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開發行爲許可制에 관한 硏究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開發行爲許可制에 관한 硏究"

Copied!
27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博 士 學 位 論 文

開發行爲許可制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Development Permission

System in Korea

濟州大學校 大學院

法學科

(2)

開發行爲許可制에 관한

硏究

指導敎授

尹 良 洙

煦 柱

이 論文을 法學 博士學位 論文으로 提出함.

2008年 8月

裵煦柱의 法學 博士學位 論文을 認准함.

審査委員長

濟州大學校 大學院

2008年 8月

(3)

A study on the Development Permission

System in Korea

Bae, Hoo Joo

(Supervised by Professor Dr. Yoon, Yang Soo)

A thesis submitted in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Doctor of Law

2008. 8.

Department of Law

GRADUATE SCHOOL

(4)

< 目

次 >

第1章 序論

第1節 硏究의 目的 ··· 1 第2節 硏究의 範圍와 方法 ··· 4

第2章 開發行爲許可制의 意義

第1節 開發行爲의 槪念 1. 槪念定義의 意味 ··· 8 2. 現行法上 開發行爲 槪念 ··· 10 3. 槪念定義 方向과 基本條件 ··· 14 4. 새로운 槪念定義 ··· 17 第2節 開發行爲許可制의 必要性과 關聯規定 1. 開發行爲許可制의 必要性 ··· 20 2. 開發行爲許可 關聯規定 ··· 22 第3節 開發行爲許可制와 財産權 保障 1. 財産權保障의 發展過程 ··· 24 2. 土地財産權의 法的 保障과 制限 ··· 27 3. 우리나라 土地財産權 關聯法制의 變遷過程 ··· 30 第4節 開發行爲許可制와 行政計劃 1. 開發行爲關聯法의 根據 ··· 39 2. 開發行爲 關聯計劃 基本體系 ··· 47 3. 體系的 開發을 爲한 手段 ··· 58 4. 小結 ··· 104

第3章 開發行爲許可의 性質과 要件

第1節 開發行爲許可의 性質 1. 意義 ··· 107

(5)

2. 建築許可와의 關係 ··· 109 3. 羈束性과 裁量性 檢討 ··· 117 第2節 開發行爲許可의 實體的 要件 1. 許可의 要件 ··· 126 2. 許可의 對象 ··· 129 第3節 開發行爲許可의 節次的 要件 1. 許可의 節次 ··· 135 2. 許可의 履行擔保 ··· 138 3. 許可의 制限 ··· 139 第4節 他 制度와의 關係 1. 土地利用制度와의 關係 ··· 142 2. 地區單位計劃과의 關係 ··· 144 3. 都市開發事業과의 關係 ··· 144 4. 農地轉用 및 土地形質變更과의 關係 ··· 145 第5節 小結 ··· 146

第4章 外國의 開發行爲許可法制 檢討

第1節 獨逸 1. 聯邦建設法 制定 ··· 149 2. 土地利用計劃과 地區詳細計劃 ··· 151 3. 開發規制制度 ··· 154 第2節 美國 1. 計劃單位開發과 宅地分割 ··· 155 2. 土地利用規制制度 ··· 157 3. 都市成長管理制度 ··· 164 第3節 英國 1. 用途分類令과 開發命令 ··· 167 2. 土地利用規制制度 ··· 170

(6)

3. 「都市 및 農村計劃法」과 開發權 公有化 ··· 175 第4節 日本 1. 開發行爲의 意義 ··· 179 2. 土地利用規制制度 ··· 182 3. 區域區分制와 開發行爲許可制 ··· 185 第5節 小結 ··· 188

第5章 開發行爲許可制의 問題點과 改善方案

第1節 開發行爲 槪念定立 1. 槪念定立 ··· 191 2. 開發行爲許可制의 位相定立 ··· 193 第2節 開發行爲關聯 行政計劃改善 1. 開發行爲 關聯計劃 基本體系 ··· 195 2. 體系的 開發을 爲한 手段 ··· 197 第3節 開發行爲許可의 申請과 基準 1. 許可의 申請 ··· 201 2. 許可의 基準 ··· 202 第4節 開發行爲許可의 承繼와 附款 1. 許可의 承繼와 變更 ··· 203 2. 瑕疵의 承繼 ··· 206 3. 附款의 性質 ··· 210 第5節 開發行爲許可의 履行確保와 權利救濟 1. 許可의 履行確保 ··· 215 2. 許可의 職權取消와 撤回 ··· 216 3. 許可 等에 對한 權利救濟 ··· 217 第6節 其他 問題點 및 改善方案 1. 制度上 및 運營上 問題點 ··· 218 2. 短期的 및 長期的 改善方案 ··· 224

(7)

第6章 結論

參考文獻 ··· 236 ABSTRACT ··· 258

(8)

〈국문초록〉

한정된 국토를 어떻게 하면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토지의 이용에 효율을 기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는 국가발전과 장래를 위하여 우리가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연구해야 하는 당면과제라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토지문제는 시대와 장소를 불문하고 항상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그 영역도 대부분 광범위하고 다양 하다. 넓게는 물리적․경제적․제도적인 문제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물리적 문제는 토지의 유형적인 요소에서 발견되는 영역이다. 이와는 달리 경제적․제도 적인 문제는 토지의 무형적인 요소에서 발견되는 영역인 것이다. 수많은 토지문 제들 가운데서도 최근 제도적인 문제들이 주요 관심사로 대두되는 경우가 많다. 제도적 문제는 있어야 할 제도의 부재, 잘못된 입법, 불합리한 법의 운용으로부 터 비롯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개발행위규제관련법에 대한 정비와 합리 적인 운용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시되고 있는 현실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발 행위규제는 다음과 같은 대표적인 두 가지 유형의 문제들을 발생시킨다. 첫째는 공권력에 의한 규제 방법의 적합성 문제이다.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관리를 위한 공권력의 개입이라고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사유재산권의 보장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둘째는 사유재산권과의 마찰이다. 즉, 공권력의 개입은 사유재산권에 대 한 제한 내지 규제가 반드시 따르게 마련인데 이러한 제한은 그 제한을 강요당 하는 토지소유권자로부터의 저항을 유발할 가능성을 내포한다. 우리나라는 산업화시기를 거치는 가운데 「헌법」상 보장된 재산권에 대한 사회 기속성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특히, 토지의 경우 경제발전에 따른 산업화 와 도시화의 진전에 따라 개발행위규제를 위한 많은 법률이 입법화되면서 토지 소유자의 토지이용에 많은 제약이 가해진 것이 사실이다. 그러하기 때문에 개발 행위규제는 사유재산제도 및 사유재산권의 보장이라는 측면과 공공복리와의 팽 팽한 긴장관계를 불러일으키는 경우가 많아 필연적으로 공익과 사익의 충돌을 일으키고 있으며, 최근 정부는 지역 간 균형 있는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모든 지 역의 발전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선진 한국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만

(9)

들어 나가자는 취지로 국가균형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명목 하에 전 국토 의 건설 예정지를 중심으로 대규모의 도시개발정책을 추진하고 있어 더욱 중요 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행위의 개념을 명확히 하는 한편 개발행위관련계획 기본 체계와 체계적 개발을 위한 수단들이 올바로 개선․운영되어져야 진정한 개발행 위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이러한 제도의 문제를 점검하여 대안을 제시하고 나 아가 개발행위관련규정들을 연구한 결과 도출된 법적․제도적 문제점과 개선되 어야 할 주요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개발행위의 개념에 대하여 개발행위란 건축물의 건축 또는 공작물의 설치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토지의 분할, 형질의 변경, 또는 토지의 용도변경이 다 라고 하는 정의를 시도하였다. 새로운 개념은 일선 행정집행과 법의 운용 및 해석에 있어서 통일적인 기준과 규율을 정하는데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둘째, 개별법에 의한 개별구역의 명칭이 국토계획법에 의한 용도지역과 유사하 기 때문에 전통적인 용도규제와 혼란을 일으켜 지역․지구의 정책목표와 내용을 명확하게 전달하지 못한 점이 있어 일반 국민들은 토지에 대한 규제가 과도한 것으로 생각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개별법에 의한 개별구역의 개편은 전국적으로 획일적인 적용을 지양하고 지역의 실정이나 지구의 특성을 살려 탄 력적인 적용을 도모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단기적으로 국토계획법시행령이나 개발행위허가운영지침, 시․군의 조례 를 제정․개정 및 보완하여 제도의 조기정착에 기여할 수 있는 개선방안으로 우 선 경작범위의 차별화 및 확대다. 그리고 허가면제 규정의 현실화, 법령․지침의 정비 및 구체화를 모색하여야 한다. 넷째, 장기적 개선방안으로 향후 개발행위허가제의 보다 안정적인 운영 및 발 전을 위해서는 허가대상지역을 한정하는 것이다. 개발행위가 이루어질 지역의 성 격과 예상되는 개발수요, 개발행위의 목적 및 규모 등을 고려하여 용도지역․지 구 등을 기준으로 허가대상지역을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더욱 중요 한 것은 개발행위허가를 받고 사업을 완료한 후 허가목적과 다른 용도로 사용하 지 못하도록 사후관리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래에 올바른 국토의 균형발전정책은 물론 국민의 재산권침해를

(10)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별로 지역특성을 살리는 개발행위허가조례를 구체적으로 제정하고 개발행위허가업무를 전산화구축하여 허가 및 불허가 사례 별․대상별․지역별 특성․통계자료 등의 투명성 확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를 바란다.

(11)

第1章 序 論

第1節 硏究의 目的

국토는 우리의 생활터전일 뿐만 아니라 후손들에게 영원히 물려주어야 할 자 연자원이다. 따라서 지나친 국토자원의 사용이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는 국토이 용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국토이용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보전과 개발 을 분리하되 선 계획-후 개발 체제가 확립될 수 있는 국토이용관리체계 를 마련해야 한다.1) 한정된 국토를 어떻게 하면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토지의 이 용에 효율을 기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는 국가발전과 장래를 위하여 우리가 지 속적으로 고민하고 연구해야 하는 당면과제라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토지문제는 시대와 장소를 불문하고 항상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그 영역도 대부 분 광범위하고 다양하다. 넓게는 물리적․경제적․제도적인 문제로 분류하는 경 우가 많다. 물리적 문제는 토지의 유형적인 요소에서 발견되는 영역이다. 이와는 달리 경제적․제도적인 문제는 토지의 무형적인 요소에서 발견되는 영역인 것이 다.2) 수많은 토지문제들 가운데서도 최근 제도적인 문제들이 주요 관심사로 대 두되는 경우가 많다. 제도적 문제는 있어야 할 제도의 부재, 잘못된 입법, 불합리 한 법의 운용으로부터 비롯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개발행위규제를 둘러싸 고 공익과 사익의 충돌현상이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규제로 인한 마찰을 제대로 극복하지 못함으로써 공익사업의 수행에도 큰 차질 을 빚게 되고3) 이로 인한 국력 손실도 적지 않다. 개발행위규제관련법에 대한 정비와 합리적인 운용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시되고 있는 현실인 것이다. 일반 1) 김남철, 위험사회에 있어서의 환경보호의 법적 과제-환경친화적 도시개발의 문제를 중심으로- , 「토지공법연구」제32집, 한국토지공법학회, 2006. 9, p. 153.

2) Dennis J. Mckengie and Richard M. Betts, Essenrials of Real Estate Economics, Thomson Learning Co, 2001, pp. 339-375.

3) 이동수, 미국에서의 정당한 보상의 필요성과 기준 , 「토지공법연구」제31집, 한국토지공법학회, 2006. 5, p. 111.

(12)

적으로 개발행위규제는 다음과 같은 대표적인 두 가지 유형의 문제들을 발생시 킨다. 첫째, 공권력에 의한 규제 방법의 적합성 문제이다.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관 리를 위한 공권력의 개입이라고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사유재산권의 보장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즉, 토지문제의 해결을 위한 어떠한 정책이나 제도도 사유 재산제도를 부정하거나 무시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토지의 이용과 관 리를 위한 공권력의 개입은 사유재산제를 전제로 하면서 당면한, 그리고 예상되 는 토지문제를 가장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또는 제도를 강구하게 된 다. 그러나 최선의 선택대안과 행정절차에 의거하여 제정된 입법의 경우라도 종 종 위헌의 문제를 불러일으킨다. 이것이 곧 규제에 있어 내용이나 방법의 적합성 문제인 것이다. 둘째, 사유재산권과의 마찰이다. 즉, 공권력의 개입은 사유재산권에 대한 제한 내지 규제가 반드시 따르게 마련인데 이러한 제한은 그 제한을 강요당하는 토지 소유권자로부터의 저항을 유발할 가능성을 내포한다. 물론, 이에 따라 「헌법」 제23조 제2항은 재산권의 행사는 공공복리에 적합하도록 하여야 한다 고 규정하여 사회적 의무를 부과하였고, 제23조 제1항에서는 재산권의 내용과 한계 를 법률로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헌법」제23조 제3항은 공공필요 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사용 또는 제한 및 그에 대한 보상은 법률로써 정하되,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여야 한다 고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산업화시기를 거치는 가운데 「헌법」상 보장된 재산권에 대한 사회 기속성을 지나치게 강조 하였다. 특히 재산권 가운데 가장 중요하면서도 기본적인 내용인 토지의 경우 70 년대에 들어오면서부터 경제발전에 따른 산업화와 도시화의 진전에 따라 개발행 위규제를 위한 많은 법률이 입법화되면서 토지소유자의 토지이용에 많은 제약이 가해진 것이 사실이다.4) 그러하기 때문에 개발행위규제는 사유재산제도 및 사유 재산권의 보장이라는 측면과 공공복리와의 팽팽한 긴장관계를 불러일으키는 경 우가 많아 필연적으로 공익과 사익의 충돌을 일으키고 있으며, 최근 정부는 지역 간 균형있는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모든 지역의 발전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4) 강운산, 미국 연방헌법상 규제적 수용 법리에 관한 연구 , 「토지공법연구」제31집, 한국토지공법학 회, 2006. 5, p. 60.

(13)

선진 한국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만들어 나가자는 취지로 국가균형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방법으로 건설 예정지를 중심으로 한 대규모의 도시개발정책 을 추진하고 있어5) 더욱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들을 내포한 중요한 개발규제수단으로서는 국토의 계획 및 이 용에 관한 법률(이하 “국토계획법”이라 함)에 의한 국토계획체계6), 용도지역제7), 개발행위허가제8)9) 등에 의한 행위제한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토지소유자는 토지재산권행사의 중대한 제약을 받게 되므로 헌법상 재산권보장의 요청과 조화 의 문제가 등장하게 된다. 그리고 토지재산권의 사용․수익 및 처분권능을 제한 하고 있는 가장 대표적이고 핵심적인 법률이라고 할 수 있는 국토계획법은 토지 에 대하여 효율적이고 균형 있는 이용․개발․보전을 위해 전 국토를 대상으로 각종 구속적 또는 비구속적 행정계획체계를 수립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국토 종합계획의 비구속성 한계, 광역도시계획의 역할 약화, 시․군 종합계획의 모호 한 성격, 토지관리이용계획의 일원화의 비합리성 등으로 계획체계의 한계를 나타 내고 있다. 그리고 2003년부터 비도시지역까지 포괄하여 개발행위허가제도가 운 영되고 있는데, 이는 계획의 적정성, 기반시설의 확보여부, 주변 환경과의 조화 등을 고려하여 개발행위에 대한 허가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난개발을 방지하기 위 한 취지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는 개발행위허가제도는 개발행위의 개념, 각종 행정계획체계, 허가의 신청과 처분, 허가의 기준, 허가의 승계와 부관, 허가의 효력과 불복, 더 나아가 적용대상의 과다, 연접개발 제한의 불합리, 시행 기준의 구체성 미흡 등 제도상의 많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법령 및 지침이 복잡하고 불명확하여 개발행위허가 신청자에게 지나친 부담을 안기고 개 발행위허가제 운용에 대한 지원체계부재로 개발행위허가제가 비체계적으로 운용 5) 서순탁, 기업도시건설, 정책․입법 평가 , 「참여정부 4년, 부동산입법 및 정책에 대한 총괄적 검 토」제51회 학술대회, 한국토지공법학회, 2006. 12, p. 31. 6) 피석현, 국토기본법과 국토계획법에 의한 국토계획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국토 연구」제37권, 국토연구원, 2003. 6, p. 12. 7) 용도지역제는 토지의 기능과 적성에 따라 토지를 가장 적합하게 이용하기 위한 토지이용구분으로 토지이 용계획의 한 유형이다. 8) 최혁재, 개발행위허가제의 개선방안 , 「국토」통권284호, 국토연구원, 2005. 6, p. 36. 9) 개발행위허가제 와 개발허가제 는 실질적인 의미의 차이 없이 혼용되고 있다. 본고에서도 이에 대한 용어를 구별 없이 함께 사용하기로 한다.

(14)

되며 운용인력의 전문성이 낮다는 운영상의 문제점들이 거론되고 있다.10) 그런데 이러한 개발행위허가제는 그 도입 당시부터 충분한 선행연구 없이 도입된 데다 가 아직 이를 시행한 역사가 일천하여 판례 등 사법적인 판단이 축척되어 있지 도 않다. 종래의 개발행위허가제와 실질적으로 어떻게 구별되며 어떻게 다르게 취급하여야 하는가의 구별도 모호하다. 이에 반하여 개발수요가 급증하면서 각종 민원 및 부조리 발생의 원천이 되고 있는 실정임은 물론, 사유재산권 침해예방에 도 속수무책인 것이다. 그러므로 개발행위허가제가 종래의 토지에 관한 각종 행 위제한과 더불어 토지이용제도의 틀 내에서 새로운 위상을 갖추고, 그 제도 본래 의 취지에 맞추어 난개발과 환경파괴를 방지하는 제도로 기능할 수 있도록 발전 시키는 것이 당면과제인 바, 이러한 당면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무엇보다 그 법적 기준 및 해석이 명확하여야만 비로소 가능하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개발행위의 개념정의의 문제에 관한 법리적 고찰을 하 고, 개발행위관련계획 기본체계와 체계적 개발을 위한 수단들이 올바로 개선․운 영되어져야 진정한 개발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바, 국토개발․토지이용․환경 보전․재산권보장의 첫걸음이라 할 수 있는 개발행위허가제도의 정착을 위한 다 각적 검토 및 보완을 함에 있어 국토계획법 틀 내에서 행정계획체계와 전통적인 개발행위허가에 따른 법률 규율이 합당한 것인지 여부에 대하여 어떠한 문제점 이 있으며 나아가 개발행위허가제가 법제도로서 제대로 기능하기 위하여서는 이 를 어떻게 법제화하여야 할 것인가를 모색하는 데에 그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第2節 硏究의 範圍와 方法

개발행위허가를 함에 있어 국토계획법은 일반적으로 공공복리를 위한 사적 토 지이용 및 개발행위 등을 억제 또는 지도하기 위하여 활용되는 제한조치들이 중 심적인 수단들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이것은 토지정책의 주요 수단으로도 이해 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개발행위의 개념정의에서부터 진정한 개발관련 계획체계 10) 김제국․변국일․김지희, 경기도 개발행위허가제 운용실태에 관한 연구 , 경기개발연구원, 2005, p. 112.

(15)

등을 위한 분석을 하고 그에 따른 상위법 및 하위법, 그리고 관련법제들을 비교 분석하여 그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그 체계적 방법으로 서론 과 결론을 포함하여 6장으로 나누어서 접근하였다. 먼저 제1장에서는 서론부분으로서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을 밝히면서 본 논문의 연구범위 및 방법을 제시했다. 제2장에서는 개발행위의 의의에 대하여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개발행위의 개념을 살펴보고 둘째, 개발행위허가제의 필요성과 관련규정을 검토한다. 셋째, 토지재산권에 관한 역사적 발전과정과 토지재산권의 법적 보장 및 제한 근거를 살펴보고 동시에 우리나라 토지재산권 관련법제의 변천과정과 개편 동향을 개관해 본다. 넷째, 현행법상 개발행위관련 행정체계를 광역도시계 획․도시기본계획․도시관리계획으로 구분하고 이어 체계적 개발을 위한 수단으 로 지구단위계획․도시계획시설․기반시설연동제 등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특히, 구속적 행정계획인 도시관리계획은 토지재산권보장을 위한 제도적 장치인 주민 제안제도․주민 및 지방의회 의견청취제도 등을 면밀히 연구․검토하고 입안에 서 결정에 이르는 일련의 절차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개발행위허가의 성질과 요건을 검토함에 있어 첫째, 개발행위허가 의 허가의 성질을 이해하기 위하여 건축허가와의 관계, 기속성과 재량성의 검토 를 한다. 둘째, 개발행위허가제가 현실적으로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살펴보 기 위하여 실질적 요건과 절차적 요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셋째, 다른 제도와 의 관계를 면밀히 분석한다. 제4장에서는 우리나라의 개발행위개념과 개발행위허가제를 해석하기 위한 유 용한 수단으로 외국의 여러 제도와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 외국에서는 개발행위 허가와 관련하여 어떠한 제도를 갖고 이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 해 심도 있게 분석한다. 제5장에서는 개발행위허가 관련제도가 어떻게 규율되고 있고 어떠한 문제가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은 무엇인지 논점별로 살펴보기 위하여 첫째, 개발행 위개념정립과 개발행위허가제의 위상정립에 대하여 살펴본다. 둘째, 개발행위관 련 행정계획에 대한 개선책을 검토한다. 셋째, 개발행위허가제의 신청과 기준을 살펴본다. 넷째, 개발행위허가의 승계와 부관에 대하여 검토한다. 다섯째, 허가의

(16)

이행확보와 권리구제 등에 대하여 살펴본다. 여섯째, 기타 제도상 및 운영상 문 제점과 단기적․장기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제6장에서는 앞에서 연구․검토한 내용을 주제별로 요약하고 법적․제도적 개 선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결론을 맺고자 한다. 한편, 본 논문의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검토를 위주로 하며, 입법과정에서의 공청회, 토론회 등 의견수렴과정에서 제기되었던 쟁점사항과 외국의 입법례와 우리나라 대법원 판례 등을 검토하는 비교법적 접근방법을 활용하였다. 문헌으로는 주로 국토계획법과 개발행위규제에 관한 학술논문․학술지․헌법 및 행정법 교과서․정부간행물 등을 참고하였다.

(17)

第2章 開發行爲許可制의 意義

개발과 관련된 각종 계획과 수단의 지정 목적에 합당한 개발행위가 이루어지 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개발행위가 무엇인지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일반적 으로 개발행위를 제한하여 일정한 요건이 충족될 경우 그 제한을 해제하는 제도 를 개발행위허가라고 이해되고 있다. 따라서 개발행위허가는 그 개념상 개발행위 가 무엇인가가 명확히 설정될 것을 전제로 하며 이는 그 개념이 어떻게 설정되 는가에 따라 그 대상이 결정된다고 본다.11) 이러한 개발행위의 개념은 개발허가제를 채용하고 있는 미국과 영국 그리고 일본에서는 비교적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영국의 계획허가제나 미국의 계획단위개발처럼 개발행위에 토지용도변경을 포함한 것으로 확대하여 다룬다면 이를 둘러싼 문제는 최소화 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가 미비한 상태에서 곧바로 개발행위허가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우리의 법제가 개발행위허가제를 도입하면서도 정작 개발행위에 대한 개념정 의가 충실하지 못한 것은 개발행위 등에 관한 충분한 선행연구 없이 성급하게 제도를 도입하면서 비롯된 것으로서 현행 제도 운영에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12) 한편, 개발행위의 개념이 선험적인 것은 아니므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각 나라 에서 개발행위를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가는 장을 달리하여 살펴보고 여기서는 개발행위의 개념정의를 위하여 이의 필요성, 현행 국토계획법상 개발행위의 개 념, 개념정의의 방향과 기본전제,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개념정의에 대하 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11) 건설교통부, 「용도지역․지구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00. pp. 23-24. 12) 서울행정법원 2006. 1. 26. 2005구합21514 (토지형질변경허가신청반려처분취소): 인근 지역 주민들의 민원 이 있다고 하여 공익 목적이 크지 않은 사유지를 함부로 도시계획시설로 지정하여 개발을 막는 것은 관계 법령에 위반되고 비례의 원칙, 평등 원칙에 반하여 재량권을 일탈․남용한 것으로 위법한 처분이다 라고 한 사례.

(18)

第1節 開發行爲의 槪念

1. 槪念定義의 意味 (1) 開發行爲의 定義 개발행위의 개념은 크게 광의와 협의의 의미로 나누어 정의할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의 개발행위는 사전적 의미로써 미개지(未開地)를 개척하여 발전시키기 위한 사람의 의사작용에 따른 적극적인 일체의 동작을 말한다. 이에 대하여 좁은 의미의 개발행위는 법․제도적 의미로써 각종 인․허가에 사용되는 개념으로 정 의해 볼 수가 있다. 그러나 개발행위라는 개념은 선험적․논리적으로 도출된 개 념이 아니라, 경험적․연혁적으로 그 나라의 시대적․사회적․법제적 환경과 상 황에 따라 규정되는 개념이다. 미국13)․영국14)이나 일본15)은 개발행위에 대하여 정의규정을 명확히 명문화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개발행위허가제를 도입하면서 도 정작 개발행위에 자체에 대한 규정이라기보다는 허가대상을 나열하는 정도로 되어 있다. 이는 우리의 개발허가제의 운용에서 그만큼 혼선을 초래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고, 그만큼 제도적 법제적 측면에서 선진화되지 못하고 뒤떨 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것이다. 여러 선진국의 예에서 보듯이 각 나 라마다 개발행위의 개념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 것이고, 이는 오히려 당연하다 고까지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발행위의 개념이 그 나라의 시대적․사회적 환경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는 말은, 그만큼 용어에 대한 혼동의 우려가 크고 기준이 명확하 지 않아서 행정집행이나 허가제의 운용면에서 일반국민들이 재산권 행사를 함에 13) 미국의 모델도시개발법 Section 1-201(1) : 개발행위라 함은 건축공사 또는 채광공사의 실시, 구조물 또는 토지의 이용 혹은 외관상의 중대한 변경 및 둘 이상의 구획으로 분할하거나 통행권 또는 하천변 소유자의 특권을 신설하거나 혹은 종료하는 행위를 말한다. 14) 영국의 1971년 도시 및 농촌계획법 제22조 제1항 : 개발행위라 함은 지상 혹은 지하에서의 건축공사, 토 목공사, 채광행위 기타 공사의 실시 또는 건축물 혹은 토지의 사용용도에 있어서의 중대한 변경을 초래하 는 행위이다 15) 일본의 1974년 도시계획법 제4조 제12항 : 개발행위라 함은 건축물의 건축 또는 특정 공작물의 건설용에 제공할 목적으로 행해지는 토지의 구획, 형질의 변경행위를 말한다.

(19)

있어 지나친 규제를 받게 됨으로 이에 대한 민원이나 부조리가 발생할 온상을 제공한다는 말로도 대치될 수 있다. (2) 槪念定義의 必要性 그 동안 개발행위에 대하여 명확한 개념정의 없이 사용하여 온 바 개발행위의 개념을 명확히 한다는 것은 개발행위허가제를 도입하는 이상 필연적인 것으로 보인다. 개발행위에 대한 개념정의의 필요성으로서는 여러 가지를 열거할 수 있 으나, 그 주요한 것으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첫째, 개발행위의 범위를 정하는 기준이 된다. 개발행위의 범위는 직접적으로 개 발행위의 개념으로부터 결정하는 방법과 이의 해석을 통해 결정하는 방법이 있다. 개발행위의 범위는 무엇보다도 개념의 문언에 직접 표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따라서 개발행위의 개념설정은 개발행위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서도 중요 하다. 나아가 국민과 행정당국 모두에게 법적 안정성 및 예측가능성을 제공하고 사법심사의 기준을 마련하도록 기능한다. 물론, 개발행위의 범위를 정의규정이 아닌 해석을 통해 결정하는 방법이 있으나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여러 혼란의 원 인이 되는 것이어서 이는 바람직스럽지 않다. 둘째, 개발행위허가의 대상을 정하는 기준이 된다. 개발행위의 범위와 대상을 명확히 하는 것은 개발행위허가의 대상을 정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전제가 된다 는 의미에서도 중요하다. 개발행위의 개념정의는 개발허가를 요하는 개발행위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영국의 경우 개발의 개념에서 건축공사․토목공사․채광행위․기타 조작행위․용도변경 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일본의 경우 토지의 구획, 형질변경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이 개념에 따라 계획허가제와 개발허가제가 법제화되어 있다. 따라서 개 발행위의 개념은 개발허가의 대상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져야 하며, 허가대상과 일치하지 않는 개념은 그 실용성을 가질 수 없다.16) 셋째, 개발행위허가에 있어서 허가기준과 운용상의 목표를 설정하는 기능을 한 다. 이는 특히, 개발행위의 개념을 목적과 함께 규정함으로써 분명하여진다. 일본 16) 류해웅․정우형, 개발허가제의 도입에 관한 연구 , 국토연구원, 2001. 12, p. 33.

(20)

의 경우를 보면 개발행위의 개념을 규정함에 있어서 건축물의 건축과 특정공 작물의 건설을 목적으로 하는 행위 로 국한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개념정 의를 함으로써 개발행위와 목적을 연계시켜 허가의 기준과 목적을 명백히 하는 데 이바지한다. 넷째, 개발허가제의 운영에 있어서 투명성을 제공한다. 개발행위의 개념을 통 하여 일반국민에게 개발허가의 대상과 범위․목적을 명확히 하고 있어 제도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고, 그 결과 자연스럽게 개발허가제의 운영에 있어서도 투명 성이 확보되는 것이다. 따라서 개발허가제를 법제화하기 위하여서는 먼저 개발행 위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다섯째, 다른 법령에서 사용하고 있는 개발행위의 개념 규정시 이 개념을 준용 함으로써 용어의 통일성에 이바지한다. 개발행위의 개념을 통일적으로 설정하고 운용함으로써 일반국민이나 행정당국의 법제해석에 혼란을 제거하고 행정의 능 률화 및 재산권보장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17) 2. 現行法上 開發行爲 槪念 개발행위의 개념이 본격적으로 도입되어 최초로 사용된 것은 폐지된 「도시계 획법」제5장 개발행위의 허가 에 관한 조항에서 비롯되었다. 종래 도시계 획법과 국토이용관리법의 양 법체계 하에서는 토지형질변경 등 개발행위도 지역에 따라 다른 법률의 적용을 받았다. 도시계획법이 적용되는 지역에서는 도시계획법 에 의한 토지형질변경허가가 이루어졌으며, 국토이용관리법이 적용되는 농림지 역․준농림지역․자연환경보전지역은 원칙적으로 국토이용관리법에 의해 토지형 질변경허가 등이 발급되었다. 그 후「국토이용관리법」과 「도시계획법」을 통합하여 「국토계획법」을 제 정하면서 위 도시계획법상의 개발행위의 허가에 관한 규정 역시 큰 변화 없이 위 국토계획법에 그대로 계승되었다. 그러나 구 도시계획법이나 현행의 국토계획 법은 정작 개발행위 에 대한 개념정의를 함에 있어 대상을 규정함으로써 개발행위의 범주를 법정하고 있는데 그치고 있다.18) 도시계획법은 도시계획 17) 류해웅․정우형, 전게논문, p. 34.

(21)

구역 안에서 도시계획사업에 의하지 아니하고 다음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 고자 하는 자는 특별시장․광역시장․시장 또는 군수의 허가(이하 개발행위 허가 라 한다)를 받아야 한다 (동법 제46조 제1항)고 규정하고 있었고, 2003년 1월부터 시행되는 국토계획법은 종전 도시계획법과 국토이용관리법을 흡 수․통합한 것이므로 전국의 토지형질변경 등 개발행위가 통합된 국토계획법의 체계로 단일화된 것이 큰 특징 중의 하나이다. 국토계획법은 산림의 경우에는 종 전과 거의 동일하게 산림법에 의한 형질변경을 우선시키고, 계획관리지역과 도시 지역 내 산림형질변경을 통제하는 것으로 제한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개발행위허가제를 채용하던 종전 「도시계획법」은 단순히 도시계획구역 안에 서 도시계획사업에 의하지 아니하고 다음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고자 하는 자 는 특별시장․광역시장․시장 또는 군수의 허가(이하 개발행위허가 라 한다)를 받아야 한다 (종전 도시계획법 제46조 제1항)고 규정하고 있었기 때문에 개발행 위의 개념이 명확하지 않았다. 또한 「국토계획법」도 다음 각 호의1 에 해당하 는 행위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행위(이하 개발행위 라 한다)를 하고자 하는 자는 특별시장․광역시장․시장 또는 군수의 허가(이하 개발행위허가 라 한다) 를 받아야 한다. 다만, 도시계획사업에 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9) 규정하고 있는 종전 도시계획법과 마찬가지이다. 그 밖에 도시 및 토지관련 법률 도 개발행위에 대한 개념규정을 명확하게 하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개발행위란 토지의 상태․성질 또는 이용변경을 가져오는 행위 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개발행위의 대표적인 것으로 토지의 형질변경이라는 것은 기존의 토지형상에 실질적인 변경을 가하는 행위를 말하는 것이고20), 구체 적으로는 성토․절토 또는 정지 등의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구 토지형질변경 규칙 제2조 제1호). 절토는 기존 토지의 양을 줄이는 행위를 말하고, 성토는 기존 토지의 양을 늘리는 행위를 말한다.21) 사실상 도시 내에서 또는 도시계획구역 내에서 이루어지는 토지의 형질변경22) 18) 윤양수, 「행정법개론(제4판)」, 제주대학교출판부, 2007, p. 883. 19) 국토계획법 제56조 (개발행위의 허가) 제①항. 20) 대판 1998. 4. 14. 98도364 ; 윤진영, 토지의 형질변경 , 「법조」, 1994. 8, p. 120 에서도 토지형질 변경에 대한 판례를 잘 설명하고 있다. 21) 대판 1995. 3. 10. 94도3209.

(22)

은 많은 경우, 전․답과 같은 지목의 토지를 대지로 전환하기 위한 전제가 된 다23)(지적법 제21조, 지적법시행령 제16조 제1항 제1호, 국토계획법 제62조).24) 처럼 국토계획법이 토지의 형질변경을 허가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은 당해 행위 및 그 후의 건축행위가 도시 내 토지의 합리적 이용을 저해할 수 있다는 생각에 근거한 것이다.25) 이 개념은 건축물의 건축 또는 공작물의 설치 등을 목적으로 하는 개발행위 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또한 추상적이어서 개발행위허가제를 제도화하고, 이의 운용을 위한 개념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개발행위의 개념은 건축물의 건축 또는 공작물의 설치 등을 위해 행하는 토지의 분할 또는 형질의 변경과 토지의 용도변경 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여기서 행위는 토지 의 분할․토지형질의 변경․토지의 용도변경을 대상으로 한다. 토지의 분할 또 는 형질의 변경과 토지의 용도변경은 건축물의 건축 또는 공작물의 설치 등을 목적으로 한다. 이 개념은 상당히 직접적이면서도 그 표현이 간단․명료하여 개 발행위허가제의 운용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개발행위의 모든 경우 를 포괄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 개념은 개발행위 의 대상이나 대상이 되지 않는 행위의 규정을 통해 개념을 구체화하여야 하고, 하위법령이나 조례 등에서 명백히 하여야 할 것이다.26) 우리나라의 경우 종래 도시계획구역이 지정되면 당해 구역 내에서의 일정 행위 에 대하여 제한이 가해지고 행위를 하고자 하는 자는 시장․군수로부터 허가를 받아야만 하였으며, 이를 통상 일반적인 행위제한 이라 불러왔다. 이와 같이 도 시계획구역 안에서는 소규모 난개발27)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행위를 시장․군 22) 건설교통부, 「건설교통 통계연보」, 2006. 23) 참고판례(대판 1991. 12. 10. 91누605 ; 대판 1991. 7. 9. 90누6354 ; 대판 1978. 12. 13. 78누339). 24) 지적법시행령 제16조(지목변경신청) ①법 제21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목변경을 신청할 수 있는 경우는 다 음 각호와 같다. 1. 국토계획법 등 관계법령에 의한 토지의 형질변경 등의 공사가 준공된 경우 2. 토지 또는 건축물의 용도가 변경된 경우 3. 법 제26조의 규정에 의한 도시개발사업 등의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하여 사업시행자가 공사준공 전에 토 지의 합병을 신청하는 경우. 25) 토지형질변경신청의 당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형질변경행위 자체로 인한 경관 등에의 영향 만을 고려 해야 할 뿐 아니라 토지형질변경 후 그 지상에 아파트를 건축한다는 가상적인 계획도 고려의 대상이 된다 (대판 1990. 11. 27. 90누2000). 26) 류해웅․정우형, 전게논문, p. 38.

(23)

수의 허가를 받도록 하고 있었으나, 허가대상이 포괄적이고 허가기준이 모호할 뿐 만 아니라 허가절차도 불투명하여 많은 민원이 발생하였다. 더 본질적으로는 토지관련법제의 근간이 건축자유를 바탕으로 하는 용도지역제 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에서 용도지역의 지정목적에 반 하지 않는 한 당해 토지를 개발하여 이용할 자유가 부여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토지의 개발은 토지소유자의 자유에 맡겨져 기반시설도 수반하지 않 은 개발이 자행되어 난개발을 부추겼던 것이다. 따라서 2000년 1월 28일 도시계 획법의 전면 개정을 통하여 종래 부정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던 토지형질변경 등 행위허가제도를 긍정적이고 투명한 토지이용제도로 전환하여 도시계획의 무분별 한 개발을 방지하고 계획적인 개발을 유도할 목적으로 개발행위허가제도를 도입 하였다. 「국토계획법」28)에서 시장 또는 군수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개발행위의 대상 이 되는 행위는 ①건축물의 건축 또는 공작물의 설치 ②토지의 형질변경(경작을 한 토지의 경질변경을 제외한다) ③토석의 채취 ④토지의 분할(건축법 제49조의 규정에 의한 건축물이 있는 대지를 제외한다) ⑤녹지지역․관리지역 또는 자연환 경보전지역 안에 물건을 1월 이상 쌓아놓는 행위이다. 한편, 개별법률 역시 개발행위에 대한 개념규정이 없이 국토계획법상의 개발행 위 용어를 차용하거나 또는 막연히 개발행위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 다. 「국토계획법」의 규정 외에 현행 법령에서 개발행위를 규정하고 있는 경우 는 ①「건축법」 제8조 제5항 제3호 ②「기업활동 규제완화에 관한 조치법」 제 18조 제1항, 제2항 ③「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 제40조 ④「자연환경보전법」 제38조 제2항 ⑤「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49조 제1항, 제1호 ⑥「조수보호 및 수렵에 관한 법률」 제5조, ⑦「한강수계상 수원수질개선 및 주민지원에 관한 법률」 제5조 제2항 ⑧「개발이익환수에 관한 법률」 시행 27) 난개발이란 개발에 따른 외부 불경제 효과 등 부정적 측면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다음 두 가지 유형을 포 함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진영환, 21 세기 국토이용체계 개편방안 , 국토연구원, 2000. 8, p. 8 이하). - 사전계획 없이 무계획적으로 이루어진 개발(예컨대, 토지이용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 없이 준농림지에 200-300세대 아파트를 건설하는 경우) - 계획 유무에 상관없이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환경 파괴적 요소가 강한 개발(예컨대, 보전 필요 성이 높은 녹지 공간 또는 양호한 경관지역에 고층아파트를 건설하는 경우). 28) 「국토계획법」제56조 (개발행위허가) 제1항 및 「국토계획법시행령」제51조 (개발행위허가의 대상).

(24)

규칙 제3조의2 제5항 등 8개 법령인데, 그 중 용어의 정의 없이 개발행위라는 용 어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6개 법령이고 국토계획법상의 규정을 그대로 차용하 는 경우가 「건축법」과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의 2개 법령이다. 개별법령에 서 개발허가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는 「먹는 물관리법」29) 「염관리 법」, 「온천법」30) 밖에 없으며, 개발행위허가라는 용어는 「건축법」 및 「국 토계획법」 밖에는 없다. 그런데 건축법은 개발행위허가를 직접 규정하기 보다는 건축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개발행위허가를 받은 것으로 간주한다는 것에 불과한 것이고 (건축법 제8조 제5항 제3호), 「먹는 물관리법」은 샘물개발허가 (제9조) 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으므로 건축물이나 공작물의 설치를 위한 토지의 개발허 가와는 관계가 없는 것이므로, 결국 개발행위개념에 따른 진정한 의미에서의 개발행위허가 라는 용어는 「국토계획법」에서만 사용하고 있다고 보아 도 과언이 아니다.31) 3. 槪念定義 方向과 基本條件 (1) 方向 우리나라 개발행위의 개념정의를 위하여서는 무엇보다도 우리가 개발행위 내 지는 개발행위허가제를 도입하게 된 배경 및 동기 내지는 목적이 무엇인가부터 시작하지 아니하면 안 된다. 오늘날의 각종 난개발 및 환경침해를 방지하고자 개 발행위허가제를 도입하게 되었다. 이러한 개발행위를 종래의 단순한 건축허가 등 경찰허가에 의하여 허용하는 경우, 법이 정하는 최소한의 규제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허가를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난개발이나 환경침해를 방지할 수 없다. 그렇다고 모든 개발행위를 지구단위계획과 같은 행정계획에 의하여서만 허용하는 경우에는 결국 국토 전부에 대하여 광범위하고도 세부적인 계획을 마 29) 제1조 (목적) : 이 법은 먹는 물에 대한 합리적인 수질관리 및 위생관리를 도모함으로써 먹는 물로 인한 국민건강상의 위해를 방지하고 생활환경의 개선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30) 제1조 (목적) : 이 법은 온천에 대한 적절한 보호와 온천의 효율적인 개발․이용을 도모함으로써 공공의 복지증진과 지역경제 활성화 등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31) 류해웅․정우형, 전게논문, pp. 30-32.

(25)

련하여야 한다는 결론이 되어 제도의 실효성과 타당성 등에 문제가 있어 이를 적용하기에는 곤란하다. 그러므로 우리는 개발행위허가제가 행정계획과 개별 경 찰허가와의 중간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하는 것이 올바르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제하에 정의되는 개발행위의 개념은 우리의 토지이용제도 에 상응하는 것이어야 하고, 국토의 보전과 개발이 조화를 이루면서 지속가능한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그 다음에 위와 같은 위상에 비추어 개발행위의 대상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가 결정되어야 하며, 개발행위의 개념도 이를 포섭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도시지역은 물론 비도시지역에서 개발을 어떠한 방향으로 유도하고 관 리할 것인가, 즉 개발행위허가제의 기능적 측면도 고려하여 개념을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각각의 문제에 따른 방향을 제시해 본다. 첫째, 개발허가제가 어떠한 위상을 갖는 것으로 할 것인가의 문제는 개발허가 제와 토지이용제도와의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국이나 일본과 같 이 토지이용제도의 하나로 구성할 것인가, 아니면 단순히 토지이용을 규제하기 위한 허가제로 구성할 것인가이다. 우리나라는 도시와 비도시를 막론하고 용도지 역이 지정되어 있다 하더라도 계획적 개발이나 난개발을 방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개발허가제는 당해 토지의 개발을 결정 짓는 처분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개발허가제는 보다 계획적인 토지 이용과 개발을 도모하기 위해 토지이용제도로서 위상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개발허가제가 용도지역제를 바탕으로 하는 기본 틀에서 제도화가 이루어질 때 용도지역제를 보완하는 정책수단으로서 기능을 갖는 한계를 지닐 수 밖에 없다고 본다. 둘째, 개발허가의 대상을 어떠한 행위로 할 것인가의 문제에 관하여는, 개발허 가의 대상은 개발이 전형적이라 할 수 있으나, 개발은 다른 용도로의 사용을 목 적으로 하는 경우도 있고, 현재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위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발허가는 양자를 모두 대상으로 할 수 있으나, 개발허가제의 특 성에 비추어 볼 때 현재의 용도로 개발하는 것까지 포함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 은 관점에서 개발허가의 대상은 용도변경을 허가대상으로 하되, 동일 용도로의

(26)

용도변경은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토지관리를 위해 개발행위허가제가 어떻게 기능하도록 할 것인가의 문제 인데 이는 사전적 관리와 사후적 관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자는 통상 용도지 역․지구․구역의 지정과 토지이용규제에 의해 이루어지는 반면 후자는 이들의 이행을 담보하기 위해 이행강제와 행정벌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용도지역 등이 지정된 토지에서 개발행위는 사전적 관리와 사후적 관리의 중간에 위치하 기 때문에 이들 관리에는 속하지 않으나, 사전적 관리에 바탕을 두고 이루어지 며, 이를 위반하였을 때 사후관리의 대상이 된다. 한 필지에서 이루어지는 개발 행위는 사업에 의하든 개발허가에 의하든 토지이용규제와 불가분의 관계를 지니 고, 개발행위는 기반시설의 설치를 수반함으로 토지관리의 수단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개발행위의 개념은 사전적 관리를 바탕으로 정의되어야 하며, 토지관리를 효율화하기 위하여 대상과 범위도 명백하게 정하여야 한다. (2) 基本條件 지금까지 살펴 본 개발행위의 개념정의를 위한 기본적 고려사항을 토대로 우 리의 실정에 적합한 개발행위의 개념을 도출하여야 할 것인 바, 이러한 개발행위 의 개념은 다음과 같은 요소가 기본적으로 충족되어야 한다. 첫째, 개발행위는 물리적인 변경을 기본으로 하며 단순한 지적공부상의 변경이 나 권리적 측면에서의 토지나 건물의 변경은 포함하지 아니한다. 물리적 변경이 나 개발이란 토지를 구획하고 형질을 변경하는 등 토지의 상태에 실질적인 변동 을 가져오는 행위를 말하며, 개발행위는 물리적으로 토지의 상태에 변동을 가져 오는 것을 대상으로 한다. 개발행위는 아울러 이용 상태의 변동을 가져오는 용도 변경을 부가적 범위로 한다. 개발행위는 토지의 분할과 형질변경을 바탕으로 한 다. 토지의 분할은 건축물의 건축이나 공작물의 설치를 위해 행하는 것을 말하 며, 토지의 이용 상태나 물리적 변경이 없는 단순한 토지의 분할이나 합필은 개 발행위의 개념에 포함되지 아니한다. 토지의 형질변경은 절토․성토․정지 등을 말하며, 건축행위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정지를 비롯하여 토지의 굴삭․기초공 사는 건축공사에 포섭되는 것이므로 별도로 개발행위에는 제외되어야 한다.

(27)

둘째, 개발행위는 건축물의 건축 또는 공작물의 설치에 제공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행위로 제한하여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환경친화적인 토지의 이용변경, 예컨대 농업용지로의 사용이나 삼림식재를 개발허가의 대상에 포함시켜 개발허 가를 받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를 개발행위의 개념에서 아예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발행위의 범위를 명백히 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건축물의 건 축은 건축법의 규정에 따르고, 공작물의 설치는 별도의 개념정의 규정을 두는 것 이 타당하다. 셋째, 건축행위는 그 자체로서는 개발행위에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건축행위 를 개발행위의 하나로 보게 되면, 개발행위허가와 기존의 건축허가 간의 구별이 없어지게 되고, 개발행위허가제를 도입한 당초의 취지가 퇴색될 우려가 크다. 다 만, 한 필지의 토지에 개발과 건축행위가 동시에 이루어질 때 건축공사를 개발행 위의 범주에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발행위허가시에 건축허가가 의 제되면 건축허가절차가 생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단순한 절차 간소화를 위 해 건축행위를 개발행위에 포함하도록 하는 것에 불과하다. 그러나, 그 역으로 건축허가만으로 개발행위허가를 의제되도록 운영하는 것은 본 정의에 입각하여 신중하게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4. 새로운 槪念定義 (1) 意義 위에서 본 개발행위개념의 기본적 방향과 기본조건을 충족하면서도 현행법상 의 체계에 맞는 개발행위개념을 설정하는 일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전제하에 개발행위의 개념에 관하여 새로운 제안을 한다면, 개발행위란 건축물의 건축 또는 공작물의 설치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토지의 분할․형질의 변경 또는 토지 의 용도변경이다 라고 정의를 내릴 수 있다. 이 개념은 우선 건축물의 건축 또는 공작물의 설치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행위만을 개발행위로 한정하고 있다 는 점에서 개발행위에 대한 제한범위를 명확히 하고 있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행위에 대하여는 토지의 분할․토지의 형질변경․토지의

(28)

용도변경만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허가의 대상을 분명하게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개념은 상당히 직접적이면서도 그 표현이 간단명료하고, 그 목적이 뚜렷하고 대상이 분명하여 개발행위허가제의 투명하고도 객관적인 운용에 이바 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러한 개념은 개발행위에 대한 양적인 제한은 없기 때문에 일정규모 이하의 개발행위나 토지이용상태의 경미한 변경 등에 대하여서 도 개발행위허가의 대상에서 제외시키지 못한다는 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 우에는 개발행위허가의 대상으로서는 예외규정을 두는 입법상의 조치가 필요하 다고 할 것이다. (2) 內容 위에서 시도한 새로운 개발행위의 개념내용을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의 건축과 공작물의 설치를 주된 목적으로 하여야 한다. 건축법은 건축물 이라 함은 토지에 정착하는 공작물 중 지붕과 기둥 또는 벽 이 있는 것과 이에 부수되는 시설물, 지하 또는 고가의 공작물에 설치하는 사무 소․공연장․점포․차고․창고 기타 대통령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 32)라고 규정하고, 건축 이라 함은 건축물을 신축․증축․개축․재축 또는 이 전하는 것을 말한다 (동조 동항 제9호)라고 규정하고 있는바, 건축법의 개념 규정은 위 개발행위의 개념상 건축물의 건축 에 그대로 적용하여도 될 것이다. 한편, 공작물 에 대하여는 국토계획법시행령에서 개발행위허가의 대상으로서 공작물의 설치는 인공을 가하여 제작한 시설물(건축물에 의한 건축물을 제외)의 설치 33)라고 규정하고 있으나, 이는 그 개념 규정으로서는 동어의 반복이라 할 만큼 추상적이고 포괄적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의의를 가진 다고 볼 수 없어 선택하기 어렵다. 공작물의 의미를 일본의 개발허가제에서 채용 하고 있는 개념을 참조하여 정하면, 공작물이란 인공을 가하여 제작한 시설 물로서 그 종류는 다음과 같다(단, 건축법에 의한 건축물을 제외) 로 개념정 의를 할 수 있다. ⒜구조물로서 주변의 환경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것: 콘크 32) 건축법 제2조 제1항 제2호. 33) 건축법시행령 제51조 제2호.

(29)

리트 구조물․묘지․납골시설․위험물이나 폐기물(쓰레기 포함)의 저장 및 처리 에 제공되는 시설물34) ⒝골프장 기타 대규모적인 시설물: 운동시설, 위락시설, 동․식물원 등 레져시설인 공작물, 그 다음으로 위와 같은 건축물의 건축 또는 공작물의 설치를 주된 목적 으로 하여야 한다. 여기서 주된 목적으로 라는 표현의 의미는 개발행위는 건축물의 건축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만, 당해 건축물의 건축을 빼고는 개발행위를 할 수 없는 경우를 의미하고, 궁극적으 로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구체적인 개개의 경우에 사회통념에 따라 결정하여 야 될 것이다. 어떤 토지에 대하여 어떠한 구획형질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도 그 토지의 주된 이용목적이 건축물 또는 특정 공작물에 관련된 것이 아니면 개발행 위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토지의 이용목적이나 물리적 형상 등에 비추어 사회 통념상 하나로 인식되는 토지의 구역에 대하여 옥외주차장․자재적치장․농지조 성․가정텃밭․비행장의 활주로․폐기물처리장 등의 시설에 종속되는 도로나 구 획가로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구획․형질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건축물의 건축 또는 공작물의 설치와 관련되는 것이 아니므로 개발행위는 아니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둘째, 토지의 분할 또는 형질의 변경이다. 토지의 분할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토지를 2개 이상의 토지로 분할하는 것을 말한다. 국토계획법은 개발행위허가를 받아야 하는 대상의 하나로 토지분할(건축법 제49조의 규정에 의한 건축물 이 있는 대지를 제외한다) 을 규정하고 있다.35) 국토계획법 제정 당시에는 도 시지역에서의 토지분할만을 개발행위허가의 대상으로 하였으나, 2005. 12. 7 개정 으로 도시지역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비도시지역에서의 토지분할도 허가대상으로 하였는 바, 이는 개발행위허가제의 목적에 비추어 올바른 개정이라고 보여지지만 운영상의 문제가 만만치 않다.36) 한편, 여기에서 말하는 토지분할에 단순한 지적 의 분할은 포함되지 아니함은 앞에서 살핀 바와 같다. 국토계획법시행령은 개발허가대상으로서 토지의 형질변경을 절토․성토․ 34) 일본에서는 폐기물의 경우를 제외하고 있으나 위험물과 함께 폐기물(쓰레기 포함)도 이에 포함시키는 것 이 바람직하다. 35) 건축법 제56조 제1항 제4호. 36) 임택범․곽인선․전철민, 개발행위(토지분할)허가제운영의 개선방안 , 한국지적학회 춘계학술대회, 2006, p, 130.

(30)

정지․포장 등의 방법으로 토지의 형상을 변경하는 행위와 공유수면의 매립(경 작을 위한 토지의 형질변경을 제외한다) 라고 규정하고 있다.37) 이는 토지의 형질변경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로서 타당하나, 다만 여기에서 새로운 개념규정에 따르면 경작을 위한 토지의 형질변경은 당연히 개발행위의 개념에서 제외되는 것이므로, 괄호 안의 사족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38) 어느 정도의 절토․성토 등을 허가대상으로 하는 형질변경으로 삼을 것인가는 입법정책상의 문제이고, 개 발행위의 개념 자체의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 셋째, 토지의 용도변경이다. 일반적으로 용도변경은 토지의 용도변경 외에 건 축물의 용도변경도 의미하나, 개발행위의 개념에서는 토지의 용도변경에 국한된 다. 개발행위가 종래 토지의 이용 상태나 형질변경에서 유래된 것이라는 점과 건 축물의 용도변경은 건축법상의 제한으로 충분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토지의 용도 변경은 농지와 산림이 타 용도로 전용된 토지를 다시 다른 용도로 변경하는 것 을 의미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토지의 형질변경은 토지의 용도변 경을 수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따라서 여기에서 의미하는 용도변경은 토지의 형질변경을 수반하지 아니하고 건축물의 건축이나 공작물의 설치를 주된 목적으 로 하는 용도변경만을 의미한다.

第2節 開發行爲許可制의 必要性과 關聯規定

1. 開發行爲許可制의 必要性 헌법에서 우리나라는 재산권을 보장하고 사유재산제 및 재산권행사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는 한편, 국토기본법․토지이용규제기본법․국토계획법 등 하위법에 서 용도지역제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지정된 용도지역의 지정목적에 반하지 37) 국토계획법법시행령 제51조 제3호. 38) 한라일보 2007. 11. 2, p. 5 (운영지침에 따른 행정처분은 위법): 제주지방법원은 개발행위의 목적이 경작 을 위한 것으로 보이고 기존부터 농지로 사용되어 온 점, 개발행위 이후에도 원고가 토지를 계속 농지로 사용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면 이 사건의 개발행위는 개발행위허가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작을 위한 토 지형질변경 으로 봄이 상당하다고 판시하고 있다.

(31)

아니하는 한 토지를 개발하여 이용할 자유가 있다. 토지이용제도가 재산권 행사 의 자유를 기반으로 용도지역제를 채용하기 때문에 토지의 개발은 토지소유자의 자유에 맡겨져 있고, 기반시설을 수반하지 않는 개발이 자행되어 난개발이나 환 경침해가 발생하더라도 이에 대한 효과적인 규제가 어려웠다. 이러한 난개발이나 환경파괴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이에 필요한 특별법을 제정하거 나 또는 기존의 법제를 정비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였으나, 모두 단 편적이거나 미봉적인 대책에 불과하고 중구난방식의 것이어서 종합적이고 체계 적인 제도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비체계적이고 단편적인 제도 만으로는, 난개발의 문제나 환경침해문제들을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울 뿐 아 니라, 일선 행정청의 시행에 있어서 행정의 낭비 및 난맥상만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개발행위개념을 보다 확실하게 정립하고, 전국의 개발 행위에 대하여 일정한 운영기준을 확고히 하는 것은 매우 긴요하다고 할 것인 바, 개발행위허가제를 체계적으로 도입할 필요성을 좀 더 살펴보기로 한다.39) 첫째, 우리의 토지이용에 관한 기본체계인 용도지역제의 기능을 보완하는 기능 을 한다. 현행의 용도지역제가 당해 용도의 지정목적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개발 과 이용을 허용하는 것이 원칙이나, 개발이 시차를 두고 이루어지거나 환경의 보 전이 필요한 경우에 이를 용도지역만의 규정으로는 이러한 기능을 다 할 수 없 는 바, 이러한 경우에 개발에 대한 합목적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개발행위허가 제를 도입하여야 한다. 둘째, 국토의 개발계획과 도시계획 등과 조화된 계획적인 토지개발과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용도지역‧지구‧구역의 지정은 계획적인 토지의 이용에 있어서는 일정한 한계가 있고, 개발사업에 의하지 아니하는 개발의 경우에는 개발허가제를 도입하여 이러한 국토의 계획적인 이용과 정책목적에 부합하는 토지이용을 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셋째, 개발행위에 대한 통일적이고도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여진다. 개발행위 의 개념이 확립되지 아니하고 필요에 따라 귀납적 방식으로 개발대상만을 규정 한 현행법은 그 논리면에서 취약함을 보이는 것에 그치지 아니하고, 운영에 있어 39) 김병기, 개발행위허가의 방법과 절차 , 「개발행위허가제의 공법적 검토」국제학술대회발제논문, 한국토지공법학회, 2001. 9, p. 46.

(32)

서 통일적인 이념이나 목적이 뚜렷하지 아니한 나머지 비리나 재산권침해 등 민 원의 소지가 다분하다. 개발행위의 개념을 가능한 한 일의적으로 확립하고, 이에 기초한 전국적이고도 체계적인 개발허가제를 도입하는 한편, 개발행위허가제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는 목적과 유사하거나 하위의 목적을 위한 그 밖의 허가제 는 이를 폐지하여 통일적이고도 일관적인 개발행위허가제를 운영하여야 한다. 넷째, 친환경적이고 기반시설을 확충하는 등 정책목적에 부합하는 개발행위를 도모할 수 있다. 개발이 환경친화적이고도 기반시설과의 조화가 이루어져 국가 또는 사회의 정책목적에 부합되도록 유도․규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 히, 그 간의 비도시지역의 개발은 기반시설문제나 환경침해의 문제에 대하여 개 별적인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자의적 판단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난개발과 환경 침해를 초래하였다. 개발허가는 종래의 통제허가와는 달리 파악하므로, 확충된 개발행위허가제를 통하여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운영하여야 한다. 2. 開發行爲許可 關聯規定 개발행위허가제는 「국토계획법」제5장 제1절의 10개 조항40)으로 구성되어 있 다. 이 구성을 살펴보면, 개발행위허가제의 대상, 절차, 기준, 심의, 이행담보, 중 복 인‧허가의 의제 검사, 허가권의 제한, 도시계획시설부지에서의 개발행위, 기타 개발행위에 수반한 공공시설의 귀속 등으로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세부 적인 사항은 시행령과 시행규칙으로 정하고 있으며, 지역여건을 반영해야 할 사 항은 시‧군의 도시계획조례가 정하도록 위임하고 있다. 우선, 제56조는 개발행위 허가의 대상을 건축물의 건축과 공작물의 설치, 토지형질변경, 토석채취, 토지분 할, 물건적치로 규정하고, 이들 개발행위는 특별시장․광역시장․시장․군수의 허가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다만, 경작을 위한 토지형질변경(단서조항), 도시 계획사업(단서조항)과 도시계획차원에서 검토가 필요하지 않은 경미한 개발행위 는 제외된다. 또한, 보전관리지역․생산관리지역․농림지역․자연환경보전지역 안 40) 개발행위허가제의 허가(제56조), 개발행위허가의 절차(제57조), 개발행위허가의 기준(제58조), 개발행위에 대한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제59조), 개발행위허가의 이행담보(제60조), 관련 인․허가의 의제(제61조), 준 공검사(제62조), 개발행위허가의 제한(제63조), 도시계획시설부지에서의 개발행위(제64조), 개발행위에 따른 공공시설 등의 귀속(제65조).

(33)

의 산림에서의 개발행위에 관하여는 산지관리법의 규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 한편, 「국토계획법」제5장 제2절은 개발행위에 의해 기반시설이 부족하게 될 기 성시가지에 대해서는 밀도관리구역41)을 지정하고 개발밀도를 강화하여 개발행위 를 허가하며, 기성시가지 외에 개발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제2종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여 그 계획에 부합하는 개발행위에 대해서만 허가 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42) 즉, 개발행위허가제는 기반시설연동제, 제2종 지구단 위계획과 연계․운용되도록 구조화되어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개발행위허가제 는 기존 법률들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다른 법률들과의 관계에서 위임 가능한 부분은 일정부분 일임하고 있다. 타 법에 위임하고 있는 개발행위허가 관련법들 로는 「산지관리법」,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사방사업법」, 「건축법」 등을 들 수 있다. 첫째, 산림관련법 및「사방사업법」을 살펴보면, 비도시지역 내 산림에서의 개 발행위는 「산지관리법」에 일임하고 있고, 도시지역 내 산림에서 임도의 설치와 사방사업은「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및「사방사업법」에 일임하 고 있다. 즉, 보전관리․생산관리․농림지역 및 자연환경보전지역 안의 산림에서 임도의 설치와 사방사업은 각각「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및 「사방사업법」의 규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지역 및 계획관리지역 안에서 임도를 설치하거나 사방사업을 할 경우에는 「국토계획법」및 「산지관 리법」에서 적용에 대한 예외를 두고 있지 않는 한 모두를 만족하여야 한다. 둘째, 토지상에서 가장 활발하게 발생하는 건축물의 건축에 관련된 건축법을 살펴보면, 건축물을 건축할 경우에는 건축법에 일임하여 통일시키고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열거하면, 건축허가를 받은 경우 「국토계획법」에 의한 개발행 위허가를 받은 것으로 의제하고 있고43), 「건축법」에 의한 건축물의 사용승인을 41) 국토계획법 제2조(정의) 제18호 : 개발밀도관리구역이라 함은 개발로 인하여 기반시설이 부족할 것이 예 상되나 기반시설의 설치가 곤란한 지역을 대상으로 건폐율 또는 용적률을 강화하여 적용하기 위하여 제66 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하는 구역을 말한다. 42) 국토계획법 제51조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정 등). 43) 건축법 제8조 (건축허가) 제6항 : 건축허가를 받는 경우에는 다음 각호의 허가 등을 받거나 신고를 한 것 으로 보며, 공장건축물의 경우에는「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제13조의2 및 제14조의 규 정에 의하여 관련 법률의 인․허가 등 또는 허가 등을 받은 것으로 본다 (개정 2006. 9. 27) ㉠제15조 제2 항의 규정에 의한 공사용 가설건축물의 축조신고 ㉡제72조의 규정에 의한 공작물의 축조신고 ㉢「국토계 획법」제56조의 규정에 의한 개발행위허가 ㉣「국토계획법」제86조 제5항의 규정에 의한 시행자의 지정

(34)

얻은 경우에는 국토계획법에 의한 준공검사는 받지 않아도 되도록 하고 있다.44) 또한 국토계획법에 의하여 허가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의 건축 대상을 건축법의 허가대상과 같게 하고 있고, 허가기준․허가절차 등은 건축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45) 개발행위별 검토사항 중 건축물의 건축 또는 공작물(인공을 가하여 제작 한 시설물)의 설치에 있어서 통신용 철탑의 경우, 건축법에서는 주거․상업지역 에서 설치되는 경우에만 신고하도록 하고 있으나, 국토계획법에서는 용도지역에 관계없이 모두 허가를 받아야 하고 있다. 이는 통신용 철탑의 경우 주변경관 등 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도시계획차원에서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여기 서 유의할 점은, 건축물의 건축이 토지형질변경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형질변경과 관련하여 개발행위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점과 건축물의 용도규정은 개발행위허 가의 위임과는 별개라는 사실이다.46) 위와 같이, 다른 법률에 개발행위허가 및 용도제한을 위임하고 있다.47)

第3節 開發行爲許可制와 財産權 保障

1. 財産權 保障의 發展過程 및 동법 제88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한 실시계획의 인가 ㉤「산지관리법」제14조․제15조의 규정에 의한 산 지전용허가 및 산지전용신고. 다만, 보전산지인 경우에는 도시지역에 한 한다 ㉥「사도법」제4조의 규정에 의한 사도개설허가 ㉦「농지법」제36조․제37조 및 제45조의 규정에 의한 농지전용허가․신고 및 협의 ㉧ 「도로법」제40조의 규정에 의한 도로의 점용허가 ㉨「도로법」제34조 및 제54조의6 제2항의 규정에 의한 비관리청 공사시행 허가 및 도로의 연결허가 ㉩「하천법」제33조의 규정에 의한 하천점용 등의 허가 ㉪ 「하수도법」제24조의 규정에 의한 배수설비의 설치신고 ㉫「하수도법」제34조 제2항의 규정에 따른 개인 하수처리시설의 설치신고 ㉬「수도법」제23조의 규정에 의하여 수도사업자가 지방자치단체인 경우 당해 지방자치단체가 정한 조례에 의한 상수도 공급신청 ㉭「전기사업법」제62조의 규정에 의한 자가용전기설 비 공사계획의 인가 또는 신고. 44) 국토계획법 제62조 (준공검사) : ①개발행위허가를 받은 자는 그 개발행위를 완료한 때에는 국토해양부령 이 정하는 바에 따라 특별시장․광역시장․시장 또는 군수의 준공검사를 받아야 한다. 다만, 제56조 제1항 제1호의 행위에 대하여 건축법 제18조의 규정에 의한 건축물의 사용승인을 얻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 하다. 45) 이 경우에도 도시계획 또는 국토이용부서와 협의를 하게 되며, 도시계획 또는 국토이용부서는 건축물의 용도, 건폐율․용적률 등이 적합한지 여부를 검토하게 된다. 46) 국토계획법을 보면, 농림지역․자연환경보전지역 등 비도시지역에서 건축물의 용도제한에 대하여는 농지 법․자연환경보전법 등 개별법령의 용도제한을 따르도록 하고 있다. 47) 강남대학교 도시연구원, 「새로운 국토도시계획제도의 이해」, 보성각, 2003, p. 328.

참조

관련 문서

5) ‘Public service obligation’ means any obligation imposed upon an air carrier to take, in respect of any route which it is licensed to operate by a

이와 같은 경향으로 볼 때 가로보 위치는 하단에 배치하는 것이 가장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나 가로보 배치 위치가 중단에 배치하는 것과 하단에 배치 하는

The foundation can be accomplished by Civil Law as a social organic act investigating systematically the upper theory, a judicial precedent and custom,

The Article 75 section 1 of the German Federal Admin- istrative Process Law regulates about the effect that when a decision of a large scale

시특례법, 귀속농지특별조치법, 귀속재산임시조치법, 귀속재산처리에관한특별 조치법, 농어촌고리채정리법, 부동산등기에관한특별조치법,

In conclusion, this paper wrights how guarantees right of student-centered education and parents in legal system. Also, this subject use to how explain to

Kirchhof(Hrsg), Handbuch des Staatsrechts der Bundesrepublik Deutsch- land, Bd.. 法節次를 유형별로 구분하고자 한다.. über gewerblichen Binnenschiffsverkehr)의

Die Berücksichtigung der Umweltschutzbelange bei dem Aufstellungsverfahren der Landesplanung bedeutet, daß die Umweltschutzbelange frühzeitig für d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