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MR Imaging Findings of Fatigue Fractures of Lower Extremity in Young Soldier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MR Imaging Findings of Fatigue Fractures of Lower Extremity in Young Soldiers"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긴장골절(stress fracture)은 골의 특정한 위치에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힘이 가해질 때 발생하는데, 정상골에 비정상적인 힘이 가해질 때 발생하는 피로골절(fatigue fracture)과 탄력저 항(elastic resistance)에 결함이 있는 비정상 골에 정상적인 힘 이 가해질 때 발생하는 기능부전골절(insufficiency fracture)의 2가지 유형이 있다( 1 - 3 ) .

피로골절은 주로 군인, 운동선수, 무용가 등 지속적이고 활 동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들의 체중부하골에 주로 발생하는데, 이 중 경골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기능부전골절은 폐경 후 골다공증을 가지고 있는 노인 여성에서 많이 발생한다( 1 - 5 ) .

피로골절의 초기 단순방사선 소견으로 골수경화, 피질골절 선 및 골막 신생골 형성 등이 있는데(6), 이들은 1 5 - 4 0 %정도 의 낮은 예민도를 보이며, 약 절반에서만 나중에 골절선이 나 타나며(3, 7), 골종양 등 다른 골질환과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 자기공명영상은 피로골절의 병리생리학적인 변화를 효과적으로 잘 반영하여 초기 진단에 예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8, 9). 이에 저자들은 피로골절의 특징적인 자기

공명영상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9 9 6년 4월부터 1 9 9 7년 1 2월까지 하지의 동통과 압통을 주 소로 국립경찰병원에 내원하여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후 임 상 소견과 추적 단순방사선 소견으로 진단한 피로골절 환자 2 0명의 2 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2명의 환자는 양측성으로 있 었고, 모든 환자에서 특이할 만한 외상의 과거력은 없었다. 환 자들의 연령 분포는 1 9세에서 2 1세이었으며 모두 남자이었고 직업은 군인(전경)이었다. 환자들의 증상 기간은 1일에서 4 5 일까지로 평균 2 3일이었으며, 자기공명영상 시행 시기는 증상 발현으로부터 1 0일에서 6 0일까지로 평균 3 5일이었다.

사용한 자기공명영상 기기는 0.5 T 초전도영상장치( G y r o s - can, Philips, Netherlands)이고, 표면코일을 이용하여 스핀에코 기법으로 T1 강조영상(TR/ TE=375-500/21-25), T2 강조영상 (TR/TE =1800/90)을 얻었는데 축상영상은 절편두께 3 - 1 0 mm, 절편간격 1.0-2.0 mm, 관심역 150-200 mm, 격자크기 1 7 9×

256 이었고, 시상영상은 절편두께 3-4 mm, 절편간격 0 . 3 - 1 . 0 mm, 관심역 300-375 mm, 격자크기 1 7 9×256 이었다.

젊은 군인의 하지에 발생한 피로골절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1

모종현・박진균2・문성희・김영복・박양희

목적: 젊은 군인의 하지에 발생한 피로골절의 특징적인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고 임상소견과 단순방사선 추적검사로 진단한 피로골절

환자 2 0명의 2 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 분포는 1 9 - 2 1세 사이였으며, 모두 남자 군인(전 경)이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 골수부종, 골수내 저신호 강도의 띠, 피질골절선, 골막반응, 주 위연부조직 부종 및 조영증강 부위 등을 분석하였고, 피로골절의 침범부위는 축상영상에서 결정하였다.

결과: 피로골절의 위치는 경골이 1 2예, 비골이 8예, 대퇴골과 제2 중족골이 각각 1예이었다. 전 예에서 골간에 위치하였고, 근위부와 중간부의 접합부에 1 0예, 중간부에 9예, 근위부에 2예, 원 위부에 1예 위치하였다. 축상 영상에서 침범 부위는 경골의 경우 후내측과 내측에 각각 6예이 었으며, 비골의 경우 8예 중 5예에서 골전체를 침범하였다. 자기공명영상에서 골수부종은 2 0예 (90%), 피질이나 피질골절선에 연결된 골수내 저신호 강도의 띠는 1 4예(64%), 피질골절선은 1 3예( 5 9 % )이었고, 골막반응과 주위연부조직 부종은 전예에서 관찰되었다. 조영제 주입 후 골 수는 1 9예(86%), 골막하부위는 1 8예(82%), 그리고 주위연부조직은 전예에서 조영증강되었다.

결론: 젊은 군인의 하지에 발생한 피로골절은 주로 경골과 비골에서 발생하였으며 특징적인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골수부위에서 관찰되는 저신호 강도의 이었으며 이는 피질이나 피질골 절선에 연결되었고 흔히 골수부종, 골막반응 및 주위연부조직부종을 동반하였다.

1국립경찰병원 진단방사선과

2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이 논문은 1 9 9 8년 1 1월 1 0일 접수하여 1 9 9 9년 1월 4일에 채택되었음.

(2)

Gadolinium-DTPA (Magnevist, Schering, Germany)를 정맥주사 한 후 조영증강영상을 얻었다.

영상소견의 분석은 자기공명영상에서 골수부종, 골수내 저 신호 강도의 띠, 피질골절선, 골막반응, 주위연부조직 부종, 그 리고 조영증강 부위와 정도을 분석하였다. 피로골절의 침범부 위는 축상영상에서 결정하였으며, 전체 골수와 피질골을 침범 하고 피질골 전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골막반응과 주위연부조 직 부종을 보인 경우 골전체(entire portion)가 침범한 것으로 정하였다. 골수내 저신호 강도의 띠와 피질골절선은 시상영상 에서 횡단, 사행 및 종단으로 나누었고, 조영제 주입 후 조영 증강 정도를 없음(no), 경도(mild), 중등도(moderate), 고도 ( m a r k e d )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 과

하지의 피로골절의 위치는 경골이 1 2예( 5 5 % )로 가장 많았 고, 비골이 8예(35%), 대퇴골과 제2 중족골이 각각 1예이었다.

전예에서 골간에 위치하였고, 근위부와 중간부의 접합부에 1 0 예(41%), 중간부에 9예(35%), 근위부에 2예(9%), 그리고 원 위부에 1예( 5 % )이었다. 자기공명영상의 축상영상에서 침범부 위는 경골의 경우 후내측과 내측이 각각 6예이었으며, 비골의 경우 골전체에 5예, 내측에 2예, 후내측에 1예이었다. 대퇴골 의 경우 내측을, 제2 중족골의 경우 골전체를 침범하였다.

자기공명영상에서 골수부종은 2 0예( 9 0 % )에서 보였는데 모두 경계가 불분명하였다. 골수부종내에 T1 과 T2 강조영상에서 저 신호 강도의 띠가 1 4예( 6 4 % )에서 보였는데, 시상영상에서 횡단 방향이 7예, 사행방향이 5예, 종단방향이 2예이었고, 모두 피질 이나 피질골절선에 연결되었다. 피질골절선은 1 3예( 5 9 % )에서 보였는데 시상영상에서 사행골절 1 0예, 횡단골절 3예이었다 (Fig. 1). 단순방사선 사진에서 피로골절선은 7예( 3 2 % )에서 보 였고 모두 사행골절이었다. 자기공명영상의 축상영상에서 골막 반응과 주위연부조직 부종은 전예에서 보였는데 모두 골절 인 접부위에 위치하여 경골의 경우 내측 피질골( 6예)과 후내측 피 질골( 6예)(Fig. 2) 주위에, 비골의 경우 골전체를 침범한 5예에

A

D

B C

Fig. 1. Fatigue fracture of the left fibula in a 19-year-old man.

A . Initial plain radiograph shows thin periosteal reaction in medial fibula(arrows).

B-D. MRI obtained 2 weeks after plain radiograph. T1 weighted oblique coronal im- age(B) shows bone marrow edema. T2 weighted oblique coronal image(C) shows in- tramedullary low signal intensity band(arrow) which is continuous with cortex as well as surrounding bone marrow edema in marrow space. High signal intensity in subperiosteal region(open arrow) and surrounding soft tissue edema(arrowheads) were noted. Gadolinium-enhanced T1 weighted axial image(D) demonstrates marked enhancement in bone marrow and surrounding soft tissue(arrowheads) and mild enhancement in subperiosteal region(open arrows), involving entire portion of fibula. Periosteal reaction involving same site is seen.

(3)

서 전체 피질골 주위에 위치하였다(Table 1)(Fig. 1). 조영제 주 입 후 골수는 1 9예(86%), 골막하부위는 1 8예(82%), 주위연부조 직은 전예에서 조영증강이 되었고 조영증강 정도는 주로 골수 에서는 중등도( 1 0예, 45%), 골막하부위는 경도( 1 6예, 73%), 주위 연부조직에서는 고도( 1 1예, 50%)로 관찰되었다.

고 찰

긴장골절에는 피로골절과 기능부전골절이 있는데 피로골절 은 정상 기질과 탄력저항을 가진 정상골에 지속적이고 비정 상적인 근육의 긴장이나 회전력이 가해질 때 발생하고 기능 부전골절은 기질이나 탄력저항에 결함이 있는 비정상 골에 정상적이거나 생리적인 근육 활동이 가해져서 발생한다( 1 - 3 ) . 기능부전골절은 폐경 후 골다공증 여성에게 주로 발생하나, 골연화증, 신성골이양증, 류마티스양 괄절염, 당뇨, 방사선 치 료 후나 부신피질호르몬의 사용 후 등에서도 발생하며, 주로 천골, 골반, 경골 편평면에 위치한다( 1 - 5 ) .

피로골절은 군인과 운동선수에서 많이 발생하며, 운동 중 달리기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발레, 에어로빅 등에서도 발 생한다. 피로골절은 하지에서 약 9 5 %가 발생하며, 과거에는 중족골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곳으로 알려졌지만(10), 최근에 는 경골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그 외에 족근골, 중족골, 대 퇴골, 비골, 골반, 종자골, 늑골, 그리고 척추 등에서도 발생하 며(5, 10, 11), 경골과 비골의 경우 후내측을, 치골과 수족골의 경우 골전체를 침범한다고 보고하고 있다(1-4). 군인의 경우

위와 비슷한 분포를 보이는데, 과거 중족골에 대부분 발생했 던 것에 비해 경골과 대퇴골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Giladi(12) 등은 운동과 행군의 강조와 더불어 현대 전투 에 적응하기 위한 새로운 훈련 개념의 변화, 새로운 장비의 발달, 비전투시의 생활양식의 변화, 그리고 진단을 위한 핵의 학 검사의 증가 등을 그 이유로 설명하였다. 저자들의 경우에 도 경골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축상영상에서 경골의 경우 후내측과 내측에 침범하였으나 비골과 중족골 등 직경이 작 은 골은 주로 골전체를 침범한 완전골절의 형태를 보였다.

피로골절의 진단은 환자의 병력, 이학적 검사, 방사선학적 소견 및 핵의학 검사로 이루어진다. 환자는 특별한 활동과 관 련이 있는 동통을 일으키고 동통은 서서히 발생한다. 동통은 휴식에 의해 좋아지며, 활동을 계속하면 동통은 지속적으로 일어난다. 이학적 검사에서 국소 동통과 압통, 종창, 열감, 탈 색화 등을 보일 수 있다(1-3).

단순방사선 소견은 손상 부위와 파골세포의 흡수, 골모세포 의 재생, 골막신생골의 형성 등의 시간적인 관계, 그리고 물리 적 활동의 정도에 따라 좌우되며, 초기에는 주로 정상적으로 보이나 골수경화, 피질골절선 및 골막신생골 형성 등이 나타나 기도 한다(6). 해면골에서는 골소주( t r a b e c u l a )와 평행하게 주행 하는 국소 경화로 보이고, 피질골에서는 피질내에 방사선투과 성의 증가, 골막신생골 형성, 골내막신생골 형성이 일어나며 피 질골절선과 국소적 골막 비후 등의 소견이 나타나게 된다( 1 - 3 , 6). 그러나, 초기 단순방사선 소견은 15-40 %정도의 낮은 예민 도를 나타내고, 약 절반에서만 나중에 골절선이 나타난다(7).

핵의학 검사는 초기 피로골절 진단시 단순방사선 검사보다 예 민도가 높은 검사로, 95 %이상에서 6 - 7 2시간 이내에 양성 소견을 보인다. 그 후 2 - 3개월 사이에 섭취가 증가하면서 국소적인 방추 형의 진한 섭취가 나타나고, 3개월 이후에는 섭취가 점점 감소하 면서 대부분의 경우 2년 이내에 정상 소견을 보인다. 그러나 국소 섭취 증가는 비특이적인 소견으로 골수염, 유골골종, 호산구성육 아종, 유잉육종, 골육종, 전이암에서도나타날 수 있다(12, 13).

자기공명영상은 골수와 주위연부조직의 변화를 나타내는데 민감한 검사법으로(14), 피로골절과 연관된 초기 병리생리학 적 변화에 예민하다(8, 9). Tyrrell 등( 9 )은 피로골절의 특징적 인 자기공명영상의 소견으로 1) 골수내 저신호 강도의 띠가 피질에 이어져 있고 2) 골수내 저신호 강도의 띠 주위로 T 1

Fig. 2. Fatigue fracture of the right tib- ia in a 20-year-old man.

A . T1 weighted axial image shows fo- cal bone marrow edema(long arrow) and periostal reaction(short arrow) at posteromedial side of tibia

B . Gadolinium enhanced T1 weighted axial image demonstrates mild en- hancement in bone marrow and sub- periosteal region(arrow) and marked enhancement in surrounding soft tis- sue(arrowheads).

A B

Table 1. MRI Findings of Fatigue Fractures (N=22)

MRI findings No. of Cases %

Bone marrow edema 2 0 9 0

Intramedullary low signal intensity band 1 4 6 4

T r a n s v e r s e 7

O b l i q u e 5

L o n g i t u d i n a l 2

Cortical fracture line 1 3 5 9

O b l i q u e 1 0

T r a n s v e r s e 3

Periosteal reaction 2 2 1 0 0

Surrounding soft tissue edema 2 2 1 0 0

(4)

강조영상에서 저신호, T2 강조영상과 STIR 영상에서 고신호 강도로 보이는 골수부종 또는 골수출혈이 있고 3) 골막에 T 1 강조영상에서 저신호, T2 강조영상과 STIR 영상에서 고신호 강도로 나타나는 골막부종 또는 골막출혈이 있다고 하였다.

Mink 등( 1 5 )은 자기공명영상에서 2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는데 골수내에서 T1 과 T2 강조영상에서 저신호 강도의 띠가 나타 나는 선형(linear type)과 골수내의 저신호 강도의 띠가 없이 T1 강조영상에서 저신호, T2 강조영상에서 고신호를 보이는 지도모양의 골수부위만 보이는 부정형(amorphous type)으로 나누었고, 선형은 더 많이 볼 수 있고, 부정형은 초기에 볼 수 있는 소견이라고 하였다.

골수내의 변화에 대해서 Stafford 등( 1 6 )은 골수에서 골절주 위의 부종에 의해 T1 강조영상에서 저신호로 보이고 T2 강조 영상에서 고신호로 보이는 병변이 있고, Tyrrell 등( 9 )과 Meyers 등( 1 7 )은 골수 병변의 범위는 단순방사선 사진보다 자기공명영상에서 더 넓게 보인다고 하였다. Lee 등( 8 )은 증 상시작 후 3주 이내에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했을 때 골수의 변 화를 가장 잘 관찰할 수 있고, Meyers 등( 1 7 )은 STIR 영상은 골수의 정상 지방신호를 억제하여 병변을 T1 강조영상보다 더 잘 관찰할 수 있다고 하였다. 저자들은 자기공명영상에서 골수부종을 2 0예( 9 0 % )에서 관찰하였고, 골수내 저신호 강도 의 띠를 보인 경우( 1 4예) 모두 골수내 저신호 강도의 띠 주위 로 위치하였다. 그러나, 초기 피로골절에서 볼 수 있는 골수부 종은 골수염, 골종양, 허혈성골괴사, 일과성골다공증, 골좌상 등에서도 볼 수 있는 비특이적인 소견이다( 4 ) .

Lee 등( 8 )과 Tyrrell 등( 9 )은 T1 강조영상에서 골수내에 저 신호로 보이는 두꺼운 띠가 있고 이것이 골피질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피로골절의 특징적인 소견으로 골의 경화나 미세 골절을 나타내고, 추적 단순방사선 사진에서 신생골형성이나 골절 등의 소견과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Meyers 등( 1 7 )도 압 박된 골이나 경화에 의하여 저신호 강도의 띠가 골수내에 있 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골수내 저신호 강도의 띠가 1 4 예( 6 4 % )에서 관찰되었으며 모두 피질이나 피질골절선에 연 결되어 보였다. 또, Devas(18)에 의하면 골절은 단순방사선 사진에서 주로 횡단골절이나 사행골절이며 종단골절로 보이 는 경우는 약 1 0 %정도이고, 종단골절의 초기 단순방사선 소 견은 골절이 종단방향으로 피질의 한 부위만 침범하므로 대 개 정상으로 보이며, Umans 등( 1 9 )은 자기공명영상에서 경골 의 골간( s h a f t )을 따라 골수내에 종단방향으로 주행하는 선상 의 저신호 강도의 소견과 함께 피질골 결손, 골막가골과 골내 막가골 형성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1 4예의 골수내 저신 호 강도의 띠 중 종단방향은 2예에서 관찰되었다.

골수내 저신호 강도의 띠의 경우 Tyrrell 등( 9 )은 7예 중 전 예에서, 천 등( 1 8 )은 1 4예 중 1 0예( 7 1 % )에서 발견을 보고하였 고 본 연구에서는 1 4예( 6 4 % )에서 관찰되었다. 피질골절선의 경우 Tyrrell 등( 9 )은 7예 중 4예( 5 7 % )에서, 천 등( 1 8 )은 1 4예 중 1 2예( 8 6 % )에서 피질골절선의 발견을 보고하였고 본 연구 에서는 2 2예 중 1 3예( 5 9 % )에서 관찰되었다. 골수내 저신호 강 도의 띠와 피질골절선의 발견율이 이전의 보고와 차이를 나

타내는 것은 먼저 검사부위의 차이로 천 등( 1 8 )은 경골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본 연구는 하지의 골을 대상으로 하였고, 또 사용한 자기공명영상 기기와 검사방법의 차이 때문으로 생각되는데, 자기공명영상에서 골절의 발견은 연쇄( s e q u e n c e ) 의 상( p l a n e )과 해상도에 좌우되며, 영상범위(field of view)를 줄임으로써 공간 해상도를 증가시키든지, 격자크기를 크게 하 거나 표면코일을 사용하여 대조 해상도를 증가시키면 골절을 더 잘 볼 수 있다(9). 또, 피질골절선의 경우 자기공명영상이 ( 1 3예, 59%) 단순 방사선 사진보다( 7예, 32%) 더 높은 빈도를 보이는 데 이는 단순방사선 사진에서는 골내막 반응과 골막 반응에 의한 광범위한 피질의 비후로 피질 골절선이 애매하 게 보이기 때문이다( 2 1 ) .

Fredericson 등( 2 2 )은 경골의 골막반응 소견은 경골에 대한 비 외상성의 반복적인 긴장에 대한 경골의 초기반응으로 경골의 전외측에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 골절의 인접부위인 후 내측에 발생한다고 하였는데, 저자들의 경우에서도 경골의 내측 피질골과 후내측 피질골 주위의 골절 인접부위에 모두 위치하 였다. 골막에서 T2 강조영상에서 부분적으로 고신호 강도의 부 위가 보였는데 이것는 골막의 출혈이나 부종에 의한 소견이다 (9). 또, 조영제 주입 후, 골막하부위가 골수나 주위연부조직보 다 조영증강이 덜 되는 소견을 보였는데 이는 골막하부위의 범 위가 적고 피질과 골막에 의해 경계가 되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피로골절과 감별해야 할 질환으로 골수내에 변화를 일으키 는 골수염, 골종양, 허혈성골괴사, 일과성골다공증, 골좌상 등 이 있다(3, 23). 골수염은 감염의 임상증상과 더불어 더 심한 골수 변화와 더 불규칙한 골막반응과 함께 골주위에 농양을 동반한다. 골종양 중 유골골종은 통증이 밤에 악화되고 아스 피린이나 다른 진통제에 의해 좋아지는데 비해 피로골절은 통증이 활동에 의해 악화되고 휴식에 의해 좋아진다. 단순방 사선 사진에서 유골골종은 방사선투과성인 핵을 둘러싸는 진 한 경화로 보이며 골막반응은 드물고, 자기공명영상에서 다양 한 신호강도의 핵을 발견할 수 있다. 골육종은 단순방사선 사 진에서 골간단에 골파괴 병변과 불규칙한 골막반응을 보이며 자기공명영상에서 T1 강조영상에서 저신호, T2 강조영상에서 고신호를 보이며 조영제 주입시 조영증강이 되는 경계가 좋 은 종괴와 주위연부조직 침범의 소견을 보인다. 전이암은 다 른 부위의 악성종양을 동반하고 정상활동에도 통증이 발생하 며 주위연부조직 침범은 미약하다. 허혈성골괴사에서는 T 1 강조영상에서 저신호, T2 강조영상에서 외부의 저신호, 내부 의 고신호를 보이는 특징적인 이중선이 괴사부위와 정상 골 수의 경계에서 보이고, 일과성골다공증은 골간단에서 골단으 로 진행하는 골수 변화를 보이나 피질과 연부조직의 이상을 보이지 않는다(24). 골좌상은 외상의 과거력과 함께 주로 슬 관절의 연골하 골단에 호발하며, 골수 내부에 저신호 강도의 띠가 없고 피질을 침범하지 않는다( 2 5 ) .

결론적으로 젊은 군인의 하지에 발생한 피로골절은 주로 경골과 비골에서 발생하였으며, 특징적인 자기공명영상 소견 은 골수내에서 관찰되는 저신호 강도의 띠이었는데 이는 피 질이나 피질골절선에 연결되었고 흔히 골수부종, 골막반응 및

(5)

주위연부조직부종을 동반하였다. 하지에서 이러한 소견을 보 일 때 자기공명영상으로 진단이 가능하고 다른 질환과 감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1 . Anderson MW, Greenspan A. Stress fractures. R a d i o l o g y 1 9 9 6 ; 1 9 9 : 1 - 1 2

2 . Umans H, Pavlov H. Stress fracture of the lower extremities. S e m i n R o e n t g e n o l 1994;29: 176-193

3 . Daffner RH, Pavlov H. Stress fractures : current concepts. A J R 1 9 9 2 ; 1 5 9 : 2 4 5 - 2 5 2

4 . Matheson GO, Clement DB, Mckenzie DC, Taunton JE, Lloyd- Smith DR, Macintype JG. Stress fracture in athletes : a study of 320 cases. Am J Sports Med 1 9 8 7 ; 1 5 : 4 6 - 5 7

5 . Brukner P, Bennel K. Stress fracture in female athletes. Sports Med 1997;24: 419-429

6 . Savoca CJ. Stress fracture : a classification of the earliest radi- ographic signs. Radiology 1 9 7 1 ; 1 0 0 : 5 1 9 - 5 2 4

7 . Greaney RB, Gerber FH, Laughin RL, et al. Distribution and natur- al history of stress fracture in U.S. Marine recruits. R a d i o l o g y 1 9 8 3 ; 1 4 6 : 3 3 9 - 3 4 6

8 . Lee JK, Yao L. Stress fracture : MR imaging. R a d i o l o g y 1 9 8 8 ; 1 6 9 : 2 1 7 - 2 2 0

9 . Tyrrell PNM, Davies AM.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ear- ances of fatigue fracture of the long bones of the lower limb. Br J R a d i o l 1 9 9 4 ; 6 7 : 3 3 2 - 3 3 8

1 0 . Wilson ES, Katz FN. Stress fracture : an analysis of 250 consecutive cases. Radiology 1 9 6 9 ; 9 2 : 4 8 1 - 4 8 6

1 1 . Zwas ST, Elkanovitch R, Frank G. Interpretation and classification of bone scintigraphic findings in stress fracture. J Nucl Med 1 9 8 7 ; 2 8 : 4 5 2 - 4 5 7

1 2 . Giladi M, Ahronson Z, Stein M, Danon YL, Milgrom C. Unusual distribution and onset of stress fractures in soldiers. Clin Orthop Rel

R e s 1 9 8 5 ; 1 9 2 : 1 4 2 - 1 4 6

1 3 . Matin P. The appearance of bone scans following fractures, includ- ing immediate and long term studies. J Nucl Med 1 9 7 9 ; 2 0 : 1 2 2 7 - 1 2 3 1

1 4 . Vogler JB, Murphy WA. Bone marrow imaging. R a d i o l o g y 1 9 8 8 ; 1 6 8 : 6 7 9 - 6 9 3

1 5 . Mink JH, Deusch AL. Occult cartilage and bone injuries of the knee: detection,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with MR imaging.

Radiology 1 9 8 9 ; 1 7 0 : 8 2 3 - 8 2 9

1 6 . Stafford SA, Rosenthal DI, Gebhardt MC, Brady TJ, Scott JA. MRI in stress fracture. AJR 1 9 8 6 ; 1 4 7 : 5 5 3 - 5 5 6

1 7 . Meyers SP, Wiener SN. Magnetic resonance features of fractures using the short tau inversion recovery(STIR) sequence : correlation with radiographic findings. Skeletal Radiol 1 9 9 1 ; 2 0 : 4 9 9 - 5 0 7 1 8 . Devas MB. Longitudinal stress fracture : another variety seen in

long bones. J Bone Joint Surg (Br) 1 9 6 0 ; 4 2 : 5 0 8 - 5 1 4

1 9 . Umans HR, Kaye JJ. Longitudinal stress fracture of the tibia : diag- nosis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Skeletal Radiol 1 9 9 6 ; 2 5 : 3 1 9 - 3 2 4

2 0 . 천경아,박정미,성미숙등 . 경골피로골절의자기공명영상 . 대한방 사선의학회 1 9 9 8년도 춘계학술대회초록집 대한방사선의학회 1 9 9 8 : 5 2 - 5 3

2 1 . Allen GJ. Longitudinal stress fractures of the tibia : diagnosis with CT. Radiology 1 9 9 8 ; 1 6 7 : 7 9 9 - 8 0 1

2 2 . Fredericson M, Bergman AG, Hoffman KL, Dillingham MS. Tibial stress reaction in runners : correlation of clinical symptoms and scintigraphy with a new magnetic resonance imaging grading sys- tem. Am J Sports Med 1 9 9 5 ; 2 3 : 4 7 2 - 4 8 1

2 3 . Deely DM, Schweitzer ME. MR imaging of bone marrow disease.

Radiol Clin North Am 1 9 9 7 ; 3 5 : 1 9 3 - 2 1 2

2 4 . Bloem JL. Transient osteoporosis of the hip : MR imaging.

Radiology 1 9 9 8 ; 1 6 7 : 7 5 3 - 7 5 5

2 5 . Deutsch AL, Mink JH, Waxman AD. Occult fractures of the proxi- mal femur: MR imaging. Radiology 1 9 8 9 ; 1 7 0 : 1 1 3 - 1 1 6

(6)

J Korean Radiol Soc 1999;40:7 77- 7 8 2

MR Imaging Findings of Fatigue Fra c t u res of Lower E x t remity in Young Soldiers

1

Jong Hyun Mo, M.D., Jin Kyoon Park, M.D.2, Sung Hee Moon, M.D., Young Bok Kim, M.D., Yang Hee Park, M.D.

1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National Police Hospital

2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honnam National Medical School

Purpose: To evaluate the MR imaging findings of fatigue fractures of the lower extremity in young soldiers.

Materials and Methods: In 22 cases of fatigue fractures of the lower extremity in young soldiers proven by clinical findings and radiological follow up, the MRI findings were retrospectively evalvated. All patients were male and aged between 19 and 21 years. As seen on MRI, the bone marrow edema, intramedullary low signal intensity band, cortical fracture line, periosteal reaction, surrounding soft tissue edema, and enhancement pattern were analyzed and the site of involvement was determined in the axial plane.

R e s u l t s :The locations of fatigue fractures of the lower extremity were the tibia (n=12), fibula (n=8), femur (n=1) and second metatarsus (n=1). All occurred in diaphyses: the junction of the proximal and middle (n=10), middle (n=9), proximal (n=2), and distal shaft (n=1). The sites of involvement were the posteromedial (n=6) and medial side (n=6) of the tibia, and the entire portion of the fibula(n=5) in the axial plane. MRI findings were bone marrow edema in 20 cases, intramedullary low signal intensity band in 14 (which were continuous with the cortex or cortical fracture line), cortical fracture line in 13, and periosteal reaction and surrounding soft tissue edema in all. On gadolinium-enhanced images, enhancement was seen in the bone marrow in 19 cases, in the subperiosteal region in 18, and in the surrounding soft tissue in 22.

C o n c l u s i o n :In fatigue fractures of the lower extremity in young soldiers, the main locations were the tibia and fibula, and characteristic MR imaging findings were intramedullary low signal intensity bands, which were continuous with the cortex or cortical fracture line and often accompanied by bone marrow edema, periosteal reaction, and surrounding soft tissue edema.

Index words:Fracture, stress Fracture, MR Tibia, fractures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Jong Hyun Mo, M.D., Department of Radiology, National Police Hospital

# 58 Karac bon-dong, Songpa-ku, Seoul, 138-169, Korea.

Tel. 82-2-3400-1318 Fax. 82-2-408-4547

수치

Fig. 1. Fatigue fracture of the left fibula in a 19-year-old man.
Fig. 2. Fatigue fracture of the right tib- tib-ia in a 20-year-old man.

참조

관련 문서

In the lower extremity balance, the change in left unilateral clerk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exercise group increased post-test

The index is calculated with the latest 5-year auction data of 400 selected Classic,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rtists from major auction houses..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Preoperative evaluation of pelvic lateral lymph node of patients with lower rectal cancer: comparison study of MR imaging and CT in 53 patients?.

Students in Group C thought that the biology content of learning from outdoor activities was limited, and said the findings from outdoor activities

Sixth,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ower extremity muscle thickness, static stability, and dynamic stability of excellent athletes in college

High complication rate in locking plate fixation of lower periprosthetic distal femur fractures in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ies.. Management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and student health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Twenty middle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