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literatual Study on the etiology of dry eye syndrom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literatual Study on the etiology of dry eye syndrome"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교신저자 : 서형식, 강원도 원주시 우산동 238번지 상지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안이비인후피부과 (Tel: 033-741-9266, E-mail: aran99@sangji.ac.kr)

∙접수 2009/10/14 ∙수정 2009/11/26 ∙채택 2009/12/04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9;22(3) : 188-195

안구건조증의 病因에 대한 문헌적 고찰

윤성식·서형식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The literatual Study on the etiology of dry eye syndrome

Seong-Sik Yoon·Hyung-Sik Seo

Objective : The object of this literatu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tiology of dry eye syndrome

Methods : We have selected data related to etiology of dry eye syndrome on the literature of Oriental Medicine. And we analyzed the study.

Results : Treatment and etiology concerning dry eye syndrome derived diverse opinion according to medical era and practitioner. It was a good opportunity to speculate the etiology and similar symptoms of dry eye syndrome.

Conclusions : Through literatual Study, we basically understood the etiology of dry eye syndrome. In the study of the etiology, it seems that further clinical studies on treatment of dry eye syndrome via oriental medicine.

Key words : dry eye syndrome, KCS(Keratoconjunctivitis Sicca)

Ⅰ. 緖 論

안구건조증은 눈을 자극하는 미디어가 발달한 現代에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눈물층의 非正常 的인 상태로 인하여 눈에 異物感, 乾燥感 등을 가 져오는 경우를 총칭하여 건성안(dry eye)

1)

이라 한 다. 여러 원인으로 눈물의 分泌가 저하되거나, 안 구 및 눈부속기관의 질환, 즉 눈꺼풀의 이상이나

염증, 또는 피부질환과 동반될 경우(Stevens-Johnson 증후군, 유천포창 Sjögren's syndrome) 및 전신질 환과 동반된 경우(비타민 A 결핍증 및 쇼그렌증후 군 Sjögren's syndrome)에 나타난다.

ʻ건성안(dry eye)ʼ또는 ʻ건성각결막염(Keratoconjunctivitis Sicca)ʼ(KCS)는 같은 뜻이다. 크게 두가지로 분류 되는데 (a)저분비성(hyposecretive, Sjogren) 또는 비 분비성(non-Sjogren), 그리고 (b)증발성(evaporative) 으로 분류되지만 이 두가지 분류가 완전히 배타적 인 것은 아니다

2)

.

건성안의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자극감, 이물감,

(2)

타는듯한 느낌, 실같은 점액성 분비물 그리고 일시 적인 번져보임이 있다. 덜 흔한 증상으로는 가려 움, 눈부심, 그리고 피로하거나 묵직한 느낌이 있 다. 실모양각막염이 있는 경우에는 눈을 깜박일 때 심한 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일부의 환자가 감정 적인 눈물이 부족하거나 양파껍질을 벗길 때 눈물 분비가 적다고 하는 경우는 있지만 놀랍게도 환자 가 자신의 눈이 건조하다고 호소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KCS의 증상은 눈물증상이 증가하는 환경(에 어콘 작동, 바람, 중앙난방 등)에 노출되거나 장시 간의 독서로 눈깜빡임의 빈도가 감소하는 경우에 종종 악화된다. 증상은 눈을 감으면 호전되기도 한 다

2)

.

안구건조증에 대하여 한의학에서 가장 유사한 증상이 乾澁昏花症이다. 이는 眼目이 乾澁하고 不 快하며 渺然하고 자재롭지 못한 것은 水가 적고 精液이 衰少하여 乾澁하고 睛光이 損害된 것이다.

이러한 病症은 눈이 乾澁하고 시원하지 않으며 視 力이 昏花한 것이다. 이것은 주로 오래동안 눈을 사용해서 疲勞하거나 思慮過多하거나 혹은 燥性飮 食을 좋아하거나 혹은 房事過度하여 神水가 損傷 되어 發病한 것이고 가늘한 赤色脈絡이 나타나고 潤澤하지 못하는 등 症狀이 나타난다. 눈을 감고 睛光을 滋養하면 오래되어 눈물이 나서 약간 潤澤 하게 되어 눈이 맑고 시원해지기에 水가 적은 때 문이다. 만약 조심하지 않고 保養하지 않아 神水를 損傷하게 되면 苦澁한 病症이 나타난다

3)

.

안구건조증에 대하여 한의학에서는 안구건조증 에서 나타나는 증상에 초점을 맞추어 표현되어지 고 있다. 東醫寶鑑에서는 眼昏

4)

, 향약집성방에서는 目澁痛

5)

, 王肯堂證治準繩에서는 乾澁昏花 혹은 神 水將枯

6)

, 銀海精微에서는 瞳仁幹缺

7)

등이 그 예이 다. 하지만 이러한 안구건조증에 대하여 한의학에 서의 자세한 연구나 언급은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저자는 황제내경시대, 수당시대, 송대금원시대, 명

타나는 증상들에 대한 기술들을 고찰하였고, 더불 어 해당증상들의 원인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따라서 유사증상과 원인에 대해 약간의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Ⅱ. 本 論

1. 黃帝內經時代

1) 素問 氣交變大論

8)

諸澁枯涸, 幹勁皴揭, 皆屬于燥.

2) 素問 陰陽應象大論

9)

定其血氣, 各守其鄕. 血實宜決之, 氣虛宜掣引之

2. 隋唐時代

1) 諸病源候論

10)

二十. 目澁候

目, 肝之外候也, 腑臟之精華, 宗脈之所聚, 上液之 道. 若悲哀內動腑臟, 則液道開而泣下, 其液竭者, 則 目澁. 又風邪內乘其腑臟, 外傳于/於液道, 亦令泣下 而

數欠, 泣竭則目澀. 若腑臟勞熱, 熱氣乘于/於肝, 而衝發于/於目, 則目熱而澀也, 甚則赤痛.

3. 宋代, 金元時代

1) 太平聖惠

11)

治眼澀痛諸方

夫藏府之精華. 上注於目. 精氣化爲液漏. 若悲哀 內動. 液道開而注下. 其液凅竭則目澀痛也.

2) 聖濟總錄

12)

(3)

論曰諸脉皆屬於目, 目者, 血之腑, 故人臥則血歸 於肝, 肝受血而能視, 血氣和調.

則上助于目力而能瞻視, 若肝臟有熱, 血脉壅燥, 則津液不能榮潤, 故目中幹痛而磣澀也, 聖惠方, 論 悲哀內動, 液道開而泣下, 其液枯燥, 則致目澀痛者, 亦一證也.

3) 銀海精微

7)

① 目暗生花

目暗生花不能久視者, 何也? 此乃腎之虚也. 眼雖 屬于竅門乃歸腎而爲主, 腎虚則眼昏, 或貪淫樂欲酒 色過度, 使腎臟衰憊, 禀受天眞不全, 精神短少, 致瞳 仁神水不清, 眼目無力, 故目生花, 不能久視. 治之須 用還精補腎丸, 使隂水足無不還矣.

② 瞳仁幹缺

瞳仁幹缺者, 亦系內障, 與外障無預, 但因頭疼痛而 起, 故列外障條中. 按此症因夜臥不得, 肝臟魂肺藏 魄, 魂魄不安, 精神不定而少臥勞傷于肝, 故金井不 圓, 上下東西如鋸齒, 缺參差, 久則漸漸細小, 視物蒙 蒙, 難辨人物, 相牽俱損. 治法︰宜瀉肝補腎之剤, 一 本無鴻飛內有, 腎肝俱虚火旺也, 用猪肝煮熟, 露宿侵 晨切薄, 蘸夜明沙細嚼, 此藥能通明益膽之功. 瞳仁小 者肝之實, 瞳仁大者肝之虚, 此症失於醫治, 久久瞳多 鎖緊, 如小針眼大, 內結有雲翳, 或黄或青或白, 隂 看不大, 陽看不小, 遂成瞽疾耳﹗初起時眼珠墜痛, 大 微紅, 猶見三光者, 治宜服五瀉湯, 省風湯同補腎丸, 及補腎明目丸, 久服效, 方俱在前.

4) 危亦林得效方

6)

瞳人乾結

眼目乾澁, 全無漏液, 始則疼痛, 後來稍定, 或白或 黑, 不見物, 此證不可治.

5) 朱震亨心法

6)

目昏屬血少神勞腎虛也, 宜養血補水安神以調之.

4. 明·淸時代

1) 王肯堂證治準繩

6)

① 眞血 神水 神膏

眞血者則肝中升運滋目經絡之血

神水者由三焦而發源先天眞一之氣所化在目之內 在目之外則目上潤澤之水是也

水衰則有火勝燥暴之患水竭則有目輪大小之疾耗澁 則有昏眇之危

神膏者目內包涵膏液, 涵養瞳神 ② 論目痒

因風而痒者, 驅風一字散. 因火而痒者, 類於赤痛, 求降火之劑. 因血虛而痒者, 四物湯.

③ 乾澁昏花

目自覺乾澁不利爽, 而視物昏花也. 乃勞膽竭時, 過 廬多思, 躭主恣燥之人, 不忌房事, 致傷神水, 目傷必 有 如細脈, 及不潤澤等病在焉. 合眼養光, 良久則得 漏, 略潤開則明爽, 可見水少之故. 若不勤戒保養, 甚 則有傷神水, 而枯澁之變生矣. 治惟滋陰養水, 略帶抑 火以培其本, 本正則淸純之氣火, 而化生之水潤, 若誤 認火實, 用開烙針瀉之法治之, 則有緊縮細小之患.

④ 神水將枯

視珠外神水乾澁, 而不瑩輪, 最不好識, 雖形於言, 不能妙其狀, 乃火鬱蒸膏澤, 故精液不淸, 而珠不莹 潤, 汁將內竭, 雖有淫淚盈珠, 亦不潤澤, 視病其色乾 澁, 如蜒蚰睡涎之光, 凡見此證, 必有危急病來, 治之 稍緩則神膏乾澁, 神膏乾澁, 則瞳神危矣. 夫神水爲目 之機要, 其病幽微, 人不知之, 致變出危證, 而救之已 遲, 其狀難識非心志巧, 眼力精, 雖師指不得盡其妙.

若小兒素有疳證, 糞如鸭溏, 而目疾神水將枯者, 死.

五十以外人, 糞如羊矢, 死. 熱結膀胱證, 神水將枯者,

皆下水熱蒸不淸故上亦不淸證其源而流自淸矣. 一云,

瞳神乾結證, 其睛乾澁, 全無淚液, 或白或黑,則疼痛,

後來稍定而黑不見, 此證不可治療, 宜瀉肝散.

(4)

2) 名目至宝

7)

瞳仁幹缺

瞳仁幹缺甚爲疼, 風熱須知在腎經. 此症水輪無淚 液, 三光難辨眼多盲. 息色欲, 使心清, 藥將補腎補肝 平. 病者服藥須宜早, 莫待朦朧眼不明. 此是腎風內熱 也. 宜服三花五子丸, 鎭肝散, 還睛散, 巖電丸, 益腎 丸.

3) 樓英醫學綱目

6)

目昏

運氣目昏有四: 一曰風熱. 經云少陰司天之政, 風 熱叅布, 雲物沸騰, 太陰橫流, 寒時之往復之作, 民病 聾瞑, 此風熱叅布目昏也.

二曰 熱. 經云 : 少陰在天, 熱淫所勝, 病目瞑, 治 以鹹寒, 此熱勝目昏也.

三曰 風. 又云 : 歲水不及, 濕乃大行, 復則大風暴 發, 目視䀮䀮此風勝目昏也.

四曰 燥. 經云 : 陽明司天, 燥淫所勝, 目昩眥瘍, 治以高熱是也.

4) 吳昆醫方考

6)

蓋腎主目之瞳子, 腎水虛竭, 故令目昏

5) 景岳全書

13)

水在上, 火在下, 故目明. 老人火在上, 水不足, 故 目昏. 󰡔內經󰡕曰: 血實者宜決之.

6) 目經大成

7)

幹澀昏花二

如浪如花觀自在, 且幹且澀愁無奈. 皆因隂奪不侔 陽, 精神憊, 膏液壞, 轉恐瞳仁生障礙.

此目開閉總不自然, 而視亦昏渺. 多因勞瞻過慮, 耽 酒恣欲, 五火熬傷神水而致. 猶夏夜燃蚊香久坐, 及睡 瞑目, 一時澀痛不堪, 得淚乃活, 可見水少熱炙之故.

若不戒謹保養, 必變枯瘁. 不則色澤不潤, 細細赤脉

滋源培本, 人參固本丸, 金水六君煎略帶抑邪. 所謂本 立則清氣自和, 邪去而源泉隨化. 醫作火症, 妄施攻 散, 會有緊縮欹側之患.

此目十人有五相似, 豈肉食之爽口耶 抑尤物之移情 耶 務宜痛自樽節, 以保神光. 或曰∶見酒色而遠之, 要眼何用 可謂善戲謔兮, 不爲虐兮.

7) 醫學入門

14)

① 不治證, 瞳人乾缺, 痛澁無淚, 或白藏在黑水下, 向日細視方見, 或兩眼相傳疼痛, 早輕夜重, 或內障, 五色相間, 頭痛無淚, 日中如坐暗室, 或雷頭風, 熱毒 氣衝入睛中, 牽引瞳人, 或微或大 不見.

② 目昏者, 熱鬱也. 甚則平白日無所見 故傷寒病 熱極, 則目盲而不識人. 目微昏者 至近則轉, 難辨物, 或如隔簾視, 或視如蠅翅, 或見黑花, 皆目之玄府閉 密, 而致榮衛精神不能升降故也. 若患風疹者, 必多眼 暗, 攻其風則暗自去.

8) 東醫寶鑑

4)

【眼昏】

五藏精明聚於目目睛全則目明<得效>○夫精明者所 以視萬物別白黑審長短以長爲短以白爲黑如是則精衰 矣<內經>○足少陰之脈病目䀮䀮無所見<靈樞>○肝 虛則目䀮䀮無所見<內經>○靈樞曰氣脫者目不明難經 曰脫陰者目盲夫陰陽合傅而爲精明氣血不足則目昏○

視物不明見黑花者腎氣弱也<保命>○目昧不明熱也然 玄府者無物不有人之藏府皮毛肌肉筋膜骨髓爪牙盡皆 有之乃氣出入升降之道路門戶也有所閉塞不能爲用者 悉由熱氣怫鬱玄府閉密而致氣液血脈榮衛精神不能升 降出入故也各隨鬱結微甚而爲病之輕重故知熱鬱於目 則無所見也或目昏而見黑花者由熱氣甚而發之於目也

<河間>○目昏者熱甚也傷寒熱極則目盲不識人目微昏

者至近則轉難辨物或如隔簾視或視如蠅翅或見黑花皆

目之玄府閉密而榮衛精神不能升降故也<入門>○凡人

目暴不見物皆是氣脫用人參膏(方見氣門)以補之血藥以

(5)

昏宜駐景元加減駐景元(方並見上)滋陰地黃元(方見上) 加味磁朱丸四物五子元蔓菁子丸還睛丸(方見下)○傷寒 熱病後目昏或生瞖膜宜服石決明散(方見上)點春雪膏 (方見下)○婦人眼昏宜服抑靑明目湯

【老人眼昏】

人年老而目昏者血氣衰而肝葉薄膽汁減而目乃昏矣

<脈訣>○童子水在上故視明瞭老人火在上故視昏睡

<入門>○老人眼昏宜還睛丸(方見通治)夜光育神丸明 眼地黃丸滋陰地黃丸(方見上)呂仙翁方勞傷昏暗宜益氣 緫明湯

9) 鄕藥集成方5)

눈이 깔깔하면서 아픈것 (目澀痛)

대체로 臟腑의 精氣가 눈에 나타나고 精氣가 變 化되면 눈물이 된다. 만약 지나친 슬픈 일에 감동 되면 눈물이 나오는 길이 열려서 눈물이 나오는데 눈물이 많이 나와 마르게 되면 눈이 깔깔하면서 아프게 된다.

10) 萬病回春

15)

眼痛者, 火盛也.

Ⅲ. 總括 및 考察

안구건조증은 腎水가 不足해서 나타나는 증상이 다. 腎水는 三焦에서 발월하여 先天의 眞氣로 化하 여 目內에 있고, 血이 水를 濡養하며 水는 膏를 滋養하고 膏는 瞳神을 호위하는데 膏外의 水는 腎 水로 膏를 滋養하고 目을 潤澤하게 하는 精汁이다

6)

. 즉 腎水가 不足하면 膏를 滋養하지 못하고 目 을 潤澤하게 하지 못하여 目澁痛, 目暗生花, 瞳人 干缺, 乾澁昏花, 神水將枯, 眼昏(목혼), 目痒,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腎水가 不足하게 되 는 것은 슬픈 감정으로 인하여 눈물을 많이 흘리

거나, 열기가 肝을 상하거나, 風熱이 腎을 상하거 나, 血이 衰竭하거나, 玄府의 升降出入의 障碍로 인해 熱이 울체되거나, 思慮過多, 勞役 및 房勞, 飮酒過多하거나 장시간 동안 독서를 하여서 陰精 이 虧損되어 나타난다.

1. 시대별 안구건조증의 병인에 대한 고찰

1) 黃帝內經時代

<黃帝內經>

8,9)

에서는 모든 껄끄럽고 마르는 증 상이 燥에 속한다고 하였고, 血實宜決之라 하여 안구건조증의 원인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였다.

2) 隋唐時代

<諸病源候論>

10)

에서는 目澀痛은 눈이 깔깔하면 서 아픈 증상으로 슬픈 감정으로 인하여 눈물을 많이 흘리거나, 風邪로 인하거나, 熱氣가 肝을 상 하여 나타난다고 하였다.

3) 宋代, 金元時代

<太平聖惠>

11)

에서는 슬픈 감정으로 동요되어 눈 물을 많이 흘리면 目澀痛이 된다고 하였다.

<聖濟總錄>

12)

에서는 肝에 熱이 있으면 血脈이 마르고 津液이 榮潤할 수가 없어서 目澀痛이 나타 난다고 하였다.

<銀海精微>

7)

에서는 腎虛가 目暗生花의 원인이라 고 하였고, 정신이 불안정하여 잠을 적게 자고 피 로하여 肝을 상하거나 肝腎이 모두 虛하여 火가 旺盛하여 瞳仁乾結이 생긴다고 하였다.

<朱震亨의 心法>

6)

에서는 血少神勞腎虛가 目昏의 원인이라 하였다.

4) 明時代

<證治準繩>

6)

에서는 風과 血虛가 目痒의 원인이

며, 勞膽竭時, 過廬多思, 躭主恣燥之人, 不忌房事로

인하여 腎水가 상하면 乾澁昏花가 생긴다고 하였

(6)

시대 서명 질환명 증상 병인

黃帝內 經時代

素問

氣交變大論 諸澁枯涸, 幹勁皴揭 皆屬于燥

素問

陰陽應象大論 血實宜決之, 氣虛宜掣引之

隋·唐

時代 諸病源候論 目澀候 目澀, 甚則赤痛 悲哀內動腑臟 則液道開而泣下, 風邪

內乘其腑臟, 腑臟勞熱 熱氣乘于肝

宋·

金元時

太平聖惠 目澀痛 目澀痛 悲哀內動 液道開而注下 其液凅竭

聖濟總錄 目澀痛 目中幹痛而磣澀 肝臟有熱 血脉壅燥 則津液不能榮潤

銀海精微

目暗生花 眼昏,精神短少,致瞳仁神水不清,眼目無

力,故目生花,不能久視 腎之虛

瞳人乾缺

金井不圓,上下東西如鋸齒,缺參差,久則漸 漸細小,視物蒙蒙,難辨人物,相牽俱損。瞳 仁小者肝之實,瞳仁大者肝之虚,此症失于/

於醫治,久久瞳多鎖緊,如小針眼大,內結有 雲翳,或黄或青或白,隂看不大,陽看不 小,遂成瞽疾

按此症因夜臥不得,肝臟魂肺藏魄,

魂魄不安,精神不定而少臥勞傷于/於 肝,故腎肝俱虚火旺

危亦林得效方 瞳人乾缺 眼目乾澁, 全無漏液, 始則疼痛, 後來稍定, 或 白或黑, 不見物, 此證不可治.

朱震亨心法 目昏 目昏 血少神勞腎虛

時代

證治準繩

目痒 目痒 因風而痒者,

因血虛而痒者 乾澁昏花 目自覺乾澁不利爽, 而視物昏花也. 如細脈,

及不潤澤等病在焉.

神水將枯

視珠外神水乾澁, 而不瑩輪, 最不好識, 雖形 於言, 不能妙其狀, 乃火鬱蒸膏澤, 故精液不 淸, 而珠不莹潤, 汁將內竭, 雖有淫淚盈珠, 亦不潤澤, 視病其色乾澁, 如蜒蚰睡涎之光, 凡見此證, 必有危急病來, 治之稍緩則神膏乾 澁, 神膏乾澁, 則瞳神危矣.

名目至寳 瞳人乾缺 水輪無淚液,三光難辨眼多盲 風熱須知在腎經

醫學綱目 目昏 民病聾瞑, 病目瞑, 目視䀮䀮, 目昩眥瘍 風熱, 熱, 風, 燥

醫方考 目昏 目昏 腎水虛竭

景岳全書 目昏 目昏 老人火在上, 水不足

萬病回春 眼痛者 火盛也

醫學入門

瞳人乾缺

不治證, 瞳人乾缺, 痛澁無淚, 或白藏在黑水 下, 向日細視方見, 或兩眼相傳疼痛, 早輕夜 重, 或內障, 五色相間, 頭痛無淚, 日中如坐暗 室, 或雷頭風, 熱毒氣衝入睛中, 牽引瞳人, 或 微或大 不見.

熱毒

目昏 目昏, 甚則平白日無所見, 目盲而不識人, 目 微昏者 至近則轉, 難辨物, 或如隔簾視, 或視 如蠅翅, 或見黑花, 必多眼暗

熱鬱

東醫寶鑑 眼昏 目䀮䀮無所見, 目昏, 視物不明見黑花 足少陰之脈病, 肝虛, 氣脫者, 脫陰 者, 腎氣弱, 熱氣怫鬱玄府閉密

鄕藥集成方 目澁痛 目澁痛 悲哀內動 腑臟則液道開而泣下 其液

竭者

目經大成 幹澁昏花 如浪如花觀自在,且幹且澁 多因勞瞻過慮,耽酒恣欲,五火熬傷

Table 1. Disease, Symptoms, Etiological Cause Which Appears in the Periodic by Literature

(7)

고, 腎水가 乾澁하여 神膏가 乾澁하게 되어 瞳神이 위태롭게 되는 神水將枯를 소개하고 있다.

<名目至寳>

7)

에서는 風熱이 腎經에 있어서 瞳人 乾缺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醫學綱目>

6)

에서는 風熱, 熱, 風, 燥가 目昏의 원인이라고 하였다.

<醫方考>

6)

에서는 腎水가 虛竭한 것이 目昏의 원인이라고 하였다.

<景岳全書>

13)

老人은 火가 위에 있어서 水가 부 족한 것이 目昏의 원인이라고 하였다.

<醫學入門>

14)

에서는 不治症으로 瞳仁乾結을 소 개하며 원인으로 熱毒이 눈동자 가운데에 上衝한 것을 들고 있다. 熱鬱을 目昏의 원인이라고 하였 다.

<東醫寶鑑>

4)

에서는 足少陰之脈病, 肝虛, 氣脫者, 脫陰者, 腎氣弱, 熱氣怫鬱玄府閉密 등을 眼昏의 원 인이라고 하였다.

<鄕藥集成方>

5)

에서는 슬퍼서 눈물을 많이 흘 려 눈물이 마르게 되어 目澀痛이 나타난다고 하였 다.

<萬病回春>

15)

에서는 眼痛의 원인으로 火가 치성 한 것을 들고 있다.

5) 淸時代

<目經大成>

7)

에서는 陰脫하여 陽을 가지런하게 하지 못하여 정신이 고달프고, 膏液이 역할을 못하 여 瞳仁에 장애가 생긴다고 하였고, 陰脫의 원인으 로는 勞瞻過慮,耽酒恣欲,五火熬傷神水而致한다고 하였다.

Ⅳ. 結 論

1. 황제내경시대의 안구건조증에 대한 병인은 燥와 血虛이다.

2. 수·당시대의 안구건조증에 대한 병인은 悲哀內 動, 風邪, 腑臟勞熱이다.

3. 송·금원시대의 안구건조증에 대한 병인은 悲哀 內動, 肝臟有熱, 腎之虛, 腎肝俱虛火旺이다.

4. 명시대의 안구건조증에 대한 병인은 因風而痒 者, 因血虛而痒者, 風熱, 熱, 風, 燥, 腎水虛竭, 老人火在上水不足, 火盛也, 熱毒, 足少陰之脈病, 肝虛, 氣脫者, 脫陰者, 腎氣弱, 熱氣怫鬱玄府閉 密이다.

5. 청시대의 안구건조증에 대한 병인은 多因勞瞻過 慮 耽酒恣欲 五火熬傷神水而致 이다.

본 논문을 통하여 역대 한의학 문헌에서 안구건 조증의 병인을 다룬 내용들을 살펴보았으며 안구 건조증의 병인에 대하여 한의학적으로 접근하는 계기가 되었다. 안구건조증은 눈을 자극하는 미디 어가 발달한 현대에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한 의학적 치료에 대한 환자들의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향후 한의학적 안구건조증의 치 법·치료에 관한 활발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되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1. 李東浩, 李相旭, 崔檍. 眼科學. 서울. 일조각.

1995:81.

2. Jack J. Kanski. 임상안과학. 서울. 정담.

2005:56-57.

3. 李俊茂·吳世雄 譯. 眼科大全. 서울. 일중사.

2003:282.

4. 허준. 東醫寶鑑. 서울. 법인문화사. 2005:435-436.

5. 과학·백과사전출판사 편저. 향약집성방. 서울.

일월서각. 1993:202.

6. 陳夢雷. 圖書集成醫部全錄. 서울. 의성당.

(8)

1993:382, 391, 396, 431, 444, 458, 463, 466, 486.

7. 徐又芳외 편저. 中醫五官科名著集成. 華夏出版 社. 29, 188, 442, 455.

8. 趙含森. 中國醫藥大成. 북경. 中國中醫藥出版 社. 1997:65.

9. 양유걸 편저. 황제내경소문영추역해. 성보사.

1980:61, 607.

10. 남경중의학원 교석. 제병원후론교석. 인민위생

출판사. 1983:730.

11. 太平聖惠. 翰成社. 932-933.

12. 趙佶. 聖濟總錄. 인민위생출판사. 1998:1275.

13. 李南九 懸吐·註釋. 懸吐·註釋 景岳全書. 법 인문화사. 2007:487.

14. 陳柱杓 譯解. 新對譯 編註 醫學入門. 법인문화 사. 2009:1284.

15. 陳柱杓 編譯. 對譯 萬病回春. 법인문화사.

2007:911.

수치

Table 1. Disease, Symptoms, Etiological Cause Which Appears in the Periodic by Literature

참조

관련 문서

[Key Words] Ji Kang, Life Attitude, secular world( 入世 ), be above worldly considerations( 出世 ), Govern by doing nothing that goes against nature(

대부분 痙病이나 昏迷 상태와 동시에 나타 나며, 高熱과 肝風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이 진단요 점이다.. 【진단요점】 手足震顫 또는 蠕動하는 등의 輕微한 動風

燕王盧綰反, 入匈奴, 滿亡命, 聚黨千餘人, 魋結蠻夷服而東走出塞, 渡浿水, 居秦故空地上下鄣..

發熱 惡熱 自汗 口渴 喘 小便短赤 心煩 舌紅 舌苔黃燥 脈洪數. 潮熱 便秘 泄瀉 황٠취 腹脹 腹痛 拒按

於二零二一年六月三十日,本集團之總借款包括銀行及其他借款及優先票據、關聯公司貸款

という。)に係る発明(以下「本件発明」という。)の共同発明者であり,本件

이는 미중 무역전쟁에 대한 협상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중국 당국도 위안화 절상을 용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크게 기술적인 부분과 구조적인

이렇게 우리 몸의 일부에 해당하는 귀의 특정 부분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자극하여 症狀 을 가볍게 만드는 治療 방법 즉 耳穴刺戟療法에 대한 肩臂痛의 治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