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심장장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심장장애"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심장장애 대상자 간호

Ⅰ. 심장의 구조와 기능

1. 심장의 구조

- 심장 크기 : 12cm 무게: 300g

- 심내막(endocardium), 심근, 심외막 등 3층벽으로 구성 . 심내막: 심장의 내측을 구성하는 상피세포의 얇은 막

. 심근(myocardium): 심장의 중간층으로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 횡문근 좌심실벽>우심실벽 . 심외막(epicardium): 심장의 외측을 싸고 있는 얇고 투명한 장막으로 심낭의 내측막인 장측심막과

연속되어 있다.

- 심낭(pericardium): 심장 전체를 싸고 있는 큰 주머니로서 두개의 얇은 막으로 구성 . 장측심막(visceral pericardium)과 벽측심막(parietal pericardium)

. 심낭강은 10-20ml 정도의 소량의 심낭액(pericardial fluid) - 방실판막(삼첨판막, 승모판막), 반월판(대동맥판막, 폐동맥판막)

- 폐순환(소순환): 우심방  우심실  좌우 폐  좌심방. 전신 순환혈량의 1/5 차지 - 체순환(대순환): 좌심방  좌심실  전신 동맥계 박출  우심방 4/5 차지 - 우심실의 수축기 혈압; 25-30mmHg, 좌심실의 수축기 혈압 125-130mmHg

2. 관상 순환

- 심장 자체의 혈액공급은 관상동맥의 혈액순환으로 이루어진다.

- 관상동맥은 대동맥판의 윗부분에서 좌우 2개의 관상동맥이 시작되며, 우관상동맥은 우측심장을, 좌관상동맥은 좌전하행가지(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와 좌회선동맥(left circumflex artery) 으로 나뉘어져 좌심장을 둘러싼다.

- 관상순환은 심실수축이 끝난 후 대동맥의 반월판이 닫히면서 생기는 이완기압에 의하여 좌우 관 상동맥에 혈액이 공급되는 것을 말한다.

3. 심장의 전기생리학적 특성

- 자동성(automaticity): 심장박동을 자발적으로 시작하게 하는 심장의 능력(율동성,rhythmicity이라 고도 함), 동방결절이 일차적 심박조절자(pacemaker)

- 흥분성(excitability): 심장이 어떤 자극에 반응하는 성질

- 전도성(conductivity): 세포막을 따라 전기적 충격을 전파시키는 심근세포의 능력 - 수축성(contractility): 자극에 대해 수축하는 반응.

- 불응성(refractoriness): 심근이 수축에 이어 회복할 수 있는, 자극에 반응하지 않는 성질 - 신장성(extensibility): 심장의 수축에 이어 확장되는 능력

4. 심장근육의 전기적 활동

- 탈분극(depolarization): 심근에 자극을 주면 세포막에 나트륨에 대한 투과성이 증가하여 나트륨이

(2)

빠르게 세포안으로 유입하고 포타슘이 세포밖으로 이동하여 전류 발생, 탈분극 동안 칼슘도 세포 내로 유입되어 심장의 수축을 유발시킴

- 재분극(repolarization): 탈분극된 세포가 안정막 전위로 되돌아가는 과정으로 소듐 투과성은 급격히 떨어지고 포타슘 투과성이 증가하여 세포는 능동적으로 소듐을 퍼내고 칼륨을 안으로 유입

5. 심장의 전도체계: 심장의 전도체계는 심근을 흥분시키는 전기적 자극을 발생 1) 동방결절(SA node): 우심방의 상부에 위치, 크기는 5 X 20mm 정도의 결절 . 생리적인 심박조절자(pacemaker): 주기적으로 전기적 자극을 발생.

. 전기적 자극형성 속도는 분당 60-100회

2) 방실결절(AV node): 좌우 심방 중격의 하부와 관상정맥동 앞의 우심방 심내막 하에 위치.

. 크기는 2 X 5mm,

. 동방결절이 정상적인 심박조절자로서 기능을 하지 못하면 방실연접부(AV junction)에서 40-60회/

분의 흥분이 발생되어 심박동을 유지 3) His bundle-퍼킨제 섬유

. 방실 속(A-V bundle)이라 하며 심실중격 상부의 약간 우측의 심내막하에 위치. 길이: 15-20mm  퍼킨제 섬유(purkinje fiber)

6. 심장 주기

- 수축기, 이완기, 짧은 휴식기

- 안정상태에서 심장의 1주기가 지나는데 약 0.8초

7. 심음(heart sound): 심음은 심장의 수축과 판막의 폐쇄 및 혈류로 인하여 발생되는 진동음

- 제 1심음(S1): 심실 수축기 초에 승모판(mitral valve)과 삼첨판(tricuspid valve)의 폐쇄로 혈액이 판막벽에 부딪히는 소리로 길고 둔한 저음이다.

- 제 2심음(S2): 심실확장 직후에 대동맥판과 폐동맥판이 닫힘으로써(semilunar valve closure) 일어 나는 진동음으로 짧고 고음이다.

- 제 3심음(S3): 제 2 심음 후 0.12초-0.16초 사이의 심장 이완기 초에 일어나는 심실의 충만음이다.

비정상음으로 심실벽의 진동시에 들린다. ex) 갑상선기능항진증이나 빈혈로 좌심실의 박동량이 많을 때, 승모판이나 삼첨판의 역류, 폐성심, CHF

- 제 4심음(S4): Active filling phase에서 들리는 소리(비정상적), 심실 이완기 말에 심방의 수축기에 심실저항이 있을 때 소리가 생김, 선천성 심장질환대상자에게 청취되는 음으로 제 3, 제 4심음은 말발굽 소리와 같은 분마성 리듬(gallop rhythm)이다. Ex) MI

8. 심박출량과 심장지수

- 심박출량(cardiac output) = 박동량(stroke volume) X 심박동수(heart rate)

- 심장지수(cardiac index : CI): 심박출량을 체표면적(m2)으로 나눈 량이며 이것은 신체조직으로의 혈액공급량을 제시한다. 휴식상태에서 성인 심장지수의 정상치는 2.7~3.2L/min/m2

- 박동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

(3)

. 전부하(preload, volume load): 이완기말 즉 심실수축 전에 심근의 팽창정도

. 후부하(afterload, pressure load): 수축기동안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혈액을 내보내기 위해 생성 해야 하는 긴장(tension)의 정도

. 심근수축력(contractility): 심장수축의 힘으로 근육수축력(inotropic) - 심박출량은 주로 정맥환류량, 심박동수, 심수축력에 영향 받음

- 박동량은 맥압으로 추정, 맥압이 낮으면 박동량이 감소, 맥압이 높으면 순환혈량에 의한 심장의 과부담을 의미.

9. 혈압: 혈압은 혈액이 혈관벽에 미치는 압력 1) 동맥압

- 수축기압: 심장의 수축기에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혈액을 분출해 낼 때의 최고 압력(100- 140mmHg)

- 이완기압: 심장 이완기의 최저압력(60-90mmHg)

- 맥압(pulse pressure): 수축기압과 이완기압의 차이(40mmHg), 심장의 수축력을 의미

- 평균혈압(mean arterial pressure, MAP): 전신의 혈관이 평균적으로 받는 압력. 맥압의 1/3에 이 완기압을 합한 것

2) 모세관압: 혈류의 저항이 모세혈관에 미치는 압력(동맥말단: 22-23mmHg, 정맥말단: 12mmHg) - 물질의 여과작용에 중요: 모세관압이 증가하면 여과작용이 증가하여 부종 유발시키고, 모세관압

이 감소되면 여과작용이 감소하여 순환혈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압 상승 3) 정맥압: 성인의 정상 정맥압: 12mmHg, 대정맥압: 0에 가깝다.

10. 순환계의 조절 1) 신경성 조절

- 교감신경 섬유: 촉진 신경섬유로 심박동수와 심장의 수축력을 강화

- 부교감신경 섬유: 동방결절과 방실결절에 있는 미주신경 말단을 자극하여 acetylcholine을 분비하 고 이것은 심박동수의 감소로 불응기가 길어져 심근의 휴식기를 연장시킨다.

 위의 두 신경은 연수에 있는 심장조절중추의 지배를 받는다.

- 압수용기(pressoreceptors or baroreceptors): 심장의 반사기전을 일으키는 세포로 동맥압수용기와 정맥압 수용기가 있다.

. 동맥압 수용기: 대동맥궁(aortic arch)과 경동맥동(carotid sinus)의 벽에 위치한 소체로 동맥혈관 내에서 압력변화에 대응하는 능력

. 정맥압 수용기(신전수용기): 우심방과 상대정맥 끝에 있는 특수 신경세포

- 화학수용기(chemoreceptors): 대동맥소체(aortic body)과 경동맥소체(carotid body)에 있으며 혈액내 산소, 탄산가스의 변동에 매우 민감한 세포

- 고위 뇌중추: 감정을 조절하는 중추로 대뇌피질과 시상하부가 있으며 이들 중추가 심장조절중추 에 전달되어 심장에 작용

2) 신장성 조절

- Na과 수분 축적과 배설작용, rennin-angiotensin-aldosterone activation, ADH

(4)

Ⅱ. 간호 사정

1. Subjective data

1) 주요 증상(심장질환에서 볼 수 있는 6가지 주 증상)

chest pain, dyspnea on exertion(DOE), fatigue, palpitation, fainting, edema ① chest pain

- 특성, 위치, 기간, 강도, 유발인자, 관련된 증상, 경감요인 등 사정 ② dyspnea, SOB

- labored breathing

- exertional dyspnea(dyspnea on exertion, DOE); 운동시 생기고 휴식시 없어짐

- orthopnea(기좌호흡); 누우면 호흡곤란이 생기고 앉거나 semifowler’s p. 시 좋아진다.

- paroxysmal nocturnal dyspnea(PND;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 ③ 피로(fatigue)

④ 심계항진(palpitation); 심장박동이 빠르거나 건너뛰거나 불규칙하거나, 세게 고동치는 감각 ⑤ 실신(syncope or fainting); 일시적인 의식상실로 뇌에 공급되는 혈액이 감소될 때 나타난다.

- cardiac arrhythmia에서 흔히 나타남(heart block 등)  심장의 CO 감소에 의함

⑥ 심장성 부종: 부종은 세포와 세포 사이에 존재하는 조직액이 증가하여 피하조직과 체내의 여러 공간에 다량의 액체가 축적되는 상태

- 전신부종(anasarca)

- 심인성 부종: 하지에 주로 오며 요흔성부종(pitting edema): 그 부위를 누를 때 압점(pressure point)이 남는 것

⑦ 청색증(cyanosis): 혈액 내에 환원 헤모글로빈이 증가하여 피부와 점막이 푸르스름한 색을 띄게 되는 상태로 동맥혈 내의 환원혈색소의 평균 농도가 5g/100ml 이상일 때 발생

- 중심성 청색증: 전신동맥이 저산소혈증에 기인, 주로 선천성 심질환 환자에게 단락(shunt)이 있 을 때, 폐렴이나 폐수종, 만성폐색성 폐질환 시 발생. 말기에는 고상지두, 다혈구증 발생. 운동을 하면 더욱 심해지고 혀, 입안 점막, 눈의 결막 등 따뜻한 점막에 발생 - 말초성 청색증: 동맥혈의 산소포화도는 정상이나 말초혈관내의 산소포화가 낮은 상태, 말초맥관

질환자에게 발생. 주로 코, 뺨, 귀와 같은 인체의 찬 부분에서 청색증이 발견

⑧ 저산소혈증(hypoxemia): 순환혈액 내의 산소가 부족한 상태로, 빈혈에 의해 산소가 결핍되거나 산소의 운반능력이 없는 탄화혈색소(carboxy hemoglobin)가 증가함으로 발생

원인은 심장이나 폐질환이 원인, 보상기전으로 빈맥이며 청색증은 진전된 증상

⑨ 혈담(hemoptysis): 급성 폐수종시 pinkish frothy sputum

폐경색의 초기에는 선홍색의 혈담이나 후에는 검붉은 혈담

⑩ 심잡음(murmurs): 비정상적인 심음으로 판막성 심장질환 진단에 중요

2) 과거력

① 소아기 질환과 감염성 질환

- streptococcal disease와 rheumatic fever에 대한 과거병력 중요, Rheumatic fever의 경우, 후에 75%가 심장장애 발생  valvular heart disease

(5)

- congenital anomalies가 있는지.

② 중요 과거질병과 입원경력

- 특히 DM, COPD, kidney disease, anemia, hypertension, stroke, gout, collagen disease ③ 투약; 특히 항고혈압제, 이뇨제, 혈관확장제, 피임약, 스테로이드, 항응고제, 강심제 등

- antidepressant; arrhythmia 유발,

- oral contraceptives; thrombophlebitis 유발 - steroid; fluid retention 유발

④ 사회적 심리적 상황

- 스트레스 정도, personality 유형(Type A personality), 운동, 식이, 습관(흡연, 알코올)

⑤ 위험요인: HT, Hyperlipidemia, smoking, obesity, DM, alcohol, caffeine, 신체활동 부족 등

2. Objective data

1) blood pressure: orthostatic hypotension, pulse pressure, ankle brachial index(ABI) 2) pulse: 교대맥(pulsus alteranse), 이중맥(pulsus bisferiens)

3) 경정맥압(jugular vein pressure) : jugular vein은 우심방의 반영 jugular vein distension은 우심방 울혈을 반영

4) 심장의 시진과 촉진, 타진, 청진 . 정상 심음

. 비정상 심음: 역분열(paradoxical splitting): S2의 비정상적인 분열 분마성 리듬(gallops)

잡음(murmur, 혈액의 흐름이 방해받고 있을 때 심장을 통해 들리는 소리) 심낭마찰음(pericardial friction rub)

5) 폐: tachypnea, Cheyne-Stokes respiration, hemoptysis, crackle, wheeze

3. 진단적 검사(diagnostic exam)

1) 혈액검사와 소변검사: cardiac enzyme, cholesterol, homocysteine, CRP, CBC, ABGA, electrolyte, blood coagulation test

2) 방사선 검사

(1) chest X-ray: 심장의 크기, 형태, 위치 등을 알 수 있다.

(2) 심장 형광투시경 검사(cardiac fluoroscopy): 활동을 하고 있는 심장의 움직임을 형광투시를 통하 여 직접 보는 검사

(3) cardiac catheterization(심도자술)

- 심장이나 근처 혈관에 catheter를 넣어 심장의 구조, 판막, 순환계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검사 - 진단목적: 심장질환의 진단, 심장의 기능과 형태에 심질환이 미치는 영향

선천성 심장질환의 진단, 심장수술 전 정확한 심장 형태의 진단

심장의 각 방과 실, 대형 혈관들의 압력 측정, 각 chamber의 혈액 산소농도 측정 CO 측정, coronary artery를 잘 보기 위한 angiography의 목적

- 치료목적: 동맥관 개존증의 좌우단락수술, 승모판 협착증의 판막절개술, PTCA, 부정맥 수술 등

(6)

- 방법: 검사하기 전 NPO와 permission이 필요, 요오드에 대한 과민성 사정, dorsalis pulse 확인

① Rt heart cath: 왼쪽보다 쉽고, 위험도가 덜하다. Antecubital or femoral vein으로 catheter를 넣음. Rt atrium과 Rt ventricle까지 또는 pul. artery까지 계속 ECG check하면서 시도한다.

PVC(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이 있으면 cath를 잠깐 제거하거나 lidocaine 주사 ② Lt heart cath: 더 어렵고 위험. Cath 넣은 두가지 방법은 brachial artery(상완동맥)이나

Femoral artery를 통해 aorta로 갔다가 Lt ventricle로 가는 것과 Rt heart cath중에 atrial septum을 puncture하여 Lt atrium으로 가는 것이다

③ 심혈관촬영술(angiocardiogram): 말초혈관을 통해 심장내로 카테터를 삽입하고, 방사선 비투과 성 염료를 주입한 직후에 대상자의 심장, 폐, 대혈관을 통하여 순환하는 염료의 진행과정을 보 기 위하여 빠른 속도로 연속 X-선 촬영을 한다.

. 심장내로 카테터를 삽입하는 도중에 관상동맥으로 직접 염료를 주입시키면 관상동맥조영술 (coronary angiography)를 겸할 수 있다.

- 검사 후 간호: 12-14시간 안정, 말초맥박, 피부색, 감각 사정, 활력징후 측정

절개부위 부종, 출혈, 감염 사정, 모래주머니 적용, 오심과 구토 사정(조영제 알러지) - 합병증: 현재는 훨씬 안전하고 문제가 적은 검사로 puncture site에 관련된 합병증이 문제이다

① hematoma; anticoagulant 투여로 발생할 수 있다. Sand bag apply

② arrhythmia; 발생이 흔하다

③ anginal pain

④ iodine based dye에 allergy있는 경우

⑤ dehydration, myocardial & aortic perforation 3) 심전도를 이용한 검사

(1) 심전도(ECG): 심박동의 주기 중에 일어나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상태를 그래프 상에 나타낸 것 목적; arrhythmia 발견, MI 진단, Ventricular hypertrophy 진단

- myocardium의 탈분극과 재분극 상태의 전기 자극을 기록한 것이다. 이것은 신체표면에 부착한 전 극에 의해 감지되어 기록된다. 전기자극의 전도는 cell membrane의 permeability 변화에 의해 나 타남

- SA node 전기자극은 탈분극으로 양심방, 심실로 퍼져 심장의 수축(systole)을 일으킨다. 재분극때 는 심장근 세포는 휴식상태로 돌아온다.

. voltage: ECG 종이에 수직으로 나타남. 작은 한칸은 0.1mV voltage를 의미 . 시간: 수평거리로 나타남

큰 5칸=1초, 큰 한칸=0.2초, 작은 한칸=0.04초(1mm)

* 심전도의 유도극

- lead의 의미; 음극, 양극을 가진 electrode 한 쌍을 의미한다. 결국 어느 방향에서 바라보는가를 결정한다.

. 양극 유도(bipolar leads): 두 개의 active electrode간의 전위차. Electrode가 2개로 되어 있고, 두 limbs에 흐르는 전기적 potential의 차이를 측정

. 단극 유도(unipolar leads): 한 개의 active electrode와 reference lead와의 차이. limb에 위치한 positive electrode와 central terminal의 negative pole을 비교한다.

(7)

* the 12 lead ECG

- 12 points의 reference로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관찰함 - 6 limb leads(사지유도)와 6 precordial leads(흉부유도)가 있음

* 6 limb leads -표준 사지 유도

. Lead Ⅰ: 오른 팔과 왼쪽 팔의 전위차

. Lead Ⅱ: 왼쪽 다리와 오른쪽 팔의 전위차(한가지만 monitor할 때 보통 사용) . Lead Ⅲ: 왼쪽 다리와 왼쪽 팔의 전위차

-Augmented leads(unipolar leads)

. aVR(augmented Voltage Right arm); 심장의 중심과 오른쪽 팔의 전위차 . aVL(augmented Voltage Left arm); 심장의 중심과 왼쪽 팔의 전위차 . aVF(augmented Voltage Left Foot); 심장의 중심과 왼쪽 다리의 전위차 * 6 Precordial leads(흉부유도)

- V1, V2, V3, V4, V5, V6가 있음. Unipolar leads - 심장의 앞쪽, 옆쪽의 6개 측면에서 수평으로 본 것

- 이것 6개의 positive electrode와 central negative terminal 간의 전기적 차이를 비교한다.

(central negative terminal: LeadⅠ, Ⅱ, Ⅲ의 평균 potential)  이 12개의 leads를 봄으로써 심 장에 일어나는 전기적 작용을 매우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다. 각각의 lead는 myocardium의 다른 표면을 설명해 주기 때문이다.

* ECG 검사시 주의사항

- 움직이지 말고 똑바로 눕는다.

- 먼저 standard limb leads를 찍고, 다음에 precordial leads를 찍는다.

- 보통 5분 정도 소요됨.

* Basic EKG wave pattern

. P파; 심방수축기, 0.06-0.12초, 0.25mV이하

. PR interval: 심방과 심실의 흥분전도시간: 0.12-0.2초 . ORS 군: 심실수축기, 0.06-0.12초

. ST분절: 심실흥분극기, 0.12초, 기저선상 . T파: 심실흥분회복기, 0.10-0.25초 0.25mV이상 . QT간격: 전기적 심실수축시간: 0.3-0.45초

. U파: T파 후의 작은 파형, 원인은 잘 모름, K+감소 진단에 유용 * EKG graph의 관찰사항

- heart rate: 6초 reading(큰 칸 30칸), 또는 R과 R의 간격, R의 개수*10

- R wave rhythm 관찰: R과 R이 규칙적인가? 간격이 0.12초 이상 차이 나면 이상 - P wave; QRS 전에 모두 P가 있는가? Sinus rhythm인 것을 알 수 있다(SA에서 시작함) - P-R interval: 비정상 P-R interval은 심방에서 심실 전도 이상(정상은 0.12-0.2초) - QRS complex 관찰: QRS가 넓으면 심실 내 전도이상

(2) 휴대용 심전도, 이동식 심전도(ambulatory ECG, Holter monitoring)

(8)

- potable ECG 기계로서 1일 혹은 그 이상의 기간 동안 계속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보통 때 는 증상이 없다가 드물게 증상이 나타나는 arrhythmia가 있을 때 사용한다. 보통 때처럼 활동 하도록 하고 시간에 따른 활동변화를 기록해 둔다

(3) 운동부하검사(Exercise ECG, stress testing, Graded exercise test)

- 임상적으로 나타난 증상과 징후로 보아 심장질환이 의심되나 심전도가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대상자에게 심근허혈을 유발시키기 위해 운동으로 심장에 부담을 가하면서 심전도를 찍는 것 - 특히 관상동맥 질환의 진단에 유용

- 적당한 운동을 하게 하여 심근의 산소요구를 증가시키고 coronary artery의 혈액공급 능력이 변화하는 요구에 부응되는지 본다.

- 장점: dynamic state에서 심혈관계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운동기구 종류

. bicycle ergometry 검사: pedal의 resistance 변화 기능

. treadmill 검사: 더 흔히 사용. Electrical conveyor belt인데 속도와 경사도를 조절가능 * 검사방법에 따른 종류

- single stage test: 운동시 work load를 같은 상태로 두고 검사

- multiple stage test: 운동시 work load를 원하는 지점까지 증가시키면서 검사 * 방법

- 시작 전에 baseline ECG를 찍는다. 검사 중 (Maximum heart rate의 80-90%까지 올리면서)에 EKG와 BP를 monitor한다. 검사 중 심혈관계 장애 증상이 있는지 관찰(chest pain, ventricular arrhythmia, vertigo, ↓BP)

- Exercise test에 positive란 최대 제한점보다 미리 검사를 중단해야 하는 경우로, 심혈관계의 이 상을 의미한다. Exercise중의 ECG에 ST segment나 T wave에 변화가 있으면 coronary artery disease의 증거이다. (왜냐면 이것은 심근의 산소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을 의미)

* 검사를 중단해야 하는 경우 - chest pain이나 피로

- HR가 과도하게 증가한 경우(20대는 170회/min, 30대는 160회, 40대는 150회, 50대는 140회, 60 대는 130회 이상인 경우) cf; 최대 심박수 = 220-나이

- systolic BP의 증가가 안될 때: exercise시에 요구되는 CO증가가 안된다는 의미이다.

- 갑작스런 bradycardia 발생시

* Stress test 전 주의점

- 전날 충분한 휴식, 검사 직전에 많은 음식 섭취를 피한다.

- 담배, 술, 카페인 음료 피한다.

- 편한 의복, 고무바닥 신발을 신는다

4) 전기생리검사(electrophysiologic study: EPS): 방실전도장애, 심실내 전도장애, 원인불명의 실신 등 을 가진 대상자를 대상으로 조율이상의 형태에 대한 정보와 전기생리적 기전에 대한 정보를 얻 기 위해 시행. 이 검사 중에 전기적 자극을 통해 부정맥을 중단시키거나 빈맥에 관여하는 심근 을 절제시키는 치료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5) 초음파를 이용한 검사

(9)

(1) 초음파 심장촬영술, 심초음파(echocardiography): 대상자의 심장구조에 의해 반사되는 초음파의 반사파를 이용하여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평가한다. 특히 심낭강내의 삼출액의 진단과 판막질환 에 유효하다.

- noninvasive 진단 검사로서 초음파검사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특히 structure나 function을 평 가하는데 유용하다.

- Transducer를 가슴에 대고 초음파를 보내어 다양한 체내 density를 반향하여 화면에 그림으로 나 타낸다. ECG도 동시에 촬영한다. 15-40분 걸림.

- 진단이 유용한 질환(pericardial effusion, cardiomyopathy, valvular disorders, cardiac shunts, myocardial ischemia, 심실동맥류, CHF)

- EF(ejection fraction; 심실에서 1회 수축시 내보내는 혈액 비율, end diastolic volume(EDV)에 대한 SV의 비율로 55-75%가 정상

(2) 약물 부하 심초음파(pharmacological stress echocardiogram): dobutamine이나 adenosine 투여 후 심초음파 검사

(3) 경식도초음파(transesophageal echocardiogram: TEE): 식도는 심장 바로 위를 지나가므로 작은 초음파 기구를 삼키면 식도 아래로 움직이면서 심장에 매우 가까이 지나가면서 심장의 모습을 명확히 보여준다.

6)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검사(myocardial nuclear perfusion imaging, MNPI)

(1) 201Thallium 섬광조영술 Scintigraphy: Thallium 201: K+유사물질로 심근의 ischemic area를 사정하 는데 유용, stress test시에 흔히 함. ECG 하면서 검사

. 검사 전 5-6시간 금식. 48시간 전 aminophyline 제제 투여 중지

. 검사 후 간호는 수분섭취 권장, 드물지만 thallium 201 부작용(발진, 저혈압) 관찰

. 검사과정은 운동을 하다가 멈추기 직전에 imaging agent(Thallium)을 말초혈관에 주입한다. 4- 10분 후 radioactive imaging 검사를 한다. Thallium은 정상세포와 잘 결합하므로 허혈부위는 thallium이 서서히 흡수되어 몇시간 지난 후 촬영하면 “warm spot”(동위원소가 모인 부위)이 나타나고 경색이 있는 부분은 “cold spot”(동위원소가 흡수되지 않는 부위)이 나타난다.

. thallium 201은 스캔은 경색부위를 정확히 알 수 있고 경색부위의 크기를 예측할 수 있어 심전 도나 효소치보다 더 정확하다

. 발병 6시간 이내인 경우는 심근경색증 진단에 유용하며 100%의 진단이 가능.

. SPECT(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r tomography): 보다 최신 방법으로 흉부를 180-360도 각 도로 촬영함으로써 3차원적인 영상을 나타내 심근관류가 감소된 부위를 보다 정확하게 규명 (2) Dipyridamole 201Thallium test: dipyridamole(persantin)은 스트레스 유발 약물로 IV로 5분동안 주입

한 후 201thallium을 투여  7분 후 영상을 획득 (3) 99mTechnetium pyrophosphate scanning

- MI후 cardiac enzyme(CK; 24시간 내에 저하, LDH; 14일까지 증가) 상승이 끝난 후에 MI가 있었 던 것을 알 수 있게 해줌. 이런 종류의 imaging은 심근손상의 정도나 크기를 알 수 있다.

- 방사선 염료(technetium(99mTc)-pyrophosphate)를 정맥주사 2시간 후에 심장을 scan하면 increased radioactivity(hot spot) 부분을 찾을 수 있다. Infarction 후 24-72시간이 지나면 necrosis 일어난 부위에 가장 잘 나타나며 1-2주까지 지속됨. 급성심근경색증 진단에 유용하며

(10)

오래된 심근경색증의 진단에는 도움 안됨

(4) 양전자 단층촬영술(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손상된 심근의 심장관류와 대사상태를 정상과 비교하는 영상진단기법

- 첫 방사성 동위원소(nitrogen-13-ammonia)를 주입한 후, 20분 동안 심근관류를 검사하기 위해촬 영 -> 두번째 방사성 동위원소(fluoro-18-deoxyglucose)를 주입한 후, 신진대사가 대사되는 상 태를 조사함으로써 심장근육의 상태를 알 수 있는 검사

- 정상인 경우 관류성능과 대사기능이 일치하고 허혈성심근인 경우 관류는 감소하고 포도당 흡수 는 증가하는 불일치가 일어난다.

- 검사 후 체위성 저혈압 예방, 수분섭취 증가하여 방사성 약품 배설 촉진시킴

7) 자기공명영상술(MRI): 자기력을 이용한 첨단영상기술로서 종단과 횡단의 촬영이 가능한 입체적 촬 영. 검사시 주의점은 금속성 물건을 제거하고 소음이 날 수 있으므로 이어폰, 눈가리개 이용 8) 혈역학 검사

①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CVP)

- 전신 순환으로부터 우심방으로 귀환하는 혈액의 압력을 말한다.

- catheter를 우심방 내에 넣어 압력 측정, 정상 4-10cmH2O, 1-7mmHg

- 변환기 방법: 우심방에 삽입된 카테터가 변환기와 연결되어 압력이 전기신호로 바뀌고 증폭되 어 모니터에 나타남(1-7mmHg)

- 저하: 순환혈액량 감소, 전부하감소(ex: 출혈)

- 상승: 고혈량 또는 우심부전, 좌심실부전 후기에도 발생(ex: CHF)

② 폐동맥압(pulm. artery pressure, PAP)과 폐동맥쐐기압(PCWP) - 폐동맥압: 우심기능과 폐저항을 알 수 있다

- 폐동맥쐐기압(pulmonary artery wedge pressure, PAWP = PCWP, pulm. capillary wedge pressure) = 폐동맥폐쇄압(pulmonary artery occlusive pressure), 4-12mmHg: 폐울혈과 좌심실 기 능을 알 수 있다.

- Swan Ganz Catheter(4개의 관강: 우심방관강, 폐동맥관강, 풍선팽창용, 온도감응포트)를 말초 정맥 - 우심실 – 폐동맥으로 넣음

- 합병증: 카테터 삽입부위의 감염(발적, 발열, 부종, 삼출물)과 혈액감염 위험 그외 합병증: 심내막염, 풍선파열, 공기색전증, 부정맥, 심장판막 손상

③ 심박출량 검사(cardiac output): 1분 동안에 좌심실에서 동맥계로 내보내는 혈액량(4-8L/min)

④ 정맥 산소포화도 검사(mixed venous oxygen saturation monitoring, SvO2): 60-80%

⑤ 전신성 동맥내압 검사(systemic intraarterial monitoring)

- 동맥 내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동맥압을 측정: 혈압기로 재는 혈압보다 약 10mmHg 높게 나타남 - 동맥내압을 측정하기 위한 카테터는 3-way 연결자로 변환기에 연결

- 수액은 50ml 생리식염수에 헤파린(20-300unit)을 혼합하여 압력비닐백으로 300mmHg 정도 압력을 가하여 시간당 약 2-3cc 속도로 수액주입기구를 통해 주입

- 간호: 동의서, 변환기는 심장높이에 두고 연결튜브가 빠지거나 꼬이지 않도록 , 동맥혈을 채취할 때 3-way 연결자를 이용, 삽입부위의 출혈, 혈종, 감염. 말초감각 등 확인

참조

관련 문서

[r]

국제물류주선업자는 국제물류주선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휴지 또는 폐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미리 국토 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선택적 디마케팅이란 자사의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총수요를 줄이려는 의도 없이 특정계 층의 소비자에 한정하여 판매를 억제하고자 하는 마케팅활동을 의미한다.

사람을 상하게 하는 것이 많을 것이며 백성들에게도 함부로 다스리면 이와 같을 것이다 이 때문에 ,. 냇물을 다스리는 사람은 그 냇물을 방향을 미리 정해서 터야

❍ 부정행위로 인해 합격이 취소되어 결원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 하는 경우 최종합격자의 다음 순위자를 특정 할 수 있으면 최종합격자 발표일로부터 3년

이 주장은 얼핏 보면 타당한 것처럼 보이지만, 문제가 있다.. 이는 이 자 발적 계약으로 인해 거래 당사자인 쌍방 모두 이익을 얻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이미

외부생식기의 발육은 부진하였고 액모와 음모는 관찰되지 않았다 (T anner st age I).. 대퇴골두골단분리증과 관련된 내분비질환을 가진 환아에서 primary endocrine dis or

관혈적 관상동맥 조영술에서는 관상동맥의 직경의 변화가 있으면 정도에 관계 없이 죽상경화증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으며 의미 있는 협착 은 병변의 직경이 바로 근위부의 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