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rotein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rotein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대사증후군은 인슐린 저항성 및 복부비만, 고혈당, 고혈압, 고중성 지방혈증,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저하가 동시에 발현이 되는 대사장애의 집합체로,1) 2005년 국내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대 사증후군의 유병률은 30세 이상 남자에서 32.9%, 30세 이상 여자에 서 31.8%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2) 게다가 동양인은 서양인에 비해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낮은 경우에도 대사질환 및 심 혈관 질환의 이환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3) 우리나라에서도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관리는 중요한 건강 문제가 되고 있다. 전통 적으로 쌀을 주식으로 고 탄수화물 식이를 하는 우리나라는 최근 30년 동안 탄수화물 에너지 비는 감소한 반면 단백질과 지방의 에너 지 비가 증가추세에 있다고 알려져 있다.4) 영양소 섭취상태와 만성

질환 유병률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되는 가운데, 대사증 후군과 탄수화물 에너지 비 관련성,5) 식물성 지방 섭취와 대사증후 군의 역의 관련성6) 등이 보고된 바 있으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단 백질 섭취량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 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이 없는 대한민국 성인을 대 상으로, 단백질 섭취와 새롭게 발생되는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방 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07년 1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종합 검진센터에서 검진 프로그램을 수진한 만 20세 이상 80세 이하의 수

Brief

Communication

대한민국 성인에서 단백질 섭취와 대사증후군의 관계

제상준*, 이지은, 김지현, 이경실, 김수경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rotein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Sang Joon Ze*, Ji Eun Lee, Ji Hyun Kim, Gyung Sil Lee, Su Kyung Kim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Background: The effect of dietary protein intake on the risk of newly-onset metabolic syndrome remains unclear.

Methods: We obtained data from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2007 and 2014 (7 years).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1,627 healthy adults without a diagnosis of hypertension, diabetes, or hyperlipidemia at their first visit. Dietary protein intake was obtained from a 1-day food record and quantified by using the low-carbohydrate, high protein score. We performed multivariate analys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rotein intake and new-onset metabolic syndrome.

Results: During follow-up, with a median period of 20.7 months, we found 158 cases (9.7%) of metabolic syndrome confirm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and blood test results. Dietary protein intake had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new-onset metabolic syndrome.

Conclusion: Dietary protein intake had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new-onset metabolic syndrome.

Keywords: Diet; Protein Intake; Metabolic Syndrome; Food Record

https://doi.org/10.21215/kjfp.2017.7.3.451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7;7(3):451-455

KJFP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Received July 19, 2016 Revised September 21, 2016 Accepted September 29, 2016

Corresponding author Sang Joon Ze Tel: +82-2-2112-5643, Fax: +82-2-2112-5794 E-mail: dreaming-mail@hanmail.net

Copyright © 2017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 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Sang Joon Ze, et al. Association between Protein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최소 6개월 이상 간격을 두고 2번 이 상 검진을 받은 수진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번 이상 내원한 3,154명의 대상자 중에서 첫 방문 시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고혈 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만성질환에 의한 약물치료중인 경우, 그리 고 식습관이 바뀔 수 있는 대상자는 제외를 하였다. 최종적으로 대 사증후군이 없는 1,627명의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시험 심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받은 후 진행하였다(IRB No. 1505-025-670).

2. 자료의 수집 및 변수

식이 섭취 조사는 1차 방문 시 1명의 숙련된 영양사에 의해 24시간 회상법을 사용하여 1일간의 모든 음식의 종류와 그에 따른 재료의 종류와 분량을 기록하였고, 영양평가 프로그램 CAN-Pro 3.0 (com- puter-aided nutrient analysis program; Korea Nutrition Society, Seoul, Kore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키와 체중은 검사 당일 가벼운 가운 만 입고 측정하였으며, 이로부터 BMI를 산출하였다. 허리둘레는 줄 자를 이용하여 장골능과 늑골의 하한선의 중간부위를 측정하였으 며, 혈압은 충분한 휴식시간 후 자동혈압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조사 전날 저녁부터 다음날 아침까지 12시간 이상 금식한 후에 혈액 을 채취하였고, 이를 혈청 자동분석기(Architect c8000; Toshiba Inc.,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신체 활동의 경우 중증도 이 상의 신체활동을 30분 이상 그리고 1주일에 3회 이상인 경우에 정기 적으로 운동을 하는 그룹으로 분류를 하였다.

3. 대사증후군 진단

처음 종합검진 받은 후, 6개월 이상의 간격으로 종합검진을 다시 받은 수진자의 혈액검사 및 신체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새롭게 발생 된 대사증후군을 진단하였다.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의 Adult Treatment Panel III7)에서 제시한 기 준을 사용하고, 허리둘레는 동양인임을 감안하여 세계 보건기구 아 시아 태평양 기준8)에서 제시한 권고기준을 사용하였다. 다음 중 세 가지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대사증후군으로 분류하였다: ① 허리 둘레, 남성은 >90 cm, 여성은 >80 cm; ② 중성지방(triglyceride), 150 mg/dL 이상; ③ 고밀도지질단백(high density lipoprotein, HDL), 여성 은 50 mg/dL 미만, 남성은 40 mg/dL 미만; ④ 혈압, 130/85 mmHg 이상;

⑤ 공복혈당, 100 mg/dL 이상.

4. 분석 방법 및 통계처리

연구 대상의 기본특성 조사를 위해 통계를 시행하기 위해 Tricho-

poulou 등9)이 제안한 low-carbohydrate, high-protein (LCHP) score를 이용하였다. 단백질 식이량을 수치화하는 여러 점수 체계 중 한 가지 방법으로, 열량으로 보정 처리한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섭취량을 각 기 10분위수로 나누어, 탄수화물에는 내림차수를, 단백질에는 오름 차수의 숫자를 부여한 후 합산하였다. 이에 따른 LCHP score는 2–20 점으로 분포를 하고 있으며, 이 점수의 증가는 단백질 섭취분율의 증 가 및 탄수화물 섭취분율의 감소를 의미한다. 이 점수들을 저섭취 군(low, 2–9점), 중간섭취군(medium, 10–13점), 고섭취군(high, 14–20 점)의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단백질 섭취량과 대사증후군의 관계분석을 위해서 나이, 성별, BMI 등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 석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세 가지 범주 간의 비교를 위해 교차비 (odds ratio)를 확인하였다. 모든 통계적 처리는 STATA MP software ver. 14.0 (Stata Co., College Station, TX, USA)을 이용하였다. P-value

<0.05인 경우 통계적 유의성이 있다고 정의하였다.

결 과

1.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Table 1은 첫 내원 시 대사증후군이 없었던 연구대상자 1,627명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해 본 결과이다. LCHP score를 이용하여 점수화 하였고, 이를 저섭취군, 중간섭취군, 고섭취군의 3범주로 나누어 분 석을 하였다. 남자 930명, 여자 697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평 균 연령은 50.1세였으며, 규칙적으로 운동을 시행하는 대상자는 66.7%로 조사되었다. LCHP score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 연령 및 규칙 적으로 운동을 하는 인구 비율은 반면에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또한 LCHP score가 증가함에 따라 허리둘레,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공 복혈당 및 중성지방이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평균 20.7개월 의 경과관찰 기간을 가졌으며, LCHP score 각각의 범주마다 64명 (10.6%), 58명(10.5%), 36명(7.7%)이 발생하여 총 158명(9.7%)에게서 대 사증후군이 발병된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1).

2. Low-carbohydrate, high-protein score에 따른 새로 발생되는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간의 교차비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나이와 BMI, 성별, 섭취 에너지량을 보정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LCHP score 저섭 취군을 기준으로 교차비를 측정하였으며,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 석 시 중간섭취군에서 0.99배, 고섭취군에서 0.70배의 교차비가 확인 이 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같은 방법으로 나이, 성 별, BMI 등을 반영한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중간섭취군에서 1.04배, 고섭취군에서 0.79배의 교차비가 확인되었으며, 역시 통계적

(3)

제상준 외. 대한민국 성인에서 단백질 섭취와 대사증후군의 관계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대사증후군의 개 별 구성요소인 혈압, 공복혈당, 중성지방, HDL, 허리둘레 및 LCHP score 간의 회귀분석을 통하여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Table 2에서 첫 방문 시 공복혈당이 100 mg/dL 미만이었던 1,286명을 확인하였고, 재내원 시 시행한 검사에서 233명에게서 공복혈당이 100 mg/dL 이 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1,286명의 공복혈당과 LCHP score 간

의 교차비를 확인하여 개별 요소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러 한 방식으로 개별요소들을 분석을 하였다. 고중성지방혈증과 LCHP score 간에 경도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P-value=0.07로 유의미 하지 않았으며, 나머지 구성요소 또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 다(Table 2).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according to LCHP score

Characteristic LCHP score*

Total P-value Low (2–9 points) Medium (10–13 points) High (14–20 points)

Subject (male %) 605 (97.4) 552 (53.8) 470 (8.1) 1,627 (56.9) <0.001

Age (y) 50.6±9.3 50.2±8.7 49.3±8.5 50.1±8.9 0.059

Follow-up (mo) 20.6±12.4 20.9±12.6 20.6±12.5 20.7±12.5 0.086

Regular physical activity 68.9 66.9 63.5 66.7 0.498

Alcohol (g/wk) 54.9±147.7 54.2±206.4 21.1±53.9 47.1±152.7 0.031

Body mass index (kg/m2) 23.8±2.5 22.9±2.5 21.7±2.6 22.9±2.7 0.009

Waist circumference (cm) 85.9±6.5 82.8±7.1 80.1±7.1 83.2±7.3 0.003

Systolic blood pressure (mmHg) 116.3±13.1 114.5±13.8 110.8±15.2 114.3±14.2 0.003

Diastolic blood pressure (mmHg) 76.9±9.8 75.0±10.2 72.5±11.0 74.9±10.5 0.005

Glucose (mg/dL) 94.9±11.3 93.6±11.0 91.0±11.4 93.3±11.3 0.133

Triglyceride (mg/dL) 104.6±50.5 94.7±49.5 80.8±32.5 94.4±46.8 0.182

HDL-C (mg/dL) 52.8±11.9 57.3±13.6 63.5±14.9 57.4±14.2 0.654

New metabolic syndrome 64 (10.6) 58 (10.5) 36 (7.7) 158 (9.7) 0.003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mean±standard deviation, or percent only.

LCHP, low-carbohydrate, high-protein;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CHP score was calculated separately for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P-values were calculated from ANOVA for continuous variables or from chi square test for cat- egorical variables. Defined as people who exercised more than 3 times a week, more than 30 minutes each.

Table 2.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for newly onset metabolic syndrome and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by LCHP score

Variable LCHP score*

P-value Low (2–9 points) Medium (10–13 points) High (14–20 points)

Metabolic syndrome (158/1,627)

Model 1 1.00 (reference) 0.99 (0.68–1.44) 0.70 (0.45–1.07) 0.19

Model 2 1.00 (reference) 1.04 (0.71–1.51) 0.79 (0.51–1.24) 0.09

High BP (≥130/85 mmHg) (170/1,289)

Model 1 1.00 (reference) 0.98 (0.66–1.46) 1.31 (0.89–1.94) 0.11

Model 2 1.00 (reference) 0.91 (0.61–1.36) 1.12 (0.75–1.68) 0.32

High FBG (≥100 mg/dL) (233/1,286)

Model 1 1.00 (reference) 0.94 (0.67–1.32) 1.12 (0.79–1.58) 0.54

Model 2 1.00 (reference) 0.91 (0.64–1.29) 1.03 (0.73–1.48) 0.66

High TG (≥150 mg/dL) (174/1,506)

Model 1 1.00 (reference) 1.41 (0.96–2.06) 1.35 (0.91–2.02) 0.07

Model 2 1.00 (reference) 1.32 (0.89–1.95) 1.12 (0.75–1.69) 0.28

Low HDL(male <40 mg/dL, female <50 mg/dL) (114/1,478)

Model 1 1.00 (reference) 0.87 (0.55–1.37) 0.93 (0.58–1.48) 0.37

Model 2 1.00 (reference) 0.91 (0.57–1.45) 1.01 (0.62–1.61) 0.49

High WC(male >90 cm, female >80 cm) (247/1,102)

Model 1 1.00 (reference) 0.93 (0.61–1.35) 1.15 (0.68–1.61) 0.45

Model 2 1.00 (reference) 0.89 (0.58–1.27) 1.08 (0.55–1.37) 0.58

All nutrient intakes are energy-adjusted by residual method.

LCHP, low-carbohydrate, high-protein; BP, blood pressure; FBG, fasting blood glucose; TG, triglyceride; HDL,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C, waist circumfer- ence; Model 1, univariate; Model 2, adjusted for age, sex, body mass index and total intake of energy.

*LCHP score was calculated separately for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P-values were calculat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4)

Sang Joon Ze, et al. Association between Protein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고 찰

대사증후군에 있어 단백질 섭취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태 이다. 대사증후군 임상지침10)에 따르면 탄수화물의 섭취를 줄이거 나 포화지방산의 섭취를 줄일 것을 권고하고 있으나 단백질 섭취에 대한 지침은 없는 상태이다. 타 논문11)에서도 이러한 사항이 언급되 고 있으며 대략적으로 전체 칼로리의 10%–35%로 단백질 섭취를 권 한다고 언급을 하였다.

그래서 이번 연구는 단백질 섭취와 대사증후군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게 되었으며, 단백질 섭취의 정량적인 접근을 위해 LCHP score를 적용하게 되었다. 동일한 방법을 이용한 스웨덴에서 시행된 두 개의 코호트 연구에서 명확하지 않으나 사망률 증가와 연관이 있 으며,12) 또한 여성에 있어서 심혈관 질환 위험도의 증가와13)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을 다룬 연구결 과를 확인하기는 어려웠다. 이번 연구에서 LCHP score를 이용하여 무병상태의 대한민국 성인을 대상으로 6개월 이상의 간격을 두고 종 합검진을 받은 환자를 추적 관찰하여 대사증후군의 발생유무를 확 인하게 되었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양상은 확인할 수 없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에서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 가 있으나14) 우리나라와 미국의 식습관에 큰 차이가 있기에 주의 깊 게 수용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진다. 첫째, 수진자별 영양 평가 조사 방법이 개인의 회상에 기반한 기록으로 진행되었기 때문 에 기억의 오류 가능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둘째, 여성의 경우 폐경 후 여성은 정상 노화 과정과는 독립적으로 폐경 전 여성에 비 해 복부둘레, 수축기 혈압, 맥압,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HDL의 증가가 있으며, 그리고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1.6배 높다고 알려져 있으나,15) 이를 반영하지 못한 점에서 한계가 있다. 셋째, 본 병원에서 검사를 받는 수진자들은 우리나라 일반인구에 비해 단백질, 지방의 섭취비중이 높아,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제한사항이 있다.16) 넷째, LCHP score는 극지방에서 지중해식 식이와 질환과의 연구를 위해 개발된 점수체계 중 하나로,17) 점수의 범위 중에서 양 극단이 아닌 중 간값의 경우에서 다양한 조합이 발생될 수 있음을 감안하여 수치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식이 습관의 문화적 차이 및 영양 전이 등의 요소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렇지만 이번 연구는 단백질 섭취와 대사증후군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LCHP score를 이용하여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장점 이 있으며, 대사증후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환을 처음부터 배제 하여 보다 직접적으로 연관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 것도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연구의 결과로 식이 단백질 섭취량과 새롭게 발생되

는 대사증후군이 연관성이 명확하지 않다고 결론지을 수 없으나 향 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이에 대한 관련성을 찾는 연구 및 한국인 에 더욱 적합한 점수체계를 개발하는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요 약

연구배경:

새로 발생되는 대사증후군에서 단백질 섭취의 영향력은 아직 불명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법:

2007-2014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종합검진센터의 수검자 데 이터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1,627명이었으며, 첫 내원 시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이 없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 이 섭취정보는 24시간 회상법을 통한 1일간의 모든 음식 섭취를 기 록에서 획득하였다. 단백질 섭취량을 수치화하기 위하여 LCHP score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다변량 분석을 통하여 단백질 섭취와 새 로 발생되는 대사증후군의 관계에 대해 확인하였다.

결과:

평균적으로 20.7개월 동안 경과를 관찰하였으며, 혈액 검사 및 진찰을 통해 158명(9.7%)에서 새로 대사증후군이 발생됨을 확인하 였다. 그러나 식이 단백질 섭취량과 새로 발생되는 대사증후군에 연 관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식이 단백질 섭취량과 새로 발생되는 대사증후군에 명확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중심단어:

식이섭취; 단백질 섭취; 대사증후군; 식이기록

REFERENCES

1. López-Candales A. Metabolic syndrome X: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pathophysiology and recommended therapy. J Med 2001; 32: 283-300.

2. Min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 vention.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 vey (KNHANES III).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3. Park HS, Ou SW, Kang JH, Park YW, Choi JM, Kim YS, et al.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with metabolic syndrome in South Korea. Korean J Obes 2003; 12: 1-14.

4. Yoo HJ, Kim YH.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utrient intake in meta- bolic syndrome subjects. Korean J Nutr 2008; 41: 510-7.

5. Jung HJ, Song WO, Paik HY, Joung H. Dietary characteristics of macronutri- ent intake and the statu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s. Korean J Nutr 2011; 44: 119-30.

6. Um YJ, Oh SW, Lee CM, Kwon HT, Joh HK, Kim YJ, et al. Dietary fat intake and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 Fam Med 2015; 36: 245-52.

7.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 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5)

제상준 외. 대한민국 성인에서 단백질 섭취와 대사증후군의 관계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

Circulation 2002; 106: 3143-421.

8.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adef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Health Communications Aus- tralia; 2000.

9. Trichopoulou A, Psaltopoulou T, Orfanos P, Hsieh CC, Trichopoulos D.

Low-carbohydrate-high-protein diet and long-term survival in a general population cohort. Eur J Clin Nutr 2007; 61: 575-81.

10. Kang HT, Kim SY, Kim J, Kim J, Kim J, Park HA,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 line of prevention and treatment for metabolic syndrome. Korean J Fam Pract 2015; 5: 375-420.

11. Kim MK, Park JH. Metabolic syndrome. J Korean Med Assoc 2012; 55:

1005-13.

12. Nilsson LM, Winkvist A, Eliasson M, Jansson JH, Hallmans G, Johansson I, et al. Low-carbohydrate, high-protein score and mortality in a northern

Swedish population-based cohort. Eur J Clin Nutr 2012; 66: 694-700.

13. Lagiou P, Sandin S, Lof M, Trichopoulos D, Adami HO, Weiderpass E. Low carbohydrate-high protein diet and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s in Swedish women: prospective cohort study. BMJ 2012; 344: e4026.

14. Pasiakos SM, Lieberman HR, Fulgoni VL 3rd. Higher-protein diets are as- sociated with higher HDL cholesterol and lower BMI and waist circumfer- ence in US adults. J Nutr 2015; 145: 605-14.

15. Kim HM, Park J, Ryu SY, Kim J. The effect of menopause on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wome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 tion Examination Survey, 2001. Diabetes Care 2007; 30: 701-6.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 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2014.

17. Preedy VR, Watson RR. The mediterranean diet: an evidence-based ap- proach. San Diego (CA): Elsevier Publishers; 2015. p. 579-96.

수치

Table 2.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for newly onset metabolic syndrome and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by LCHP score

참조

관련 문서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control in Korean adults: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Association of stress

본 연구는 EU에서 진행되는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 건축물의 속성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리모델링 기술 그리고 에너지 절감 성능이라는 세 요인 간의

In this paper, we introduce different types of software reliability models and propose a sequential probability ratio test as a technique for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with Diabetes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Sarcopenia among all adul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vitamin D level among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Serum uric acid levels and risk for vascular disease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if the metabolic syndrome in a Turkish

이를 위해 최적 활성탄화 조건은 활성탄화 온도, 수증기 주입량, 활성탄화 시간, 건조슬러지 주입량을 운전 영향변수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