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어촌지역 독거노인돌봄서비스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농어촌지역 독거노인돌봄서비스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Copied!
8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l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2)

석사 학위 논문

농어촌지역 독거노인돌봄서비스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일반행정 전공

김 귀 녀

2013년 2월

(3)

농어촌지역 독거노인돌봄서비스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지도교수 남 진 열

김 귀 녀

이 논문을 행정학 석사 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3년 2월

김귀녀의 행정학 석사 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______________________

위 원 ______________________

위 원 ______________________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년 2월

印 印 印

(4)

A St

udyont

heSat

i

s

f

ac

t

i

onoft

heSe

l

f

-l

i

vi

n

g

Se

n

i

o

rCa

r

eSe

r

vi

c

ei

nJ

e

j

uRur

a

lAr

e

a

s

Ki

m,Gwi

-Nye

o

(

Supe

r

vi

s

e

dbyPr

of

e

s

s

orNam,Chi

n-ye

ol

)

Thi

s s

t

udy i

s s

ubmi

t

t

e

d f

ort

he de

gr

e

e ofma

s

t

e

rofpubl

i

c

admi

ni

s

t

r

at

i

on.

2013. 2

Thi

ss

t

udyha

sbe

e

ne

xami

ne

dandappr

ove

d.

De

par

t

me

ntofPubl

i

cAdmi

ni

s

t

r

at

i

on

GRADUATE SCHOOL OF PUBLI

C ADMI

NI

STRATI

ON

J

EJ

U NATI

ONAL UNI

VERSI

TY

(5)

제1장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연구의 범위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제2장 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1.농어촌지역 독거노인의 특성 및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독거노인 돌봄서비스의 개념 및 유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3.선행연구의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제3장 연구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1.조사대상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2.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3.조사도구 및 분석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4.설문지 구성 및 신뢰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제4장 분석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1.일반적인 특성과 돌봄서비스 이용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2.요인별 서비스만족도와 생활만족도 기술통계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42

3.돌봄서비스이용실태에 따른 돌봄서비스만족도 차이검증 ·

·

·

·

·

·

·

·

·

·

·

·

·44

4.돌봄서비스이용실태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검증 ·

·

·

·

·

·

·

·

·

·

·

·

·

·

·

·

·

·

·

·

·

·

·

·48

5.응답자의 개인특성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6)

6.다중회귀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제5장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1.연구의 요약 및 제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2.연구의 한계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

Abst

r

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7)

표 목 차

<표 1> 고령화 속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표 2> 고령가구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표 3> 65세이상 영영실조 사망자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표 4> 65세이상 노인들이 겪는 가장 어려운 문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표 5> 전국 도지역별 고령화 순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표 6> 노후준비 여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표 7> 제주특별자치도 노인인구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표 8> 제주특별자치도 독거노인 인구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표 9> 제주특별자치도 독거노인돌봄서비스 수혜자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표 10> 노인돌봄 기본서비스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표 11> 노인돌봄 종합서비스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표 12> 전국가구 평균소득의 150%(200%)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표 13> 등급판정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표 14> 선정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표 15> 제주지역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제공기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표 16> 방문서비스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표 17> 주간서비스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표 18> 서비스 만족도의 영향 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표 19> 생활 만족 선행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표 20> 설문지의 구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표 21> 설문지의 요인별 신뢰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표 22>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8)

<표 23> 조사 응답자의 돌봄서비스 이용실태 및 인지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표 24> 서비스 만족요인 기술 통계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표 25> 생활만족요인 기술 통계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표 26> 돌봄서비스 만족도 차이검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표 27> 돌봄서비스 종류에 따른 차이검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표 28> 돌봄서비스 인지도에 따른 차이검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표 29> 돌봄서비스 신청 이유에 따른 차이검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표 30> 돌봄서비스 이용기간에 따른 차이검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표 31> 돌봄서비스 이용경로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검증

·

·

·

·

·

·

·

·

·

·

·

·

·

·

·

·

·

·

·

·

·

·

·

·

·48

<표 32> 돌봄서비스 종류에 따른 차이검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표 33> 돌봄서비스 인지도에 따른 차이검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표 34> 돌봄서비스 신청이유에 따른 차이검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표 35> 돌봄서비스 이용기간에 따른 차이검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표 36> 관련 변수간 상관관계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표 37> 환경만족도가 생활만족도 영향에 대한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표 38> 서비스 내용이 생활만족도 영향에 대한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

<표 39> 서비스담당자만족도가 생활만족도 영향에 대한 분석

·

·

·

·

·

·

·

·

·

·

·

·

·

·

·

·

·

·

·

·

·

·55

그림목차

< 그림 1> 연구모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9)

국 문 요 약

현대사회에서 고령화 또는 초고령화 시대라는 말을 많이 접하고 있다. 또한, 발 달 되어가는 과학 혹은 의료기술발달로 인하여 인간의 수명이 연장됨으로써 노 인인구수가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증가로 인하여 노인들에게 직면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가족구조의 변화로 인한 독거노인가구의 수가 증가되면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독거노인들에 대한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국가차원에서도 그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데 현재 서비스 를 제공하고 있는 노인돌봄서비스가 그 대표적인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노인돌봄서비스에서도 지금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기본서비스로 독거노인돌 봄서비스는 독거노인들의 안전확인과 생활교육 및 서비스 연계와 조정을 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독거노인들에게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서 유료서비스 에 비해 많은 노인들이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의 독거노인들의 현황을 살펴보고 독거노인들 의 노인돌봄서비스이용실태를 파악하고 자신들이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가 자신 에게 적절한 서비스라고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만족도가 어느 정도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만족도로 인한 자신의 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독거노인들이 어떤 생각과 어떤 서비스가 필요로 하는지 인식을 고찰하 면서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고 독거노인들에게 긍정적인 삶의 변화를 줄 것인가 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독거노인들이 개인적 특성, 서비스 이용실태, 서비스만족도(서비스 환경만족도, 서비스내용 만족도, 서비스 담당자 만족도), 생활만족도에 대한 본 연구를 간략 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독거노인들이 수혜혜택을 받고 있는 전반적으로 서비스 혜택과 관련하여 만족도 가 낮은 상태며 생활만족도 역시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서비스를 받고 있지 만 실제로 자신들이 처해 있는 상태와 서비스 연계가 원활하지 않다는 의미이다. 농어촌지역에 있는 독거노인들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생필품 구입과 관련한 교

(10)

통 이용에 대한 어려움과 의료시설을 이용하기 불편한 환경에 있다고 할 수 있 다. 따라서 농어촌지역의 서비스는 그 지역 현실에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서 비스 혜택을 받고 있는 독거노인들의 만족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제주특별자치도인 경우 읍.면지역의 각 마을별로 리사무장을 채용하여 마을업무 를 맡고 있다. 이런 인력을 활용하여 마을별로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독거노인들 에게 관심을 갖게 한다면 더욱 서비스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다. 서비스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서비스 혜택을 받고 있는 노인들은 생활에도 변화 가 생기고 그 변화로 인해 더욱 생활의 만족도도 높아질 것이다.

(11)

제1장 서론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노년기가 길어지게 되고 인구구조의 변화,산업구조의 변 화 주 관심대상의 이동 등 새로운 고제가 부각되고 있으며,급격한 고령화로 특 징지어지는 한국사회의 고령화에 대한 준비부족에 대한 문제가 선진국에 비하여 심각한 실정이다(김수열,2009).특히 저 출산과 고령화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국가에서도 출산권장과 노령화에 따른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삶의 질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평균연령수명이 연장되면서 고령화시대에 대한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특히 핵가족화에 따라 자녀와 별거 하는 어르신들이 늘어가면서 도시와 농촌 전체적으로 독거노인의 가구 수가 증 가하고 있다.이러한 독거노인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기사를 보며 자녀와 같이 살 지 않는 주된 이유에 대해 도시지역 노인은 “따로 사는 것이 편해서라고 38.2% 가 응답했으며 농어촌지역 고령자는 ”자녀의 직장과 학업 때문이라는 응답이 29.4% 라고 했다(NEWis2012.9.27). 현대사회의 노인의 연령인 65세 이상의 어르신들을 보면 과거와는 달리 학력도 높아지고 있으며 전문기술을 갖추고 있는 분들도 많다.또한,평균 연령수명이 길어지면서 65세에 노인이라고 하기에 젊다는 생각을 하고 있으며 직업을 가지 기 원하는 분들도 많은데 자신의 생각처럼 쉽게 직업을 찾기가 어렵다.그리고 자녀들의 결혼하여 출가하고 친구들이 죽음과 배우자의 죽음으로 인하여 고독감 과 고립감을 느끼게 된다. 고령가구나 독거노인이 늘어가는 추세에 이러한 분들이 사실상 자녀들과의 거주 가 어렵거나 혹은 시설로 입소하기 싫어 집에 계시는 분들이 늘어가고 있다.특 히 농어촌에 계시는 분들은 시설에 대한 인식 혹은 대인관계에서 소극적이거나 내성적이어서 낯선 환경에 자신이 놓여진다는 것을 꺼리고 있다.이렇듯 집에 혼 자 혹은 노부부가 함께 거주하시는 분들을 재가노인이라고 하는데 정부에서도

(12)

재가노인에 대한 복지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런 재가복지에 대하여 어르신들 이 어떠한 생각을 하고 있으며 자신들이 어떠한 복지가 필요로 하는지에 대한 사실상 조사가 필요하다.조사에 따른 노인들이 필요로 하는 복지서비스를 제공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재가노인들은 어떤 복지가 있는지에 대하여 잘 모르시거 나 혹은 안다고 하더라도 일부분 정도로 알고 있는 수준이다.특히,농촌지역의 노인들의 생활 실정을 보면 거동이 가능한 노인들은 일터에서 경제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하지만 거동이 불편하거나 일거리에 참여하지 못한 노인들 중에서는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다.그래서인지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들은 재가노인 복지에 대해 알고 있지만 집에만 있는 노인들은 그마져도 모 르고 있다.더욱이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은 마음은 있어도 쉽게 바깥나들이 하기 어렵다.이러한 문제점들을 우리나라보다 먼저 고령화를 경험한 OECD국가들은 인구고령화가 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비에 나섰다.전 세계적으로 국가의 고 령화로 인한 고민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은 < 표 1>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한국 인경우도 2026년이면 초고령화 사회로 도달할 것이란 예칙이 가능해 진다.따라 서 국가정책에서 현재 그런 문제점에 대해 제도적으로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 다. < 표 1> 고령화 속도 국가 도달년도 증가소요년수 7% (고령화) 14% (고령화) 20% (초고령화) 7%→14% 14%→20% 일본 1970 1994 2006 24 12 프랑스 1864 1979 2018 115 39 영국 1929 1976 2026 47 50 미국 1942 2015 2036 73 21 한국 2000 2018 2026 18 8 자료 :일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 연구소「인구통계자료집」,2005

(13)

독거노인 복지에 국가차원에서 정책을 펴고 있는 보건복지부에서 2007년 6월부 터 “독거노인생활지도사1)파견사업사업”이 실시되어 2009년 1월부터 “노인돌보 미 바우처사업2)과 통합하면서 “노인돌봄서비스”라는 종합서비스가 실시되고 있 다.노인돌봄서비스는 열악한 환경에 처해 있는 독거노인에게 상당한 지지자원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노인돌봄서비스의 제공으로 정신적.신체적으로 스스로 자 립하여 생활하는데 곤란을 겪고 있는 노인들이 건강하고 안정된 노후생활을 영 위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노인돌봄서비스의 제공은 경제적,신체적으로 스스로 자립하여 생활 할 수 없는 독거노인들에게 기본적 생존권을 위한 최소한 의 자원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보건복지부,2009).하지만 자원을 제공 하는 서비스에서 독거노인 돌봄서비스를 살펴보면 노인돌보미들이 독거노인들의 안전확인과 사소한 심부름 정도를 처리해 주고 있는 것이 기본서비스로 실제로 어르신들이 자신이 그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도가 낮다. 구본혁(2009)의 연구에서는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수혜 수준도 미약한 수준이 고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시간적 여유도 부족하며 취미,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장소도 극히 제한되어 있다고 하고 있다.또한,자녀와 떨어져 생활하는 비 율이 높아지고 있음에 따라 접촉 빈도가 줄어들면서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어 려움이 있더라도 자녀로부터 직접적이고 계속적인 지원을 받기가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있다.오정선(2002)의 연구에서는 봉사자 태도 특성에 따라 서비스 만 족도의 차이는 가사서비스와 의료건강서비스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우흔국(2009)의 연구에서는 독거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 는 서비스는 노인돌보미에 의한 서비스 연계로 나타났다. 이미화(2011)는 노인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돌보미가 독거노인의 직접적 서 비스 제공을 통한 삶의 질을 보장하는 구체적인 자원이 된다.따라서 노인돌보미 들의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의 질적 향상과 활동내용에 대한 점검과 수 1) 독거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파악, 독거노인의 안전 확인 및 생활교육 실시, 독거노인 지원을 위한 보건“복지서비스 연계 구축을 통한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하는 사람(독거노인돌보미와 유사한 업무를 보고 있음) 2) 차상위 중중 노인.장애인을 돌보고 있는 가족 구성원일 안심하고 사회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가구당 월 20만원 상당의 바우처를 제공하여 유료 방문도우미(가사.간병 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제 도를 말한다.

(14)

혜노인들의 만족도 검증을 위한 평가 등의 관리 방안 마련으로 노인돌보미들의 역량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어촌지역의 독거노인들은 서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돌봄서비 스에 대하여 만족도를 파악하고 서비스를 받으면서 생활만족도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또한,농어촌지역의 독거노인들에게 알맞은 서비스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지를 고민을 하면서 독거노인들에게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중심으로 제공하면서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부 농어촌지역의 노인돌봄서비스를 이 용하고 있는 독거노인들이 노인돌봄서비스를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으며 서비스 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는지 그리고 만족도 수준이 노인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한 분석자료를 바탕으로 제주특별자도 농어촌지역 노인돌봄서비스에 대 한 적절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2.연구의 범위 및 방법 농어촌 지역 노인돌봄서비스 정책을 수립 및 집행함에 있어서 서비스이용자인 독거 노인의 요구나 실정들을 파악하여 반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서비스이용자의 욕구를 정확히 파악하고,서비스이용자의 만족도를 파악할 수 있어야 서비스이용자에 맞는 적절한 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재가독거노인 중 노인돌봄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독거노인 대상으로,그 들의 일반적 특성을 비롯한 돌봄서비스 인지도와 돌봄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 보고 노인돌봄서비스 만족도가 노인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 다. 먼저 우리나라 노인돌봄서비스 관련 연구자료,보고서,논문,세미나자료,인터넷자료 및 관련 단행본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하며,노인현황에 있어서 각종통계자료와 제 주특별자치도 업무보고서등을 통하여 자료를 작성하였다.또 실증적인 연구를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구체적인 실증연구방법은 다시 조사 설계부분에서 제시하도 록 하겠다.

(15)

제2장 이론적 배경

1.농어촌 지역 독거노인의 특성 및 현황 1)전국 독거노인현황 및 특성 독거노인의 개념은 자녀들이 있더라도 따로 거주하고 있으며 남성이든 여성이든 한 쪽이라도 사별,이혼 등의 이유로 혼자 거주하는 노인을 의미하는데 윤미란(2008)의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을 절대빈곤 상태에 놓여 있음과 동시에 고독,빈곤,발병의 문 제가 가사서비스 원조 및 재가보호의 필요에 대응하여 줄 수 있는 자원을 세대 속에 포함하지 못하고 있고 가족의 경제적 지원이나 신체지병에 대한 보호나 간호,정서적 인 유대감 형성 등 부양기능을 제공 받지 못해 가장 취약한 상태에 있는 계층이라고 한다. 구본혁(2009)의 연구에서는 배우자 및 친족,비 친족 중 누구하고도 함께 거주하 지 않거나 가계를 함께 하지 않는 단독세대라고 하고 있다.또는,그 상태에 있 는 노인을 의미하고 부양의무자가 없거나 있다 하더라도 부양능력이 없어서 부 양을 받을 수 없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의미하는데 시설이 아닌 일반가정에서 손자나 자녀,손자녀 등과 함께 동거하지 않는 1인 노인가구로 정의하고 있다. 65~69세의 경우 농어촌과 도시가 각각 13.1%와 7.2%로 나타나 농어촌 지역이 거의 2 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특히,70세 이상의 경우 농어촌 지역은 22.3%로 5가구 중 1가구 이상의 가구주 연령이 70세 이상인 반면 도시 지역은 농어촌의 절반 에도 미치지 못하는 10.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농어촌 지역 가구주의 고령화 경 향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3) < 표 2>는 통계청에서 실시한 통계자료로 2007년 장래가구추계에 대한 통계자료로 고령가구와 독거노인가구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자료로 총가구수에 고령가구와 독거 3) 보건복지가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09-05. 농어촌의 보건복지수준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

(16)

총가구 년도 총가구수 고령가구4) 독거노인가구5) 가구수 구성비 가구수 구성비 2000 14,507,010 1,733,525 11.9 543,522 3.7 2010 17,152,277 2,982,240 17.4 1,021,008 6.0 2020 19,011,815 4,231,578 22.3 1,512,082 8.0 2030 19,871,144 6,410,665 32.3 2,338,354 11.8 사망 원인별 성 별 연 령 별 사 망 자 수 2009년 2010년 2011년 영양실조 합 계 65세 이상 36 43 46 남 자 65세 이상 11 19 13 여 자 65세 이상 25 24 33 노인가구의 비율에서 보는바와 같이 2020년도에 이르러서는 20%대의 고령화사회로 들어서고 있으며 독거노인 비율 역시 8%에 도달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 표 2> 고령가구 현황 (단위:가구,%) 자료 :통계청「장래가구추계」2007 독거가구의 증가는 노인을 책임질 가족이 같이 살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인 것을 포 함한 정신적,신체적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특히,혼자 살면서 외로움이나 가사에 대 한 것에 흥미를 잃어 굶어 죽지 않기 위한 식사를 하고 있다.그것마저도 영양을 생 각하는 식단이 아닌 기본적인 반찬을 가지고 식사를 하고 있다.기본적인 식사를 해 결하지 못하고 영양실조로 사망하는 65세 이상의 노인들의 사망률을 알 수 있는 < 표 3> 에서 확인 할 수 있는데 점차적인 증가추세이며 남자노인들보다 여자노인들 의 영양실조에 의한 사망률이 더 높다는 것이 이외라 할 수 있다. < 표 3> 65세 이상 영양실조 사망자 현황 (단위 :명) 자료 :통계청 「인구동향」2011 4) 가주주의 연령이 65세 이상인 가구를 말함. 5) 가구주의 연령이 65세 이상이면서 혼자 사는 가구를 말함.

(17)

내 용 전체노인 비율 독거노인 비율 합 계 100.1 100.1 경제적인 어려움 41.4 43.6 직업이 없거나 고용이 불안정 2.0 1.1 소일거리 없음 5.7 3.7 건강문제 40.3 37.9 외로움.소외감 4.4 9.5 가족으로부터 푸대접 0.2 0.1 사회에서의 경로의식 약화 1.7 0.7 일상생활도움 서비스 부족 0.9 1.3 노인복지시설 부족 2.5 1.2 기타 1.0 1.0 노인인구의 증가 현상과 더불어 가장 뚜렷한 변화는 독거노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현 상으로 우리나라 산업구조와 사회구조의 전반적인 변화,가족 규모의 축소와 핵가족 화,여성의 사회참여 등으로 전통적인 가족중심의 부양체제가 붕괴되면서 나타날 수 밖에 없는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전체적인 노인들이 겪는 가장 어려운 문제는 외로움과 소외감이 첫 번째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뒤로 경제적인 어려움 및 건강문제로 나타나는 것을 < 표 4>에서 파악 할 수가 있다. 이 결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노년기로 접어들면서 자신들의 노후 의 문제에 대한 불안감이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자신들이 노후대책에 대하여 불안감 을 더욱 과중되고 있다. < 표 4> 65세 이상 노인들이 겪는 가장 어려운 문제 자료 :통계청,사회조사.2009. 자신의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노인들에 대한 대책에 대한 문 제들은 전국적인 문제라 볼 수 있는데 우리나라 총인구와 비교하여 전도지역을 인구 조사한 자료를 보면 7위에 속하고 있다.< 표 5>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제주특별

(18)

지역명 총인구 65세이상 인구 구성비 전 국 47,990,761 5,424,667 11.3 전 남 1,728,749 352,960 20.4 경 북 2,575,370 430,483 16.7 전 북 1,766,044 289,584 16.4 충 남 2,000,473 310,481 15.5 강 원 1,463,650 226,411 15.5 충 북 1,495,984 207,959 13.9 제 주 528,411 67,808 12.8 경 남 3,119,571 391,348 12.5 부 산 3,393,191 397,130 11.7 대 구 2,431,774 251,516 10.3 서 울 9,631,482 928,956 9.6 광 주 1,466,143 133,137 9.1 경 기 11,196,053 998,567 8.9 인 천 2,632,035 232,199 8.8 대 전 1,490,158 131,015 8.8 울 산 1,071,673 75,113 7.0 자치도도 역시 빠르게 고령화가 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 표 5> 전국 도지역별 고령화 순위 (단위 :명,%) 자료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2010 더욱이 농어촌지역의 독거노인의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어르신들의 자녀들이 그들의 자녀 교육문제 혹은 직장관련으로 따로 거주하고 있어서 어르신들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농어촌지역이라는 지역특성상 문화생활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모든 의료시설이나 생필품 구입에 관련은 농어촌지역의 어르신들의 해결하기엔 어려운 문 제이기도 하다. 농어촌지역의 인구문제는 어제 오늘일이 아니다.산업화를 겪으면서 인구의 이동이

(19)

자연스럽게 이루어졌으며 젊은층들의 인구이동으로 인하여 농어촌지역은 어르신들의 어려움을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거동이 자유로운 어르신들은 스스로 해결할 수 있고 배우자가 있는 경우는 서로 어려운 부분을 해소 할 수 있다.그렇지 못한 독거노인들 은 그나마 거동이 자유로운 분들은 해결하겠지만 거동이 불편한 분들은 독거노인돌 봄서비스를 받지 않는다면 이마져도 해결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특히,주변에서 자신을 도와줄 친.인척 혹은 지역의 발전을 위해 봉사하고 있는 마을 이장을 비롯한 사무장6)들의 도움이 있어서 혜택을 받고 있다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못한 노인들은 자신의 자택에서 고립된 생활을 하게 된다. 농어촌노인의 경우 일반적인 노인의 문제인 신체적.심리적 쇠퇴와 변화 사회적.가족 적 지위의 추락,경제적 조건의 악화 등의 문제와 더불어 도시와 농촌의 지역간 격 차,전통적 농촌지역사회에 존재하던 상부상조기능의 약화,의료기관의 부재 등으로 도시지역보다 더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농어촌지역에 있어서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고 수발을 담당할 자녀세대가 현저하게 감소하고 있음과 동시에 지방자치 행 정상의 재정난,노인복지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저항감,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노 인의 공간적 분산에 따른 서비스제공의 비효율성 등 도시재가노인들과는 매우 다른 문제양상을 보이고 있다(김순자,2001). 이경민(2006)의 연구에서 보면 독거노인은 신체적 질병에 대한 도움이나 경제적 지원 을 가족으로부터 얻기 어려우며 외로움,좌절,배우자 상실과 사회적 고립 등 여러 정서적 문제에 직면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하였다.이러한 여러 가지 요인들 때 문에 독거노인의 가족동거노인에 비해 정신적,신체적 문제들도 많을 것으로 예측하 고 있으며 문제점을 여섯가지로 설명하고 있다.첫째,독거노인은 가족거주 노인에 비해 건강상태가 더 열악하다.둘째,신체적.정신적 질병의 발병과 함께 가사활동 능 력이 저하되어 생활 전체가 불안정하게 되고 증상이 쉽게 악화된다.셋째,경제기반 이 약하여 생활비 절약으로 의료 서비스를 받기 어렵다.넷째,의료 문제를 비로한 모든 생활 문제를 혼자 해결해야 한다.다섯째,고립감을 느끼고 있어서 기분전환하 기 어려우며 근심에 빠지기 쉽다.여섯째,건강상태를 돌봐주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긴급한 질병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대응이 곤란하다. 6) 사무장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만 있으며 마을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마을에서 채용한 직원이라고 말 할 수 있음. 마을회관에서 근무하며 업무는 행정보조 및 이장 보좌와 마을사무담당을 맡고 있음.

(20)

준비여부 전국 도시 농어촌 노후준비 됨 39 42.3 32.1 노후준비 안됨 61 57.7 67.9 신체적.경제적.사회적으로 매우 힘든 생활을 하고 있으면서 가족력도 없이 보호체 계가 허술하여 노인들은 안전에서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된다.이런 특징들은 표면적 으로 나타나는 것들이며 독거노인이 심리상태를 엿볼 수 있는 것으로는 대화나 행동 언어를 보면 대단히 고독감과 외로움을 느낀다는 것이다(임영삼,2006). 노인은 고독을 퇴치하는 방법을 모르고 있으며 이웃과 친구 자녀 및 친인척 등으로 부터의 관심만이 외로움과 고독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노인 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그들이 처한 현실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고 있으며 사회의 보호를 요하는 대상으로 볼 수 있다(윤미란,2008). 농어촌지역 독거노인의 가장 시급한 문제는 경제적인 면과 의료적면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농어촌지역에서 농어업에 종사하면서 경제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다보니 자신의 노후관리 하기 어렵다.최근 통계에서 노후준비 방법에 대한 통계인 < 표 6 > 농어촌지역 통계에서 농어촌지역 노인들의 경제적으로 어렵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 다.따라서 독거노인들은 독거노인돌봄서비스의 역할이 중요하며 그 서비스가 독거노 인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로 발전하여 그 서비스로 하여금 어르신들이 만족한 생활과 그 생활로 인하여 자신의 삶의 변화가 긍정적으로 변하게 하는 역할로 중요하다고 본다. < 표 6> 노후준비 여부 (단위 :%) 자료 :통계청 「사회조사」2009 2)제주특별자치도 노인인구현황 노인장애인 복지과의 자료를 통해 살펴보면 제주특별자치도의 인구현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제주시지역으로 인구가 편중되어 있으며 제주시 지역과 서귀포시지역의 고령

참조

관련 문서

본 연구에서는 프레스 금형강의 대표적인 합금인 STD 11강의 화학적 안정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퀜칭 후 잔류하는 오스테나이트 및 탄화물의 체적분율 등에 미치

우리 생활에 뿌리 깊게 내리기 시작한 디지털 문화는 사진에서도 필름을 사용 하는 사진기인 아날로그 영역을 조금씩 잠식해 들어가고 있다.. 초창기 디지털 사

그러나 박재진 외(2013)의 연구에서는 이용 자의 외향성은 페이스북 이용과정에서 생기는 중독이나 박탈감, 소외나 거부 감 등 심리적 문제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양자강이 진행한 사무용건물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요소별 에너지 성능 분석에 관한 연구가 있었다. 해당 연구에서는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를

최상진(2003)의 태권도 수련생의 도장 만족도 분석을 통한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 에서 태권도장의 지역에 따른 만족도에서 프로그램, 지도자 홍보, 가격, 기타

기본 이론조사 및 선행연구 점검을 통한 연구방향 제시 및 가설 설정 가설 검증을 위한 실험 단계 설정 및 필요 연구 구체화 실현가능성 제고 및 연구 결과의 활용범위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몰 만족도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인터넷 쇼핑몰 에서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사이트 디자인,

구체적으로 정직성 신뢰, 전문성 신뢰, 그리고 호의성 신뢰 모두 고객 만족도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