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ooper 등의 직무스트레스 모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2-35)

Manchester대학의 Cooper와 Marshall(1976)은 다양한 직장 내의 스트레스 요인은 가족 문제 등 직장 외의 스트레스요인과 함께 개인적 특성이라는 중 재 요인을 통하여 생리적․ 심리적인 불 건강과 행동상의 문제를 발생시키 며,결국은 질병을 유발한다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은 직무스트레스 연구에 대한 접근은 다 학제간의 접근에 의해서만 적절하게 탐구된다는 입장으로 ,작업환경에서 개인이 자신들에 요구되는 자 극에 의해 부과되는 문제의 전체 즉,심리적․ 사회적․ 생리적 접근에 대 한 탐구를 강조하고 있다.(Cooper& Davidson,1981).

Cooper와 Davidson(1981)은 5년 후에 다시 방대한 스트레스 연구에 대한 문헌 검토를 기초로 직장․ 가정․ 사회․ 개인의 네 가지 영역에서의 선 행변수인 스트레스요인과 스트레스 결과 변수를 정리하여 새롭게 직업성 스 트레스 모델(ModelofOccupationalStress)을 발표하였다.

Copper와 Davidson(1981)에 따르면,작업 상황에서 스트레스요인은 또한 가정과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미치며,역으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나 작업 상황에서 한 개인의 수행과 정신 적․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직 외 스트레스요인은 중요하다.

조직 외 스트레스요인은 세 가지 즉,

1)가정환경 영역:결혼 만족도,재정적 관심,

2)사회적 환경 영역:사회적 활동이나 관계,도시 대 시골 생활, 3)개인 영역:성격,과거력.사건,A형 성격특성 등으로 분류된다.

작업 환경(조직 내)의 스트레스요인으로는 교대근무,능력발휘 부족,업무 과소,단조로움,업무 과부하,역할 갈등,불공정한 월급,직업에 대한 미래의 불확실성,작업장에서의 관계,장비 및 위험 등이 포함 되며,스트레스 결과에 는 업무수행 장애,알코올 중독이나 약물남용,흡연과 같은 행동적 결과,두통 이나 고혈압과 같은 신체적 질병,우울과 같은 정신적 질병 등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그림 2-2]를 보면 세 가지 영역이 주요 행위자인 개인과 통합적으 로 상호작용하고,한 영역에서의 스트레스요인은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며,순 차적으로 다른 영역의 스트레스요인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어떤 개인이 한 가지 이상의 선행 영역에서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스 트레스는 발현영역으로 나타나는 바 발현영역의 특성이 많은 변수들에 의존 하고는 있지만 분명하게 개인적 상황 내에 있다.

따라서 똑같은 스트레스요인에 노출될 때에도 어떤 개인은 회피적인 음주 를 하는 반면에 어떤 이들은 기관지염이 발병되기도 하는 등 스트레스로 인 한 불 건강 상태의 발현은 성격 등의 개인적 특성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즉 스트레스 반응의 개인차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이 이 모델의 특징 중 하나이다.

한편 Cooper의 모델을 적용한 기존의 연구들의 대체적으로 같은 연구방법 을 사용하고 있는데,먼저 특정 직업과 관련이 있을 것 같은 스트레스요인에 관한 질문 항목을 작성하고 요인분석에 의하여 변수 요약을 하고 그 요인 득 점을 각 스트레스요인 변수로 하며,그 가운데서 결과변수의 정신건강상태와 상관성이 높은 변수들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따라서 스트레스요인이 항목은 각 직종 및 사업장 마다 개별적인 연구별로 독자적으로 작성되어,다른 직종이나 사업장에 활용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어 계속 새로운 직종의 스트레스를 탐구하는 형식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Palmer,Cooper,& Thomas,2001).

또한 그 연구들은 탐색적(Exploratory)연구들로서 스트레스의 선행 변수인 스트레스요인과 정신적 심리적 건강상태 등 결과 변수와의 시간적인 전후관 계가 확실하게 규명되지 않아 변수들 간의 인과적 관련성의 검증은 아직 수 행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 모델은 검증해야 할 모델이라기보다는 스트레스요인과 스트 레스의 결과 변수에 이르는 많은 변수들을 총괄한 내용 일람표라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각 영역에서 측정될 수 있는 변수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개관할 수 있다는 점에 그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림 2-2] Cooper의 직무 스트레스 모델9)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