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n Analysis of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Utilizatio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n Analysis of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Utilization"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활용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Utilization

김선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ksa102@kcti.re.kr

Seon-a, Kim,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2008년 도서관분야 국가승인통계 생성과 더불어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이 구축되었다. 본 연구는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구축 이후 10년을 맞이하여 도서관통계데이터를 제공하는 국가도서관통계시 스템이 도서관 정책 및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된 사례를 분석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한국한술지인 용색인(KCI) 및 온-나라정책연구(PRISM)를 활용하여 2008년~2018년도에 발행된 학회지와 정책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해당 데이터는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을 참고한 논문 95건, 정책연구보고 서 39건이다.

1. 서 론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은 국가승인 통계인 “전국 도서관통계”의 작성과 결과를 서비스하 기 위해 2008년에 구축된 웹정보원으로서, 국 내 도서관 현황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종 합적인 통계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도서관 정 책담당자 및 관련 연구자에게는 신뢰성 있는 도서관 통계정보를 제공하며, 국민들에게는 핵심 문화시설인 도서관에 대한 다양한 데이 터를 제공한다.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을 통해 도서관 통계정보의 공유를 강화하고, 통계조 사를 통합실시 하여 공신력 있는 도서관 통계 제공 및 통계의 중복생산을 방지하고 있다.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기초 데이터를 통해 정책 및 연구를 지원하고 있지 만 실질적으로 어떤 정책 및 연구에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 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논문의 영향성을 측 정하는 피인용수를 웹정보원인 국가도서관통계 시스템에 적용하여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을 활 용한 정책 및 연구 현황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2. 연구방법

데이터 수집 대상은 두 가지 유형으로, 정책 연구과제와 주요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관련 분야 정책연구를 파악하기 위해 온-나라정책연구(PRISM)를 검색도구로 선정 하였다. 2018년 8월 9일을 기준으로 온-나라 정책연구(PRISM)에서 문화체육관광 주제 검 색 필드에 “도서관”을 질의어로 입력하였다. 검색기간은 2008년-2018년으로 설정한 결과 총 126건의 공개용 정책연구과제가 검색되었 다. 검색된 정책연구과제 중 국가도서관통계 시스템을 인용하지 않은 87건은 분석에서 제 외하고,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이 인용된 39 건의 정책연구과제를 대상으로 연도별 추이 및 주제 분석을 하였다. 둘째, 관련 분야의 학술논문을 파악하기 위 해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주요 학술지를 대 상으로 하는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을 검색 도구로 선정하였다. 2018년 7월 21일을 기준 으로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참고문헌 검색 필드에“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libsta.go.kr”

(2)

48 제25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을 질의어로 입력하였다. 검색 결과 논문 중 발행연도가 2008년-2018년인 총 95건의 학 술논문을 대상으로 연도별 추이 및 주제 분석 을 하였다. 2008-2018 합계 분석데이터 PRISM 126 39 KCI 95 95 <표 1> 데이터 수집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이 인용된 정책연구과 제 및 학술논문의 주제범주를 분석하기 위해 손정표(2003)의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동향 분 석에 사용된 주제 범주를 참조하였다. 수집된 정책연구과제 및 학술논문의 연구명, 주제어, 개요 등을 통해 연구자가 주제범주를 부여하 여 정책 및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3. 분석결과

3.1 발행연도별 추이 본 연구에서 수집한 정책연구과제 39건과 학술논문 95편에 대한 발행연도별 국가도서관 통계시스템의 피인용수는 <그림 1>과 같다. <그림 1> 연도별 피인용수 첫째, 정책연구과제의 경우 2010년 피인용 수가 7회이므로 2010년에 가장 많이 인용되 었음을 알 수 있으며, 10년간 연평균 피인용 수가 4회인 것을 파악 할 수 있다. 검색결과 수집된 도서관 관련 정책연구과제 126건 중 39건에 인용되고 있는 현황을 보아 도서관 관 련 정책연구과제의 31%에 국가도서관통계시 스템이 인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술논문의 경우 2015년 피인용수가 15회이므로 2015년에 가장 많이 인용되었음 을 알 수 있으며, 10년간 연평균 피인용수가 10회인 것을 파악 할 수 있다. 최근 피인용수 를 살펴보면, 2016년 피인용수가 급격히 낮아 진 이후 2017년에 피인용수가 평균수준으로 늘어났지만 현재 검색일 기준으로 보았을 때, 2018년에 다시 피인용수가 0회로 낮아진 것 으로 나타났다. 3.2 주제범주 분석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이 인용된 정책연구과 제와 학술논문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주제를 부여하여 주제범주를 분석하였다. 첫째, 정책연구과제의 경우 정책연구과제 발 주 시 부여된 연구 분야를 먼저 살펴보았다. 연구 분야 정책연구과제 수 도서관정책기획단 운영 21 국립중앙도서관 운영 11 문화정책 5 문화관광 행정지원 2 총 합계 39 <표 2> 정책연구과제 연구 분야 정책연구과제의 연구 분야는 도서관정책기 획단 운영이 21건으로 가장 많으며, 국립중앙 도서관 운영, 문화정책, 문화관광 행정지원 순 으로 나타났다. 도서관 관련 정책을 담당하는

(3)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활용 현황 분석 49 부서가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도서관정책기획 단이므로 이 분야의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 된 것으로 판단된다. 정책연구과제의 주제를 살펴보기 위해 과제 명, 주제어, 개요를 토대로 연구자가 주제범주 및 세부주제를 부여하였다. 국가도서관통계시 스템이 인용된 정책연구과제는 모두 도서관경 영 주제 범주에 포함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도서관경영의 세부 주제를 살펴보면 <표 3>과 같다. 도서관경영의 세부 주제를 부여한 결과 도서관경영 일반의 정책연구과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주제 정책연구과제 수 도서관경영 일반 18 중장기계획수립 9 도서관 관련 법규 9 장서개발(관리) 3 총 합계 39 <표 3> 정책연구과제 세부 주제 둘째, 학술논문의 경우, 국가도서관통계시 스템이 인용된 학회지를 살펴보면 총 21개의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에서 인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21개의 학술지 중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는 한국비블리아학회지, 한국도서관⋅정 보학회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정보관리학회 지, JisTap, 서지학연구로 총 6개 학술지로 나 타났다.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이 인용된 95편의 논 문 중,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의 논문이 총 75편으로 분석대상 논문의 약 79%를 차지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 중 한국비블리아학회지의 논문이 27건으로 가 장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학술지명 논문 수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2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13 정보관리학회지 10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구. 정보관리연구) 4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3 인문학논총 2 청소년시설환경 2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 교육‧녹색환경연구 1 국토계획 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 디자인융복합연구 (구.인포디자인이슈) 1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 문화예술교육연구 1 사회과학연구 1 서지학연구 1 한국인쇄학회지 1 한국정책연구 1 한국정책학회보 1 한국지도학회지 1 총 합계 95 <표 4> 학술지 현황 학술논문의 주제를 살펴보기 위해 논문명, 키워드를 토대로 연구자가 주제범주 및 세부 주제를 부여하였다. 가장 많이 인용되는 논문 주제범주는 도서 관경영 영역이며, 정보학, 문헌정보학 기초, 자료조직, 공공봉사,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주제 범주 논문 수 도서관경영 79 정보학 5 문헌정보학 기초 5 자료조직 3 공공봉사 2 기타 1 <표 5> 학술논문 주제 범주

(4)

50 제25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주제영역별 세부 주제 분야를 살펴보면 <표 6>과 같다. 도서관경영 영역에서도 특히 일반 경영, 건물 및 설비, 도서관 관련 법규 주제에 서 상대적으로 인용이 많이 이루어 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문헌정보학 연구 분야에 골고루 인용되고 있으나, 도서관경영 영역에 인용이 집중되는 것으로 보아 국가도서관통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국가승인통계의 항목이 도서관경영과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 범주 세부 주제 논문 수 도서관 경영 (79) 일반 경영 34 건물 및 설비 13 도서관 관련 법규 10 직무분석 4 자료보존 3 정책 및 행정 4 인사관리 2 상호협력 2 장서개발(관리) 7 정보학 (5) 도서관 자동화 5 문헌정보학 기초 (5) 교육과정‧교육제도 2 연구 방법론 2 일반 이론 1 자료조직 (3) 분류법 3 공공봉사 (2) 독서교육(지도) 1 참고,정보 봉사 1 기타 (1) 1 <표 6> 학술논문 세부 주제

4.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의 활용성 을 파악하기 위해 도서관 관련 정책연구과제 및 주요 학술지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국가 도서관통계시스템의 피인용수를 산출하여 국 가도서관통계시스템이 인용되는 연도별 추이 및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0년간 정책연구과제는 연평균 4회, 학술논문은 연평 균 10회의 피인용지수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이 인용되는 정책연구 과제와 학술논문의 주제를 분석한 결과 공통 적으로 도서관경영분야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이 제공하고 있는 전국도서관통계는 도서관 기본정보 및 예산, 인적자원, 소장자료, 이용자서비스 등에 관한 데이터이다. 이러한 정보는 도서관경영 주제와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도서관경영 분 야의 연구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행된 도서관 분야 정 책연구과제 및 학술논문의 주제 분석을 통해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이 활용되고 있는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으며,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이 실질적으로 문헌정보학 분야의 정책 및 학 술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음을 규명한 것에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주제범주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 연구자의 개인적인 주관이 개입되 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향후 국가도서 관통계시스템 뿐만 아니라 국가승인통계인 전 국도서관통계의 활용성을 살펴보고, 계량정보 학적 분석방법을 통해 좀 더 객관적인 주제 분석을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손정표 (2003). 한국의 문헌정보학분야 연구동 향 분석 : 1957~2002. 한국도서관‧정보학 회지, 34(3), 9-32.

참조

관련 문서

An Experimental Analysis”. “Dictionary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A Model of Reference-Dependent Preferences”..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 Economic Analysis of Electricity Trading Based on Transaction Costs Theory, Auction Theory and Price Competition Theory.. Cho,

프리미엄 제품에 강한 선호 경향 고소득층 소비자의 경우 제품 구입시 구매고려요인(Key Buying Factor)으 로 브랜드, 제품의 품질 등 비가격적 속성을 더 중요시하는

The proposal of the cell theory as the birth of contemporary cell biology Microscopic studies of plant tissues by Schleiden and of animal tissues by Microscopic studies of

2) ①Go to Journal Profile에 ISSN 또는 학술지명(Full Journal Title)을 선택하여 해당

Ministry of Economic Affairs, R.O.C. Innovation and Incubation Center, National Kaohsiu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Institute For Information

It considers the energy use of the different components that are involved in the distribution and viewing of video content: data centres and content delivery networks

After first field tests, we expect electric passenger drones or eVTOL aircraft (short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to start providing commercial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