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by Language Network Analysis: Focused on the KCI Journals (2000-2019)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by Language Network Analysis: Focused on the KCI Journals (2000-2019)"

Copied!
1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교신저자: Park, Mi Jeong, 250 Taeseongtabyeon-Ro Gangnae-meyon Heungdeok-gu, Cheongju-si, Chungbuk,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Republic of Korea Tel: +82-43-230-3677, Fax: +82-43-231-4087, E-mail: homeedu@naver.com

2020. Vol. 32, No. 3, pp.179-197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 한 가정과교육 연구 동향 분석:

2000-2019년 KCI 등재지를 중심으로

1)

감경원*⋅박미정**

† *창원명지여자고등학교 교사⋅**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조교수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by

Language Network Analysis: Focused on the KCI Journals (2000-2019)

Gham, Kyoung Won*⋅Park, Mi Jeong**† *Teacher, Changwon Myeongji Girl’s High School

**Assistant Professor,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using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 focusing on papers published in the KCI list for 20 years from 2000 to 2019. A total of 501 home economics education papers analyzed through word cloud, centralit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using NetMiner 4.4,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aper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published in the KCI listing increased gradually to 186 in the 2000s and 315 in the 2010s. The academic journals in which home economics education papers were published have been diversified to 16 in the 2000s and 22 in the 2010s. 60% of all papers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and since 2018,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has increased dramatically. Second, in the 2000s and 2010s, home economics education studies published in KCI were categorized into home economics education content analysis, home economics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 application, curriculum analysis, perception survey & direction exploration. In the 2000s, 'Home Economics Teacher' appeared as the main keyword, and a lot of perception survey & direction exploration were conducted. Relatively, the influence of 'development' increased in the 2010s, and many studies were conducted to analyze home economics education contents and develop and apply home economics program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d the research trend of HEE by expanding the analysis target and analysis period of the existing studies.

Key words: 가정과교육(Home economics education),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 연구 동향(Research trend),

(2)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 동향을 살펴본다는 것은 그동안 자신의 학문 영역에 서의 연구 현황 혹은 연구 성과를 파악하는 작업으로, 과거를 돌아봄으로써 미래로 나아갈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해준다. 또 한 해당 영역의 연구자들에게 미래 연구방향 설정을 위한 연 구지도(research map)를 제공해주며, 선행연구의 성과를 토대 로 연구주제를 모색하고, 연구 방법에 대한 고민과 개선을 꾀할 수 있게 해준다(Hahn, Jung, Kwon, & Park, 2010).

가정과교육 분야에서도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연구가 꾸 준히 이루어져 왔다. 가정과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선행 연구는 가정과교육 관련 특정 학술지를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 와 가정과교육의 특정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선행연구들을 통한 가정과교육 연구 동향의 분석 결과는 그동안의 연구 현황을 보여줌으로써 앞으로 가정과교 육의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해보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분석 대상 을 특정 학술지, 특정 영역으로 한정하고 있어, 가정과교육과 관련된 보다 넓은 범위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 한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이전의 가정과교육 연구 동향 분석 연구에는 주로 빈도분석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Lee, Kim, & Kim, 2019a), 최근에는 교육학 분야에서 연구 동향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이 많이 활용(Kim & Kwak, 2019; Mun, Hwang, & Kim, 2019; Park & Han, 2020)되고 있다. 언어 네트 워크 분석은 기존의 내용 분석 방법의 빈도분석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관계분석 지표들을 사용하여 내용 분석의 수준을 높여줄 수 있는 분석 방법이다(Lee, 2014).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가정과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 석한 연구로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실과(기술⋅가 정)교육 분야 연구 동향 분석(Kim, Lee, & Kim, 2018)’, ‘실과 (기술⋅가정)교육 분야 연구의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Lee, Kim, & Kim, 2019b)’,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한국가 정과교육학회지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Lee et al., 2019a)’이

있다. 이 선행연구들은 가정과교육 연구 동향 분석에 네트워 크 분석을 활용하여 내용 분석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연구 결 과를 제시하며 네트워크 분석의 효율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 러나 이 연구들 또한 분석 대상을 특정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으로 한정하고 있어 특정 학술지 외의 다양한 학술지에 게재 된 가정과교육 관련 논문을 포함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현재 가정과교육과 관련된 연구 논문은 한국가정과교육학 회지, 한국실과교육학회지,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대한가정학회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한국생활과학회 지 등 다양한 학술지에 게재되고 있다. 따라서 특정 학술지 혹은 특정 영역으로 분석 대상을 한정하지 않고, 최근 20년간 제목이나 키워드에 가정과교육을 포함한 KCI 등재 학술지의 논문들을 통합하여 살펴본다면, 보다 다각적이고 종합적인 시 각으로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KCI는 한국연구재 단이 운영하는 ‘한국 학술지 인용 색인(KCI, Korea Citation Index)’으로 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은 학술 논문으로 서의 가치를 인정받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20년간 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 된 가정과교육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동안의 가정과교육 연구의 성과를 확인하고, 가정과교육 연구자들이 새로운 연구 주제를 탐색하고 미래의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데 이정표 역할을 함으로써 가정과교육 학문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 문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2000년 이후 가정과교육 연구가 게재된 KCI 등재 학술지의 종류와 연도별 게재 동향은 어떠한가? 둘째, 2000년 이후 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가정과교육 연구의 주요 주제와 특성은 무엇이며, 시기별로 어떤 변화를 보이는가?

(3)

Ⅱ. 선행연구 고찰

1. 가정과교육 연구 동향 분석 선행연구 가정과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연구는 크게 가정과교 육 관련 분야의 특정 학술지를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와 가정 과교육의 특정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가정과교육 관련 분야의 특정 학술지를 중심으로 하 여 연구 동향을 분석한 연구를 살펴보면,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지를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로는 Yoon(2001), Lee, Kim과 Cho(2019), Lee 외(2019a)의 연구가 있다. Yoon(2001)은 1989 년 창간호부터 1998년까지 10년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학회지 발행 현황, 논문 분량, 연구 영역, 연구 유형, 자료 수집 방법, 연구 대상자, 연구자 특성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연구 영역 분석 결과로는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도, 교수⋅학습방법 및 교재연구, 교육 과정 및 교과서 영역의 연구가 증가하고 있음을 밝혔다. 연구 유형 분석 결과로는 조사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지금까지 이루어진 가정과교육 연구는 대부분 기술적 연구에 초점을 두고 있으므로 앞으로는 질적 연구가 병행되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Lee 외(2019)는 한국가정과교육학회의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2009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형식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논문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 교과서와 교육과정 등의 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 교과교육과 교육내용의 통합연구, 프로 그램 개발 및 평가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임을 밝혔다. 그리고 연구의 핵심개념(용어)인 주제어를 분석한 결과, 총 964개의 주제어 중 5편 이상의 논문에 공통으로 쓰인 주제어는 31개 (3.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회지를 상징하는 주제어 공통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파악하고, 유사한 주제어 표기를 가능한 통일성 있게 체계화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Lee 외(2019a)는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하여 2003년 부터 2018년까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 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학술지를 분석하였다는 점과 2000년대 이후 한국가정과교육 학계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의 주요 관심사를 파악하고 관심사 들의 순위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가정 과교육 관련 연구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외의 학술지에도 게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연구들이 분석에 포함되 지 못한 점을 연구의 제한점으로 제시하며, 후속연구로 한국 가정과교육학회지 이외의 가정과교육과 관련된 논문들을 통 합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대한가정학회지를 중심으로 한 연구로는 Hwang, Han과 Hong(1995)의 연구가 있다. 이 연구는 대한가정학회의 창립 48년 후 통권 100호의 학회지가 발간된 시점에서 그간의 연구 에 대한 정리 작업과 가정학의 미래 발전 방향을 새롭게 모색 해보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1959년 창간호부터 1994년까지 대한가정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Yang과 Shin(2003)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와 대한가정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가정과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을 대상 으로 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Yoon, Lee와 Kim(2005) 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한국 실과교육학회지를 종합하여 가정과교육과 관련된 논문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학회지의 발행 현황과 논문의 분량을 분석 한 결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와 한국실과교육학회지에는 가정과교육 관련 논문이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대한가정 학회지에는 가정과교육 관련 논문의 비율이 낮은 것으로 파악 되었다. 또한 앞으로 가정과의 발전을 위해서 교육현장과 관 련된 논문은 각 전공별 학회지도 함께 분석하여 연구 동향 파악에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한국실과교육학회지, 한국기술교 육학회지 총 세 종류의 학술지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한 논 문으로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실과(기술⋅가정) 교육 분야 연구 동향을 분석한 연구(Kim et al., 2018)와 실과 (기술⋅가정)교육 분야 연구의 공저자 네트워크를 분석한 연 구(Lee et al., 2019b)가 있다. 그 외로 특정 학술지는 아니지만 국내 가정과교육 박사학위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한 Yu 외(2008)의 연구가 있다. 다음으로 가정과교육의 특정 영역을 중심으로 연구 동향 을 분석한 연구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가족생활 영역에는 ‘한 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인간발달⋅가족」분야에 대한 20년

(4)

연구 동향 분석: 성과와 과제(Cho, Lee, Lee, & Joo, 2009)’, 의생활 영역에는 ‘의생활교육 연구 동향(Moon & Lee, 2009)’, 식생활 영역에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식 생활 관련 연구 동향 분석(Yun, 2019)’, 주생활 영역에는 ‘한국 과 일본의 주거교육 연구 동향(Jang, 2007)’, ‘중등학교 주생활 교육 관련 연구 내용분석(Park, Yu, Lim, Lee, & Cho, 2007)’, 소비생활 영역에는 ‘취학기 아동⋅청소년 소비자교육의 연구 동향(Kim & Rhee, 2005)’ 등이 있다. 이외에도 안전교육을 중 심으로 분석한 연구(Kim, 2016),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Kim, Kwon, & Lee, 2014),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Ryu, 2001),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중심으로 분석 한 연구(Lee, 2019) 등 특정 영역을 중심으로 한 연구 동향 분석이 이루어졌다. 살펴본 바와 같이 가정과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연 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분석의 대상이 특정 학술지 혹은 특정 영역으로 제한되어 있어 가정과교육 관련 논문이 게재된 다양한 학술지의 논문을 통합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20년 간 KCI 검색 엔진에서 가정과교육이나 가정교과를 제목 혹은 키워드로 제시한 보다 넓은 범위의 KCI 등재 학술지의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가정과교육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2. 언어 네트워크 분석 언어로 된 텍스트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 하는 것을 ‘언어 네트워크 분석’이라고 한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은 텍스트의 의미를 보다 잘 나타내는 단어인 키워드들을 선정하고, 그들 간에 구성되는 의미적 연결 관계를 토대로 언어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분석하는 네트워크 기반 내용 분석 방법이다. 기존의 내용 분석에 의미적 특성의 분석이 추가되 고, 네트워크 분석이 결합된 것이다. 언어 네트워크는 ‘키워드 네트워크’, ‘네트워크 텍스트’, ‘단어 네트워크’, ‘개념 네트워 크’ 등의 여러 용어로 표현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언어 네트 워크라는 용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Lee, 2018). 네트워크는 노드(node)와 링크(link)로 구성되는데, 언어 네 트워크에서는 언어 텍스트의 단어(키워드)가 노드, 단어(키워 드)들 간의 관계가 링크가 된다. 이렇게 구성된 언어 네트워크 는 사회 네트워크 분석에서 개발된 각종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분석되고 해석된다. 언어 네트워크의 특성은 네트워크 분석도 구(UCINET, NetMiner, R의 SNA 패키지 등)를 활용하여 분석 하게 되는데, 주로 시각화 분석과 분석지표에 의한 분석을 한다. 시각화 분석은 언어 네트워크를 시각화한 후, 시각적으 로 나타나는 특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분석지표에 의한 분석 은 다양한 유형의 분석지표를 활용하여 네트워크의 특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분석지표의 주요 유형은 기본 속성 분석(밀 도, 지름 등), 중심성 분석(연결 중심성, 위세 중심성 등), 하위 네트워크 분석(응집성 분석, 구조적 등위성 분석 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Lee, 2012). 분석지표에 의한 분석 중 중심성 분석은 네트워크에서 중 요한 노드를 판별해내는 용도로 활용된다(Lee, 2018). 연결 중 심성(degree centrality)은 네트워크의 노드들이 얼마나 많은 연 결을 가지고 있는지를 측정한 것이며, 연결된 노드의 수가 많을수록 연결 중심성은 높아지게 된다. 다음으로 위세 중심 성(prestige centrality)은 기본적으로 한 노드의 영향력 또는 중 요도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척도이다. 연결된 이웃 노드의 중심성이 높으면 연결한 노드의 중심성도 증가할 것이 라는 관점을 반영한 것이다. 즉, 연결된 노드들의 중심성에 가 중치를 부여하여 노드의 중심성을 측정하게 된다. 위세 중심성 의 척도 중 하나인 아이겐벡터 중심성(eigenvector centrality)은 근접 중심성을 보완한 개념으로, 네트워크 내에서 가장 영향 력이 있는 중심 노드를 찾는 데 유용한 지표이다(Lee, 2012). 언어 네트워크 분석의 또 다른 분석기법으로는 토픽모델 링(topic modeling)이 있다. 토픽모델링은 언어 텍스트 집합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토픽(topic) 또는 주제 범주를 구분하 는 기법으로 각 문헌에 등장하는 단어들을 토대로 하여 문헌 집합에서 전체의 토픽들을 추정하고, 토픽들과 각 토픽을 구 성하는 단어들까지도 확률분포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추출하 는 방법이다. 문헌 집합이 방대하고 시기적 변수에 따라 구분 할 수 있는 경우에는 문헌 집합을 시기별로 나누어서 각 시기 별 토픽들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것을 동적 토픽모델 링(dynamic topic modeling)이라고 부른다(Lee, 2016).

(5)

1단계 ▶ 2단계 ▶ 3단계 ▶ 4단계  자료 수집  데이터 전처리  내용 분석 언어 네트워크 분석  시각화 결과 해석

Figure 1. Research procedure 헌정보학 등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Lee,

2018), 최근 교육학 분야에서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연구 동향 분석 연구(Hwang & Lee, 2018; Mun et al., 2019; Park & Han, 2020)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가정과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에도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다면 가정과교육을 제목이나 키워드로 제시한 논문들 에서 네트워크 중심성이 높은 단어들을 추출하고, 단어들 간 에 형성되는 의미적 관계의 속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토픽모델링을 통해 가정과교육 연구의 주요 주제를 살펴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네트워크 분석도구(NetMiner)를 활용하 여 시각화된 연구 결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20년간 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가정과교육 논문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 고자 한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 절차 본 연구는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 분석에 서 일반적으로 많이 활용하는 4단계 절차에 따랐다(Mun et al., 2019; Oh & Lim, 2019; Woo & Oh, 2019). <Figure 1>과 같이 1단계에서는 분석 대상 학술 논문 리스트를 수집하고, 서지 데이터를 선정하였다. 2단계에서는 선정된 서지 데이터 항목을 대상으로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고, 3단계에서는 내용 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용 분석을 통해 서는 가정과교육 논문의 게재 동향을 파악하고, 언어 네트워 크 분석을 통해서는 가정과교육 논문의 주요 주제와 특성을 파악하였다. 마지막 4단계에서는 연구 결과를 시각화하고, 결 과를 해석하였다. 2. 분석 대상과 자료 수집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가정과 교육 논문으로 2020년 3월부터 6월까지 분석 대상 논문을 수 집하고 최종 분석 대상 논문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Biblio Data Collector의 KCI 학술 논문 데이터 검색 기능을 활용하였 다. 가정과교육 연구의 장기적인 변화를 살피고자 1990년 1월 1일부터 1999년 12월 31일까지, 2000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2010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3개의 기간으로 구분하여 논문의 제목과 저자의 키워드에 ‘가 정교과’, ‘가정 교과’, ‘가정과교육’, ‘가정과 교육’을 포함하고 있는 논문을 검색하였다. 1990년 1월 1일부터 1999년 12월 31일까지의 논문은 위의 검색어로 검색되지 않아 ‘가정’이나 ‘가정과’로 검색하여 논문을 확인하였으나 가정과교육 논문 으로 분류할 수 없었기에 1990년부터 10년간의 논문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고 2000년 이후 20년간의 논문으로 분석 대상 을 한정하였다. 검색 결과, 중복으로 검색된 논문은 merge 기능을 활용하 여 1편으로 처리하고 2000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 지 10년간(이하 2000년대로 표기함)의 논문 510편, 2010년부 터 2019년까지 10년간(이하 2010년대로 표기함)의 논문 1,148 편을 수집하였다. 이후 <Table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총 1,658 편의 논문 중에서 논문의 제목과 저자, 키워드, 초록을 확인하 여 가정과교육과 관련이 없다고 연구자 2인이 공동으로 합의 한 논문 1,157편을 제외하고, 2000년대의 KCI 등재지 논문 186편, 2010년대의 315편, 총 501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 대상 으로 선정하였다.

(6)

검색어 가정교과 가정 교과 가정과교육 가정과 교육 merge* 최종선정 기간 제목 키워드 제목 키워드 제목 키워드 제목 키워드 2000.1.1.~2009.12.31. 144 66 144 66 46 47 259 273 510 186 2010.1.1.~2019.12.31. 228 166 228 166 107 98 687 779 1148 315 합계 1,658 501 merge*: 저자와 제목이 같은 동일 논문은 1개로 처리

Table 1. Data collection

3.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는 가정과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 여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NetMiner 4.4를 이 용하여 논문의 제목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언어 네트워크를 구성한 후, 네트워크 분석 및 시각화를 실시하였다. NetMiner 4.4는 ㈜사이람에서 개발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 도구이다. 가. 데이터 전처리

Biblio Data Collector의 KCI 학술 논문 데이터 검색 기능을 통해 수집한 서지 데이터에는 논문의 제목, 초록, 저자, 저자 키워드, 학술지명, 발행 연도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를 2000년대와 2010년대의 두 개의 엑셀 형식의 파일로 저장하여 가정과교육과 관련이 없다고 판단되는 논문을 삭제한 후 정선 하였다. 이때 서지 데이터 자료에서 발견되는 오타는 수정하 고, ‘기술⋅가정’ 등에 사용된 각기 다른 양식의 기호는 한 가지 형식으로 통일하였다. 이후 두 개의 엑셀 형식의 서지 데이터 파일을 NetMiner 4.4로 불러와 논문의 제목을 대상으 로 키워드를 추출하고, 유의어 사전과 지정어 사전을 활용하 여 데이터를 정제하였다. 특히 분석 프로그램에서는 같은 단 어일지라도 띄어쓰기의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르게 인식되므로 유의어 사전을 활용하여 띄어쓰기를 모두 제거하는 방향으로 통일하였다. 예를 들어, ‘가정과 교육’, ‘가정과 교사’, ‘2015 개정’은 각각 ‘가정과교육’, ‘가정과교사’, ‘2015개정’으로 추 출되도록 하였다. 데이터 정제 결과, 2000년대에는 최종 341개 의 키워드, 2010년대에는 최종 507개의 키워드가 추출되었다. 나. 네트워크 분석 및 해석 추출된 키워드를 바탕으로 시기별 워드클라우드를 생성하 였다. 워드클라우드 생성 시에는 출현빈도를 기준으로 하고, 최대 단어수를 300개로 설정하였다. 한편 워드클라우드를 통 해서는 상대적으로 출현빈도가 높은 키워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네트워크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는 키워드를 추출하거나 주요 키워드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어서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심성 분석을 위해서는 우선 출현빈도가 높은 상위 30개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키워드 간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1-mode Network를 생성하였다. 1-mode Network는 같은 성질의 노드 간의 관계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가정 과교육 논문의 제목에서 추출한 ‘키워드’와 ‘키워드’ 간의 관 계를 의미한다. 생성된 네트워크는 각 키워드의 연결 중심성 과 아이겐벡터 중심성을 파악하는 데에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토픽모델링(LDA)을 실시하여 주요 토픽을 추출하고, 네트워크 맵(spring형)을 통해 토픽모델링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시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가정과교육 논문 게재 동향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총 50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도 별 게재 현황과 학술지별 게재 현황을 살펴보았다. 먼저 가정과교육 논문의 연도별 게재 현황을 살펴보면

(7)

Figure 2. Annual publication statu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papers <Figure 2>와 같다. 매년 평균 25여 편의 논문이 게재되었으며, 2018년 이후 그 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2019년에는 평균의 2배 를 넘어서는 총 52편의 논문이 게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00년부터 2019년까지 20년간 ‘가정교과’ 및 ‘가정과교 육’을 제목 또는 키워드에 포함한 가정과교육 논문의 학술지 별 게재 현황을 살펴보면 <Table 2>와 같다. 먼저 시기별 게재 동향을 살펴보면, 2000년부터 2009년까 지는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를 비롯하여 16종, 2010년 이 후에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를 비롯하여 22종의 학술지 에 게재되어 가정과교육 논문이 보다 다양한 성격을 가진 학 술지에 게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학술지별 게재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501편의 논 문 중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이 전체 논문 수의 60.08%로 가장 많았으며, ‘한국실과교육학회지(44편, 8.78%)’,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31편, 6.19%)’, ‘한국생활과 학회지’(11편, 2.2%),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9편, 1.8%) 등 가정과교육, 실과교육, 가정학 계열, 교육학 계열 학술지에 가정과교육 논문이 게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교육 논문이 게재된 총 27종의 학술지 중 게재 논문 수를 기준으로 상위 5종의 학술지를 선정하여 연도별 게재 현황과 함께 살펴보면 <Figure 3>과 같다. 상위 5개의 학술지 는 게재 논문 수가 많은 순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한 국실과교육학회지’,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실과 교육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이며, 상위 5개의 학술 지에 게재된 논문은 총 433편으로 이는 분석 대상 논문 전체 (501편)의 86.43%를 차지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의 경우, 20년간 가정과교육 논문 전체의 60.08%에 해당하는 논문을 게재하여 가정과 교과교육 연구의 주요 산실 이자 공유공간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Figure 3>에서 눈에 띄는 점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에 게재된 가정과교육 논문 수의 급격한 증가이다. ‘학습 자중심교과교육연구’에는 가정과교육 논문이 2014년까지 한 편도 게재되지 않았으나 2015년과 2017년에 각각 1편이 게재 되었고, 2018년에 9편, 2019년에 17편이 게재되는 등 가정과교 육 논문이 최근 비약적으로 많이 게재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01년에 창간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는 연 2 회 발행을 시작으로, 이후 연간 발행빈도가 꾸준히 증가하여 2017년부터는 매년 총 24호의 학회지가 발행되고 있다. 이에 2017년 이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에 게재된 가정과교육 논문의 수가 급증한 것은 이와 같이 학회지의 발행빈도 증가

(8)

학 술지명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9 소계 비율 ’1 0 ’1 1 ’1 2 ’1 3 ’1 4 ’1 5 ’1 6 ’1 7 ’1 8 ’1 9 소계 비율 총계 비율 0 0 5 14 9 16 19 25 19 17 124 66. 67 18 18 15 18 16 13 14 18 24 23 177 56. 19 301 60. 08 0 1 1 3 3 1 2 0 0 6 17 9. 14 222222222 3 27 8. 57 44 8. 78 0 0 2 4 0 1 1 1 2 1 12 6. 45 2 333333333 19 6. 03 31 6. 19 0 0 0 1 0 2 3 0 1 1 8 4. 30 22 4 2222222 21 6. 67 29 5. 79 000 0 00000 17 28 8. 89 28 5. 59 0 3 0 0 1 0 1 0 0 0 5 2. 69 1 000000000 6 1. 90 11 2. 20 0 0 0 1 0 0 0 0 0 0 1 0. 54 1 0 11111111 8 2. 54 9 1. 80 0 0 0 0 0 0 1 2 0 1 4 2. 15 1 0 11111111 3 0. 95 7 1. 40 0 0 0 0 2 1 1 0 0 0 4 2. 15 000000000 1 1 0. 32 5 1. 00 0 111111111 3 0. 95 3 0. 60 111111111 1 5 1. 59 5 1. 00 0 0 1 1 0 0 1 0 0 0 3 1. 61 11111 0 1111 1 0. 32 4 0. 80 0 0 0 0 0 0 0 1 0 1 2 1. 08 2 0. 40 0 0 0 0 0 0 0 1 0 0 1 0. 54 0000000 1 00 2 0. 63 3 0. 60 0 0 0 1 0 0 0 0 0 0 1 0. 54 111111111 0 2 0. 63 3 0. 60 1 000000000 3 0. 95 3 0. 60 111111111 1 2 0. 63 2 0. 40 0000000 0 00 2 0. 63 2 0. 40 0 0 0 0 0 0 0 0 0 1 1 0. 54 1 0. 20 0 0 0 0 0 0 0 0 1 0 1 0. 54 1 0. 20 0 0 0 0 0 1 0 0 0 0 1 0. 54 1 0. 20 0 0 0 0 0 0 0 0 1 0 1 0. 54 1 0. 20 000 1 000000 1 0. 32 1 0. 20 0 000000000 1 0. 32 1 0. 20 0 1 00000000 1 0. 32 1 0. 20 0 0 00000000 1 0. 32 1 0. 20 00 0 0000000 1 0. 32 1 0. 20 한국가 정과교 육학회 지 한 국실과 교육학 회지 Fa m ily a nd E nv iro nm en t R es ea rc h 실 과교육 연구 학습 자중심 교과교 육연구 한국 생활과 학회지 한국의 상디자 인학회 지 직 업교육 연구 중 등교육 연구 한 국가정 관리학 회지 한국 교육문 제연구 한 국지역사회생 활과학 회지 한국 가족자 원경영 학회지 교원교 육 교육 과정평 가연구 교과교 육학연 구 복 식문화 연구 소 비자정 책교육 연구 한국의 류학회 지 교육연 구 소 비문화 연구 특수 아동교 육연구 Jour nal of Int egr ated Des ign Re sear ch 교 육문화 연구 교 육종합 연구 열 린교육 연구 한국 사전학 계 0 4 10 24 14 23 31 28 30 22 186 100 32 35 19 25 20 30 24 33 45 52 315 100 501 100 T a bl e 2. P u bl ic a ti o n s ta tus by j our na l

(9)

Figure 3. Publication status by journal (Number of papers Top 5)

2000년-2009년 2010년-2019년

Figure 4. Word cloud of keyword by period

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2000년 이후 KCI 등재지에 게재 된 가정과교육 논문의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정과교육 논문의 60% 이상이 가정과교육 전문 학술지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게재되었으며, 2010년 이후 ‘학습 자중심교과교육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등으로 가정과교 육 논문의 게재지가 다양화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2. 가정과교육 논문의 주요 주제와 특성 분석 대상 논문의 제목에서 추출한 총 507개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워드클라우드 생성, 중심성 분석, 토픽모델링을 실 시하여 가정과교육 논문의 주요 주제와 특성을 파악하였다. 가. 워드클라우드 생성 출현빈도를 기준으로 워드클라우드를 생성한 결과는 <Figure 4>와 같고, 출현빈도가 높은 상위 30개의 키워드를 추출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생성된 워드클라우드를 통해서 가정과교육 논문의 제목에 사용된 주요 키워드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출현빈도가 높은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2000년대에는 ‘가정과교 사’, ‘중학교’, ‘분석’, ‘내용’, ‘인식’, ‘단원’ 등이 주요하게 등

(10)

순위 2000년-2009년 2010년-2019년 키워드 출현빈도 키워드 출현빈도 1 교육 57 교육 135 2 중학교 51 분석 108 3 분석 45 교육과정 82 4 내용 45 내용 73 5 가정과교사 44 개발 73 6 영역 34 영역 72 7 단원 34 중학교 66 8 인식 33 가정 50 9 실과 30 학습 49 10 교육과정 28 실과 48 11 학습 24 단원 46 12 수업 24 교과서 44 13 개발 23 가정생활 42 14 교과 22 생활 37 15 가정 21 교수 36 16 요구 18 고등학교 35 17 생활 18 식생활 31 18 관련 17 수업 31 19 효과 16 과정 31 20 운영 16 교과 30 21 가족 16 2015개정 30 22 평가 15 적용 29 23 고등학교 15 프로그램 28 24 중학생 14 역량 28 25 적용 14 가정과교사 28 26 방안 14 가족 27 27 관점 14 평가 26 28 활용 12 인식 26 29 주생활 12 탐색 24 30 실태 12 과정안 24

Table 3. Keyword occurrence frequency rank by period (Top 30) 장하고, 2010년대에는 ‘분석’, ‘교육과정’, ‘내용’, ‘개발’, ‘중학 교’, ‘교과서’, ‘가정생활’ 등이 주요 키워드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가정과교육 논문의 주요 주제로 가정과교사, 교육과정, 교과서, 내용 분석 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2000년대와 2010년대의 워드클라우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키워드들에는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는데, 이를 <Table 3>에 제시된 시기별 키워드의 출현빈도 순위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2000년대에는 순위가 높았으나 2010년 이후 순위가 낮아진 키워드로는 ‘가정과교사(5위→25위)’, ‘인식(8위→28 위)’ 등이 있다. 반대로 2010년대에 들어와 순위가 높아진 키 워드로는 ‘교육과정(10위→3위)’, ‘개발(13위→5위)’ 등이 있 다. 또한 2000년대에는 순위권(30위)에 존재하지 않았으나 2010년대에 새롭게 등장한 키워드로는 ‘교과서’, ‘2015개정’, ‘프로그램’, ‘역량’, ‘과정안’ 등이 있으며, 반대로 2010년대로 들어와 순위권(30위)에서 사라진 키워드로는 ‘요구’, ‘관점’, ‘실태’ 등이 있다. 이를 통해 가정과교육 연구 분야에서는 교육과정과 교과 서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프로그램이나 교수⋅학습과정안 을 개발하는 연구가 증가한 반면 가정과교사나 인식, 실태에 대한 관심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나. 중심성 분석 중심성 분석을 통해서는 네트워크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 는 키워드를 판별해낼 수 있다. 2000년대와 2010년대 키워드 들의 연결 중심성과 아이겐벡터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우선 연결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는 논문에서 다양한 키워 드들과 빈번하게 사용된 키워드이므로, 이 키워드를 사용한 연구 주제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다수의 키워드와 함께 가정과교육 논문에서 활발하게 다루어지는 주요 연구 주제로 볼 수 있다. 연결 중심성 값이 0.6 이상의 키워드를 살펴보면, 2000년대에는 ‘교육(0.793)’, ‘영역(0.690)’, ‘분석(0.655)’, ‘내 용(0.655)’, ‘가정과교사(0.621)’의 5개 키워드가 확인되었고, 2010년대에서는 ‘교육(0.862)’, ‘분석(0.828)’, ‘교육과정(0.724)’, ‘영역(0.690)’, ‘내용(0.690)’, ‘교과서(0.690)’, ‘교과(0.655)’, ‘학 습(0.621)’, ‘개발(0.621)’, ‘가정(0.621)’의 10개 키워드가 확인 되었다. 이를 통해 2000년대에는 내용 분석, 가정과교사, 2010 년대에는 내용 분석, 교육과정, 교과서가 가정과교육 논문의 주제로 많이 다루어졌음을 알 수 있으며, <Figure 5>는 가정과 교육 논문 키워드들의 연결 중심성을 스프링 맵으로 시각화한

(11)

순위 2000년-2009년 2010년-2019년 연결 중심성 아이겐벡터 중심성 연결 중심성 아이겐벡터 중심성 1 교육 0.793 내용 0.460 교육 0.862 교육 0.414 2 영역 0.690 교육 0.406 분석 0.828 내용 0.385 3 분석 0.655 분석 0.311 교육과정 0.724 분석 0.328 4 내용 0.655 단원 0.251 영역 0.690 영역 0.313 5 가정과교사 0.621 영역 0.251 내용 0.690 개발 0.286 6 수업 0.586 가정과교사 0.235 교과서 0.690 학습 0.236 7 가정 0.586 교과 0.199 교과 0.655 프로그램 0.181 8 학습 0.552 관련 0.195 학습 0.621 과정안 0.181 9 중학교 0.552 실과 0.182 개발 0.621 교수 0.176 10 단원 0.552 가정 0.165 가정 0.621 가정생활 0.175 11 교과 0.552 인식 0.164 적용 0.586 단원 0.172 12 운영 0.517 생활 0.151 생활 0.586 교육과정 0.164 13 교육과정 0.517 운영 0.151 중학교 0.552 식생활 0.150 14 인식 0.483 중학교 0.139 단원 0.552 생활 0.146 15 개발 0.483 주생활 0.132 교수 0.552 교과서 0.138 16 활용 0.414 교육과정 0.118 고등학교 0.552 실과 0.134 17 평가 0.414 요구 0.104 가정생활 0.552 가정 0.120 18 관련 0.414 가족 0.099 평가 0.517 평가 0.118 19 요구 0.379 개발 0.096 실과 0.517 교과 0.099 20 실태 0.379 실태 0.096 식생활 0.517 가족 0.093 21 실과 0.379 학습 0.095 가족 0.517 적용 0.080 22 생활 0.345 평가 0.093 프로그램 0.448 중학교 0.069 23 적용 0.310 수업 0.092 역량 0.448 고등학교 0.061 24 방안 0.310 방안 0.077 과정 0.448 2015개정 0.055 25 관점 0.310 관점 0.068 수업 0.414 역량 0.048 26 가족 0.310 활용 0.060 가정과교사 0.379 수업 0.047 27 효과 0.276 적용 0.045 2015개정 0.345 과정 0.041 28 중학생 0.276 중학생 0.042 탐색 0.276 가정과교사 0.034 29 주생활 0.276 효과 0.031 인식 0.276 탐색 0.033 30 고등학교 0.276 고등학교 0.029 과정안 0.241 인식 0.015 평균 0.462 평균 0.151 평균 0.543 평균 0.150 표준편차 0.142 표준편차 0.102 표준편차 0.148 표준편차 0.105

Table 4. The results of centrality analysis by period (Top 30)

것이다. 아이겐벡터 중심성은 개별 키워드의 중심성과 해당 키워 드와 연결된 다른 키워드의 중심성을 함께 고려한 것으로, 네 트워크 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중심 키워드를 찾는 데 유용 한 지표이다(Lee, 2012). 이러한 관점으로 가정과교육 논문에 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핵심 키워드를 살펴보면, 2000년 대에는 ‘내용(0.460)’, ‘교육(0.406)’, ‘분석(0.311)’, ‘단원(0.251)’, ‘영역(0.251)’, ‘가정과교사(0.235)’, 2010년대에는 ‘교육(0.414)’,

(12)

2000년-2009년 2010년-2019년

Figure 5. Spring maps of keyword by period (Degree centrality Top 30)

‘내용(0.385)’, ‘분석(0.328)’, ‘영역(0.313)’, ‘개발(0.286)’, ‘학습 (0.236)’, ‘프로그램(0.181)’, ‘과정안(0.181)’ 키워드의 영향력 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이를 시기별로 비교하여 살펴보았을 때, 아이겐벡터 중심성에 비교적 큰 차이를 보이는 키워드로 는 대표적으로 ‘가정과교사’와 ‘개발’ 등이 있다. ‘가정과교사’ 의 경우, 2000년대에는 0.235, 2010년대에는 0.034로 중심성이 감소(-0.201)하였으며, ‘개발’의 경우, 2000년대에는 0.096, 2010년대에는 0.286으로 중심성이 증가(+0.190)하였다. 이는 가정과교육 논문의 키워드로 ‘가정과교사’의 영향력은 감소 하고, ‘개발’의 영향력은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2000년대와 2010년대에 공통으로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던 ‘중학교’의 경우, 출현빈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는 2000년대에 2위, 2010년대에 7위에 위치하였으나 아이겐벡터 중심성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는 2000년대에 14위, 2010년대 에는 22위에 위치하고 있어 출현빈도는 높지만 네트워크에서 의 영향력은 크지 않은 키워드로 볼 수 있다. <Figure 6>은 2000년대와 2010년대의 가정과교육 논문 키워드의 영향력을 살펴볼 수 있도록 아이겐벡터 중심성을 스프링 맵으로 시각화 한 것이다. 다. 토픽모델링 토픽모델링을 활용하면 언어 텍스트 집합을 가장 잘 표현 하는 토픽(topic) 또는 주제 범주를 추출할 수 있다(Lee, 2016). 이에 본 연구에서는 LDA 기법을 활용한 토픽모델링을 실시하 였으며, TF-IDF 값은 0.5 이상, alpah 값은 0.1, beta 값은 0.01로 설정한 후 토픽의 수를 다양하게 부여하면서 모델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와 2010년대의 토픽을 동일하게 4개 로 분류하는 것이 가정과교육 논문의 주요 주제와 변화를 설 명하기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판단하였으며, 그 결과를 네트워 크 맵으로 시각화하여 제시하면 <Figure 7>, <Figure 8>과 같 다. 2000년대에는 ‘교육과정 분석’과 ‘인식 조사 및 방향 탐색’ 이 보다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2010년대에는 ‘교육과정 분석’과 ‘교과 내용 분석’이 보다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 을 확인할 수 있다. 각 토픽에 속하는 핵심 키워드를 포괄할 수 있는 토픽의 이름은 <Table 5>와 같이 설정하였다. <Table 5>에 제시된 핵 심 키워드는 토픽별 주요 키워드끼리 동시 출현 네트워크를 생성한 후, 연결 중심성이 높은 순으로 10개의 키워드를 추출 한 것이다.

(13)

2000년-2009년 2010년-2019년

Figure 6. Spring maps of keyword by period (Eigenvector centrality Top 30)

(14)

Figure 8. Network map of topic modeling (2010-2019) Topic 토픽명 2000년-2009년 2010년-2019년 핵심 키워드 핵심 키워드 1 교과 내용 분석 분석, 학습, 수업, 태도, 과제, 기초, 양성, 평등, 활동, 효과 교과서, 내용, 영역, 실과, 교육과정, 가정생활, 가정, 평가, 소비, 생활 2 수업 개발 및 적용 개발, 효과, 과정안, 수업, 학습, 적용, 생활, 프로그램, 실천적, 교수 과정안, 효과, 실천적, 고등학교, 평가적용, 교수, 학습, 수업, 프로그램, 3 교육과정 분석 교육, 가정, 실과, 교육과정, 내용, 분석, 가정과교사, 관점, 관련, 교과서 교육과정, 교과서, 교과, 영역, 식생활, 핵심, 내용, 가정, 단원, 2015개정 4 인식 조사 및 방향 탐색 교육, 가정과교사, 학생, 인식, 내용, 교과, 운영, 실태, 중학생, 요구 가정과교사, 인식, 방안, 실태, 진로, 학생, 탐색, 식생활, 학교, 사회

Table 5. Topic name and main keyword by topic

토픽 1은 ‘분석’, ‘학습’, ‘수업’, ‘과제’, ‘교과서’, ‘내용’, ‘영역’ 등의 키워드로 구성되며, 이는 가정과교육의 교과 내용 분석과 관련된 키워드들이다. 이 토픽에는 특정 영역이나 단 원을 중심으로 교과서를 분석한 연구, 활동과제를 분석한 연 구, 실과 교과 내용과의 연계성을 분석한 연구 등이 해당한다. 2000년대와 2010년대의 핵심 키워드를 비교하여 살펴보면, 2000년대에는 ‘분석’, 2010년대에는 ‘교과서’가 연결 중심성 이 가장 큰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2000년대에는 ‘태도’, ‘과제’, ‘양성’, ‘평등’ 등의 핵심 키워드가 포함된 반면, 2010년대에는 ‘교육과정’, ‘평가’ 등이 핵심 키워드로 등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토픽 2는 ‘개발’, ‘효과’, ‘과정안’, ‘수업’, ‘학습’, ‘적용’, ‘교수’, ‘프로그램’ 등의 키워드로 구성되며, 이는 가정과교육 의 수업 개발 및 적용과 관련된 키워드들이다. 이 토픽에는 교수⋅학습과정안 혹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한 연구, 개발한 과정안이나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효과를 살펴

(15)

Topic 토픽명 2000년-2009년 2010년-2019년 논문 수 비중(%) 논문 수 비중(%) 1 교과 내용 분석 28 15.1 101 32.1 2 수업 개발 및 적용 37 19.9 73 23.2 3 교육과정 분석 56 30.1 83 26.3 4 인식 조사 및 방향 탐색 65 34.9 58 18.4 전체 186 100.0 315 100.0

Table 6. Number and weight of papers by topic 본 연구 등이 해당한다. 이 토픽의 시기별 핵심 키워드는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일반적인 단어 외에도 ‘실천적’이라는 키워드 또한 두 시기에 걸쳐 핵심 키워드로 추출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실천적’은 ‘실천적 문제 중심’, ‘실천적 추론’에서 추출된 키워드로, 가정과교육 논문에서 실천적 문제 및 실천 적 추론과 관련된 교수⋅학습과정안이나 프로그램이 지속적 으로 다루어져 온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Lee 외(2019a)의 연 구 결과에서 ‘실천적 교수⋅학습 과정’이 2015년부터 2018년 에 이르러서야 토픽으로 추출된 것과는 다른 결과로 볼 수 있다. 토픽 3은 ‘교육’, ‘교육과정’, ‘내용’, ‘분석’, ‘교과서’, ‘교 과’, ‘핵심’ 등의 키워드로 구성되며, 이는 가정과교육의 교육 과정 분석과 관련된 키워드들이다. 이 토픽에는 교육과정을 분석하거나 재구성하는 연구,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내용 분석 을 수행한 연구 등이 해당한다. 이 토픽의 시기별 핵심 키워드 를 살펴보면, ‘교육과정’, ‘교과서’, ‘내용’은 두 시기에 공통으 로 포함되어 있으며, 2010년대에는 ‘2015개정’, ‘핵심’ 등의 키워드가 새롭게 등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토픽 4는 ‘교육’, ‘가정과교사’, ‘학생’, ‘인식’, ‘운영’, ‘실 태’, ‘방안’ 등의 키워드로 구성되며, 이는 가정과교육 관련 인식 조사 및 방향 탐색과 관련된 키워드들이다. 이 토픽에는 가정과교사 혹은 학생을 대상으로 교과에 대한 인식, 교과 내용에 대한 흥미나 요구를 조사한 연구와 가정교과의 운영 실태 파악, 활성화 방안,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미래사회에 대비한 가정과교육의 방향을 탐색한 연구 등이 해당한다. 시 기별 핵심 키워드를 통해 살펴보면, 2000년대에는 ‘인식’, ‘운 영’, ‘실태’, ‘요구’ 등 교과에 대한 인식과 요구, 운영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으며, 2010년대에는 ‘인식’, ‘실태’와 함께 ‘방안’, ‘탐색’과 같은 핵심 키워드가 등장하여 인식과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방안과 방향을 탐색하는 연구가 함께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총 501편의 가정과교육 논문의 주제를 4개의 토픽(교과 내용 분석, 수업 개발 및 적용, 교육과정 분석, 인식 조사 및 방향 탐색)으로 분류한 결과, 토픽별 논문의 수와 비중은 <Table 6>과 같다. 2000년대에는 가정과교육 관련 인식 조사 및 방향 탐색에 관한 연구(65편, 34.9%)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은 교육과정 분석 관련 연구(56편, 30.1%), 수업 개발 및 적용 관련 연구(37편, 19.9%), 교과 내용 분석 관련 연구(28편, 15.1%)로 범주화된 반면, 2010년대에는 2000년대와는 반대로 교과 내용 분석과 관련된 연구(101편, 32.1%)가 가장 큰 비중 을 차지하고, 인식 조사 및 방향 탐색에 관한 연구(58편, 18.4%)가 가장 작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 한 결과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한 연구(Lee et al., 2019)에서 교과서와 교 육과정 등의 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와 프로그램 개 발 및 평가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난 것과 유사한 결과 로 해석된다.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본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2000년부 터 2019년까지 최근 20년간 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가정과

(16)

교육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KCI 학술 논문 데이터 검색 기능을 활용하여 ‘가정과교육’ 혹은 ‘가정교 과’를 제목이나 키워드에 포함한 논문 1,658편을 수집하고, 연구자 2인이 검토하여 총 501편의 가정과교육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이를 2000년대 186편, 2010년대 315편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였다. 정선 한 엑셀 형식의 서지 데이터로 가정과교육 논문의 게재 동향 을 파악하고, NetMiner 4.4를 활용하여 워드클라우드 생성, 중 심성 분석, 토픽모델링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 이후 20년간 가정과교육 논문은 매년 평균 25여 편씩 게재되어왔으며, 2017년 이후에는 그 수가 꾸준히 증가하여 2019년에는 총 52편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가정과교 육 논문이 게재된 KCI 등재 학술지는 2000년대에 16종, 2010 년대에 22종으로 다양화되었으며, 가정과교육, 실과교육, 가 정학, 교육학 계열 학술지 등 총 27종의 학술지에 가정과교육 논문이 게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총 27종의 학술지 중 게재 논문 수를 기준으로 상위 5종의 학술지는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지’, ‘한국실과교육학회지’,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실과교육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였으며, 상위 5종 의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은 분석 대상 논문 501편의 86.43%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중에서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경 우, 가정과교육 논문의 60.08%가 게재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경우에는 최근 가정과교육 논문 의 게재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과교육 논문의 제목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대상 으로 워드클라우드 생성, 중심성 분석, 토픽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2000년대에는 ‘내용’, ‘교육’, ‘분석’, ‘단원’, ‘영역’, ‘가 정과교사’ 키워드의 영향력이 컸고, 2010년대에는 ‘교육’, ‘내 용’, ‘분석’, ‘영역’, ‘개발’, ‘학습’, ‘프로그램’, ‘과정안’ 키워드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 된 총 501편의 가정과교육 논문은 4개의 토픽(교과 내용 분석, 수업 개발 및 적용, 교육과정 분석, 인식 조사 및 방향 탐색)으 로 분류되었다. 2000년대에는 인식 조사 및 방향 탐색에 관한 연구(65편, 34.9%)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2010 년대에는 교과 내용 분석과 관련된 연구(101편, 32.1%)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인식 조사 및 방향 탐색에 관한 연구(58편, 18.4%)는 가장 작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2000년 이후 가정과교육 연구로는 가정과교사와 학생,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조사, 가정과교육의 방향 탐색, 가정과 교육과정과 교과 내용 분석, 가정과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등의 가정과 교과교 육 연구가 수행되었고, 2000년대에 비해 2010년대에 가정과 교육 논문 수가 약 2배 증가한 것에서 가정과 교과교육 연구가 양적으로 성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교육과정과 교과 내용을 분석하고 수업(안)을 개발⋅적용하는 연구가 전 체 가정과 교과교육 연구의 65.1%에서 81.61%를 차지한다는 사실은 가정과 교과교육 연구자들이 가정과교육 철학이나 평 가, 가정과교사의 전문성, 학생 역량 등에도 새롭게 관심을 가지고 균형감 있게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한편 본 연구 결과에서 흥미로운 점은 2000년대와 2010년 대에 모두 ‘실천적’이 핵심 키워드로 등장한 것이다. 이것은 2003년부터 2018년까지의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논문의 국 문 초록을 LDA 방식으로 토픽모델링한 Lee 외(2019a)의 연구 결과에서 ‘실천적 교수⋅학습 과정’이 2015년부터 2018년에 이르러서야 토픽으로 추출된 것과 다른 결과이다. Lee 외 (2019a)도 ‘실천적 문제’가 이전 시기에는 핵심 키워드로 등장 하지 않은 것에 주목하고,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의 필요성 을 제안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의 차이는 분석 대상과 토픽모델링의 추출 방법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Lee 외(2019a)의 연구가 2003년부터 16년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한 것과 비교해 본 연구는 2000 년부터 20년간 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가정과교육’ 논문 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기에 가정과 교과교육 연구에서의 ‘실 천적 문제’나 ‘실천적 추론’의 영향력이 잘 드러났다고 판단된 다. 또한 Lee 외(2019a)의 연구가 본 연구와 동일하게 NetMiner 와 LDA 기법의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였지만 4년씩 시기를 구 분하여 10개로 토픽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실천적 문제’의 영 향력이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그동안의 가정과교육 연구 동향 분석 연구가 주로 10년 혹은 최대 16년의 기간 동안, ‘한국가정과교 육학회지’와 ‘대한가정학회지’, ‘한국실과교육학회지’ 등의 학술지를 중심으로 분석한 것에 비해 연구 기간을 2000년부터 2019년까지 20년으로 확대하고 이를 10년씩 구분하여 시간적

(17)

인 변화를 살폈으며,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를 포함하여 총 27종의 KCI 등재 학술지를 중심으로 연구 대상 학술지를 확대 하여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2000년 이후 가정과 교육의 연구 성과를 확인하고, 가정과교육 연구자들이 새로운 연구 주제를 탐색하고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데 이정표 역할을 함으로써 가정과 교과교육 학문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 을 것이다. 2. 제언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방법에 제시한 바와 같이 1990년대 KCI 등재 학술지의 제목이나 키워드에서 ‘가정과교육’, ‘가정교과’ 등 을 활용하여 검색한 결과, 가정과교육 연구에 해당하는 논문 을 찾을 수 없었다. 이는 1990년대 연구 풍토나 당시 학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키워드가 달랐기에 발생한 결과라고 해석된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가정과 교과교육이 태동된 1980년대 부터 분석하여 가정과교육 연구의 장기적인 변화를 살필 것을 제안한다. 둘째,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한 선행 연구 의 제안(Lee et al., 2019a; Yoon et al., 2005)에 따라 다양한 학술지에 게재된 가정과교육 연구를 분석하기 위해 KCI 등재 학술지에서 가정과교육 논문 정보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 결과, 키워드나 초록 등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논문이 많아 본 연구는 모든 논문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데이터 인 ‘제목’과 ‘학술지명’을 중심으로 분석을 하였다. 하지만 네 트워크 분석의 특성상 분석 대상과 방법을 달리한다면 또 다 른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될 수 있기에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데이터와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가정과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가정과교육의 연구 성과를 보다 상세하게 파악하고, 구체적인 연구 주제 설정에 도움이 됨으로써 가정과 교과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Cho, B.-E., Lee, J.-H., Lee, H.-J., & Joo, H.-J. (2009). Research trends on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i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 Education: A review and prospect of research during the past 20 year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3), 143-161.

Hahn, Y. J., Jung, E. J., Kwon, H.-J., & Park, J.-H. (2010). Research trends of the history of education in Korea by journal analysis. History of Education 20(2), 155-179. Hwang, D.-K., & Lee, G.-N. (2018). An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of smart educational competencies in practical arts advanced major pre-service teachers in university of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4(4), 1-16. doi:10.29113/skpaer.2018.24.4.001 Hwang, D. S., Han, K. M., & Hong, E. S. (1995). A content analysis

on the treatises of KHERJ for the academic identification of home economic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3(3), 17-30.

Jang, S.-O. (2007). Trends of housing education researches in Korea and Japan from 1989 to 2006: Focused on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Journal of the Japan Associ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15-129.

Kim, E. J., Kwon, Y. J., & Lee, Y.-J. (2014). Research trends in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6(3), 17-34.

Kim, E. J., Lee, Y.-J., & Kim, J. (2018). Research trend analysis on practical arts (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6(6), 603-617.

Kim, N. E. (2016).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in safety education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8(3), 47-63. doi:10.19031/jkheea.2016.09.28.3.47

Kim, N.-Y., & Rhee, K.-C. (2005). A study of consumer education research o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focused

(18)

on research subject, method and target of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7(4), 27-40.

Kim, S.-Y., & Kwak, S.-J. (2019).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assessment of early childhood morality: A review of domestic theses & academic journal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3(6), 177-200. Lee, H. (2019).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practical arts (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Focusing on ‘family life’ area.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1(4), 81-95. doi:10.19031/jkheea.2019.12.31.4.81 Lee, J. G., Kim, E. K., & Cho, J. (2019). Research trends of articles

in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during the last decade (2009. 3~2018. 12).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1(2), 95-111. doi:10.19031/jkheea.2019.06.31.2.95 Lee, S.-S. (2012).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Network analysis

methods]. Seoul: Nonhyoung.

Lee, S.-S. (2014). A content analysis of journal articles using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4), 49-68. doi:10.3743/KOSIM.2014.31.4.049

Lee, S.-S. (2016).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opic modeling for the book report tex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4), 1-18. doi:10.16981/k liss.47.4.201612.1

Lee, S.-S. (2018). 네트워크 분석방법의 활용과 한계 [Network analysis methods application and limitations]. Seoul: Chungram.

Lee, Y.-J., Kim, E. J., & Kim, J. S. (2019a). Research trend analysis of publications in the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using network text analysi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1(4), 1-18. doi:10.19031/jkheea.2019.12.31.4.1

Lee, Y.-J., Kim, E. J., & Kim, J. S. (2019b). Analysis of co-author network 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32(1), 103-124. doi:10.24062/kpae.2019.32.1.103 Moon, H.-K., & Lee, Y.-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Mun, K., Hwang, Y., & Kim, M. (2019). Research trend analysis on invention education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2), 657-671. doi:10.22251/jlcci.2019.19.12.657 Oh, J., & Lim, J. (2019). Analysis on the trends and issues of expertise

i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21), 1225-1249. doi:10. 22251/jlcci.2019.19.21.1225

Park, M.-J., Yu, I.-Y., Lim, I.-Y., Lee, J.-H., & Cho, J.-S. (2007). Contents analyses of housing educational research in home economics of secondary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35-49. Park, M. J., & Han. J. (2020). Research trend analysis for North

Korea education research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1), 185-213. doi:10.22251/jlcci.2020.20.11.185 Ryu, S.-H. (2001). Review of qualitative research on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3(1), 1-11.

Woo, S., & Oh, S. (2019). Research trends of female leadership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Women’s Studies, 101(2), 5-34.

Yang, J., & Shin, S. O. (2003). Research tren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since 7th curriculum.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1(11), 61-72.

Yoon, I.-K. (2001). Trend analysi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in Korea.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3(2), 73-83.

Yoon, I.-K., Lee, J.-G., & Kim, S.-G. (2005). Analysis of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7(4), 55-71.

Yu, I.-Y., Bae, H.-Y., Lee, J.-H., Min, E.-H., Choe, M.-S., & Cho, J.-S. (2008). Research trend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Ph. D. dissert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239-252.

Yun, M.-R. (2019).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adolescent dietary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19)

<국문요약> 본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20년간 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가정과교육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총 501편의 가정과교육 논문을 대상으로, NetMiner 4.4를 활용하여 워드클라우드, 중심성 분석, 토픽모델링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CI 등재지에 게재된 가정과교육 논문의 수는 2000년대에 186편, 2010년대에 315편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고, 가정과교육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는 2000년대에 16종, 2010년대에 22종으로 더욱 다양해졌다. 전체 논문 수의 60%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게재되었고, 2018년 이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에 게재된 논문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0년대와 2010년대에 KCI 등재지에 게재된 가정과교육 연구의 주제는 교과 내용 분석, 수업 개발 및 적용, 교육과정 분석, 인식 조사 및 방향 탐색으로 범주화되었다. 2000년대에는 ‘가정과교사’가 주요 키워드로 등장하고, 인식 조사 및 방향 탐색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2010년대에는 ‘개발’ 키워드의 영향력이 커지고, 교과 내용 분석 및 수업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분석 대상과 기간을 확대하여 가정과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논문접수일자: 2020년 9월 4일, 논문심사일자: 2020년 9월 18일, 게재확정일자: 2020년 9월 29일

수치

Figure 1. Research procedure헌정보학 등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Lee,
Table 1. Data collection
Figure 2. Annual publication statu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papers&lt;Figure 2&gt;와 같다
Figure 3. Publication status by journal (Number of papers Top 5)
+7

참조

관련 문서

2020 - 10 이민정책 재정지출구조 분석: 중앙정부 세부사업 예산을 중심으로An Analysis of the Public Expenditure Structure of Immigration Policy: Focused on the

북한농업 동향 북한의 대외 교역 동향 대북 지원 및 교류 협력 동향 북한의 경제 및 농업 관련 연구 부록 QUARTERLY AGRICULTURAL TRENDS IN NORTH KOREA..

북한농업 동향 북한의 대외 교역 동향 대북 지원 및 교류 협력 동향 북한의 경제 및 농업 관련 연구 부록 QUARTERLY AGRICULTURAL TRENDS IN

The correct typing results for the DNA samples are listed in Table 1 for all STR loci in the Powerplex 16 multiplexes.(Table 1.) The multiplex typing results based on the

I. 특정 생물종이 생태계 전체에 미치는 영향 판단 II. 멸종위기종 관련 홍보품이 사람들의 인식 개선 에 미치는 영향

The academic journals used at the time were ‘The Mathematical Education’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period was prolonged unavoidably, (3) by explaining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failure to patients honestly, and subsequently performing

그러므로 어떤 관심사에 대해 탐구하고 문제를 해결한 경험 중에 서 몰입하거나 집중하여 탐구한 것, 끈질기게 파고들어 탐구한 내용, 친구들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