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스마트도시의 실효성에 관한 기초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스마트도시의 실효성에 관한 기초 연구"

Copied!
14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스마트도시의 실효성에 관한 기초 연구

수시 16-18

수시 16-18

Preliminary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Smart City:

Focusing on the Impacts of BIS on Travel Behavior

이성원 외

스마트도시의 실효성에 관한 기초 연구:

버스정보시스템(BIS)이 통행행태에 미친 영향

(2)

스마트도시의 실효성에 관한 기초 연구:

버스정보시스템(BIS)이 통행행태에 미친 영향

Preliminary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Smart City:

Focusing on the Impacts of BIS on Travel Behavior

이성원, 이재용, 홍진현

(3)

▪연구진

이성원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연구책임) 이재용 국토연구원 연구위원

▪외부연구진

홍진현 글래스고대학교(Univ. of Glasgow) 교수

▪연구심의위원

이용우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오성호 국토연구원 연구위원 왕광익 국토연구원 연구위원 하수정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

(4)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FINDINGS & SUGGESTIONS

본 연구보고서의 주요 내용

󰋎

스마트도시의 개념을 문헌고찰과 키워드 분석 등을 통하여 사회적‧경제적‧환경적 측면 의 지속가능성을 증대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도시로 구체화 하고, 스마트도시 정책효과(실효성)를 증대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데이터기반 정책 모 니터링 시스템 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함

󰋏

스마트도시 실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표적인 스마트도시 서비스인 버스정보안내단 말기(Bus Information Terminal, BIT)에 대한 정책 및 시민의 이용 행태를 분석하 였으며, 구체적으로 환경적 측면의 지속가능성은 BIT가 통행수단선택에 미친 영향을, 사회적 측면에서는 BIT에 대한 시민만족도 영향을 분석함

󰋐

2005년부터 2015년까지 11년간 패널분석(Panel Analysis) 결과 환경적 지속가능 성 측면에서 BIT 정책은 대중교통 수단선택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침

󰋑

사회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BIT설치가 버스이용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 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높아지기 이전인 2005년부 터 2010년까지 6년간 표본으로 분석한 결과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침

󰋒

반면 50대 이상 고령층의 경우, 시기에 관계없이 BIT정책이 통행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됨

󰋓

BIT 정책에 대한 정책효과가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BIT정책의 주요대상이 전환 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의 스마트도시 서비스에 대한 효용 변화가 오랜 기간 모니터링하지 않아 정책에 반영되지 못하고 있음

󰋔

비록 본 연구는 다양한 스마트서비스 중 버스에 한정하였고 실시간 빅데이터를 활용 하여 분석하지는 않았으나, 스마트도시의 정책효과 제고를 위해 다양한 스마트정보를 활용하여 실시간 시민의 행태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요구됨

(5)

본 연구보고서의 정책제안

󰋎

스마트도시 정책에 지속적인 정보기반 정책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전략이 필 요하며, 실시간 정보를 활용한 정책이 생산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이 요구됨

󰋏

현재 다양한 센서(sensor)에서 수집한 스마트정보를 통합운영센터나 교통정보센터 등 정부기관이 관할함으로써 정보유출에 따른 사생활 침해 등 부정적 효과를 줄이기 위한 정보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음

󰋐

반면, 주요 선진국들은 정부대신 대학 및 연구기관이 데이터를 관할함으로서 정보의 활용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참고하여, 스마트정보를 연구기관에 실시간 공개하 여 상시적으로 정보기반 정책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정보관리에 서 정보활용으로 정책 방향의 전환이 필요함

󰋑

스마트정보를 활용한 대표적인 스마트도시서비스인 버스정보안내기(BIT) 정책은 스 마트폰 이용률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시민의 유용성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BIT를 지 속적으로 설치하고 있어 수요자의 선호 변화를 반영하도록 정책방향의 변화가 필요함

󰋒

일반인 대상 버스정보제공 수단은 버스정보안내기(BIT)에서 스마트폰으로 정책의 초 점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정부는 정확한 데이터의 생산·관리·제공과 다양한 스마 트폰 앱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주력하고, 데이터의 활용은 민간영역으로 넘겨 야 함

󰋓

버스정보안내기(BIT)와 관련하여, 주요 수요자인 교통약자들에게 보다 유용할 수 있 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으며, 정보격차(digital divide)를 줄일 수 있도록 교통약 자에 초점을 둔 교육방안도 추가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

(6)

차 례

CONTENTS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i

제1장 연구의 개요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3

2. 연구의 목적 ···8

3. 연구의 틀 ···9

4. 연구의 범위 ···11

1) 시간적 범위 ···11

2) 공간적 범위 ···12

5. 연구의 특성과 기대효과 ···13

제2장 스마트도시의 이론적 고찰과 교통부문의 스마트도시 문헌 검토 15 1. 기존연구의 스마트도시 개념 검토 ···17

1) 물리적 구축 ···17

2) 도시발전의 전략적 수단 ···21

3) 지속가능성 추구 ···24

4) 요약 ···26

2. 스마트도시 재정의 ···28

1) 문헌검토를 통해 확인한 스마트도시 유사용어 ···28

2) 유사용어의 영향 관계 분석 ···32

(7)

3) 개념 재정립 ···36

3. 스마트도시에 대한 비판적 검토 ···39

1) 스마트도시는 만병통치약(panacea)인가? ···39

2) 패러다임의 전환 ···40

4. 교통부문의 스마트도시 관련 연구 방향 ···42

5. 버스정보시스템(BIS)과 스마트도시 ···44

1) 버스정보시스템 ···44

2) 버스정보시스템의 스마트도시적 특성 ···45

6. 정보통신기술과 통행행태에 관한 이론 및 실증연구 검토 ···47

1)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전통적 교통수요변화 이론 ···47

2)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통행수요관련 대안 이론들 ···53

3) 실시간 통행정보관련 버스정보안내기(BIT)가 대중교통 이용에 미친 영향 ···54

제3장 대중교통 부문의 스마트도시 구축현황 61

1. 국내 교통부문의 스마트도시 정책 ···63

2. 버스정보시스템(BIS) 구축현황 ···66

1) 버스정보시스템의 서비스 방식 ···66

2) 버스정보시스템(BIS)의 구축 ···68

3. 버스정보안내단말기(BIT) 구축현황 ···69

1) 전국의 버스정보안내단말기 구축현황 ···69

2) 서울시의 버스정보안내단말기 구축현황 ···71

제4장 스마트도시의 실효성 분석: 정보통신기술이 통행행태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73

1. 인터넷의 발달에 따른 통행패턴 변화 ···76

2. 버스정보안내기(BIT) 서비스에 따른 통행패턴 변화 ···77

1) 심리적 만족도 ···81

2) 통행수단으로 버스 선택 ···87

3) 복합교통수단(Multi-Modal) 선택 ···89

(8)

4) 대중교통 선택 ···89

3. 스마트폰의 활성화에 따른 통행패턴 변화 ···91

제5장 결론 및 향후과제 95

1. 연구의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97

2. 정책방안 제시 ···99

1) 수요자 맞춤형 버스정보시스템(BIS)으로 정책방향의 전환 ···99

2) 통행관련 데이터 수집에 정보통신기술 정보 포함 ···102

3) 통합운영센터의 기능 활성화 ···102

3. 향후 연구 ···105

1) 다양한 교통정보가 통행행태에 미치는 복합효과 분석 ···105

2) 스마트폰 이용이 통행행태에 미치는 영향 ···105

3) 공간구조변화 ···105

참고문헌 ···107

SUMMARY ···135

(9)
(10)

CHAPTER 1

연구의 개요 및 목적

0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03

02 연구의 목적 08

03 연구의 틀 09

04 연구의 범위 11

05 연구의 특성과 기대효과 13

(11)
(12)

CHAPTER

1 연구의 개요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현재 기술적으로 물리적 도시공간과 인터넷 가상공간의 연결이 용이해지고 두 공간 을 연결하는 기술들이 실용화 단계에 접어듦에 따라, 도시문제를 해결하거나 도시발 전을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스마트도시가 인식되면서 국내·외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

∙ 2016년 초 다보스포럼에서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 교수는 ‘제4차 산업혁명 (Industry 4.0)’을 소개하며 사이버 세계와 물리적 세계의 연결이 우리의 삶과 업무방식 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주장1)하여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 (Schwab, 2016)

∙ 가트너(Gartner)는 2011년 이후 10대 ‘전략기술 트렌드(즉, 단기적 미래에 경 제적 효용성이 큰 기술 목록)2)’에 각종 물리적 대상과 인터넷이라는 가상공간을

1) 매년 스위스 다보스(Davos, Switzerland)에서 개최되는 세계경제포럼(일명 다보스포럼; World Economic Forum)에서 2016년 1월 19일 회장인 클라우드 슈밥(Klaus Schwab)교수의 ‘제 4차 산업혁명 항해하기 (Navigat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이라는 기조연설은 “우리는 삶과 업무방식을 근원적으로 변화 시킬 기술혁명의 가장자리에 서 있다.(We stand on the brink of a technological revolution that will fundamentally alter the way we live, work, and related to one another.)”는 말로 시작한다. 그가 소개하는 기술혁명의 내용은 사이버 공간과 물리적 공간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전자공학, 생명공학, 물리학 등 다부문의 학문 및 기술 간의 융합이 보다 용이하게 됨에 따라 새로운 기술을 이끌 것이라는 것이다. 이제 이러한 기술혁신이 삶의 패턴을 변화시키고 경제 구조를 변화시킬 것이라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사실 네트워크 사회(Network Society) 혹은 정보시대(Information Age) 대한 이론적 연구는 이미 20C말 엘빈 토플러(Albin Toffler), 제레미 리프킨(Jeremy Rifkin) 등의 미래학자들의 논쟁과 마뉴엘 카스텔(Mannuel Castells)의 심도 깊은 연구들을 통해 많이 알려졌다. 하지만 세계경제포럼에서 그의 발언이 큰 파장을 일으키는 이유는 개념으로만 논의되던 기술들이 현 시점에는 일반 생활에 쉽게 적용 가능한 기술이 되었고, 사물인터넷(IoT)이나 스마트도시(Smart City)로 적용되 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가 기술 영역을 넘어 삶의 행동양식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2) 미국의 정보기술 연구회사 가트너(Gartner)는 기술이 최초 개발 및 도입되는 단계를 넘어서 일반인들에게까지 영향력과 용도가 확장되는 잠재력을 갖춘 기술들(즉, 단기적 미래에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들)을 모아

‘전략 기술 트렌드(Strategic Technology Trends)’를 매년 발표하고 있으며, 세계 언론이 그 내용을 매년 대서특 필하며 주목을 받고 있다.

(13)

연결하는 ‘사물인터넷(Information of Things; IoT)3)’을 매년 포함하고 있음

∙ 스마트도시는 사물인터넷(IoT)이 추구하는 물리적 공간과 가상공간의 연결이 라는 개념을 도시계획에서 수용 및 확장한 개념으로 볼 수 있으며, 주로 다양한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CTs)을 도시 공간에 적용하여 도시 기능을 효율화하는 도시를 의미함

∙ 다양한 국가들이 스마트도시를 도시 발전을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

∙ 유럽은 유럽연합(EU)차원에서 중소도시의 발전을 위한 수단으로 스마트도시 육성정책을 펼 치며(Giffinger et al., 2007) 도시 내 일부를 스마트도시 실험장으로 이용하는 리빙랩(living labs)을 소개하면서(Cosgrave et al., 2013; Cossetta & Palumbo, 2014; Veeckman &

Van der Graaf, 2015; Young, 2011), 전 세계 스마트도시 논의를 주도하고 있음

∙ 최근 스마트도시가 크게 주목을 받게 된 것은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는 인도와 중국 이 도시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정보통신기술(ICTs)을 접목해 해결하고 자 하는 과정에서 인도가 먼저 스마트도시 100개 건설을 언급했고, 뒤이어 중국이 스 마트도시 500개 건설을 표방한 것이 직접적 계기가 됨(Manville et al., 2014, p. 18)

∙ 2011년 인도는 델리-뭄바이 산업회랑(Delhi-Mumbai Industrial Corridor; DMIC) 을 따라 7개 스마트 도시 육성을 위해 민관협력방식(Public-private partnerships;

PPP) 80%와 공공재원 20%로 마련한 660억 유로를 투자함 (Jerathi,A.R., 2011)

∙ 2014년 출범한 인도 모디 총리는 기존 정부의 스마트도시 정책을 이어받아 Smart Cities Mission 정책을 펼치며 100개 도시(최근 109개 도시로 수정)를 스마트도시 로 육성하려는 계획을 발표하고 전략적 수단으로 구체화 함(MUD, 2015, p.11)4)

3) 1999년 MIT의 오토아이디센터(Auto ID Center)의 캐빈 캐빈 애쉬튼(Ashton, Kevin, 2009)은 “우리는 컴퓨터 가 실제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표준화된 방식인 사물인터넷이 필요하다(We need an internet for things, a standardized way for computers to understand the real world)”고 언급하며,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 당시 애쉬튼은 Procter &Gamble (P&G)에서 브랜드 매니저(Brand Manager)로 일하며 재고 관리 시스템의 효율화 방안을 고민하며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를 연구했으며 RFID를 실제 세계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단으로 언급하는 과정에서 IoT라는 개념을 처음 만들었고 (Mattern &

Floerkemeier, 2010), MIT 연구소를 이끄는 과정에 그 개념이 빠르게 일반인들에게 파급되어 보편적 용어로 자리 잡았다.

4) 인도는 도시 발전을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Smart Cities Mission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크게 도시 개선 (improvement, retrofitting), 재개발(renewal, redevelopment), 도시 확장(city extension, greenfield development) 등의 Area-based Development (ADB)전략과 도시 전반에 걸쳐 스마트 솔루션(smart solution)을 지원하는 Pan-city initiative로 구체화하여 접근 중이다 (MUD, 2015, p.8).

(14)

∙ 뒤이어 중국 정부도 2020년까지 500개의 스마트도시(지혜도시) 건설을 위해 총사업비 1조 위안(약 182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연합뉴스, 2015)했으며, 중국이 추구하는 스마트도시는 경제발전을 자극하고 도시빈곤을 없애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음(Manville et al., 2014, p. 18)

∙ 미국은 주로 민간영역에서 스마트도시 사업에 초점을 두고 진행해 왔음. 미국의 IBM과 Cisco는 다양한 스마트 솔루션을 개발하여 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를 대상으로 사업을 확 장하고 있으며(Woods & Goldstein, 2014), 최근 Google의 지주회사 Alphabet과 솔루 션 개발 계열사 Sidewalk Labs에서 Smart City연구를 진행 중임(Robinson, 2016)

∙ 오바마 정부는 2015년 9월 연방정부 차원에서 1억 6천만 달러를 투입하는 ‘스마트시티 이니셔티브(“Smart Cities” Initiative)’를 발표(The White House, 2015)했으며, 미국 Smart Cities Council이라는 단체를 중심으로 Smart Cities Week 회의가 매년 개최 (‘15.9.15-17, ‘16.9.27-29)되면서 미국 주도의 새로운 스마트도시 논의의 장이 생김

∙ 한국은 스마트도시의 일환으로 볼 수 있는 유비쿼터스 도시(Ubiquitous City; U-City)를 2008년 법정 계획으로 만들어 중앙정부 차원의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 중이며, 일부 지자 체들은 종합계획에 따른 지자체 맞춤형 U-City계획을 수립하고 있음

∙ 사업적 측면에서 보면, 2008년 이후 지자체별로 다양한 시범사업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스 마트도시의 주요 부문 중 하나인 교통은 이보다 앞선 1999년부터 지능형교통체계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 계획에 의해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 최근 ‘U-City’를 ‘스마트도시’라는 용어로 변경하면서 국제적으로 논의되는 스마트 도 시에 부합하는 정책의 목적과 범위로 확장하고 있음(국토교통부, 2016)

❑ 스마트도시의 구체적인 서비스로 행정, 교통, 물류, 방범, 방재, 에너지, 환경, 물 관 리, 주거, 복지 등 다양한 분야가 언급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교통, 안전, 에너지 및 환경 부문에 투자가 집중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교통부문의 투자가 상당히 높은 편임

∙ 스마트도시를 추구하는 세계도시들의 추세를 보면, 스마트 에너지 및 환경 분 야가 스마트도시 여러 부문 중 가장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전기 에너지와 관련하여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가 대표적인 서비스임

- 덴마크 코펜하겐(Copenhagen, Denmark)의 경우 스마트도시 여러 부문 중 에너지·환경 부문 에 집중하여, 코펜하겐을 탄소배출 Zero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 수단으로 보고 있으며

(15)

(Copenhagen Cleantech Cluster, 2012), 최근까지 Green City Index 의 종합결과(Overall Results)에서 매년 1위를 달성하고 있음

∙ 스마트 모빌리티(Smart Mobility)는 주로 교통 부문에 정보통신기술(ICTs)을 활 용하여 사용자 편의성 증대하는 측면이 강조되는 반면, 전통적인 교통부문 중 에 너지소비를 감축하고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증대시키는 측면은 분류상 스마트 에 너지 및 환경 부문 분야에 포함되는 경향이 있음

∙ 일반적으로 스마트 모빌리티와 수송체계의 효율화가 에너지부문 다음으로 중요 한 스마트도시 전략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정보통신기술(ICTs)을 활용하여 에너 지의 효율성 증대를 통한 이산화탄소 감소와 같은 측면은 스마트 에너지 및 환경 분야에 포함된 경우가 많아 실질적으로는 정보통신기술(ICTs)을 활용한 교통부 문 효율화 측면이 현재 가장 많이 투자되고 서비스하는 부문으로 볼 수 있음

∙ 안전(security)부문의 경우 CCTV설치를 통해 통합운영센터에서 정보를 관리·

운영함으로서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서비스로 볼 수 있으며, 사생활 침해에 민감한 선진국 보다는 국내에서 주로 발달한 서비스임

∙ 이외에 스마트 빌딩,스마트 홈, 스마트 복지·교육 등 다양한 서비스가 존재하 지만 국가재정을 투입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거나 유사한 서비스가 있더라 도 스마트도시 정책에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 해외 여러 기관에서 전 세계 스마트시장 성장 예측을 투자금액으로 환산하여 향후 미래를 선도할 새로운 분야로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으나, 대부분 시장규모에 대한 예측치는 글로벌 컨설팅기업의 내부레포트에 근거한 내용으로 기관별 예상치 간 큰 차이가 있으며, 근거 기준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지 않음

∙ Navigant Research(2014)는 스마트도시 시장 규모를 2014년 기준 약 275억 달러로 보고 있으며, 매년 88억 달러, 약13.5%씩 증가하여 2023년에는 1,744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함

∙ MarketsandMarkets(2014)는 세계 스마트도시 시장이 2014년 4,113억 달러 규모에서 2019년 1조 1,348억 달러 규모로 매년 22.5% 성장할 것으로 추정함

∙ Little, Arthur D. (2015)는 2014년 스마트도시 시장규모를 9,500억 달러로 추 산하고 향후 성장률을 연평균 13.9%로 추정하여 2020년에는 2조 1,000억 달러

(16)

규모로 Navigant Research나 MarketsandMarkets 보다 높게 추정하고 있음

∙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 기능을 효율화하기 위한 스마트도시 관련 시장은 성장할 것으로 추정되지만, 기관별 스마트도시 성장에 대한 기준과 예상액에 큰 차이가 존재함

❑ 스마트도시에 대한 연구들은 아직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스마트도시 정의에 대 해서도 학계 내에서 정리되지 않아, 연구자에 따라 스마트도시의 목표와 특성 그리고 정의에 대한 범위와 내용에 큰 차이가 존재함

∙ 스마트도시와 관련된 연구들은 스마트도시의 정의와 포괄하는 범위, 목적 등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일반화된 스마트도시 정의는 없는 실정임

❑ 스마트도시 정책효과에 대한 실증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기존 연구보고서들에서 는 스마트도시의 기능이 포괄적이고 광범위하게 묘사되어 현재 도시가 갖고 있는 다 양한 문제가 스마트도시 구축을 통해 쉽게 해결 가능한 만병통치약(panacea)로 언급 하는 경우가 많음

∙ 스마트도시 구축을 시작하는 현재 단계에는 스마트도시는 도시의 물리적 공간 과 인터넷의 가상공간을 연결시킴으로서 상대적으로 공간과 시간으로부터 자유 로울 수 있다는 장점이 주로 언급되어 스마트도시의 긍정적인 측면을 언급하는 정책보고서가 주를 이루고 있음

∙ 아직까지 스마트도시 구축사례가 전 세계적으로 많지 않고, 구축되었다고 하더 라도 특정 부문에 한정하여 서비스되고 있어, 다양한 도시를 대상으로 스마트 도시의 모든 서비스에 대한 실효성 검토는 용이하지 않음

(17)

2.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스마트도시에 대한 국제 학계의 연구를 검토하여 스마트도시의 정의를 연 구의 특성과 목적에 따라 분류·분석하여 스마트도시의 개념을 일반화하고, 정의를 기 반으로 스마트도시의 정책 효과(실효성) 검토 방향을 구체화하며, 교통부문의 버스정 보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 BIS)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증 분석함으로서 현 재 스마트도시 정책의 한계점과 향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본 연구는 스마트도시와 관련된 다양한 문헌을 검토하여 스마트도시 개념을 명 확히 하고, 스마트도시의 다양한 서비스 중 작은 부분인 버스정보시스템을 실증 연구 함으로써 스마트도시의 효과와 한계점 그리고 향후 방향을 검토하고자 함

∙ 스마트도시는 행정, 교통, 물류, 방범, 방재, 에너지, 환경, 물 관리, 주거, 복지 등 도시의 다양한 부문에 포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지만, 본 연구는 여러 부문 중 대중교통 부문의 버스정보 시스템 정책 효과 검토로 한정함

∙ 스마트도시의 다양한 부문 중 교통부문을 선택한 이유는 교통부문이 스마트도 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는 것과 U-City정책 이전에 지능 형교통체계(ITS)를 통해 교통부문의 스마트도시 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 중 가장 많은 정보를 누적하고 있기 때문임

∙ 비록 본 연구가 스마트도시 모든 서비스의 정책 효과를 검토하지는 않지만 버스 정보시스템(BIS)의 특성이 스마트도시에서 요구되는 대부분의 요소를 포괄하 고 있으므로, 버스정보시스템(BIS) 일면을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분석함으로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 향후 스마트도시의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 스마트도시의 실효성 검토는 투자한 비용대비 시민이 느끼는 정책의 효용으로 볼 수 있으나, 비용측면과 효용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하기에 연구의 기간 이 상대적으로 짧아(4개월) 효용에만 초점을 맞추어 실증 분석함

(18)

3. 연구의 틀

❑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 목적을 밝히고, 연구의 시간적 공간적 범위와 본 연구가 갖는 특수성과 연구의 기대효과를 명확히 함

❑ 기존 문헌 검토를 통해 스마트도시 개념을 일반화하고, 교통부문의 지능화가 갖은 의미를 스마트 도시적 관점으로 재해석하여 지능화한 대중교통의 정책적 실효성에 대한 기존문헌 검토를 함

∙ 기존 문헌 검토를 통해 국제적으로 논의되는 스마트도시의 개념을 확인하고 연 구 목적과 연구 특성에 따라 스마트도시 정의를 분류하여 개념을 일반화함

∙ 일반화한 개념을 기반으로 정책 효과 검증의 필요성을 확인함

∙ 교통부문에서 논의되어온 연구를 스마트도시 정책 프레임으로 재구성함

∙ 정보통신기술(ICTs)을 대중교통정책에 적용하는 함의를 스마트 도시적 관점으 로 재해석함

∙ 지능화된 대중교통시스템 효과에 관한 구체적인 문헌을 검토함

❑ 버스정보시스템(BIS)의 현황을 법규, 정책, 재정투입 등과 함께 현재 전국적으로 구축된 현황과 본 연구의 실증분석 부분에서 다룰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분석함

❑ (실증분석) 서울시를 대상으로 버스정보시스템이 도입된 2005년 이후 버스정보시스템 (Bus Information System; BIS)이 통행행태에 미친 영향을 심리적 만족감, 통행수단으 로 버스나 대중교통 선택한 정도를 중심으로 패널분석을 통해 실증 분석함

∙ (예비분석) 정보통신기술 중 인터넷이 일반적인 통행행태에 미친 영향에 대해 2002년도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개략적으로 분석 (Preliminary Analysis)함

∙ (패널분석)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약 11년간 버스정보안내기(BIT)가 통행 행태에 미친 영향을 11년간의 서울서베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버스이용만족도, 통행수단으로 버스 선택, 대중교통 선택 등을 중심으로 분석함

(19)

그림 1-1 연구의 틀

(20)

∙ (추가) 추가적으로 버스정보시스템(BIS)에서 제공한 정보를 스마트폰이라는 수단 을 이용하여 제공될 때, 통행행태 변화에 미친 파급력의 단면을 2010년-2014년 가구통행실태조사의 대중교통카드데이터를 이용하여 파악함

❑ (결론)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을 통해 버스정보시스템(BIS)의 실효성을 요약하 며, 이론검토와 실증분석의 결과로부터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 향후 스마트도시 실효성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함

4. 연구의 범위

1) 시간적 범위

❑ (스마트도시 개념 연구) 스마트도시에 관한 연구는 주로 2000년 이후에 이루어졌 고, 특히 2010년 이후 많은 연구들이 수행됨에 따라 주로 2010년 이후 최근 문헌 을 검토하였음

❑ (교통부문 정보화 관련 기존 연구) 주로 1970이후 정보통신기술이 통행행태에 미 친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였으며, 버스정보안내기(BIT) 효과에 대한 연구는 주로 2005년 이후로 문헌으로 한정함

❑ (실증연구) 실증 분석에 사용하는 각종 통계자료 및 법·제도적 사항은 주로 2005 년부터 2015년까지 11년간을 기준으로 하며, 예비분석 단계에서 예외적으로 2002 년 상황을 분석함

∙ (예비분석) 인터넷 이용이 통행행태에 미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2년 가 구통행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함(인터넷 이용과 통행을 모두 포함한 자료는 2002 년 가구통행실태조사에만 존재하여, 2002년으로 한정하여 분석함)

∙ 버스정보안내기(BIT)가 버스나 대중교통을 통행수단으로 선택하거나 통행수단 의 만족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서베이 2005년부터 2015년까지 11년간의 데이터 이용하여 다수준 패널분석을 함

(21)

∙ 스마트폰이 대중교통이용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교통카드이용 자료를 사용함

∙ 스마트폰이 대중교통이용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교통카드이용 자료를 사용함

2) 공간적 범위

❑ (스마트도시 개념) 국내보다는 스마트도시 계획이 주로 이루어진 유럽이나 해외 연 구를 주로 참고함

❑ (교통부문 정보화 관련 기존 연구) 정보통신기술(ICTs)이 통행행태에 미친 영향을 국내 보다는 미국, 유럽 등 해외 선진국에서 최근까지 연구하고 있는 내용을 기반 으로 정리하였음

∙ 일부 실증분석과 관련된 문헌연구의 경우 국내 경우와 해외를 구분하여 검토하 였음

❑ (실증분석) 버스만족도, 버스나 대중교통의 선택 등과 관련하여 주로 서울지역의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개인데이터(individual level data)를 기반으로 분석함

∙ 서울서베이 데이터의 개인데이터를 기반으로 휘발유가격, 인구밀도, 도로밀도, 토이이용(주거지비율, 상업지비율, 녹지비율), 면적대비 버스전용차로와 버스 정보안내기 설치대수 등의 시기별·자치구별 집계자료를 포함하여 다수준 패널 모형으로 분석함

(22)

5. 연구의 특성과 기대효과

❑ 아직까지 국·내외적으로 합의된 스마트도시의 개념이 없으며 기존 연구들에 대한 정리된 연구도 부족하여, 해외 문헌들을 고찰하여 스마트도시의 개념을 재정립하 여 제시하고자 함

∙ 한국의 스마트도시는 주로 유비쿼터스 도시라는 이름으로 센서나 정보통신기기 를 실제 도시에 구축하는 방식으로 약 10년간 진행되어 왔으나, 최근 해외 연구 들은 시민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으며, 스마트 서비스 종류가 한정적인 한 국식 top-down적 스마트 도시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음

- 중국, 인도를 비롯하여 최근 전세계의 다양한 국가에서 스마트도시 건설을 위한 노력을 전략적 정책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해외 대부분 국가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스마트도시는 유럽식 의 bottom-up 방식을 선호하고 있음

- 송도 U-City 개발에 직접참여하고, 아부다비(Abu Dhabi)의 마스다(Masdar) 스마트도시 건 설에 참여한 Greenfield (2013)가 최근 펴낸 책 ‘스마트도시를 반대하며 (Against the smart city)’을 보면, 부족한 서비스(contents 측면), 시민의 외면, 친환경적이지 않은 Greenfield 개발 등 직접적으로 송도 개발을 예로 들며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음

∙ 국내에서도 U-City의 영역을 확대하여 해외에서 진행중인 스마트도시 정책을 한 국의 사정에 맞게 적용하기 위해 법정 용어 변경과 서비스 확대를 추진 중에 있으 나, 학술적으로나 정책적으로 스마트도시 개념이나 특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함

❑ 기존 연구에서 논의되는 스마트도시의 비전과 한계점을 검토하여 실효성 검토의 이 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 실증분석은 현재 스마트도시 여건을 고려하여 여러 스마트 도시 서비스 중 대중교 통(버스정보시스템) 부문에 한정하여 분석함

∙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스마트도시의 실효성은 정책 효과를 의미하지만, 스마트 도시 구축은 초기단계로 볼 수 있으며 스마트도시의 다양한 서비스를 모두 시행하는 도시는 현재 존재하지 않은 상황임

∙ 정책 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은 정보통신기술(ICTs)을 가장 먼저 적용한 교통 부문 중 시민체감이 상대적으로 높고, 온실가스 등 환경 부문에 영향력이 높은 대중교통 정책을 대상으로 한정함

(23)
(24)

CHAPTER 2

스마트도시의 이론적 고찰과 교통부문의 스마트도시 문헌 검토

01 기존연구의 스마트도시 개념 검토 17

02 스마트도시 재정의 28

03 스마트도시에 대한 비판적 검토 39

04 교통부문의 스마트도시 관련 연구 방향 42

05 버스정보시스템(BIS)과 스마트도시 44

06 정보통신기술과 통행행태에 관한 이론 및 실증연구 검토 47

(25)
(26)

CHAPTER

2 스마트도시의 이론적 고찰 1) 교통부문의 스마트도시 문헌 검토

1. 기존연구의 스마트도시 개념 검토

❑ 뉴캐슬 대학교(Newcastle Univ.) Robert Hollands(2008) 교수가 ‘스마트도시’라 는 용어는 “자의적(self-declaratory)”으로 사용된다고 언급한 것처럼, ‘스마트도 시’를 학자나 기관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으며, 아직까지 누구나 동의할 만한 수준의 개념으로 정립되지 않은 상태임(Alawadhi et al., 2012; Allwinkle &

Cruickshank, 2011; Caragliu et al., 2011; Chourabi et al., 2012; Papa et. al., 2013)

1) 물리적 구축

❑ 알비노(Vito Albino)와 그의 동료들 연구에 따르면, ‘스마트도시’라는 용어의 등장은 1990 년대 무렵으로, 당시 연구의 초점은 도시기반시설에 새로운 정보통신기술(ICTs)을 적용하 는 것이 왜 중요한지에 초점을 두고 있었음 (Albino et al., 2015, p.4)

∙ 이거(Egar, 2001)는 ‘스마트 커뮤니티(Smart Communities’라는 용어로 커뮤 니티를 어떻게 스마트화 할 것인지 10단계 방안을 제안했으며, 구체적으로 정 보통신기술(ICTs)을 도시의 물리적 공간에 설치하고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함

❑ 스마트도시와 관련된 초기의 여러 연구들(표2-1)을 살펴보면, 각각의 정의가 표방하 는 목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도시를 위해 정보통신기술(ICTs)을 도시의 물 리적 공간에 ‘설치(deploy)’하는 기술 중심적 관점에 방점이 찍혀있음을 알 수 있음

1) 본 내용은 저자(이성원)가 본 보고서 작성 중 연구한 내용으로, 이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한 연구논문이 현재 해외 저널의 검토 과정 중에 있음

(27)

∙ 홀(Hall, 2000)은 효율적으로 도시를 유지하는 관리적 측면에서 스마트도시를 도로, 교량, 터널 등 다양한 도시기반시설기술을 통합하여 모니터링하는 도시 로 정의하는데, 그 이면에는 도시기반시설들에 센서와 같은 정보통신기기의 설 치를 기반으로 하는 정의로 볼 수 있음

∙ 2001년 10단계 스마트화 방안에 관한 보고서에서 스마트도시 개념을 커뮤니티 라는 소규모 물리적 공간에 실현하는 방안을 ‘스마트 커뮤니티’로 소개한 이거 (Egar, 2001)는 그 내용을 발전시켜 스마트 성장(Smart Growth) 개념과 연계 하여 기술, 문화, 장소를 연계한 개념을 2009년 연구에서 제시함

∙ 최고기술경영자(Chief Information Officer, CIO)들을 대상으로 스마트도시를 소개한 Washburn et al.(2010)과 Harrison et al.(2010)의 연구들은 발달된 정보통신기술(ICTs)의 도시공간에 물리적 구축함으로써 사회적 효용과 경제적 효용을 확보하는 도시로 정의하는데, 스마트도시 개념에 물리적 구축을 포함하 고 있음

- Washburn et al. (2010)은 스마트도시를 도시의 다양한 서비스와 도시의 물리적 기반시설 요소에 스마트 컴퓨터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음

- Harrison et al. (2010)은 일반적 도시기반시설은 ‘물리적 기반시설(physical infrastructure)’

로 명명하며, 이 외에 IT 기반시설, 사회적 기반시설, 비즈니스 기반시설 등을 추가적으로 언급 하며 이러한 기반시설의 연계한 도시를 스마트도시로 보고 있음

- 특히 IBM을 대표하여 작성한 Harrison et al. (2010)의 연구는 스마트도시를 위해 3가지 요소 가 중요하다고 언급하며, 1) 센서, 기기 등을 포함한 “수단(instrumented)”과, 2)데이터를 컴 퓨터 플랫폼에 연결하는 “연계(interconnected)”, 그리고 복잡한 분석, 모델링, 최적화, 시각 화 등을 포함한 “지능화(intelligent)”로 보고 있음

∙ 베티 등(Batty et al., 2012)은 정보통신기술(ICTs)을 전통적 도시기반시설 (즉, 물리적 기반시설)과 통합(merge)시킨 도시로 정의 함

∙ 크레쪼 (Cretu, 2012)는 스마트도시에 대한 개념은 크게 두 가지 흐름이 존재 하고 있다고 말하며, 두 번째 흐름으로 일상의 모든 측면이 센서, 장치, 실시간 데이터와 정보통신기술이 통합된 네트워크 도시로 정의 함

∙ 바르셀로나 도시를 대상으로 연구한 Bakici et al.(2013)은 스마트도시를 사람, 정보, 도시 요소가 연계된 하이테크 도시 혹은 진보한 도시로 정의함

(28)

표 2-1 정보통신기술의 물리적 구축에 초점을 둔 스마트도시 개념들

연구 스마트도시 개념

Hall (2000) p.1

A city that monitors and integrates conditions of all of its critical infrastructures, including roads, bridges, tunnels, rail/subways, airports, seaports, communications, water, power, even major buildings, can better optimize its resources, plan its preventive maintenance activities, and monitor security aspects while maximizing services to its citizens.

Eger(2001), Eger(2009) p.47-48

a “smart community” – a community which makes a conscious decision to aggressively deploy technology as a catalyst to solving its social and business needs – will undoubtedly focus on building its highspeed broadband infrastructures, the real opportunity is in rebuilding and renewing a sense of place, and in the process a sense of civic pride.

[…] smart communities are not, at their core, exercises in the deployment and use of technology, but in the promotion of economic development, job growth, and an increased quality of life. In other words, technological propagation of smart communities isn’t an end in itself, but only a means to reinventing cities for a new economy and society with clear and compelling community benefit.

Washburn et al.

(2009) p.2

The use of Smart Computing technologies to make the critical infrastructure components and services of a city — which include city administration, education, healthcare, public safety, real estate, transportation, and utilities — more intelligent, interconnected, and efficient.

Harrison et al.

(2010) p.2

Smarter City is “connecting the physical infrastructure, the IT infrastructure, the social infrastructure, and the business infrastructure to leverage the collective intelligence of the city.”

Batty et al.

(2012) p.481

Smart city which we define as a city in which ICT is merged with traditional infrastructures, coordinated and integrated using new digital technologies.

Cretu (2012) p.57

smart cities should do everything related to governance and economy using new thinking paradigms and […] smart cities are all about networks of sensors, smart devices, real time data and ICT integration in every aspect of human life.

Bakici et al.

(2013) p.139

Smart City implies a high-tech intensive and an advanced city that connects people, information and city elements using new technologies in order to create a sustainable, greener city, competitive and innovative commerce and a recuperating life quality with a straightforward administration and a good maintenance system.

출처: 저자 분류 및 정리.

(29)

❑ 본 연구에서 검토한 국제 저널 약 200여개의 스마트도시 연구들 중 구체적으로 스 마트도시에 관한 개념을 포함하고 대표할 수 있는 저널 약 20개 정도를 선택하여 개념에 포함된 키워드를 구분하여 본 결과, <표2-1>과 <표2-2>에서 언급한 연구의 정의들이 상대적으로 기술 중심적이라는 것을 확인함

❑ 비록 기술 중심적 연구들로 분류한 본 연구의 인용 연구들 중 출판(publish)된 시기 가 2010년 이후의 연구들도 있지만 그 연구들이 인용한 2000년대 초반 연구들을 포함해 종합적으로 보면, 전반적으로 2000대 초 스마트도시 개념이 사이버공간과 물리적 공간의 연결 그 자체에 초점을 두었다면, 2010년 즈음이 되면 이러한 연결 을 통해 경제성장, 삶의질 증대, 지속가능성 등 스마트도시 ‘목적’을 추가하는 경 향이 있음

표 2-2 정보통신기술의 물리적 구축에 초점을 둔 스마트도시 개념에 포함된 키워드

연구

정보 통신 기술

센서

설치 네트 워크

조정 지

식 거

버넌 스︵ 참여

︶ 인적

자본 사회 적 자본

삶의

질 경제 성장

혁신 환

경 지

속가 능성

스마 트 생태 계

공간 계획

교통 안 전

Hall (2000)

p.1 ○ ○ ○

Eger(2001), Eger(2009) p.47-48

○ ○ ○ ○ ○ ○

Washburn et al.

(2009) p.2 ○ ○ ○ ○ ○ ○ ○

Harrison et al.

(2010) p.2 ○ ○ ○ ○ ○

Batty et al.

(2012) p.481 ○ ○ ○ ○ Cretu (2012)

p.57 ○ ○ ○ ○ ○

Bakici et al.

(2013) p.139 ○ ○ ○ ○ ○ ○ ○ ○ ○

출처: 저자.

(30)

2) 도시발전의 전략적 수단

❑ 한편 유럽에서는 중소도시의 경제적 발전을 위한 수단으로 ‘스마트도시’를 이용하 고자 노력해 왔으며(Giffinger et al., 2007), 이러한 유럽연합(the European Union, EU) 의 정책적이며 목적 지향적 관점은 ‘스마트도시’ 개념이 완전히 정립 되기 이전에 ‘스마트도시’ 개념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임

∙ 유럽연합(EU)은 경제공동체로서 여러 국가를 통합하는 과정에 중소도시의 쇠퇴에 대 한 문제와 반발에 직면하면서, 공간계획으로는 ‘다핵적 공간구조(polycentricity)’

(Davoudi, 2003; Meijers, 2008; Nordregio, 2005; Veneri, 2010; Veneri &

Burgalassi, 2010)를 발전 전략수단으로는 ‘스마트도시’(Giffinger et al., 2007)를 정책적으로 지원해왔음

∙ 유럽지역 계획연구 네트워크(European Spatial Planning Observation Network; ESPON) 에서는 지방중소도시 발전을 위해 공간계획과 스마트도시 관련 정책과 재원을 지원해 옴

∙ 연구보고서와 연구논문들의 게제시점을 추정해 보면 약 2000년대 후반 이후 유 럽을 중심으로 경제발전의 수단으로 스마트도시가 주로 언급되고 있음

❑ 도시의 경제적 발전을 위한 정책적 전략 수단으로 스마트도시를 보는 유럽적 관점 을 정리한 연구들은 ‘인적자본’, ‘사회적 자본’, 다양한 주체의 ‘참여’를 정의에 포함하고 있으며, ‘스마트(smart)’ 범위를 정보통신기술(IOTs)뿐만 아니라 ‘인적 자본’, ‘사회적 자본’, ‘참여’ 등으로 확대시킴 (표2-3, 2-4)

∙ Caragliu et al.(2011)은 1)인적자본(Human Capital)과 2)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3)전통(주로 교통) 및 현대(주로 ICTs)적 정보통신 기반시설에 ‘투 자’하는 것이 참여적 거버넌스를 통해 지속가능한 경제발전과 높은 삶의 질, 효 과적 자원관리를 이끌어 내는 도시가 ‘스마트’하다고 서술함(표2-3)

∙ Caragliu et al.(2011)의 연구가 유럽의 스마트도시 정책에 반영됨(Manville et al., 2014)에 따라 많은 스마트도시 개념에 ‘인적 자본’, ‘사회적 자본’, ‘참 여’ 등의 개념이 포함된 것으로 추정됨

∙ Caragliu et al.(2011)의 연구를 살펴보면 인적자본이 삶의질에 어떻게 영향을

(31)

주는지 계량적으로 검토한 Shapiro(2006)와 Glaeser & Shapiro(2003)의 연구 가 스마트도시 개념 형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임

∙ Shapiro(2006)는 연구논문의 제목을 ‘스마트도시:삶의 질, 생산성, 그리고 인 적자본의 성장효과’으로 명명하고, 인적자본이 도시성장에 긍정적이고 효과적 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증명함으로 인해, 주로 기술 중심적이고 물리적 구축 중심의 스마트도시 논의에 ‘기술’ 이외에 ‘인적 자본’이 중요한 수단이자 요소 로 인식되는 계기가 된 것으로 추정함

∙ ‘인적 자본’ 이외에 2000년대 중반 무렵 포터(Alejandro Portes)나 부르디외 (Pierre Bourdieu)의 개념을 대중화 시킨 로버트 퍼트남(Robert D. Putnam) 교수의 ‘사회적 자본’이 서구학계의 선풍을 끈 점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유럽 스마트도시 개념의 외연적 확산은 최근에는 ‘혁신(innovation)’이라는 단어나 리처드 플로리다(Richard Florida) 교수의 ‘창조(creative)’도시가 포함되는 경향 이 있음

∙ Marsal-Llacuna et al.(2011)는 보다 효과적으로 대시민서비스를 펼치고, 존재 하는 기반시설을 모니터하고 최적화하며, 다양한 경제 주체간에 협력을 증진시 키고 민관 모두의 창조적 비즈니스 모델을 북돋우기 위해, 데이터와 정보통신기 술로 도시기능을 향상시키는 도시로 정의함(표2-3)

❑ 최근에는 이러한 흐름에 ‘스마트 생태계(Smart Ecosystem)’라는 개념을 포함시켜 스마트도시와 관련된 시장기능을 활성화를 정의에 포함시키고 있음(Zygiaris, 2013 의 정의를 참고할 것, 표2-3, 2-4)

(32)

표 2-3 도시발전의 전략적 수단으로 스마트도시를 인식하는 연구의 정의들

연구 스마트도시 개념

Caragliu et al.

(2011) p.70

“A city is smart when investments in human and social capital and traditional and moder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fuel sustainable economic growth and a high quality of life, with a wise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through participatory governance.”

Marsal-Llacuna et al. (2015) p.618

the Smart Cities initiative tries to improve urban performance by using data, inform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IT) to provide more efficient services to citizens, to monitor and optimize existing infrastructure, to increase collaboration amongst different economic actors and to encourage innovative business models in both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Zygiaris (2013) p.218

The term “smart city” is understood as a certain intellectual ability that addresses several innovative socio-technical and socio-economic aspects of growth [...] These aspects lead to smart city conceptions as “green”

referring to urban infrastructure for environment protection and reduction of CO2 emission, “interconnected” related to revolution of broadband economy [...], “intelligent” declaring the capacity to produce added value information from the processing of city’s realtime data from sensors and activators, where as the terms “innovating”, “knowledge” cities inter- changeably refer to the city’s ability to raise innovation based on knowledgeable and creative human capital.

출처: 저자 분류 및 정리.

표 2-4 도시발전의 전략적 수단으로 스마트도시를 인식하는 연구의 정의들에 포함된 키워드

연구

정보 통신 기술

센서

설치 네트 워크

조정 지

식 거

버넌 스︵ 참여

︶ 인적

자본 사회 적 자본

삶의

질 경제 성장

혁신 환

경 지

속가 능성

스마 트 생태 계

공간 계획

교통 안 전

Caragliu et al.

(2011) p.70 ○ ○ ○ ○ ○ ○ ○ ○

Marsal-Llacuna et al. (2015) p.618

○ ○ ○ ○ ○ ○ ○ ○

Zygiaris (2013)

p.218 ○ ○ ○ ○ ○ ○ ○ ○

출처: 저자.

(33)

3) 지속가능성 추구

❑ 최근 도시의 궁극적인 목적은 경제적 발전, 삶의 질 증대, 그리고 에너지·환경 문제 의 해결 등을 포괄하는 지속가능성 추구(Camagni et al., 1998; Campbell, 1996;

Giddings et al., 2002)로 모아지고 있으며, 스마트도시의 목적으로 지속가능성이 언급되고 있음 (표 2-5, 2-6)

∙ Toppeta(2010)는 스마트도시의 목적을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거주성 개선으로 정의에 구체화 함(표2-5)

∙ Barrionuevo et al.(2012)는 통합적이고 정주가능하며 지속가능한 도시센터를 발전하기 위해 지능적이고 조정적인 방식으로 모든 가능한 기술과 자원을 사용 하는 도시로 정의함(표2-5)

∙ Kourtit와 Nijkamp(2012)는 사회경제적, 생태적, 합리적 측면과 경쟁력 측면 의 도시기능을 강화하는 것을 스마트 도시 목적으로 정의에 포함했으며, 이러한 요소는 지속가능한 도시의 3개 축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음

∙ Kourtit et al.(2012)는 높은 생산성, 지식기반 업무, 참여적 정책시스템, 창조 활동과 지속가능성 중심의 출발점으로 스마트도시 특징을 정리함

❑ DBIS(2013, 본 연구의 표 2-7 참고)이 지적한 것처럼, 스마트도시는 명확한 이미지와 비전의 목표(end)를 갖고 있기 보다는 현재 도시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진화’시키는 것, 혹은 그 ‘과정(process)’의 수단에 초점을 맞춘 개념으로 볼 수도 있어, 스마트도시의 목적은 지속가능성과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추정함

(34)

표 2-5 스마트도시의 궁극적인 목적을 지속가능성으로 인식하는 연구의 개념들

연구 스마트도시 개념

Toppeta (2010) p.4

Smart cities are those that are combining ICT and Web 2.0 technology with other organizational, design and planning efforts to de-materialize and speed up bureaucratic processes and help to identify new, innovative solutions to city management complexity, in order to improve sustainability and “livability”.

Barrionuevo et al. (2012) p. 50

“Being a smart city means using all available technology and resources in an intelligent and coordinated manner to develop urban centers that are at once integrated, habitable and sustainable.”

Kourtit &

Nijkamp (2012) p.93

They are the result of knowledge-intensive and creative strategies aiming at enhancing the socio-economic, ecological, logistic and competitive performance of cities. Such smart cities are based on a promising mix of human capital (e.g. skilled labor force), infrastructural capital (e.g.

high-tech communication facilities), social capital (e.g. intense and open network linkages) and entrepreneurial capital (e.g. creative and risk-taking business activities).

Kourtit et al.

(2012) p.232-233

Smart cities have a high productivity as they have a relatively high share of highly educated people, knowledge-intensive jobs, output-oriented planning systems, creative activities and sustainability-oriented initiatives (see, e.g., Holland 2008; Komninos 2008; Landry 2003; Lee et al. 2006;

Torres et al. 2005; Paskaleva-Shapira 2008).

출처: 저자 분류 및 정리.

표 2-6 스마트도시의 궁극적인 목적을 지속가능성으로 인식하는 연구의 개념들에 포함된 키워드

연구

정보 통신 기술

센서

설치 네트 워크

조정 지

식 거

버넌 스︵ 참여

︶ 인적

자본 사회 적 자본

삶의

질 경제 성장

혁신 환

경 지

속가 능성

스마 트 생태 계

공간 계획

교통 안 전

Toppeta (2010)

p.4 ○ ○ ○ ○ ○ ○ ○ ○

Barrionuevo et

al. (2012) p. 50 ○ ○ ○ ○ ○ ○ ○

Kourtit &

Nijkamp (2012) p.93

○ ○ ○ ○ ○ ○ ○ ○ ○ ○ ○

Kourtit et al.

(2012) p.232-233

○ ○ ○ ○ ○ ○ ○ ○ ○ ○

출처: 저자.

(35)

4) 요약

❑ 최근까지 논의되는 스마트도시의 정의들을 살펴보면 초기 기술 중심적이고 물리적 구축 중심의 개념이 점차 ‘지속가능성 증대’라는 목적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확대되 어 왔음

❑ 한편 도시의 지속가능성 증대의 수단을 ‘스마트(smart)’로 보면서 ‘정보통신기술 (ICTs)’이라는 수단 이 외에 ‘인적 자산’, ‘사회적 자산’, ‘참여’ 등을 포함시키는 방향으로 연구됨

❑ 이러한 요소를 복합적으로 포괄하는 정의는 Nam & Pardo (2011)로 볼 수 있으며 (표 2-7), 본 연구에서 분류한 17개의 키워드 중 가장 많은 키워드를 포함한 정의 로 볼 수 있음

∙ Nam & Pardo (2011)는 정보를 물리적 도시기반시설에 넣은 도시로 정의하 며, 목적을 편의성 증진, 이동성 증대, 효율성 제고, 에너지 절감, 공기와 물의 질 개선, 빠른 문제해결, 빠른 재난 복구, 의사결정력 제고를 위한 데이터 수 집, 자원의 효과적 관리, 다양한 집단의 참여를 통한 공동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공유 등으로 정의함

❑ 이 외에 편리하고(comfortable) 안전한(secure) 특성을 정의에 포함(Lazaroiu &

Roscia, 2012)하는 경우와 전기, 교통, 화물수송 등을 최적화하기 위한 것으로 스 마트 서비스 영역을 한정한 연구(Chen, 2010)가 있으며, 스마트 서비스 영역을 6개로 구분하여 유럽의 주요 정책보고서들의 스마트 서비스 방향의 표준이 된 Giffinger et al.(2007)의 연구가 있음

❑ 특히 구체적인 도시공간을 정의에서 언급한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인데, Eger(2001; 2009)가 제안한 스마트 커뮤니티에 관한 연구와 Dameri (2013)와 Lazaroiu & Roscia (2012) 연구에서 일부 고려됨

(36)

표 2-7 스마트도시 개념들

연구 스마트도시 개념

Nam & Pardo (2011) p.284

A smarter city infuses information into its physical infrastructure to improve conveniences, facilitate mobility, add efficiencies, conserve energy, improve the quality of air and water, identify problems and fix them quickly, recover rapidly from disasters, collect data to make better decisions, deploy resources effectively, and share data to enable collaboration across entities and domains.

Dameri (2013) p.2549

A smart city is a well-defined geographical area, in which high technologies such as ICT, logistic, energy production, and so on, cooperate to create benefits for citizens in terms of well-being, inclusion and participation, environmental quality, intelligent development; it is governed by a well-defined pool of subjects, able to state the rules and policy for the city government and development.

Lazaroiu &

Roscia (2012) p.326

“the smart city”, which represents a community of average technology size, interconnected and sustainable, comfortable, attractive and secure.

Chen (2010) p.3

“smart cities will take advantage of communications and sensor capabilities sewn into the cities’ infrastructures to optimize electrical, transportation, and other logistical operations supporting daily life,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everyone.”

Giffinger et al.

(2007) p.11

A city well performing in a forward-looking way in [economy, people, governance, mobility, environment, and living], built on the ‘smart’

combination of endowments and activities of self-decisive, independent and aware citizens.

Lombardi et al.

(2012) p.137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in the context of future cities is often indicated by the notion of smart city.

Branchi et al.

(2013) p.64

the issue of Smart Cities, we are not just talking about technology applied to the city and its spaces, but more importantly its impact on the city’s inhabitants.

DBIS (2013) p.7

[Smart city] is not static, there is no absolute definition of a smart city, no end point, but rather a process, or series of steps, by which cities become more livable and resilient and, hence, able to respond quicker to new challenges.

출처: 저자 분류 및 정리.

(37)

표 2-8 스마트도시 개념들에 포함된 키워드

연구

정보 통신 기술

센서

설치 네트 워크

조정 지

식 거

버넌 스︵ 참여

︶ 인적

자본 사회 적 자본

삶의

질 경제 성장

혁신 환

경 지

속가 능성

스마 트 생태 계

공간 계획

교통 안 전

Nam & Pardo

(2011) p.284 ○ ○ ○ ○ ○ ○ ○ ○ ○ ○ ○ ○

Dameri (2013)

p.2549 ○ ○ ○ ○ ○ ○ ○

Lazaroiu &

Roscia (2012) p.326

○ ○ ○ ○ ○ ○

Chen (2010)

p.3 ○ ○ ○ ○ ○

Giffinger et al.

(2007) p.11 ○ ○ ○ ○ ○ ○ ○ ○

Lombardi et al.

(2012) p.137 ○ Branchi et al.

(2013) p.64 ○ ○ ○

DBIS (2013)

p.7 ○ ○ ○ ○

출처: 저자.

2. 스마트도시 재정의

1) 문헌검토를 통해 확인한 스마트도시 유사용어

❑ 스마트도시와 유사한 정보도시, 디지털도시, 연결도시, 네트워크도시 등 비슷한 용 어가 존재하며, 이러한 개념들 간의 차이를 확인함

❑ 마뉴엘 카스텔(Manuel Castells)은 그의 3부작 저서 <정보 시대: 경제, 사회, 문 화>(The Information Age: Economy, Society, and Culture, 1996-1998)에서 정보통신기술(ICTs)의 변화에 따라 역사·이론·경제·문화 등 전반적인 사회 구조가

‘네트워크 사회(Network Society)’로 전환될 것이라고 예측함

(38)

∙ 정보 시대(Information Age)에 대한 그의 관점은 주체(subject)와 객체(object) 에 초점을 둔 정보 사회(Information Society) 보다는 그 주체와 객체를 연결시키 는 네트워크(Network)에 주목했으며, 그 핵심적 수단을 웹기반 네트워크로 봄

∙ 세기말 96년부터 3년간 매년 출간한 <정보시대>의 연작들과 그 이후의 <인터넷 갤럭시>와 같은 베스트셀러 저서들은 사회학의 학문 테두리에서 논의되던 정보 통신기술(ICTs) 발달의 사회경제적 효과에 대한 논의를 일반인들에게 확대하여

‘정보도시(Information City)’와 ‘네트워크 도시(Network City)’라는 용어의 일반적 확산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임

❑ ‘정보도시(information city)’는 가장 광범위하게 정보통신기술(ICTs)의 효용을 제 시하는 초기 용어로서, 은유적으로 웹서비스 공간을 의미하기도 하고, 현실 공간의 정보를 웹상의 가상공간에 서비스하는 ‘디지털도시(digital city)’을 의미하기도 함

∙ Anthopoulos & Fitsilis (2010, p.301)는 지역 커뮤니티로부터 공식 및 비공식 디지털 정보를 모으고 그것을 정보도시라고 불리는 웹 포털(web portals)을 통 해 공공에 전달하는 것을 ‘디지털 환경(digital environment)’이라고 서술함

∙ Anthopoulos & Fitsilis (2010)는 연구에 따라 정보도시를 웹공간을 의미하거나 디지털 환경 전부를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으로 용어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 다고 설명함

∙ 정보도시 개념이 포괄하는 범위가 매우 넓어 그 구체적 특성이나 내용에 따라 용어가 분화된 것으로 보임

❑ 홀랜즈(Hollands, 2008, p.306) 교수는 Dutton et al.(1987)의 책 ‘연결도시: 커 뮤니케이션 미래의 형상화’를 인용하며 스마트(smart) 개념을 지우고 물리적으로 케이블로 연결된 ‘연결도시(Wired City)’를 소개함

∙ Hollands(2008, p.305)는 스마트도시와 유사한 개념의 도시들로 지능 (intelligent city), 혁신(innovative city), 연결도시(wired city), 디지털도시 (digital city), 창조도시(creative city) 등이 있으며 이러한 개념들은 정보통신 기술(ICTs)와 연계된 개념으로 소개하고 있음

∙ Hollands(2008) 교수가 정보통신기술(ICTs)과 연계된 다양한 개념들 중 ‘연결

(39)

도시’를 소개한 문맥(contexts)은 연결도시가 정보통신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 하는 도시이지만 사회경제적 효과나 바람직한 방향에 관한 가치를 제거한 가치 중립적으로 물리적 구축에만 초점을 두었다는 측면에서 소개한 것임

❑ ‘연결도시’와 유사하게 물리적 구축에 초점을 둔 개념으로 ‘디지털 도시(digital city)’가 있으며, 현실공간의 정보들을 디지털 공간에 복사하고 다시 재생산하는 기 능을 하는 도시가 있음

∙ Couclelis (2004, p.5)에 따르면, 디지털 도시(digital city)는 현실 도시의 특정 측면 혹은 기능을 일반인들에게 공개하여 종합적이고 웹기반 재현 혹은 재생산 한 도시를 의미함

∙ 사이버도시(cyber city)나 가상도시(virtual city)가 웹공간에 생성한 임의의 공 간으로서 현실세계와의 관계를 정의에 포함하지 않는 개념인 반면, 디지털 도시 는 현실세계의 정보를 웹공간에 넣어 일상생활의 서비스에 도움을 준다는 측면 에서 차이가 있음

❑ ‘유비쿼터스 도시(ubiquitous)’는 ‘디지털 도시’ 개념의 확장판으로 언제 어디에서 나(ubiquitous) 웹기반의 현실세계 정보에 접근이 가능한 도시를 의미함

∙ Anthopoulos & Fitsilis (2010, p.301)는 ‘유비쿼터스 도시’를 디지털 도시의 확장으로 서술하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정보기술(ubiquitous information technology)’기반의 도시 및 지역으로 정의함

❑ 요컨대, ‘정보도시’에서 분화한 개념의 일종으로 볼 수 있는 ‘연결도시(wired city)’, ‘디지털도시(digital city)’, ‘유비쿼터스 도시(ubiquitous city)’, ‘네트워 크 도시’ 등은 물리적 공간과 가상공간의 연결이라는 동일한 ‘현상’에 대해 연구의 초점에 따라 강조하는 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연결도시(wired city)는 가치중립적으로 물리적 현실 도시 공간이 사이버 공간 과 연계되었다는 측면을 강조함

∙ 무선도시(wireless city)도 연결도시와 동일하게 물리적 공간과 도시공간의 연 결을 의미하나 기술의 발달과 진화에 따라 전선이라는 물리적 시설의 직접적 연 결 없이 웹 공간과 연결할 수 있다는 측면이 강조된 용어임

(40)

∙ 네트워크도시(network city)도 물리적공간과 사이버공간의 연결을 설명하는 도 시개념이지만 각각의 물리적 공간이나 사이버공간이라는 대상 혹은 오브제 (object)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네트워크’로 설명되는 각각의 대상간 혹은 노 드(Node)간의 ‘연계’에 초점을 맞춘 개념임

∙ 사이버도시(cyber city)와 가상도시(virtual city)는 주로 전자 게임에서 이러한 용어를 많이 사용하듯이 직접적으로 현실세계를 모사하던 하지 않던 관계없이 디 지털 공간속에 사람들이 상상할 수 있는 공간을 생성했다는 측면이 강조된 용어임

∙ 디지털 도시(digital city)는 현실의 정보를 가상공간 혹은 웹에 생성함으로서 현 실에서 필요한 정보를 지원하는 특성이 강조된 개념임

∙ 유비쿼터스 도시(ubiquitous city)는 디지털 도시와 유사한 개념으로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의 연결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누릴 수 있다는 측면이 강조되어 ‘시공간의 압착’효과의 장점을 표현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음

❑ 이러한 물리적 구축에 초점을 둔 개념과는 별개로, 유사한 개념 중 니코스 콤니노스 (Nicos Komninos) 교수가 언급한 ‘지능도시(intelligent city)’가 있으며, 이는 혁신, 높은 학습 능력, 창의성 등의 키워드로 설명되는 특정 물리적 공간을 의미하며, 그 특징으로 이러한 혁신적 공간을 설명하는 요소에 디지털 기반시설(정보통신기술과 유 사한 의미)을 포함함

∙ 지능도시(intelligent city)라는 용어는 니코스 콤니노스(Nicos Komninos) 교수 가 2002년 <지능도시: 혁신, 지식 시스템 그리고 디지털 공간>(Intelligent Cities: Innovation, Knowledge Systems and Digital Spaces)이라는 책을 출간 하며 회자되기 시작함

∙ Komninos (2002)는 지능도시는 높은 학습능력과 혁신을 이끄는 물리적 공간 영역으로 정의2)하며, 거주자의 창의성, 지식생산을 위한 기관들, 정보교환을 위한 디지털 기반시설들로 그 물리적 영역을 설명함

❑ 한편 ‘지속가능한 도시(sustainable city)’는 사회적, 경제적, 사회적 도시 발전의 궁극

2) “Intelligent cities are territories with high capability for learning and innovation, which is built-in the creativity of their population, their institutions of knowledge creation, and their digital infrastructure for communic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by Komninos (2002)

참조

관련 문서

Director Review Center - University of Baguio, Baguio City, Philippines Assistant Dean College of Education and Liberal Arts.. - University of Baguio, Baguio

In the education section, you need to write the name of the city, and the phone number of the school where you received your degree or diploma from. 보호자 란에는 부모가

The use of portable technologies and personal cloud services facilitates the work of digital nomads across different places.. Given the knowledge-heavy varieties

- The Growth Pattern of Taizhou City Based on Ecological Infrastructure, Taizhou City, Zhejiang Province, China.  2002 General Design

물류 RFID 기술을 이용하여 물류의 이동사항, 물류의 정보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예: 생산이력 추적관리, u-물류센터, u-운송,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How can Smart City Technology make our city more favorable.. 12/6,

the Smart City Platform The City Integrated Operation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