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Bone Marrow Cellularity Measurement by Myelocrit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Bone Marrow Cellularity Measurement by Myelocrit"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골수검사는 다양한 혈액질환의 진단, 각종 질환의 골수 침범 확인, 백혈병 등의 치료 효과 판정, 조혈모세포 이식 후 조혈 정 도를 측정 등의 목적으로 시행된다[1]. 골수검사 판독은 세포충 실도 측정과 세포형태 관찰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세포충실도는 조혈정도를 판정하고 체내 백혈병세포 등 비정상 세포의 양을

판정하는데 유일한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현재 세포충실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골수 조직 슬라이드를 제작하여 염색 후 골수 내에서 유핵세포가 차지하고 있는 면적과 지방조직이 차 지하는 면적을 현미경하에서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방법뿐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관찰자 간 변이가 크고 객관성이 떨어져 정확 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1950년대부터 지방조직의 면적을 가능한 한 정확하게 비율로 계산하고자 하 는 시도가 있었지만 복잡한 판독 과정과 별도로 현미경에 머리 카락을 표지자로 이용해야 하는 등 번거로움 때문에 실용화되 지 못했다[2]. 이를 극복해보고자 최근에는 전신 자기공명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촬영으로 골수 내 지방 분포를 확인하여 세포충실도 측정에 보조적인 방법으로 사용하고자 하 는 시도가 있었으나 정확도가 떨어지고 특히 항암요법 후 추적 골수에서는 부정확하고 고가여서 호응을 받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3, 4]. 또한 지방조직 이외의 유핵세포들로 구성된 부

224 224 224 224 Received :July 6, 2009 Manuscript No :KJLM09-092 Revision received :March 11, 2010

Accepted :March 26, 2010

Corresponding author :Kyungja Han, M.D.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eoul St. Mary’s Hospital, 505 Banpo-dong, Seocho-gu, Seoul 137-701, Korea

Tel : +82-2-2258-1644, Fax : +82-2-2258-1719 E-mail : hankja@catholic.ac.kr

*본 논문은 2009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기초 연구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것임(2009-0087946).

ISSN 1598-6535 The Korean Society for Laboratory Medicine

Background : The bone marrow (BM) cellularity has been used as a major index for the evalua- tion of hematologic diseases and malignancies. However, the microscopic evaluation lacks objec- tivity because of considerable variations among different observers. We measured myelocrit cellu- larity as an objective method to evaluate the cellularity.

Methods : Between November 2007 and January 2008, 489 consecutive BM aspirates including 25 cases of AML D7 marrow (7 days after initiation of chemotherapy) were examined. The conven- tional BM cellularity was evaluated using BM needle biopsies after hematoxylin-eosin stain. EDTA- anticoagulated BM aspirates were put into the Wintrobe tubes, centrifuged and the thickness of 5 layers from the bottom was measured: RBC, buffy coat (BC), plasma, BM particle, and fat layers.

The myelocrit cellularity was defined as the ratio of BC to the BC plus fat layers.

Results : Both of the thickness of BC layer (r=0.721, P=0.000) and the myelocrit cellularity (r=0.735, P=0.000) correlated well with the conventional cellularity. However, the AML D7 BM cellularity corre- lated with BC layer (r=0.589, P=0.002), but not with the myelocrit cellularity (r=0.281, P=0.231). The cellularity of the BM other than AML D7 marrow showed a better correlation with the myelocrit cellu- larity (r=0.826, P=0.000) than the BC layer (r=0.713, P=0.000).

Conclusions : The myelocrit is a simple, reproducible and objective method to determine the BM cellularity. For accurate assessment of BM cellularity, measurement of the thickness of BC layer in AML D7 BM and of the myelocrit cellularity in other BM samples has better be used. (Korean J Lab Med 2010;30:224-30)

Key Words : Bone marrow, Cellularity, Myelocrit, Buffy coat, AML D7

Bone Marrow Cellularity Measurement by Myelocrit

Jiyoung Chang, M.D., Hunhee Park, Ph.D., Hyojin Chae, M.D., Myungshin Kim, M.D., Yonggoo Kim, M.D., and Kyungja Han, M.D.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2)

위라 해도 유핵세포들이 얼마나 밀집하여 존재하는가는 전혀 반 영되고 있지 않다. 이 외에도 골수흡입액 내 유핵세포 수 측정법 등 다른 방법들이 시도되어 왔으나 이들 역시 정확성에 문제가 많고 골수 조직입자들에 의한 자동장비 사용의 어려움과 인력소 모 등의 문제 때문에 아직 만족할 만한 방법은 없는 실정이다[5].

특히 가장 흔한 백혈병인 AML은 진단 및 치료 과정 중에 주기적 으로 골수 검사가 시행되는데, 일반적으로 항암제 치료 후 7일 에 골수 검사를 시행하여 세포충실도와 골수세포백분율을 조합 하여 골수에 남아 있는 백혈병세포의 양을 추정한 후 추가 항암 제 투여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1]. 그리고 항암제 치료 중에 주기 적으로 골수 검사를 시행하여 골수 내 남아 있는 백혈병세포의 양이 얼마나 감소했는지 처음 실시한 골수검사 시와 비교하여 파악한다. 그러나 항암제 치료 과정 중에 있는 골수는 항암제에 의해 유핵세포들이 대부분 파괴되고 지방세포의 증식이 완전하 지 않아 골수의 형태가 변화되어 골수판독 전문가라도 정확한 세포충실도 측정이 거의 불가능하다. 백혈병 이외의 다른 암으 로 항암제 치료를 받게 될 때도 골수기능억제는 가장 흔한 부작 용 중 하나로 항암제 투여량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골수기능은 일반적으로 항암제 치료 후 10-14일 사이에 최저점에 도달하고 3-4주가 되면 정상으로 회복되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골수기능 부전이 일어나 치명적인 상황에 이르게 된다. 이렇듯 골수기능 억제 소견이 나타나게 되면 또한 골수 검사를 실시해서 세포충 실도를 측정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억제된 골수기능이 언제 정상 화될 것인지를 판정한 후 항암제 투여량을 변경하게 된다. 따라

서 정확한 세포충실도 측정은 백혈병과 암 치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다.

Myelocrit은 골수흡입액을 말초 혈액의 적혈구용적률 측정 과 같이 항응고 시킨 후 유리 튜브에 담아 원심분리하여 골수흡 입액 내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적혈구, 유핵세포층이 혈장 밑에 가라앉고 혈장층 위에 지방층이 분리된다고 알려져 있다[6].

그러나 저자들은 myelocrit 측정 시 혈장 위에 뜨는 층이 육안 으로 두 개의 층으로 구분되며 지방층과 골수 조직입자 층으로 나누어짐을 발견하였고(Fig. 1), 이를 바탕으로 세포충실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고안하고 이용한 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1. 대상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에서 2007년 11월부터 2008년 1월까 지 골수천자로 얻은 골수흡입액 중 적절한 검체로 판명된 489명 의 검체(전체 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유도 화학요법 개시 후 7일째 검체가 25개(D7군), 기타 골수 검체가 464개(전체-D7군)였다. 기타 골수검체 중 25예는 급성백혈병 진단 시 골수검체였으며 19예는 만성골수성백혈병, 만성기 진단 시 골수검체였다. 환자의 연령 분포는 1세에서 73세 였으며 남자가 293명, 여자가 196명이었다.

A

B

C

D

Fig. 1. Myelocrit measurement of a normal bone marrow aspirate sam- ple in Wintrobe tube and microsco- pic findings of the separated lay- ers. From the surface, 5 layers are well separated: fat (A, oil red O stain,

×100), bone marrow particle (B, Wright stain, ×100), plasma, nucle- ated cells (C, Wright stain, ×200) and red blood cells (D, Wright stain,

×200).

A B

C D

(3)

2. 방법

1) 기존 세포충실도 측정

세포충실도는 골수생검표본을 탈석회화한 후 파라핀포매하여 hematoxylin & eosin 염색 후 현미경 100배 시야에서 전체 골 수 내 면적 중 조혈세포가 차지하는 면적을 백분율로 측정하여 도말에서의 골수입자와 골수생검에서 관찰한 값을 종합하여 구 하고 평균값을 저자 중 2명이 관찰하여 합의한 값을 사용하였다.

2) Myelocrit측정

골수흡입 시 처음 흡입되는 검체는 슬라이드 도말에 이용하고 이후 응고절편 제작을 위하여 추가로 흡입한 골수흡입액을 ED- TA로 항응고시키고 검체량이 1.5 mL 이상인 예들을 대상으로 Pasteur 피펫으로 직경 3.0±0.25 mm, 길이 120 mm의 1회용 Wintrobe ESR 튜브에 10 cm 높이(눈금 10.1)까지 0.7 mL를 담아 2,200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육안으로 나누어진 각 층의 두께를 mm 단위로 측정하였다.

원심분리 결과 골수적혈구층, 유핵세포층, 혈장층, 골수입자 층, 지방층의 5층으로 분리되었다(Fig. 1). Myelocrit 세포율은 말초혈액에 의한 희석요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핵세포층과 지 방층 두께의 합에 대한 유핵세포층 두께의 비로 구하였다.

재현성을 알아보기 위해 30예에서는 동일 골수 흡입액을 2개 의 Wintrobe 튜브에 나누어 담고 myelocrit를 중복 측정하였다.

3) 통계

MedCalc Statistical Software 9.3.8.0 (MedCalc Software, Mariakerke, Belgium)를 이용하였으며 각층의 두께 평균과 표 준편차로 표시하였다. 각 지표들의 골수세포율과의 관계는 Pear- son의 상관분석법을 이용하였고 유의수준은 0.05 이하로 하였다.

결 과

1. 세포충실도 분포

세포충실도는 5%에서 100%까지 다양하였으며 AML D7 골 수는 판정이 어려운 예가 많았다(Fig. 2).

2. Myelocrit 각층의 두께 분포

전체 군의 각층 두께 분포는 적혈구층 평균 26.1 mm (2.5- 52.5), 유핵 세포층 평균7.5 mm (0.0-58.0), 혈장층 평균 54.9

mm (9.9-81.0), 골수 조직입자층 평균 3.70 mm (0.0-38.0), 지방층 평균 4.9 mm (0-33.0)이었으며 각 질환별로 다양한 양상을 나타냈다(Fig. 2). 급성백혈병의 경우에는 hypoplastic AML을 제외하고는 세포충실도가 95% 이상이었는데 myelocrit 상에서도 지방층은 0-1.0 mm로 없거나 매우 얇았으며 유핵세 포층은 3.2 mm에서 55 mm로 매우 두꺼웠다. 그러나 조직입자 층은 골수흡입상태에 따라 0 mm에서 3 mm로 다양하게 관찰 되었다. 만성골수성백혈병, 만성기 환자에서는 세포충실도가 거 의 모두 100%였는데 myelocrit상에서도 지방층은 거의 관찰되 지 않았고 유핵세포층은 2.5 mm에서 58 mm로 매우 두꺼웠다.

그러나 조직입자층은 0 mm에서 7.5 mm로 다양하였다. 재생불 량성빈혈 환자에서는 골수세포율이 5-25%였는데 myelocrit상 에서는 지방층이 1.5 mm에서 22 mm로 매우 두꺼워져 있었으 며 유핵세포층은 0.1 mm에서 1.5 mm로 얇아져 있었다(Table 1, Fig. 2).

A B C

Fig. 2. Myelocrits of bone marrow aspirates of patients with vari- ous diseases. The myelocrit of aplastic anemia (A) shows a long fat layer (22 mm), particle layer (10 mm), plasma layer and a small buffy coat layer (2 mm). The myelocrits of acute leukemia (B) show very large buffy coat layers and thin fat layers without (left) or with (right) a bone marrow particle layer. The myelocrits of AML 7 days after chemotherapy (C) show indistinct fat and bone marrow par- ticle layers with (5 mm, left) or without (<0.5 mm, right) distinct nucleated cell layers. The bone marrow smear of the case with distinct nucleated cell layer shows remaining leukemic cells. How- ever, that of the case without distinct nucleated cell layer shows no definite leukemic cells.

(4)

세포충실도를 관찰하기 쉽지 않은 AML 환자의 화학요법 후 7일 째인 AML D7 골수 25개의 결과는 적혈구층 평균 26.1 mm (17.7-32.0), 유핵세포층 평균 1.4 mm (0.0-5.0), 혈장층 평균 71.4 mm (55.7-78.9), 조직입자층 평균 0.3 mm (0.0-2.3), 지방층 평균 0.2 mm (0.0-33.0)로서 AML D7군은 다른 예들 에 비해 적은 유핵세포층과 지방층 두께를 나타냈다. 유핵 세포 층의 두께는 대부분 1 mm 이내로 매우 얇았으나 백혈병 세포 가 다수 남아 있는 경우에는 최고 5 mm 두께로 관찰되었다(Fig.

2). 지방층의 두께는 대부분 불분명하였으나 저세포성 AML 예 에서는 33 mm로 두껍게 관찰되었다. AML D7 골수를 제외한 464개의 골수결과는 적혈구층 평균 26.1 mm (17.7-32.0), 유 핵세포층 평균 8.1 mm (0.0-5.8), 혈장층 평균 53.9 mm (10- 81). 조직입자층 평균 3.99 mm (0-38), 지방층 평균 5.38 mm (0-33)이었다(Table 2).

3. Myelocrit 각층 두께와 세포충실도 간의 상관성 분석

전체 군의 각층 두께와 세포충실도 간의 상관성은 적혈구층 (r=-0.187, P=0.000), 유핵세포층(r=0.721, P=0.000), 혈장층 (r=-0.170, P=0.000), 조직입자층(r=-0.152, P=0.001), 지방 층(r=-0.414, P=0.000), myelocrit 세포율(r=0.735, P=0.000) 로 유핵세포층 두께와 myelocrit 세포율이 높은 상관성을 나타 냈다. AML D7 골수에서는 각층 두께와 세포충실도와의 상관성 이 적혈구층(r=-0.181, P=0.387), 유핵 세포층(r=0.589, P= 0.002), 혈장층(r=0.054, P=0.798), 조직입자층(r=-0.152, P= 0.469), 지방층(r=-0.102, P=0.628), myelocrit 세포율(r=0.281, P=0.231)로 유핵세포층 두께만이 세포충실도와 상관성이 있었 고 전체 군과는 달리 myelocrit 세포율과는 상관성이 없었다.

AML D7골수를 제외한 464개의 전체-D7 골수에서는 각층 두께와 세포충실도와의 상관성을 보면 적혈구층(r=-0.194, P= 0.000), 유핵 세포층(r=0.713, P=0.000), 혈장층(r=-0.157, P=

*mm, mean±SD, range in parenthesis.

Abbreviation: CP, chronic phase.

Group RBC Buffy coat Plasma BM particle Fat

Acute leukemia (N=25) 18.7±5.9* (3.6-26.0) 24.0±15.2 (3.2-55.0) 53.7±13.4 (25.0-76.5) 0.3±0.8 (0-3.0) 0.4±0.7 (0-1.0) CML, CP (N=19) 27.8±7.8 (2.0-43.0) 24.7±15.6 (2.5-58.0) 42.7±13.2 (11.0-63.2) 1.2±2.7 (0-7.5) 1.0±2.6 (0-11.0) Aplastic anemia (N=6) 25.3±8.1 (14.0-34.5) 1.2±1.5 (0.1-1.5) 60.5±11.7 (48.4-78.5) 3.0±3.9 (0-10.0) 7.8±7.4 (1.5-22.0) Table 1. Myelocrits of patients according to diagnosis

*Myelocrit cellularity: thickness of nucleated cell layer/thickness of nucleated cell layer+thickness of fat layer; mm, mean±SD.

Group BM cellularity

RBC Buffy coat Plasma BM particle Fat (%) Myelocrit

cellularity* (%)

Total (N=489) 26.1±7.3 7.5±8.9 54.9±11.8 3.7±5.2 4.9±5.5 44.1±26.9 57.5±30.0

AML D7 (N=25) 26.1±3.6 1.4±1.4 71.4±5.4 0.3±0.5 0.2±0.3 20.4±15.4 85.4±21.0

Others (N=464) 26.1±7.5 8.1±9.1 53.9±11.4 3.9±5.3 5.3±5.5 45.1±27.3 55.4±29.4

Table 2. Myelocrits of AML D7 patients in comparison with others

*Significant correlations (r>0.5, P<0.05); Myelocrit cellularity: thickness of nucleated cell layer/thickness of nucleated cell layer+thickness of fat layer.

Group RBC Buffy coat* Plasma BM particle Fat Myelocrit

cellularity*,

Total -0.187 0.721 -0.170 -0.152 -0.414 0.735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AML D7 -0.181 0.589 0.054 -0.152 -0.102 0.281

(0.387) (0.002) (0.798) (0.469) (0.628) (0.231)

Others -0.194 0.713 -0.157 -0.173 -0.478 0.826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Table 3. Correlations of myelocrit cellularities to bone marrow cellularities in patients

r (P) r (P) r (P) r (P) r (P) r (P)

(5)

0.001), 조직입자층(r=-0.173, P=0.000), 지방층(r=-0.478, P=0.000), myelocrit 세포율(r=0.826, P=0.000)로 myelocrit 세포율이 세포충실도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Table 3).

이 외에 말초혈액 혈색소치, 혈소판 수는 세포충실도와 유의 한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P>0.05), 호중구 수는 매우 낮 은 상관성을 나타냈다(P<0.05, 전체 군, r=0.244; D7군, r=

0.092; 전체-D7군, r=0.242).

4. Myelocrit의 중복 검사 결과

30예의 골수 검체를 이용한 중복 검사 결과 각층의 두께는 매

우 일정하였으며 변이는 5% 이하였다(Fig. 3). 그러나 Pasteur 피펫을 이용하여 수회 골수 흡입액을 재부유시키면 골수조직입 자들이 파괴되어 지방층 두께, 유핵세포층 두께와 적혈구층이 비례하여 증가하면서 골수입자층은 얇아졌으며 myelocrit 세포 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고 찰

세포충실도를 객관적인 방법으로 측정해보고자 하는 노력은 과거부터 있었으나 아직 정확하다고 인정되는 방법이 없어서 골 수조직표본을 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대략적인 지방 넓이와 세 포들이 차지하는 면적을 가늠하여 세포충실도를 정하고 있는 실 정이다.

본 방법은 과거에 개발된 myelocrit법을 이용하여 객관적으 로 정확하게 세포충실도를 측정하도록 고안한 방법이다. Mye- locrit은 골수 내 존재하는 여러 가지 부분들이 비중에 따라 원 심분리 시 다른 층으로 분리되는 것을 이용한 것인데 이론적으 로 골수강은 지방과 세포들로 채워지고 세포들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면 지방부위가 감소하고 세포들이 적어지면서 지방부위 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AML D7 골수는 항암 제 투여 후 기간이 짧아서 아직 지방세포들의 재생이 덜 된 경우 가 많아 현미경하에서 세포충실도 판정이 어려운 예가 많은데 본 연구 대상 예에서도 세포충실도 판정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 다(Fig. 4). Myelocrit 각층의 두께는 질병군에 따라 달랐는데 급성백혈병의 경우에는 저세포성 AML을 제외하고는 세포충실 도가 95% 이상이었으며 myelocrit상에서도 지방층은 미미하였 고 유핵세포층은 매우 두꺼웠다. 특히 만성골수성백혈병에서는 가장 두꺼운 유핵세포층을 나타냈다. 이로서 형태학적으로 유사

A B

Fig. 3. (A) Duplication of myel- ocrit test shows less than 5% of variation in thickness of each layer. (B) After resuspension of the bone marrow aspirates using Pasteur pipette several times, the thickness of bone marrow particle layer decreases and that of other layers increases proportionally.

A B

Fig. 4. The bone marrow biopsy of an AML patient 7 days after chemotherapy (A) shows sparsely distributed nucleated cells with incom- plete regeneration of fat compared to a normal bone marrow (B) (hematoxylin and eosin stain, ×100).

(6)

한 세포충실도로 판정되는 골수들에서는 진단에 따라 실제 골수 내 유핵세포수는 차이가 있음을 myelocrit을 통하여 알 수 있었 다. 반면 재생불량성빈혈 골수는 매우 두꺼운 지방층과 얇은 유 핵세포층을 나타내어 저세포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불량성빈 혈의 객관적인 진단에도 myelocrit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 다. 조직입자층은 골수흡입검체 내의 조직입자가 얼마나 많이 포 함되느냐에 따라 두께가 달라질 수밖에 없는데 골수가 거의 백 혈병세포로 꽉 찬 골수에서도 조직입자층의 두께는 다양하게 관 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혈장 위의 부유층을 모두 지방 층으로 계산하면 세포충실도 판정이 부정확함을 알 수 있었다.

Myelocrit 세포율은 세포충실도가 골수 내 지방과 세포들이 차 지하는 부위에 대한 세포들이 차지하는 부위의 비라는 이론에 근거하여 유핵세포층 두께를 지방층 두께와 유핵세포층 두께의 합으로 나눈 값으로 구하였다. 지방세포의 재생이 완전한 전체- D7 골수에서는 이 myelocrit 세포율이 가장 상관성이 우수하게 세포충실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AML D7 골수에 서는 지방층 재생이 불완전하여 지방층 두께를 이용한 세포충실 도 측정은 불가능하였으며 Myelocrit상 유핵세포층의 두께가 치료 이전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여 현미경으로 판단한 세포충 실도와 우수한 상관성을 보였다. 이 경우에는 현미경으로 판단 한 세포충실도의 재현성이 낮고, 관찰자 간 변이가 큰 점을 고려 하면 매우 객관적이고 우수한 방법으로 기여도가 클 것으로 생 각되었다. 특히 본 myelocrit법은 재현성이 우수하며 백혈병세 포가 다수 남아있는 D7골수에서는 화학요법 유도가 잘된 경우 에 비해 월등하게 두꺼운 유핵세포층을 보임으로서 감별진단에 도 도움을 줄 수 있어 그 유용성이 큼을 알 수 있었다. 지방층의 두께는 AML D7 골수에서는 대부분 얇았으나 저세포성 AML 예에서는 33 mm로 두껍게 관찰되었다. 이는 화학요법 이전에 골수에 존재하던 지방은 화학요법 후에도 건재함을 의미한다.

말초혈액 혈색소치, 혈소판 수, 호중구 수 등 말초혈액 세포 수는 세포충실도와 매우 낮은 상관성을 나타내어 세포충실도 판 정에는 유용성에 한계가 있음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myelocrit 세포율을 이용한 세포충실도 측정법 은 쉽고 간단하고 빠른 방법이면서도 객관적이고 재현성이 우 수하여 현미경 검경에 의한 판독에 보조적으로 이용하면 골수검 사의 정확한 판독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현미 경으로 세포충실도 판정이 어려운 화학요법 후 7일째 골수에서 는 세포충실도를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었으나 myelocrit법 으로 유핵세포층 두께를 이용하면 세포충실도 판정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잔존 백혈병 세포의 존재 여부를 판정하는데도 보조 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일반 골수검사 시

myelocrit을 측정하는 것을 추천한다.

요 약

배경 : 세포충실도는 다양한 혈액종양 질환에서 골수흡입액의 조직학적 표본으로 알 수 있는 혈액학적 지표이다. 그러나 세포 충실도는 관찰자 간 변이가 크고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세포충실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myelocrit 세포율을 측정하였다.

방법 : 2007년 11월부터 2008년 1월까지 골수흡입액 및 골수 생검이 의뢰된 489명의 검체를 대상으로 하였고 25예의 급성골 수성백혈병 환자의 유도 화학요법 개시 후 7일째 검체를 포함하 였다. 세포충실도는 골수생검표본을 hematoxylin-eosin 염색 후 관찰하였다. EDTA가 혼합된 골수흡입액을 Pasteur 피펫으 로 Wintrobe 튜브에 담아 원심분리 한 후 육안으로 나누어진 각 층의 두께를 mm 단위로 측정하였다. 원심분리 결과 골수 적혈 구층, 유핵세포층, 혈장층, 골수입자층, 지방층으로 분리되었고 여기서 myelocrit 세포율은 유핵세포층 두께를 유핵세포층과 지방층 두께의 합으로 나눈 것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 전체 489검체에서 현미경상에서 판단한 세포충실도와 유핵세포층의 두께는 상관성이 있었고(r=0.721, P=0.000), mye- locrit 세포율과도 상관성이 있었다(r=0.735, P=0.000). 세포 충실도를 관찰하기 쉽지 않은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화학요 법후 7일째 검체(25개)에서 세포충실도와 유핵세포층과는 서로 상관성이 있었으나(r=0.589, P=0.002) myelocrit 세포율과는 상관성이 없었다(r=0.281, P=0.231). 화학요법 후 7일째의 경 우를 제외한 464개의 골수결과에서는 세포충실도와 myelocrit 세포율이 좋은 상관성을 보였으며(r=0.826, P=0.000), 유핵세 포층과도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나(r=0.713, P=0.000) mye- locrit 세포율보다는 상관성이 약했다.

결론 : Myelocrit 세포율을 이용한 세포충실도의 측정법은 간 단하면서도 재현성이 우수하며 객관적인 방법이다. 보조적 진 단으로 골수회복이 되지 않은 화학요법 후 7일째 골수의 경우에 는 유핵세포층의 두께를, 화학요법후 7일째인 골수를 제외한 나 머지 골수에서는 myelocrit 세포율 이용을 추천한다.

참고문헌

1. Dirnhofer S, Went P, Tichelli A. Diagnostic problems in follow-up bone marrow biopsies of patients treated for acute and chronic leukaemias and MDS. Pathobiology 2007;74:115-20.

(7)

2. Hartsock RJ, Smith EB, Petty CS. Normal variations with aging of the amount of hematopoietic tissue in bone marrow from the ante- rior iliac crest. A study made from 177 cases of sudden death exa- mined by necropsy. Am J Clin Pathol 1965;43:326-31.

3. Alyas F, Saifuddin A, Connell D. MR imaging evaluation of the bone marrow and marrow infiltrative disorders of the lumbar spine. Magn Reson Imaging Clin N Am 2007;15:199-219.

4. Richards MA, Webb JA, Malik S, Jewell SE, Amess JA, Lister TA.

Low field streng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bone marrow in

acute leukaemia. Hematol Oncol 1988;6:285-90.

5. Khalil F, Cualing H, Cogburn J, Miles L. The criteria for bone mar- row recovery post-myelosuppressive therapy for acute myeloge- nous leukemia: a quantitative study. Arch Pathol Lab Med 2007;

131:1281-9.

6. Marmont A and Fusco F. Quantitative studies on aspirated human bone marrow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hematocrit patterns in major blood disorders. Acta Med Scand 1951;139:387-411.

수치

Fig. 1. Myelocrit measurement of a normal bone marrow aspirate  sam-ple in Wintrobe tube and  microsco-pic findings of the separated  lay-ers
Fig. 2. Myelocrits of bone marrow aspirates of patients with vari- vari-ous diseases. The myelocrit of aplastic anemia (A) shows a long fat layer (22 mm), particle layer (10 mm), plasma layer and a small buffy coat layer (2 mm)
Table 3. Correlations of myelocrit cellularities to bone marrow cellularities in patients
Fig. 3. (A) Duplication of myel- myel-ocrit test shows less than 5% of variation in thickness of each layer

참조

관련 문서

model development and empirical testing. Brand authenticity: Towards a deeper understanding of its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Brand authenticity: Testing

Approved clinical use of bone marrow stem cells for myocardial infarction treatment... Cardiac

generalized least square algorithm using variograms as weighting functions. With the least square algorithm, the estimate becomes unbiased and its variance becomes

Graph showing improving Constant Shoulder Score in both groups but more improvement in autologous bone marrow injection group which is statistically

In this paper, photosensitivity measurement interferometer using a Electronic Speckle Pattern Interferometry theory develope and verify through a comparative

The effectiveness of the micro-jitter attenuation capability of the SMA mesh washer gear was demonstrated by the miro-jitter measurement tests by using a 2-axis

(A) direct transition.. The standard geometry for the Hall effect measurement... Experimental arrangement for a resistivity measurement.. Generalized Hall

This study analyzed auto measurement network data manag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beyond the security of data through scientific field survey and dir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