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천 국, 박기태, 정운호, 이향미, 최동웅, 박선희, 김성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천 국, 박기태, 정운호, 이향미, 최동웅, 박선희, 김성현"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Chem. Eng., 2007, Vol. 13, No. 1 494

화학공학의 이론과 응용 제13권 제1호 2007년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기체 확산층내의 기, 액상 전달현상 모사 및 기체 확산층 물성에 따른 영향 분석

천 국, 박기태, 정운호, 이향미, 최동웅, 박선희, 김성현*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kimsh@korea.ac.kr*)

Analysis of two-phase transport in gas diffusion double layer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Kook Chun, Ki-Tae Park, Un-Ho Jung, Hyung-Mee Lee, Dong-Wong Choi, Sun-Hee Park, Sung-Hyun Kim*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logical Engneering, Korea University (kimsh@korea.ac.kr*)

서 론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를 높은 전류 밀도에서 운전 시 양극의 많은 양의 물이 생성되 어 전지의 성능을 하락시키는 flooding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전지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생성된 물을 적절히 외부로 제거해야한다. 따라서 기체 확산층(이하 GDL)내에 서 전산모사를 통해 물 전달현상을 규명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GDL 내에서의 물의 전 달 구동력은 반응 기체에 의한 대류와 작은 미세 기공 내에서의 액상, 기상의 압력차에 의한 모세압 구배, 두 가지이다. 이 중 모세압은 GDL의 물성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 므로 물성 변화에 따른 GDL 내의 물 전달현상과 셀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전산 모사 모델 중 Mixture-phase(M2) model을 사 용하여 전달 현상의 수학적 모델을 확립하고 분석하였다.

이론적 배경

전극의 기공구조에서의 전달 현상을 명백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실제와 가장 유사한 모 델을 제시하여야 한다. 전산모사 초기에는 전극 내 생성된 물은 모두 기상으로만 존재하 는 one-phase모델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실제 전지는 양극은 생성된 물의 양이 많아(특히, 높은 전류 밀도 하) GDL내에 응축되어 액상이 형성되는데 one-phase모델은 전지 양극에 서 반응에 의해 생성된 물이 모두 기화되었다고 가정하였기 때문에 실제 실험결과와 차 이를 많이 보였다.1)

Two-phase 모델 중 대표적인 것은 Multi-fluid 모델과 Mixture-phase 모델이 있다.

Multi-fluid 모델은 연구되고 있는 모델 중 가장 일반적인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각상의 mass, momentum equation을 독립적으로 세움으로서 모든 상의 현상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액상 물의 전달 구동력으로 기체상에 의한 대류, 모세압차 두 가지 모두를 적용함으로서 실 제 모델에 가장 근접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식과 변수로 인하여 수학적 계산의 어 려움과 불안정성이 존재하고 또한 기공내에서 각 상으로의 interphase 전달이 명확히 규명되 지 않아 완벽한 모델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많다.3) Mixture-phase 모델(M2)은 실용적인 측 면에서 매우 유용한 모델로 알려져 있다. 각상의 balance 식을 하나의 통합된 mixture-phase 로 통합하여 제시함으로서 변수가 적고 계산이 단순화되었고 각 상으로의 interphase 전달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2,4,5)

GDL은 carbon 섬유물질로 제조되어 다소 큰 기공을 갖는 gas diffusion medium(이하 GDM)과 carbon 입자로 제조되어 미세 기공을 갖는 micro porous layer(이하 MPL) 두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두 층은 똑같은 탄소 물질이더라도 구조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기 때

(2)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Chem. Eng., 2007, Vol. 13, No. 1 495

화학공학의 이론과 응용 제13권 제1호 2007년 문에 물성도 상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전산모사 모델 중 Mixture-phase model(M2)를 통하여 GDL내의 상이 동의 수학적 모델을 확립하고 GDL을 단일층이라 가정하여 전반적인 GDL물성이 물 전달현 상에 미치는 영향을 먼저 분석하고 그 이후 MPL을 적용하여 MPL층이 물전달 현상에서의 역할을 알아 보았다. GDL의 물성은 SGL사의 10BB을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통해 최대한 실제 조건과 유사하게 맞추었다.(Table. )

수학적 모델

양극 GDL의 모델 모식도는 Fig.1에 나타내었다. 가습된 air가 gas channel로 Uin의 속도로 유입되고 L은 gas channel 길이이다. GDL내의 이상계 전달현상을 규명할 모델의 단순화를 위하여 아래와 같은 가정을 하였다

1. 시스템는 정상 상태이며 등온이다.

2. GDL 구조는 매우 균일하며 촉매층은 매우 얇고 전기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시스템의 경계를 이룬다.

3. 가스상은 이상 혼합 기체이며 액체상에 녹지 않는다. 즉 phase간의 이동은 오로지 H2O만이 가능하다.

위의 가정을 통하여 이상계 혼합물의 species conservation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2)

϶ ∂∂t( ρCα)+∇∙( γαρuCα)= ∇∙( ϶ρD∇Cα) + ∇∙

[

϶k[ρkskDαk( ∇Cαk-∇Cα)]

]

-∇∙

[

kCαkjk

]

(1) 여기서 한가지 눈여겨볼 점은 식의 파라미터는 모두 기체상과 액체상의 property가 통합 된 mixture 파라미터라는 것이고 자세한 식은 reference을 참조하길 바란다.5)

앞서 제시한 가정을 통하여 물과 산소에 대해 (1)식을 전개하면 다음과 같은 최종식을 얻을 수 있다.

• water transport :

(

λlgρρHvg2O

) [

-2FI (1+2α)MH2O+4FI MO2

]

+

(

1-ρρHvg2O

)

νlλgσcos(θ)

(

K϶

)

1/2dJ(s)ds ∇s=-2FI MH2O(1+2α) (2)

• Oxygen transport :

λgCOg2

[

-2FI (1+2α)MH2O+ I

4FMO2

]

-

[

COg2νlλgσcos(θ)

(

K϶

)

1/2dJ(s)ds ∇s

]

-[϶ρg(1-s)DOg2,eff∇COg2]=4FI MO2 (3)

초기 조건과 GDM-MPL 계면에서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초기조건

s=0, at y=H1 (4)

COg2y=H

1=COg,i n2 - MO2I airgF

(

h1m

+ L

uinH1

)

(5)

• GDM-MPL 경계 조건

(6)

GDM-MPL 경계 조건에서 계면에서의 모세압은 같으므로 (6)식을 세울 수 있고 이로 인해 GDM-MPL 계면에서 물 saturation은 불연속 지점을 갖는다.

(3)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Chem. Eng., 2007, Vol. 13, No. 1 496

화학공학의 이론과 응용 제13권 제1호 2007년

Polarization 곡선식(Tafel Euation)은 다음과 같다.

I=(1-s)Iref

CO2y=H2

COg,ref2 exp

(

αRTcFη

)

(7) (7)식을 보면 촉매층에서의 물 saturation과 산소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물

saturation은 낮을수록 산소농도는 높을수록 전지 성능이 올라간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물 saturation에 관해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기공내에서의 모세압은 Leverett 함수(8)와 Udell 함수(9)로 나타내어진다.

Pc=σcos(θ)

(

K϶

)

1/2J(s) (8) J( s) = 1.417s - 2.12s2+1.263s3 ( 90o< θ < 180o) (9) 여기서 모세압은 GDL의 소수성(접촉각), 기공도, 기체투과도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GDL의 이 세 가지 물성에 따른 물 전달현상 분석을 집중적으로 진행하였다.

결과 및 토의

GDL one-layer에서의 모사 결과를 보면 기체투과도와 접촉각에 따른 물 saturation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만 투과도가 증가할수록, 소수성이 증가할수록 물 saturation은 낮아짐 을 알 수 있다.(Fig.2, Fig.3) 하지만 기공도에 따른 물 saturation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 만 성능에서는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이는 아마도 물 배출은 특별히 기공도에 의해 커지 진 않지만 대신 기공도가 크면 반응 기체의 diffusion 정도가 매우 향상되어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킨 것이다.(Fig.4, Fig.5)

GDL two-layer에서의 모사 결과를 보면 GDM-MPL 계면에서 물 saturation이 불연속하고 이 지점에서 MPL층의 saturation이 매우 낮아짐을 알 수 있다. MPL의 두께가 커질수록 촉매 층에서의 물 saturation은 낮아지지만 Fig.7에서 GDL내 평균 saturation을 보면 40μm에서 가 장 낮음을 알 수 있고 이는 비록 MPL두께가 커지면 촉매층에서의 saturation은 감소하더라 도 전체 GDL에서의 saturation은 오히려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MPL기공도, 접촉각 등에 대한 전산모사도 시행하였다.

References

[1] B. Sunden, M. Faghri,, WIT, Transport Phenomena in Fuel Cells,175 (2005) [2] C.Y. Wang, P. Cheng, Advances in Heat Transfer 30, 30 (1996)

[3] T.Berning, N.Djilali, J. Electrochem. Soc. 150, A1589 (2003) [4] U.Pasaogullari, C.Y.Wang, Electrochimica Acta 49, 4359 (2004) [5] M.H.Chang, F.Chen, H.S.Teng, J. of Power Sources 160, 268 (2006)

Fig.1 모델 모식도

(4)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Chem. Eng., 2007, Vol. 13, No. 1 497

화학공학의 이론과 응용 제13권 제1호 2007년

(y-Hgc)/(H1-Hgc)

0.0 0.2 0.4 0.6 0.8 1.0

saturation (s)

0.00 0.05 0.10 0.15 0.20 0.25 0.30 0.35

θ=91ο θ=100ο θ=110ο θ=120ο

Current density(A/m2)

0 5000 10000 15000 20000

Cell Voltage (V)

0.2 0.4 0.6 0.8 1.0 1.2

K= 9.0*10-15(m2) K= 9.0*10-14(m2) K= 9.0*10-13(m2) K= 9.0*10-12(m2) K= 9.0*10-11(m2)

Fig.2 소수성에 따른 물 saturation Fig.3 기체 투과도에 따른 전지 성능

(y-Hgc)/(H2-Hgc)

0.0 0.2 0.4 0.6 0.8 1.0

saturation (s)

0.0 0.1 0.2 0.3

ε=0.6 ε=0.7 ε=0.8

θ=91ο

θ=100ο

Current density (A/m2)

0 5000 10000 15000 20000

Cell voltage (V)

0.2 0.4 0.6 0.8 1.0 1.2

ε = 0.2 ε = 0.4 ε = 0.6 ε = 0.8 ε = 0.9

Fig.4 기공도와 접촉각에 따른 물 saturatin Fig.5 GDL 기공도에 따른 전지 성능

GDL thickness (µm)

0 50 100 150 200 250 300

Liquid saturation, s

0.0 0.2 0.4 0.6 0.8 1.0

δMPL=100(µm) δMPL=75(µm) δMPL=50(µm) δMPL=25(µm) Current density: 2A/m2 GDL: K = 1*10-11m2 ε = 0.8 θ = 135ο MPL: K = 1*10-12m2

θ = 140ο ε = 0.4

MPL thickness (µm)

0 20 40 60 80 100 Saturation at MPL-catalyst layer interface

0.310 0.315 0.320 0.325 0.330 0.335 0.340 0.345

Average saturation in GDL

0.0 0.1 0.2 0.3 0.4 0.5 0.6 0.7

Current density: 2A/m2 GDL: K = 1*10-9m2 ε = 0.8 θ = 135ο MPL: K = 1*10-12m2 ε = 0.5 θ = 140o

Fig.6 MPL 두께에 따른 물 saturation구배 Fig.7 MPL 두께에 따른 평균 saturation

참조

관련 문서

② 생성된 킬레이트 화합물은 EDTA와 금속이온이 반응하여 생성된 킬레이트 화합물 보다 안정도상수가 낮아야 한다9. ③

– 기전: 난소에서 생성된 프로게스테론에 의해 분비기의 자궁내막에서 생성된 프로스타그란딘(Prostaglandin)이 생리가 시작 되면서 방출되어 자궁 근육의 경련성

특히 호우에 의한 산사태의 진행과정을 살펴보면 ① 강우로 인해 토사층으로 물이 침투하는 과정, ② 그 이후 지속적인 강우에 의해 토사층과 암반층 경계면의 물이 포화되는 과정,

따라서 실제 심전도 신호를 반복적으로 사용한 인식 결과보다 높은 인식 성능 을 나타내 등록 데이터와 비교 데이터의 크기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상태 변화에

중합체 융점은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 meter, Perkin-Elmer/Pyris 6)를 이용하여 질소기류 하에서 측정하 였다. 공중합체에 포함된 스티렌 의 함량은 1 H NMR을

모 노머 embedded 촉매의 경우 균일상 촉매의 직접 중합 방식보다 젤화 현상이 심하지 않았으며 생성된 폴리머의 morphology 역시 우수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생성된 sPS는 분리, 건조하여

여과섭식동물-호흡수에 들어 있는 주된 먹이인 규조류(diatome)는 내주에 의해 생성된 점액에 걸리는데, 이 내주는 창고기의 내주(상새구)와 상동이다.. 그러나 암모코에트에서

- 음극의 산화반응에 의해 생성된 젂자는 외부 부하를 경유하여 양극으로 이동하고 양 극에 이르러 양극 물질과 홖원반응을 일으킨다. 이때, 젂해질 내에서 음극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