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 수학능력 실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 수학능력 실태"

Copied!
16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기본연구 99- 30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 수학능력 실태

연구책임자 : 조 은 상

자 : 강 종 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목표가 종국 교육이냐 계속 교육이냐라는 논쟁은 과거 10여년간 계속되어 왔으나 종국 교육적 측면과 계속 교육적 측면을 동 시에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실업계 학생들이 이 두 가 지의 교육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 학업능력을 얼마나 갖고 있는가의 연구는 거의 부재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 수학 능력의 개념 을 전문교과를 학습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함으로써 그 토대가 된다고 할 수 있는 국어, 영어 및 수학 교과목에 대하여 학생들의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1,700명의 학생 및 200여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시험 결과 및 설문 자료 는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시발점 행동 연구의 초석이 될 수 있으리라 여 겨진다. 이 보고서의 분석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실업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기 초 수학 능력은 매우 낮았으며 자신에 대한 인식도는 더욱 낮았다고 할 수 있다. 산업인력의 기본이 되는 실업계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부여하고 기초수 학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시된 교육개선 방안은 매우 시기 적절한 것으 로 사료된다. 단기 전략으로서 제시된 방안으로서 최저 통과 점수에 미달하 는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국어, 영어 및 수학 보충교재를 개발하고 이에 터한 보충 학습 실시 및 국어, 영어 및 수학 교사들과 이들 교과목과 연관된 전공교과 교사들과의 공동 연수를 통하여 새로운 교사 및 학습 방법 개발, 통합 교과 및 교과서 개발은 정책적인 실현 가능성을 즉각 고려해 볼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연구진이 수행한 실업계 고등학교의 기초수학능력 실태에 대한 연구가 우 리 나라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수학능력 향상에 대한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켜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산업일꾼을 양성하는 데 일조할 수 있

(3)

기를 기대한다. 이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큰 도움을 주신 교육부의 관계 자 여러분, 자문 연구진으로 수고하신 임인제 교수 및 남명호 박사에게 감사 를 드린다. 아울러 새로운 접근 방법을 통하여 실태분석을 성실하게 수행한 연구진 여러분의 노고를 치하하는 바이다. 1999년 12월

한 국직 업 능력 개 발 원

원장

(4)

【 연구 요약 】

1 . 연구의 개요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수학 능력과 수업 실태 등을 파악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개선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연구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방법으로는 관련 문헌 및 자료 분석, 현장 출장 및 면담조사, 전문가 협의진 운영, 국어, 영어, 수학에 대한 기초 수학 능력검사 및 학생과 교사의 인식 조사를 위한 기초 수학 능력 실태 조사 등이었다. 관련 문헌 조사를 통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 수학 능력의 개념 은 전문교과를 학습할 수 있는 능력으로 한정하였으며, 현장 출장 및 면담조 사를 통하여 실업계 고등학교의 수업 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유 용한 의견을 들었다. 전문가 협의진 운영을 통해서는 연구 방향 및 개선방향 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수학 능력을 파 악하기 위해서 전국 1,700여명의 학생들에게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방향과 교과 과정 개선을 위한 설문을 학생과 교사들에게 실시하였다. 특히, 국어, 영어 및 수학 과목의 시험을 통해 얻어지는 학생들의 점수를 해석하기 위하여 최저 통과 점수를 설정하였다. 이때, 최저 통과 점수란 실업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전문 교과를 학습 할 수 있는 최저 능력에 해당되는 점수라고 정의되었으며 에벨(Ebel)의 방법 을 사용하여 일선 실업계 교사들에 의해 설정되었다. 이를 통해 실업계 고등 학교 학생들의 기초 수학 능력을 파악하는 중요한 잣대가 마련되었다. 2 . 기초 수학 능력 국어, 영어, 수학 과목에 한정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수학 능 력을 측정한 결과, 국어는 17% , 영어는 35% , 수학은 57%의 학생들이 전문교

(5)

과를 학습할 수 있는 최저 통과 점수에 미달하였다. 정상적인 경우 5%의 학 생들만이 최저 통과 점수에 미달한다는 전문가의 견해에 비춰 보면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수학 능력은 국, 영, 수 교과 모두 심각한 정도로 낮 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계열별로 보면 상업계열 학생들의 기초 수학 능력 이 가장 높았고, 공업계열의 학생들이 그 다음, 그리고 실업, 농업계열에 이어 서 마지막으로 수산・해운계열 학생들의 기초 수학 능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기초 수학 능력이 국, 영, 수 모두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중소 도시보다는 대도시 학생들 의 기초 수학 능력이 국어, 영어, 수학 모든 교과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 기초 수학 능력에 대한 인식 실업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기초 수학 능력에 대한 학생과 교사들의 인식은 매우 낮았다. 자신의 기초 수학 능력을 고등 학교 1학년 수준 이라고 응답한 학생은 국어교과 24% , 영어교과 9% , 수학교과 9%에 지나지 않았다. 전문교과를 학습할 수 있는 최저 통과 점수에 도달한 학생의 비율과 비교해 보았을 때,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자신의 기초 수학 능력에 대해 매우 낮은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을 기초로 하여 학생들 의 약 40%는 졸업 후 전망에 대해 기초 수학 능력은 다소 부족하지만 자기 전공 분야에 취업하여 직무를 수행하는 데 별 지장이 없을 것이다 , 22%가 기초 수학 능력은 다소 부족하지만 (전문)대학 진학에는 별 지장이 없을 것 이다 라고 응답하였다. 4 . 기초 수학능력 관련 변인의 분석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과운영 실태를 보면, 국어, 영어, 수학 및 전문교과 교 사들의 약 70%는 교과서가 학생들의 수준과 필요에 맞지 않아서 교과서를 재편집하거나 일부분만을 선택하여 수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학생들의 국어, 영어, 수학 교과목에 대한 학습 욕구, 흥미, 수업 시간 집중 정도, 이해도 등을 조사한 결과, 대체로 이들 교과목에 대한 학습 욕구, 흥미, 수업 시간 집중 정도, 이해도 등이 모두 낮았으며, 더욱이 교사들이 생각하는 학생들의 학습 욕구, 흥미, 수업 시간 집중정도, 이해도 등은 더 낮아 실업계 고등학교의 기초 교과목인 국어, 영어, 수학의 수업 현장이 침체되어 있음을 보여 주었다. 기초 수학 능력 향상을 위한 학생 개인의 노력을 보면 대부분의 학생들이 학교 정규 교육 외에는 학습 기회를 갖고 있지 않으며, 예습・복습도 거의 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실 붕괴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졸업 후 계획을 보면, 62%의 학 생들이 졸업 후 진학(38% ), 혹은 취업 후 대학 진학(20% ) 등의 의사를 보임 으로써 이들 학생들의 기초 수학능력이 증진되지 않고 대학 입학이 가능하다 면 대학, 특히 전문대학의 교실 붕괴도 조만간 예기된다. 5 . 기초 수학능력 관련 교과서 개선 요구 실업계 고등학교의 학생과 교사들의 교과서 개선 요구를 보면, 첫째, 국어, 영어, 수학 교과서 내용에 대해서 약 과반수 정도의 학생들과 교사들의 80% 이상이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맞도록 바뀌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 긍 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둘째, 국어, 영어 수학 교과서의 수준에 대해서는 약 60%~70% 정도의 학생들과 교사들의 90% 정도가 교과서가 좀 더 쉬어져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국어, 영어 수학 교과서의 분량에 대해서는 약 60% 의 학생들과 교사들의 약 90% 가 교과서의 분량이 줄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넷째, 국어, 영어 수학 수 업시간의 수에 대해서는 60% 정도의 학생들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의견에 대 해 부정적으로 응답하였으며, 교사들의 80% 이상은 수업시간 확대에 대해 긍 정적으로 응답하여 반대되는 입장을 보였다. 다섯째, 통합 교과서 개발에 대 해서는 공업계열의 학생 45% , 상업 및 실업 계열의 학생 34%와 교사들의

(7)

57%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여섯째, 실업계 고등학교용 교과서의 개발에 대해서는 전체 계열의 과반수 이상의 학생들과 교사들의 85%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6 . 제언 및 활용방안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수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개선 방안으로는 즉각 실행해야 하는 단기 전략과 수년간의 연구와 의견수렴을 거 쳐 정립해야 하는 중장기 전략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기초 수학능력 증진을 위한 단기 전략으로서는 현재 최저 통과 점수에 미달하는 실업계 고 등학교 학생을 위한 국어, 영어 및 수학 보충교재를 개발하고 이에 기초한 보충 학습 실시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국어, 영어 및 수학 교사들과 이들 교과목과 연관된 전공교과 교사들과의 공동 연수를 통하여 새로운 교사 및 학습 방법 개발 및 통합 교과 및 교과서 개발이 우선적으로 실시될 필요 가 있다. 실업계 학생들의 기초수학능력을 향상시키는 중장기 전략으로서는 졸업인증제 혹은 계열별 수능시험 개발을 통하여 기존의 졸업자동제, 유급 및 낙제 금지란 제도적 장치의 결함을 보완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마지막 으로 계열별 특성을 고려한 국어, 영어 및 수학 교과과정 및 교과서 개발도 장기적인 안목에서 생각하여 볼 수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수학능력을 파악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계열별 국어, 영어 및 수학 교육 과정 및 교과서 개발에 기여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학습효과를 증가시켜 산업체 및 국가가 요구하는 인력을 양성할 수 있다.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수학 능력 실태 조사는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 과정, 특히 성취 기준, 평가 기준 및 등급화 방안의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산업 현장에서 일 할 때 필요한 직업 기초능력, 특히 영어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 수리 능력 및 언어 및 의사표현 능력의 수준을 설정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8)

차 례

연구요약

I . 서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2 3. 연구의 방법 4 4. 연구의 한계 12

II . 이론적 접근

13 1. 시발점 행동 (en t ry b eh av ior )의 개념 13 2.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및 선행 연구 14 3. 기초 수학능력 개념 15 4. 수학 능력 평가 선행 연구 17 5. 최저 통과 점수 설정 방법론 21

III . 실태 조사 분석 결과

27 1. 기초 수학능력 27 2. 기초 수학능력 인식 39 3. 기초 수학능력 관련 변인의 분석 47 4. 기초 수학능력 관련 교과서 개선 요구 71

IV . 결론 및 제언

93 1. 연구 요약 93 2. 제언 96

(9)

3. 활용방안 102

참고문헌

105

A B S T RA CT

109

(10)

표 차 례

< 표 I- 1> 학생용 설문의 내용 7 < 표 I- 2> 교사용 설문의 내용 9 < 표 I- 3> 학생 계열별 표본집단 구성 11 < 표 I- 4> 교사 과목별 표본집단 구성 11 < 표 I- 5> 최저 통과 점수 설정에 참여한 교사들 교과별 구성 12 < 표 III- 1>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평균 27 < 표 III- 2> 교사들에 의해 설정된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최저 통과 점수 28 < 표 III- 3>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최저 통과 점수 도달 비율 28 < 표 III- 4> 계열별 기초 수학능력 차이 검증 30 < 표 III- 5> 계열별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최저 통과 점수 도달 비율 31 < 표 III- 6> 진학동기별 기초 수학 능력 차이 검증 33 < 표 III- 7> 지역별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최저 통과 점수 도달 비율 35 < 표 III- 8> 성별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최저 통과 점수 도달 비율 37 < 표 III- 9> 아버지의 학력에 따른 자녀의 기초 수학능력의 차이 검증 38 < 표 III- 10>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자녀의 기초 수학능력의 차이 검증 39 < 표 III- 11> 학생과 교사의 국어과목에 대한 기초 수학능력 인식 40 < 표 III- 12> 학생과 교사의 영어과목에 대한 기초 수학능력 인식 41 < 표 III- 13> 학생과 교사의 수학과목에 대한 기초 수학능력 인식 42 < 표 III- 14> 최저 통과 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기초 수학능력 인식 43 < 표 III- 15> 학생과 교사가 예상하는 졸업 후 전망 45 < 표 III- 16> 최저 통과 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졸업 후 전망 46 < 표 III- 17> 국어, 영어, 수학 교과의 전문교과 학습에 대한 유용성 48 < 표 III- 18> 최저 통과 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국어, 영어, 수학 교과의 전문교과 학습에 대한 유용성 49 < 표 III- 19> 교과서를 재편집하거나 일부분만을 선택한 수업 여부 50 < 표 III- 20> 학생참여의 수업방법 사용 여부 52 < 표 III- 21> 최저 통과 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교과에 대한 학습욕구 56 < 표 III- 22> 최저 통과 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교과에 대한 흥미 59

(11)

< 표 III- 23> 최저 통과 점수도달 여부에 따른 교과 수업시간의 집중 63 < 표 III- 24> 수업 내용 이해정도 64 < 표 III- 25> 수업 내용의 이해 부족 원인 65 < 표 III- 26> 최저 통과 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수업 내용 이해도 66 < 표 III- 27> 기초 수학 능력 향상을 위한 학생 개인의 노력 68 < 표 III- 28> 계열별 졸업 후 계획 70 < 표 III- 29> 실업계 교사로서의 긍지 71 < 표 III- 30> 교과서의 내용 개선 73 < 표 III- 31> 최저 통과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교과서의 내용 개선 74 < 표 III- 32> 교과서의 수준 하락 여부 76 < 표 III- 33> 최저 통과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교과서의 수준 하락 여부 78 < 표 III- 34> 교과서의 분량 축소 여부 80 < 표 III- 35> 최저 통과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교과서의 분량 축소 여부 82 < 표 III- 36> 수업 시간의 연장 여부 84 < 표 III- 37> 최저 통과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수업 시간의 연장 여부 85 < 표 III- 38> 통합 교과서 개발의 필요성 여부 87 < 표 III- 39> 최저 통과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통합 교과서의 필요성 88 < 표 III- 40> 실업계 고등학교용 교과서 개발의 필요성 여부 89 < 표 III- 41> 최저 통과점수 도달 여부에 따른 실업계 고등학교용 교과서 개발의 필요성 91

(12)

그 림 차 례

[그림 III- 1] 지역별 기초 수학능력 34 [그림 III- 2] 성별 기초 수학 능력 36 [그림 III- 3] 교과서를 재편집하거나 일부만을 선택하는 이유 51 [그림 III- 4] 학생참여 수업 방법을 채택하지 않는 이유 52 [그림 III- 5] 국어 교과에 대한 학습 욕구 53 [그림 III- 6] 영어 교과에 대한 학습 욕구 54 [그림 III- 7] 수학 교과에 대한 학습 욕구 55 [그림 III- 8] 국어 교과에 대한 흥미 57 [그림 III- 9] 영어 교과에 대한 흥미 57 [그림 III- 10] 수학 교과에 대한 흥미 58 [그림 III- 11] 국어 교과 수업시간의 집중 정도 60 [그림 III- 12] 영어 교과 수업시간의 집중 정도 61 [그림 III- 13] 수학 교과 수업시간의 집중 정도 61 [그림 III- 14] 졸업 후 계획 69

(13)

I . 서

1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실업계 고등학교의 목표가 종국교육이냐 계속 교육이냐라는 논쟁은 계속되 어 왔으나 (김진순, 1985; 이용순, 1991; 장석민, 1987) 종국 교육적 측면과 계 속 교육적 측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노대천, 1993). 하지만 지금까지 실업계의 학생들이 교육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 학업능력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가의 연구가 거의 부재하였으며 시도교육청을 비롯하여 거의 모든 교육행정기관이 실업계 학생들의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나 자료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98년 이후 고등학교 진학자의 경우 원칙적 으로 고입선발고사가 없어져 서울을 제외한 8개 교육청만이 고입선발고사에 참가하였다. 이들의 경우, 인문계 진학자만 선발고사를 치르고 실업계 진학자 는 치르지 않아 공통잣대인 선발 고사에 의한 평가가 불가능하였다. 내신의 경우 지역별로 학교별 격차가 심각하고 실업계 고등학교 진학자의 경우 석차 백분율만 보고되므로 이에 의한 수학능력 평가도 무리가 따르고 있다. 따라 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수학능력 실태에 대한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교에 대한 교육방향 전환과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뿐 만 아니라 현재 진행되고 있는 시범학교 등의 연구를 위해서도 시급하다 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전국적인 규모의 학력평가에 대하여 이종승(1982)은 그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다. 첫째, 합리적인 교육정책을 수립하고 올바른 정 책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전국적인 학력평가는 필요하다. 둘째, 효과적인 장 학지도와 학습지도를 위하여 필요하다. 셋째, 교육과정의 질적 관리를 위하여 필요하다. 넷째, 교육에 관심이 있는 국민들에게 교육현상을 있는 그대로 정 확히 알려 주기 위하여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부응하여 교육적인 관심

(14)

의 사각지대인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 학력 평가는 매우 의미있는 일 이라 할 수 있다. 작금 한국의 학부모들은 교육열이 매우 높을 뿐 만 아니라 전반적인 경제 환경이 개선된 관계로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할 때 대부분 인문계 진학 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개인의 적성과 흥미를 고려하기보다는 성적에 따라 진학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라고 할 수 있다. 즉 성적이 높으면 일반 계열 로, 성적이 낮으면 실업계로 진학하는 추세이며 강기주(1994)의 인문계 고등 학교와 실업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능력시험 비교연구결과도 이를 뒷받침하여 주고 있다. 이러한 수학능력의 차이는 최근에 이르러 더욱 심각 해지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제 4차 교육과정 제정시 모든 국민은 동일 교육 과정을 적용 받을 권리가 있다는 주장에 의하여 일반고와 실업고로 이원화되 었던 교육과정의 통합과 더불어 97년 발표된 교육개혁에 의하여 초등학교 6 년, 중학교 3년 및 고등학교 1년이라는 국민교육 10 학년제도의 도입으로 그 역기능이 나타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실업계 고등학교의 경우 기초 교과 과정에 대한 시간이 인문계에 비하여 현격하게 작은 데에도 불구하고 인문계 와 동일한 교과서 및 교육방법을 활용하고 있어서 현장 및 학계에서 모두 효 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교 교 육 목표 달성을 위한 전문 교과학습에 필요한 기초 교과 중 우선적으로 국 어, 영어, 수학 교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기초 수학능력 수준을 파악하고 국어, 영어, 수학 교과목의 수준과 내용 및 전문교과와의 연계에 대한 교사 및 학 생의 인식정도를 검토함으로써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수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개선 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 . 연구의 내용

연구 내용으로서는 우선 학생들의 기초 수학능력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선 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발점 행동의 개념,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15)

및 그와 관련된 선행연구, 기초 수학능력의 개념 및 전문교과와의 연관성에 대한 선행연구 및 기초자료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실 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 수학능력, 시발점 행동 및 직업기초 능력의 개념 을 재정립하였다.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 수학능력 분석을 위하여 20개 실업계 고등 학교 1700여 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어, 영어 및 수학 시험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국어, 영어, 수학 성적은 현장의 교사들이 의해 설정된 최저 통과 점수(cut - off scor e)를 기준으로 하여 분석되었다.

그리고 계열에 따른 성적차이, 지역에 따른 성적차이, 성별에 따른 성적차 이 및 부모의 학력에 따른 성적차이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 수학능력에 대한 인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 및 학생을 대상으로 국어, 영어 및 수학교과에서 기초 수학능력 인식정도 등을 분석하였다. 실제 측정되는 기초 수학능력과는 별개로 학생 과 교사가 지각하는 학생의 기초 수학능력을 졸업후 취업과 진학을 고려하여 응답하게 하였다 . 실업계 고등학교의 학습 실태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어, 영어 및 수학에 대한 흥미, 학원 수강이나 과외의 정도, 예습 및 복습의 여부 등을 분석하였 다.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전문교과 학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기초 수학능 력 향상 방안을 검토하기 위하여 교사 및 학생및 관련 교과 전문가를 대상으 로 국어, 영어 및 수학교과에서의 개편여부, 내용의 축소 및 실제 시수의 변 화, 보통 교과와 전문교과와 통합 등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이론적 접근과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에 더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 수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개선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체제 접근적 개선방안, 교수・학습적 개선방안 그리고 교육과 정 개발 및 운영 측면에서의 개선방안 등을 탐색하였다.

(16)

3 . 연구의 방법

가 . 관련 문헌 및 자료 분석

이 연구는 실업계 고등 학교 학생의 기초 수학 능력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 하여 시발점 행동, 직업기초능력 및 수학능력에 대한 문헌 및 선행연구물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 여 실업계 고등학교에 대한 각종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나 . 현장 출장 및 면담조사

현지 출장・면담 조사를 통해 구체적이고 상세한 자료 수집, 특히 실업계 고등학교의 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유용한 의견을 듣고 이를 위한 구체적 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1999년 4월 1일~ 2일 사이에 서울과 충청도 지 역에 위치한 실업계 고등학교를 방문하여 면담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 대상 인 실업계 고등학교 학년을 담당하고 있는 국어, 영어, 수학 그리고 전문교과 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 수학 능력 인식 실태 파악 및 기초 수학 능력에 대한 인식을 위한 조사와 이에 관련된 상세한 자 료를 수집하였다.

다 . 전문가 협의진 운영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 평가전문가, 실업계 고등학교 연구진 및 교육부 전 문가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 협의회를 수 차례 개최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학 생의 기초 수학 능력 실태 연구 방향 및 기초수학능력 개념, 기초수학능력에 관한 인식실태, 학습실태, 진학 및 교육과정 개선요인 등에 관한 설문지 검토,

(17)

분석결과 검토, 및 교육과정 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라 . 기초 수학 능력 실태 조사 도구

1 ) 수학 능력 검사 시험지 본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수학 능력을 측정하기 위 해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에서 제작한 국어, 영어, 수학 교과의 시험지를 사용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국어, 영어, 수학 시험지는 중학교 3개년의 교육과정에 기초하되 교과서의 구체적인 내용을 묻기보다는 일반화된 언어능력, 외국어 능력, 그리고 수리 능력을 측정하고 있다. 또 단순한 기억력이나 암기력 위주 의 문항을 지양하고 이해력과 사고력 중심의 평가가 될 수 있도록 출제되었 다([부록1] 참조). 따라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 수학 능력을 측정하 기 위해 별도로 고안된 시험지는 아니지만 본 연구의 대상인 실업계 고등학 교 1학년 학생들의 기초 수학능력을 측정하는 데에는 현재 개발된 도구 중 가장 적절한 시험지라고 할 수 있다. 국어, 영어, 수학 교과는 각 30여 문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어교과는 6문 항의 듣기 평가 문항을 포함하고 있다. 각 교과당 소요 시험시간은 50분이다. 평가도구의 양호도를 보면 문항 내적 일치도인 Cr onbach α 값은 국어, 영 어, 수학 각각 .71, .85, .87로 모두 양호하다. 2 ) 설문지 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수학 능력 실태를 파악함과 동 시에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 방향과 교과과정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학생들과 교사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학생용과 교사용으로 구 분되어 있으며 학생용과 교사용에 동일한 문항을 넣어 학생들의 응답과 교사 들의 응답간의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개발과정에서 기초 수학능력평가와 관 련한 문헌을 고찰하여 유의미한 문항을 추출하였다. 또한 실업계 교사, 실업

(18)

계 고등학교 연구전문가 및 관련 전문가의 검토 및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연 구 방향에 맞게 문항을 추가 및 삭제하였으며, 서울, 경기 및 충청지역의 실 업계 고등학교 현지 방문을 통하여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과과정 실태 파악 및 현장 교사와의 면담을 통하여 제작된 설문지의 안면 타당도를 확보하였 다. 가 ) 학생용 설문의 내용 < 표 I- 1> 와 같이 실업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기초 수학능력 에 대한 인식 실태, 학생들의 학습 실태 및 진학 요인, 실업계 고등학교 교과 서에 대한 의견 및 응답자의 일반 사항 등 4개 영역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 다([부록 2]참조).

(19)

< 표 I- 1> 학생용 설문의 내용 조사 영역 설문내용 설문목적 및 분석 인 식 1 기초 수학능력에 대한 자기 평가 기초 수학능력에 대한 주관적인 자기 평가 2 졸업 후 능력에 대한 자기 평가 졸업 후 능력에 대한 주관적인 자기 평가 3 국・영・수 교과의 전문교과 학습에의 유용성 계열에 따른 전문교과에 유용한 교과 차이 비교 실 태 학 생 4 학습동기 5 학습흥미 6 수업태도 7 비공식적인 학습기회 28의 졸업후 계획에 따른 차이 검증 8 개인학습시간 28의 졸업후 계획에 따른 차이 검증 9 교사에 대한 존경 10 진학동기- 적성 각 계열별로 진학동기 비교- 백분률 11 진학동기- 성적 12 진학동기- 가정형편 13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으로서의 긍지 14 수업내용의 이해정도 15 14의 원인 14의 원인규명 요 구 교 과 서 16 교과 내용 교과에 대한 전반적인 요구사항과 졸업후 계획에 따른 요구 사항의 차이 비교 17 교과 수준 18 교과 분량 19 교과 수업 수 20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통합 학습 21 실업계 고등학교용 교과서의 개발 22 기타 일 반 변 인 23 아버지와의 동거 24 어머니와의 동거 25 아버지 학력 기초 수학 능력과의 상관 26 어머니 학력 기초 수학 능력과의 상관 27 가정의 월 수입 28 졸업 후 계획 졸업후 계획에 따른 기초 수학 능력차이 검증 ◉ 계열 계열에 따른 문항 반응 차이비교 ◉ 성별 성별에 따른 문항 반응 차이비교 ◉ 지역 지역에 따른 문항 반응 차이비교 나 ) 교사용 설문의 내용 < 표 I- 2> 와 같이 실업계 고등학교 1학년 담당 국어, 영어, 수학 및 전문교

(20)

과 교사를 대상으로 기초 수학능력에 대한 인식 실태, 학생들의 학습 실태 및 진학 요인, 실업계 고등학교 교과서에 대한 의견 및 응답자의 일반 사항 등 4개 영역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부록 3]참조).

(21)

< 표 I- 2> 교사용 설문의 내용 조사 영역 설문내용 설문목적 및 분석 인 식 1 학생의 기초 수학능력에 대한 교사의 평가 학생의 기초 수학능력에 대한 주관적인 교사의 평가 2 졸업 후 학생의 능력에 대한 교사의 평가 졸업 후 학생의 능력에 대한 주관적인 교사의 평가 3- 1국・영・수 교과의 전문교과 학습에의 유용성 계열에 따른 유용한 교과 차이 비교 3- 2 전문교과 학습에 필요한 학생들의 기초수학능 력 전문교과교사가 지각하는 학생들의 기초수학 능 력 실 태 교 사 4 자기 개발노력 5 실업계고등학교 교사로서의 긍지 6 학생에 대한 기대- 산업역군으로서의 기대 교사의 학생들에 대한 기대와 관심과 존경의 상 관 7 학생의 취업에 필요한 능력에 대한 관심 14 학생참여방법의 사용여부 14- 1 학생참여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 15 교과과정의 재편집 및 선택 여부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과과정 운영 실태 파악 15- 1 교과과정의 재편집 및 선택 이유 학 생 8 학습동기 교사가 지각하는 수업 분위기 9 학습흥미 10 수업태도 11 수업내용의 이해정도 학생 수준에 맞는 수업 진행 정도 확인 12 실업계고등학교 학생으로서의 긍지 13 교사에 대한 존경 요 구 교 과 서 16 교과 내용 담당 교과에 따른 교과과정요구의 차이 비교 17 교과 수준 18 교과 분량 19 교과 수업 수 20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통합학습 21 실업계 고등학교용 교과서의 개발 22 기타 일 반 변 인 ◉ 계열 ◉ 성별 ◉ 담당교과 ◉ 교육수준

(22)

3 ) 최저 통과 점수 설정을 위한 시험지 문항 평가 조사지 본 연구에서는 최저 통과 점수 설정을 위해 판단자 중심의 방법 중 에벨 (Eb el )의 방법을 사용했다 (임인재, 1996 ). 이 방법은 사용이 쉽고 판단자가 이 해하기 쉬우며, 최저 통과 점수가 문항의 난이도 뿐 아니라 적절성에 의해서 결정되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연구에 사용된 평가 도구가 실업계 고등학 교 학생들의 기초수학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별도로 제작된 시험지가 아니기 때문에 실업계 고등학교의 일선 교사들에게(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 수 학능력을 측정한다는 견지에서) 검사의 적절성을 함께 물을 수 있다는 점에 서 다른 방법들보다 본 연구에 더 적절하다. 에벨(Ebel)의 방법을 통한 최저 점수 설정에 따르면, 먼저 교사는 문항의 난이도와 적합도에 따라 각 문항을 분류한다. 문항의 난이도는 쉬운 문항, 중 간 수준 문항 및 어려운 문항의 세 수준으로 되어있으며, 적합도는 매우 중 요하다 , 중요하다 , 어느 정도 중요하다 , 및 중요성이 의심스럽다 의 네 수 준으로 되어있다. 이것은 3×4=12개의 칸을 가진 표로 나타낼 수 있는데, 교 사는 우선 각 문항을 이 두 측면에 대한 판단에 따라 이 표의 특정한 칸에 배정한다. 다음에 각 칸에 배정된 문항들에 대해서 전문교과를 학습할 수 있 는 최소능력을 가진 실업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이 정답해야 할 비율(정답 률)을 표시한다([부록 4]참조). 기준 점수는 각 칸에 배정된 정답률과 문항수 를 곱한 다음 모두 합하여 산출된다. 그리고 이렇게 산출된 각 교사의 평균 을 구하여 최저 통과 점수를 설정한다. 본 연구에서 국어교과는 1학년 담당 국어교사 34명, 영어 교과는 1학년 담 당 영어교사와 상업계에 한해 상업영어 담당교사 총 33명, 그리고 수학교과 는 1학년 담당 수학교사와 공업계에 한해 공업 전문교과 담당교사 총 36명이 최저 통과 점수 산출을 위해 문항들을 평가하였다.

마 . 표본 집단

전국의 실업계 고등학교 771교의 약 2%에 해당되는 20개 학교의 1학년 학

(23)

생 1700여 명을 대상으로 1999년 4월 15일에서 28일까지 기초 수학능력 검사 와 설문 조사를 동시에 수행하였다. 표본 집단을 추출할 때 기초 수학능력 검사 및 설문 조사의 협조성 및 교육부가 추진하는 다른 연구와의 연계를 고 려하여 시범학교를 포함하여 성별, 지역별 및 계열별로 대체로 안배하려고 노력하였다. 그 결과 남학생 및 여학생의 비율이 각각 49.3% , 50.7%를 차지 하고 있으며 대도시 및 중소도시의 비율은 57.5% 및 42.5%를 점유하고 있다. 기초 수학능력 검사는 실업계 고등학교 선생님들의 협조하에 실시되었으며 설문조사는 연구책임자 및 본원의 책임 연구원의 협조로 수행하였다. 설문지 는 각각 학생용 및 교사용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으며, 수학 능력 검사를 실 시하였던 동일한 학생 1700여명과 동일한 20개 학교의 국어, 영어, 수학 및 전문교과 교사 2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학생과 교사의 표본집단 구성 은 아래< 표 I- 3> 과 < 표 I- 4> 에 제시되어 있다. < 표 I- 3> 학생 계열별 표본집단 구성 (단위: 명) 계열 공업 상업 농업 수산・해운 실업 종합 합계 사례수 비율(%) 491 27.9 534 30.3 289 16.4 187 10.6 255 14.5 5 .3 1761 100 < 표 I- 4> 교사 과목별 표본집단 구성 (단위: 명) 계열 국어 영어 수학 전문교과 합계 사례수 50 42 35 118 245 다음으로 국어, 영어, 수학 교과를 통해 측정되는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 의 점수를 최저 통과 점수를 기준으로 해석하기 위해 기초 수학 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던 동일한 20개 학교의 국어, 영어, 수학 및 전문교과 교사 총 103

(24)

명을 대상으로 최저 통과 점수 설정을 위한 시험지 문항 평가를 실시하였다. 최저 통과 점수 설정에 참여한 교과별 교사들의 구성은 < 표 I- 5> 과 같다. < 표 I- 5> 최저 통과 점수 설정에 참여한 교사들의 교과별 구성 교과 국어 영어 수학 합계 사례수 34 33 36 103

4 . 연구의 한계

첫째, 기초 수학능력 측정을 언어, 수리, 탐구 영역 등의 전 교과를 대상으 로 하지 못하고 국어, 영어, 수학으로 한정하여 연구를 수행했기 때문에 기초 수학능력 측정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제한점이 있다. 둘째, 설문대상 학교, 학생, 교사가 전수 표집이 아닌 20개 학교의 1700여명 의 학생, 250여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셋째,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수학능력에 대한 연구의 미비와 함 께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수학능력을 측정하는 도구가 개발되어 있 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중학교 3개년 과정에 기초하여 제작된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기초 수학 능력을 측정하였다. 넷째, 각 계열별 및 학과별 특성을 감안한 기초수학능력의 잣대의 구분이 없이 분석이 이루어졌다.

(25)

II . 이론적 접근

1 . 시발점 행동 (e n t ry b e h av ior )의 개념

시발점 행동이란 새로운 단원이나 학습과제를 학습하기 전에 학습자가 이 미 획득하고 있는 지식, 기능, 태도 등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은 능력을 포함 한다(임창재, 1995). 첫째, 선수학습능력 또는 선수학습요소라고 불리는 것으 로 단원이나 학습과제의 수업이 이루어지기 전에 반드시 갖추고 있어야 능 력이다. 둘째, 수업 전에 이미 습득하고 있는 능력으로 가정이나 학교에서 획 득한 능력이다. 셋째는 수업과 관련이 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흥미, 성격, 경 험, 배경, 적성, 기능 그리고 학력 등을 들 수 있다. 학습자의 시발점 행동을 학기초, 학년초 혹은 매 단원의 시작 전에 표준화 학력검사, 교사제작 검사, 혹은 관찰 및 체크리스트 등으로 진단하고 출발점 행동의 정도에 따라서 교과 과정을 진행한다면 효과적으로 수업 목표를 달성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발점 행동은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수학능력 의 평가 영역 및 항목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여 줄 것으로 예상된다. 시발행동은 학습자의 종합평가에서 성적의 성취수준이나 질을 결정하는 중 요한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발 행동 중 지적 시발 행동과 정의적 시발 행동이 합하여 성적 변량의 약 65%를 결정한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시발 행동에 대한 정보는 수업의 성공 실패를 좌우하고 나아가 교육정책의 성공 여부를 가름하는 중요한 정보라고 할 수 있다. 더구나 시발 행동이전에 그것을 형성시키는 배경요인인 환경, 특히 가정환경의 영향이 학습환경의 성 적변량을 약 65% 정도 설명해 주고 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황정규, 198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기초 수학능력을 실 업계 고등학교의 교과과정을 이수하기 위한 시발행동으로 정의한다.

(26)

2 .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및 선행 연구

이무근(1997)은 미국, 영국, 일본 및 호주의 사례 및 국내의 사례를 고찰하 여 직업기초능력으로서 의사소통능력, 외국어 의사소통 능력, 정보소양 능력, 문제해결 능력, 대인관계 능력, 문제해결 능력, 수리 능력 등으로 나누었다. 의사소통능력은 언어적 그리고 비언어적 표현방식을 통하여 다른 사람과 원 만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외국어 의사소통능력은 외국어로 기술된 자료를 이해하고, 외국어를 사용하는 사람과 원만한 의사소 통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수리 능력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수 리와 관련된 개념을 이해하고 수치로 기술된 자료를 이해하고 자료를 수치로 기술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문제해결 능력은 문제를 올바르게 인식 하고 이를 창의적인 방법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며 정보 소양 능력은 컴퓨터 등을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 분석, 조직, 관리하는 능력으 로 정의한다. 대인관계 능력은 조직인으로서 자신을 적절히 관리하여 다른 사람과 원만한 생활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문화이해능력은 우리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른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 된다. 이무근(1997)의 연구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외국의 사례가 학업기초능 력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공통요인은 무엇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 하여 줄 수 있다. 정철영(1998)은 외국의 직업기초능력 추출 방법을 참고로 하여 직업기초능 력 시안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근로자 및 고용주들을 대상으로 하여 직업 기초 능력을 추출하는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모든 산업 분야, 직종에 종사하고 있는 모든 근로자와 고용주 전체를 모집단으로 하여 각 산업 분야에서 3개 업체를 무선 표집하고 각 업체당 근로자 10명 내 외(22개 산업분야 * 3개 업체 * 근로자 10명 = 660명 내외), 고용주는 각 산 업분야에서 임의로 15개 업체를 선정하여 업체당 1명(22개 산업분야 * 15개 업체 * 1명 = 330명)을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27)

조사도구를 통하여 근로자와 고용주를 대상으로 하여 조사를 실시하였고 직 업기초능력의 추출을 위하여 평균, 표준 편차 및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13 개 영역, 75개 능력으로 개발된 직업기초능력 시안을 기초로 근로자 및 고용 주를 대상으로 현장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평균 3.50이상의 52개 능력에 대한 요인 분석을 통하여 10개의 요인을 추출하였고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전문가 협의를 통하여 직업기초능력을 최종적으로 9개 영역, 57개 능력으 로 확정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직업기초능력으로서 의사소통능력, 수리능 력, 문제해결 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 능력, 자원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 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 등으로 나누었다. 이때 자기관리 및 개발 능 력이란 성공적인 직업인이 되는데 포괄적으로 요구되는 적절한 자질 혹은 능 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자기관리능력, 적합한 진로를 탐색, 준비, 선택할 수 있 는 능력 및 직업에 대한 건전한 가치관과 태도 형성 등을 들 수 있다. 자원 활용능력은 업무를 수행하는 데 시간, 자본, 재로 및 시설, 인적 자원 등의 자 원 가운데 무엇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용 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수집하여 실제 업무 수행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계획하고 계획대로 업무 수행에 이를 할당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정철영(1998)의 연구는 우리 나라의 현장에서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및 항목이 무엇이며 수학능력과 어 떠한 연관성이 있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3 . 기초 수학능력 개념

대학 선발시험이 학력고사 에서 수학능력시험 으로 바뀌면서 시도한 것은 이미 도달된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학업성취에 한정하지 않고, 앞으로 대학에 진학하여 학문을 수행할 수 있는 수학능력을 선발 기준으로 삼은 것이다. 그 러나 실업계 고등학교의 경우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기보다는 직업현장의 산 업역군 배출을 위해 직업기초 능력을 가르치고 숙달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인문계 고등학교와는 다르게 기초 수학 능력 이 정의될 필요성

(28)

이 있다. 먼저 좁은 의미에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 수학 능력 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실업계 고등학교의 경우 대학 진학보다는 졸업 후 취업을 목표 로 하기 때문에 기초 수학 능력 이란 취업을 위해 필요한 전문교과를 학습할 수 있는 최소 능력이라 정의할 수 있다. 물론 각 계열에 따라 전문교과가 다 르기 때문에 요구되는 기초 수학능력에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업계 고등학교의 경우, 영어가 수학보다 기초능력으로서 더욱 요구되 는 반면에 공업계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수학이 영어보다 기초능력으로서 더 욱 요구되고 있다. 전문교과학습을 위한 기초 수학 능력을 시발점 행동이라고 정의할 수도 있 다. 시발점 행동이란 새로운 단원이나 학습과제를 학습하기 전에 학습자가 이미 획득하고 있는 지식뿐만 아니라 기능 , 태도 등을 의미한다. 시발점 행 동은 지적 시발점 행동뿐만 아니라 기능과 흥미, 태도 적성 등의 정의적 시 발 행동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전문 교과를 통해 지적 내용뿐 아니라 기능을 익혀야하는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는 일반적으로 지적인 능력을 의미하 는 기초 수학능력보다 더 적절할 수 있다. 요컨대 좁은 의미의 실업계 고등 학교 학생의 기초 수학 능력이란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이수하기 위해 이미 획득한 지식, 기능, 태도로 시발점 행동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넓은 의미에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 수학 능력이란 급속 히 변화하는 산업세계에서 직업인으로서 자신을 관리하고 개발하기 위해 요 구되는 기초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졸업 후 또는 취업 후에 평생 교육의 차원에서 직업인으로서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전문대학과 산업대학에 진학하면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도 고등학교 의 전문교과를 학습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 이상의 기초 능력이 요구되고 있 다. 또한 전문대학이나 산업대학에 진학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현대 산업세계 는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이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 식과 기능을 익혀야 한다. 예컨대 공고출신자의 경우 외국에서 새로이 발명 되어 도입된 기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영어로 된 매뉴얼 정도는 읽을 수 있

(29)

는 기초 능력이 있어야한다. 이것은 직업기초 능력중 외국어 능력에 해당되 는 것이다. 직업기초 능력은 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이미 획득된 능력뿐만 아 니라 이 능력을 기초로 다시 새로운 것을 습득하여 관련 전문 업무를 수행하 는 과정에서 접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자신을 개발할 수 있는 포괄적 의미의 기초 능력이다. 따라서 넓은 의미의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 수학 능력이란 직업 기초 능력에 해당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초 수학 능력을 협의의 개념으로 보아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이 3년간의 전문교과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데 필 요로 하는 최소 능력을 기초 수학능력으로 정의하고, 세분화된 교과로는 국 어와 영어, 수리영역의 수학 교과로 한정하여 정의하였다.

4 . 수학 능력 평가 선행 연구

국제비교 학생 평가 연구(Pr ogr am for Intern ational Stu dent A s ses sm ent : P IS A , 1998 )는 교과과정에 근거한 평가가 아닌 건전한 시민생활을 해 나가는 데 필요한 통합적인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읽기, 수학, 과학영역의 평가틀 을 구성하고 각 나라 학생들의 성취수준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들과의 비교연 구를 통하여 학생들의 성취수준과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분석하여 다른 나라의 교육체제와의 비교를 가능하게 하여 정책결정에 있어서 기초자 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PISA 연구는 선다형의 문항이외에 다양한 내용과 개념을 묻는 비선다형 문항을 포함한 문항을 개발하고 이들 문항을 채점하는 채점 기준표와 채점자의 연수과정에 대한 예비조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 다.

제 3차 수학・과학성취도국제비교연구(th e T hird Int ernation al M athem atics an d S cien ce S tu dy : T IM S S )는 국가수준의 교육의 질이 경제적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하에 경제적 생산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수학과 과학의 학 업성취도를 측정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적인 교과 내용과 인지 행동의

(30)

조합을 확장시키려는 목적으로 교과 내용, 예상 수행 및 관점의 세 측면으로 구성 되어 있는 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는 바 평가 방법으로서는 선다형 및 주관식 문항 을 사용하여 평가 계획, 시행 및 보고에 4년~5년을 투자하며 40 여 개 나라가 관여하여 연구하였다. T IM S S 연구는 4년~5년에 걸친 체계적이고 철저한 연구 절차, 주관식 문항 채점결과의 객관성 및 일관성을 위한 노력의 중요성 및 주관식 문항의 채점을 위하여 두 자리 수(십의 자리는 채점 결과- 정답, 부분 정답, 오답; 일의 자리는 문제에 대한 접근방식, 풀이방법, 흔히 저지르기 쉬운 오류, 잘못된 개념들의 유형)를 사용함으로써 주관식 문항이 제공할 수 있는 정보의 다양성을 보여 줌으로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능력 평가시에 활용할 수 있는 가 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강기주(1994)는 공고 입학생을 대상으로 수학능력을 파악하고 공고 학생으 로서의 기본 기초 학력의 적정 수준을 제시하여 공고 교육의 질적 향상과 우 수 기능 인력 양성의 효율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학능력이란 D 연구소에서 1993년 11월 시행한 전국연합모의 대 학 수학능력시험에 의한 언어 영역, 수리 탐구 영역, 외국어 영역의 점수를 의미하며 학력 평가 대상으로서는 서울, 부산, 충북, 충남, 전북에서 공고 학 생중 학과별로 안배하여 표집, 선정된 총 596명을 포함한다. 연구 결과는 인 문고와 비교할 때 3 가지 영역 모두에서 실업계 고교의 학생들의 성적이 열 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교 내신등급도 대부분의 학생들이 40점(100점 만점에 20점)에서 80점(100점 만점에 40점)의 낮은 성적에 분포되어 있다. 이 연구는 모의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평가의 도구로 활용함으로써 실업계 고등학 교 학생들의 대학진학을 위한 학업성취도가 낮다는 일반적인 인식을 재확인 시켜 주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대학수학능력시험과는 다른 평가도구를 통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수학능력을 평가하였다.

미국의 경우 SAT (S cholastic A sses sm ent T est ) 연구진이 문제 해결 능력, 쓰기 등 일반 능력 뿐 만 아니라 실질적인 지식을 강조하는 검사를 고안함으 로써 고등학교에서의 건전한 교과과정 정책과 좋은 학습습관을 강화하도록 한다는 목표를 설정하여 행정가 및 교사들로부터 보다 많은 지지를 받을 수

(31)

있었다고 보고하였다(허경철 외, 1997). 이 연구는 종국 교육으로서만이 아닌 계속 교육으로서의 실업계 학교의 학생들의 수학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실질 적인 지식을 평가하는 도구개발 시에 지침의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 다. 중앙교육진흥 연구소(1986, 1987, 1988, 1989)에서는 인문계 고등학교 신입 생 학력조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유층 무선 표집 방법에 의하여 연구 대상 학 교를 54개교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어, 수학, 영어, 과학의 기 초 학력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도록 1985년도의 교육과정에 의한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교과별, 단원별로 기본적인 교육목표를 추출하고 측정하려는 교과의 계열성에 유의하여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항목들을 세부적 인 내용 항목으로 분류하여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요인들을 추출하여 문제를 추출하였다. 결과분석을 위하여 각 부문별 평균과 표준편차, 문항 반응 결과, 빈도 분포 등을 산출하고 전체 점수를 이용한 4개년의 학력 수준을 비교하기 위하여 ANOVA와 S cheffe 검증을 실시하여 4년에 걸친 학력의 추이를 검토 하였다. 국립 교육평가원(전 중앙 교육평가원)에서는 전국 단위의 학력평가를 실시 하여 교과별 학업성취도의 전국적인 수준과 지역별, 성별 학력격차의 양상을 알아보고, 학업성취도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학습자 특성변인(자아 개념, 흥미, 태도, 가치관 등), 학교 환경변인, 가정 환경변인 등을 조사함으로 써 상호 관련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1986년부터 3년 주기로 1991년까지 전국 학력평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1992년부터는 매년 실시하고 있다. 고등 학교의 경우 검사의 영역은 국민윤리, 국어, 국사, 인문계 수학, 자연계 수학, 영어의 네 교과이며 이와 함께 배경변인으로 자아개념, 교과에 대한 흥미, 교 과를 중시하는 정도, 수업 및 자습시의 열의, 여타 학교생활 및 수업관련 변 인, 과외활동별 시간사용량, 활동별 포부수준과 기대수준, 진학포부 수준과 기 대수준, 교과담당교사의 능력과 열의, 교과에 대한 부모의 태도, 여타 가정환 경 변인, 학생, 부모 및 교사의 가치관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의 분석은 각 변 인의 평균, 표준 편차 등 기초 통계치와 지역별, 성별에 따른 교과별 학업 성

(32)

취도의 평균의 차이 검증. 그리고 학습자 특성 변인, 학교 환경 변인, 가정환 경 변인을 위한 설문지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영국의 학생 성취 평가 기구(APU : T h e A sses sm ent of P erform ance Unit ) 는 1978년부터 1988년에 이르는 기간에 걸쳐 수학, 언어, 과학의 영역에 대하 여 43개의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평가 조사의 초점은 성취 정도를 사정하고 그 정도에 어떠한 요인이 관련되어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었다. 성취도 평가 의 결과를 의미있게 분석하고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AP U는 학생에 관한 변인, 학습 경험에 관한 변인, 학교의 지역적 상황에 관한 변인 및 교과 담당 과(subject departm ent )에 관한 변인의 조사도 수행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1994)에서는 초중등학교의 학생의 성취도를 지적, 정의적, 신체적 영역에서 살펴보고 성취도의 배경 변인으로서 국가 수준, 학교 수준, 학급 수준 및 학생 수준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으로서 초등학교 3학년 및 6학년, 중학교 3학년 및 고등학교 2학년을 해당 학년이 끝나는 12월에 조사 하였다. 대상 학생을 표집하기 위하여 2 단계 유층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전 국에 걸쳐 학교를 무선적으로 선정하고 학교내의 여러 학급 중에서 평가 실 시 학급을 배정하였다. 배경 변인으로서 본 연구와 관련있는 변인은 학생에 대한 변인(학교의 풍토와 관련한 학생의 인식이나 의견, 학생들의 행동, 학교 에서의 교육경험, 개인의 지적 특성, 개인의 가정 배경, 개인의 과거 성취, 수 업특성), 교사관련 변인(학급에서의 수업특성, 학급의 물리적 여건, 학급의 분 위기, 교사의 개인 배경, 학교의 풍토 인식, 학교의 운영 인식, 학생집단에 대 한 인식, 수업특성), 및 학부모관련 변인(학생의 가정환경, 가정에서의 교육지 원, 가정에서의 학생의 학습 방식과 양, 학교에 대한 참여, 학부모간 연대) 등 이다. 학교 교육의 분석에서 고려해야 할 요인(김명숙, 1994)으로서 학생의 수학 능력과 관계 있다고 여겨지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개인 차원에서 학생의 요 인으로 가정 배경 (사회 경제적 배경, 교육적 지원 등), 성, 지능, 과거 성취 도, 교육적 포부 수준, 자아개념, 교과 흥미, 학교에 대한 태도, 가치관, 현재 의 성취도 등이다. 학급 차원에서 문화적 요인으로 학급 동료관계, 평균 진

(33)

로의식, 학습 의욕, 교사- 학생의 관계, 교사의 기대 등이다. 학교 차원에서 문 화적 요인으로 교원의 열의, 교원의 협력 관계, 학생의 비행, 학교 스포츠 팀 의 활동, 학생의 집단적 포부 수준, 진로의식 등이다. 지역 차원에서 문화적 요인으로 학교 동문회의 활동, 지역별 학부모 문화, 대중문화에 대한 접촉도, 교육- 문화 행사에 대한 참여기회 등이다. 이상의 수학능력 평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목적 에 맞는 기초 수학능력을 정의하고,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수학능 력을 측정하는 도구와는 차별화된 측정 도구를 개발해야 함을 시사받을 수 있다. 또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수학능력과 관계있는 관련 배경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중요한 배경 요인들을 확인하고, 나아가 교육 적으로 통제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요인들을 밝혀야함을 시사받을 수 있다.

5 . 최저 통과 점수 설정 방법론

1930년대 초기 랄프 타일러 (Ralph T y ler )가 교육평가라는 용어를 사용하면 서 평가란 목표를 성취하였느냐 하지 못하였느냐를 결정하는 것이라고 정의 하였다. 평가를 사용 목적에 따라 상대평가는 규준지향(n orm - r efer enced) 평 가로 불리며 절대 평가는 목표지향(criterion - r eferenced ) 평가로 일컬을 수 있다. 규준지향 평가란 개인의 성취수준에 관심을 두기보다 비교 집단의 규준에 비추어 보아 개인의 상대적 서열에 관심을 갖는다. 예컨대 현행 우리의 대학 입시는 학생의 능력수준이 어떤 준거 즉 학습목표 성취여부에 의해 입학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학과의 정원에 따른 상대적 서열에 의하여 입학이 결정되는 규준지향 평가이다. 반면 목표지향 평가는 개인의 상대적 서열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무엇을 얼마만큼 알고 있느냐에 관심을 두 고 있다. 예를 들면 간호사, 약사 등의 자격시험은 목표 지향 평가를 채택하 는 바, 일정한 기준을 정해 놓고 그 기준을 통과할 때 자격증을 부여하는 이

(34)

른바 최소 능력검사이다. 목표 지향 검사는 자격증을 부여하는 데 사용될 뿐 아니라 교수- 학습과정 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선수 학습의 정도가 차기 학습의 필수 요 건이 되는 교과학습에서는 목표지향 검사에 의한 학습자 개인의 점수는 그가 선수 학습에서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느냐하는 확실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이때의 개인 점수가 바로 시발점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시발점 행 동을 검사하는 목표지향 검사에서 얻은 성취점수가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 한 최저 점수를 능가한 학습자는 차기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성취 점수가 학습목표에 도달하지 못한 학습자는 차기 학습을 받기 전에 보충 학 습 등을 통하여 기초 능력을 배양하여야 차기 학습을 큰 어려움 없이 이수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목표지향 평가에서는 학습 목표를 달성화기 위한 최 저 통과 점수가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최저 통과 점수를 설정하는 문제에서 주관적 판단을 전혀 배제할 수 없지만 타당한 최저 통과 점수를 설정해야함 은 당연하다. 임의적 최저 통과 점수 설정을 탈피함은 물론 이론적 배경에 입각하여 통계적으로 최저 통과 점수를 설정하는 것이 주관성을 최대한 배제 할 수 있다. 최저 통과 점수 설정의 방법들을 어떻게 분류하고 유목화하느냐 하는데 대해서 는 많은 이견이 있다. 즉 최저 통과 점수 설정에는 판단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 되는 점을 강조하여 크로커 와 알지나(Cr ocker & Algin , 1986)는 검사의 전체에 기초한 판단적 방법, 문항 수준에 기초한 판단적 방법 및 피검사자의 검사점수에 기초한 판단적 방법의 세가지로 크게 분류하고 있다. 버어크(Berk , 1986)는 판단 자의 판단과 경험적 자료 중 어느 것이 기준 설정에 우선시 되었느냐에 따라 판단적- 경험적 방법과 경험적- 판단적 방법으로 대별하고 있다. 여기서는 최저 통과 점수 설정에 판단자의 판단적 자료만이 이용되었는가 또는 경험적 자료가 추가되었는가 그리고 기준 설정에 경험적 자료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었는가에 따 라 판단자 중심 방법, 판단자- 경험자료 중시방법 및 경험자료 중심방법의 세 가 지로 대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35)

가 . 판단자 중심방법

판단자 중심 방법은 판단자가 검사문항이나 검사의 내용에 대해서 충분히 알고 있으며 주어진 검사에서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네델스키(Nedelsky )의 방법은 4지 선다형 문항의 오답지에 대해서 각 판단 자로 하여금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능력을 가진 피검자가 오답지로 확인 할 수 있는 답지들을 지적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때에 각 문항의 점수는 오답 지를 제외한 나머지 답지의 역수가 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선다형 문항에만 적용되는 제한점을 갖고 있다. 또 이 방법은 각 문항의 답지 수준에서 구체 적인 판단을 요구하고 있다는 특징과 장점을 갖고 있으나 판단자에 의해서 제외된 답지에 대해서 피검자가 무선적으로 답을 하게된다는 기본 가정이 얼 마나 타당하냐가 의문시되고 있다. 다음으로 에벨(Ebel)의 방법은 판단자가 문항들을 난이도 수준과 적절성 수준에 따라 분류한다. 그리고 각 분류된 문항들에 대해 최저 능력을 가진 피험자가 정답해야 할 확률을 추정한다. 최저 통과 점수는 각 칸에 배정된 정답률과 문항수를 곱하여 산출한다. 그러나 난이도와 적절성 차원이 종종 높은 상관을 보여 판단자가 두 가지 판단기준에 의해 문항을 분류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

나 . 판단자- 경험자료 통합방법

판단자들로 부터 얻어진 최저 통과 점수들의 표준편차가 매우 큰 경우는 판단자간의 불일치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경험적 자료를 고려한 판단적 방법으로 반복 측정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즉 각 문항에 대해서 일차적으로 얻어진 각 판단자의 결과를 다시 제시하여 각 판단자로 하여금 재판단하게 하여 판단자간의 일치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36)

대표적인 것으로 앤고프(An goff)의 반복적 방법이 있는데 우선 각 문항에 대 해서 정답률을 추정하게 한 후 다음과 같이 세 번의 정답률 수정 기회를 준 다. ①기준 설정의 결과를 전체적으로 본 다음 ②실제 검사점수의 분포를 본 다음 ③앞의 2단계에서 제시된 기준 설정 자료를 검토한 다음, 최종의 기준 점수는 판단자간의 이러한 반복적 판단과정에 의해서 의견의 일치에 의해서 유도된다.

다 . 경험자료 중심방법

경험자료 중심 방법은 최저 통과 점수 설정의 근거가 실제적인 점수 분포 에 최종적으로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 앞서 제시한 두 가지 접근방법과 구별 된다. 여기서는 대표적으로 양극집단 방법과 불확정 집단방법을 살펴본다. 양극 집단 방법을 살펴보면 일련의 판단자는 먼저 측정하고자 하는 영역에 있어서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수준이 어느 정도 되는가를 검토한 다음 앞으로 검사를 적용하고자 하는 집단의 표집에 대하여 이들을 달성- 미달성의 두 집 단으로 분류하게 된다. 달성- 미달성으로 분류된 집단에 검사를 실시하여 이 두 집단의 검사점수의 분포를 동일 선상에 겹쳐진 중간점이 최초의 최저 통과 점수가 된다. 이 최 저 통과 점수는 분류에 있어서 긍정적 오류와 부정적 오류가 동등하게 중요 하게 생각될 때 전체적으로 최소한의 오류를 범하는 점수가 된다. 그러나 실 용면에 있어서 어느 한쪽의 오류가 다른 쪽의 오류보다 더 큰 비중를 차지한 다고 생각되면 이를 고려하여 총체적인 손실이 최소가 되는 점으로 기준 점 수를 재조정할 수 있다.

Liv in g st on & Zieky (1982)가 제안한 불확정 집단 방법에서는 판단자는 측 정하고자 하는 영역에 있어서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수준이 어느 정도인가를 확인한 다음에 달성이나 미달성의 수준으로 명료히 구분할 수 없는 불확정한 피검자의 명단을 교사들로 하여금 제시하게 한다. 이러한 경계상에 있는 불

(37)

확정 집단에게 해당되는 검사를 실시하여 이 점수 분포상에서 중앙치를 최저 통과 점수로 선정하게된다. 그러나 최저 통과 점수 설정에서는 어떤 확고한 객관적인 방법론이 있는 것이 아니라 최저 통과 점수 설정이 어떠한 방법이든지 간에 인간의 판단 이라는 과정이 포함되고 이러한 판단에는 어떤 판단자가 개입되었느냐에 따 라 달라질 수 있다(임인재, 1996). 따라서 어떠한 최저 통과 점수 설정 방법 론을 사용할지는 연구의 상황과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상의 최저 통과 점수 설정 방법론에 대한 고찰은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 들의 기초 수학능력 실태를 국어, 영어, 수학 각 교과의 최저 통과 점수 설정 을 통해 살펴 파악할 수 있음을 시사 해준다. 즉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기 초 수학능력을 전문교과를 학습할 수 있는 최소 능력이라고 정의할 때, 전문 교과학습을 위한 시발점 행동으로서의 국어, 영어, 수학 교과의 최저 통과 점 수가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수학 능력 실태를 살펴 보는데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 목적에근거하여 실업 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수학 능력을 파악할 수 있다.

(38)

III . 실태 조사 분석 결과

1 . 기초 수학능력

가 . 대상 학생의 기초 수학능력

본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수학 능력을 국어, 영어, 그 리고 수학의 세 교과에 한정하여 측정하였다.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 초 수학 능력을 살펴보면 < 표 III- 1> 과 같다. 국어, 영어, 수학의 전체 평균은 100점 만점에 42.27점으로 나타났다. 교과 별로 보면 국어 49.70점, 영어 44.11점, 수학 32.99점으로 나타났다. < 표 III- 1>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평균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 편차 전체 1761 42.27 13.22 국어 1761 49.70 15.31 영어 1761 44.11 19.38 수학 1761 32.99 13.92 다음으로 < 표 III- 2> 를 보면, 교사들은 전문 교과 학습을 위해 요구되는 최저 통과 점수로 국어 41.67점, 영어 33.00점, 수학 35.23점이 필요하다고 설 정하고 있다.

(39)

< 표 III- 2> 교사들에 의해 설정된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최저 통과 점수 구분 사례수 최저 통과 점수 표준 편차 국어 34 41.67 9.75 영어 33 33.00 11.53 수학 36 35.23 11.45 교사들에 의해 설정된 최저 통과 점수를 기준으로 최저 통과 점수에 도달 한 학생 비율을 보면 < 표 III- 3> 에서와 같이 국어 83% , 영어 65% , 수학 43%로 국어 과목이 최저 통과 점수에 도달한 학생 비율이 가장 높았고, 수학 과목이 가장 낮았다. 현재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83%는 전문교과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국 어 이해력이나 추론 및 어휘력 등은 무리가 없으며, 65%의 학생들은 전문교 과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영어로 된 글의 내용 파악이나 추론 능력에 있어서 무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의 경우에는 43%만의 학생들이 전문교과 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수의 계산이나 함수 및 도형의 이해력 등에서 무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표 III- 3>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최저 통과 점수 도달 비율 (단위: 명, %) 구분 사례・비율 도달 미달 국어 사례 1,457 304 비율 83 17 영어 사례 1,142 619 비율 65 35 수학 사레 753 1,008 비율 43 57

(40)

나 . 계열별 기초 수학능력

본 연구에는 공업, 상업, 농업, 수산・해운, 실업, 종합고 등의 6개의 계열 학교가 참여하였으며 계열에 따른 기초 수학능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집 단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 =94.01, p < .01). < 표 III- 4> 를 보면, 국어성적은 상업, 실업, 공업, 농업, 종합고, 수산・해운, 영어성적은 상업, 공업, 실업, 농업, 종합고, 수산・해운, 수학성적은 상업, 공 업, 실업, 종합고, 농업, 수산・해운 등의 순으로 성적이 좋게 나타났다. 상업계열의 학생들이 모든 교과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나타냈으며, 수 산・해운계열의 학생들이 모든 교과에서 가장 낮은 성적을 보였다.

(41)

< 표 III- 4> 계열별 기초 수학능력 차이 검증 주: * p< .05 ** p< .01 교과 계열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값 국어평균 공업 491 50.08 13.63 62.05** 상업 534 56.72 14.12 농업 289 42.32 15.73 수산,해운 187 39.50 13.49 실업 255 50.27 13.62 종합고 5 41.33 17.73 합계 1761 49.70 15.31 영어평균 공업 491 44.02 18.33 67.80** 상업 534 53.79 18.91 농업 289 36.81 17.01 수산,해운 187 29.30 14.09 실업 255 43.29 17.48 종합고 5 35.71 14.73 합계 1761 44.11 19.38 수학평균 공업 491 35.26 14.29 45.25** 상업 534 37.55 14.04 농업 289 27.89 11.79 수산,해운 187 23.32 10.93 실업 255 32.04 11.52 종합고 5 29.29 15.44 합계 1761 32.99 13.92 다음으로 교사들이 의해 설정된 최소통과 점수를 기준으로 최저 통과 점수 에 도달한 학생 비율을 계열별로 보면 < 표 III- 5> 와 같다. 국어 과목은 상업 이 94% , 공업이 86% , 실업이 85% , 농업이 70% , 수산・해운이 60% , 종합고 가 60%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어 과목은 상업이 84% , 공업이 68% , 실업이

(42)

66% , 종합고가 60% , 농업이 49% , 수산・해운이 28%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 학 과목은 상업이 56% , 공업이 50% , 실업이 39% , 농업이 28% , 종합고가 20% , 수산・해운이 14%의 순으로 나타났다. <표 III- 5> 계열별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최저 통과 점수 도달 비율 (단위: 명, %) 교과 성취 여부 빈도・ 비율 공업 상업 농업 수산・ 해운 실업 종합고 합계 국 어 도달 빈도 420 503 201 113 217 3 1,457 비율 86 94 70 60 85 60 83 미달 빈도 71 31 88 74 38 2 304 비율 15 6 30 40 15 40 17 영 어 도달 빈도 332 446 141 53 167 3 1,142 비율 68 84 49 28 66 60 65 미달 빈도 159 88 148 134 88 2 619 비율 32 16 51 72 34 40 35 수 학 도달 빈도 245 299 82 26 100 1 753 비율 50 56 28 14 39 20 43 미달 빈도 246 235 207 161 155 4 1,008 비율 50 44 72 86 61 80 57

다 . 진학동기별 기초 수학 능력

1 ) 적성 고등학교 진학시 적성을 고려한 정도에 따라 기초 수학능력 차이를 검증한 결과, 집단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 =8.20, p< .01). 그러나 고등학 교 진학시 적성을 많이 고려한 학생일수록 기초 수학능력이 높지는 않았다. 진학시 적성을 매우 고려한 학생(41.26)이 별로 고려하지 않은 학생(45.20)보 다 기초 수학능력이 높지는 않았다(< 표 III- 6> 참조).

참조

관련 문서

위에서 『진로와 직업』교과서의 내용이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 맞는지 그리고 고등학교 단계에서 이루어져야 할 진로교육

(P&lt;.05). 성별에 따른 사회성발달 차이결과.. 유형에 따른 사회성발달 차이결과.. 참여기간에 따른 참여만족 차이결과.. 참여만족이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특수학급의 직업․진로지도 주당 시수는 일반계 고등학교가 실업계 고등 학교보다 평균 시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이것은 위의 일반계 고등학교 의 진로교육

AM 방식은 FM 또는 PCM 방식에 비해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주기와 파장이 길어 송수신 거리가 큰 장점을 가지나 노이즈(nose)에 약해 정밀한 무선통신에

코로나 감염 바이러스(COVID-19)로 인한 태권도선수들의 성별에 따른 운동지속 여부 와 중도탈락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와 대조군의 연령, 성별에 따른 미각역치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Braud 등 31) 은 연령, 성별에 따른 유의한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고 하였고,

This research consists of the actual investigation about present condition of high school music curriculum after introduction of revised education courses..

첫째, 근로자 주도적인 교육훈련의 확대, 둘째,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지원범위의 확대, 셋째, 근로시간단축이 기존 의 능력개발사업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