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토양 복원 공학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토양 복원 공학"

Copied!
3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토양 복원 공학

- 토양지하수의

오염정화 및 복원 (3) -

박 성 직

(2)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1) Bioventing

– 기체상으로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물질을 추출하는 동시에(토양 증기추출법, Soil vapor extraction), 기존의 토착 미생물에 산소 및 영양분을 공급하고, 토양 내 증기흐름속도를 공학적으 로 조절함(지중생물학적처리, In-situ bioremediation)으로서 미생물의 지중 생분해능을 극대화하는데 중점을 둔 기술

– 석유화합물류의 유기화학물질 에 의해 오염된 토양의 정화에 성

공적으로 적용되어 왔으며, 처리효율, 경제성, 현장 적용성 측

면에서 매우 우수한 기술로 평가

(3)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공정원리

• 기존의 SVE 기술원리를 바탕으로 토양 내에 산소를 공급해 줌으로서 오염원에 대한 천연적인 현장 생분해 능력을 증진시키는 불포화 오염토 양 정화기술

• 진공압에 의한 휘발성 오염물질의 추출에 중점을 둔 SVE 공정과 비교 해 볼 때 미생물 활성을 유지하는 정도의 산소만 제공되므로 산소흐름 속도가 낮아도 된다는 장점

– 공정의 설계 인자

(A) 산소 소비율: 미생물에 의한 산소 소비율(oxygen uptake rate) (B) 전달공기량 산정: 공기주입 및 추출정 영향반경을 고려하여 산정 (C) 주입 및 추출정: 지하수면 상부까지 굴착된 보어홀 내에 직경 5~10

(4)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전형적인 Bioventing 공정

• 오염부지 내에 직접 공기를 주입하여 오염지역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 치한 추출정까지 공기흐름이 서서히 이동하도록 함으로서 생분해 촉진

• 배출가스 내 오염물 농도가 저감되므로 기존의 SVE 공정 변형방법에 비해 배출가스 처리비용이 감소되는 장점

• 깨끗한 토양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키게 되는 단점

(5)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기존 SVE 공정을 변형시킨 Bioventing 공정

• 오염지역 외부에서 공기가 주입되고, 내부에서 추출되는 방법으로 주입 및 추출정의 설치 위치는 기존의 SVE 공정과 같지만, 공기전달속도를 낮춰줌

• 휘발에 의한 오염 물질 제거보다는 주로 생분해에 의한 제거가 주요

(6)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Air Sparging 기술과 결합된 Bioventing 공정

• 일반적으로 Bioventing 기술은 불포화토양에서만 적용되므로 지하수면 하부의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포화지대 내에 공기를 주입하는 Air sparging 기술을 Bioventing 기술과 결합시키는 공정이 개발

• 강제적 공기 주입에 의해 오염 대수층 내로 다량 공급된 공기가 포화되어 토양 내 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생분해 및 휘발

• 공급된 산소는 액상으로 전이되어 지하수 내 생분해 효율을 증진시키며, 포화토양 내의 VOCs는 공기흐름에 의해 기상으로 전이되어 상부의 불포화대로 운반되며, 지 상으로 배출되기 전까지 생분해

(7)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제약조건

• ① 대상 부지의 토양 투수성이 10-5 cm/sec 이상이 되어야 한다.

• ② 진공압이 높을수록 영향반경이 크고, 시간이 단축되며, 투수성이 낮 은 토양에서의 처리효율이 증대되는 한편, 진공정도가 낮을수록 시설비용 및 유지비가 낮아지고 보다 균일한 처리가 가능하다.

• ③ 본 공정과 같은 지중 처리공정의 잠재적인 단점 중의 하나는 오염부 지 주변의 공기 및 물의 이동에 의해 오염물질이 확산될 수 있다는 것 이다. 따라서 오염부지 주변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 ④ 현장 지반구조 및 오염물 분포에 따른 처리기간의 변동이 심하므로 실험실 규모 또는 파일럿 규모 실험을 거친 후에도 일정한 처리시간을 보장하기 어렵다.

(8)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영향인자

1) 오염물질 특성: 휘발성 및 생분해성 오염물질. 용해도가 큰 오염물은 처리 효율 감소.

2) 오염부지의 지표면적 및 깊이: 부지의 면적은 20~75,000 m2이며, 오염물 제거 깊이는 3 ~ 10m 범위

3) 토양의 투수성: 10-5 cm/sec 이상

4) 지반 구조의 비균질성: 일반적으로 사질토일 경우에 가장 적절히 적용 5) 토양 함수율: 공기흐름 속도는 공기가 채워진 토양 공극률에 비례 6) 온도: 미생물의 대사작용에 영향

7) pH: 최적 pH 범위는 약 6~8

8) 토착미생물 개체수 및 영양물질 농도

(9)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오염물질별 Bioventing 공정의 처리효과

– 토양입경별 Bioventing 공정의 처리효과

(10)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2) Land Farming

– 오염토양을 굴착하여 지표면에 깔아 놓고 정기적으로 뒤집어줌 으로서 공기를 공급해 주는 호기성 생분해 공정

– 오염토양 복원에 미치는 토양 특성

① 수분함유량

② 산소함유량

③ 양분, 질소, 황

④ pH

⑤ 토양 부피

(11)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12)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영향인자

• ① 오염물질의 형태와 농도

– 유류 등으로 오염된 토양은 충분한 탄소원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N, P 등 의 영양물질의 함량이 낮으므로 인위적으로 부족한 영양물질을 보충 필요

• ② 오염물질의 분포깊이와 분산

• ③ 독성오염물질의 존재 여부

• ④ 휘발성유기물질의 존재 여부

• ⑤ 무기물질의 존재 여부

(13)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제한요소

① 많은 공간이 필요하다.

② 오염된 토양을 굴착시, 비용이 더 소요된다.

③ 오염물질의 분해를 위한 적절한 상태가 조성되지 않으므로 분해가 어 려운 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④ 휘발성 유기물질의 농도는 생분해보다 휘발에 의해 감소된다.

⑤ 무기물질은 생물학적으로 분해되지 않는다.

⑥ 유기용매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공기를 오염시키기 때문에 방출되기 전에 처리해야 한다.

⑦ 입자상 물질은 먼지가 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측정해야 한다.

(14)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3) In-situ Bioremediation

– 지중(In-Situ) 생물복원 공정은 토양 및 지하수에 생존하는 토착미생물의 성 장과 재생산을 가속화하여 포화지역에 있는 유기성분의 분해를 촉진하는 현 장정화기술

– 지하에 용해되어 있거나 대수층에 흡착되어 있는 유기성 오염물질을 정화하 는데 효과, 특히 석유계탄화수소로 오염된 지역을 정화하는데 매우 유용.

– 지중 생물복원은 공기 분사와 같은 다른 포화지역에 쓰이는 복원기술이나 토양증기추출, Bioventing과 같은 불포화지역에 쓰이는 복원 기술과 결합되 어 이용 가능

(15)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영향인자

① 토양의 수리전도도: 대수층 내의 미생물의 원활한 증식을 위한 전자수용체 및 영양물질의 전달율을 조절

② 토양구조 및 stratification: 토양 구조 및 성층은 불포화대에서 공기의 주 입과 추출이 원활히 진행되는 것을 결정

③ 미생물: 여러 종류의 미생물들 중에 박테리아는 가장 많은 군집을 형성하 고 있으며, 특히 낮은 산소량의 조건에서도 원위치 생물복원 공정을 적용 가능

④ 전자수용체: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박테리아에 의한 물질대사 과정은 전 자수용체(TEA)에 의해 탄소원을 이산화탄소로 산화시키는 과정이 필요

⑤ 영양물질: 미생물은 세포성장과 생물학적 분해공정을 유지하기 위해 질소,

(16)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제한요소

① 미생물의 성장과 침적에 의해 추출정이 막힐 수 있다.

② 용해도가 낮고 농도가 높은(TPH 50,000 ppm 이상) 오염원은 독성 이 강해 생물학적 분해가 불가능하다.

③ 투수성이 낮은 대수층에서는 적용하기 어렵다.

④ 공정 특성상 지속적인 유지와 관리가 필요하다.

⑤ 복원은 대수층 내에서도 투수성이 좋은 지역에서만 활발히 진행될 수 도 있다.

(17)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오염물질별 지중생물복원 공정의 처리효과

– 토양입경별 지중생물복원 공정의 처리효과

(18)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4) 퇴비화 공법(Composting)

– 유기오염물질을 인위적으로 퇴적 분해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미 생물에 의해 분해 가능한 오염물질을 50 ~ 55°C의 온도에서 생물학적으로 분해 및 안정화하는 것

– 오염토양의 유기물질이 분해될 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면 온 도를 증가

– 최대 처리 효율은 수분함량, pH, 산소, 온도, 그리고 탄소/질소

비(C/N비)에 의해 결정

(19)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공정원리

• 퇴비화공정을 적용하기 위한 전처리 공정은 오염토양의 굴착, 스크린, 큰 입자를 작은 입자로 파쇄하는 과정을 포함

• 작은 입자로 만드는 이유는 오염토양의 표면에 미생물에 의한 반응성을 높여주기 위함

• 토착미생물의 활성도가 그리 높지 않다면 외부에서 배양된 미생물을 첨 가하여 공정의 효율성을 높임

• 송풍시스템은 오염토양 퇴비화 공정의 효율적인 설계 및 운전에 있어 중 요

• 적절한 수분함량을 유지하기 위해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영양원 부족시 에는 외부에서 질소 및 인을 추가 공급하여 처리효율을 높여줌

(20)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영향인자

①통기량(공기량, aeration): 성공적인 퇴비화반응을 위한 필수적인 성분은 산 소. 충분한 산소가 없다면, 그 과정은 혐기성으로 되고 저급지방산, 황화수 소 등의 심한 악취가 발생

②통기개량제(bulking agent): 하수슬러지, 식품폐기물 등과 같이 유기물이 점성을 유지할 경우, 산소의 통기가 어려워혐기성 반응이 일어나 반응속도에 영향. 전처리 과정 중에 볏짚, 왕겨, 톱밥, 나무껍질 등의 통기 개량제를 첨가

③온도: 일반적으로 제어 온도인 50℃~ 60℃에서 유지되며, 유기물 분해율 에 좋은 온도는 60℃

④함수율: 유기물의 함수율이 30% 미만일 경우 미생물의 활동에 지장

⑤수소이온농도(pH): 퇴비화과정에서 관찰되는 pH범위는 5.5 ~ 8.5 사이

⑥영양물질(C/N비):이상적인 탄소와 질소의 무게비율은 50 이하로서, 25 ~

(21)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제약조건

① 퇴비화를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② 오염된 토양을 굴착해야 하고 제어되지 않은 휘발성 유기물질이 방출 될 수 있다.

③ 팽화제의 첨가로 인해 처리해야할 오염토양의 부피가 증가한다.

④ 이 방법에 의해 중금속은 처리될 수 없으며 미생물에게 독성으로 작용 한다.

(22)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토양입경별 퇴비화공정의 처리효과

– 오염물질별 퇴비화공정의 처리효과

(23)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5) 식물복원공정(Phytoremediation)

– 식물을 이용하여 오염토양 및 지하수를 포함한 수질을 정화 – 식물정화는 뿌리가 접촉하는 면에 한정되어 일어나기 때문에 오

염원의 깊이가 중요한 고려요소이며, 식물종, 식물의 생장속도, 오염물질의 농도, 주변 생태계 및 환경과의 관계 등을 고려 – 기타 물리화학적 공법에 비해 확실히 경제적인 방법이고, 2차

부산물 발생이 적다는 이점

(24)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공정원리

•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정화

– 식물추출(phytoextraction), 식물안정화(phytostabilization), 식물촉진 (phytostimulation), 식물휘발화(phytovolatilization), 식물변환

(phytotransformation) 등

• 하천 및 지하수 오염정화

– 근권여과(rhizofiltration), 수리학적 벽체(hydraulic barriers), 식물정제 (vegetative caps), 구조적 습지대(constructed wetlands) 등

• 식물정화공정에 활용되고 있는 식물

– 해바라기를 비롯한 일부 1년생 초본류와 계피나무와 포플러, 미루나무, 버드나 무 및 넓은 잎을 가지는 다양한 식물과 대상 지역의 고유한 토착 식물 등 매 우 다양

• 대상오염 물질

– 소수성을 가진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염화용매, PAHs, 니트로톨루엔,

(25)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영향인자

1) 오염물질 특성

– 유기물과 무기물 모두 광범위하게 포함. 유기물인 경우에는 적당히 소수성 인 오염물질에 대해서만 효율적

2) 오염부지의 깊이

– 오염부지의 깊이는 식물복원공법의 적용성을 평가함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서 일반적으로 오염물 제거 깊이는 식물의 뿌리가 뻗을 수 있는 0.9 ~ 3 m 범위

3) 식물종

– 토양오염물질 제거에 이용 가능한 식물종은 매우 다양

(26)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제약조건

① 얕은 토양, 수변, 지하수에 한정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② 고농도 유기물질의 독성으로 인해 처리의 한계가 있다.

③ 생물학적 처리와 더불어 물질전달의 한계가 있다.

④ 기타 물리화학적 공정에 비해 처리속도가 늦다.

⑤ 유기성 오염원인 경우 적절히 소수성인 오염원에만 효과적이다.

⑥ 분해생성물의 독성여부 및 생분해도의 규명이 불명확하다.

(27)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오염물질별 식물복원공정의 처리효과

– 토양입경별 식물복원공정의 처리효과

(28)

2.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기법

– 오염원에 따른 적용식물

(29)

3. 정화 및 복구 최적기술 선정

• 오염부지복원기술 평가결과

(30)

3. 정화 및 복구 최적기술 선정

(31)

3. 정화 및 복구 최적기술 선정

• 오염물의 종류(5그룹)

(1)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높은 증기압을 가지고 있어 대기중으로 쉽게 휘발하는 성질

(2) 준휘발성 유기화합물(semivolatile organic compounds : SVOCs): 할로겐 및 비할로겐 SVOCs, PAHs, 농약류

(3) 연료유(fuels): 측면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이나 준휘발성 유기화합 물로 구분할 수도 있겠으나, 연료유의 양적 중요성을 감안하여 별도 로 구분

(4) 무기물(inorganic, 방사성 물질 포함): 생물학적 분해 및 독성제거

가 용이하지 않음. 금속류와 같이 대체로 비휘발성이며, 용해 또는

참조

관련 문서

• 렌더링 알고리즘은 많은 명령을 수행하고 많은 픽셀값들을 계산하기 때문에 처리 시간이 오래 걸림. • 현재 대부분의 그래픽 시스템들은 렌더링

z 프로그램 + 프로그램의 개발, 운용, 보수에 필요한 정보 일체(소프트웨어 생산 결과물 일체).

– 미국 Utah주 Roosevelt Hot Springs의 지열지대에서 토양 중의 Hg 배경값은 지열지대에서 토양 중의 Hg 배경값은 29ppb이고 최대 배경값은 58ppb였으며 특히 토양

칼라코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폰이 필요합니다.. 많은

성공적인 임프란트 식립을 위해서는 적절한 골의 높이와 폭이 요구된다.심하게 위축 되거나 외상 또는 종양 등으로 상실된 치조골에 임프란트를 식립하기 위해서는 골이식

칼라코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폰이 필요합니다.. 많은

발한 경우로서, 해당 물질의 조성을 알아 도 해당 물질의 제조 방법을 개발하기 어 려운 경우.. 진보성. •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상태가 되기 위해 Source 는 Liquid 에서 Solid 로 Crystallization 이 된다.(Fig.7 (c)) 시간이 지남에 VLS 메커니즘을 통해 나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