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어촌 마을 주민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결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농어촌 마을 주민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결과"

Copied!
14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R830 연구자료-1

농어촌 마을 주민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결과

등 록︱제6-0007호(1979. 5. 25.) 발 행︱2017. 12. 발행인︱김창길 발행처︱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우) 58217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대표전화 1833-5500 인쇄처︱(주)한디자인코퍼레이션 I S B N︱979-11-6149-127-1 93520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공식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3)

i

차 례

제1장 조사 개요

1.

조사의 목적

··· 1

2.

조사 설계

··· 1

제2장 조사 결과

1.

사례 마을 가구의 경제활동 특성

··· 3

2.

농어업 활동 특성

··· 14

3.

마을경제활동

··· 23

제3장 통계표 ···31

제4장 설문지 ···127

(4)

ii

표 차례

제1장

<표 1-1>

응답자 특성표

··· 2

제2장

<표 2-1>

주요 경제활동

··· 4

<표 2-2>

가구 총소득

··· 4

<표 2-3> 5년 전 대비 총소득 변화

··· 5

<표 2-4> 5년 전 대비 증가 소득원

··· 6

<표 2-5> 5년 전 대비 감소 소득원

··· 7

<표 2-6>

향후 5년 변화 예상 소득

··· 7

<표 2-7>

향후 5년 후 예상 증가 소득원

··· 8

<표 2-8>

향후 5년 후 예상 감소 소득원

··· 9

<표 2-9>

농어업 외 경제활동 의향

··· 10

<표 2-10>

작년 소비지출 규모

··· 11

<표 2-11> 5년 전 대비 소비지출 규모 변화

··· 11

<표 2-12>

소비지출 중 가장 크게 차지하는 항목

··· 12

<표 2-13>

소비활동을 위한 주 방문지

··· 13

<표 2-14>

거주 지역의 소비활동 여건 변화

··· 14

<표 2-15> 5년 전 대비 영농(어장)면적 변화

··· 15

<표 2-16>

향후 농어업 규모 확대 의사

··· 16

<표 2-17>

농어업 후계자 유무

··· 16

<표 2-18>

은퇴 시 농지 활용 계획

··· 17

<표 2-19>

영농(영어)

방식

··· 18

<표 2-20> 6차산업 활동의 소득 증진 도움 정도

··· 20

(5)

iii

<표 2-21> 6차산업 참여 및 운영 의사

··· 20

<표 2-22>

별도 경제활동 수행 의사

··· 21

<표 2-23>

다른 경제활동 수행 시 원하는 방식

··· 22

<표 2-24>

현재 참여하는 경제조직

··· 23

<표 2-25>

마을활동 유무

··· 24

<표 2-26>

마을 공동경제활동의 가정경제 도움 정도

··· 26

<표 2-27> 5년 전 대비 마을 경제활동 활성화 정도

··· 26

<표 2-28>

마을 경제활동이 마을발전에 도움 정도

··· 27

제3장

<표 3-1>

응답자 특성표

··· 31

<표 3-2>

가구원 농어업 유형

··· 33

<표 3-3>

가구원 경작지/어장 위치

··· 35

<표 3-4>

가구원의 농어업 외 경제활동 유형

··· 37

<표 3-5>

가구원 농어업 외 경제활동 고용 형태

··· 39

<표 3-6>

가구원 농어업 외 경제활동 직장위치

··· 41

<표 3-7>

가구 주요 경제활동

··· 43

<표 3-8>

가구 총수입

··· 45

<표 3-9>

가구 총소득(농어업 소득) ··· 47

<표 3-10>

가구 총소득 평균 모음

··· 49

<표 3-11> 5년 전 대비 총소득 변화

··· 51

<표 3-12> 5년 전 대비 증가 소득원

··· 53

<표 3-13> 5년 전 대비 감소 소득원

··· 55

<표 3-14>

향후 5년 뒤 소득 변화 예상

··· 57

<표 3-15>

농어업 외 경제활동 의향

··· 59

<표 3-16>

작년 소비지출 규모

··· 61

<표 3-17>

농어업 경영비

··· 63

<표 3-18> 5년 전과 현재의 소비지출 규모

··· 65

(6)

iv

<표 3-19>

소비활동 중 가장 큰 비중 항목(1순위) ··· 67

<표 3-20>

소비활동 중 가장 큰 비중 항목(1,2,3순위 합) ··· 69

<표 3-21>

소비활동 주 방문 지역

··· 71

<표 3-22>

거주 지역의 소비생활 여건

··· 73

<표 3-23> 5년 전 대비 현재 영농(어장)면적 변화

··· 75

<표 3-24>

향후 농어업 규모 확대 의사

··· 77

<표 3-25>

농어업 후계자 유무

··· 79

<표 3-26>

은퇴 시 농지 활용 계획

··· 81

<표 3-27>

영농 영어 방법

··· 83

<표 3-28> 6차산업 수행 여부(농수특산물 가공) ··· 85

<표 3-29> 6차산업 수행 여부(농수특산물 직판) ··· 87

<표 3-30> 6차산업 수행 여부(농어촌 관광) ··· 89

<표 3-31> 6차산업 소득 증진 도움 정도

··· 91

<표 3-32> 6차산업 참여 및 운영 의사

··· 93

<표 3-33>

농업 관련 다른 경제활동 수행 의사

··· 95

<표 3-34> 6차산업 참여 및 운영 의사

··· 97

<표 3-35>

참여 경제조직

··· 99

<표 3-36>

마을공동시설 운영

··· 101

<표 3-37>

공동생산활동

··· 103

<표 3-38>

공동어업활동

··· 105

<표 3-39>

마을공동 6차산업

··· 107

<표 3-40>

기타 사회적 경제 관련 사업

··· 109

<표 3-41>

마을활동 참여(공동시설 운영) ··· 111

<표 3-42>

마을활동 참여(공동생산활동) ··· 113

<표 3-43>

마을활동 참여(공동어업활동) ··· 115

<표 3-44>

마을활동 참여(마을공동 6차산업) ··· 117

<표 3-45>

마을활동 참여(기타 사회적 경제 관련 사업) ··· 119

<표 3-46>

마을 공동경제활동 가정경제 도움 정도

··· 121

(7)

v

<표 3-47>

마을 공동경제활동 5년 전 대비 활성화 정도

··· 123

<표 3-48>

마을 공동경제활동 마을발전 도움 정도

··· 125

(8)

vi

그림 차례

제2장

<그림 2-1> 6차산업 수행 여부

··· 19

<그림 2-2>

마을활동 참여 정도

··· 25

<그림 2-3>

마을 공동경제활동의 긍정적 영향

··· 28

<그림 2-4>

마을 공동경제활동의 부정적 영향

··· 29

(9)

1

조사 개요

1.

조사의 목적

본 조사는 농어촌 지역 유형별로 마을의 경제 현황 및 경제활동 등을 살펴

봄으로써,

향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기

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됨.

2.

조사 설계

조사 대상

▪ 근교, 일반, 원격, 어촌 지역 마을 가구

표본 수

▪ 총 664가구 (근교: 222가구 / 일반: 170가구 / 원격: 92가구 / 어촌: 180가구)

표본 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본오차 ± 3.30% Point

조사 방법

▪ 개별면접조사

표본 추출

▪ 편의표본추출

조사 기간

▪ 2017년 7월 6일 ~ 2017년 7월 27일 (22일간)

(10)

2

구 분 사례 수 비율(%) 전 체 664 100.0 유형 근교 222 33.4% 일반 170 25.6% 원격 92 13.9% 어촌 180 27.1% 성별 남성 316 47.6% 여성 348 52.4% 연령 20~30대 12 1.8% 40대 43 6.5% 50대 135 20.3% 60대 172 25.9% 70대 이상 302 45.5% 거주 기간 10년 이하 108 16.3% 11~20년 55 8.3% 21~30년 45 6.8% 31~40년 60 9.0% 41~50년 91 13.7% 51~60년 126 19.0% 61년 이상 179 27.0% 귀농귀촌 여부 귀농 44 6.6% 귀어 12 1.8% 귀촌 102 15.4% 토박이 505 76.1% 기타 1 0.2% 가구원 수 1인 230 34.6% 2인 299 45.0% 3인 63 9.5% 4인 이상 72 10.8% 주요 경제 활동 농림어업 394 59.3% 농림어업 관련 2 0.3% 자영업 95 14.3% 사무/경영/관리 26 3.9% 생산/기능/노무 21 3.2% 판매/영업/서비스 15 2.3% 전문/기술 5 0.8% 자유 1 0.2% 주부/학생/무직 105 15.8%

<표 1-1> 응답자 특성표

(11)

2

조사 결과

1.

사례 마을 가구의 경제활동 특성

1.1. 가구 주요 경제활동

문2. 귀댁에서 대부분(70% 이상)의 시간을 차지하는 주요 경제활동은

무엇입니까?

가구의 주요 경제활동에 대해 살펴본 결과, ‘농림어업’이라는 응답이

59.3%

로 가장 높게 나타남.

그다음으로

‘주부/학생/무직’이

15.8%, ‘자영업’이

14.3%, ‘사무/경영/관리’가 3.9%, ‘생산/기능/노무직’이 3.2%, ‘판매/영업/서

비스직’이

2.3%, ‘전문/기술직’이

0.8%, ‘농림어업과 관련된 경제활동’이

0.3%, ‘자유직’이 0.2%

등으로 나타남.

○ 농촌 유형별로 살펴보면, ‘농림어업’이 근교,

일반,

원격,

어촌유형 모두 가

장 높게 나타났음.

단,

근교,

어촌 유형에서는 ‘자영업’도 다른 유형보다 상

대적으로 높은 편.

(12)

4

구분 사례 수 농림어업 자영업 사무/ 경영/ 관리 생산/ 기능/ 노무직 판매/ 영업/ 서비스직 전문/ 기술직 농림어업 관련된 경제활동 자유직 주부/ 학생/ 무직 전 체 (664) 59.3 14.3 3.9 3.2 2.3 0.8 0.3 0.2 15.8 유형 근교 (222) 42.8 23.4 7.7 2.7 4.1 2.3 0.0 0.5 16.7 일반 (170) 65.3 4.1 4.1 5.9 3.5 0.0 0.0 0.0 17.1 원격 (92) 70.7 5.4 0.0 4.3 0.0 0.0 0.0 0.0 19.6 어촌 (180) 68.3 17.2 1.1 0.6 0.0 0.0 1.1 0.0 11.7

<표 2-1> 주요 경제활동

단위: %

1.2. 가구 총소득

문3. 귀댁의 작년 가구 총소득은 어느 정도였는지 해당항목에 맞게 기입

해 주십시오.

○ 작년(2016년)

가구 총소득에 대해 살펴본 결과, ‘가구 총수입’은

2,368.2만

원으로 나타남.

농촌 유형별로 살펴보면,

어촌유형이

3,376.4만 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

며,

원격유형이

1,054.4만 원으로 가장 낮은 가구 소득을 보임.

근교 및 어촌

유형은 겸업으로 인한 소득도 약간 발생함.

구분 사례 수 가구 총수입 농어업 소득 겸업 소득 임금 소득 비농업 사업 소득 연금/ 정부지원금 이전소득 및 기타 전 체 (664) 2,368.22 1,657.60 1,850.00 2,487.60 2,831.30 430.98 342.35 유형 근교 (222) 2,328.83 858.87 3,500.00 2,659.84 2,950.89 696.02 434.66 일반 (170) 2,063.24 1,728.99 . 2,675.00 2,750.00 281.98 270.62 원격 (92) 1,054.35 871.32 . 916.67 812.50 296.43 295.45 어촌 (180) 3,376.39 2,765.38 1,437.50 1,875.00 3,029.41 410.38 340.16

<표 2-2> 가구 총소득

단위: 만 원

(13)

5

1.3. 5년 전 대비 총소득 변화

문4. 귀댁의 총소득은 지난 5년 전과 비교했을 때 어떻게 변했습니까?

○ 5년 전 대비 총소득의 변화에 대해 살펴본 결과, ‘감소’라는 응답이 33.4%

(크게 감소: 11.1% +

소폭 감소: 22.3%), ‘증가’라는 응답이 10.4%(크게 증

가: 0.6% +

소폭 증가: 9.8%)로 대체로 감소한다는 의견이 더 높게 나타남.

‘큰 변화가 없다’는 55.9%임.

농촌 유형별로 살펴보면, ‘큰 변화가 없다’라는 응답이 근교,

일반,

원격,

촌 유형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소폭 감소하였다’라는 응답이 두 번째

로 높게 나타남.

구분 사례 수 크게 감소하였다 (연 천만 원 이상) 소폭 감소하였다 (연 500만 원 내외) 큰 변화가 없다 소폭 증가하였다 (연 500만 원 내외) 크게 증가하였다 (연 천만 원 이상) 잘 모르겠다 전 체 (664) 11.1 22.3 55.9 9.8 0.6 0.3 유형 근교 (222) 16.2 16.2 54.1 11.7 1.4 0.5 일반 (170) 2.9 19.4 67.1 9.4 0.6 0.6 원격 (92) 15.2 25.0 53.3 6.5 0.0 0.0 어촌 (180) 10.6 31.1 48.9 9.4 0.0 0.0

<표 2-3> 5년 전 대비 총소득 변화

단위: %

(14)

6

1.4. 5년 전 대비 소득 증·감 소득원

문5. 지난 5년간 귀댁의 소득 중에서 가장 크게 증가 또는 감소한 소득

원은 무엇입니까?

○ 5년 전 대비 소득 증·감 소득원에 대해 살펴본 결과,

증가 소득원은

‘없음’

이라는 응답이

82.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임금 소득’이

4.8%, ‘농어업 소득’이 4.4%, ‘연금 및 기초생활 보장급여’가 4.4%

등으로

나타남.

감소 소득원은 ‘없음’이라는 응답이 55.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농어업 소득’이 27.0%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남.

유형별로 살펴보면,

근교,

일반,

원격,

어촌 유형 모두 증·감 소득원

‘없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음.

단,

유형 모두

‘농어업 소득’이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

타남.

구분 사례 수 증가 소득 없음 임금 소득 농어업 소득 연금 및 기초생활 보장급여 비농어업 사업소득 이전소득 및 기타 잘 모르겠다 전 체 (664) 82.1 4.8 4.4 4.4 2.4 0.9 1.1 유형 근교 (222) 71.6 8.6 3.6 6.8 5.0 1.4 3.2 일반 (170) 81.8 7.1 1.8 7.6 0.6 1.2 0.0 원격 (92) 93.5 1.1 4.3 0.0 1.1 0.0 0.0 어촌 (180) 89.4 0.0 7.8 0.6 1.7 0.6 0.0

<표 2-4> 5년 전 대비 증가 소득원

단위: %

(15)

7

구분 사례 수 감소 소득 없음 농어업 소득 비농어업 사업소득 이전소득 및 기타 임금 소득 겸업 소득 잘 모르겠다 전 체 (664) 55.3 27.0 8.1 4.2 3.2 0.8 0.9 유형 근교 (222) 42.8 25.2 13.5 6.8 6.8 1.4 2.7 일반 (170) 67.6 28.2 0.0 1.8 2.4 0.0 0.0 원격 (92) 59.8 32.6 2.2 2.2 1.1 0.0 0.0 어촌 (180) 56.7 25.0 12.2 4.4 0.6 1.1 0.0

<표 2-5> 5년 전 대비 감소 소득원

단위: %

1.5. 향후 5년 변화 예상 소득

문6. 귀댁의 총소득은 앞으로 5년 후에 어떻게 변할 것으로 예상하십니

까?

향후 5년 변화 예상 소득에 대해 살펴본 결과, ‘감소’라는 응답이 28.3%(크

게 감소: 5.7% +

소폭 감소: 22.6%), ‘증가’라는 응답이 7.6%(크게 증가:

0.5% +

소폭 증가: 7.1%)로 대체로 감소한다는 의견이 더 높게 나타남. ‘큰

변화가 없다’는 59.2%임.

유형별로 살펴보면,

근교,

일반,

원격,

어촌 유형 모두 향후 5년 동안 소득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함.

구분 사례 수 크게 감소할 것 소폭 감소할 것 큰 변화가 없다 소폭 증가할 것 크게 증가할 것 잘 모르겠다 전 체 (664) 5.7 22.6 59.2 7.1 0.5 5.0 유형 근교 (222) 5.4 21.2 47.7 10.8 1.4 13.5 일반 (170) 4.7 19.4 72.9 2.9 0.0 0.0 원격 (92) 7.6 19.6 63.0 8.7 0.0 1.1 어촌 (180) 6.1 28.9 58.3 5.6 0.0 1.1

<표 2-6> 향후 5년 변화 예상 소득

단위: %

(16)

8

1.6. 향후 5년 예상 소득 증·감 소득원

문7. 증가 또는 감소한다면 어떤 분야일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 향후 5년 예상 소득 증·감 소득원에 대해 살펴본 결과,

증가 소득원은 ‘없

음’이라는 응답이 84.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농어업 소득’

이 3.8%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남.

감소 소득원은

‘없음’이라는 응답이

59.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농어업 소득’이 24.5%로 두 번째

로 높게 나타남.

유형별로 살펴보면,

근교,

일반,

원격,

어촌 유형 모두 증·감 소득원

‘없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음.

그다음으로

‘농어업 소득’이 많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함.

구분 사례 수 증가 소득원 없음 농어업 소득 비농어업 사업소득 임금 소득 연금 및 기초생활 보장급여 겸업 소득 이전소득 및 기타 잘 모르겠다 전 체 (664) 84.6 3.8 2.9 2.6 2.1 0.3 0.3 3.5 유형 근교 (222) 71.2 5.0 5.9 5.0 2.3 0.0 0.5 10.4 일반 (170) 90.0 1.8 0.0 3.5 4.7 0.0 0.0 0.0 원격 (92) 91.3 6.5 2.2 0.0 0.0 0.0 0.0 0.0 어촌 (180) 92.8 2.8 2.2 0.0 0.6 1.1 0.6 0.0

<표 2-7> 향후 5년 후 예상 증가 소득원

단위: %

(17)

9

구분 사례 수 감소 소득원 없음 농어업 소득 비농어업 사업소득 임금 소득 이전소득 및 기타 연금 및 기초생활 보장 급여 잘 모르겠다 전 체 (664) 59.8 24.5 5.4 3.3 3.2 0.5 3.3 유형 근교 (222) 43.2 23.4 9.9 5.4 7.2 1.4 9.5 일반 (170) 70.0 24.1 0.0 4.7 1.2 0.0 0.0 원격 (92) 71.7 27.2 0.0 0.0 0.0 0.0 1.1 어촌 (180) 64.4 25.0 7.8 1.1 1.7 0.0 0.0

<표 2-8> 향후 5년 후 예상 감소 소득원

단위: %

1.7. 농어업 외 경제활동 의향

문8. 현재하고 있는 일 외에 다른 경제활동을 할 생각이 있으십니까?

○ 농어업 외 경제활동 의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없다’라는 응답이 95.8%로

가장 높게 나타남.

그다음으로 ‘농림어업과 관련된 경제활동’이 1.1%, ‘생

산/기능/노무업’이

0.9%, ‘자영업’이

0.6%, '판매/영업/서비스업'이

0.6%

으로 나타남.

○ 유형별로 살펴보면,

근교,

일반,

원격,

어촌 유형 모두 ‘없음’이 가장 높게

나타남.

(18)

10

구분 사례 수 없다 농림어업 관련된 경제활동 생산/ 기능/ 노무업 자영업 (소도매, 요식업 등) 판매/ 영업/ 서비스업 농림어업 전문/ 기술업 사무/ 경영/ 관리 자유업 전 체 (664) 95.8 1.1 0.9 0.6 0.6 0.5 0.3 0.2 0.2 유형 근교 (222) 95.9 0.0 0.5 0.9 0.5 0.9 0.9 0.5 0.0 일반 (170) 94.7 1.8 2.4 0.0 1.2 0.0 0.0 0.0 0.0 원격 (92) 94.6 4.3 0.0 1.1 0.0 0.0 0.0 0.0 0.0 어촌 (180) 97.2 0.0 0.6 0.6 0.6 0.6 0.0 0.0 0.6

<표 2-9> 농어업 외 경제활동 의향

단위: %

1.8. 작년 소비지출 규모

문9. 귀댁의 작년 소비지출 규모는 어느 정도입니까?

작년 소비지출 규모에 대해 살펴본 결과, ‘가구 총지출’은 1,355.4만 원, ‘농

어업 경영비’는 651.5만 원으로 나타남.

농촌 유형별로 살펴보면, ‘가구 총지출’은 근교 유형이 1,604만 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원격 유형이 565.2만 원으로 가장 낮은 소비지출 규모를

보임.

○ ‘농어업 경영비’는 일반 유형이 768.9만 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원격

유형이 592.4만 원으로 가장 낮은 소비지출 규모를 보임.

(19)

11

구분 사례 수 가구 총지출(N=664) 농어업 경영비(N=449) 전 체 (664) 1,355.42 651.45 유형 근교 (222) 1,603.60 546.15 일반 (170) 1,264.71 768.91 원격 (92) 565.22 529.41 어촌 (180) 1,538.89 712.12

<표 2-10> 작년 소비지출 규모

단위: 만 원

1.9. 5년 전 대비 현재의 소비지출 규모

문9-1. 5년 전과 비교했을 때 소비지출 규모는 어떻게 변했습니까?

○ 5년 전과 현재의 소비지출 규모에 대해 살펴본 결과, ‘감소’라는 응답이

16.6%(크게 감소: 3.2% +

소폭 감소: 13.4%), ‘증가’라는 응답이

27.1%(크게

증가: 5.0% +

소폭 증가: 22.1%)로 대체로 증가했다는 의견이 더 높게 나타

남. ‘큰 변화가 없다’는 55.1%임.

○ 유형별로 살펴보면,

근교,

일반,

원격,

어촌 유형 모두 5년 전과 비교해서

소비지출 규모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구분 사례 수 크게 감소하였다 소폭 감소하였다 큰 변화가 없다 소폭 증가하였다 크게 증가하였다 잘 모르겠다 전 체 (664) 3.2 13.4 55.1 22.1 5.0 1.2 유형 근교 (222) 4.5 15.8 49.5 19.4 8.6 2.3 일반 (170) 0.6 11.8 69.4 14.1 3.5 0.6 원격 (92) 6.5 15.2 39.1 32.6 6.5 0.0 어촌 (180) 2.2 11.1 56.7 27.8 1.1 1.1

<표 2-11> 5년 전 대비 소비지출 규모 변화

단위: %

(20)

12

1.10. 소비활동 중 가장 크게 차지하는 항목

문9-2. 귀댁의 소비활동 중에서 가장 크게 차지하는 항목은 무엇입니

까? 순서대로 3가지를 선택해 주십시오.

소비활동 중 가장 크게 차지하는 항목에 대해 살펴본 결과(1+2+3순위 중복

응답 합

100%

초과 기준), ‘생활비’라는 응답이

92.5%로 가장 높았고, ‘주거

비’라는 응답이 85.4%로 그다음으로 높게 나타남. 1순위 기준으로도 생활

비가 가장 높았음.

그다음으로, ‘의료비’가 72.3%, ‘교통/통신비’가

20.0%, ‘문화/여가’가 11.9%,

‘교육비’가

11.6%, ‘부채 상환’이

3.3%, ‘기부/헌금’이

0.8%

순으로 나타남.

유형별로 살펴보면, ‘생활비’는 근교,

일반,

어촌 유형이 높고, ‘주거비’는 원

격 유형이 상대적으로 높음.

구분 사례 수 생활비 주거비 의료비 교통/ 통신비 문화/ 여가 교육비 부채 상환 기부/ 헌금 전 체 (664) 92.5 85.4 72.3 20.0 11.9 11.6 3.3 0.8 유형 근교 (222) 91.9 73.0 64.4 35.1 12.6 12.2 5.4 1.8 일반 (170) 98.2 90.0 79.4 11.8 4.1 11.8 2.4 0.0 원격 (92) 85.9 96.7 77.2 8.7 19.6 9.8 1.1 1.1 어촌 (180) 91.1 90.6 72.8 15.0 14.4 11.7 2.8 0.0

<표 2-12> 소비지출 중 가장 크게 차지하는 항목

단위: 1+2+3순위 %

(21)

13

1.11. 소비활동을 하기 위한 주 방문지

문10. 귀댁은 소비활동을 위해 주로 어디를 방문하십니까?

소비활동을 하기 위한 주 방문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해당 면소재지’라는

응답이

38.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해당 읍소재지’가 29.8%,

‘해당 마을 및 인근 마을’이

9.5%, ‘인근 면소재지’가 8.3%, ‘인근 중소도시’

가 7.2%, ‘서울,

부산 등 대도시’가 6.8%

순으로 나타남.

유형별로 살펴보면, ‘해당 면소재지’는 근교,

어촌 유형이 높은 편이고, ‘해

당 읍소재지’는 일반,

원격 유형이 상대적으로 높음.

구분 사례 수 해당 면소재지 해당 읍소재지 해당 마을 및 인근 마을 인근 면소재지 인근 중소도시 서울, 부산 등 대도시 전 체 (664) 38.4 29.8 9.5 8.3 7.2 6.8 유형 근교 (222) 43.7 8.6 23.4 7.2 6.8 10.4 일반 (170) 28.8 35.3 0.0 12.4 13.5 10.0 원격 (92) 2.2 71.7 6.5 10.9 4.3 4.3 어촌 (180) 59.4 29.4 2.8 4.4 3.3 0.6

<표 2-13> 소비활동을 위한 주 방문지

단위: %

1.12. 거주 지역 소비생활 여건

문11. 귀하가 거주하시는 지역(시·군 차원)에서 소비생활 여건은 과거

에 비해 어떻습니까?

○ 거주 지역 소비생활 여건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과거에는 나빴지만 지금은

좋아졌다’라는 응답이 33.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과거에도

(22)

14

좋았고,

지금도 좋다’가 22.9%, ‘과거에는 좋았지만 지금은 나빠졌다’가

19.4%, ‘잘 모르겠다’가 8.0%

등으로 나타남.

유형별로 살펴보면, ‘과거에는 나빴지만 지금은 좋아졌다’라는 응답은 근교,

일반 유형에서 높고, ‘과거에도 좋았고,

지금도 좋다’라는 응답은 원격 유형

에서 높은 편.

구분 사례 수 과거에는 나빴지만 지금은 좋아졌다 과거에도 좋았고, 지금도 좋다 과거에는 좋았지만 지금은 나빠졌다 과거에도 나빴고, 지금도 나쁘다 잘 모르겠다 전 체 (664) 33.4 22.9 19.4 16.3 8.0 유형 근교 (222) 53.6 9.5 7.7 14.0 15.3 일반 (170) 32.4 20.6 8.2 34.1 4.7 원격 (92) 4.3 55.4 28.3 9.8 2.2 어촌 (180) 24.4 25.0 40.0 5.6 5.0

<표 2-14> 거주 지역의 소비활동 여건 변화

단위: %

2.

농어업 활동 특성

2.1. 5년 전과 현재의 영농(어장)면적 변화

문13. 5년 전과 비교했을 때 귀댁의 영농(어장)면적은 어떻게 변화했습

니까? ※ 만일 농업활동 종사기간이 5년 미만이라면 Q14문항으

로 가서 응답해주십시오.

○ 5년 전과 현재의 영농(어장)면적 변화에 대해 살펴본 결과, ‘감소’라는 응답

11.4%(크게 감소: 4.1% +

소폭 감소: 7.3%), ‘증가’라는 응답이 5.1%(크

게 증가: 0.5% +

소폭 증가: 4.6%)로 대체로 감소했다는 의견이 더 높게 나

(23)

15

타남. ‘큰 변화가 없다’는 82.9%임.

유형별로 살펴보면,

일반,

원격,

어촌 유형 모두

5년 전과 비교해서 영농(어

장)면적 규모가 감소했고,

근교 유형은 영농(어장)면적 규모가 소폭 증가한

것으로 판단됨.

구분 사례 수 크게 감소하였다 소폭 감소하였다 큰 변화가 없다 소폭 증가하였다 크게 증가하였다 잘 모르겠다 전 체 (439) 4.1 7.3 82.9 4.6 0.5 0.7 유형 근교 (122) 1.6 4.9 82.8 9.0 0.0 1.6 일반 (119) 3.4 3.4 92.4 0.0 0.0 0.8 원격 (68) 10.3 13.2 70.6 5.9 0.0 0.0 어촌 (130) 3.8 10.0 80.8 3.8 1.5 0.0

<표 2-15> 5년 전 대비 영농(어장)면적 변화

단위: %

2.2. 향후 농어업 활동 규모 확대 의사

문14. 귀댁은 향후 농어업 활동의 규모를 확대할 의사가 있습니까?

○ 향후 농어업 활동 규모 확대 의사에 대해 살펴본 결과, ‘현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라는 응답이 71.0%로 가장 높게 나타남.

그다음으로

‘현재보다 축소

할 것이다’가

10.2%, ‘모두 그만두고 싶다’가

8.6%, ‘확대/발전시키고 싶다’

가 4.3%

순으로 나타남.

○ 유형별로 살펴보면, ‘현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라는 응답은 일반 유형에서

높고, ‘현재보다 축소할 것이다’라는 응답은 원격 유형에서 상대적으로 높

게 나타남.

(24)

16

구분 사례 수 확대/발전시키고 싶다 현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현재보다 축소할 것이다 모두 그만두고 싶다 잘 모르겠다 전 체 (441) 4.3 71.0 10.2 8.6 5.9 유형 근교 (124) 7.3 60.5 8.1 9.7 14.5 일반 (119) 2.5 79.0 6.7 7.6 4.2 원격 (68) 0.0 67.6 19.1 11.8 1.5 어촌 (130) 5.4 75.4 10.8 6.9 1.5

<표 2-16> 향후 농어업 규모 확대 의사

단위: %

2.3. 농어업 후계자 유무

문15. 귀댁은 향후 농어업 활동을 이어받을 후계자가 있습니까?

농어업 후계자 유무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있다’라는 응답이

9.8%, ‘없다’라

는 응답이 90.2%로 대부분 농어업 후계자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구분 사례 수 있다 없다 전 체 (441) 9.8 90.2 유형 근교 (124) 12.1 87.9 일반 (119) 11.8 88.2 원격 (68) 1.5 98.5 어촌 (130) 10.0 90.0

<표 2-17> 농어업 후계자 유무

단위: %

(25)

17

2.4. 은퇴 시 농지 계획

문16. 향후 영농 은퇴 시 귀댁의 농지는 어떻게 할 계획이십니까?

○ 은퇴 시 농지 계획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구체적 계획 없다’라는 응답이

45.4%로 가장 높게 나타남.

그다음으로 ‘자식 상속’이 27.0%, ‘다른 사람

빌려줌/영농 대행’이 15.0%, ‘자식이 계속 농사를 짓게 함’이 6.3%, ‘다른

사람에게 판매’가 6.1%, ‘현재 농지 임차’가 0.2%

순으로 나타남.

유형별로 살펴보면, ‘구체적 계획 없다’라는 응답은 원격 유형에서 높은 편.

구분 사례 수 구체적 계획 없다 자식 상속 다른 사람 빌려줌/영농 대행 자식 계속 농사를 짓게 함 다른 사람에게 판매 현재 농지 임차 전 체 (441) 45.4 27.0 15.0 6.3 6.1 0.2 유형 근교 (124) 37.1 30.6 20.2 7.3 4.8 0.0 일반 (119) 43.7 30.3 10.1 5.9 9.2 0.8 원격 (68) 58.8 16.2 11.8 2.9 10.3 0.0 어촌 (130) 47.7 26.2 16.2 7.7 2.3 0.0

<표 2-18> 은퇴 시 농지 활용 계획

단위: %

2.5. 농사 방법

문17. 귀댁은 농사를 주로 어떻게 짓고 있습니까?

농사 방법에 대해 살펴본 결과, ‘주로 가족들과 함께 직접 짓는다’라는 응답

이 88.9%로 대부분을 차지함.

그다음으로

‘마을 공동영농/어촌계 등에 소속

(26)

18

하여 공동으로 짓는다’가 9.5%, ‘농업회사법인,

영농조합법인 등에 위탁하

여 짓는다’가 0.9%, ‘혼자 짓는다’가 0.7%

순으로 나타남.

유형별로 살펴보면, ‘주로 가족들과 함께 직접 짓는다’라는 응답은 근교,

반 원격에서 높고, ‘마을 공동영농/어촌계 등에 소속하여 공동으로 짓는다’

라는 응답은 어촌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구분 사례 수 주로 가족들과 함께 직접 짓는다 마을 공동영농/ 어촌계 등에 소속하여 공동으로 짓는다 농업회사법인, 영농조합법인 등에 위탁하여 짓는다 혼자 짓는다 전 체 (441) 88.9 9.5 0.9 0.7 유형 근교 (124) 98.4 0.0 1.6 0.0 일반 (119) 97.5 0.0 0.8 1.7 원격 (68) 98.5 1.5 0.0 0.0 어촌 (130) 66.9 31.5 0.8 0.8

<표 2-19> 영농(영어) 방식

단위: %

2.6. 6차산업 수행 여부

문18. 귀댁에서는 농어업과 연계된 다른 경제활동(6차산업)을 수행하

십니까? 아래 해당 항목에 체크해주십시오.

농어업과 연계된 다른 경제활동(6차산업)

수행 여부에 대해 살펴본 결과,

복응답 기준으로 ‘농수산특산물 가공품 생산’은

1.4%, ‘농수특산물 직접 판

매’는 26.5%, ‘농어촌 관광’은 9.8%로 나타남.

(27)

19

농수특산물 가공품 생산 수행하지 않는다 수행한다 1.4 1.4 26.5 26.5 9.8 9.8 0.0 0.0 98.6 98.6 80.0 80.0 90.5 90.5 100.0 100.0 (단위: 중복응답 % n=441) 농수특산물 직접 판매 농어촌 관광 기타

<그림 2-1> 6차산업 수행 여부

2.7. 6차산업 활동의 소득 증진 도움 정도

문19-1. (참여하시는 경우) 해당 경제활동이 귀댁의 소득 증진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십니까?

○ 다른 경제활동(6차산업)에 참여(n=123)하는 경우,

소득 증진 도움 정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도움’이라는 응답이

82.9%(큰 도움: 15.4% +

약간 도움:

67.5%), ‘도움 안 됨’이라는 응답이

3.3%(전혀 도움 안 됨: 0.0% +

별로 도

움 안 됨: 3.3%)로 대체로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남. ‘보통이다’는

13.8%임.

유형별로 살펴보면, ‘약간 도움이 된다’라는 응답은 근교,

일반,

어촌 유형에

서 높은 편.

(28)

20

구분 사례 수 큰 도움이 된다 약간 도움이 된다 보통이다 도움이 별로 되지 않는다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잘 모르겠다 전 체 (123) 15.4 67.5 13.8 3.3 0.0 0.0 유형 근교 (4) 0.0 100.0 0.0 0.0 0.0 0.0 일반 (23) 4.3 78.3 13.0 4.3 0.0 0.0 원격 (28) 10.7 50.0 32.1 7.1 0.0 0.0 어촌 (68) 22.1 69.1 7.4 1.5 0.0 0.0

<표 2-20> 6차산업 활동의 소득 증진 도움 정도

단위: %

2.8. 6차산업 경제활동 참여 및 운영 의사

문19-2. (참여하지 않는 경우) 귀댁은 향후 위와 같은 경제활동에 참여

하거나 운영할 의사가 있습니까?

○ 다른 경제활동(6차산업)에 참여하지 않는(n=318)

경우,

경제활동 참여 및

운영 의사에 대해 살펴본 결과, ‘그렇다’라는 응답이 16.0%(매우 그렇다:

0.9% +

그렇다: 15.1%), ‘아니다’라는 응답이

61.4%(전혀 아니다: 38.4% +

아니다: 23.0%)로 대체로 다른 경제활동(6차산업)에 참여하거나 운영할 의

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됨.

○ 유형별로 살펴보면, ‘전혀 아니다’라는 응답은 어촌 유형에서 높은 편.

구분 사례 수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잘 모르겠다 전 체 (318) 0.9 15.1 12.6 23.0 38.4 10.1 유형 근교 (120) 0.8 12.5 7.5 29.2 42.5 7.5 일반 (96) 1.0 15.6 18.8 24.0 28.1 12.5 원격 (40) 2.5 30.0 12.5 20.0 32.5 2.5 어촌 (62) 0.0 9.7 12.9 11.3 50.0 16.1

<표 2-21> 6차산업 참여 및 운영 의사

단위: %

(29)

21

2.9. 농업 관련 다른 경제활동 수행 의사

문19-3. 귀댁에서는 농업 관련 다른 경제활동을 수행하고 싶으십니까?

농업 관련 다른 경제활동 수행 의사에 대해 살펴본 결과, ‘없다’라는 응답이

59.0%로 가장 높게 나타남.

그다음으로 ‘직거래 및 직판장 운영’이

25.6%,

‘농어가 민박 및 음식점 운영’이 7.3%, ‘농수특산물 가공품 생산’이 5.4%,

‘농어촌 체험프로그램 운영’이 2.3%, ‘블루베리 농사’가 0.2%, ‘낚시터 영업’

이 0.2%

순으로 나타남.

○ 유형별로 살펴보면, ‘없다’라는 응답은 근교,

어촌 유형에서 높고, ‘직거래

및 직판장 운영’이라는 응답은 원격,

일반 유형에서 상대적으로 높음.

구분 사례 수 없다 직거래 및 직판장 운영 농어가 민박 및 음식점 운영 농수특산물 가공품 생산 농어촌 체험프로그램 운영 블루베리 농사 낚시터 영업 전 체 (441) 59.0 25.6 7.3 5.4 2.3 0.2 0.2 유형 근교 (124) 82.3 10.5 2.4 1.6 3.2 0.0 0.0 일반 (119) 52.1 40.3 0.0 6.7 0.8 0.0 0.0 원격 (68) 4.4 51.5 26.5 13.2 4.4 0.0 0.0 어촌 (130) 71.5 13.1 8.5 3.8 1.5 0.8 0.8

<표 2-22> 별도 경제활동 수행 의사

단위: %

(30)

22

2.10. 다른 경제활동 수행 방식

문19-4. (의사가 있는 경우) 어떤 방식으로 수행하시고 싶으십니까?

다른 경제활동(6차산업)에 참여 의사가 있는 경우(n=181)

다른 경제활동 수

행 방식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정부지원사업에 참여하여 마을 공동으로 수

행’이라는 응답이 42.0%로 가장 높게 나타남.

그다음으로 ‘개별적 수행’이

27.6%, ‘영농회사법인/어촌계 등 조직에 참여’가 17.1%, ‘농수축협조직 참

여’가

7.2%, ‘정부지원 없이 마을 공동으로 수행’이

5.5%, ‘없음’이

0.6%

으로 나타남.

○ 유형별로 살펴보면, ‘정부지원사업에 참여하여 마을 공동으로 수행’이라는

응답은 일반 유형에서 높고, ‘개별적 수행’이라는 응답은 어촌 유형에서 상

대적으로 높음.

구분 사례 수 정부지원 사업에 참여하여 마을 공동 수행 개별적 수행 영농회사법인/어 촌계 등 조직에 참여 농수축협 조직 참여 정부지원 없이 마을 공동으로 수행 없음 전 체 (181) 42.0 27.6 17.1 7.2 5.5 0.6 유형 근교 (22) 45.5 31.8 13.6 4.5 4.5 0.0 일반 (57) 49.1 29.8 15.8 3.5 1.8 0.0 원격 (65) 44.6 20.0 16.9 9.2 7.7 1.5 어촌 (37) 24.3 35.1 21.6 10.8 8.1 0.0

<표 2-23> 다른 경제활동 수행 시 원하는 방식

단위: %

(31)

23

3.

마을경제활동

3.1. 참여경제조직

문20. 귀하가 참여하시는 경제조직을 모두 선택해주십시오.

○ 참여경제조직에 대해 살펴본 결과(중복응답 합 100%

초과 기준), ‘없음/무

응답’이라는 응답이

57.7%로 가장 높았고, ‘어촌계’라는 응답이

16.1%로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남.

그다음으로, ‘지역 농수협’이 13.0%, ‘작목반’이 12.3%, ‘영농/영어조합법인,

농어업 회사법인’이 12.0%, ‘협동조합’이 5.9%, ‘마을기업/마을공동체회사’

4.2%, ‘산림계’가

0.3%, ‘생협’이

0.3%, ‘사회적 기업’이 0.2%

순으로 나

타남.

○ 유형별로 살펴보면, ‘없음/무응답’은 일반 유형에서 높고,

어촌 유형에서는

‘어촌계’가 상대적으로 높음.

구분 사례 수 없음/ 무응답 어촌계 지역 농수협 작목반 영농/영어조합 법인, 농어업 회사법인 협동 조합 마을기업/ 마을공동체 회사 산림계 생협 사회적 기업 전 체 (664) 57.7 16.1 13.0 12.3 12.0 5.9 4.2 0.3 0.3 0.2 유형 근교 (222) 67.6 0.0 25.7 2.7 5.0 9.0 0.0 0.0 0.9 0.0 일반 (170) 76.5 0.0 0.0 21.2 5.3 0.0 0.6 0.0 0.0 0.0 원격 (92) 55.4 0.0 0.0 29.3 23.9 0.0 0.0 0.0 0.0 0.0 어촌 (180) 28.9 59.4 16.1 7.2 21.1 10.6 15.0 1.1 0.0 0.6

<표 2-24> 현재 참여하는 경제조직

단위: 중복응답 %

(32)

24

3.2. 마을활동 여부

문21-1. 귀하가 거주하시는 마을에서 다음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습니까?

○ 마을활동 여부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동생산활동’이 33.9%, ‘마을공동시

설 운영’이 33.1%로 가장 많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다음으로 ‘공동어업

활동’이 25.3%, ‘기타 사회적 경제 관련 사업’이 16.0%, ‘마을 공동 6차산

업’이 10.7%로 나타남.

구분 사례 수 마을공동 시설운영 공동생산 활동 공동어업 활동 마을공동 6차산업 기타 사회적 경제 관련 사업 전 체 (664) 33.1 33.9 25.3 10.7 16.0 유형 근교 (222) 0.5 1.4 0.0 0.5 1.8 일반 (170) 40.0 70.6 0.0 0.0 0.0 원격 (92) 37.0 3.3 0.0 2.2 39.1 어촌 (180) 65.0 55.0 93.3 37.8 36.7

<표 2-25> 마을활동 유무

단위: %

3.3. 마을활동 참여도

문21-1. 귀하가 거주하시는 마을에서 다음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습니

까? 활동이 있다면 귀하는 어느 정도 참여하십니까?

○ 마을활동 참여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동어업활동’이 28.6%, ‘공동생산

활동’이 20.9%로 많이 참여함.

그다음으로

‘기타 사회적 경제 관련 사업’이

14.2%, ‘마을공동 6차산업’이

14.1%, ‘마을공동시설 운영’이

13.2%로 참여함.

(33)

25

<그림 2-2> 마을활동 참여 정도

3.4. 마을 공동경제활동 가정경제 도움 정도

문22. 마을 공동경제활동은 귀하의 가정경제에 얼마나 도움이 되었습

니까?

○ 마을 공동경제활동의 가정경제 도움 정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도움’이라

는 응답은 41.1%(큰 도움: 3.6% +

약간 도움: 37.5%), ‘도움 안 됨’이라는

응답은 22.0%(전혀 도움 안 됨: 4.8% +

별로 도움 안 됨: 17.2%)로 대체로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더 높게 나타남. ‘보통이다’는 18.7%임.

유형별로 살펴보면, ‘약간 도움이 된다’라는 응답은 어촌,

원격 유형에서 높

게 나타남.

(34)

26

구분 사례 수 큰 도움이 된다 약간 도움이 된다 보통이다 도움이 별로 안 된다 전혀 도움이 안 된다 잘 모르겠다 모름/ 무응답 전 체 (664) 3.6 37.5 18.7 17.2 4.8 12.2 6.0 유형 근교 (222) 0.0 27.0 14.4 23.0 7.2 28.4 0.0 일반 (170) 0.6 25.3 21.2 20.0 1.8 7.6 23.5 원격 (92) 3.3 47.8 23.9 17.4 6.5 1.1 0.0 어촌 (180) 11.1 56.7 18.9 7.2 3.9 2.2 0.0

<표 2-26> 마을 공동경제활동의 가정경제 도움 정도

단위: %

3.5. 5년 전 대비 마을 공동경제활동 활성화 정도

문23. 마을의 공동경제활동이 과거 5년 전에 비해 얼마나 활성화되었다

고 생각하십니까?

○ 5년 전에 비해 활성화 정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활발’이라는 응답은

27.7%

(5년 전에 비해 활발: 8.9% + 5년 전과 변함없이 활발: 18.8%), ‘저조’라는

응답은

40.9%(5년 전에 비해 침체: 11.4% + 5년 전과 변함없이 저조:

29.5%)로 대체로 활성화 정도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남.

유형별로 살펴보면, ‘5년 전과 변함없이 저조’라는 응답은 원격 유형에서 높

고, ‘5년 전과 변함없이 활발’이라는 응답은 어촌 유형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구분 사례 수 5년 전에 비해 활발 5년 전과 변함없이 활발 5년 전과 변함없이 저조 5년 전에 비해 침체 잘 모르겠다 모름/ 무응답 전 체 (664) 8.9 18.8 29.5 11.4 25.3 6.0 유형 근교 (222) 5.4 4.5 27.5 9.9 52.7 0.0 일반 (170) 4.1 21.8 30.6 9.4 10.6 23.5 원격 (92) 18.5 16.3 35.9 12.0 17.4 0.0 어촌 (180) 12.8 35.0 27.8 15.0 9.4 0.0

<표 2-27> 5년 전 대비 마을 경제활동 활성화 정도

단위: %

(35)

27

3.6. 마을 공동경제활동 마을발전 도움 정도

문24. 귀하는 마을의 공동경제활동이 마을의 발전에 얼마나 도움이 된

다고 생각하십니까?

○ 마을 공동경제활동 마을발전 도움 정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도움’이라는

응답은 48.6%(큰 도움: 4.8% +

약간 도움: 43.8%), ‘도움 안 됨’이라는 응답

12.7%(전혀 도움 안 됨: 1.7% +

별로 도움 안 됨: 11.0%)로 대체로 마을

발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남. ‘보통이다’는 20.0%임.

유형별로 살펴보면, ‘약간 도움이 된다’라는 응답은 원격,

어촌 유형에서 높

게 나타남.

구분 사례 수 크게 도움이 된다 약간 도움이 된다 보통이다 도움이 별로 안 된다 전혀 도움이 안 된다 잘 모르겠다 모름/ 무응답 전 체 (664) 4.8 43.8 20.0 11.0 1.7 12.7 6.0 유형 근교 (222) 2.3 32.9 18.0 15.3 2.7 28.8 0.0 일반 (170) 1.2 32.4 21.2 16.5 0.0 5.3 23.5 원격 (92) 5.4 57.6 29.3 4.3 2.2 1.1 0.0 어촌 (180) 11.1 61.1 16.7 3.9 1.7 5.6 0.0

<표 2-28> 마을 경제활동이 마을발전에 도움 정도

단위: %

3.7. 마을 공동경제활동 마을발전의 긍정적 영향

문25. 마을의 공동경제활동이 마을에 도움이 되었다면, 다음 항목은 각

각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까?

마을 공동경제활동 마을발전의 긍정적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모든 평균

이 보통인 3.0

이상으로 나타나 마을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36)

28

판단됨.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마을 주민 사이의 교류 증대와 관계 회복’이

3.66점, ‘마을 소득 증진과 일자리 창출’이 3.56점, ‘마을의 생활환경이 개선

됨’이

3.54점, ‘마을 노인과 저소득가구 등의 복지 혜택 증가’가

3.47점, ‘마

을 농수산물의 판로 개척’이 3.46점, ‘마을 브랜드 가치 향상 혹은 홍보 효

과’가

3.45점, ‘마을에 살러 온 귀농어·귀촌인이 증가함’이

3.34점으로 보통

보다 높은 편임.

마을 주민 사이의 교류 증대와 관계 회복 긍정(매우+대체로) 마을에 살러 온 귀농어·귀촌인이 증가함 마을브랜드 가치 향상 혹은 홍보 효과 마을 농수산물의 판로 개척 마을 노인과 저소득가구 등의 복지 혜택 증가 마을의 생활환경이 개선됨 마을 소득 증진과 일자리 창출 보통 부정(매우+대체로) 무응답 (단위: % n=664) 57.7 3.34점 3.56점 3.54점 3.47점 3.46점 3.45점 3.66점 58.4 41.1 49.5 47.7 47.1 51.2 25.6 22.4 32.7 29.5 33.3 30.9 29.8 10.16.6 6.6 6.6 6.6 6.6 6.6 6.6 12.5 19.6 14.3 12.3 15.4 12.3 평균

<그림 2-3> 마을 공동경제활동의 긍정적 영향

3.8. 마을 공동경제활동 마을발전의 부정적 영향

문26. 마을의 공동경제활동이 마을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면, 다음 항목

은 각각 얼마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까?

마을 공동경제활동 마을발전의 부정적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모든 평균

(37)

29

이 보통인 3.0

미만으로 나타나 마을발전에 부정적 영향을 많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됨.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정부지원사업이 종료된 이후에 사업

유지가 어려움’이

2.43점, ‘판로 확대나 고객 확보가 어려움’이 2.42점, ‘사업

에 참여하거나 운영할 주민이 부족하거나,

경험부족으로 역량이 미달함’이

2.37점, ‘이해관계가 다른 주민 간 합의가 쉽지 않아 갈등이 증폭됨’이

2.25

점, ‘판매하려는 품목이나 종목 선정이 잘못되었음’이 2.21점, ‘마을 주민 간

수익이 불공정하게 분배됨’이 2.21점, ‘매출과 수익이 없거나,

오히려 손해가

발생함’이 2.17점으로 보통보다 낮은 편임.

정부지원사업이 종료된 이후에, 사업 유지가 어려움 긍정(매우+대체로) 매출과 수익이 없거나, 오히려 손해가 발생함 마을 주민 간 수익이 불공정하게 분배됨 판매하려는 품목이나 종목 선정이 잘못되었음 이해관계가 다른 주민 간 합의가 쉽지 않아 갈등이 증폭됨 사업에 참여하거나 운영할 주민이 부족하거나, 경험 부족으로 역량이 미달함 판로 확대나 고객 확보가 어려움 보통 부정(매우+대체로) 무응답 (단위: % n=664) 10.2 2.17점 2.42점 2.37점 2.25점 2.21점 2.21점 2.43점 10.5 4.2 4.7 4.1 7.1 8.4 26.5 24.2 27.3 25.8 27.7 18.1 28.8 56.8 6.5 6.5 6.5 6.5 6.5 6.5 6.5 58.7 62.0 63.1 61.7 68.4 56.3 평균

<그림 2-4> 마을 공동경제활동의 부정적 영향

(38)
(39)

3

통계표

구분 사례 수 비율 전 체 664 100.0% 거주 지역 문호4리 47 7.1% 정배1리 58 8.7% 석포1리 27 4.1% 다개리 45 6.8% 신화리 45 6.8% 추양1리 23 3.5% 신암1리 45 6.8% 청서리 22 3.3% 월평리 22 3.3% 송전리 45 6.8% 식송리 25 3.8% 승언8리 40 6.0% 중장5리 25 3.8% 시방리 50 7.5% 백미리 34 5.1% 동호리 31 4.7% 증촌마을 20 3.0% 야화2리 20 3.0% 송국2리 20 3.0% 대양2리 20 3.0%

<표 3-1> 응답자 특성표

(40)

32

구분 사례 수 비율 성별 남성 316 47.6% 여성 348 52.4% 연령 30대 이하 12 1.8% 40대 43 6.5% 50대 135 20.3% 60대 172 25.9% 70대 이상 302 45.5% 거주기간 10년 이하 108 16.3% 11~20년 55 8.3% 21~30년 45 6.8% 31~40년 60 9.0% 41~50년 91 13.7% 51~60년 126 19.0% 61년 이상 179 27.0% 귀농귀촌 여부 귀농 44 6.6% 귀어 12 1.8% 귀촌 102 15.4% 토박이 505 76.1% 기타 1 0.2% 가구원 수 1인 230 34.6% 2인 299 45.0% 3인 63 9.5% 4인 이상 72 10.8% 주요 경제활동 농림어업 394 59.3% 농림어업 관련 2 0.3% 자영업 95 14.3% 사무/경영/관리 26 3.9% 생산/기능/노무 21 3.2% 판매/영업/서비스 15 2.3% 전문/기술 5 0.8% 자유직 1 0.2% 주부/학생/무직 105 15.8%

(계속)

(41)

33

구분 사례 수 농어업종사 안 함 밭농업 (노지) 쌀농업 마을어업 연근해 축산업 시설원예 농업 양식업 임업 전 체 (1,344) 43.8 43.2 37.6 8.0 6.8 6.4 2.8 1.2 0.6 거주지역 문호4리 (107) 75.7 19.6 2.8 1.9 0.0 1.9 1.9 0.0 0.0 정배1리 (145) 70.3 25.5 21.4 0.0 0.0 3.4 2.8 0.0 0.0 석포1리 (56) 44.6 55.4 35.7 0.0 0.0 3.6 0.0 0.0 0.0 다개리 (112) 41.1 49.1 54.5 0.0 0.0 29.5 0.9 0.0 0.0 신화리 (67) 19.4 67.2 65.7 0.0 0.0 32.8 0.0 0.0 0.0 추양1리 (55) 54.5 34.5 38.2 0.0 0.0 3.6 0.0 0.0 1.8 신암1리 (89) 37.1 46.1 55.1 0.0 0.0 12.4 11.2 0.0 2.2 청서리 (33) 3.0 42.4 97.0 0.0 0.0 15.2 0.0 0.0 0.0 월평리 (42) 31.0 64.3 45.2 0.0 0.0 0.0 0.0 0.0 2.4 송전리 (71) 29.6 67.6 52.1 0.0 0.0 0.0 7.0 0.0 2.8 식송리 (48) 39.6 60.4 47.9 0.0 0.0 4.2 27.1 0.0 0.0 승언8리 (99) 62.6 6.1 4.0 26.3 25.3 0.0 0.0 0.0 0.0 중장5리 (50) 22.0 20.0 16.0 68.0 34.0 0.0 0.0 4.0 0.0 시방리 (75) 33.3 42.7 0.0 8.0 29.3 0.0 0.0 13.3 0.0 백미리 (69) 27.5 59.4 62.3 53.6 0.0 0.0 2.9 2.9 0.0 동호리 (58) 13.8 67.2 58.6 5.2 48.3 3.4 0.0 3.4 0.0 증촌마을 (37) 37.8 62.2 48.6 0.0 0.0 0.0 0.0 0.0 0.0 야화2리 (50) 42.0 58.0 58.0 0.0 0.0 0.0 0.0 0.0 0.0 송국2리 (41) 65.9 26.8 29.3 0.0 0.0 0.0 0.0 0.0 4.9 대양2리 (40) 45.0 55.0 42.5 0.0 0.0 0.0 0.0 0.0 0.0 성별 남성 (716) 39.8 44.6 39.2 9.1 10.8 6.3 3.4 1.7 0.7 여성 (628) 48.4 41.6 35.7 6.8 2.4 6.5 2.1 0.6 0.5 연령 30대 이하 (40) 77.5 10.0 17.5 7.5 5.0 0.0 0.0 0.0 0.0 40대 (144) 73.6 20.8 18.8 1.4 4.2 2.8 4.2 0.0 0.7 50대 (335) 53.7 32.2 26.9 9.0 12.2 6.9 3.6 1.8 0.9 60대 (345) 35.7 49.3 41.2 11.3 7.0 8.4 2.3 1.7 0.6 70대 이상 (480) 31.0 55.8 49.8 7.1 4.0 6.3 2.3 0.8 0.4

<표 3-2> 가구원 농어업 유형

(42)

34

구분 사례 수 농어업종사 안 함 밭농업 (노지) 쌀농업 마을어업 연근해 축산업 시설원예 농업 양식업 임업 거주기간 10년 이하 (238) 76.5 14.7 8.8 2.5 1.7 2.5 4.6 0.8 1.3 11~20년 (142) 63.4 26.8 20.4 4.2 4.9 2.8 2.8 1.4 2.1 21~30년 (101) 47.5 38.6 31.7 9.9 7.9 4.0 2.0 2.0 2.0 31~40년 (127) 38.6 43.3 49.6 14.2 3.1 9.4 6.3 0.0 0.0 41~50년 (164) 34.1 57.3 46.3 6.7 6.1 4.9 1.2 0.0 0.0 51~60년 (235) 34.5 52.8 44.3 6.8 12.3 5.5 3.0 0.9 0.0 61년 이상 (337) 24.6 57.9 53.4 12.2 8.9 11.6 0.9 2.4 0.0 귀농귀촌 여부 귀농 (96) 29.2 54.2 32.3 6.3 0.0 6.3 11.5 0.0 5.2 귀어 (25) 64.0 8.0 0.0 16.0 16.0 0.0 0.0 16.0 0.0 귀촌 (224) 88.4 8.0 4.0 1.3 1.3 0.9 1.8 0.0 0.0 토박이 (997) 34.6 51.0 46.6 9.5 8.5 7.8 2.2 1.2 0.3 기타 (2) 100.0 0.0 0.0 0.0 0.0 0.0 0.0 0.0 0.0 가구원 수 1인 (230) 43.5 41.7 32.6 5.7 3.0 2.6 0.9 0.0 0.0 2인 (598) 31.9 52.7 45.0 10.0 10.2 6.5 4.0 2.3 0.8 3인 (189) 45.0 38.1 36.0 13.8 7.4 13.8 1.1 1.1 0.0 4인 이상 (327) 65.1 29.7 28.4 2.8 3.1 4.6 2.8 0.0 0.9 주요 경제활동 농림어업 (791) 16.3 64.3 58.9 12.5 11.3 10.1 4.2 1.8 0.9 농림어업 관련 (6) 33.3 33.3 33.3 33.3 0.0 0.0 0.0 33.3 0.0 자영업 (237) 78.9 13.9 6.8 3.0 1.3 1.7 0.8 0.0 0.0 사무/경영/관리 (78) 82.1 17.9 10.3 0.0 0.0 2.6 0.0 0.0 0.0 생산/기능/노무 (51) 76.5 21.6 7.8 0.0 0.0 0.0 0.0 0.0 2.0 판매/영업/서비스 (34) 67.6 32.4 26.5 0.0 0.0 0.0 0.0 0.0 0.0 전문/기술 (11) 81.8 0.0 0.0 0.0 0.0 0.0 18.2 0.0 0.0 자유직 (2) 100.0 0.0 0.0 0.0 0.0 0.0 0.0 0.0 0.0 주부/학생/무직 (134) 100.0 0.0 0.0 0.0 0.0 0.0 0.0 0.0 0.0

(계속)

(43)

35

구분 사례 수 거주 행정리 내 거주 면 내 거주 시/군 내 별도 시/군 전 체 (755) 160.0 27.0 2.4 0.3 거주지역 문호4리 (26) 115.4 0.0 0.0 0.0 정배1리 (43) 179.1 0.0 0.0 0.0 석포1리 (31) 171.0 0.0 0.0 0.0 다개리 (66) 225.8 0.0 0.0 1.5 신화리 (54) 205.6 0.0 0.0 0.0 추양1리 (25) 148.0 20.0 0.0 4.0 신암1리 (56) 75.0 126.8 0.0 0.0 청서리 (32) 159.4 0.0 0.0 0.0 월평리 (29) 162.1 0.0 0.0 0.0 송전리 (50) 184.0 0.0 0.0 0.0 식송리 (29) 231.0 0.0 0.0 0.0 승언8리 (37) 164.9 0.0 0.0 0.0 중장5리 (39) 182.1 0.0 0.0 0.0 시방리 (50) 140.0 0.0 0.0 0.0 백미리 (50) 250.0 0.0 0.0 0.0 동호리 (50) 66.0 150.0 0.0 0.0 증촌마을 (23) 108.7 0.0 69.6 0.0 야화2리 (29) 151.7 41.4 6.9 0.0 송국2리 (14) 121.4 57.1 0.0 0.0 대양2리 (22) 27.3 150.0 0.0 0.0 성별 남성 (431) 155.9 33.9 1.9 0.5 여성 (324) 165.4 17.9 3.1 0.0 연령 30대 이하 (9) 177.8 0.0 0.0 0.0 40대 (38) 171.1 28.9 0.0 0.0 50대 (155) 172.9 28.4 0.0 0.6 60대 (222) 155.0 32.0 1.8 0.5 70대 이상 (331) 155.6 23.6 4.2 0.0

<표 3-3> 가구원 경작지/어장 위치

(44)

36

구분 사례 수 거주 행정리 내 거주 면 내 거주 시/군 내 별도 시/군 거주기간 10년 이하 (56) 137.5 19.6 0.0 0.0 11~20년 (52) 169.2 9.6 0.0 0.0 21~30년 (53) 158.5 24.5 3.8 0.0 31~40년 (78) 174.4 25.6 5.1 0.0 41~50년 (108) 160.2 22.2 3.7 0.0 51~60년 (154) 168.2 22.7 0.0 0.6 61년 이상 (254) 153.9 37.8 3.1 0.4 귀농귀촌여부 귀농 (68) 144.1 16.2 2.9 0.0 귀어 (9) 155.6 0.0 0.0 0.0 귀촌 (26) 115.4 34.6 0.0 0.0 토박이 (652) 163.5 28.2 2.5 0.3 가구원 수 1인 (130) 137.7 11.5 3.1 0.8 2인 (407) 159.5 31.9 2.0 0.0 3인 (104) 169.2 28.8 3.8 0.0 4인 이상 (114) 178.9 25.4 1.8 0.9 주요 경제활동 농림어업 (662) 162.5 30.4 2.7 0.3 농림어업 관련 (4) 200.0 0.0 0.0 0.0 자영업 (50) 130.0 0.0 0.0 0.0 사무/경영/관리 (14) 157.1 14.3 0.0 0.0 생산/기능/노무 (12) 125.0 8.3 0.0 0.0 판매/영업/서비스 (11) 181.8 0.0 0.0 0.0 전문/기술 (2) 100.0 0.0 0.0 0.0

(계속)

(45)

37

구분 사례 수 농어업에만 종사하는 사람 주부/ 학생 자영업 퇴직/ 무직 사무/ 경영/ 관리 생산/ 기능/ 노무직 판매/ 영업/ 서비스 미취학 전문/ 기술직 전 체 (1,344) 47.4 16.7 14.3 8.8 4.8 3.1 2.2 1.9 0.6 거주지역 문호4리 (107) 6.5 24.3 43.0 11.2 5.6 1.9 4.7 0.0 0.9 정배1리 (145) 20.7 34.5 17.9 4.8 3.4 3.4 2.1 8.3 4.1 석포1리 (56) 51.8 19.6 7.1 1.8 12.5 7.1 0.0 0.0 0.0 다개리 (112) 50.9 17.9 2.7 7.1 15.2 2.7 1.8 0.9 0.9 신화리 (67) 73.1 3.0 1.5 10.4 6.0 6.0 0.0 0.0 0.0 추양1리 (55) 40.0 23.6 0.0 14.5 3.6 10.9 1.8 5.5 0.0 신암1리 (89) 62.9 6.7 2.2 20.2 4.5 1.1 1.1 1.1 0.0 청서리 (33) 90.9 0.0 3.0 0.0 3.0 3.0 0.0 0.0 0.0 월평리 (42) 61.9 21.4 4.8 4.8 0.0 7.1 0.0 0.0 0.0 송전리 (71) 60.6 9.9 14.1 14.1 0.0 1.4 0.0 0.0 0.0 식송리 (48) 58.3 27.1 0.0 10.4 0.0 2.1 2.1 0.0 0.0 승언8리 (99) 28.3 15.2 41.4 4.0 7.1 1.0 0.0 3.0 0.0 중장5리 (50) 58.0 6.0 20.0 4.0 4.0 6.0 2.0 0.0 0.0 시방리 (75) 38.7 10.7 38.7 12.0 0.0 0.0 0.0 0.0 0.0 백미리 (69) 62.3 13.0 13.0 4.3 2.9 0.0 1.4 2.9 0.0 동호리 (58) 82.8 12.1 3.4 0.0 0.0 0.0 0.0 1.7 0.0 증촌마을 (37) 59.5 5.4 0.0 10.8 2.7 8.1 13.5 0.0 0.0 야화2리 (50) 50.0 18.0 2.0 10.0 4.0 6.0 10.0 0.0 0.0 송국2리 (41) 34.1 19.5 4.9 19.5 9.8 0.0 7.3 4.9 0.0 대양2리 (40) 55.0 17.5 7.5 12.5 0.0 2.5 2.5 2.5 0.0 성별 남성 (716) 49.7 15.2 15.5 7.3 4.6 3.4 1.5 2.2 0.3 여성 (628) 44.7 18.5 12.9 10.5 4.9 2.9 2.9 1.6 1.0 연령 30대 이하 (40) 17.5 15.0 20.0 5.0 7.5 0.0 2.5 30.0 2.5 40대 (144) 18.8 39.6 13.9 3.5 9.0 3.5 2.8 7.6 1.4 50대 (335) 34.0 21.2 20.3 6.0 7.8 5.4 3.3 0.9 0.9 60대 (345) 52.8 10.4 18.3 6.7 5.2 3.2 3.2 0.0 0.0 70대 이상 (480) 64.0 11.5 6.9 14.2 0.8 1.7 0.4 0.0 0.4

<표 3-4> 가구원의 농어업 외 경제활동 유형

(46)

38

구분 사례 수 농어업에만 종사하는 사람 주부/ 학생 자영업 퇴직/ 무직 사무/ 경영/ 관리 생산/ 기능/ 노무직 판매/ 영업/ 서비스 미취학 전문/ 기술직 거주기간 10년 이하 (238) 18.1 27.7 24.4 8.8 6.7 4.2 2.9 5.5 1.7 11~20년 (142) 28.9 29.6 16.9 7.7 6.3 1.4 3.5 2.8 1.4 21~30년 (101) 46.5 15.8 19.8 4.0 5.0 3.0 2.0 3.0 1.0 31~40년 (127) 52.0 11.0 10.2 11.8 3.9 4.7 3.9 1.6 0.8 41~50년 (164) 55.5 12.8 11.0 9.8 5.5 2.4 1.8 1.2 0.0 51~60년 (235) 53.2 15.7 10.2 10.6 3.0 3.8 2.1 0.9 0.0 61년 이상 (337) 66.5 8.6 10.4 7.7 3.9 2.4 0.6 0.0 0.0 귀농귀촌 여부 귀농 (96) 56.3 9.4 12.5 7.3 1.0 5.2 2.1 6.3 0.0 귀어 (25) 32.0 28.0 20.0 4.0 4.0 8.0 0.0 4.0 0.0 귀촌 (224) 7.1 30.8 31.3 10.7 8.5 1.8 4.0 3.1 2.2 토박이 (997) 56.1 13.9 10.4 8.6 4.3 3.1 1.8 1.2 0.3 기타 (2) 0.0 50.0 50.0 0.0 0.0 0.0 0.0 0.0 0.0 가구원 수 1인 (230) 53.0 11.7 8.7 21.3 0.4 2.6 2.2 0.0 0.0 2인 (598) 59.4 11.2 15.6 5.9 2.3 3.3 1.3 0.0 0.8 3인 (189) 39.2 15.3 19.0 7.9 9.0 3.2 4.2 0.5 1.1 4인 이상 (327) 26.3 31.2 13.1 5.8 9.8 3.1 2.4 7.6 0.3 주요 경제활동 농림어업 (791) 75.6 7.6 5.8 2.7 3.0 1.9 1.5 1.6 0.1 농림어업 관련 (6) 0.0 0.0 66.7 0.0 0.0 0.0 0.0 33.3 0.0 자영업 (237) 5.9 23.6 59.1 4.6 2.1 0.4 0.4 2.5 1.3 사무/경영/관리 (78) 14.1 32.1 1.3 2.6 39.7 2.6 1.3 5.1 0.0 생산/기능/노무 (51) 11.8 29.4 0.0 7.8 3.9 45.1 0.0 2.0 0.0 판매/영업/서비스 (34) 20.6 23.5 0.0 8.8 2.9 2.9 41.2 0.0 0.0 전문/기술 (11) 9.1 36.4 9.1 0.0 9.1 0.0 0.0 0.0 36.4 자유직 (2) 0.0 0.0 0.0 0.0 0.0 0.0 50.0 0.0 0.0 주부/학생/무직 (134) 0.0 42.5 0.0 57.5 0.0 0.0 0.0 0.0 0.0

(계속)

(47)

39

구분 사례 수 고용주· 자영업 상용직 임금노동 무급가족 종사자 임시직 일용직 계 전 체 (337) 43.9 30.0 13.4 6.8 5.9 100.0 거주지역 문호4리 (62) 61.3 16.1 14.5 4.8 3.2 100.0 정배1리 (45) 55.6 26.7 2.2 6.7 8.9 100.0 석포1리 (15) 26.7 60.0 0.0 13.3 0.0 100.0 다개리 (26) 11.5 80.8 0.0 3.8 3.8 100.0 신화리 (9) 11.1 77.8 0.0 11.1 0.0 100.0 추양1리 (9) 0.0 55.6 0.0 11.1 33.3 100.0 신암1리 (8) 25.0 50.0 0.0 25.0 0.0 100.0 청서리 (3) 33.3 33.3 0.0 33.3 0.0 100.0 월평리 (5) 40.0 0.0 0.0 20.0 40.0 100.0 송전리 (11) 63.6 0.0 27.3 0.0 9.1 100.0 식송리 (2) 0.0 0.0 0.0 50.0 50.0 100.0 승언8리 (49) 49.0 14.3 34.7 0.0 2.0 100.0 중장5리 (16) 43.8 18.8 18.8 18.8 0.0 100.0 시방리 (29) 58.6 0.0 41.4 0.0 0.0 100.0 백미리 (12) 75.0 16.7 0.0 8.3 0.0 100.0 동호리 (2) 100.0 0.0 0.0 0.0 0.0 100.0 증촌마을 (9) 0.0 77.8 0.0 11.1 11.1 100.0 야화2리 (11) 9.1 36.4 0.0 18.2 36.4 100.0 송국2리 (9) 22.2 77.8 0.0 0.0 0.0 100.0 대양2리 (5) 60.0 40.0 0.0 0.0 0.0 100.0 성별 남성 (182) 47.3 23.1 14.3 6.6 8.8 100.0 여성 (155) 40.0 38.1 12.3 7.1 2.6 100.0 연령 30대 이하 (13) 61.5 38.5 0.0 0.0 0.0 100.0 40대 (44) 40.9 45.5 4.5 2.3 6.8 100.0 50대 (126) 41.3 29.4 12.7 7.9 8.7 100.0 60대 (104) 42.3 27.9 19.2 5.8 4.8 100.0 70대 이상 (50) 52.0 20.0 14.0 12.0 2.0 100.0

<표 3-5> 가구원 농어업 외 경제활동 고용 형태

(48)

40

구분 사례 수 고용주· 자영업 상용직 임금노동 무급가족 종사자 임시직 일용직 계 거주기간 10년 이하 (95) 53.7 29.5 7.4 5.3 4.2 100.0 11~20년 (44) 45.5 36.4 11.4 4.5 2.3 100.0 21~30년 (31) 38.7 29.0 25.8 0.0 6.5 100.0 31~40년 (30) 30.0 40.0 13.3 13.3 3.3 100.0 41~50년 (34) 35.3 29.4 17.6 11.8 5.9 100.0 51~60년 (45) 42.2 22.2 11.1 6.7 17.8 100.0 61년 이상 (58) 43.1 27.6 17.2 8.6 3.4 100.0 귀농귀촌 여부 귀농 (20) 40.0 25.0 20.0 10.0 5.0 100.0 귀어 (8) 50.0 25.0 12.5 0.0 12.5 100.0 귀촌 (108) 56.5 27.8 9.3 3.7 2.8 100.0 토박이 (200) 37.0 32.0 15.0 8.5 7.5 100.0 기타 (1) 100.0 0.0 0.0 0.0 0.0 100.0 가구원 수 1인 (32) 62.5 18.8 0.0 3.1 15.6 100.0 2인 (141) 49.6 20.6 17.0 8.5 4.3 100.0 3인 (70) 35.7 34.3 15.7 8.6 5.7 100.0 4인 이상 (94) 35.1 44.7 10.6 4.3 5.3 100.0 주요 경제활동 농림어업 (98) 32.7 34.7 14.3 12.2 6.1 100.0 농림어업 관련 (4) 75.0 0.0 25.0 0.0 0.0 100.0 자영업 (150) 73.3 6.7 20.0 0.0 0.0 100.0 사무/경영/관리 (36) 2.8 75.0 0.0 19.4 2.8 100.0 생산/기능/노무 (25) 0.0 52.0 0.0 12.0 36.0 100.0 판매/영업/서비스 (16) 0.0 68.8 0.0 6.3 25.0 100.0 전문/기술 (6) 16.7 83.3 0.0 0.0 0.0 100.0 자유직 (2) 50.0 50.0 0.0 0.0 0.0 100.0 주부/학생/무직 (0) 0.0 0.0 0.0 0.0 0.0 100.0

(계속)

(49)

41

구분 사례 수 행정리 내 해당 면 내 해당 시/군 내 별도 시/군 계 전 체 (337) 58.8 12.8 17.5 11.0 100.0 거주지역 문호4리 (62) 83.9 1.6 0.0 14.5 100.0 정배1리 (45) 48.9 6.7 6.7 37.8 100.0 석포1리 (15) 53.3 33.3 13.3 0.0 100.0 다개리 (26) 3.8 26.9 69.2 0.0 100.0 신화리 (9) 33.3 0.0 66.7 0.0 100.0 추양1리 (9) 33.3 22.2 44.4 0.0 100.0 신암1리 (8) 0.0 12.5 50.0 37.5 100.0 청서리 (3) 0.0 100.0 0.0 0.0 100.0 월평리 (5) 100.0 0.0 0.0 0.0 100.0 송전리 (11) 90.9 0.0 9.1 0.0 100.0 식송리 (2) 50.0 50.0 0.0 0.0 100.0 승언8리 (49) 87.8 12.2 0.0 0.0 100.0 중장5리 (16) 62.5 31.3 6.3 0.0 100.0 시방리 (29) 100.0 0.0 0.0 0.0 100.0 백미리 (12) 75.0 16.7 0.0 8.3 100.0 동호리 (2) 100.0 0.0 0.0 0.0 100.0 증촌마을 (9) 0.0 0.0 22.2 77.8 100.0 야화2리 (11) 0.0 0.0 100.0 0.0 100.0 송국2리 (9) 0.0 77.8 22.2 0.0 100.0 대양2리 (5) 0.0 0.0 100.0 0.0 100.0 성별 남성 (182) 62.1 10.4 17.6 9.9 100.0 여성 (155) 54.8 15.5 17.4 12.3 100.0 연령 30대 이하 (13) 53.8 7.7 0.0 38.5 100.0 40대 (44) 45.5 27.3 15.9 11.4 100.0 50대 (126) 54.8 12.7 22.2 10.3 100.0 60대 (104) 66.3 8.7 15.4 9.6 100.0 70대 이상 (50) 66.0 10.0 16.0 8.0 100.0

<표 3-6> 가구원 농어업 외 경제활동 직장위치

(50)

42

(계속)

구분 사례 수 행정리 내 해당 면 내 해당 시/군 내 별도 시/군 계 거주기간 10년 이하 (95) 57.9 11.6 7.4 23.2 100.0 11~20년 (44) 72.7 11.4 9.1 6.8 100.0 21~30년 (31) 64.5 12.9 16.1 6.5 100.0 31~40년 (30) 53.3 10.0 30.0 6.7 100.0 41~50년 (34) 58.8 26.5 11.8 2.9 100.0 51~60년 (45) 46.7 11.1 33.3 8.9 100.0 61년 이상 (58) 58.6 10.3 25.9 5.2 100.0 귀농귀촌 여부 귀농 (20) 90.0 0.0 10.0 0.0 100.0 귀어 (8) 87.5 0.0 12.5 0.0 100.0 귀촌 (108) 62.0 12.0 4.6 21.3 100.0 토박이 (200) 53.0 15.0 25.5 6.5 100.0 기타 (1) 0.0 0.0 0.0 100.0 100.0 가구원 수 1인 (32) 78.1 12.5 9.4 0.0 100.0 2인 (141) 66.7 10.6 10.6 12.1 100.0 3인 (70) 52.9 15.7 18.6 12.9 100.0 4인 이상 (94) 44.7 13.8 29.8 11.7 100.0 주요 경제활동 농림어업 (98) 48.0 19.4 23.5 9.2 100.0 농림어업 관련 (4) 100.0 0.0 0.0 0.0 100.0 자영업 (150) 81.3 5.3 5.3 8.0 100.0 사무/경영/관리 (36) 22.2 27.8 33.3 16.7 100.0 생산/기능/노무 (25) 44.0 16.0 36.0 4.0 100.0 판매/영업/서비스 (16) 25.0 6.3 43.8 25.0 100.0 전문/기술 (6) 0.0 16.7 0.0 83.3 100.0 자유직 (2) 100.0 0.0 0.0 0.0 100.0 주부/학생/무직 (0) 0.0 0.0 0.0 0.0 100.0

(51)

43

구분 사례 수 농림어업 주부/ 학생/무직 자영업 사무 경영 관리 생산 기능 노무직 판매 영업 서비스직 전문 기술직 농림어업 관련 경제활동 자유직 전 체 (664) 59.3 15.8 14.3 3.9 3.2 2.3 0.8 0.3 0.2 거주지역 문호4리 (47) 6.4 12.8 59.6 8.5 2.1 6.4 2.1 0.0 2.1 정배1리 (58) 27.6 22.4 31.0 5.2 1.7 5.2 6.9 0.0 0.0 석포1리 (27) 55.6 18.5 7.4 11.1 7.4 0.0 0.0 0.0 0.0 다개리 (45) 57.8 13.3 6.7 13.3 2.2 6.7 0.0 0.0 0.0 신화리 (45) 77.8 15.6 2.2 2.2 2.2 0.0 0.0 0.0 0.0 추양1리 (23) 65.2 8.7 0.0 4.3 21.7 0.0 0.0 0.0 0.0 신암1리 (45) 64.4 28.9 2.2 2.2 2.2 0.0 0.0 0.0 0.0 청서리 (22) 100.0 0.0 0.0 0.0 0.0 0.0 0.0 0.0 0.0 월평리 (22) 77.3 9.1 4.5 0.0 9.1 0.0 0.0 0.0 0.0 송전리 (45) 66.7 22.2 8.9 0.0 2.2 0.0 0.0 0.0 0.0 식송리 (25) 72.0 24.0 0.0 0.0 4.0 0.0 0.0 0.0 0.0 승언8리 (40) 45.0 0.0 50.0 2.5 2.5 0.0 0.0 0.0 0.0 중장5리 (25) 88.0 0.0 8.0 4.0 0.0 0.0 0.0 0.0 0.0 시방리 (50) 58.0 26.0 14.0 0.0 0.0 0.0 0.0 2.0 0.0 백미리 (34) 76.5 14.7 5.9 0.0 0.0 0.0 0.0 2.9 0.0 동호리 (31) 90.3 9.7 0.0 0.0 0.0 0.0 0.0 0.0 0.0 증촌마을 (20) 55.0 15.0 0.0 5.0 10.0 15.0 0.0 0.0 0.0 야화2리 (20) 65.0 15.0 5.0 5.0 5.0 5.0 0.0 0.0 0.0 송국2리 (20) 35.0 35.0 10.0 15.0 0.0 5.0 0.0 0.0 0.0 대양2리 (20) 70.0 5.0 15.0 0.0 5.0 5.0 0.0 0.0 0.0 성별 남성 (316) 66.8 7.9 15.5 2.8 4.1 0.9 0.9 0.6 0.3 여성 (348) 52.6 23.0 13.2 4.9 2.3 3.4 0.6 0.0 0.0 연령 30대 이하 (12) 25.0 0.0 41.7 16.7 0.0 8.3 0.0 8.3 0.0 40대 (43) 37.2 2.3 30.2 16.3 9.3 4.7 0.0 0.0 0.0 50대 (135) 52.6 3.0 25.2 7.4 5.9 4.4 1.5 0.0 0.0 60대 (172) 59.9 12.8 15.7 3.5 2.9 3.5 0.6 0.6 0.6 70대 이상 (302) 66.6 25.8 5.3 0.3 1.3 0.0 0.7 0.0 0.0

<표 3-7> 가구 주요 경제활동

(52)

44

(계속)

구분 사례 수 농림어업 주부/ 학생/무직 자영업 사무 경영 관리 생산 기능 노무직 판매 영업 서비스직 전문 기술직 농림어업 관련 경제활동 자유직 거주기간 10년 이하 (108) 21.3 17.6 37.0 10.2 5.6 5.6 2.8 0.0 0.0 11~20년 (55) 38.2 12.7 27.3 9.1 3.6 5.5 1.8 0.0 1.8 21~30년 (45) 62.2 4.4 22.2 2.2 2.2 4.4 2.2 0.0 0.0 31~40년 (60) 58.3 21.7 8.3 3.3 1.7 5.0 0.0 1.7 0.0 41~50년 (91) 71.4 14.3 6.6 3.3 3.3 1.1 0.0 0.0 0.0 51~60년 (126) 70.6 18.3 6.3 1.6 3.2 0.0 0.0 0.0 0.0 61년 이상 (179) 74.3 15.6 6.1 1.1 2.2 0.0 0.0 0.6 0.0 귀농귀촌 여부 귀농 (44) 70.5 6.8 13.6 0.0 6.8 2.3 0.0 0.0 0.0 귀어 (12) 41.7 16.7 25.0 0.0 16.7 0.0 0.0 0.0 0.0 귀촌 (102) 5.9 20.6 48.0 11.8 2.0 6.9 3.9 0.0 1.0 토박이 (505) 69.7 15.6 7.1 2.8 2.8 1.4 0.2 0.4 0.0 기타 (1) 0.0 0.0 100.0 0.0 0.0 0.0 0.0 0.0 0.0 가구원 수 1인 (230) 54.8 33.0 7.4 0.4 1.7 2.6 0.0 0.0 0.0 2인 (299) 65.2 9.7 14.4 3.7 3.7 1.3 1.3 0.3 0.3 3인 (63) 61.9 0.0 23.8 6.3 1.6 4.8 1.6 0.0 0.0 4인 이상 (72) 47.2 0.0 27.8 13.9 6.9 2.8 0.0 1.4 0.0 주요 경제활동 농림어업 (394) 100.0 0.0 0.0 0.0 0.0 0.0 0.0 0.0 0.0 농림어업 관련 (2) 0.0 0.0 0.0 0.0 0.0 0.0 0.0 100.0 0.0 자영업 (95) 0.0 0.0 100.0 0.0 0.0 0.0 0.0 0.0 0.0 사무/경영/관리 (26) 0.0 0.0 0.0 100.0 0.0 0.0 0.0 0.0 0.0 생산/기능/노무 (21) 0.0 0.0 0.0 0.0 100.0 0.0 0.0 0.0 0.0 판매/영업/서비스 (15) 0.0 0.0 0.0 0.0 0.0 100.0 0.0 0.0 0.0 전문/기술 (5) 0.0 0.0 0.0 0.0 0.0 0.0 100.0 0.0 0.0 자유직 (1) 0.0 0.0 0.0 0.0 0.0 0.0 0.0 0.0 100.0 주부/학생/무직 (105) 0.0 100.0 0.0 0.0 0.0 0.0 0.0 0.0 0.0

(53)

45

구분 사례 수 500만 원 이하 500만~ 1천만 원 1천~ 2천만 원 2천~ 3천만 원 3천~ 4천만 원 4천~ 5천만 원 5천~ 1억 원 1억 원 이상 합계 전 체 (664) 17.5 19.6 24.7 12.7 10.4 5.0 8.4 1.8 100.0 거주지역 문호4리 (47) 6.4 14.9 25.5 21.3 12.8 8.5 10.6 0.0 100.0 정배1리 (58) 15.5 17.2 17.2 13.8 6.9 8.6 19.0 1.7 100.0 석포1리 (27) 22.2 25.9 18.5 14.8 11.1 3.7 3.7 0.0 100.0 다개리 (45) 28.9 8.9 13.3 17.8 22.2 2.2 4.4 2.2 100.0 신화리 (45) 37.8 17.8 20.0 13.3 6.7 2.2 2.2 0.0 100.0 추양1리 (23) 0.0 39.1 17.4 17.4 4.3 8.7 13.0 0.0 100.0 신암1리 (45) 33.3 15.6 13.3 4.4 11.1 11.1 11.1 0.0 100.0 청서리 (22) 4.5 18.2 54.5 13.6 9.1 0.0 0.0 0.0 100.0 월평리 (22) 22.7 31.8 40.9 4.5 0.0 0.0 0.0 0.0 100.0 송전리 (45) 22.2 35.6 33.3 6.7 2.2 0.0 0.0 0.0 100.0 식송리 (25) 28.0 28.0 32.0 12.0 0.0 0.0 0.0 0.0 100.0 승언8리 (40) 0.0 12.5 10.0 17.5 22.5 2.5 27.5 7.5 100.0 중장5리 (25) 0.0 8.0 32.0 8.0 12.0 12.0 24.0 4.0 100.0 시방리 (50) 12.0 24.0 18.0 12.0 6.0 8.0 12.0 8.0 100.0 백미리 (34) 17.6 20.6 29.4 11.8 8.8 2.9 2.9 5.9 100.0 동호리 (31) 12.9 16.1 29.0 19.4 22.6 0.0 0.0 0.0 100.0 증촌마을 (20) 15.0 10.0 45.0 0.0 25.0 5.0 0.0 0.0 100.0 야화2리 (20) 15.0 30.0 20.0 5.0 10.0 0.0 20.0 0.0 100.0 송국2리 (20) 35.0 15.0 10.0 10.0 10.0 20.0 0.0 0.0 100.0 대양2리 (20) 5.0 10.0 65.0 20.0 0.0 0.0 0.0 0.0 100.0 성별 남성 (316) 8.2 17.1 25.6 14.6 12.3 6.6 12.3 3.2 100.0 여성 (348) 25.9 21.8 23.9 10.9 8.6 3.4 4.9 0.6 100.0 연령 30대 이하 (12) 0.0 16.7 0.0 16.7 25.0 16.7 25.0 0.0 100.0 40대 (43) 7.0 0.0 18.6 18.6 32.6 4.7 14.0 4.7 100.0 50대 (135) 1.5 7.4 23.0 16.3 15.6 14.1 17.0 5.2 100.0 60대 (172) 7.0 17.4 30.8 18.0 11.0 3.5 10.5 1.7 100.0 70대 이상 (302) 32.8 29.1 23.8 7.0 4.0 1.3 2.0 0.0 100.0

<표 3-8> 가구 총수입

참조

관련 문서

심층연구 주제인 과소화 마을과 관계인구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 은 추가 조사를 진행하였다. 과소화 마을의 요인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한계마 을 및

 농어촌 지역에 대한 사업 비중을 설정하고, 농어촌 수혜자 만족도 조사 등을 진행하여 사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정점별 표층퇴적물 강열감량의 차이... 정점별 표층퇴적물

여러 데이터 중에서 가장 신뢰 할만한(여러 피크들 중에서 가장 큰 피크로부 터 얻은)데이터는 Na로 중화된 아이오노머와 경향이 비슷하게 나타났다.즉, 2. 1mol

박미자(2005)는 초등학생의 한글맞춤법 오류 실태를 분석하고,오류원인을 찾아내어 맞춤법의 효율적인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연구를 위해 맞춤법 오류 실태

셋째,정신지체 특수학교 과학교과 학습지도 실태 및 개선 방안을 살펴보면 정신 지체 특수학교에서 사용하는 과학 교과서의 만족도가 낮은 편으로 교과서 대신 학 생

관심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섭취여부에서도 건강에 대한 자각과 관심이 있는 경우가 더 많이 섭취한다고 나타났다.또 일반 특성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섭취여부를

대학구성원 건의 및 불만사항 해결, 대학 내 구성원 간 관계 만족 전반적인 만족도 대학의 대외적 이미지에 대한 자부심, 대학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