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Factors affecting the Pain & Disability of the Low back pain patient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Factors affecting the Pain & Disability of the Low back pain patients"

Copied!
6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간호

호학

학 석

석사

사학

학위

위 논

논문

요통

통환

환자

자의

의 통

통증

증과

과 기

기능

능장

장애

애에

영향

향을

을 미

미치

치는

는 요

요인

아 주

주 대

대 학

학 교

교 대

대 학

학 원

간 호

호 학

학 과

문 경

경 미

(2)

요통

통환

환자

자의

의 통

통증

증과

과 기

기능

능장

장애

애에

영향

향을

을 미

미치

치는

는 요

요인

지도

도교

교수

수 조

조 기

기 홍

이 논

논문

문을

을 간

간호

호학

학 석

석사

사학

학위

위 논

논문

문으

으로

로 제

제출

출함

함.

.

.

2

2

20

0

00

0

05

5

5년

년 8

8

8월

아 주

주 대

대 학

학 교

교 대

대 학

학 원

간 호

호 학

학 과

문 경

경 미

(3)

문경

경미

미의

의 간

간호

호학

학 석

석사

사학

학위

위 논

논문

문을

을 인

인준

준함

함.

.

.

심사

사위

위원

원장

심 사

사 위

위 원

심 사

사 위

위 원

아 주

주 대

대 학

학 교

교 대

대 학

학 원

2

2

20

0

00

0

05

5

5년

년 6

6

6월

월 2

2

22

2

2일

(4)

감사

사의

의 글

가정주부로,두 아이의 엄마로,직장인으로서 어떻게 무사히 마칠 수 있을까 하는 두려움으로 시작했는데 이렇게 학기를 모두 마치고 논문을 쓰게 되어 정말 감사하 고 기쁩니다.고교수업 같은 빡빡한 중환자과정을 하면서 때론 힘들어 쉬고 싶을 때도 뒤돌아가고 싶을 때도 있었지만,항상 용기와 격려를 해 주셨던 나의 사랑하 는 많은 분들이 계셨기에 가능했으리라 생각합니다. 먼저 논문의 전 과정을 지도해주시고 방향을 이끌어 주신 조기홍 교수님께 진심 으로 감사드립니다.또한 바쁜 일정에도 세심한 지도와 관심을 아끼지 않으신 박지 원 교수님과 방경숙 교수님께 깊이 감사를 드립니다. 항상 든든하게 지켜봐주시고 격려해주신 조경기 교수님께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 니다.때론 지쳐있는 어깨위에 살포시 힘을 얹어 주고 따사로운 손길과 눈길로 위 로와 격려를 해 주었던 임연희,박규현 선생님,원정,혜윤 후배에게도 사랑과 우정 과 감사를 전합니다. 뒤늦게 공부하는 며느리를 항상 안타까워하시고 학위를 마치기까지 많은 배려와 용기를 주신 시부모님과,공부하는데 더욱 정진할 수 있도록 아이들을 돌보아 주시 고 집안일을 챙겨주신 친정 부모님과 올케,그리고 형제들,형님,아주버니,찬연아 가씨에게 고마움을 전합니다.또한 나의 포근한 쉼터가 되고 든든한 힘이 되어준 나의 영원한 후원자 사랑하는 남편 박찬관과 학위 내내 잘 놀아주지 못하고 세심한 신경을 못 써주었지만 엄마가 최고라는 나의 사랑하는 아이들 지우,은우에게 정말 고마움을 전합니다. 항상 열심히 노력하는 자세로 임할 것을 다짐하며 이 모든 과정 속에 존재하는 하나님께 영광과 감사를 드립니다. 연구자 문 경 미

(5)

차 례

차 례 ⅰ 표차례 ⅲ 부록차례 ⅳ 국문요약 ⅴ ⅠⅠⅠ...서서서론론론 111 A.연구의 필요성 1 B.연구의 목적 3 C.용어정의 3 ⅡⅡⅡ...문문문헌헌헌고고고찰찰찰 444 A.요통의 원인 4 B.요통의 유발인자 6 C.요통의 통증과 기능장애 평가 10 ⅢⅢⅢ...연연연구구구방방방법법법 111444 A.연구설계 14 B.연구대상 14 C.연구도구 14 D.자료수집절차 16 E.자료분석방법 17 F.연구의 제한점 17

(6)

ⅣⅣⅣ...연연연구구구결결결과과과 111888 A.연구대상자의 제반특성 18 B.연구대상자의 통증정도와 기능장애 24 C.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6 D.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1 ⅤⅤⅤ...고고고찰찰찰 333999 A.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9 B.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2 ⅥⅥⅥ...결결결론론론 및및 제및 제제언언언 444333 참고문헌 45 부 록 51 A AABBBSSSTTTRRRAAACCCTTT 555666

(7)

표 차

차 례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9 <표 2> 연구대상자의 신체계측적 특징 21 <표 3> 연구대상자의 임상적 특성 23 <표 4> 연구대상자의 통증과 기능장애 24 <표4-1> 통증과 기능장애의 상관관계 25 <표4-2> 기능장애 각 항목별 차이 25 <표 5> 일반적특성에 따른 통증정도 27 <표 6> 신체계측적 특성에 따른 통증정도 28 <표 7> 임상적 특성에 따른 통증정도 30 <표 8>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기능장애 32 <표8-1> 성별에 따른 기능장애 각 항목별 비교 33 <표 9> 신체계측적 특성에 따른 기능장애 34 <표 10> 임상적 특성에 따른 기능장애 36 <표10-1> 진단명에 따른 기능장애 각 항목별 비교 37 <표10-2> 통증기간에 따른 기능장애 각 항목별 비교 37 <표10-3> 하지직거상에 따른 기능장애 각 항목별 비교 38

(8)

부 록

록 차

차 례

부록 1. 51

<부록표 1> 우리나라 평균흡연율/연구대상자의 흡연율 52 <부록표 2> 우리나라 비만도/연구대상자의 비만도 52

(9)

국국국 문문문 요요요 약약약 본 연구는 요통환자의 통증과 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S시 소재 A대학병원 신경외과에 요추부 자기공명영상을 시행 하여 기질적 병변이 발견되고,요통 및 하지방사통을 주소로 입원한 8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자료수집기간은 2004년 6월 3일부터 2005년 3월 30일 까지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가지고 개별면담을 통해 대상자의 통증과 기능장애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통증지수와 기능장애는 Visualanalogue scale(VAS)과 Oswestry Disability Questionnaire(ODQ)로 측정 하였으며,자료들은 SPSS/WIN version11.5를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연령,학력,과거병력,결혼상태,직업에 따른 통증과 기능장애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성별에 따른 통증정도는 여자가 7.46±1.66, 남자가 6.89±1.66으로 여자가 통증을 더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기능장애에서 여자가 62.31±19.84,남자가 51.95±20.79로 통계학적으로 여자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t=-2.251,p=.05). 2. 남성에서 흡연여부에 따른 통증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t=-2.198,p=.034),우리나라 일반성인에 비하여 연구대상자의 흡연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 3.신체계측적 특성에 따른 통증과 기능장애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 지 않았으나,남자와 여자 모두에서 체질량지수와 허리-둔부둘레비가 증가함에 따 라 통증과 기능장애를 더 호소하였고,우리나라 일반성인에 비하여 연구대상자의

(10)

BMI와 WHR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 4.대상자의 진단명,주증상,근력이상,감각이상에 따른 통증과 기능장애는 통계 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통증기간과 하지직거상에 따른 통증과 기능장애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통증기간이 짧을수록,하지직거상 정 도가 낮을수록 통증과 기능장애를 더 호소하였다.또한 통증이 만성화되더라도 중 증이상의 통증과 기능장애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성별,흡연,체질량지수,허리-둔부둘레비,통증기간이 요통환자의 통 증과 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자기공명영상촬영상 요추의 기질적 병변이 있는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추후 연구대상자를 확대하여 반복연구를 실시할 것을 제언한다. 2.흡연,체질량지수,허리-둔부둘레비를 요통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인식하여 금 연 및 체중관리를 요통환자의 조기예방교육에 기초 자료로 제공할 것을 제언한다. 핵심어 :요통환자,통증지수,기능장애,BMI,WHR

(11)

Ⅰ.

.

.서

서론

A

AA...연연연구구구의의의 필필필요요요성성성

국제통증연구협회(InternationalAssociationfortheStudyofPain:IASP,1986) 에서는 “통증이란 실제적 또는 잠재적인 조직손상과 관련 있거나 혹은 이 같은 손상으로 기술되는 불쾌한 감각 및 정서적 경험이다”라는 정의를 수용하고 있다. 흔히 주변사람들은 두통,치통,관절염 통증,근육통,심한 복통,생리통,그리고 요 통을 호소한다.또 아무런 신체적 손상 없이도 우리는 고통스럽다,고뇌스럽다,비 참하다,괴롭다와 같은 말을 자주 하게 된다.이러한 표현들은 모두 자신이 겪고 있는 통증을 나타내는 포괄적 용어요,자신이 겪고 있는 주관적 경험을 표현한 것 이라고 볼 수 있다(김청송,1997). 근 골격계 질환 중 요통은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생겨난 것이며 모두가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일어서서 두발로 다니는 영장류는 다른 동물과 달리 생리학적인 부담을 허리에 받게 된다(김남현,이환모,1990).사람이 인생을 살아가면서 일년 동안 요통을 경험할 확률은 20~45%를 차지하고 만성 요통으로 고생하고 있는 사람은 현재 전체 성인집단 중 3~7%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특히 45 세 이하의 사람에게는 요통이 가장 빈번한 활동제한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의사를 방문해야 하는 두 번째 이유를 차지하며,5번째로 흔한 입원의 사유가 되고,그리 고 외과수술을 받아야 하는 이유 중에서는 3번째를 차지하고 있다.일생동안 요통 에 걸릴 확률은 70%가 넘는다고 한다(Cavanaugh& Weinstein,1994).

국내에서도 김영수 등(1987)은 일 종합병원 요통 크리닉에 6개월간 내원한 요통 환자의 임상적 분석에서 외래 초진환자의 71.3%가 요통이 차지하고 있음을 보고 하였고 허영(1978)은 성인을 대상으로 활동형태와 관계된 요통발생에 관한 조사연 구에서도 61.3%가 요통이 있다고 하였으며,한윤복(1977)은 종합병원의 현직 간호 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2%에서 요통을 경험하였다고 보고 하였다. 요통의 원인은 감염,퇴행성 질병,그리고 기타 악성질병에서 찾을 수 있다

(12)

(Carron,1984).보다 흔하게 볼 수 있는 요통의 발병은 요 천부 영역의 외상,근 골격 및 신경학적 장애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그러나 이것들이 요통의 원 인 전부는 아니다.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원인이 너무도 많이 있다.요통에는 상 당히 많은 사회적,심리적 요인들이 직접 관계되고 있다(Loeser,1980).바람직하 지 못한 몸자세는 척추 디스크를 손상시켜 요통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수가 있고, 척추 간 디스크의 유체나 유연성은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크게 떨어지므로 연령 도 요통유발의 원인이 된다(이현수,1994).직업적 요인도 요통발병과 깊은 관련이 있다.즉 과도한 짐을 들어올리는 일이나 잘 움직일 수 없는 직무자세,웅크리기 와 몸 뒤틀기를 필요로 하는 작업,그리고 진동에 노출 등이 모두 요통을 유발하 는 원인이 된다(Cavanaugh & Weinstein,1994).또한 유전적원인 및 흡연,임신, 교대근무자,낮은 사회적 지위 여부 등이 요통을 일으키는 위험인자로 보고되었으 며(Heliovaara,Knekt,Aromaa,1987),Heliovaara(1987)와 Bostman (1993)은 신 장,체중 및 비만도가 요통과 연관성이 있다고 하였다. 요통 그 자체는 악화와 회복을 반복하는 간헐성 요통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 으며(임현술 등,1998),또한 요통 환자 중 90%는 발병 2개월 이내에 호전을 보이 나 5%는 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요통이 발생한지 3개월 내지 6개월이 지나 면 만성요통으로 이행된다(임병훈,1992).이처럼 요통은 신체적 기능상실뿐 아니 라 만성화되어 가면서 정서적,심리적으로 까지 심각한 변화를 초래하여 일상생활 의 기능장애까지 일으킨다.요통환자에서 통증과 이로 인한 기능장애는 가장 중요 한 주 증상이며 치료의 대상이다.따라서 요통환자의 통증과 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은 통합적인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요통을 일으키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이 유럽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Heliovaara,1987;Bostman,1993),선행의 국내 연구에서는 요추질환자의 임상적 특징 및 장기추적 결과,수술 후 상태를 분석하는 연구(최창락 등,1994;심대무 등,1999;홍창호 등,2004)는 많으나 요통을 일으키는 유발인자 및 요통환자에서 통증과 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 이다.이에 본 연구는 요통환자의 통증과 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

(13)

을 파악하여 질환의 만성화를 예방하게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BBB...연연연구구구의의의 목목목적적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요통환자의 통증과 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 고자 하는 것이며 다음과 같은 구체적 목적을 갖는다. 첫째,연구대상자의 일반적,신체계측적,임상적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연구대상자의 통증과 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CCC...용용용어어어정정정의의의 1.통증지수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손상과 관련된 불쾌한 감각적, 정서적 경험으로 (IASP,1986),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상사 척도로 10cm의 직선상에서 환자자신이 표시한 통증정도를 말한다.0cm의 위치는 통증 없음을,10cm의 위치는 가장 극심 한 통증이 있음을 의미한다. 2.기능장애

요통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기능장애를 말하며 Fairbank와 Couper(1980) 등이 개발한 Oswestry Disability Questionnaire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점수 가 높을수록 기능장애가 심한 것을 뜻한다.

(14)

Ⅱ.

.

.문

문헌

헌고

고찰

AAA...요요요통통통의의의 원원원인인인 요통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가장 흔하게 경험하는 고통의 질환의 하나로서 사람 의 약 70~80%가 경험하는 질환이며(Glover,1976),환자 자신의 고통은 물론 사 회생활능력의 상실로 인해 사회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척 크다(김명훈,1986).요 통이란 요부에 나타나는 모든 통증을 일괄하며 사용하는 용어로 단순하게 증상을 표뿐 어떤 특정한 병명이나 증후군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요통은 어떤 연령층 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나 나이가 많을수록 흔하다고 하며 남자보다 여자에 조금 더 많다고 한다(Papageorgiou등,1995).그러나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책상에 앉 아 활동하는 시간이 증가되고 잘못된 인스턴트식 식습관과 운동부족 등의 생활습 관의 변화와 진단방법의 발달로 인하여 10대 청소년 및 20~30대 젊은층에서 환 자가 증가하고 있다(정재윤 등,2002;건강보험심사 평가원,2004). 요통은 통증의 지속기간에 따라 급성,아급성 및 만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지 속기간이 6주이하인 경우를 급성,6주에서 12주까지를 아급성,12주 즉 3개월 이 상 통증이 지속된 경우를 만성이라고 분류되나(Frymoyer,1988),적극적 치료를 위하여 7일 이내를 급성,7일에서 7주까지를 아급성,8주이상을 만성이라고 분류 하기도 하며(Spitzer,Leblanc,Dupuis,1987),통증이 6개월이상 지속된 경우라야 만성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요통은 주로 요부구조 및 주위조직의 변화를 초래하여 나타나며,이는 직업적 특성,활동형태,자세의 변화,비만증 및 임신 등에 의해 영향을 받고,정서적 긴 장이나 2차적 이득 등의 심리적 요인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약우 등,1985). Macnab(1990)은 요통을 원인별로 다음과 같이 5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심인성(Psychogenic)요통이란 실제로 요부에 기질적 병변이 없으나 정신적

(15)

불안감,노이로제 등으로 인하여 요부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로 Calliet(1987;윤호 순 2003이차인용)는 절망,분노,긴장,우울,초조 등의 심리적 요인이 있을 때 이 는 바르지 못한 자세로 연결되며,유연하지 못한 활동을 하게 되어 요통이 발생하 기 쉽다고 하였다. 둘째,내장기성(Viscerogenic)요통이란 복강 내의 장기의 이상이나 후복강 내의 종 양 등이 있는 경우 발생하는 요통으로서 척추에서 기인하는 것과 달리 활동시에 통증이 악화되거나 안정 시 에 통증이 경감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병력 상 타 장기의 병적 증상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경우가 흔하다. 셋째,혈관성(Vascular)요통이란 대동맥의 동맥류나 말초혈관 질환 시 에도 요통 이나 좌골신경통과 유사한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이 경우 이완된 혈관을 따라 통증부위 및 통증 양상의 차이가 있다.그러나 허리를 구부리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 때처럼 외력이 가해져도 요통이 악화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이때 하지의 간 헐적 파행(intermittentclaudication)이 있을 수 있으며,환자가 걷지 않고 단지 가 만히 서 있기만 하여도 통증이 호전되는 것이 특징이다.

넷째,신경성(Neurogenic)요통이란 중추신경(특히 thalamus),척수경막,신경근 등 에 이상이나 종양에 기인한 경우를 말하며 특히 야간에 통증이 더욱 심하여 통증 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잠자리에서 일어나 걸어 다니는 경우가 흔히 있다.

다섯째,척추성(Spondylogenic)요통이란 척주(spinalcolumn)와 그 부속 구조물에 기인한 통증을 말하며 가장 빈번한 요통의 원인이다.대개 이 통증은 활동 시 증 가하며 누워있거나 안정시에 경감되는 특징이 있다.척추성 요인은 추체성 요인과 추간판성 요인의 두 가지 경우로 나눠볼 수 있는데 먼저,추체성 요인은 척추 및 부속구조의 기형,외상 혹은 병변에 의하여 야기되는 요통이다.외상에 의한 추체 의 압박골절이나 횡돌기 골절 등은 골절자체 뿐 아니라 지지연부조직손상도 수반 함으로 흔히 요통의 원인이 된다.폐경기에 호르몬의 대사의 변화로 폐경기성 골 조송증이 빈발하는데 모두 노인 요통의 원인이 된다(박병문,1977).추간판성 요인 은 척추의 추체사이에 있는 추간원판(intervertebraldisc)의 퇴행성변성에 의하여 야기되는 요통이다.인체의 성장과 발육이 완료된 20대 이후 요통의 주요원인의

(16)

하나이며 재발 원인 중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다.척추는 구조상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가동성 구조로써 운동기능도 가지고 있 다.정적인 힘과 동적인 힘에 기인한 가속에 의해 발생하는 힘의 총화가 척추구조 자체에 표현되는 효과는 중압(load)이 가해지면서 압박 및 긴장으로 나타나게 되 는 것이다.체위의 연대별 발달과정을 살펴보면 출생당시는 흉추와 천추는 원형인 전굴상태를 유지하나 경추와 요추는 거의 곧게 편평 상태를 이루고 있다.생후 3 개월이 되면 어린이는 머리를 가누게 되고 경추의 직립근이 발달하여 경추는 이 차적으로 전만상(lordosis)를 형성하게 되면 약 9개월경 어린이는 앉는 자세를 취 할 때부터 요부근육이 발달하기 시작하여 약 12~18개월때 기립위를 취하게 되는 데 이때 요추부 역시 전만상이 형성된다.추간판은 수핵,섬유륜,연골단판으로 구 성되어 전후방으로 강인한 종인대에 의하여 지지 보강되어있다.수핵의 수분함량 은 출생시 약 88%에 달하나 70세에는 68%로 이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변성되 어 감소되고 섬유화 되기 때문이며 본래 가지는 기능도 감소내지 소실된다.추간 판에 일어나는 퇴행변성은 성장이 완료된 20세경 부터 시작하여 일생동안 지속되 는 생리적 현상으로서 설명할 수 있으나 요추부기형,외상 혹은 병변에 존재하면 더욱 악화되기 마련이다. BBB...요요요통통통의의의 유유유발발발인인인자자자 요통에 영향을 미치는 유발인자는 척추구조상의 병변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복 합적인 요소가 작용하는 것으로(박병문,1977)여러 문헌들에서 보고된 유발인자 를 요통환자의 일반적 특성 및 신체계측적 특성,임상적 특성으로 분류하여 고찰 하였다. 1.일반적 특성 연령이나 성별,직업,사회적 지위,흡연,자세,정신적 압박 등의 일반적 특성에

(17)

따른 선행연구를 살펴보면,요통은 나이에 따라 증가한다는 보고도 있고,30~50 대의 경제적,사회적 활동이 가장 활발한 연령에서 가장 많다고도 한다(Kelsey 등,1976).이경석 등(1996)은 124명의 외래진료를 통한 요통환자의 임상적 소견에 서 31~45세가 32.7%를 차지하고 있음을 보고하였고,김영수 등(1987)의 요통크리 닉에 내원한 환자의 임상적 분석연구에서 50.4%,김명훈 (1986)의 요통환자의 통 계적 고찰연구에서는 56.9%가 30,40대에서 차지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그러나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책상에 앉아 활동하는 시간이 증가되고 잘못된 인스턴트식 식습관과 운동부족 등의 생활습관의 변화로 인하여 10대 청소년 및 20~30대 젊 은층에서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건강보험심사 평가원,2004).성별의 비는 대개 비슷하다고 하며,혹자는 여자에게서 2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한다고 한다.여 자가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으로는 첫째,월경 등의 신체현상이 요통증가에 기여할 수 있으며,둘째로는 신체적으로 남자보다 약하며,셋째로는 통증에 대한 예민도가 높다는 것 등이 이유가 될 수 있다고 한다(Nagi등,1973).이동엽 등 (2004)의 요추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신체계측적 분석에서 남녀의 비가 1.56:1,이 경석 등(1996)은 남녀의 비가 1.9:1로 남자가 약간 많았음을 보고하였고,김영수 등(1987)은 1:1.1,김명훈 (1986)은 1:1.76으로 여자에게 더 많이 나타남을 보고 하 였다. 직업적 측면에서는 노동자,트럭이나 트랙터 운전수,농부,중공업 노동자와 간 호사 등이 요통이 호발 한다고 보고되고 있다(Magora,1970 ;Nagi등,1973 ; Fraymoyer& Pope,1978).Magora(1973)는 현재의 직업,직책에 만족하지 않는 사람이나,높은 책임과 정신적 집중을 요하는 작업을 가진 사람들에서,특히 긴장 이나 피로를 느끼며 일을 할 경유 요통발생이 높다고 하였다.요통과 흡연과의 상 관성에 대해 현재 명확한 메카니즘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흡연으로 인하여 뼈의 무기질이 감소되며 골다공증을 가속화 하므로써 추간판의 미세골절을 유발하여 결과적으로 디스크로의 영양공급을 방해하고 또한 기계적인 변형을 더욱 유발시 키게 한다고 한다(Peter등 ,1989).또한 흡연은 디스크 표면으로부터의 혈관 도 달의 손실 또는 혈류량의 감소를 야기시켜 다스크내로의 영양공급이 부적절해지

(18)

고 쓸모없는 노폐물의 축적을 야기시킬수 있다고 한다(James등,1990).Helivaara 등(1987)은 흡연과 만성기침이 요통을 유발시키는 위험인자로 보고하였고,Livshits 등(2001)의 연구에서도 흡연이 요통을 일으키는 중요한 위험인자라고 보고하였다. 정수현 등(2001)은 흡연과 요통치료의 상관성에 대한 임상적 고찰연구에서 비 흡 연자보다 흡연자가 요통치료의 치료성적이 낮음을 보고하였다.Von Korff 등 (1993)과 김은영(2004)은 교육정도가 낮을수록 나쁜 예후와 통증정도가 높게 나타 났으며,이현주(2000)의 연구에서도 교육정도가 낮을수록 기능장애를 더 호소함을 보고하였다. 2.신체계측적 특성 신체계측 분석을 통한 신장,체중,비만도와 요통과의 연관성을 연구한 논문들 에 의하면 신장이 클수록,정상체중자보다 비만자가 요통발생의 기여 인자로 가능 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Helivaara등,1987;Bostman OM,1993;Dudek 등,1999). Helivaara등(1987)은 남자의 신장이 180cm 이상인 경우와 여자의 신장이 170cm 이상인 경우 신장이 10cm 이상 작은 사람에 비하여 상대위험도가 각각 2.3및 3.7 배라고 하였으며,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를 분석한 결과 남자 환자에서 일반인 에 비하여 체질량 지수의 증가가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라고 하였다.Bostman(1993)은 고연령군(50~59세)을 제외하고는 남녀 모두 모든 연령 대에서 일반인에 비하여 요통환자가 더 뚱뚱하고 키가 크다고 하였다.김은영 (2004)은 요통으로 물리치료를 받고 있는 124명을 대상한 연구에서 정상체중군보 다 과체중군에서 시각적 상사척도가 유의하게 높았음을 보고하였으며,이동엽 등 (2004)의 연구에서는 20~29세 사이의 남자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는 일반인에 비하여 체질량 지수가 유의하게 높았음을 보고하였다.홍창기 등(2004)은 징병 신 체검사에서 나타난 청소년기 추간판 탈출증의 유병률과 임상적 특징을 분석한 연 구에서 대조군에 비해 평균체중과 체질량 지수가 유의하게 높았음을 보고하였다. 요통을 유발하는 인자로 근 골격계의 생체 역학적 변화를 들 수 있다(Troup, 1984).만곡을 가진 대부분의 요통은 척추전만이 증가 되므로써 요천각 증가의 원

(19)

인이 되며 정적인 자세에서의 요통은 75%가 척추전만에 기인한다고 한다(Cailliet, 1984).임신중 태아의 체중은 10~12kg 정도 된다.이렇게 증가하는 체중은 일차 적으로 임산부의 복부 둘레내에서 퍼지게 된다.이러한 생체 역학적 변화로 인해 임산부의 요추전만이 증가하게 되어 몸의 척추가 전체적으로 더 후방으로 기울어 지며,몸의 중력 중심이 후방과 하방으로 이동하여 요통을 더 유발시킨다(김선엽, 김광수,1998).본 연구자는 복부비만도 임신과 마찬가지로 척추전만을 가중시켜 요통을 일으키는 인자로 생각하여 신체계측을 통해 허리둘레와 둔부둘레를 측정 하여 요통과의 연관성를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 하였다.허리둘레-둔부둘 레비는 복부비만을 잘 반영하고 가장 임상적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김상만 등,1997)심혈관계 및 당뇨,간질환,성인병을 예측하는 지표로 많이 사 용되고 있지만 요통과 관련된 연구는 찾아 볼 수 없었다. 3.임상적 특성 요통을 유발하는 인자 중 진단명 및 통증원인,발병기간,통증발생빈도,통증지 속시간 등의 임상적 특성에 따라 통증 및 예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이를 보 고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Von Korff등(1993)은 요통의 정도와 기간에 따라 요 통이 심할 때,6개월 이상 되었을 때 나쁜 예후를 보인다고 했으며,김은영(2004) 의 연구에서는 추간판 탈출증이 골절이나 염좌군에 비해 통증정도가 높게 나타났 고,또한 통증발생빈도가 많을수록,지속시간이 길수록 통증정도가 높게 나타났음 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요통을 일으키는 원인은 단지 척추의 구조상의 병변뿐 아니라 여러 가 지 복합적인 유발요소가 작용하는 것으로 요통환자의 통증과 기능장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에 대한 통합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20)

CCC...요요요통통통의의의 통통통증증증지지지수수수와와와 기기기능능능장장장애애애 요통환자에서 통증과 이로 인한 장애는 환자의 가장 중요한 주 증상이며 치료 의 대상이다.또한 치료 후 이에 대한 판정은 치료 결과와 치료방법의 효용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Frymoyer,1988). 요통완화를 위한 다양한 접근에도 불구하고 일부 학자들은 환자의 장기적인 치 료결과에 대하여 회의적이고 만족하지 못한다고 지적하면서 그 이유는 적절치 못 한 치료방법의 선택에도 있지만 통증에 대한 평가도 부적절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영희 등,1987:MaCreary 등,1980).통증은 매우 주관적인 증상으로 환자의 여러 가지 조건,즉 감수성,생활환경,정서적인 또는 정신적인 상태와 보상 문제 등에 의해 통증 및 그로 인한 장애의 정도가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기 때문에 정 확한 계측은 불가능하다.이러한 통증을 계량화하기 위해 많은 방법들이 개발되어 있으나 신뢰성을 완전하게 인정받고 있는 것은 없으며 속성상 완벽한 방법은 있 을 수 없다고 하겠다(왕진만,김동준,1995).실제 임상이나 통증연구에서 환자 자 신의 통증을 양적으로 표시하는 자기보고 척도를 이용한 주관적인 통증측정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Chapman등,1985;Strong,Ashton& Chant,1991).

통증의 강도를 측정하기위한 방법으로는 시각적 상사척도(Visualanaloguescale, VAS),숫자평정척도(numericrating scale,NRS),구술적 평정척도(Verbalrating scale),통증안면척도(Pain faces scale)등의 일차원적 측정방법과 McGil Pain Questionnaire,MMPI,Painbehaviorscale등의 이차원적인 측정방법이 있다.

시각적 상사척도(Visualanaloguescale,VAS)는 자신의 통증정도를 100mm 수 직 또는 수평 직선의 측정자에서 통증이 없는 상태를 0mm,극심한 최대의 통증 상태를 100mm 끝점으로 한 상대적인 통증 정도를 지적하여 이의 길이를 점수화 한 것이다.통증측정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고 간단하면서도,통증에 대한 민감도가 높고 비례적인 성질을 가지 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vill등,1976).이는 급성통증 뿐 아니라 만성통증 에도 신뢰도와 타당도가 인정되어 왔다(Lauren,1998).왕진만과 김동준(1995)은

(21)

요추질환으로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VAS를 이용한 동통평가의 유용성에서 0.88의 상관계수를 보였고,진우제(2003)는 응급실에서 통증측정을 위해 VAS적용 시 0.96의 상관계수를 보였다.

숫자평정척도(numericrating scale,NRS)는 0(통증없음)으로부터 10(극심한 통 증)까지 나열된 여러 형태의 척도를 통해 통증의 정도를 숫자를 사용하여 말하는 것으로 VAS개념의 직선위에 1에서 10까지 숫자를 표시하여 놓은 것이다.

구술적 평정척도(Verbalrating scale)는 통증의 강도가 증가하는 정도에 따라 배열된 구(phrase)를 선택하는 것으로 “통증이 없다,약간 아프다,중간 정도로 아 프다,심하게 아프다,참을 수 없이 아프다”등의 통 5~6개의 단계를 표시하여 표 현하는 것이다.

통증안면척도(Pain facesscale)는 Wong과 Baker그리고 Bieri등에 의하여 발 전된 통증 척도로(Wong 등,1988;Bieri,1990)통증이 없는 편안한 상태와 극심 한 통증을 느끼는 상태의 얼굴 형태를 삽화로 그려 5~7단계의 척도로 표시하는 것으로 특히 소아,노인,중환자실에 입실한 환자 등과 같은 이해력과 표현능력이 떨어지는 환자의 통증 측정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발전 되었다(Chambers 등,1998;Herr등,1998;Terai등,1998).

요통과 관계된 일상생활의 장애를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ODQ(OswestryDisability Questionnaire), RMDQ(Roland-Morris Disability Questionnaire), The Million Index,TheClinicalBackPainQuestionnaire,Low BackPainRatingScale,The QuebecBackPainDisabilityScale,TheDallasPainQuestionnaire등이 있다.

ODQ(Oswestry Disability Questionnaire)는 Fairbank등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일상생활의 각각의 동작과 관련된 통증정도,개인관리,들기,걷기,앉기,서기,성 생활,수면,사회적 활동,여행 등 의 10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있다.ODQ는 만성 불치 요통환자를 평가하기위해 고안되었다(Roland& Faribank,2000)

RMDQ(Roland-MorrisDisability Questionnaire)는 “요통 때문에”라는 구문을 붙여서 만들어진 Scale로 “예/아니오”로 대답하여 24점을 얻을 수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장애의 정도가 큰 것으로 매우 빠르며 적용하기 쉽다는 장점을 가지고

(22)

있다.심한 장애의 환자보다는 심하게 이환되지 않는 환자들에게 잘 적용된다 (Roland& Faribank,2000).

TheMillion Index는 VAS로 기록되고 요통의 심한 정도를 반영하는 15개의 주 관적 변수와 하지 직거상 검사와 요추의 굴곡을 포함하는 10개의 객관적 변수의 두 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Millon등,1982).

TheClinicalBack Pain Questionnaire는 요통 환자들에게 일상적으로 물어지는 질문들로부터 고안된 것으로 통증의 정도,통증부위와 지속시간,진통제의 사용, 위약,침상 안정일,수면,성생활,레져,일 등의 다양한 생활상태를 평가 할 수 있 다(Kopec,2000).

Low Back Pain Rating Scale은 통증(pain),장해(impairment),장애(disability) 세 가지 scale로 구성되어 있으며 간략하고 사용하기 쉬우며 동시에 간접적으로 요통을 측정할 수 있는 목적으로 고안되었다(Kopec,2000).

TheQuebecBack Pain Disability Scale은 급성 혹은 만성의 요통환자를 평가 하기 위해 고안된 척도로 기능적인 장애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이 척도는 요통과 관련된 20개의 항목으로 구성되는데 움직임,여행,서 있는 능력,앉아 있 는 능력,손을 내밀어 물건을 집는 능력,달리기,허리 굽히기,무거운 것 들기 등 을 포함하고 있으며 감정상태,통증정도,사회적인 활동,성생활 등의 항목은 제외 되었다.전혀 어렵지 않은 0에서부터 동작을 전혀 할 수 없는 5점까지의 점수로 표현되면 금일의 상태에 대한 특정 질문들로 구성되어 있다(Kopec등,1995).

TheDallasPain Questionnaire는 16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시각적 상사 척도이 다.일상생활,일과 여과,두려움과 우울,사회적 관심 등의 네 가지 영역에서 통 증의 영향을 평가 하였으며,자가 치료,옮기기,걷기,앉기,서있기,수면 등의 일 상생활의 평가를 포함하고 있다(Lawlis등,1989).

요통과 관계된 기능장애를 평가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RMDQ와 ODQ는 Roland와 Fairbank에 의해 비교되었는데,두 scale간에는 큰 차이는 없지만 다만 심한 장애의 환자에서는 RMDQ가 최대값을 가질때 ODQ는 변화를 보여 줄 수 있 으며,심하지 않은 장애에서는 ODQ가 최저값을 가질 때 RMDQ는 변화를 보여

(23)

줄 수 있어서 상대적으로 심한 환자에게는 ODQ를 적용하며,상대적으로 경한 환 자에게는 RMDQ를 적용할 것을 추천하고 있다(Roland와 Fairbank,2000).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연령이 20대부터 70대까지 다양하고 발병기간도 1 개월에서 1년이상 여러 가지 패턴을 보이고 있으므로,여러 연령대에서 쉽고 간편 하게 사용할 수 있고,급성 및 만성통증에도 신뢰도와 타당도를 인정받은 시각적 상사척도로 통증을 측정하였다.또한 요통환자의 기능장애 평가는 요추질환자의 일상생활의 기능장애에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어 추후 다른 연구와 비교하는데 공유할 수 있고,본 연구의 대상자가 대학병원에 입원한 환자로 통증정도가 외래 나 기타 보존적 치료를 받고 있는 집단에 비해 심할 것으로 생각하여 ODQ(Oswestry DisabilityQuestionnaire)를 본 연구의 기능장애 평가도구로 사용하였다.

이상의 문헌고찰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가장 흔하게 경험하는 요통에 대하여 여 러 가지 원인과 유발인자가 있음을 확인 하였으나 국내의 경우 요통환자에서 통 증과 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은 부족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 서는 요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을 일반적,신체계측적,임상적 특성의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해 보는 연구를 시도 하였다.

(24)

Ⅲ.

.

.연

연구

구방

방법

AAA...연연연구구구설설설계계계 본 연구는 요통환자의 통증과 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일반적 특성,신 체계측적 특성,임상적 특성의 측면에서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BBB...연연연구구구대대대상상상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S시에 소재한 A 대학병원 신경외과에 입원한 환자중 다음 기준에 부합되는 84명의 환자로 구체적인 대상자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요추부 자기공명영상촬영을 시행하여 요추질환 병변이 발견된 자 2)요통 및 하지 방사통의 주 증상을 호소하는 자 3)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이해하며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자 단 통증 및 기능장애를 평가하는데 객관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는 산업재해 및 교 통재해 환자는 제외시켰다. CCC...연연연구구구도도도구구구 111...종종종속속속변변변수수수의의의 측측측정정정도도도구구구 1)통증지수

(25)

적인 통증정도를 측정하였다.자신의 통증정도를 10cm 수직의 측정자에서 통증이 없는 상태를 0cm,극심한 최대의 통증 상태를 10cm 끝점으로 측정자의 눈금 없는 면을 먼저 환자에게 보여주어 자신의 통증정도를 지적하고 이의 길이를 관찰자면 에 나타난 눈금을 보고 측정하여 점수화 하였다.점수가 높을수록 통증의 정도가 심한 것을 뜻한다. 2)기능장애

Fairbank와 Couper 등(1980)이 개발한 Oswestry Disability Questionnaire(ODQ) 를 사용 하였다.이 도구의 문항은 일상생활의 각각의 동작과 관련된 통증정도, 개인관리,들기,걷기,앉기,서기,성생활,수면,사회적 활동,여행 등의 10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있다.각 항목은 6개 문항으로 되어 있어 0점에서 5점까지 6점 척도가 부여되고 점수가 높을수록 장애가 심한 것을 뜻한다. totalscored 5×××numberofquestionsanswered 10개 항목별 점수를 합한 후 총점(50점)으로 나누어 %를 구하는데 본 연구에서 는 0~20% 경증장애,21~40% 중증도장애,41~60% 증증장애,60% 이상 고도 장애로 구분한다(이현주,2000;이종민 등,2002). 본 연구에서의 도구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Cronbachɑ 값이 0.9076이었다. 연구대상자 대부분이 외래를 통해 입원한 환자로 외래 처음 방문 시 측정한 통 증 과 기능장애 점수와 입원당시 측정한 점수의 차이가 없어 입원당시 측정한 점수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2 22...독독독립립립변변변수수수의의의 측측측정정정도도도구구구 1)체질량지수

체질량 지수(Body massindex :BMI)는 널리 사용되는 비만 판정 방법 중 하 ×××100

(26)

나로 체중(kg)을 신장(cm)의 제곱으로 나누어 산출한다.

체질량지수(BMI)=

산출된 체질량 지수의 수치가 25이하일 때는 정상, 25~29사이이면 과체중, 30이상일 경우에는 비만으로 정의한다(대한비만학회,1995).

2)허리둘레와 둔부둘레의 비(Waist-HipRatio:WHR)

허리둘레와 둔부둘레비(WHR)는 복부 내장 지방량을 반영하는 지표로 가장 널 리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허리둘레와 둔부둘레를 측정하여 비를 구하였다.WHO 측정기준에 따라 허리둘레는 마지막 늑골하단과 제대(umbilicus)상방의 가장 짧은 둘레를 측정하며 둔부둘레는 둔부 돌출부의 가장 긴 둘레를 측정하였다 허리둘레와 둔부둘레의 비(WHR)= 남자 WHR = 0.90,여자 WHR = 0.80을 기준으로 하여 정상군과 복부형 비만군 으로 구분한다 (대한비만학회,1995). DDD...자자자료료수료수수집집집절절절차차차 2004년 6월 3일부터 2005년 3월 30일까지 연구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 을 설명한 후 연구자가 직접 개별적인 면담을 시행하였고 일관된 면담을 수행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체질량지수의 측정은 입원당일 환자복을 갈아입은 상태에서 측정하였으며 체중 은 전자저울을 사용하였고,신장은 수동 신장계측기를 이용하여 소수점 이하 한 자 리까지 기록하였다.허리 및 둔부둘레는 환자복을 갈아입은 상태에서 200cm 줄자 체중(kg) 신장(m)2 허리둘레(cm) 엉덩이둘레(cm)

(27)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소수점 이하 한 자리까지 기록하였다.측정상의 오차를 줄 이기 위해 본 연구자 1인이 측정하였다. EEE...자자자료료료분분분석석석방방방법법법 수집된 84명의 자료를 SPSS WIN 11.5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신체계측적 특성,임상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평균 등 기술적 통계방법을 사용 하였고,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ɑ로 계산하였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변수별 통증과 기능장애의 차이는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통증과 기능장애와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일반성인과 연구대상자간의 특성차이는 Binomialtest를 사용하였다. FFF...연연연구구의구의의 제제제한한한점점점 1)본 연구는 요추부 자기공명영상촬영상 기질적 병변이 있는 입원환자로 한정 하 였기 때문에 요통으로 내원한 외래환자 및 기질적 병변이 없는 요통환자 전체를 대표하는 데는 제한이 있다. 2)허리둘레 및 둔부둘레 측정에 있어 측정상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연구자 1인 이 측정하였으나 방법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1회 측정으로 반복 측정시보 다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28)

Ⅳ.

.

.연

연구

구결

결과

AAA...연연연구구구대대대상상상자자자의의의 제제제반반반특특특성성성 1.일반적 특성 조사 대상자는 총 84명으로 남자 39명(46.4%),여자 45명(53.6%)으로 남녀의 비 율은 1:1.15 로서 비슷하였다.대상자의 평균나이는 51.04(±13.72)세이며 나이별로 살펴보면 31세에서 45세 미만이 27명(32.1%),46세에서 60세 미만이 28명(33.3%), 61세 이상이 25명(29.8%)으로 30대부터 60세 이상까지 고른 분포를 보였다.학력은 무학을 포함한 국졸 이하가 26명(31%),중졸 19명(22.6%),고졸 28명 (33.3%),대졸 이상이 11명(13.1%)이었으며,결혼유무는 기혼 75명(89.3%),미혼 5명(6.0%),사별 과 이혼이 4명(4.8%)으로 조사되었다.흡연여부에 있어서는 흡연자가 총 32명 (38.1%)으로 남자 39명중 25명(64.1%),여자 45명중 7명(15.6%)으로 조사되었다.연 구대상자의 과거병력을 살펴보면 고혈압 및 심혈관계질환이 22명(26.1%),당뇨 8명 (9.5%),등으로 전체의 40.5%가 동반질환을 가지고 있었다.직업은 주부 44.0%(37 명), 운전을 포함한 영업직 및 생산직 16.7%(14명), 사무직13.1%(11명), 무직 4.8%(4명)로 조사되었다.

(29)

<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84 특성 구분 실수 백분율 성별 남자 39 46.4 여자 45 53.6 나이 30세이하 4 4.8 31~45세 이하 27 32.1 46~60세 이하 28 33.3 61세이상 25 29.8 학력 국졸이하 26 31 중졸 19 22.6 고졸 28 33.6 대졸이상 11 13.1 결혼여부 기혼 75 89.3 미혼 5 6.0 사별/이혼 4 4.8 흡연여부 전체 흡연 32 38.1 비흡연 52 61.9 남성 흡연 25 64.1 비흡연 14 35.9 여성 흡연 7 15.6 비흡연 38 84.4 과거병력 심혈관계 질환 22 26.2 당뇨 8 9.5 페질환 2 2.2 골다공증 2 2.2 없음 50 59.5 직업 주부 37 44 운전,영업,생산직 14 16.7 농업,상업 14 16.7 사무직 11 13.1 학생 4 4.8 무직 4 4.8

(30)

2.신체계측적 특징 연구대상자의 신체계측적 특징을 살펴보면 평균신장은 남자 171.97(±6.14),여자 154.14(±5.98),평균 체중은 남자 72.98(±10.0),여자 58.64(±8.53)로 조사 되었다.체 질량지수(BMI)는 25미만의 표준체중은 남자 20명(51.3%),여자 28명(62.2%),25 이상의 과체중은 남자 19명(48.7%),여자 17명(37.8%)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허리둘레의 평균은 남자 88.09(±8.16),여자 84.49(±10.59),둔부둘레의 평균은 남자 97.61(±5.35),여자 95.77(±7.55)로 조사되었다.허리-둔부둘레비율(WHR)은 남자의 20명(51.3%)이 WHR 0.90미만의 정상으로,19명(48.7%)이 0.90이상의 복부비만형으 로 조사되었고,여자의 9명(20%)이 WHR 0.80미만의 정상으로,36명(80%)이 0.80 이상의 복부비만형으로 조사되어 남자에 비해 여자의 복부비만이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BMI가 25미만의 표준체중에 속하는 여자 28명중 19명(52.8%)이 WHR 0.80이상으로 나타났고,남자의 20명중 4명(20.0%)이 WHR 0.90이상으로 나 타났다.

(31)

< 표 2> 연구대상자의 신체계측적 특징 N=84 남자(n=39) 여자(n=45) 평균±표준편차 실수(%) 평균±표준편차 실수(%) 신장 171.97±6.14 154.14±5.98 체중 72.98±10.0 58.64±8.53 허리둘레 88.09±8.16 84.49±10.59 둔부둘레 97.61±5.35 95.77±7.55 BMI 24.60±2.75 23.83±3.24 19.9이하 1(2.6) 19.9이하 3(6.7) 20~24.9 19(48.7) 20~24.9 25(55.6) 25이상 18(46.2) 25이상 16(35.6) 30이상 1(2.6) 30이상 1(2.2) WHR 0.89±0.54 0.87±0.63 0.90미만 20(51.3) 0.80미만 9(20.0) 0.90이상 19(48.7) 0.80이상 36(80.0) 특성

(32)

3.임상적 특성 연구대상의 임상적 특징으로 진단명,주증상,통증완화요인,악화요인,통증기간, 통증동기,근력이상,감각이상,하지직거상 등을 조사하였다.진단명은 요추 추간판 파열증 44명(52.4%),척추강 협착증 29명(34.5%),척추전방 전위증 11명(13.1%)으로 조사 되었으며,주증상으로 요통 및 하지방사통 59명(70.2%),간헐적 파행증 12명 (14.3%),하지 방사통만 있는 경우 10명(11.9%),요통만 있는 경우 3명(3.6%)으로 조사되었다.통증완화요인으로는 진통제 사용 시 37명(44.4%),모로 누워있을 시 28명(33.3%)으로 조사 되었고 악화요인으로는 걸을때 41명(48.8%),서있을때 18명 (21.4%),앉아있을 때 14명(16.7%),순으로 조사되었다.통증기간은 3개월 이하의 급성증상을 보인 경우가 26명(31%)이였고,3개월-1년사이가 21명(25%),1년 이상 의 만성증상을 보인 경우는 37명(44%)이였다.통증동기를 살펴보면 특별한 원인 없는 경우가 56명(66.7%),앉았다 갑자기 일어서는 경우 11명(13.1%),무거운 물건 들다 삐끗한 경우 7명(8.3%),등으로 나타났다.근력이상을 보인경우는 27명(32.1%), 감각이상을 보인경우는 62명(73.8%)으로 조사되었고 하지직거상 검사상 60도 이하 가 37명(44%)으로 나타났다.

(33)

< 표 3> 연구대상자의 임상적 특성 N=84 특성 구분 실수 백분율 진단명 추간판파열증 44 52.4 척추강협착증 29 34.5 전방전위증 11 13.1 주증상 요통 및 하지방사통 59 70.2 간헐적파행증 12 14.3 하지방사통 10 11.9 요통 3 3.6 통증완화 진통제복용시 37 44 모로누워있을때 28 33.3 완화안됨 11 13.1 휴식시 8 9.5 통증악화 걸을때 41 48.8 서있을때 18 21.4 앉아있을때 14 16.7 일하고 움직일때 4 4.8 똑바로 누울때 4 4.8 서있거나 걸을때 3 3.6 통증기간 3개월미만 26 31 3개월~1년사이 21 25 1년이상 37 44 통증동기 그냥 56 66.7 앉았다가 일어서다 11 13.1 물건들다 삐끗함 7 8.3 넘어진후 4 4.8 운전하다 3 3.6 재채기한후 2 2.4 운동하다 1 1.2 근력이상 있다 27 32.1 없다 57 67.9 감각이상 있다 62 73.8 없다 22 26.2 하지직거상 30도미만 14 16.7 30-60도 23 27.4

(34)

BBB...연연연구구대구대대상상상자자자의의의 통통통증증증정정정도도도와와 기와 기기능능능장장장애애애 1.연구대상자의 통증정도와 기능장애 대상자가 지각하는 통증정도는 평균 7.2(±1.68)점이었다.4점이하는 없었고 4-6 점의 중간정도의 통증을 보인경우가 30명(35.7%),7점이상의 심한 통증을 보인 경 우가 54명(64.3%)으로 대상자 거의가 통증을 심하게 호소하였다.대상자의 기능장 애는 평균 56.49(±20.44)점이었으며 0~20%의 경증장애를 보인 경우가 2명(2.4%), 21~40%의 중등도 장애를 보인경우가 21명(25%),41~60%의 중증장애를 보인경우 가 26명(31%),61%이상 고도장애를 보인경우가 35명(41.7%)으로 대상자의 61명 (72.6%)이 중증이상의 기능장애를 호소하였다. < 표 4> 연구대상자의 통증과 기능장애 N=84 특성 구분 실수 백분율 통증정도 4~6점 30 35.7 7점이상 54 64.3 평균값 7.2±1.68 기능장애(%) 경증장애(0~20) 2 2.4 중증도장애(21~40) 21 25 중증장애(41~60) 26 31 고도장애(61이상) 35 41.7 평균값 56.49±20.44

(35)

2.통증과 기능장애와의 관계 통증과 기능장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관계를 보여(r=.662**)통증이 심할수 록 기능장애도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 표 4-1> 통증과 기능장애의 상관관계 특성 기능장애 r p 통증 .662 .000** **p<0.01 3.기능장애 각 항목별 차이 대상자가 지각하는 각 항목별 기능장애는 서기 3.60(±1.27),통증강도 3.37(±0.96), 사회생활 3.29(±1.31),여행 3.05(±1.781)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 표 4-2> 기능장애 각 항목별 차이 기능장애항목 평균±표준편차 1.통증강도 3.37±0.97 2.개인관리 2.29±1.45 3.들어올리기 2.82±1.34 4.걷기 2.73±1.48 5.앉기 2.63±1.48 6.서기 3.60±1.38 7.수면 1.80±1.59 8.성생활 2.96±1.75 9.사회생활 3.29±1.36 10.여행 3.05±1.78

(36)

CCC...요요요통통통환환환자자자의의의 통통통증증증 영영영향향향을을을 미미치미치치는는는 요요요인인인 1.일반적 특성에 따른 통증 성별에 따른 통증은 여성이 7.46,남성이 6.89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 지만(t=-1.561,p=.122),여성이 남성보다 통증을 더 호소하였다.나이에 따른 통증 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F=.221,p=.882),학력에 따른 통증도 통 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969,p=.413).흡연여부에 따른 통증은 대상자 의 흡연율이 남성에서 64.1%,여성에서 15.6%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어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여 조사하였다.남성에서는 비흡연자보다 흡연자가 통증정도가 통계 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는데(t=-2.198,p=.034)이는 통증시 흡연을 하여 통증을 잊 기위한 위약의 효과가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여성에서는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결혼여부에 따른 통증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대상자의 89%가 기혼인자로 미혼 및 사별한 사람의 수가 너무 적어 두 그룹간의 차이를 나 타내기 힘들었을 것으로 생각한다.과거병력유무에 따른 통증에도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는 없었다.

(37)

< 표 5> 일반적특성에 따른 통증정도 N=84 특성 구분 실수(%) 평균±표준편차 t또는 F p 성별 남성 39(46.4) 6.89±1.66 -1.561 .122 여성 45(53.6) 7.46±1.66 나이 30세이하 4(4.8) 7.5±1.73 .221 .882 31~45 27(32.1) 7.31±1.69 46~60 28(33.3) 7.0±1.55 61세이상 25(29.8) 7.2±1.88 학력 국졸이하 26(31) 7.36±1.68 .967 .413 중졸 19(22.6) 6.89±1.59 고졸 28(33.6) 7.48±1.69 대졸이상 11(13.1) 6.36±1.79 흡연여부 남성흡연 25(64.1) 6.48±1.68 -2.198 .034* 비흡연 14(35.9) 7.46±1.39 여성흡연 7(15.6) 7.28±1.38 -.444 .965 비흡연 38(84.4) 7.31±1.69 결혼여부 기혼 75(89.3) 7.23±1.74 .042 .968 미혼/기타 9(10.8) 7.22±1.64 과거병력 있다 34(40.5) 7.19±1.59 .110 .913 없다 50(59.5) 7.15±1.75 *P<.05

(38)

2.신체계측적 특성에 따른 통증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대상자의 통증은 20미만의 저체중군은 6.25(±1.89),2 0~25미만의 표준체중군은 7.17(±1.64),25이상의 과체중군은 7.42(±1.65)로 조사되 었으며,BMI에 따른 통증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F=.975,p=.409) BMI가 증가할수록 통증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허리-둔부둘레비율(WHR)에 따른 대상자의 통증은 여성에서 0.80미만인 경우 7.27(±1.69),0.80이상인 경우 7.44(±1.42)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 로 조사되었으나(t=-.271,p=.788),WHR이 증가할수록 통증을 더 호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남성에서 WHR이 0.90미만인 경우 통증은 6.82(±1.77),0.90이상인 경우는 6.95(±1.66)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t=.200,p=.843) 여자에서와 마찬가지로 WHR이 증가함에 따라 통증을 더 호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표 6> 신체계측적 특성에 따른 통증정도 N=84 특성 구분 실수(%) 평균±표준편차 t또는 F p BMI 19.9이하 4(4.8) 6.25±1.89 .975 .409 20-24.9 44(52.4) 7.17±1.64 25이상 34(40.5) 7.42±1.65 30이상 2(2.4) 6.00±2.82 WHR 0.80미만 9(20.0) 7.27±1.69 .271 .788 (여성) 0.80이상 36(80.0) 7.44±1.42 WHR 0.90미만 20(51.3) 6.82±1.77 .220 .843 (남성) 0.90이상 19(48.7) 6.95±1.66 *P<.05

(39)

3.임상적 특성에 따른 통증정도 진단명에 따른 통증은 추간판 파열증 7.35,척추강협착증 7.07,전방전위증 6.7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F=.824,p=.442) 추간판 파열증에서 통 증을 더 호소하였다.기간에 따른 통증은 3개월미만 7.86,3개월~1년미만 7.11,1년 이상 6.70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3.919,p=.024)통증기간이 짧을수 록 통증을 더 호소하였다.주 증상에 따라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F=.556, p=.645). SLR(하지직거상)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670, p=.012)SLR이 낮게 측정될수록 통증을 더 호소하였다.근력이상 및 감각이상 유 무에 따른 통증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t=1.54,p=.127/ t=.864, p=.390)근력이상 및 감각이상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통증을 더 호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0)

< 표 7> 임상적 특성에 따른 통증정도 N=84 특성 구분 실수(%) 평균±표준편차 t또는 F p 진단명 추간판 파열증 44(52.4) 7.35±1.82 .824 .442 척추강협착증 29(34.5) 7.07±1.66 전방전위증 11(13.1) 6.72±1.00 통증기간 3개월미만 26(31) 7.86±1.57 3.919 .024* 3개월~1년 21(25) 7.11±1.53 1년이상 37(44) 6.70±1.70 주증상 요통&하지방사통 59(70.2) 7.05±165 .556 .645 요통만 3(3.6) 6.66±2.08 하지방사통 10(11.9) 7.70±1.82 간헐적파행증 12(14.3) 7.30±1.69 SLR 30도미만 14(16.7) 8.35±1.58 4.670 .012* 30~60도 23(27.4) 7.04±1.52 70도이상 47(56) 6.87±1.65 근력이상 있다 27(32.1) 7.57±1.84 1.541 .127 없다 57(67.9) 6.97±1.57 감각이상 있다 62(73.8) 7.32±1.79 .864 .390 없다 22(26.2) 7.01±1.56 *p<0.05 **p<0.01

(41)

DDD...요요요통통통환환환자자자의의의 기기기능능능장장애장애애에에에 영영영향향향을을을 미미미치치치는는는 요요요인인인 1.일반적 특성에 따른 기능장애 성별에 따른 기능장애는 여성이 62.31,남성이 51.95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t=-2.251,p=.027)여성이 남성보다 기능장애를 더 호소하였다.나이와 학력 에 따른 기능장애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1.817,p=.151/F=1.00, p=.960).흡연여부에 따른 기능장애는 남성,여성 모두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결혼유무에 따른 기능장애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이 는 대상자의 89%가 기혼인자로 미혼 및 사별한 사람의 수가 너무 적어 두 그룹간 의 차이를 나타내기 힘들었을 것으로 생각한다.과거병력에 따른 기능장애에도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기능장애 각 항목별 차이는 성별에 따라 통증강 도,서기,사회생활의 기능장애항목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나이,학력,흡연,결혼여부,과거병력,직업에 따른 기능장애 항 목별 차이는 없었다.

(42)

< 표 8>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기능장애 N=84 특성 구분 실수(%) 평균±표준편차 t또는 F p 성별 남성 39(46.4) 51.95±20.79 -2.251 .027 여성 45(53.6) 62.31±19.84 나이 30세이하 4(4.8) 56.47±19.37 1.817 .151 31~45 27(32.1) 61.08±23.80 46~60 28(33.3) 49.37±15.72 61세이상 25(29.8) 59.49±20.87 학력 국졸이하 26(31) 57.16±21.70 .100 .960 중졸 19(22.6) 56.39±21.70 고졸 28(33.6) 55.03±20.73 대졸이상 11(13.1) 58.79±24.08 흡연여부 남성흡연 25(64.1) 47.60±18.85 -1.869 .070* 비흡연 14(35.9) 60.01±21.65 여성흡연 7(15.6) 58.80±15.55 -.220 .827 비흡연 38(84.4) 60.61±12.65 결혼여부 기혼 75(89.3) 57.57±50.76 -.001 .999 미혼/기타 9(10.8) 57.58±17.00 과거병력 있다 34(40.5) 55.68±17.11 -.295 .768 없다 50(59.5) 57.03±22.58 *p<0.05 **p<0.01

(43)

< 표 8-1> 성별에 따른 기능장애 각 항목별 비교 남성 여성 (n=39) (n=45) 평균±SD 평균±SD 1.통증강도 3.05±0.97 3.64±0.88 -2.930 .004** 2.개인관리 2.05±1.45 2.49±1.52 -1.353 .180 3.들어올리기 2.56±1.34 3.05±1.61 -1.473 .145 4.걷기 2.51±1.48 2.93±1.37 -1.337 .185 5.앉기 2.46±1.48 2.78±1.66 -.913 .364 6.서기 3.26±1.38 3.89±1.12 -2.299 .024* 7.수면 1.64±1.59 1.93±1.77 -.788 .433 8.성생활 2.75±1.75 3.19±1.78 -.916 .364 9.사회생활 2.97±1.36 3.56±1.22 -2.025 .046* 10.여행 2.73±1.79 3.33±1.75 -1.500 .138 *p<0.05 **p<0.01 2.신체계측적 특성에 따른 기능장애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대상자의 기능장애는 20미만의 저체중군은 56.50(±34.73), 20~25미만의 표준체중군은 54.96(±20.00),25이상의 과체중군은 59.20(±19.61)으로 나타났다.BMI에 따른 기능장애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F=.521,p=.669). 허리-둔부둘레비율(WHR)에 따른 대상자의 기능장애는 여성에서 0.80미만인 경 우 55.94(±20.57),0.80이상인 경우 61.42(±19.74)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 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t=-.739,p=.464),WHR이 증가할수록 기능장애를 더 호소 하는 경향을 보였다.남성에서 WHR이 0.90미만인 경우 기능장애는 50.25(±20.94), 0.90이상인 경우는 53.96(±20.4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t=-.560, p=.579)여자에서와 마찬가지로 WHR이 증가함에 따라 기능장애 더 호소하는 경향 을 보였다. 문 항 t p

(44)

BMI,WHR에 따른 각 항목별 기능장애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 표 9> 신체계측적 특성에 따른 기능장애 N=84 특성 구분 실수(%) 평균±표준편차 t또는 F p BMI 19.9이하 4(4.8) 56.50±34.73 .521 .669 20-24.9 44(52.4) 54.96±20.00 25이상 34(40.5) 59.20±19.61 30이상 2(2.4) 44.00±22.62 WHR 0.80미만 9(20.0) 55.94±20.57 -.739 .464 (여성) 0.80이상 36(80.0) 61.42±19.74 WHR 0.90미만 20(51.3) 50.25±20.94 -.560 .579 (남성) 0.90이상 19(48.7) 53.96±20.46 *p<0.05 **p<0.01

(45)

3.임상적 특성에 따른 기능장애 진단명에 따른 기능장애는 추간판 파열증 60.56,척추강협착증 52.46,전방전위증 50.89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F=1.901,P=.156)추간판 파 열증에서 기능장애를 더 호소하였다.통증기간에 따른 기능장애를 살펴보면 3개월 미만 67.86,3개월~1년미만 51.71,1년이상 51.21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F=6.625,p=.002)통증기간이 짧을수록 기능장애를 더 호소하였다.주증상에 따른 기능장애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F=.110,p=.954).SLR(하지직거상) 은 기능장애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5.418,p=.006)SLR이 낮게 측정될 수록 기능장애를 더 호소하였다.근력이상 유무에 따른 기능장애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t=1.221,p=.226)근력이상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기능장애를 더 호소하는 경향이 있었다.감각이상 유무에 따른 기능장애에서도 통 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t=1.593,p=.115),감각이상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기능장애를 더 호소하였다.기능장애 각 항목별 차이는 진단명(앉기),통 증강도(개인관리,들어올리기,걷기,앉기,서기,사회생활,여행),하지직거상(앉기, 수면)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에 주 증상,근력이상,감각이 상 유무에 따른 각 항목별 기능장애 차이는 없었다.

(46)

< 표 10> 임상적 특성에 따른 기능장애 N=84 특성 구분 실수(%) 평균±표준편차 t또는 F p 진단명 추간판 파열증 44(52.4) 60.56±22.88 1.901 .156 척추강협착증 29(34.5) 52.46±16.75 전방전위증 11(13.1) 50.89±16.64 통증기간 3개월미만 26(31) 67.86±18.10 6.625 .002** 3개월~1년 21(25) 51.71±21.37 1년이상 37(44) 51.21±18.62 주증상 요통&하지방사통 59(70.2) 56.84±21.20 .110 .954 요통만 3(3.6) 50.00±20.75 하지방사통 10(11.9) 57.50±16.79 간헐적파행증 12(14.3) 55.41±21.48 SLR 30도미만 14(16.7) 70.78±20.39 5.418 .006** 30~60도 23(27.4) 58.02±18.84 70도이상 47(56) 51.48±19.43 근력이상 있다 27(32.1) 60.43±23.15 1.221 .226 없다 57(67.9) 54.00±6.23 감각이상 있다 62(73.8) 60.06±21.28 1.593 .115 없다 22(26.2) 53.05±19.22 *p<0.05 **p<0.01

(47)

< 표 10-1> 진단명에 따른 기능장애 항목별 비교 N=84 HLD Stenosis Listhesis 평균±SD 평균±SD 평균±SD 1.통증강도 3.52±0.97 3.14±0.88 3.36±0.88 1.398 .253 2.개인관리 2.52±1.45 2.03±1.52 2.00±1.52 1.184 .311 3.들어올리기 3.02±1.34 2.76±1.38 2.00±1.61 1.827 .168 4.걷기 2.84±1.48 2.79±1.37 2.18±1.37 .953 .390 5.앉기 3.20±1.48 1.93±1.66 2.18±1.66 7.085 .001** 6.서기 3.59±1.38 3.66±1.12 3.45±1.12 .098 .907 7.수면 2.11±1.59 1.38±1.77 1.64±1.77 1.734 .183 8.성생활 3.22±1.75 2.53±1.78 2.71±1.78 .841 .437 9.사회생활 3.20±1.36 3.54±1.22 3.00±1.22 .861 .427 10.여행 3.07±1.79 3.12±1.75 2.82±1.75 .110 .896 *p<0.05 **p<0.01 < 표 10-2> 통증기간에 따른 기능장애 항목별 비교 N=84 3개월미만 3개월-1년 1년이상 평균±SD 평균±SD 평균±SD 1.통증강도 3.69±0.88 3.38±0.92 3.14±1.04 2.639 .078 2.개인관리 2.88±1.50 2.29±1.52 1.86±1.37 3.845 .025* 3.들어올리기 3.64±1.14 2.43±1.52 2.47±1.52 6.178 .003** 4.걷기 3.50±1.36 2.15±1.53 2.51±1.26 6.619 .002** 5.앉기 3.46±1.44 2.33±1.59 2.22±1.47 5.841 .004** 6.서기 4.12±1.03 3.38±1.36 3.35±1.27 3.330 .041* 7.수면 2.31±1.59 1.95±1.71 1.35±1.54 2.659 .076 8.성생활 3.56±1.465 2.56±1.96 2.75±1.83 1.600 .212 9.사회생활 3.88±1.03 2.71±1.39 3.23±1.35 4.867 .010** 10.여행 3.80±1.72 2.40±1.75 2.89±1.69 3.955 .023* *p<0.05 **p<0.01 문 항 F p F p 문 항

(48)

< 표 10-3> 하지직거상에 따른 기능장애 항목별 비교 N=84 30도미만 30-60도 70도이상 평균±SD 평균±SD 평균±SD 1.통증강도 3.93±1.07 3.22±0.85 3.28±0.94 2.979 .056 2.개인관리 3.07±1.50 2.35±1.43 2.02±1.46 2.844 .064 3.들어올리기 3.57±1.22 2.91±1.42 2.53±1.56 2.767 .069 4.걷기 3.43±1.45 2.15±1.53 2.51±1.26 2.518 .087 5.앉기 3.46±1.44 2.83±1.52 2.48±1.47 4.679 .012* 6.서기 4.21±1.21 3.57±1.08 3.43±1.36 2.141 .124 7.수면 2.79±1.789 2.00±1.59 1.40±1.62 4.109 .020* 8.성생활 3.75±1.465 3.06±1.72 2.54±1.77 2.038 .141 9.사회생활 3.57±1.65 3.36±1.04 3.163±1.32 .568 .569 10.여행 3.50±1.87 3.48±1.69 2.71±1.76 1.896 .157 *p<0.05 **p<0.01 문 항 F p

(49)

Ⅴ.

.

.고

고 찰

AAA...통통통증증증에에에 영영영향향향을을을 미미미치치치는는는 요요요인인인 요통은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나이가 많을수록 흔하다고 하며,남 자보다는 여자에게 조금 더 많다고 한다(Papageorgiou 등,1995).여자가 더 많을 수 있다는 원인으로써 첫째,menstruation등 신체현상이 요통증가에 기여할 수 있 으며,둘째로는 신체적으로 남자보다 약하며,셋째로는 통증에 대한 예민도가 높다 는 것 등이 이유가 될 수 있다고 한다(Nagi등,1973).본 연구에서는 남자가 39명 (46.4%),여자가 45명(53.6%)으로 남녀비가 1:1.15로 여자가 약간 많았다.성별에 따른 통증과의 관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여성이 7.46,남성이 6.89로 여성에서 더 많은 통증을 호소하였다.요통으로 물리치료를 받고 있는 입원 환자와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한 김은영(2004)의 연구에서 여자가 55.6%,남자가 44.4%로 남녀비는 1:1.25로 여성이 많았고 성별에 따른 통증도 여성에서 통계학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본 연구결과와 비슷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평균나이는 51.04(±13.72)세이며,31~45세 32.1%, 46~60세 33.3%,61세이상 29.8%로 연령이 증가하더라도 고른 분포가 나타난 반면에 이경석 등(1996)이 외래진료를 통한 124명의 요통환자의 61세이상 15%,김영수 등(1987)의 연구에서 60세이상 6.2%로 60세 이상의 고 연령층은 낮은 분포를 보였다.이는 시 대적 차이에 따라 노인층 인구의 증가로 퇴행성 요추 질환이 점점 증가하고 있음 을 보여준다.나이에 따른 통증과의 관계에서 김은영(2004)의 연구와 이현주(2003) 의 연구는 나이가 많을수록 정적관계를 보인반면 본 연구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 의한 차이는 없었는데 이는 본 연구대상자가 대학병원에 입원한 자로 외래환자나 기타 2차병원 및 보존적 치료를 받는 환자에 비해 통증정도가 심해 나이별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김은영(2004)의 연구와 이현주(2003)의 연구에서 학력에 따른 통증과의 관계는

수치

표 표 표 차 차 차 례 례 례 &lt;표 1&gt;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9 &lt;표 2&gt; 연구대상자의 신체계측적 특징 21 &lt;표 3&gt; 연구대상자의 임상적 특성 23 &lt;표 4> 연구대상자의 통증과 기능장애 24 &lt;표4-1&gt; 통증과 기능장애의 상관관계 25 &lt;표4-2&gt; 기능장애 각 항목별 차이 25 &lt;표 5&gt; 일반적특성에 따른 통증정도 27 &lt;표 6&gt; 신체계측적 특성에 따른 통증정도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leeping patterns among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The findings

49개로 나타났다.우식치지수에서는 광주․전남 지역별로 비교시에 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lt;0.. 58개로 광주지역이 전남지역에

그림 3-19각 건설관련자별 건설클레임 인식수준(공정 관련) 무리한 단축공기 제시는 각 건설관련자에 따라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학/연계가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adhesion control standards of pain relieving patch (PRP) drugs and to survey it′s adverse effects on the skin of patients

Depending on Tennis Forehand Stroke with elbow pain and without elbow pain Kinematic Analysis of

연구대상 및 연구 방법:본 연구는 삼차 신경 영역의 외상 후 감각이상 및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환자의 증상 지속 기간에 따라

레진시멘트의 결합강도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Table 3). Goracci 등 18) 은 이러한 결합강도의 차이에 관하여 자가접착 레진시멘트에 포함된

Comparison of pain scale between the conventional and 2-step needle insertion technique according to the injection area ··· 11... The combination of pain scale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