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공공 건축에 나타나는 생태 개념의 건축적 표현 특성 연구 - 서울시 공공 건축 사례를 중심으로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공공 건축에 나타나는 생태 개념의 건축적 표현 특성 연구 - 서울시 공공 건축 사례를 중심으로 -"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투고일_2019.06.10 심사기간_2019.07.01-14 게재확정일_2019.08.06

공공 건축에 나타나는 생태 개념의 건축적 표현 특성 연구 - 서울시 공공 건축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Expression of Ecological Concept in Public Architecture - focused on Public Building Cases in Seoul -

정은희_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대학원 건축디자인학과 박사과정 / 윤재은(교신저자)_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공간디자인학과 교수 Eun Hee Jung, Ph.D. candidate,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Dept. of Architecture Design / Jae Eun Yoon(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Kookmin University, Collage of Design. Dept. of Space Design

차례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공공 건축과 생태 개념 2.1. 건축의 공공성

2.2. 건축적 측면의 생태 개념

2.3. 건축에서의 생태 개념 디자인 특성

3. 생태 개념의 건축적 표현 특성 3.1. 전체성의 건축적 표현 특성 3.2. 순환성의 건축적 표현 특성 3.3. 항상성의 건축적 표현 특성

4. 종합 분석

4.1. 분석 대상 및 방법 4.2. 사례분석

4.2.1. 서울 시청사

4.2.2.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4.2.3. 서울시립 북서울 미술관 4.3. 소결

5. 결론

참고문헌

(2)

공공 건축에 나타나는 생태 개념의 건축적 표현 특성 연구 - 서울시 공공 건축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Expression of Ecological Concept in Public Architecture - focused on Public Building Cases in Seoul -

정은희_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대학원 건축디자인학과 박사과정 / 윤재은(교신저자)_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공간디자인학과 교수 Eun Hee Jung, Ph.D. candidate,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Dept. of Architecture Design / Jae Eun Yoon(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Kookmin University, Collage of Design. Dept. of Space Design

요약 최근 한국 사회는 과도한 경쟁과 경제 성장에서 탈피하여 친환경, 그린, 녹색 건축에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공공 건축의 영역에서도 친환경 개념의 건축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최근 지어진 친환경 공공 건축의 친환경적 표현 특성을 생태 개념적 측면에서 분석·평가해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자연 생태 개념인 전체성, 순환성, 항상성의 디자인적 특성을 건축적 표현 특성으로 추 출하여 최근 서울시에서 친환경 건축을 표방하여 설립한 공공 건축 사례들을 대상으로 건축의 구조와 형태적, 설비와 기능적 측면을 분석하여 분석 내용을 종합한 후 결론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사례 전체의 경향성은 자연 질서의 보존을 위한 통합적인 시스템으로서의 전체성과 상호 관계적 구조가 서로 순환을 이루는 생태계의 작용 원리를 설명하는 순환성 개념의 표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연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내적 통합과 다양성의 조화, 상호 침투, 흡수, 연계, 연속 등의 자연 질서의 보존을 담아 건축의 구조와 형태적 디자인으로 표현 할 수 있는 전체성과 자기 조절과 갱신을 반복적으로 거치며 역동적 균형 상태를 유지하여 최적화된 적합성을 통한 지속과 진화의 특징 갖는 항상성 개념의 표현은 서로 유사한 수준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앞으로도 공공 건축의 친환경성은 점점 더 강조될 것이기에 본 연구는 생태 개념의 복잡함과 방대함에도 불구하고 주요개념의 건축적 표현 실태를 현재 공공 건축에서 평가해보았고 그 결과 전반적으로 세 가지 사례 모두 자연 생태 개념의 전체 성, 순환성, 항상성의 표현 특성을 종합적으로 높게 보여주고 있어 최근 공공건축의 친환경 경향이 생태 개념을 충실히 담아 계획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Recently, Korean society has shifted its focus and efforts to eco-friendly, green and green architecture away from excessive competition and economic growth. In response,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eco-friendly architecture in the area of public architectu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public architecture recently built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 terms of ecological concept. As a method of research,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natural ecology, totality, circulation and constancy, were extracted with architectural expressive characteristics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fter analyzing the architectural structure, form, facilities and functional aspects of public architecture recently establish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s a result, the overall tendency of the case as a whole as an integrated system for conservation of natural order and the expression of the cyclical concept describing the working principle of the ecosystem in which the interrelational structure rotates with each other, and the conservation of natural order such as interpenetration, absorption, linkage, and continuous elements of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nature, maintain the overall and dynamic state that can be expressed in architectural structure and form design. As the eco-friendly nature of public architecture will be emphasized more and more, the study found that despite the complexity and magnitude of the concept of ecology, the present state of architectural expression of the main concept was evaluated in public architecture. And as a result, all three cases show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nature ecology concept in a comprehensive way, so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recent trend of the environment of public architecture has been faithfully planned.

중심어

공공건축 생태개념 건축적 표현

ABSTRACT Keyword

public architecture

ecological concept

architectural expression

(3)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과도한 개발과 성장 일변도의 한국사회에도 친환경, 그린, 녹색, 웰빙 등의 단어가 등장하게 되었고, 최근에는 이러한 환경 친화적인 개념이 언급되지 않는 분야를 찾기 힘들 정도로 대중적인 관심이 높아진 상태이다. 이러한 대중적 요구에 따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시 환경 문제를 우선으로 상정하고 그에 대한 해결과 대안을 적극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건축 분야에서도 예외 없이 나타나고 있고, 현재까지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환경 또는 생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건축분야에서도 역시 산발적으로 생태 건축, 친환경 건축, 그린 빌딩 개념을 지향한 건축 공법이나 인증제도가 도입되고 그에 대한 다양한 모델들이 제시되어 활성화 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여전히 사회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며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명확한 원칙을 제시하는 것에는 적지 않은 한계점을 갖고 있다. 어떤 분야에서든 환경 친화적 인 솔루션과 대안을 제시함에 있어 우선이 되어야 할 것은 자연과 인간이 함께 공생하는 생태 계에 대한 본질적 개념의 이해이다. 이러한 본질적 이해와 실천 방법에 대한 고민 없이 반복되 어지고 확산되어지는 건축 설계와 시공, 인증 제도의 시행은 우리가 생각지 못한 또 다른 악영 향을 자연 생태계에 초래할 것이고, 그 문제 해결에 대한 표피적 대안들은 이러한 악순환을 반복하며 본래의 의도에 반한 막대한 환경적 피해를 가져올 것이다.

특히 공공성을 갖고 있는 다양한 건축물은 불특정 다수의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건축이라는 공간을 통해 상호 의사소통과 공공의 이익을 도모하는 사회적 공간으로 공공의 이익을 인간의 측면에서 뿐 아니라 생태계 전체의 환경적 이익으로 확장하여 바라본다면 이러한 생태 혹은 친환경의 개념이 반드시 반영되어 계획되어져야 한다. 이미 우리보다 앞서 이러한 환경적, 생태적 문제에 대해 의식을 가지고 실천적 해결에 나선 미국이나 유럽의 선진국들은 계획단계 부터 다양한 전문가 집단의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환경 친화적 건축설계 및 시공과 인증을 필수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 개념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생태성의 본질을 이해하고, 광범위한 환경 친화적 건축의 기본이 되는 생태 개념의 건축적 표현 특성을 정리하여 현재 우리나라 공공 건축의 생태 건축적 표현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현재 공공 건축의 친환경적 접근 실태 진단 및 계획 단계에서부터 고려되지 못한 생태적 요소와 앞으로 요구되는 공공의 환경적, 생태적 이익이 극대화되기 위한 건축적 표현 요소들을 제시하고, 환경 친화적인 건축에 있어 기술적 접근 뿐 아니라 생태와 환경에 대한 사회적 의식의 전환에 보탬이 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공공 건축물의 공공성의 의미와 생태 개념의 디자인적 요소들 고찰하고 이를 건축적 표현 특성으로 추출하여 현재 서울시의 대표적인 공공 건축물인 서울시청사,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 시립미술관을 대상으로 생태 건축적 측면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 여 서울시 공공 건축이 어떠한 생태 개념적 특성을 포함하는지 도출하고, 추후 계획, 설계되는 공공 건축이 고려해야할 건축적 측면의 생태 개념적 표현 특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공공 건축의 공공성 개념에 대해 고찰하고 이론적 배경으로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생태에 대한 기본 개념과 건축적 측면의 생태 개념을 살펴본다.

둘째, 건축적 생태 개념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생태 개념의 디자인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디자인적 요소들을 건축적 표현 특성으로 추출한다.

셋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된 생태 개념의 건축적 표현 특성들을 통해 서울시에서 최근 10년 이내 유사한 시기에 친환경 건축을 표방하며 건축되어진 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생태개 념의 건축적 표현 특성을 분석한다.

넷째, 분석을 통하여 현 시점의 공공 건축의 생태 개념적 표현 요소들을 파악한다,

(4)

2. 공공 건축과 생태 개념 2.1. 건축의 공공성

현대에서의 공공, 즉 'public'의 사전적 의미는 1. 공중의, 일반 국민의, 공공의, 공공에 속하는 이라는 의미로서 다수의 사람들에게 공통적 혹은 보편적으로 관련되는 경우로, 여기서 공중 (the public) 이라는 개념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2. 공립의, 공설의 라는 의미로서 경제학에서의 공공재의 개념과 동일하다. 3. 공적인, 공무의, 국사의 라는 의미로서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이루어지는 행위를 규정하고 있다. 4. 공개의, 공공연한 이라는 17세기 말 public 의 의미와 같다.

1)

이와 같이 현대에 와서 공공성이라는 용어는 정치, 의료, 환경, 교육, 언론 등과 같이 다양한 사회학적 학문 분야에서 보편적 의미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는 공공성을 Nancy Fraser가 언급한 것과 같이 ‘사회적 의미가 생성, 순환, 각축되고 재구성되는 지점이자 헤게모니와 문화 를 형성하는 1차적인 장

2)

이며 사회유지와 변화의 원동력으로 보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공공 건축물은 협의적으로는 공공기관이 소유하고 있는 건물이며 광의적으로는 공공의 이익 과 가치 증진을 목적으로 세워진 시설을 의미한다. 공공 건축은 공공적 성격과 상징성을 가져 시민들의 생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도시 이미지를 결정한다.

3)

현대 건축에서의 공공성은 공간적인 측면에서 표현되며 모두에게 열린 공간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공공성이 나타나는 건축적 공공영역은 ‘이성을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하며 인간의 행위를 유발시키는 곳이어야 한다. 또한 특정한 경계를 설정함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중심이 되어서 이를 바탕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공공영역은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곳이며 다양한 사람들의 활동을 담아내고 조직하는 곳으로 이해할 수 있다.

4)

또한, 건축적 공공성의 정의를 위한 논의의 관점은 의사소통, 공적·사적 영역의 관계, 공공의 이익 및 관계 등 사회적 ‘공공성’ 구현의 목적에 있으며 건축공간을 매개 로 하고 있다. 또한 건축적 공공성의 주체는 건축 공간, 인간 및 인간의 생활과 의식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궁극적으로 건축적 공공성은 사회적 공공성의 실현을 가능하게 해 야 한다.

5)

<표 1> 학문분야별 공공성의 정의6)

학문 분야 공공성의 정의

정치 특수한 집단이나 계층의 이익이나 사적 이익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불특정 다수인 사회구성원의 평 균적 이익

의료, 보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국민 또는 지역주민의 건강 수준 향상을 위해 제공하는 보건서비스를 영리 목적의 이윤 추구적 민간성을 지양하고 사회일반의 공익에 부합하도록 행하는 것

환경 누구라도 환경을 통해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어느 개인이 이익을 독점할 수 없는 것

교육 인간발달을 도모하는 행위로서의 교육은 발달의 권리를 동등하게 가지고 태어난 사회구성원 모두와 관련되는 실천 행위로 교육의 질적 기회적 형평성을 이루는 것

언론, 방송 진실, 공정, 다양, 유익성을 통해 독자나 시청자의 법적지위와 주권의 원리를 확립하는 것

2.2. 건축적 측면의 생태 개념

생태학(Okologie)이란 희랍어인 Oikos와 Logos의 합성어이다. 여기서 오이코스는 집 또는 생존을 위한 공간을 의미하며, 다른 한편으론 가계, 살림살이, 경제란 뜻을 지니고 있다, 따라 서 생태학은 어원적으로 각종 생물의 삶의 터, 삶의 꼴, 삶의 관계, 특히 자연의 순환과 리듬,

1) 김왕식, 「지역문화시설의 공공성을 반영하기 위한 건축계획요소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논문, 2006. p.25 2) 장미경, 「페미니스트 근대론자들」, 경제와 사회, 통권 제43호, 가을호, 1999.

3) 강신우, 「안산시 공공건축물의 친환경 건축기법 적용사례」,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석사논문, 2011, p.3.

4) 김기환, 「현대 건축에서 공공영역 구축방식과 도시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5권, 1호, 2005, p.21.

5) 서수미, 「공공건축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공간디자인 접근 방법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3, p.32.

6) 김왕식, 상게서, pp.25-26, 요약.

(5)

군집의 발달과 구조, 다른 종의 생물 간의 상호작용, 지리학적 분포, 그리고 개체군의 변동 생물과 그 환경 간의 전체적 관계 또는 유형(Pattern), 인간 생태학의 세부분을 모두 다루는 학문이다.

7)

1970년대의 독일에서는 급속한 산업화에 의한 공해와 환경파괴가 심각한 사회문 제로 대두되었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각적인 대안이 모색되었는데 건축 분야에서는 기존 건축이 유발하는 환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생태건축이 탄생하였다. 이 명칭은 1979년 P. & M. Krusche 등이 연방환경부에 제출할 연구 보고서의 제목을 결정하는 자리에 서 공식적으로 명명되었다고 한다.

8)

급격하고 경쟁적인 산업화로 인한 환경 문제를 지각하기 시작한 1980년대 중반 이 후 부터는 건축의 개념이 환경과 별개로 독립적 분야로 여겨지던 것과 달리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생태계의 일부로 환경을 저해 하지 않으며 자연과 함께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개념으로 변화되기 시작하였고 그로 인해 생태 개념의 다양한 접근을 통해 생태 건축(Ecological Architecture), 자연 건축(Natural Architecture), 환경 건축 (Environment Architecture), 녹색 건축(Green Architecture) 등의 용어가 등장하고 있다.

생태건축은 자연에서 건축 형태의 원형을 찾고자 하는 자연주의적 경향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자연주의적 경향의 건축양식은 그 기본적인 틀 속에서 지역성이 첨부되면서 조금씩 차이를 보이며 발전하게 된다. 대표적인 예로서 독일과 오스트리아, 벨기에를 중심으로 발전한 유겐트스틸과 프랑스와 스페인을 중심으로 한 아르누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흐름 아래 1970 년대 초반의 석유파동은 서구사회에 적지 않은 파장을 가져왔고, 과학기술과 고도의 경제성장 에 대한 한계를 인식하게 되면서 건축 분야에서도 새로운 대안으로서 환경 친화적인 건축경향 이 나타나게 되었다.

9)

생태 건축이 자연주의적 경향에서 유래하여 건축의 원형을 자연에서 찾고자한다면 친환경 건축은 건축의 계획, 설계, 생산, 유지관리와 폐기까지의 전 과정에 소요 되는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자연 환경의 보전하며 자연과의 균형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 여 쾌적한 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건축을 뜻한다.

<그림 4> 생태 건축과 친환경 건축의 개념차이10)

생태 건축 친환경 건축

Ecology 》 Technology Ecology 《 Technology

7) 윤주미, 생태적 건축 개념을 적용한 오피스빌딩 계획, 국민대학교 테크노 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논문, 2005, p.27.

8) 김은희, 생태학적 접근에 따른 건축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논문, 2001, p.16.

9) 이봉, 친환경건축 구현을 위한 패시브디자인 요소기술의 통합설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9, p.35.

10) 상게서, p.37.

<그림 2> 펄리버 타워 (중국 광저우)

<그림 3> 보스코베르티칼레 (이탈리아 밀라노)

<그림 1> 아크로스 후쿠오카 (일본 후쿠오카)

(6)

2.3. 건축에서의 생태 개념 디자인 특성

건축에서 생태 개념을 연구한 선행 자료들을 살펴보면 김은희(2001)는 생태 개념에 따른 건 축적 디자인 특성을 우주의 기본적 자연 질서로의 통일성을 들며 예술과 건축에서도 예외일 수 없다고 설명하였고, 역동적 균형을 통해 안정성과 효율성을 유지하며, 부분적 불완전성을 상호 보완으로 부분과 전체가 유기적 체계를 조성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윤갑근, 김대현(2005)은 생태 개념의 디자인 특성을 자연의 질서 보전을 의미하는 자연과 문화 환경과의 통일과 환경 변화에의 적응성, 질서와 무질서, 부분과 전체, 기하학과 유기적인 것 사이에서 일어나는 자연의 창조적 질서를 의미하는 동적 균형, 물질과 관념, 인간과 자연, 건물과 조경, 실내와 실외, 시간과 공간과 같은 분리할 수 없는 본질을 의미하는 상보성으로 설명하였다.

이윤희(2006)는 생태 중심 사고를 통한 현대 건축의 표현 특성으로 생태 시스템의 존재 개념 으로서의 전체성이 디자인적 통일성으로 표현되고, 작용 원리로서의 순환성은 건축에서 물질 과 에너지를 다루는 기술의 순환으로 시공 기술로 나타난다고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자연 의 존속 지향성, 즉 자기조절과 갱신으로 균형 상태를 유지하려는 항상성을 특성으로 들고 있다.

이경현(2006)은 자연 에너지의 흐름과 물질의 순환이 생태계 평형을 유지하고 자연 생태계의 요소들 사이의 상호 관계를 통해 복잡성, 적응과 진화, 항상성, 순환성, 상호보완성의 생태적 특징을 찾을 수 있다고 하였다.

고귀한(2012)은 상호작용 공간의 생태학적 요소로 전체성, 다양성, 진화성, 순환성, 항상성과 각각의 세부 요소들을 들어 생태 개념을 통해 공간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 연구를 토대 로 생태 개념에 따른 디자인 특성과 요소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생태적 개념 디자인 특성 세부 요소

자연 질서의 보존 전체성 상호관계성, 통합성, 단일성, 연속성, 조화, 적응성, 상호연관성, 맥락성, 동적균형, 상호보완성, 다양성, 대체성

생태계 작용 원리 순환성 상호보완성, 상호의존성, 유기성, 경제성, 상호연관, 피드백, 기능성, 조직성, 동적균형, 지속성 자연의 역동적

균형 항상성 안정성, 효율성, 창조성, 동적균형, 최적화, 보존성, 치유성, 공존/공생, 조직성, 진화성, 유기성, 가변성, 유동성

<표 2> 생태 개념에 따른 디자인 특성과 요소

3. 생태 개념의 건축적 표현 특성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생태 개념은 크게 자연 질서의 보존을 위한 통합적인 시스템으로서의 전체성과 상호 관계적 구조가 서로 순환을 이루는 생태계의 작용 원리를 설명하는 순환성, 그러한 관계 속에서 상호 보완과 자기 조절, 나아가 점진적 진화를 통해 최적화를 이루어 역동 적 균형을 유지하는 항상성으로 나눌 수 있다.

현대 건축은 공간의 구성, 형태, 기능면에서 다양한 표현 기법과 특성을 담고 있다. 이러한 건축의 표현 기법과 특성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유형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넓은 범위 에서 시대적 경향으로 볼 수 있는 생태 개념의 디자인적 특성과 각 요소는 건축적 표현 기법과 특성으로 치환 가능하다.

자연 질서의 보존을 담고 있는 전체성은 자연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내적 통합과 다양성의 조

화, 상호 침투, 흡수, 연계, 연속 등은 건축의 구조와 형태적 디자인으로 표현 할 수 있고, 생태

계 작용 원리인 순환성은 생태계 내의 물질과 에너지의 순환을 건축의 기능적 순환으로 전환하

여 공기, 물, 에너지 등의 자원 설비 시스템 디자인과 공간에서의 이용자 동선, 공간 프로그램

의 순환성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자연의 역동적 균형을 의미하는 항상성 역시 설비 디자인적

측면에서의 자원의 재활용이나 재생산과 같은 순환적 시스템과 같은 기능적 표현과 건축 공간

과 이용자 간의 상호 작용을 구조적, 형태적 특성으로 표현할 수 있다.

(7)

3.1. 전체성의 건축적 표현 특성

자연 생태의 개념의 디자인 특성으로서의 전체성은 공간 구성 요소간의 상호관계성, 통합성, 조화, 다양성을 구조와 형태의 건축적 측면에서 ‘일체/조화/동화’로, 단일성과 연속성은 ‘경계/

확산/연계’으로 표현할 수 있고, 상호 보완성, 연관성, 대체성은 공간과 공간의 ‘침투/상호 관입 /병치’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적 문화적 맥락은 ‘은유/상징’로, 동적 균형, 다양성, 적응성 은 ‘가변/확장/완충’으로 건축적 구조와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전체성의 세부 요소의 의미를 통해 분류한 건축적 표현 특성을 실제로 보여주는 건축 계획의 예로 ‘일체/조화/동화’의 표현 특성의 경우 자연의 속성을 건물에 담거나 형태적으로 자연의 유기체적 구조를 반영하여 자연과 일체화하고 맥락적 관점에서 지형과의 연계와 주변 컨텍스 트와 조형적 조화를 이루며 자연을 구성하고 있는 유기체들의 상호 관계성과 조화를 공간 구성 요소들에 치환하여 반영하는 것이다. ‘경계/확산/연계’의 표현 특성은 건축 외부와 내부, 또는 내부에서의 공간과 공간 간의 상관적 구성을 통해 구현 할 수 있고, ‘침투/상호 관입/병치’는 건물의 외피나 내부에 식재를 적용하여 주변 공원이나 생태 환경을 침투시거나 건물의 내부와 외부 공간, 전이 공간을 활용하여 공간을 관입시키거나 병치 시켜 주변 환경과 연계를 이루는 건축을 보여 줄 수 있다. ‘은유/상징’은 지역의 자연 환경의 상징적 모티브를 형상적 상징이나 개념적 상징으로 건축에 담아 표현 할 수 있고 ‘가변/확장/완충’은 아트리움과 공중 정원과 같은 열린 공간을 두어 열적 완충 공간으로서의 역할과 반외부적 공간을 형성하여 가변적 커뮤 니티 공간을 제공하고 주변 환경과 연계가 가능하게 하는 확장성을 구현할 수 있다.

3.2. 순환성의 건축적 표현 특성

순환성의 생태 개념 디자인 요소인 유기성, 경제성, 기능성은 ‘순환 공간/순환 동선’으로 건축 의 구조와 형태적 측면으로 표현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호 보완, 피드백, 동적 균형, 지속 성, 조직성은 건축의 구조와 형태적으로 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자연 채광/환기’와 ‘물/공 기 순환’, ‘재료/에너지의 보존’, ‘이중 외피/완충’으로 표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설비 기술의 다자인 계획으로 생태 개념을 기능적으로 표현 할 수 있다.

순환성의 세부 요소의 의미를 통해 분류한 건축적 표현 특성의 예로 ‘순환 공간/순환 동선’

특성과 ‘물/공기 순환’은 생태 환경의 순환적 개념을 공간과 동선 구성에 반영하여 구현이 가능 하고 우수와 중수 등 건물의 배출수를 관리 배출하여 다양한 부분에 재활용함으로서 궁극적으 로 순환의 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 ‘이중 외피/완충’은 실내 공간에 녹지와 수목을 이용한 정원 공간을 통해 열 환경과 심리적 환경의 완충 공간의 역할을 하고, 이중 외피 시스템은 열 손실을 줄여 단열과 태양 빛을 내부로 유입시켜 실내 온도 조절과 채광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외부의 소음 차단과 투명성을 통한 조망 확보로 외부 환경과의 연계성이 높아지고, 온실 효과를 통해 실내 공기의 순환과 자연 환기를 유도하여 자연스럽게 에너지 보존으로 연결시킨 다. 차단막과 에어돔 설비와 같은 기술적 시스템은 센서를 이용해 ’자연 채광/환기’를 용이하 게 하고, ‘재료/에너지의 보존’은 자연의 재료와 에너지를 활용하고 획득된 재료와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여 재사용을 위한 관리와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설비를 통해 생태 개념 을 건축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비의 기술적 구현은 기능과 기술면에서 생태학적 구조를 보여주며 이러한 복합적 구조는 생태 구조의 복합적 시스템과 유사한 면을 보여주며 생태 개념을 특성을 그 자체로 내포한다고 볼 수 있다.

3.3. 항상성의 건축적 표현 특성

항상성의 생태 개념 디자인 요소인 안전성, 동적 균형, 최적화, 보존, 공존/공생은 건축의 기능 적 표현 특성으로 ‘재활용/재생산’, ‘물/공기의 순환, ‘에너지 균형’으로 조직성, 치유, 진화, 유 기성, 가변성, 유동성은 구조와 형태의 건축적 측면에서 ‘은유/상징/연계’와 가변/확장‘으로 표 현 할 수 있다.

항상성의 세부 요소의 의미를 통해 분류한 건축적 표현 특성은 생태계의 순환적 구조를 바탕으

(8)

로 주로 기능적 측면에서 기술을 활용한 표현으로 구현할 수 있다. ‘재활용/재생산’은 우수 및 중수의 재활용 시스템과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전기 에너지 재생산 시스템을 통해 구현 가능하고 ‘물/공기의 순환은 순환성 개념에서 언급했듯이 건물 내부에서 관리 시스템을 통해 계획 실행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축물이 위치한 대지의 지형과 배치 계획으로도 자연스러운 순환 구조를 갖추어 형태 구조적으로 항상성 개념을 구현 할 수 있다. ‘에너지 균형’ 역시 순환 을 통한 수요와 공급의 상호 보완과 지속적인 피드백 구조를 통해 역동적 균형과 지속을 가능 하게 한다 할 수 있다. ‘은유/상징/연계’는 문화 상징적 가치 측면에서 사회적 현상이나 이슈를 건축에 반영하여 건축이 위치한 지역과 사회 문화적 연계를 통해 상호 보완 및 상승 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이는 사회 문화적 가치의 항상성을 건축의 표현을 이룰 수 있다. ‘가변/확장‘은 유기체적 생태구조를 구조와 형태적 측면으로 반영하여 공간의 가변성과 확장성을 구현한다.

항상성 개념은 이와 같이 자기 조절과 갱신을 반복적으로 거치며 역동적 균형 상태를 유지하여 최적화된 적합성을 통한 지속과 진화의 특징 갖는다.

이와 같은 선행 연구를 토대로 생태 개념에 따른 디자인 특성과 요소를 정리하면 다음 <표 3>과 같다.

<표 3> 생태 개념에 따른 건축적 표현 특성11)

4. 종합 분석

4.1. 분석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건축물 중 국내 친환경 건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최근 10 년 이내 유사한 시기에 친환경 건축을 표방 하며 건축되어진 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하 였고, 이에 해당하는 건축 작품으로 2012년 신축된 서울시청사와 2013년 건축된 동대 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시립 북서울 미술관

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3장에서 전체성, 순환성, 항상성의 3가지 생태 개념 디자 인 특성과 세부 요소를 통해 추출한 건축적 표현 특성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11) 이윤희, 생태중심사고에 의한 현대건축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논문, 2006, p.183. 참조.

No. 작품명 위치 연도

1 서울시청사 서울시 중구 2012

2 동대문 디자인 프라자 서울시 동대문구 2013 3 서울시립 북서울 미술관 서울시 노원구 2013

<표 4> 사례분석 대상

(9)

4.2. 사례분석 4.2.1. 서울 시청사

4.2.2.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사례 1. 서울시청사

개요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연도 2012

건축 이미

생태 개념의 건축적 표현 특성 분석 내용

표현 특성

전체성

주변에 위치한 인황산과 덕수궁, 기존 청사와 서울광장과의 연계성을 통 해 하나의 장소적 개념을 구성하기 위해 낮은 수평적 형태로 건축. 서울 광장의 연장선상에 있는 실내 광장이자 수직 광장을 통해 열린 공간이라 는 상징성을 부여. 역동적 형태의 건물 전변에 투명한 아트리움을 수직적 으로 세워 공용공간을 맨 위까지 끌어올려 유연하게 용도를 변경해 쓸 수 있는 가변적 공간을 확보. 옥상 공원, 유리 돔으로 투명성이 확보된 실내 와 하늘광장과 전면부에는 넓은 ‘에코 플라자’를 배치하여 완충공간을 형 성하고, 다목적 홀을 맨 위층에 배치해 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가능.

투명한 이중 외피인 Breathing Curtain Wall 시공으로 자연환기와 채광, 냉난방 효율을 높임.

일체/조화/동화 ◑

경계/확산 ◯

침투/상호관입/병치 ◑ 은유/상징/연계 ◑ 겹 공간/중첩 ●

순환성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 도입으로 지붕에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설비인 BIPV 시스템을 채용하였으며, 자연광이 최대한 실내로 유입되도록 여러 가지 형태의 자연채광장치를 설치. 우수, 중수 열 및 지열을 냉난방, 급탕 에 활용. 전기요금이 싼 심야시간에 열을 비축하여 낮 시간에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빙축열설비,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 이용하는 소형 열병합 발 전설비 등 다양한 시스템을 설치하고 100% 고효율 LED 조명 설치. 외부 벽체의 Breathing Curtain Wall 과 공기의 대류를 이용해 건물 내외를 관 통하는 자연 환기시스템과 자연 채광을 효율적으로 활용, 기존 본관과의 연결 브릿지 설치로 동선을 이용한 순환 공간으로 재구성.

순환 공간/동선 ● 자연 채광/환기 ● 물/공기 순환 ● 에너지 수급 조절 ● 이중 외피/완충 ●

항상성

에스컬레이터에 상징성 있는 대규모 조형 작품을 설치. 14종 식물을 포함 한 친환경 벽면 녹화 그린월 설치로 쾌적한 실내 환경 유지, 수직 정원은 실내 오염물질 정화, 미세먼지 흡착. 온습도 조절에 도움 에너지 절감, 심 리적 안정, 정서 순화에 기여. 자체적인 태양열, 태양광, 지열 에너지 설비 는 대체에너지의 활용과 생산과 Curtain Wall 과 공기의 대류를 이용해 건물 내외를 관통하는 자연 환기시스템, 우수 중수 처리 시설로 건물 내 부의 순환적 물 관리로 자원과 에너지의 역동적이면서도 효율적 균형 실 현. 건물 전체 면적의 40% 시민 공간 활용으로 시민에게 가변적 열린 공 간을 제공하여 지역 사회와 연계성을 도모.

은유/상징/연계 ◑

가변/확장 ◑

재활용/재생산 ●

물/공기 순환 ●

에너지 균형 ●

<표 5> 공공 건축에 나타나는 생태 개념의 건축적 표현 특성 분석 _ 서울시청사(○=0, ◑=1, ●=2)

사례 2.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개요 소재지 서울 중구 을지로 281 연도 2013

건축 이미

<표 6> 공공 건축에 나타나는 생태 개념의 건축적 표현 특성 분석 _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0, ◑=1, ●=2)

(10)

4.2.3. 서울시립 북서울 미술관

생태 개념의 건축적 표현 특성 분석 내용

표현 특성

전체성

건물과 주변의 녹지를 연결하여 산과 같은 형태를 이루며 내부 공간 역시 공간의 제약이 없는 자유와 우연성을 주는 산의 특징을 반영한 동선 특성 을 보여줌. 쉴 새 없이 변화하는 동대문의 역동성과 지역이 지니고 있는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의미를 담고자 내·외부 공간, 위층과 아래 층, 건물과 공원의 경계를 지워 수많은 공간이 유기적으로 만나고 이어져 공간과 공간 사이 명확한 구분이 없음. 메가 트러스(Mega-Truss)를 사 용하여 내부에는 기둥이 없는 대형 공간들을 배치하고, 공간의 관입과 침 투로 구조와 형태가 정형화 되거나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비정 형이 강하게 표현됨. 건물의 내·외부를 관통하며 연결하는 긴 교각과 지면 에서 떠 있는 디자인으로 부유하는 형태의 상징적 외관을 보여줌.

일체/조화/동화 ●

경계/확산 ●

침투/상호관입/병치 ●

은유/상징/연계 ●

겹 공간/중첩 ●

순환성

공간의 관입과 침투로 내·외부가 유연하게 연결되는 동선과 내부 공용 공 간의 기능을 결정하지 않고 전체가 소통될 수 있는 개방감을 표현. 공간 의 프로그램이 특정되지 않은 내부 공간의 개방성을 확보. 옥상 녹화는 열섬현상을 완화하고 오염된 대기 정화에 기여라고 여름철에는 냉방효과, 겨울철에는 단열효과를 발휘해 건물에 쓰이는 에너지를 절감. 지열과 태 양광 발전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시설을 이용. 빗물 활용시설을 통해 빗 물을 다양한 용도를 이용. 빗물을 모아 조경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는 중 수 설비를 갖추어 물과 공기의 순환을 통한 수급 조절.

순환 공간/동선 ● 자연 채광/환기 ◯ 물/공기 순환 ● 에너지 수급 조절 ● 이중 외피/완충 ◑

항상성

벽이나 계단을 조명 일부로 사용대형 상업지구의 공유와 공생 관계와 협 력과 대립의 조화 원리를 속도감 있는 순환성을 갖는 비정형의 형태 반영.

건물 위에 옥상녹화로 녹지를 조성하여 우수를 관리하여 열섬효과 억제.

패널의 색상, 형태, 타공을 다르게 적용하여 실내의 빛이 타공 사이로 새 어 나와 빛의 세기, 위치에 따라 패턴을 형성. 지역의 창의적 원동력과 다 양성 반영. 타공판으로 마감된 표피에서 발산되는 빛을 통해 투명성과 유 기적인 곡선의 형태로 역동성을 보여줌. 다양한 선과 면의 중첩과 넓은 공간 내부에서 교차되는 산발적인 동선을 통해 다면적 구성을 보여주고 가변성과 확장성 확보. 지열과 태양광 발전을 통해 에너지 관리와 균형을 도모.

은유/상징/연계 ●

가변/확장 ●

재활용/재생산 ◑

물/공기 순환 ◑

에너지 균형 ◯

사례 3. 서울시립 북서울 미술관

개요 소재지 서울 노원구 동일로 1238 연도 2013

건축 이미

생태 개념의 건축적 표현 특성 분석 내용

표현 특성

전체성

옥상, 벽면 등 언덕 활용 친환경 녹지 동간 조성하여 건물 50%가 언덕 형태로 설계, 지상으로 건축물의 노출 최소화. 미술관 내부로 자연을 끌어 들여 주변 경관과 연결성 강조. 정문, 옥상, 지하에 각각의 5개의 입구는 주변 주택과 이어져 주변과 통하여 일체감을 보여줌. 구릉, 실내 공간을 풍부하게 해주는 천창, 인테리어, 문손잡이 디자인까지 산을 모티브로 한 외부 형태 개념을 일관되게 적용. 아파트 너머의 도봉산, 수락산, 북한산 의 이미지를 찾아줌으로써 문화적 생명력을 상징. 절제된 디자인으로 동 산에 묻혀있는 듯 자연스럽게 주변과 어울리며 이어지도록 설계. 외부에 서 유입되는 동선에 도트무늬 타공을 벽면 구성 통해 외부와 내부의 연결 감을 표현.

일체/조화/동화 ●

경계/확산 ●

침투/상호관입/병치 ●

은유/상징/연계 ●

겹 공간/중첩 ◑

순환성

관람객들이 공원을 통해 쉽게 미술관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기존 조각 공 원의 다양한 동선의 산책로를 동산위로 연결함으로써 미술관과 공원, 사 람, 자연, 예술을 순환하며 이어주는 문화소통 공간으로 조성 됨. 건물 언 덕 하부공간과 외기와의 온도차를 이용한 건물 냉·난방 시설인 쿨튜브 시 스템 적용, 지열 및 태양광설비를 적용하는 친환경적 설계로 에너지 사용 및 손실을 최대한 줄이는 에너지 절약. 기하학적으로 조성된 천장은 빛을 끌고 당기는 역할을 해 편안한 자연광을 느낄 수 있고, 공간 내부에 빛이

순환 공간/동선 ● 자연 채광/환기 ● 물/공기 순환 ● 에너지 수급 조절 ●

<표 7> 공공 건축에 나타나는 생태 개념의 건축적 표현 특성 분석 _ 서울시립 북서울 미술관(○=0, ◑=1, ●=2)

(11)

4.3. 소결

친환경 건축을 표방한 서울시 공공 건축을 사례로 자연의 생태 개념인 전체성, 순환성, 항상성 의 세부 요소별 건축적 표현 특성을 분석한 내용은 <표 8>과 같다. <표 8>의 내용을 분석 정리한 결과를 <표 9>로 구성 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립 북서울 미술관은 세 가지 생태 개념 을 담은 건축적 표현 특성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서울시청사는 표현특성이 순환성, 전체성, 항상성의 순으로 분포를 나타냈고, 동대문디자인 플라자의 경우는 전체성 순환성, 항상성 순으 로 표현 특성이 분포를 나타냈다. 공공 건축의 사례의 전체적 경향으로는 순환성이 세 가지 생태 개념 특성 중 높게 나타났고, 전체성과 항상성은 같은 경향으로 분포됨을 나타냈다.

5. 결론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건축물 중 국내 친환경 건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최근 10년 이내 유사한 시기에 친환경 건축을 표방하며 건축되어진 공공건 축물을 대상으로 3장에서 진행한 선행 연구를 통해 자연의 주요 생태 개념인 전체성, 순환성, 항상성의 세부적 디자인 특성을 분류 및 정리하였다, 이를 통 해 세부 디자인 요소들이 나타낼 수 있는 건축 적 표 현 특성을 추출하였고, 추출한 생태 개념의 건축적 표현 특성이 분석 대상인 공공 건축 사례에 어느 정 도의 수준으로 표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청사의 경우 순환성 개념이 가장 높게 나타났 고, 항상성과 전체성 순으로 결과를 보였다.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는 전체성 개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순환성과 항상성의 순서로 결과를 보여주었다, 마지 막으로 서울시립 북서울 미술관은 항상성 개념이

들어오도록 폴딩 느낌의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 내부에서도 다이나믹함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 이중 외피/완충 ◑

항상성

갈대언덕’의 의미인 노원(盧原)에서 착안해 낮에는 햇빛을 안으로 끌어들 이고 밤에는 미술관의 내부 조명의 빛이 밖으로 발산되어 조명과 녹지가 조화를 이루며 순환하고, 관람객의 연령이나 방문 목적에 맞는 다양한 공간 프로그램을 층별로 몰입도 있게 구성함. 건축의 외형은 주변의 중첩 된 산의 이미지를 상징함. 지열, 태양광, 쿨튜브 시스템을 통한 공간 내부 의 공시의 순환과 건물 외피의 녹화로 열섬효과 억제와 순환적 물 관리.

친환경 대체 에너지 설비를 이용한 에너지 수급. 소외된 서울시 북동부에 위치한 미술관으로 지역 문화 활성화를 위한 장으로 다양한 커뮤니티 공 간을 통해 지역과 소통하며 상생. 화이트 색상과 통유리를 활용하여 외부 경관과 연계성 추구.

은유/상징/연계 ●

가변/확장 ●

재활용/재생산 ●

물/공기 순환 ●

에너지 균형 ●

생태개념 전체성 순환성 항상성

표현

합계 특성 작품명

일체 /조화/

동화 경계 /확산

침투 /상호 관입 /병치

은유 /상징/

연계 겹공간

/중첩 합계 순환 공간 /동선

자연 채광 /환기

물/

공기 순환

에너지 수급 조절

이중 외피

/완충

합계

은유 /상징 /연계

가변 /확장

재활용 /재생 산

물/

공기 순환

에너지 균형 합계

서울시청사

◑ ◯ ◑ ◑ ● 5 ● ● ● ● ● 10 ◑ ◑ ● ● ● 8

23/30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 ● ● ● ● 10 ● ◯ ● ● ◑ 7 ● ● ◑ ◑ ◯ 6

23/30

시립 미술관 북서울

● ● ● ● ◑ 9 ● ● ● ● ◑ 9 ● ● ● ● ● 10

28/30

합계

전체성 표현 경향

24/30

순환성 표현 경향

26/30

항상성 표현 경향

24/30 74/90

<표 8> 생태 개념에 따른 건축적 표현 특성 분석(○=0, ◑=1, ●=2)

0 2 4 6 8 10 12

전체성 순환성 항상성

서울시청사 동대문디자인프라자 북서울시립미술관

<그림 5> 표현 특성 분석 결과

(12)

가장 높았지만 전체성과 순환성도 유사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나 고른 분포를 보였다. 사례 전체의 경향성을 살펴보면 순환성 개념의 표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체성과 항상성 개념의 표현은 같은 수준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전반적으로 세 가지 사례 모두 자연 생태 개념의 전체 성, 순환성, 항상성의 표현 특성을 종합적으로 높게 보여주고 있어 최근 공공건축의 친환경 경향이 생태 개념을 충실히 담아 계획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사례 별로 세부 표현을 살펴보면 서울 시청사의 경우는 주변 환경과의 ‘일체/조화/동화적’ 표현과 공간과 공간 간의

‘경계/확산/연계’와 ‘침투/상호 관입/병치’의 표현이 약하게 나타나 지역과 문화의 맥락적 요소 가 부족함을 보였지만 계획 단계부터 순환성과 항상성을 고려한 에너지 자원 계획과 물과 공기 등의 설비, 이중 외피와 다양한 완충 공간의 구성은 생태 개념을 구조와 설비 시스템에 적극적 으로 반영하여 자연 친화적 공공 건축으로 평가 할 수 있다.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는 서울시청 사와 반대로 지역과 문화의 맥락성을 건축의 기본 개념으로 설정하고 계획되어져 전체성 부분 에서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여주었고, 특유의 비정형, 비대칭의 유기적 구조로 구조적 순환성의 표현은 뛰어났으나 기능적 설비 부분의 에너지나 자원의 순환성 개념은 다소 부족하 게 나타났다. 항상성은 순환성을 기본으로 구축되는 개념으로 순환성의 부족과 함께 항상성도 에너지와 자원의 측면에서 낮게 나타났다. 서울 시립 북서울 미술관은 지역 문화와 지형을 건축 안으로 그대로 끌어드려 생태 개념의 일체와 연계, 맥락적 상징, 은유 뿐 아니라 구조와 설비 등 모든 면에서 순환성과 항상성 개념의 표현까지 뛰어나게 만족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 다. 서울시립 북서울 미술관은 자연과 건축, 인간이 합일을 이루고 함께 순환하고 공존, 공생하 는 친환경 공공 건축의 우수한 사례로 평가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그러한 생태 개념의 복잡함 과 방대함에도 불구하고 공공 건축이 당연히 담아야 할 친환경 또는 생태 개념의 중요성을 실감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연생태 개념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층위의 구조로 각각의 개별적 요소를 추출하고 단순화하여 규정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지만 지구 환경과 인간이 건강 하게 공존하기 위해 앞으로도 생태 개념의 더욱 깊이 있는 고찰을 통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강신우, 「안산시 공공건축물의 친환경 건축기법 적용사례」,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김기환, 「현대 건축에서 공공영역 구축방식과 도시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5권, 1호, 2005.

김왕식, 「지역문화시설의 공공성을 반영하기 위한 건축계획요소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김은희, 「생태학적 접근에 따른 건축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서수미, 「공공건축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공간디자인 접근 방법 연구」,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윤주미, 「생태적 건축 개념을 적용한 오피스빌딩 계획」,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이봉, 친환경건축 구현을 위한 패시브디자인 요소기술의 통합설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이윤희, 「생태중심사고에 의한 현대건축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장미경, 「페미니스트 근대론자들」, 경제와 사회, 통권 제43호, 가을호, 1999.

http://blog.hwenc.co.kr/182

http://m.cnews.co.kr/mobile/read.jsp?idxno=201510011502481540413&where=featured https://placetech.net/ko/analysis/worlds-smartest-buildings-pearl-river-tower-guangzhou/

http://www.breaknews.com/sub_read.html?uid=625671 http://www.seoultimes.net/news/articleView.html?idxno=20267 http://www.conslov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581

http://www.dn1.kr/product/bbs_v.html?BBS_CID1=11&BBS_NUM=1&num=150&BBS_CID2=14 http://www.ddp.or.kr/board/1228/post?pageNumber=10&pageSize=6&menuId=1267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604423.html

http://blog.hwenc.co.kr/9

참조

관련 문서

It considers the energy use of the different components that are involved in the distribution and viewing of video content: data centres and content delivery networks

After first field tests, we expect electric passenger drones or eVTOL aircraft (short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to start providing commercial mobility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The design method for the optimization of FRP leaf spring is proposed by applying design method of experiment in order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In this architectural design field, the space with new concept and organic space come into sight, escaping from the space concept in the geometric and

The proposal of the cell theory as the birth of contemporary cell biology Microscopic studies of plant tissues by Schleiden and of animal tissues by Microscopic studies of

웹 표준을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큰 수정없이 실행 가능함 패키징을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위한 앱을 작성할 수 있음 네이티브 앱과

_____ culture appears to be attractive (도시의) to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