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장부(臟腑)적 인간론적 인간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장부(臟腑)적 인간론적 인간론"

Copied!
3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11강

장부(臟腑)적 인간론

(2)

1. 장부적 인간론의 배경

1) 동양 전래의 한의학적 몸 관념에 바탕을 두고 나타난 인간론 2) 東武 李濟馬(1837~1900)가 체계화

➡ 장부의 대소강약에 따라 인간을 4분 ➡ 四象醫學 3)  = 맘, 몸

4) 심성적 인간론과 더불어 전통적 인간론을 대표

(3)

2. 臟腑와 臟腑論

1) 장부: 五臟̇(心, 肺, 脾, 肝, 腎) -음: 내부가 충실

六腑̇(小腸, 膽, 胃, 大腸, 膀胱, 三焦) -양: 내부가 비어있음

2) 장부론:

인간의 본질을 오장육부의 생명활동을 통해 이해하려는 논의

여기에서 장부는 단지 신체의 물질적인 장기를 지칭하는 것에 한정되 지 않음 ➡ 몸에서 일어나는 전체적인 생명의 균형 및 길항관계를 표상

(4)

3. 이제마의 장부론

1) 四臟(肺脾肝腎)의 대소 관계에 따라 인간의 체질을 분류

2) 肺黨: 폐, 기도와 식도 | 내뱉는 역할 [呼] | 상초 脾黨: 위장, 췌장 | 음식물을 받아들임 [納] | 중상초 肝黨: 간, 소장 | 흡수 [吸] | 중하초

腎黨: 신장 | 배설 [出] | 하초

3) 太陽人: 肺大肝小 ➡ 暴怒深哀 太陰人: 肝大肺小 ➡ 浪樂深喜 少陽人: 脾大腎小 ➡ 暴哀深怒 少陰人: 腎大脾小 ➡ 浪喜甚樂

(5)

4. 장부적 인간론의 의의

1) 오장육부[생명]가 활동운화하고 있기 때문에 존재하는 인간

2) 생명[장부]활동의 과불급이 존재 ➡ 이를 극복해야만 하는 존재 3) 생명활동의 정당성과 중용을 추구

4) 인간의 본질은 생명적 존재, 그 천부의 생명성을 온전히 향유하고 완 성하는 것이 삶의 이상.

5) 천부의 생명을 온전히 구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善, 천부의 생명 을 억압하고 착취하고 해치는 것이 惡.

6) 생태주의적 인간론.

(6)

흥부전의 인성 논쟁과 장부적 인간론

(7)

1. 문학을 연구한다는 것의 의미

1) 인문학의 본질

문학의 본질에 충실한 문학 연구 : 인문학의 본질에 충실한 문학연구 문학을 위한 문학 : 인간(인생)을 위한 문학

인문학은 있으나 인간은 없는 인문학 연구 유행

➡ 인간을 상실한 인문학 연구, 인간을 소외시키는 인문학 연구 ➡ 인문학의 위기 초래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는 인문학 연구의 필요성

2) 인간(인생)을 위한 문학 연구

인문학은 인간성에 대해 발언하고, 인간과 삶의 본질을 해명하는 것을 중요 과제로 삼으며, 현재의 시간과 우리의 공간에 적합한 인간성을 창조하는 것

(8)

을 중요한 목표로 설정할 수 있어야 ➡ ‘지금 여기’에 적합한 인간성의 모양새와 그 삶의 방식은 어떠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줄기차 게 마련해가는 것이 중요.

3) 서사문학 연구의 관점 재조정

서사문학 연구도 인문학적 관점에서 연구해야 할 필요 ➡ 특히 서사문학 은 그 자체가 인간이 세계와 대면하여 형성해 가는 ‘인물의 형상’과 그 ‘삶의 방식’을 직접적으로 문제 삼음 ➡ 이를 통해서 <있어야 할 [理, 당위적이고 이상적인] 인간[삶]>과 <있는[氣, 존재적이고 현실적인] 인 간[삶]>, 그 사이에서 갈등하고 표류하는 인간의 모습을 형상화

➡ 그러한 점에서 서사문학은 인간의 본질과 삶의 가치를 중요한 문제로 삼고 있으며 ➡ 서사문학은 인문학의 본질에 매우 가까이 다가선 문학 형식.

(9)

4) 흥부전의 인성론

우리 서사문학 작품들도 이러한 인간의 본질과 삶의 가치에 대한 다양한 고민들 속에서 나타난 것.

우리 서사문학 작품들 중에서 흥부전이 제기하는 인성문제는 특히 중요 한 의미 ➡ 흥부와 놀부를 통해 한국인의 전통적 인간 형상을 잘 보여 줌.

특히 놀부의 인물형은 우리 서사문학에서 <장자못전설>의 ‘장자’,

<옹고집전>의 ‘옹고집’, <태평천하>의 ‘윤직원’, <삼대>의 ‘조의 관’과 같은 유사한 인물군을 형성하면서 한국적 악인의 한 전형을 제시

➡ 놀부형 인물은 우리 서사문학 속의 대표적 여성 악인의 형상이라 할 수 있는 ‘괴똥어미’, ‘뺑덕어멈’, ‘허씨부인’ 등의 인물 형상과도 일 정한 연관이 있음. 이러한 점에서 흥부전은 우리 서사문학의 전통과 그 인물 형상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작품.

(10)

❊ 인성론(人性論)은 동양 인문학의 핵심으로 인간의 본성을 해명하려 했던 모든 의론들을 지칭.

흥부전에서는 우리 전래의 인성론으로 유교적 성리학에 바탕을 둔 ➊심 성(心性)적 인간론과 한의학적 인간관에 바탕을 둔 ➋장부(臟腑)적 인간 론을 제기, 특히 조선후기 사회의 경제적 변동과 관련하여 새롭게 대두 하는 ➌자본주의적 인간론과 그 삶의 문제를 다루고 있음.

(11)

2. 자본주의적 인간

1) 자본주의적 인간의 모습

자본주의에서 바라보는 인간은 세속의 이욕(利慾)을 아낌없이 추구하며, 욕망하고 소유하는 삶의 방식을 통해 개인의 자유를 획득해가는 삶을 추 구 ➡‘재화에 대한 개인의 무한한 욕망을 최대한 긍정하고, 이를 적극 적으로 실현하는 인간’

<나는 욕망한다. 고로 존재한다> ➡ 욕망하는 존재

물질적 욕망의 무한 충족을 통해 인간이 완성된 존재가 될 수 있다고 봄.

공동체보다는 절대 자아(개인)를 우선하며, 무욕 혹은 절제된 욕망보다 는 무한한 욕망을 추구.

❊ 이러한 인간관은 모든 인간고(人間苦)의 원인을 욕망(渴愛)에서 찾고,

(12)

그것이 인간의 해탈(自由)을 방해하는 최대의 적이라고 간주하며, 욕망 이 인간의 완성을 방해한다고 보는 불교적인 인간관과는 대척점에 서 있 음. 무욕(無慾)과 무아(無我)를 통해 자유[해탈]를 얻고자 하는 불교적 인간 관은 유욕(有慾)과 자아(自我)를 통해 자유를 얻고자하는 자본주의적 인간 관과 매우 다름. 그러나 두 가지 인간관이 모두 자유를 추구한다는 점 에서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음.

2) 자본주의적 인간론의 한계

자본주의적 인간과 삶의 방식에 의해 파생되는 가장 큰 문제로는 빈부 갈등의 문제와, 환경파괴의 문제.

자아의 욕망은 무한한데, 세상의 재화는 한정돼 있음으로 개인이 자신의 무한한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함부로 재화를 사유화하고 소비하다 보 면, 한정된 재화들은 일부 힘 있는 사람들에게 편중 ➡ 빈부갈등.

(13)

자아의 욕망은 무한한데 자연은 유한하므로 무한한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유한한 자연을 파괴할 수밖에 없으므로 ➡ 생태계의 파괴

3) 자본주의적 인간 놀부

자본주의적 인물 형상화 ➡ 놀부로 제시

흥부는 자본주의적 삶의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는 인물

흥부  인후여 쳥산뉴수와 곤뉸옥결이라 셩덕을 본밧고 악인을 져어며 물욕의 탐 이 업고 듀의 무심니 이 이러 부귀 랄소냐.(경판25장본, 2뒤)

놀부는 인색한 자본가로, 타인의 어려움에 무관심

이 만히 잇다 들 너 듀고 노젹 헐며, 벼가 만히 잇다 들 너 듀고 셤을 헐 며, 돈이 만이 잇다 들 괴목궤(槐木櫃)의 가득 든 거슬 문을 열며, 의복이 듀

(14)

들 집안이 고로 버셧거든 너 엇지 듀며, 찬밥이 듀 들 삿기 흔 거먹 암

 부억의 누엇거든 너 듀고  굼기며, 지거미 듀 들 구중방(九重房) 우 리 안 삿기 나흔 돗치 누어스니 너 듀고 돗츨 굼기며, 겨 셤이 듀 들 큰 농우(農牛)가 네 필이니 너 듀고 소 굼기랴. (경판25장본, 3뒤~4앞)

입바 셰상 더라 승인(聖人) 훈계 듯지 말고 고명관슈 부귀쳔 다 씰러 헌 말이 라 걸쥬 경국 요 포악으로 으더신니 슨(善) 일은 하지 말고 악(惡)한 일을 심쎠

쇼 부모동 일가친쳑  러랴 씰 업고 남이야 쥭고 살고 나 잘 살면 졔일이라 (하버드 연경도서관본, 41뒤)

놀부는 남이야 죽든 살든 나 잘 살면 제일이라 여기며 개인의 사리사욕 을 적극적으로 추구한다는 점에서 자본주의적인 삶의 방식을 잘 체득하 고 있는 인물.

(15)

개인의 생존권, 사유재산 처분의 자유, 중세의 도덕적인 덕으로부터 자 유로운 인간으로 명쾌한 자본주의적 인성을 지닌 인간.

4) 놀부의 가능성과 한계

놀부는 타인들의 빈곤에 대해 전혀 사회적인 책임감을 느끼지 않고, 이 에 따라 부의 불균등한 분배와 빈부갈등에 대해 무관심,

아울러 제비의 다리로 상징되는 자연과 생명에 대한 파괴와 착취를 정당 화.

결과적으로 놀부는 파탄에 이르게 되는데, 그 파탄의 과정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은 제비와 놀부박 ➡ 제비를 통한 파탄은 자아의 무분별 한 욕망을 위해서 자연의 생명을 착취할 수 없다는 인식.

놀부박에서 나와 놀부의 재화를 착복하는 걸인, 무당, 초란이, 풍각장이, 각설이패, 사당, 거사, 왈자, 소경 등은 불균등하게 재화를 분배당하여

(16)

삶의 근거를 상실한 사람들.

놀부의 파탄 ➡ 물질만을 추구하는 놀부의 삶과 그 인간 형상을 결코 긍 정적인 측면에서 바라보고 있지 않음. 결국 새롭게 대두하는 자본주의적 인간이해와 그 삶의 방식에 대하여 비판적인 시선을 유지하고 있으며, 놀부라는 인물을 통해 인간이 물질적 욕망만으로는 행복해질 수 없다는 점을 제시.

그러나 한편으로는 자본주의적 삶의 현실이 무시할 수 없는 중대한 문제 임을 흥부의 고난을 통해 보여줌. 작품의 전반부에서 흥부가 겪는 고난 들은 대부분 비자본주의적 인성과 자본주의적 삶의 현실에 대한 부적응 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흥부는 놀부와는 달리 개인의 생존권과 사유재 산 처분의 자유를 지키는 자본주의적 생존능력이 부재하며, 이른바 중세 의 도덕윤리로부터도 자유롭지 못한 인간.

전반부 흥부의 고난을 통해 자본주의적 현실을 부정할 수 없는 시대 상

(17)

황이 반영. 또한, 후반부에 흥부박이 개시되면서 나타나는 흥부의 성공 양상은 인간이 물질적 재화의 충족이 없이는 행복해질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경판본 흥부박 사설을 보면 4개의 박 속에서 각기 ‘약(還 魂酒, 開眼酒, 開言草, 불로초, 불사약; 제1박)’‘세간 살림(제2박)’‘의 식주(제3박)’‘양귀비(제4박)’가 나옴. 놀부의 파탄이 물질에 대한 욕 망만으로는 이를 수 없는 행복을 보여준다면, 흥부의 성공은 물질적 조 건이 수반되지 않고는 이룰 수 없는 행복의 양상을 보여줌으로서 물질적 인 조건의 충족을 배제하지 않으면서도 이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는 모 습을 보여줌.

5) 흥부전에서는 각기 상반된 인물을 통해 물질에 대한 양면적인 인식 을 반영하면서 자본주의를 바라보는 균형적인 감각을 유지하고 있음.

(18)

3. 심성(론)적 인간

1) 심성론에서 바라보는 인간

다양한 사회적 인간적 관계 속에서 마음으로 정을 느끼고 표현하는 인 간.

정의 에너지를 정화하고 올바르게 함양하여 정(희로애락)의 과잉 또는 결핍의 문제를 건강하고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는 인간을 만드는 것이, 심성적 인간론의 중심과제.

심성론은 정(희로애락)느끼고 표현하는 일상의 사회적 관계 속에서 정의 중용성과 정당성 추구하고, ‘정의 교류와 그 처리의 달인’을 만드는 데 지혜를 집중.

2) 심성적 인간을 바라보는 시선

(19)

❶ 놀부의 심성 ➡ <놀부심술사설>

놀부 심를 볼작시면 초상난  춤츄기, 불붓는  부질기, 산(解産)   닭 잡기, 장의 가면 억(抑賣) 흥졍기, 집의셔 몹쓸 노릇기, 우는  볼기 치 기, 갓난   먹이기, 무죄(無罪) 놈  치기, 우물 밋  누기, 올벼 논의 물 터놋키, 잣친 밥의 돌 퍼붓기, 피는 곡식 삭 르기, 논두렁의 구멍 기 호박의 맔둑밧기, 곱사장이 업허놋코 발치로 탕탕 치기, 심가 모과나모의 이라 이놈 의 심슐은 이러되 집은 부라(경판25장본 1앞)

모두가 상황 정서에 어긋나는 행실들이다. 초상을 치르는 상황에서는 슬 퍼함이 마땅하고, 불난 곳에서는 불을 꺼주어야 상황정서에 부합하는 행 실이 됨. 관계 상황에 맞는 정서의 파악에 어둡고 정의 교류와 처리에 심각한 문제가 있음을 보여 줌. 신재효본에 나타나는 놀부심술의 양상도

(20)

이와 다르지 않음.

삼재든 데 혼인하기 / 남의 선산 묘지쓰기 / 길가는 과객 재울 듯이 불러다가 해가지 면 내쫓기 / 품팔이 외상 쇠경 추수하면 옷 벗어 내쫓기 / 초상난 데 노래하기 / 가뭄농 사 물꼬빼기 / 전동다리 딴죽치기 / 혼인발에 훼방놓기 / 처첩싸움에 덩달아 싸우기 등 (신재효본 박흥보가, 2앞~3뒤)

위의 행위들은 모두 상황정서의 요청에 매우 위배되는 행실들.

졔 어미 부틀 놈이 삼강을 아는야 오륜을 아는야 굿기가 돌덩이오 욕심이 죡졔비라 네모난 숑긋시로 이를 부비여도 진물 졈 아니나고 졍의 부짓게로 불알을  즙 어도 눈도 아니 작인다. (신재효본 박흥보가, 2뒤)

(21)

‘송곳으로 이마를 비벼도 진물한 점 아니 나고’, ‘불집게로 불알을 꽉 집어도 눈도 깜짝하지 않는’ 인간으로 묘사된다. 그는 타인의 정(희 로애락)에 대하여 전혀 배려할 줄 모를뿐더러, 그것을 느끼는 데 심각한 장애가 있음.

놀부는 ‘정의 처리와 교류’에 심각한 장애가 있는 인물로서, 정의 교 감이 없어 ‘심성의 감각이 마비된 인간’. 자본주의적 인간론에 의거했 을 때는 상당히 긍정적 덕목을 지녔던 놀부는 심성적 인간론에 의거했을 때는 매우 부정적인 인물형상으로 그러짐.

❷ 흥부의 심성

흥부는 다양한 인간적․사회적 관계 속에서 타인의 정(희로애락)을 온전하 게 감지하고 이에 정당하게 반응할 줄 아는, 올바른 심성을 지닌 인간으 로 형상화되어 있음.

(22)

흥보의 마음씨 졔 형과 달나 부모의게 효도고 얼운을 존경며 인리(隣里)의 화 목고 친고(親故)의게 신의(信義) 잇셔 굴머셔 쥭을 사 먹던  덜어쥬고 얼어셔 병난 사람 입엇 옷 버셔 쥬기 늘근이 질머진 짐 쳥여 져다쥬고 장마 큰물가 의 삭 안 박고 월쳔(越川)기 남무집이 부리 나면 셰간리 직켜주고 길에 보물  져씨면 직켜셧다 임 쥬기 쳥(靑山)의셔 골(白骨)보면 집피 파고 무더쥬고 슈졀 과부 보면 차가셔 여노키 어진 사람 모함면 (代)로 나셔 발명(發明)고

잔 놈 악(橫厄)보면 달여들어 구완기 길 일은 어린 아희 져의 부모 쥬고 쥬막의 병든 사람 본가의 기별 젼(傳)키 게칩불살(啓蟄不殺) 방불졀(方長不折) 나 무 일만 노라고 푼 돈을 못 버으니 놀보 오쟉 미워랴 (신재효본 박흥보가 2 뒤~3앞)

흥부는 놀부와는 달리, 정의 교류와 처리가 매우 원활한 사람. 타인의 정서적 상황을 잘 이해하고 배려하며, 그에 부합하는 행실을 보여줌. 그

(23)

러한 점에서 심성적 인간론의 관점으로 보면 흥부는 매우 선한 인물. 그 러나 자신을 돌보지 않고 ‘남의 일만 하느라고 한 푼 돈을 못 버니’

자본주의적 인간론의 관점에서 볼 때는 장애가 많은 인물. 그럼에도 흥 부 내외는 심성만 바로 지니고 산다면 먹고사는 것에도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는 믿음을 끝내 지니고 있음.

흥부와는 달리 놀부는 감성이 극단적으로 마비되어 있었던 인물. 그러나 결말부에 이르면 놀부는 놀부박을 타면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사건들을 체험하게 되면서, 마비되었던 감성의 회로를 회복하고 건강하고도 중용 에 맞게 감정을 교류하고 처리할 줄 아는 인간으로 변모.

(24)

4. 장부(론)적 인간

1)

인간의 심성도 장부론적인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인식 ➡ 인간의 심성을 단순히 관념적인 차원에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생명의 활동성향을 표 상하는 장부의 차원으로 이해.

놀부는 오장육부에 심술보 하나를 보태어 ‘오장칠부’를 지닌 인간으로 표현. ‘사람마다 오장육부이지만 놀부는 오장칠부인 것이 심술보 하나 가 왼편 갈비 밑에 병부주머니 찬듯하여 밖에서 보아도 알기 쉽게 달려 있’다고 함.

이제마는 성인도 오장육부를 가졌고 천하의 모든 보통사람들도 오장육부 를 가졌으므로 천하의 모든 사람들이 성인이 될 만한 소질을 가졌다고 보았음. 인간이 구원을 얻고 성인이 될 수 있는 근거를 생명의 기본적인

(25)

개체단위인 몸에서 찾았다는 점은 주목할 만함.

이제마가 몸의 생명적 보편성을 통해 인간의 본질을 해명하려 했듯이, 흥부전에서도 놀부의 인간적 본성을 장부를 통해 설명하는 방식을 취하 고 있음. 마음이란 것은 단순히 관념의 소산이 아니라 생명[몸]이 활동 하는 성향의 한 방식이라는 인식을 반영. 놀부의 오장칠부는 이러한 생 명적 활동 성향에 중대한 차질이 있음을 의미.

2)

생명을 중시하는 장부적 인간론에서 바라보는 물질관은 자본주의적 인간 론에서 바라보는 물질관과 그 양상을 달리함. 희소한 것을 생산하여 수 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조장하고 교환가치를 높여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 이 자본주의적인 물질 활용 방식이라면, 장부적 인간론에 바탕을 둔 물 질 활용 방식은 생명적 여건을 유지․보완해주는 보편적 물질을 중시. 그

(26)

러므로 희귀한 재화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보편적 의식(衣食)을 추구.

인간의 생명(몸)이 적절한 체온을 유지하고 온전한 생명을 영위하기 위 해서는 옷과 밥이 가장 소중하기 때문. 생명을 기준으로 생각할 때, 우 리 생명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이른바 흔한 것들. 예를 들어, 공기와 물은 세상에 가장 흔한 것이면서도 생명의 개체단위인 몸에 가장 필요하 고 소중한 것. 그러므로 장부적 인간론의 관점에서 볼 때, 가장 흔한 것 이 가장 소중한 것이 됨. 이것은 물질적 재화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생 명을 영위하는 데 가장 소중한 의식주를 중시하며 그 외에 생명의 영위 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 희귀한 재화에 대해서는 중요하게 여기지 않음.

이러한 태도는 흥부전에도 잘 나타남. 흥부박에서는 여러 가지 물건들이 나오는데, 박 안에는 온갖 진귀한 보물들이 들어 있음. 또 죽은 사람 살 려내는 환혼주(還魂酒), 눈먼 사람 눈뜨게 하는 개안주(開眼酒), 벙어리

(27)

말하게 하는 개언초(開言草), 귀머거리 귀 열리는 벽이롱(闢耳聾), 기타 불로초, 불사약 등이 있다. 거기에 양귀비까지 나옴. 그러나 이런 진귀 한 재화나 보물보다는 흥부 가족에게는 밥이 더욱 절실. 그들은 쌀이 나 오자 배부르게 밥을 먹고 다음과 같이 찬탄.

겨 밥이야 겨 밥이야 옥(玉)을 쥬고 박굴숀가 금(金)을 쥬고 박굴숀가! ……(중 략)……

만고(萬古)의 영웅(英雄)덜도 밥 업씨면 살 슈 잇나 오셔(伍子胥) 도망할 졔 오시 (吳市)의 걸식고 신(韓信)이 궁곤할 졔 표묘(漂母)의게 기식(寄食)이라 ……(중 략)……

진문공(晉文公) 젼간득식(田間得食) 광무(漢光武) 호타반(호타麥飯) 즁 거시 밥이라 ……(중략)……

은금보(銀金寶貝) 사 시리, 덜억덜억 밥 나오쇼. (신재효본 박흥보가, 31뒤~33

(28)

앞)

하며 밥을 중요시. 밥 다음으로는 옷을 중시. 그래서 “우리 부부 평

한(平生恨)니 의식(衣食)업셔 (恨)다가 몬자 통의 밥 나와셔 양(量)

로 먹어니, 다(多幸)이 이 통의셔 옷가음이  만니 눈의 드난

로 옷 벌씩 여 입(신재효본 박흥보가, 37앞)”.

첫 번째 박에서 나온 천태채약동(天台採藥童)은 “갑스로 의논면 억만 냥이 넘오니 (賣買)여 쓰옵소셔.(경판 25장본, 9뒤)”라고 권해 보기도 함. 그러나 흥부 아내는 “우리집 약계 판들 알고 약 라 오 리 없고, 아직 효험 르기는 밥만 못 외(경판 25장본, 9뒤)”라고 함. 자본주의적 시장논리에 의하면 죽은 사람 살리는 희귀한 환혼주가 흔한 의식(衣食)보다는 훨씬 비싸고 소중한 것. 그러나 인간생명의 항상 성과 중용을 지켜주는 밥보다 못한 것으로 인식. 이러한 맥락에서 밥과

(29)

옷이 더 반가운 물건으로 묘사.

이러한 인간 이해는 ‘산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선한 것’이라는 생각과 상통한다. 그러므로 생명을 돕고 보살피는 것은 선하며, 생명을 학대하 고 해치는 것은 악한 것이 된다.

3)

흥부는 모든 생명을 돕고 보살피는 전형적인 인물. 그래서 그는, “굴머 셔 쥭을 사 먹던  덜어쥬고” “얼어셔 병난 사람 입엇 옷버셔 쥬 기,” “쳥의셔 골보면 집피 파고 무더 쥬고” “길일은 어린 아희 져의 부모 쥬고” “쥬막의 병든 사람 본가의 기별 젼키” “게칩불살 (啓蟄不殺) 방불졀(方長不折)”등 생명을 돕고 배려하는 데에 각별한 인 간으로 잘 형상화. 그러나 남을 돌보느라 정작 자기를 돌볼 여력이 없는 사람.

(30)

4) 놀부는 이와 반대되는 인물. 아이 밴 계집의 배를 찬다거나, 피는 곡 식의 이삭을 자른다든가, 호박에 말뚝을 박는다든가, 몸이 불편한 곱사 등이 엎어 놓고 발꿈치로 탕탕 친다거나 다리 저는 전동다리의 딴죽을 치고, 길가는 과객 재울 듯이 불러다가 해지면 내쫓고, 품팔이 외상 사 경(私耕)에 추수하면 옷 벗겨 내쫓고, 초상난 데서 노래하고, 소경 의복 에 똥칠하고, 배 앓는 이에게 살구주고, 피는 곡식 모가지 뽑고, 걸인 보면 자루 찢고, 어린 아이 불알 발라 말총으로 호아매고, 약한 노인 엎 어뜨려 비역하고, 곡식밭에 우마 모는 등, 생명을 학대하고 착취하며 해 치는 행위들을 이루 다 말할 수 없을 정도.

두 사람의 생명에 대한 상반된 인성은 제비라는 매개를 통해 결말의 성 패를 유발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 제비는 전반부의 문제 상황 을 해결하고 후반부의 결말을 이끌어오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 비록 작 은 동물이기는 하나 제비는 만물이 시생(始生)하는 봄의 소식을 전해주

(31)

는 동물로서 ‘생명의 전령사’라고 할 수 있음. 다리는 ‘길’을 가는 도구로서 제비의 다리는 ‘생명의 길’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그러한 점에서 제비와 제비다리는 ‘생명’과 ‘생명의 길’을 상징하는 중요한 대상. ‘생명’과 ‘생명의 길’을 상징하는 대상에 대하여 흥부 와 놀부의 태도는 극명하게 대비. 흥부는 생명적 존재인 지닌 제비를 잘 보살피고 도와서 복을 받고, 놀부는 이를 학대하고 착취하려다가 해를 입게 됨. 그러한 점에서 전체적인 사건의 문제해결과 관련하여서도 이러 한 장부적 인간론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

참조

관련 문서

더 많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이것은 구동관로의 직경이 커지면서 입 구에서 들어오는 유체가 많아져 이러한 유동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더불어 드뷔시의 생애와,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으면서 도 혁신적 양식으로의 전환기에 나타나는 음악적 요소가 조화되어 나타나는 드뷔 시의

교재를 분석한 연구는 한국어 교재들에 등장하는 시간 관계의 연결어미가 제시된 순서, 방법, 종류, 형태, 이형태, 예문, 연습 문제 등에 관해 설명하고 부족한 부분을

20) Marc Hermeking, “Culture and Internet Consumption: Contributions from Cross-Cultural Marketing and Advertising Research”, in Journal of

이 같은 것을 통하여 지적장애 학생이 글을 읽고 거기에 나타나는 오류 유형이 어떤 것들이 있고 그것들이 읽기 이해에 있어서 어떤 영향 을 미치는지 알게 된다면

또한 패러디를 통해 문화 전방 에 걸쳐 나타나는 다양한 시각문화에 대한 감상과 수용이 적극적인 작품 읽기와 비판 적

Results: Strong UNC-50 expression was observed in the differentiating cementoblasts close to PDL fibroblasts in tension side whereas it was barely expression

본 연구에서는 이별의 감정을 세분화하기 위해 이별에 나타나는 감정을 분석하 고 이별 가사에 나타나는 단어 간 유사도를 Word2Vec 학습을 통해 사전을 구축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