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내 부동산 거래 트렌드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국내 부동산 거래 트렌드 분석"

Copied!
6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법원 등기 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부동산 거래 트렌드 분석

(2)

Contents

(3)
(4)
(5)

신청정보 일반현황 권리별현황

일반현황 소유현황

열람/발급현황 열람/발급

부동산등기

소유권외 권리현항

확정일자 법인등기 동산·채권 기타등기

소유권이전 소유권보존

소유권이전(매매) 소유권이전(신탁) 소유권이전(상속) 소유권이전(증여)

(근)저당권 임의경매개시결정

그 외 등등…

등기기록

부여현황 정보제공

① 데이터 수집 기간

- 2020년 7월 ~ 2020년 8월(약 2개월 간 수집) - 데이터 수집 시점의 등기 현황에 따라 값이

일 단위로 변화하므로, 보고서 내 수치가 현재 시점의 수치와 차이가 존재할 수 있음

② 수집 데이터의 부동산 구분 단위 - 집합건물 (일부 데이터는 토지 포함) - 주택 단위가 존재하지 않아 아파트를

포함하는 집합건물 단위로 수집

③ 수집 데이터의 지역 및 사간 단위 - 지역 : 시도, 시군구 단위 - 시간 : 연, 월 단위

⑤ 수집 데이터의 기간 단위

- 대부분 2010년 1월 ~ 2020년 6월 (일부 7월) 이나, 일부 데이터는 2014년 이후 값만 제공 되어 분석 기간이 짧은 경우가 있음

(6)

59% 56%

49% 49%

85% 86%

81% 83%

40%

60%

80%

100%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H1 아파트 매매 건수 비율

주택류(다세대, 연립, 아파트) 매매 건수 비율

주거용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상업용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오피스텔 기타 상업용 공업용

기타 건축물

아파트

다세대, 연립 비율

26% 다세대,

연립 비율 34%

(7)
(8)

0 5,000 10,000 15,000 20,000

400 600 800 1,00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거래건수(우) 평균거래가(좌)

(만원/㎡) 양도세 중과 유예마감(’18.3) (건)

9.13 대책(종부세 상향, 다주택자 대출규제) 발표 직후 (’18.10~11)

’17.5 평균매매가 약 583만원

’20.5 평균매매가 약 748만원

’16.8 평균매매가 약 583만원

’15.7 평균매매가 약 529만원

8.2대책 (투기지역선정, 대출 축소) 발표

(9)

0 400 800 1,200

1,600 2011년 2014년

2017년 2020년H1(E) (만/㎡)

(+64%)

(+95%)

(+85%)

(+65%)

(+67%) (+58%)

(+55%)

(+47%)

(+57%)

(+57%) (+55%)

(+47%) (+53%)

(+50%) (+50%)

(10)

0 1,000 2,000

400 800 1,200 1,60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마용성 거래건수(우)

마포구 평균거래가(좌) 용산구 평균거래가(좌) 성동구 평균거래가(좌)

(만원/㎡) (건)

0 1,000 2,000 3,000

600 1,000 1,400 1,80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강남3구 거래건수(우)

강남구 평균거래가(좌) 서초구 평균거래가(좌) 송파구 평균거래가(좌)

(만원/㎡) (건)

(11)

0 1,000 2,000 3,000 4,000

300 400 500 600 700 80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노원/성북/도봉 거래건수(우) 노원구 평균거래가(좌) 성북구 평균거래가(좌) 도봉구 평균거래가(좌)

(만원/㎡) (건)

0 1,000 2,000 3,000 4,000

300 500 700 90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양천/강서/구로 거래건수(우) 양천구 평균거래가(좌) 강서구 평균거래가(좌) 구로구 평균거래가(좌)

(만원/㎡) (건)

(12)

63%

33%

73%

29%

74%

43%

68%

32%

109%

38%

0%

40%

80%

120%

0 300 600

900 (만원/㎥) 2011년 2014년 2017년 2020년H1(E) '11년 대비 '20년 가격 상승률(우)

(13)

0 10 20 30

0 10 20 30 40 50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H1 전체 전세거래건수(좌)

집합건물 매매건수(우)

(만건) (만건)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매매실거래지수(서울)

전세실거래지수(서울) (2017.11=100)

전세가가 빠르게 상승한 시기

매매가가 빠르게 상승한 시기

(14)

0 20 40 60

0 10 20 30 40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H1 전체 전세거래건수(좌)

집합건물 매매건수(우)

(만건) (만건)

70 80 90 100 110 120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매매실거래지수(경기)

전세실거래지수(경기) (2017.11=100)

(15)

1.0 1.5 2.0 2.5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억원)

1.5 2.0 2.5 3.0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억원)

1년당 약 1508만원 상승 1년당 약 1064만원 상승

(16)
(17)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2017 2018 2019 2020

서울 아파트 단위면적당 평균가격 서울 아파트 단위면적당 중위가격

(만원/㎡)

90 100 110 120 130 140

2017 2018 2019 2020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 (2017.11=100)

(18)

0 400 800 1,200 1,600

서울 도심권 동북권 서북권 서남권 동남권

2017년 4월 말 2020년 5월 말 (만원/㎡)

0%

20%

40%

60%

80%

100%

2017H1 2020H1

동남권 서남권 서북권 동북권 도심권

(+39%)

(+58%)

(+41%)

(+35%) (+43%)

(+54%)

(19)

82.7

75.9 83.9

105.1

5.1 4.6

6.0

9.2

4 5 6 7 8 9 10

70 80 90 100 110 12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서울시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좌)

서울시 아파트 중위매매가격(우)

(2019.01 = 100) (억원)

’13.3월 중순 (중위가격 최저점)

’17.4월 중순(주1)

’20.5월 중순

’10.3월 중순

(20)

71%

89%

46%

89%

35%

63%

73%

87%

58%

72%

64%

56% 53%

60% 63%

20%

40%

60%

80%

100%

0 1,000 2,000

3,000 '17.5 단위면적당 가격(좌)

'20.5 단위면적당 가격(좌) 가격상승률(우)

(만원/㎡)

(21)

0 2,000 4,000 6,000 8,000 10,000

200 300 400 50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거래건수(우)

평균거래가(좌)

(만원/㎡) (건)

0 10,000 20,000 30,000

300 350 400 450 50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거래건수(우)

평균거래가(좌)

(만원/㎡) (건)

(22)

0 2,000 4,000 6,000 8,000 10,000

200 300 400 50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거래건수(우)

평균거래가(좌)

(만원/㎡) (건)

0 1,000 2,000

200 300 400 500 60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거래건수(우)

평균거래가(좌)

(만원/㎡) (건)

(23)

0 1,000 2,000 3,000 4,000

150 200 250 30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거래건수(우)

평균거래가(좌)

(만원/㎡) (건)

0 1,000 2,000 3,000

0 100 200 30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거래건수(우)

평균거래가(좌)

(만원/㎡) (건)

0 1,000 2,000 3,000 4,000

200 250 300 350 40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거래건수(우)

평균거래가(좌)

(만원/㎡) (건)

0 1,000 2,000 3,000 4,000

200 250 300 35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거래건수(우)

평균거래가(좌)

(만원/㎡) (건)

0 1,000 2,000 3,000 4,000

150 200 250 30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거래건수(우)

평균거래가(좌)

(만원/㎡) (건)

0 1,000 2,000 3,000 4,000

200 250 300 35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거래건수(우)

평균거래가(좌)

(만원/㎡) (건)

(24)

0 1,000 2,000 3,000 4,000

150 200 250 30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거래건수(우)

평균거래가(좌)

(만원/㎡) (건)

0 500 1,000 1,500

200 300 400 50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거래건수(우)

평균거래가(좌)

(만원/㎡) (건)

0 1,000 2,000 3,000

250 300 350 40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거래건수(우)

평균거래가(좌)

(만원/㎡) (건)

0 2,000 4,000 6,000

200 250 300 35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거래건수(우)

평균거래가(좌)

(만원/㎡) (건)

0 2,000 4,000 6,000

150 200 250 30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거래건수(우)

평균거래가(좌)

(만원/㎡) (건)

0 2,000 4,000 6,000

200 300 400 50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거래건수(우)

평균거래가(좌)

(만원/㎡) (건)

(25)
(26)

0 20 40 60 80 100

인천 부동산 매수인 경기 부동산 매수인 서울 부동산 매수인 (만명)

25%

30%

35%

40%

45%

50% 생애 첫 부동산 매수인의 서울 매수 비율 생애 첫 부동산 매수인의 경기 매수 비율 생애 첫 부동산 매수인의 인천 매수 비율

(27)

138%

244%

148%

264%

118%

326%

171%

245%

100%

200%

300%

0 20,000 40,000 6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서울 집합건물 매수인(좌)

경기 집합건물 매수인(좌)

경기 집합건물 매수인 ÷ 서울 집합건물 매수인(우)

(명) 서울 규제로 인한

풍선효과

서울 중심의 부동산 활성화

(28)

21%

14%

22%

16%

21%

17%

22%

19%

24%

20%

26%

23%

32%

24%

10%

15%

20%

25%

30%

35%

0 5 10 15 20 25 30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서울시민(좌)

비서울시민(좌) 비서울시민 비율(우) (천명)

(29)

0%

10%

20%

30%

40%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0 10 20 30 40 50

60 (만명) 비수도권 인천광역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30)

35%

49%

38%

25%

31%

20%

30%

40%

50%

0 10,000 20,000 30,000 40,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서울 집합건물 매수인 중 생애 첫 매수인(좌)

서울 집합건물 매수인 전체(좌) 생애 첫 매수인 비율(우) (명)

부동산 기보유자 매수세 증가 전세 수요의

매매 장려 정책

(31)

0%

10%

20%

30%

40%

50%

19세~29세30세~39세40세~49세50세~59세60세~69세 2011년 2014년 2017년 2020년

5%

10%

15%

20%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2011년 2014년 2017년 2020년

(32)

0%

10%

20%

30%

40%

50%

19세~29세30세~39세40세~49세50세~59세60세~69세 2011년 2014년 2017년 2020년

0%

10%

20%

30%

40%

50%

19세~29세30세~39세40세~49세50세~59세60세~69세 2011년 2014년 2017년 2020년

(33)

[1위] 관악구(+7013건, +38%) [2위] 강서구(+6969건, +32%) [3위] 강동구(+6405건, +44%) [4위] 송파구(+6257건, +26%) [5위] 영등포구(+5129건, +37%)

[6위] 은평구(+4271건, +31%) [참고] 서울특별시(+72795건, +23%) [참고] 서울특별시(-40111명, -41%)

[6위] 양천구(-2015명, -45%) [5위] 중랑구(-2158명, -53%) [4위] 노원구(-2764명, -51%) [3위] 은평구(-3042명, -48%) [2위] 송파구(-3826명, -54%) [1위] 강서구(-4153명, -51%)

(34)

0%

20%

40%

60%

0년 초과 5년 이하 5년 초과 10년 이하 10년 초과 15년 이하 15년 초과

60 70 80 90 100 110 120

2006 2009 2012 2015 2018

수도권 아파트 실거래가격지수 (2017.11=100)

2006~2008년 매수 물량

2013~2017년 매수 물량

2013~2017년 2006~

2008년

(35)

0%

20%

40%

60%

0년 초과 5년 이하 5년 초과 10년 이하 10년 초과 15년 이하 15년 초과

50 60 70 80 90 100 110

2006 2009 2012 2015 2018 비수도권 아파트

실거래가격지수 (2017.11=100)

(36)

0 500 1,000 1,500 2,000

2,500 비수도권

인천광역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명)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비수도권

인천광역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명)

0 500 1,000 1,500 2,000

2,500 비수도권

인천광역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명)

미국 중국 기타

[2019년 기준 미국 국적 매수인 비중]

비수도권: 19%, 인천: 19%, 경기: 34%, 서울: 27%

[2019년 기준 중국 국적 매수인 비중]

비수도권: 16%, 인천: 19%, 경기: 52%, 서울: 12%

[2019년 기준 기타 국적 매수인 비중]

비수도권: 27%, 인천: 14%, 경기: 32%, 서울: 27%

(37)

2010년 2013년 2016년 2019년 [1위] 은평구

(8.2%)

[2위] 강서구 (7.1%) [3위] 노원구

(6.1%) [4위] 구로구

(5.4%)

[5위] 성북구 (5.2%)

[1위] 송파구 (8.4%)

[2위] 강서구 (7.9%) [3위] 노원구

(6.5%) [4위] 은평구

(5.9%)

[5위] 구로구 (5.5%)

[1위] 강서구 (8.6%)

[2위] 송파구 (8.1%) [3위] 은평구

(6.0%) [4위] 노원구

(5.8%)

[5위] 구로구 (5.1%)

[1위] 구로구 (7.8%)

[2위] 강서구 (6.7%) [3위] 송파구

(6.5%) [4위] 성북구

(5.3%)

[5위] 노원구 (5.0%)

2010년 2013년 2016년 2019년

[1위] 강서구 (8.3%)

[2위] 서초구 (7.5%) [3위] 강남구

(7.5%) [4위] 송파구

(6.9%)

[5위] 은평구 (5.8%)

[1위] 송파구 (9.3%)

[2위] 서초구 (6.8%) [3위] 강서구

(6.7%) [4위] 강남구

(6.7%)

[5위] 구로구 (4.6%)

[1위] 송파구 (9.1%)

[2위] 강서구 (8.6%) [3위] 강남구

(6.4%) [4위] 서초구

(5.5%)

[5위] 노원구 (5.5%)

[1위] 강서구 (8.7%)

[2위] 송파구 (7.4%) [3위] 강남구

(7.3%) [4위] 서초구

(5.5%)

[5위] 양천구 (5.1%)

(38)

2010년 2013년 2016년 2019년 [1위] 은평구

(13.5%)

[2위] 강서구 (6.5%) [3위] 송파구

(6.0%) [4위] 노원구

(5.6%)

[5위] 양천구 (5.4%)

[1위] 송파구 (9.7%)

[2위] 노원구 (6.4%) [3위] 강서구

(6.2%) [4위] 은평구

(5.9%)

[5위] 서초구 (5.6%)

[1위] 강서구 (7.5%)

[2위] 송파구 (7.4%) [3위] 은평구

(6.5%) [4위] 노원구

(6.2%)

[5위] 양천구 (5.2%)

[1위] 구로구 (7.8%)

[2위] 강서구 (6.5%) [3위] 은평구

(5.9%) [4위] 송파구

(5.6%)

[5위] 성북구 (5.2%)

2010년 2013년 2016년 2019년

[1위] 송파구 (8.0%)

[2위] 강남구 (8.0%) [3위] 은평구

(7.7%) [4위] 서초구

(6.8%)

[5위] 양천구 (6.4%)

[1위] 송파구 (9.4%)

[2위] 서초구 (7.3%) [3위] 강남구

(6.8%) [4위] 노원구

(6.5%)

[5위] 강서구 (6.0%)

[1위] 송파구 (9.2%)

[2위] 강서구 (8.6%) [3위] 강남구

(7.5%) [4위] 노원구

(6.3%)

[5위] 양천구 (5.9%)

[1위] 강서구 (9.5%)

[2위] 강남구 (8.5%) [3위] 송파구

(7.1%) [4위] 양천구

(5.5%)

[5위] 서초구 (5.5%)

(39)

2010년 2013년 2016년 2019년 [1위] 은평구

(13.8%)

[2위] 송파구 (6.3%) [3위] 강서구

(6.0%) [4위] 양천구

(4.9%)

[5위] 강동구 (4.5%)

[1위] 송파구 (8.7%)

[2위] 강서구 (6.7%) [3위] 은평구

(6.3%) [4위] 노원구

(5.6%)

[5위] 서초구 (5.5%)

[1위] 강서구 (8.1%)

[2위] 은평구 (6.6%) [3위] 송파구

(6.5%) [4위] 구로구

(5.9%)

[5위] 중랑구 (5.6%)

[1위] 구로구 (7.9%)

[2위] 강서구 (7.4%) [3위] 금천구

(7.0%) [4위] 은평구

(6.5%)

[5위] 중랑구 (5.6%)

2010년 2013년 2016년 2019년

[1위] 은평구 (9.0%)

[2위] 송파구 (8.9%) [3위] 강남구

(8.0%) [4위] 서초구

(6.9%)

[5위] 강서구 (5.1%)

[1위] 송파구 (10.3%)

[2위] 서초구 (6.9%) [3위] 강서구

(6.4%) [4위] 강남구

(6.0%)

[5위] 영등포구 (5.2%)

[1위] 송파구 (10.3%)

[2위] 강서구 (8.7%) [3위] 강남구

(7.2%) [4위] 은평구

(5.6%)

[5위] 노원구 (4.9%)

[1위] 강서구 (10.3%)

[2위] 송파구 (6.8%) [3위] 강남구

(6.4%) [4위] 은평구

(5.8%)

[5위] 금천구 (5.3%)

(40)
(41)

194 210 501 670675

380602 630

2213

576 585 811

1106 1777

1029970 1263 4243

0 1,000 2,000 3,000 4,000 5,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강남3구합 비강남3구합

(증여 집합건물 수) 역대 최다 증여2020년 7월

(42)

34

78 59 79 97 107 122

44 44 79

185 373

474

391

351 346 489

621

0 200 400 600

20.6.1 20.6.8 20.6.15 20.6.22 20.6.29 20.7.6 20.7.13 20.7.20 20.7.27 서울특별시 증여 부동산 수

(부동산 수)

7.10 부동산 정책 발표

증여 취득세율 인상안 추진

(43)

45 48 94

231 276 274 195

326 342 347

686 727

796 973

0 250 500 750 1,000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강남3구합

비강남3구합 (증여 건물 수)

191 159

635 737

569

489 1066

463 1433

1762

0 400 800 1,200 1,600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강남3구합

비강남3구합 (증여 토지 수)

(44)

0 4,000 8,000 12,000

16,000 여자

남자 (명)

0%

10%

20%

30%

40% 2011년 2014년 2017년 2020년

(45)

0 4,000 8,000 12,000 16,000

20,000 여자

남자 (명)

0%

10%

20%

30% 2011년 2014년

2017년 2020년

(46)

1331 1688

2202 2337 2427

5042

3885 3515

5639

65896473 5897

4312 6064

3808

2937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부동산 수)

(47)

0 1,000 2,000 3,000 4,000 5,000

2011년 2014년 2017년 2020년 (건)

(48)

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여자

남자 (명)

0%

10%

20%

30%

40% 2011년 2014년 2017년 2020년

(49)

0 10,000 20,000 30,000

0 10 20 30

개인(내외국인)(좌) 법인(우)

(만명) (법인수)

0 10,000 20,000 30,000

0 20 40

60 개인(내외국인)(좌)

법인(우)

(만명) (법인수)

(50)

0 400 800 1,200

2011년 2014년 2017년 2020년 (증여 집합건물 수)

(51)

0 100 200

300 (증여 토지 수) 2011년 2014년 2017년 2020년

(52)
(53)

1.4 1.7 2.0 2.3 2.6

10 20 30 40

50 (근)저당권설정등기건수(좌)

(근)저당권설정등기 평균 채권최고액(우)

(만건) (억원)

30 40 50 60

500 600 700

800 단위면적당 매매가격(좌)

매매시 채권최고액비율(우)

(만원/㎡) (%)

(54)

1.0 1.2 1.4 1.6 1.8 2.0

20 30 40 50 60

70 (근)저당권설정등기건수(좌)

(근)저당권설정등기 평균 채권최고액(우)

(만건) (억원)

50 55 60 65

200 250 300 350 400 450

500 단위면적당 매매가격(좌)

매매시 채권최고액비율(우)

(만원/㎡) (%)

(55)

0 100 200 300 400

500 (부동산 수) 2011년 2014년 2017년 2020년E

-86%

-87%

-91%

-74%

-90%

-83%

-83%

(56)

0%

1%

2%

3%

4%

5% (임의경매로 인한 소유권이전 부동산 수 ÷ 소유권이전 신청 부동산 수) 2011년 2014년 2017년 2020년E

-92% -90%

-93% -84%

-93%

-87%

-89%

(57)

0 2,000 4,000 6,000 8,000

10,000 2011년 2014년 2017년 2020년E

-54%

-67% -55%

+107%

+95%

+79%

+51% +49%

-84% +92%

(58)

0%

2%

4%

6% 2011년 2014년

2017년 2020년E (임의경매로 인한 소유권이전 부동산 수 ÷ 소유권이전 신청 부동산 수)

+110%

-74%

-77%

-71%

+117% +26%

+82% -89%

+5%

-2%

(59)

0 3,000 6,000 9,000 12,000 15,000

증여 신탁 상속 매매 기타

(건)

(60)

75

56 70 70 77 83 60 60 79 71 79 68 84 70 84 69

76 88 66 82 81 78 85 77 83 77 84 81 57

49

76 76 83 78 64

72 83 77 60

66 84 72 70 75 72 67 68 43

76 70 18

19 17 16 16

29 25

26 15

36

11 7 8 8 7 8

강남(17) 강남(20) 강동(17) 강동(20) 강북(17) 강북(20) 강서(17) 강서(20) 관악(17) 관악(20) 광진(17) 광진(20) 구로(17) 구로(20) 금천(17) 금천(20) 노원(17) 노원(20) 도봉(17) 도봉(20) 동대문(17) 동대문(20) 동작(17) 동작(20) 마포(17) 마포(20) 서대문(17) 서대문(20) 서초(17) 서초(20) 성동(17) 성동(20) 성북(17) 성북(20) 송파(17) 송파(20) 양천(17) 양천(20) 영등포(17) 영등포(20) 용산(17) 용산(20) 은평(17) 은평(20) 종로(17) 종로(20) (17) (20) 중랑(17) 중랑(20)

증여 신탁 상속 매매 기타

(61)
(62)

■ 정부의 강력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서울 및 주요 광역시의 부동산 가격은 급등세를 나타냄

- 2014년부터 부동산 가격이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현 정부 들어 풍부한 유동성과 함께, “대단지”, “역세권”,

“신축”으로 대변되는 주택 수요 트렌드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도심 공급 부족으로 인해 서울 및 주요 대도시 집값이 급등

■ 한국감정원의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격 지수”는 지난 3년간

(17년 5월~20년 5월)

45.5% 상승. 역시 한국감정원 통계인 실거래 평균가격

(39.1%)

, 실거래 중위가격

(38.7%)

, 매매가격지수

(14.2%)

모두 상승

- 국토교통부는 한국감정원 통계 중 가장 낮게 상승한 매매가격지수를 인용해 3년간 서울 아파트 값이 14.2% 올랐다고 발표했으나, 매매가격지수는 선정된 표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로서 실제 시장 가격과 괴리가 있을 수 있음

- 모집단에 대한 표본의 대표성 확보는 물론 조사 단계에서 시장 현실을 반영한 시세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집되고 있는지 검증이 필요

■ 수요자의 관심도가 높은 주요 아파트의 가격 상승률을 분석하기 위해 서울 각 구별 대단지 아파트 중 인터넷 검색량이 가장 많은 아파트의 실거래가 변화를 확인한 결과, 지난 3년간 대부분 50%~80% 상승

- 각 구별 주요 아파트 25개 중 21개 아파트가 50% 이상 상승했으며, 3개 아파트는 80% 이상 가격이 상승함

① 서울 아파트 값은 최근 3년간 급등했으나 일부 주택가격지수는 시장 현실과 거리 있어

(63)

■ 수도권 부동산 가격의 급등에 따라 기존 유주택자는 차익을 실현하고 “갈아타기” 또는 추가 매수를 한 반면, 기존 무주택자의 내 집 마련은 더욱 어려워짐

- 서울과 경기도 전체 부동산 중 기존 무주택자의 매수 비율이 13년 41%에서 20년 상반기에 31%로 하락

■ 서울의 30대 인구 비중이 감소 추세

(17년 16%→20년 15%)

이나, 서울 부동산 매수자 중 30대 비중은 17년 24%에서 20년 28%로 증가

(집합건물 기준)

■ 생애 첫 부동산 매수로 서울과 경기도 부동산을 선택하는 비중이 2010년 37%에서 20년 상반기 49%로 상승

- 생애 첫 부동산 매수로 서울을 선택하는 비중은 2010년부터 꾸준히 상승하다가 최근 서울 부동산 가격 급등과 규제

강화로 인해 2016년(20%)부터 하락하여 올해 15% 수준을 기록

- 서울 부동산 매수를 포기한 일부 수요자가 서울 인근의 경기 지역을 매수하면서 경기도 부동산을 생애 첫 매수하는 비율은 상승(2016년 30%에서 20년 34%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집합건물 기준)

■ 최근 서울 한 뉴타운 아파트의 청약 경쟁률이 최고 340대 1을 기록하고, 청약 커트라인이 30대에게 사실상 불가능한 69점을 기록하는 등, 젊은 세대의 수도권 청약 당첨은 과거에 비해 매우 어려워짐

② 무주택자의 신규 진입이 어려워진 가운데 30대의 서울·경기 선호 현상은 뚜렷

(64)

■ 2017년부터 다주택자를 대상으로 하는 부동산 정책이 다수 시행되었으나, 규제의 영향을 피할 수 있는 신탁, 증여, 법인명의 거래가 증가

- 2017년 8.2 대책(대출 축소, 다주택자 규제)에 대해 17년 8월, 집합건물 신탁이 사상 최고 수준으로 증가

- 또한 20년 7·10 대책(다주택자 세제 강화)과 세법 개정을 통해 신탁, 법인의 혜택을 줄이며 규제를 강화하자 20년 7월 한 달간 서울 집합건물 증여 건수가 역대 최대 수준으로 급증

■ 서울 인기 지역을 규제하면 서울 내 비인기 지역의 집값이 상승하고 이후 수도권 전역의 집값까지 상승. 또 최근 광범위한 매매 규제와 임대차법 시행에 일부 전세가가 상승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풍선 효과 발생

- 수요 억제 위주의 부동산 규제책을 반복해서 발표하는 것 자체가 ‘집값이 계속 상승 중’이라는 시그널로 시장에 인식되어 잠재 수요자의 불안감을 자극할 수 있음

③ 부동산 규제를 피하기 위한 증여, 신탁, 법인명의 거래 증가

■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면서 과거보다 많은 사람들이 수도권 부동산 매수에 참여

- 2012년 41만명이던 수도권 집합건물 매수자 수가 2015년 85만명으로 3년 만에 약 2배 이상 증가

■ 2014년 이후 서울 부동산을 매수하는 외지인

(비서울 거주)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

- 2014년 1월 서울 집합건물 매수인 중 외지인 비율은 21%였으나, 2020년 1월에는 32%까지 상승

■ 2010년대 들어 수도권 부동산을 매수하는 외국인의 수가 중국인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

- 외국인 수도권 집합건물 매수인 수는 2010년 2,731명으로 전국 개인 매수인 중 0.28%였으나 2019년에는 12,946명으로 1.00%까지 상승했으며, 이 중 중국인의 수가 331명에서 9,658명으로 크게 증가함

④ 지방 거주자와 외국인의 수도권 부동산 매수 증가

(65)

■ 2014년부터 부동산 가격 상승기에 접어들면서 2017년에 임의경매로 매각된 부동산 수가 크게 감소

■ 최근 경상도·울산 등을 비롯해 일부 지방 시도에서 임의경매로 매각된 부동산 수가 2014년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

- 2014년 수도권의 임의경매 건수가 전국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지만 올해는 지방의 임의경매가 절반 이상일 것으로 예상 - 서울 지역은 올해 임의경매 건수가 2017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⑤ 일부 지방 지역의 경매건수 증가에 대한 모니터링 필요

■ 최근 10년간의 등기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객관적인 부동산 시장 분석과 현황 파악

- 부동산 거래자 및 각종 등기사유(매매, 경매, 신탁, 증여)별 통계 등 기존 부동산 연구에서 접근이 어려웠던 데이터가 공개됨에 따라, 최근 10년간의 부동산 등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서울·경기 및 각 지역별 부동산 거래의 주요 동향을 파악 하고 시사점을 도출함

■ 일 단위 갱신 데이터를 통해 보다 빠른 시장 변화의 모니터링이 가능해짐

- 특히 2020년 7.10 대책 발표 후 하루 만에 부동산 증여 건수가 급증한 사례와 같이 일 단위 데이터 분석을 강화한다면 부동산 정책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적시에 계량적으로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됨

- 다만 현재 데이터의 부동산 최소 분류가 ‘집합건물’이기 때문에 향후 ‘아파트’를 구분할 수 있도록 세분화 필요

⑥ 부동산 등기 데이터 기반의 객관적 시장 분석 확대 필요

(66)

참조

관련 문서

Data Broker PaaS(dbr Paas) Quanturn Computing Volumetric Displays Personal Analytics Smart Workspace Conversational User Interfaces. Brain-Computer Intorface

모바일 시대 소비자의 생각과 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 리서치 솔루션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오픈서베이 설문 플랫폼을 직접 활용하여

이러한 해석방법은 상대방있는 법률행위에 있어서 상대방의 신뢰보호와 표의자의 자기책임... 원칙에

배출허용총량 배출권

모바일 시대 소비자의 생각과 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 리서치 솔루션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오픈서베이 설문 플랫폼을 직접 활용하여

[r]

현대사회의 여가 생활은 반드시 자기자신이 지향하는 방향으로 영위되지 않고 유행 심리에 따라, 주변의 여건과 사회환경에 의하여 지성적인 사고보다 정서적이고 맹목

국내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소비 트렌드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