration that was newly recognized, and confirmed the contribution of illustration to motivation and interest of students as learning materia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useful basic material improving the text book illustration in 「Japanese 1」in 2015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12)

제 1장 서론

제 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급변하는 21세기의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에서 세계화,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각 나라는 경제,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매우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러한 환경적인 변화로 인해 외국어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학습자가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일본어에 대한 관심은 그다지 높지 않다. 교과서 왜곡 및 독도, 위안부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들로 한·일 양국의 갈등이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 다. 이런 시점에 상대방의 문화를 이해하고 소통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대방의 언어 를 알아야 한다. 따라서 학습자들에게는 일본문화에 대한 왜곡이나 선입견을 배제 하는 한편 올바른 문화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른 나라의 언어와 문화를 알고 지식을 넓히는 것은 그 나라를 알기 위한 것이며, 우리를 다른 나라에 알리기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

따라서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고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전통과 문화를 보급하는 데 힘써야 하고,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일본에 대한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그러 기 위해서는 일본어를 제대로 이해하고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등학교 일본어 가 지향하고 있는 교육목표는 문화와 언어에 대한 견문을 바탕으로 외국인과 의사 소통을 해보고자 하는 적극적인 생활태도를 기르는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에게 직분과 사명이 과중된다는 지시에 따라 학 습내용을 엄격하고 공정하게 교과(군)별 수업시수의 20%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교육과정 내용 안정화를 위해 방안과 방식을 연구하였다. 또한 2009년 개정 교육 과정에 이르기까지 의사소통 기능 향상을 위한 문화교육의 중요성은 계속해서 강 화되고 있다. 문화이해를 통한 의사소통기능 강화를 주된 목표로 생각하고 세계화, 국제화에 발맞춰 빠르게 변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처럼 교육당국은 시대적 변화 에 부응하는 교육과정을 제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13)

중심이 되고 있는 교과서는 교육과정이 가장 단면적으로 반영된 결과물로 그 나라 의 교육이념이나 목적을 구현하는 수단인 동시에 도구이다. 또한 교수·학습에 중요 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학교현장에서 채택되어 사용하고 있는 교 과서 내용에 따라 교육의 효과는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오늘날 학습자들은 활자 보다는 사진이나 그림, 동영상을 통해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것에 익숙하다.

또한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 신장을 강조하는 교육과정으로 인해 교과서는 학 습자의 자기 주도 학습이 가능하다(2009, 개정 교육과정).

현장에서 교사가 잘 가르치려고 해도 학생들이 무관심하면 어떻게 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학생들 스스로 일본어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배울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일본어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와 올바른 일본관을 가지게 하는 태도교육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교과서 삽화라고 할 수 있다 (교육부, 2001). 외국어 교육에 있어 삽화는 교사의 설명을 도와주는 보조적인 역 할을 하는 동시에 학습효과를 높여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그리고 한 장의 삽화가 학습내용을 쉽게 전달하고(이윤정, 2008). 깨달게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삽화의 기능을 고려할 때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삽화의 선정과 구성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삽화는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습내용과 아울러 학습자의 흥미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전성연, 2006).

2009 개정 교육과정 「일본어Ⅰ」교과서 삽화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가 어려운 실정이며, 연구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일 본어Ⅰ」교과서에 제시하고 있는 6종 삽화를 분석하여 현장에서 교사들이 학습을 지도할 경우에 삽화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특히 단원별로 어떠한 삽화가 적당 한지 분석하여 삽화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기로 한다. 이를 통해 2015 개정 교육과 정에서「일본어Ⅰ」교과서의 삽화를 개선하는데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본어Ⅰ 교과서 삽화의 수가 교과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삽화가 교과서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는 어떠한가?

(14)

구분 출판사 단원수 페이지 수 교육인적자원부 인정 일자

A 교학사(주) 10 163 2013. 8. 30

B 다락원(주) 10 183 2013. 8. 30

C 미래엔(주) 10 173 2013. 8. 30

D 시사(주) 12 205 2013. 8. 30

E 에듀서울 10 193 2013. 8. 30

F 천재교육 10 171 2013. 8. 30

제 2절 연구방법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일본어Ⅰ 교과서의 삽화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삽화의 양적분석으로 6종의 표지분석과 교과서 삽화의 단원별 삽화 비교·분석을 통하여 삽화의 기능을 성실하게 수행하고 있는지 검토해 보고 삽화의 개선점을 살 펴보고자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2018년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이 된 시점부터 새로운 교과서가 사용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일본어(Ⅰ) 교과서 6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알파벳 기호순서에 따라 교과서 명을 약식기호로 사용하였다.

< 표 1 > 2009 개정 고등학교 일본어(Ⅰ) 교과서 6종

(15)

제 3절 선행연구

교과서의 삽화를 분석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과거에는 시청각 자료 들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교과서로 수업을 할 때 학생들의 감흥과 눈길을 끌 수 있는 삽화의 역할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전성연, 2006).

왕영선(2008)은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인『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의 삽화에 나 타난 성차표현분석』을 통해 성역할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의 교육환경, 교사, 교과서 등 다양한 요인 중 교과서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우리의 교육현실을 볼 때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다고 할 수 있다.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 에서 표현된 성차표현의 문제를 찾아보고 개선되어야 하는지 살펴보았으며, 김성경 (2002. p4)은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 삽화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삽화의 유형, 치 수 등 삽화가 가지는 기능을 고찰하고 개선책을 모색하였으며, 채미경(2002)은 삽 화의 묘사에 의한 분석, 구성에 의한 해석, 소묘에 의한 분석을 하였으며, 객관성과 분석결과에 대한 보완을 제시하였다.

노재성(2004)은 외형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로 분류해서 일본어 교과서 삽화를 다양한 측면으로 분석하였으며, 교수·학습방법에서 삽화에 대한 언급이 미비한 점 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삽화는 수업에 대한 보조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학습내용의 연관성과 학습자의 흥미까지도 고려하고 있으며, 문태형(2011)은『생활 일본어 교과서 こんにちは』1종과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생활 일본어』8종의 교과서에서 사진자료 속의 사진 내용 및 장·단점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과서의 삽화는 흥미유발과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에 맞는 다양한 사진자료를 제시하였으며, 전 성연(2006)은 7차 敎育課程 고등학교 교과서 12종 가운데서 8종을 선정하여 삽화 를 외형적·내용적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삽화의 교육적 효과를 제시하였다.

이원빈(2013)은 2007 개정 고등학교 『일본어Ⅰ』교과서의 겉표지와 단원표지, 시각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문화소재가 균형 있게 편성하도록 검사하는 것 이 필요하며, 전희정(2005)은 고등학교『일본어Ⅰ』교과서의 12종을 외·내표지와

(16)

교과서 단원별 문화중심으로 구분해 분석하였다. 교과서 문제점을 살펴보면 문화영 역별 불균형이 크다는 부분과 인터넷 일본어 정보검색에 대한 교육내용의 부재를 지적하고 있다.

위와 같이 선행연구에서는 삽화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고 등학교 일본어Ⅰ 삽화의 양적분석으로 외·내표지 분석과 교과서 삽화의 단원별 삽 화 비교·분석을 통하여 삽화가 가지는 교육적 가치와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17)

제 2장 이론적 배경

제 1절 교과서의 정의와 기능

교과용 도서는 교과서와 수업지도서가 함께 해당되며, 교육과정의 기본정신에 맞 게 편집된 자료로써 의미를 가진다. 또한 학생들에게 전달되어야 할 지식이 제시되 어 있다.

학교교육에서 교과서는 교수·학습과정에서 안내자로서의 역할로 학생들이 어떠한 내용을 배웠는지에 대한 평가의 기본방향을 알려주는 것이다.

학교에서 학습은 교과서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교과서는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 는 학습자의 경험을 조직해 놓은 것이다.

교과서 교육과정에서 규정된 범위와 계열에 따라 교육내용을 구체적이고 학습내 용과 함께 이루어지는 학습경험의 효율성을 제고 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므 로 교과서는 청소년들의 발달단계에 따라 학생들이 배울 수 있는 지식과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학습자에게 자유롭고 자율적으로 배울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 준다. 이를 통해 교과서가 학생들에게 생동감과 사실성을 배우고 참여할 수 있도록 중요한 자료로 기능할 수 있다(교육부, 2000).

(18)

제 2절 일본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및 교육목표

1. 제 2외국어 교과서 개발의 기본 방향

2009 개정 교육과정인 일본어 교과는 2011년 8월 고시되어 2011 개정 교육과 정이라고 한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이 필요하게 된 배경은 교육과정체제의 논의, 교육내역, 요지 구분의 논의, 언어자료의 타당성 및 옳음과 그름의 문제 등 제2외 국어 교육과의 연계문제에 대한 수정과 보완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의사소통능력 습득을 위한 언어 기능별 성취기준1)을 제시하고 체계를 목표로 통합하고 성취기준 을 신설하였다. 특히 블로그, SNS, 인터넷 홈페이지 등 낱말을 통해 현대사회의 추 세를 반영하였다. 의사소통표현과 기본어휘 등 언어자료는 의사소통 경우에 활용이 높은 것으로 변경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목표 2007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바를 계승하면서 내 용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을 언어적 내용과 문화적 내용으로 구분하고 언어적 내용 은 다시 언어기능과 언어자료로 구분하여 기록하였다. 언어기능은 의사소통 기본표 현을 전반적으로 다루면서 언어 4기능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상호행위가 가능하 도록 전제로 하고 있다. 나아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성 취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점이 2007 교육과정과 다른 점이라고 볼 수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제 2외국어 교과서 개발의 기본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윤유숙(2012). 국가 정책으로서의 일본어 교육과정 및 교과서 변천 분석 연구. 한국 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이원빈(2013). 고등학교 일본어Ⅰ 교과서의 문화내용 분석: 2007 개정 교육과정 교과 서의 삽화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19)

제 2외국어 교과서 개발의 기본 방향2)

첫째, 해당 교육과정을 충실히 구현한다.

둘째, 이해가 쉽고 활용이 편리한 교과서를 개발한다.

셋째, 언어 4기능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기초적인 의사소통을 배양할 수 있도 록 한다.

넷째, 언어권의 사람들을 위한 평상시의 생활 경험을 소재로 한 그래픽, 사진, 삽화를 활용하여 학습동기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외국어 경험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풍부한 학습자료 제시를 해야 한다

여섯째, 언어권의 생활문화와 대표적 지역문화를 소개하여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력과 포용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일곱번째, 창의적 과제 수행과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과제와 활동 중심 의 내용 구성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여덟 번째,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화영역에 대한 적절한 교수·학습과 평가 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교과서 개발을 할 수 있다

<표 2> 제 2외국어 교과서 개발의 기본 방향

2. 2009 개정 일본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류를 통한 언어 학습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교육과 정에서는 기본 어휘, 의사소통표현 등의 성취기준을 신설하여 언어자료에서 실제적 으로 의사소통의 활용이 높은 것으로 하였다.

2009 개정 일본어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표 3>과 같다(교육부, 2011).

2) 윤유숙(2012). 국가 정책으로서의 일본어 교육과정 및 교과서 변천 분석 연구. 한국외국어대 학교 대학원.

(20)

영역 성취기준

언어적 내용

언어기능 • 듣기: 8개 항목 • 말하기: 9개 항목

• 읽기: 5개 항목 • 쓰기: 6개 항목

언어 재료

• 발음 및 철자(문자): 5개 항목

• 어휘 : 기본 어휘표 중심

• 일본어 Ⅰ: 500 낱말 내외

• 일본어Ⅱ: 900낱말 내외

• 문법: 2개 항목

• 의사소통 기본표현: 8개 항목

문화적 내용

•일본의 언어행동 문화, 비언어행동 문화와 관련된 내용

•일본의 일상생활 문화와 관련된 내용

•일본의 전통문화 및 대중문화와 관련된 내용

•문화적 내용 구성시의 유의점

구분 목표 특징

3차 언어기능/문화, 경제 •듣기, 말하기, 쓰기의 통합적 언어기능 선정

4차 언어기능/문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기초 능력을 심화발전, 학습어휘 축소조정

•기본어휘제시

5차 언어기능/문화 •의사소통능력의 비중을 높이기 위해 3개 항목으 로 재구성

6차 언어기능/문화

•듣기와 읽기를 이해기능으로 먼저 지도, 말하기와 쓰기를 나중에 지도

•의사소통기능 예시문

7차 언어기능/정보탐색/문화 •듣기와 말하기, 읽기와 쓰기를 통합

•정보수집, 인터넷 이용

2007 언어기능/문화/참여/태도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유기적 연계

•태도(학습/교류/정보검색/활용 등)의 중요성 부각 2009 언어기능/문화/참여/태도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유기적 연계

•태도(학습/교류/정보검색/활용 등)의 중요성 부각

<표 3> 일본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3. 2009 개정 일본어 교육과정 교육목표

일본어 교육과정을 제3차 교육과정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항목별로 요 약하면 <표 4>와 같다(교육부, 2011).

< 표 4 > 일본어 교육과정 교육목표3)

(21)

2009년 개정 교육과정 목표의 내용을 살펴보면 文化라는 항목이 많은 비중을 차 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의사소통기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언어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을 배제하고는 정확한 언어를 습득할 수 없다. 그러므로 문화교육과 언어 교육은 같이 병립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개정 때마다 외국어 교육의 일반적인 목표와 지적 능력과 교육함양, 국제적 인간 유대, 문화 간 의사소통, 인터넷을 통한 정보 수집 능력, 문자, 다른 언어 및 문화적 틀의 경험, 적극적인 문화수용 태도 등이 다양해짐을 알 수 있다(이원빈, 2013).

이러한 점을 고려해볼 때 고등학교 일본어 교육에서는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 기 능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일본어 학습에 대한 흥미(이원빈, 2013). 객관적인 사고 를 통해 올바른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제 3절 삽화의 개념 및 기능

삽화는 인간의 사상이나 감정을 전달하는 시각언어이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오늘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서양에서는 삽화가 예술적 개념으 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소재와 재료가 다양하게 인정받고 있는 추세이다. 삽화 는 사실주의와 초현실주의 기법이 잘 활용된 대중적인 언어로 메시지 전달이 빠르 고 환상적인 요소까지도 표현할 수 있다(정시화, 1984; 전성연, 2009. p7).

언어나 문장이 시간적인 것에 반해 그림·사진은 공간적이라 할 수 있다. 즉 언어 의 형식이 내용과 대응해 있는 반면에 그림·사진·영화·삽화 등 의미나 내용을 나타 내는 기능이 있으므로 다소 차이가 있다(이건호, 1985). 그러므로 독자적인 힘을 발휘해 효과를 높여야 할 것이다.

시각언어로서의 삽화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이건호, 1985; 전성연, 2006. p7).

3) 이원빈(2013). 고등학교 일본어Ⅰ 교과서의 문화내용 분석: 2007 개정 교육과정 교 과서의 삽화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유숙(2012). 국가 정책으로서의 일본어 교육과정 및 교과서 변천 분석 연구. 한국외 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첫째, 시각에 의존하고 있는 삽화는 의사소통은 전달체계매체로 중요한 위치를 차 지한다.

둘째, 어떤 대상과 개념의 이미지를 발전시킬 수 있으며, 언어에 대해서 설명하고 학습목표를 분명하게 제시 해준다. 그리고 내용이나 주제를 신속하게 전달해주는 함축적인 표상을 지적 기능이라고 한다.

삽화의 정의를 살펴보면 문장 내용에 관여되는 인물   정경 등을 묘사하여 글 속 에 그대로 삽입하는 그림이며, 신문, 잡지, 서적 등 인쇄물에 끼워 기사가 납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과서에서의 삽화도 문자와 함께 교과서에 끼우는 뜻인데, 교과서에 끼우 는 그림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학습효과를 위한 것과 장식을 위한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본문 내용을 쉽고 분명하게 전달하기 위해 꾸며진 그림이며 둘째, 교과서 빈 공간을 장식하거나 채워 넣기 위해서 보급하기 위한 그림이다.

삽화의 목적은 내용을 상징하고 전달하기 위한 조형적 요소에 의해 시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제대로 잘 이루어진 삽화는 추상적인 개념과 인간의 내재성 까지도 전달해 준다. 삽화처럼 시각에 의존하는 커뮤니케이션은 인간의 사고 이전 의 직감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감각에 호소하는 형식을 통해 심리작용을 활용하는 전달매체이다(이윤정, 2008; 방정희, 2006).

교과서의 삽화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이해 촉진기능이다. 삽화는 학습에 이해와 설명을 유추해 볼 수 있도록 기억력을 촉진시켜주고 추상적인 교과내용을 구체적이고 시각적인 예로 제시해준 다. 그러므로 교과내용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게 된다.

둘째, 내용 요약·정리기능이다.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여 내면화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학습의 효과는 배가 된다.

셋째, 삽화자료에 대한 시각적 정보 전달 기능이다. 삽화를 통한 시각전달의 과정 은 실제로 존재하는 물체나 인물에 가까운 학습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방정희, 2006 ; 전성연, 2006. p11).

넷째, 보조적인 기능이다. 삽화는 학습자들이 교과내용을 흥미롭게 느끼도록 학습

(23)

내용에 대한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친근감을 준다.

다섯째, 상상력과 창조력 증진 기능이다. 학습자에게 삽화를 활용 했을 때 연상 작 용을 일으키고 창의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다섯째, 피로해소 기능이다. 학습자에게 삽화를 적절하게 잘 활용하면 피로감을 해소해주고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강영미, 2000 ; 전성연, 2006. p11).

강우철(1979. p45)은 교과서에서 삽화가 같은 교육적 역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 고 있다. 삽화는 문자이외의 교과내용이며, 훌륭한 자료와 내용의 기능을 제시하는 학습요소이다. 그러므로 삽화는 개념과 주체성을 내포해야 한다.

따라서 삽화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없으며, 교재에 기록된 삽화는 일정한 규격과 기준에 의해 제시해야 한다.

위와 같이 삽화는 글을 보충하는 기능을 초월해 전개될 수업에 학습자의 흥미와 태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삽화의 교육적 가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이원빈, 2013).

제 4절 삽화의 필요성

글자는 언어를 습득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직접적인 경험을 대신할 수 없는 것이 언어생활이다.

전성연(2006)은 삽화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첫째, 언어수업에서는 외국과 비슷한 환경을 조성해주고 외국어를 자연스럽고 모 국어처럼 배울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자료 제공을 해준다. 예) 삽화는 외부 세계를 교실 환경으로 끌어들이는 보조 자료이다.

둘째, 언어수업에서 삽화는 의미를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수업의 진행 속도가 빠르고 언어만으로 모든 것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언어로 이루어지는 의사전달의 어려움은 말하는 사람과 말을 듣는 사람이 마음속에 서로 다르게 존재하기 때문이다.

셋째, 언어학습에 사용되는 삽화는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실제적으로 언어생활을

(24)

하는데 직접적인 경험을 대신해주고 최상의 조건을 형성해주며, 학습자들의 흥미와 동기유발을 통해 집중하게 만든다. 따라서 외국어 수업을 할 때 학습자는 삽화 속 의 인물이나 상황이 어떻게 발화가 되고 있는지 알 수 있다(전성연, 2006. p9).

1. 삽화가 아동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

글자가 많은 교과서보다는 삽화가 들어있는 교과서가 일본어 문자를 처음 대하는 학생들에게 문자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주고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 할 수 있을 것이다(교육부, 2001 p184). 따라서 삽화는 단순한 심상적인 시각자료 이상의 교 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최연현(1982)는 초·중·고등학교는 시각적 기억이 가장 우세하므로 삽화의 교육적 효과도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삽화를 통해 교과서의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을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이승희, 1997).

첫째, 다양한 학습자료로 흥미와 창조력을 키울 수 있다.

둘째, 단순하고 간결하게 표현된 삽화가 좋다.

셋째, 입체적 표현에 의한 삽화가 아동들의 상상력과 꿈을 키우는데 바람직하다.

넷째, 정확한 형태와 선명한 색상으로 아동들의 지적 성장 및 정서적 성장 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섯째, 삽화의 형태나 색채가 주는 이미지가 교육적인 측면에서 좋다(김재은, 1982).

위와 같이 삽화는 학습효과와 동기유발에 기여하며, 언어교육에서도 삽화의 제작 과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5)

2. 교수·학습과정의 삽화활용

삽화를 활용한 교수·학습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단계: 언어학습에서 남의 말을 올바르게 알아듣고 이해하는 일은 귀를 기울이거나 주의 깊게 듣는 것이다. 교사는 자세하게 설명을 한 후 학습자가 모른 다고 해서 곧바로 내용이나 의미를 제시해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삽화를 보면 서 일본어를 듣고 의미를 이해하는 단계이다(방정희, 2006).

둘째, 반복단계: 발음을 연습할 때에는 우리말을 할 때보다 큰 소리를 내어 말하 는 것이 효과적이다(임이숙, 2000).

유창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외국어 교육은 정확한 발음지도보다는 자연스러운 발음지도를 장려하고 있다. 단음지도는 청탁음의 대립과 반탁음 및 장단음의 지도 는 의미 변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주의해야 한다(교육부, 2001).

셋째, 말하기단계: 자기의 느낌이나 생각 등을 남에게 말로써 전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이 단계에서는 여러 개의 연결되는 그림을 제시하면서 차례대로 이야기를 만들어 나아가도록 지도한다.

말하기 단계에서 중요한 것은 자기가 생각한 것을 만들어내는 창조성이고 창조성 활동은 말하기 단계에서 하는 활동이다. 즉흥성과 창조성은 이 단계에서 중요하다.

즉응성은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고 반응할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언어 는 자연발생적이며, 3세 정도가 되면 자기의사를 표현하기 위해 말을 사용하는 것 을 알 수 있으며, 삽화를 통한 교수·학습방법이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임 이숙, 2000).

이러한 점을 살펴볼 때 어렸을 때부터 언어학습에서 창조성과 즉흥성을 개발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26)

제 5절 삽화의 선정기준

교과서의 삽화자료를 제작하고 개발할 때는 학습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 용과 발달단계를 충분하게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시청각자료는 자기가 직접 제작 하기도 하고 쉽게 구입해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경비를 절감할 수도 있다. 삽화의 특성은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구체적인 형태로 표현해 주고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 한 지역과 먼 곳의 정경 및 현상을 설명 할 때 지리적, 공간적, 시간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고재숙, 1991. p78).

본 연구에서는 삽화의 선정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홍인자·김수배, 1973.

p130).

첫째, 학습목적에 적합하고, 의도한 문제를 정확하게 제시하고 있는가?

둘째, 신뢰할 만하고 창의적인가?

셋째, 정확하고, 내용에 대해서 올바른 이해를 가지고 있는가?

넷째, 쉽게 이해할 수 있고, 구조체계가 단순한가?

다섯째, 자극적이고 흥미 있게 구성되어 있는가?

여섯째, 줄거리   대조   비교상태   연속상태는 어떠한가? 그리고 사실대로 제시 하고 있는가?

일곱째, 학습자들의 나이와 이해 정도는 적당한가?

여덟째, 예술적인 부분에서 요소, 윤곽, 색채, 구성들은 정확하게 구성되어 있는 가?

아홉째, 결점 없이 명료하게 그려져 있는가?

열 번째, 자세하게 볼 수 있도록 크기가 적당한가?

이와 같이 살펴보면 삽화는 자료의 체계적인 이해와 전체적 지각에 도움을(이원 빈, 2013) 주고 학생들에게 관심을 유발하고 상상을 자극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 에 삽화의 교육적 가치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27)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4)

가. 국가 수준의 공통성과 지역, 학교, 개인 수준의 다양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 과정이다.

나. 학습자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개발하기 위한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이다.

다. 2009 교육과정에서는 지역사회와 학교 및 교육청이 학생·학부모·선생님이 함께 실천해 나가는 것이다.

라.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체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마. 학교 교육의 질적 수준을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제 3장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 분석

제 1절 2009 개정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

1. 2009 개정 교육과정 성격

2009 교육과정은 초·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고시한 것으로 초·중등 학교의 교육목적과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며, 초·중등 학교에서 편성·운영하여야 할 학교 교육과정의 공통적이고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한 것이다(교육과학기술부, 2015. p1).

< 표 5 >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

4) http://www.law.go.kr/main.html 국가법령정보센터. 행정규칙 2017년 4월 검색함.

http://blog.naver.com/ktcu_attic/220945893490 초등임용 2017년 4월 검색함.

http://blog.naver.com/hb7476/220975206821 경기도 유치원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 2017년 4

월 검색함.

http://blog.naver.com/lim9217/220924210229 핵심역량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과제 2017년 4 월 검색함.

(28)

추구하는 인간상6)

가. 전인적 성장을 바탕으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진로와 삶을 개척하는 자주적인 사람.

나. 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다양한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적 인 사람.

다.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류 문화를 향유하고 발 전 시키는 교양 있는 사람.

라.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세계와 소통하는 민주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을 실천 하는 더불어 사는 사람.

2. 추구하는 인간상

우리나라의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 생활 능력과 민주 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함으로써 인간다운 삶 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 국가의 발전과 인류 공영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에 이바지 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5).

이러한 교육이념과 교육목적을 바탕으로 이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은 다음 과 같다.

< 표 6 > 추구하는 인간상

5) http://www.law.go.kr/main.html 국가법령정보센터. 행정규칙 2017년 4월 검색함.

6) http://www.law.go.kr/main.html 국가법령정보센터. 행정규칙 2017년 4월 검색함.

http://blog.naver.com/hb7476/220975206821 경기도 유치원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 2017년 4 월 검색함.

http://blog.naver.com/lim9217/220924210229 핵심역량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과제 2017년 4 월 검색함.

(29)

핵심역량

가. 자아정체성과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삶과 진로에 필요한 기초능력과 자질 을 갖추어 자기 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자기관리 역량.

나.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정보를 처리하고 활용 할 수 있는 지식정보처리 역량.

다. 폭넓은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전문 분야의 지식, 기술, 경험을 융합 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적 사고 역량.

라. 인간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문화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전하고 향유하는 심미적 감성 역량.

라.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며 존중하는 의사소통 역량.

바. 지역·국가·세계 공동체의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공동 체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공동체 역량.

이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구현하기 위해 교과 교육을 포함한 학교 교육 전 과정을 통해 중점적으로 기르고자 하는 핵심역량은 다음과 같다7)

< 표 7 > 핵심역량

7) http://blog.naver.com/lim9217/220924210229 핵심역량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과제 2017 년 4월 검색함.

http://www.law.go.kr/main.html 국가법령정보센터. 행정규칙 2017년 4월 검색함.

(30)

교육과정 구성8)

가. 인문·사회·과학기술 기초 소양을 균형 있게 함양하고 학생의 적성과 진로에 따른 선택학습을 강화한다.

나. 교과의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구조화하고 학습량을 적정화하여 학습의 질을 개선한다.

다. 교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학생 참여형 수업을 활성화하여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등의 즐거움을 경험하도록 한다.

라. 학습의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를 강화하여 학생이 자신의 학습을 성찰하도록 하고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교수·학습의 질을 개선한다.

마. 교과의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수·학습 및 평가의 일관성을 강화한다.

바. 특성화 고등학교와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 용하여 산업사회가 필요로 하는 기초 역량과 직무 능력을 함양한다

3.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인간상과 교육이념을 토대로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 인 재를 양성하기 위해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함양하여 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

위와 같이 교육과정 구성은 다음과 같다.

< 표 8 > 교육과정 구성

8) http://www.law.go.kr/main.html 국가법령정보센터. 행정규칙 2017년 4월 검색함.

http://blog.naver.com/ktcu_attic/220945893490 초등임용 2017년 4월 검색함.

http://blog.naver.com/hb7476/220975206821 경기도 유치원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 2017년 4

월 검색함.

http://blog.naver.com/lim9217/220924210229 핵심역량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과제 2017년 4 월 검색함.

www.hangyo.com 학습과 성장을 돕는 교육평가 개선방안 2017년 4월 검색함.

(31)

고등학교 교육목표9)

가. 성숙한 자아의식과 바른 품성을 갖추고 자신의 진로에 맞는 지식과 기능을 익히며 평생학습의 기본 능력을 기른다.

나.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경험을 융합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을 기른다.

다. 인문·사회·과학기술 소양과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문 화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자질과 태도를 기른다.

라. 국가 공동체에 대한 책임감을 바탕으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며 세계와 소 통하는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기른다.

4. 고등학교 교육목표

고등학교 교육은 중학교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적서와 소질에 맞게 진 로를 개척하며 세계와 소통하는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

< 표 9 > 고등학교 교육목표

9) http://www.law.go.kr/main.html 국가법령정보센터. 행정규칙 2017년 4월 검색함.

http://www.moe.go.kr/main.do?s=moe 교육부 2017년 4월 검색함.

(32)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본사항10)

가. 학교는 교육과정을 토대로 학교 실정에 알맞은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 한다.

나. 학교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계획을 토대로 학년(군)별 교육과정 및 교 (목)별 교육과정을 편성한다.

다. 학교 교육과정은 모든 교원이 전문성을 발휘하여 참여하는 민주적인 절차와 과정을 거쳐 편성한다.

라. 교육과정의 합리적 편성과 효율적 운영을 위해 교원, 교육과정 전문가, 학부 모 등이 참여하는 학교 교육과정 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며, 이 위원회는 학 교장의 교육과정 운영 및 의사 결정에 관한 자문의 역할을 담당한다. 단, 특성 화 고등학교와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산업계 인사가 참여할 수 있고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는 학교의 경우에는 특수교사가 참여할 것을 권 장 한다.

마.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할 때에는 교원의 조직, 학생의 실태, 학부모의 요구, 지역사회의 실정 및 교육 시설설비 등 교육 여건과 환경을 충분히 반영 하도록 노력한다.

바.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내용 배열은 반드시 학습의 순서를 의미하는 것 은 아니므로 지역의 특수성, 계절 및 학교의 실정과 학생의 요구, 교사의 필요 에 따라 각 교과목의 학년군별 목표달성을 위한 지도 내용의 순서와 비중, 방 법 등을 조정하여 운영할 수 있다.

제 2절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1.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본사항

< 표 10>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본사항

(33)

사. 학교는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지역사회의 인 적, 물적 자원을 계획적으로 활용한다.

아. 학교는 학생의 요구, 학교의 실정 및 특색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 활동, 시간 등을 자율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자. 학교는 창의적 체험활동이 실질적 체험학습이 되도록 지역사회의 유관 기관 과 연계·협력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차. 학교는 가정 및 지역과 연계하여 학생이 건전한 생활태도와 행동양식을 가 지고 학습에 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타. 학교는 동학년 모임, 교과별 모임, 현장 연구, 자체 연수 등을 통해서 교 사들의 교육 활동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파. 학교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적절성과 효과성 등을 자체 평가하여 문 제점과 개선점을 추출하고 다음 학년도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그 결과를 반 영한다.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교수·학습방법11)

가. 학교는 교과목별 성취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사항에 중점을 두고 교수·학 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1) 교과의 학습은 단편적 지식의 암기를 지양하고 핵심 개념과 일반화된 지식 의 심층적 이해에 초점을 둔다.

2) 각 교과의 핵심 개념과 일반화된 지식 및 기능이 학생의 발달단계에 따라 그 폭과 깊이를 심화할 수 있도록 수업을 체계적으로 설계한다.

2.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교수·학습방법

< 표 11>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교수·학습방법

10) http://blog.naver.com 학년(군)별 교육과정 및 교과(목)별 교육과정 편성. 2016학년도 검색 http://www.law.go.kr/main.html 국가법령정보센터. 행정규칙 2017년 4월 검색

(34)

3) 학생의 융합적 사고를 기를 수 있도록 교과 내, 교과 간 내용 연계성을 고 려하여 지도 한다.

4) 실험, 관찰, 조사, 실측, 수집, 노작, 견학 등의 직접 체험 활동이 충분히 이 루어 지도록 한다.

5) 개별 학습활동과 함께 소집단 공동 학습활동을 통하여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협동학습 경험을 충분히 제공한다.

6) 학생이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토의·토론 학습을 활성화한다.

7) 학생에게 학습내용을 실제적 맥락 속에서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한다.

8) 학생이 스스로 자신의 학습 과정과 학습 전략을 점검하고 개선하며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나. 학교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환경 설계를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에 중점을 둔 다.

1) 교사와 학생 간, 학생과 학생 간 상호 신뢰와 협력이 가능한 교수·학습 환 경을 제공한다.

2) 학생의 능력, 적성, 진로를 고려하여 교육내용과 방법을 다양화하고 학교의 여건과 학생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학습 집단을 구성하여 학생 맞춤형 수 업을 하도록 한다.

3) 학교는 학습 결손을 보충할 수 있도록 특별 보충 수업을 운영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제반 운영 사항은 학교가 자율적으로 결정한다.

4) 각 교과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 교실제 운영을 활성화한다.

5) 학교는 교과용 도서 이외에 교육청이나 학교에서 개발한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6) 실험 실습 및 실기 지도 과정에서 학생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시설 및 기계기구, 약품, 용구 사용의 안전에 만전을 기한다.

(35)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평가12)

가. 평가는 학생의 일정한 교육목표에 달성을 확인하고 교수·학습의 질을 수정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

1) 학교는 학생에게 평가 결과에 대한 정보제공과 추후 지도를 통해 학생이 자신의 학습을 꾸준하게 반성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학생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수업의 질을 꾸준하게 개선한다.

나. 교사와 학교는 학교에서 중요하게 지도한 내용과 기능을 평가하고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교수·학습과 활동이 일관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1) 학습내용과 기능을 학생들이 배울 기회를 주지 않았던 것은 평가대상에서 제외한다.

2) 학습과정과 학습결과를 평가하여 모든 학생이 교육목표에 달성할 수 있도 록 한다.

3) 학교당국은 정의적 능력과 학생의 인지적 능력에 대한 평가가 기울거나 치 우치지 않고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 학교당국은 교과특성과 교과의 성격에 맞게 평가 방법을 이용한다.

1) 수행평가의 비중은 논술형 평가와 서술형 평가로 확대한다.

2) 창의적, 기능적, 정의적으로 중요하게 생각되는 교과는 타당한 평정 기준 과 척도에 따라 평가를 실시한다.

3) 실험실습의 평가는 교과목의 성격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세부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실시한다.

4) 학교당국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내용과 특성을 고려하여 평가를 학교에 서 결정하여 평가한다.

5) 전문교과Ⅱ의 실무 교과목은 성취 평가제와 연계하여 내용 요소를 구성하 는 능력단위 기준으로 평가할 수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5 p33).

3.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평가

< 표 12>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평가

11) http://www.law.go.kr/main.html 국가법령정보센터. 행정규칙 2017년 4월 검색함.

http://www.moe.go.kr/main.do?s=moe 교육부 2017년 4월 검색함.

12) http://www.law.go.kr/main.html 국가법령정보센터. 행정규칙 2017년 4월 검색함.

http://www.moe.go.kr/main.do?s=moe 교육부 2017년 4월 검색함.

(36)

교육기회의 제공13)

가. 교육활동을 통해 종교, 인종, 민족, 남녀의 역할, 직업과 학력, 이전 거 주지 등에 관한 편견을 갖지 않도록 지도한다.

나. 학교에서 학습 경험을 충실하게 잘 할 수 있도록 다문화 학생, 학습 부진 학생, 귀국학생, 장애학생, 특정 분야에서 탁월한 재능을 보이는 학생 등 이 필요한 지원을 한다.

다. 특수교육 학생을 위해 특수학급을 설치·운영하는 경우에는 학생의 학습 정 도와 장애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수·학습 자료 및 교육과정을 이용할 수 있 다.

라.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해 특별 학급을 설치·운영하는 경우에는 한국어 활용 능력을 고려하여 교수·학습 자료 및 교육과정을 이용할 수 있으며, 한국어 교육과정에서는 학부모·학생·교사의 요구와 필요성과 학교의 특성에 따라 주 에 10시간 내외에서 운영할 수 있다.

마. 학교당국에서 종교에 관한 과목을 개설할 때에는 복수과목, 종교 이외의 과 목을 편성하여 학생에게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국공립의 경우에는 학생선택권이 허용되는 범위에서 학생·학부모의 동의를 얻어 단수 로 개설할 수 있다.

4. 교육기회의 제공

< 표 13> 교육기회의 제공

13) http://www.law.go.kr/main.html 국가법령정보센터. 행정규칙 2017년 4월 검색함.

http://www.moe.go.kr/main.do?s=moe 교육부 2017년 4월 검색함.

(37)

제 3절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 및 기본 방향

1.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21세기의 교육은 협동과 타인의 존중과 인성을 갖 춘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창의력과 협동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 수 있도 록 하였다. 이에 교육과정 편성에서는 학교의 자율적인 면을 확대시켰고 문제해결 능력 및 사고력 등 창의력을 갖춘 인재육성을 중점사항으로 개정하였다. 특히, 학 교 자율화 추진 및 체계적인 방안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학교단위 책임경영을 고려 한 방안이었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p20 ; 유지혜, 2015 ; 김경애, 2014).

2.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기본방향

2009 개정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제5차 교육과정까지는 국가 수준의 중앙집권적 방식으 로 교육과정이 운영되었고, 제6차 교육과정에서 비로소 지역 및 단위 학교의 역할 이 증대되기 시작하였다(유지혜, 2015), 제7차 교육과정 이후에 지역과 단위학교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의 자율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었으며(유지혜, 2015).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과군, 학년 군 제도를 통하여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에 따라 교과군 별 수업시수 증감과 교과 이수시기를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방향성은 고등학교의 전 교육과정을 선택교육과정으로 구성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따라 교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김경애, 2014;

유지혜, 2015).

기존 교육과정의 인문 계열과 자연계열의 획일적인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학생의 진로에 맞는 교육과정 설계가 가능하게 되었다(김경애, 2014; 유지혜, 2015). 이전 교육과정에서 운영된 필수 이수 과목을 지정하지 않고 교과(군)별 필수이수 단위도

(38)

116단위에서 86단위로 축소해 지정하였으며(2009 개정 교육과정: 초·중등학교).

교과 운영의 자율성을 확대하였다. 또한 단위 학교자율과정 이수단위를 64단위에 서 94단위로((김경애, 2014; 유지혜, 2015). 확대해서 교육과정의 다양화를 도모하 였다.

셋째, 창의적 체험활동의 도입으로 동아리 활동, 자율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을 통해 인성과 창의성을 갖춘 사람으로 양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교과 수업의 연계와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넷째, 교과군 별로 수업시수로 묶어 단위를 책정함으로 이수단위 증감의 폭을 20% 확대하고 자율적인 적용의 폭이 확대되었다.

다섯째, 교육과정에서 집중이수제를 통해 학기당 이수과목을 8과목 이하로 축소하 여 토론수업 및 심화수업이 가능하도록 수업환경을 개선했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p20; 김경애, 2014; 유지혜, 2015 ).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은 창의적인 산지식을 제공하고 학습자 미래의 교과서를 편찬하는데 있다. 과거 획일적인 암기중심 교육과 학생들의 학습부담 감 축 및 지식이해교육이 아닌 학습흥미 유발과 학습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고 나눔 과 배려를 실천하는 창의적인 인재를 꿈꾸는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인간상을 구현하기 위한 고등학교 교육목표는 다음 과 같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육목표는 중학교 교육의 성과를 기본으로 진로개 척능력과 학생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세계 시민으로서의 소질에 중점을 둔다(초·중 등학교 교육과정, 2009).

첫째, 성숙한 자아의식을 토대로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기능을 익혀 진로를 개척하 며, 평생학습의 기본 역량과 태도를 갖춘다.

둘째, 학습과 생활에서 새로운 이해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비판적, 창의적 사고 력과 태도를 익힌다.

셋째, 우리의 문화를 향유하고 다양한 문화와 가치를 수용할 수 있는 자질과 태도 를 갖춘다.

(39)

구분 2009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육목표 비고란

총괄목표

고등학교 교육은 학생의 소질과 능력에 맞는 적성 및 진로개척 잠재력과 세계 시민으로 소질을 함양에 중점 을 두고 있다.

하위목표

성숙한 자아의식을 토대로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기능 을 익혀 진로를 개척하며 평생학습의 기본 역량과 태 도를 갖춘다.

*하위목표

*평생학습의 기본 역량과 태도 추가 조정

학습과 생활에서 새로운 이해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태도를 익힌다.

*중복적인 의미의 표현을 수정

*가치와 새로운 이해를 창안할 수 있는 생각하고 궁리하는 힘과 태도강조

우리의 문화를 향유하고 다양한 문화를 수감할 수 있는 소질과 태도를 갖춘다.

*표현을 수정

*다양한 가치와 문화를 수용하고 소질과 태도를 추가 세계 시민으로 소질과 경향을 기르고 나라의 공동체

발전을 위해 노력한다. *표현을 수정

넷째, 세계 시민으로 소질과 경향을 기르고 나라의 공동체 발전을 위해 노력한다.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육목표는 학생의 소질과 능력에 맞는 적성 및 진 로개척 잠재력과 세계 시민으로 소질함양에 중점을 두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p255 ; 이원빈, 2013). 2009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육목표는〈표 13

〉과 같다

〈 표 14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육목표

(40)

교육과정 출판사 기호 저자 단원 수

2009 개정 교육 과정

교학사(주) A 한미경, 츠자키, 코이치, 김민자, 조종환 10 다락원(주) B 윤강구, 박차환, 문정선, 스즈키, 무쓰미 10 미래엔(주) C 오현정, 김태호, 아이지와 유카, 이시이나

오미, 김혜경, 김문정, 양희준 10 시사(주) D 이경수, 여선구, 나고마리, 곽영숙, 윤나리 12

에듀서울 E

안병곤, 조병철, 최용혁, 전철, 권정애, 민 주현, 이즈미, 후미아키, 마쓰모토, 슈스케, 이리에, 사야카, 무네나가, 아키고

10

천재교육 F 민광준, 윤창근, 박행자, 윤세라, 박창희,

와타나베 히로아키 10

제 4절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고등학교「일본어Ⅰ」교과서 12종 교과서 중에서 6종을 연 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시각자료 분석으로 교과서 표지 그림과 교과서 내에 제시된 사진 및 삽화를 분석하였으며, 출판사명 첫 글자자음 순서를 기준으로 A에 서 F까지 임의로 정한 기호이다.

연구대상 교과서의 목록은 다음 <표 15>와 같다(이원빈, 2013).

< 표 15 > 연구대상 교과서

2. 분석방법

1) 분석 범위

삽화의 목적이 교육적인 기능에 있으며, 교과서 내·외표지, 단원을 포함한 이미지 형태로 제시하고 있는 모든 시각적인 자료를 말한다. 삽화의 목적이 교육적인 기능 에 있다. 삽화 분석을 하는데 연구자가 임의로 삽화분석 범위를 제안한다.

(41)

삽화분석 기준14).15)

첫째, 명암만 분별할 수 있는 삽화는 제외시킨다.

둘째, 페이지 장식용과 내용이 없는 삽화는 제외시킨다.

셋째, 동일한 사진이 여러 번 반복적으로 제시되었을 경우, 중복 된 사진이나 그림은 한 장으로 생각한다.

넷째, 주요등장인물에 제시된 삽화는 여러 명의 인물이 제시되어 있는 삽화도 한 페이지에 일괄적으로 제시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삽화로 생각한다.

다섯째, 한 페이지에 여러 틀이 내용이나 주제를 보충하는 자료인 경우에는 한 장의 삽화로 생각한다. 그러나 여러 개의 삽화가 있는 경우와 소제목이 제시되 어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삽화에 포함 시킨다.

여섯째, 의사소통과 게임에 해당하는 그림의 전체는 하나의 삽화로 생각한다.

일곱째, 만화 등으로 묘사 한 본문은 한 가지의 내용을 하나의 삽화로 생각한 다.

여덟째, 부록, 듣기, 쓰기 보충자료는 삽화부분에서 제외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강영미(2000)의 논문에서 제시한 삽화 분석기준에 의거하여 일본 어 교과서의 삽화분석기준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것을 선별하여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다.

<표 16> 삽화분석 기준

2) 분석 기준

본 연구에서 삽화를 분석할 때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평균 삽화 수를 분석하는데 교과서 첫 단원부터 마지막 단원까지 페이지 수

14) 강영미(2000). 「초등학교 영어교과서 삽화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15) 이원빈(2013). 「고등학교 일본어Ⅰ 교과서의 문화내용 분석: 2007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의 삽화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참조

관련 문서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KS28 could inhibit MAPK pathway signaling and that inhibition of the MAPK pathway could affect the suppression of

The measured results for the fabricated dual-band pass filters agreed well with the simulated ones, and h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design method

newspaper reporters reporters reporters reporters recognized recognized recognized that recognized that that that due due due to due to to to the the the

Illustration of canine eminence of occlusal appliance that used in test 2, which about masticatory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steepness of lateral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only human resource compet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company cooperation method of IT SM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elf - management of dance major students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 -

The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pass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class attitude that was perceived by participants in physical

As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ncreased, the score for leisure satisfaction was high, and as the external mot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