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영국 공공공간 정책의 시사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영국 공공공간 정책의 시사점"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케이브(CABE)와 21세기

영국 공공공간 정책의 시사점

김정후|건축가, 런던대학교 도시계획학과(LSE Cities Programme) 튜터

현대 도시에서 가장 중요하게 언급되고 있는 화두 중의 하나는‘공공공간(public space)’이다. 공공 공간은 도시 거주자들의 삶의 질과 밀접하게 연관 되므로, 나라와 도시마다 그 논의의 방법과 깊이 에서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돌이켜 보면 공공공간의 변화와 이에 따른 논 의는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이미 20세기 중반 에 사회학자 제인 제이콥스는 근대도시가 낳은 병 폐를 극복하기 위하여 광장, 길과 같은 지극히 보 편적인 공공공간의 가치와 그 회복을 역설했다.

그런가 하면 도시사회학자 리차트 세네트는 현대 도시가 낳은 공공공간은 단지 건물과 건물 사이의 비워진, 혹은 건물을 관통하기 위한 형식적 공간 으로 전락했음을 강력히 비판한 바 있다. 역사적 으로 보자면 이러한 비판의 근거는 다시 19세기 후반의 도시계획가 카밀로 지테로까지 거슬러 올 라 갈 수 있다. 이처럼 공공공간에 대한 논의는

100여 년 혹은 그 이상의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최근에 공공공간에 대한 논의가 그 이전과 비 교할 수 없을 만큼 급부상한 데는 이유가 있다. 통 계에 따르면 올해를 기점으로 전 세계의 도시거주 인구가 50%를 넘어섰다. 100년 전의 도시화 비율 이 불과 10%를 조금 웃도는 정도였으니, 실로 혁 명적 변화라 부를 만하다. 급격한 도시화를 딱히 부정적으로 볼 이유는 없지만, 도시화가 예측할 수 없었던 문제점들을 양산하고 있음은 분명한 사 실이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도시 내에서 공공성의 문제이고, 이것을 사회적 관점에서 보다 구체화시 킨 것이 공공공간에 대한 논의라 할 수 있다.

영국의 경우 1955년‘그린벨트’가 국가적 차원 에서 강력하게 시행되면서부터 현재까지 세계가 부러워할 정도의 풍요로운 공원과 녹지를 유지하 고 있다. 그러나 이와는 별개로 도시 내에서 머물 고, 쉬고, 즐길 수 있는 높은 수준의 공공공간이 충분치 않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점차 커지기 시작 했다. 따라서 공공공간은 20세기 후반부터 영국

(2)

도시개발의 성공 유무를 판단하는 핵심 기준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12년 런던의 하계 올림픽 유치는 공공공간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는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했다.

특히, 영국의 건축 및 도시 관련 정책 수립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는 케이브1)(Commission for

Architecture & the Built Environment: CABE)

는 지난 2003년에‘케이브 스페이스(CABE

SPACE)’

를 설립하여 보다 특화된 연구는 물론이 고,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공공공간 개발에 주력 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케이브를 중심으 로 21세기 영국이 추구하는 공공공간 정책의 방향 을 살펴보고자 한다.

계획정책 지침서와 도시 르네상스를 향하여

20세기 후반은 영국이 건축 및 도시관련 정책에

있어서 진일보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 에는 중앙정부는 물론이고 지방정부들도 독자적 인 정체성을 갖는 다양한 정책들을 수립, 발표했 다. 당시 중앙정부에서 발표한 정책들 중에서 도 시개발과 연관된 종합적인 원칙을 제시한 것은

1997년의「계획정책 지침서(Planning Policy Guidance: PPG)」

와 1999년의「도시 르네상스를 향하여(Towards an Urban Renaissance)」라 할 수 있다.

먼저 전체 25개의 세부 정책들로 이루어진

PPG는 도시개발에 있어서 지방정부와 각각의 개

발주체들이 우선적으로 따라야 하는 원리들을 제 시했다. PPG는 기존의 틀을 유지한 상태에서 지 난 2004년부터 지속가능한 개발, 재생, 환경 등의 새로운 이슈들을 중심으로 11개 분야를‘계획정 책 보고서(Planning Policy Statement: PPS)’로 교체했다. 따라서 현재 영국은 기존의 PPG와 보 완된 PPS가 큰 틀에서 도시계획의 방향을 주도하 고 있다.

그중에서‘PPG 17’은 오픈 공간과 운동 및 여 가활동 공간을 다루는 정책으로 공공공간계획에 관한 핵심 사항들을 포함하고 있다. PPG 17에서 는 디자인 대상으로서 열 가지 오픈 공간의 범위 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① 공원과 정원,

② 천연 혹은 준 천연 공간, ③ 녹지회랑, ④ 외부

<사진 1> PPG 17에서 정의한 열 가지 오픈 공간의 범위

1) 케이브는 1999년 정부 주도하에 설립된 공공기관으로서 건축 및 도시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브가 추구하는 바는 높은 수준의 건 축, 디자인, 삶의 질을 성취하는 것이고, 이를 위하여 다음의 세 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첫째, 건조환경과 연관된 정책 연구 및 개발, 둘째, 감시 기능을 포함하여 전문가 집단이 높은 수준의 디자인을 할 수 있는 방향 및 정보 제공, 셋째, 디자인과 연관된 모든 활동에서 시민들을 직·간접 적으로 지원 하는 것 등이다. 현재 영국에서는 케이브가 제시한 다차원적인 정책들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핵심으로 여겨지고 있다

자료: CABE: 2007. 「It’s our space·London: CABE

공원과 정원

천연혹은준 천연 공 녹지 회랑

외부운동시설

묘지및 교회 앞 녹지편의시설

도시주변의접근 가능한전원지역

시민광장 및 시장 등 포함한 시민공간 시민 및 커뮤니티 정원과 농장

어린이와 젊은이를위한시설

(3)

운동시설, ⑤ 녹지편의시설, ⑥ 어린이와 젊은이 를 위한 시설, ⑦ 시민 및 커뮤니티 정원과 농장,

⑧ 묘지 및 교회 앞 뜰, ⑨ 도시주변의 접근 가능 한 전원지역, ⑩ 시민광장 및 시장 등을 포함한 시 민공간 등이다(<사진 1> 참조).

당연히 지역 및 도시의 특성에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열 가지 이외의 공간들도 존재한다. 그러 나 중요한 점은 위와 같은 열 가지는 특정 지역과 무관하게 사람들이 도시에서 항상 경험하는 공

간들이라는 것이다. 즉

PPG 17에서 강조하는

바는 주변에 있는 공공 공간들이 삶을 건강하 고 행복하게 만드는 핵 심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공공공간은 특 별한 장소가 아니라 이 미 우리 주변에 있는 장소들이고, 이러한 장 소들의 효용성을 높이 는 것이 곧 공공공간 관련 정책의 목표인 셈 이다.

다음으로「도시 르네 상스를 향하여」는 부수 상 존 프레스코와 건축 가 리차드 로저스의 주 도하에 수립되었다. 특 히, 이것은 21세기 영국 의 도시 아젠다를 정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도시 르네상스를 향하여」는 기존의 원론적인 얘기들에서 탈피하여 지극히‘영 국적인 도시상황’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데 큰 의 미가 있다. 새로운 아젠다인 도시 르네상스는 도 시재생에서 한 걸음 진일보한 개념으로 도시계획 과 건축의 질적 향상에 집중하고 있다.2)

「도시 르네상스를 향하여」에서는 공공공간 디 자인의 핵심으로 특히 공간들의‘연계’와‘통합’

<그림 1> 개별 공공공간 간의 연계와 통합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자료: Urban Task Force. 1999. 「Towards an Urban Renaissance London」. London: E & FN SPON Central square not

well maintained

Local pocket Squares and places

Local pocket park

Views

Views

Pathways Routes Access

Access

Old locks maintained Oldvalley

lines broken

Green areas are isolated

Green corridors are broken

Old waterways rundown

Parks not well maintalned

Old railway routes are disused

Access to open country is not easy

Isolated pockets of open space

Open countryside is protected Central

civic squared

Restore and link old green routes

Restore old waterways

Neighbourhood park and sports area

Protect existing green corridors Forgotten

urban squares

2)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의 도시 아젠다에는 몇 차례 변화가 있었다. 1950, 1960년대에는 전후 복구사업의 일환인‘reconstruction’이었다. 이 어서 1970, 1980년대에는 그동안 진행된 개발을 되돌아보고 버릴 것과, 남길 것을 생각하는 단계로 이때는‘regeneration’으로 대변되었다. 마 지막으로 199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는 건축, 도시 그리고 삶의 질을 동시에 추구하는‘renaissance’

(4)

을 강조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조밀도시를 지향하 는 도시구조에서 건물과 건물, 건물과 공간, 공간 과 공간의 유기적 연계 및 통합은 곧, 도시의 질을 결정하는 핵심이다(<그림 1> 참조). 이것은 지난 수십 년간 진행되어온 도시 재개발을 통해서 수치 상으로는 상당한 정도의 공공공간이 확보되었지 만, 고립된 혹은 독립된 공간으로 사용성이 떨어 지는 경우가 많다는 비판에 근거한다.

따라서 이제부터는 단순히 공공공간을 디자인 하는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서, 개별적 공공공간 들이 기존의 도시 맥락에서 어떻게 유기적으로 작 동하는가를 핵심으로 삼고 있다. 이를 통하여 공 공공간이 개인공간의 반대 개념이 아니라, 개인공 간과 함께 삶을 구성하는 필수적인 부분으로 인식 시키고자 한다.

「도시 르네상스를 향하여」에서는 공간통사론 (Space Syntax) 등과 같은 과학적 분석방법을 통 하여 도시 전체에서 각각의 녹지, 길, 광장 등이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이는 도시 전체에서 공공공간의 위치, 비율, 연결, 사용 빈도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그에 따른 정확한 해법을 찾기 위함이다.

사람을 위한 장소를 만드는 예술로써의 도시계획

앞의 두 정책이 공공공간에 관한 큰 틀을 제시했 다면, 케이브와 케이브 스페이스(2003년 이후 부 터)는 공간과 연관된 보다 구체적인 정책 및 실천 방안의 수립은 물론이고, 이와 관련된 디자인 자 문 및 교육 등에 관해서도 광범위한 책임을 맡고 있다. 따라서 케이브가 현재 지향하는 바가 곧 21 세기 영국의 공간 아젠다라고 해도 크게 틀리지

않는다. 지난 7년간 발표된 정책들 중에서 케이브 의 아젠다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대략 네 가지 정도로 압축해 볼 수 있다.

우선 가장 중요한 출발점은 지난 2000년에 발 표된「디자인에 의하여(By Design-Urban Design

in the Planning System: Towards Better Practice)」

다. 이는 도시계획과 연관된 포괄적인 방법들을 제시한 것으로, 21세기 영국의 도시계획 에 있어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정책서 중의 하나로 여겨진다.

케이브는「디자인에 의하여」를 통해서 도시계 획을‘사람을 위한 장소를 만드는 예술(the art of

making places for people)’

로 규정했다. 이는 기 존의 도시계획이 갖는 공학적, 기술적 차원을 예 술적 차원으로 끌어올리고자 하는 의지로 이해할 수 있다. 즉, 과거의 도시계획이 사회기반시설을 확충하고 관리하는 쪽에 치중했다면, 앞으로의 도 시계획은 어떻게 도시 내의 물리적 시설들과 사람 들을 잘 어우러지도록 만드는가에 주안점을 둔다 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도시계획은 기존의 건조환경 사이 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공간들을 보다 안전하

<사진 2> By Design에서 공공공간 재개발의 성공적 사례로 꼽히는 버밍엄의 빅토리아 광장

(5)

고, 쾌적하고, 활기차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사진 2> 참조). 결국 높은 수준의 디자인 에 의하여 도시에 존재하는 공공공간의 가치를 극 대화시켜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거시적인 개념 아래「디자인에 의하여」는 도시계 획이 추구해야 하는 일곱 가지의 세부 목표를 다음 과 같이 제시했다. ① 특성: 독자적인 정체성을 가 진 장소, ② 연속과 분절: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 이 명확히 구분된 장소, ③ 공공영역의 퀄리티: 매 력적이고 성공적인 외부공간을 지닌 장소, ④ 용이 한 이동성: 도시 내에서 접근성과 연계성이 좋은 장소, ⑤ 식별성: 분명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이미지를 가진 장소, ⑥ 융통성: 다양한 사회적, 기술적, 경제적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장소, ⑦ 다 양성: 지역적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장소 등이다.

이 중에서 셋째 목표인‘공공영역의 퀄리티’를 통해서 어떻게 높은 수준의 공공공간을 만들 것인 가에 대한 방안들을 다루고 있다. 여기에서 강조 하는 것은 성공적인 공공공간은 거창한 것이 아닌 도로 및 공간의 포장, 식재, 조명, 방향, 그늘, 신 호, 거리 시설물 등의 구체적인 디자인 요소들에 의하여 좌우된다는 점이다. 이와 함께 공간이 어 떻게 사용되고, 보여지고, 주변의 길들과 연계되 는가가 또한 중요하다.

케이브가 이와 같은 실제적인 요소들을 중요하 게 언급하는 이유는 공공공간의 경우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나 마을의 일부로써 구 성되기 때문이다. 즉, 공공공간은 국가와 개인이 소 유한 길, 공원, 광장, 아케이드, 공공건물 등 도시 내의 모든 것과 연계되므로 하나, 하나 세심한 배려 와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케이브는 다 음과 같은 여섯 가지 디자인 개념을 강조하고 있다.

1. 기존의 환경과 어우러진, 접근성이 좋은 오픈 및 녹지공간

첫째, 공공공간은 다양한 형태, 성격, 스케일을 지 니며, 지역경제, 사회, 문화생활의 요구와 부합되 어야 한다. 둘째, 잘 디자인된 공공공간은 노약자 와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이용자들의 보행로와 자 연스럽게 연계되어야 한다. 셋째, 도로와 교차로 는 차량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보행자를 위한 공 공공간의 하나로 디자인되어야 한다. 넷째, 가로 수와 가로등은 길의 성격과 중요성을 강화하는 수 단으로 이용되어야 한다. 다섯째, 물, 강변, 경사 로, 나무, 조경 등의 자연환경을 활용하여 매력적 인 공간을 만들고, 환경적 다양성을 촉진시킨다.

2. 행위와 관심을 유발하는 보행자와 연계된 1층 공간

첫째, 건물의 외관은 활동적인 시설들(상가나 식 당)과 출입구, 열주, 창(적극적으로 건물 내부를 보여주고 안전성에 공헌할 수 있음) 등을 통하여 활기를 띨 수 있다. 둘째, 통행량이 많은 도로에 인접한 주거지역의 1층의 경우 도로보다 레벨을 높여서 계획함으로써 프라이버시를 유지한다. 셋 째, 왕래가 잦은 도로변의 출입구는 공간을 활동 적으로 만들 수 있다. 넷째, 상가, 식당 혹은 기타 유사한 기능을 포함한 도로의 모서리에 디자인된 건물들은 지역적 정체성과 활동에 기여한다.

3. 건물과 적절히 연계된 공간

공공공간은 철저한 계획하에 디자인되어야 한다.

반대로 특별한 기능이 없이 건물을 디자인한 후에

(6)

남은 자투리 공간은 장소의 정체성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형식적인 공간들은 안전성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범죄의 온상으로 변할 수 있 다(<사진 3> 참조). 따라서 건물과 연계된 주변 공 간은 초기부터 신중하게 디자인되어야 한다.

4. 자연스런 감시가 가능한 안전한 공간

첫째, 도로, 광장, 공원과 면한 건물들은 적극적으 로 공공공간들과 소통함으로써 안전에 기여해야 한다. 둘째, 가능한 보도와 자전거 도로를 분리하 여 서로가 안전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 째, 놀이 장소, 공유공간, 주차된 차 등은 자연스 럽게 감시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상가 후면의 주거는 감시나 오후 활동을 장려할 수 있다. 다섯 째, 조명과 식재는 안전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5. 국지적인 기후조건을 감안한 공간

공간의 배치와 크기는 일사량, 일광, 바람, 기온, 얼음이 어는 장소 등 지역의 기후 조건들을 철저 하게 고려해야 한다. 둘째, 국지적 기후는 건물의

방향, 건물로 둘러싼 정도 등 개발의 형태에 의해 서 영향을 받을 수 있고, 반대로 개발의 형태가 국 지적 기후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셋째, 공공공 간은 고층건물의 배출가스, 지역풍 등으로부터 보 호되어야 한다. 넷째, 낙엽수와 담쟁이는 여름에 기온상승과 오염을 줄일 수 있고, 겨울에 햇볕을 많이 받아들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6. 지역의 정체성과 장소성을 나타내는 예술적 공간

첫째, 거리모습을 조화롭게 구성함으로써 혼란함 을 피할 수 있다. 여기에는 사인, 조명, 난간, 휴지 통, 도로포장, 의자, 버스 정류장, 간판, 공중전화 박스, 자전거 거치대, 조각, 분수 등이 포함된다.

둘째, 거리모습의 디자인은 유지관리의 측면을 고 려하고, 공공시설물을 파괴하는 행위를 막고, 지 하철 진입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예술가와 의 협동작업은 가능한 디자인 초기단계부터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벤치, 버스 정류장과 같은 거리 가구들은 안전한 곳에 설치되어야 한다.

공공공간의 가치와 시민 참여

케이브는 이후 보다 광범위하게 공공공간과 연관 된 일련의 정책서들을 발간하고 있다. 예를 들어서

「공간 만들기(Make Space, 2003)」, 「녹지공간 전 략(Green Space Strategies, 2004)」, 「공원과 광장:

누가 관리하나?(Parks and Squares: Who cares?,

2005)」

, 「새로운 지역성과 커뮤니티의 연계(New

Localism and Community Engagement, 2006)」

등이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사실은 이와 같은 정책서와

<사진 3> 런던 해크니 지역의 버려진 공공공간

(7)

는 별개로 교육적 차원에서 공공공간의 의미와 중 요성을 전문가들과 일반인들에게 알리기 위한 자료 들을 동시에 발간하고 있다는 점이다. 비단 영국뿐 만 아니라 유럽 국가들에서 시민참여 디자인과 이 에 의한 지역공동체의 활성화는 이미 보편화된 방 식이다. 그렇다면 자연스럽게 핵심으로 부각되는 점은 어떻게 시민참여를 유도할 것인가의 문제다.

케이브가 주목한 방식은 일반 시민들에게 지역 에서 공공공간이 어떤 가치를 갖는지를 적극적으 로 알리는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는 2004년에 출 간한「공공공간의 가치(The Value of Public

Space)」

다. 이를 통하여 공공공간이 단순히 한 지 역에서 쉼터로서의 역할만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어떤 가치들을 창출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 있 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공공공간 디자인이 정부와 전문가들만의 영역이 아니라, 시민 모두가 참여해 야 함을 지적한다. 케이브가 강조하는 공공공간의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가치다. 케이브가 공공공간의 경 제적 중요성을 우선적으로 강조한 것은 의미가 있 다. 도시 재개발에 있어서 높은 수준의 공공공간 이 포함되는가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끌어 모을 수 있는가의 문제와 직결된다. 그리고 이것은 그 도시가 어느 정도 매력적인가의 문제이고, 이것이 곧 투자를 유도하는 직접적 계기가 될 수 있음이 다. 높은 수준의 공공공간을 가진 지역은 부동산 가격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잘 관리된 도로, 광 장, 사인, 거리 가구 등으로 인하여 그 지역의 상 권이 활성화될 수 있다. 더불어서 주변에 녹지공 간이 있는가, 없는가는 주거지역을 결정하는 중요 한 요소로 작용한다(<사진 4> 참조). 예를 들어서, 베를린의 경우 놀이공간이 근처에 있는 주거지역

이 그렇지 않은 지역보다 약 17% 정도 부동산 가 격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다.

비만과 정신질환은 대부분의 선진국들이 심각하 게 겪고 있는 문제다. 특히, 비만의 경우는 다른 질병보다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원칙적 으로 비만은 잘못된 식습관과 관계가 깊지만, 최 근의 조사에 따르면 식습관 못지않게 운동 부족이 큰 원인이다. 또한 사회 시스템이 복잡해질수록 육체건강과 더불어서 정신건강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공공간은 사람 들로 하여금 외부에 머물고, 운동을 할 수 있는 시 간을 늘리는 역할을 한다. 규칙적으로 녹지를 걷 고, 운동하는 것이 어느 정도 육체 및 정신 건강에 기여하는가는 많은 과학적 통계자료들이 충분히 입증하고 있다.

셋째,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위한 혜택이다. 놀 이와 운동은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어린이들의 경우 놀이를 통하여 인간관계, 사회성, 도덕성, 인지능력 등을 배울 수 있다. 그러나 급격한 도시화는 과거와 비교하여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자연스럽게 즐기고 어울릴

<사진 4> 거대한 녹지를 중심으로 지어진 바스의 랜스다운 크레슨트 공동주택

(8)

수 있는 장소를 빼앗아 갔다. 이는 결국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인격 형성에 큰 부분을 차지하는 외부 학습의 기회가 줄어들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마 을과 학교에 놀이 및 스포츠 활동을 위한 적절한 공간을 설치하는 것은 교육적 측면에서 큰 가치를 갖는다(<사진 5> 참조).

넷째, 범죄 감소 및 예방 효과다. 통계에 따르 면 유럽의 상당수 부모들은 어린이들이 광장이나 공원에 가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한다. 이유는 이 러한 장소들이 범죄에 쉽게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 다. 조사에 의하면 공동주택에 설치된 커뮤니티 정원을 거주자들이 함께 관리하고 사용함으로써 주변의 범죄율이 크게 저하되었다. 즉, 디자인이 잘 되고 관리가 잘 되는 공공공간은 항상 사람들 이 머물게 되고, 이것이 자연스럽게 범죄를 감시 하는 효과를 낳는다. 유사한 관점에서 적절하게 설치된 가로등, 벤치, 버스 정류장 등도 충분히 범 죄예방 효과에 기여할 수 있다.

다섯째, 사회적 통합의 기능이다. 이는 특히 런 던을 포함한 주요 대도시들에서 중요한 측면으로 써, 공공공간을 통하여 민족, 인종, 나이, 성별 등 에 관계 없이 모두가 한데 어우러지도록 하는 것

이다. 다민족으로 이루어진 커뮤니티의 경우 공공 공간은 이들이 자연스럽게 만나고, 대화할 수 있 는 장소를 제공한다. 더불어 운동, 놀이, 축제 등 을 통하여 커뮤니티 구성원 간의 유대를 강화시킴 으로써 사회적 차별을 없애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어린이들의 경우, 공공공간을 통하여 자신과 다른 환경과 조건을 가진 친구들과 어우러짐으로써 큰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여섯째, 차량을 억제하고 걷기와 자전거 타기를 장려한다. 공공공간은 무조건 차량을 억제하는 것 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러나 디자인이 잘 된 공공 공간은 자연스럽게 걷기와 자전거 이용을 장려하 고, 차량 이용을 줄일 수 있다. 통계에 따르면, 영 국에서는 1985~1986년에 걸어서 등교하는 어린 이의 비율이 67%였다. 그러나 10년 후인

1997~1999년에는 53%로 14%가 감소했다. 이러

한 결과는 곧바로 차량으로 인한 어린이 교통사고 의 증가로 이어졌다. 따라서 다양한 공공공간을 통 하여 걷기와 자전거 타기를 장려하는 것은 그 어떤 것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자연스럽게 대기오염을 감소시키는 효과로도 이어진다.

일곱째, 환경적 가치다. 익히 알려진 것처럼 도 시 기온상승의 주요 요인 중 하나는 녹지의 감소 다. 따라서 녹지를 가진 공공공간은 도시 내의 환 경적 부조화를 해결하는 핵심이다. 과학적 통계로 도 알 수 있듯이 녹지 주변의 기온과 공기오염 정 도는 다른 지역보다 현저히 낮다. 또한 녹지공간 은 야생동물과 곤충의 서식처 역할을 함으로써 생 태계 복원에 큰 역할을 한다.

케이브는 이후 위에서 언급한 일곱 가지 가치 들을 하나, 하나 개별적으로 발전시킨 일련의 정 책서들을 발간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사진 5> 런던 핀칠리 지역 주택가 중심에 자리한 어린이 놀이터

(9)

몇 가지만 예를 들어보자. 「공공공간에서의 반사 회적 행위 예방하기(Preventing anti-social

behaviour in public spaces, 2004)」

에서는 공공 공간을 더욱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이 공간에서 무엇을 할 것인가?(What would you do with this

space?, 2004)」

에서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적극 적으로 공공공간을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들 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도시 공원에서 생 태적 다양성을 장려하기 위한 방법(How to

encourage biodiversity in urban parks, 2006)」

에 서는 주요 공원들의 사례조사를 통하여 자연환경 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포괄적 디자인의 원칙(Principles of

inclusive design, 2006)」

에서는 장애인과 노약자 등을 포함하여 모든 사람들이 차별 없이 공공공간 을 이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공공공간 만들기 프로젝트 가이드

앞서 소개한 바와 같이 지난 7년간 케이브는 공공 공간 관련 정책들을 수립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대 중들에게 공공공간의 필요성과 가치를 알리는 작 업을 해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케이브는 올해에 또 하나의 발전적 시도를 모색했다. 일반인들이 직접 참여하여 전문가들과 함께 높은 수준의 공공공간 을 만들고, 평가할 수 있는 두 개의 가이드를 출간 한 것이다. 「우리의 공간(It’

s our space)」

과「공간 을 만드는 사람(Spaceshaper)」이 바로 그것이다.

이는 다분히 실험적 성격이 강하지만, 이미 영국 내 몇 개의 도시의 주요 프로젝트들을 통하여 그 실효성이 충분히 입증되었다.

이 두 개의 가이드가 지향하는 바는 분명하다.

케이브는 이미 다양한 정책서들을 통하여 공공공 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바꾸는데 크게 기여했다. 그런데, 정작 일 반인들의 경우에 직면하게 되는 현실적인 어려움 이 있다.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공공공간을 어 떻게 직접 디자인하고,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는 가의 문제다. 비록 다양한 의견과 아이디어가 있 을지라도 전문가와 긴밀한 공조가 없이는 그것이 실제적인 디자인 개념으로 치환되는 것이 거의 불 가능하다는 말이다.

따라서 위의 두 가이드는 지역 주민과 디자인 전문가들이 연대하여 그 지역의 특성에 맞는 가장 합리적인‘대안공간’을 창조하기 위한 일종의 매 개장치라 할 수 있다. 지역 주민들의 일상적 삶에 기반한 대안공간의 창조는 곧, 지역 공동체를 발 전시킬 수 있는 구체적 실천인 셈이다.

1. 좋은 공공공간을 위한 클라이언트의 역할

먼저「우리의 공간」은 공공공간을 만드는 데 있어 서 주인의식을 강조한다. 다시 말해서, 공공공간 의 질은 시민들이 얼마나 좋은‘클라이언트’로서 의 역할을 하는가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이는 공 공공간이 정부와 전문가들에 의하여 당연히 제공 되는 것이 아니라, 주민 모두가 자발적으로 참여 하여 함께 만들어가는 것이라는 사회 공동체적 의 미가 담겨져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케이브는 우선적으로‘디 자인이 잘 된 공공공간은 과연 무엇인가?’라는 물 음에 다음과 같은 여덟 가지 답을 제시했다. ① 지 속가능성, ② 특성과 차별성, ③ 명확성과 경계,

(10)

④ 연계성과 접근성, ⑤ 가독성, ⑥ 융통성과 안전 성, ⑦ 사회적 통합성, ⑧ 생태적 다양성 등이다.

이상의 여덟 가지는 시민들이 클라이언트로서 공공공간을 판단하는 구체적인 원칙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음 작업으로 케이브는 공공공간 만들 기 프로젝트를 위한 4단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 고, 이를 실제 프로젝트를 위한 가이드로 활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가장 먼저 준비 단계다. 준비 단계에서는 클라 이언트 팀과 역할의 설정, 관련 단체와의 협력관 계 설정, 주민들의 참여유도, 부지의 이해, 재정 확보, 디자인 컨설턴트 정하기, 부지의 비전 개발, 프로젝트 개요 등의 여덟 가지 사항들을 다루고 있다. 이것은 하나의 프로젝트가 진행되기 위한 보편적인 순서와 그에 따라서 필요한 작업들을 설 명한 것으로서, 이를 통하여 비전문가의 입장에서 빠뜨리거나 간과할 수 있는 부분들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일반인들에게 익숙지 않은 관련 기관 및 이해 단체, 각각의 역할 등에 관한 상세한 자료 를 제공함으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

다음은 디자인 단계다. 이 단계에서는 우선 디 자인에서 흔히 사용되는 개념과 용어들을 설명함 으로써 전문가와 일반인 사이에서 발생 가능한 소 통의 문제를 줄일 수 있다(<사진 6> 참조). 이어서 디자인 초기의 스케치 제안서, 디테일 제안서, 관 련 제출 서류 등을 설명하고 있다. 일반인의 경우 디자인 스케치와 도면은 물론이고, 제반 서류들도 이해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를 위하여 이 단계에 서는 스케치, 도면, 서류를 통하여 반드시 확인해 야 하는 사항들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하고 있다. 예 를 들어서, 클라이언트는 주요 재료, 시공 방법, 각 각의 작업에 대한 견적, 설계변경 비용, 공사승인

서류 등을 꼼꼼하게 확인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디자인의 다음은 작업 단계다. 이 단계에서는 사업자 선정, 공사과정의 교육기회 활용, 공사시 작 등을 다루고 있다. 특히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에 주변 지역에서 발생 가능한 문제점 등에 대하 여 환기시키고 있고, 공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확인하고, 챙겨두어야 하는 자료 등의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은 사용 단계다. 이 단계에서는 개장 축 하, 최종 마감 확인, 유지 관리, 프로젝트 평가, 지 속성 등을 다루고 있다. 공사가 끝난 후에 주민들 과 함께 개장을 축하하는 행사를 함으로써 이 장 소가 공동으로 즐기고, 사용하는 곳이라는 인식을 심어준다. 이후 어떻게 초기의 쾌적한 분위기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가를 함께 논의하고, 장단점을 주민들이 직접 평가한다. 또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하여 좋은 공간으로 선정된다든지, 관련 단체로부터 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 한 부분이다. 이는 주민들이 그 장소를 자랑스럽 게 여기게 만드는 것으로, 유지관리에 있어서 매 우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다(<사진 7> 참조).

2. 공공공간을 평가를 위한‘도구모음’

다음으로「공간을 만드는 사람」은 디자인에 앞서 서 시민들이 공공공간의 질을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과학적인‘도구모음(toolkit)’이다. 이를 통하여 전문가들은 다양한 사용자 그룹이 어떻게 공간을 인지하고 있는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 다. 이는 앞서‘우리의 공간’에서 설명한 4단계 중 에서 첫 번째인 준비 단계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 로 이해할 수 있다.

(11)

기본적으로「공간을 만드는 사람」은 현장 견학 과 토론 중심의 도구모음이다(<그림 2> 참조). 이 도구모음을 이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주민들이 해당 부지를 답사한다. 그리고 케이브의 전문가 팀에 의하여 만들어진 도구모음에 포함된 질문서에 답을 한다. 질문서는 여덟 개의 카테고 리에 41개 항목의 구체적인 질문들이 담겨 있다.

케이브에 따르면 질문서는 영국 내 40여 개가 넘 는 주요 기관의 최고 전문가들에 의하여 개발되었

다고 한다. 8개의 카테고리는 ① 접근성: 동선과 배치가 적절한가, ② 사용: 어떤 활동과 기회를 제 공하는가, ③ 다양성: 공간이 상이한 요구를 충족 시키는가, ④ 관리: 깨끗하게 잘 관리될 수 있는 가, ⑤ 환경: 안전하고 편안한가, ⑥ 디자인과 모 습: 어떻게 보여지며, 어떤 재료를 사용했는가, ⑦ 커뮤니티: 지역주민들에게 얼마나 중요한가, ⑧ 개별평가: 개인의 느낌과 감상 등이다.

부지를 답사한 후 주민들에 의하여 답변서가 작성되면 케이브에서 교육을 받은 중재자가 이를 수거하여 분석 소프트웨어에 입력한다. 결과는 케 이브에서 개발한‘스파이더 다이어그램’으로 나 타난다(<그림 3> 참조). 전체적인 다이어그램의 크기가 클수록 부지에 대한 주민들의 이해도가 높 음을 의미한다. 결과는 기존의 장단점은 물론이 고, 각계각층의 사용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지 표화할 수 있다. 이 결과를 토대로 하여 참여자들 과 전문가들이 함께 토론을 진행하고, 문제를 해 결할 수 있는 방법들을 강구한다.

<사진 6> 성공한 재개발로 인하여 여러 차례 상을 받음으로써 시민들의 자랑거리로 여겨지는 쉐필드의 피스 가든

<그림 2> Spaceshaper의 진행과정 다이어그램

자료: CABE. 2007. 「Spaceshaper」. London: CABE

+ +

+ 1.현장 견학 후 질문서에 답하기

4.보다 많은 주민과 전문가들의 참여 2.케이브 전문가에 의하여 소프트웨어에 자료 입력

3.스파이더 다이어그램을 토대로 주민과 전문가의 토론

(12)

예를 들어, <그림 3>은 동일한 장소에 대하여 이루어진 사용자와 관리자의 스파이더 다이어그 램이다. 확연하게 드러난 사실은 양측 모두 접근 성과 환경이 우수하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사실은 나머지 여섯 가지 측면에서는 사용 자와 관리자 간에 큰 이견이 있다는 점이다. 이를 여러 그룹(케이브에서는 30개의 그룹을 예로 들 고 있다)으로 확대하면 보다 다양한 의견을 수렴 할 수 있고 이것이 곧, 좋은 디자인을 위한 구체적 인 논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이다. 「공간을 만드 는 사람」에서는 밀튼 킨즈(Milton Keynes)의 스 테이션 광장(Station Square)을 포함하여 툴킷이 적용된 5개의 구체적인 사례를 보여줌으로써, 다 른 지역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사실은 툴킷을 사용하고, 결과를 분석하고, 토론을 진행하는 전 과정을 케이브 스 페이스가 직접 관리해 준다는 점이다. 이는 지금 까지 주로 정부와 전문가 집단을 자문해 온 케이 브가 일반 대중을 자문하는 것으로까지 활동 영역 을 확대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변의 공공공

간을 개발하려는 개인이나 기관, 단체는 언제든지 케이브 스페이스에 연락해서 툴킷은 물론이고「공 간을 만드는 사람」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 과정에 대한 도움을 전문가들로부터 받을 수 있다. 이는 지금까지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적극적이고, 현 실적인 방법임에 틀림없다.

케이브의 공공공간 관리정책과 시사점

현재 영국에서는 규모와 관계 없이 도시에서 이루 어지는 모든 개발에서 공공공간을 가장 중요하게 다룬다. 그리고 케이브는 그 논의의 한가운데서 의사결정의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흥미로 운 사실은 필자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케이브의 위상과 권한이 하루가 다르게 상승하고 있다는 점 이다. 가장 큰 이유는 케이브에 대한‘신뢰’에서 찾을 수 있다. 전문가와 일반인을 구분할 것 없이 케이브에 대한 신뢰가 곧, 케이브에게 막강한 권 한을 부여하고 있다. 이것이 케이브가 21세기 영 국의 공공공간 아젠다를 일관되게 추진할 수 있는

<그림 3> 동일한 장소에 대하여 이루어진 사용자와 관리자의 스파이더 다이어그램

자료: CABE. 2007. 「Spaceshaper」. London: CABE ACCESS

ENVIRONMENT

Perception of users Perception of managers

COMMUNITY

DESIGN AND APPEARANCE

MAINTENANCE OTHER PEOPLE

YOU USE

ACCESS

ENVIRONMENT COMMUNITY

DESIGN AND

APPEARANCE MAINTENANCE

OTHER PEOPLE

YOU USE

(13)

밑거름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글에서 살펴 본 케이브의 공공공간 관리정 책들은 다음과 같은 확고한 방향성을 가지고 진행 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끊임없는 교육을 통한 인식의 전환이다.

다른 것에 비하여 공공공간의 질을 높이는 일이 쉽지 않은 데는 이유가 있다. 비록 공공공간이 구 체적인 영역을 설정하여 디자인되긴 하지만, 보편 적으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다. 다시 말해 서 공공공간으로 인한 직접적인 혜택이 피부에 와 닿지 않는다는 말이다. 따라서 케이브는 전문가와 일반인 모두를 상대로 공공공간에 대한 인식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 다. 높은 수준의 공공공간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법과 제도가 아니라, 이해당사자 모두의 인식 전 환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영국의 공공공간 정책은 눈에 보이는 결과를 만들어 내기 위한 일시적 처방이 아닌,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 자한 장기적 계획에 의하여 진행되고 있다.

둘째, 중성적 공간을 지양한다. 앞서 지적한 것 처럼 영국에서 지난 수십 년간 진행된 도시 재개 발은 양적인 측면에서만 본다면 이미 상당한 정도 의 공공공간을 창조했다. 그러나 이 공간들의 효 용성을 들여다보면 문제는 크게 달라진다. 적절하 게 비워진 공간은 있으나, 지역 주민 모두가 편안 하게 이용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공간은 많지 않다. 즉, 지역 공동체의 일부로서 작동하는 유기 적 공공공간이 아니라 모호한 성격의 중성적 공간 이라는 말이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보다 분명한 역할과 기능을 가진 공간 으로 전환시키는 데 정책의 주안점을 두고 있다.

셋째, 지역 주민이 참여하는 자발적 공공공간

만들기다. 앞서 설명한「우리의 공간」과「공간을 만드는 사람」에서 알 수 있듯이 진정한 의미의 공 공공간은 지역 주민과 전문가 집단의 연대에 의해 서 만들어질 수 있다. 공공공간의 질을 좌우할 수 있는 아주 구체적인 요소들의 디자인에 전문가들 의 관심을 끌어올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지역 주민 의 적극적인 참여와 제안이 있기 때문이다. 높은 수준의 질을 갖추기 위하여 거주자들의 의견이 가 장 중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케이브는 주민과 전문가가 어떻게 만나고, 무엇을 함께 고민하고, 어떤 결과를 만들어내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단순 히 이론적 연구에만 머무는 것에서 진일보한 역할 을 하고 있음이다.

참고문헌

CABE. 2007. 「It's our space」. London: CABE.

CABE. 2007. 「Spaceshaper」. London: CABE.

CABE. 2006. 「How to encourage biodiversity in urban parks」. London: CABE.

CABE. 2006. 「New Localisim and Community Engagement」. London: CABE.

CABE. 2006. 「Principles of inclusive design」. London: CABE.

CABE. 2005. 「Parks and Squares: Who cares?」. London: CABE CABE. 2004. 「Green Space Strategies」. London: CABE.

CABE. 2004. 「Preventing anti-social behaviour in public spaces」. London: CABE.

CABE. 2004. 「The Value of Public Space」. London: CABE.

CABE. 2004. 「What would you do with this space?」. London:

CABE.

CABE. 2003. 「Make Space」. London: CABE.

CABE and DETR. 2000. 「By Design - Urban Design in the Planning System: Towards Better Practice」. London:

CABE and DETR.

The Office of Deputy Prime Minister. 1997. 「Planning Policy Guidance 17: Planning for open space, sport and recreation」. London: ODPM.

Urban Task Force. 1999. 「Towards an Urban Renaissance London」. London: E & FN SPON.

참조

관련 문서

• 영국의 AthelredⅡ세(the Unready)는 노르만 부인을 맞이함 (1002년)  덴마크인 Cnut가 영국 왕이 됨 그의 아들 Edmund Ⅱ세.. Normandy의

- 학교 내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의 경우 교육활동 과의 관련성 여부와는 별개로 피해 학부모가 가 해학생의 학부모보다는 학교장이나 담당교사에 게 책임을 전가하고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건축 물 중의 하나로 의사당의 돔은 마치 건물이 왕관을 쓰고 있는 것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인류와 동물 , 자연의 발달을 선사시대

첫째, 지역 단위 창업 생태계를 강화하는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창업과 창업 경영체의 성장은 지역 창업환경이나 산업 생태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지역 차원

그러나 낙농가와 사료회사는 육골분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주장 하고 있다... 아시아태평양에서 발생하는 것은

- Cuadrilla는 보고서에 대해 동종업계의 평가를 받을 계획이며 이미 보고서를 영국 정부와 British Geological Survey에 제출했다고 언급함.. ㅇ 하지만,

영국 독일 그리고 핀란드 개국은 각각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수 준에서 직업교육훈련 재원 부담 및 재원 배분 업무를 수행하는 공 공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영국의

알렉산드르 레메즈코프(Aleksandr Remezkov) 크라스노다르주 부지사는 “오늘날 크라스노다르주 와 오스트리아의 경제적 관계는 질적으로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