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韓國人의 上唇繫帶 形態에 關한 硏究※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韓國人의 上唇繫帶 形態에 關한 硏究※"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目 次 >

Ⅰ. 緖 論

Ⅱ. 硏究資料 및 硏究方法 가. 硏究資料 나. 硏究方法

Ⅲ. 硏究成績

Ⅳ. 總括 및 考按

Ⅴ. 結 論 參考文獻 英文抄錄

Ⅰ. 緖 論

補綴治療를 施術할 때 機能印象의 重要性은 再論할 必 要가 없다. 이 機能印象時 考慮할 事項이 많으나 繫帶의 形態나 位置는 完成된 補綴物을 裝着時 維持와 便安感에 크게 影響을 주므로 特히 留意하여야 할 事項中의 하나 이다.

또한 上唇繫帶는 正中 �開를 시켜 齒列不正을 惹起하 기도 하며 치은에 影響을 주어 齒周疾患을 招來하기도 한다. 上唇繫帶는 이렇듯 諸般 齒科臨床에 重要한 意味 를 갖고 있어 이에 對한 많은 學者들의 報告가 있다.

즉 上唇繫帶를 本態的으로 把握하고자 하여 發生學的 및 發育狀態의 硏究(1, 2, 3)가 報告되었으며 組織學的, 解剖 學的인 硏究(1, 2, 3, 4, 5)를 通해 臨床的으로 問題되는 上唇 繫帶의 形態를 改善하려고 意圖한바 있다. 또한 繫帶를 包含한 其他 口腔組織과 口腔生理의 知識을 把握하고 이 들의 應用으로 治療에서 最大限의 成果를 얻을 수 있으 며 上唇繫帶가 解剖學的으로 畸形이어서

※ 본 논문의 요지는 1976년 10월 15일 제19회 대한치 과보철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하였음.

爲害作用을 나타낼 때는 組織을 改善함이 바람직하다 고 報告하였다(6, 7, 8).

또한 正中�開의 發生原因에 對한 報告(3, 9, 10)에서 上唇 繫帶의 位置나 形態가 正中�開와 相互 關聯性이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上唇繫帶의 形態에 關해 國內에서는 申과 黃(11)의 繫帶 를 構成하는 條數와 附着部位에 關한 報告가 있으며 Sewerin(12)이 上唇繫帶의 形態에 關한 硏究 報告를 한바 있다.

著者는 齒科臨床上 諸般問題에서 重要視되는 繫帶에 關해 興味를 갖고 이의 附着部位, 條數 및 形態에 關해 統計的으로 고찰하여 知見을 얻었기에 이를 報告하는 바 이다.

Ⅱ. 硏究資料 및 硏究方法

가.. 硏硏究究資資料料 : 20歲�60歲 사이의 年齡分布에서 上顎 前齒와 이의 隣接部位에 補綴, 矯正 및 外科的 處置를 받은 經驗이 없는 747名(男 447, 女 300)의 正常人을 對 象으로 하였다. 被檢者의 年齡別 分布度는 Table 1과 같 다.

Table. Ⅰ : 피검자의 연령 및 성별 분포 - 대한 치과 보철학회지 Vol. 14 No. 1, 1976 -

韓國人의 上唇繫帶 形態에 關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齒醫學科 補綴學 專攻 (指導 張 完 植 敎授)

趙 英 學

(2)

나.. 硏硏究究方方法法 : 被檢者의 上唇을 最大限 外上側方으로 당겨보아 나타나는 繫帶의 附着部位와 條數 및 形態를 관찰하였다.

관찰成績은 百分�과 百分�誤差

를 求해 算出했다. 그리고 有意差는 公式 으로 算出했다.

1. 上唇繫帶의 條數

上唇繫帶을 構成하는 軟組織 帶가 하나인 것은 1條形, 2개로 構成된 것은 2條形, 3개로 된 것은 3條形으로 分 類 했다.

2. 附着部位의 分類

上唇繫帶가 치은과 齒槽粘膜 境界線에 附着한 것을 Type Ⅰ, 치은에 附着한 것을 Type Ⅱ, 齒槽粘膜에 附着 한 것을 Type Ⅲ로 分類했다.

3. 形態의 分類

形態의 分類는 A型, B型, C型, D型, E型, F型, G型, H型으로 그리고 이들에 屬하지 않는 特異한 形態들을 其 他로 하여 O型에 包含시켰다(Fig. 1).

A

A型型 : 上唇과 齒槽突起를 덮는 粘膜을 連結하는 軟組 織帶로서 中央線에 位置하며 附屬物이 없다. 繫帶의 幅 과 附着部位에는 變化가 많다.

B

B型型 : 上顎中切齒間의 正中�開와 關聯되어 나타나며 前齒 乳頭에 附着하고 있다.

C

C型型 : 上唇繫帶의 遊�綠에 軟한 組織의 尾形態의 것 이 附着하고 있는 形態이다.

D

D型型 : 上唇繫帶의 遊�綠에 若干 흰 色의 좀 굳은 혹 形態의 附着物이 있는 型이다.

E

E型型 : 上唇繫帶의 構成하는 軟組織帶가 2가닥이며 形 態는 多樣하게 나타난다.

F

F型型 : 上唇繫帶에 또는 그 隣接組織의 粘膜部位에 陷 沒이 있는 形態이다.

G

G型型 : 上唇繫帶의 中央部位가 垂直으로 밭고랑처럼 파 인 形態이다.

H

H型型 : 치은과 齒槽粘膜 境界線을 따라서 或은 치은內 로 가지가 出現하고 있는 形態이다.

O

O형형 : 위의 8가지 型에 屬하지 않고 特異한 形態를 나 타낸 여러가지 型들을 다 包含시켰다.

Ⅲ. 硏究成績

1. 上唇繫帶의 條數

上唇繫帶의 條數는 관찰한 結果 1條로 構成된 型이 約 94%(男 93.74%±1.00m%, 女 94.00%±1.41m%), 2條 型은 約 6%(男 5.82%±4.58m%, 女 5.67%±5.57m%)3 條型은 男女 3症�만이 出現하였다(Table Ⅱ 參考).

2. 上唇繫帶의 附着部位

上唇繫帶의 附着部位는 Type 1이 554名(74.16%±

1.73m%), Type Ⅱ가 154名(20.62%±3.32m%) Type

Ⅲ는 39名(5.22%±3.61m%)의 出現을 보이고 있다 (Table Ⅲ 參考).

3. 形態에 따른 分類

9가지, 形態分類에서는 總 747名中 A型이 472名(男 279, 女 193名)으로 가장 많고 D型이 75名(男 48, 女27 名)으로 다음으로 많고 G型은 6名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 다(Table Ⅳ 參考).

Ⅳ. 總括 및 考按

總 747名에서 上唇繫帶가 하나인 形態가 701名으로 (約 94%) 優位를 나타내고 있어 條數가 하나인 形히 一般 的으로 보아 正常이 아닌가 推測되어지며 附着部位는 Type Ⅰ卽 은협移行部에 附着된 形이 554名(約 74%)으 Fig. Ⅰ :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upper labial

frenum.

(3)

로 가장 많아 比較的 正常인 것으로, 또 9가지 形態別로 는 A型이 472名(約 63%)으로 가장 많아 普遍的으로 正

常群이 아닌가 생각되어진다.

그런데 Dowel(5), Bolk(13), Tailor(14), Ceremello(15)Table. Ⅱ : Number of upper labial frenum

Table. Ⅲ : Attachment region of upper labial frenum.

Table. Ⅳ : Distribution of morphology of upper labial frenum

(4)

上唇繫帶의 位置나 形態가 病因論的으로 보아 正常群과 非正常群의 限界에 對한 問題는 發生學的인 面과 發育狀 態를 考慮해야 한다고 했으며 Josceph(16), Sicher(17)는 遺傳性도 關聯시켜 報告하고 있다.

Dowel(5), Sicher(17)는 �中切齒間의 繫帶가 壓力性退 縮을 일으키지 않고 또한 齒槽骨의 成長發育에 依해 退 行性變化를 받지 않으면 位置的, 形態的으로 非正常이 된다고 하였다. 또한 Cermello(15)는 統計的으로 �中切 齒間의 間隔과 上唇繫帶의 形態와 位置, 幅과의 關係가 서로 無關함을 밝히고 있다. west(9)는 上唇繫帶가 正中

�開의 決定的인 原因이 아니며 生體發育中 正中�開를 없애주는 生理的 現象이 微弱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 라고 報告하고 있다.

本 硏究에서 20歲 以上을 對象으로 하였는 바 B型이 43名 出現하여 約 5.76%만이 正中�開와 關聯性을 보이 고 있음은, 上唇繫帶의 크기와 位置가 隣接된 齒牙나 顎 間骨 構造의 正常發育과 깊은 關聯을 갖고 있으며 따라 서 年齡增加에 따라 正中�開의 發生�이 統計的으로 적 어짐을 發表한 Tailor(14)의 報告와 一致되는 現象이다.

Tailor(14)는 普遍的으로 上顎犬齒의 崩出時期에서 18歲 정도까지 되면 上唇繫帶의 位置나 形態가 正常狀態로 安 定되는 것으로 報告하고 있다.

또한 形態別 分類에서는 Sewerin(12)이 上唇繫帶를 7 가지 型으로 分類한바 있는데 著者는 은협移行部에 附着 되는 樣相이 그 境界를 따라서 或은 치은部位內로 하나 나 둘 或은 셋까지의 작은 가지가 부채살모양 또는 星狀 으로 나타나는 것이 있어 H型으로 따로 分類했다. 이 H 型과 기티의 O型 出現數는 顯著히 많지만 않았다.

Shirazy(10)는 上唇과 齒槽堤가 分離된 것은 哺乳動物 의 特徵이라고 했는데 上唇과 齒槽堤에 附着形成된 上唇 繫帶의 機能과 役割이 무엇인지는 앞으로 繼續 硏究되어 야 할 課題라고 생각한다.

Ⅴ. 結 論

著者는 韓國人 20歲부터 60歲까지의 747名에서 上唇 繫帶의 形態, 條數 및 位置를 관찰하고 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上唇繫帶의 條數는 하나인 形이 701名으로 全體의 約 93.84%, 두개를 가진 形이 43名으로 約 5.76%, 그리 고 3개를 가진 形이 3名으로 約 0.40% 出現하였고 有意 水準 5%에서 모든 事項은 男女差를 認定할 수 없었다.

2. 上唇繫帶 附着部位로는 Type Ⅰ이 約 74.16%,

Type Ⅱ가 約 20.62%, Type Ⅲ는 約 5.22%의 順으로 나타나 은협移行部에 附着된 Type Ⅰ이 가장 많았다. 有 意水準 5%에서 모든 事項은 男女差를 認定할 수 없었다.

3. 上唇繫帶의 形態別로는 A型이 全體의 約 63.19%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D.C.E.와 B.H.F.G.型 순위로 나타 났다. 여기서도 有意水準 5%에서 모든 事項은 男女差를 인정할 수 없었다.

(끝으로 本 硏究를 直接 指導해 주신 恩師 張完植敎授 님께 深謝하오며 고마운 助言을 해주신 補綴學敎室 여러 敎授님들과 先後輩 여러분께 感謝를 드립니다.)

REFERENCES

1. TPattern, B.M. : The Development of the Facial Region, Congenital Anomalies of the Face and Associated Structure, Ed, Pruzansky, Illinois, Charles C. Thomas, 1961.

2. TOrban, B. : Oral Histology and Embryology, St.

Louise, C.V. Mosby Co., 1944.

3. TFraleigh, C.M. : Improvement of Tissue for the Support of Dentures, J. Prosthet. Dent. 9:5, 1959.

4. TGibbs, S.L. : The Superior Labial Frenum and Its Orthodontic Consideration, N.Y. State, Dent.

J. 34:550, 1968.

5. TDowel, B.F. : Normal and abnormal Labial Frenum Clinical Differenciation, J. Amer. Dent.

Assoc. 33:318, 1946.

6. TAlfred, T.B. : The Midline Diastema, J. Oral Med. 21:30, 1966.

7. TLytle, R.B. : The Management of Abused Oral Tissue in Complete Denture Construction, J.

Prosthet. Dent. 7:27-42, 1957.

8. TBodecker, C.F. : Histology to Prosthodontia Article VII, J. Dent. Education, 4:376-387, 1940.

9. TWest, E.E. : Diastema A Cause for Concern, Dent. Clin. North Amer. July p.431, 1968.

10. TShirazy, E. : Frenum Labii Superioris, J. Amer.

Dent. Assoc. 25:761, 1938.

11. T申과 黃 : 韓國人의 口腔內 各 小帶에 關한 관찰. 綜合 醫學, 第8卷 第 8號, 1963.

12. TSewerin, : Classification of Upper Labial Frenum, Dent. Abstract, 14:10, 1969.

13. TBolk, L. : Ztschr. F. Morphol. Antropol. 14:257,

(5)

1912.

14. TTailor, J.E. : Clinical Observations Relating to the Normal and Abnormal Frenum Labii Superioris, Am. D. Orthodent and Oral Surgery, 25:646, 1939.

15. Ceremello, P.J. : The Superior Labial Frenum and the Midline Diastema and Their Relation to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Oral Structure, Am. J. Orthodont. 39:120, Feb. 1933.

16 .Josceph, M. Sim. : Minor Tooth Movement in children, C.V. Mosby Co. 1972.

17 .Sicher, H. : Oral Anatomy, 5th. ed. p. 181 St.

Louise, C.V. Mosby Co. 1970.

= Abstract =

A MORPHOLOGICAL STUDY ON UPPER LABIAL FRENUM IN KOREAN ADULT

Y. H. CHO, D.D.S.

Dept. of Prosthodontics Graduate School, S. N. U.

(Directed by Professor Wan Shik Chang, D.D.S., Ph.D.)

The author observed the shape, number and attachment position of upper labial frenum, in 747 Korean adults(♂474, ♀300), from 20 to 60 years of 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soft tissue band in upper labial frenum both sexes.

1) Single band form; 93.8%

2) Double band form; 5.8%

3) Triple band form; 0.4%

2. The attachment region of upper labial frenum both sexes.

1) Type Ⅰ;(attachment on the boundary of gum and alveolar mucosa)74.2%

2) Type Ⅱ;(attachment on the gingival tissue)20.6%

3) Type Ⅲ;(attachment on alveolar mucosa)5.2%

3. Th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1) Type A(unbroken band of soft tissue located in the median plane and connecting the mucous part of the lips with the mucous membrane covering the alveolar process); 63.2%

2) Type B(a frenum combined with a diastema between the upper central incisors and with an insertion in the area of the incisive papilla.); 5.8%

3) Type C(designates a soft tag of tissue attached to the free border of the frenum); 8.4%

4) Type D(a whitish, firm, nodule like thickening located at the free border of the frenum); 10.4%

5) Type E(represents variation showing duplication of the frenum); 5.8%

6) Type F(designates for developmental invagination of the mucous membrane of the frenum); 2.4%

7) Type G(designates a frenum characterized by median, vertical furrow); 0.8%

8) Type H(designates branch band according to the mucogingival line or into gingival tissue); 2.7%

9) Type O(not belongs to type A—H); 0.9%

참조

관련 문서

Language can be represented as a series of contiguous subdivisions marked off on both the indefinite plane of jumbled ideas (A) and the equally plane of sounds (B) 2.

The index is calculated with the latest 5-year auction data of 400 selected Classic,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rtists from major auction houses..

The key issue is whether HTS can be defined as the 6th generation of violent extremism. That is, whether it will first safely settle as a locally embedded group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Since every classical or virtual knot is equivalent to the unknot via a sequence of the extended Reidmeister moves together with the forbidden moves, illustrated in Section 2,

웹 표준을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큰 수정없이 실행 가능함 패키징을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위한 앱을 작성할 수 있음 네이티브 앱과

_____ culture appears to be attractive (도시의) to the

각 브랜드의 강점과 약점이 서로 상충되는 경우, 각 브랜드에 있어서 어떤 속 성의 약점을 다른 속성의 강점에 의해 보완하여 전반적인 평가를 내리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