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인 성인남자의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 분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한국인 성인남자의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 분포"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원저]

한국인 성인남자의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 분포

손지은, 손용학, 전사일, 민원기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요 약 -

연구배경 저밀도 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LDL)은 다양한 크기, 밀도, 조성을 가지는 입자로 혈중에 분포하며 이중 small dense LDL은 저밀도 지단백 수용체 친화도가 낮고 proteoglycan 친화도가 높아 혈관 내벽을 잘 통과하며 산화에 취약한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화학적 특징으로 인해 small dense LDL은 죽상경화를 잘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관상 동맥질환 환자에서 증가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저밀도 지단백 입자의 분포는 한국인에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LipoPrint LDL System을 이용하여 93명(50.1±7.5 세)의 한국인 성인 남자의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방 법 공복 후 채혈한 혈청 검체를 이용하여 LipoPrint LDL System(Quantimetrix Corp., Redondo Beach, CA, USA)으로 저밀도 지 단백 아형(subclass; subfraction)을 분석하였고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에 따라 저밀도 지단백 표현형을 A형, I (intermediate)형, B형으로 분류하였다.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가 268 Å 보다 큰 경우 A형, 265 Å에서 268 Å 사이인 경우 I형, 265 Å 보다 작은 경우 B형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한국인 성인 남자의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는 265.1±4.7 Å이었으며 A형, I형, B형의 분포는 각각 30.1%, 30.1%, 39.8%이었다. 그리고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는 중성지방(Triglyceride; TG) 농도에 음의 상관관계(r=-0.667, P<0.001)를 보였으며,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농도와는 양의 상관관계(r=0.479, P<0.001) 를 보였지만,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농도와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한국인 성인 남자의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는 기존에 보고 되었던 서양인에 비해 작았고 A형을 제외한 아형의 비율

은 70%로 서양인에 비해 높았다. 그리고 한국인에서 small dense LDL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한국인의 높은 중성지방 농도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4;4:38~44)

중심단어 저밀도 지단백, 아형,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 한국인

7서 론

관상동맥질환의 주요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는 저밀도 지단 백은 혈장 내에 다양한 크기, 밀도 및 구성을 가진 여러 입 자로 혼재되어 있다. 현저히 많은 small dense LDL 입자를 가지는 경우(B형)가 large buoyant LDL 입자를 많이 가진 경 우(A형)보다 3배 더 높은 심근 경색 발병률을 보였다고 보고 된 바 있다.

1-3)

또한 최근의 연구결과는 심근 경색과 small

∙교신저자 : 민 원 기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주 소 : 138-736 서울시 송파구 풍납2동 388-1

∙전 화 : 02-3010-4503

∙E-mail : wkmin@amc.seoul.kr

∙접 수 일 : 2004년 3월 5일 ∙채 택 일 : 2004년 3월 19일

dense LDL과의 독립적인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4)

Small dense LDL 생성의 주요원인으로 혈중 중성지방 농도

의 증가가 잘 알려져 있는데, 혈장 내 중성지방이 증가하면서

triglyceride-rich very low density lipoprotein(VLDL)이나

chylomicron이 생성되면 cholesteryl ester transfer protein

(CETP)에 의하여 혈장 내에 존재하는 cholesterol-rich LDL과

중성지방의 교환이 발생하여 cholesterol-rich LDL을 triglyceride-rich

LDL 입자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triglyceride-rich LDL 입자는

hepatic lipase에 의하여 지방산이 제거되면서 지방에 대한 아

포단백질의 비율이 증가하여 cholesterol-rich small dense LDL

이 생성된다.

5)

그리고 저밀도 지단백의 입자 크기는 중성지방

농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

(2)

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6)

하지만 중성지방 농도가 정상인 경우에도 관상동맥 질환군 이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small dense LDL이 증가되어 있어, 중성지방 외에 다른 유전적 원인 역시 저밀도 지단백 아형을 결정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지금까지 저밀도 지단백 아형 에 고유한 유전자는 보고된 바 없으며, 쌍생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저밀도 지단백 표현형의 결정과 관련하여 유전적 요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50%정도이며, 나머지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7)

한국인의 혈청 지질 분포를 조사한 전사일 등

8)

의 연구에 따 르면, 한국인은 서양인에 비해 혈중 총콜레스테롤과 저밀도 지 단백 콜레스테롤이 각각 4.9%, 11.9% 낮았으며 중성지방은 9.6% 높았고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비슷하였다. 이와 같 이 서양인과는 다른 혈청 지질 분포를 보이는 한국인에서 저밀 도 지단백 아형의 분포도 서양인과 다르리라 생각되는데 한국 인의 저밀도 지단백 아형에 관한 연구로는 ultracentrifugation 을 이용한 조홍근 등

9)

의 연구에 국한되어 있다. 조홍근 등

9)

은 한국인과 스코틀랜드인의 small dense LDL 농도를 ultracentrifugation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한국인이 스코틀랜드인에 비해 small dense LDL 농도가 높다고 보고하였다. 조홍근 등이 사용한 ultracentrifugation은 저밀도 지단백 아형 분석의 definitive method이지만 검사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다른 검사실에서 얻 은 수치를 비교하기 힘든 단점이 있어 검사실간의 변이 오차가 적고 재현성이 높은 방법으로 한국인의 저밀도 지단백 아형을 측정해 볼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저자 등은 재현성이 좋은 LipoPrint LDL System(Quantimetirx Corp., Redondo Beach, CA, USA)을 이용하여 한국인 성인 남 자 93명의 저밀도 지단백 아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003년 4월 7일에서 12일까지 서울아산병원 건강증진센터 를 찾은 성인남자 중 무작위로 100명을 선택한 후 병력 조회 와 검사 소견 상 심혈관계, 호흡기계, 소화기계 및 내분기계 질환이 없는 9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50.1세이었고, 표준편차는 7.5 세이었다.

2. 연구방법

선정된 대상군에서 12시간 금식 후 EDTA(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검체용기와 SST(serum separator tube) 검체용

기에 채혈하여 즉시 혈장과 혈청을 분리한 후 -70℃에 분석 전 까지 보관하였다.

1)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 분석

분석은 LipoPrint LDL System(Quantimetrix Corp., Redondo Beach, CA, USA)을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LipoPrint LDL System은 LipoPrint gel tubes(polyacrylamide 3%, buffer, preservative), Lipoprotein loading gel(acrylamide 2.4 g/dL, N,N methylenebisacrylamide 0.2 g/dL, Sudan Black B 3.6 mg/dL), LipoPrint buffer(Tris-hydroxymethyl aminomethane 66.1% w/w, boric acid 33.9% w/w, pH solution 8.2~8.6)로 구 성되어 있었다.

LipoPrint LDL system buffer crystal 1 vial을 1200 mL의 탈염수(deionized water)에 녹여 electrolyte buffer solution을 만들었다. Storage buffer가 gel 위에 남아 있지 않도록 preparation rack을 뒤집어 흔들어서 제거하였다. 혈청 검체 25 μL를 3% polyacrylamide gel tube의 상층부에 넣은 후 LipoPrint loading gel 200 μL을 첨가하였다. Rack 상단을 rack cover로 막은 후 수 차례 뒤집어 loading gel과 sample 이 잘 섞이도록 하였다. Preparation rack의 loading gel 부위 가 fluorescence light의 중앙에 위치하면서 light tube에 접촉 하도록 하여 30분간 중합반응(polymerization)을 시켰다. 중합 반응이 완료되면 preparation rack에서 각 tube를 제거하여 조심스럽게 뒤집어보아 중합반응 여부를 확인한 후 upper electrophoresis chamber의 해당 번호의 silicon tube에 삽입 하였다. 이 때 tube의 옆면을 손가락으로 만져서 높이를 맞췄 다. 1000 mL의 electrolyte buffer solution을 lower chamber 에, 200 mL의 electrolyte buffer solution를 upper chamber에 넣었다. upper chamber와 lower chamber에 buffer를 넣은 후 각 gel tube의 상단과 하단에 air bubble이 없는지 확인하 였다. Electrophoresis chamber lid를 설치한 후 전기영동은 한 gel tube 당 3 mA가 걸리도록 하여 약 60분간 시행하였 다. 고밀도 지단백 fraction이 separating gel의 하단으로부터 약 1 cm의 위치까지 오면 영동을 중지하였다. 전기영동이 완 료되면 전원을 차단하고 chamber lid를 제거한 후 upper chamber의 buffer를 제거하였다. 전기영동이 끝난 후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scanning하였다.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 610 nm에서 Artixscan 1100(Microtek

Co., Carson, CA, USA), iMac(Apple Computer Inc., Cupertino,

CA, USA)으로 scanning하였다. Scanning한 후, electrophoretic

mobility(Rf) 및 area under the curve(AUC)를 NIH image

program vs 1.62(US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USA)을 응용

한 분석 프로그램으로 정량 분석하였다. 저밀도 지단백 아형은

(3)

Table 1. Distribution of LDL subclass and mean LDL particle size

LDL-1 (%) LDL-2 (%) LDL-3 (%) LDL-4 (%) LDL-5 (%) LDL (size, Å)

Mean 44.7 38.9 13.6 2.5 0.2 265.1

SD 13.4 6.7 8.9 4.1 0.9 4.7

Range 21.7~79.6 20.4~50.0 0~32.0 0~17.4 0~4.8 254~274

95% range 22.0~79.2 20.9~49.5 0~31.3 0~16.8 0~4.6 255.3~272.9

Number* 93/93 93/93 88/93 39/93 7/93

* Number of subjects showing the respective fraction/total number of subjects

초저밀도 지단백 (VLDL) fraction과 고밀도 지단백 fraction간의 Rf를 계산하여 구하였다. 저밀도 지단백은 Rf 0.30에서 0.61에 분포하며 7개의 band로 나뉘는데 각각의 Rf는 0.30, 0.36, 0.41, 0.46, 0.51, 058, 0.61이며 이를 LDL-1부터 LDL-7까지로 정의하 였다. 이중에서 LDL-1과 LDL-2은 large buoyant LDL에 속하 며, LDL-3~LDL-7은 small dense LDL에 속하였다.

2) 화학검사

채혈 즉시 분리하여 냉동 보관한 혈청을 자동화학분석기기 인 Hitachi 747-200(Hitachi Co., Tokyo, Japan)을 이용하여 혈중 총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 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을 효소법으로 측정하였다.

3) 통계분석

통계적 검증은 SPSS(version 10.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였다. 각 저밀도 지단백 표현형 군의 화학검사 수치를 analysis of variance(ANOVA) test를 이용하여 비교 하였다. 그리고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와 화학검사 수치 간의 상관성을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를 이용하 여 분석하였다. 양측검정으로 P-value가 0.05 미만인 경우 통 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연구결과

1. 저밀도 지단백 아형의 분포

저밀도 지단백 아형 중 LDL-1은 대상군의 100%(93/93), LDL-2는 100%(93/93)에서 관찰되었고 LDL-3는 94.6%(88/93), LDL-4는 41.9%(39/93), LDL-5는 7.5%(7/93), LDL-6와 LDL-7는 0%(0/93)에서 관찰되었다(Table 1). 모든 대상군에서 두 개 이 상의 저밀도 지단백 아형이 관찰되었으며 2개의 아형을 보인 경 우가 5.4%(5/93), 3개의 아형을 보인 경우가 52.7%(49/93), 4개 의 아형을 보인 경우가 34.4%(32/93), 5개의 아형을 보인 경우 가 7.5%(7/93)이었다.

2.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와 표현형의 분포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의 분포는 최소 254.0 Å, 최 대 273.7 Å 이었으며 평균은 265.1 Å 이었고 표준편차는 4.7 Å 이었다(Fig. 1). 그리고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에 근거한 저밀도 지단백 표현형은 A형, I형, B형이 각각 30.1%, 30.1%, 그리고 39.8%이었다.

Fig 1. Distributions of mean LDL particle size(mean=65.1 Å, standard deviation=4.70 Å, n=93).

3. 혈중 지질 농도와 저밀도 지단백 표현형의 분포

혈중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A형군에서 4.66 ± 0.76 mmol/l, I형

군에서 4.86 ± 0.73 mmol/l, B형군에서 5.13 ± 0.76 mmol/l로 B형

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세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

다(P < 0.05). 혈중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는 A형군에서

1.35 ± 0.30 mmol/l, I형군에서 1.20 ± 0.19 mmol/l, B형군에서

1.10 ± 0.17 mmol/l로 B형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세 군간에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혈중 중성지방 농도는

A형군에서 1.15 ± 0.45 mmol/l, I형군에서 1.37 ± 0.58 mmol/l,

B형군에서 2.04 ± 0.75 mmol/l로 B형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세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Table 2).

(4)

Table 2. Lipid distribution of each LDL subclass pattern

LDL subclass pattern

P-value*

A(n=28) I(n=28) B(n=37)

Total cholesterol(mmol/l) 4.66 ± 0.76 4.86 ± 0.73 5.13 ± 0.76 < 0.05

Triglyceride(mmol/l) 1.15 ± 0.45 1.37 ± 0.58 2.04 ± 0.75 < 0.001

HDL cholesterol(mmol/l) 1.35 ± 0.30 1.20 ± 0.19 1.10 ± 0.17 < 0.001

* Statistical differences of parameters among three groups assessed with ANOVA.

4. 혈중 지질 농도와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는혈중 중성지방 농도와 강 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고(r=-0.667, P<0.001)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과는 강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나(r=0.479, P<0.001) (Fig. 2) 혈중 총콜레스테롤 농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 이지 않았다(r=0.362, P>0.05).

(a)

(b)

Fig 2. Correlation (a) between serum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 and mean LDL particle size(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0.667, P<0.001) and (b) between serum concentrations of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mean LDL particle size(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0.479, P<0.001).

고 찰

LipoPrint LDL System(Quantimetrix Co., Redondo Beach, CA, USA)을 사용하여 측정한 한국인 성인 남자의 저밀도 지 단백 아형은 LDL-1, LDL-2, LDL-3, LDL-4, LDL-5, LDL-6, LDL-7이 각각 100%, 100%, 94.6%, 41.9%, 7.5%, 0%, 0%로 분포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정상 남, 여 서양인에서 Muniz 등

10)

이 측정한 분포는 각각 100%, 100%, 39%, 0%, 0%, 0%, 0%이었다. 서양인에 비해 한국인 성인 남자에서는 LDL-3가 나타난 비가 2.42배이었으며, 한국인 성인 남자에서 41.9%, 7.55%로 관찰된 LDL-4, LDL-5는 서양인에서는 관찰되지 않 아 한국인 성인 남자가 서양인보다 저밀도 지단백 아형의 분 포가 small dense한 쪽으로 치우쳐져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 에서 한국인 성인 남자의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는 265.1±4.7 Å 로 Muniz 등

10)

이 보고한 서양인의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인 272.4±1.96 Å보다 작았다. 이 연구 결과 는 조홍근 등

9)

이 density gradient ultracentrifugation으로 한 국 남자와 스코틀랜드 남자의 저밀도 지단백 아형을 분석한 연구에서 small dense LDL인 LDL-Ⅲ의 비율이 한국 남자에 서 42.8±24.9%로 스코틀랜드 남자의 20.8±15.0%보다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높다는 보고와 일치하였다. 또한 한국인 성인 남자에서는 A형, 30.1%, I형, 30.1%, B형, 39.8%이었고, 정상 서양 남, 여의 경우 A형, 43%, I형, 24%, B형, 33%이었다

11)

. 한국인 성인 남자의 non-A pattern(표현형이 A형이 아닌 경 우)은 70%로 서양인의 57%보다 1.2배이었다.

전사일 등

8)

이 한국인의 지질 분포에 대해 보고한 바에 따

르면 한국인이 서양인에 비해 총콜레스테롤과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각각 4.9%, 11.9% 낮고 중성지방은 9.6% 높았

다. Abbasi 등

12)

은 고탄수화물 식이가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

테롤 농도를 감소시키고 중성지방 농도를 증가시킨다고 보고

하였고 Krauss 등

13)

은 5개 연구의 596명의 건강한 정상 체중

의 성인 남자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저지방, 고탄수화물 식

이가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한국인에서 나타나는 높은 저밀도 지단

백 B형의 빈도와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의 감소는 한

국인이 고탄수화물 식품인 쌀을 주식으로 하기 때문인 것으

(5)

로 사료된다.

저밀도 지단백 표현형에 따라 혈중 지질 분포에 차이가 있 어 저밀도 지단백 표현형 B형군에서는 혈중 총콜레스테롤 농 도와 혈중 중성지방 농도가 세 군중 가장 높았으며, 혈중 고 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는 가장 낮았다.

본 연구에서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는 중성지방과 음 의 상관성(r=-0.667, P<0.001)을,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과 양의 상관성(r=0.479, P<0.001)을 보였다. 이는 평균 저밀도 지 단백 입자 크기가 중성지방과 음의 상관성(r=-0.46, P<0.001), 고 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과 양의 상관성(r=0.39, P<0.001)을 보인 Quebec study의 보고와 일치하였다

14)

. 또한 Stamper 등

11)

은 평 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가 중성지방과는 음의 상관성(r=- 0.71, P<0.01)을,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과는 양의 상관성 (r=0.60, P<0.01)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다른 저밀도 지단백 아형 분석 방법인density gradient ultracentrifugation

15-18)

, n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1

19)

,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20-22)

등은 노동집약적 이고,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여 재현성이 떨어지며 검사시간이 24시간 이상으로 길다는 단점이 있어 일상적인 환자 검사로 이 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polyacrylamide gel tube electrophoresis method(LipoPrint LDL System Quantimetrix Corp., Redondo Beach, CA, USA) 는 반자동적으로 측정이 가능하며 검사소요 시간이 3시간 정도 로 짧은 장점이 있으며 재현성이 높아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다른 연구들과 비교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23)

. 따라서 이번 연구 의 결과는 다른 검사실에서 실시한 다른 인종의 연구들을 비교 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참고문헌

1. Austin MA, Breslow JL, Hennekens CH, Buring JE, Willett WC, Krauss RM. Low-density lipoprotein subclass patterns and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JAMA 1988;260:1917-21.

2. Austin MA, King MC, Vranizan KM, Krauss RM.

Atherogenic lipoprotein phenotype. A proposed genetic marker for coronary heart disease risk. Circulation 1990;82:495-506.

3. Austin MA, Rodriguez BL, McKnight B, McNeely MJ, Edwards KL, Curb JD, et al. Low-density lipoprotein particle size, triglycerides,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s risk factors for coronary heart disease in older Japanese-American men. Am J Cardiol 2000;86:412-6.

4. Griffin BA, Freeman DJ, Tait GW, Thomson J, Caslake MJ, Packard CJ, et al. Role of plasma triglyceride in the regulation of plasma lowdensity lipoprotein (LDL) subfractions: relative contribution of small, dense LDL to coronary heart disease risk. Atherosclerosis 1994;106:241-53.

5. Packard CJ. Plasma lipid lipoprotein metabolism in the 1990s-what we know and what we need to know. In: DJ B, ed. Lipids; Current perspectives. London, 1996:1-21.

6. Rajman I, Kendall MJ, Cramb R, Holder RL, Salih M, Gammage MD. Investig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subfractions as a coronary risk factor in normotriglycer- idaemic men. Atherosclerosis 1996;125:231-42.

7. Austin MA, Krauss RM. Genetic control of low-density- ipoprotein subclasses. Lancet 1986;2:592-5.

8. Chun S, Min WK, Park H, Song J, Kim JQ, Min YI, et al.

The risk groups for coronary heart disease in Koreans.

Assessment by distribution of serum lipid concentrations.

Clin Chem Lab Med 1999;37:969-74.

9. Cho HK, Shin G, Ryu SK, Jang Y, Day SP, Stewart G, et al. Regulation of small dense LDL concentration in Korean and Scottish men and women. Atherosclerosis 2002;164:187-93.

10. Muniz N, Duncan D, Neyer G. Normal reference ranges for serum lipoproteins and their subfractions using the LipoPrintTM LDL system [abstract]. Clin Chem 2001;47:A58.

11. Stampfer MJ, Krauss RM, Ma J, Blanche PJ, Holl LG, Sacks FM,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triglyceride level, low-density lipoprotein particle diameter, and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JAMA 1996;276:882-8.

12. Abbasi F, McLaughlin T, Lamendola C, Kim HS, Tanaka A, Wang T, et al. High carbohydrate diets, triglyceride-rich lipoproteins, and coronary heart disease risk. Am J Cardiol 2000;85:45-8.

13. Krauss RM. Atherogenic lipoprotein phenotype and diet-gene interactions. J Nutr 2001;131:S340-3

14. Lamarche B, Tchernof A, Moorjani S, Cantin B, Dagenais

GR, Lupien PJ, et al. Small, dense low-density lipoprotein

particles as a predictor of the risk of ischemic heart

disease in men. Prospective results from the Quebec

(6)

Cardiovascular Study. Circulation 1997;95:69-75.

15. Krauss RM, Burke DJ. Identification of multiple subclasses of plasma low density lipoproteins in normal humans. J Lipid Res 1982;23:97-104.

16. Kulkarni KR, Garber DW, Jones MK, Segrest JP.

Identification and cholesterol quantific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subclasses in young adults by VAP-II methodology.

J Lipid Res 1995;36:2291-302.

17. Swinkels DW, Demacker PN, Hendriks JC, van 't Laar A.

Low density lipoprotein subfractions and relationship to other risk factors for coronary artery disease in healthy individuals. Arteriosclerosis 1989;9:604-13.

18. Tornvall P, Karpe F, Carlson LA, Hamsten A.

Relationships of low density lipoprotein subfractions to angiographically defined coronary artery disease in young survivors of myocardial infarction. Atherosclerosis 1991;90:67-80.

19. McNamara JR, Campos H, Ordovas JM, Peterson J, Wilson PW, Schaefer EJ. Effect of gender, age, and lipid status on low density lipoprotein subfraction distribution.

Results from the Framingham Offspring Study.

Arteriosclerosis 1987;7:483-90.

20. Ala-Korpela M, Korhonen A, Keisala J, Horkko S, Korpi P, Ingman LP, et al.1H NMR-based absolute quantitation of human lipoproteins and their lipid contents directly from plasma. J Lipid Res 1994;35:2292-304.

21. Freedman DS, Otvos JD, Jeyarajah EJ, Barboriak JJ, Anderson AJ, Walker JA. Relation of lipoprotein subclasses as measured by prot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to coronary artery disease.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1998;18:1046-53.

22. Nicklas BJ, Ryan AS, Katzel LI. Lipoprotein subfractions in women athletes: effects of age, visceral obesity and aerobic fitnes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9;23:41-7.

23. Hoefner DM, Hodel SD, O'Brien JF, Branum EL, Sun D,

Meissner I, et al. Development of a rapid, quantitative method

for LDL subfractionation with use of the Quantimetrix

LipoPrint LDL System. Clin Chem 2001;47:266-74.

(7)

[ Abstract ]

Distribu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Particle Size in Korean Adult Males

Ji Eun Son, Yong-Hak Sohn, Sail Chun, Won-Ki Min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Background Among heterogeneous low density lipoprotein(LDL), small dense LDL particles can penetrate vascular intima easier and they are more susceptible to oxidation in vitro. These general characteristics are thought to make small dense LDL particles more atherogenic. And small dense LDL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coronary heart disease, but the distribution of mean LDL particle size is not well described in Koreans.

Methods LDL subfraction profiles in 93 Korean adult males were estimated by the LipoPrint LDL System(Quantimetrix Corp., Redondo Beach, CA, USA). LDL subclass pattern were designated pattern A when mean LDL particle size was greater than 268Å, pattern B when it was smaller than 265Å, and pattern I when it was between 265Å and 268Å.

Results The mean LDL particle size was 265.1±4.7Åin Korean adult males and the prevalence of pattern A, pattern B, and pattern I were 30.1%, 39.8%, and 30.1%, respectively. Mean LDL particle siz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rum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r=-0.667, P<0.001)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rum concentrations of HDL cholesterol(r=0.479, P<0.001) but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oncentrations of cholesterol.

Conclusions The mean LDL particle size of Korean adult population(265.1±4.7Å) was smaller than that of Westerners previously reported. The percent of non-A pattern was 70% in Korean adult males, which is greater than that of Westerners. And the preponderance of small sized LDL may be due to higher triglyceride concentration in Korean population.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4 ; 4 : 38~44) Key words Korean, mean LDL particle size, LDL subclass triglyceride

8

∙Address for correspondence : Won-Ki Min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T e l : 02-3010-4503

∙E-mail : wkmin@amc.seoul.kr

수치

Table  1.  Distribution  of  LDL  subclass  and  mean  LDL  particle  size LDL-1  (%) LDL-2  (%) LDL-3  (%) LDL-4  (%) LDL-5  (%) LDL  (size,  Å) Mean 44.7 38.9 13.6 2.5 0.2 265.1 SD 13.4 6.7 8.9 4.1 0.9 4.7 Range 21.7~79.6 20.4~50.0 0~32.0 0~17.4 0~4.8 25
Table  2.  Lipid  distribution  of  each  LDL  subclass  pattern LDL  subclass  pattern P-value* A(n=28) I(n=28) B(n=37) Total  cholesterol(mmol/l) 4.66  ±  0.76 4.86  ±  0.73 5.13  ±  0.76 &lt;  0.05 Triglyceride(mmol/l) 1.15  ±  0.45 1.37  ±  0.58 2.04

참조

관련 문서

디지털

비만과 사망률 Effects of obesity on mortality 체질량지수 혹은 체중 증가와 사망률 사이에는 밀접한 연 관성이 존재함은 잘 알려져 있다.. 체질량지수 증가는

고령의 환자에서 동반질환으로 다양한 약물을 복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약물에 의해 기립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항고혈압약제, 혈관확장제, 이뇨제, 안정제를

러스트 벨트의 대기 속에 있는 황산염과 같은 분진이 산성비, 호흡기 질환, 그리고 오존층 파괴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새로운 연구는 그것 이 태양의 빛과

농축산물 생산의 경우에도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 이로 인해 실질 농산물 가격도 보합세가 유지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제

지반을 구성하고 있는 흙 입자는 입자 간에 전기적 힘이 작용하는 점토광물 입자와 입자 간에 전기적 힘이 거의 없는 조립토 광물 입자로 구분될 수 있고 이러한 입자의

질환의 발생률이 높음을 보고하여 심혈관질환의 유무와 관계 없이 혈액 투석 환자에서 을 정상으로 유지하는 것은 부분적인 교정에 비해 더 나은 결과을 보이지 않음을 알

나노 불평등에 대한 인식은 사람마다 달라서, 나노 기술의 성공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득이 너무 커서 기술 분배 불평등을 심화시킬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