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 . 학생참여의 수업방법 사용 여부

학생 참여의 수업방법(예: 토론, 집단학습 등)을 사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보면 < 표 III- 20> 에서와 같이 52%의 교사들이 아니오 라고 응답하여 현재 실업계 고등학교에서는 학생참여 수업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교사들이 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참여의 수업 방법을 사용하는 교사들을 계열별로 보면, 상업 계열 교 사들이 5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실업, 수산・해운 계열 등의 순이 었다. 또한 교과별로 보면 영어 교사가 52%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전문교과 교사가 51%로 두 번째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생 참여의 수업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교사를 계열별로 보면 공업 계열 교사가 5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농업계열 교사가 58%로 많았 다.

< 표 III- 20> 학생참여의 수업방법 사용 여부

(단위: 명, %)

구분 학생참여

계열 담당교과

농업 공업 상업 수산 합계

해운 실업 종합

국어 영어 수학 전문

교과

빈도 15 28 41 10 21 2 22 22 13 60 117

비율 42 41 55 48 53 50 44 52 37 51 48

아니오 빈도 21 41 34 11 19 2 28 20 22 58 128

비율 58 59 45 52 48 50 56 48 63 49 52

[그림 III- 4]를 보면 학생참여 수업 방법을 채택하지 않는 이유로 학생들의 참여가 저조하기 때문 이라는 항목을 지적한 교사가 53%로 가장 많았고, 강 의식에 비해 별로 효과적이지 않기 때문 이라는 항목을 지적한 교사가 24% , 교과의 특성상 적절치 않기 때문 이라는 항목을 지적한 교사가 21%였다. 적 절한 학생 참여의 수업 방법을 모르기 때문 이라는 항목을 지적한 교사는 2%

에 지나지 않았다.

[그림 III- 4] 학생참여 수업 방법을 채택하지 않는 이유

라 . 국어 , 영어 , 수학 교과에 대한 학습 욕구

국어, 영어, 수학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욕구를 보면 다음과 같다.

국어 교과에 대한 학습욕구에 대해 학생들의 35%가 학습욕구가 조금 있 다 , 30%가 그저 그렇다 고 응답하였다. 한편 국어 교사들은 학생들의 국어 교과에 대한 학습욕구에 대해서 38%가 그저 그렇다 , 38%가 학습욕구가 별 로 없다 라고 응답하여 학생들이 응답한 학생의 학습욕구보다 교사가 응답한 학생들의 학습욕구가 더 낮음을 보여주었다([그림 III- 5]참조).

[그림 III- 5] 국어 교과에 대한 학습 욕구

영어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욕구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28%가 학습욕 구가 조금 있다 , 19%가 학습욕구가 매우 있다 고 응답하여 47%가 긍정적이 었고, 23%가 그저 그렇다 고 응답하였다. 한편 영어 교사들은 학생들의 영어 교과에 대한 학습욕구에 대해서 23%만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고, 45%가 학 습욕구가 별로 없다 고 응답하여 국어의 경우와 유사하게 학생들이 스스로 응답한 학습욕구보다 교사가 인식한 학생들의 학습욕구가 더 낮음을 보여 주 었다([그림 III- 6]참조).

[그림 III- 6] 영어 교과에 대한 학습 욕구

수학 교과에 대한 학습욕구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31%가 긍정적으로 응답 하였고, 26%가 그저 그렇다 고 응답하였다. 한편 수학 교사들은 학생들의 수 학 교과에 대한 학습욕구에 대해서 60%가 학습욕구가 별로 없다 , 20%가 학습욕구가 전혀 없다 고 응답하여, 국어와 영어 교과에서처럼 학생들이 응답 한 학생들의 학습욕구보다 교사가 응답한 학생들의 학습욕구가 더 낮음을 보 여준다([그림 III- 7]참조).

[그림 III- 7] 수학 교과에 대한 학습 욕구

이에 국어, 영어, 수학 각 교과별로 학생과 교사의 응답 차이를 검증한 결 과, 국어, 영어, 수학 교과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국어 t =3.31, p < .01, 영어 t =4.43, p < .01, 수학 t =3.53, p < .01). 국어, 영어, 수학 교과 모두에 서 학생들이 응답한 학습욕구가 교사들이 응답한 학생들의 학습욕구보다 보 다 높았다.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국어, 영어, 수학 세 교과에 대한 학습욕구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 =86.19 p < .01). 학생들은 국어, 영어, 수 학 순으로 각 교과에 대한 학습욕구가 높았다.

전체 학생들을 각 교과별로 최저 통과 점수에 도달한 집단과 미달된 집단 으로 나누어 각 교과의 학습 욕구를 보면 < 표 III- 21> 과 같다.

국어 과목의 경우 최저 통과 점수에 도달한 집단의 학생 52%가, 미달된 집 단의 학생 39%가 학습욕구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영어 과목의 경우 최소통과 점수에 도달한 집단의 학생 54%가, 미달된 집단의 학생 35%가 학 습욕구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수학 과목의 경우 최소통과 점수에 도달한 집단의 학생 41%가, 미달된 집단의 학생 24%가 학습욕구에 대해 긍 정적으로 응답하였다.

국어, 영어, 수학 세 과목 모두 최저 통과 점수에 도달된 집단의 학습욕구

[그림 III- 8] 국어 교과에 대한 흥미

영어 교과에 대한 흥미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37%가 흥미가 있다고 긍정적 으로 응답한 반면, 영어 교사들은 22%만이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역시 학생들 이 응답한 학생들의 흥미보다 교사가 응답한 학생들의 흥미가 더 낮음을 보 여준다([그림 III- 9]참조).

[그림 III- 9] 영어 교과에 대한 흥미

수학 교과에 대한 흥미 정도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25%만이 긍정적으로 응 답하였고, 49%가 부정적으로 응답하였다. 한편 수학 교사들의 경우 9%만이 긍정적으로 응답한 반면 대다수인 74%가 부정적으로 응답하여 국어와 영어 교과에서처럼 학생들이 응답한 학생들의 흥미보다 교사가 응답한 학생들의 흥미가 더 낮음을 보여준다([그림 III- 10]참조).

[그림 III- 10] 수학 교과에 대한 흥미

이에 국어, 영어, 수학 각 교과별로 학생과 교사의 응답 차이를 검증한 결 과, 국어, 영어, 수학 세 교과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국어 t =2.21, p < .05, 영어 t =2.02, p < .05, 수학 t =2.37, p < .05 ). 국어, 영어, 수학 교과 모두에 서 학생들이 응답한 흥미정도가 교사들이 응답한 학생들의 흥미정도보다 높 았다. 즉 학생들이 생각하는 자신의 교과흥미가 담당교과 교사들이 생각하는 학생들의 교과흥미보다 높았다.

전체 학생들을 각 교과별로 최저 통과 점수에 도달한 집단과 미달된 집단 으로 나누어 교과에 대한 흥미를 보면 < 표 III- 22> 와 같다.

국어 과목의 경우 최저 통과 점수에 도달한 집단의 학생 47%가, 미달된 집

단의 학생 33%가 학습 흥미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영어 과목의 경

바 . 국어 , 영어 , 수학 교과수업 시간의 집중 정도

국어, 영어, 수학 교과 수업시간의 학생들의 집중정도를 보면 다음과 같다.

국어 교과 수업시간의 집중 정도에 대해 학생들의 52%가 긍정적으로 응답 하였다. 한편 국어교사들은 학생들의 국어 교과 수업시간의 집중 정도에 대 해서 28%만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고, 48%가 그저 그렇다 고 응답하여 학생 들이 응답한 자신의 수업시간 집중 정도 보다 교사가 응답한 학생의 수업시 간 집중 정도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III- 11]참조).

[그림 III- 11] 국어 교과 수업시간의 집중 정도

영어 교과 수업시간의 집중 정도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47%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한편 영어 교사들은 학생들의 영어 교과 수업시간의 집중 정도 에 대해서 41%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역시 학생들이 응답한 자신의 수업시 간의 집중 정도 보다 교사가 응답한 학생의 수업시간의 집중 정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III- 12]참조).

[그림 III- 12] 영어 교과 수업시간의 집중 정도

학생들의 수학 교과 수업시간의 집중 정도에 대해서 학생들의 41%가 긍정적 으로 응답하였고, 32%가 부정적으로 응답하였다. 한편 수학 교사들은 학생들 의 수학 교과 수업시간의 집중 정도에 대해서 38%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국어와 영어 교과에서처럼 학생들이 응답한 자신의 수업시간의 집중 정도 보 다 교사가 응답한 학생의 수업시간의 집중 정도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 났다([그림 III- 13]참조).

[그림 III- 13] 수학 교과 수업시간의 집중 정도

이에 국어, 영어, 수학 각 교과별로 학생과 교사의 응답 차이를 검증한 결 과, 국어교과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 =2.59, p< .01). 국어교과에서는 학 생들이 응답한 자신의 국어 수업시간의 집중정도가 국어 교사들이 응답한 학 생들의 집중정도보다 높았다. 그러나 각 교과의 수업시간에 집중정도에 대해 학생들과 교사 모두 그저 그렇다 , 조금 집중한다 에 가장 많이 응답하여 이 는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국어, 영어, 수학교과 수업시간의 집중정도는 별로 높지 않음을 보여준다.

전체 학생들을 각 교과별로 최저 통과 점수에 도달한 집단과 미달된 집단 으로 나누어 교과 수업시간의 집중정도를 보면 < 표 III- 23> 과 같다.

국어 과목의 경우 최저 통과 점수에 도달한 집단의 학생 55%가, 미달된 집 단의 학생 41%가 수업시간의 집중 정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영어 과목의 경우 최소통과 점수에 도달한 집단의 학생 54%가, 미달된 집단의 학 생 37%가 수업시간의 집중 정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수학 과목의 경우 최소통과 점수에 도달한 집단의 학생 51%가, 미달된 집단의 학생 34%

가 수업시간의 집중 정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국어, 영어, 수학 세 과목 모두 최저 통과 점수에 도달된 집단의 교과 수업 시간의 집중 정도가 미달된 집단보다 높았다.

< 표 III- 23> 최저 통과 점수도달 여부에 따른 교과 수업시간의 집중

이해정도를 학생들보다 낮게 생각하였다.

수학 교과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이유로는 가장 많은 39%의 학생들이 ① 내용이 어렵기 때문 이라고 지적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36%의 학생들이 ② 흥미가 없기 때문 이라고 지적하였다.

< 표 III- 25> 수업 내용의 이해 부족 원인

교과 원인 합계

국어 빈도 426 723 39 116 48 65 47 297 1,761

비율 24 41 2 7 3 4 3 17 100

영어 빈도 712 556 28 124 26 46 39 230 1,761

비율 40 32 2 7 2 3 2 13 100

수학 빈도 680 629 34 107 32 43 38 198 1,761

비율 39 36 2 6 2 2 2 11 100

주: ① 내용이 어렵기 때문

② 흥미가 없기 때문

③ 대학진학에는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

④ 선생님께서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가르치시지 않기 때문

④ 선생님께서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가르치시지 않기 때문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