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언해태산집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언해태산집요"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09년 2학기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한국어사]

제12주 자료를 통한 근대국어 이해하기

 언해태산집요의 국어학적 특징

김유범

(1) 언해태산집요의 표기 특징

가. 언해문에는 한자가 사용되지 않았다.

나. 종성 ‘ㅇ’과 ‘ㆁ’의 혼기는 자형상의 문제이다.

다. 어두에 ‘ㅂ’계, ‘ㅅ’계, ‘ㅄ’계 합용병서 표기가 모두 나타난다.

: 러디, 닙, 며, 디여든, , , 리, 쓰고, 디여, 려, ……

라. 종성 ‘ㄷ’이 ‘ㅅ’으로 표기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 귿니라[止](54a) vs. 긋니라[止](48a), 깃고[貯](25b)

cf. 15C 긷고, 곳[則](7b) cf. 15C 곧, 롯고[尖](75a) cf. 15C 롣고 등 마. 음절 말에 ‘, , ’의 자음군 표기기 나타난다.

: 갊기, 굵게, 긁고, 븕고, , 즌흙, 즌, 듧고, 여, ……

바. 체언의 곡용에는 분철 표기뿐 아니라 연철과 중철 표기도 나타난다.

: 의입문의, 이, 겨집이, 술의, 사이, 입에, …… vs. 그르시, 사마, 저기니, 미, 미

, 나, , 이베, ……… vs. 아젹긔, 왕빙본문, 발톱블, 손내, 빗로, , 긋티나, 믿틀, ……

사. 용언의 활용은 대부분 연철 표기되었지만 소수의 분철과 중철 표기도 나타난다.

: 라, 디허, 로, 론, 머그되, …… vs. 아, 플어, 오, 온 vs. 먹그되, 븕근 아. 계사의 경우에는 분철과 연철 표기가 모두 나타나며 중철 표기도 찾아볼 수 있다.

: 쳑듕이오 vs. 쟈기오 vs. 약기라

자. 명사형 어미의 경우 일관되게 연철 표기가 나타난다.

: 갈미, 구완호미, 나호, 내미, 놀라믈, 다로, 파호, 머기미, ……

차. 제2음절에 ‘/르’를 가진 용언의 활용이나 피 사동접미사가 결합된 용언의 어간 표기는 중세

(2)

(2) 언해태산집요의 음운 특징

가. 제2음절 이하에서 ‘ㆍ’의 변화가 관찰된다.

: 의(<), ‘여’(‘여슷’의 역표기), ‘여’(‘여듧’의 역표기), 년즙(‘’은 ‘근’(根)의 역표 기) cf. (<흙)

나. ‘ㅿ’의 변화가 관찰된다.

: 브억, 마은, 양, 니음 cf. 이윽야[須臾](68a) vs. 이슥야(70b) 다. 어두 및 어말 유기음화 현상이 나타난다.

: 코(<고), 칼(<갈), 녘(<녁) 라. 비음동화 현상이 나타난다.

: 인, 건니라, 됸니라, 근니라, 난니라, 단온날,  나셔, 단 냥, 단 말, 현 미틔,

………

cf. 손 미(28b) vs. 솟 미틔(74a), 판믿[葱白](70a) vs. 팟닙(75a) 마. ‘이’모음 순행동화(활음 ‘j’첨가) 현상이 나타난다.

: 얼의여, 여, 비븨여, 뢰여, 예, 이예, 허리예, 내여, 다리우리예, 피예, 디여든,

………

바. ‘이’모음 역행동화 현상이 나타난다.

: 나히 사(23a, 23b, 24b, 42b) vs. 내힐 사(25a) 사. 원순모음 순행동화(활음 ‘w’첨가) 현상이 나타난다.

: 보와 cf. 구으니, 누을 제, 누어(셔)[臥], 누어시모로 아. 계사 뒤에서 ‘ㄱ’탈락 현상이 나타난다.

: 닐온 오, 닐온 운이오, 닐운 오, 쳑듕이오, 나오, 아니오, 이어든, 다므니어든,

………

cf. 기울과, 머리털과, 술과, 믈과, 고, 고, 걸거든, 그믈거든, 울거든, 게, 게,

………

cf. 내고, 고, 비븨고, 희거든, 거든, 게, 고, 쥐고, ………

자. 일부 한자어들은 한자음의 문제가 개입되어 있다.

: 사약(白芍藥), 간갈(乾葛), 생간디황(生乾地黃), 음간(陰乾), 현호삭(玄胡索), 악조(惡阻),

번(白礬), 자완용탕(紫苑茸湯), 혈운(血暈), 빙쳔(貧賤), 빙낭(檳榔), 모란피(牧丹皮), 들튱 (杜冲), 기각(枳殼), 년효(連翹), 망쇼(芒硝), 애조탕(艾醋湯), 비마/피마(萆麻子), 시걱 (時刻), 산무(産母), 다묵[蘇木], 업(法)

(3)

(3) 언해태산집요의 문법 특징

가. 곡용에서 체언의 형태가 단일화되는 모습이 나타난다.

: (71b) vs. 를(5a, 60a),  (73a)/(49b) 나. 활용에서 ‘ㄹㅇ’형이 ‘ㄹㄹ’형으로 변화되는 모습이 나타난다.

: 달아(15C) vs. 달라(8b)

다. 접속조사(또는 공동격조사) ‘-과’가 ‘-와’의 자리에까지 나타난다.

: 구으니과, 당귀과, 아래과, 열여과, 초과, ……… cf. 녜와, 혈긔와 라. 보조사 ‘-곳’이 ‘-옷’의 자리에까지 나타난다.

: 긔곳(34b) vs, 긔옷(34b)

마. 특이 처격조사와 일반 처격조사가 기능의 차이 없이 함께 나타난다.

: 의입문의, 왕빙본문 vs. 소문(素問)에, 의강목애 바. 부사격조사 ‘-오로’의 쓰임이 나타난다.

: 밧고로, 소노로, 부도로, 몯여시모로, 버서나모로, 오모로, 드루모로 사. 명사형어미 ‘-옴/움’과 ‘-(/으)ㅁ’이 공존하며, ‘-기’의 활발한 쓰임이 관찰된다.

: 샹호미, 알포, ……… vs. 쥬미, 아, ………

눕기, 닐기, 리기, 건너기, 뷘입십기, 훗알키, 나키, 동키, 토키, ………

아. 연결어미 ‘-오/우’, ‘-’, ‘-(으)되’, ‘-오되’가 공존한다.

: 오, 너모, 너무, 셜호, 로 vs. 고티 vs. 나되, 머그되/먹그되 vs. 머고되 자. ‘다’의 연결형 ‘야’와 ‘여’가 공존하되 아직은 ‘야’가 더 세력을 지니고 있다.

: 가입야, 티 야, 분야, 아니야, 동야 vs. 여, 번열여, 턍만여, 여곰 차. ‘상태 변화’의 의미를 갖는 연결어미 ‘-고져’가 관찰된다.

: 동야 디고져 니 고티니(18a), 산후에 훗 알하 죽고져 니 고티니(50b) 카. 종결문에 사용된 ‘-니’는 ‘-니라’에서 ‘-라’를 생략한 것으로 보인다.

: 산뷔 두 손내 나식 쥐면 즉시 난니(31b), 삼퇴산은 포의 아니 나거든 머그면 즉시 나

니(37a), 믈에 달혀 더우니를 마시면 즉시 근니(56b), 여셩고 산부의 뎡바기에 브티면 즉시 건니(60a)

타. ‘-어 시/ㅅ-’ 구문의 실현 양상은 중세국어의 ‘-어 (이)시/잇-’과 같으나, ‘-어 시/ㅅ-’이 통사 적 구성인지 아니면 하나의 형태소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쉽지 않다.

: 주거시면, 차셔, 누어시모로 vs. 갓다가, 주것고, 나핫거든

파. 부정법과 관련해 ‘아니 어간’형과 ‘몯 어간’형의 사용이 전 시기에 비해 증가되었다.

(4)

(4) 언해태산집요의 어휘 특징 가. ‘ㅎ’보유어의 모습이 나타난다.

: 나/나ㅎ, 둘ㅎ, 세ㅎ, 네ㅎ, 스믈ㅎ, 뒤ㅎ, 갈ㅎ, 고ㅎ, 길ㅎ, 노ㅎ, ㅎ, 안ㅎ, 우ㅎ, 울ㅎ, 터ㅎ

나. 언해태산집요(또는 언해두창집요도 포함)에만 나타나는 희귀 어휘들이 존재한다.

: 검의영[百草霜], 오다[挑], 나디다[生], 디낳다[落胎], 머리와딘믈[水漿/胞漿], 몰로여[勿令 知], 므거위[重], 므스/므슬[水], 믿받다[隨], 오기[密], 지거미믈[磨刀水], 리다[繫縛], 걷앗다[取物], 후어츠다[盪], 삽다[澁], 다[羹], 비릇다[臨産], ………

다. 현대어에 연결되는 특이 어휘들이 존재한다.

: 셩조다[繕修], 후제[然後], 비릇다[臨産], 암눈비앚[益母草], ………

(5)

 오륜행실도의 국어학적 특징

홍윤표(전 연세대 교수)

五倫行實圖는 1797년(正祖 21년)에 正祖가 沈象奎 등에게 命하여 三綱行實圖와 二 倫行實圖의 두 책을 합하고 언해문에 수정을 가해서 整理銅活字로 간행한 책이다. 모두 5 권 4책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所藏本에 따라 5권 5책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이 五倫行實圖는 初刊 후 62년만인 1859년(哲宗 10년)에 重刊된 목판본이 있다. 이 중 간본은 한문 원문과 함께 언해문의 모습은 初刊本에 비해 조금도 달라진 것이 없다. 거의 複刻을 하다시피 한 것이기 때문이다.

五倫行實圖는 1972년에 李民樹 선생의 解題와 現代語譯을 붙여 乙酉文化社에서 영인하 였다. 그리고 홍문각에서도 영인한 적이 있다.

(1) 어두 합용병서는 ㅅ계(ㅺ, ㅼ, ㅽ, ㅾ)와 ㅂ계(ㅳ, ㅄ, ㅶ)가 동시에 사용되고 있다. 그 러나 ㅅ계가 훨씬 우세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각자병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2) 어두 된소리화 현상이 보인다.

: 으니(一 33a)

(3) ‘ㆍ’는 혼기되고 있다.

: 쳐(五 25b), 이여(四 25a), 람(一 25b) cf. 쳐(一 25b), 혀(一 17a), 바람(一 44a)

(4) 주격조사 ‘-가’가 보이고 있다.

: 매가 새 듯 니(二 27a)

그 아 뉘가 제 어민 줄 모로더라(二 57a)

(5) 구개음화는 비어두음절뿐만 아니라 어두음절에서도 나타난다.

: 마시 죠타 니(三 58a) cf. 됴흔 말로(三 62a)

(6) 어두의 ㄴ이 i 모음 앞에서 탈락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것은 ‘ㄴ’의 구개음화와 연관을 가지는 것이다.

: 일우디 못리라(二 72b) cf.으로 닐우노라(三 41a)

참조

관련 문서

만을 떠올리게 되지만 사실은 씨엠립 주변 외에도 캄보디아 전역에 앙코르 시대의 유적이 널려 있으며 또한 주변국인 태국과 라오스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r]

② 논문지도교수는 2년 이내에 정년퇴임하지 않는 본교 전임교원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논문지 도교수가 퇴임한 경우에는 퇴임 후 2년까지 논문지도를 할 수 있다..

다만, 위원회의 소집이 곤란하거나 긴급한 조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서면 의결로 대체할 수 있다.... 교직원

제14조(재물조정) 재물조사 결과 재물의 증ㆍ감이 발견된 경우에는 물품관리자의 승인을 얻어 비 품대장(전산)을 정리하고 조정할 수 있다... 때에는 소속기관의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field survey, the Suwon City organized a 'Cam Meeting' with Chairman Chey, which turned out to be a well taken free, uninhibited

다만, 연계과정, 연구과정 또는 특별과정을 이수하고 대학원 학위과정에 진학한 경우에는 취득 하여야 할 학점을 36학점(연구지도학점 6학점 포함)이상으로 할

특별한 사유 없이 면접에 응하지 않을 경우 불합격 처리될 수 있다... 지원 자격에서 교과 석차백분율을 산출할 경우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