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영양분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영양분과"

Copied!
19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우리 몸의 모든 조직은

영양분과 O2를 필요로 하고, 대사 산물인 CO2와 노폐물은

폐(허파)와 신장(콩팥) 등을 통하여 몸 밖으로 배설된다.

이러한 물질은

일정한 관을 통하여 운반되는데,

이를 순환계(circulatory system)라 함

1) 혈관계(blood vascular system) : 혈액을 운반함 2) 림프계(lymphatic system) : 림프를 운반함

2. 순환계의 구성 1. 순환계의 정의

(3)

(2) 혈액과 조직 사이의 물질교환이 이루어지는 곳

1. 정의 : 동맥(artery)과 정맥(vein)을 통하여 혈액(blood)을 운반하는 맥관계(맥관계통, vascular system)

2. 혈관계의 구성

1) 심장(heart) : 펌프작용으로 혈액을 온 몸으로 박출함 2) 동맥(artery)

3) 정맥(vein)

대사과정에서 생긴 노폐물이 포함되어 있는 정맥혈액을 조직에서 심장으로 운반함 4) 모세혈관(capillary)

(1) 동맥과 정맥을 연결함

(1) 심장에서 박출된 혈액을 모세혈관까지 운반하는 혈관 (2) 영양분과 O2가 포함된 혈액을 세포로 운반함

(4)

1. 동맥(artery)의 정의 : 심장에서 박출된 혈액을 모세혈관까지 운반하는 혈관 2. 동맥(artery)의 종류

4) 모세혈관(capillary) : 혈액과 조직 사이에 존재함 1) 대동맥(aorta)

2) 동맥(artery)

3) 소(세)동맥(arteriole)

벽이 매우 얇아서 가스, 영양분 및 노폐물이 교환되는 부위임

3. 정맥(vein)의 정의 : 모세혈관에서 심장으로 혈액이 흐르는 혈관 4. 정맥(vein)의 종류

1) 대정맥(vena cava) 2) 정맥(vein)

3) 소정맥(venule)

(5)

혈관은 기능에 따라서

1. 동맥을 압력혈관(pressure vessel)

2. 소동맥을 저항혈관(resistance vessel) 3. 모세혈관을 교환혈관(exchange vessel) 4. 정맥을 저장혈관(volume vessel)

(6)

1. 혈관은 문합(연결, anastomosis)에 의해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있음

2. 순환장애가 발생하면 측부순환(곁순환, collateral circulation)에 의해 순환함

(7)

4. 뇌피질과 간(liver), 신장 (콩팥, kidney), 갑상선(갑상샘, thyroid gland), 비장(지라, spleen) 및 망막(retina) 등에서는 문합을 형성하지 않는

종동맥(끝동맥, end/terminal a.)을 형성함

3. 발가락이나 손가락에서는 소동맥과 소정맥이 직접 연결되어

동정맥문합(동정맥연결, arteriovenous anastomosis)을 형성함

(8)

5. 신장의 사구체(토리, glomerulus)는 여러 개의 소동맥이 혈관그물을 형성하고 있음. 이것을 괴망(세동정맥그물, rete mirabile)이라 함

(9)
(10)

1. 안쪽층인 내막(속막, tunica intima)

1) 단층편평상피(simple squamous epithelium)인 내피 세포(endothelial cell)와 이를 지지하는 기저판(바닥 판, basal lamina)으로 구성됨

2) 중막과의 사이에는 탄력섬유(elastic fiber)로 구성된 내탄력층 (internal elastic lamina)이 있음

(11)

2. 가운데의 근육층인 중막(중간막, tunica media)

중막은 윤상(돌림, circular)으로 달리는 평활근(민무늬근육, smooth m.)과 외막과의 사이에 탄력섬유로 구성된 탄력층 (external elastic lamina)이 있음

(12)

3. 바깥층인 외막(바깥막, tunica externa)

1) 세로방향으로 달리는 교원섬유(아교섬유, collagen fiber)와 탄력섬유로 구성됨 2) 지름 이 약 2cm 이상인 큰 혈관에서는 자양혈관(맥관벽혈 관, vasa vasorum) 즉 큰 혈관의 벽에 분포하는 작은 혈관이 있어서 혈관 자체에 영양분을 공급함

(13)

1. 혈압에 의하여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맥에 비하여 혈관벽이 두꺼움 2. 중막과 탄력층이 발달하여 탄력성이 뛰어남

3. 지름의 크기와 기능에 따라서 1) 탄력성동맥(elastic a.) 2) 근육성 동맥(muscular a.) 3) 소동맥(arteriole)으로 구분함

(14)

1. 탄력성동맥(elastic a.)

대동맥이나 대동맥에서 직접 갈라지는 전도 동맥(conduction a.)으로 지름이 크고 탄력섬유가 발달되어 여러 겹의 탄력층판을 이루고 있음

탄력성 동맥에서 갈라진 중간 크기의 혈관으로 내·외 탄력막에 의하여 외막과 중막 및 내막이 뚜렷한 분배동맥(distributing a.)이라고도 함 2. 근육성 동맥(muscular a.)

지름이 0.3mm 이하의 혈관으로 내·외 탄력층이 없고, 내막은 한 층의 내피세포, 중막은 1~2층의 민무늬근육 섬유로 된 혈관임

3. 소동맥(arteriole)

(15)

2. 팔다리에 분포하는 정맥은 혈액이 중력에 의하여 역류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정맥판(정맥판막, venous valve)이 발달되어 있음

1. 동맥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얇고, 내강은 넓은 편임

(16)

1. 소정맥(venule) : 모세혈관에서 이행되는 정맥의 첫 부분 2. 소정맥은 중막이 없고, 내막과 얕은 외막으로만 되어 있음 3. 조금 큰 정맥은 얇은 평활근섬유로 된 중막을 가지고 있음

4. 소정맥에서 연속되는 지름이 1∼9mm 정도의 중간 크기의 정맥은 동맥과 같이 3층 의 구조를 갖추고 있으나, 평활근층인 중막의 발달이 미약하고 외막이 발달되어 있으며, 외탄력층은 없음

(17)

2. 모세혈관의 혈액과 조직 사이에서는 가스와 영양분 및 노폐물의 교환이 일어남 1. 지름 7∼9μm인 관으로 모세혈관 망(그물, capillary network)을 형성

3. 모세혈관의 벽의 구성

1) 한 층의 내피 세포와 결합조직

2) 그 사이의 얇은 기저판(바닥 판, basal lamina)

4. 벽의 바깥 면에는 외막세포(혈관주위세포, pericyte)가 있는데 외막세포는 핵이 납작하고 돌기가 많음

(18)

모세혈관이 시작되는 부분에는 모세혈관전괄약근(모세혈관이전괄약근, precapillary sphincter)이 있어 필요에 따라서 열리고 닫혀서 혈액의 흐름을 조절함

(19)

모세혈관은 내피세포의 구조와 기저판의 유무에 따라

1. 유창모세혈관(창모세혈관, fenestrated capillary)

2. 동양모세혈관(동굴모세혈관, sinusoidal capillary)

3. 연속모세혈관(continuous capillary)

(20)

1. 신장, 내분비선 및 장관과 같이 혈액과 조직 사이의 물질교환이 활발한 장기에서 볼 수 있음

2. 벽의 격막(delicate membrane)에는 창이 있어 거대분자들이 이동함

1) 소장에서 영양물질 흡수에 관여함

2) 내분비조직에서 호르몬 분비에 관여함 3) 신사구체에서 물질 여과에 관여함

3. 유창모세혈관(창모세혈관)의 기능

(21)

1. 불연속모세혈관(discontinuous capillary)이라고도 함

2. 많은 창과 넓은 내강(속공 간, lumen)이 있어서 물질교환이 매우 용이함

3. 주로 간, 비장, 골수(bone marrow) 등에서 볼 수 있음

4. 특히, 간의 동양모세혈관은 식균작용이 강한 쿠퍼세포(Kupffer’s cell)를 함유하고 있음

(22)

1. 벽에 창(창문, fenestrae)이 없이 연속적인 내피세포로 되어 있음 2. 근육조직, 신경조직, 결합조직, 외분비선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함 3. 인접세포와는 폐쇄막(치밀이음부, tight junction)으로 연결됨 4. 근육조직에서는 거대분자의 수송에 관여하는

포음소포(세포흡수소포, pinocytotic vesicle)가 존재함

5. 뇌신경 조직에서는 혈관-뇌장벽(blood-brain barrier)을 형성하여 이물질이 혈관을 통해 뇌조직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함

6. 액체와 작은 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세포간극(세포틈새, intercellular cleft) 이 있음

(23)

3. 2/3가 흉골의 정중선에서 왼쪽으로 치우쳐 있음

1. 종격(가슴세로칸, mediastinum)에 있는 근육성 기관 2. 두 겹의 심막(심장막, pericardium)으로 싸여 있음

4. 횡격막(가로막, diaphragm) 위에 있음

(24)

5. 앞면에는 흉골(복장뼈, sternum)과 늑연골(갈비연골, cotal cartilage)이 있음 6. 뒷면에는 식도(esophagus)와 흉대동맥(가슴대동맥, thoracic aorta)이 있음 7. 위아래경계는 제3∼6 늑연골 사이임

(25)

1. 심장의 외막

보호막인 섬유성 심(장)막(fibrous pericardium)임 2. 심장의 내막

1) 편평한 중피(mesothelium)로 구성된 장막성(serous) 심(장)막임 2) 장막성 심(장)막(serous pericardium)의 종류

(1) 섬유성 심막과 접하는 벽측심막(벽쪽심장막, parietal pericardium) (2) 심외막(심장바깥막, epicardium)이라고 부르는

장측심막(내장쪽심장막, visceral pericardium)

1) 정의 : 벽측심막과 장측심막 사이에 형성된 공간 3. 심막강(심장막공간, pericardial cavity)

2) 기능 : 심막액(심장막 액, pericardial fluid)이 차 있어 심장의 수축과 이완 시에 주위와의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함

(26)
(27)

심외막(심장바깥막, epicardium)

2. 심낭(pericardium)의 안쪽 막이 심장으로 연속된 투명한 장막임 3. 지방과 관상혈관(coronary vessels)이 포함되어 있음

1. 장측심막이라고도 함

(28)

심근층(심장근육층, myocardium)

1. 중간의 근육층으로 나선상 혹은 윤상으로 배열되어 있음

3. 심실에서 발달되어 있음

2. 심방의 근육층과 심실의 근육층에는

방실다발(속, atrioventricular bundle)이 포함되어 있음

4. 심장에는 결합조직성의

섬유륜(섬유고리, fibrous ring)이 있어서 심방과 심실을 구성하는

근육이 일어나고 닿기 때문에 심장골격

(cardiac skeleton) 이라고 부름

(29)

3. 심내막(심장속막, endocardium)

한 층의 편평상피인 내피와 이를 지지하는 결합조직으로 되어 있음

(30)

1. 흉늑면(복장갈비면, sternocostal surface) : 흉골과 늑연골에 접한 앞면 2. 횡격면(가로막면, diaphragmatic surface) : 횡격막에 얹혀 있는 아랫면

3. 폐면(허 파면, pulmonary surface) 폐에 접하는 왼쪽과 오른쪽 부분

4. 심저(심장바닥, base)

5. 심첨(심장꼭대기, apex)

큰 혈관들이 나가는 위끝의 넓은 부위

좌심실의 꼭대기가 되는 아래끝의 뾰족한 부위

(31)

6. 우심이(오른심장귀, right auricle)

8. 관상구(coronary groove) 7. 좌심이(왼심장귀, left auricle)

좌심방 위쪽에 존재 우심방 위쪽에 존재

1) 심장의 바깥 면에 존재

2) 심방과 심실을 구분하는 부위

3) 전실간구(앞심실사이고랑, anterior interventricular groove) 4) 후실간구(뒤심실사이고랑, posterior interventricular groove)

심장의 앞면에 위치하며 왼쪽과 오른쪽 심방과 심실을 구분하는 부위 심장의 뒷면에 위치하며 왼쪽과 오른쪽 심방과 심실을 구분하는 부위 5) 전, 후실간구는 심장 자체에 분포하는 동맥과 정맥이 지나가는 통로가 됨

(32)

심장에 분포하는

좌·우 관상동맥(심장동맥, coronary a.)은 상행대동맥(오름대동맥, ascending a.)이 시작되는 부분에서 갈라짐

좌(왼)관상동맥은

심장의 흉늑면에 분포하는 혈관으로 좌대동맥동에서 일어나서

폐동맥간 왼쪽 뒤를 진행하다가, 전실간구를 따라 심첨으로 내려가는 전실간동맥과 관상구를 따라

심장 뒷면으로 가서

좌심방 및 좌심실 뒷부부에 분포하는

회선지(휘돌이가지, circumflex branch) 로 나누어짐

(33)

오른관상동맥은

상대동맥동에서 일어나

심장의 오른 쪽을 감고 돌아 왼쪽과 오른쪽심실에 분포하며, 후실 간구를 따라서

심첨으로 가는 후실간동맥과 후방으로 가는

회선지로 나누어짐

(34)

심장의 정맥은

전실간동맥을 따라 되돌아오는 대심장정맥(큰심장정맥)

후실간동맥을 따라 오는 중심장정맥

(중간심장정맥, middle cardiac v.) 관상구를 오른쪽으로 돌아

뒤로 가는

소심장정맥(작은심장정맥,

small cardiac v.)이 있으며, 이들은 관상정맥동

(coronary sinus)으로 모이고, 관상정맥동은 우심방으로 열림

전심장정맥(앞 심장정맥, anterior cardiac v.) 과 3∼4개의 테베시우스정맥(thebesian v.)은

(35)
(36)

3. 심방의 벽은

얇고 매끄러우며, 심실의 벽은

두껍고

육주(근육기둥, trabeculae carneae), 유두근(꼭지근, papillary m.)

건삭(힘줄끈, tendinous cord) 등에 의하여 불규칙하게 되어 있음

1. 심방중격(심방사이막, interatrial septum)

우심방(right atrium)과 좌심방(left atrium)으로 나뉨 2. 심실중격(심실사이막, interventricular septum)

우심실(right ventricle)과 좌심실(left ventricle)로 나뉨

(37)

5. 좌심방과의 경계인

심방중격에는 태아순환의 흔적인

난원와(타원오목, oval fossa)가 있음

1. 몸의 모든 정맥혈을 받아들이는 곳으로 안쪽 면은 비교적 얇고 매끈함 2. 윗부분에는 상대정맥(위대정맥, superior vena cava)이,

뒷부분에는 하대정맥(아래대정맥, inferior vena cava)이 열림 3. 하대정맥이 열리는 곳과

우방실구 사이에는

관상정맥동(관상정맥동굴, coronary sinus)이 열림 4. 우심방에는

우심이(오른심방귀, right auricle)가 외부로 돌출 되어 있음

6. 우심실과는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우방실판(오른방 실판막/삼첨판막, right atrioventricular valve)이 있음

(38)

1. 우심방에서 들어온 혈액을 가스교환을 위하여 폐로 보내는 곳 2. 안쪽 면에는 육주를 형성함

3. 육주 중 3개는 돌출되어 유두근을 형성함 4. 유두근에는 건삭이 붙어있어서

삼첨판을 고정함 5. 심장의 앞위쪽에는

폐동맥구(허파동맥구멍,

pulmonary orifice)가 열리는

동맥원추(동맥원뿔, arterial cone) 가 있는데,

여기에는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폐동맥판(허파동맥판막, pulmonary valve)이 부착되어 있음

(39)

3. 좌심실과 교통하는 좌방실구(왼방실구멍,

left atrioventricular orifice)에는 좌방실판(왼방실판막/이첨판막,

left atrioventricular valve, bicuspid valve)이 있어

혈액의 역류를 방지함

1. 폐에서 가스교환이 된 동맥혈을 운반하는 4개의 폐정맥(허파정맥, pulmonary vv.)이 열림

2. 바깥위쪽에는

좌심이(왼심장귀, left auricle)가 있음

(40)

1. 우심실과 비슷하나, 벽은 약 3배나 두꺼움

2. 좌심방에서 들어온 혈액을 전신으로 보내는 역할을 함 3. 좌심실에도 육주와 유두근이 있음

4. 유두근에는 건삭이

부착되어 있어서 이첨판에 연결됨 5. 윗부분에는 대동맥구(대동맥구멍, aortic orifice)가 열려 있고, 이곳에도 대동맥판(대동맥판막, aortic valve)이 있어

혈액의 역류를 방지함

(41)

1. 2개의 방실판

1) 삼첨판 :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위치함

2) 이첨판(승모판, mitral valve) :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함 3) 방실판들은

건삭에 의하여

유두근에 부착되어 심실이 수축할 때 심실로부터의

혈액이 역류되는 것을 막을 수가 있음

(42)

3. 방실판과 반월판의 주변부는

심장골격이

윤상으로 둘러싸고 있음

2. 2개의 반월판(반달판막, semilunar valves) 1) 반달 모양을 하고 있어 반월판이라고 함

4) 3개의 판막으로 이루어져 있음

2) 폐동맥판(허파동맥판막, pulmonary valve) : 폐동맥구에 위치함 3) 대동맥판(대동맥판막, aortic valve)

대동맥구에 위치함

(43)

심장은 외부신경의 지배 없이도 활동전압을 일으켜 규칙적인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근원성 박동(myo-genic rhythmicity)이라는 현상을 가짐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일명 푸르킨예계(Purkinje system) 라고 하는

특수한 자극전도계에 의하여 일어남

(44)

자극 발생의 근원은

상대정맥이 우심방으로 열리는 부분에 있는

동방결절(동굴심방결절, sinoatrial node; S-A node)로 심장근섬유의 수축을 유도하고

수축률을 조절하기 때문에

향도잡이(pacemaker)라고 함.

동방결절의 자극전도는 좌·우심방을 수축시킨 후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A-V node)을 자극함 이로부터 방실속(히스속, atrioventricular bundle)이 나와

실간중격 위쪽에서 좌·우다발(왼·오른다발, left·right bundle)으로 분지되어 좌심실과 우심실의 유두근까지 뻗어 있는데,

흔히 방실속 이하의 자극전도 섬유를 총칭하여 푸르 킨예섬유(Purkinje fibers)라고 함

(45)

심장의 활동은

자율신경(autonomic n.)의 지배를 받는데,

교감신경(sympathatic n.)과 미주신경(va-gus n.)의

가지인

부교감신경섬유(sympathatic n. fiber)는 심장의 근처에서

심장신경총

심장신경얼기, cardiac plexus)을 형성함 여기서 나온 신경섬유는

좌·우 관상동맥을 따라 심장으로 들어가

동방결절에 분포하고,

일부는 방실결절과 심장근육 속에 분포함

(46)

연수의

심장촉진중추의 지배를 받고 있는 교감신경은

심장의 작용을 촉진시키고, 연수의

심장억제중추

(cardioinhibitory center) 에서 일어난

부교감 신경은

심장활동을 억제함

(47)

혈액 내의 산소와 체내의 이산화탄소를 교환하기 위하여 심장의 우심실을 출발하여 폐를 경유하고 다시 좌심방으로 들어오는 순환

1. 폐순환(허파순환, pulmonary circulation)

(48)

4. 폐에서 가스를 교환하고 정맥이 된 다음,

좌·우 폐에서 각각 2개씩의 폐정맥(허파정맥, pulmonary vv.)을 통하여 좌심방으로 유입됨

1. 소순환(lesser circulation)이라고도 함

2. 산소가 부족한 정맥혈의 가스교환을 위하여 우심실에서 좌심방을 거치는 순환

3. 우심실의 동맥원추에서 일어난 1개의 폐동맥간(허파동맥, pulmonary trunk)은 대동맥궁 밑에서 좌·우 폐동맥(left·right pulmonary aa.)으로 갈라져서

상행대동맥 뒤를 수평으로 지나 우폐의 폐문으로 들어가고,

좌폐동맥은 하대동맥의 앞을 수평으로 지나 좌폐의 폐문으 로 들어감.

5. 폐동맥에는 이산화탄소가 많은 정맥혈이 흐르고, 폐정맥에는 산소가 풍부한 동맥혈이 흐르게 됨

(49)

2. 체순환(온몸순환, systemic circulation)

좌심실에서 각 장기와 조직에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고 대사산물인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회수하여 우심방으로 들어오는 순환

(50)

2. 좌심실에서 나온 동맥혈을 몸의 말초조직으로 보내어 모세혈관을 지나는 사이에 세포들의 물질대사에 필요한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고, 대사산물인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받아 정맥혈이 된 다음 우심방으로 들어오는 순환

1. 대순환(greater circulation)이라 함

(51)

특수한 형태를 유지하는 국소순환 1. 문맥순환(portal circulation)

2. 뇌순환(cerebral circulation)

3. 태아순환(fetal irculation)

(52)

체순환은

좌심실에서부터 박출된 동맥혈을

대동맥(aorta)을 통하여 온몸으로 보내면서 시작됨 즉 좌심실에서 나온

상행대동맥

(오름대동맥, ascending aorta)에서 대동맥궁(대동맥활, aortic arch)으로 연결되고,

연속하여 하행대동맥

(내림대동맥, descending aorta)이 되어 척주의 왼쪽을 따라 순환함

(53)

하행대동맥은 흉대동맥

(가슴대동맥, thoracic aorta) 과 복대동맥

(배대동맥, abdominal aorta)으로 이루어짐.

흉대동맥은 흉강 속을 지나서 횡격막을 관통 하면서

복대동맥이 되어 복강 속을 지난다.

복대동맥은 제4요추 높이에서 좌·우 총장골동맥

(온엉덩동맥, common iliac a.)으로 갈라지고, 그 사이에서 마지막 가지인 정중천골동맥

(정중엉치동맥, median sacral a.)이 분지됨

(54)

상행대동맥은 좌심실에서 일어나서 대동맥궁으로 이어지는 혈관으로

일어나는 곳의 위끝에는 팽대된 대동맥동(대동맥동굴, aortic sinus)이 있는데, 여기에서 심장에 분포하는 좌·우 관상동맥(left·right coronary aa.)이 분지됨

(55)

대동맥궁은 상행대동맥의 연속으로 활모양으로 굽은 부분인데, 여기에서 머리, 목 및 팔로 가는 완두동맥(팔머리동맥, brachiocephalic trunk)과 좌총경동맥(왼온목동맥, left common carotid a.) 및 좌쇄골하동맥

(왼빗장밑동맥, left subclavian a.)이 일어나며, 아래로 흉대동맥이 연결됨

(56)

완두동맥은 대동맥궁에서 일어나서 우흉쇄관절(오른 복장빗장관절) 부위에서 우 총경동맥(오른온목동맥, right common carotid a.)과 우쇄골하동맥 (오른빗장밑동맥, right subclavian a.)을 분지함

(57)

총경동맥(온목동맥, common carotid a.) 에서

외경동맥(바깥목동맥, external carotid a.) 과 내경동맥(속목동맥, internal carotid a.) 이 일어나서 머리와 목에 분포함

(58)

총경동맥은 다른 혈관을 분지하지 않고, 목의 가쪽으로 올라가서 갑상연골(thyroid cartilage)의 위모서리에서 외경동맥과 내경동맥을 분지하며, 총경동맥의 윗부분은 비교적 얕게

주행하기 때문에

경동맥삼각(목동맥삼각, carotid triangle)에서 맥박을 촉진할 수 있음 좌총경동맥은

대동맥궁에서 직접 갈라지고, 우총경동맥은

완두동맥에서 갈라지며, 이후에

내·외경동맥을 분지함

(59)

외경동맥은 갑상연골의 위 모서리 높이에서 내경동맥과 갈라져 악관절(턱관절, temporomandibular joint)

근처에서

2개의 마지막 가지인 상악동맥(위턱동맥, maxillary a.)과

천측두동맥(얕은관자동맥, superficial temporal a.) 을 분지함

외경동맥은 두경부 전체에 8개의 큰 가지로 나누어져 분포함

(60)

1. 갑상선 윗부분과 후두에 분포하는 혈관 2. 하갑상선동맥(아래갑상샘동맥,

inferior thyroid a.)과 문합함

(61)

설동맥(혀동맥, lingual a.)은 설골대각(목뿔뼈큰뿔,

greater horn of hyoid bone) 높이에서 시작하여

혀의 아랫면을 따라 분포함

(62)

2. 설동맥

위끝에서 일어나서

상·하순동맥(위·아래입술동맥,

superior·inferior labial aa.)을 분지한 다음,

안각동맥(눈구석동맥, angular a.) 이 됨

1. 얼굴에 혈액을 공급 하는 혈관

(63)

측두골(관자뼈, temporal b.)의 유양돌기(꼭지돌기, mastoid process) 안쪽을 따라 후두(larynx)에 분포함

(64)

작은 혈관으로 이개(귓바퀴, auricle) 및 후두의 일부 에 분포함

(65)

인두의 가쪽벽을 따라 위쪽으로 달려서 인두근(pharyngeal muscle)과 연구개(물렁입천장, soft palate)에 분포함

(66)

외경동맥의 마지막 가지로서 귓바퀴 앞쪽의 위쪽으로 달려 이하선(귀밑샘, parotid gland), 머리 및 목에 분포함

(67)

측두하와(관자아래우묵, infratemporal fossa)를 거쳐 익구개와(날개입천장오목, pterygopalatine fossa)에

이르는

외경 동맥의 마지막 가지로 얼굴의 깊은 곳과

치아 및 안와(눈확, orbit) 등에 분포하며,

일부는

두개강(머리뼈공간,

cranial cavity) 속으로 들어가

뇌경막(뇌경질막,

cranial dura mater)에도 분포함

(68)

상악동맥의 주요 분지에는

외이도와 고막에 분포하는 심이개동맥(깊은귓바퀴동맥, deep auricular a.), 고실로 가는 전고실동맥(앞고실동맥, anterior tympanic a.),

윗니와 아랫니에 분포하는

상·하 치조동맥(위·아래이틀동맥, superior·inferior alveolar aa.), 뇌경막으로 가는 중경막동맥(중간뇌막동맥, middle meningeal a.), 저작근(씹기근육, masticatory mu-scle)에 분포하는

근육가지(muscular branches) 및 안와의 누선(눈물샘, lacrimal gland)과 안근(안구근 육, ocular muscles)에 분포하는

안와하동맥(눈확아 래동맥, infraorbital a.)이 있음

이 중에서 중경막동맥은 뇌경막 전체에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으로 접형골(나비뼈, sphenoid b.)의 극공을 통해 두개강 속으로 들어가

전두지(이마가지, frontal branch)와 두정지(마루가지, parietal branch)로 나누어지는데, 두개골 골절 시에 이 혈관의 손상으로 일어나는 출혈을

경막외출혈(경질막바깥출혈, extradural hemorrhage) 이라고 함

(69)

총경동맥에서 갈라진 다음 수직으로 상행하여 측두골의 경동맥관(목동맥관, carotid canal)을 S자 형태로 지나 두개강 속으로 들어간다. 이어서 해면정맥동(해면정맥 동 굴, carvenous sinus)에

싸여 접형골의 경동맥구 (목동맥고랑,

carotid groove)를 따라 앞으로 진행함 안구와 누선에 분포하는 안동맥을 분지하고,

뇌저부에서

전·중대뇌동맥으로 나누어짐

안동맥은 안와로 들어가 안구와 누선 및 이마 등에 분포하는 혈관들이 분지됨

(70)

1. 전대뇌동맥(앞대뇌동맥, anterior cerebral a.)

4. 전교통동맥(앞 교통동맥, anterior communicating a.) 2. 중대뇌동맥(중간대뇌동맥, middle cerebral a.)

5. 후교통동맥(뒤교통동맥, posterior communicating a.) 3. 후대뇌동맥(뒤대뇌동맥. posterior cerebral)

(71)
(72)

좌·우 전대뇌동맥(ACA)은 서로 문합하여

전교통동맥(앞 교통동맥,

anterior communicating a.)이 되며, 대뇌 전두엽과 두정엽의 안쪽면 피질에 분포함.

이들은

중대뇌동맥, 후교통동맥,

후대뇌동맥과 함께

대뇌동맥륜(대뇌동맥고리,

cerebral arterial circle)을 형성 함

(73)

내경동맥에서

전대뇌동맥이 분지한 다음 연속되는 부위로

내경동맥의 마지막 가지로서 대뇌의 가쪽 면에 분포 하는데, 가지 중에서

선조체(줄무늬체, striatum)와

내포(속섬유막, internal capsule)에 분포하는 중심가지로

뇌출혈이 가장 빈번한 혈관임

(74)

내경동맥의 작은 가지로서 뇌저동맥의 가지인 후대뇌동맥과 연결됨

(75)

팔에 분포하는 동맥은

쇄골하동맥(빗장밑동맥, sub-clavian a.) 인데,

좌쇄골하동맥은 대동맥궁에서 직접 일어나고, 우쇄골하동맥은 완두동맥이 연속된 혈관임 쇄골하동맥은

액와동맥(겨드랑동맥, axillary a.), 상완동맥(위팔동맥, brachial a.), 요골동맥(노동맥, radial a.),

척골동맥(자동맥, ulnar a.)으로 연속됨

(76)

내흉동맥(속 가슴동맥, internal thoracic a.)은 각 늑골 사이로

는 전늑간지(앞갈비사이가지, anterior intercostal branches),

횡격막에 분포하는

근횡격동맥(근육가로막동맥, musculophrenic a.)과 횡격막을 뚫고 외장골동맥의 하복벽동맥과 문합하는

상복벽동맥(위배벽 동맥, superior epigastric a.)으로 나누어짐

1. 제1늑골의 가쪽 모서리에서 액와동맥으로 연속됨 2. 쇄골하동맥의 주요 가지

(77)

갑상선에 분포하는 하갑상선동맥

(아래갑상샘동맥, inferior thyroid a.), 극상근(가시위근, supraspinatus)과 극하근(가시아래근, infraspinatus)에 분포하는

견갑상동맥

(어깨위동맥, suprascapular a.), 능형근(마름근, rhomboid m.) 등의 배근에 분포하는

경횡동맥(가로목 동맥,

transverse cervical a.) 등이 갈라짐

(78)

제1∼2늑간 에 분포하는

최상늑간동맥(맨위늑골사이동맥, highest intercostal a.)과 목의 깊은 곳에 분포하는

심경동맥(깊은목동맥, deep cervical a.)으로 나누어짐

(79)

제6~1경추의 횡돌기공(가로돌기구멍, transverse foramen)을 통과한 후, 후두골의 대공(큰구멍, foramen magnum)을 거쳐 두개강으로 들어간 다음,

뇌간 앞면에서 좌·우 추골동맥이 합쳐져서 뇌저동맥(뇌바닥동맥, basilar a.)을 형성함 두 개의 후대뇌동맥(뒤대뇌동맥, posterior cerebral aa.)으로 나누어져

대뇌동맥륜을 형성함

(80)

쇄골하동맥의 연속으로 액와를 지나 상완동맥으로 이어지는데,

주요 가지인 흉견봉동맥 (가슴어깨동맥)은

삼각근, 흉근 및 어깨봉우리에 분포하고

외측흉동맥(가쪽가슴동맥)은

가슴벽 안 쪽에 분포하는 동맥으로 여성에서는 유방으로 가는

외측유선지(가쪽젖샘가지)가 발달되어 있음

(81)

액와동맥의 가장 큰 가지로서 흉곽의 뒷벽에 분포함

(82)

액와동맥 아래끝에서 일어나 상완골의 외과경의 앞뒤를 감고 돌아 서로 문합하며 견관절 주위에 분포함

(83)

액와동맥에서 일어나서 오금에 이르는 동맥으로,

심상완동맥(깊은 위팔동맥)등의 가지를 내고,

주와(팔오금, cubital fossa)의 위쪽에서 요골동맥과 척골동맥을 냄 상완동맥은

임상에서 혈압 측정 시 자주 이용되는 혈관임

(84)

상완동맥의 가장 큰 가지로 요골신경과 같이

상완골의 요골신경구(노신경고랑)를 지나 상완삼두근에 분포하고,

상완골 뒤쪽에서

주관절 뒷면으로 가는

중측부동맥(중간곁동맥)과 앞면으로 가는

요측측부동맥(노쪽곁동맥)으로 갈라져

주관절동맥망(팔꿉관절동맥그물) 형성에 관여함.

(85)

척골신경과 같이

상완의 안쪽 뒷부분을 아래로 달려서

주관절동맥망으로 들어감

(86)

주와 바로 위에서 일어나 주관절동맥망으로 들어감

(87)

상완동맥의 마지막가지로서, 손바닥에서

심장동맥궁(깊은손바닥동맥활)을 형성하며 척골동맥과 문합함

맥박촉지에 이용되는 혈관임

(88)

팔꿈치 아래에서 갈라지며, 요측측부동맥과 문합하여 주관절동맥망을 형성함

(89)

손목에서 갈라지고 손바닥에서 척골동맥의 마지막 가지와 문합하여 천장동맥궁을 형성함

(90)

손등으로 가서 척골동맥의 배측수근지와 문합하여 배측수근동맥망(등쪽손허리 동맥그물, dorsal metacarpal rete)을 형성함. 이 동맥망으로부터 3개의 배 측중수동맥(등쪽손허리동맥, dorsal metacarpal aa.)이 나오고, 다시 여기 서 배측지동맥(등쪽 손가락동맥)이 갈라져서 손가락 에 분포함

(91)

상완동맥의 안쪽 마지막가지로, 손바닥에서

천장동맥궁(얕은손바닥동맥활)을 형성함

(92)

팔꿈치 밑에서 나와 위쪽으로 달려서 전·후가지로 나누어지며

상·하 척측측부동맥과 문합함

(93)

팔꿈치 부근에서 일어나서

전·후골간동맥(앞· 뒤뼈사이동맥)으로 나누어져 전완골간막(뼈사이막)의 앞·뒷면을 따라서 내려감

(94)
(95)

가슴과 배에는 하행대동맥인

흉대동맥(가슴대동맥, thoracic aorta)과 복대동맥(배대동맥, abdominal aorta)의 가지가,

골반에는

내장골동맥(속엉덩동맥, internal iliac a.)과 외장골동맥(바깥엉덩동맥, external iliac a.)의 가지가 분포함

(96)

제4흉추 높이에서부터 척주의 왼쪽을 따라 내려가 횡격막의

대동맥열공(대동맥 구멍, aortic hiatus)에 이르는 큰 혈관이며,

가지는 흉강 내 장기에 분포하는

장측지(내장가지, visceral branch)와 흉벽에 분포하는

벽측지(벽가지, parietal branch)로 구분됨 장측지에는 심막에 분포하는

심막지(심장막가지, pericardial branch)와 식도에 분포하는

4~5개의 식도동맥(esophageal aa.) 기관지와 폐의 실질에 분포하는

2~3개의 기관지동맥(bronchial aa.)이 있음

(97)

벽측지에는

제3~11늑간극에 분포하는

9쌍의 후늑간동맥(뒤갈비사이동맥, posterior intercostal aa.)과 제12늑골 아래쪽에 분포하는

1쌍의 늑하동맥(갈비아래동맥, subcostal a.),

횡격막 윗면에 분포하는 상횡격동맥(위가로막동맥,

superior phrenic aa.) 이 있음

(98)

흉대동맥이

횡격막의 대동맥열공을 지나면서부터 좌·우 총장골동맥으로

갈라지기 전(제4요추 높이)까지이며, 복강 내 장기에 분포하는

장측지와

복벽에 분포하는 벽측지로 구분됨

(99)

장측지에는 복강 내 소화기관과 일부 비뇨생식기관에 분포하는 복강동맥(celiac trunk)과 상장간막동맥(위창자간막동맥, superior mesenteric a.), 하장간막동맥(위창자간막동맥, inferior a.),

부신동맥 (suprarenal a.), 신동맥(콩팥동맥, renal a.), 고환동맥(testicular a.)

난소동맥(ovarian a.)이 있음

(100)

벽측지에는 횡격막 아랫면에

분포하는 1쌍의 하횡격동맥(아래가로막동맥, inferior phrenic aa.)과

아래 뒤배벽에 분포하는 4쌍의 요동맥(허리동맥, lumbar aa.), 복대동맥의 마지막가지인

정중천골동맥(정중엉치동맥, median sacral a.)이 있음

(101)

복강동맥은

짧고 굵은 혈관인데,

좌위동맥(왼위동맥, left gastric a.), 비동맥(지라동맥, splenic a.)

총간동맥(온간동맥, common hepatic a.) 으로 나누어져,

위,

십이지장, 췌장,

비장, 간,

담낭 등에 분포 함

(102)

복강동맥의 가지 중 가장 작으며 위의 소만과 식도의 아랫부분에 분포하며 총간동맥의 가지인 우위동맥(오른위동맥, right gastric a.)과 문합함

(103)

복강동맥의 큰 가지로 주로 비장에 분포하는데, 비동맥에서는 췌장에 분포하는 췌장지(이자가지, pancreatic branches), 위의 바닥에 분포하는 3∼5개의 단위 동맥(짧은위동맥, short gastric aa.) 및 위의 대만에 분포하는 좌위대 망동맥(왼위그물막동맥, left gastroepiploic a.)이 일어남.

(104)

위십이지장동맥, 우위동맥 및

고유간동맥(proper hepatic a.) 등 3개의 주요 가지를 냄.

유문부 근처에 일어난 위십이지장동맥은

우위대망동맥(오른위그물막동맥)과 상췌십이지장동맥(위이자샘창자동맥) 으로 나누어지는데,

우위대망동맥은 좌위대망동맥과 문합하여 위의 대만과 대망에 분포하며,

상췌십이지장동맥은 상장간막동맥의 가지인

하췌십이지장동맥(아래이자샘창자동맥)과 문합함.

(105)

위의 유문 근처에서 일어나서 소만을 따라 올라가 좌위동맥과 문합함

(106)

간문으로 들어가 좌·우간동맥(left· right hepatic aa.)으로 갈라지며, 우간동맥에서는 담낭으로 가는 담낭동맥(cystic a.)이 갈라짐.

(107)

장간막 속으로 지나가면서 십이지장(샘창자, duodenum), 공장(빈창자, jejunum), 회장(돌창자, ileum), 맹장(막창자, cecum) 상행결장(오름잘록창자) 및 횡행결장 (가로잘록창자, transverse colon)의 오른쪽 1/2에 분포함

(108)

십이지장과 췌장 사이를 지나서 췌장의 머리쪽에서 상췌십이지장동맥과 문합함

(109)

공장에 분포하는 공장동맥(빈창자동맥, jejunal aa.)과

회장에 분포하는 회장동맥(돌창자동맥, ileal aa.)으로 구분됨

(110)

회장과 맹장에 분포하는데, 일부 가지는 충수돌기로 가는 충수동맥(막창자꼬리동맥, appendicular a.)이 됨.

(111)

우결장과 상행결장에 분포함

(112)

횡행결장의 오른쪽 1/2에 분포함.

(113)

횡행결장의 왼쪽 1/2과 하행결장에 분포하는 좌결장동맥(left colic a.), S상결장에 분포하는 S상결장 동맥(구불창자동맥, sigmoid aa.), 그리고 직장의 윗 부분에 분포 하는 상직장동맥(위곧창자동맥, superior rectal a.)으로 나누어짐.

(114)

하횡격동맥의 가지인 상부신동맥(위부신동맥, superior suprarenal a.) 및 신동 맥의 가지인 하부신동맥(아래부신동맥, inferior suprarenal a.)과 문합하여 부 신에 분포함.

(115)

신장에 분포하며, 하 부신동맥(아래부신동맥, inferior suprarenal a.)을 내어 부신에도 분포함.

(116)

남성의 경우에 고환동맥(testicular a.)이 서혜관(샅굴, inguinal canal)을 지 나 음낭으로 들어가서 고환에 분포하고, 여성의 경우에 난소동맥(ovarian a.)이 골반강으로 들어가서 난소에 분포하며 자궁동맥과 문합함

(117)
(118)

복대동맥이 제4요추 높이에서 좌·우 총장골동맥(온엉덩동맥)으로 나누어진 후, 천장관절 앞면에서 내장골동맥(속엉덩동맥, internal iliac a.)과

외장골동맥(바깥엉덩동맥, external iliac a.)으로 나누어짐.

(119)

내장골동맥은 천장관절 앞에서 소골반(작은골반, lesser pelvis)으로 들어가 골반벽, 외음부, 둔부 및 골반강 속의 여러 장기에 분포함.

(120)

골반강 속의 장기에 분포하는 내장가지에는 제동맥(배꼽동맥, umbilical aa.)과 자궁동맥(uterine a.), 상·하방광동맥(위·아래방광동맥, superior·inferior vesical aa.) 및 중직장동맥(중간직장동맥, middle rectal a.)이 있음

(121)

골반벽에 분포하는 주요 벽쪽가지에는 폐쇄동맥 (obturator a.)과 내음부동맥 (속음부동맥), 장요동맥(엉덩허리동맥), 외측천골동맥(가쪽엉치동맥),

상·하둔동맥(위·아래볼기동맥, superior·inferior gluteal aa.)이 있음

(122)

제동맥은 태아순환 시에 방광의 가쪽을 위로 달려 배꼽을 거쳐 태반으로 감. 출생 후 에는 폐쇄되어 제동맥삭(배꼽동맥인대, medial umbilical ligament)으로 됨.

(123)

자궁동맥은 자궁광간막(자궁넓은인대, broad ligament of uterus) 속을 지나 자궁에 이르며, 자궁경부에서는 질동맥(vaginal a.)이 일어남.

(124)

상·하방광동맥은 방광의 위·아래벽에 분포하며 남성에서는 정낭과 전립선에, 그리고 여성에서는 질 윗부분에도 분포함.

(125)

중직장동맥은 직장에 분포하며 하장간막동맥(아래장간막동맥)의 가지인 상직장동맥, 그리고 내음부동맥의 가지인 하직장동맥과 문합함.

(126)

폐쇄동맥은 골반벽의 안쪽면과 바깥면에 분포하는 혈관으로 폐쇄공 (폐쇄구멍, obturator foramen)을 지나 골반강 밖으로 나옴.

(127)

회음과 외부생식기에 분포하는 혈관으로 대좌골공(큰궁둥구멍)을 통과하여 골반강 바깥으로 나왔다가 다시 좌골극(궁둥뼈가시, ischial spine)을 돌아서 소좌골공 (작은 궁둥구멍, lesser sciatic foramen)을 지나 골반강 속으로 들어감.

(128)

내음부동맥은 직장 아랫부분과 항문에 이르러 하직장동맥, 회음동맥 및 요도동맥으로 나누어져서 남성에서는 음낭, 요도해면체, 음경해면체 등에 분포하고, 여성에서는 대음순, 질전정, 질, 음핵 등에 분포함.

(129)

내장골동맥의 시작부분에서 일어나며 장요근(엉덩허리근, iliopsoas m.), 즉 대골반(큰골반, greater pelvis)의 뒷벽에 분포함.

(130)

외측천골동맥은 소골반의 뒷벽에 분포함.

(131)

상둔동맥은 이상근(궁둥구멍근, piriformis m.) 윗모서리를 따라 대좌골공을 지나 볼기의 위쪽에 분포하고, 하둔동맥은 이상근 아래모서리를 따라 대좌골공을 지나 볼 기의 아래쪽과 넓적다리(thigh) 뒤윗부분에 분포함.

(132)

총장골동맥의 연속으로 골반의 분계선(terminal line)을 따라 앞·가쪽 방향으로

진행하다 서혜인대(샅인대, inguinal ligament) 중간부분에서 대퇴동맥으로 이어짐.

(133)

서혜인대 바로 앞에서 일어나서 복직근(배곧은근, abdominal rectus m.) 뒷면을 따라 위로 올라가서 상복벽동맥과 문합함.

(134)

심장골회선동맥(깊은엉덩휘돌이동맥, deep iliac circumflex a.)은 서혜인대 바깥위쪽으로 가서 배벽 바깥아래쪽에 분포함.

(135)
(136)

외장골동맥의 연속인 대퇴동맥(넙다리동맥, femoral a.)은

슬와(다리오금, popliteal fossa)에서 슬와동맥 (오금동맥, popliteal a.)과 전·후경골동맥(앞·뒤정강동맥, anterior·posterior tibial aa.)으로 나누어짐

(137)

서혜인대의 혈관열공(혈관칸)을 지나 대퇴의 앞안쪽을 따라 내려가서

슬와에 이르는 혈관임.

대퇴동맥에서는

배의 바깥아래쪽에 분포하는 천복벽동맥(얕은배벽동맥)과

천장골회선동맥(얕은엉덩 휘돌이동맥), 외음부에 분포하는

외음부동맥(바깥음부동맥), 대퇴심부에 분포되는

심대퇴동맥(깊은넙다리동맥)이 일어남.

(138)

심대퇴동맥에서는 3~4개의 관통가지와 내·외측대퇴회선 동맥

(안쪽·가쪽넙다리휘돌이동맥)이 일어남.

그리고 대퇴동맥은 슬와에서 하행슬동맥(내림무릎동맥)을 분지하여

슬관절동맥망

(무릎관절동 맥그물)을 형성함

(139)

대퇴동맥의 연속으로 내전근관(모음근굴, adductor canal)의 출구에서 시작하여 슬와근(오금근, popliteal m.)의 아랫면에 이르러서는 전·후경골동맥(앞·뒤정강동 맥, anterior·posterior tibial aa.)으로 나누어지고,

슬와에서 몇 개의 슬동맥(무릎 동맥, genicular aa.)을 내어 슬관절동맥망(무릎관 절 동맥그물, articular arterial network of knee)을 형성함

(140)

족배동맥은 발목부위에서 궁상동맥(활꼴동맥, arcuate a.)이 되며, 궁상동맥에서 3∼4개의 배측중족동맥(등쪽발허리동맥)이 일어나서 배측지동맥(등 쪽발가락동맥)이 되어 발가락에 분포함.

슬와동맥이 연속된 혈관인데, 다리의 앞칸을 따라 발등으로 내려가서, 족배동맥(발등동맥, dorsalis pedis a.)을 형성함

(141)

슬와동맥의 마지막가지로서 경골의 내과(정강뼈의 안쪽복사) 뒤를 지나 발바닥으로 건너온 후에 내·외측족척동맥(안쪽·가쪽발바닥동맥)을 냄.

비골동맥(종아리동맥, peroneal a.)은 후경골동맥의 시작부분에서 일어나서 비골(종아리뼈, fibula)을 따라 발뒤꿈치 가쪽에 분포함

(142)

내측족척동맥(안쪽발바닥동맥)은 발바닥 안쪽을 따라서 달리며 무지(엄지발가 락, great toe)에 분포하고, 외측족척동맥은 발바닥 가쪽을 따라서 달리며 중 족골(metatarsal bone) 바닥에서 족배동맥의 가지와 교통하여 족척동맥궁 (발바닥동맥활, plantar arch)을 형성함.

(143)

족척동맥궁에서 제2∼5발가락으로 가는 척측중족동맥(바닥쪽발허리동맥)이 갈라지고, 이 동맥에서 발가락 사이로 가는 5개의 고유 척측지동맥(고유바닥쪽발가락동맥)이 갈라짐

(144)
(145)

1. 정맥계통의 구성

1) 몸의 깊은 부분을 지나는 심정맥(깊은정맥, deep v.)

2) 얕은 부분을 지나는 천정맥(얕은정맥, superficial v.)

동맥과 같이 달리고 있어서 동반정맥(comitans v.)이라 함

2. 정맥계통에는 내피세포로만으로 이루어진 정맥동(정맥동굴, venous sinus)과 정맥들이 서로 얽힌 정맥총(정맥얼기, venous plexus)이 있음

독자적으로 달리며 피하에 분포하고 있어서 피정맥(피부정맥, cutaneous v.)이라고 함

3. 직경이 2mm 이상인 다리의 피정맥들은 정맥판(정맥판막, venous valve)이 있어서 혈액의 역류를 방지함

(146)

5. 문맥(문정맥, 문맥정맥, portal v.)에는 판막의 흔적이 남아 있음

4. 상· 하대정맥, 폐정맥, 제정맥, 뇌·척수정맥과 그 분지,

간·신·자궁·난소정맥에는 판막이 없음

6. 기정맥(홑정맥, azygos v.)과

늑간정맥(앞갈비 사이정맥, intercostal v.)에는 판막의 일부가 남아있음

(147)

오른쪽 제1늑연골의 안쪽끝 뒤에서 좌·우완두정맥(좌·우팔 머리정맥)이 합쳐져서 형성되며

신체 상반부의 정맥혈을 모아 우심방으로 운반하는 정맥으로, 도중에 기정맥이 유입됨

(148)

내경정맥(속목정맥, internal jugular v.)과 쇄골하정맥(빗장밑정맥, subclavian v.)이 좌· 우흉쇄관절(좌·우복장빗장관절) 뒤쪽에서 결합하여 형성된 혈관임

내경정맥과 쇄골하정맥이 합류되는

정맥각(jugular and subclavian angle)에 흉관(가슴관)과 우림프관(오른림프관)이

합쳐짐

하갑상선정맥, 추골정맥,

내흉정맥 및 최상늑간정맥이 완두정맥으로 유입됨

(149)

1) 경막정맥동(경질막정맥굴) 2) 내경정맥(속목정맥)

1) 판간정맥(판사이정맥, diploic v.) 2) 도출정맥(이끌정맥, emissary v.)

안면정맥(얼굴정맥, facial v.)

외경정맥(바깥목정맥)

3. 얼굴의 정맥혈을 모아 내경정맥으로 보내는

4. 머리와 목의 바깥쪽의 정맥들을 쇄골하정맥으로 보내는

1. 두개강 속의 정맥혈을 운반하는

2. 두개강의 안과 밖을 연결하는

(150)

1. 두 겹의 뇌경막 속에서 근육층과 정맥판 없이 내피세포로 형성된 혈관임 2. 뇌의 정맥혈을 모아 내경정맥으로 보내는 주요 정맥동의 종류

1) 상시상정맥동(위시상정맥굴) 2) 하시상정맥동(아래시상정맥굴) 3) 직정맥동

4) 정맥동교회 5) 횡정맥동 6) S상정맥동

7) 해면정맥동(해면정맥굴) 8) 상·하추체정맥동

(151)

4. 뇌척수액(CSF)의 흡수에 관여하는 다수의 지주막과립(거미막과립)이 있음 1. 대뇌겸(대뇌낫, falx cerebri)의 윗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정맥동

2. 전두부에서 일어나서 정맥동교회(정맥동굴합류)에 유입됨

3. 경막정맥(뇌막정맥, meningeal v.)과 판간정맥으로부터 정맥혈을 받음

(152)

대뇌겸의 아래모서리를 따라 대뇌 안쪽면의 정맥혈을 모아서 직정맥동(곧은정맥동굴, straight sinus)으로 보내는 혈관

(153)

1. 위치 : 대뇌겸과 소뇌천막(tentorium cerebelli)의 연결부분에 위치함 2. 하시상정맥동과 정맥동교회 사이를 연결하는 정맥동

(154)

1. 위치 : 후두골의 내후두융기(속뒤통수뼈융기)에 위치한 큰 정맥동

2. 상시상정맥동, 직정맥동 및 후두정맥동(뒤통수정맥동굴)이 합류하는 곳

3. 좌·우횡정맥동(왼쪽·오른쪽가로정맥동, transverse sinus)이 일어나는 곳

(155)

1. 정맥동교회에서 좌·우로 일어나서 S상정맥동(구불정맥동굴)으로 연결된 정맥동 2. 도중에 도출정맥과 교통함

(156)

1. 횡정맥동에서 시작됨

2. S상으로 굽어 경정맥공에서 내경정맥으로 유입되는 혈관

(157)

1. 뇌하수체와(뇌하수체오목, hypophyseal fossa)의 양쪽에 형성된 정맥동 2. 안정맥(눈정맥, ophthalmic v.)과 대뇌정맥(cerebral v.)을 받아들임 3. 상·하추체정맥동(위·아래바위정맥동굴)에 합류함

(158)

1. 측두골 추체(측두골피라밋)의 윗면에서 상추체정맥동은 해면정맥동의 혈액을 S상정맥동으로 보냄

2. 추체의 아래모서리를 따라서 형성된 하추체정맥동은 해면정맥동과 내경정맥을 연결함

(159)

1. 두개관(머리덮개 뼈)의 안과 바깥판 사이의 판간층(판사이 층)에 그물모양을 이루고 있는 정맥

2. 두개관의 정맥을 경막정맥동과 머리의 얕은 정맥으로 보냄

(160)

1. 두개강의 안과 밖의 정맥을 연결하는 혈관

2. 두개골의 두정공(마루뼈구멍), 유돌공(꼭지구멍), 파열공(파열구멍)등의 구멍을 지나감

(161)

1. 두개강 속의 대부분의 정맥혈을 S상정맥동을 통해 받은 다음 완두정맥으로 보내는 정맥

2. 내경정맥이 아래로 달리는 도중에 얼굴의 정맥혈을 받는

안면정맥(얼굴정맥)과

갑상선 및 그 부근의 정맥혈을 받는 상갑상선정맥(위갑상샘정맥)이 합류함 3. 두피(머리덮개)의 정맥혈을 받는

천측두정맥(얕은관자정맥)과 비강과 위턱에서 정맥혈을 받는 상악정맥(위턱 정맥)이 합쳐진

하악후정맥(아래턱뒤정맥)도 합류함

(162)

1. 두피, 안면 및 경부의 정맥혈을 받는 혈관

2. 후이개정맥(뒤귓바퀴동맥)과

후두정맥(뒤통수정맥)이 합류하여 형성됨

3. 흉쇄유돌근(목빗근) 아래끝에서 쇄골하정맥(빗장밑정맥)에 유입됨

(163)

2. 피정맥(피부정맥, cutaneous v.) 채혈 및 정맥 내 주사부위로

자주 이용되는 혈관

1. 심정맥(깊은정맥, deep v.) 동맥을 동반하는 혈관

상지 정맥의 구성

(164)

1. 동반하는 동맥과 같은 이름을 가지고 있음 2. 상지 심정맥의 종류

2) 천·심장정맥궁(얕은·깊은손바닥정맥활) 3) 요골·척 골정맥(노·자정맥)

4) 상완정맥(위 팔정맥) 5) 액와정맥(겨드랑정맥)

6) 쇄골하정맥(빗장밑정맥) 순으로 연결됨 1) 손의 지정맥(손가락정맥)에서 시작함

3. 쇄골하정맥은 머리와 목에서 내려오는 내경정맥과 합류하여 완두정맥이 됨

(165)

위 피정맥들은 주와(팔오금)에서

주정중피정맥(팔오금중간정맥)에 의하여 서로 연결됨

1. 수배정맥망(손등정맥그물)에서 시작됨

2. 요측피정맥(노쪽피부정맥) 3. 척측피정맥(자쪽피부정맥)

4. 전완정중피정맥(아래팔중간정맥)

(166)

전완(아래팔)의

요측(노쪽) 및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의 가쪽 모서리를 따라 올라가서

쇄골 밑에서 액와정맥에 유입됨

(167)

전완의 척측(자쪽)을 따라 위로 올라가서

상완의 윗부분에서 상완정맥에 유입됨

(168)

전완 앞면의 정중부를 상행하여 주와에 이르러

주정중피정맥으로 유입됨

(169)
(170)
(171)

폐정맥(허파정맥, pulmonary v.)과 완두정맥(팔머리정맥, brachiocephalic v.), 기정맥(azygos v.), 상대정맥(위대정맥, superior vena cava), 문맥(portal v.), 총장골정맥(common iliac v.) 및 내·외장골정맥(internal iliac v.)이 있음.

(172)

천정맥에는 흉벽의 피하정맥을 받는 흉복벽정맥(가슴배벽정맥)과 외측흉정맥

(가쪽가슴정맥)이 있으며, 이들은 액와정맥으로 연결되고, 일부는 천복벽정맥과 문합함.

(173)

복강과 골반강 그리고 다리의 정맥혈을 받아서 우심방으로 운반하는 큰 정맥이며, 제5요추의 오른쪽에서 좌· 우총장골정맥(왼쪽·오른쪽온엉덩정맥)이 합쳐져서 형성됨

(174)

하대정맥에는

4쌍의 요정맥(허리정맥, lumbar vv.), 고환정맥(testicular vv.)

또는

난소정맥(ovarian vv.),

신정맥(콩팥정맥, renal vv.), 부신정맥(suprarenal vv.), 하횡격정맥(아래가로막정맥), 간정맥(hepatic v.) 등이 합류함

(175)

하대정맥은 횡격막의 대정맥공(아래대정맥구멍, vena caval foramen)을 지나서 우심방으로 열림.

(176)

우상행요정맥(오른오름허리정맥, right ascending lumbar vv.)은 기정맥으로 연결되고, 좌상행요정맥은 반기정맥(반홀정맥, hemiazygos v.)으로 연결됨.

(177)

우부신정맥(오른부신정맥, right suprarenal v.)은 하대정맥에 연결되고,

좌부신정맥(왼부신정맥, left suprarenal v.)은 신정맥(콩팥정맥)으로 연결됨.

(178)

우고환정맥과 우난소정맥은 하대정맥으로 열리고, 좌고환정맥과 좌난소정맥은 신정맥으로 열림

(179)

1. 가슴의 오른쪽에 있는 기정맥(홀정맥, azygos v.)

2. 왼쪽에 있으면서 제9흉추 높이에서 기정맥으로 합류하는 반기정맥(반홀정맥) 3. 제8흉추 높이에서 기정맥에 유입되는 부반기정맥(덧홀정맥)

(180)

제1∼2요추 높이에서 우상행요정맥(오른오름허리정맥)이 횡격막의 대동맥공을 지나 흉강으로 들어가서 제4흉추 높이에서 상대정맥으로 유입되는 정맥으로, 흉강 내에서 늑간정맥(갈비사이정맥)과 식도정맥 및 기관지정맥(bronchial vv.) 등이 합류함.

(181)

좌상행요정맥(왼오름허리정맥, left ascending lumbar v.)이 횡격막의 좌각(가로막의 왼다리, left crus of diaphragm)을 지나 흉강으로 들어가서 제9흉추 높이에서 오른쪽의 기정맥으로 유입됨

(182)

제2∼5늑간정맥이 합쳐진 부반기정맥은 제8흉추 높이에서 기정맥으로 유입되며, 윗부분에서는 완두정맥과 교통함

(183)

복강 내의 장기의 정맥이 하대정맥으로 직접 들어가지 않고, 간의 문맥으로 들어가서 간조직 내에서 동양혈관(굴모세혈관, sinusoid)이 된 다음 간정맥을 통해

하대정맥에 유입되는 순환을 의미함

(184)

소장과 상행결장 및 우횡행결장의 정맥혈을 운반하는 상장간막정맥(위창자간막동맥), 비장(지라, spleen)과

위의 대만(큰굽이)

및 췌장(이자)의 정맥을

운반하는 비정맥(지라정맥), 좌횡행결장과 하행결장,

S상결장 및 직장 윗부분의 정맥혈을 받아서

비정맥으로 운반하는

하장간막정맥(아래창자간막정맥) 이 있는데, 이들은 췌장(이자) 뒤에서 하나로 합쳐져서

문맥(portal v.)이 되고 복막의

소망(작은그물막)을 지나 간문(porta hepatis)으로 유입됨.

(185)

위벽과 담낭(쓸 개주머니, gall bladder) 등에서 오는 정맥혈은

직접 문맥으로 유입되어

간으로 들어감

(186)

양쪽 천장관절(엉치엉덩관절, sacroiliac articulation) 앞에서 내·외장골정맥 (internal·external iliac v.)이 합쳐져서 형성되며, 안쪽 그리고 위쪽으로 진행 하다가 제5요추 높이에서 양쪽이 합류하여 하대정맥을 형성함.

(187)

골반에서 오는 정맥혈을 받아 총장골 정맥으로 보내는 혈관이며, 이 정맥으로는 상·하둔 정맥(위·아래볼기정맥), 폐쇄정맥, 내음부정맥(속음부정맥), 외측천골정맥 (가쪽엉치정맥), 중직장정맥(중간곧창자정맥), 방광정맥(vesical v.) 및 자궁정맥이 유입됨. 그리고 골반 내의 장기 주변에는 정맥총(정맥얼기)이 형성됨.

(188)

천장관절 앞에서 내장골정맥과 만나 총장골정맥을 형성함.

주로, 하복벽정맥(아래배벽정맥, inferior epigastric v.)과

심장골회선정맥(깊은장골휘돌이정맥, deep iliac circumflex v.)이 합류함.

(189)

1. 다리의 피정맥

1) 대복재정맥(큰두렁정맥) 대퇴정맥으로 유입되는 혈관 2) 소복재정맥(작은두렁정맥)

슬와정맥으로 유입되는 혈관

동맥과 같은 이름의 동반정맥 2. 다리의 심정맥

(190)

족배정맥궁(발등정맥활)에서 시작되어 경골(정강뼈)의 앞을 지나

하퇴(종아리) 및 대퇴(넙다리)의 안쪽을 따라 올라가서

복재열공(두렁정맥구멍)으로 들어가 대퇴정맥에 합쳐짐

(191)

족배정맥궁에서 일어나서 하퇴의 뒷면을 따라 올라가서 슬와(다리오금)에서

슬와정맥(오금정맥)과 합류함

(192)

발바닥의

족척정맥궁(바닥쪽정맥활)에서

내·외측족척정맥(안쪽·가쪽 발바닥정맥)이 일어나서

후경골정맥(뒤정강정맥)으로 들어가고, 발등의 족배정맥망(발등정맥그물)에서 전경골정맥(앞정강정맥)이 시작되어 후경골정맥과 합쳐져서

슬와정맥(오금정맥)이 되며, 이어서

대퇴정맥(넙다리정맥)을 거쳐 서혜인대 밑을 지나

외장골정맥(속엉덩정맥)으로 연속됨

참조

관련 문서

- 흉강의 크기가 증가하면 흉강 내의 가스 압력은 감소 - 횡격막의 수축으로 인해 가슴이 넓어져서

Chest X-ray: Posterio-anterior (PA) View - Left Anterior Oblique

ㅇ 미국 등 많은 OECD국가에서 사람들이 사회적 접촉을 꺼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도 사회적 소외와 뒤쳐짐을 악화시키는 요인임.. - 기존 유럽 사회는 교회,

core exercise program showed not only increasing peak torque of the right leg, left leg in Hip Extension of exercise group but also increasing peak torque of the right leg, left

In the change of physical strength, The exercise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strength(right), muscle strength(left),

Measurement of proximal contact tightness between the left first molar and second molar(dental implant) in the mandible... Clinical dental anatomy, histology,

Higher power view of the box area of the left figure showed poor new-bone formation around the implant (asterisk) and low BIC. Villanueva

Pilot Confirm runway 09 left for landing. ATC gives you further instructions to turn right heading 310. On the radar display, there was an area to avoid which requires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