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언어1
출처
• Doris Graber, “Political languages,” in Dan Nimmo & Keith
Sanders (Eds), Handbook of Political Communication. Sage,
1981, pp.195-210.
정치언어란?
• 왜 정치언어인가? – 정치는 말로 하는 게임: – 정치 능력은 메시지 능력과 직결: 집권-일상적 정치-재집권 – 개인적 스타일의 차이 • 아이젠하워-어눌한 말투는 질문 회피에 효과적 • 레이건-화려한 수사가 • 정치언어의 의미 – ‘생각’을 소리나 시각적 상징으로 옮기는 수단. – 정치 언어 형태의 다양성: • 말 verbal • 비언어적 non-verbal • 정치활동 rhetorical icon (보이콧, 집회 참석, 파병) – 수용자-전달자 사이의 상징규약에 의존 – 어휘/형식보다 전파상황, 기능에 의해 의미 결정 정치언어의 주요 기능
• 정보의 전파
• 의제 설정
• 해석과 연결
• 미래와 과거에 투사
• 행동 자극
정보 전파
• 명시적 정보
– 정치인은 시민에게 부하에게 무엇인가 계속 알려야 – 비공식적 대화, 인터뷰, 기자회견, 보고서 등 모든 형태• 함축된 의미
– 정치언어는 인지적, 감정적 의미 차원 포함(독도, SS, 신사참배) – 내포적 의미(connotation): 별명은 친근감, 지위/연령 차이 의미 – 이 때문에 새로운 어휘가 필요할 수도 • 청소부 미화원 • 불구 장애 • 집단학살 최종 해결책(final solution) • 패전 종전• 추정 (inference)
– 언어는 행간 의미를 읽는 자료: • ‘자본주의, 제국주의’ 사회주의 국가 정치인 – 메시지 내용이 시간에 따라 변화 상황 변화 의미 – 발언자의 ‘현실관’ 추정 근거 • 실업률 강조 = 고용중시 vs. 성장률 강조 = 성장 중시 정치인 • 폭동 진단에서 인종, 나이, 지위 분류= 개인적 요인 강조; 사회여건 분석= 사회적 요인 강조 – 사용단어 보면 출신, 개인 특성 추정 가능• I don’t know nothing; This ain’t good-> 흑인, 교육 낮음 • CB(전환사채) 증권/기업가
• 상징적 의미
– 말보다는 말 행위 자체가 의미 전달
의제 설정
• 후광효과(halo effect)
– 발언자 지명도가 주제에 영향: 정치인 발언은 중요 쟁점화 – 주요 인물과 연관, 사소한 보도도 중요 이슈화 • 정원식 사건 – 정치인과 언론이 무시하면 의제화 어렵다• 정보 전파에 대한 통제
– 언론이 다룰 수 있는 의제 수는 한정 의제 선택은 우연, 의도적? – 정치는 자신에게 유리한 의제 부각, 불리한 의제 회피 • 전국적 의제 설정 능력은 정치적 자산 뜻대로 되진 않는다 • DJ 정권은 xx풍 사건 부각했으나 결과적으로 부메랑 효과 해석과 연결
• 현실 창조
– 사건의 중요성 설명 원인-다른 사건과의 관계 상황의 공과 판단 자신의 행동 정당화 • 환율 하락=국가 경쟁력 감소, 물가 억제, 성장률 유지 등 다양한 해석 가능 – 특정 정책 대신 ‘추상적’ 이념과 연결할 수도: 애국심, 인간 승리, freedom – 사실에 다른 언어적 의무 부여로 다른 현실 창조 가능 • 정원식 밀가루 사건-> 젊은이 장난 or 운동권의 패륜• 정의(definition)에 대한 통제
– 정의는 증명 불가하지만 신념과 행동의 토대 – 정치상황에 대한 언어적 정의-> 같은 문제점에서 다른 측면 부각 가능 • 친박단체(집회) v. 보수단체/태극기 집회/애국단체• 기대치의 조작
– 업적과 사건의 의미를 판단하는 잣대를 선포 • 경제 성장률, 임금 인상률 ‘실업률 xx%는 OECD 표준’• 대인관계의 정의
– 대상에 대한 이름 붙이기로 관계 정의: 꼬리표에 대한 증거/근거가 별 영향을 주지 않는다 • 환자 정신병자, 편집광, 학생 지진아, 천재 미래와 과거로의 투사
– 과거는 재창조; 미래는 현실 검증 불가한 계획 제시• 비공식적 투사
– 정치 캠페인은 미래 실적에 대한 정치적 약속 주관적 – 과거 지도자/과거사 재평가 정치적 조작에 유용(이승만, 박정희) • 건국절 논란• 공식적 투사
– 정당의 집권 후 정강; 지도자의 세계관, 처방• 제3의 길, 경제개발계획, New Democrat, New Labour
– 정치행동의 공식 지침이 되며, 미래 자체를 결정하기도
• 집권 후 비판 회피 위해 상반된 정책 피하는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