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구환경변화와 지속가능한 발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지구환경변화와 지속가능한 발전"

Copied!
1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마 이이 클클 레레 드드 클클 리리 프프 트트 (( MM ii cc hh aa ee ll RR .. RR ee dd cc ll ii ff tt ))

김소연 | 영국 Ethical Investment Research Service 연구원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일본어를 전공하고 일본 문부성 장학생으로 오사카외국어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영국정부(Overseas Research Student Awards) 장학생으로 King’s College London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정치생태학, 지속가 능한 발전, 해외개발원조, 개발도상국의 개발∙환경문제 등이다. 현재 영국의 Ethical Investment Research Service 연구원으로 근 무 중이다.

University of Sussex에서 학사∙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1970년대부터 영국정부,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Science Foundation, UN 등에 전문위원 또는 자문관으로 활동해 왔다. 포드재단의 중남미 농업 및 농촌개발 프로젝트 자문관, 영국 지구환경변화 프로그램의 초대 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Imperial College at Wye(런던대학교) 교수를 거쳐 2000년부터 King’s College London 지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지속가능한 발전, 지구환경변화, 환경안보(environmental security)와 근대 푸드시스템 (food system)으로 주로 영국, 유럽 및 라틴아메리카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2006년에는 국제 사회학학회(International Socialogical Association)로부터 국제적으로 우수한 환경사회학에의 학문적인 공헌과 업적을 인정받아‘Frederick Buttel Award’ 초대 수여자가 되었다. 최근의 주요 저서 및 편서로는「Chewing Gum: the fortunes of taste」(2004), 「Sustainability: critical concepts in the social sciences」(2005), 「Frontiers: histories of civil societies and nature」(2006) 등이 있다.

- interview

R e d c l i f t

M i c h a e l R.

(2)

김소연

김소연(이하‘김’):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우선 교수님의 주요 연구분야와 경력에 대해 간략히 소개해 주시겠습니까?

▶▶마이클 레드클리프트(이하‘레드클리프트’):저의 주요 연구분야는 환경문 제로, 특히 정치경제학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환경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환 경문제를 주로 지속가능한 발전의 다양한 측면과 국제관계를 통해 연구해 왔습 니다.

최근 저의 연구는 미국과 멕시코의 관계에 초점을 둔 환경(문제)연구입니 다. 주요 경력으로는 영국정부의 지구환경변화 연구프로그램(Global Environmental Change Programme)의 초대 소장을 맡은 바 있습니다.

김:영국정부의 지구환경변화 연구프로그램의 초대 소장을 맡으셨다고 하셨 는데요. 이 프로그램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주시겠습니까? 프로그램의 설립 취지와 목적 그리고 주요 연구주제 등이 궁금합니다.

▶▶레드클리프트:지구환경변화 연구프로그램은 그 당시 매우 혁신적인 프로 그램으로 17년 전인 1990년에 시작했습니다. 1990년만 해도 경제학과 국제관 계 분야의 연구자들을 제외하고는 지구환경문제에 관심을 가진 사회과학자의 수는 매우 적었습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다양한 분야의 사회과학자들(지 리학자, 사회학자, 정치과학자 등)로 하여금 지구환경변화문제에 더 많은 관심 을 갖도록 하기 위한 취지로 설립되었습니다.

마이클 레드클리프트:

지구환경변화와 지속가능한 발전

김소연|영국 Ethical Investment Research Service 연구원(인터뷰, 정리)

(3)

Michael Redclift

Soyeun Kim(‘Kim’’): Thank you for your time for this interview. Could you tell us about your main areas of work and professional experiences?

▶▶ Michael Redclift(‘Redclift’’): Yes, my main area of work is really the environment, and particularly, from a political economy perspective. I suppose I work most on different aspec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on international relations for example, I currently work on the links between Mexico and the United States. But for sometime, I was the director of the British research programme on Global Environmental Change.

Kim: You were the first director of the Global Environmental Change

programme of the British government. Could you tell us more about what this programme actually aimed (and was designed) for? And was there any specific (research) issue or topic set for the programme to work on, such as desertification or biodiversity?

▶▶ Redclift: Yes, it was a very innovative programme that started in 1990,

which was 17 years ago. For that time, there was little interest from social scientists in global environmental change issues, except exceptionally by economists and some international relations researchers. But very little from social scientists. So the point of the programme was to develop more interest

Michael R.Redclift:

Global Environmental Chang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4)

이 프로그램의 목적으로는 지구환경문제 - 특히 기후변화문제를 포함한 - 를 사회과학의 중심으로 하는 동시에 사회과학을 지구환경문제의 중심으로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설립당시, 환경세 (environmental taxes)와 같은 연구주제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제안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저는 개 인적으로 프로그램이 모든 학문분야나 영국의 모든 대학 관련학과와 관계를 맺고 그들의 참여를 이끌 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프로그 램이 남아시아학과와 심리학과 연구에 실제적으로 중요하고 관련 있는 만큼 지리학과와 도시계획학과 의 연구에도 중요하고 관련이 있어야 한다는 신념 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프로그램은 매우 학제적인 동시에 혁신 적이었으나 그 당시(1990년) 사람들은 우리의 연 구를 상당히 의문스러워 했습니다. 예를 들면 프로 그램이 전 과정평가(life cycle analysis), 산업생태 학(industrial ecology: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는 그 들의 생산∙유통∙폐기 등 전 과정을 통해 변화한 다는 관념) 등을 연구하였기 때문입니다.

현재 많은 연구자들이 소위 요람에서 무덤까지 라 불리는 전 과정(life cycle)을 통한 원료전환 (material throughputs)과 상품∙서비스 평가 및 에 너지 사용 등을 연구하고 있으나, 1990년대 초반에 는 이러한 연구주제가 중요하게 인식되지 않았습니 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국제적으로 환경영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상품과 서비스에 가격을 매 길 때도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면, 시장가격이 외부성(externality)과 환경비용

(environmental cost)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치는지 등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최근 부상하 는 산업물질대사(industrial metabolism) 분야에 많 은 연구를 하였습니다.

이외에도 국제환경협약, 국제환경법, 국제환경 경제학 등의 연구에도 기여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의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전 지구적인 환경문제를 어떻게 정의를 하느냐 였습니다. 사하 라 이남 아프리카나 동아시아의 환경문제가 얼마나 전 지구적인 혹은 지역적인 문제인지를 정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는 앞으로도 문제가 될 부분이며 항상 모순과 갈등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김:이 프로그램의 주요 성과 및 결과물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레드클리프트:아주 좋은 질문입니다. 실은 주 요 성과나 결과물을 하나 꼭 집어서 설명할 수 없 습니다. 왜냐하면 프로그램 자체가 하나의 문제 나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되지 않았기 때문 입니다.

프로그램 산하에 많은 프로젝트들이 진행되었 고, 많은 사람들이 참가하였습니다. 그러나, 만일 대표적인 성과물을 하나 꼽으라고 한다면 아마 환 경경제학(예를 들면, 환경손실 및 완화, 생물다양 성 손실 등의 견적∙원가계산)이라고 말할 수 있 을 것입니다.

프로그램은 환경경제학 분야의 진흥뿐 아니라 박사과정 학생들에게 재정적 지원도 하였습니다.

(5)

among a range of social scientists geographers, sociologists, political scientists, and so on. The objective of the programme was to take global environmental issues, in particular climate change (but not only climate change), into the heart of the social sciences, just as we hoped to take social science into the heart of global environmental issues.

When the programme was established, it was suggested to me that we should focus on some specific questions like environmental taxes. But I believed the programme should involve all the disciplines, all the departments in the universities of the country in other words, it should as relevant for a department of Southeast Asian studies and psychology as it was for a department of geography and urban planning. As a result, it was a very interdisciplinary programme. However, due to its innovativeness, people were very sceptical at that time because we worked on the areas of, for example, the life cycle analysis, industrial ecology (the idea that the value of goods and services changes through the life of the product). Although a lot of people are now working on material throughputs and valuation of goods and services over time (cradle to grave as they call it), and use energy, these were not very important in the early 1990s. This is really important as it has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environmental impacts across the world, internationally as well as for the way you price things (e.g. how far the market price reflects externalities, environmental costs). We pioneered a lot of work on the industrial metabolism, which now is becoming quite a big area.

We also worked o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agreements,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economics. But one of the difficulties was to define what the global environmental problem is. If you have problems in sub-Saharan Africa or EastAsia, to what extent are those environmental issues truly global issues or regional issues. There is always some tension there.

Kim: What was the major achievement or product of the programme?

▶▶Redclift: This is a very good question. It is actually hard to identify one product because the programme

was not created to solve one particular problem or issue. Therefore, there were many projects funded under it, and many people connected with it. However, if I were pushed to say one product, I would say much of the work was done with environmental economics for example, on costing environmental losses and mitigations, issues of biodiversity loss. Much of this work was promoted by the programme. Also the programme funded Ph.D. students who are now actively working on global environmental issues in the social sciences.

(6)

그 당시 프로그램의 도움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연 구자들이 현재는 사회과학 분야에서 아주 활발하 게 지구환경문제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김:교수님께서 지구환경문제에 처음 관심을 갖 고 일을 시작하게 된 배경이나 동기는 무엇입니까?

▶▶레드클리프트:저의 박사논문은 엄밀히 말하자 면 환경이 주제가 아니었습니다. 지금에 와서 돌이 켜보면, 피레네 지역(프랑스와 스페인의 접경)의 공동자원 문제를 연구했기 때문에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게 된 것이지만, 1960년대 당시에는 그렇게 생각하진 않았지요. 하지만 1978년부터 1980년까 지 멕시코에서 일하면서 환경의 중요성을 더더욱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이 경험은 제게 개발문제와 환경문제가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을 통감하게 해 주었습니다.

지금 들으면 놀랍게 느껴질지도 모르겠지만, 그 당시에는 환경과 개발문제가 얼마나 깊은 관련을 갖고 있는지 충분히 인식되지 않았습니다. 개발과 환경을 각각 다른 문제로 인식하였기 때문이지요.

그 당시 중소득국이었던 멕시코에서 저는 두 문제 가 함께 공존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예를 들면, 멕 시코시티의 한 지역에서는 상수도 시설이 없는데 다른 한 지역에는 한 가구가 3대의 자동차를 소유 하고 매일 아침 하인이 세차를 하는 등의 현저한 빈 부격차 등이 그것입니다. 결국 멕시코에서의 경험 이 저로 하여금 환경문제 연구에 정열을 쏟도록 만 들었고, 이러한 사회의 대조적인 모습이 제게 깊은 환경문제 의식을 가지게 한 것입니다.

그 뒤로, 저는 1980년 영국으로 돌아와서 Wye College(지금의 Imperial College at Wye)에서 교편 을 잡았을 때 제가 지도했던 학생들이 환경학으로 학위를 취득하고 있었습니다. Wye College에서 저 는 교육, 연구분야에서 환경문제의 중요성을 설명 할 신경지를 열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를 가졌던 셈이지요.

김:교수님의 컨설팅 경력이나 경험이 실제로 강 의와 연구에 어떠한 역할을 하였나요?

▶▶레드클리프트: 제 컨설팅 경험과 연구 모두가 저의 강의에 많이 기여하였습니다. 저는 한 번도 연 구와 강의나 컨설팅 사이에서 고심해본 적이 없습 니다. 그 이유는 강의내용이 저의 연구에서 비롯되 기 때문이지요. 이는 지금 제가 가르치고 있는 학부 와 대학원 강의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학부 3학년 커리큘럼인‘지구환경문제와 정책’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and policies)은 저 의 연구를 많이 반영하고 있습니다.

김:교수님께서 최근 관심을 두는 연구를 보면 개발과 환경문제 및 지속가능한 발전문제에 초점 을 두었던 과거의 연구분야와 많이 다른 점을 엿볼 수 있는데요. 교수님께서 새로운 연구방향을 잡게 된 이유와 새로운 연구분야가 과거의 연구업적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해 주시 겠습니까?

▶▶레드클리프트:저로서는 아주 연관이 깊다고 생 각합니다. 저는 늘 자원문제에 관심을 가져왔습니

(7)

Kim: What was the reason(motive or passion) for you to get involved first in the field of global

environmental issues?

▶▶Redclift: My Ph.D. was not really about environment. Looking back on it now, it is about common

property issues in the Pyrenees, for which I think now it does have some environmental dimension, but I did not see it in those terms then (the late 1960s). But between 1978 and 1980 I worked in Mexico and I became very aware of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issues. This brought home to me the fact, in particular, that development questions were linked to environmental questions. And as amazing as it may sound, this was not fully appreciated then because those two areas (questions) were seen as two different things. What I saw in Mexico, that is a middle-income country, was both sets of problems. So it was my experience in Mexico that really made me passionate about the environment for example, the pollution in Mexico City, and the contrasting picture of one area even lacking proper water supply while some other areas people had three cars and servants to wash their cars everyday. Those kinds of contrasts made me more environmentally conscious. But then, when I came back to UK in 1980, I was working at Wye College (now Imperial College at Wye) and my students were getting degrees in environmental studies. I had a great opportunity there to open a new front a teaching front as well as a research front to explain why environment was important.

Kim: How did your consultancy experience play a role in teaching and research?

▶▶Redclift: Both my consultancy experience and research work very much contributed to the teaching. I

have never felt that there is a struggle between the research and teaching because the latter in turn developed out of my research. It is still very true today for both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level. For example, my undergraduate third year lecture course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and policies’ picks up many of my research interests.

Kim: Your recent research interests (i.e. chewing gum) suggest quite a difference focus from your

previous works on development/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ssues. Could you explain the reason for this new direction and how would you explain the link between the previous work and the new research interests?

▶▶Redclift: Well, for me there is a link because I have been always been interested in resources. Of course

(8)

다. 푸드 시스템에 대한 연구도 츄잉검에 쓰이는 자 원이 멕시코 동남부의 킨타나로(Quintana Roos)에 서 수확한 치클이고 이것에 관심을 가졌기 때문입 니다. 제가 새로운 방향으로 연구를 하게 된 또 하 나의 이유는 지속가능한 발전문제를 포함한 지구환 경문제가 너무 방대하기 때문입니다. 하나의 특정 한 연구주제를 따라가지 않는 이상 그 방대함 속에 서 어느 정도 길을 잃게 되기 쉽지요. 너무 글로벌 리스트가 되어버리면 자신의 위치를 잃고 헤매게 됩니다.

제가 최근 출판한 책「Frontiers」와「Chewing Gum」은 모두 역사적 관점을 통해 자원이 어떻게 개발∙개척∙이용되는지, 사회가 어떻게 자원관리 를 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자원이용 및 관리가 어떻 게 사회의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할 수 있 도록 설명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이는 일종의 환경의 정치경제학이라고 생각합니다.

김소연씨가 질문에서 언급하였듯이, 저의 최근 연구가 과거연구(지속가능성과 같은 제도적인 문 제)와 상당히 다르게 보이지만, 츄잉검 연구 또한 지속가능한 목재품 등의 지속가능성 문제를 그 안 에 포함하는 등의 제 과거연구와 연관되는 측면이 있습니다.

김:교수님의 가장 최근 저서인「Frontier」를 한 국독자들에게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레드클리프트: 제가 이 책에서 시도한 연구는 지리적인 프론티어가 시간을 거치면서 어떻게 발전 되었나를 고찰하는 것입니다. 이 책에서는 스페인

피레네 지역의 자원관리, 19세기 캐나다에 삼림 프 론티어로서 정착한 유럽인들, 에콰도르 해변지역의 토지 및 수자원을 둘러싼 충돌, 유카탄 반도 마야인 의 시민 폭동, 카리브해 멕시코 해변지역에 침입한 관광산업 등을 연구하였습니다. 서로 다른 경험을 함께 모아서 연구하는 것으로 자연환경의 변화와 전환이 어떻게 사회에 영향을 주었는지 그리고 어 떻게 한 사회의 인식과 사고방식을 변화시켰는지를 이해하려고 하였습니다. 또한 각 사례 속에서 사회 가 자연과 공간을 바라보는 시각에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 찾아보려고 하였고, 동시에 프론티어와 같 은 주제를 연구하는 것이 문화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의 관계를 푸는 열쇠 역할을 하지 않을까 하는 질 문도 던져 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제가 제시한‘the frontiers

of the mind’를 고찰하는 것으로 마무리를 짓습

니다. ‘the frontiers of the mind’는 실제로 우리의 직접적 경험과는 거리가 먼 사람들이 우리의 소비 와 쾌락을 위해 프론티어인으로 재구축된 지역의 관광산업을 연구합니다. 결과적으로 이 책은 지리 적으로나 문화적 양면으로 프론티어를 연구하였습 니다.

김: 교수님께서는 유럽과학재단의 TERM Programme에도 많은 활약을 하셨는데요. 이 프로 그램은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추진이 되었는지 설 명해 주시겠습니까?

▶▶레드클리프트:프로그램의 취지는 서로 다른 유 럽연합국가가 환경연구조사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디

(9)

the resource behind the chewing gum is chicle which is harvested in Quintana Roos. But I think there is another reason why I am moving that direction. It is because global environmental issues, indeed sustainable development issues are such a broad topic and canvas. To some extent you get lost in it unless you choose a specific thread to follow. If you become too much of a globalist, you can somehow loose your bearings. My recent books both Frontiers and Chewing Gum linked to this kind of idea that you can explain what happens to resources, you can understand how society manages them, and how it affects their own organisation by taking a historical perspective and looking over time at what happened. Essentially that is a kind of political economy of environment and that is how I see it. Although, as you suggested, my recent work seems rather strange from the previous research (systematic issues like sustainability), chewing gum also involves important issues of sustainability (i.e. sustainable forest products). There are aspects of it that resonates with my previous work.

Kim: Could you tell more about your new book Frontier to Korean readers?

▶▶Redclift: What I tried to do was to look at the way that the geographical frontiers developed over time. I

had chosen one that I was familiar with. I looked at resource management in the Spanish Pyrenees, European settlement on the forest frontier in nineteenth-century Canada, conflicts over land and water resources in coastal Ecuador, Mayan civil unrest in the Yucatán peninsula, and the encroachment of tourism on the Mexican Caribbean coast. And what I tried to do was to bring these different experiences together to try to understand how the transformation of natural environment affected the society; how it led to the changes in the society’s own perception and way of thinking. And I also tried to see whether there is any commonality or anything in common about the way they saw nature and space. And at the same time, I aKimed questions: whether by taking something like a ‘frontier’ this could serve as a key to unlock this kind of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and natural. Then the book finishes by looking at what I call “the frontiers of the mind”, which considers such issues as tourism in areas where people are reconstructed frontiers for our own consumption and pleasure, although they are remote from our immediate experiences.

So the book looks at frontiers both geographically and culturally.

Kim: Could you explain your involvement with the TERM programme of the European Science Foundation?

(10)

어를 모으고 젊은 연구자들에게 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유럽 전역에 설립하는 것이었습 니다. 이 프로그램이 혁신적이었던 것은 젊은 연구 자들을 위해 많은 유럽연합국가들이 협력을 했다는 점입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성공적이었던 것은 박사과정 학생을 위한 여름학교를 조직해 운영한 것으로, 현 재까지 성공적으로 이어져오고 있습니다. 이는 유 럽전역에서 모인 박사과정 학생들이 함께 모여 환 경관련 사회과학과 정책을 더 가깝게 느끼고 연구 할 수 있는 기회를 개발하는 것이었습니다. 동시에 선배나 고참 연구자, 박사과정 학생, 박사를 막 끝 낸 포스트닥터 연구원, 젊은 강사와 같은 연구자들 이 만남을 가지는 기회를 마련하기도 하였습니다.

이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은 매우 흥미로운 것이었습 니다. 그 이유는 유럽연합 각국의 환경정책이 서로 매우 다른 초점을 가졌기 때문이지요.

예를 들면, 산업공정, 산업 마케팅 및 정책의 녹 색화와 같은 생태학적 근대화(ecological modernisation)에 주로 관심을 쏟은 영국, 네덜란 드, 독일과는 달리 프랑스는 교통시설과 에너지 등 과 같은 인프라설비에 지대한 관심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남유럽과 북유럽은 아주 크게 다릅니다.

실제로 이 사실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인식되지 않고 있습니다만, 남유럽은 주로 수자원부족 및 자 연적 경관(어떻게 농촌인구를 잃지 않고 환경이익 을 가져올 수 있는지) 등이 문제가 되고, 특히 이는 스페인, 이탈리아, 포르투갈, 그리스 등과 동유럽의 신생 유럽연합국에서 아주 큰 문제입니다.

그 반면 북유럽에서는 폐기물, 기후변화, 도시 산업문제 등이 주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다. 이와 같이 남유럽과 북유럽의 흥미로운 상이점을 유럽 전역에 걸친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할 수 있었습니 다. 특히 제가 참여했던 유럽위원회(EU의 사무국 격인 집행기구)의‘New Networks’라는 프로젝트 는 실제로 유럽연합의 환경정책의제가 어떻게 영 국과 네덜란드와 같은 환경의제 설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국가와 더 나아가 남유럽국가에 전 달∙적용되는지를 연구하였습니다. 남유럽국가가 사막화, 수자원과 토지이용 등에 많은 우려를 표하 는 반면 북유럽국가는 산업과 오염∙공해에 더 많 은 우려를 표했습니다. 이러한 정책의제들은 각국 의 의사소통이 진행됨에 따라 서로 섞이게 되었습 니다.

김: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질문으로 넘어가겠 는데요. 과연 인간사회는 지속가능한 발전의 모순 을 극복하고 있습니까? 교수님은 현재의 지구환경 문제를 지속가능한 발전의 관점에서 어떻게 보시 나요?

▶▶레드클리프트:최근 환경문제의 우위성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아졌습니다. 그와 더불어 지속가능 한 발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또한 앞으로도 꾸준 히 유지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개발도상국가에게 지속가능한 발전은 더욱 중요한 이슈가 되었습니 다. 특히 라틴아메리카의 경우에는 경제개발의 이 익을 유지하는 동시에 지속가능성을 성취하는 것을 아주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습니다만, 아직도 초

(11)

▶▶Redclift: The idea was to bring together all the different European Union countries with environmental

research programmes in order to pull their ideas together and then to establish the programme across Europe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young researchers to get some limited funding. The innovative aspect of this programme was the fact that it involved so many countries, which was geared to younger researchers. One of the best achievements was organising summer schools for Ph.D. students every year that still continues now. This was to try to bring Ph.D. students together and to develop familiarity with environmental social sciences and policy. And at the same time, it was to bring the senior academics in to be in touch with Ph.D.

students and junior researchers (post-docs and young lecturers). In developing it, it was very interesting because within EU there are different emphases on environmental policy. For example, in France, they were not nearly as interested as Britain, Netherlands and Germany in issues like ecological modernisation much less interested in greener industrial processes, marketing and policy instrument, but much more interested in infrastructure, such as transport and energy. Also there were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the north and south of the EU, which are often not appreciated enough. The southern countries are mainly concerned with issues like water scarcity and natural landscape (how to bring environmental benefit without losing the rural population). These are big issues in Spain, Italy, Portugal, Greece and so on, and in some of the new accession countries in the east. Whereas for the northern European countries, the main issues are waste, climate, and urban industrial questions. These are quite interesting differences. Some of these Europe-wide programmes enabled us to look across the differences. For example, I did some work on a European Commission project called ‘New Networks’ which showed how the European agenda (EU’s policy agenda) on the environment is actually filtered down to countries like the Netherlands and Britain that are pivotal in this area of environmental agenda setting, and then were further filtered down or transferred to the south. So, on the one hand, many concerns about desertification, water and land are raised from the south. And on the other, the north of Europe is much more concerned with industry and pollution.

Kim: Turning to the ques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Are we overcoming the contradic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How do you see the present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through this prism?

▶▶Redclift: There is now much more acknowledgement of the primacy of environmental issues. And I think that much of that acknowledgement of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will continue. I think for many developing countries it has become a more important issue. In particular in Latin America

(12)

점은 지속가능성보다는 경제개발에 맞추어져 있습 니다. 지난 15년간 개발과 지속가능성의 모순은 현 실화되어 왔습니다. 이는 환경친화적인 관광산업, 소비, 상품 및 에너지 사용 등의 개발과 지속가능성 모두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주장들에서 명백히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좀 더 환경친화적인 관광산업, 소비, 상품 및 에너지 사용 등이 잘 보여 주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조직 및 기구들이 서로 앞을 다투어 녹색화를 추진하고 있다는 주장을 하고 있 습니다만, 실제로 녹색화가 되었는지는 또 다른 이 야기입니다. 그렇지만 동시에 저는 이런 녹색화 주 장을 효과적으로 평가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생 각합니다.

환경비용의 계산은 정교하고 복잡합니다. 20년 전에는 단순히 이상하다고밖에 여겨지지 않았던 생 태학적 발자국(ecological footprints)과 같은 개념 이 지금은 전혀 이상하게 여겨지지 않습니다. 환경 회계학 또한 개발되어 더욱 정교하고 복잡하게 발 전했습니다. 이러한 환경회계학 등의 발전에서도 볼 수 있듯이 녹색화를 평가하는 분야에서도 성과 가 있었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지속가능한 발전의 정치는 아직도 어려 운 숙제로 남아 있습니다. 정부기관과 기업들이 자 신들의 지속가능성을 주장하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 가 있습니다. 하지만 종종 우리가 직면하는 위험은 우리가 어떤 상품이나 서비스의 지속가능성을 개선 하는 것을 사회의 장기적 지속가능성과 혼돈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저 또한 제 면도크림의 캔에서 프레 온가스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면도크림을 만드는 기업은 프레온가스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제 품라벨에 오존친화적이라고 표기합니다. 하지만 그 제품이 오존친화적일 수는 없습니다. 그 제품은 오 존을 해치지 않을 뿐이지요.

그렇다면 남자들은 면도크림을 쓰지 말아야 하 나라는 질문이 던져집니다. 이는 결국엔 얼마나 사 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이러한 환경친화적인 행동 (환경에 해로운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을 위한 준비 가 되어 있는가에 달려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 는 20년 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앞으로 큰 문제로 대두될 것입니다.

지속가능한 발전의 모순은 더 많은 사람들에게 더 명백히 다가왔습니다. 이러한 지속가능성의 한 계나 환경친화적인 행동은 하루하루를 연명하기조 차 힘든 빈곤층에게는 그다지 설득력이 없는 이야 기이지만 자신의 일상생활 소비를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는 전 지구적인 문제와 일상생 활의 연관성에 질문을 던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였 습니다.

김:마지막으로 한국 등 빠른 경제성장을 이루고 있는 동아시아 국가의 정책결정자에게 지속가능한 발전과 관련된 조언이 있으시면 말씀해주시기 바랍 니다.

▶▶레드클리프트:제가 동아시아에 대해 아는 바가 별로 없는 터라 한국에 대해서도 잘 모릅니다. 하지 만 저의 제한된 지식으로 말하자면 한국이 직면하는

(13)

there is a very stro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the benefits of economic development while also achieving great sustainability. But the emphasis is still on development rather than sustainability.

And what has happened for the last 15 years is that the contradiction has been realised (in a way) and manifested in things like all of the claims to do things which that are good for development as well as for sustainability for example, greener tourism, greener consumption, greener products and energy use. So globally, all different organisations and institutions are making claims to be greener whether or not they are, that is another matter. I think that, at the same time, this is a much more effective and important area, i.e.

much more affective assessment of greening claims. I think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cost is much more sophisticated. Things like ecological footprints, which was simply considered as crazy twenty years ago, are now not at all considered as crazy. Environmental accounting has been developed and has become more sophisticated. So I think real developments are there. But also the politics and rhetoric of sustainable development remain very difficult . There are so many reasons why governments and companies want to make claims to be sustainable. And very often the danger we face is that we confuse the efforts to improve sustainability in a product or service with the longer term sustainability of society. For instance, I can take CFCs out of my can of shaving form that would obviously be an advantage. But the company that makes shaving form says on the label “this is ozone friendly”. But it can’t be ‘ozone friendly’ what it can do is not to damage the ozone layer. Then the real question is that ‘men should not be using shaving forms’. So in other words, the limits are dependent upon what people are prepared to do in everyday life, I think, that will become a problem and an issue in a way that it wasn’t a case with twenty years ago. The contradictions are now much clearer to more people.But for poorer people it is not always an easy thing - because in reality, their main concerns are to get work and to survive. But for people who have more command or more control of their own consumption in their daily lives. That is where sustainable development has gone and forced them to questions about the link between bigger global issues and everyday life. And I think there has been some progress on that. A lot of rhetoric, but some progress as well.

Kim: Finally the last question. Would you have any suggestions to policy makers in Korea (and rapidly

developing economies in East Asia) in terms of sustainable development?

▶▶Redclift: Well, I am not familiar with East Asian countries therefore I don’t know much about Korea either. However, I guess that the major challenges here are (particularly for South Korea with my very

(14)

주요 숙제들은 아마 더 높은 수준의 환경기준을 만 족시키는 동시에 꽤 공격적이고 성공적인 경제개발 모델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외 부성(환경비용)과 비싼 환경이익을 어떻게 상품과 서비스에 내부화시킬 수 있는지 등은 생태학적 근대 화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공기오염(특히 아황산가스는 신흥공 업국에서 배출하는 전형적인 가스), 교통관리, 산 업폐기물 등이 있으며 이는 아주 중요한 문제입니 다.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동아시아 지역 내의 국가나 그외 지역과의 관계라고 생각합 니다. 제가 동아시아를 보고 느낀 바는, 이 지역 내 에 아주 빠른 경제성장을 이루는 국가들이 있습니 다만, 그들이 얻은 경제개발이 얼마나 해외 혹은 동 아시아 내 다른 국가의 자원에 의존하고 있는가가 아주 중요한 이슈라는 것입니다. 일본의 동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자원의존(특히 수산업자원과 삼림 목재)은 좋은 사례이지요. 그러므로 동아시아의 지 속가능성은 국제적인 측면이 크게 존재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마이클 레드클리프트의 주요 저서 및 논문

Michael Redclift. 1984. Development and the Environmental Crisis:

Red or Green Alternatives?. Routledge

Michael Redclift. 1987. Sustainable Development: Exploring the Contradictions. Routledge

David Goodman and Michael Redclift. 1991. Refashioning Nature:

Food, Ecology and Culture. Routledge

David Goodman and Michael Redclift(eds.). 1991. Environment and Development in Latin America: Politics of Sustainability.

Manchester University Press

Michael Redclift and Ted Benton(eds.) 1994. Social Theory and the Global Environment. Routledge

Michael Redclift and Colin Sage(eds). 1994.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Local Agendas for the Southern Hemisphere. John Wiley and Sons

Michael Redclift and Graham Woodgate(eds.). 1995. The Sociology of the Environment Vol. 1~Vol. 3. Edward Elgar

Michael Redclift. 1996. Wasted: Counting the Costs of Global Consumption. Earthscan

Michael Redclift and Graham Woodgate(eds.). 1997.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Edward Elgar

Michael Redclift. Joseph N. Lekakis. and George P. Zanias(eds.).

1998. Agriculture and World Trade Liberalisation: Socio- environmental Perspectives on the Common Agricultural Policy. CABI Publishing

Michael Redclift(eds.). 1999. Sustainability: Life Chances and Livelihoods. Routledge

Edward A. Page and Michael Redclift(eds.). 2002. Human Security and the Environment: International Comparisons. Edward Elgar

Michael Redclift. 2004. Chewing Gum: the fortunes of taste.

Routledge

Michael Redclift(eds.). 2005. Sustainability: critical concepts in the social sciences. Routledge

Michael R. Redclift and Graham Woodgate(eds.). 2005. New Developments in Environmental Sociology. Edward Elgar Michael Redclift. 2006. Frontiers: histories of civil societies and

nature. The MIT Press

(15)

limited knowledge) really around how to meet higher environmental standards while at the same time pursuing a quite aggressive (and successful) economic development model. Therefore I would say that the main environmental problems would be perhaps described as ecological modernisation how to internalise the externalities and what could be done to make products and services carry costly environmental benefits.

For example, air pollution (sulphur dioxide is the classic gas that is emitted from newly industrialising countries), traffic management, and industrial wastes are such issues. So I imagine these are the main problems. But I think, above all, the main issue is probably the relationship with the rest of the region. My impression on East Asia is that some economies are growing very rapidly, therefore how much of the resources that these rapidly growing economies are dependent upon are gained from overseas or from other countries in the region is the critical question. Japan’s great resource dependency on neighbouring East Asian countries is a good example for this (like fish and timber products). Therefore, there is a huge international dimension to sustainability in East Asia.

참조

관련 문서

L097-1 Fisheries Commission Delegated Regulation (EU) 2016/568 of 29 January 2016 sup plementing Regulation (EU) No 1303/2013 of the European Parliament a nd of the

Commission Regulation (EU) 2017/492 of 21 March 2017 amending Regul ation (EC) No 883/2004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n the coordination of social

L69-1 Customs Commission Delegated Regulation (EU) 2016/341 of 17 December 2015 s upplementing Regulation (EU) No 952/2013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L019-1 Energy Commission Delegated Regulation (EU) 2016/89 of 18 November 2015 a mending Regulation (EU) No 347/2013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 f the Council as

Council Decision (EU) 2015/904 of 17 December 2014 on the signi ng and provisional application, on behalf of the European Union, o f the Protocol to the

It gives an overview of existing equivalence clauses in some key EU banking and financial legislation and of equivalence decisions adopted by the European Commission

Funding Commission Implementing Regulation (EU) No 288/2014 of 25 February 2014 laying down rules pursuant to Regulation (EU) No 1303/2013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Environment Council Decision (EU) 2015/146 of 26 January 2015 on the signing, on behalf of the European Union, of the agreement between the European Union and its Mem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