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폐암의 종양학적 응급상황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폐암의 종양학적 응급상황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Copied!
1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폐암의 종양학적 응급상황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강 경 호

서 론

폐암과 폐암의 치료로 인해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 다. 폐암 환자의 경우 암 외에도 만성 폐쇄성 폐질환, 관 상 동맥 질환, 당뇨 등의 동반된 내과적인 질환이 있을 수 있다. 폐암의 종양학적 응급상황은 폐암이나 폐암 치료로 인해 발생하며, 사망이나 심한 영구적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신속한 조치가 필요한 경우로 정의할 수 있다.

폐암환자에서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암이 없는 환 자와 같은 방법으로 접근을 시도해야하나 적절한 치료 계 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폐암의 병기와 현재 치료에 대한 반응, 전반적인 예후, 환자와 가족의 기대 등을 신속하게 평가 하여야한다.

초기 환자 검진은 신속하여야하고 환자의 주소와 주요 증상, 기왕력, 기초 활력 징후와 신속한 신체검사를 포함 하여야 한다.

폐암 환자에서 응급상황은 다음의 3가지로 구분하여 서술하고자한다: i) 공간 점유 종양으로 인한 구조적이나 폐쇄로 인한 응급상황, ii) 대사성이나 호르몬으로 인한 문제, iii) 치료 효과로 인해 발생하는 합병증

구조적 폐쇄로 인한 응급상황

1. 상대정맥 증후군

상대정맥의 폐쇄는 90% 이상이 암에 의해 발생하고 이중 대부분은 폐암이 원인이다. 폐암이 우측 기관 주위 나 전용골(precarinal) 림프절로 전이가 되면서 주로 폐쇄 가 발생하지만 일부에서는 직접 침범하여 상대정맥을 막 게 된다. 진단 시에 소세포 폐암환자의 10%, 비 소세포 폐암 환자의 1.7%에서 상대정맥의 폐쇄를 보인다.

상대정맥의 폐쇄는 증상이 없을 수 있고 우측 흉강내 악성 종양의 10%에서 상대정맥 증후군을 보인다. 상대 정맥증후군을 가진 환자는 경부, 일측이나 양측의 상박,

안면, 눈꺼풀의 부종, 호흡곤란, 기침, 숸소리, 두통 증상을 보이며 신체검사 소견으로는 경부 정맥의 확장, 앞 흉벽의 곁 정맥 수의 증가, 청색증, 얼굴과 팔과 흉부의 부종이다.

상대 정맥증후군은 과거 내과적인 응급질환으로 규정 되어 전신적인 corticosteroid와 방사선치료를 병행하였으 나 현재는 응급치료를 시행하지 않고 폐암에 대한 조직학 적이나 세포 검진을 통해 확진을 한 후 치료하기를 권장 하고 있다1).

치료는 폐암이 상기도 폐쇄를 동반할 수 있기에 이 경 우에는 응급 처치를 필요로 한다. 저염식이와 이뇨제, 머 리 올리기, 산소 공급 등은 일시적으로 증상 완화를 시킨 다. 소세포폐암은 화학요법이 주 치료로 객관적, 주관적 반응 율은 68%, 77%이다(2). 방사선 치료가 동시에 시행 되고 있으나 상대 정맥증후군 증상 완화에는 화학 요법 77%, 방사선 치료 78%, 두가지 치료를 같이 한 경우 83%

로 치료 방법에 따른 차이가 없다고 한다. 최근 메타 분석

(3)에서상대 정맥증후군을 가진 소세포 폐암과 가지지 않 은 소세포 폐암의 중앙 생존값은 16.1개월과 13.7개월로 역설적으로 상대 정맥증후군을 가진 환자에서 생존기간 이 길었다. 치료 후 재발은 약 17%로 보고하고 있다.

비소세포 폐암의 경우 상대 정맥증후군에 대한 치료반 응은 화학 요법 59%, 방사선 치료 63%, 두가지 치료 병합 31%였다. 초기 치료는 화학 요법을 시행하고 반응이 없 는 경우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다. 비소세포 폐암의 치료 후 상대 정맥증후군 재발률은 19%이다.

상대 정맥증후군의 증상 완화는 스탠트(stent)사용 시 에 신속하게 얻은 수 있다. 두통은 시술 직후 완화되고, 안면, 상박의 부종은 24-72시간 내에 소실된다. stent의 반응률은 94-95%이고 약 11%에서 재발한다. 상대 정맥 증후군에서 stent 사용 시기는 확립되어 있지는 않으며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가 효과적이기에 화학 요법이나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이 없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상대 정맥증후군의 합병증으로 혈전이 발생할 수 있고

(2)

국소적인 혈전용해제사용은 혈관 열림을 유지하고 stent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stent 삽입후의 혈전용해 치료나 항응고제 치료는 출혈이 위험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장기 간의 항응고제 사용에 대해서는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중심 정맥 카테터의 사용은 폐암환자에서도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한 상대 정맥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 우는 카테터 제거와 색전 형성을 막기 위한 항응고제사용 을 병행한다. 상대 정맥증후군이 조기에 발견되면 카테터 를 제거하지 않고 섬유소 용해치료 만으로도 치료할 수 있다. 하루 1mg의 wafarin은 응고 검사에 영향을 주지 않 으면서 혈전의 유병률을 낮춘다.

2. 심낭 눌림증(paricardial tamponade)

심낭 눌림증은 심낭액의 축적으로 인해 혈역학적 불안 정을 초래 할 때를 말한다. 암환자에서 심낭의 과다한 삼 출액의 축적은 임파관 배출의 폐쇄나 심낭면의 종양결절 에서 과다한 분비가 원인이다. 암환자의 약 반수에서 심 낭삼출은 악성종양이 원인이 아니고 방사선 치료로 인한 심낭염, 갑상선 기능저하증, 요독증, 감염 , 자가 면역 질 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방사선 심낭염은 두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며 급성 염증 성 삼출성 심낭염으로 저절로 호전되고, 만성 삼출성 심 낭염은 방사선 치료 후 약 20년 후까지 발생하고 심낭이 비후되기에 수술이 필요하다.

심낭삼출은 전이성 암 환자의 후기 소견으로 환자의 약 2/3에서는 증상이 없다.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호흡곤 란, 기침, 흉통, 좌위 호흡(orthopnea), 전신 쇄약이 흔한 증상이다. 신체 검사에서는 정상에서부터 심한 혈역학 변 화소견을 보인다. 빈맥, 저혈압, 경정맥 팽창, 간비대, 말 초 부종 등을 보인다. 심장 초음파 검사가 심낭 삼출의 진 단과 혈역학적 평가, tamponade 유무의 평가에 가장 유 용한 검사이다. 심낭액은 암의 침범 여부를 확인하기 위 해 세포진단이 필요하다.

치료에는 경화 약제인 bleomycin이나 tetracycline을 심낭천자와 병행하거나, 심낭창의 생성, 완전 심낭 벗김 (pericardial stripping), 방사선 치료, 전신화학 요법 등이 사용된다. 혈역학적 불안정을 동반한 급성 심낭 눌림증은 즉각적인 배액을 필요로 한다.

3. 척수 압박

폐암환자의 약 5%에서 경막외(epidural) 종양으로 인한

척수압박이 부검에서 확인된다. 척수 압박은 연수내(intramedullary), 연수막(leptomeningeal), 경막외(extradural) 로 해부학적으로 분류하고 있다. 연수내와 연수막 압박의 경우 치료에 따 른 효과에 대한 연구가 없고 대부분 조기에 하반신 마비 나 사망하기에 치료는 단순한 지지요법(supportive care) 이다. 경막외 척수 압박은 경막외 종양으로 인해 경막 낭 (dural sac)과 내용물인 척수와 척수 말총(cauda equina)이 압박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척수 압박의 최소한의 방사선학 적 증거로는 경막의 합입(indentation) 소견과 동반된 동통 (국소나 신경근), 감각이상, 마비, 조임근 기능이상 등의 임상소견이 동반될 때이다.

경막외 전이로 인한 척수 압박의 조기진단과 조기 치 료는 양호한 결과를 보인다. 요통은 신경 장애가 나타나 기 수주에서 수개월 전부터 나타난다. 암환자 중 새로이 발생한 요통과 정상적인 신경학적 검사소견을 보이는 약 60%에서 방사선학적 검사상 척추전이가 발견된다(4). 척 수 압박은 심각한 신경학적 장애를 동반하기에 새로 발생 한 요통이 있는 폐암환자는 전장의 척추 sagital-T1 weighted MRI 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이 검사 방법이 척 수 압박 진단에서 가장 신속하고 경비에서 효율적이다. 척 추 일반사진, 골 스캔, CT 척수조영상 등은 오히려 정확한 진단을 지연시킬 수 있기에 이 검사들은 생략하여야 한다.

고용량(96mg/일)의 dexamethasone 사용은 악성 경막 외 척수 압박에서 충분한 근거가 있다. 무작위 대조 실험 에서 dexamethasone 과 방사선 치료를 병행한 군과 방사 선치료만 시행한 대조군에서 고용량의 dexamethasone 를 사용한 군은 치료전 보행이 가능한 환자중 81%에서 치료후 보행이 가능하였고 대조군에서는 치료후 63%에 서 보행이 가능하였다. 치료 전 마비가 있던 환자에서 dexamethasone 의 사용은 보행가능성을 증가시켰다(5).그 러나 아직 적절한 dexamethasone 의 용량은 확립되지 않 았다. 고용량의 dexamethasone사용은 11%에서 의미 있 는 부작용을 보고하고 있으나 보행을 가능하게하기 위한 방사선치료나 수술과 병행할 수 있다.

방사선 치료는 척추 전이에서 효과적이나 경막외 척수 압박에서의 효과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없다. 척수 압박 이 없이 보행이 가능한 척추 전이는 방사선치료가 1차 치 료 방법이다.

척수압박이 있으나 마비가 없고 보행이 가능한 환자는 고용량의 스테로이드와 방사선 치료를 병행한다.

수술은 최근까지도 척추 불안정, 척추의 압박이나 허탈

(3)

허리통증

신경학적 검증

정상 척수병증 의심

단순척추 방사선사진 고용량 덱사멘타손

정상 비정상 자기공명영상

증상적치료 경막전이 전이 없음

방사선치료+

덱사멘타손

증상적 치료

뼈에 전이는 있으나 경막 전이 없음

방사선 치료 Figure 1. 허리 통증을 동반한 암환자의 치료 로 인한 진행하는 신경학적인 악화, 조절되지 않는 통증,

보존 치료에 실패한 경우 등에 국한 되어 시행하고 있다.

척추 후궁절제술(posterior laminectomy)는 과거 수술의 표준이었으나 고 비율의 척추 불안정과 방사선 치료에 비 해 보행성적이 나쁘다. 척추체 전방 접근 방법은 종양의 제거, 척수의 압박제거, 척추 재건과 안정을 시행할 수 있다.

Patchell 등의 연구에서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한 군과 방사선 치료 군을 비교 시 치료 후 보행율은 수술과 방사 선 치료를 시행한 군은 84%, 방사선 치료만 시행한 군은 57%의 성적을 보였다. 수술군에서 보행가능 기간이 122 일로 방사선 치료군의 13일에 비해 길고 근력, 운동능력, 생존기간에 호전이 있고 스테로이드나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을 줄였다6).

전이성 경막외 척수 압박 환자에서 전반적인 수행 상태 (performance status)가 양호한 경우는 직접적인 수술적 압박 제거 후 방사선 치료를 권하고 있다.

허리 통증을 동반한 암환자의 치료에 대한 요약은 그 림 1과 같다.

4. 뇌전이와 두개내압상승

뇌전이는 폐암에서 가장 흔하고 비소세표 폐암환자의 1/3에서 발생하고 소세포 폐암 환자의 10%에서 진단 시 에 존재하고 2년 동안에 50%이상이 발생한다. 뇌전이는 치료하지 않는 경우 신경학적 소견의 급격한 악화가 발생 하며 뇌전이는 폐암의 말기 소견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 러나 뇌전이 수가 제한적이고 원발 부위의 암이 잘 조절 된 경우는 장기간의 생존을 보일 수 있다.

뇌이탈의 증상과 징후(특히 두통, 졸음, 유두부종 등)가 보이면 기관내 삽관후 과환기(hyperventilation)를 시켜 Pco2를 25-30 mmHg로 유지하면서 manitol (1-1.5g/kg)과 스테로이드 투여(dexamethazone 16-40 mg 정주 후 하루 40-100 mg)를 한다.

뇌전이의 치료방법은 (1) 뇌부종을 줄이기 위한 glucocorticoid 투여 (2) 전뇌 방사선 치료(whole-brain radiation therapy (WBRT) (3)전이 병변의 외과적 절제 (4) 정위방사선 수술(sterotactic radiosurgery) (5) 화학요 법 (6) 이러한 치료의 병합 등이 있다.

스테로이드 사용은 약 1개월 정도만 신경기능을 호전 시키고 사용한 환자의 2/3에서 신경 증상의 호전을 보인 다. 뇌부종에 대해 dexamethasone >16mg/day 이 사용되 고 있다. 현재까지의 의견은 16mg/day를 4주 사용하거나

WBRT를 시행하는 동안 함께 사용한 후 신속하게 감량 하고 중단하기를 권하고 있다.

전뇌 방사선 치료(WBRT)는 소세포 폐암환자의 뇌전 이 시에 증상완화 목적으로 1차적으로 사용된다. 소세포 폐암의 제한 병기 환자에서 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로 폐 암이 조절된 경우에는 예방적 두부 방사선 조사 (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 PCI)를 실시하고 있다.

소세포 폐암 환자의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radomized controlled trial, RCT)에서 PCI는 3년 생존율의 5.4% 이 득과 3년간의 뇌전이를 25.3% 감소시킨다고 하였다7, 8). 다발성 뇌전이를 동반한 비소세포 폐암은 주로 WBRT를 시행하고 중간 생존기간은 3-7개월이다. 3개이하의 전이 를 가진 경우 수술이나 방사선 수술(radiosurgery)후에

(4)

WRBT를 추가한다. 비소세포 폐암에서 PCI의 효과에 대 한 4개의 RCT에서 3개의 연구에서는 뇌전이를 감소시켰 으나 생존율에는 효과가 없었다9).

비소세포 폐암에서 단일 뇌전이가 있는 경우 수술, WBRT, stereotactic radiosurgery 의 3가지 방법이 사용 되고 있다. 비소세포 폐암의 단일 뇌전이에서 수술과 WBRT을 같이한 경우와 WBRT 단독 시행군에 대한 2개의 RCT에서 2 가지 치료를 같이한 환자의 생존기간이 길었다10, 11)그러 나 3번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한 다12). 단일 뇌전이에서 WBRT를 추가하는 이론적인 근거 는 미세전이는 현재의 기술로는 발견할 수 없기 때문이 다. 수술과 수술 후 WBRT을 같이한 경우와 수술만 시행 한 경우에 대한 전향적 RCT에서 뇌에서 종양의 재발은 18%와 70%로 차이를 보이고 WBRT 시행군에서 재발까 지의 기간도 길었으나 전체적인 생존율에는 차이가 나타 나지 않았다. WBRT로 인한 인지 장애에대한 우려가 있 으나 1일 3Gy의 용량은 치매의 위험을 증가시키지는 않 는다.

정위방사선 수술은 정확하게 위치를 설정할 수 있고 방사선 치료부위와 주변의 정상 부위간의 경계가 명확하 여 주위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종양에 고용량의 방사 선을 투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수술로 접근 이 가능하거나 불가능한 소수의 3cm 이하의 뇌전이 치료 에 효과적이다. 뇌전이가 1-3개인 환자에서 WBRT후에 방사선 수술을 추가 시행한 군과 WBRT만 시행한 군에 대한 RCT13)에서 두가지를 시행한 군에서 생존기간의 호 전과 수행상태도 우수하다고 하였다. 특이 수술을 견딜 수 없거나 수술로 접근이 불가능한 단일 뇌전이 에서 정 위방사선 수술은 효과적일 수 있다. Sneed등의 보고(14)에 서 정위방사선 수술 단독 시행군과 정위방사선 수술과 WBRT를 병행한 군 사이에 생존기간에는 차이가 없으나 뇌 구제치료(salavage brain therapy)는 WBRT를 추가한 경우에 7%, 정위방사선 수술 단독군은 37%가 필요하다 고 한다. 현재까지 정위방사선 수술과 수술 간의 효과에 대한 RCT 연구는 없다. 폐암의 경우에서도 정위방사선 수술과 WBRT를 병행한 군에서 WBRT를 시행한 군 보 다 생존기간이 연장 되었다15).

화학요법제가 뇌전이가 있는 경우 혈액-뇌 장벽(blood- brain barrier)를 통과하기 못하기에 효과가 없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platinum을 기반으로 하는 2제 치료는 20~

21%의 반응율을 보인다16). platinum을 기반으로 하는 2

제화학 요법과 WBRT를 병행한 군에서 58.1주, WBRT 만 시행한 군에서 19주의 중앙 생존기간의 차이를 보인다 고 보고하고 있다17). Temozolomide는 혈액-뇌 장벽을 통 과할 수 있기에 뇌전이에 단독제제로 사용가능하다. 82%가 폐암으로 구성된 134명의 뇌전이 환자에서 Temozolomide 를 WBRT와 병행한 경우에 WBRT단독 치료에 비해 반 응율이 53%와 33%로 차이를 보인다고 보고하고 있다18).

5. 기도 폐쇄

폐암이나 흉부의 전이암은 기도내(intraluminal), 기도 벽(mural), 기도외부(etraluminal or extramural)에 종괴 가 자라면서 기도를 막게된다. 기도나 주기관지의 의미 있는 폐쇄를 가져오는 중심성 기도 폐쇄는 호흡곤란, 객 혈의 소견을 보이며 생명을 위협할 수 있기에 응급치료가 필요하다. 기도 협착음이 들리기 시작하거나 진행하는 경 우는 기도 폐쇄가 임박함을 시사한다. 종양으로 인한 기 도 폐쇄는 동반된 과다한 점액 분비나 점액 마개(plug)형 성이나 혈액, 피덩이 등으로 인해 더욱 악화 되며 이때 증 상 완화에 기관지 내시경이 도움이 된다.

기도 폐쇄의 임상적 평가는 방사선적 영상기술, flow-volume curve가 정도 평가에 사용되나 기관지 내시경 검사가 가장 중 요한 검사로 폐쇄의 성상, 정도를 확인하고 적절한 진단 과 치료를 결정하는 대에 도움이 된다.

기관지 내시경을 통한 치료의 종류는 환자의 상태, 호흡 기 증상의 형태와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기관지 내시경을 통한 치료의 종류는 기도내 삽관(endobronchial intubation), 기도 내 종괴의 기관지 내시경적 제거(bronchoscopic debulking), 풍 선확장(balloon dilatation), laser 치료, 전기소작(electrocautery), 냉동 요법(cryotherapy), argon plasma coagulation(APC), brachyterapy, 기도내 스탠트 삽입 등이 있다. 일부 환자 에서는 완전하고 지속되는 증상의 완화를 위해 몇 가지 기술을 동시에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술은 증상 의 신속한 완화를 가져오나 시술기간이 길고 반복해서 시 행하여야하고 전문가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각 시술의 특징과 합병증에 대해 표 1에 정리하였다.

기도내 삽관은 기도 폐쇄로 인해 생명이 위험하거나 치료용 기관지 내시경이 가능하지 않을 때 시행하고 임시 방편으로 보다 지속적인 증상 완화 방법을 다음단계로 시 행하여야한다. 출혈이나 삽관중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intraluminal과 extraluminal obsturction에 사용가능하다.

기관지 내시경을 통한 조직제거(debridement)은 기도내

(5)

Therapy Type of lesion Type of Bronchoscope

Rapidity of Positive Result

Repeatability of

Therapy Complications Mechanical

debridement

Intraluminal or

submucosal Rigid or flexible ++++ +++ Hemorrhage Laser Intraluminal Rigid or flexible ++++ ++++ Hemorrhage, fistula APC Intraluminal Rigid or flexible ++++ ++++ Hemorrhage, fistula Brachytherapy Intraluminal or

submucosal Rigid or flexible + + Hemorrhage, fistula Cryotherapy Intraluminal Rigid or flexible ++ +++ Necrotic tissue may obstruct

airway lumen Balloon dilatation Intraluminal or

submucosal Rigid or flexible ++++ ++++ Minimal

PDT Intraluminal Flexible ++ +++ Necrotic tissue; therapy may obstruct airway lumen Electrocautery Intraluminal Rigid or flexible +++ ++++ Hemorrhage, fistula

Stent Intraluminal or

submucosal Rigid or flexible ++++ +++

Stent migration, extrinsic granulation tissue, infection, stent malfunction

*Adapted from Prakash.358+=least effective therapeutic response;++=modest rate of therapeutic response;+++=excellent therapeutic response;+++=most rapid or repetable therapeutic response.

Table 1.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기도 폐쇄의 치료법

병변(intraluminal lesion)에서 즉각적인 호흡곤란의 완화와 기도 폐쇄를 호전시킨다. 굴곡성(flexible) 보다는 경성 (rigid) 기관지 내시경이 사용되고 후자는 내시경 자체로 종양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기도 확보, 산소나 마 취제 투여, 다른 치료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기도내 병변에서만 사용되고 extrinsic compression으로 인한 기도 폐쇄에서는 사용하지 말아야한다. 합병증으로 는 출혈이 있을 수 있다.

풍선 확장은 암으로 인한 기도 폐쇄에서는 그 역할이 한정적이다. stent를 삽입하기 전에 시행하며 flexible이나 rigid 모두 가능하며 협착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 적당하 며 합병증은 거의 없다.

laser 치료는 주로 기도 내 병변으로 인한 폐쇄에 사용 되고 flexible이나 rigid bronchoscope 모두 가능하다.

rigid bronchoscope는 기도나 큰 기관지의 큰 종괴의 치 료에 사용된다. 다양한 종류의 laser가 기관내 종괴 치료 에 사용되며 Nd-YAG, potassium titanyl phosphate, CO2 laser 등이 사용된다. Nd-YAG laser가 가장 많이 사 용되고 있다.

전기 소작은 55-75%의 환자에서 호흡곤란을 완화시키 고19) 47건의 전기소작 에서 89%인 42건에서 laser 사용 없이 폐쇄 완화가 가능하다고 한다20). 전기 소작의 장점 은 기구가 비싸지 않고 flexible이나 rigid에 모두 가능한 점이다.

APC는 접촉하지 않고 전기 소작이 가능하며 flexible probe을 통해 argon plasma를 매체로 해서 고주파의 전 류를 전달하는 기구로 장점은 고가가 아니고 접촉을 하지 않고도 사용가능하고 이동이 용이하고 사용이 쉅다는 점 이다.

동결 치료는 flexible이나 rigid bronchoscope를 사용해 cryoprobe로 초저온으로 종양 조직을 동결 후 녹임으로 서 조직의 파괴를 유도하며 주로 액화 질소나 nitrous oxide를 사용한다. 동결 치료는 주로 기도 내 병변에서만 사용된다. 단점은 종양이 큰 경우에 반복해서 시도하여야 하고 기도 폐쇄를 완화 시키는 대에 더 많은 시간을 필요 로 하기에 기도병변의 신속한 치료를 시행할 환자에서는 적당하지 않다.

brachytherapy는 기도내의 악성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6)

Figure 2. 악성 종양으로 인한 중심성 기도 폐쇄의 치료 기도 내 방사선 치료로 flexible bronchoscope를 통해 치

료용 catheter를 주입하며 기도내, 기도벽, 기도외부 병변 에 모두 사용 가능하다. brachytherapy는 이미 최대 용량 의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의 중심성 기도 폐쇄의 완화 에 사용되나 brachytherapy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laser나 기계적인 종양제거와 함께 사용하거나 stent와 함께 사용 가능하다. 증상 완화를 위해서는 brachytherapy 단독보다 는 다른 치료와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주 합병증은 기도와 주위 흉곽내 기관 사이에 발생하는 루(fistula), 대 량 객혈이 있다.

photodynamic therapy(PDT)는 hematophorphyrin계 통이나 porfimer sodium 같은 약제로 종양을 표식 후 적 절한 파장의 빛을 조사하여 toxic radical을 생성하게 함 으로서 종양을 파괴 시키는 방법으로 주로 기도내의 적은 상피성 암(3cm2 이하)에 사용된다. 반응 속도가 느리기에 PDT를 기도 폐쇄의 완화를 위해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은 적절하지 않다.

stent는 금속, 실리콘이나 다른 물질로 만들고 기도 내 와 기도외부압박으로 인한 기도 폐쇄에 사용되며 작은 기관 지보다는 기도나 주기관지의 폐쇄에 사용된다. uncovered metallic stent는 암으로 인한 기도 폐쇄에서는 사용을 할 수가 없다. stent는 flexible이나 rigid bronchoscope로 삽 입가능하며 일부에서는 fluoroscopic guide로 삽입이 가 능하다.

실리콘 stent는 삽입이나 제거 시에 rigid bronchoscope 를 사용하며 metal stent는 flexible이나 fluoroscopic guide 로 삽입이 가능하다. 합병증은 실리콘의 경우 이동 (migration)과 stent 내에 분비물이 농축되는 것이며 metal의 경우 granulation 조직의 생성이 증가한다. 악성 기도 폐쇄에 있어 치료에 대한 요약은 그림.2와 같다.

6. 객혈

객혈은 폐암환자의 7-10%에서 초기 증상으로 나타나 고 임상 경과 중 20%에서 발생하고 이중 약 3%에서 대 량 객혈이 발생한다. 객혈은 원위부 폐암 보다는 중심성 폐암에서 발생한다. 객혈의 기전은 종양 주위나 내부의 새로운 혈관의 형성, 표면의 종양이 떨어져나가면서 하부 의 혈관의 노출, 종양의 괴사, 기침이나 기관지 내시경 등 의 술기로 인한 손상, 기도와 혈관사이의 루 형성 등이다.

대량 객혈은 24시간 내에 200cc이상 출혈할 때를 말하고 객혈의 양이 상당한 경우에는 중재적인 시술로 치료용 기

관지 내시경, 기관지와 폐동맥 혈관 조영술과 치료 색전 술, 수술 등을 시행 할 수 있다.

객혈이 심한 경우 적절한 기도 확보와 산소투여를 위 해 기도 삽관이 필요하다. single-lumen endotracheal tube 가 double-lumen endotracheal tube 보다 효과적이 고 선택적으로 우측이나 좌측 주기도를 삽관함으로서 출 혈하지 않는 쪽 폐를 보전할 수가 있다. double-lumen endotracheal tube는 삽입하거나 위치를 고정하기 어렵 고, 내경이 좁고, 치료용 기관지 내시경을 불가능하게 하 는 단점이 있다.

기관지 내시경은 대량 객혈에서 치료와 진단 목적으로 시행한다. 내시경 검사는 출혈의 위치, 정도, 성상, 치료여 부를 평가할 수 있다. 출혈 부위가 보이지 않고 원위부 종 양에서 출혈하는 경우는 기관지 내시경 끝으로 기관지를 막고(tamponade) iced saline을 투여한다. 필요시에는 balloon을 이용하여 출혈 부위의 기관지를 24-48시간 막 을 수 있다. 이러한 조치가 성공하지 않은 경우는 기관지 동맥 색전술을 시행할 수 있다. 기관지 내시경으로 보이 는 출혈 병변에 대해서는 Nd-YAG laser, electrocautery, APC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cryotherapy, PDT, stent 등은 대량 객혈에서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대사성 응급

1. 고칼슘혈증(hypercalcemia)

폐암에서 고칼슘혈증은 2-6%환자에서 초기 소견으로

(7)

Type Frequency(%) Bone MEtastases Causal Agent Typical Tumors Local osteolytic

hypercalcemia 20 Common, extensive Cytokines, chemokines, PTHrP

Berast cancer, multiple myeloma, lymphoma

Humoral hypercalcemia of malignancy

80 Minimal or absent PTHrP

Squamous-cell cancer, (e.g., of head and neck, esophagus, cervix, or lung), renal cancer, ovarian cancer, endometrial cancer, HTLV-associated lymphoma, breast cancer 1,25(OH)2D-secretin

g lymphomas <1 variable 1,25(oh)2D Lymphoma(all types) Ectopic

hyperparathyroidism <1 variable PTH Variable

*PHT denotes parathyroid hormone, PTHrP PTH-related protein, 1,25(OH)2D 1,25-dihydroxyvitamin D, and HTLV human T-cell lymphotrophic virus.

Table 2. 암에서 고칼슘혈증의 종류

보이고 경과 중 8-12%에서 발생한다. 모든 암의 20-30%

에서 발생하고 고칼슘혈증이 동반된 환자는 약 50%가 30 일 내로 사망하기에 예후가 불량하다.

암에서 고칼슘혈증의 기전은 표.2.와 같으며 크게 국소 적인 골용해로 인한 경우, 암성 체액 고칼슘혈증(humoral hypercalcemia of malignancy, HHM)의 원인이 되는 부 갑성 관련 단백(parathyroid hormone related protein, PTHrP)의 전신적인 분비, 종양에서 활성화 vitamin D인 1,25-dihydroxyvitamine D을 분비하는 경우, 종양에서 이 소성으로 부갑성 호르몬(parathyroid hormon, PTH)을 분 비하는 경우 가 있다. 폐암이나 유방암에서 골용해는 사이 토카인인 tumor necrosis factor, interleukin 1, interleukin 6, macrophage inflamatory protein 1a, lymphotoxin 등이 국소 대식세포를 파골세포(osteoclast)로 분화시켜 골 파 괴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고칼슘혈증의 임상증상은 다양하고 비 특이적이다. 전 형적인 증상은 전신 쇄약, 의식 변화, 식욕부진, 구역, 변 비, 다뇨, 다음 등으로 이런 증상은 고칼슘혈증의 정도와 어느 정도 비례한다. 신체검사는 진단에 도움이 되지 않 는다.

고칼슘혈증의 진단은 inonized serum calcium의 측정 이다. total serum calcium을 측정한 경우는 알부민 양에 따른 교정이 필요하다. 교정 칼슘농도는 다음의 수식으로 계산한다: corrected calcium=measured total calcium

+[0.8 x(4.0-albumin)]. 100mEq/L 이하의 혈청 chloride 농도는 암성 고칼슘혈증의 가능성이 있으며 온전한 PTH 의 농도는 대부분 낮아져있다. PTHrP의 측정은 진단에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 고칼슘혈증의 원인의 이해에 도움이 되고 bisphosphonate 치료에 대한 반응과 예후를 판단 할 수 있게 한다. 12 pmol/L 이상의 PTHrP는 bisphosphonate에 대한 반응을 줄이고 14일 내로 고칼슘 혈증이 재발할 위험이 크다고 보고하고 있다21).

치료하지 않은 증상이 있는 고칼슘혈증은 생명을 위협 할 수 있기에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다. 고칼슘혈증은 대 부분 진행된 암에 발생하기에 아주 진행되고 적극적인 치 료를 하지 않는 환자는 단지 증상에 대한 조치만을 시행 할 경우도 있다. 고칼슘혈증은 대부분 심한 혈량저하증 (hypovolemia)을 동반하기에 가장 먼저 치료는 정맥 주 사로 생리 식염수를 이용해 수분공급 하는 것이다. 수액 은 500~1000 mL 생리 식염수를 1시간 동안에 투여 후 이후는 낮은 속도로 혈관 내 용적이 보충되고 소변양이 유 지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주입한다. 경한 고칼슘혈증은 수 액을 주사하지 않고도 치료가 가능하며 loop diuretics는 정 상혈량(euvolemia)이 될 때 까지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칼슘을 올릴 수 있는 약제인 thiazide 나 vitamin D 는 중 단한다.

암으로 인한 고칼슘혈증에서 bisphosphonate는 파골 세포의 뼈 파괴를 방지하기에 치료에 중요하며 주로

(8)

Intervention

Hydration or calciuresis Dose adverse Effect

Intravenous saline 200-500ml/hr, depending on the cardio vascular and renal status of the patient

Congestive heart failure

Furosemide 20-40 mg intravenously, after rehydration has been achieved

Dehydration, hypokalemia

Phosphate repletion

Oral phosphorus(if serum phosphorus

≤3.0mg/dl)

For example, 250mg Neutraphs orally, four times daily until serum phosphorus level>3.0 mg/dl or until serum creatinine level increases

Renal failure, hypocalcemia, seizures, a bnormalities of cardiac conduction, di arrhea

First-line medications Intravenous bisphosphonates

pamidronate 60-90 mg intravenously over 2-hr period in a solution of 50-200ml of saline or 5% dextrose in water

Renal failure, transient flu-like syndrome with aches, chills, and fever

Zoledronate 4 mg intravenously over a 15-min period a solution of 50 ml of saline or 5% de xtrose in water

Renal failure, transient flu-like syndrome with aches, chills, and fever

Second-line medications

Glucocorticoids For example, prednisone, 60 mg orally daily for 10 days

Potential interference with chemother apy;hypokalemia, hyperglycemia, hyp ertersion, Cushing's syndrome, immu nosuppression

Mithramycin A single dose of 25 ㎍/㎏ of body weight over a 4-to-6-hour period in saline

Thrombocytopenia, platelet-aggregation d efect, anemia, leukopenia, hepatitis, re nal failure

Calcitonin 4-8 IU per kilogram subcutaneously or intramuscularly every 12 hr

Flushing, nausea

Gallium nitrate

100-200 ㎎/㎡ of body-surface area in travenously given continuously over a 24 hrperiod for five days

Renal failure Table 3. 암으로 인한 고칼슘혈증의 약물치료

pamidronate와 zoledronic acid가 사용된다. zoledronic acid가 강도가 강하나 임상적인 의의는 확실하지 않고 신 부전환자에서는 주의가 필요하고 creatinine clearance에 따라 용량 조절이 필요하다.

피하나 근육내 주사로 calcitonin 사용은 신속한 칼슘 농 도를 저하시키나 지속 시간이 짧다. 비강을 통한 주입은 고 칼슘혈증 치료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mithramycin (plicamycin)이나 gallium nitrate는 심한 부작용이 있기에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glucocorticoid는 1,25-dihyd-

roxyvitamine D을 분비하는 종양으로 인한 고칼슘혈증의 경우에 도움이 된다. 신부전이나 울혈성 심부전의 경우 는 수액 치료나 bisphosphonate 치료가 어ㄹ렵기에 혈액 투석을 시행할 수 있다. 고칼슘혈증은 자체에 대한 치료 외에도 기저질환에 대한 화학 요법이나 방사선 치료를 병 행함으로서 효율적으로 조절 할 수 있다. 암으로 인한 고 칼슘혈증에 대한 치료는 표 3에 요약하였다22).

(9)

Malignant

Diseases Pulmonary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Drugs Other Causes Carcinoma

Lung Small-cell Mesothelioma Oropharynx Gastrointestinaltract Stomach Duodenum Pancreas Genitourinary tract Ureter

Bladder Prostate Endometrium Endocine thymoma Lymphomas Sarcomas Ewing's sarcoma

Infections

Bacterial pneumonia Viral pneumonia Pulmonary abscess Tuberculosis Aspergillosis Asthma Cystic fibrosis Respiratory failure associated with positive-pressure breathing

Infection Encephalitis Meningitis Brain abscess

Rocky Mountain spotted fever AIDS

Bleeding and masses Subduralhematoma Subarachnoidhemorrhage Cerebrovascular accident Brain tumors

Head trauma Hydrocephalus

Cavernous sinus thrombosis Other

Multiple sclerosis Guillain-Brreé syndrome Shy-Drager syndrome Delirium tremens Acute intermittent porphyria

Drugs that stimulate release of AVP or enhance its action Chlorpropramide SSRIs

Tricyclic antidepressants

Clofibrate(Atromid-S, Wyeth-Ayerst) Vincristine(Oncovin, Lilly, Vincasar, Pharmacia

and Up john) Nicotine Narcotics Antipsychotic drugs

I fosfamide(Ifax, Bristol-Myers Squibb) Cyclophosphamide(Cytoxan, Bristol-Myers Squibb; Neosar, Pharmacia and Upjohn) Nonsteroidal antinflammatory drugs MdMa("ecstasy")

AVP analogues

Desmopressin(DDAVP, Rhone-Poulenc Rorer, Stimate, Centeon) Oxytocin(Pitocin, Parke-Davis, Syntocinon,

Novartis) Vasopressin

Hereditary(gain-of-function mutations in the vasopressin V2 receptor)

Idiopathic Transiant Eudurance exercise General anesthesia Nausea

Pain Stress

*AIDS denotes the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VP arginine vasopressin, SSRI selective serotonin-reuptake inhibitor, and MDMA 3,4-methylenedioxymethamphetamine.

Table 4. SIADH의 원인

2. 부적절한 항이뇨호르몬 증후군(the syndrome of antidiuretic hormone, SIADH)

저나트륨혈증(hyponatremia)은 입원환자에서 가장 흔한 전해질 이상으로 경한 저나트륨혈증(혈청 Na <135mEq/L) 은 입원환자의 15-22%, 외래환자의 7%에서 관찰되고 중 등도 저나트륨혈증(혈청 Na <130mEq/L)는 입원환자의 1-7%에서 관찰된다. 저나트륨혈증은 기저질환의 표식자 로서의 기능외에 환자에 위험부담을 주기에 임상적으로 중 요하다. 저나트륨혈증의 원인은 extracelluar fluid의 고갈로 인한 경우가 흔한 원인이나 SIADH가 가장 흔한 원인이 된다. SIADH는 arginine vasopressin이 종양세포에서 분 비됨으로서 발생한다. SIADH의 저나트륨혈증은 혈장 hypoosmolarity와 부적절하게 높은 소변 osmolarity, 혈

장량의 고갈 없이 고농도의 소변 나트륨의 배설 등의 소 견을 보인다. SIADH의 진단에 있어 다른 원인의 저나트륨 혈증 인 신부전, 갑상선기능 저하증, 부신기능 저하증 등을 배제하여야한다. SIADH의 원인은 표 4에 요약하였다. 원인으 로 항우울제,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항암 제인 cyclophosphamide, vincristin, melphalan, cisplatin, vinorelbine 등의 약제, 수술, 양성 폐질환 등이 있으나 종 양 중에 가장 흔한 원인은 소세포 폐암이다. 소세포 폐암 에서 저나트륨혈증은 불량한 예후를 보인다.

대부분의 SIADH에서는 증상이 없으나 임상증상은 저 나트륨혈증의 정도에 따라 나타난다. 초기증상은 식욕부 진, 우울증, 과민, 쇄약감, 근육 경련, 행동변화 등으로 나 타나고 나트륨 농도가 110mEq/L 이하에서는 심부 건 반 사 저하, 가성연수 마비(pseudobulbar palsy), 경련, 혼수

(10)

Figure 3. 급성 SIADH의 치료

가 발생한다.

SIADH가 종양으로 인한 경우는 치료의 기본은 기저 악성종양에 대한 치료이며 소세포 폐암의 경우은 화학요 법을 가능한 빨리 시작하며 암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없 거나 화학요법에 대해 반응을 하지 않는 경우는 수분 제 한, demeclocycline, vasopressin receptor antagonist 등 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증상을 동반한 급성 SIADH의 치 료는 그림 3.과 같다(23).

폐암에서는 흔하지 않고 다른 암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사성 응급 질환은 젖산증(lactic acidosis), 저혈당증 (hypoglycemia), 부신기능 저하(adrenal insufficiency) 등 이 있으나 여기에는 자세히 서술하지 않았다.

치료관련 응급

1. 항암제에 대한 anaphylactic reaction

항암제에 대한 anaphylactic reaction은 가끔 응급상황 을 야기 시킬 수 있다. 혈관부종(angioedema), 두드러기 (urticaria)가 가장 흔한 증상으로 약 90%이상을 차지한 다. 다른 증상으로는 복통, 흉부 압박감, 상기도 폐쇄, 기 도수축, 저혈압 등이다. 후두부종과 저혈압이 가장 흔한 사 망원인이다. anaphylactic reaction의 치료에 있어 중요한 점 은 조기 발견, 기도 유지, 혈역학적 지지(hemodynamic support) 이다. 치료 시에 가장 먼저 원인이 될 수 있는 약제의 중단 후에 기도 유지와 정도에 따라 epinephrine 피하 주사하고 저혈압이 동반된 경우는 정맥수액 주입을 하고 항히스타민제와 glucocorticoid를 추가한다.

약재 중 흔한 원인은 L-asparaginase, taxanes, platinum 계통 들이다. L-asparaginase는 주로 백혈병치료에 사용되 고 약 10%에서 anaphylactic reaction이 발생하고 발생의 위험이 증가하는 경우는 고용량, 과거 노출, 정맥주사, 알

(11)

Figure 4. 호중구결핍 열 환자의 초기 치료

Monotherapy Cefepime Ceftazidime

Carbapenem (eg,imipenem or meropenem) Piperacillin/tazobactam

Dual therapy Aminoglycoside plus 1 of the following drugs Piperacillin

Cefepime or ceftazidime Carbapenem

Table 5. 호중구결핍 열 환자의 초기 항생제 치료 레르기 기왕력 등이다. taxene(paclitaxel, docetaxel)은 초

기에는 치료환자의 30%에서 주요 과민 반응, 40%에서 작은 과민반응을 보였고 주반응은 anaphylactoid type으 로 반응은 주가 초기 2-10분에 발생하고 주사 중단후 15-20분후에 소실된다. 대부분 호흡곤란, 두드러기, 혈관 부종, 저혈압, 기도수축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이러한 반 응을 예방하는 방법으로는 주입기간을 길게하고 예방약 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1시간, 3시간, 24시간 동안의 주입 기간에서는 glucocorticoid와 항히스타민제를 병행하여야 한다.

최근 carboplatin의 장시간 투여 증가로 과민 반응이 증가하고 있다. 반응의 정도는 심하지 않아 경한 피부 발 적만 있으나 일부에서는 심한 경우 저혈압, 불안, 호흡곤 란, 심현관 허탈 등이 생길 수 있다. carboplatin의 반응은 다양한 경과를 가져 약제투여 후 수분 내에 발생하거나

약제 투여 기간 마지막에 발생하거나 투여 후 수시간이나 수일 후에 발생할 수 있다. 반응이 경한 경우는 약제를 계 속사용하고 투여중이거나 환자가 외래에 있는 중에 발생 하면 diphenhydramin 50mg을 정맥 투여하고 귀가 후에도 지속 시에는 경구로 25-50mg을 4-6시간마다 투여한다.

(12)

DNA-binding vesicant drugs Alkylating agents Anthracyclines Antitumor antibiotics

Mechlorethamine

Doxorubicin, daunorubicin, epirubicin, idarubicin Mitomycin, dactinomycin, mitoxantrone Non-DNA-binding vesicant drugs

Vinca alkaloids Taxane

Nonclassical alkylator

Vinblastine, vincristine, vinorelbine, vindesine Paclitaxel

Amsacrine Irritant drugs

Alkylating agents Platinum analogs

Topoisomerase Ⅱ inhibitors Anthracycline

Carmustine, dacarbazine, kfosfamide, melphalan, thiotepa, streptozocin Carboplatin, cisplatin, oxaliplatin

Teniposide, etoposide Liposomal doxorubicin

Nonvesicant drugs Aldesieukin, L-asparaginase, cladribine, cytarabine, liposomal daunorubicin, floxuridine, 5-fluorouracil, gemcitabine, irinotecan, methotrexate

Table 6. 항암제의 조직 손상에 따른 구분

Vein physiology Pharmacologic

Physiologic Radiologic Mechanical

Fragile, small, sclerosed veins, vessel size, blood flow

Duration and amount of tissue exposure to chemotherapy;drug sequence administration;use of medications that cause altered mental status

Superior vena cava syndrome;lymphedema;peripheral neuropathy;phlebitis Recall phenonmen11;previous local irradiation

Needle insertion technique;multiple venipuncture attempts;expert technique;injection sites Table 7. 혈관밖 유출이 발생할 위험인자

다음 치료 시에는 과민 반응의 증상이 있을 경우 상기 약 제사용을 하여야 한다. 만약 반응이 심한 경우에는 carboplatin 약제사용의 손익을 평가하여 약제의 계속 사 용 여부를 결정한다.

2. 호중구결핍 열(Neutropenic fever)

암환자에서 감염은 중요한 질환과 사망의 원인으로 특 히 항암제치료 중인 백혈병이나 혈액 종양에 문제가 되나 폐암의 항암제 치료 중에도 호중구결핍 열이 발생하고 있 다. 박테리아가 가장 흔한 원인이나 곰팡이 감염도 증가 하는 추세이다. 호중구 결핍은 호중구 수가 1.0x 109/L 이 하일 때 심한 결핍은 0.5x 109/L이하로 정의한다.

호중구결핍 열은 화학요법 후에 주로 발생하며 호중구 최저치(nadir)의 정도나 지속기간, 동반된 질환, 점막염과 같은 합병증 여부에 따라 위험이 결정된다. 호중구 최저

치는 항암제 투여 후 약 5-10일 수 발생하고 대부분 5일 이내에 회복된다.

진단을 위해 철저한 신체검사 특히 피부, 구강 점막, 항문주위를 관찰하며 혈액배양은 반드시 신속하게 시행 하며 말초 정맥과 중심성 정맥 catheter에서 혈액을 배양 한다. 흉부 사진은 대부분 정상소견을 보이기에 필요시에 는 High-resolutuion CT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열을 동반 한 호중구 결핍이 진단이 되면 치료는 즉시 시행되어야하 고 필요한 배양검사를 시행 후 광범위 항생제를 투여하며 사용되는 항생제는 표 5 초기 치료는 그림 4와 같다24).

3. 치료약제의 혈관밖유출

항암제의 혈관밖유출로 인한 손상은 0.5-6%에서 발생 하고 항암제는 수포형성이나 자극제로 구분하고 수포형 성 약제에서 DNA 결합을 하는 것과 하지 않는 것으로 구 분되며 DNA결합을 하는 경우 조직손상과 장기간의 경과

(13)

Drug Antidotes Comments Anthracyclines *DMSO 99%

Dexrazoxane

Topical cooling

Immediate, then every 8 hours until pain resolves

1,000 ㎎/㎡ intravenously within 5 hours of extravasation on day 1;1,000㎎/㎡

on day 2;500 ㎎/㎡ on day

Immediate, then on/off for 24 hours

Mitomycin *DMSO 99% Immediate subcutaneous injection at the extravasation site, then every 6-8hours until resolved

Vinca Alkaloids Hyaluronidase

Normal saline Warm compress

150-1,500 units subcutaneously, immediately at extravasation site 1-3 mL subcutaneously, immediately at extravasation site Immediately, then on/off for 24 hours

Taxanes Hyaluronidase

Topical cooling

Mix 300 units with 3 mL of normal saline;inject mL for mL of drug infiltrated

Apply ice pack for 15-20 minutes at least 4 times per day for the first 24 hours

Mechlorethamine 1/6 mol/L (isotonic) Sodium thiosulfate solution

Immediate subcutaneous injection at extravasation site

Mix 4 mL of 10% sodium thiosulfate with 6 mL of sterile water for injection

*If DMSO 99% is not readily available, DMSO 50% can be substituted temporarily until the more concentrated form is obtained.

Table 8. 혈관밖 유출에 사용되는 antidote

를 필요로 한다(표 6).

혈관밖유출을 야기 할 수 있는 위험인자는 표 7.에 혈 관밖유출이 발생한 경우 사용될 수 있는 antidot는 표 8.

에 요약하였다25). 치료는 치료약제의 주입 중단, 열이나 어름을 상처부위에 적용, 상처부위의 압박을 피하고 antidote를 투여하는 것이다.

폐암이 아닌 다른 종양에서 치료에 따른 응급 상황은 종양 용해 증후군(tumor lysis syndrome), 용혈 요독 증후군 (hemolytic-uremic syndrome), 출혈성 방광염(hemorrhagic cystitis)등이 발생하나 이들은 폐암에서 드물기에 생략하였다.

REFERENCES

1) Kvale PA, Selecky PA and Prakash BS. Palliative care in lung cancer:ACCP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2nd edition). Chest 132:368s-403s, 2007

2) The Royal College of Radiologists Clinical Oncology Information Network. Guidelines on the non-surgical management of lung cancer. Clin Oncol (R Coll Radiol) 11:S1-S53. 1999

3) Rowell NP, Gleeson FV. Steroids, radiotherapy,

chemotherapy and stents for superior vena caval obstruction in carcinoma of the bronchus: a systematic review. Clin Oncol (R Coll Radiol) 14:338-351, 2002 4) Rodichok LD, Harper GR, Ruckdeschel JC, et al. Early

diagnosis of spinal epidural metastases. Am J Med 70:1181-1188. 1981

5) Sorensen S, Helweg-Larsen S, Mouridsen H, et al.

Effect of high-dose dexamethasone in carcinomatous metastatic spinal cord compression treated with radiotherapy: a randomised trial. Eur J Cancer 30A:22-27, 1994

6) Patchell RA, Tibbs PA, Regine WF, et al. Direct decompressive surgical resection in the treatment of spinal cord compression caused by metastatic cancer:

a randomised rial. Lancet 366:643-648. 2005 7) Arriagada R, Le Chevalier T, Borie F, et al.

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 for patients with small-cell lung cancer in complete remission. J Natl Cancer Inst 87:183–190,1995

8) Komaki R. 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 for small cell carcinoma of the lung. Cancer Treat Symp 2:35–

39, 1985

9) Lester JF, MacBeth FR, Coles B. 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 for preventing brain metastases in patients undergoing radical treatment for non-small-cell lung

(14)

cancer: a Cochrane Review.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63:690-694, 2005

10) Patchell RA, Tibbs PA, Walsh JW, et al. A randomized trial of surgery in the treatment of single metastases to the brain. N Engl J Med 322:494-500, 1990

11) Vecht CJ, Haaxma-Reiche H, Noordijk EM, et al.

Treatment of single brain metastasis: radiotherapy alone or combined with neurosurgery? Ann Neurol 33:583-590, 1993

12) Mintz AH, Kestle J, Rathbone MP, et al. A randomized trial to assess the efficacy of surgery in addition to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a single cerebral metastasis. Cancer 78:1470-1476, 1996 13) Andrews DW, Scott CB, Sperduto PW, et al. Whole

brain radiation therapy with or without stereotactic radiosurgery boost for patients with one to three brain metastases: phase III results of the RTOG 9508 randomised trial. Lancet 363:1665-1672 ,2004 14) Sneed PK, Suh JH, Goetsch SJ, et al. A multi-institutional

review of radiosurgery alone vs. radiosurgery with whole brain radiotherapy as the initial management of brain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3:519-526, 2002

15) Li B, Yu J, Suntharalingam M, et al. Comparison of three treatment options for single brain metastasis from lung cancer. Int J Cancer 90:37-45, 2000 16) Robinet G, Thomas P, Breton JL, et al. Results of a

phase III study of early versus delayed whole brain radiotherapy with concurrent cisplatin and vinorelbine combination in inoperable brain metastasis of non-small-cell

lung cancer: groupe Francais de Pneumo-Cancerologie (GFPC) Protocol 95-1. Ann Oncol 12:59-67, 2001

17) Kim DY, Lee KW, Yun T, et al. Efficacy of platinum-based chemotherapy after cranial radiation in patients with brain metastasis from non-small cell lung cancer. Oncol Rep 14:207-211, 2005

18) Antonadou D, Coliarakis N, Paraskevaidis M, et al.

Whole brain radiotherapy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emozolomide(TMZ) for brain metastases: a phase III stud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4(suppl):93-94, 2002

19) Petrou M, Kaplan D, Goldstraw P. Bronchoscopic diathermy resection and stent insertion: a cost effective treatment for tracheobronchial obstruction.

Thorax 48:1156–1159, 1993

20) Coulter TD, Mehta AC. The heat is on: impact of endobronchial electrosurgery on the need for Nd- YAG laser photoresection. Chest 118:516-521, 2000 21) Gurney H, Grill V, Martin TJ. Parathyroid hormone-related

protein and response to pamidronate in tumor-induced hypercalcemia. Lancet. 341:1611-1613, 1993

22) Stewart AF. Hypercalcemia associated with cancer. N Engl J Med 352:373-379, 2007

23) Ellison DH, Berl TB. The 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sis. N Engl J Med 356:2064-72, 2007 24) Halfdarson TR, Hogan WJ, Moynihan TJ. Oncologic

emergencies: diagnosis and treatment. Mayo Clin Proc 81:835-848, 2006

25) Goolsby TV, Lombardo FA. Etravasationof chemotherapeutic agents: prevention and treatment. Semin Oncol 33:139-143, 2006

참조

관련 문서

Definition of patients presenting a high risk of developing peritoneal carcino- matosis after curative surgery for colorectal cancer: a systematic review..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Ce of remifentanil for preventing emergence cough following extubation in male and female elderly patients and evaluated the

The effect of group exercise on physical functioning and falls in frail older people living in retirement villag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yman JF, Crogha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ovarian cancer; renal cell carcinoma; pancreatic neuroendocrine cancer; colorectal cancer; head and neck cancer; non-small cell lung

• Hormone Therapy With or Without Combination Chemotherapy in Treating Women Who Have Undergone Surgery for Node-Negative Breast Cancer (The TAILORx Trial)..

Endoscopic spine surgery has become a practical,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for decompression in patients with spinal disc herniation or stenosis.. However,

Autho: Effectiveness of surgery for lumbar stenosis and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in the octogenarian population: analysis of the Spine Patient Outcomes Research

Postoperative adhesion formation and reproductive outcome using interceed ® after ovarian surgery: a randomized trial in the rabbit model.. Adhesion re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