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우석대학교 에너지전기공학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우석대학교 에너지전기공학과"

Copied!
3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우석대학교 에너지전기공학과

이우금 교수

(2)

기말시험 총정리

 삼각함수의 성질

1) 𝑦 = 𝐴sin(ω𝑥), (𝐴 ≠ 0) 의 진폭과 주기  최대값:

𝐴

, 최소값:

− 𝐴

 각속도: ω  주기:

𝑇 =

2π ω

(=

360° ω

)

 주파수:

𝑓 =

1 𝑇

=

ω 2π

(=

ω 360°

)

2π ω 주기= 2π ω 0 𝑦 𝑥 2) 위상(phase) 이동

𝑦 = 𝐴sin(ω𝑥 − ∅), (𝐴 ≠ 0)

𝑥 =

∅ ω 에서 시작하여,

𝑥 =

2π ω

+

∅ ω 에서 한 주기가 끝난다.

 그러므로, 𝑦 = 𝐴sin(ω𝑥 − ∅) 의 그래프는 𝑦 = 𝐴sin(ω𝑥) 의 그래프를 ∅ ω 만큼 수평으로 평행이동.  이때 ∅ ω 를 𝑦 = 𝐴sin(ω𝑥 − ∅) 의 위상이동 . ∅ > 0 일 때: 오른쪽 방향으로 수평 이동 ∅ ω 2π ω + ∅ ω 0 𝑦 𝑥

(3)

 역 삼각함수

1) 역함수: 오직 1:1 함수에만 존재함. 사인함수 𝑦 = sin 𝑥 의 역함수가 존재하는가? 2) 1:1 함수가 아닌 경우: 정의역을 축소함으로써, 축소된 범위 내에서 1:1 함수가 되도록 할 수 있음.  사인함수의 역함수: 아크사인 함수 (arcsine function) −1 ≤ 𝑥 ≤ 1, −π2 ≤ 𝑦 ≤ π2 에 대해서 𝑥 = sin 𝑦 𝑦 = sin−1𝑥 그러므로, 『 𝑦 는 사인함수 값이 𝑥 일 때의 각』  아크코사인 함수 (arccosine function)의 정의 −1 ≤ 𝑥 ≤ 1, 0 ≤ 𝑦 ≤ π 에 대해서 𝑦 = cos−1𝑥 𝑥 = cos 𝑦  아크탄젠트 함수 (arctangent function)의 정의 −∞ < 𝑥 < ∞, −π2 < 𝑦 < π2 에 대해서 𝑦 = tan−1𝑥 𝑥 = tan 𝑦 그러므로, 『𝑦 는 탄젠트함수 값이 𝑥 일 때의 각』

(4)

예제) 다음 값을 구하라. (1) cos[(sin−1(−1 3)] 𝑦 = sin−1(−1 3) − 1 3= sin 𝑦  𝑦 는 사인함수의 값이 −13 이 되기 위한 각.  또한, −13= sin 𝑦 < 0 이므로, 각 𝑦 는 3/4분면 또는 4/4분 면의 각.  아크사인 정의에 의해 −π2 ≤ 𝑦 ≤ π2 이므로, 각 𝑦 는 4/4분면 또는 1/4분 면의 각.  그러므로, 각 𝑦 는 4/4분 면의 각이 되어야 함. −π2 < 𝑦 < 0  직각삼각형 (피타고라스 정리) sin 𝑦 = −13 3 1 2 2 𝑦 𝑦 𝑥 −1 o 𝑥 𝑦 (양의 삼각함수) sin all tan cos

(5)

6. 복소수 (complex number) 6-1. 복소수 개념 6-1-1. 복소수의 정의  복소수: 실수 외에 허수까지 포함하는 수.  실수: 실수의 기본단위는 1이며, 실수는 이의 배수로 나타내며, 제곱하여 0 또는 양수로 표시됨.  허수: 제곱하여 -1이 되는 수를 기본단위로 하는 새로운 가상의 수. 𝑖2 = −1 𝑖 = −1 (허수 기본단위)  복소수의 구성: 실수와 허수의 합으로 이루어지고, A 또는

A

로 표시함. A = A = 𝑎 + 𝑏𝑖, (𝑎, 𝑏 는 각각 실수)

 A 의 실수 부(real part):

𝑎 𝑎 = 𝑅𝑒 A = 𝑅𝑒(A )

(6)

6-1-2. 복소수의 표시

 실수는 기하학적으로 일직선상의 한 점으로 표시되나, 복소수는 두 개의 실수로 구성되므로 일직 선상에 표시할 수 없음.

 복소평면(complex plan) or 가우스평면(Gauss plan)

 복소수는 실수를 가로축(𝑥축)으로 하는 실축과 허수를 세로축(𝑦축)으로 하는 허축의 직교좌표의 한 점으로 표시됨.  직교좌표에서 한 점 𝑃(𝑎, 𝑏)는 복소수 A = 𝑎 + 𝑏𝑖 의 한 점으로 대응 됨. 0 𝑎 𝑃(𝑎, 𝑏) 𝑦 (허축) 𝑥 (실축) 𝑏 0 𝑎 𝑃(𝑎, 𝑏) 𝑦 (허축) 𝑥 (실축) A = 𝑎 + 𝑏𝑖 𝑏

(7)

6-2. 복소수의 연산 6-2-1. 복소수의 사칙연산  두 복소수가 각각 다음과 같을 때, A = 𝑎 + 𝑏𝑖 , B = 𝑐 + 𝑑𝑖  덧셈: A + B = 𝑎 + 𝑏𝑖 + 𝑐 + 𝑑𝑖 = 𝑎 + 𝑐 + 𝑏 + 𝑑 𝑖  뺄셈: A − B = 𝑎 + 𝑏𝑖 − 𝑐 + 𝑑𝑖 = 𝑎 − 𝑐 + 𝑏 − 𝑑 𝑖  곱셈: A B = 𝑎 + 𝑏𝑖 𝑐 + 𝑑𝑖 = 𝑎𝑐 + 𝑎𝑑 + 𝑏𝑐 𝑖 + 𝑏𝑑𝑖2 = (𝑎𝑐 − 𝑏𝑑) + 𝑎𝑑 + 𝑏𝑐 𝑖  나눗셈: A B

=

𝑎+𝑏𝑖 𝑐+𝑑𝑖

=

(𝑎+𝑏𝑖)(𝑐−𝑑𝑖) (𝑐+𝑑𝑖)(𝑐−𝑑𝑖)

=

𝑎𝑐+ 𝑏𝑐−𝑎𝑑 𝑖−𝑖2𝑏𝑑 𝑐2−(𝑑𝑖)2

=

(𝑎𝑐+𝑏𝑑)+ 𝑏𝑐−𝑎𝑑 𝑖 𝑐2+𝑑2 6-2-2. 복소수의 상등  두 복소수 A = 𝑎 + 𝑏𝑖 , B = 𝑐 + 𝑑𝑖 가 A = B 일 때, 두 복소수는 같다고 하며, 𝑎 + 𝑏𝑖 = 𝑐 + 𝑑𝑖 𝑎 = 𝑐, 𝑏 = 𝑑

(8)

6-2-3. 공액(conjugate) 복소수  복소수에서 실수부는 같고 허수부의 부호만 바뀐 관계의 복소수를 공액복소수 함.  공액복소수의 표시: 복소수 A 의 공액복소수는 A 로 표시함. A = 𝑎 + 𝑏𝑖 (공액복소수) A = 𝑎 − 𝑏𝑖  공액복소수의 연산  A + A = 𝑎 + 𝑏𝑖 + 𝑎 − 𝑏𝑖 = 2𝑎  A − A = 𝑎 + 𝑏𝑖 − 𝑎 − 𝑏𝑖 = 2𝑏𝑖  A A = 𝑎 + 𝑏𝑖 𝑎 − 𝑏𝑖 = 𝑎2− 𝑏𝑖 2 = 𝑎2 + 𝑏2 0 𝑎 A = 𝑎 − 𝑏𝑖 𝑦 (허축) 𝑥 (실축) A = 𝑎 + 𝑏𝑖 𝑏 −𝑏 −𝑎 −A = −𝑎 − 𝑏𝑖

(9)

6-3. 복소수의 극형식 6-3-1. 극형식 (polar form)  아래 복소평면에서 복소수 A = 𝑎 + 𝑏𝑖 를 나타내는 점을 𝑃(𝑎, 𝑏)라 하고, A 의 절대값을 𝑟, A의 할 때 편각을 θ 라 할 때, cos θ = 𝑎𝑟 𝑎 = 𝑟 cos θ sin θ = 𝑏𝑟 𝑏 = 𝑟 sin θ 그러므로 점 𝑃(𝑎, 𝑏)는 𝑃(𝑟 cos θ , 𝑟 sin θ)가 되며, 복소수 A 는

A = 𝑎 + 𝑏𝑖 = 𝑟 cos θ + 𝑖𝑟 sin θ = 𝑟(cos θ + 𝑖sin θ)

 여기서 𝑟, θ 는 각각 복소수의 절대값(크기)과 편각이므로, 𝑟 = A = 𝑎2+ 𝑏2 θ = arg A = tan−1(𝑏 𝑎) 0 𝑎 𝑃(𝑎, 𝑏) 𝑦 (허축) 𝑥 (실축) A = 𝑎 + 𝑏𝑖 𝑏 θ

(10)

예제 3) 다음복소수를 극형식으로 나타내라. 3-1) A = 1 + 𝑖  크기: 𝑟 = A = 12 + 12 = 2  편각: θ = tan−1(1 1) θ = 45° π4 , 135° 3π4 , 225° 5π4 … (note A = 1 + 𝑖 는 1/4분면의 각: θ = 45° π4  극형식: A = 1 + 𝑖 = 2(cosπ4+ 𝑖 sinπ4) 3-2)) A = −3 − 3𝑖  크기: 𝑟 = A = (−3)2+(−3)2= 3 2  편각: θ = tan−1 −3 −3 θ = 45° π4 , 135° 3π4 , 225° 5π4 … (note A = −3 − 3𝑖 는 3/4분면의 각: θ = 45° + 180° = 225° 5π4  극형식: A = −3 − 3𝑖 = 3 2(cos5π4 + 𝑖 sin5π4)

(11)

6-4. 복소수의 표현방식  직교좌표형식: A = 𝑎 + 𝑏𝑖  삼각함수형식(극형식): A = A cos θ + 𝑖sin θ  극좌표형식: A = A∠θ  지수함수형식: A = A𝑒𝑖θ 6-4-1. 극좌표형식  복소수의 크기(길이) 𝑟 및 편각 θ 로 표현되는 형식: P(𝑟, θ)  편각 θ  양의 각: 원점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각  음의 각: 원점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각  복소평면 상에서 복소수 A 는 크기와 편각으로 표시됨. A = 𝑎 + 𝑏𝑖 = A ∠θ  극좌표형식의 공액복소수 A = A ∠ − θ 0 𝑃(𝑟,θ) 𝑦 (허축) 𝑥 (실축) A = A (크기) θ (편각) 𝑟 = A = 𝑎2 + 𝑏2 θ = arg A = tan−1(𝑏 𝑎) 𝑟

(12)

6-4-2. 지수함수 형식

 오일러공식(Euler formula)

 오일러공식의 정의: 𝑒±𝑖θ = cos θ ± 𝑖 sin θ

 𝑒±𝑖θ 의 크기: 𝑒±𝑖θ = cos θ ± 𝑖 sin θ = cos2θ ± sin2θ = 1

 오일러공식을 극좌표 형식으로 표시하면, 𝑒±𝑖θ = cos θ ± 𝑖 sin θ = 1∠ ± θ  크기가 A 이고, 편각이 θ 인 복소수 A 의 지수함수형식은, A = A𝑒±𝑖θ 0 cosθ A 허축 (실축) 𝑒𝑖θ= 𝐴∠ θ sinθ θ

(13)

예제 4-1) 허수단위 𝑖 를 극좌표, 삼각함수 및 지수함수 형식으로 표시하라.  극좌표형식: 𝑖 = 1∠𝜋 2  삼각함수형식: 𝑖 = cos𝜋 2+ 𝑖 sin 𝜋 2  지수함수 형식: 𝑖 = 𝑒𝑖𝜋2 = (cos𝜋 2+ 𝑖 sin 𝜋 2) 예제 4-2) 허수단위 −𝑖 를 극좌표, 삼각함수 및 지수함수 형식으로 표시하라.  극좌표형식: 𝑖 = 1∠−𝜋2  삼각함수형식: 𝑖 = cos(−𝜋2) + 𝑖 sin(−𝜋2)  지수함수 형식: 𝑖 = 𝑒−𝑖𝜋2 = cos(−𝜋 2) + 𝑖 sin(− 𝜋 2) 0 1 허축 (실축) 𝑒𝑖θ= 1∠𝜋 2 𝜋 2

(14)

예제 4-3) 다음 직각좌표 형식의 복소수를 극좌표, 삼각함수 및 지수함수 형식으로 표시하라. 1) A = 1 − 𝑖 3 크기: A = 12+ (− 3)2= 2 θ = arg A = tan−1(− 3 1 ) = − 𝜋 3  극좌표형식: A = 2∠ −𝜋3

 삼각함수형식: A = A(cosθ + 𝑖 sin θ) = 2(cos(−𝜋3) + 𝑖 sin(−𝜋3))  지수함수 형식: A = A𝑒𝑖θ = 2𝑒−𝜋3𝑖 0 2 허축 (실축) 𝑒𝑖θ= 2∠θ θ

(15)

예제 4-4) 다음복소수를 직각좌표 형식으로 표현하라. 1) A = 10∠ − 30° 10∠ − 30° = 10{cos −30° + 𝑖 sin(−30°)} = 10(23−12𝑖) = 5 3 − 5𝑖 2) A = 4𝑒𝜋3𝑖 = 4{cos 𝜋 3 + 𝑖 sin( 𝜋 3)} = 4( 1 2+ 3 2 𝑖) = 2 + 2 3𝑖

(16)

6-5-2. 복소수의 곱셈과 나눗셈  복소수의 대수적 곱셈

 A ∙ B = 𝑎 + 𝑏𝑖 𝑐 + 𝑑𝑖 = 𝑎𝑐 + 𝑎𝑑 + 𝑏𝑐 𝑖 + 𝑏𝑑𝑖2 = 𝑎𝑐 − 𝑏𝑑 + 𝑎𝑑 + 𝑏𝑐 𝑖

이를 삼각함수형식으로 나타내면,

 A ∙ B = A cos θ1+ 𝑖 sin θ1 ∙ B cos θ2 + 𝑖 sin θ2

= AB{cos θ1cos θ2 + sin θ1cos θ2+ cos θ1sin θ2 𝑖 + sin θ1sin θ2 𝑖2}

= AB{ cos θ1cos θ2− sin θ1sin θ2 + sin θ1cos θ2+ cos θ1sin θ2 𝑖}  복소수의 기하학적 곱셈

 삼각함수 덧셈정리를 활용

cos θ1cos θ2 − sin θ1sin θ2 = cos(θ12) sin θ1cos θ2+ cos θ1sin θ2 = sin(θ12)  A ∙ B = AB{cos( 𝜃1 + θ2) + 𝑖 sin(𝜃12)} = AB∠(𝜃1+ θ2) = AB𝑒𝑖(𝜃1+θ2) 0 𝑦 (허축) 𝑥 (실축) θ1 θ2 𝜃1+ θ2 A ∙ B A B

(17)

 복소수의 대수적 나눗셈  A B

=

𝑎+𝑏𝑖 𝑐+𝑑𝑖

=

(𝑎+𝑏𝑖)(𝑐−𝑑𝑖) (𝑐+𝑑𝑖)(𝑐−𝑑𝑖)

=

𝑎𝑐+ 𝑏𝑐−𝑎𝑑 𝑖−𝑖2𝑏𝑑 𝑐2−(𝑑𝑖)2

=

(𝑎𝑐+𝑏𝑑)+ 𝑏𝑐−𝑎𝑑 𝑖 𝑐2+𝑑2 이를 삼각함수형식으로 나타내면,

A B

=

A cos θ1+𝑖 sin θ1 B cos θ2+𝑖 sin θ2

=

A cos θ1+𝑖 sin θ1 (cos θ2−𝑖 sin θ2) B cos θ2+𝑖 sin θ2 (cos θ2−𝑖 sin θ2)

=

A cos θ1+𝑖 sin θ1 (cos θ2−𝑖 sin θ2) B cos θ2+𝑖 sin θ2 (cos θ2−𝑖 sin θ2)

=

A cos θ1+𝑖 sin θ1 (cos θ2−𝑖 sin θ2)

B (cos θ2)2−(𝑖 sin θ2)2

=

A cos θ1+𝑖 sin θ1 (cos θ2−𝑖 sin θ2) B

= A

B{cos θ1cos θ2+ sin θ1cos θ2− cos θ1sin θ2 𝑖 − sin θ1sin θ2 𝑖 2}

(18)

 복소수의 기하학적 나눗셈

A B = AB{(cos θ1cos θ2 + sin θ1sin θ2) + sin θ1cos θ2− cos θ1sin θ2 𝑖}  삼각함수 덧셈정리를 활용

cos θ1cos θ2 + sin θ1sin θ2 = cos(θ1−θ2) sin θ1cos θ2− cos θ1sin θ2 = sin(θ1−θ2)  A B = AB{cos( 𝜃1− θ2) + 𝑖 sin(𝜃1−θ2)} = AB∠(𝜃1− θ2) = AB𝑒𝑖(𝜃1−θ2) 0 𝑦 (허축) 𝑥 (실축) θ1 θ2 𝜃1− θ2 A B A B

(19)

예제 5-1) 두 복소수 A = 20∠60° , B = 5 + 5𝑖 의 합, 차, 곱셈과 나눗셈을 구하라. A = 20∠60° = 20 cos 60° + 𝑖 sin 60° = 10 + 5 3𝑖 B = 5 + 5𝑖 = 5 2∠45° 1) 복소수의 합과 차  A + B = 10 + 5 3𝑖 + 5 + 5𝑖 = 15 + 5 3 + 5 𝑖  A + B = 10 + 5 3𝑖 − 5 + 5𝑖 = 5 + 5 3 − 5 𝑖 2) 복소수의 곱  A ∙ B = 20∠60° ∙ 5 2∠45° = 100 2∠ 60° + 45° = 100 2 ∠105° = 100 2(cos 105° + 𝑖 sin 105°) 3) 복소수의 나눗셈  A B = 20 60° 5 2 45° = 20 5 2∠ 60° − 45° = 4 2∠15° = 42(cos 15° + 𝑖 sin 15°)

(20)

예제 5-3) 다음 값을 구하라. (10+5 3𝑖)(−4+4𝑖)(5+5𝑖) + (2 + 3𝑖) 1) 5 + 5 3𝑖 = 10∠60° 2) −4 + 4𝑖 = 4 2 ∠135° 3) −5 + 5𝑖 = 5 2 ∠45° 그러므로, 1) ~ 3) 으로부터,

(10+5 3𝑖)(−4+4𝑖) (5+5𝑖) = (10∠60°)(4 2 ∠135°) (5 2 ∠45° ) = 10×4 2 5 2 ∠(135° + 60° − 45°) = 8∠150° = 8 cos 150° + sin 150° = 8(−12+ 23𝑖) Finally,

(10+5 3𝑖)(−4+4𝑖) (5+5𝑖) + (2 + 3𝑖) = (−4 + 4 3𝑖) + (2 + 3𝑖) = −2 + (3 + 4 3)𝑖

(21)

6-6. 복소수의 n제곱과 n제곱근 6-6-1. 복소수의 n제곱

 복소수의 n제곱을 좌표형식으로 표시하면, A 𝑛 = 𝑎 + 𝑏𝑖 𝑛

이를 지수함수형식(또는 극좌표형식)을 이용하여 표시하면 (드 므와브르 정리), A 𝑛 = (A𝑒𝑖θ)𝑛 = A𝑛𝑒𝑖𝑛θ = A𝑛{cos 𝑛𝜃 + 𝑖 sin(𝑛𝜃)} = A𝑛 𝑛𝜃

예제 6-1) 다음의 주어진 식을 계산하라. 1) {cos(2𝜋 3) + 𝑖 sin( 2𝜋 3)} 3 = cos(2𝜋) + 𝑖 sin(2𝜋) = 1 2) 1 + 𝑖 −3 1 + 𝑖 = 2(cos𝜋4+ 𝑖 sin𝜋4) 그러므로, 1 + 𝑖 −3 = { 2(cos𝜋 4+ 𝑖 sin 𝜋 4)} −3 = 2−32 cos −3𝜋 4 + 𝑖 sin − 3𝜋 4

(22)

6-6-2. 복소수의 n제곱근

 이항방정식 (A 𝑛 = B ) 의 해법 정리

 복소수 A 와 B 가 다음과 같을 때: A = A𝑒𝑖𝜑 = A∠φ, B = B𝑒𝑖θ = B∠θ

1) 좌변의 A 𝑛 을 드 므와브르 정리에 의해 극형식으로 변환.

A 𝑛 = (A𝑒𝑖𝜑)𝑛 = A𝑛{cos 𝑛𝜑 + 𝑖 sin(𝑛𝜑)}

2) 우변의 복소수 B 를 극형식으로 변환하고, 각 θ 는 일반각 θ = θ + 2𝑘𝜋 로 변환. B = B∠(θ + 2𝑘𝜋) = B{cos(θ + 2𝑘𝜋) + 𝑖 sin(θ + 2𝑘𝜋)} 3) A 𝑛 = B 에 의해 복소수 A 의 크기 A 와 편각 φ 를 구한다.  크기: A𝑛 = B A= B𝑛  편각: 𝑛𝜑 = θ + 2𝑘𝜋 𝜑 =θ+2𝑘𝜋𝑛

4) 크기와 편각을 복소수 A = A𝑒𝑖𝜑 = A(cos 𝜑 + 𝑖 sin 𝜑)} 에 대입한다.

(23)

예제 6-2) 이항 방정식 A 3 = 1 의 세제곱근을 구하라.

1) 좌변의 A 3 을 드 므와브르 정리에 의해 극형식으로 변환. A 3 = (A𝑒𝑖𝜑)3 = A3{cos 3𝜑 + 𝑖 sin(3𝜑)}

2) 우변의 복소수 B 를 극형식으로 변환하고, 각 θ 는 일반각 θ = θ + 2𝑘𝜋 로 변환. B = 1∠(0 + 2𝑘𝜋) = 1 ∙ {cos(2𝑘𝜋) + 𝑖 sin(2𝑘𝜋)}

3) A3{cos 3𝜑 + 𝑖 sin(3𝜑)} = 1 ∙ {cos(2𝑘𝜋) + 𝑖 sin(2𝑘𝜋)} 에 의해 복소수 A 의 크기 및 편각을 구한다.

 크기: A3 = 1 A=1

 편각: 3𝜑 = 2𝑘𝜋 𝜑 =2𝑘𝜋3

4) 복소수의 크기와 편각을 A = A𝑒𝑖𝜑 = A(cos 𝜑 + 𝑖 sin 𝜑)} 에 대입한다.

A 𝑘 = A∠𝜑 = cos2𝑘𝜋 3 + 𝑖 sin 2𝑘𝜋 3 , (𝑘 = 0, 1, 2) 5) 주근 및 부근을 구하면,  주근: A 0 = cos 0 + 𝑖 sin 0 = 1  부근: A 1 = cos2𝜋3 + 𝑖 sin2𝜋3 = − 12+ 23𝑖 0 𝑦 (허축) 𝑥 (실축) θ=120° A 0 A 1 θ=120° θ=120°

(24)

7-1. 방정식 (equation)  방정식의 정의 (definition)  방정식 (equation): 미지수를 포함하고 있는 등식  해 (solution): 방정식을 만족하는 미지수의 값  방정식 풀음 (solving):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것 ※ 이 절에서는 미지수를 한 개 만 포함하고 있는 방정식을 고려함.  방정식의 일반적인 형태  𝑓 𝑥 = 0 이고,  𝑓 𝑥 = 0의 해는 함수 𝑦 = 𝑓 𝑥 의 그래프와 𝑥축 (𝑦 = 0)이 만나는 점(공유점)의 𝑥 좌표 임.  𝑓 𝑥 가 𝑛 차 다항식이면, 𝑓 𝑥 = 0 을 𝑛차 방정식이라 하며, 다음과 같이 표시함. 𝑎𝑛𝑥𝑛 + 𝑎 𝑛−1𝑥𝑛−1+ ⋯ 𝑎1𝑥 + 𝑎0 = 0, (단, 𝑎𝑛 ≠ 0, 𝑎𝑛−1, … , 𝑎1, 𝑎0은 상수)  등식의 기본성질  𝑎 = 𝑏 이고, 𝑏 = 𝑐 이면, 𝑎 = 𝑐 이다.

(25)

7-2. 연립선형방정식 (simultaneous leaner equation)  연립방정식의 정의 (definition)  연립방정식 (simultaneous equation): 두 개 이상의 방정식으로 이루어진 것  특히, 선형방정식(1차방정식)들로 이루어진 연립방정식을 연립선형방정식 이라 함.  차원(dimension): 미지수의 수.  해 (solution): 연립방정식을 만족하는 미지수들의 값  기하학적 의미에서의 연립방정식의 해  주어진 연립방정식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방정식이 공통으로 포함하는 점의 좌표  연립방정식의 해는 다음의 세 경우로 분류됨. 1) 모든 방정식의 그래프들이 단 한 점 만을 공유하는 경우 2) 모든 방정식의 그래프들이 둘 이상의 점을 공유하는 경우 3) 모든 방정식의 그래프들이 공유하는 점이 없는 경우  연립방정식의 해법  대입법  소거법

(26)

예제 7-2) 다음의 방정식을 대입법과 소거법으로 각각 풀어라. 𝑥 + 2𝑦 = 7 3𝑥 − 4𝑦 = 1 1) 대입법 𝑥 = 7 − 2𝑦 3(7 − 2𝑦) − 4𝑦 = 1 −10𝑦 = −20 𝑦 = 2, 𝑥 = 3 2) 소거법 (𝑥 + 2𝑦 = 7) × 3 3𝑥 + 6𝑦 = 21 3𝑥 − 4𝑦 = 1 3𝑥 − 4𝑦 = 1 −10𝑦 = −20

(27)

7-3. 부등식 (inequality)  부등식의 해  미지수를 포함하고 있는 부등식을 만족하는 미지수의 값  부등식의 해를 구하는 것을 부등식을 푼다고 함 ※ 부등식의 해는 실수범위 안에서만 취급함.  부등식의 일반적인 형태  𝑓 𝑥 < 0, 𝑓 𝑥 ≤ 0 또는 𝑓 𝑥 ≥ 0, 𝑓 𝑥 ≥ 0  부등식의 기본성질  𝑎 < 𝑏 이고, 𝑏 < 𝑐 이면, 𝑎 < 𝑐 이다.  𝑎 < 𝑏 이면, 임의의 실수 𝑐 에대해 𝑎 + 𝑐 < 𝑏 + 𝑐 이다.  𝑎 < 𝑏 이면, 임의의 양수 𝑐 > 0 에대해 𝑎𝑐 < 𝑏𝑐 이다.  𝑎 < 𝑏 이면, 임의의 음수 𝑐 < 0 에대해 𝑎𝑐 > 𝑏𝑐 이다. 또한  𝑎𝑏 < 0 이면, 𝑎 < 0 & 𝑏 > 0 또는 𝑎 > 0 & 𝑏 < 0 이다.  𝑎𝑏 > 0 이면, 𝑎 < 0 & 𝑏 < 0 또는 𝑎 > 0 & 𝑏 > 0 이다.

(28)

 1차 부등식 다음의 부등식 𝑎1𝑥 + 𝑎0 < 0 을 풀어라. 𝑎1𝑥 + 𝑎0 < 0 𝑎1𝑥 < −𝑎0 case 1) 𝑎1 > 0 이면, 𝑥 < −𝑎0 𝑎1 case 2) 𝑎1 < 0 이면, 𝑥 > −𝑎0 𝑎1 예제 7-5) −2𝑥 + 4 < 0 을 풀어라 𝑥 > −24 𝑥 > −2

(29)

 2 차 부등식 정리 𝑎𝑥2+ 𝑏𝑥 + c < 0 를 풀어라. Case 1) 판별식 𝑏2− 4𝑎𝑐 = 𝑑2 > 0 : 상이한 두 실근 𝑎𝑥2 + 𝑏𝑥 + c = 𝑎(𝑥 −−𝑏+𝑑 2𝑎 )(𝑥 − −𝑏−𝑑 2𝑎 ) < 0  𝑎 > 0 일 때: (𝑥 −−𝑏+𝑑2𝑎 )(𝑥 −−𝑏−𝑑2𝑎 ) < 0 −𝑏−𝑑2𝑎 < 𝑥 < −𝑏+𝑑2𝑎  𝑎 < 0 일 때: (𝑥 −−𝑏+𝑑2𝑎 )(𝑥 −−𝑏−𝑑2𝑎 ) > 0 𝑥 <−𝑏+𝑑2𝑎 𝑜𝑟 𝑥 >−𝑏−𝑑2𝑎 Case 2) 판별식 𝑏2− 4𝑎𝑐 = 0 : 중근 𝑎𝑥2 + 𝑏𝑥 + c = 𝑎(𝑥 −−𝑏 2𝑎)2< 0  𝑎 > 0 일 때: 𝑎(𝑥 −−𝑏2𝑎)2< 0 (𝑥 −−𝑏2𝑎)2< 0 해가 존재하지 않음.  𝑎 < 0 일 때: 𝑎(𝑥 −−𝑏 2𝑎) 2< 0 (𝑥 −−𝑏 2𝑎) 2 > 0 부등식의 해는 𝑥 ≠ −𝑏 2𝑎 인 모든 실수.

(30)

Case 3) 판별식 𝑏2− 4𝑎𝑐 < 0 (즉, 4𝑎𝑐 − 𝑏2 > 0 ) : 허근 이 경우 𝑎𝑥2 + 𝑏𝑥 + c 는 실수 범위 내에서 인수분해 되지 않고 다음과 같다. 𝑎𝑥2 + 𝑏𝑥 + c = 𝑎(𝑥 −−𝑏 2𝑎)2+ 4𝑎𝑐−𝑏2 4𝑎 < 0  𝑎 > 0 일 때: 𝑎(𝑥 −−𝑏2𝑎)2+4𝑎𝑐−𝑏2 4𝑎 < 0 (𝑥 − −𝑏 2𝑎)2+ 4𝑎𝑐−𝑏2 4𝑎2 < 0 ※ (𝑥 −−𝑏 2𝑎) 2> 0 이고 4𝑎𝑐−𝑏2 4𝑎2 는 항상 양수이므로, 부등식이 성립하지 않아, 해가 존재하지 않음.  𝑎 < 0 일때 𝑎(𝑥 −−𝑏 2𝑎) 2+4𝑎𝑐−𝑏2 4𝑎 < 0 (𝑥 − −𝑏 2𝑎) 2+4𝑎𝑐−𝑏2 4𝑎2 > 0 ※ 𝑥 의 모든 실수에서 부등식이 성립하므로, 이 부등식의 해는 모든 실수.

(31)

예제 7-6) 𝑥2− 3𝑥 + 2 > 0 를 풀어라. 𝑥2− 3𝑥 + 2 =(𝑥 − 2)(𝑥 − 1) > 0 𝑥 − 2 > 0 𝑎𝑛𝑑 𝑥 − 1 > 0 𝑥 > 2 𝑎𝑛𝑑 𝑥 > 1, 그러므로 𝑥 > 2 또는 𝑥 − 2 < 0 𝑎𝑛𝑑 𝑥 − 1 < 0 𝑥 < 2 𝑎𝑛𝑑 𝑥 < 1, 그러므로 𝑥 < 1 Finally, 𝑥 < 1 𝑜𝑟 𝑥 > 2 예제 7-7) 𝑥2− 3𝑥 + 2 < 0 를 풀어라. 𝑥2− 3𝑥 + 2 =(𝑥 − 2)(𝑥 − 1) < 0 𝑥 − 2 > 0 𝑎𝑛𝑑 𝑥 − 1 < 0 𝑥 > 2 𝑎𝑛𝑑 𝑥 < 1 𝑛𝑜𝑡 𝑚𝑎𝑘𝑒 𝑠𝑒𝑛𝑠𝑒! 또는 𝑥 − 2 < 0 𝑎𝑛𝑑 𝑥 − 1 > 0 𝑥 < 2 𝑎𝑛𝑑 𝑥 > 1 𝑚𝑎𝑘𝑒 𝑠𝑒𝑛𝑠𝑒! Finally, 1 < 𝑥 < 2

(32)

 연립선형부등식의 일반적인 형태  𝑎𝑥 + 𝑏𝑦 + 𝑐 < 0, 𝑎𝑥 + 𝑏𝑦 + 𝑐 ≤ 0 또는 𝑎𝑥 + 𝑏𝑦 + 𝑐 > 0, 𝑎𝑥 + 𝑏𝑦 + 𝑐 ≥ 0 (단, 𝑎, 𝑏, 𝑐 는 상수이고, 𝑎 와 𝑏 가 동시에 0 은 아님)  선형부등식의 그래프  선형부등식을 만족하는 점들의 집합(해영역)을 그 선형부등식의 그래프라 함. (𝑥, 𝑦) 𝑎𝑥 + 𝑏𝑦 + 𝑐 < 0 𝑎𝑥 + 𝑏𝑦 + 𝑐 < 0 의 그래프 (𝑥, 𝑦) 𝑎𝑥 + 𝑏𝑦 + 𝑐 > 0 𝑎𝑥 + 𝑏𝑦 + 𝑐 > 0 의 그래프

(33)

예제 7-8) 3𝑥 + 𝑦 − 6 < 0 의 그래프를 𝑥𝑦 평면상에 그려라.  점 (𝑥, 𝑦)가 3𝑥 + 𝑦 − 6 = 0 을 만족하면, 3𝑥 + 𝑦 − 6 < 0 의 그래프의 경계상의 점이 됨. 선형방정식 3𝑥 + 𝑦 − 6 = 0 의 그래프가 선형부등식 3𝑥 + 𝑦 − 6 < 0 의 그래프의 경계선.  그러므로, 𝑥𝑦 평면을 3𝑥 + 𝑦 − 6 = 0 의 그래프가 분할하여 생기는 두 개의 평면 중 하나가 3𝑥 + 𝑦 − 6 < 0 의 그래프 이다.  점 (𝑥, 𝑦) 가 그래프에 속하면 3𝑥 + 𝑦 − 6 < 0 이 성립하고, 점 (𝑥, 𝑦) 가 그래프에 속하지 안으면 3𝑥 + 𝑦 − 6 ≥ 0 이다.  𝑥𝑦 평면에 3𝑥 + 𝑦 − 6 = 0 의 그래프를 그리면,  3𝑥 + 𝑦 − 6 < 0 가 어느 쪽 평면인가 check! 𝑦 < −3𝑥 + 6 𝑥 = 0, 𝑦 < 6 𝑦 = −3𝑥 + 6 2 6 𝑥 𝑦 0

(34)

𝑥 + 𝑦 − 2 ≥ 0 2𝑥 − 𝑦 − 4 ≤ 0 1) 𝑥 + 𝑦 − 2 ≥ 0 𝑦 ≥ −𝑥 + 2 2) 2𝑥 − 𝑦 − 4 ≤ 0 𝑦 ≥ 2𝑥 − 4 3) 각각의 그래프를 그리면, 𝑦 = −𝑥 + 2 𝑦 = 2𝑥 − 4 4) 어느 쪽 평면인가 check! 𝑦 ≥ −𝑥 + 2 𝑥 = 0, 𝑦 ≥ 2 𝑦 ≥ 2𝑥 − 4𝑥 𝑥 = 0, 𝑦 ≥ −4 2 2 𝑥 𝑦 0 −4 𝑦 = 2𝑥 − 4 𝑦 = −𝑥 + 2

(35)

예제) 아래 주어진 연립선형부등식의 그래프를 그려라. 𝑥 + 2𝑦 − 2 ≤ 0 𝑥 + 2𝑦 − 6 ≥ 0 1) 𝑥 + 2𝑦 − 2 ≤ 0 𝑦 ≤ −𝑥2+ 1 2) 𝑥 + 2𝑦 − 6 ≥ 0 𝑦 ≥ −𝑥2+ 3 3) 각각의 그래프를 그리면, 𝑦 = −𝑥2+ 1 𝑦 = −𝑥2+ 3 4) 어느 쪽 평면인가 check! 𝑦 ≤ −𝑥2+ 1 𝑥 = 0, 𝑦 ≤ 1 𝑦 ≥ −𝑥2+ 3 𝑥 = 0, 𝑦 ≥ 3 ※ 두 그래프의 공통부분은 없음. 2 1 𝑥 𝑦 0 3 𝑦 = −𝑥 2+ 3 𝑦 = −𝑥2+ 1 6

(36)

예제) 다음 부등식의 그래프를 그려라 1) 𝑥2 − 4𝑥 + 3 > 𝑦 𝑥2− 4𝑥 + 3 =(𝑥 − 3)(𝑥 − 1) > 𝑦  그래프를 그리면: 𝑥2− 4𝑥 + 3 = 𝑥 − 3 𝑥 − 1 = 𝑦  어느 쪽 평면인가 check: 𝑥2− 4𝑥 + 3 > 𝑦 𝑥 = 0, 3 > 𝑦 𝑥 = 5, 8 > 𝑦 𝑥 = 2, −1 > 𝑦 2) 𝑥2 − 4𝑥 + 3 < 𝑦 𝑥2− 4𝑥 + 3 =(𝑥 − 3)(𝑥 − 1) < 𝑦  그래프를 그리면: 𝑥2− 4𝑥 + 3 = 𝑥 − 3 𝑥 − 1 = 𝑦  어느 쪽 평면인가 check: 𝑥2− 4𝑥 + 3 < 𝑦 𝑥 = 0, 3 < 𝑦 𝑥 = 5, 8 < 𝑦 𝑥 = 2, −1 < 𝑦 𝑦 = 𝑥2− 4𝑥 + 3 1 3 𝑥 𝑦 0 3

(37)

예제) 다음 부등식의 그래프를 그려라 𝑥2− 4𝑥 + 3 < 𝑦 −𝑥2+ 2𝑥 > 𝑦 1) 각각의 그래프를 그리면 𝑥2− 4𝑥 + 3 < 𝑦 𝑥2− 4𝑥 + 3 = 𝑥 − 3 𝑥 − 1 = 𝑦 −𝑥2+ 2𝑥 > 𝑦 − 𝑥2+ 2𝑥 = −𝑥 𝑥 − 2 = 𝑦 2) 어느 쪽 평면인가 check 𝑥2 − 4𝑥 + 3 < 𝑦 𝑥 = 0, 3 < 𝑦 𝑥 = 5, 8 < 𝑦 𝑥 = 2, −1 < 𝑦 −𝑥2 + 2𝑥 > 𝑦 𝑥 = 0, 0 > 𝑦 𝑥 = 2, 0 > 𝑦 𝑥 = 1, 1 > 𝑦 𝑦 = 𝑥2 − 4𝑥 + 3 1 3 𝑥 𝑦 0 3 𝑦 = −𝑥2 + 2𝑥

참조

관련 문서

지수분포가 확률밀도함수임을

공액 곡선이 어떤 이차곡선인지에 대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고 우리는 한 , 변에 평행한 직선의 등각공액과 isotomic 공액 곡선에 대하여 연구하게 되었 다.. 베리센트릭

이 공정은 매일 하나의 뱃치만 작업할 수밖에 없으므로, 이상이 있는 경우 속히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본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

Lab., Hanyang Univ.. Lab., Hanyang Univ.. Lab., Hanyang Univ.. Lab., Hanyang Univ.. Lab., Hanyang Univ.. Lab., Hanyang Univ.. Lab., Hanyang Univ.. Lab., Hanyang Univ..

산출 자료에

우석대학교 공자아카데미 又石大学孔子学院.

2015년 2학기 프로그래밍개론및 실습 과목으로 본 내 용은 강의 교재인 생능출판사 , 두근두근 C 언어 수업,..

서비스 콘셉트 평가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