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일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0-54)

노동성이 1982년에서 1997년까지 작업 중 근심,걱정,스트레스를 경험한 근로자를 조사한 결과 1982년 50.6%에서 1997년 62.8%로 점진적으로 증대된 것으로 [그림2-7]와 같이 나타났다.

이들 근로자중 하루 10시간 이상 근무하는 74%의 근로자가 작업장에서의 작업관련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조사되었다.

16) 상게서, pp.30~32

1997

5 0 .6 5 4

5 7 6 2 .8

0 % 1 0 % 2 0 % 3 0 % 4 0 % 5 0 % 6 0 % 7 0 %

1992 1987

1982

[그림2-6]작업 중 걱정,근심,스트레스의 불만 비율

일본은 후생노동성과 중앙노동재해방지협회는 근로자의 정신·신체건강을 위한 THP(TotalHealthPromotionPlan)를 1988년 노동안전위생법에서 개정 하여 추진하고 있다.THP의 스텝은 산업의를 핵심으로 운동지도,운동실천, 심리상담,산업영양지도,산업보건지도 담당자를 한 스텝으로 [그림2-8]과 같 이 구성되어 진행되고 있으며 실시중인 사업장에서는 연간 1인당 휴업일수의 감소와 의료비의 절감 및 일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는 효과를 보고 있다.17)

심리상담 담당자

∎스트레스 해소방법

∎긴장 완화지도

∎양호한 직장분위기조성

영양지도 담당자

∎식 생활 음식행동의 평가 및 지도개선

운동지도 담당자

∎운동지도 프로그램 작성 및 운동지도

운동실천 담당자 ∎운동실천을 위한 지도

산업보건지도 담당자

∎근무상태나 생활습관을 배려한 건강한 생활지도 (수면, 흡연, 음주 등) 산업의

∎건강측정(문진, 검진)

∎생활상황 조사(작업내용, 운동력 등)

∎운동기능검사(지구력, 근력, 유연성)

∎운동 등의 지도표 작성(스템의 지도)

[그림2-8]THP 스텝구성 17)상게서, pp.30~34

제3장.연구 방법 및 계획

현대인의 정신건강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는 일반적으로 변화,자 극,손실,압박,긴장,불안,걱정,좌절,분노,불편함,등의 부정적인 개념으로 설명되나,항상 스트레스가 부정적이고 비생산적인 결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 다.

적절한 스트레스는 오히려 업무 수행도를 향상 시키고 생산성을 향상 시키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만,지속적이고 과도한 스트레스는 개인의 항상성을 파괴 하여 정신적,신체적,행동적 위해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최근 경제위기로 인한 고용불안정과 구조조정,노동의 유연화는 직장인들로 하여금 직무스트레스를 가중 시키고,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에 심각한 위협요소 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이러한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 중 어느 요인이 건설업 근로자들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며,또 특정 집단 간의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측정하고,직무스트레스 유발 요인들이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 그리 고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제1절 연구 대상 및 측정 방법

본 연구를 위하여 2008년 9월부터 2009년 2월 까지 국내 건설업체 P사와 34 개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선정된 건설업 근로자들에 대해 무선 표집을 하여 자 료를 수집 하였다.

이 표집 방법이 사용된 이유는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함으로 통계적으로 또는 확률적으로 추측하여 내린 결론이 외부적으로 타당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 이다.

설문지는 응답자가 질문에 직접 답을 기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 기입식 방 법을 사용하였으며 변수의 구성은 직무스트레스의 원인을 알기 위해 제시되었 던 여러 가지 이론 중 직업성 긴장모델 (JobStrain Model),인간-환경모델 (Person-EnvironmentFitModel),노력-보상불일치 모델 (Effect-Reward ImbalanceModel), NIOSH의 직무스트레스 모델 등18)을 참고하여 본 연구주

제와 관련된 국․내외 선행 연구들의 검증된 설문 조사 항목을 선정하여 인구 통계학적 변수(26문항),직무스트레스유발 변수(43문항),작업안전관련 변수(16 문항),개인 성격관련 변수(4문항),건강관련 변수(8문항),안전경영성과 관련 변수(7문항),기타 변수(2문항)로 구성 하였다.

직무스트레스 유발 변수는 한국산업안전공단에서 제공한 표준 직무스트레 스 측정지(KOSHA CODE H-42-2006)를 사용하였고,다른 변수들은 선행 연 구 자료를 참고하여 선정 하였다.

각 문항은 Likert5점 척도(매우 그렇다,대부분 그렇다,보통이다,조금 그렇 다,전혀 그렇지 않다)를 사용하였으며, 점수평가 방법은 1-2-3-4-5의 평가법 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설문의 분석은 SPSS17.Version통계프로그램을 사 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제2절 연구 모형

건설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이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직무스 트레스가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 그리고 기업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지 분석하기 위하여,먼저 건설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이 직무로 인하여 받 는 스트레스가 어느 정도인지 측정하고,그 결과를 전 산업을 대상으로 조사된 근로자들의 표준 직무 스트레스 중앙값과 비교한 후,성별,흡연,음주,운동,여 가활동 등 인구 통계학적 변수를 이용하여 각 집단 간에 직무스트레스 차이가 있는지를 T-test와 다변량 분산분석(MANOVA:MultivariateAnalysisof Variance)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다음은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한국산업안전공단에서 제공한 표준 직무스트레스 측정지(KOSHA CODE H-42-2006)에 대한 타당성 조사와 추후 실험의 편의를 위해,그 변수들에 대한 요인분석을 행하고,직무 스트레스 유발 요인에 대한 요인특성과 적정성을 측정한 후 각 요인들을 독립

18) 장세진, 직무스트레스 예방과 관리, 한국경영자협회, 안전보건시리즈 15(2005),27-33쪽.

변인으로 하여 그러한 요인들이 근로자의 건강과,사고,경영성과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지 다중 회귀분석(MultipleRegressionAnalysis)을 통하여 분석한 다.

직무스트레스 유발 변인

스트레스

사고

근로자 건강

4.요인분석

경영 성과

5.회귀분석 1.직무스트레스 수준 측정

2.T-test 3.ANOVA

[그림 3-1] 연구모형

제3절 변수의 선정과 정의

변수의 선정은 본 연구주제와 관련된 국․내외 선행 연구들의 검증된 설문 조사 항목을 참고하여,직무스트레스의 수준과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 기업의 경영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변수들로 인구통계학적변수(26문항),직무스트레 스 유발 변수(43문항),작업안전관련 변수(16문항),개인 성격관련 변수(4문항), 건강관련 변수(8문항),안전경영성과 관련 변수(7문항),기타 변수(2문항)로 구 성 되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0-54)