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유용성: 유발 검사 및 전기생리학적 검사와의 연관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유용성: 유발 검사 및 전기생리학적 검사와의 연관성"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J Korean Soc Surg Hand 2011;16(4):232-240.

THE HAND

서론

수근관증후군은 임상에서 가장 흔히 접할 수 있는 포착성 신경병증(entrapment neuropathy)으로 임상 소견, 이학적 검사 및 전기생리학적 검사로 진단된다. 자각 증상으로는 손 의 저림이나 통증, 정중 신경 분포의 감각저하, 엄지 둔덕의 위축 등이 있으며 손의 뻣뻣함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수근 관증후군 환자에서 주로 시행되는 이학적 검사는 여러 유발 검사가 대표적이다.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다양한 방식의 유발 검사가 보고되었으며 각 검사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에 대해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다1-6. 또한 전기생리학적 검사는 정중 운동, 감각 신경의 잠복시간과 과 진폭, 신경 전도 속도

를 측정하고 단무지 외전근의 침근전도 검사를 시행하는 것으 로 수근관증후군과 유사한 증상을 일으키는 다른 질환을 감별 하는데 유용한 검사라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여러 연구 보고 에서 일반적인 전기생리학적 검사는 민감도가 80-90% 정도 로 보고 되며 위음성도도 10-35% 정도로 보고되어 있어 임상 적 증상 및 이학적 검사를 종합하여 수근관증후군 진단하여야 한다7.

자가 작성 설문지는 수근관증후군에서 진단 목적으로 사용 하기는 어렵지만 환자의 관점에서 증상의 주관적 판단 및 불 편함의 정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Boston 설문지(Boston Questionnaire)는 수근관증후군에 특화된 자가 작성 설문지로 수부 기능의 정도 및 주관적인 증

수근관증후군에서 Boston Questionnaire의

유용성: 유발 검사 및 전기생리학적 검사와의 연관성

Efficiency of the Boston Questionnaire in Carpal Tunnel Syndrome: Comparing Scores with Provocation Tests and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정태원∙안덕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성형외과학교실

접수일2011년 10월 21일 수정일2011년 11월 26일 게재확정일2011년 11월 30일 교신저자안덕선

서울시 성북구 안암동 5가 126-1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성형외과학교실 TEL02-920-5368 FAX02-922-7437 E-maildsahn@korea.ac.kr

목적:수근관증후군 환자에서 Boston 설문지 결과와 유발 검사 및 전기생리학적 검 사 결과를 비교하여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특발성 수근관증후군으로 진단된 142명의 환자의 248 수부를 대상으 로 하였다. 수술 전에 작성한 Boston 설문지 결과를 유발 검사 및 전기생리학적 검사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전기생리학적 결과와 Boston 설문지 증상 점수의 상관 계수는 0.545로 기능 점수와의 상관 계수 0.307 보다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유발 검사 중에서 손들기 검사가 Boston 설문지의 증상 점수 및 기능 점수의 증가에 따라 비례하여 양성 가능 성이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Boston 설문지의 점수는 전기생리학적 검사와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으며 유 발 검사 중에서 손들기 검사의 결과와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다.

색인단어:수근관증후군, 보스턴 설문지, 유발 검사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 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

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 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상의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어 임상 결과를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활용성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8-13.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Boston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 수근관증후군 환자의 임상적 증상과 유발 검사 및 전기생리학 적 검사 결과 간의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Boston 설문지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1.. 연연구구대대상상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 2006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본원 외래를 방문하여 임상 소견을 근거로 특발성 수근관증후 군으로 진단된 3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환자 중 Boston 설문지, 유발 검사와 전기생리학적 검사 기록 이 존재하는 142명의 환자, 248 수부를 최종 대상으로 하였 다. 외상성 및 종물 또는 기타 질환에 의한 이차성 수근관증후 군 환자는 제외하였다.

남자는 12명(15.5%) 여자는 130명(84.5%)이었고, 연령은 최 소 28세부터 최고 91세까지 평균 59.1세이었다. 이환 부위는 우측이 16명(11.27%), 좌측이 20명(14.08%), 양측이 106명 (74.65%)이었다.

2

2.. BBoossttoonn 설설문문지지 작작성성 및및 평평가가 방방법법

환자 상태의 평가는 자가 작성 설문지(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인 Boston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설문지는 특 발성 수근관증후군의 수술을 위해 입원한 환자에게 수술 전에 작성하게 하였다. 우리말로 번역된 Boston 설문지를 이용하였 으며 우리 실정에 맞게 일부 내용을 수정하여 이용하였다.

Boston 설문지는 증상(Boston symptom severity)과 기능 부분(Boston function status)으로 나뉘어 지는데 증상 부분 은 11문항으로 심각성, 빈도, 시간, 형태를 반영하고, 기능 부분 은 8문항으로 일상 생활에서 수근관증후군으로 인한 영향을 묻는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1점에서 5점까지 1점 단위로, 무증상인 경우 1점이고 가장 심한 경우 5점이 부여되 며 합산을 하여 최종 점수로 하였다(Appendix 1). Boston 설 문지의 경우 산술 평균을 구하여 결과 분석을 하기도 하지만 주요 증상을 낮게 평가할 수 있어서 증상 지수 및 기능 지수의 총점을 이용하여 결과를 해석하였다14.

기능 부분에서는 본래의 Boston 설문지에 있던 household chores라는 항목을 집안일의 대표적인 일인 걸레질로 바꾸었 으며, 증상 부분에서는 우리말로 번역하기 어려운“tingling

sensation”을“전기가 오는 것 같은 찌릿찌릿한 느낌”으로,

“numbness”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남의 살 같은 느낌”의 문 장을 옆에 부연하였다.

3

3.. 임임상상적적 검검사사 및및 전전기기생생리리학학적적 검검사사

유발 검사는 Phalen 검사, Tinel 징후, 손목 압박 검사 (compression test), 손들기 검사(hand elevation test) 를 시 행하였다. 각각의 검사를 시행한 후에는 1분간의 휴식 시간을 주었다. Phalen 검사는 손목 관절을 최대한 굴곡함으로써 수 근관 공간을 인위적으로 좁게 하여 환자가 이상감각 또는 저 린 증상을 호소 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 하였으며, 1분 안에 증상이 나타났을 때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Tinel 징후는 손목 에서 정중 신경의 주행 경로에 4회에서 6회 정도 가볍게 직접 충격을 주어 정중 신경의 지배 영역에서 이상 감각 또는 저린 증상이 유발되는 지를 관찰하였다. 손목 압박 검사(compres- sion test)는 환자의 손을 중립 위치(neutral position)에 놓고 검사자가 양측 엄지를 이용하여 횡수근 인대 부위에 압력을 주었으며, 30초 내에 정중 신경의 지배 영역에 이상감각 또는 저린 증상이 나타났을 때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손들기 검사 (hand elevation test)는 양측 팔을 환자의 힘으로 들고 있게 한 후 이상감각 또는 저린 증상이 나타났을 때의 시간을 측정 하였으며, 2분 내에 증상이 나타났을 때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임상 소견상 수근관증후군이 의심되는 환자는 수술 전에 전 기생리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정중 신경의 운동신경 반응과 감각신경 반응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각각에 대한 잠복시간, 진폭, 전도 속도를 측정하였다. 검사 결과에 대한 분류는 Stevens15의 분류에 의해 경도(mild degree), 중등도(moder- ate degree), 고도(severe degree)로 나누었다(Table 1).

4

4.. 통통계계분분석석

각 유발 검사의 결과와 Boston 설문지 점수와의 연관성에 대한 검증은 유발 검사의‘양성’또는‘음성’의 이분형 로지스 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Hosmer-Lemeshow 적합성 검정(Hosmer-Lemeshow goodness-of-fit test)을 시행하 여 p≥0.05 이상인 경우 회귀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해석하였 고 Boston 설문지의 점수 증가에 따른 각 유발 검사의 양성 확률을 구하였다.

Boston 설문지 점수와 전기생리학적 검사 결과에 대한 분 석은 Spearman 상관 분석을 이용하여 상관 계수를 구하였 다. 또한 전기생리학적 검사로 분류한 3군(경도, 중등도, 중도) 간의 Boston 설문지 점수의 차이를 알기 위하여 일원 분산분 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과 Turkey 검증을 통하여

(3)

결과를 분석하였다. 각 통계적 검증은 SPSS ver. 12.0 (SPSS Inc., Chicago, IL, USA)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p값 이 0.05 미만인 것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 정하였다.

결과

11.. 임임상상적적 검검사사 및및 전전기기생생리리학학적적 검검사사의의 결결과과

142명의 환자, 248 수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유발 검사

의 결과는 Phalen 검사가 177 수부에서 양성(71.37%), Tinel 징후는 127 수부에서 양성(51.21%), 손목 압박 검사는 153 수부 에서 양성(61.69%), 손들기 검사는 170 수부에서 양성(68.55%) 의 결과를 보였다. 전기 생리학적 검사의 결과 59 수부에서 경 도, 89 수부에서 중등도, 100 수부에서 고도로 분류 되었다.

2

2.. BBoossttoonn 설설문문지지 평평가가 결결과과

Boston 설문지 총점의 평균은 54.69±18.10점이었으며, Boston 증상 지수의 평균은 28.58±8.65점, Boston 기능 지수

Table 1.

Criteria of three groups based on electrophysiologic study in carpal tunnel syndrome

Mild degree 1. 5 cm segment latency > 1.3 msec 1. Normal distal latency or normal CMAP 2. SNAP: 15

-

20 uV

3. Ulnar SNAP > Median SNAP

Moderate degree 1. SNAP < 50% of normal side (5

-

15uV) 1. Prolonged distal latency with normal CMAP 2. SNAP ratio (palm/wrist) > 50% 2. 2 mV < Amplitude < 4 mV

3. SNAP ratio (median/ulnar) < 50%

Severe degree 1. SNAP < 5 uV or absent 1. CMAP < 2 mV

2. Absent CMAP SNAP: sensory nerve action potential, CMAP: compound motor action potential.

Median sensory Median motor

Table 2.

Binary regression analysis of multiple variables showing correlation with provocation tests

Hand elevation test Age -0.02 0.242 0.98 0.95 1.01

Sex (female) 1.00 0.042 2.73 1.04 7.16

EMG (moderate) 0.41 0.276 1.50 0.72 3.14

EMG (severe) 0.42 0.309 1.52 0.68 3.39

Symptom severity 0.04 0.026 1.04 1.00 1.08

Constant -0.41 0.701 0.66

- -

Hand elevation test Age -0.02 0.267 0.98 0.95 1.01

Sex (female) 1.04 0.035 2.82 1.08 7.39

EMG (moderate) 0.44 0.235 1.56 0.75 3.23

EMG (severe) 0.60 0.125 1.82 0.85 3.9

Functional status 0.02 0.077 1.02 1.00 1.05

Constant -0.03 0.979 0.97

- -

Tinel sign Age -0.03 0.017 0.97 0.94 0.99

Sex (female) -0.27 0.581 0.76 0.29 2.00

EMG (moderate) 0.27 0.437 1.31 0.66 2.59

EMG (severe) 0.93 0.016 2.52 1.19 5.36

Symptom severity -0.01 0.722 0.99 0.96 1.03

Constant 2.01 0.051 7.44

- -

Tinel sign Age -0.03 0.022 0.97 0.94 1.00

Sex (Female) -0.32 0.519 0.73 0.28 1.91

EMG (moderate) 0.23 0.509 1.26 0.64 2.48

EMG (severe) 0.84 0.022 2.31 1.13 4.7

Functional status 0.00 0.701 1.00 0.98 1.03

Constant 1.73 0.082 5.62

- -

EMG: electromyography, OR: odds rations, CI: confidence intervals.

Provocation tes Variable B p OR 95.0% CI for OR

Lower Upper

(4)

의 평균은 26.10±11.21 점으로 각각 관찰되었다.

3

3.. 유유발발 검검사사와와 BBoossttoonn 설설문문지지와와의의 연연관관성성

Phalen 검사, Tinel 징후, 손목 압박 검사, 손들기 검사와 Boston 설문지와의 관계를 알기 위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Boston 설문지의 증상 지수와 기능 지수의 관 계를 분석하였다. 손들기 검사와 증상 지수와의 분석, 손들기 검사와 기능 지수와의 분석, Tinel 징후와 증상 지수, Tinel 징 후와 기능 지수 간의 분석에서 적합성 검정에 합당한 결과를 보 였다(Hosmer-Lemeshow 적합성 검정, p≥0.05). 나머지 유 발 검사는 적합성 검정에 부적합 결과를 보였다.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유발 검사의 결과와 관련이 있 다고 생각되는 성별, 나이. 전기생리학적 검사결과, Boston 설 문지 점수의 변수와 함께 분석을 시행하였으며(Table 2), 최종 적으로 모형에서 중요한 변수들만을 선택해서 포함시키는 전진 선택법(forward selection)을 이용하여 최종 모형을 정하였다 (Table 3).

손들기 검사의 경우에는 전진 선택법을 통한 이분형 로지스 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Boston 설문지의 증상 지수의 증가 및 기능 점수가 증가함에 따라 손들기 검사의 양성 가능성이 높 아지는 결과를 보였다(p<0.05). 증상 지수의 경우 점수 증가에 따라 손들기 검사의 양성률은 1.05배 증가 하였으며(p=0.006), 기능 지수의 증가에 따라 손들기 검사의 양성률은 1.03배 증가 하였다(p=0.022) (Table 3).

Tinel 징후의 경우 데이터가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잘 적합되었으나 증상 지수, 기능 지수와의 연관성은 없으며 (p>0.05), 연령 변수가 Tinel 징후의 양성 여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전기생리학적 검사에 있어서 경도군에 비해 고도군에서 Tinel 징후의 양성 가능성이 약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4

4.. BBoossttoonn 설설문문지지와와 전전기기생생리리학학적적 검검사사 결결과과의의 연연관관성성 Boston 설문지 점수와 전기생리학적 검사에 대한 상관 분석 의 결과 Boston 설문지 총 점수와 전기생리학적 검사 사이의

Table 3.

Binary regression analysis of multiple variables by forward selection method

Hand elevation test Sex (female) 0.91 0.059 2.48 0.97 6.37

Symptom severity 0.05 0.006 1.05 1.01 1.08

Constant -1.23 0.054 0.29

- -

Hand elevation test Sex (female) 0.92 0.054 2.52 0.98 6.46

Functional status 0.03 0.022 1.03 1.00 1.06

Constant -0.69 0.205 0.50

- -

Tinel sign Age -0.03 0.016 0.97 0.94 0.99

EMG (moderate) 0.26 0.445 1.30 0.66 2.54

EMG (severe) 0.89 0.012 2.43 1.22 4.83

Constant 1.60 0.054 4.96

- -

Tinel sign Age -0.03 0.016 0.97 0.94 0.99

EMG (moderate) 0.26 0.445 1.30 0.66 2.54

EMG (severe) 0.89 0.012 2.43 1.22 4.83

Constant 1.60 0.054 4.96

- -

EMG: electromyography, OR: odds rations, CI: confidence intervals.

Provocation tes Variable B p OR 95.0% CI for OR

Lower Upper

Table 4.

Correlations between boston carpal tunnel questionnaire scores and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Symptom severity 1

Functional status 0.632* 1

Total score of Boston questionnaire 0.861* 0.930* 1

Electrophysiological Severity 0.545* 0.307* 0.423* 1

All correlations were performed using Spearman coefficient.

All correlations are in the expected direction; worse status is associated with worse impairment.

*p<0.01

Symptom severity Functional status Total score of Boston Electrophysiological

questionnaire severity

(5)

상관 계수는 0.423 (p<0.01)로 나타났으며, Boston 설문지 점 수를 증상과 기능 점수로 분류하여 분석을 진행한 결과 증상 점 수에서는 0.545 (p<0.01)로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기능 점 수에서는 0.307 (p<0.01) 로 나타나 중등도의 상관 관계를 보였 다(Table 4).

전기생리학적 검사의 3군(경도, 중등도, 고도) 간의 Boston 설문지 점수 간의 차이에 대하여 각 군 간의 Boston 설문지 점 수에서 등급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 검정에서 각 등급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Fig. 1).

Boston 설문지에서 증상 지수 및 기능 지수로 나눠 시행한 분 석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 할 수 없었다.

고찰

수근관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흔히 사용되는 평가지 및 설 문지로는 Boston Carpal Tunnel Questionnaire, Michigan Hand Outcome Questionnaire, Disability of Arm, Shoulder and Hand, Patient Evaluation Measure, Clinical rating scale (Historical-Objective scale), Upper Extremity Functional Scale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평가지 및 설문지 들의 우위에 대해서 여러 연구 결과가 발 표되었지만 시행 환경의 문화적 차이와 시행 적용 방법의 차 이 때문에 객관적으로 평가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최근 Sanbandam 등9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Boston 설문지가 수 근관증후군의 환자에 적용하기에 보다 나은 설문지라는 결과 를 발표하였다. 자가 작성 설문지 중 대표적인 Boston 설문지

(Boston Questionnaire)는 다른 측정법들에 비해 수근관증후 군의 수술 후 결과 및 만족도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10,11. 여러 문헌에서 그 유용성을 소개하고 있으며, 여러 국가

에서 그 나라 언어로 바꾸어 이용하고 있다16-19. Boston 설문 지는 실용성 및 반복 측정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저 자들은 수근관증후군으로 진단된 모든 환자에게 이 설문지를 활용하고 있다.

수술 전 Boston 설문지의 활용에 대해서 Levine 등8과 Heybeli 등10그리고 Mondelli 등11은 수술 전 작성한 Boston 설문지의 점수와 전기생리학적 검사 결과 사이에는 연관 관계 가 없는 것으로 보고 하였다. 하지만 Dhong 등12이 전기생리 학적 검사 중에서 운동신경 반응 검사, 감각신경 반응 검사와 Boston 설문지의 증상 지수 및 기능 지수와의 연관성을 알아 본 연구에 있어, 전기생리학적 검사는 증상 지수와 통계적으 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보고하였다. 또한 최근 Ortiz-Corredor 등13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Boston 설 문지의 문항을 모두 하나씩 전기생리학적 검사와 비교한 연구 에 있어서 증상과 관련된 문항에서 대부분 강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저자들의 본 연구에서도 Boston 설문지의 증상 지수와 전 기생리학적 검사결과에서 상관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추가로 Boston 설문지의 기능 지수도 전기생리학적 검사 결과와 중 등도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Boston 설 문지를 임상적으로 활용한다면 우선 전기생리학적 결과와의 연관성을 참고하여 수근관증후군의 진단에도 추가적인 도움 을 주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전기생리학적 검사의 중등 도가 심할수록 환자의 손의 기능과 임상의가 객관적으로 측정 하기 힘든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의 악화가 동반됨을 추측하여 추가적인 증상의 경감 치료 또는 손의 기능의 재활 치료에 대 한 고려를 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Boston 설문지의 증상지수와 전기생리학적 결과 사 이에 높은 연관성을 보이는 것에 대하여 You 등20은 수근관증 후군의 주요 증상인 손저림, 무감각, 감각이상 증상이 말초 신 경 병증의 이상과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 표하였고, 따라서 이 주요 증상을 기본으로 하여 Boston 설문 지의 증상 관련 질문들이 구성되기에 증상지수와 관련하여 높 은 연관성을 보인다고 생각한다. 또한 Boston 설문지의 기능 지수와 전기생리학적 결과가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손의 약간의 기능 저하에 대해서 다른 신경의 지배 근육 및 반 대 손의 보상 작용(compensation)이 있기 때문에 정중신경의 병증이 심한 경우에만 상대적으로 손의 기능이 떨어진다고 자 각하게 된다는 점21이 결과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FFFFiiiigggg.... 1111.... Correlation of Boston Questionnaire and electrophysi-

ological severity scale. Mild and moderate group: p=0.035,

moderate and severe group: p=0.001, mild and severe

group: p=0.007.

(6)

수술 후의 Boston 설문지는 주로 수술 결과 및 만족도를 평 가하는 목적으로 활용이 되고 있다. Heybeli 등10에 의하면 Boston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근관증후군 환자에게서 횡수근 인대 절제술 시행 후에 수술 전 결과와 비교 하였을 때 호전된 결과를 보고 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또 한 Mondelli 등11의 보고에 의하면, Boston 설문지의 점수 및 전기생리학적 검사 결과에서 수술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호 전된 결과를 보였으나, 수술 후 Boston 설문지의 점수 및 전 기생리학적 검사 결과 사이에는 연관성이 없다는 결과를 보고 하였다.

수술 전 연구와 다르게 수술 후 결과에서 Boston 설문지 및 전기생리학적 결과의 연관성이 없는 이유로는, 전기생리학적 검사의 경우 수술 후 발생 할 수 있는 흉터의 통증, 신경종의 형성 등을 반영하지 못하며, 수술 전 이환 기간이 오래되고, 눌림의 정도가 심한 경우 수술 후 신경 전도 속도의 회복이 환 자의 증상 및 기능적인 회복보다도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 이다10.

손들기 검사(hand elevation test)는 수근관증후군 환자들 이 흔히 호소하는 버스나 지하철의 손잡이를 잡았을 때 느끼 는 저림 증상을 기초로 한 검사로서 본 교실에서 118명의 환자 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 결과를 보고 하였다5. 연구 결과 손들 기 검사(hand elevation test)의 경우 전통적인 유발 검사인 Phalen 검사, Tinel 징후 보다 더 나은 민감도(75.5%)와 특이 도(98.5%)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Amirfeyz 등6도 높 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이는,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검사로 평가하였다.

전통적인 유발 검사가 수근관의 내압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는 자극을 가하고 수근관증후군의 대표 증상인 손저림, 무 감각, 감각이상이 나타나는지에 대한 검사임에 비하여 손들기 검사는 수근관 부위의 중력에 의한 허혈(ischemia)에 의한 증 상을 유발하는 검사이다. 또한 전통적인 유발 검사에서 발견 되는 관찰자에 의한 주관적인 해석이나, 압력을 주는 검사의 경우 가하게 되는 압력의 불균일성 등의 오차 요인을 줄일 수 있는 검사로 알려져 있다5.

따라서 손들기 검사와 Boston 설문지의 증상 지수 및 기능 지수와의 연관성을 보인다는 결과는 손들기 검사의 유발 기전 이 다른 전통적인 유발 검사와 다르고, 다른 오차 요인들의 영 향을 줄일 수 있기에 다른 유발 검사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 의한 연관성을 보였다고 생각한다. 이런 연관성의 결과는 수 술전 시행한 Boston 설문지의 증상 지수 및 기능 지수가 높은 환자의 경우 손들기 검사의 양성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며,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가지는 손들기 검사 결과와의 연관성

을 고려한다면 Boston 설문지의 증상 지수 및 기능 지수가 수 근관증후군의 진단에도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 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근관증후군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수 술 전 Boston 설문지에 대한 연구로 Boston 설문지를 우리말 로 번역하여 우리 실정에 맞게 일부 내용을 수정하였다. 하지 만 번역한 Boston 설문지에 대한 유효성 및 반복 측정 신뢰도 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지 못하여 연구의 한계로 작용할 수 있 다. 또한 연구 설계상 병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라는 점과 비교적 적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라는 점 에서 전체 인구를 대표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향후 많은 환 자 군을 대상으로 한 여러 기관의 합동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수근관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수술 전 작성한 Boston 설문지에서 증상지수 및 기능지수는 전기생리학적 검 사 결과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또한 수술 전 시행한 여러 유발 검사 중, 손들기 검사의 결과와 Boston 설문지의 증상지수 및 기능지수 간에도 유의한 상관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1. de Krom MC, Knipschild PG, Kester AD, Spaans F.

Efficacy of provocative tests for diagnosis of carpal tun- nel syndrome. Lancet. 1990;335:393-5.

2. De Smet L, Steenwerckx A, Van den Bogaert G, Cnudde P, Fabry G. Value of clinical provocative tests in carpal tunnel syndrome. Acta Orthop Belg. 1995;61:177-82.

3. Williams TM, Mackinnon SE, Novak CB, McCabe S, Kelly L. Verification of the pressure provocative test in carpal tunnel syndrome. Ann Plast Surg. 1992;29:8-11.

4. Gonza′lez del Pino J, Delgado-Martinez AD, Gonza′lez Gonza′lez I, Lovic A. Value of the carpal compression test in the diagnosis of carpal tunnel syndrome. J Hand Surg Br. 1997;22:38-41.

5. Ahn DS. Hand elevation: a new test for carpal tunnel syndrome. Ann Plast Surg. 2001;46:120-4.

6. Amirfeyz R, Gozzard C, Leslie IJ. Hand elevation test for assessment of carpal tunnel syndrome. J Hand Surg Br.

2005;30:361-4.

7. Padua L, LoMonaco M, Gregori B, Valente EM, Padua R,

(7)

Tonali P. Neurophysiological classification and sensi- tivity in 500 carpal tunnel syndrome hands. Acta Neurol Scand. 1997;96:211-7.

8. Levine DW, Simmons BP, Koris MJ, Daltroy LH, Hohl GG, Fossel AH, et al.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or the assessment of severity of symptoms and func- tional status in carpal tunnel syndrome. J Bone Joint Surg Am. 1993;75:1585-92.

9. Sambandam SN, Priyanka P, Gul A, Ilango B. Critical analysis of outcome measures used in the assessment of carpal tunnel syndrome. Int Orthop. 2008;32:497- 504.

10. Heybeli N, Kutluhan S, Demirci S, Kerman M, Mumcu EF. Assessment of outcome of carpal tunnel syndrome:

a comparison of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and a self-administered Boston questionnaire. J Hand Surg Br. 2002;27:259-64.

11. Mondelli M, Reale F, Sicurelli F, Padua L.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administered Boston questionnaire and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in follow-up of surgi- cally-treated carpal tunnel syndrome. J Hand Surg Br.

2000;25:128-34.

12. Dhong ES, Han SK, Lee BI, Kim WK. Correlation of elec- trodiagnostic findings with subjective symptoms in carpal tunnel syndrome. Ann Plast Surg. 2000;45:127-31.

13. Ortiz-Corredor F, Calambas N, Mendoza-Pulido C, Galeano J, Diaz-Ruiz J, Delgado O. Factor analysis of carpal tunnel syndrome questionnaire in relation to nerve conduction studies. Clin Neurophysiol. 2011;122:

2067-70.

14. Storey PA, Fakis A, Hilliam R, Bradley MJ, Lindau T, Burke FD. Levine-Katz (Boston) Questionnaire analysis:

means, medians or grouped totals? J Hand Surg Eur Vol.

2009;34:810-2.

15. Stevens JC. AAEE minimonograph #26: The electrodiag- nosis of carpal tunnel syndrome. Muscle Nerve. 1987;

10:99-113.

16. De Smet L, De Kesel R, Degreef I, Debeer P. Responsi- veness of the Dutch version of the DASH as an outcome measure for carpal tunnel syndrome. J Hand Surg Eur Vol. 2007;32:74-6.

17. Upatham S, Kumnerddee W. Reliability of Thai version Boston questionnaire. J Med Assoc Thai. 2008;91:1250-6.

18. Mody GN, Anderson GA, Thomas BP, Pallapati SC, Santoshi JA, Antonisamy B. Carpal tunnel syndrome in Indian patients: use of modified questionnaires for assessment. J Hand Surg Eur Vol. 2009;34:671-8.

19. Koldas Dogan S, Ay S, Evcik D, Baser O. Adaptation of Turkish version of the questionnaire Quick Disability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Quick DASH) in patients with carpal tunnel syndrome. Clin Rheumatol. 2011;30:

185-91.

20. You H, Simmons Z, Freivalds A, Kothari MJ, Naidu SH.

Relationships between clinical symptom severity scales and nerve conduction measures in carpal tunnel syn- drome. Muscle Nerve. 1999;22:497-501.

21. Stanek EJ 3rd, Pransky G. Unilateral vs. bilateral carpal tunnel: challenges and approaches. Am J Ind Med.

1996;29:669-78.

′ ′

(8)

Appendix 1. Korean version of boston carpal tunnel questionnaire

11)) 1111 qquueessttiioonn ooff ssyymmppttoomm ((ppaaiinn,, ppaarreesstthheessiiaa,, nnuummbbnneessss,, wweeaakknneessss,, nnooccttuurrnnaall ppaaiinn)) 밤중에 손이나 손목이 어느 정도 아팠습니까?

지난 2주중 밤중에 전형적으로 손이나 손목이 아파서 잠을 설쳤을 때에 몇 번이나 잠에서 깨어났습니까?

낮 동안에도 그렇게 손이 아프셨습니까?

낮 동안에 아픈 횟수는 하루에 몇 번이셨습니까?

낮 동안에 손이 아팠던 지속 시간은 얼마입니까?

손의 감각이 떨어집니까?

손이나 손목의 힘이 약해진 것 같습니까?

손에 전기가 오르는 것 같이 찌릿찌릿 합니까?

손의 감각이 밤에도 떨어집니까?(남의 살 같은 느낌)

지난 2주 중 손이 전형적으로 불편했던 날 밤중에 남의 살 같은 느낌이 들거나 저려서 일어나 자주 잠에서 깨어났습니까?

열쇠나 펜을 잡을 때 어려움을 느끼십니까?

2

2)) 88 qquueessttiioonn ooff ffuunnccttiioonnaall ssttaattuuss ((wwrriittiinngg,, bbuuttttoonniinngg,, hhoollddiinngg,, ggrriippppiinngg,, bbaatthhiinngg,, ddrreessssiinngg eettcc..)) 쓰기, 단추 채우기, 책잡고 보기, 수화기 잡기, 커피통 뚜껑 열기, 장바구니 들기, 목욕하고 옷입기, 걸레질

3

3)) MMuullttiippllee cchhooiiccee

4

4)) SSccoorreess:: ffrroomm 11 ((mmiillddeesstt)) ttoo 55 ((mmoosstt sseevveerree))

(9)

Efficiency of the Boston Questionnaire in Carpal Tunnel Syndrome:

Comparing Scores with Provocation Tests and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Taewon Jeong, MD, Duck Sun Ahn, MD, PhD

Department of Plastic Surgery and Reconstructive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Purpose:We aimed to make a comparison of Boston Questionnaire scores with provocation tests and findings of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in patients with a carpal tunnel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The Boston Questionnaire was applied preoperatively for 248 hands in 142 patients with an idiopathic carpal tunnel syndrome. Boston Questionnaire scores were compared with provocation tests (Phalen’s test, Tinel’s sign, compression test and hand elevation test) and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Results:Correlation study between the Boston Questionnaire scores and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showed that the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correlated more with symptom severity score (Spearman coefficient, 0.545; p<0.01) than with functional status score (Spearman coefficient, 0.307; p<0.01). Symptom severity score and functional status scores of the Boston Questionnaire correlated more linearly with the hand elevation test than with other provocation tests.

Conclusion:This study demonstrates a high correlation of Boston Questionnaire scores with the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and the hand elevation test.

Keywords:Carpal tunnel syndrome, Boston Questionnaire, Provocation test

Received:October 21, 2011 Revised:November 26, 2011 Accepted:November 30, 2011

Correspondence to:Duck Sun Ahn, MD, PhD

Department of Plastic Surgery,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26-1 5-ga, Anam-dong, Seongbuk-gu, Seoul 136-705, Korea TEL:+82-2-920-5368 FAX:+82-2-922-7437 E-mail:dsahn@korea.ac.kr

수치

Table 2. Binary regression analysis of multiple variables showing correlation with provocation tests
Table 3. Binary regression analysis of multiple variables by forward selection method

참조

관련 문서

Chest X-ray: Posterio-anterior (PA) View - Left Anterior Oblique

영상은 피험자가 supine position에서 시행하고 ante- cubital fossa 부근에서 상완동맥의

[r]

과거에 미소체 항체(microsomal antigen)로 불리던 것 이 갑상선과산화효소(thyroperoxidase)임이 밝혀진 후 현 재는 이에 대한 자가 항체도

배경 정보시스템의 유지보수와 운영을 통합하여 수행하는 유지관리 용역 사업의 계획 사업자 선정 계약 장애대응 검사의 적정성 확보 필요 목적 감사결과 나타난

하지직거상 검사와 영상의학 검사상 추간판 탈출의 크기,모양,위치 등과의 상관관계에서 Thel ander등 14) 은 좌골 신경통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보존적 치 료

건강관련 행위 특성과 삶의 질을 비교한 결과 흡연 상태에 따른 삶의 질 점수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영역은 신체적 기능 영역,신체적 역할제한

According to above, liquid based cytology is considered to be adequate for routine oral examination or diagnostic tool for oral dysplasia and carcino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